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1601B1 - 도축된 가금류의 내장 제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도축된 가금류의 내장 제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1601B1
KR102411601B1 KR1020177003958A KR20177003958A KR102411601B1 KR 102411601 B1 KR102411601 B1 KR 102411601B1 KR 1020177003958 A KR1020177003958 A KR 1020177003958A KR 20177003958 A KR20177003958 A KR 20177003958A KR 102411601 B1 KR102411601 B1 KR 102411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zzard
tool
body cavity
lifting
evisc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3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8834A (ko
Inventor
마르텐 레오나르두스 판 오스
바스티안 빌헬미나 요하네스 엘리제우스 요세푸스 드라벨스
로제르 피에르 후베르투스 마리아 클라센스
마르크 요한 할프만
Original Assignee
마렐 폴트리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렐 폴트리 비.브이. filed Critical 마렐 폴트리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70038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6Eviscerating devices for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BSLAUGHTERING
    • A22B5/00Accessories for use during or after slaughtering
    • A22B5/0005Eviscerating devices, e.g. removing rectum, anus, intestines, brain tissue, hypophysis

Abstract

항문 단부에서 개방되어 있는 사체의 체강 내에 내장 꾸러미(19)를 갖는 도축된 가금류의 사체(1)의 내장을 제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목 단부를 아래로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사체(1)를 유지하는 동작; 상기 개방된 항문 단부를 통해 내장 제거 도구(40)를 상기 유지된 사체의 체강 안에 집어넣는 동작; 그의 전단부가 적어도 간(15)을 넘어서까지 내장 꾸러미를 지나가도록 상기 전단부가 상기 체강의 가슴 측면(4)을 따라서 통과하는 상태에서 상기 내장 제거 도구를 상기 체강 안으로 더욱 깊숙이 삽입하는 동작; 및 상기 내장 제거 도구(40)를 인출하고, 그럼으로써 상기 체강 밖으로 내장 꾸러미(19)를 들어올리는 동작을 포함한다. 상기 개방된 항문 단부를 통해 상기 유지된 사체(1)의 체강 내로 삽입되는, 상기 내장 제거 도구(40)와는 구별되는,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60; 90)가 이용되며,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는 상기 모래주머니(14) 및/또는 상기 모래주머니에 결합 된 뱃살(17)을 파지하도록 동작하고 또한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는 모래주머니를 들어올림으로써 내장 꾸러미의 추가적인 부분(15, 16)을 함께 끌고 가도록 동작하고, 모래주머니의 상기한 들어올림 동작은 상기 내장 제거 도구(40)가 체강 내에 삽입될 때 내장 제거 도구의 전단부가 간(15)을 지나서 체강의 가슴 측면을 따라서 통과하기 전에 수행된다.

Description

도축된 가금류의 내장 제거를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evisceration of slaughtered poultry}
본 발명은 도축된 가금류의 내장 제거(evisceration)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금류 가공처리 공장에서, 도축된 깃털이 제거된 가금류는 도살된 사체의 체강(body cavity)으로부터 내장 꾸러미(viscera pack)를 제거하는 내장 제거 장치로 운반된다. 보통 체강은 항문 단부(vent end)에서 개방되는데, 그 항문 단부 개방은 내장 제거 장치의 상류에서 개별적인 항문 단부 개방 장치에 의해 또는 내장 제거 장치와 일체형인 항문 단부 개방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많은 통상적인 내장 제거 방법들에 있어, 사체는 목 단부가 아래로 향하는 방향으로, 예를 들면, 대략 수직 방향으로 유지되거나 아니면 경사진 방향으로 유지된다. 이러한 목 단부가 아래로 향하는 방향은 항문 쪽이 아래로 향하는 방향보다 더 실용적이다. 후자의 방향의 경우는 내장 꾸러미(또는 그의 부위)가 체강으로부터 대책 없이 쏟아지게 하거나 쏟아지도록 만들 수도 있는데, 목 끝이 아래로 향하는 방향이 활용되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거나 거의 그렇지 않다. 또한, 항문 단부가 아래쪽으로 향하는 방향은, 사체가 보통 그의 다리에 매달려 운반되기 때문에, 더욱 복잡한 유지 구조의 내장 제거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항문 쪽이 아래로 향하는 방향의 예는, 예컨대, 미국특허 6328645호에서 찾아볼 수 있다.
통상의 내장 제거 방법들에 있어서, 내장 제거 도구는 개방된 항문 단부를 통해 유지되어 있는 사체의 체강 내로 삽입된다. 상기 내장 제거 도구는 그의 전단부가 적어도 간을 넘어서 보통 심장 아래까지 내장 꾸러미를 통과하도록, 예를 들면, 내장 제거 도구의 전단부에 있는 클램프에 의하여(그것이 존재한다면) 목 단부에 인접한 식도를 꽉 잡도록(클램프), 체강의 가슴 쪽을 따르는 경로로 체강 내로 더 깊숙이 들어간다. 이어서, 내장 제거 도구가 인출되고, 이에 의해 내장 꾸러미가 체강 바깥으로 꺼내진다.
상기 내장 꾸러미의 자동화된 제거를 위한 내장 제거 장치의 초기의 예는 미국특허 3798708호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내장 제거 도구는 체강 내로 삽입되고, 내부 장기들의 손상을 회피하기 위해 그 체강의 가슴 쪽을 따라서 포물선을 그리면서 통과한다. 상기 특허의 도 15 및 16을 참조하면, 내장 제거 도구는 그 도구의 전단부를 형성하는 만곡부(bight)에 의해 연결된 평행한 다리들을 갖는 루프로서 구현되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내장 제거 도구는 목 단부 가까이에 체강에서 깊숙이 위치한 허파에 그 만곡부가 도달할 때까지 체강 내로 삽입된다. 이어서, 내장 제거 도구는 척추를 따라서 인출되고 이 과정에서 내장과 내장 꾸러미의 나머지 부위가 상기 도구의 다리들 사이에 가둬진다. 추가적인 인출 동작에 의해 체강으로부터 전체 내장 꾸러미가 제거되도록 한다.
미국특허 US3798708호와 동일한 양수인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US4019222호에서는, 루프 형의 내장 제거 도구에 추가하여, 내장 제거 장치에 전위(proventriculus)를 파지하기 위한 도구가 제공된다. 상기한 루프 형의 내장 제거 도구는 가슴 측면을 따라서 체강 내로 깊게 삽입되어 내장기관들 대부분의 아래에 도달하고, 이어서, 등을 향해 이동된다. 내장 제거 도구의 인출 동작에 의해, 상기 루프의 만곡부는 위로 당겨져서 내장의 밑바닥에 도달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루프는 상기 전위 도구가 체강의 등을 따라서 통과하여 그 전위 부위 아래에 도달하는 동안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다음에는, 이 도구의 혀(tongue) 부분이 위로 젖혀져, 상향 이동으로 이 혀 부분은 전위 부위에 기대어 자리를 잡는다. 이것은 체강으로부터 양자의 도구들의 동시적인 인출 동작에 의해 후속된다.
또 다른 종래기술의 가금류 내장 제거의 예가 미국특허 US3879803호에 개시된다. 여기서, 제1단계의 과정은 포물선을 그리는 경로로 주걱(spatula)과 내장 제거 도구를 체강 내로 삽입하는 동작을 수반한다. 상기한 삽입의 초기 과정에서, 주걱은 내장 제거 도구 앞에서 진행한다. 상기 주걱은 모래주머니(gizzard, 사낭)를 지나서 가슴 측으로부터 간과 염통을 분리하고 이어서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어서, 상기 내장 제거 도구는 체강 내로 더 깊숙이 삽입되어 상기 내장 제거 도구의 전단부가 식도에 맞물리도록 사체의 등을 향해 경사지게 한다. 그 다음에는, 내장 꾸러미가 체강에서 제거되도록 상기 도구가 인출된다. 미국특허 US3879803호는 특히, 이러한 접근 방식으로 달성되는 이점들 중의 하나가 간 손상의 감소인 것을 개시하고 있다.
신선한 간은 쉽게 손상되는 다소 취약한 기관이다. 손상되지 않은 간은 상당한 경제적 가치를 가지며, 이러한 손상의 감소는 가금류의 식육 산업에서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손상된 간은 애완동물 사료 성분 등으로 사용되지만, 손상되지 않은 간은 사람의 식용으로서 판매된다.
미국특허 US5186679호에서 C자 형상의 브레이스(brace: 죔쇠)를 갖는 내장 제거 도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브레이스의 전면 또는 하부 단부들은 허파의 영역에 이르기까지 가슴 측면을 따라서 체강 내로 삽입된다. 이들 단부들은 도축된 가금류 사체의 목 단부에 인접한 식도에 대해 클램프를 형성하도록 구현된다. 간 손상을 방지하는 문제는 미국특허 US5186679호에서도 다루어지고 있다. 일단 브레이스가 간을 통과하고 나면, 그의 클램핑 위치로 상기한 C자형 브레이스를 단지 이동시킴으로써 간 손상이 방지된다.
또 다른 내장 제거 방법 및 장치가 국제특허공개 WO97/25872호에 개시된다. 여기서는, 내장 제거 도구는 그 전단부가 체강의 후방 벽에 대해 식도를 압박할 때까지 가슴 측면을 따라서 체강 내로 삽입되어 밑으로 계속 이동한다. 이 장치에는 모이주머니(crop)를 해체하기 위한 부가적인 도구가 제공되는데, 이 도구는 사체의 목 단부를 통해 삽입된다.
