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8126A -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8126A
KR20220048126A KR1020200130905A KR20200130905A KR20220048126A KR 20220048126 A KR20220048126 A KR 20220048126A KR 1020200130905 A KR1020200130905 A KR 1020200130905A KR 20200130905 A KR20200130905 A KR 20200130905A KR 20220048126 A KR20220048126 A KR 20220048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vehicle
contact
roller
switch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진
Original Assignee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0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8126A/ko
Publication of KR20220048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1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68Stee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86Suspension or mounting of wheels on chas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작업차량에 설치되는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업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차량과 상기 작업차량이 이동하는 이동경로와의 충돌을 방지하는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는, 상기 작업차량에 설치되어 이동경로의 측벽과 접촉 가능한 접촉부, 그리고 상기 접촉부가 이동경로의 측벽과 접촉시 상기 작업차량의 조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PATHWAY DRIVING GUIDE APPARATUS OF WORKING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물을 적재 및 운반하는 작업차량이 이의 이동경로의 측면과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차량은 하물을 적재 및 운반 작업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작업차량은 이송차량에 적재된 하물을 이의 보관장소로 운반하거나, 하물을 별도의 저장구역에 보관되도록 적재한다.
일예로, 작업차량은 포크가 구비된 포크 리프트 트럭일 수 있다.
이러한 작업차량은 도로를 달리는 이송차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이동경로를 통과하며 하물을 이송 및 적재한다.
작업차량은 하물의 운반 및 적재를 위해 좁은 영역의 이동경로를 통과하는 경우 작업차량과 이동경로 사이의 충돌로 인해 하물이 낙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하물의 낙하는 작업영역 주위에 있는 사람들에게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차량과 이동경로 사이의 충돌 없이 작업차량이 이동경로를 통과하여 하물을 안정적으로 운반 및 적재시켜야 하는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작업차량의 좁은 이동경로를 통과시 운전자는 작업차량의 주행을 위해 작업차량의 전방과 후방등을 고려하여 조향에 많은 신경을 써야하는 문제가 있어, 운전자의 피로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작업차량이 이동경로를 통과시 작업차량과 이동경로 사이의 충돌 발생과 운전자의 피로도를 저감시키며 하물을 안정적으로 이동 및 적재할 수 있는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차량과 상기 작업차량이 이동하는 이동경로와의 충돌을 방지하는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는, 상기 작업차량에 설치되어 이동경로의 측벽과 접촉 가능한 접촉부, 그리고 상기 접촉부가 이동경로의 측벽과 접촉시 상기 작업차량의 조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이동경로의 측벽과 접촉 가능한 롤러와, 상기 롤러가 이동경로의 측벽과의 접촉에 따라 상기 롤러가 상기 작업차량의 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이동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그리고 상기 롤러 또는 상기 가이드의 이동에 따라 상기 롤러가 이동경로의 측벽과 접촉됨을 검출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는 상기 롤러와 상기 가이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지지부재, 그리고 상기 가이드의 일부를 관통 지지하며 상기 롤러 지지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중심으로 이격 배치된 탄성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탄성 지지부재를 관통한 상기 가이드에 지지되며 상기 롤러 또는 상기 가이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위치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스위치 접촉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상기 탄성 지지부재에 지지되는 스위치 바디 및 일측이 상기 스위치 바디와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스위치 접촉부재와 선택적으로 접촉 가능한 스위치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는 상기 접촉부와 상기 작업차량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접촉부와 상기 작업차량 사이의 설치 위치를 조절 가능한 위치 조절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작업차량의 일측에 상기 작업차량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접촉부 및 상기 작업차량의 타측에 상기 작업차량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2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는 작업차량이 이동경로를 통과시 측벽과 접촉부의 접촉시 작업차량의 조향을 제어하여 작업차량과 이동경로의 측벽과의 충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차량에 설치된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작업차량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의 접촉부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의 스위치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의 제2 접촉부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101)를 설명한다.
작업차량(1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물을 적재 및 운송 가능한 차량이다. 구체적으로, 작업차량(11)은 차량바디(10)와 차량바디(10)에 설치되는 포크(20)를 포함한다.
차량바디(10)에는 작업차량(11)이 구동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펌프 그리고 엔진과 같은 동력부가 설치될 수 있다.
