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201B1 - 신축성 막 및 그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신축성 막 및 그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201B1
KR102405201B1 KR1020190173234A KR20190173234A KR102405201B1 KR 102405201 B1 KR102405201 B1 KR 102405201B1 KR 1020190173234 A KR1020190173234 A KR 1020190173234A KR 20190173234 A KR20190173234 A KR 20190173234A KR 102405201 B1 KR102405201 B1 KR 102405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tretchable
film
stretchable film
s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0176A (ko
Inventor
준 하타케야마
Original Assignee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80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003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02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1/12Spreading-out the material on a substrate, e.g. on the surface of a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7Polyurethanes; 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03Polyhydroxy compounds
    • C08G18/3206Polyhydroxy compounds aliph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8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3893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36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groups
    • C08G18/4238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group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4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54Polyethers containing oxyalkylene groups having four carbon atoms in the alkylene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1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Unsaturated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71Unsaturated 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2Esters of acrylic or alkyl acrylic acid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 C08G18/75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08G18/75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 C08G18/75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and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a secondary carbon atom of the cycloaliphatic ring, e.g. isophorone diisocya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8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two or more cycloaliph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83Chemically modified polymers
    • C08G18/837Chemically modified polymers by silicon 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2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08G77/458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polyurethane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08L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08L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L75/16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having terminal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10Block- or graft-co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5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51/08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33/00Use of 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33/04Polymers of esters
    • B29K2033/08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e.g. PMA, i.e. polymethyl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333/1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08J23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J2375/16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having terminal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과제] 우수한 신축성을 가지면서 또한 막 표면의 발수성도 우수함과 더불어, 표면의 끈적거림도 없는 신축성 막 및 그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수단] 적어도 표면이, 실리콘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신축성 막 재료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신축성 막으로서,
상기 신축성 막의 표면에, 깊이가 0.1 ㎛∼2 mm, 피치가 0.1 ㎛∼5 mm 범위인 요철의 반복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막.

Description

신축성 막 및 그 형성 방법{STRETCHABLE FILM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신축성, 고강도, 고발수성이며 끈적거리지 않는 표면 특성을 겸비한 신축성 막 및 그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oT(Internet of Things)의 보급과 함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시계나 안경이 그 대표예이다. 또한, 의료 분야나 스포츠 분야에서도, 몸의 상태를 항상 모니터링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필요하게 되고 있어, 앞으로의 성장 분야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서는, 몸에 접착하여 항상 몸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형태가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통상 몸으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검지하기위한 생체 전극, 전기 신호를 센서에 보내기 위한 배선, 센서가 되는 반도체 칩과 전지를 포함한다. 또한, 통상 피부에 점착하기 위한 점착 패드도 필요하다. 생체 전극 및 이 주위의 배선이나 점착 패드의 구조에 관해서는 특허문헌 1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생체 전극의 주위에 실리콘계 점착막이 배치되고, 생체 전극과 센서 디바이스 사이는 신축성의 우레탄막으로 피복된 주름상자 형태의 신축 가능한 은 배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우레탄막은 신축성과 강도가 높고, 신축 배선의 피복막으로서 우수한 기계 특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우레탄막에는 가수분해성이 있기 때문에, 가수분해에 의해 신축성과 강도가 저하한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한편, 실리콘막에는 가수분해성은 없지만, 강도가 낮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그래서, 우레탄 결합과 실록산 결합 양쪽을 폴리머 주쇄에 갖는 실리콘우레탄 폴리머가 검토되고 있다. 이 폴리머의 경화물은 실리콘 단독보다는 고강도이며, 폴리우레탄 단독보다는 저가수분해성이다. 그러나, 이 폴리머의 경화물에서는, 폴리우레탄 단독의 강도, 실리콘 단독의 발수성에는 미치지 못하고, 실리콘과 폴리우레탄의 중간의 강도와 발수성밖에 얻지 못한다.
