KR102418038B1 - 지게차 - Google Patents

지게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038B1
KR102418038B1 KR1020200177296A KR20200177296A KR102418038B1 KR 102418038 B1 KR102418038 B1 KR 102418038B1 KR 1020200177296 A KR1020200177296 A KR 1020200177296A KR 20200177296 A KR20200177296 A KR 20200177296A KR 102418038 B1 KR102418038 B1 KR 102418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act
braking
power transmission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7001A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7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038B1/ko
Publication of KR20220087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9Br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지게차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지게차는: 이동부재가 구비되어 지면 상을 주행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전방에 설치되는 프레임부와, 장애물과 접촉 시 프레임부를 따라 이동되는 접촉부재가 구비되는 형상가변부와, 본체부에 설치되고, 접촉부재의 이동에 연동되어 본체부의 주행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동부 및 접촉부재와 제동부를 연결시키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게차{FORKLIFT}
본 발명은 지게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상정지수단이 구비된 지게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짐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 사용하는 산업용 트럭의 특수한 형태로, 산업 현장이나 창고에서 사람이 들기 어려운 무거운 짐을 유용하게 적재 및 운반할 수 있는 차량이다. 이러한 지게차는 동력원에 따라 엔진 지게차와 전동 지게차로 구분된다. 엔진 지게차는 디젤이나 가솔린 등을 엔진으로 사용하며, 출력이 좋아 야외 작업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전동 지게차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며, 엔진 지게차에 비해 배기 가스가 없고 소음이 작아 실내 작업에 이용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69941호(2011.06.24 공개, 발명의 명칭: 전동지게차)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장애물과의 접촉 여부에 따라 주행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지게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는: 이동부재가 구비되어 지면 상을 주행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방에 설치되는 프레임부와, 장애물과 접촉 시 상기 프레임부를 따라 이동되는 접촉부재가 구비되는 형상가변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접촉부재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본체부의 주행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동부; 및 상기 접촉부재와 상기 제동부를 연결시키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형상가변부는 상기 접촉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접촉부재가 상기 장애물로부터 접촉 해제됨에 따라 상기 접촉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에 대한 설치각도가 조절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일측이 상기 접촉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동부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장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동력전달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장력 전달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동부와 연결되는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타측은 상기 본체부의 주행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동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고, 상기 접촉부재가 상기 장애물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를 향해 이동되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작동부가 상기 이동부재를 향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에 간섭되는 제1제동부재; 및 상기 본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작동부가 상기 이동부재를 향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작동부와 접촉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회전을 중지시키는 제2제동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작동부재; 및 일측이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제동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1작동부재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작동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1작동부재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작동부재를 후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2작동부재와 상기 제1작동부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2작동부재를 하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는 장애물과의 접촉 직후 제동부가 본체부의 주행을 신속하게 중지시킴에 따라 큰 충격으로 인해 발생되는 안전사고 또는 장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는 제1제동부재와 제2제동부재에 의해 이중에 걸쳐 본체부의 주행을 중지시킴에 따라 안정적인 제동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는 프레임부가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프레임부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는 복원부재, 제1탄성부재, 제2탄성부재에 의해 접촉부재, 작동부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음에 따라 연속적인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치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치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1)는 본체부(100), 형상가변부(200), 동력전달부(300), 제동부(4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1)의 외관을 형성하며, 지면 상을 주행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는 본체(110), 이동부재(120), 포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통상적인 지게차의 차체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체(110)의 상부에는 작업자가 탑승 가능하게 형성되고, 본체부(110)의 주행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핸들, 브레이크, 엑셀레이터 등이 구비되는 운전석이 마련된다. 본체(110)의 내부에는 주입된 연료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이 설치된다.