국제특허공개 WO01/52659호에서는 그의 전단부에 하나 또는 다수의 이동형 클램핑 턱(clamping jaw) 부분들을 구비하는 내장 제거 도구가 개시된다. 상기 도구는 그 전단부가 염통 아래에서 식도에 도달할 때까지 가슴 측면을 따라서 체강 내로 삽입된다.
기존의 내장 제거 방법 및 장치들의 또 다른 예가 유럽특허 EP 1 011 341호에 개시되는데, 여기서 내장 제거 도구는 스푼 부재(spoon member)와 파지기(grabber) 부재 양자를 포함한다. 후자는 식도를 움켜쥐도록 구성된다. 스푼 부재는 내장 제거 과정에서 원하는 연속 동작을 달성하도록 파지기 부재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유럽특허 EP 1 493 335호에는, 사체가 내장 제거 장치 앞으로 운반되기 전에, 개방된 가금류 사체에 대해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뱃살 유지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뱃살 유지 장치는 사체의 체강 내에 삽입되는 긁어내기(scraping) 도구를 활용한다. 이 긁어내기 도구는 먼저 체강 내로 삽입되고, 이어서 상향의 동작을 수행하며, 이로써 모래주머니와 뱃살 간의 결합이 끊어지도록 하는 모래주머니를 따라서 긁어내기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향의 긁어내기 동작에서 모래주머니와 뱃살이 함께 끌려가는 것을 방지하고, 그럼으로써 체강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 부위들이 체강 내에 유지되도록 하는 중앙부 브레이스(centering brace)가 제안된다.
종래기술의 내장 제거 방법 및 장치들은 간에 미치는 손상의 관점에서 불만족스러운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에, 내장 제거 장치들의 동작 속도는 매우 높고 수확되는 간의 손상으로 인한 손실은 30 내지 60퍼센트 범위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장 제거 과정에서 간 손상의 감소를 가능하게 해주는 해결책들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예를 들어, US5186679, WO97/25872, WO01/52659, 및 EP 1 011 341에 개시된 것과 같은, 삽입 과정 중에, 체강의 가슴 측면을 따라서 간 부위를 지나서 이동되는 기존의 현재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내장 제거 도구들과 용이하게 조합될 수 있는 해결책들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내장 제거(eviscerating)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개방된 항문 단부를 통해 상기 유지된 사체의 체강 내로 삽입되는, 상기 내장 제거 도구와는 구별되는,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gizzard pre-lifting) 도구를 이용하되,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는 모래주머니 및/또는 모래주머니에 결합 된 뱃살(belly fat)을 파지하도록 동작하고, 또한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는 모래주머니를 들어올림으로써 간을 포함하는 내장 꾸러미의 추가적인 부분을 함께 끌고 가도록 동작하고, 상기 모래주머니의 상기한 들어올림(리프팅) 동작은 상기 내장 제거 도구가 체강 내에 삽입될 때 내장 제거 도구의 전단부가 간을 지나서 체강의 가슴 측면을 따라서 통과하기 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래주머니 그 자체 및/또는 그것에 결합 된 뱃살을 파지함으로써, 상기한 전용의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에 의한 모래주머니의 파지 및 프리-리프팅 동작은 간도 포함하는 내장 꾸러미의 추가적인 부분을 함께 끌고 가되, 이것은 간에 치명적인 손상을 야기하지 않고 간을 지나 가슴 측면을 따라서 내장 제거 도구의 추후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체가 목이 아래로 향하는 방향에서 그의 항문 단부가 개방된 상태로, 내장 꾸러미는 체강 내부로 효과적으로 내려 앉아 있고 체강의 목 측면은 하방으로 목이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을 효과적으로 갖는 것이 설명된다. 모래주머니와, 내장 꾸러미의 간을 포함하여, 그와 함께 딸려가는 부분을 전용으로 파지(grasping)하고 들어올림(리프팅)으로써, 이러한 내려앉음 효과("sinking down effect")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보상되며, 그럼으로써 내장 제거 도구는 나중에 내장 꾸러미로부터 저항(이것이 존재한다면)이 더 작게 또는 그와 접촉이 덜하게, 그리고 더 용이하게 체강 내로 깊숙이 가슴 측면을 따라서 아래로 통과될 수가 있다. 특히, 내장 꾸러미의 가슴 측면에 위치한 연약한 간은 간 손상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이 인정될 때 이러한 접근 방식으로부터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이러한 접근 방식으로부터 염통의 손상의 감소가 초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접근 방식은, 내장 제거 도구가 가슴 측면을 따라서 삽입하는 동작의 끝을 향해 또는 그 후에, 예를 들면, 전체의 내장 제거 도구 또는 그의 전단부 또는 다른 부분, 예컨대, 이동형의 전단부로써, 예를 들어, 상기한 도구 전체를 식도 쪽으로, 예컨대, 사체의 등 쪽으로 기울임으로써, 염통 아래에서 식도를 움켜쥐는 파지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 특히 이점을 갖는 것으로 여겨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방법들과 장치들은 당해 기술에서 알리어져 있다. 모래주머니와 내장 꾸러미의 함께 끌려가는 부분의 종래의 전용의 프리-리프팅 때문에, 상기 내장 제거 도구에 의한 이러한 파지 동작은 그 내장 꾸러미의 간과 염통 부위에 과도한 압박을 야기하지 않거나 단지 제한된 방식으로만 야기하며, 이렇게 함으로써 간 및/또는 하나 또는 다수의 다른 기관들의 손상 가능성의 감소가 달성된다.
본 발명은 주로 닭의 내장 제거를 위해 제안되지만, 다른 가금류, 예컨대 오리에 대해서도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래주머니 그 자체 및/또는 모래주머니에 결합 된 뱃살을 파지함으로써 모래주머니를 들어올리는 것을 제안한다. 모래주머니는 프리-리프팅 도구에 의해 효과적으로 목표가 될 수 있는 강인한 기관이다. 그의 고유의 강도 때문에, 모래주머니는 쉽게 손상될 수 없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여러 실시 예들에 있어서, 가금류의 자동화 내장 제거에서 현재 보편적인 높은 속도로 수행될 수 있는 차라리 견고한 파지상태(grasp)를 가능하게 해준다.
실제의 실시예들에 있어, 모래주머니는 체강의 개방된 항문 단부 내로, 위로부터 관찰할 때, 창자의 일부에 의해 덮일 수도 있다. 상기한 프리-리프팅 도구가 체강 내로 삽입되어 모래주머니에 도달하게 될 때, 창자는 그의 유연성 덕분에 상기 도구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되며, 그 창자는 손상되지 않게 유지될 것인데, 그렇게 함으로써 바람직하지 않은 소화 물질이 쏟아지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는 모래주머니를 파지하고 들어올리는 것에 전용이기 때문에, 체강 안으로 그것의 삽입은 내장 제거 도구의 최대 삽입 깊이보다 더 작은 얕은 깊이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내장 제거 도구의 삽입은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가 간에서 벗어나게 위치하고 간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간을 따라 통과하지 않도록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리-리프팅 도구는 그것의 전단부가 모래주머니와 간 사이의 깊이만큼 이동하도록, 예컨대, 사체의 목이 아래로 향하는 방향에서 고려할 때 모래주머니 바닥을 바로 지나거나 그의 높이로 이동하도록 삽입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는 모래주머니를 들어올려 사체의 가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예컨대, 사체의 등 쪽의 위치로 모래주머니를 이동시키도록 동작한다. 모래주머니를 사체의 등 쪽으로 또는 그것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간을 지나서, 또한 바람직하게는, 염통을 지나는 것을 포함하여, 내장 꾸러미를 지나서 가슴 측면을 따라 내장 제거 도구의 삽입이 더욱 촉진되고 또한 간 손상의 추가적인 감소가 뒤따른다.
모래주머니의 프리-리프팅은 상기 프리-리프팅 된 모래주머니가 체강 내부에 여전히 존재하도록, 따라서 체강 밖으로 이동되지 않고, 예를 들면, 모래주머니의 상부에서의 창자의 일부가 체강 바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 상기한 프리-리프팅은 모래주머니가 완전히 체강 밖에 있도록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장 제거 도구의 인출 중에,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는 인출 동작에서 내장 제거 도구와 함께 이동이 이루어지며, 따라서 모래주머니와 내장 꾸러미의 함께 딸린 부분을 더욱 들어올리도록 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인출 동작 중 내장 꾸러미에 놓이는 압박의 바람직한 감소를 야기할 수도 있는데, 이것은 간이 아닌 내장 꾸러미의 하나 또는 다수의 기관들, 예컨대, 염통, 전위(proventriculus) 등의 완전한 상태에 유익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수확 가능한 기관들의 관점에서 내장기관의 수확을 더욱 향상시켜준다. 그것은 또한, 예를 들어, 내장 제거 도구의 전단부에 식도를 잡아채는 클램프가 제공되거나 구현될 경우, 두 가지의 위치에서 신뢰성 있게 맞물려 있는 내장 꾸러미 덕분에 내장 제거 속도의 증가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의 또 다른 이점은 모래주머니가 체강으로부터 인출될 때 미리 결정된 위치에 프리-리프팅 도구에 의해 유지되며, 이것은 하류 측의 내장 꾸러미 컨베이어, 예를 들면, 내장이 검사되는 검사 스테이션으로 안내되는 내장 꾸러미 컨베이어에 내장 꾸러미를 이송하는 가능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프리-리프팅 도구는 인출 동작 중 모래주머니 및/또는 그 모래주머니에 결합 된 뱃살의 파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현되고 동작한다.
