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7421B1 - 휴대 공구용 홀더 - Google Patents

휴대 공구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7421B1
KR102417421B1 KR1020210157263A KR20210157263A KR102417421B1 KR 102417421 B1 KR102417421 B1 KR 102417421B1 KR 1020210157263 A KR1020210157263 A KR 1020210157263A KR 20210157263 A KR20210157263 A KR 20210157263A KR 102417421 B1 KR102417421 B1 KR 102417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opening
portable
fitting member
portable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7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5086A (ko
Inventor
아키오 고토
노부코 타야마
Original Assignee
티제이엠 디자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제이엠 디자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티제이엠 디자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145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45F5/021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to the bel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45F2005/025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with a holder or item rotatably connected to the fastening device, e.g. having a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garment
    • A45F2005/026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with a holder or item rotatably connected to the fastening device, e.g. having a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garment with a pin having an enlarged head detachably connected to a fastening device, e.g. to a pin receiving slo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75Portable tools

Abstract

[과제] 띠 형상의 피장착체로부터의 탈락을 방지 가능한 구성을 갖는 휴대 공구용 홀더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휴대 공구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휴대 공구 유지부(4)를 갖는 홀더 본체(2)와, 홀더 본체(2)에 형성된 제1 개구부(5d) 및 제2 개구부(5e)에 끼워져 홀더 본체(2)에 결합 유지되는 끼움 부재(3)를 구비하고, 홀더 본체(2)와, 홀더 본체(2)에 결합 유지된 끼움 부재(3)로 띠 형상의 피장착체(A)의 주위를 둘러쌈으로써 피장착체(A)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공구용 홀더{HOLDER FOR PORTABLE TOOL}
본 발명은, 휴대하여 이용하는 공구 등을 띠 형상의 피장착체에 유지하기 위한 휴대 공구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 줄자 등의 공구를 작업자의 벨트에 장착하여 휴대하기 위한 휴대 공구용 홀더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벨트에 대하여 착탈하기 위한 클립 구조를 구비한 휴대 공구용 홀더가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당해 클립 구조는, 클립 본체와, 클립 본체의 상부에 연결된 클립편을 구비하고 있으며, 클립 본체와 클립편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벨트 삽통부)에 벨트를 통과시켜 사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이 클립편은 탄성을 갖고 있고, 클립 본체로의 연결부를 지점으로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클립편의 하단부에 있어서 클립 본체로부터 이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벨트를 풀지 않고, 벨트에 대하여 홀더의 착탈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실용신안 등록 제3163381호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홀더에 있어서는, 클립편이 클립 본체로부터 이간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외부와의 접촉에 의하여 의도하지 않게 클립편이 개방되어, 홀더가 벨트로부터 탈락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띠 형상의 피장착체로부터의 탈락을 방지 가능한 구성을 갖는 휴대 공구용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휴대 공구용 홀더는, 휴대 공구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휴대 공구 유지부를 갖는 홀더 본체와,
상기 홀더 본체에 형성된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에 끼워져 상기 홀더 본체에 결합 유지되는 끼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 본체와, 상기 홀더 본체에 결합 유지된 상기 끼움 부재로 띠 형상의 피장착체의 주위를 둘러쌈으로써 상기 피장착체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공구용 홀더에 있어서는, 상기 끼움 부재에는, 상기 제2 개구부에 끼워질 때에, 상기 제1 개구부의 내면에 맞닿아, 상기 홀더 본체에 대한 상기 끼움 부재의 자세를 소정의 방향으로 규제하기 위한 유도 볼록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휴대 공구용 홀더에 있어서는, 상기 끼움 부재는, 다른 두께의 상기 피장착체에 대응하기 위한 두께 조정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띠 형상의 피장착체로부터의 탈락을 방지 가능한 구성을 갖는 휴대 공구용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공구용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휴대 공구용 홀더에 있어서의 홀더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휴대 공구용 홀더에 있어서의 끼움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휴대 공구용 홀더를 피장착체에 장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에 있어서, (a)는 미끄럼 방지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도 5(a)의 미끄럼 방지 부재를 도 1에 나타내는 휴대 공구용 홀더의 홀더 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휴대 공구용 홀더에 접속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공구용 홀더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휴대 공구용 홀더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내는 휴대 공구용 홀더에 있어서의 홀더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a)는 도 7에 나타내는 휴대 공구용 홀더에 있어서의 끼움 부재의 일방 측의 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타방 측의 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예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휴대 공구용 홀더(1)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휴대 공구용 홀더(1)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허리에 감겨진 벨트 등의, 띠 형상의 피장착체(A)에 장착하여 이용하는 것이다. 또, 휴대 공구용 홀더(1)는, 홀더 본체(2)와, 홀더 본체(2)에 대하여 끼워져 결합 유지되는 끼움 부재(3)를 구비하고 있다.