이동부재(120)는 바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1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동부재(120)는 본체(110)에 대해 회전 시 지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본체부(110)를 주행시킨다. 이동부재(120)의 개수는 본체(110)를 주행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개수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포크(130)는 본체(110)에 설치되고, 본체(110)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화물(2)이 적재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포크(130)는 화물(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본체(110)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형상가변부(200)는 본체부(100)의 전방에 설치되어 벽, 지형지물 등으로 예시되는 장애물과의 접촉을 감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형상가변부(200)는 장애물과의 접촉 시, 접촉에 의한 반발력에 의해 형상이 가변되어 후술하는 동력전달부(300), 제동부(400)의 이동을 유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가변부(200)는 프레임부(210), 접촉부재(220), 복원부재(23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210)는 본체부(100)의 전방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접촉부재(220)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프레임부(210)는 본체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본체부(100)에 대한 설치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210)는 본체(110)의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주보는 한 쌍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프레임부(210)에는 프레임부(210)를 수직하게 관통하고, 프레임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프레임부(210)의 일측에는 프레임부(210)와 본체(110)를 동시에 관통하여 프레임부(210)를 본체(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211)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프레임부(210)는 힌지부(211)를 축으로 회전되며 설치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힌지부(211)는 전동 모터 등과 연결되어 프레임부(210)의 회전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접촉부재(220)는 프레임부(21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장애물과 접촉 시 프레임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재(220)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프레임부(210)와 수직하게 배치된다. 접촉부재(220)는 프레임부(210)의 관통홀에 삽입되고, 외측면이 프레임부(210)의 내측면에 접한 상태에서 프레임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다. 접촉부재(220)가 초기 위치에 위치한 경우, 접촉부재(220)의 단부는 프레임부(210)의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상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초기 위치는 접촉부재(220)가 장애물과 접촉되기 전의 위치로, 접촉부재(220)가 관통홀의 최전방에 위치된 경우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접촉부재(220)는 프레임부(210)에 우선하여 장애물과 접촉될 수 있다.
복원부재(230)는 접촉부재(220)에 연결되어 접촉부재(220)를 프레임부(210)의 길이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원부재(230)는 접촉부재(220)가 장애물로부터 접촉 해제되는 경우, 탄성복원력에 의해 접촉부재(220)를 원위치 즉, 프레임부(210)의 최전방으로 복귀시킨다. 이에 따라 복원부재(230)는 접촉부재(220)의 작동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부재(230)는 길이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갖는 코일 스프링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원부재(230)는 관통홀의 내부에 배치되어 일측이 접촉부재(220)의 후방에 연결되고, 타측이 프레임부(210)의 후방 내측면에 연결된다.
동력전달부(300)는 접촉부재(220)와 제동부(400)를 연결시켜 접촉부재(220)의 이동력을 제동부(400)로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동력전달부(300)는 장력에 의해 접촉부재(200)의 이동과 제동부(400)의 이동을 연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300)는 동력전달부재(310), 방향전환부(320)를 포함한다.
동력전달부재(310)는 일측이 접촉부재(220)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동부(400)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장력을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재(310)는 형상 변경이 자유로운 와이어의 형태로 구비되어 양단이 각각 접촉부재(220)와 작동부(410)에 연결된다. 동력전달부재(310)는 일부 구간이 힌지부(211)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이에 따라 동력전달부재(310)는 프레임부(210)와 동일한 회전축을 공유하게 되어 프레임부(210)의 회전에 의한 동력전달부재(310)의 장력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제동부(400), 보다 구체적으로 작동부(410)에 연결되는 동력전달부재(310)의 타측은 본체부(100)의 주행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재(310)의 타측은 지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동력전달부재(310)의 타측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는 제동부(400)의 이동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나, 예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동력전달부재(310)가 작동부(410)에 가하는 장력은 수직방향의 힘과 수평방향의 힘을 동시에 포함하게 되어, 접촉부재(220)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경우 작동부(410)를 전방과 상방으로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방향전환부(320)는 동력전달부재(310)를 지지하고, 동력전달부재(310)의 장력 전달방향을 전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부(320)는 일측이 본체(110)에 연결되고, 타측이 본체(1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도르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방향전환부(320)는 힌지부(211)의 후방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동력전달부재(310)의 일부 구간이 밀착지지된다. 방향전환부(320)는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설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향전환부(320)는 동력전달부재(310)의 타측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동부(400)는 본체부(100)에 설치되고, 접촉부재(220)의 이동에 연동되어 본체부(100)의 주행을 선택적으로 제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동부(400)는 접촉부재(220)가 장애물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경우 이동부재(120)의 회전에 간섭되거나 이동부재(120)의 회전을 중단시켜 본체부(100)의 주행을 중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동부(400)는 작동부(410), 제1제동부재(420), 제2제동부재(430)를 포함한다.
작동부(410)는 동력전달부(300)에 연결되고, 접촉부재(220)가 장애물에 접촉됨에 따라 이동부재(120)를 향해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410)는 가이드부(411), 제1작동부재(412), 제2작동부재(413), 제1탄성부재(440), 제2탄성부재(450)를 포함한다.
가이드부(411)는 본체부(100)에 고정되어 후술하는 제1작동부재(412)의 이동을 안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411)는 용접, 볼팅 등에 의해 본체(110)의 하부에 고정된다. 가이드부(411)는 프레임부(210)의 하방에 배치되어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가이드부(411)의 내부에는 가이드부(411)의 내부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거나 가이드부(41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가이드레일(411a)이 구비된다. 가이드레일(411a)은 가이드부(411)의 길이방향 즉,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작동부재(412)는 가이드부(411)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작동부재(412)는 일측이 가이드레일(411a)에 삽입되고, 가이드레일(411a)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여기서 전후 방향은 본체부(100)의 길이방향 또는 본체부(100)의 주행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의미한다.