여러 가지의 종래기술의 장치들로부터 알려진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내장 제거 도구의 전단부는 그 내장 제거 도구를 인출하기 전에 식도를 파지하며, 예를 들면, 여기서 상기 내장 제거 도구의 전단부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이동형 식도 클램프 턱(gullet clamp jaw)들을 갖는 식도 클램프가 제공된다. 이것은 내장 꾸러미의 완전한 제거의 측면에서 유리할 수도 있다.
실제의 실시예에 있어서,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는 모래주머니를 포획하도록 구현되는 모래주머니 스푼(gizzard spoon)을 포함한다. 상기 모래주머니 스푼은 모래주머니의 가슴 측면에서 체강에 진입되고, 이어서 체강의 등 쪽을 향해 이동되어 모래주머니를 들어서 포획하도록 하며, 이로써 간을 포함하는 내장 꾸러미의 추가적인 부분을 함께 끌고나가게 된다. 상기 스푼은 바람직하게는 모래주머니를 포획하도록 형상이 이루어진 단단한 부재로서 구현된다. 이것은 프리-리프팅 도구 상에 어떠한 이동형 부분들을 생략하는 것, 예를 들면, 어떠한 클램프 등을 없애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것은 간단한 구조와 고속의 동작을 가능케 한다. 상기한 스푼은, 예를 들면, 통상적인 테이블 스푼과 유사한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원한다면, 상기 스푼은 스푼의 표면에 하나 또는 다수의 개구들, 예를 들면, 스푼이 루프 형상의 스푼을 효과적으로 형성하도록 하는 중앙 개구부를 가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는 모래주머니 및/또는 모래주머니에 결합 된 뱃살을 꼭 쥐도록 동작하는 클램프를 포함한다.
스푼이나 클램프 대신에, 상기 프리-리프팅 도구는 다른 방식으로 모래주머니 및/또는 모래주머니에 결합 된 뱃살을 꼭 쥐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리-리프팅 도구는 모래주머니 및/또는 결합 된 뱃살 아래에 걸쳐져 있는 루프를 갖는 브라켓(bracket), 모래주머니 및/또는 결합 된 뱃살을 맞물리는 후크(hook) 또는 창(spear), 흡입에 의해 모래주머니 및/또는 결합 된 뱃살을 포획하는 흡입기 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실제의 실시예에서,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의 클램프는 좌측 클램프 부재 및 우측 클램프 부재를 포함하되, 각각의 클램프 부재는 전단부를 가진다. 상기 클램프 부재들은 사체의 가슴에 마주하는 모래주머니의 측면을 따라 체강 내로, 바람직하게는, 그의 전단부들이 모래주머니를 넘어서, 예컨대, 모래주머니 바로 아래로 통과하는 깊이까지 삽입된다. 일단 적절한 깊이로 삽입되어, 예를 들어, 모래주머니의 바닥의 높이에서 파지(grasping) 동작을 수행하고 나면, 좌측 클램프 부재는 모래주머니의 좌측면을 따라 통과하고 그리고 우측 클램프 부재는 모래주머니에 대해 클램핑 위치로 사체의 등을 향해 (위로부터 관찰할 경우) 우측면을 따라서 통과한다. 원한다면, 이러한 통과 동작들은 프리-리프팅의 어떤 수직 동작과 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클램프 위치에서, 상기 클램프 부재들은 모래주머니 및/또는 모래주머니에 결합 된 뱃살의 후방 부분이 상기 클램프 부재들 사이에서 꽉 물려지도록 서로에 대해 이동된다. 이어서, 상기 프리-리프팅 도구는 여기서 기술한 것과 같이 모래주머니를 들어올리도록 동작한다.
실제의 실시예에서, 프리-리프팅 도구의 클램프 부재들은 모래주머니에 결합 된 뱃살이 꽉 물려지게 되도록 클램핑 위치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반면에 상기한 이격된 공간은 클램프 위치에서 클램핑 부재들 사이에 창자가 손상되지 않고 통과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이것은 상기한 클램핑 동작이 어떤 창자의 파열을 야기할 위험성을 회피케 하거나 경감시킨다.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의 사용은 상기 도구의 적절한 디자인과 동작에 있어 모래주머니에 결합 된 뱃살이 자연스럽게 오히려 강하게 결합 되어 있는 모래주머니로부터 풀리도록 하기 위해 또한 활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래주머니에 인접한 뱃살을 국부적으로 찢고 그리고/또는 모래주머니와의 결합을 찢는 것에 의한 이러한 느슨해지는(loosening) 현상은 예를 들면, 상기 클램프 부재들이 모래주머니의 반대편 측면들을 따라서 지나가고 있을 때, 모래주머니의 파지의 과정 중에 고의적으로 야기될 수도 있다.
상기한 느슨해지는 현상은 또한, 프리-리프팅 도구의 부재들을 모래주머니의 마주하는 측면들을 따라서 가슴을 마주하는 측면으로부터 그의 등을 마주하는 측면으로 지나가게 함으로써, 뱃살이 당겨져서 모래주머니로부터 파열 및/또는 해체되도록 모래주머니의 등 측면에서 상기 부재들에 의해 뱃살을 파지하는 것에 의해 후속되는 동작에 의해 달성되거나 또는 진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뱃살을 꼭 집는(pinching) 동작은 원한다면, 모래주머니의 프리-리프팅 과정 후에, 또는 심지어는 상기 프리-리프팅 도구와 내장 제거 도구 양자에 의해 체강으로부터 내장 꾸러미의 인출 과정 후에 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리-리프팅 도구는 프리-리프팅 과정 후에 모래주머니 또는 결합 된 뱃살에 파지상태를 유지하도록 구현되는데, 추가적인 과정에서 그 뱃살에 힘이 인가되어 파열하거나 그리고/또는 모래주머니로부터 풀리게 되는 일종의 당기는(pulling) 동작이 수행되어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프리-리프팅 도구는 모래주머니에 결합 된 뱃살을 꽉 쥐도록 구현되고, 이어서 모래주머니는 잡아 당겨짐으로써 모래주머니로부터 뱃살이 원하는 대로 느슨하게 풀리게 된다. 예를 들어, 추가적인 모래주머니 정지 부재(stop member)가 사용되는데, 상기 프리-리프팅 도구는 모래주머니가 상기 정지 부재에 의해 억제되고, 따라서 전술한 잡아당기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상기 모래주머니 정지 부재에 대해 어떤 동작을 수행하는 상태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정지 부재는 수축 위치와 활성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배열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모래주머니 정지 부재는 내장 제거 도구, 예컨대, 그 내장 제거 도구의 전단부에 형성되거나 그에 의해 형성되며, 여기서 상기 전단부는 뱃살을 유지하는 프리-리프팅 도구로부터 모래주머니를 이격되게 압박하도록 사용된다.
상기 프리-리프팅 도구는 프리-리프팅 동작 후에 모래주머니에 대해 그것의 파지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뱃살 안쪽으로 절단하거나 그것을 통해 절단하는 뱃살 커터의 근방에, 바람직하게는, 사체에 가능한 한 많은 뱃살을 유지하도록 모래주머니 근처에 모래주머니를 가져오는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는, 예컨대, 긁어내기(scraping) 동작에서는, 모래주머니의 파지 중에 그 모래주머니의 외부를 지나서, 예컨대, 클램프 부재들의 동작 중에는 그의 클램핑 위치를 향해 이동되는, 이동형 부재, 예컨대, 전술한 것과 같은 하나 또는 다수의 이동 가능한 클램프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클램프 부재들이 상기 클램프 위치에서 모래주머니의 후방 측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그의 동작 중, 모래주머니를 지나서 상기 클램핑 위치를 향해 이동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클램프 부재들을 구비하는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를 이용하는 것은, 모래주머니에 결합 된 뱃살에 대하여 상기 동작 중 상기 클램프 부재(들)에 의해 가해지는 힘은 상기 뱃살이 모래주머니에서 풀리거나 그리고/또는 찢어지게 되도록 만드는 효과를 갖도록 활용될 수도 있다. 이것은 사체에 대한 모래주머니의 연결을 효과적으로 약하게 하는데, 그것은 뱃살이 사체에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고 따라서 사체의 중량에 추가되므로, 예컨대, 내장 꾸러미에 가해지는 압력(strain)의 관점에서 그리고/또는 수확량의 관점에서, 체강으로부터 내장 꾸러미의 추후의 인출 동작 중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실제의 실시예에 있어서, 목 단부를 아래로 향하는 방향으로 사체를 유지하는 동작은 사체의 항문 단부에서 다리들 사이에 삽입된 스프레더 브라켓(spreader bracket)에 의해 사체의 다리들을 벌려진 위치에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리-리프팅 도구는 내장 제거 도구가 체강 내에 들어가기 전에 모래주머니를 파지하고 들어올리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리-리프팅 도구는 이어서 사체의 등 쪽으로 모래주머니를 또한 이동시킨다. 그럼으로써 상기 프리-리프팅 도구는, 예를 들면, 내장 제거 도구가 창자와 충돌하지 않거나 거의 충돌하지 않도록 프리-리프팅 도구는 대부분 경우 체강의 가슴 측면으로부터 떨어지게끔 창자를 함께 끌고 갈 수도 있기 때문에, 체강 안으로의 내장 제거 도구의 용이한 접근을 형성한다. 이것은 창자에 대해 손상을 회피하고 동작 속도의 증가를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특허청구범위 제12항에 따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상기 내장 제거 도구와는 구별되는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 및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 구동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 및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 구동장치는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가 상기 개방된 항문 단부를 통해 유지된 사체의 체강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는 상기 모래주머니 및/또는 상기 모래주머니에 결합 된 뱃살을 파지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또한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는 모래주머니를 들어올림으로써 간을 포함하는 내장 꾸러미의 추가적인 부분을 함께 끌고 가도록 동작 가능하되,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 구동장치는 상기 내장 제거 도구가 체강 내에 삽입될 때 상기 내장 제거 도구의 전단부가 간을 지나서 체강의 가슴 측면을 따라서 통과하기 전에 모래주머니의 상기한 리프팅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는 내장 제거 도구의 인출 동작 중 상기 모래주머니 및/또는 모래주머니에 결합 된 뱃살의 파지상태를 유지하도록 구현되며, 인출 동작 중 내장 제거 도구와 함께 이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장 제거 도구의 전단부는 그 내장 제거 도구를 인출하기 전에 식도를 파지하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면, 내장 제거 도구의 전단부에는 식도 클램프가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는 모래주머니를 포획하도록 구현된 모래주머니 스푼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는 상기 모래주머니 및/또는 모래주머니에 결합 된 뱃살을 움켜쥐도록 동작 가능한 클램프를 포함한다. 실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의 클램프는 좌측 클램프 부재 및 우측 클램프 부재를 포함하되, 각각의 클램프 부재는 전단부를 갖는다.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 구동장치는, 상기 클램프 부재들이 사체의 가슴에 면하는 모래주머니의 측면을 따라 체강 내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단부들이 모래주머니를 넘어서 통과하는 깊이까지 삽입되며, 그 후에 상기 좌측 클램프 부재는 모래주머니의 좌측면을 따라 통과하고 그리고 우측 클램프 부재는 모래주머니에 대해 클램핑 위치로 사체의 등을 향해 (위로부터 관찰하는 경우) 우측면을 따라서 통과하도록 구현된다. 상기 클램프 위치에서, 상기 클램프 부재들은 모래주머니 및/또는 모래주머니에 결합 된 뱃살의 후방 부분이 상기 클램프 부재들 사이에서 꽉 물려지도록 서로에 대해 이동되었다.
