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770B1 - 블루베리 등의 과실을 발효하여 디톡스 및 체내클렌즈에 유용한 식물성 발효액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블루베리 등의 과실을 발효하여 디톡스 및 체내클렌즈에 유용한 식물성 발효액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770B1
KR102405770B1 KR1020210079793A KR20210079793A KR102405770B1 KR 102405770 B1 KR102405770 B1 KR 102405770B1 KR 1020210079793 A KR1020210079793 A KR 1020210079793A KR 20210079793 A KR20210079793 A KR 20210079793A KR 102405770 B1 KR102405770 B1 KR 102405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erial input
extractor
hot water
purified water
probio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란
박효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디셋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디셋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디셋
Priority to KR1020210079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7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8Concentrating or drying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06Bilberries, blueber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차 원재료 투입 단계(S2); 열수추출 단계(S3); 2차 재료 투입 및 발효 단계(S4); 실활 단계(S5); 3차 재료 투입 단계(S6); 제1차 여과 단계(S7); 농축 단계(S8); 살균 단계(S9); 및 제2차 여과 단계(S10)를 포함하는 과실을 발효하여 디톡스 및 체내클렌즈에 유용한 식물성 발효액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루베리 등의 과실을 발효하여 디톡스 및 체내클렌즈에 유용한 식물성 발효액 및 이의 제조방법 {Vegetable Fermented Liquor useful for detox and cleansing in the body by fermenting fruit containing blueberrie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화에 도움을 주는 발효액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루 베리, 멀베리(오디), 파인애플등의 과실을 설탕이 아닌 유산균에 의해 발효한 발효액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효는 효모나 세균 따위의 미생물이 유기 화합물을 분해하여 알코올류, 유기산류, 이산화 탄소 따위를 생기게 하는 작용이며 발효액은 상기 발효에 의하여 생성된 액체를 의미하고 인체에 소화흡수가 용이하다.
일반적으로 발효액을 생성하기 위해 과일이나 약초에 설탕을 넣고 발효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흔히 사용되는 발효액중 대표적인 것이 매실에 설탕을 넣고 발효하여 생성된 매실액이다.
일반적으로 발효액을 제조하기 위해서 자극적인 단맛을 제공하는 설탕을 사용하나 식물성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액을 제작할 수도 있다.
식물성 유산균은 김치, 장류, 과일 등 식물성 식품에서 생식하고, 이에 반해 보통의 유산균은 우유, 요구르트 등 동물성 식품에 생식하므로 동물성 유산균이라 부른다.
식물성 유산균과 동물성 유산균의 특성을 비교한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식물성 유산균은 동물성 유산균보다 장 세포에 들러붙는 능력이 3.84배, 곰팡이에서 나오는 독소인 아플라톡신을 제거하는 능력이 8.54배 높다고 한다.
본 발명은 식물성 재료인 블루 베리 및 멀베리에 식물성 유산균인 프로바이오틱스와 상기 프로 바이오틱스의 증식을 위한 프락토 올리고당을 사용하여 발효시키고, α-아밀라아제와 팩티나아제에 의하여 블루 베리, 멀베리, 파인애플에서 전분질 성분 및 펙틴 성분을 분해하여 사용자의 입맛에 적합하고 건강에 유익한 발효액을 생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공개 특허 제10-2019-0128664호 (2019.11.18)