제2작동부재(413)는 일측이 동력전달부(3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1제동부재(420)에 연결되며, 제1작동부재(412)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작동부재(413)는 봉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가이드부(411)와 수직하게 배치된다. 제2작동부재(413)의 하단부의 폭은 중심부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2작동부재(413)는 제1작동부재(412)의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되며, 외측면이 제1작동부재(412)의 내측면에 접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여기서 상하 방향은 본체부(100)의 높이 방향 또는 본체부(100)의 주행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제2작동부재(413)의 상단에는 후술하는 제2제동부재(430)와 접촉되는 연장부(413a)가 구비된다. 연장부(413a)는 일단부가 본체(110)를 향해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면과 수평하게 배치된다. 연장부(413a)는 상부가 동력전달부재(310)의 타측 단부에 연결된다.
제1탄성부재(440)는 제1작동부재(412)와 가이드부(411) 사이에 구비되고, 제1작동부재(412)를 후방으로 탄성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탄성부재(440)는 길이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갖는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형성되어 가이드레일(411a)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1탄성부재(440)는 제1작동부재(412)를 후방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양측이 각각 제1작동부재(412)의 전면과, 가이드부(411)의 전방 내측면에 연결된다.
제2탄성부재(450)는 제2작동부재(413)와 제1작동부재(412) 사이에 구비되고, 제2작동부재(413)를 하방으로 탄성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탄성부재(450)는 길이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갖는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형성되어 제2작동부재(413)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제2탄성부재(450)는 제2작동부재(413)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양측이 각각 제1작동부재(412)의 하면과, 제2작동부재(413)의 하단부 상측면에 연결된다.
제1탄성부재(440)와 제2탄성부재(450)의 탄성계수의 합은 복원부재(230)의 탄성계수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탄성부재(440)와 제2탄성부재(450)는 접촉부재(220)가 장애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복원부재(230)에 의해 압축되어 작동부(41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제1제동부재(420)는 작동부(410)로부터 연장되고, 작동부(410)가 이동부재(120)를 향해 이동됨에 따라 이동부재(120)에 접촉되어 이동부재(120)의 회전에 간섭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제동부재(420)는 고임목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작동부재(413)의 하측 또는 제2작동부재(413)의 하단부 측면에 연결된다.
제1제동부재(420)가 이동부재(120)와 마주보는 측에는 이동부재(120)와 접촉되는 곡면 형태의 제동면(4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동면(421)은 이동부재(120)에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이동부재(120)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2제동부재(430)는 본체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작동부(410)가 이동부재(120)를 향해 이동됨에 따라 작동부(410)와 접촉되어 이동부재(120)의 회전을 중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제동부재(430)는 본체(1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연장부(413a)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센서와, 접촉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브레이크의 작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의 제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체부(100)의 주행에 앞서, 프레임부(210)가 지면과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프레임부(210)를 반시계방향(도 5 기준)으로 회전시킨다.
이후, 본체부(100)가 주행되고, 접촉부재(220)가 본체부(100)의 주행 경로 상에 놓여진 장애물과 접촉된다.
접촉부재(220)는 장애물과의 접촉에 의한 반발력에 의해 복원부재(230)를 압축시키며 프레임부(210)의 후방으로 이동된다.
접촉부재(220)가 프레임부(210)의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동력전달부재(310)는 작동부(410)로부터 가해지는 장력에 의해 접촉부재(220)가 이동된 거리만큼 후방으로 이동된다.
제1작동부재(412)는 제1탄성부재(440)의 가압력에 의해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제2작동부재(413)는 제2탄성부재(450)의 가압력에 의해 하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후, 제1제동부재(420)와 제2제동부재(430)에 의해 본체부(100)의 주행이 중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작동부재(412)와 제2작동부재(413)가 완전히 이동되는 경우, 제1제동부재(420)의 제동면(421)이 이동부재(120)의 외측면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이동부재(120)는 제동면(421)의 경사 각도와 제동면(421)과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다.
제1작동부재(412)와 제2작동부재(413)가 완전히 이동되는 경우, 연장부(413a)의 일측은 제2제동부재(430)와 접촉된다. 제2제동부재(430)는 연장부(413a)와의 접촉을 감지하고,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이동부재(120)의 회전을 중지시킨다.