홀더 본체(2)는, 그 전면(前面) 측에, 예를 들면 줄자 등의 휴대 공구(도시하지 않음)를 유지하는 휴대 공구 유지부(4)를 갖고 있으며, 후면 측에, 피장착체(A)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5)를 갖는다. 여기에서, 휴대 공구란 예를 들면 줄자 등의 공구류 외에, 공구를 수납하기 위한 가방 등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휴대 공구 유지부(4)는, 휴대 공구의 일부 또는 휴대 공구에 나사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하여 고정된 브래킷(B) 등을 위로부터 끼움으로써, 휴대 공구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위로부터 끼우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휴대 공구의 끼움 방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예의 휴대 공구 유지부(4)에는, 휴대 공구의 일부 또는 브래킷(B)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4a)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 공간(4a)은, 상방을 제외한 전후 좌우 방향 및 하방향을 둘러싸는 프레임 형상의 프레임부(4b)에 의하여 구획 형성된다. 또, 휴대 공구 유지부(4)는, 수용 공간(4a)의 상방에 배치되어,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된 스토퍼부(4c)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부(4b)는, 수용 공간(4a)에 배치된 브래킷(B)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하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스토퍼부(4c)는, 수용 공간(4a)에 배치된 브래킷(B)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스토퍼부(4c)는, 브래킷(B)을 상방으로부터 수용 공간(4a)에 끼울 때에, 비스듬하게 하방향으로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수용 공간(4a)으로의 입구가 개방되어, 브래킷(B)을 수용 공간(4a)에 끼울 수 있다. 스토퍼부(4c)는, 내부에 마련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부세되어 있고, 브래킷(B)이 통과한 후,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용 공간(4a)에 수용된 브래킷(B)은, 스토퍼부(4c)에 의하여 빠져 나가는 것이 억제된다. 이로써, 브래킷(B) 및 브래킷(B)에 고정된 휴대 공구가, 휴대 공구용 홀더(1)에 대하여 유지된다. 휴대 공구용 홀더(1)로부터 휴대 공구를 분리할 때에는, 스토퍼부(4c)를 비스듬하게 하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휴대 공구 및 브래킷(B)을 상방으로 끌어올림으로써,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휴대 공구 유지부(4)는, 휴대 공구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이면, 그 형상이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홀더 본체(2)의 후면 측(장착부(5) 측)의 사시도이다. 홀더 본체(2)의 장착부(5)는, 베이스부(5a)와, 베이스부(5a)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 볼록부(5b) 및 제2 볼록부(5c)를 갖는다. 제1 볼록부(5b) 및 제2 볼록부(5c)는, 대략 평행으로 뻗어 있도록,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대략 직사각형상의 볼록부이며 베이스부(5a)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볼록부(5b)에는, 관통 구멍인 제1 개구부(5d)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볼록부(5c)에는 관통 구멍인 제2 개구부(5e)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개구부(5d) 및 제2 개구부(5e)는, 대략 동일한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은, 끼움 부재(3)의 사시도이다. 끼움 부재(3)는, 평탄한 대략 직사각형판형상의 판부(3a)와, 판부(3a)의 길이 방향(도 3의 y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에 마련된 플랜지부(3b)와, 타단부에 마련된 한 쌍의 클로부(3c)와, 타단부에 있어서 한 쌍의 클로부(3c)의 사이에 마련된 결합부(3d)를 갖는다.
플랜지부(3b)는, 제1 볼록부(5b)의 에지면에 맞닿음으로써, 제1 개구부(5d)에 대한 끼움 부재(3)의 끼움을 정지시킨다. 클로부(3c)는, 판부(3a)의 폭방향(도 3의 x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클로부(3c)는, 그 선단부가 판부(3a)의 폭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한 쌍의 클로부(3c)의 최대폭이, 제1 개구부(5d) 및 제2 개구부(5e)의 폭보다 크게 되어 있다. 끼움 부재(3)를 제1 개구부(5d) 및 제2 개구부(5e)에 끼울 때에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는 클로부(3c)가 판부(3a)의 폭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한다. 또, 제2 개구부(5e)에 끼워진 후에, 제2 볼록부(5c)의 에지면에 클로부(3c)가 결합하여, 끼움 부재(3)가 빠져 나가는 것을 억제한다. 결합부(3d)는, 그 선단부가 판부(3a)의 두께 방향(도 3의 z방향)의 일방 측(도 3에서는 하방향 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제1 개구부(5d)에 끼워진 후에, 제1 볼록부(5b)의 에지면에 결합하여, 끼움 부재(3)가 빠져 나가는 것을 억제한다.
또, 끼움 부재(3)는, 판부(3a)의 일방의 평면(도 3에 있어서 z방향의 상방을 향하는 평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유도 볼록부(3e)(유도 볼록부)와, 판부(3a)의 폭방향 양측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제2 유도 볼록부(3f)(유도 볼록부)를 갖는다. 또한, 끼움 부재(3)는, 제2 유도 볼록부(3f)에 근접하는 위치에서, 판부(3a)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한 쌍의 조정 구멍(3g)을 갖는다. 이와 같은 조정 구멍(3g)을 마련함으로써, 판부(3a)에 있어서의 제2 유도 볼록부(3f)를 마련한 부분이 내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판부(3a)의 폭은, 제2 유도 볼록부(3f)를 마련한 영역에 있어서 다른 부분에 비하여 커지지만, 제2 유도 볼록부(3f)를 마련한 부분이 조정 구멍(3g)을 향하여 내측으로 탄성 변형함으로써 그 폭이 탄성적으로 작아진다. 이로 인하여, 제2 유도 볼록부(3f)를 마련한 부분을 제1 개구부(5d)에 삽입할 때에, 가벼운 힘으로 압입할 수 있다.
제1 유도 볼록부(3e) 및 제2 유도 볼록부(3f)는, 제1 개구부(5d)에 삽입된 끼움 부재(3)를 제2 개구부(5e)에 끼울 때에, 제1 개구부(5d)의 내면에 맞닿아, 홀더 본체(2)에 대한 끼움 부재(3)의 자세(상대적인 각도)를 소정의 방향으로 규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개구부(5d)에 삽입된 끼움 부재(3)의 선단부(클로부(3c) 및 결합부(3d))가, 제2 개구부(5e)에 끼워지는 약간 앞쪽에 있어서 제1 유도 볼록부(3e) 및 제2 유도 볼록부(3f)가 제1 개구부(5d)의 내면에 맞닿기 시작한다. 또, 제1 유도 볼록부(3e)가 판부(3a)의 두께 방향의 방향을 규제하고, 제2 유도 볼록부(3f)가 판부(3a)의 폭방향의 방향을 규제한다. 또한, 소정의 방향이란, 끼움 부재(3)의 선단부가 제2 개구부(5e)의 위치에 대응하여 끼우기 쉬워지는 방향이다. 이로써, 제2 개구부(5e)에 끼움 부재(3)의 선단부를 유도할 수 있으므로 육안으로의 위치 맞춤이 불필요해지며, 시인하지 않아도 정확하고, 또한 원활하게 끼움 부재(3)를 제2 개구부(5e)에 끼울 수 있다.