본 발명에서는 블루 베리, 멀베리 및 파인애플 등 과실의 추출물과 식물성 유산균을 사용하여 인체에 흡수가 쉬운 발효액을 생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1차 원재료 투입 단계(S2); 열수추출 단계(S3); 2차 재료 투입 및 발효 단계(S4); 실활 단계(S5); 3차 재료 투입 단계(S6); 제1차 여과 단계(S7); 농축 단계(S8); 살균 단계(S9); 및 제2차 여과 단계(S1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차 투입 단계(S2)는 과실 및 정제수를 추출기에 투입하고, 상기 열수추출 단계(S3)는 상기 추출기안에서 10분간 열수추출을 하여 과실의 성분이 정제수에 추출되게 한 후 35℃를 유지하고, 상기 2차 재료 투입 및 발효 단계(S4)는 상기 추출기안의 열수추출이 이루어진 정제수에 추가로 프락토올리고당 및 프로바이오틱스를 투입하고 35℃ 상태에서 24시간을 유지하여 발효하고, 상기 실활 단계(S5)는 상기 투입된 프로바이오틱스의 활성을 제거하기 위해 추출기안을 70℃에서 10분간 유지하고, 상기 3차 재료 투입 단계(S6)는 팩티나아제를 투입한후 60 ~ 80℃를 유지하고, 상기 제1 차 여과 단계(S7)는 상기 추출기에 있는 발효된 추출물을 여과기에서 300 메쉬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상기 농축 단계(S8)는 상기 여과액을 농축기에서 Brix: 56까지 농축하고, 살균 단계(S9)는 살균기에서 농축액을 10분간 유지하고, 제2차 여과 단계(S10)는 여과기에서 30메쉬 이상으로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을 발효하여 디톡스 및 체내클렌즈에 유용한 식물성 발효액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1차 원재료 투입 단계(S2) 전의 원재료 입고 검사 단계(S1)와 상기 제2차 여과 단계(S10) 이후의 포장 단계(S11)를 추가로 포함하고상기 포장 단계(S11)은 상기 상기 여과된 농축액을 폴리에틸렌 재질의 20리터 통에 포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1차 원재료 투입 단계(S2)에서 정제수 38~45 중량%, 블루베리 6~8 중량% 및 멀베리(오디) 2.5 ~ 3.5 중량% 비율로 추출기에 투입되고, 상기 열수추출 단계(S3)는 상기 추출기안에서 90℃ 상태에서 10분간 열수추출을 하여 과실의 성분이 정제수에 추출되게 한 후 35℃를 유지하고, 상기 2차 재료 투입 및 발효 단계(S4)에서 프락토올리고당 45~50 중량%, 및 프로바이오틱스 0.7~1 중량%를 투입하고 35℃ 상태에서 24시간 유지하여 발효하고, 상기 3차 재료 투입 단계(S6)에서 α-아밀라아제 0.02~0.04 중량% 및 팩티나아제 0.02~0.04 중량%를 투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1차 원재료 투입 단계(S2)에서 정제수 38~45 중량% 및 파인애플 8.5 ~ 11.5 중량% 비율로 추출기에 투입되고, 상기 열수추출 단계(S3)는 상기 추출기안에서 80℃ 상태에서 10분간 열수추출을 하여 과실의 성분이 정제수에 추출되게 한 후 35℃를 유지하고, 상기 2차 재료 투입 및 발효 단계(S4)에서 프락토올리고당 45~50 중량%, 및 프로바이오틱스 0.7~1 중량%를 투입하고 35℃ 상태에서 24시간 유지하여 발효하고, 상기 3차 재료 투입 단계(S6)에서 팩티나아제 0.02~0.06 중량%를 투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과실을 발효하여 디톡스 및 체내 클렌즈에 유용한 식물성 발효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식물성 유산균을 사용하여 블루 베리, 멀베리 또는 파인애플과 같은 과실의 추출물로부터 소화에 도움이 되는 발효액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작업 순서도이다.
본원에서 언급된 '실시예'는, 실시예에 기술된 특정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명세서 중의 각 위치에 나타난 실시예는 모두 같은 실시예가 아니며, 기타 실시예와 서로 배제하는 독립적인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도 아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는 기타 실시예에 결합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블루베리 및 멜버리를 이용한 발효액 제작 방법은 1) 원재료 입고 검사, 2) 1차 원재료 투입, 3) 열추출, 4) 2차 재료 투입 및 발효 5) 실활, 6) 3차 재료 투입, 7) 여과, 8)농축, 9) 살균, 10)여과 및 11) 포장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1) 원재료 입고 검사 단계
프락토올리고당, 블루베리, 멀베리(오디), 프로바이오틱스, α-아밀라아제, 및 팩티나아제를 입고 및 검사하고 블루베리와 멀베리(오디)는 냉동 보관(18℃ 이하)하고, 프락토올리고당, 프로바이오틱스 및 α-아밀라아제는 실온(15℃ ~ 25℃) 보관하고, 팩티나아제는 냉장 보관(0℃ ~ 10℃)한다.
