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7170B1 -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 Google Patents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7170B1
KR102417170B1 KR1020200109397A KR20200109397A KR102417170B1 KR 102417170 B1 KR102417170 B1 KR 102417170B1 KR 1020200109397 A KR1020200109397 A KR 1020200109397A KR 20200109397 A KR20200109397 A KR 20200109397A KR 102417170 B1 KR102417170 B1 KR 102417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or
bolt
mount
mount ho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8419A (ko
Inventor
박민혁
이가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00109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170B1/ko
Publication of KR20220028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판넬에 와이어링 하네스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로서, 상기 프로텍터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차량 판넬의 고정홀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텍터를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마운트홀이 형성된 마운트;를 포함하고, 상기 마운트는, 상기 마운트홀에 삽입된 상기 볼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마운트홀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프로텍터를 차량 판넬에 설치하기 전에 볼트를 프로텍터의 마운트에 결합시킬 수 있어 작업자가 프로텍터의 설치 작업을 수행할 때 체결공구에 볼트를 거치하는 동작을 생략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PROTECTOR FOR WIRING HARNESS}
본 발명은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판넬에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를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한 프로텍터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차량 내의 전장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와이어링 하네스가 설치된다. 최근 차량에 장착되는 전장품 증가에 따른 회로가 증가하고 있어, 차량에 장착되는 와이어링 하네스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와이어링 하네스는 와이어링 하네스의 표면을 보호하거나 차량에 고정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에 결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프로텍터(10)는 볼트(400)에 의해 관통되어 차량 판넬에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 작업자는 프로텍터(10)를 차량 판넬의 설치 위치에 가거치한 후에 공구를 이용하여 볼트(400)를 체결하여 프로텍터(10)가 차량 판넬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가거치된 프로텍터(10)는 고정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작업자가 한손으로 프로텍터를 파지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공구를 이용하여 볼트 체결을 해야한다. 즉, 작업자가 공구에 볼트를 거치하고 프로텍터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손이 자유롭지 못하게 됨으로써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를 차량 판넬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때, 작업성을 향상시켜 설치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판넬에 와이어링 하네스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로서, 상기 프로텍터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차량 판넬의 고정홀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텍터를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마운트홀이 형성된 마운트;를 포함하고, 상기 마운트는, 상기 마운트홀에 삽입된 상기 볼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마운트홀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리브는, 상단이 상기 마운트홀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하단이 상기 상단보다 상기 마운트홀의 중심 축에 가깝도록 형성되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마운트는, 상기 고정리브가 상기 마운트홀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개수로 형성되도록 상기 고정리브를 절개하여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리브는, 상기 상단에 인접한 측에 형성된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단에 인접한 측에 형성된 가압부;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가 상기 마운트홀의 중심 축과 이루는 각보다 상기 가압부가 상기 마운트홀의 중심 축과 이루는 각이 더 작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는, 가장 넓은 지름이 상기 볼트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리브는, 상기 하단에서 상기 고정리브의 내주면을 따라서 상기 마운트홀의 중심 축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고정리브의 상기 상단을 바라보는 일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마운트는, 상기 볼트가 상기 마운트홀에 결합되면, 상기 볼트에 접하도록 상기 마운트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안착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턱은, 상기 마운트홀의 원주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프로텍터를 차량 판넬에 설치하기 전에 볼트를 프로텍터의 마운트에 결합시킬 수 있어 작업자가 프로텍터의 설치 작업을 수행할 때 체결공구에 볼트를 거치하는 동작을 생략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리브가 볼트의 외주면에 면접하여 볼트를 마운트에 고정시킴으로써,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볼트가 안정적으로 마운트홀의 중심 축에 맞춰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여 볼트의 방향 틀어짐에 의한 갈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고정리브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볼트가 걸림없이 마운트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상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효과는 상기의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의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를 차량 판넬에 고정시키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볼트가 제거된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구역 Ⅳ의 확대사시도.
도 5는 도 4의 마운트홀의 다양한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절단선 Ⅵ-Ⅵ'에 의한 단면도.