더 발전적인 형태로는, 상기 클램프 부재들은 상기 모래주머니에 결합 된 뱃살이 꽉 물리도록 클램핑 위치에서 서로 이격되는 한편, 상기 이격된 공간이 상기 클램핑 위치에서 상기 클램프 부재들 사이에 창자가 손상되지 않고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는 하나의 부재, 예를 들면, 하나 또는 다수의 이동형 클램프 부재들을 포함하되, 이것들은 모래주머니의 파지 도중에, 예컨대, 그의 클램핑 위치를 향하여 하나 또는 다수의 클램프 부재들의 이동 중에, 상기 모래주머니를 지나서 이동하도록 되며, 이로써 상기 모래주머니에 결합 된 뱃살에 대하여 상기한 동작 중에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부재들에 의해 인가되는 힘들은 상기 뱃살이 모래주머니로부터 풀어지거나 또는 찢어지게 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지 조립체(retention assembly)는 사체의 다리들을 펼쳐진 위치에 유지하도록 사체의 다리들 사이에 삽입되는 스프레더 브라켓(spreader bracket)을 포함한다.
이하, 비-한정적인 방식으로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있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다리가 컨베이어 걸쇠(shackle)에 매달린 상태에서 내장이 제거될 가금류, 여기서는 닭의 일례를 투시도로 도시한다.
도 2는 내장이 제거될 닭의 사체를 단면으로 예시한다.
도 3a-3j는 도 1의 장치로써 수행되는 내장 제거의 여러 가지의 단계들을 예시한다.
도 4a 및 4b는 개방된 위치와 클램핑(clamping) 위치에서 내장 제거 도구의 전면 측에서의 식도 클램프를 예시한다.
도 5a 및 5b는 식도를 클램핑 하는 과정에서의 식도 클램프를 예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다리가 컨베이어 걸쇠에 매달린 상태에서 내장이 제거될 가금류, 여기서는 닭의 또 다른 일례를 투시도로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pre-lifting) 도구가 체강 내부로 진입한 것을 예시한다.
도 8은 여기서는 보이지 않는 모래주머니의 각각의 측면들을 따라 도 6의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의 좌측 및 우측 클램프 부재(clamp member)들이 통과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9는 모래주머니가 들어 올려지고,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에 의해 사체의 후방으로 이동된 경우의 모래주머니를 나타내는 상황을 예시한다.
이하, 도 1 내지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축된 가금류의 내장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의 두 가지의 실시예들이 기술될 것이다.
이러한 예들에서 가금류는 닭이지만, 본 발명은 다른 가금류, 예컨대, 오리에도 또한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것과 같은 가금류 걸쇠(poultry shackle)( 32 )에 유지되거나 그 다리들에 의해 매달려 있는 도축 되고 깃털이 제거된 닭(1)을 측면도로 도시한다.
본 발명에 대해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2는 목이 아래로 배치된 방향으로 도축된 닭(1)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2는 여기에 논의되는 것과 같은 기관들의 그 체강(body cavity) 내에서의 위치와 그 사체를 도시한다. 도 2는 다리가 매달려 있는 동안 도축된 닭을 냉동시키고 그 냉동된 닭을 반으로 절단함으로써 획득된 것이다.
도 2에서, 닭 사체의 후술하는 부위들에는 하기와 같이 참조번호들이 제공된다:
- 다리(leg): 3
- 체강의 가슴 측면(breast side 4 of body cavity): 4
- 가슴 필레 살(breast fillet meat): 5
- 척추골(vertebra): 6
- 체강의 등 측면(back side of body cavity): 7
- 체강의 항문 단부(vent end of body cavity): 8
- 항문 또는 배설강(vent or cloaca): 9
- 체강의 목 단부(neck end of body cavity): 10
- 목(neck): 11
- 창자(intestines): 12
- 모래주머니(gizzard): 14
- 간(liver): 15
- 염통(heart): 16
- 뱃살(belly fat): 17
- 식도(gullet): 18.
모래주머니(14)는 여기서는, 예컨대, 씨앗 등의 모이 잔여물들이 여전히 그 모래주머니에 존재하는 상태로 묘사되어 있다.
체강 내부의 기관들의 전체는 참조번호 19로써 내장 꾸러미(viscera pack)로 지칭된다.
도축된 사체는 그 사체(1)의 체강(body cavity) 내에 내장 꾸러미(19)를 갖는다. 상기한 사체는 그 사체의 등이 상기 장치의 방향으로 향할 때, 도 1 및 2의 우측에 가슴(5)을 가진다. 체강은 도 1, 2 및 3에서 그 체강의 우측과 좌측에 해당하는 가슴 측면(4)과 등 측면(7)을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닭은 목이 아래로 향하는 방향으로 유지되며, 이로써 항문(9)이 위치하거나 위치하였던 항문 단부(8)는 체강의 맨 위쪽에 그리고 목 단부(10)는 체강의 하단부에 존재한다.
도 2는 항문 단부 측이 아직 닫혀있는 상태의 사체(1)를 도시한다. 당해 기술에서 통상적인 것처럼, 체강은 항문 단부에서, 예컨대, 내장 제거 과정이 시작되기 전에 상류 측의 항문 개방 장치에 의해 개방될 것이다. 이러한 항문 개방(20)은 도 1에서 부분적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장치(30)는 목 단부가 아래로 향하는 방향으로 사체(1)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유지 조립체(retention assembly)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유지 조립체는 가금류 걸쇠(poultry shackle)(32)뿐만 아니라, 선택적으로는, 하나 또는 다수의 다리 스프레더 브라켓(spreader bracket)(33), 닭의 측면들에 대해 맞물리게 되는 측면 안정구(lateral stabilizer)(34)들, 및 사체의 등 쪽을 지지해주는 등 지지용 브라켓(35)을 포함한다. 상기한 유지 조립체는 상이한 실시예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장치(30)는, 예를 들면, 종래기술에서 알리어져 있는 것과 같은, 내장 제거 도구(evisceration tool)(40) 및 내장 제거 도구 구동장치(evisceration tool drive)(50)을 포함한다.
여기에 도시된 예에서, 상기 내장 제거 도구(40)는 그 도구(40)의 전단부에 식도 클램프(gullet clamp)(41)를 포함하는 국제특허공보 WO01/52659호에 도시된 것과 같이 대체로 구현된다. 상기 도구(40)의 후단부 또는 상단부는 상기 장치의 안내 구조체(43)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한 구동장치의 도구 캐리어(42)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도구(40)는 사체의 등 쪽을 향해 그리고 그로부터 이격되게 그 도구(40)의 회전 동작을 가능하게 하도록 수평 회전축(44)을 중심으로 상기 캐리어(4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실제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구(40)의 회전 동작뿐만 아니라 상하 동작 모두 상기 도구 구동장치의 캠 트랙 메커니즘에 의해, 여기서는 상하 운동을 위해서는 캠 트랙 팔로워(51)로써 그리고 상기 도구(40)의 경사 동작을 위해서는 캠 트랙 팔로워(52)로써 제어된다. 추가적인(미도시) 캠 트랙 팔로워가 클램프(41)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장치(30)는, 바람직하게는, 그것의 주변에 다수의 유사한 장치들(30)이 배열된 회전식 기계(carousel machine)에 일체화 된다.
