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029Y1 - 화물차의 받침목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의 받침목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029Y1
KR200234029Y1 KR2020010006370U KR20010006370U KR200234029Y1 KR 200234029 Y1 KR200234029 Y1 KR 200234029Y1 KR 2020010006370 U KR2020010006370 U KR 2020010006370U KR 20010006370 U KR20010006370 U KR 20010006370U KR 200234029 Y1 KR200234029 Y1 KR 2002340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support
cargo compartment
pedestal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3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성
김대광
Original Assignee
김대성
김대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성, 김대광 filed Critical 김대성
Priority to KR20200100063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0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0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029Y1/ko

Links

Landscapes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차의 받침목을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화물칸에 화물을 적재한 후 지게차나 크레인 등이 없으면 화물칸의 적재물을 다시 들어올릴 수 없어 적재물을 받치고 있는 받침목의 위치를 변경하지 못하므로 적재물 하중이 한쪽 바퀴축에 과다하게 편중되어도 이를 조절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고안은 화물차의 화물칸에 받침목(220)을 놓고 화물을 적재함에 있어서, 적재물을 충분히 받칠 수 있도록 길다란 하부 지지판(101)의 상면에 역시 길다란 형상으로 된 받침대(102)를 유압잭(103)으로 수직 승강되게 설치하여 본체 (100)를 구성하되 상기 본체(100)는 받침대(102)를 최대한 낮추었을 때의 높이(h)가 상기 받침목(220)의 높이(h1)보다 낮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은 받침목(220)의 높이보다 본체(100)의 높이가 낮으므로 받침목(220)으로 유지되는 화물칸 바닥과 적재물 사이의 공간으로 본체(100)를 쉽게 끼울 수 있고, 본체(100)를 끼운 후 유압잭(103)을 가동시켜 상승되는 받침대(102)가 적재물을 들어올리면 받침목(220)을 다른 위치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어 각 바퀴축에 가해지는 적재물의 하중을 신속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화물차의 받침목 이동장치{Stay sliding device of freight car}
본 고안은 화물차의 받침목을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화물칸의 받침목 위에 올려진 적재물의 하중이 한쪽 바퀴축에 과다하게 편중될 경우 크레인이나 지게차의 도움 없이 그 적재물을 쉽게 들어올려 받침목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각 바퀴축에 가해지는 적재물의 하중 조절을 신속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화물차의 받침목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레일러나 대형 트럭 등의 화물운반차량은 화물칸의 밑면 앞뒤로 수개의 바퀴가 병렬 설치되어 화물칸에 실린 적재물의 무거운 하중을 견디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화물칸에 적재물을 올려 놓거나 내릴 때는 지게차나 크레인의 원활한 작업을 위해 화물칸 바닥에 받침목을 놓은 후 그 위에 적재물을 올려놓아 적재물과 화물칸 바닥 사이에 받침목 높이만큼의 공간이 유지되게 하여야 하므로 받침목 사용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과적차량의 단속규정을 보면 차량의 총중량 대비 적재가능한 적재물 무게의 기준이 있고, 그 적재가능한 화물의 무게가 화물칸을 받치고 있는 각 바퀴축에 가해질 때의 무게도 일정기준으로 정하여져 있다. 따라서, 적재가능한 총 화물무게의 기준은 통과하더라도 화물칸의 각 바퀴중 한 바퀴에 가해지는 하중이 일정기준을 초과할 경우도 과적차량으로 단속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받침목을 사용하여 적재물을 화물칸에 올려놓을 때 그받침목이 놓이는 위치에 따라 적재물의 무게중심이 이동되어 바퀴축에 걸리는 중량이 변화되므로 받침목을 잘못 놓을 경우 현 규정상 한개의 바퀴축에 허용되는 하중(예:10톤이하)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가 생긴다.