제1 유도 볼록부(3e) 및 제2 유도 볼록부(3f)는, 판부(3a)의 길이 방향의 일부에만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제1 개구부(5d)에 끼움 부재(3)를 끼우는 과정에서의 슬라이딩 저항을 저감시켜, 끼움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 제1 유도 볼록부(3e) 및 제2 유도 볼록부(3f)는, 판부(3a)의 길이 방향의 중심보다 플랜지부(3b) 측의 일부에만 마련되어 있다.
제1 개구부(5d) 및 제2 개구부(5e)의 형상은, 기본적으로 끼움 부재(3)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고 있다. 제1 개구부(5d)의 내면의 베이스부(5a) 측에는, 제1 개구부(5d)의 입구로부터 출구를 향하여 제1 개구부(5d)의 높이(판부(3a)의 두께 방향에 대응하는 길이)가 서서히 작아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면(5f)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5f)은, 제1 개구부(5d)에 끼움 부재(3)를 끼울 때에, 끼움 부재(3)의 결합부(3d)가 슬라이딩하여 당해 결합부(3d)를 두께 방향 내측으로 원활하게 탄성 변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제2 개구부(5e)에는, 끼움 부재(3)의 결합부(3d)에 대응하는 오목부(5g)가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부(3d)가 제2 볼록부(5c)에 대하여 결합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 도 1, 4 등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의 휴대 공구용 홀더(1)를 띠 형상의 피장착체(A)에 장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개구부(5d)에만 끼움 부재(3)를 끼운 상태(제2 개구부(5e)에는 끼워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피장착체(A)가 제1 볼록부(5b)와 제2 볼록부(5c)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홀더 본체(2)를 피장착체(A)의 외측으로부터 배치한다. 또한, 제1 개구부(5d)에만 끼움 부재(3)를 끼운 상태에서는, 클로부(3c) 및 결합부(3d)가 제1 볼록부(5b)의 에지면에 결합함으로써, 끼움 부재(3)가 홀더 본체(2)에 대하여 빠져나가지 않도록 유지되어 있다.
이어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장착체(A)의 내측(사용자 측)에 끼움 부재(3)가 통과하도록 하여, 끼움 부재(3)를 제2 개구부(5e)에 끼운다. 상술과 같이, 끼움 부재(3)를 제2 개구부(5e)에 끼울 때에는 제1 유도 볼록부(3e)와 제2 유도 볼록부(3f)의 작용에 의하여 끼움 부재(3)의 홀더 본체(2)에 대한 자세가 소정의 방향으로 규제되어, 끼움 부재(3)의 선단부가 제2 개구부(5e)의 위치에 유도된다.
끼움 부재(3)가 제2 개구부(5e)에 끼워지면, 제2 볼록부(5c)의 에지면에 한 쌍의 클로부(3c)가 결합하고, 끼움 부재(3)가 빠져 나가는 것이 억제된다. 즉, 끼움 부재(3)가 홀더 본체(2)에 결합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피장착체(A)에 대한 휴대 공구용 홀더(1)의 장착이 종료된다. 이 상태에서는, 홀더 본체(2)와 끼움 부재(3)로 피장착체(A)의 주위를 완전하게 둘러싸게 되어, 휴대 공구용 홀더(1)가 피장착체(A)로부터 탈락할 우려가 없다.
휴대 공구용 홀더(1)를 피장착체(A)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한 쌍의 클로부(3c)를 손가락으로 집도록 하여 폭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켜, 제2 볼록부(5c)에 대한 클로부(3c)의 결합을 해제하면서, 끼움 부재(3)를 빼내는 방향(도 4의 상방)으로 이동시키며, 제2 개구부(5e)로부터 끼움 부재(3)를 빼낸다. 이로써, 피장착체(A)로부터 휴대 공구용 홀더(1)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끼움 부재(3)는, 제2 개구부(5e)로부터 빼낸 후에도, 클로부(3c) 및 결합부(3d)가 제1 볼록부(5b)의 에지면에 결합함으로써 홀더 본체(2)에 유지되기 때문에, 끼움 부재(3)를 분실할 우려가 없다.
또한, 홀더 본체(2)와 끼움 부재(3)를 분리한 상태로부터, 피장착체(A)에 휴대 공구용 홀더(1)를 장착해도 된다. 즉, 끼움 부재(3)를 분리한 상태의 홀더 본체(2)를 피장착체(A)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고 나서, 홀더 본체(2)의 제1 개구부(5d) 및 제2 개구부(5e)에 끼움 부재(3)를 끼우도록 하여 장착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피장착체(A)로부터 휴대 공구용 홀더(1)를 분리할 때에도, 끼움 부재(3)를 제2 개구부(5e) 및 제1 개구부(5d)로부터 당겨 빼내, 홀더 본체(2)로부터 분리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휴대 공구용 홀더(1)에 있어서는, 홀더 본체(2)와 끼움 부재(3)로 피장착체(A)의 주위를 완전하게 둘러싼 상태에서, 끼움 부재(3)가 홀더 본체(2)에 대하여 빠지지 않도록 결합 유지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클립 구조와 같이 외부와의 접촉 등에 의하여 개방되어 벨트로부터 분리되는 것과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휴대 공구용 홀더(1)에 의하면, 피장착체(A)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허리 벨트에 휴대 공구용 홀더(1)를 착탈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당해 허리 벨트를 허리에 감은 그대로의 상태에서, 용이하게 휴대 공구용 홀더(1)의 착탈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휴대 공구용 홀더(1)에 있어서는, 끼움 부재(3)에 제1 유도 볼록부(3e)와 제2 유도 볼록부(3f)를 마련함으로써, 정확하고 또한 원활하게 끼움 부재(3)를 제2 개구부(5e)에 끼울 수 있다.