도 7은 도 4의 마운트홀에 볼트가 체결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도 2의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를 차량 판넬에 고정시키기 위한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볼트가 제거된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의 구역 Ⅳ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마운트홀의 다양한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절단선 Ⅵ-Ⅵ'에 의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4의 마운트홀에 볼트가 체결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2의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를 차량 판넬에 고정시키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이하, '프로텍터')는 와이어링 하네스가 안착되는 바디(200)와 바디(200)에 결합되어 와이어링 하네스의 외주면을 감싸는 커버(1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프로텍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마운트(300)가 돌출 형성된다. 마운트(300)는 프로텍터의 일측에 돌출되는 것으로서, 커버(100) 및 바디(200)의 형상에 따라 커버(100) 또는 바디(20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운트(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홀(310), 고정리브(320), 슬릿(330) 및 안착턱(340)이 형성된다.
마운트홀(310)은 볼트(400)가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마운트(31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텍터가 차량 판넬과 접하는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고정리브(320)는 마운트홀(310)에 삽입된 볼트(400)의 외주면을 감싸 마운트홀(31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운트홀(31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고정리브(320)는, 상단이 마운트홀(310)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형성되고, 하단은 상단보다 마운트홀(310)의 중심축에 가깝도록 경사져 형성된다. 즉, 고정리브(320)는 마운트홀(310) 내부에 형성되며, 원뿔대 형태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고정리브(32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인접한 탄성부(321)와 하단에 인접한 가압부(322)로 구분된다. 보다 상세하게, 탄성부(321)는 고정리브(320)의 상단에서부터 일 지점까지의 부분이며, 가압부(322)는 상기 일 지점에서부터 하단까지의 부분이다.
가압부(322)는 마운트홀(310)에 삽입된 볼트(400)의 외주면을 감싸는 것으로서, 이때, 가압부(322)가 볼트(400)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감쌀수 있도록 가압부(322)의 지름은 볼트(40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탄성부(321)는 볼트(400) 삽입시 가압부(322)가 밀려나면서 지름이 커질 때, 가압부(322)가 마운트홀(310)의 내주면에서 볼트(400)의 외주면 측으로 힘을 받을 수 있도록 지지해준다. 즉, 탄성부(321)의 상단이 마운트홀(310)의 내주면에 접하여 지지됨으로써, 가압부(322)가 볼트(40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탄성부(321)와 가압부(322)는, 각각 마운트홀(310)의 중심 축과 이루는 각도가 탄성부(321)가 더 크도록 상이한 경사도로 형성된다. 가압부(322)가 마운트홀(310)의 중심 축과 이루는 각도가 작게 형성될 경우, 볼트(400) 체결시 가압부(322)의 모든 면적이 용이하게 볼트(40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어 볼트(40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압부(322)가 볼트(400)에 면접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볼트(400)의 방향 가이드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리브(320)의 내주면에 볼트(400)와 맞물리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결합되도록 하지 않고 면접하여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볼트(400)가 잘못된 방향으로 삽입되면서 나사산이 갈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고정리브(320)가 볼트(400)의 외주면을 원주 방향에서 고르게 가압하면서 밀착됨으로써 볼트(400)가 마운트홀(310)의 중심에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처럼 탄성부(321)와 가압부(322)가 형성되는 고정리브(320)는, 하단에 고정리브(320)의 내주면을 따라 걸림돌기(323)가 형성된다. 걸림돌기(323)는, 마운트홀(310)의 중심 축을 향해 돌출된 것으로서, 볼트(400)의 나사산에 삽입될 수 있다. 