따라서, 도 1a 와 같이 받침목(2)이 놓인 바로 아래 부위의 바퀴축(4a)에 다른 부위의 바퀴축(4b)보다 과다한 적재물의 하중이 가해져 허용하중을 초과하게 되면 과적차량으로 단속되므로 이때는 화물칸 바닥(1)에 놓인 적재물(3)을 들어올리고 그 밑에 놓인 받침목(2) 위치를 도 1b 와 같이 이동시켜서 각 바퀴축(4a)(4b)에 적재물(3) 하중이 분산되도록 조절하여야만 과적차량의 기준을 벗어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적재물(3) 밑에 받쳐져 있는 받침목(2)의 위치를 이동하려면 적재물(3)을 지게차,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도 1b 의 쇄선에서 실선과 같이 다시 들어올려야만 하였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즉, 화물차에 화물을 적재시킨 지게차, 크레인 등이 화물차 주변에 그대로 대기하고 있다가 필요한 경우 화물차에 실린 적재물(3)을 다시 들어 올린 상태에서 받침목(2)의 위치를 적당한 위치로 변경한 다음 적재물(3)을 다시 내려 놓아야만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받침목(2)의 위치 변경을 여러차례 반복하는 동안 지게차나 크레인을 다른 화물 적재에 사용하지 못함으로 인해 능률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지게차나 크레인 운전자들 역시 반복되는 작업으로 인해 짜증을 내면서 작업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으며, 심한 경우 다른 일을 핑계로 지게차나 크레인 운전자들이 가 버리게 되면 받침목의 위치 이동작업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그대로 운행하게 되므로 결국 과적차량으로 단속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화물차량의 화물칸에 화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크레인이나 지게차의 도움 없이 받침목 위에 놓인 적재물을 들어올려 그 받침목의 위치를 손쉽게 이동시킴으로서 각 바퀴축에 가해지는 적재물의 하중 조절을 신속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화물차의 받침목 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받침목과 같이 화물칸의 적재물을 충분히 받쳐줄 수 있도록 길다란 형상으로 된 지지판과 받침대와; 상기 지지판 상에서 받침대를 수직으로 승강시키는 유압잭으로 화물차의 받침목 이동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화물칸에 적재되어 있는 화물과 받침목 사이의 공간을 통해 본 고안의 이동장치를 집어넣고 유압잭을 구동시키면 받침대가 상승하여 화물을 들어올림에 따라 운전자 스스로의 힘만으로도 받침목을 자유롭게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도 1a 는 받침목으로 화물차에 화물을 적재한 일반적인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b 는 도 1a 에서 적재물을 들어올려 받침목을 이동시키는 상태의 측면도
도 2 는 본 고안을 받침목과 함께 화물칸에 배치한 상태로 예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본체 일부를 절결하여 예시한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을 이용하여 화물칸의 적재물을 들어올리고 받침목을 이동시키는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본체와 받침목의 높이를 비교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유압잭을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유압시스템과 화물차의 에어 공급라인을 이용하는 것을 일례로 보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01 : 지지판
102 : 받침대 103 : 유압잭
210 : 화물차 바닥 220 : 받침목
230 : 적재물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기술구성 및 작용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도시하여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는 본 고안을 화물차의 화물칸에 받침목과 함께 배치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하여 예시한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부 지지판(101)의 상면에 유압잭(103)으로 수직 승강되는 받침대(102)를 설치하여 본체(100)를 구성하되 상기 지지판(101)과 받침대 (102)는 화물칸 바닥(210)에 놓인 적재물(230)을 충분히 받쳐줄 수 있도록 화물칸의 폭에 상응하는 길다란 형상으로 하고, 상기 받침대(102)를 최대한 낮추었을 때 그 본체(100)의 높이(h)가 받침목 (220)의 높이(h1)보다 낮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102)는 강도가 강하여 적재물(230)의 중량에 의해 휨이나 비틀림 등의 변형이 없어야 한다. 그 일례로서 받침대(102)를 저면이 개방된 긴 박스형태로 형성하면 내부의 지지판(101)과 유압잭(103)이 받침대(102)에 가려져 외부에서 보이지 않으므로 미관이 좋고 먼지 등의 불순물으로 인해 본체(100)속의 유압잭(103)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3 에서는 상기 받침대(102)를 승강시키는 유압잭(103) 2개를 지지판(101)의 양쪽에 설치하여 양쪽 유압잭(103)이 동시에 구동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을 설치하여도 무방하고, 그 유압잭(103)의 오일을 펌핑 순환시키는 동력원으로는 별도의 오일펌프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화물차량의 경우 통상 제동장치 등을 위해 에어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그 에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은 그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솔레노이드밸브(12)가 설치된 에어호스 (11)를 차량의 에어탱크(도면에 미도시)와 에어펌프(10)사이에 연결하여 에어펌프 (10)의 피스톤이 차량의 에어탱크에서 공급되는 에어로 동작되게 하고, 상기 에어펌프(10)의 출구에는 오일탱크(20)로부터 보조라인(21)의 체크밸브(31)를 통해 오일을 계속 보충받는 주 라인(22)의 선단을 연결하여 에어펌프(10)의 피스톤 동작에 의해 오일이 펌핑되게 한다.