도 5(a)는, 홀더 본체(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미끄럼 방지 부재(6)의 사시도이다. 미끄럼 방지 부재(6)는, 한 쌍의 세로 프레임부(6a)와 한 쌍의 가로 프레임부(6b)를 구비한다. 각각의 세로 프레임부(6a)에는, 복수의 돌기(6c)에 의하여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일방의 가로 프레임부(6b)에는, 제2 볼록부(5c)에 언더 컷 결합하여 미끄럼 방지 부재(6)를 홀더 본체(2)에 결합 유지하기 위한 결합 클로부(6d)가 마련되어 있다.
도 5(b)는, 미끄럼 방지 부재(6)를 홀더 본체(2)에 대하여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한 쌍의 가로 프레임부(6b)를, 각각 제1 볼록부(5b)와 제2 볼록부(5c)에 외측으로부터 덧씌우도록 배치하고, 결합 클로부(6d)를 제2 볼록부(5c)에 결합시킨다.
미끄럼 방지 부재(6)를 홀더 본체(2)에 장착한 상태의 휴대 공구용 홀더(1)를 피장착체(A)에 장착한 경우에는, 끼움 부재(3) 측으로 돌출된 세로 프레임부(6a)와, 끼움 부재(3)의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세로 프레임부(6a)에 압압된 피장착체(A)의 표면에 돌기(6c)가 걸려, 피장착체(A)에 대한 휴대 공구용 홀더(1)의 미끄러짐을 억제한다. 이로써, 피장착체(A)에 대한 휴대 공구용 홀더(1)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휴대 공구용 홀더(1)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뻗는, 이른바 가로형 벨트 등의 피장착체(A)에 장착하는 데에 적합하다. 즉, 수평 방향의 벨트에 휴대 공구용 홀더(1)를 장착한 상태에서, 휴대 공구 유지부(4)의 수용 공간(4a)에 브래킷(B)을 상방으로부터 착탈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6은, 휴대 공구용 홀더(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접속구(7)를 나타내고 있다. 접속구(7)는, 환상부(7a)를 홀더 본체(2)와 끼움 부재(3)의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휴대 공구용 홀더(1)에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속구(7)를 이용함으로써, 띠 형상의 피장착체(A) 이외의 환상부 등에도 휴대 공구용 홀더(1)를 장착할 수 있게 되고, 휴대 공구용 홀더(1)의 장착 가능한 범위가 확대된다. 또, 휴대 공구용 홀더(1)에 마련한 링부(8)에 접속구(7)를 결합시킴으로써, 복수의 휴대 공구용 홀더(1)를 연결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허리에 감은 가로형 벨트에 휴대 공구용 홀더(1)를 장착하여, 당해 휴대 공구용 홀더(1)의 링부(8)에 다른 하나의 휴대 공구용 홀더(1)의 접속구(7)를 연결함으로써, 하방향의 휴대 공구용 홀더(1)는 허리보다 하방향에 배치된다.
이로써,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허리뼈보다 하방향에, 휴대 공구용 홀더(1)에 장착된 공구 등을 배치할 수 있으므로, 허리 둘레에 장착된 다른 공구나 건축물에 접촉하여 상처 입히게 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 공구용 홀더(1)의 링부(8)와, 휴대 공구를 예를 들면, 끈 형상 또는 링 형상 등의 연결 부재에 의하여 연결하여, 휴대 공구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의 휴대 공구용 홀더(1)는, 가로형 벨트에 대한 장착에 적합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도 7, 8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휴대 공구용 홀더(20)는, 예를 들면 하니스형 안전띠의 세로 벨트 부분 등의, 대략 연직 방향으로 뻗는 띠 형상의 피장착체(A')에 대한 장착에 적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대략 연직 방향으로 뻗는 세로형 벨트에 장착한 상태에서, 휴대 공구 유지부(24)의 수용 공간(24a)에 있어서의 브래킷(B)의 착탈 방향이 상하 방향이 된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휴대 공구용 홀더(20)의 정면도이며, 도 8은 배면도이다. 도 7,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 공구용 홀더(20)는, 홀더 본체(22)와, 홀더 본체(22)에 대하여 끼워져 결합 유지되는 끼움 부재(23)를 구비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22)는, 그 전면 측에, 예를 들면 줄자 등의 휴대 공구를 유지하는 휴대 공구 유지부(24)를 갖고 있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면 측에, 피장착체(A')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25)를 갖는다. 여기에서, 휴대 공구란, 예를 들면 줄자 등의 공구류 외에,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가방 등으로 할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휴대 공구 유지부(24)는, 휴대 공구의 일부 또는 휴대 공구에 나사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하여 고정된 브래킷(B) 등을 위로부터 끼움으로써, 휴대 공구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브래킷(B) 등을 위로부터 끼우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휴대 공구의 끼움 방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예의 휴대 공구 유지부(24)에는, 휴대 공구의 일부 또는 브래킷(B)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24a)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 공간(24a)은, 상방을 제외한 전후 좌우 방향 및 하방향을 둘러싸는 프레임 형상의 프레임부(24b)에 의하여 구획 형성되어 있다. 