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548B1 -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 - Google Patents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548B1
KR101844548B1 KR1020170038533A KR20170038533A KR101844548B1 KR 101844548 B1 KR101844548 B1 KR 101844548B1 KR 1020170038533 A KR1020170038533 A KR 1020170038533A KR 20170038533 A KR20170038533 A KR 20170038533A KR 101844548 B1 KR101844548 B1 KR 101844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holder
monitor
coupling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8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교
Original Assignee
서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동교 filed Critical 서동교
Priority to KR1020170038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5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7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 G06F1/1611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to support document hol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3Supporting arrangements, e.g. for filters or documents associated to a laptop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모니터의 상단 좌우 양측 모서리에 각각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2개의 결합 프레임; 상하로 연장된 판 형상의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2개의 결합 프레임 상측에 결합 설치되며, 서류가 전면측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모니터 상단부에 의해 서류의 하단부가 지지 가능한 상태로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대 본체; 및 상기 거치대 본체의 전면측에 구비되어 상기 거치대 본체에 서류가 고정되도록 하는 서류 고정부;를 포함하는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 {Document holder for monitor}
본 발명은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모니터의 상단 양측 모서리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 프레임의 상측에 거치대 본체가 좌우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결합 설치되어 모니터의 크기에 상관없이 설치가 용이하며, 거치대 본체의 전면측으로 상하 높이의 가변이 가능한 홀더를 구비하여 서류의 크기에 상관없이 모니터의 상단부에 의해 서류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를 이용한 문서 작업시 많이 이용되는 이른바 '카피 홀더'는 서류를 바닥에 놓거나 손으로 들고 있지 않아도 모니터에 인접한 일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서류가 모니터와 가까이 위치하고 작업자의 양손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서류를 들여다보면서 타이핑 등의 문서 작업이 손쉽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카피 홀더에 관한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274204호의 "컴퓨터용 카피홀더"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구형관절과 소켓으로 이루어진 회전관절을 통해 문서나 서류를 고정한 서류고정판을 원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움직여 위치시킨 후 회전관절의 고정나사를 돌림으로서 서류를 간단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모니터의 일측에 카피홀더 고정판이 결합되고, 모니터의 외측 측면방향으로 뻗어 있는 연결대 및 서류고정판으로 구성되므로, 문서 작업을 위해서는 서류가 모니터의 측면에 나란히 위치하게 되어 모니터의 측면 공간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니터의 측면을 바라보면서 타이핑 등의 작업을 하므로 목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틀어진 상태가 유지되어 자세가 불안정하고 목이 손상을 입을 수 있으며, 장시간 작업시 작업자에게 많은 피로를 유발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카피홀더가 모니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위치하고 카피홀더를 모니터에 고정하는 고정판이 접착테이프를 통해 고정되므로, 책 등의 무게가 무거운 서류를 카피홀더에 고정시키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274204호 (2002년04월22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모니터의 상단 양측 모서리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 프레임의 상측에 거치대 본체가 좌우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결합 설치되어 모니터의 크기에 상관없이 설치가 용이하며, 거치대 본체의 전면측으로 상하 높이의 가변이 가능한 홀더를 구비하여 서류의 크기에 상관없이 모니터의 상단부에 의해 서류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모니터의 상단 좌우 양측 모서리에 각각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2개의 결합 프레임; 상하로 연장된 판 형상의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2개의 결합 프레임 상측에 결합 설치되며, 서류가 전면측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모니터 상단부에 의해 서류의 하단부가 지지 가능한 상태로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대 본체; 및 상기 거치대 본체의 전면측에 구비되어 상기 거치대 본체에 서류가 고정되도록 하는 서류 고정부;를 포함하는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서류 고정부는, 서류의 전면부 상측을 가압하여 서류가 거치대 본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더와, 상기 홀더와 결합된 부재가 거치대 본체의 전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홀더의 높이가 가변 가능하도록 하는 홀더 위치 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홀더는 탄성력에 의해 서류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홀더 