그리고, 라인상에 체크밸브(32)가 설치된 주 라인(22)의 말미는 지지판(101) 양쪽에 설치된 유압잭(103)과 연결시켜 펌핑되는 유압에 의해 유압잭(103)이 동작되게 한 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 부호 (33)은 사용을 마친 유압잭(103)의 오일을 오일탱크(20)로 회수하기 위해 주 라인(22)과 오일탱크(20) 사이에 설치된 회수라인(23)의 개폐용 밸브이다.
여기서 상기 에어호스(11)와 에어펌프(10)는 솔레노이드밸브(12)에 의해 평상시는 닫힌 상태이므로 에어펌프(10)는 오일압의 발생 대기상태가 되며, 솔레노이드밸브(12)가 열리면 에어탱크로 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에어펌프(10)의 피스톤을 동작시킴에 따라 주 라인(22)의 오일이 펌핑되어 체크밸브(32)를 통해 본체(100)의 유압잭(103)에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서 본체(100)의 유압잭(103)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은 상기와 같이 차량 자체의 에어탱크를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콤팩트한 휴대용 에어발생기를 사용하여 주 라인(22)의 오일이 동작되게 할 수도 있으며, 또는 유압펌프에 의해 직접 주 라인(22)의 오일이 펌핑 공급되게 하여도 무방한 것으로서, 지지판 (101)상의 유압잭(103)을 구동시키기 위한 오일공급 수단은 사용 편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지게차나 크레인 등으로 화물을 들어올려 화물차의 화물칸바닥(210)에 놓인 받침목(220) 위에 올려 적재시킨 후 그 적재된 화물의 하중이 일측 바퀴축에 과다하게 집중되어 받침목(220)의 위치를 이동시고자 할 때 지게차나 크레인 없이 본 고안의 본체(100)만을 사용하여 필요시 받침목(220)위에 놓인 적재물(230)을 쉽게 들어올린 후 받침목(220)의 위치를 언제든지 변경할 수 있다.
즉, 화물칸 바닥(210)의 받침목(220) 위에 적재 화물을 실은 후 적재물(230)의 하중이 과다하게 편중되는 부위가 있으면 그 부위쪽 받침목(220)과 화물 사이의 공간을 통해 본 고안의 이동장치 본체(100)를 집어넣는다. 이때 본체(100)는 받침대(102)가 최대한 하강되어 그 전체 높이(h)가 받침목(220)의 높이(h1)보다 낮은 상태이므로 본체(100)는 화물과 받침목(2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쉽게 삽입된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유압잭(103)을 구동시키면 상승되는 받침대(102)가 곧 적재물(230) 밑면을 들어 올려서 적재물(230)이 받침목(220)에서 떨어져 들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이때 받침목(220)을 원하는 위치로 옮겨 놓을 수 있는 것이며, 받침목 (200)을 이동시킨 후 유압잭(103)을 반대로 구동시키면 받침대(102)가 하강되면서 들어올려졌던 적재물(230)이 위치 변경된 받침목(220) 위에 얹히게 된다.