예컨대, 종래기술과 같이, 상기 도구(40)의 경사(tilting) 동작과 상하(up and down) 동작의 조합은, 아래에서 설명되듯이, 꽉 물리게(클램프) 될 식도(18) 부위를 향해 식도 클램프(41)의 동작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체강 내부 깊숙이 상기 도구(40)를 집어넣은 동안 체강의 가슴 측면(4)의 윤곽을 대체로 따르는 경로를 활용 가능하게 한다.
당해 기술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 내장 제거 도구(40) 및 내장 제거 도구 구동장치(50)는, 상기 내장 제거 도구(40)가 개방된 항문 단부(8)를 통해 지지 된 상태의 사체(1)의 체강 안으로 들어가서 그것의 전단부가 체강의 가슴 측면(4)을 따라 통과하는 상태로 상기 내장 제거 도구(40)를 체강 내로 더 깊숙이 집어넣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며, 이로써 상기 전단부가 적어도 간(15)을 넘어서까지, 바람직하게는, 식도 클램프가 클램프 될 식도 부위(18)의 높이에, 예를 들면, 염통(16) 바로 아래에 위치할 때까지 내장 꾸러미(19)를 지나서 이동하도록 한다.
당해 기술에서 알려진 것과 같이, 상기 내장 제거 도구 구동장치(50)는, 여기서는 식도 클램프(41)에 의하여 식도를 꽉 물리게(클램핑) 한 후에, 상기 내장 제거 도구(20)를 인출하고, 그럼으로써 체강 바깥으로 내장 꾸러미(19)를 들어내도록 또한 구성된다.
상기 식도 클램프(41)가 제공된 상기 공구(40)의 전단부는, 예를 들어, 도 4a 및 4b에 예시된다. 여기서, 상기 식도 클램프(41)는 개방된 위치(도 4b)와 폐쇄된 위치(도 4a) 사이에서 명령에 의거하여 이동 가능한 두 개의 턱(jaw) 부분들(41a, 41b)을 갖는다. 후자의 위치에서, 상기 전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폐쇄된 위치에서 전단부가 체강 내로 삽입될 때 임의의 기관들에 손상을 일으킬 수도 있는 어떠한 날카로운 모서리들이나 그와 유사한 것들을 제공하지 않도록, 둥글고 유연한 면들을 갖는 폐쇄된 윤곽을 갖는다.
본 예에서 알 수 있듯이, 하나의 장벽 봉(barrier rod)(41c)이,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턱 부분들(41a, 41b) 사이에서 개구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며, 상기 봉(41c)은 상기한 턱 부분들(여기서는 41b) 중의 하나에 연결되고 다른 턱 부분에 있는 공동에 수용된다. 상기 봉(41c)은 식도(18)를 클램핑 하기 전에 그 턱 부분들(41a, 41b) 사이에 식도(18)를 적절하게 배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장치는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gizzard pre-lifting) 도구 구동장치(70)뿐만 아니라, 상기 내장 제거 도구(40)와는 구별되는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60) 및 연관된 구동장치(70)는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60)가 개방된 항문 단부(8)를 경유해 지지 된 사체(1)의 체강 내로 들어가게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는 모래주머니(14)를 움켜쥐는 동작이 가능하다.
상기 도구(60)는, 여기서는 내장 제거 도구(40) 보다는 사체의 등에 더 가까운 것을 의미하는 "내장 제거 도구의 내부"에 배열된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60)는 어떠한 이동형 부분들이 전혀 없는 강건한 부재로서 구현되며, 모래주머니(14)를 겨냥하여 그것을 포획하도록 형상이 이루어진 모래주머니 스푼(61)을 포함한다.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60)는 그 후방 또는 상단부에서 상기 장치의 안내 구조체(73)를 따라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 구동장치(70)의 도구 캐리어(72)에 장착된다. 상기 도구(60)는, 여기서는 수평 회전축(74)을 중심으로 상기 캐리어(7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체의 등을 향해 그리고 그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도구(60)의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실제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구의 회전 동작뿐만 아니라 그의 상하 동작까지도 모두 상기 도구 구동장치(70)의 캠 트랙 메커니즘에 의해, 여기서는 상기 도구(60)의 경사 동작을 위해서는 캠 트랙 팔로워(76)로써 그리고 상하 동작을 위해서는 캠 트랙 팔로워(75)로써 제어된다. 원한다면, 상기 도구(60)의 경사 동작뿐만 아니라 상하 동작의 조합은 상기 도구(60)의 궤적에 있어 하나 또는 다수의 곡선형 부분들을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60)는,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여 기술되듯이, 모래주머니(14)를 들어올리고, 그럼으로써, 내장 꾸러미의 간(15)과 염통(16)을 포함하는 추가적인 부위를 함께 끌고 가도록 동작 가능하다.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 구동장치(70)는, 상기 내장 제거 도구가 체강 내부에서 아래쪽으로 깊이 삽입될 때, 그 내장 제거 도구(40)의 전단부가 간(15)과 염통(16)을 지나서 체강의 가슴 측면(7)을 따라 통과하기 전에 모래주머니(14)의 들어올리는 동작(리프팅)이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도구(60)에 의한 모래주머니(14)의 들어올림 동작은 사체의 등 쪽으로 모래주머니(14)의 이동과 조합되어 그 사체의 가슴 측면을 따라서 그의 동작을 위한 상기 내장 제거 도구(40)의 진입을 돕게 된다.
이하, 도 3a - 3j를 참조하여, 항문 단부가 개방된 상태의 사체(1) 상에서의 도 2에 예시된 장치(10)의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도 3a에서, 사체(1)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지된다. 상기 도구들(40, 60)은 아직 체강 바깥에, 예컨대, 내장 제거 과정을 위한 도구들(40, 60)의 시작 위치에 존재한다. 사체의 항문 단부는, 예컨대, 배설강(cloaca)을 포함하는 창자의 일부가 사체의 후방 측면에서 체강의 상부 모서리를 덮고 있는 상태로, 예를 들면, 상류 측 항문 개방 장치에 의해 개방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도 3b에서, 상기한 도구들(40, 60) 모두는 상기 내장 제거 도구(40)의 전단부가 체강의 가슴 측면(7)에서 방금 체강 안쪽에 진입하게 되는 상태에서 체강의 개방된 항문 단부를 향해 이동된다. 상기 도구(60)의 전단부는 상기 도구(40)가 체강 내로 들어가서 모래주머니(14)의 가슴 측면을 지나는 것으로 상정할 때 상기 도구(40)에 근접하게 위치한다.
상기 프리-리프팅 도구(60)는 더욱 진행하여 상기 내장 제거 도구(40)의 전단부에 도달하고, 또한 상기 도구들(40, 60)은 함께 체강 내로 이동하여, 그 도구들(40, 60) 모두가 모래주머니(140)의 가슴 측면을 따라 아래로 통과하도록 이동되는 상태에서 얕은 깊이에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얕은 깊이는 상기 도구(60)의 전단부가 간(15) 위에서 모래주머니(14)의 밑바닥(이러한 위아래가 바뀌어 있는 배열의 사체에서)에 도달하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이것은 도 3c에 묘사되어 있다.
도 3d 및 3e는 내장 제거 도구(40)가 아래로 진전하지 않는 것을 묘사하고 있다(그렇지 않으면, 간(15)을 따라서 너무 이르게 진전해버릴 수도 있으므로). 상기 프리-리프팅 공구(60)는 이제 체강의 등 쪽을 향해 회전되고, 그럼으로써 체강의 가슴 측면(4)으로부터 떨어지게끔 모이주머니를 이동시킬 뿐만 아니라 그 모래주머니(14)를 포획한다. 상기 도구(60)는 또한 위쪽으로 이동되고(도 3e), 이로써 상기 포획된 모래주머니(14)는 위로 들어 올려지고 간과 염통을 포함하는 내장 꾸러미의 함께 끌려간 부위도 또한 들어 올려지게 된다. 도 3a 및 3e에서, 들어올리는 동작뿐만 아니라 체강의 등 쪽으로의 이러한 동작들은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당해 업자라면 더욱 곡선형의 궤적을 초래하는 조합형의 동작도 또한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3e에서는 창자의 일부가 이제 사체(1)의 항문 개구부 위로 올려지는 것이 묘사된다. 이 위치에서, 모래주머니(14)는 후방 측면에 가까운 체강 내에 여전히 존재할 수도 있다.
도 3e에서는, 상기 도구(40)가 간 및/또는 염통을 손상하지 않고 염통 아래의 식도에 도달하도록 해주는 내장 제거 도구(40)를 위한 간격(clearance)이 기본적으로 형성되도록, 간과 염통이 목 단부로부터 이격되게 들어 올려졌을 뿐만 아니라 또한 체강의 가슴 측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이동된 것이 또한 도시되어 있다.
도 3f는 상기 도구(40)가 체강 내로 더 깊이 아래로 진행하여, 클램프(18)가 제공되어 있는 그의 전단부가 클램프 될 예정인 식도(18)의 절개 부위에 존재하는 것을 예시한다. 일단 이 깊이에서, 상기 클램프(41)가 개방되고 상기 도구(40)는 여기서는 식도(18)를 향해 클램프(41)와 경사지게 이동되며, 이로써 식도(18)는 꽉 물리게 되는 턱들(41a, 41b) 사이에 오게 되는 것이 예상된다. 따라서, 상기 클램프(41)는 식도(19)가 안전하게 유지되도록 닫힌다. 이것은 도 5a 및 5b에 묘사되어 있다.