위치 조절부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상기 홀더의 가변된 위치가 탄성력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거치대 본체는, 서류가 전면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판형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부에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서류의 하부를 지지하는 거치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부에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결합 프레임 상측에 결합 설치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각의 결합부는 상기 양측 결합 프레임에 위치가 좌우로 가변 가능한 상태로 결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부에는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하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고정홈이 형성되며, 봉형 요소를 포함하는 결합수단이 상기 위치 고정홈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 프레임 상단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 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결합부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삽입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 프레임은 상기 모니터의 후면을 향해 체결되는 체결볼트에 의해 모니터에 고정되며, 상기 체결볼트는, 체결볼트 몸체의 단부에 형성되며, 모니터의 후면에 가압 접촉되면서 탄성 변형 가능한 밀착부를 포함하여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모니터 상단에 서류를 거치하도록 함으로써 모니터 좌우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목의 피로를 최소화하면서도 편안하게 타이핑 등의 문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두께가 얇은 모니터에서도 이용 가능하며, 모니터의 화면 크기에 상관 없이 다양한 형태의 모니터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길이, 두께 등이 다른 다양한 형태의 서류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니터에 손상을 가하지 않으면서 견고하게 모니터에 결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의 후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에서 서류 고정부의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에서 서류 고정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의 결합 예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는 것을 표현하려는 것이지, 다른 구성요소 또는 특징이 존재 또는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의 후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10)는, 모니터(20)의 상단 좌우 양측 모서리(22)에 각각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2개의 결합 프레임(100)과, 상기 2개의 결합 프레임(100) 상측에 결합 설치되는 거치대 본체(200) 및 상기 거치대 본체(200)의 전면측에 구비되어 상기 거치대 본체(200)에 서류가 고정되도록 하는 서류 고정부(300)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 프레임(100)은 모니터(20)의 상단 좌우 양측 모서리(22)에 결합되며, 거치대 본체(200)가 모니터(20) 상단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합 프레임(100)은 모니터(20)의 상단에 접촉하면서 상기 거치대 본체(200)의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덮개부(128)와, 상기 덮개부(128)의 전면측 단부에 모니터(20)의 테두리 전면측 일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전면 벽부(122)와, 상기 상면부의 후면측 단부에 모니터(20)의 테두리 후면측 일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후면 벽부(124) 및 모니터(20)의 측면에 접촉하면서 결합 프레임(100)의 좌우 위치를 신속하게 잡아주는 측면 벽부(126)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결합 프레임(100)이 각각 모니터(20)의 상단 좌우 양측 모서리(22)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후술하는 거치부(240) 본체가 상기 결합 프레임(100) 상단, 바람직하게 상기 덮개부(128) 상부에 좌우 위치가 가변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므로, 모니터(20)의 화면 크기(예, 좌우 폭)에 상관 없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10)의 결합이 이뤄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 프레임(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니터(20)의 후면을 향해 체결되는 체결볼트(500)에 의해 모니터(20)에 고정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볼트(500)는 상기 결합 프레임(100)의 후면측에 관통 형성된 체결공(부호 미도시)으로 나사결합 되면서 삽입되는 체결볼트 몸체(540)와, 상기 체결볼트 몸체(540)가 체결공과 나사결합 되도록 하는 체결볼트 헤드(520)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볼트 몸체(540)의 단부가 모니터(20)의 후면을 가압하면서 상기 체결공(부호 미도시)에 결합되므로, 두께가 얇은 모니터(20)의 경우에도 상기 결합 프레임(100)과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체결볼트(500)는 체결볼트 몸체(540)의 단부에 형성되며 모니터(20)의 후면에 가압 접촉되면서 탄성 변형 가능한 밀착부(560)를 더욱 포함한다.
상기 밀착부(560)는 상기 체결볼트 몸체(540)의 단부가 모니터(20) 후면을 가압할 때 모니터(20)의 후면에 흠집이 발생하거나 결합시 체결볼트 몸체(540)의 단부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결합 프레임(100)과 모니터(20)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밀착부(560)는 일예로, 체결볼트 몸체(540)의 단부에 고무 소재를 부착 또는 사출성형하는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거치대 본체(200)는, 상하로 연장된 판 형상의 요소를 포함하며, 서류가 전면측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모니터(20) 상단부에 의해 서류의 하단부가 지지 가능한 상태로 거치되도록 한다.