2) 1차 원재료 투입
상기 1) 단계에서 입고된 재료중 정제수 38~45 중량%, 블루베리 6~8 중량% 및 멀베리(오디) 2.5~3.5 중량% 비율로 추출기에 투입한다.
3) 열수추출
추출기안 90℃ 상태에서 10분간 열수추출(뜨거운 정제수에서 추출)을 한후 35℃를 유지한다.
추출기안에서 90℃ 상태로 10분간 유지하여 블루베리와 멀베리의 성분이 정제수로 추출되도록 한 후 냉각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 밥솥과 같이 밀폐된 상태에서 열을 가하여 압력을 높여서 물의 끓는점을 100℃ 이상으로 올린후 가압 추출을 하나, 본 발명에서는 색상이나 맛을 고려하여 가압추출이 아닌 100℃ 이하의 뜨거운 정제수에서 추출한다
4) 2차 재료 투입 및 발효
상기 열수추출이 이루어진 추출기안의 정제수에 추가로 프락토올리고당 45~50 중량%, 및 프로바이오틱스 0.7~1 중량%를 투입하고 35℃ 상태에서 24시간을 유지하여 발효한다.
5) 실활
투입된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의 활성을 제거하는 실활 작업이 추출기안에서 70℃에서 10분간 이루어진다.
6) 3차 재료 투입(효소 투입),
추출기안에서 70℃ 실활이 이루어진후 α-아밀라아제 0.02~0.04 중량% 및 팩티나아제 0.02~0.04 중량%를 투입한다..
α-아밀라아제는 전분 분해 효소이고 펙티나아제는 펙틴 분해 효소로서 프락토올리고당 뿐만 아니라 블루베리 및 멀베리(오디)의 전분질 성분 및 펙틴 성분을 모두 분해한다.
7) 1차 여과
상기 추출기에 있는 발효된 추출물을 여과기에서 300메쉬를 이용하여 여과한다.
8)농축
상기 여과액을 농축기에서 Brix: 56까지 농축한다.
농축기 내부는 0.8 bar 및 약 60℃를 유지하며 시간당 약 1,000 kg 정도 증발시키도록 한다.
예를 들어 내용물이 3,000 ㎏인 경우, 1시간 농축하면 1,000 ㎏ 물만 증발시키고 2,000 ㎏ 제품이 생산되도록 한다.
9) 살균
상기 농축액을 90℃ 에서 10분간 유지하여 살균한다.
10) 2차 여과
살균후 온도가 유지된 상태에서 포장전 이물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30메쉬 이상으로 여과한다.
최종 성분이 프락토올리고당, 블루베리, 멀베리(오디), 프로바이오틱스, 정제수 및 팩티나아제 를 포함하는 Brix:56의 농축액인 발효액이 제조된다.
11) 포장
상기 발효액을 폴리에틸렌 재질의 20리터 통에 포장한다.
본 발명에서 농축후에는 점도가 올라가 여과 효율이 떨어지므로, 농축전에 제1차 여과를 하고 농축후 포장전에 이물이 혼입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하여 2차 여과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블루베리 및 멀베리 대신에 파인애플을 사용하여 발효액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원재료 입고 검사 단계
프락토올리고당, 파인애플, 프로바이오틱스 및 팩티나아제를 입고 및 검사하고 파인애플은 냉동 보관(18℃ 이하)하고, 프락토올리고당 및 프로바이오틱스은 실온(15℃ ~ 25℃) 보관하고, 팩티나아제는 냉장 보관(0℃ ~ 10℃)한다.
2) 1차 원재료 투입
상기 1) 단계에서 입고된 재료중 정제수 38~45 중량%, 파인애플 8.5 ~ 11.5 중량% 비율로 추출기에 투입한다.
3) 열수추출
추출기안 80℃ 상태에서 10분간 열수추출(뜨거운 정제수에서 추출)을 한후 35℃를 유지한다.
추출기안에서 80℃ 상태로 10분간 유지하여 파인애플의 성분이 정제수로 추출되도록 한 후 냉각하는 것이다.
4) 2차 재료 투입 및 발효
상기 열수추출이 이루어진 추출기안의 정제수에 추가로 프락토올리고당 45~50 중량%, 및 프로바이오틱스 0.7~1 중량%를 투입하고 35℃ 상태에서 24시간을 유지하여 발효한다.
