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789B1 - 지게차 - Google Patents
지게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94789B1 KR102394789B1 KR1020200118071A KR20200118071A KR102394789B1 KR 102394789 B1 KR102394789 B1 KR 102394789B1 KR 1020200118071 A KR1020200118071 A KR 1020200118071A KR 20200118071 A KR20200118071 A KR 20200118071A KR 102394789 B1 KR102394789 B1 KR 1023947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chock
- main body
- wheel
- gui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9—Bra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0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9—Details of operating station, e.g. seats, levers, operator platforms, cabin suspens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6—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flexible members, e.g. an endless flexible memb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지게차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지게차는: 운전석이 구비되는 본체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를 구비하는 본체부와;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부와; 조작부와 연결되고, 조작부의 이동에 작동되는 작동부와; 본체에 설치되고, 작동부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바퀴 측으로 이동되어 바퀴에 접촉되거나 바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고임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게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밀리는 것이 방지되는 지게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짐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 사용하는 산업용 트럭의 특수한 형태로, 산업 현장이나 창고에서 사람이 들기 어려운 무거운 짐을 유용하게 적재 및 운반할 수 있는 차량이다. 이러한 지게차는 동력원에 따라 엔진 지게차와 전동 지게차로 구분된다. 엔진 지게차는 디젤이나 가솔린 등을 엔진으로 사용하며, 출력이 좋아 야외 작업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전동 지게차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며, 엔진 지게차에 비해 배기 가스가 없고 소음이 작아 실내 작업에 이용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69941호(2011.06.24 공개, 발명의 명칭: 전동지게차)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바닥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밀리는 것이 방지되는 지게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는: 운전석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를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고, 상기 조작부의 이동에 작동되는 작동부;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부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바퀴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바퀴에 접촉되거나 상기 바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고임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조작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래크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래크기어와 맞물려 결합되며, 상기 조작부의 작동에 회전되는 피니언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기어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풀리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풀리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풀리부; 및 상기 피니언기어 및 상기 고임목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풀리부 및 상기 제2풀리부에 걸쳐지며, 상기 피니언기어의 설정방향 회전시 풀리는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임목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제1가이드홀부가 형성되는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와 연결되고, 제2가이드홀부가 형성되는 제2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가이드부; 상기 와이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가이드홀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2가이드홀부를 따라 이동되는 고임목프레임본체와, 상기 고임목프레임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제1가이드홀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가이드홀부를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핀을 구비하는 고임목프레임; 상기 고임목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고임목프레임의 이동방향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바퀴에 접촉되거나 상기 바퀴에 미접촉되는 고임목블록; 및 상기 제1가이드홀부에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핀을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임목부는 상기 고임목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고임목프레임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고임목블록이 상기 바퀴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촉진시키는 제2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탄성부는 상기 바퀴의 반대 측으로 이동시 상기 제2가이드부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크기어가 구비되는 조작프레임;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프레임을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조작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력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외력의 크기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스토퍼부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조작프레임블록; 및 상기 조작프레임과 상기 조작프레임블록을 연결하며, 상기 조작프레임블록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조작프레임블록을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는 조작부 및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륜 측으로 이동되어 전륜에 접촉되거나 전륜의 반대측으로 이동되어 전륜에 미접촉되는 고임목부를 통해 바닥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밀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조작부의 조작으로 작동부가 작동되어 고임목부가 전륜에 접촉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B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고임목부를 전륜에 접촉하기 위한 조작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조작부의 조작으로 작동부가 작동되어 고임목부가 전륜에 미접촉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C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고임목부를 전륜에 미접촉하기 위한 조작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조작부의 조작으로 작동부가 작동되어 고임목부가 전륜에 접촉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B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고임목부를 전륜에 접촉하기 위한 조작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조작부의 조작으로 작동부가 작동되어 고임목부가 전륜에 미접촉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C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고임목부를 전륜에 미접촉하기 위한 조작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조작부의 조작으로 작동부가 작동되어 고임목부가 전륜에 접촉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B부분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고임목부를 전륜에 접촉하기 위한 조작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조작부의 조작으로 작동부가 작동되어 고임목부가 전륜에 미접촉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C부분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고임목부를 전륜에 미접촉하기 위한 조작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1)는 본체부(100), 조작부(200), 작동부(300), 고임목부(400), 스토퍼부(500), 프레임부(600) 및 리프트부(7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운전석(111)이 구비되는 본체(110)와, 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120)와 제2바퀴(130)를 구비한다. 바퀴(120)와 제2바퀴(130)는 본체(110)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조작부(200)는 본체(11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조작부(200)는 외력으로 가압하면, 이동되면서 작동부(300)를 작동시킨다. 이때, 조작부(200)의 이동방향에 따라 작동부(300)와 연결된 고임목부(400)가 바퀴(120)에 접촉되거나 바퀴(120)에 미접촉될 수 있다.