즉, 마운트홀(310)에 삽입되어 가압부(322)로 고정된 볼트(400)의 나사산에 걸림돌기(323)가 걸림으로써, 볼트(400)의 고정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걸림돌기(323)는 고정리브(320)의 하단에서 내주면을 따라 길게 이어진 림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돌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걸림돌기(323)는 마운트홀(310)에 삽입된 볼트(400)의 나사산에 삽입되어 볼트(400)를 고정시킬수만 있으면 그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걸림돌기(323)는 볼트(400)가 마운트홀(31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경사면이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걸림돌기(323)에 볼트(400)의 삽입 방향으로만 경사면을 형성할 경우, 볼트(400)가 마운트홀(310)에 삽입될 때는 걸림돌기(323)에 걸리지 않고 삽입되되,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 이동은 방지함으로써 볼트(400)가 마운트홀(3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설명한 바와 같이, 마운트홀(310)의 내주면에 고정리브(320)가 형성될 경우, 삽입된 볼트(400)를 고정시킬 수 있어 프로텍터를 차량 판넬에 고정시키기 전에 볼트(400)를 프로텍터에 고정시켜 놓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작업자가 프로텍터를 차량 판넬에 가거치할 때, 볼트(400)가 프로텍터에 결합되어 있어, 공구에 볼트(400)를 거치하는 작업이 불필요해 짐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리브(320)가 경사져 하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도록 경사져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볼트(400)가 마운트홀(310)에 걸림없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고정리브(320)를 경사도가 상이한 탄성부(321)와 가압부(322)로 나뉘어진 구역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볼트(400)이 외주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되어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고정리브(3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330)에 의해 복수의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세하게, 슬릿(330)은 고정리브(320)가 마운트홀(310)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도록 고정리브(320)를 절개하여 형성된다. 이때, 슬릿(330)은 두 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고정리브(320)가 두 개 이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슬릿(330)을 형성하여 고정리브(320)를 복수의 개수로 형성할 경우, 볼트의 체결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재질 또는 마운트홀(310)에 삽입되는 볼트(400)의 지름 등에 따라 고정리브(320)가 볼트(400)를 가압하는 힘을 조절함으로써, 마운트(300)와 볼트(400)의 체결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슬릿(330)의 갯수를 통해 마운트(300)의 체결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는 슬릿(330)의 갯수를 육안으로 구별하여 마운트(300)의 체결력을 구분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직관적으로 프로텍터를 구분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체결력이 상이한 볼트(400)와 프로텍터가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안착턱(340)은 마운트홀(310)에 삽입된 볼트(400)에 접하도록 마운트(300)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안착턱(340)은 마운트홀(310)의 원주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볼트(400)가 마운트(300)의 일면에 접하는 측과 접하여 지지하는 것이다. 아울러 안착턱(340)의 내주면에는, 볼트(400)의 외주면을 향해 돌기가 돌출되어 볼트(400)의 나사산과 맞물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안착턱(340)을 별도로 형성할 경우, 볼트(400)가 과도하게 체결되어 마운트홀(310)로 파고들어가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볼트(400)의 머리와 마운트(300)에 형성됨으로써 와셔 역할을 수행하여 압력을 분산시키고 볼트(40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마운트(300)는 단순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출 제작시 금형의 상하 빼기로 제작이 가능하다. 즉, 프로텍터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 제작이 용이하여 개발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운트(300)가 형성된 프로텍터는, 하기와 같은 순서에 의해 차량 판넬에 고정된다.
먼저, 작업자가 마운트홀(310)에 볼트(400)를 삽입하여 볼트(400)가 프로텍터에 가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작업자는 작업하고자 하는 프로텍터와 볼트(400)의 지름 등을 미리 파악하고 있는 상태에서 슬릿(330)의 갯수 등에 따라 체결력이 동일한 프로텍터와 볼트(400)인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400)가 차량 판넬에 형성된 고정홀(500)에 위치될 수 있도록 프로텍터를 가거치한다.