5) 실활
투입된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의 활성을 제거하는 실활 작업이 추출기안에서 70℃에서 10분간 이루어진다.
6) 3차 재료 투입(효소 투입),
추출기안에서 70℃ 실활이 이루어진후 팩티나아제 0.02~0.06 중량%를 투입한다..
펙티나아제는 펙틴 분해 효소로서 프락토올리고당 뿐만 아니라 파인애플의 전분질 성분 및 펙틴 성분을 모두 분해한다.
7) 1차 여과
상기 추출기에 있는 발효된 추출물을 여과기에서 300메쉬를 이용하여 여과한다.
8)농축
상기 여과액을 농축기에서 Brix: 56까지 농축한다.
농축기 내부는 0.8 bar 및 약 60℃를 유지하며 시간당 약 1,000 kg 정도 증발시키도록 한다.
예를 들어 내용물이 3,000 ㎏인 경우, 1시간 농축하면 1,000 ㎏ 물만 증발시키고 2,000 ㎏ 제품이 생산되도록 한다.
9) 살균
상기 농축액을 80℃ 에서 10분간 유지하여 살균한다.
10) 2차 여과
살균후 온도가 유지된 상태에서 포장전 이물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30메쉬 이상으로 여과한다.
최종 성분이 프락토올리고당, 파인애플, 프로바이오틱스, 팩티나아제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Brix:56의 농축액인 발효액이 제조된다.
11) 포장
상기 발효액을 폴리에틸렌 재질의 20리터 통에 포장한다.
상기 예시에서 블루베리, 멀베리(오디) 및 파인애플을 예로 발효액을 제조하였으나, 다른 과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서술된 내용은 본 출원의 실시형태일 뿐, 이에 의해 본 출원의 특허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 내용을 이용하여 진행한 등가적 구조 또는 등가적 공정의 변환은, 직접적이거나 또는 간접적으로 기타 관련 기술분야에 응용되는 것으로서, 모두 같은 이유로 본 출원의 특허보호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원재료 입고 검사 단계(S1);
    1차 원재료 투입 단계(S2);
    열수추출 단계(S3);
    2차 재료 투입 및 발효 단계(S4);
    실활 단계(S5);
    3차 재료 투입 단계(S6);
    제1차 여과 단계(S7);
    농축 단계(S8);
    살균 단계(S9);
    제2차 여과 단계(S10); 및
    포장 단계(S11)를 포함하고,
    상기 1차 원재료 투입 단계(S2)에서 정제수 38~45 중량%, 블루베리 6~8 중량% 및 멀베리(오디) 2.5 ~ 3.5 중량% 비율로 추출기에 투입되고,
    상기 열수추출 단계(S3)는 상기 추출기안에서 90℃ 상태에서 10분간 열수추출을 하여 블루베리 및 멀베리의 성분이 정제수에 추출되게 한 후 35℃를 유지하고,
    상기 2차 재료 투입 및 발효 단계(S4)는 상기 추출기안의 열수추출이 이루어진 정제수에 추가로 프락토올리고당 45~50 중량%, 및 프로바이오틱스 0.7~1 중량%를 투입하고 35℃ 상태에서 24시간을 유지하여 발효하고,
    상기 실활 단계(S5)는 상기 투입된 프로바이오틱스의 활성을 제거하기 위해 추출기안을 70℃에서 10분간 유지하고,
    상기 3차 재료 투입 단계(S6)는 α-아밀라아제 0.02~0.04 중량% 및 펙티나아제 0.02~0.04 중량%를 투입한 후 60 ~ 80℃를 유지하여 블루베리 및 멀베리(오디)의 전분질 성분 및 펙틴 성분을 분해하고,
    상기 제1 차 여과 단계(S7)는 상기 추출기에 있는 발효된 추출물을 여과기에서 300 메쉬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상기 농축 단계(S8)는 상기 여과액을 농축기에서 0.8 bar 및 60℃를 유지하며 Brix: 56까지 농축하고,
    상기 살균 단계(S9)는 살균기에서 농축액을 90℃에서 10분간 유지하고,
    상기 제2차 여과 단계(S10)는 여과기에서 30메쉬 이상으로 여과하여 프락토올리고당, 블루베리, 멀베리(오디), 프로바이오틱스, 정제수 및 펙티나아제를 포함하는 Brix:56의 농축액인 발효액을 제조하고
    상기 포장 단계(S11)는 상기 여과된 농축액을 폴리에틸렌 재질의 20리터 통에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을 발효한 식물성 발효액 제조 방법.