포크(20)는 차량바디(10)에 설치되어, 하물을 적재 및 운송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차량바디(10)에는 작업자가 승차하여 작업차량(11)의 방향 및 포크(20)의 승강을 조절하도록 운전자 승차 공간인 운전석(30)이 형성되어 있다.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10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부(300)와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접촉부(300)는 작업차량(11)에 설치된다. 또한, 접촉부(300)는 작업차량(11)이 이동하는 이동경로의 측벽과 접촉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촉부(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바디(10)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접촉부(300)는 차량바디(10)의 측면에 설치되어 작업차량(11)이 이동하는 이동경로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접촉부(300)가 작업차량(11)의 이동경로의 측벽과 접촉시 작업차량(11)의 조향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에는 작업차량(11)의 조향방향을 기설정된 상태로 유지하여 운행할 수 있는 설정 조향방향이 입력되어 있다. 제어부(400)는 접촉부(300)가 작업차량(11)의 이동경로의 측벽과 접촉시 기설정된 조향방향으로 작업차량(11)의 조향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101)는 접촉부(300)가 작업차량(11)의 이동경로의 측벽과 접촉시 작업차량(11)의 조향을 제어부(400)가 제어할 수 있어, 작업차량(11)이 이동경로의 측벽과 충돌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101)는 운전자가 통로 주행시 작업차량(11)의 조향을 위해 신경을 덜 쓸수 있어 운전자의 피로도가 저감될 수 있고, 운전이 용이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3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110)와 가이드(130)와 탄성부재(140) 그리고 스위치(190)를 포함한다.
롤러(110)는 이동경로의 측벽과 접촉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롤러(110)는 이동경로의 측벽과 인접해지는 방향으로 작업차량(11)이 접근하면 차량바디(10) 보다 이에 지지되는 롤러(110)가 먼저 이동경로의 측벽과 접촉 가능할 수 있다.
가이드(130)는 롤러(110)가 이동경로의 측벽과의 접촉에 따라 롤러(110)가 작업차량(11)의 일방향으로(폭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130)는 작업차량(11)의 차량바디(10)의 폭방향으로 롤러(110)가 이동경로의 측벽과의 접촉에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러(110)의 회전중심 축과 가이드(130)의 길이방향은 서로 교차하게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40)는 가이드(130)의 이동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140)는 롤러(110)가 이동경로의 측벽과 접촉시 롤러(11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40)는 롤러(110)와 이동경로의 측벽과의 접촉력이 줄어드는 경우 롤러(11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140)는 가이드(130)의 일영역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탄성부재(140)는 스프링일 수 있다. 즉, 탄성부재(140)는 롤러(110)가 이동경로의 측벽과 접촉되는 경우 가이드(130)와 함께 이동될 때, 롤러(110)와 이동경로의 측벽과의 접촉이 완충되도록 할 수 있다.
스위치(190)는 롤러(110) 또는 가이드(130)의 이동에 따라 롤러(110)가 이동경로의 측벽과 접촉됨을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치(190)는 롤러(110)가 가이드(130)에 따라 차량바디(10)의 폭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190)는 현재 롤러(110)가 이동경로의 측벽과 접촉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190)는 롤러(110) 또는 가이드(130)의 이동에 따라 롤러(110)가 이동경로의 측벽과 접촉됨을 검출하여 이를 제어부(4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300)는 롤러 지지부재(120)와 탄성 지지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러 지지부재(120)는 롤러(110)와 가이드(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롤러 지지부재(120)는 롤러(1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즉, 롤러 지지부재(120)는, 롤러(110)가 작업차량(11)의 이동경로의 측벽과 접촉하며 작업차량(11)이 이동하는 경우, 작업차량(11)의 이동방향을 따라 롤러(110)가 함께 회전되며 이동경로의 측벽과의 접촉을 유지하도록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탄성 지지부재(160)는 가이드(130)의 일부를 관통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 지지부재(160)에는 봉형의 가이드(130)가 관통 가능한 관통홀(17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 지지부재(160)는 롤러 지지부재(120)와 탄성부재(140)를 중심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140)는 롤러 지지부재(120)와 탄성 지지부재(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롤러(110)가 작업차량(11)의 이동경로의 측벽과 접촉하여 가이드(130)와 함께 작업차량(11)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탄성 지지부재(160)는 탄성부재(140)가 가이드(130)를 따라 이동되며 압축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 지지부재(160)는 탄성부재(140)의 이동방향을 제한시키며, 탄성부재(140)가 압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300)는 커버부재(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18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롤러(110)의 일부와 롤러 지지부재(120) 그리고 가이드(13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즉, 커버부재(180)의 일단으로 롤러(110)의 나머지가 돌출 배치되어, 롤러(110)가 작업차량(11)이 이동하는 이동경로의 측벽과의 접촉에 따라 작업차량(11)의 