작동부(300)는 조작부(200)와 연결되고, 조작부(200)의 이동에 작동된다. 구체적으로, 조작부(200)가 하방향으로(도 3, 도 4 기준) 이동되면, 작동부(300)가 작동되고 고임목부(400)가 바퀴(120) 측으로 이동되어 바퀴(120)에 접촉된다.
반대로, 조작부(200)가 상방향으로(도 6, 도 7 기준) 이동되면, 작동부(300)가 작동되고 고임목부(400)가 바퀴(120)의 반대 측으로 이동되어 바퀴(120)에 미접촉된다. 즉, 고임목부(400)가 바퀴(120)와 이격된다.
고임목부(400)는 본체(110)에 설치되고, 작동부(300)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바퀴(120) 측으로 이동되어 바퀴(120)에 접촉되거나 바퀴(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고임목부(400)가 바퀴(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즉, 바퀴(120)의 반대측으로 이동되어 바퀴(120)에 미접촉된다.
스토퍼부(500)는 본체(110)에 장착되고, 조작부(200)의 이동을 제한한다. 구체적으로, 스토퍼부(500)는 본체(110)에서 조작부(200)를 향해 돌출형성된다. 조작부(200)가 하방향(도 3, 도 4 기준) 이동되면 스토퍼부(500)와 접촉되어 조작부(200)의 하방향(도 3, 도 4 기준) 이동을 제한한다. 이로 인해, 고임목부(400)가 바퀴(120) 측으로 이동되어 바퀴(120)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조작부(200)는 본체(11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래크기어(211)를 구비하고, 작동부(300)는 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래크기어(211)와 맞물려 결합되며, 조작부(200)의 작동에 회전되는 피니언기어(310)를 구비한다.
작동부(300)는 제1풀리부(320), 제2풀리부(330) 및 와이어부(340)를 포함한다. 제1풀리부(320)는 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피니언기어(310)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풀리부(320)는 제2풀리부(330)의 상방에 배치된다. 제2풀리부(330)는 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풀리부(320)의 하측에 배치된다. 와이어부(340)는 피니언기어(310) 및 고임목부(400)와 연결되고, 제1풀리부(320) 및 제2풀리부(330)에 걸쳐지며, 피니언기어(310)의 설정방향 회전시 풀린다.
구체적으로, 조작부(200)가 하방향으로(도 3, 도 4 기준) 이동되면 래크기어(211)가 피니언기어(310)를 작동시켜 피니언기어(310)를 설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피니언기어(310)가 설정방향으로 회전되면, 피니언기어(310)에 감겨진 와이어부(340)가 풀리게 되고, 고임목부(400)가 바퀴(120) 측으로 이동되어 바퀴(120)에 접촉된다. 이로 인해, 바닥(20)이 경사지거나 미끄러운 경우 등이 발생하는 경우, 지게차(1)가 바닥(20) 상에서 밀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반대로, 조작부(200)가 상방향으로(도 6, 도 7 기준) 이동되면 래크기어(211)가 피니언기어(310)를 작동시켜 피니언기어(310)를 설정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피니언기어(310)가 설정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피니언기어(310)에 와이어부(340)가 감겨지고, 고임목부(400)가 바퀴(120)의 반대 측으로 이동되어 바퀴(120)에 미접촉된다.