또, 휴대 공구 유지부(24)는, 수용 공간(24a)의 상방에 배치되어,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된 스토퍼부(24c)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부(24b)는, 수용 공간(24a)에 배치된 브래킷(B)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하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며, 스토퍼부(24c)는, 수용 공간(24a)에 배치된 브래킷(B)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스토퍼부(24c)는, 브래킷(B)을 상방으로부터 수용 공간(24a)에 끼울 때에, 비스듬하게 하방향으로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수용 공간(24a)으로의 입구가 개방되어, 브래킷(B)을 수용 공간(24a)에 끼울 수 있다. 스토퍼부(24c)는, 내부에 마련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부세되어 있으며, 브래킷(B)이 통과한 후,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용 공간(24a)에 수용된 브래킷(B)은, 스토퍼부(24c)에 의하여 빠져 나가는 것이 억제된다. 이로써, 브래킷(B) 및 브래킷(B)에 고정된 휴대 공구가, 휴대 공구용 홀더(20)에 대하여 유지된다. 휴대 공구용 홀더(20)로부터 휴대 공구를 분리할 때에는, 스토퍼부(24c)를 비스듬하게 하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휴대 공구 및 브래킷(B)을 상방으로 끌어올림으로써,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휴대 공구 유지부(24)는, 휴대 공구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이면, 그 형상이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9는, 홀더 본체(22)의 후면 측(장착부(25) 측)의 사시도이다. 홀더 본체(22)의 장착부(25)는, 베이스부(25a)와, 베이스부(25a)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 볼록부(25b) 및 제2 볼록부(25c)를 갖는다. 제1 볼록부(25b) 및 제2 볼록부(25c)는, 대략 평행으로 뻗어 있도록,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대략 직사각형상의 볼록부이며 베이스부(25a)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볼록부(25b)에는, 관통 구멍인 제1 개구부(25d)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볼록부(25c)에는 관통 구멍인 제2 개구부(25e)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개구부(25d) 및 제2 개구부(25e)는, 대략 동일한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 홀더 본체(22)의 베이스부(25a)에는, 제1 볼록부(25b)에 인접하는 제1 오목부(25h)와, 제2 볼록부(25c)에 인접하는 제2 오목부(25i)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피장착체(A')에 휴대 공구용 홀더(20)를 장착할 때에, 제1 오목부(25h) 및 제2 오목부(25i)에 피장착체(A')를 압압함으로써, 끼움 부재(23)를 제2 개구부(25e)에 끼우는 조작이 용이해진다.
또, 홀더 본체(22)의 베이스부(25a)에는, 베이스부(25a)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어, 각각 선단에 요철이 형성된 제1 미끄럼 방지 볼록부(25j)와 제2 미끄럼 방지 볼록부(25k)가 마련되어 있다. 제1 미끄럼 방지 볼록부(25j)와 제2 미끄럼 방지 볼록부(25k)는, 서로 대략 평행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미끄럼 방지 볼록부(25j) 및 제2 미끄럼 방지 볼록부(25k)는 제1 볼록부(25b)와 제2 볼록부(25c)의 사이에 배치되고, 또 제1 볼록부(25b) 및 제2 볼록부(25c)에 대하여 수직으로 뻗어 있다. 끼움 부재(23) 측으로 돌출된 제1 미끄럼 방지 볼록부(25j) 및 제2 미끄럼 방지 볼록부(25k)와, 끼움 부재(23)의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피장착체(A')는 제1 미끄럼 방지 볼록부(25j)와 제2 미끄럼 방지 볼록부(25k)의 선단에 압압된다. 이로 인하여, 제1 미끄럼 방지 볼록부(25j)와 제2 미끄럼 방지 볼록부(25k)의 선단에 마련된 요철이 피장착체(A')의 표면에 걸려, 피장착체(A')에 대한 휴대 공구용 홀더(20)의 미끄러짐을 억제한다. 세로형 벨트 등의 피장착체(A')에 장착된 휴대 공구용 홀더(20)는, 자중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이동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미끄러짐을 억제하는 것이 특히 유효하다.
또한, 제1 미끄럼 방지 볼록부(25j)와 제2 미끄럼 방지 볼록부(25k)는, 제1 볼록부(25b)로부터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제1 미끄럼 방지 볼록부(25j) 및 제2 미끄럼 방지 볼록부(25k)와, 제1 볼록부(25b)의 상호 간에, 손가락을 넣을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1 개구부(25d)로부터 끼움 부재(23)를 빼낼 때에, 한 쌍의 클로부(23c)를 손가락으로 집어 내측으로 탄성 변형 시키는 조작이 용이해진다.
또, 홀더 본체(22)에는, 피장착체(A')를 내측에 통과시켜, 피장착체(A')에 대한 홀더 본체(22)의 자세를 소기의 각도로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부(25m)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부(25m)에는, 피장착체(A')를 출입하기 위한 절결부(25n)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25m)는, 세로형 벨트 등의 피장착체(A')에 장착했을 때에 상측이 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휴대 공구용 홀더(20)가 전방으로 기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휴대 공구용 홀더(20)의 자세가 안정되기 때문에, 당해 휴대 공구용 홀더(20)에 대한 휴대 공구의 착탈 조작이 용이해진다. 또, 절결부(25n)의 형상은, 상방을 향하여 좁아지고 있다. 이로써, 피장착체(A')로부터 휴대 공구용 홀더(20)를 분리할 때에는, 피장착체(A')를 가이드부(25m)로부터 취출하기 쉬워짐과 함께, 사용 시에는, 가이드부(25m)로부터 피장착체(A')가 탈락하기 어려워진다.