일예로, 상기 거치대 본체(200)는, 서류가 전면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판형상의 지지부(220)와, 상기 지지부(220)의 하단부에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서류의 하부를 지지하는 거치부(240)와, 상기 지지부(220)의 하단부에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결합 프레임(100) 상측에 결합 설치되는 결합부(26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거치부(240)는 지지부(220)의 하단부 중앙측에 전면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260)는 지지부(220)의 하단부 좌우 양측에 전면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240)의 크기에 따라, 서류의 하단부가 상기 모니터(20)의 상단부에 의해 지지되는 거치부(240)에 전부 거치될 수도 있고, 상기 모니터(20)의 상단부에 적어도 일부가 직접 거치될 수도 있다.
상기 거치대(240) 또는 결합부(260)의 일측에는 서류의 하단 전면측을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거치부(240)와 결합부(2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거리를 두고 상호 분리 및 이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부(260)는 상기 결합 프레임(100) 상단에 거치대 본체(200)가 결합되도록 하는 기능과 더불어, 상기 거치부(240)의 기능, 즉 서류의 하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더욱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각각의 결합부(260)는 상기 양측 결합 프레임(100)에 위치가 좌우로 가변 가능한 상태로 결합 설치된다.
일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260)에는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하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고정홈(262)이 형성된다.
또한, 봉형 요소를 포함하는 결합수단(400)이 상기 위치 고정홈(262)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 프레임(100) 상단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결합 프레임(100)의 덮개부(128) 상면 일측에는 상기 위치 고정홈(262)을 관통한 상기 결합수단(400)이 결합 프레임(100)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홈(12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129)은 상기 결합수단(400)이 결합 프레임(100) 상단에 결합시 적절한 결합위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결합수단(400)이 결합되어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수단(400) 및 결합홈(129)은 외력에 의해 끼움 결합되는 봉형 요소를 갖는 결합핀 및 좁은 홈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수나사 및 암나사 형태로 구성되어 암나사 형태의 결합홈(129)에 수나사 형태의 결합수단(400)이 나사결합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결합홈(129)이 상기 결합수단(400)의 하측(모니터측) 방향 단부가 상기 결합홈(129) 내측으로 수용된 상태에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수단(400)이 모니터(20)에 접촉하여 모니터(20)에 흠집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일예로, 상기 위치 고정홈(262) 또는 결합홈(129) 중 어느 하나는 좌우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 프레임(100)과 거치대 본체(200)의 결합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거치대 본체(200)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10)와 모니터(20)의 결합은, 우선 상기 2개의 결합 프레임(100)을 모니터(20)의 상단 양측 모서리(22)에 체결볼트(500)로 결합시킨 다음, 상기 거치대 본체(200)를 상기 결합 프레임(100) 상단에 결합시킴으로써 이뤄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예시된 결합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상기 거치대 본체(200)가 결합 프레임(100) 상단에 위치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먼저 결합이 이뤄지고, 상기 결합 프레임(100)이 모니터(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대 본체(200)의 결합 위치가 고정되는 형태로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10)와 모니터(20)의 결합이 이뤄질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에서 서류 고정부의 모식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에서 서류 고정부의 단면도로서, 도 6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서류 고정부(300)는, 서류의 전면부 상측을 가압하여 서류가 거치대 본체(2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더(320)와, 상기 홀더(320)의 높이가 가변 가능하도록 하는 홀더 위치 조절부(340)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일예로, 상기 홀더(320)는 탄성력에 의해 서류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홀더(320)는, 서류의 전면측을 가압하여 상기 거치대 본체(200)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아암부(324a)와, 상기 아암부(324a)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서류의 고정 상태를 조작하는 손잡이부(324c)와, 상기 손잡이부(324c)의 동작에 의해 상기 아암부(324a)가 탄성력에 의해 서류를 고정할 수 있는 힘을 제공하는 탄성수단(324d)을 포함하여 이뤄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홀더(3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 본체(200)의 전면 중앙측에 구비되는 하나의 홀더(324)와 거치대 본체(200)의 전면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2개의 홀더(32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홀더(322, 324)는 아암부(324a)의 형태를 제외한 구성이 상호 유사하므로, 이하 중앙측에 구비되는 홀더(324)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일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암부(324a)는 서류의 전면측을 각각 가압하는 2개의 아암으로 이뤄질 수 있고, 상기 홀더(324)는 2개의 아암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봉(324b)을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324c)는 상기 연결봉(324b) 중앙측에 구비된다.
