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400B1 - 문형 공작기계 - Google Patents

문형 공작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400B1
KR102413400B1 KR1020180026285A KR20180026285A KR102413400B1 KR 102413400 B1 KR102413400 B1 KR 102413400B1 KR 1020180026285 A KR1020180026285 A KR 1020180026285A KR 20180026285 A KR20180026285 A KR 20180026285A KR 102413400 B1 KR102413400 B1 KR 102413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spindle head
machine tool
door
cross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9682A (ko
Inventor
마코토 하라다
야스히코 사사키
모토시 카타야마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스미도모쥬기가이 파인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스미도모쥬기가이 파인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09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1Frames, beds, pillars or like members; Arrangement of 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46Column grind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1Frames, beds, pillars or like members; Arrangement of ways
    • B23Q1/012Por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2Frames; Beds; Carri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가공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한다.
제1 칼럼(10) 및 제2 칼럼(20)과, 제1 칼럼(10) 및 제2 칼럼(20)에 지지된 크로스레일(32)과, 크로스레일(32)에 지지된 주축헤드(332)를 구비하고, 제1 칼럼(10) 및 제2 칼럼(20)의 각각에, 상방을 향함에 따라 크로스레일(32)에 대한 주축헤드(332)측으로 경사진 브레이스(15, 25)가 마련되어 있다.
브레이스(15, 25)를 마련함으로써 중량경감을 도모할 수 있고, 또 브레이스(15, 25)의 기울기와 크로스레일(32)에 대한 주축헤드(332)의 배치를 대응시킴으로써, 주축헤드(332)측의 하중증가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견뎌내도록 각 칼럼(10, 20)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가공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문형 공작기계{Gantry type machine tool}
본 출원은 2017년 3월 2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7-062240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그 출원의 전체 내용은 이 명세서 중에 참고로 원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칼럼을 구비하는 문형(門型) 공작기계에 관한 것이다.
문형 공작기계는, 좌우 한 쌍의 칼럼에 의하여 양단부가 지지된 크로스레일과, 크로스레일에 지지된 주축헤드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형 공작기계는, 크로스레일 및 주축헤드의 중량을 견뎌내고, 또한 휨에 의하여 주축헤드의 가공정밀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좌우의 칼럼의 강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종래의 문형 공작기계는, 좌우의 칼럼의 중공 내부에 있어서 경사방향으로 볼록조의 리브를 마련하여 그 강성을 높이고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86734호
상기 종래의 문형 공작기계는, 리브가 크로스레일의 길이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으므로, 크로스레일의 길이방향에 대한 하중에 대하여 높은 강성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크로스레일이 주축헤드를 지지하는 구조인 경우, 크로스레일에 대하여 주축헤드측이 되는 방향으로의 하중이 발생하기 쉬워, 상기 종래의 문형 공작기계는, 동 방향으로의 하중에 대한 강성이 불충분했다. 이로 인하여, 크로스레일에 대하여 주축헤드측으로 좌우의 칼럼이 휘어, 가공정밀도의 저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칼럼의 휨을 억제하여, 가공정밀도가 높은 문형 공작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문형 공작기계는,
제1 칼럼 및 제2 칼럼과,
상기 제1 칼럼 및 상기 제2 칼럼에 지지된 크로스레일과,
상기 크로스레일에 지지된 주축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칼럼 및 상기 제2 칼럼의 각각에, 상방을 향함에 따라 상기 크로스레일에 대한 상기 주축헤드측으로 경사진 브레이스(brace)가 마련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칼럼의 휨을 억제하여, 가공정밀도가 높은 문형 공작기계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문형 공작기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제1 칼럼 또는 제2 칼럼의 사시도, 도 2의 (b)는 도 2의 (a)의 W-W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칼럼 또는 제2 칼럼의 브레이스의 방향과 주축헤드의 위치관계를 설명하는 문형 공작기계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문형 공작기계의 가공장치가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문형 공작기계의 개요]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문형 공작기계(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 중, X축방향 및 Y축방향은 모두 수평이며 서로 직교하고, Z축방향은 X축방향 및 Y축방향과 직교하는 연직 상하방향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X축방향의 일방을 전, 타방을 후로 하고, Y축방향의 일방을 좌, 타방을 우로 한다.