폭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커버부재(180)에 탄성 지지부재(160)가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101)의 접촉부(300)는 스위치 접촉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접촉부재(150)는 탄성 지지부재(160)를 관통한 가이드(130)에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치 접촉부재(150)는 탄성부재(140)보다 상대적으로 멀게 배치된 가이드(130)의 타측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접촉부재(150)는 롤러(110) 또는 가이드(130)의 이동에 따라 스위치(190)와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치 접촉부재(150)는 롤러(110) 및 이의 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130)의 이동시 함께 이동되며, 탄성 지지부재(160)에 지지된 스위치(190)와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190)는 스위치 접촉부재(150)와 스위치(190)의 접촉 상태에 따라 동작되며 이의 정보를 제어부(400)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101)의 스위치(19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 바디(191)와 스위치 플레이트(192)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바디(191)는 탄성 지지부재(160)에 지지될 수 있다. 스위치 바디(191)에는 전장부가 배치되고, 스위치(190)의 동작 정보를 제어부(400)에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치 바디(191)는 탄성 지지부재(160) 상에 설치되어, 스위치(19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스위치 플레이트(192)는 일측이 스위치 바디(191)에 지지되고, 타측이 스위치 접촉부재(150)와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치 플레이트(192)의 일측은 스위치 바디(191)에 연결되고, 스위치 플레이트(192)의 타측은 스위치 바디(191)로부터 자유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플레이트(192)의 타측에는 스위치 접촉부재(150)에 접촉가능한 스위치 롤러(110)가 설치될 수 있다.
일예로, 스위치 플레이트(192)는 스위치 플레이트(192)의 타측이 스위치 접촉부재(150)와 접촉시 스위치 플레이트(192)의 타측과 스위치 바디(191)가 인접하게 배치되고, 스위치 플레이트(192)의 타측이 스위치 접촉부재(150)와 접촉이 해제시 스위치 플레이트(192)의 타측과 스위치 바디(191)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스위치(190)는 스위치 플레이트(192)의 타측이 스위치 접촉부재(150)와 접촉이 해제시 off 되며, 이의 상태 정보를 제어부(40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스위치(190)는 롤러(110)가 작업차량(11)의 이동경로의 측벽과 접촉하는 경우, 롤러(110)가 가이드(130)를 따라 차량바디(10)와 인접해지는 작업차량(11)의 폭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140)는 탄성 지지부재(160)와 가이드(130)의 이동에 따라 압축되며, 가이드(130)는 차량바디(10)와 인접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 플레이트(192)의 타측을 가압하던 스위치 접촉부재(150)는 가이드(130)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스위치 플레이트(192)의 타측과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이때, 스위치(190)는 off되며 이의 정보를 전달받은 제어부(400)는 작업차량(11)이 현재 이동경로의 측벽과 충돌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여, 이동경로의 측벽과 충돌을 방지하도록 작업차량(11)의 조향부(500)의 조향각도를 제한하거나, 기설정된 조향방향으로 작업차량(11)이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101)는,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조절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조절부재(600)는 접촉부(300)와 작업차량(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위치 조절부재(600)는 접촉부(300)와 작업차량(11) 사이의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 조절부재(600)는 커버부재(180)상에 설치되어, 차량바디(10)와 접촉부(300)가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조절부재(600)는 차량바디(10)와 접촉부(30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일예로, 작업차량(11)의 조작이 미숙하거나 작업차량(11)의 이동경로가 좁은 경우 위치 조절부재(600)가 접촉부(300)와 차량바디(10) 사이의 거리를 늘려 작업차량(11)이 충돌 없이 안전하게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운전자가 작업차량(11)이 이동경로가 좁은 통로를 주행시에도 이의 조향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작업차량(11)의 조작이 능숙하거나 작업차량(11)의 이동경로가 넓은 경우 위치 조절부재(600)가 접촉부(300)와 차량바디(10) 사이의 거리를 좁혀 작업차량(11)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일예로, 위치 조절부재(600)는 심(shim)부재일 수 있다. 즉, 위치 조절부재(600)는 플레이트를 삽입하여 차량바디(10)와 접촉부(3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101)의 접촉부(300)는, 도 1 및 도2 그리고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접촉부(100)와 제2 접촉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부(100)는 작업차량(11)의 일측에 작업차량(11)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제1 접촉부(100)가 작업차량(11)의 차량바디(10)의 일측의 양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접촉부(100)는 차량바디(10)의 포크(20)와 상대적으로 먼 프론트(front)방향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1 접촉부(100)는 차량바디(10)의 프론트의 양측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접촉부(100)는 앞서 서술한 롤러(110)와 가이드(130)와 탄성부재(140) 그리고 스위치(190)를 포함하여, 작업차량(11)의 이동경로의 측벽과 접촉될 수 있다.