상기 홀더(324)는 공지의 카피 홀더와 유사한 형태로 동작하여 서류를 고정한다. 즉, 손잡이부(324c)를 거치대 본체(200)측으로 가압시 상기 아암부(324a)의 단부가 거치대 본체(200)로부터 멀어지므로 서류를 그 사이에 삽입하여 거치대 본체(200)에 거치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손잡이부(324c)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탄성수단(324d)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아암부(324a)의 단부가 원 위치로 회귀하면서 거치대 본체(200)에 거치된 서류의 전면측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거치대 본체(200)의 중앙측에 구비되는 홀더(324)와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홀더(322)로 인해 하나 이상의 서류의 전면 상측을 고정할 수 있으며, 특히 중앙측에 구비되는 홀더(324)는 서류의 전면측을 각각 가압하는 2개의 아암을 포함하여 이뤄지므로 한 번의 손잡이부(324c) 동작(가압 및 해제)으로 도서 등의 두 면으로 이뤄진 서류의 양면을 동시에 가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홀더 위치 조절부(340)는 상기 홀더(320)와 결합된 부재가 거치대 본체(200)의 전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홀더(320)의 높이가 가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홀더 위치 조절부(340)는 상기 홀더(320)에 대응되어 구성되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320)가 거치대 본체(200)의 전면 중앙측에 구비되는 홀더(324)와 상기 거치대 본체(200)의 전면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2개의 홀더(322)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홀더 위치 조절부(340)도 상기 거치대 본체(200)의 전면 중앙측에 구비되는 홀더 위치 조절부(344)와 상기 거치대 본체(200)의 전면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홀더 위치 조절부(342)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거치대 본체(200)의 중앙측에 구비되는 홀더 위치 조절부(344)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일예로, 상기 홀더 위치 조절부(344)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상기 홀더(324)의 가변된 위치가 탄성력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 위치 조절부(344)는 상기 홀더(324)의 후면 일측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부재(344c)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344c) 일측에 구비되며 외력의 작용 또는 해제에 의해 탄성 변형이 가능한 위치 조절 탄성부재(344d)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344c)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딩 홈(344a)과, 상기 슬라이딩 홈(344a)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위치 조절 탄성부재(344d)가 탄성 변형에 의해 걸림으로써 슬라이딩 부재(344c)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가이드 홈(344b)을 포함하여 이뤄진다.
일예로, 상기 위치 조절 탄성부재(344d)는 판스프링 형태로 절곡된 금속 판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324)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홀더(324)를 슬라이딩 홈(344a)을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위치 조절 탄성부재(344d)의 슬라이딩 부재(344c) 외측의 돌출부분이 내측으로 탄성 압축되면서 상기 슬라이딩 홈(344a)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며, 다른 위치의 가이드 홈(344b) 위치에서 홀더(324)의 슬라이딩 이동을 멈추면 상기 압축된 위치 조절 탄성부재(344d)의 슬라이딩 부재(344c)의 외측 돌출부분이 다시 탄성 복원되면서 홀더(324)의 위치(높이)가 고정된다.
상기 홀더 위치 조절부(344)의 동작은 공지의 커터칼의 외부 돌출 길이를 조절하는 수단과 유사한 형태로 동작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므로,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홀더 위치 조절부(340)는 상기 홀더(320)의 높이를 가변하고, 가변된 높이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다양한 형태의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6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류의 거치를 위해서는, 우선 서류의 하부가 상기 모니터(20)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면서 거치되도록 하고, 다음으로 서류의 크기에 따라 상기 홀더(324)를 적절히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홀더(324)의 높이를 고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홀더(324)의 손잡이부(324c) 동작에 의해 아암부(324a)가 상기 서류의 전면을 고정하게 되면 서류의 거치가 완료되며, 타이핑 등의 문서 작업이 순차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의 결합 예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10)에서, 상기 결합 프레임(1100, 2100)의 상부에는, 상기 결합부(1260, 2260)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삽입홈부(1128a, 2128a)를 포함한다.