고임목부(400)는 가이드부(410), 고임목프레임(420), 고임목블록(430), 제1탄성부(440) 및 제2탄성부(450)를 포함한다. 가이드부(410)는 제1가이드부(411)와 제2가이드부(412)를 구비한다. 제1가이드부(411)는 본체(110)에 설치되며, 제1가이드홀부(411a)가 형성된다. 이때, 제1가이드홀부(411a)에는 고임목프레임(420)의 가이드핀(422)이 삽입된다. 제2가이드부(412)는 제1가이드부(411)와 연결되고, 제2가이드홀부(412a)가 형성된다. 이때, 제2가이드홀부(412a)에는 고임목프레임(420)의 고임목프레임본체(421)가 삽입된다(도 2 참조).
고임목프레임(420)은 고임목프레임본체(421)와 가이드핀(422)을 구비한다. 고임목프레임본체(421)는 와이어부(340)와 연결되고, 제2가이드홀부(412a)에 삽입되어 제2가이드홀부(412a)를 따라 이동된다. 가이드핀(422)은 고임목프레임본체(421)와 연결되고, 제1가이드홀부(411a)에 삽입되어 제1가이드홀부(411a)를 따라 이동된다. 이와 같이, 고임목프레임(420)은 가이드부(410)를 통해 바퀴(120) 측으로 또는 바퀴(120)의 반대측으로 쉽게 이동될 수 있다.
고임목블록(430)은 고임목프레임(420)과 연결되고 고임목프레임(420)의 이동방향에 따라 이동되어 바퀴(120)에 접촉되거나 바퀴(120)에 미접촉된다. 고임목블록(430)은 바퀴(120)와 마주하는 면이 바퀴(120)에 접촉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제1탄성부(440)는 제1가이드홀부(411a)에 장착되며, 가이드핀(422)을 탄성지지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핀(422)이 안정적으로 제1가이드홀부(411a) 상에서 탄성지지된 상태에서 이동될 수 있다.
제2탄성부(450)는 고임목프레임(420)에 장착되고, 고임목프레임(42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고임목블록(430)이 바퀴(120)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촉진시킨다. 제2탄성부(350)는 바퀴(120)의 반대 측으로 이동시 제2가이드부(412)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된다.
달리 말해, 제2탄성부(450)는 조작부(200)가 하방향으로(도 3, 도 4 기준) 이동되기 전에 제2가이드부(412)에 의해 압축된 상태이나, 조작부(200)가 하방향으로(도 3, 도 4 기준) 이동되면서 제2가이드부(412)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서 원상태로 복원되고, 고임목블록(43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고임목블록(430)이 바퀴(120) 측으로 신속하게 이동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고임목블록(430)이 바퀴(120)에 신속하게 접촉되어 지게차(1)의 밀림을 막을 수 있다.
조작부(200)는 조작프레임(210), 제1탄성부재(220), 조작프레임블록(230) 및 제2탄성부재(240)를 포함한다. 조작프레임(210)은 본체(11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래크기어(211)가 구비된다. 조작프레임(210)은 본체(110)에 구비된 설치대(112)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탄성부재(220)는 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조작프레임(210)을 탄성지지한다. 제1탄성부재(220)는 설치대(112)의 내부에 배치되어 조작프레임(210)을 탄성지지한다.
조작프레임블록(230)은 조작프레임(2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력에 의해 회전되며, 외력의 크기에 따라 회전되어 스토퍼부(500)에 선택적으로 걸린다. 조작프레임블록(230)은 조작프레임(210)에 힌지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조작부(200)가 하방향으로(도 5 기준) 이동되도록 조작부(200)에 외력을 가할 경우, 조작프레임블록(230)에 힌지축(미도시)을 기준으로 왼쪽으로(도 5 기준) 편심되게 외력을 가한다. 조작프레임블록(230)에 설정힘 이상의 외력을 가한다. 조작프레임블록(230)은 힌지축을 기준으로 왼쪽으로(도 5 기준) 기울어진 상태로 조작프레임(210)과 함께 하방향으로(도 5 기준) 이동된다(도 5 참조). 이때, 조작프레임블록(230)은 스토퍼부(500)에 걸리지 않고 조작프레임(210)과 함께 하방향으로(도 5 기준) 이동된다.