식도(18)가 꽉 물려진 상태에서 상기 도구(60)뿐만 아니라 상기 도구(40)는 제거 동작에서 들어 올려지게 되고, 이때 상기 도구들은 내장 꾸러미를 완전히 체강 바깥으로 이동시킨다. 본 예에서는, 이해되는 바와 같이, 모래주머니가 일단 체강의 상단부에 도달하면, 그것은 더 이상은 사체의 등에 의해 지지 되지 않으므로 스푼(61)에 의한 견고한 파지 상태로 유지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스푼(61)은 내장 꾸러미를 따라서 미끄러지게 된다. 그렇지만, 상기 클램프(41)는 식도(18)에 대해 강건한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일단 사체(1)가 이격되게 이동되거나, 아니면 상기 도구(40)가 더욱 멀리 들어 올려지면, 상기 내장 꾸러미는 도 3i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한 클램프(41)에 매달려 있게 된다. 이어서, 클램프(41)는 개방되어 내장 꾸러미를 방출할 수 있게 되는데, 예를 들어, 그것을 도 3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내장 꾸러미 컨베이어(미도시) 상에 떨어지게끔 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축된 가금류의 내장 제거를 위한 장치의 제2의 예가 설명될 것이다. 이 장치(10')에서, 스푼(61)은 모래주머니(14) 및/또는 그 모래주머니에 결합 된 뱃살을 클램프 하는 동작이 가능한 클램프를 포함하는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90)로 대체되었다.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90)의 클램프는 좌측 클램프 부재(91)와 우측 클램프 부재(92)를 포함하되, 그 각각의 클램프 부재(91, 92)는 전방 또는 하부 단부를 갖는다.
상기 클램프 부재들(91, 92)은 구동장치(70)의 캐리어(72) 상에 스템 설치 몸체(stem mounting body)(95)를 통해 장착된다. 상기 캐리어(72)는 상기 장치의 안내 구조체(73)를 따라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캠 트랙 메커니즘은 상기 캐리어(72), 따라서 상기 클램프 부재들(91, 92)을 지지하는 몸체(95)의 원하는 상하 동작을 야기한다. 상기 몸체(95)는 캐리어(72)에 대해서 수평 축(74)을 중심으로, 여기서는 캠 트랙 팔로워(75)가 몸체(95)에 연결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다.
상기 클램프 부재들(91, 92) 각각은 그의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스템(91a, 92a)을 포함하되, 상기 스템은 상기 스템 설치 몸체(95)에서 베어링을 통해 장착된다. 상기 스템의 하단부에서, 각각의 클램프 부재들(91, 92)은 C자 형상의 클램프 부분(91b, 92b)을 가지며, 상기 C자 형상의 부분의 상층부 단부는 각각의 스템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구동장치(70)는 또한, 예컨대, 추가의 캠 트랙에 의하여 각각의 스템(91a, 92a)의 종축을 중심으로 각 클램프 부재(91, 92)의 회전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이로써 상기한 C자 형상의 클램프 부분들(91a, 92b)은 다양한 위치들에 이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클램프 부재들(19, 92)의 상기한 회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캠 트랙 메커니즘이 제공된다.
상기한 스템 설치 몸체(95)는, 예를 들면, 아래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은 클램핑 과정에서 모래주머니(14)의 마주하는 측면들을 따라 클램프 부재들(91, 92)을 통과하도록, 상기 도구(9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수평 회전축(74)을 통해 캐리어(7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도구(90)의 회전 동작은 캠 트랙 메커니즘에 의해 제어 가능하다.
도 7에서는, 체강 내로 들어가기 전에, 상기 클램프 부재들(91, 92)은 폐쇄된 위치에 존재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C자형 부분들의 더 낮은 부분들이 긴밀하게 서로 인접한 상태에서, 예를 들면, 창자들(12) 사이에서 상기 도구(90)의 진입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 구동장치(70)는 상기 클램프 부재들(91)이 사체의 가슴 부위에 면하는 모래주머니(14)의 측면을 따라서 체강 내에 들어가도록 구현된다.
도 8에 예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구(40)는 얕은 깊이로 체강으로 삽입되어, 상기 클램프 부재들(91, 92)의 전단부들이 모래주머니(14)를 넘어서, 예컨대, 바로 모래주머니 아래에까지 도달하는 깊이로 창자의 층을 통과하게 된다.
도 7 및 8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상기 클램프 부재들(91, 92)은 그의 스템들(91a, 92a)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이로써 상기 C자형 부분들의 중앙부들은 적어도 상기 중앙부들 사이에서 모래주머니(14)의 손상되지 않는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거리로 이격되어 이동한다. 또한, 여기서는 상기 도구(6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클램프 부재들(91, 92)은 사체의 등 쪽으로 이동되며, 이로써 좌측 클램프 부재(91)는 모래주머니(14)의 좌측면을 따라서 지나가고, 우측 클램프 부재(92)는 모래주머니에 대해 클램핑 위치로 사체의 등을 향해 (위로부터 관찰될 때) 우측면을 따라서 지나가도록 한다.
알 수 있듯이, 창자(12)는 상기 클램프 부재들(91, 92)의 상기한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다. 모래주머니(14)는 창자의 층의 일부 바로 밑에 위치하기 때문에 시야에서 감춰지게 된다.
도 8은 이러한 목이 아래로 향하는 방향에서 관찰할 때, 상기한 각을 이루는 전단부들이 모래주머니의 바닥에 가까운 상태에서, 그의 중앙부들이 모래주머니(14)의 반대편 측면들에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서 상기 클램프 부재들(91, 92)을 도시한다. 본 예에서는, 상기 클램프 부재들(91, 92)의 이러한 클램핑 위치에서 원하는 프리-리프팅을 수행하기 위하여 모래주머니(14) 상에 충분한 유지력(hold)이 생성된다는 것이 묘사되어 있다. 알 수 있듯이, 본 예에서는, 상기 클램프 부재들(91, 92)은, 상기한 간격이 클램핑 위치에서 클램프 부재들 사이의 창자의 손상되지 않는 통과를 가능하게 하면서, 모래주머니에 결합 된 뱃살이 클램프 되도록 그의 클램핑 위치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구현된다.
일단 모래주머니(14) 및/또는 그에 결합 된 뱃살(17)이 상기 도구(90)에 의해 파지되고 나면, 그의 구동장치(70)는 상기 도구(90)를, 따라서 내장 꾸러미의 함께 딸려온 부분과 모래주머니를 도 9에 도시된 위치로 프리-리프팅(미리 들려지도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프리-리프팅 된 위치는 항문 측 개구의 바로 바깥에 모래주머니(14)가 있는 상태일 수 있지만, 이 위치는 또한 모래주머니가 체강 내에 여전히(부분적으로) 존재하거나 여기에 도시된 체강에서 더욱 바깥쪽에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 실제의 실시예에서, 상기한 프리-리프팅은, 예컨대, 모이주머니(crop)를 통해 사체에 여전히 강하게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는 소화관의 일부와 모래주머니 사이의 소화관을 과도하게 잡아당기지 않도록 원하는 만큼 한정된다.
상기 도구들(60, 90)의 동작은, 체강의 가슴 측면에서 상기 내장 제거 도구(40)의 체강 내부로의 깨끗한 진입이 이루어짐에 의하여, 도 3e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래주머니의 체강 내에서의 원래 위치에서 등 쪽으로, 따라서 체강의 가슴 측으로부터 떨어지도록, 모래주머니의 이동을 또한 가능하게 한다.
실제로, 바람직하게는, 모래주머니(14)의 후방으로의 이동과 조합된 프리-리프팅 동작은 간(15)과 또한 염통이 체강의 가슴 측 측벽에서 떨어져서 잡아 당겨지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되듯이, 이것은 간을 손상시키지 않거나 또는 적어도 간 손상의 발생의 현저하게 줄어들도록 체강의 목 단부에까지 아래로 간(15)과 염통(16)을 지나는 내장 제거 도구(40)의 후속적인 통과를 용이하게 한다.
일단 모래주머니(14)가 상기 도구(60, 90)에 의해 프리-리프팅 되면, 상기 내장 제거 도구(40)는 체강의 가슴 측면을 따라서 간을 지나고, 바람직하게는, 또한 염통을 지나서 통과하면서 체강 내부로 깊이 삽입되고, 이로써 그의 전단부에서의 클램프(41)는, 예컨대, 모이주머니(crop) 바로 위의 위치에서 식도를 클램핑 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 상기 전단부는 모래주머니를 들어올리도록 동작하는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의 앞에서 체강 내부로 얕은 깊이로 이미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도구(60, 90)가 과도한 간 손상을 피하기 위해서 모래주머니(14)의 프리-리프팅 과정을 일단 수행하고 나면, 상기 도구(40)의 전단부는 단지 취약한 간(15)을 지나서만 들어가도록 이루어진다.