도 10(a)는, 끼움 부재(23)의 일방 측의 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b)는 끼움 부재(23)의 타방 측의 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끼움 부재(23)는, 평탄한 대략 직사각형판형상의 판부(23a)와, 판부(23a)의 길이 방향(도 10의 y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에 마련된 플랜지부(23b)와, 타단부에 마련된 한 쌍의 클로부(23c)와, 타단부에 있어서 한 쌍의 클로부(23c)의 사이에 마련된 중판부(23d)를 갖는다.
플랜지부(23b)는, 제1 볼록부(25b)의 에지면에 맞닿음으로써, 제1 개구부(25d)에 대한 끼움 부재(23)의 끼움을 정지시킨다. 클로부(23c)는, 판부(23a)의 폭방향(도 10의 x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클로부(23c)는, 그 선단부가 판부(23a)의 폭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으며, 한 쌍의 클로부(23c)의 최대폭이, 제1 개구부(25d) 및 제2 개구부(25e)의 폭보다 크게 되어 있다. 끼움 부재(23)를 제1 개구부(25d) 및 제2 개구부(25e)에 끼울 때에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는 클로부(23c)가 판부(23a)의 폭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한다. 또, 제1 개구부(25d)에 끼워졌을 때에는, 제1 볼록부(25b)의 에지면에 클로부(23c)가 결합하여, 끼움 부재(23)가 빠져 나가는 것을 억제한다. 제2 개구부(25e)에 끼워졌을 때에는, 제2 볼록부(25c)의 에지면에 클로부(23c)가 결합하여, 끼움 부재(23)가 빠져 나가는 것을 억제한다.
본 실시형태의 끼움 부재(23)는, 다른 두께의 피장착체(A')에 대응하기 위한 두께 조정 기능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예에서는 끼움 부재(23)를 뒤집어 사용함으로써, 다른 두께의 피장착체(A')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움 부재(23)는, 판부(23a)의 일방 측의 면(z방향의 상방을 향하는 평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조정 볼록부(23h)와, 중판부(23d)의 일방 측의 면(z방향의 상방을 향하는 평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조정 볼록부(23i)가 마련되어 있다.
두께가 큰 피장착체(A')에 휴대 공구용 홀더(20)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제1 조정 볼록부(23h) 및 제2 조정 볼록부(23i)가 베이스부(25a) 측을 향하도록, 끼움 부재(23)를 홀더 본체(22)에 장작하며, 두께가 작은 피장착체(A')에 휴대 공구용 홀더(20)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끼움 부재(23)를 뒤집어, 제1 조정 볼록부(23h) 및 제2 조정 볼록부(23i)가 베이스부(25a)와 반대 측을 향하도록 끼움 부재(23)를 홀더 본체(22)에 장착한다.
제1 조정 볼록부(23h) 및 제2 조정 볼록부(23i)가 베이스부(25a)와 반대 측에 배치되도록 하여, 끼움 부재(23)를 제1 개구부(25d) 및 제2 개구부(25e)에 끼운 경우에는, 제1 조정 볼록부(23h) 및 제2 조정 볼록부(23i)가 각각, 제1 개구부(25d)의 내면 및 제2 개구부(25e)의 내면에 맞닿아, 베이스부(25a)와, 베이스부(25a)에 대향하는 그 끼움 부재(23)의 면의 거리(판부(23a)의 두께 방향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두께가 작은 피장착체(A')에서도 베이스부(25a)와 끼움 부재(23)로 단단히 끼울 수 있다. 이로써, 세로형 벨트 등의 피장착체(A')에 장착된 휴대 공구용 홀더(20)의 미끄러짐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끼움 부재(23)의 판부(23a)의 양측의 면에는, 피장착체(A')에 장착된 휴대 공구용 홀더(2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부(23j)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요철부(23j)는, 끼움 부재(23)의 끼움 방향에 평행으로 뻗는 복수의 돌기부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요철부(23j)는 끼움 부재(23)를 제1 개구부(25d) 및 제2 개구부(25e)에 끼운 상태(도 8 참조)에 있어서 제1 개구부(25d) 및 제2 개구부(25e)의 내면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1 개구부(25d) 및 제2 개구부(25e)에 대한 끼움 부재(23)의 장착 탈락 조작이 용이해진다.
또, 본 예에 있어서, 끼움 부재(23)를 제1 개구부(25d) 및 제2 개구부(25e)에 끼운 상태(도 8 참조)에 있어서 대향하는, 제1 개구부(25d) 및 제2 개구부(25e)의 내면 형상과, 끼움 부재(23)의 외면 형상이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1 개구부(25d) 및 제2 개구부(25e)에 끼워진 끼움 부재(23)가, 두께 방향의 상한까지 이동 가능해지므로, 피장착체(A')의 두께의 허용 범위가 커진다.
이하에, 본 실시형태의 휴대 공구용 홀더(20)를 띠 형상의 피장착체(A')에 장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개구부(25d)에만 끼움 부재(23)를 끼운 상태(제2 개구부(25e)에는 끼우지 않은 상태)에서, 피장착체(A')가 제1 볼록부(25b)와 제2 볼록부(25c)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홀더 본체(22)를 피장착체(A')의 외측으로부터 배치한다. 또한, 제1 개구부(25d)에만 끼움 부재(23)를 끼운 상태에서는, 클로부(23c)가 제1 볼록부(25b)의 에지면에 결합함으로써, 끼움 부재(23)가 홀더 본체(22)에 대하여 빠져나가지 않도록 유지되어 있다.
이어서, 피장착체(A')의 내측(사용자 측)에 끼움 부재(23)가 통과하도록 하여, 끼움 부재(23)를 제2 개구부(25e)에 끼운다.