문형 공작기계(1)는, 워크의 일면을 연삭하는 이른바 연삭반이며, 기부(基部)(31a, 31b), 제1 칼럼(10), 제2 칼럼(20), 크로스레일(32), 새들(331), 주축헤드(332), 가공장치(34)와 워크가 배치되는 테이블(36) 및 베드(35)를 구비하고 있다.
[베드]
베드(35)는, X축방향을 따른 도시하지 않은 한 쌍의 리니어가이드를 구비하고, 테이블(36)을 X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 베드(35)에는, 테이블(36)을 X축방향을 따라 반송하는 도시하지 않은 반송기구가 탑재되어 있다. 반송기구는, 동작량을 임의로 제어 가능한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고 있어, 테이블(36)에 워크(가공대상물)를 지지하여 X축방향으로 반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 베드(35)의 Y축방향의 양측에는, 한 쌍의 기부(31a, 31b)가 돌출되도록 연결되어 장비되어 있다. 우측의 기부(31a)에는 제1 칼럼(10)이 재치되어 장비되고, 좌측의 기부(31b)에는 제2 칼럼(20)이 재치되어 장비되어 있으며, 각 칼럼(10, 20)의 하단부는, 볼트나 용접 등의 주지의 방법으로 기부(31a, 31b)에 고정되어 있다.
[크로스레일]
제1 칼럼(10) 및 제2 칼럼(20)은 베드(35)를 사이에 두고 Y축방향으로 나란히 세워져 있다. 그리고, 이들 칼럼(10, 20)의 상단부에는, 브래킷(32a)(제2 칼럼(20)측의 브래킷은 도시생략)을 통하여, 크로스레일(32)이 Y축방향을 향하게 된 상태로 고정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각 칼럼(10, 20)의 상단부는, 볼트나 용접 등의 주지의 방법으로 크로스레일(32)에 고정되어 있다.
크로스레일(32)은, Y축방향으로 긴 길이이며, 그 전면측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리니어가이드를 통하여 새들(331)을 Y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 크로스레일(32)에는, 새들(331)을 Y축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위치 결정하는 도시하지 않은 반송기구가 탑재되어 있다. 이 반송기구도, 동작량을 임의로 제어 가능한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고 있어, 새들(331)을 Y축방향을 따라 임의로 이동시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새들(331)은 주축헤드(332)를 지지하고, 주축헤드(332)는 가공장치(34)를 지지하고 있다. 한편, 크로스레일(32)에 의한 새들(331)의 Y축방향의 이동제어와, 베드(35)에 의한 워크의 X축방향의 이동제어는 협동하여 행해진다. 이로써, 워크에 대하여 가공장치(34)를 상대적으로 X-Y평면의 임의의 위치에 이동시켜 위치 결정할 수 있어, 워크의 전체면 또는 어느 위치에도 연삭가공을 행할 수 있다.
[주축헤드 및 새들]
주축헤드(332)는, 새들(331)을 통하여 크로스레일(32)에 의하여 Y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새들(331)에 의하여 Z축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주축헤드(332)는, 하단부에 가공장치(34)를 지지하고 있다.
새들(331)은, 주축헤드(332)를 Z축방향을 따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새들(331)은, 도시하지 않은 리니어가이드에 의하여 주축헤드(332)를 Z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새들(331)에는, 주축헤드(332)를 Z축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위치 결정하는 도시하지 않은 반송기구가 탑재되어 있다. 이 반송기구도, 동작량을 임의로 제어 가능한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고 있어, 주축헤드(332)를 Z축방향을 따라 임의로 이동시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가공장치]
가공장치(34)는, 주축헤드(332)의 하단부에 지지되어 있다.
이 가공장치(34)는, 공구로서, Y축을 중심으로 회전구동되는 원판형상 또는 원통형상의 숫돌(34a)을 갖는 연삭장치이다. 숫돌(34a)은, 주축헤드(332)의 하단부의 우단에 배치되어 있다. 이 숫돌(34a)은, 회전에 의하여 그 바깥둘레를 워크에 슬라이딩 접촉시켜 연삭을 행한다.
[제1 및 제2 칼럼]
도 2의 (a)는 제1 또는 제2 칼럼(10, 20)의 사시도, 도 2의 (b)는 도 2의 (a)의 W-W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다만, 제1 칼럼(10)과 제2 칼럼(20)은, Y축방향의 폭이 다른 점을 제외하고 동일 구조이므로, 이들 동일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도 2의 (a) 및 도 2의 (b)에 근거하여 함께 설명한다. 다만, 도 2의 (a) 및 도 2의 (b)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제1 칼럼(10)과 제2 칼럼(20)의 Y축방향의 폭이 동일하게 나타나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실제로는 제2 칼럼(20) 쪽이 Y축방향의 폭이 넓다.