  4. 원재료 입고 검사 단계(S1);
    1차 원재료 투입 단계(S2);
    열수추출 단계(S3);
    2차 재료 투입 및 발효 단계(S4);
    실활 단계(S5);
    3차 재료 투입 단계(S6);
    제1차 여과 단계(S7);
    농축 단계(S8);
    살균 단계(S9);
    제2차 여과 단계(S10); 및
    포장 단계(S11)를 포함하고,
    상기 1차 원재료 투입 단계(S2)는 정제수 38~45 중량% 및 파인애플 8.5 ~ 11.5 중량% 비율로 추출기에 투입하고,
    상기 열수추출 단계(S3)는 상기 추출기안에서 80℃ 상태에서 10분간 열수추출을 하여 상기 파인애플 성분이 정제수에 추출되게 한 후 35℃를 유지하고,
    상기 2차 재료 투입 및 발효 단계(S4)는 상기 추출기안의 열수추출이 이루어진 정제수에 추가로 프락토올리고당 45~50 중량%, 및 프로바이오틱스 0.7~1 중량%를 투입하고 35℃ 상태에서 24시간을 유지하여 발효하고,
    상기 실활 단계(S5)는 상기 투입된 프로바이오틱스의 활성을 제거하기 위해 추출기안을 70℃에서 10분간 유지하고,
    상기 3차 재료 투입 단계(S6)는 펙티나아제 0.02~0.06 중량%를 투입한 후 60 ~ 80℃를 유지하여 파인애플의 전분질 성분 및 펙틴 성분을 분해하고,
    상기 제1 차 여과 단계(S7)는 상기 추출기에 있는 발효된 추출물을 여과기에서 300 메쉬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상기 농축 단계(S8)는 상기 여과액을 농축기에서 0.8 bar 및 60℃를 유지하며 Brix: 56까지 농축하고,
    살균 단계(S9)는 살균기에서 농축액을 80℃에서 10분간 유지하고,
    제2차 여과 단계(S10)는 여과기에서 30메쉬 이상으로 여과하여 프락토올리고당, 파인애플, 프로바이오틱스, 펙티나아제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Brix:56의 농축액인 발효액을 제조하고,
    상기 포장 단계(S11)는 상기 여과된 농축액을 폴리에틸렌 재질의 20리터 통에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을 발효한 식물성 발효액 제조 방법.
  5. 삭제
KR1020210079793A 2021-06-21 2021-06-21 블루베리 등의 과실을 발효하여 디톡스 및 체내클렌즈에 유용한 식물성 발효액 제조방법 KR102405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793A KR102405770B1 (ko) 2021-06-21 2021-06-21 블루베리 등의 과실을 발효하여 디톡스 및 체내클렌즈에 유용한 식물성 발효액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793A KR102405770B1 (ko) 2021-06-21 2021-06-21 블루베리 등의 과실을 발효하여 디톡스 및 체내클렌즈에 유용한 식물성 발효액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5770B1 true KR102405770B1 (ko) 2022-06-08

Family

ID=81981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793A KR102405770B1 (ko) 2021-06-21 2021-06-21 블루베리 등의 과실을 발효하여 디톡스 및 체내클렌즈에 유용한 식물성 발효액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77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2690A (ko) * 2011-06-29 2013-01-08 전라북도 고창군 복분자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KR20150041519A (ko) * 2013-10-08 2015-04-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산균 과즙 발효액, 유산균 발효 과일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75770A (ko) * 2013-12-26 2015-07-06 주식회사 풀무원 혼합 유산균 스타터를 이용한 디톡스 활성 촉진용 과채 발효물 및 이의 이용