체강으로부터 내장 꾸러미를 완전히 꺼내기 위하여, 식도를 클램핑 하고 밑으로부터 내장 꾸러미를 지지하는 내장 제거 도구(40)과, 모래주머니 및/또는 그에 결합 된 뱃살에 대해 파지상태를 유지하는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90) 모두는 사체(1)로부터 내장 꾸러미 전체가 제거되도록 인출 동작에서 동시에 이동되는 것으로 예상된다.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91, 92)의 사용은 상기 도구의 적절한 설계와 동작에 있어 모래주머니(14)에 결합 된 뱃살이 그것이 자연스럽게 오히려 강하게 결합되어 있는 모래주머니로부터 느슨하게 되도록 활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래주머니에 인접한 뱃살을 국부적으로 찢거나 그리고/또는 모래주머니와의 결합을 찢음으로써 이루어지는 이러한 느슨함(loosening)은, 예를 들어, 상기 클램프 부재들(91, 92)이 모래주머니의 반대편 측면들을 따라서 통과할 때, 모래주머니의 파지 과정 중에 고의적으로 야기될 수도 있다.
상기한 느슨함은 또한, 상기 클램프 부재들을 모래주머니의 반대편 측면들을 따라서 가슴을 마주하는 측면으로부터 등을 마주하는 측면으로 통과시킴으로써, 그리고 클램프 부재들(91, 92)에 의하여 모래주머니의 후방 측면에서 뱃살을 꼭 끼워 조여서 그것이 잡아 당겨지고 모래주머니로부터 파열 및/또는 풀리게 함으로써, 달성되거나 진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뱃살의 끼워 조이는(pinching) 효과는, 원한다면, 모래주머니의 프리-리프팅 과정 후에, 또는 상기한 프리-리프팅 도구와 내장 제거도구 양자에 의하여 체강으로부터 내장 꾸러미의 인출 과정 후에도 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 상기 프리-리프팅 도구(91, 92)는 그 프리-리프팅 과정 후에 모래주머니 또는 그에 결합 된 뱃살에 대해 파지상태를 유지하도록 구현되며, 이어서 추가적인 과정에서 그 뱃살이 잡아 당겨져서 모래주머니로부터 파열되거나 및/또는 풀리게 되는 당김 작용이 수행되는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상기한 프리-리프팅은 모래주머니에 결합 된 뱃살을 끼워 조이도록 구현되고, 그 다음에 모래주머니는 떼어져서 모래주머니로부터의 뱃살의 원하는 대로의 풀림이 달성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부가적인 모래주머니 정지 부재(stop member)가 사용되는데, 상기 프리-리프팅 도구는 모래주머니가 상기 정지 부재에 의해 인출되어 전술한 잡아당기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상기 모래주머니 정지 부재에 대해 이동을 수행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정지 부재는 수축 위치와 활성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형으로 배열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래주머니 정지 부재는, 내장 제거 도구 상에 또는 그것에 의해, 예컨대, 내장 제거 도구의 전단부에 의해 형성되는데, 여기서 상기 전단부는 뱃살을 유지하는 상기 프리-리프팅 도구로부터 이격되게 모래주머니를 압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프리-리프팅 도구는 프리-리프팅 동작 후에 모래주머니의 파지상태를 유지하고, 바람직하게는, 가능한 한 많은 뱃살을 사체에 남겨놓도록 모래주머니에 가까운 위치에서, 뱃살 안으로 또는 그것을 통해 절단하는 뱃살 커터(belly fat cutter)의 근방에 모래주머니를 가져오는 것으로 또한 예상된다.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 모래주머니로부터 뱃살의 풀림을 야기하도록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 활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리-리프팅 도구의 하나 또는 다수의 클램프 부재들(91, 92)은 모래주머니로부터 뱃살을 해체하도록 모래주머니의 외부를 따라 긁어내기를 수행하는 일종의 스크레이퍼(scraper)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효과의 주요한 이점은 더 많은 뱃살이 사체에 유지되고 이것이 사체의 중량에 추가된다는 것이다. 또 다른 이점은 모래주머니(14)와 사체의 나머지 사이의 뱃살에 의해 형성되는 연결부의 약화가 적절한 내장 제거를 향상시킨다는 것, 예를 들면, 소요되는 힘을 감소시키고, 더 큰 동작 속도를 가능하게 하는 것 등이다.

Claims (22)

  1. 사체의 체강 내에 내장 꾸러미(19)를 갖는 도축된 가금류의 사체(1)의 내장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체강은 항문(9)이 위치하거나 위치하였던 항문 단부(8)와 목 단부(10)뿐만 아니라 가슴 측면(4) 및 등 측면(7)을 가지며, 상기 체강은 상기 항문 단부에서 개방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 상기 목 단부가 아래로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사체(1)를 유지하는 동작,
    - 상기 개방된 항문 단부를 통해, 전단부(41)를 갖는 내장 제거 도구(40)를 상기 유지된 사체(1)의 체강 내에 집어넣는 동작,
    - 상기 전단부가 적어도 간(15)을 넘어서까지 내장 꾸러미를 지나가도록 상기 전단부가 상기 체강의 가슴 측면(4)을 따라서 통과하는 상태에서 상기 내장 제거 도구를 체강 안으로 더욱 깊숙이 집어넣는 동작, 및
    - 상기 내장 제거 도구(40)를 인출하고, 그럼으로써 체강 밖으로 상기 내장 꾸러미(19)를 들어올리는(리프팅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가금류의 사체의 내장을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방된 항문 단부를 통해 상기 유지된 사체(1)의 체강 내로 삽입되는, 상기 내장 제거 도구(40)와는 구별되는,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60; 90)를 이용하되,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는 모래주머니(14) 및/또는 모래주머니에 결합 된 뱃살(17)을 파지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60; 90)는 상기 모래주머니를 들어올림으로써 간(15)을 포함하는 내장 꾸러미의 추가적인 부분(15, 16)을 함께 끌고 가도록 동작하고, 상기 모래주머니의 상기한 리프팅 동작은 상기 내장 제거 도구(40)가 체강 내에 삽입될 때 내장 제거 도구의 전단부가 간(15)을 지나서 체강의 가슴 측면을 따라서 통과하기 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60; 90)는 상기 모래주머니(14)를 들어올리도록 동작하고, 사체의 체강의 가슴 측면(4)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모래주머니(14)를 이동시키도록 동작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제거 도구(40)의 인출 동작 중,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60; 90)는 상기 내장 제거 도구(40)와 함께 인출 동작 시 이동되고, 그럼으로써 모래주머니와 상기 내장 꾸러미의 함께 딸려나온 부분을 더욱 들어올리게 되는 것인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제거 도구(40)의 전단부(41)가 상기 내장 제거 도구(40)를 인출하기 전에 식도를 파지하는 것인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60)는 모래주머니(14)를 포획하도록 구현된 모래주머니 스푼(61)을 포함하되, 상기 모래주머니 스푼(61)은 모래주머니의 가슴 측면에서 체강 내로 진입되고, 이어서 상기 체강의 등 쪽으로 이동되어 모래주머니를 포획하고 들어올리고, 그럼으로써 내장 꾸러미의 추가적인 부분이 함께 따라가도록 하는 것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주머니 스푼(61)은 모래주머니를 포획하기에 적합한 하는 형상으로 된 견고한 부재인 것인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90)는 상기 모래주머니(14)에 결합 된 뱃살(17)이 모래주머니로부터 느슨해지거나 찢어지도록 만들기 위해 활용되는 것인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리프팅 도구(90)는 상기한 이동 중 상기 모래주머니(14) 및/또는 모래주머니(14)에 결합 된 뱃살(17)의 파지상태를 유지하도록 구현되고 동작하는 것인 방법.
  9. 사체의 체강 내에 내장 꾸러미(19)를 갖는 도축된 가금류의 사체(1)의 내장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상기 체강은 항문(9)이 위치하거나 위치했던 항문 단부(8)와 목 단부(10)뿐만 아니라 가슴 측면(4) 및 등 측면(7)을 가지며, 상기 체강은 상기 항문 단부에서 개방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장치는:
    - 상기 목 단부가 아래로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사체(1)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유지 조립체(33, 34, 35), 및
    - 상기 개방된 항문 단부를 통해 내장 제거 도구가 상기 유지된 사체의 체강에 삽입되도록, 그리고 그의 전단부가 적어도 간(15)을 넘어서까지 내장 꾸러미를 지나가도록 상기 전단부가 체강의 가슴 측면을 따라서 통과하는 상태에서 상기 내장 제거 도구를 상기 체강 안으로 더욱 깊숙이 집어넣도록 구성되는, 내장 제거 도구(40) 및 내장 제거 도구 구동장치(50)를 포함하고,
    상기 내장 제거 도구 구동장치(50)는 상기 내장 제거 도구를 인출하고, 그럼으로써 상기 체강 밖으로 상기 내장 꾸러미(19)를 들어올리도록 또한 구성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내장 제거 도구(40)와는 구별되는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60; 90) 및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 구동장치(7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 및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 구동장치는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가 상기 개방된 항문 단부를 통해 상기 유지된 사체의 체강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60; 90)는 모래주머니(14) 및/또는 모래주머니에 결합 된 뱃살(17)을 파지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는 상기 모래주머니를 들어올림으로써 간을 포함하는 내장 꾸러미의 추가적인 부분을 함께 끌고 가도록 동작 가능하되,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 구동장치(70)는 모래주머니(14)의 상기한 들어올림(리프팅) 동작이 상기 내장 제거 도구(40)가 체강 내에 삽입될 때 상기 내장 제거 도구의 전단부(41)가 간(15)을 지나서 체강의 가슴 측면을 따라서 통과하기 전에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 구동장치(70)는 상기 모래주머니(14)를 들어올리고, 그리고 사체의 체강의 가슴 측면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모래주머니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인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 구동장치(70)는 상기 내장 제거 도구(40)의 인출과 함께 인출 동작 시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60; 9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그럼으로써 모래주머니와 상기 내장 꾸러미의 함께 딸려나온 부분을 더욱 들어올리게 되는 것인 장치.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제거 도구(40)의 전단부(41)가 상기 내장 제거 도구(40)를 인출하기 전에 식도를 파지하는 것인 장치.