접촉부재(220)가 장애물로부터 접촉 해제되는 경우, 상술한 작동의 반대작동에 의해 제1제동부재(420)는 이동부재(120)로부터 분리되고, 연장부(413a)는 제2제동부재(420)로부터 분리되어 본체부(100)의 주행을 허용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지게차 2 : 화물
100 : 본체부 110 : 본체
120 : 이동부재 130 : 포크
200 : 형상가변부 210 : 프레임부
220 : 접촉부재 230 : 복원부재
300 : 동력전달부 310 : 동력전달부재
320 : 방향전환부 400 : 제동부
410 : 작동부 411 : 가이드부
411a : 가이드레일 412 : 제1작동부재
413 : 제2작동부재 413a : 연장부
420 : 제1제동부재 421 : 제동면
430 : 제2제동부재 440 : 제1탄성부재
450 : 제1탄성부재

Claims (8)

  1. 이동부재가 구비되어 지면 상을 주행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방에 설치되는 프레임부와, 장애물과 접촉 시 상기 프레임부를 따라 이동되는 접촉부재가 구비되는 형상가변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접촉부재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본체부의 주행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동부; 및
    상기 접촉부재와 상기 제동부를 연결시키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동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고, 상기 접촉부재가 상기 장애물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를 향해 이동되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작동부가 상기 이동부재를 향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에 간섭되는 제1제동부재; 및
    상기 본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작동부가 상기 이동부재를 향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작동부와 접촉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회전을 중지시키는 제2제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작동부재; 및
    일측이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제동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1작동부재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가변부는 상기 접촉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접촉부재가 상기 장애물로부터 접촉 해제됨에 따라 상기 접촉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에 대한 설치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일측이 상기 접촉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동부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장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동력전달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장력 전달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와 연결되는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타측은 상기 본체부의 주행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1작동부재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작동부재를 후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2작동부재와 상기 제1작동부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2작동부재를 하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KR1020200177296A 2020-12-17 2020-12-17 지게차 KR102418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296A KR102418038B1 (ko) 2020-12-17 2020-12-17 지게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296A KR102418038B1 (ko) 2020-12-17 2020-12-17 지게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001A KR20220087001A (ko) 2022-06-24
KR102418038B1 true KR102418038B1 (ko) 2022-07-06

Family

ID=82215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296A KR102418038B1 (ko) 2020-12-17 2020-12-17 지게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03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472Y1 (ko) * 2001-12-13 2002-03-23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언로더 주행부의 밀림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9899A (ko) * 2013-08-16 2015-02-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장애물 인식 제동 시스템을 갖춘 지게차
KR101857353B1 (ko) * 2016-06-29 2018-05-14 이규상 리어 포크형 agv 시스템
KR102032643B1 (ko) * 2018-03-27 2019-10-15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 하역기의 방해물 감지장치
KR20200012146A (ko) * 2018-07-26 2020-02-05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기의 밀림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472Y1 (ko) * 2001-12-13 2002-03-23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언로더 주행부의 밀림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001A (ko)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8038B1 (ko) 지게차
CN110104586B (zh) 搬运车
KR102100070B1 (ko) 노면 요철 감지장치가 구비된 지게차
KR102394779B1 (ko) 지게차
KR100926524B1 (ko) 크레인용 트래버서
JPH0812288A (ja) 昇降装置及び該昇降装置を有する無人搬送車
JP5893898B2 (ja) パワーユニット並びに作業車両
CN221165872U (zh) 托盘搬运车
KR101458203B1 (ko) 레일 프레임 구조의 싱글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크레인 조종석 승강장치
KR102628647B1 (ko) 지게차의 안전사고 방지 장치
KR102394789B1 (ko) 지게차
CN216185336U (zh) 一种油桶搬运车用锁紧装置
CN106740417B (zh) 自卸车货箱篷布机构的控制方法与系统
JP4470566B2 (ja) フォークリフト、及びフォークリフトの内部部品のメンテナンス方法
KR20080011736A (ko) 충돌 예방 수단을 갖는 포크리프트
CN114835058B (zh) 一种避免货物运输过程中视野受阻风险的小型电动叉车
KR102628649B1 (ko) 지게차의 화물 추락 방지 장치
JP4753891B2 (ja) 積荷移動装置
KR101984741B1 (ko) 지게차의 페달장치
KR20220048126A (ko)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
JP7304766B2 (ja) 作業車の安全装置
CN217148475U (zh) 太阳能电动叉车
CN109553023B (zh) 汽车维修用支撑设备
KR102517189B1 (ko) 대형 차량용 보조 액슬장치의 승강장치
JP4992314B2 (ja) 産業車両の荷役停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