이후, 조작프레임블록(230)에 가해진 외력을 해제하면, 조작프레임(210)이 제1탄성부재(2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고, 조작프레임블록(230)이 후술된 제2탄성부재(240)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스토퍼부(500)의 하측면에 접촉되어 걸리게 된다.
반대로, 조작부(200)가 상방향으로(도 8 기준) 이동되도록 하는 경우, 조작프레임블록(230)에 힌지축을 기준으로 왼쪽으로(도 8 기준) 편심되게 외력을 가하면서 서서히 조작프레임블록(230)에 가해지는 외력을 설정힘 이하가 되도록 한다. 이때, 조작프레임블록(230)은 스토퍼부(500)에 걸리지 않고 조작프레임(210)과 함께 상방향으로(도 8 기준) 이동된다(도 8 참조). 조작프레임블록(230)은 스토퍼부(500)의 상측면에 위치되면서 스토퍼부(500)에 걸리지 않게 된다.
이후, 조작프레임(210)이 제1탄성부재(2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고, 조작프레임블록(230)이 후술된 제2탄성부재(240)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제2탄성부재(240)는 조작프레임(210)과 조작프레임블록(230)을 연결하며, 조작프레임블록(23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조작프레임블록(230)을 원상태로 복원시킨다.
프레임부(600)는 본체부(100)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된다. 달리 말해, 프레임부(600)는 본체부(100)의 전방에(이하 도 1기준 좌측)에 종 방향으로 설치되고, 후술된 리프트부(700)가 승강되도록 설치된다.
리프트부(700)는 프레임부(60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짐(10)이 실린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1)는 조작부(200) 및 작동부(300)의 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바퀴(120) 측으로 이동되어 바퀴(120)에 접촉되거나 바퀴(120)의 반대측으로 이동되어 바퀴(120)에 미접촉되는 고임목부(400)를 통해 바닥(20)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밀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지게차 10 : 짐
20 : 바닥 100 : 본체부
110 : 본체 111 : 운전석
112 : 설치대 120 : 바퀴
130 : 제2바퀴 200 : 조작부
210 : 조작프레임 211 : 래크기어
220 : 제1탄성부재 230 : 조작프레임블록
240 : 제2탄성부재 300 : 작동부
10 : 피니언기어 320 : 제1풀리부
330 : 제2풀리부 340 : 와이어부
400 : 고임목부 410 : 가이드부
411 : 제1가이드부 411a : 제1가이드홀부
412 : 제2가이드부 412a : 제2가이드홀부
420 : 고임목프레임 421 : 고임목프레임본체
422 : 가이드핀 430 : 고임목블록
440 : 제1탄성부 450 : 제2탄성부
500 : 스토퍼부 600 : 프레임부
700 : 리프트부
20 : 바닥 100 : 본체부
110 : 본체 111 : 운전석
112 : 설치대 120 : 바퀴
130 : 제2바퀴 200 : 조작부
210 : 조작프레임 211 : 래크기어
220 : 제1탄성부재 230 : 조작프레임블록
240 : 제2탄성부재 300 : 작동부
10 : 피니언기어 320 : 제1풀리부
330 : 제2풀리부 340 : 와이어부
400 : 고임목부 410 : 가이드부
411 : 제1가이드부 411a : 제1가이드홀부
412 : 제2가이드부 412a : 제2가이드홀부
420 : 고임목프레임 421 : 고임목프레임본체
422 : 가이드핀 430 : 고임목블록
440 : 제1탄성부 450 : 제2탄성부
500 : 스토퍼부 600 : 프레임부
700 : 리프트부
Claims (7)
- 운전석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를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고, 상기 조작부의 이동에 작동되는 작동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부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바퀴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바퀴에 접촉되거나 상기 바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고임목부;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조작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래크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래크기어와 맞물려 결합되며, 상기 조작부의 작동에 회전되는 피니언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기어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풀리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풀리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풀리부; 및
상기 피니언기어 및 상기 고임목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풀리부 및 상기 제2풀리부에 걸쳐지며, 상기 피니언기어의 설정방향 회전시 풀리는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임목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제1가이드홀부가 형성되는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와 연결되고, 제2가이드홀부가 형성되는 제2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가이드부;