  13.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60)는 모래주머니(14)를 포획하도록 구현된 모래주머니 스푼(61)을 포함하되,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 구동장치(70)는 상기 모래주머니 스푼을 모래주머니의 가슴 측면에서 체강 내로 들어가도록 하고, 이어서 상기 모래주머니 스푼을 상기 체강의 등 쪽으로 이동시키고 들어올려 상기 모래주머니를 포획하고 들어올리도록 함으로써 내장 꾸러미의 추가적인 부분을 함께 따라오도록 구성되는 것인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주머니 스푼(61)은 모래주머니를 포획하기에 적합한 형상으로 된 견고한 부재인 것인 장치.
  15.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주머니 프리-리프팅 도구(90)는 모래주머니의 파지 동작 중, 상기 모래주머니를 지나서 이동하도록 된 하나 또는 다수의 이동형 클램프 부재들(91, 92)을 포함하되, 이로써 모래주머니(14)에 결합 된 뱃살(17)에 대하여 상기한 동작 중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부재들에 의해 인가되는 힘은 상기 뱃살이 모래주머니로부터 느슨해지거나 그리고/또는 찢어지게끔 하는 것인 장치.
  16.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조립체는 사체의 다리들을 펼쳐진 위치에 유지하도록 사체의 다리들 사이에 삽입되는 스프레더 브라켓(33)을 포함하는 것인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리프팅 도구(90)는 상기한 이동 중 모래주머니 및/또는 상기 모래주머니(14)에 결합 된 뱃살(17)에 대해 파지상태를 유지하도록 구현되고 동작하는 것인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제거 도구의 전단부에 식도 클램프(41)가 제공되는 것인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이동형 클램프 부재들(91, 92)은 모래주머니의 파지 동작 중, 그의 클램프 부재들의 클램프 위치를 향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클램프 부재들의 이동 중에 상기 모래주머니를 지나서 이동하도록 되는 것인 장치.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77003958A 2014-07-24 2015-07-20 도축된 가금류의 내장 제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411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13250 2014-07-24
NL2013250A NL2013250B1 (en) 2014-07-24 2014-07-24 Method and device for evisceration of slaughtered poultry.
PCT/NL2015/050529 WO2016013931A1 (en) 2014-07-24 2015-07-20 Method and device for evisceration of slaughtered poult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834A KR20170038834A (ko) 2017-04-07
KR102411601B1 true KR102411601B1 (ko) 2022-06-22

Family

ID=51691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3958A KR102411601B1 (ko) 2014-07-24 2015-07-20 도축된 가금류의 내장 제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788555B2 (ko)
EP (1) EP3171699A1 (ko)
JP (1) JP6687598B2 (ko)
KR (1) KR102411601B1 (ko)
CN (1) CN106572668B (ko)
BR (1) BR112017000980B1 (ko)
NL (1) NL2013250B1 (ko)
WO (1) WO20160139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18174B1 (en) * 2017-01-16 2018-07-26 Meyn Food Processing Tech Bv Evisceration apparatus and a method for eviscerating sus-pended poultry
EP3372087B1 (de) * 2017-03-09 2019-10-30 Linco Food Systems A/S Entweidewerkzeug und entweidevorrichtung mit einem solchen entweidewerkzeug
CN107568313A (zh) * 2017-09-21 2018-01-12 周敬勇 一种家禽屠宰自动掏脏设备
CN108887361B (zh) * 2018-08-17 2023-06-02 华中农业大学 一种小型家禽掏膛流水线及方法
NL2021895B1 (en) * 2018-10-29 2020-05-14 Meyn Food Processing Tech Bv Apparatus provided with a vent cutter, and method for cutting the vent of poultry suspended at its ankles
CN109757549B (zh) * 2018-12-21 2021-10-01 肥西老母鸡食品有限公司 一种家禽屠宰加工自动化生产线
CN109691492A (zh) * 2018-12-27 2019-04-30 广州富港万嘉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家禽的夹持移动装置及一种家禽加工设备
EP3982739A2 (en) * 2019-06-13 2022-04-20 Marel PMJ B.V. A method to eviscerate poultry, a pre-evisceration device, an evisceration system, and a collector device
DE102020108618A1 (de) 2020-03-27 2021-09-30 Nordischer Maschinenbau Rud. Baader Gmbh + Co. Kg Halteelement zum Anordnen von Rückenteilen oder Teilen davon von Geflügelschlachtkörpern
CN111567604B (zh) * 2020-05-11 2023-10-20 吉林省艾斯克机电有限责任公司 一种家禽内脏取出装置
WO2024068361A1 (en) 2022-09-27 2024-04-04 Marel Poultry B. V. Pre-evisceration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09869A1 (de) 1987-03-26 1988-10-13 Markert Maschf Bv Ausnehmevorrichtung einer automatisch arbeitenden verarbeitungsanlage fuer gefluegeltiere
WO2001052659A1 (en) 2000-01-18 2001-07-26 Stork Pmt B.V. Eviscerating member,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a cluster of viscera of a slaughtered animal
JP3979874B2 (ja) 2002-05-09 2007-09-19 ゴーデックス株式会社 食鳥の内蔵物取り出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100142A (ko) * 1971-01-07 1972-07-11
US3902221A (en) * 1972-01-12 1975-09-02 Gainesville Machine Company In Eviscerator apparatus and method
US3798708A (en) 1972-02-22 1974-03-26 Johnson Co Gordon Poultry eviscerating machine
US4019222A (en) * 1976-01-30 1977-04-26 Gordon Johnson Company Poultry eviscerating method and apparatus
US5186679A (en) 1991-01-30 1993-02-16 Machinefabriek Meyn B.V. Apparatus for eviscerating slaughtered poultry
NL9300815A (nl) * 1992-09-10 1994-04-05 Stork Pmt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verwijderen en verwerken van een organenpakket van een slachtdier.
WO1997025872A2 (en) 1996-01-19 1997-07-24 Johnson Food Equipment, Inc. Crop inclusive poultry eviscerating method and apparatus
US6186881B1 (en) 1996-09-20 2001-02-13 Foodcraft Equipment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venting/opening, eviscerating/cropping, inspecting and cleaning of poultry
DK1011341T3 (da) 1997-04-10 2002-12-23 Lindholst & Co As Fremgangsmåde, apparat og udtagningsske til udtagning af indmad af slagtet fjerkræ
NL1023819C2 (nl) * 2003-07-04 2005-01-05 Meyn Food Proc Technology Bv Inrichting voor het verbreken van weefselverbindingen in aan de poten hangend gevogelte.
US7500910B2 (en) * 2007-08-06 2009-03-10 Johnson Food Equipment, Inc. Device and method for clamping and cutting
CN202286084U (zh) * 2011-09-29 2012-07-04 安徽华卫集团禽业有限公司 一种内脏牵拉装置
NL2007786C2 (en) * 2011-11-15 2013-05-16 Marel Stork Poultry Proc Bv Organ removal device and a method for organ remov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09869A1 (de) 1987-03-26 1988-10-13 Markert Maschf Bv Ausnehmevorrichtung einer automatisch arbeitenden verarbeitungsanlage fuer gefluegeltiere
WO2001052659A1 (en) 2000-01-18 2001-07-26 Stork Pmt B.V. Eviscerating member,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a cluster of viscera of a slaughtered animal
JP3979874B2 (ja) 2002-05-09 2007-09-19 ゴーデックス株式会社 食鳥の内蔵物取り出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7000980B1 (pt) 2022-04-19
CN106572668A (zh) 2017-04-19
NL2013250B1 (en) 2016-09-09
US9788555B2 (en) 2017-10-17
KR20170038834A (ko) 2017-04-07
BR112017000980A2 (pt) 2017-11-21
JP2017526346A (ja) 2017-09-14
CN106572668B (zh) 2019-11-12
JP6687598B2 (ja) 2020-04-22
US20170215440A1 (en) 2017-08-03
EP3171699A1 (en) 2017-05-31
WO2016013931A1 (en) 2016-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1601B1 (ko) 도축된 가금류의 내장 제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EP0814666B1 (en) Crop inclusive poultry eviscerating method and apparatus
EP2185000B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evisceration of poultry
JPH02312539A (ja) 頭付き魚の内臓除去方法及び装置
CN111567604B (zh) 一种家禽内脏取出装置
EP3426050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evisceration of beheaded slaughtered poultry
JP2022536284A (ja) 家禽の内臓除去方法、前内臓除去装置、内臓除去システム、及び回収装置
CA1317419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echanical cleaning of freshly caught roundfish
US7625267B2 (en) Device and a method for fixing a carcass
MXPA06012499A (es) Dispositivo para extraer visceras de aves para carniceria.
CN212590026U (zh) 一种家禽内脏取出装置
JP4562840B2 (ja) 食用獣のブングを取り除くための方法及び装置とベントカッター
EP11906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eting fish
WO2005036973A1 (en) Process for evisceration of slaughtered poultry, slaughtering system for the treatment of viscera from slaughtered poultry and a viscera holder for a viscera conveyor in a slaughtering system
CN108378120B (zh) 去脏设备和对悬挂家禽进行去脏的方法
WO2024068361A1 (en) Pre-evisceration device
JPH06509461A (ja) 丸みのある魚を切断及び清浄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