일예로, 상기 삽입홈부(1128a, 2128a)는 상기 전면 벽부(1122, 2122)의 상단에 연장 형성된 전면 상단벽부(1122a, 2122a)와, 상기 후면 벽부(1124, 2124)의 상단에 연장 형성된 후면 상단벽부(1124a, 2124a)와, 덮개부(1128, 2128)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뤄진다.
상기 결합부(1260)가 상기 삽입홈부(1128a)에 슬라이딩 삽입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상단벽부(1122a) 및 후면 상단벽부(1124a)가 결합부(1260)의 전면측 및 후면측과 각각 접촉되면서 상기 거치대 본체(1200)와 결합 프레임(1100)이 결합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삽입홈부(1128a)와 결합부(1260)의 결합으로 인해, 상기 거치대 본체(1200)와 결합 프레임(1100)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거치대 본체(1200)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상기 전면 상단벽부(1122a) 및 후면 상단벽부(1124a)가 결합부(1260)를 잡아주므로 거치대 본체(1200)와 상기 결합 프레임(1100)의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상단벽부(2122a)의 상단부가 후면측으로 절곡 형성되고, 후면 상단벽부(2124a)의 상단부가 전면측으로 절곡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부(2260)는 상기 지지부(2220)의 하단부에 후면으로 일부 돌출 형성된 후면측 결합부(2260a)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상기 결합부(2260)가 상기 삽입홈부(2128a)에 슬라이딩 삽입되면서 상기 결합 프레임(2100)과 거치대 본체(2200)의 결합이 이뤄지며, 결합 상태에서 상기 전면 상단벽부(2122a)의 상단부가 상기 결합부(2260)의 전면측 상면을 일부 커버하고 상기 후면 상단벽부(2124a)의 상단부가 상기 후면측 결합부(2260a)의 상면을 일부 커버하게 된다.
상기 결합으로 인해, 상기 거치대 본체(2200)가 상하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힘을 받더라도 결합 프레임(2100)으로부터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 9 및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결합부(1260, 2260)에 위치 고정홈이 형성되지 않은 간략한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거치대 본체(1200, 2200)와 결합 프레임(1100, 2100) 간의 결합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부(1260, 2260)에 위치 고정홈이 형성되고 결합수단이 상기 위치 고정홈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 프레임(1100, 2100) 상단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1128, 2128) 상면 일측에 상기 위치 고정홈을 관통한 상기 결합수단이 결합 프레임(1100, 2100)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홈이 더욱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 20: 모니터
100, 1100, 2100: 결합 프레임
122, 1122. 2122: 전면 벽부 124, 1124, 2124: 후면 벽부
126, 1126: 측면 벽부 128, 1128, 2128: 덮개부
1128a, 2128a: 삽입홈부 129: 결합홈
1122a, 2122a: 전면 상단벽부 1124a, 2124a: 후면 상단벽부
200, 1200, 2200: 거치대 본체 220, 1220, 2220: 지지부
240, 1240, 2240: 거치부 260, 1260, 2260: 결합부
262: 위치 고정홈
300: 서류 고정부 320, 322, 324: 홀더
340, 342, 344: 홀더 위치 조절부 400: 결합수단
500, 1500, 2500: 체결볼트 520, 1520: 체결볼트 헤드
540, 1540: 체결볼트 몸체 560, 1560, 2560: 밀착부

Claims (8)

  1. 모니터의 상단 좌우 양측 모서리에 각각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2개의 결합 프레임;
    상하로 연장된 판 형상의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2개의 결합 프레임 상측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모니터의 상단부에 의해 지지되며, 서류가 전면측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서류의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지지 가능한 상태로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대 본체; 및
    상기 거치대 본체의 전면측에 구비되어 상기 거치대 본체에 서류가 고정되도록 하는 서류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류 고정부는,
    서류의 전면부 상측을 가압하여 서류가 거치대 본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더와,
    상기 홀더와 결합된 부재가 거치대 본체의 전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서류의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거치대 본체에 의해 지지되도록 홀더의 높이가 서류의 크기에 따라 가변 가능하도록 하는 홀더 위치 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탄성력에 의해 서류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홀더 위치 조절부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상기 홀더의 가변된 위치가 탄성력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본체는,