이후 공구를 이용하여 볼트(400)가 고정홀(500)에 완전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프로텍터가 차량 판넬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을 완료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프로텍터를 사용할 경우, 작업자가 프로텍터의 마운트(300)에 볼트(400)를 미리 가결합 시킨 후에 차량 판넬에 프로텍터를 고정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프로텍터를 가거치 한 상태에서 공구에 볼트(400)를 가체결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볼트(400)를 프로텍터에 결합시킨 후에 차량 판넬에 프로텍터를 고정시킴으로써 각 단계에서 두 손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커버 200 : 바디
300 : 마운트 310 : 마운트홀
320 : 고정리브 321 : 탄성부
322 : 가압부 323 : 걸림돌기
330 : 슬릿 340 : 안착턱
400 : 볼트 500 : 고정홀

Claims (9)

  1. 차량 판넬에 와이어링 하네스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로서,
    상기 프로텍터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차량 판넬의 고정홀(500)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텍터를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400)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마운트홀(310)이 형성된 마운트(300);
    를 포함하고,
    상기 마운트(300)는,
    상기 마운트홀(310)에 삽입된 상기 볼트(4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마운트홀(31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리브(320)와, 상기 고정리브(320)가 상기 마운트홀(310)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개수로 형성되도록 상기 고정리브(320)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슬릿(330)과, 상기 볼트(400)가 상기 마운트홀(310)에 결합되면, 상기 볼트(400)에 접하도록 상기 마운트(300)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안착턱(34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리브(320)는
    상단에 인접한 측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마운트홀(310)의 중심축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형성되는 탄성부(321);
    상기 탄성부(321)에서 연장되고, 상기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마운트홀(310)의 중심축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형성되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볼트(400)의 외측에 밀착되는 가압부(322); 및
    상기 가압부(322)에서 연장되고, 상기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마운트홀(310)의 중심축을 향해 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면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323);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리브(320)는
    상기 탄성부(321)가 상기 마운트홀(310)의 중심 축과 이루는 각보다 상기 가압부(322)가 상기 마운트홀(310)의 중심 축과 이루는 각이 더 작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322)는,
    가장 넓은 지름이 상기 볼트(40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323)는,
    상기 고정리브(320)의 상기 상단을 바라보는 일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턱(340)은,
    상기 마운트홀(310)의 원주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KR1020200109397A 2020-08-28 2020-08-28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KR102417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397A KR102417170B1 (ko) 2020-08-28 2020-08-28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397A KR102417170B1 (ko) 2020-08-28 2020-08-28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419A KR20220028419A (ko) 2022-03-08
KR102417170B1 true KR102417170B1 (ko) 2022-07-05

Family

ID=80812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397A KR102417170B1 (ko) 2020-08-28 2020-08-28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1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604B1 (ko) 2007-04-27 2008-04-08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KR100820595B1 (ko) 2007-08-20 2008-04-11 경신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의 프로텍터
KR101850444B1 (ko) 2016-12-21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7980A (ja) * 1992-05-12 1994-03-11 Unisys Corp 4ブロックキャッシュメモリへのアクセスを最適化するためのキャッシュ論理システムおよびメインフレームコンピュータの高速キャッシュメモリへのアクセス時のダブルミスを防ぐ方法
JP2549635Y2 (ja) * 1993-02-01 1997-09-30 住友電装株式会社 スタッドボルト用クリップ
JP3239687B2 (ja) * 1995-05-16 2001-12-17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用成形プロテ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604B1 (ko) 2007-04-27 2008-04-08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KR100820595B1 (ko) 2007-08-20 2008-04-11 경신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의 프로텍터
KR101850444B1 (ko) 2016-12-21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419A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7136A (en) Modular visor attachment fastener
JPH09502241A (ja) 溶接可能な締着部材、締着部材溶接用装置および組立体部材を締着部材に締着するための装置
KR102304628B1 (ko) 클램프 장치의 클램프 암의 착탈 장치
JP5285161B2 (ja) エアバッグとモジュールハウジングに取り付け可能なガスジェネレータとを備えた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KR102417170B1 (ko)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KR101783867B1 (ko)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
WO2015049909A1 (ja) スタッド係止具
KR102079089B1 (ko) 가공송전선 진동방지형 고정장치
KR101959921B1 (ko) 와이어 하네스 지그장치
KR101803257B1 (ko) 차량용 안테나 고정 홀더 및 그를 이용한 차량용 안테나
KR101956200B1 (ko) 와이어 하네스 지그장치
KR102382389B1 (ko) 와이어 인출부 고정 밴드 결합 구조
KR101959920B1 (ko) 와이어 하네스 지그장치
KR101959919B1 (ko) 와이어 하네스 지그장치
US4095765A (en) Adjustable cable clamp
KR101888134B1 (ko) 캡핑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 벨트 어셈블리
KR102410775B1 (ko) 프로텍터용 결합마운트
KR20170075989A (ko) 차량용 대쉬 그로멧의 프로텍터
KR102634974B1 (ko) 프로텍터
KR102063406B1 (ko) 터미널 단자볼트 안정 체결장치
KR102529731B1 (ko) 체결형 그로멧
KR100205897B1 (ko) 와이어링 고정용 클램프
KR102333466B1 (ko) 프로텍터
CN219790100U (zh) 夹持结构
JPH08275346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ク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