끼움 부재(23)가 제2 개구부(25e)에 끼워지면, 제2 볼록부(25c)의 에지면에 한 쌍의 클로부(23c)가 결합하여, 끼움 부재(23)가 빠져 나가는 것이 억제된다. 즉, 끼움 부재(23)가 홀더 본체(22)에 결합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피장착체(A')에 대한 휴대 공구용 홀더(20)의 장착이 종료된다. 이 상태에서는, 홀더 본체(22)와 끼움 부재(23)로 피장착체(A')의 주위를 완전하게 둘러싸게 되어, 휴대 공구용 홀더(20)가 피장착체(A')로부터 탈락할 우려가 없다.
휴대 공구용 홀더(20)를 피장착체(A')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한 쌍의 클로부(23c)를 손가락으로 집도록 하여 폭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켜, 제2 볼록부(25c)에 대한 클로부(23c)의 결합을 해제하면서, 끼움 부재(23)를 빼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2 개구부(25e)로부터 끼움 부재(23)를 빼낸다. 이로써, 피장착체(A')로부터 휴대 공구용 홀더(20)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끼움 부재(23)는, 제2 개구부(25e)로부터 빼낸 후에도, 클로부(23c)가 제1 볼록부(25b)의 에지면에 결합함으로써 홀더 본체(22)에 유지되기 때문에, 끼움 부재(23)를 분실할 우려가 없다.
또한, 홀더 본체(22)와 끼움 부재(23)를 분리한 상태로부터, 피장착체(A')에 휴대 공구용 홀더(20)를 장착해도 된다. 즉, 끼움 부재(23)를 분리한 상태의 홀더 본체(22)를 피장착체(A')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고 나서, 홀더 본체(22)의 제1 개구부(25d) 및 제2 개구부(25e)에 끼움 부재(23)를 끼우도록 하여 장착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피장착체(A')로부터 휴대 공구용 홀더(20)를 분리할 때에도, 끼움 부재(23)를 제2 개구부(25e) 및 제1 개구부(25d)로부터 빼내어, 홀더 본체(22)로부터 분리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휴대 공구용 홀더(20)에 있어서는, 홀더 본체(22)와 끼움 부재(23)로 피장착체(A')의 주위를 완전하게 둘러싼 상태에서, 끼움 부재(23)가 홀더 본체(22)에 대하여 빠지지 않도록 결합 유지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클립 구조와 같이 외부와의 접촉 등에 의하여 개방되어 벨트로부터 분리되는 것과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휴대 공구용 홀더(20)에 의하면, 피장착체(A')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세로형 벨트에 휴대 공구용 홀더(20)를 착탈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당해 세로형 벨트를 신체에 장착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용이하게 휴대 공구용 홀더(20)의 착탈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휴대 공구용 홀더(20)에 있어서는, 끼움 부재(23)의 일방의 면에만 제1 조정 볼록부(23h)와 제2 조정 볼록부(23i)를 마련함으로써, 다른 두께의 복수의 피장착체(A')에 대하여 휴대 공구용 홀더(20)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휴대 공구용 홀더(20)의 링부(28)와 휴대 공구를, 예를 들면 끈 형상 또는 링 형상 등의 연결 부재에 의하여 연결하여, 휴대 공구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해도 된다.
1: 휴대 공구용 홀더
2: 홀더 본체
3: 끼움 부재
3a: 판부
3b: 플랜지부
3c: 클로부
3d: 결합부
3e: 제1 유도 볼록부(유도 볼록부)
3f: 제2 유도 볼록부(유도 볼록부)
3g: 조정 구멍
4: 휴대 공구 유지부
4a: 수용 공간
4b: 프레임부
4c: 스토퍼부
5: 장착부
5a: 베이스부
5b: 제1 볼록부
5c: 제2 볼록부
5d: 제1 개구부
5e: 제2 개구부
5f: 경사면
5g: 오목부
6: 미끄럼 방지 부재
6a: 세로 프레임부
6b: 가로 프레임부
6c: 돌기
6d: 결합 클로부
7: 접속구
7a: 환상부
8: 링부
20: 휴대 공구용 홀더
22: 홀더 본체
23: 끼움 부재
23a: 판부
23b: 플랜지부
23c: 클로부
23d: 중판부
23h: 제1 조정 볼록부
23i: 제2 조정 볼록부
23j: 요철부
24: 휴대 공구 유지부
24a: 수용 공간
24b: 프레임부
24c: 스토퍼부
25: 장착부
25a: 베이스부
25b: 제1 볼록부
25c: 제2 볼록부
25d: 제1 개구부
25e: 제2 개구부
25h: 제1 오목부
25i: 제2 오목부
25j: 제1 미끄럼 방지 볼록부
25k: 제2 미끄럼 방지 볼록부
25m: 가이드부
25n: 절결부
28: 링부
A: 피장착체
B: 브래킷

Claims (1)

  1. 휴대 공구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휴대 공구 유지부를 갖는 홀더 본체와,
    상기 홀더 본체에 형성된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에 끼워져 상기 홀더 본체에 결합 유지되는 끼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 본체와, 상기 홀더 본체에 결합 유지된 상기 끼움 부재로 띠 형상의 피장착체의 주위를 둘러쌈으로써 상기 피장착체에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 부재는, 평탄한 판형상의 판부와, 상기 판부의 일방 측의 평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조정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정 볼록부가 상기 홀더 본체 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에 끼워지면, 상기 조정 볼록부가 상기 홀더 본체에 접촉하여, 상기 끼움 부재와 상기 홀더 본체 사이에 두께가 큰 상기 피장착체에 대응하는 극간이 발생하고, 상기 조정 볼록부가 상기 홀더 본체와 반대 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에 끼워지면, 상기 조정 볼록부가 상기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의 내면에 접촉하여, 상기 끼움 부재와 상기 홀더 본체 사이에 두께가 작은 피장착체에 대응하는 극간이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다른 두께의 상기 피장착체에 대응하기 위한 두께 조정 기능을 갖는, 휴대 공구용 홀더.