    서류가 전면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판형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부에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서류의 하부를 지지하는 거치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부에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결합 프레임 상측에 결합 설치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결합부는 상기 양측 결합 프레임에 위치가 좌우로 가변 가능한 상태로 결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하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고정홈이 형성되며,
    봉형 요소를 포함하는 결합수단이 상기 위치 고정홈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 프레임 상단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결합부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삽입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프레임은 상기 모니터의 후면을 향해 체결되는 체결볼트에 의해 모니터에 고정되며,
    상기 체결볼트는,
    체결볼트 몸체의 단부에 형성되며, 모니터의 후면에 가압 접촉되면서 탄성 변형 가능한 밀착부를 포함하여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
KR1020170038533A 2017-03-27 2017-03-27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 KR101844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533A KR101844548B1 (ko) 2017-03-27 2017-03-27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533A KR101844548B1 (ko) 2017-03-27 2017-03-27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4548B1 true KR101844548B1 (ko) 2018-04-02

Family

ID=61976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8533A KR101844548B1 (ko) 2017-03-27 2017-03-27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5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29884B1 (en) * 2017-12-14 2019-10-01 David W. Brittingham Adjustable monitor frame for retaining and displaying a book and thin planar object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097Y1 (ko) 1999-09-15 2000-03-15 김동춘 모니터 부착용 문서 고정대
KR200224194Y1 (ko) * 2000-12-08 2001-05-15 이장우 컴퓨터자료걸이
JP3233611B2 (ja) * 1999-04-06 2001-11-26 彬發 柯 デスクトップ型コンピュータ用書類ホルダ
KR200295960Y1 (ko) * 2002-08-21 2002-11-29 문영태 카피홀더 조임장치
JP2007133050A (ja) 2005-11-09 2007-05-31 Shimadzu Corp 光学装置
KR101371249B1 (ko) * 2012-11-27 2014-03-07 유한회사 컴체크 디지털단말기 통합 거치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3611B2 (ja) * 1999-04-06 2001-11-26 彬發 柯 デスクトップ型コンピュータ用書類ホルダ
KR200172097Y1 (ko) 1999-09-15 2000-03-15 김동춘 모니터 부착용 문서 고정대
KR200224194Y1 (ko) * 2000-12-08 2001-05-15 이장우 컴퓨터자료걸이
KR200295960Y1 (ko) * 2002-08-21 2002-11-29 문영태 카피홀더 조임장치
JP2007133050A (ja) 2005-11-09 2007-05-31 Shimadzu Corp 光学装置
KR101371249B1 (ko) * 2012-11-27 2014-03-07 유한회사 컴체크 디지털단말기 통합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29884B1 (en) * 2017-12-14 2019-10-01 David W. Brittingham Adjustable monitor frame for retaining and displaying a book and thin planar objec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9543B2 (en) Clamping tool
US5848773A (en) Mouse pad support pedestal
US9216485B2 (en) Quick clamping device adapted for worktable
US20200324399A1 (en) Tool Storage Device
US6955344B2 (en) Tool and connector system for clamping
JPH07276259A (ja) 自動フィーダ付き帯状体搭載ねじ打ち込み装置
US6679190B1 (en) Fabric holder for embroidery frames
US7210662B2 (en) Display device with a foldable suspension arm
US11947248B2 (en) Video camera handle and stop switch assembly
KR101844548B1 (ko) 모니터용 서류 거치대
US20070284797A1 (en) Assembling device for sheet materials
JP4445169B2 (ja) スナップフィット
KR101579571B1 (ko) 공구 진열대
KR10251991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040245692A1 (en) Bar clamp
TW201524689A (zh) 虎鉗
JP2015120185A (ja) プレスブレーキの中間板取付装置
JPWO2018230143A1 (ja) 受け具
JP2009113141A (ja) バイス用ワーク支持具
JP2021085131A (ja) ヘルメット用小型測定器ホルダー
JP3219998U (ja) 額縁用ワンタッチ裏板固定具
US20110227269A1 (en) Replaceable jaw carriers of bar clamp with adaptable jaws
CA2616482A1 (en) Holding device
KR101908243B1 (ko) 집게
JP3189538U (ja) 裁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