상기 와이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가이드홀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2가이드홀부를 따라 이동되는 고임목프레임본체와, 상기 고임목프레임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제1가이드홀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가이드홀부를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핀을 구비하는 고임목프레임;
상기 고임목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고임목프레임의 이동방향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바퀴에 접촉되거나 상기 바퀴에 미접촉되는 고임목블록; 및
상기 제1가이드홀부에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핀을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임목부는 상기 고임목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고임목프레임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고임목블록이 상기 바퀴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촉진시키는 제2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탄성부는 상기 바퀴의 반대 측으로 이동시 상기 제2가이드부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크기어가 구비되는 조작프레임;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프레임을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조작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력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외력의 크기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스토퍼부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조작프레임블록; 및
상기 조작프레임과 상기 조작프레임블록을 연결하며, 상기 조작프레임블록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조작프레임블록을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8071A KR102394789B1 (ko) | 2020-09-15 | 2020-09-15 | 지게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8071A KR102394789B1 (ko) | 2020-09-15 | 2020-09-15 | 지게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6010A KR20220036010A (ko) | 2022-03-22 |
KR102394789B1 true KR102394789B1 (ko) | 2022-05-04 |
Family
ID=80991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18071A KR102394789B1 (ko) | 2020-09-15 | 2020-09-15 | 지게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94789B1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34953Y1 (ko) * | 1996-09-25 | 1999-01-15 | 김정국 | 산업용 지게차의 고임목 장치 |
KR200159134Y1 (ko) * | 1996-12-27 | 1999-10-15 | 양재신 | 고임목 기능이 겸비되는 차량용 머드가드 |
DE10233511A1 (de) * | 2002-07-23 | 2004-04-22 |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 Schließsystem für Motorfahrzeuge |
KR20130007441U (ko) * | 2012-06-19 | 2013-12-30 | 원세길 | 추락방지장치가 설치된 고소작업대 |
-
2020
- 2020-09-15 KR KR1020200118071A patent/KR102394789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6010A (ko) | 2022-03-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E69835454D1 (de) | Verbesserte hebevorrichtung für fahrzeuge | |
KR102394789B1 (ko) | 지게차 | |
KR102394779B1 (ko) | 지게차 | |
JPH09202596A (ja) | バッテリの取出が容易な電動リーチタイプのフォークリフト | |
KR102418038B1 (ko) | 지게차 | |
JPH0840568A (ja) | シャトルリフター | |
CN219384671U (zh) | 一种叉车移动装置 | |
KR100661124B1 (ko) | 차량용 리프트 시스템 | |
JP3618614B2 (ja) | 可動台車 | |
JPH0551888U (ja) | 高所作業車 | |
CA2448965A1 (en) | Lifting apparatus for a vehicle bed | |
JP2021038089A (ja) | リフト装置 | |
JP3669846B2 (ja) | 荷受台昇降装置付車両における安全装置 | |
JPS6340344Y2 (ko) | ||
JP6865490B1 (ja) | 荷物の搬入方法及び車 | |
KR20230076285A (ko) | 지게차의 화물 추락 방지 장치 | |
JPS6230823Y2 (ko) | ||
JPH0637293U (ja) | 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用積載補助装置 | |
JPH0575283U (ja) | リフター | |
JP2515337Y2 (ja) | 貨物自動車 | |
JP2829515B2 (ja) | タイヤの運搬方法及びタイヤ運搬車 | |
JPS5940391Y2 (ja) | リフトプレ−ト | |
JPS6034720Y2 (ja) | フオ−クリフトのクランプ装置兼用プツシヤ装置 | |
KR200234029Y1 (ko) | 화물차의 받침목 이동장치 | |
KR960000694B1 (ko) | 자동차의 도어 착탈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