제2 접촉부(200)는 작업차량(11)의 타측에 작업차량(11)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제2 접촉부(200)가 작업차량(11)의 차량바디(10)의 타측의 양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제2 접촉부(200)는 차량바디(10)의 포크(20)와 상대적으로 인접한 리어(rear)방향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2 접촉부(200)는 차량바디(10)의 리어의 양측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접촉부(200)는 앞서 서술한 롤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접촉부(100)와 제2 접촉부(200)는 차량바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있어, 작업차량(11)의 이동경로의 측벽과의 충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부(300)는 작업차량(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제1 접촉부(100)와 제2 접촉부(200) 그리고 이들 각각이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작업차량(11)의 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작업차량(11)의 이동경로의 측벽과 차량바디(10)의 좌측 또는 차량바디(10)의 우측과 접촉하여도 차량바디(10)와 이동경로의 측벽이 직접 접촉하여 발생되는 충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촉부(100) 또는 제2 접촉부(200)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작업차량(11)의 이동경로의 측벽과 접촉하는 경우, 제어부(400)는 작업차량(11)의 조향이 작업차량(11)의 이동이 직진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00)는 작업차량(11)과 현재 작업차량(11)의 이동경로의 측벽과 접촉하는 경우, 작업차량(11)이 직진을 유지하도록 하여 운전자가 작업차량(11)의 조향의 미숙으로 작업차량(11)의 이동경로의 측벽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제1 접촉부(100) 또는 제2 접촉부(200)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작업차량(11)의 이동경로의 측벽과 접촉하는 경우, 작업차량(11)이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도록 조향부(500)를 강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작업차량(11)이 좁은 이동경로를 통과시 운잔자가 이의 조향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어, 운전자의 피로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101)의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작업차량(11)은 실내 또는 평지 등에서 운송차량에 적재되어 있던 하물을 하역하여 이의 보관장소로 이동시키거나, 하물을 보관장소 내에 적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작업자는 작업차량(11)의 차량바디(10) 상에 배치된 운전석(30)에 탑승하여 작업차량(11)을 이동 및 포크(20)의 승강 높이 등을 조작한다.
일예로, 운전석(30)은 포크(20)의 승강과 함께 승강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운전석(30)은 포크(20)와 차량바디(10)에 설치된 접촉부(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작업차량(11)은 운전석(30)에 탑승한 작업자에 의해 이동 및 포크(20)의 승강 높이 등이 조절된다.
운전석(30)에 탑승한 작업자가 포크(20)에 하물을 싣고 이의 적재 장소 등으로 이동하는 경우, 운전석(30)에 탑승한 작업자는 포크(20)보다 상대적으로 멀게 위치하는 차량바디(10)의 전방을 바라보며 작업차량(11)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작업차량(11)의 이동경로의 측벽과 제1 접촉부(100) 또는 제2 접촉부(200) 중 어느하나 이상이 롤러(110)가 접촉되어 스위치(190)가 off 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작업차량(11)이 현재 이동경로의 측벽과 접촉되어 충돌의 위험이 있다고 판단하여 작업차량(11)의 조향부(500)의 조향각도를 강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경로의 측벽과 롤러(110)와 접촉되면, 롤러(110)는 가이드(130)길이방향을 따라 차량바디(10)와 인접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탄성부재(140)는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지지부재(160)에 설치된 스위치(190)의 스위치 플레이트(192)와 가이드(130)에 지지되는 스위치 접촉부재(150) 사이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190)는 off 신호를 제어부(400)에 전달할 수 있다.