제1 및 제2 칼럼(10, 20)은, 강재 등의 금속으로 일체적으로 주조(鑄造)된 내부중공의 지주이며, Y축방향으로부터 보아 대략 사다리꼴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1 및 제2 칼럼(10, 20)은, 천판부(11, 21)와, 바닥판부(12, 22)와, 제1 지주(13, 23)와, 제2 지주(14, 24)와, 브레이스(15, 25)를 구비하고 있다.
천판부(11, 21)와 바닥판부(12, 22)는, 모두 X축방향으로 길이가 긴 직사각형 판형상이며, 천판부(11, 21)보다 바닥판부(12, 22) 쪽이 길다. 또, 천판부(11, 21)와 바닥판부(12, 22)에는, 경량화를 위하여 직사각형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지주(13, 23)는, 천판부(11, 21)의 전단부와 바닥판부(12, 22)의 전단부를 연결하고 있고, 상방을 향함에 따라 약간 후방으로 경사져 있다. 또, 제1 지주(13, 23)는, 구형강(溝形鋼)과 유사한 구조이다. 즉, 제1 지주(13, 23)는, Y축방향의 양단부에 전체길이에 걸쳐 후방을 향하여 세워진 플랜지(131, 231)가 형성되어, 단면 ㄷ자형으로 되어 있다.
제2 지주(14, 24)는, 천판부(11, 21)의 후단부와 바닥판부(12, 22)의 후단부를 연결하고 있고, Z축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 제2 지주(14, 24)는, 구형강과 유사한 구조이다. 즉, 제2 지주(14, 24)는, Y축방향의 양단부에 전체길이에 걸쳐 전방을 향하여 세워진 플랜지(141, 241)가 형성되어, 단면 ㄷ자형으로 되어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크로스레일(32)에 대하여 새들(331) 및 주축헤드(332)는 전측에 장비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제1 및 제2 칼럼(10, 20)에 대한 크로스레일(32)의 지지하중은 전측으로 커진다. 이로 인하여, 제1 지주(13, 23)는, 제2 지주(14, 24)에 비하여 길이방향의 압축하중에 대한 강성이 높아지는 구조가 채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지주(13, 23)의 플랜지(131, 231)의 폭(지주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이 제2 지주(14, 24)의 플랜지(141, 241)보다 넓게 되어 있다.
다만, 제1 지주(13, 23)에 있어서 제2 지주(14, 24)보다 길이방향의 압축하중에 대한 강성을 높이는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조를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지주(13, 23)의 벽면두께나 플랜지(131, 231)의 두께를 두껍게 해도 되고, 제1 지주(13, 23)에 상하를 따른 리브를 마련해도 되며, 제1 지주(13, 23)에 보강재를 부착해도 된다.
브레이스(15, 25)는, 천판부(11, 21)의 전단부와 바닥판부(12, 22)의 후단부를 연결하도록, 상방을 향함에 따라 전방으로 경사져 있다. 또, 브레이스(15, 25)는, H형강과 유사한 구조이다. 즉, 브레이스(15, 25)는, Y축방향의 양단부에 전체길이에 걸쳐 전후 양방향을 향하여 세워져 형성된 플랜지(151, 25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가공장치(34)는, 숫돌(34a)이 주축헤드(332)의 하단부의 우단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연삭 시에 숫돌(34a)에 대하여 주축헤드(332) 전체가 좌방에 위치한 상태가 되므로, 좌방에 위치하는 제2 칼럼(20) 쪽이 제1 칼럼(10)보다 하중이 커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제2 칼럼(20)은, 제1 칼럼(10)에 비하여 상하의 압축방향의 강성이 높아지는 구조가 채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칼럼(20)의 Y축방향폭이 제1 칼럼(10)보다 넓게 되어 있다.
다만, 제2 칼럼(20)을 제1 칼럼(10)보다 상하의 압축방향의 강성을 높이는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조를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칼럼(10)에 비하여, 제2 칼럼(20)의 각 지주(23, 24) 또는 브레이스(25)의 벽면두께나 플랜지(231, 241, 251)의 두께를 두껍게 해도 되고, 각 지주(23, 24) 또는 브레이스(25)에 상하를 따른 리브를 마련해도 되며, 제2 칼럼(20)의 각 지주(23, 24) 또는 브레이스(25)나 플랜지(231, 241, 251)에 보강재를 부착해도 된다.