KR1020210157263A 2017-04-18 2021-11-16 휴대 공구용 홀더 KR1024174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82174A JP7279914B2 (ja) 2017-04-18 2017-04-18 携帯工具用ホルダ
JPJP-P-2017-082174 2017-04-18
KR1020180043318A KR102417420B1 (ko) 2017-04-18 2018-04-13 휴대 공구용 홀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318A Division KR102417420B1 (ko) 2017-04-18 2018-04-13 휴대 공구용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086A KR20210145086A (ko) 2021-12-01
KR102417421B1 true KR102417421B1 (ko) 2022-07-05

Family

ID=639388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318A KR102417420B1 (ko) 2017-04-18 2018-04-13 휴대 공구용 홀더
KR1020210157263A KR102417421B1 (ko) 2017-04-18 2021-11-16 휴대 공구용 홀더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318A KR102417420B1 (ko) 2017-04-18 2018-04-13 휴대 공구용 홀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7279914B2 (ko)
KR (2) KR102417420B1 (ko)
CN (2) CN108720250B (ko)
TW (2) TWI774607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572C (zh) * 1997-03-12 2004-07-07 赫彻斯特股份公司 筛选天然产物和其它化学物质的体外转录方法
US20150197023A1 (en) * 2014-01-10 2015-07-16 Fiskars Brands, Inc. Variable mounting system for a knife sheath
CN104814597A (zh) * 2015-05-08 2015-08-05 深圳市中孚能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背包夹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4990B1 (ko) * 1996-02-08 2000-10-02 타지마 요우스케 안전 홀더
DE19649040C1 (de) * 1996-11-27 1997-10-02 Schlipkoeter Michael Dr Vorrichtung zur lösbaren Anordnung eines Arbeitsmessers, insbesondere Teppichmessers
JP2002262921A (ja) * 2001-03-09 2002-09-17 Nifco Inc 携帯品装着用の取付装置
JP4331446B2 (ja) * 2002-08-05 2009-09-16 株式会社Tjmデザイン 携帯工具用ホルダ
DE10306191B3 (de) * 2003-02-13 2004-05-19 Martor Kg Köcher zur Aufnahme von Handgeräten, insbesondere von Handwerkzeugen, wie z.B. von Messern
KR20050107921A (ko) * 2004-05-10 2005-11-16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볼트타입 장착부재
KR20090005360U (ko) * 2007-11-29 2009-06-03 정회상 끼우는 열쇠고리
JP5364882B2 (ja) * 2008-05-28 2013-12-11 株式会社ニックス 保持具
CN101889764A (zh) * 2009-05-22 2010-11-24 白智淑 捆带及附件的联结装置
JP3163381U (ja) 2010-07-30 2010-10-14 原度器株式会社 巻尺用ベルトクリップ
JP5849813B2 (ja) * 2012-03-27 2016-02-03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ホルダ保持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携帯機器
JP6033653B2 (ja) * 2012-11-26 2016-11-30 ムラテックKds株式会社 工具ホルダ
US9750331B2 (en) * 2015-06-22 2017-09-05 5 Seas Engineering & Trading Llc Integrated modular attachment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572C (zh) * 1997-03-12 2004-07-07 赫彻斯特股份公司 筛选天然产物和其它化学物质的体外转录方法
US20150197023A1 (en) * 2014-01-10 2015-07-16 Fiskars Brands, Inc. Variable mounting system for a knife sheath
CN104814597A (zh) * 2015-05-08 2015-08-05 深圳市中孚能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背包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7420B1 (ko) 2022-07-05
TW202210003A (zh) 2022-03-16
JP2021121465A (ja) 2021-08-26
CN113598515B (zh) 2023-03-14
JP7279914B2 (ja) 2023-05-23
TW201838544A (zh) 2018-11-01
KR20180117049A (ko) 2018-10-26
TWI774607B (zh) 2022-08-11
TWI766006B (zh) 2022-06-01
KR20210145086A (ko) 2021-12-01
CN113598515A (zh) 2021-11-05
JP7272685B2 (ja) 2023-05-12
JP2018176378A (ja) 2018-11-15
CN108720250A (zh) 2018-11-02
CN108720250B (zh) 202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0086B1 (ko) 핸드-헬드 장치용 홀더 조립체
JP5821048B2 (ja) クランプ具
US20130119730A1 (en) Vehicle seat
GB2436217A (en) A retaining component for securing two elements
US20100122994A1 (en) Connecting Device for Equipping a Container on a Bicycle
JP2007244543A (ja) バックル
KR102417421B1 (ko) 휴대 공구용 홀더
JP2014106027A (ja) 巻尺ホルダ
US9108302B1 (en) Interchangeable head wrench assembly
TW201632395A (zh) 托架罩蓋
KR200443640Y1 (ko) 광케이블 작업용 클리퍼
KR101844548B1 (ko)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
KR101857584B1 (ko) 범퍼 조립용 플라스틱 클립
JP5908219B2 (ja) テンションメンバ固定具
JP7211894B2 (ja) パネル計器の取付具、パネル計器の取付構造およびパネル計器
JP2007301367A (ja) リリースバックル
KR20090023193A (ko) 전방 해제 버클
KR200446696Y1 (ko) 정션박스
JP3203337U (ja) スライダーかしめ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スライダーかしめ用工具
JP5474849B2 (ja) 刃物と鞘の係止構造
JPH061811U (ja) クランプ装置
JP2022179346A (ja) 作業工具及び工法
JPH09229602A (ja) 巻尺携帯保持具
JPH0635064A (ja) カメラ用付属品保持具
JPH05169933A (ja) タイヤチェーンフックヘル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