KR20160058389A (ko) * 2014-11-17 2016-05-25 정기관 항산화 물질이 증가된 유산균 배양 생성물의 제조 공법 및 이를 조성으로하는 의약품 및 의약외품,화장품 및 식음료 조성물
KR101805399B1 (ko) * 2016-12-28 2017-12-07 홍성훈 과일 및 과채류 농축액 제조방법
JP2018019687A (ja) * 2016-07-21 2018-02-08 株式会社大日製薬 植物発酵ペーストの製造方法および経口摂取用植物発酵ペースト、ならびに経口摂取用組成物
KR20190128664A (ko) 2017-03-01 2019-11-18 더 부츠 캄파니 피엘씨 미용 클렌징 조성물
JP2020519245A (ja) * 2017-05-10 2020-07-02 ザ・クェーカー・オーツ・カンパニー 発酵した加水分解された植物起源材料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2690A (ko) * 2011-06-29 2013-01-08 전라북도 고창군 복분자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KR20150041519A (ko) * 2013-10-08 2015-04-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산균 과즙 발효액, 유산균 발효 과일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75770A (ko) * 2013-12-26 2015-07-06 주식회사 풀무원 혼합 유산균 스타터를 이용한 디톡스 활성 촉진용 과채 발효물 및 이의 이용
KR20160058389A (ko) * 2014-11-17 2016-05-25 정기관 항산화 물질이 증가된 유산균 배양 생성물의 제조 공법 및 이를 조성으로하는 의약품 및 의약외품,화장품 및 식음료 조성물
JP2018019687A (ja) * 2016-07-21 2018-02-08 株式会社大日製薬 植物発酵ペーストの製造方法および経口摂取用植物発酵ペースト、ならびに経口摂取用組成物
KR101805399B1 (ko) * 2016-12-28 2017-12-07 홍성훈 과일 및 과채류 농축액 제조방법
KR20190128664A (ko) 2017-03-01 2019-11-18 더 부츠 캄파니 피엘씨 미용 클렌징 조성물
JP2020519245A (ja) * 2017-05-10 2020-07-02 ザ・クェーカー・オーツ・カンパニー 発酵した加水分解された植物起源材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0334B1 (ko) 오디식초와 그 제조방법 및 오디식초를 함유한 기능성 음료
CN106942742A (zh) 一种无花果酵素的制备方法
CN108967775A (zh) 一种野樱莓活性植物乳酸菌发酵饮料及其制备方法
CN106387569A (zh) 一种浓缩发酵果蔬汁及其制备方法
CN103251013B (zh) 一种即食调味乳酸菌低温发酵酸菜制备工艺
CN105901636A (zh) 一种辣椒发酵工艺
CN107683994A (zh) 一种果蔬酵素饮料及其制备方法
CN104256764A (zh) 一种复合果蔬汁发酵保健饮料
KR101690413B1 (ko) 아로니아 열매를 이용한 식초의 제조방법
CN105211970A (zh) 一种罗汉果乳酸发酵果汁及其制备方法
KR20210153184A (ko) 콤부차 제조방법
CN106879898B (zh) 一种提高乳酸发酵饮料中黄酮和多酚含量的方法
CN108902831A (zh) 一种泡菜加工工艺
CN105695287B (zh) 一种富硒木耳桑葚保健黑醋
KR102405770B1 (ko) 블루베리 등의 과실을 발효하여 디톡스 및 체내클렌즈에 유용한 식물성 발효액 제조방법
CN104431859B (zh) 一种杨桃酵素的制备方法
KR20160071736A (ko) 산야초 발효액의 제조방법
CN103642661A (zh) 石榴醋制造方法
CN107683989A (zh) 芒果火龙果复合饮料
KR102088098B1 (ko) 비가열 파인애플 발효식초의 제조방법
KR100780653B1 (ko) 비열처리한 농축식초 및 그 제조방법
US20230301900A1 (en) (54) Title: METHOD FOR MANUFACTURING PLANT FERMENTED PRODUCT USING PLANT FERMENTED BROTH
CN110384192A (zh) 一种富含活性益生菌的发酵芹菜汁及其制备方法
CN108850753A (zh) 一种低醇复合多级发酵果汁的制备方法
CN108813247A (zh) 一种基于乳酸菌发酵的草莓饮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