[제1 및 제2 칼럼의 브레이스와 주축헤드의 관계]
도 3은 제1 및 제2 칼럼(10, 20)의 브레이스(15, 25)와 주축헤드(332)의 관계를 나타내는 문형 공작기계(1)의 우측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칼럼(10, 20)의 브레이스(15, 25)는, 상방을 향함에 따라 전방으로 경사져 있다. 그리고, 문형 공작기계(1)를 크로스레일(32)의 길이방향(Y축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브레이스(15, 25)의 길이방향을 따른 그 연장선(e)과 교차하도록 주축헤드(332)가 배치되어 있다. 브레이스(15, 25)의 연장선(e)은, 플랜지(151, 251)의 폭방향의 중심위치를 통과한다.
또, 주축헤드(332)는, 새들(331)에 대하여 상하이동을 행한다. 도 3에 있어서, 실선의 주축헤드(332)는, 상하이동의 상한위치를 나타내고, 이점쇄선의 주축헤드(332)는, 상하이동의 하한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축헤드(332)가 상한위치부터 하한위치의 범위에서 승강을 행한 경우라도, 주축헤드(332)는, 브레이스(15, 25)의 연장선(e)과 교차하는 배치로 되어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의 기술적 효과]
문형 공작기계(1)에서는, 제1 칼럼(10) 및 제2 칼럼(20)의 각각에, 상방을 향함에 따라 크로스레일(32)에 대한 주축헤드(332)측(전측)으로 경사진 브레이스(15, 25)가 마련되어 있다.
크로스레일(32)에 대하여 주축헤드(332)가 전측에 지지되어 있는 경우, 각 칼럼(10, 20)에 대한 지지하중은 전측이 커지지만, 이와 같은 하중에 대하여 상기 방향으로 경사진 브레이스(15, 25)는 높은 강성을 나타낸다.
이로 인하여, 각 칼럼(10, 20)의 재료사용량을 줄여 장치의 경량화를 도모한 경우라도, 높은 강성을 얻을 수 있어, 각 칼럼(10, 20)의 휨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로써, 주축헤드(332)의 경사의 발생을 저감하여, 가공장치(34)의 숫돌(34a)을 적정한 방향으로 워크에 댈 수 있으므로, 가공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만, 상기 브레이스(15, 25)를 갖는 칼럼(10, 20)은, 예를 들면, 내부중공의 상자형상이며, 내부에 상하방향을 따른 볼록조의 리브(보강구조)를 마련한 일반적인 칼럼과 비교한 경우, 재료사용량을 절반정도로 저감(대략 절반으로 경량화)한 경우라도, 일반적인 칼럼과 동일한 정도의 강성을 얻을 수 있다.
또, 문형 공작기계(1)는, 제1 칼럼(10) 및 제2 칼럼(20)의 전측의 제1 지주(13, 23)가 제2 지주(14, 24)보다 강성이 높게 형성되어 있다.
제1 칼럼(10) 및 제2 칼럼(20)에 대하여, 크로스레일(32)에 대한 주축헤드(332)측의 강성을 높일 수 있어, 각 칼럼(10, 20)의 휨을 저감하여 가공정밀도의 추가적인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1 칼럼(10) 및 제2 칼럼(20)의 브레이스(15, 25)는, 모두, 단면 H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브레이스(15, 25)를 경량화하면서 강성을 높일 수 있어, 문형 공작기계(1)의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장치 전체의 추가적인 경량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문형 공작기계(1)에서는, 주축헤드(332)의 Y축방향에 있어서의 숫돌(34a)의 배치에 대응하여, 숫돌(34a)의 배치와 반대측의 제2 칼럼(20)이 제1 칼럼(10)보다 강성이 높게 형성되어 있다.