일예로, 이때 제어부(400)는 작업차량(11)의 조향각도가 직진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400)는 작업차량(11)의 조향부(500)의 조향각도 제어범위가 기설정된 조향방향으로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핸들의 조작에도 불구하고 제어부(400)에 의해 조향부(500)의 조향각도 제어범위가 한정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작업자가 좁은 이동경로등에 의해 작업차량(11)과 이동경로의 측벽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차량(11)이 안전하게 하물을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작업차량(11)과 이의 이동경로의 측벽 사이의 충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운전자가 작업차량(11)의 조향을 위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주행을 유지후, 이동경로등이 확장되는 경우, 탄성부재(140)가 팽창되며 가이드(130)와 롤러(110)는 차량바디(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가이드(130)에 지지되는 스위치 접촉부재(150)는 스위치(190)의 스위치 플레이트(192)와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190)는 on 신호를 제어부(40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작업차량(11)의 조향부(500)의 조향각도 범위 제어를 해제하여, 작업자가 조작하는 핸들의 조작범위에 따라 작업차량(11)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스위치(190)가 on 신호를 전달하며, 작업차량(11)과 이의 이동경로의 측벽 사이의 충돌의 위험이 해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101)는 작업차량(11)과 이가 이동하는 이동경로의 측벽등과의 충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101)는 작업차량(11)의 이동 및 포크(20) 상에 위치하는 하물을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작업차량(11)의 조향을 작업차량이 좁은 통로를 주행하는 경우에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운전자의 피로도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작업차량 100: 제1 접촉부
101: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 200: 제2 접촉부
300: 접촉부 400: 제어부
110: 롤러 120: 롤러 지지부재
130: 가이드 140: 탄성부재
150: 스위치 접촉부재 160: 탄성 지지부재
190: 스위치 191: 스위치 바디
192: 스위치 플레이트 600: 위치 조절부재

Claims (7)

  1. 작업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차량과 상기 작업차량이 이동하는 이동경로와의 충돌을 방지하는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차량에 설치되어, 이동경로의 측벽과 접촉 가능한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가 이동경로의 측벽과 접촉시 상기 작업차량의 조향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접촉부는,
    이동경로의 측벽과 접촉 가능한 롤러;
    상기 롤러가 이동경로의 측벽과의 접촉에 따라 상기 롤러가 상기 작업차량의 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의 이동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롤러 또는 상기 가이드의 이동에 따라 상기 롤러가 이동경로의 측벽과 접촉됨을 검출하는 스위치
    를 포함하는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롤러와 상기 가이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지지부재; 및
    상기 가이드의 일부를 관통 지지하며, 상기 롤러 지지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중심으로 이격 배치된 탄성 지지부재
    를 더 포함하는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탄성 지지부재를 관통한 상기 가이드에 지지되며, 상기 롤러 또는 상기 가이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위치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스위치 접촉부재를 더 포함하는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탄성 지지부재에 지지되는 스위치 바디; 및
    일측이 상기 스위치 바디와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스위치 접촉부재와 선택적으로 접촉 가능한 스위치 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는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접촉부와 상기 작업차량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접촉부와 상기 작업차량 사이의 설치 위치를 조절 가능한 위치 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작업차량의 일측에 상기 작업차량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접촉부; 및
    상기 작업차량의 타측에 상기 작업차량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2 접촉부
    를 포함하는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
KR1020200130905A 2020-10-12 2020-10-12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 KR202200481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905A KR20220048126A (ko) 2020-10-12 2020-10-12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905A KR20220048126A (ko) 2020-10-12 2020-10-12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126A true KR20220048126A (ko) 2022-04-19

Family

ID=81391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905A KR20220048126A (ko) 2020-10-12 2020-10-12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812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1493B2 (en) Power assisted steering for motorized pallet truck
US11584403B2 (en) Wheel drive apparatus of automated guided vehicle
US7205730B2 (en) Article transport vehicle
EP3539920B1 (en) Standup-type cargo handling vehicle
CA1055852A (en) Self-contained steering guidance means
JP6174465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産業車両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087891A (ja) フォークリフト車及びフォークリフト車の旋回方法
KR20220048126A (ko) 작업차량의 통로 주행 가이드장치
JP2020128125A (ja) 産業車両のブレーキシステム
JP7208808B2 (ja) 高所作業車
US6736587B2 (en) Battery-electrically operated industrial truck, particularly counterweighted fork-lift truck
JPH06100297A (ja) 前載式荷物取扱い用トラック
KR20120121577A (ko) 전동 지게차의 마스트 자동 레벨링장치
JP3228246U (ja) 無人搬送車
JP2013103805A (ja) リーチ式フォークリフトの転倒防止装置
JPH11301486A (ja) 無人搬送車
KR20220022552A (ko) 지게차
KR102517189B1 (ko) 대형 차량용 보조 액슬장치의 승강장치
KR102418038B1 (ko) 지게차
JP2575105B2 (ja) 非常停止機能を備えた無人運搬車両
JP7304766B2 (ja) 作業車の安全装置
KR102367107B1 (ko) 지게차의 제어 방법
JPH0729119Y2 (ja) 無人搬送車
JP5268252B2 (ja) ローリフトトラック
JP2013256382A (ja) サイドフォークリフ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