이때, 받침대(102)가 하강된 본체(100)는 그 높이(h)가 다시 받침목(220)의 높이(h1)보다 낮아졌으므로 화물칸 바닥과 적재물(23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빼내어 보관하면 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각 바퀴축에 가해지는 적재물(230)의 하중 조절을 신속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적재물을 받치고 있는 전/후 받침목(220)중 일측 받침목을상기와 같이 이동시킨 후 필요시 다른 쪽도 같은 과정으로 이동시켜 조절하면 되는 것이며, 한쪽만을 들어서 받침목(220)을 이동시키므로 적재물(230)이 반대쪽으로 약간 기울어지게 되지만 본 고안의 받침대(102)로 들어 올리는 높이는 받침목(220)을 뺄 수 있는 정도(예: 2~5Cm 정도)로만 올리는 것이므로 적재물의 안전에 크게 지장이 없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받침대(102)를 저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하면 그 강도가 강하기 때문에 유압잭(103)에 의해 적재물(230)을 받칠 때 그 적재물 (230)의 중량이 가해져도 휨이나 비틀림 등이 없으며, 외부에서 내부의 유압잭 (103)이 보이지 않아 외관이 미려하고 불순물 등이 유압잭(103)에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화물칸 바닥의 받침목위에 적재된 화물의 하중이 일측 바퀴축에 과다하게 편중될 경우 그 부위의 적재물(230)을 손쉽게 들어올리고 받침목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어 종래처럼 지게차나 크레인이 없더라도 화물차 운전자 등 본체의 사용자가 각 바퀴축에 가해지는 적재물의 하중 조절을 신속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화물자동차의 화물칸에 받침목(220)을 놓고 화물을 적재하는 것에 있어서,
    하부 지지판(101)의 상면에 유압잭(103)으로 수직 승강되는 받침대(102)를 설치하여 본체(100)를 구성하되 상기 지지판(101)과 받침대(102)는 화물칸의 적재물(230)을 충분히 받쳐줄 수 있도록 길다란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본체(100)는 받침대(102)를 최대한 낮추었을 때의 높이(h)가 상기 받침목(220)의 높이(h1)보다 낮게하여 받침목(220)으로 받쳐진 적재물(230)과 화물칸 바닥(210) 사이의 공간으로 본체(100)를 끼울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받침목 이동장치
KR2020010006370U 2001-03-09 2001-03-09 화물차의 받침목 이동장치 KR2002340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370U KR200234029Y1 (ko) 2001-03-09 2001-03-09 화물차의 받침목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370U KR200234029Y1 (ko) 2001-03-09 2001-03-09 화물차의 받침목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029Y1 true KR200234029Y1 (ko) 2001-10-06

Family

ID=73097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370U KR200234029Y1 (ko) 2001-03-09 2001-03-09 화물차의 받침목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02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02474B (zh) 一种用于配对使用的手动液压搬运车
EP1829815B1 (en) A forklift truck
JP3537803B2 (ja) 特装車両のリフト装置
CN104875659B (zh) 用于卡车升降机安装的货物舱的闩锁锁定系统
EP0553086B1 (en) Self elevating forklift truck
KR200234029Y1 (ko) 화물차의 받침목 이동장치
CN2635442Y (zh) 悬挂式汽车用货物装卸装置
KR101451388B1 (ko) 화물차용 상·하차 리프트 장치
KR100790321B1 (ko) 슬라이드 적재프레임 구조
CN2635441Y (zh) 垂直升降式汽车用货物装卸装置
KR200355124Y1 (ko) 화물차의 적재함 도어 판넬을 이용한 화물적재용 리프트장치
CN211110073U (zh) 一种辅助搬运的支撑装置
KR20170060256A (ko) 셀프 승강 리프트
KR200322579Y1 (ko) 크레인 리프트 트럭
KR20160103793A (ko)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
KR101740933B1 (ko) 카고 크레인 차량용 셀프 로더 장치
GB2375095A (en) Goods handling apparatus
KR100554148B1 (ko) 사다리차
CN2635443Y (zh) 全自动汽车用货物装卸装置
CN2413963Y (zh) 一种液压登车桥
CN219384671U (zh) 一种叉车移动装置
CN212954172U (zh) 一种具有安全防护功能的喷塑产品装载用合力叉车
CN212832614U (zh) 一种便携式的手扶电动叉车
JP3391476B2 (ja) 動力リフト式手押運搬車
KR102468543B1 (ko) 중소형 화물 이동용 지게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