주축헤드(332)의 Y축방향에 대하여 숫돌(34a)을 편측(우측)에 배치한 경우, 주축헤드(332)의 대략 전체가 항상 숫돌(34a)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가공동작에 있어서, 좌측에 배치된 제2 칼럼(20)의 지지하중이 커지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하여, 제2 칼럼(20)의 강성을 제1 칼럼(10)보다 높게 함으로써, 가공동작 중의 기울기를 저감하여, 장치의 가공정밀도의 추가적인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2 칼럼(20)의 지지하중이 커지는 경우라도, 내하중을 높여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문형 공작기계(1)에서는, Y축방향으로부터 보아, 제1 칼럼(10) 및 제2 칼럼(20)의 브레이스(15, 25)의 연장선(e) 상과 교차하도록 주축헤드(332)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치의 경우, 크로스레일(32)에 대한 주축헤드(332)의 배치에 기인하는 지지하중에 대하여, 제1 칼럼(10) 및 제2 칼럼(20)의 브레이스(15, 25)는, 보다 효과적으로 높은 강성을 나타낸다.
또한, 주축헤드(332)가 상하의 가동범위 내의 어느 곳에 위치하는 경우라도, 주축헤드(332)가 브레이스(15, 25)의 연장선(e) 상과 교차하는 배치를 유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가공 시에 가공장치(34)가 승강을 행해도, 항상 높은 강성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가공장치(34)의 승강동작의 영향을 억제하여, 고정밀도로 가공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외]
상기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문형 공작기계(1)로서, 숫돌(34a)을 갖는 가공장치(34)를 구비하는 연삭반을 예시했지만, 문형이면, 가공장치의 가공의 종별에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축헤드(332)가 엔드밀이나 프라이즈헤드 등의 공구(34Aa)를 구비하는 가공장치(34A)를 지지하는 절삭반과 같은 문형 공작기계(1A)에 제1 및 제2 칼럼(10, 20)을 적용해도 된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가공장치(34)와 같이 숫돌(34a)의 회전축이 수평인 연삭반에 한정하지 않고, 회전축이 다른 방향을 향한 문형 공작기계나 회전축의 방향을 가변제어 가능한 문형 공작기계에 제1 및 제2 칼럼(10, 20)을 적용해도 된다.
또, 제1 칼럼(10) 및 제2 칼럼(20)은, 모두, 좌우의 측면이 개구되어 있지만, 개구가 없는 평판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 개구를 폐색하는 판재를 접합해도 되고, 커버를 마련해도 된다.
1, 1A 문형 공작기계
10 제1 칼럼
20 제2 칼럼
11, 21 천판부
12, 22 바닥판부
13, 23 제1 지주
14, 24 제2 지주
15, 25 브레이스
32 크로스레일
331 새들
332 주축헤드
34, 34A 가공장치
34a, 34Aa 숫돌(공구)
131, 141, 151, 231, 241, 251 플랜지
e 연장선

Claims (7)

  1. 천판부와 바닥판부를 구비하는 제1 칼럼 및 제2 칼럼과,
    상기 제1 칼럼 및 상기 제2 칼럼에 지지된 크로스레일과,
    상기 크로스레일에 지지된 주축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크로스레일에 대한 상기 주축헤드 측을 전방으로 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칼럼 및 상기 제2 칼럼의 각각의 상기 바닥판부의 후단부와 상기 천판부의 전단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크로스레일에 대한 상기 주축헤드측으로 경사진 브레이스가 마련되어 있는 문형 공작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칼럼 및 상기 제2 칼럼은, 모두, 상기 브레이스에 대하여 상기 크로스레일에 대한 상기 주축헤드측에 마련된 제1 지주와, 상기 브레이스에 대하여 상기 크로스레일에 대한 상기 주축헤드측과는 반대측에 마련된 제2 지주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주는, 상기 제2 지주보다 강성이 높게 형성되어 있는 문형 공작기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스는, 단면 H형인 문형 공작기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헤드에 있어서의, 상기 크로스레일의 길이방향의 일방의 단부측에 공구가 배치되고,
    상기 크로스레일의 길이방향의 타방의 단부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칼럼이, 상기 제1 칼럼보다 강성이 높게 형성되어 있는 문형 공작기계.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레일의 길이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제1 칼럼 및 상기 제2 칼럼의 상기 브레이스의 연장선과 교차하도록, 상기 주축헤드가 배치되어 있는 문형 공작기계.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칼럼 및 상기 제2 칼럼의 각각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브레이스가 직선의 형태로 뻗어 있는 문형 공작기계.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직선의 형태로 뻗어 있는 상기 브레이스에 의해서, 상기 제1 칼럼 및 상기 제2 칼럼의 각각의 측면에 2개의 개구가 구획되는 문형 공작기계.
KR1020180026285A 2017-03-28 2018-03-06 문형 공작기계 KR1024134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62240 2017-03-28
JP2017062240A JP6813406B2 (ja) 2017-03-28 2017-03-28 門型工作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682A KR20180109682A (ko) 2018-10-08
KR102413400B1 true KR102413400B1 (ko) 2022-06-24

Family

ID=63784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285A KR102413400B1 (ko) 2017-03-28 2018-03-06 문형 공작기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13406B2 (ko)
KR (1) KR102413400B1 (ko)
CN (1) CN108655756B (ko)
TW (1) TWI6588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79654B (zh) * 2018-10-25 2024-04-26 浙江登亿自动化设备股份有限公司 平面磨床的舱门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7291A (ja) 2008-08-04 2009-07-02 Sumitomo Heavy Ind Ltd ステージ装置
CN203542059U (zh) 2013-11-14 2014-04-16 济南星辉数控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数控三维雕刻机床龙门框架
CN105397501A (zh) * 2015-12-26 2016-03-16 沈正福 一种数控加工中心机架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0534A (ja) * 1994-11-25 1996-06-11 Toshiba Mach Co Ltd 工作機械のテーブル送り速度の増速装置
JPH1070252A (ja) * 1996-08-27 1998-03-10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286734A (ja) 1997-04-11 1998-10-27 Toshiba Mach Co Ltd 門形工作機械
JP5265401B2 (ja) * 2009-01-30 2013-08-14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門型工作機械
CN201455664U (zh) * 2009-07-08 2010-05-12 台州职业技术学院 一种卧式加工中心立柱
TWM392029U (en) * 2010-07-09 2010-11-11 Awea Mechantronic Co Ltd Beam column type crane machine center
CN203330698U (zh) * 2013-07-16 2013-12-11 大连理工大学 一种数控机床或加工中心的立柱结构
CN104369047B (zh) * 2014-10-16 2016-08-17 成都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龙门双立柱机床的平衡系统
CN104924084B (zh) * 2015-06-02 2017-04-26 东莞泽鑫数控机床有限公司 龙门车铣复合结构
CN205254549U (zh) * 2015-12-30 2016-05-25 浙江纳迪克数控设备有限公司 稳固的加工用中心立柱
TWM527803U (zh) * 2016-03-24 2016-09-01 Land America Health & Fitness Co Ltd 健身車車架雷射切割設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7291A (ja) 2008-08-04 2009-07-02 Sumitomo Heavy Ind Ltd ステージ装置
CN203542059U (zh) 2013-11-14 2014-04-16 济南星辉数控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数控三维雕刻机床龙门框架
CN105397501A (zh) * 2015-12-26 2016-03-16 沈正福 一种数控加工中心机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836756A (zh) 2018-10-16
KR20180109682A (ko) 2018-10-08
JP6813406B2 (ja) 2021-01-13
JP2018164952A (ja) 2018-10-25
CN108655756B (zh) 2020-12-22
CN108655756A (zh) 2018-10-16
TWI658894B (zh) 2019-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13569B2 (ja) 形彫放電加工装置
JP5823534B2 (ja) プログラム制御式工作機械
KR20120084909A (ko) 고강성 복합가공기
EP3045263B1 (en) Machine tool
CN110549201B (zh) 机床
WO2017056255A1 (ja) 工作機械
KR101324666B1 (ko) 공작기계
KR102413400B1 (ko) 문형 공작기계
WO2017056253A1 (ja) マシニングセンタ
JP2008036811A (ja) ステージ装置の移動体
JP7092339B2 (ja) 工作機械
KR101732993B1 (ko) 플레노 밀러
JP2017052223A (ja) ワイヤーソー装置
KR20110071178A (ko) 수평방향 이송구조가 개선된 문형 공작기계
JP2020049580A (ja) 工作機械
JP2015039734A (ja) 工作機械
JP6016568B2 (ja) 門形工作機械
JP3532133B2 (ja) ワークテーブル装置
JP6653338B2 (ja) 歯車研削装置
KR20200131921A (ko) 램 스핀들을 구비한 수평형 공작기계
JP5848988B2 (ja) 横型帯鋸盤
JP6731992B2 (ja) 工作機械
JP6042120B2 (ja) 超音波加工装置
CN220428866U (zh) 一种石材绳切装置
WO2023097545A1 (zh) 超轻型五轴铣削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