고신축의 우레탄막은 닿았을 때에 표면이 끈적거리는 특성이 있다. 표면이 끈적거리면 막끼리를 붙였을 때에 떨어지지 않고, 이 막 상에 스크린 인쇄를 행했을 때에 판과 막이 달라붙어 인쇄 불량이 발생한다. 한편, 실리콘막은 박리성이 높기 때문에 막끼리 달라붙는 일은 없다. 단, 실리콘은 강도가 낮기 때문에, 박막의 실리콘막은 늘리면 간단히 끊겨 떨어져 버린다. 실리콘막 상에 스크린 인쇄를 행하면, 판과 달라붙음으로 인한 인쇄 불량은 일어나지 않지만, 잉크와의 접착성이 낮기 때문에, 경화 후의 잉크가 벗겨져 버린다. 이것은, 실리콘 표면의 박리성이 높음에 의한 것이다. 한편, 우레탄막의 잉크와의 접착력은 높아, 경화 후의 잉크가 벗겨지는 일은 없다.
또한, 실리콘이 펜던트된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막은, 신축성, 강도, 발수성의 밸런스가 우수하지만, 막 표면이 끈적거리고 있기 위해서 막끼리 달라붙어 버리거나, 스크린 인쇄 시에 판과 달라붙어 버리는 결점이 있다. 실리콘이 주쇄에 블록 공중합되어 있는 폴리우레탄을 베이스로 하는 막은, 막 표면의 끈적거리는 느낌이 없지만, 강도가 약하다.
고신축, 고강도이며, 표면이 끈적거리지 않고 스크린 인쇄 등의 인쇄가 가능하며, 인쇄 후의 잉크가 벗겨지는 일이 없는 신축성 막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실리콘우레탄막으로 표면이 덮이고, 그 내부가 우레탄막, 더 내부가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인 이륜차 시트용 피혁재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가장 표면을 실리콘우레탄막으로 함으로써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실리콘은 표면 에너지가 낮으므로 끈적거리는 일이 없으며, 이에 따라 내마모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연잎은 물이 구슬과 같이 굴러가는 초발수성을 보여, 발리지 않는다. 이것은 로터스 효과로서 알려져 있다. 연잎의 표면에는 미세한 요철이 있고, 이것이 발수성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면, 초발수성 현상이 발현되는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4-033468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01-18329호 공보
이러한 배경에서, 폴리우레탄과 같은 정도의 우수한 신축성과 강도를 가지며, 또한 실리콘 이상의 우수한 발수성, 나아가서는 막끼리 달라붙지 않는 자립성의 신축성 막 및 그 형성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감안하여, 우수한 신축성과 강도를 가지며, 또한 막 표면의 발수성도 우수함과 더불어, 표면의 끈적거림도 없는 신축성 막 및 그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표면이, 실리콘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신축성 막 재료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신축성 막으로서, 상기 신축성 막의 표면에, 깊이가 0.1 ㎛∼2 mm, 피치가 0.1 ㎛∼5 mm 범위인 요철의 반복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신축성 막을 제공한다.
이러한 신축성 막이라면, 우수한 신축성과 강도를 가지며, 또한 막 표면의 발수성도 우수함과 더불어, 표면의 끈적거림도 없는 신축성 막으로 된다.
또한, 상기 실리콘 폴리우레탄 수지가 폴리카보네이트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것이라면, 고경도이기 때문에, 닿더라도 요철 부분이 변형되는 일이 보다 적고, 초발수성이 유지된다.
또한, 상기 실리콘 폴리우레탄 수지가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실리콘 펜던트형 폴리우레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9133043873-pat00001
(식 중, R1, R2, R3은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탄소수 1∼6의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알킬기, 페닐기,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이다. R4는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탄소수 1∼6의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알킬기, 페닐기, 또는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 -(OSiR1R2)s-OSiR1R2R3기이다. R5는 수소 원자, 탄소수 1∼4의 직쇄상, 분기상의 알킬기, R6은 단결합, 메틸렌기, 또는 에틸렌기, R7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X는 탄소수 3∼7의 직쇄상, 분기상의 알킬렌기이며, 에테르기를 함유하여도 좋다. q, r 및 s는 0∼20 범위의 정수이다. a1, a2는 반복 단위의 비율이며, 0≤a1<1.0, 0≤a2<1.0, 0<a1+a2≤1.0 범위이다.)
이러한 실리콘 폴리우레탄 수지라면, 보다 강도가 우수한 신축성 막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리콘 펜던트형 폴리우레탄 수지가 하기 일반식(2)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9133043873-pat00002
(식 중, R1∼R7, X, q, r, a1, a2는 상기와 마찬가지다. R8∼R17은 동일하거나 또는 동일하지 않은 탄소수 2∼12의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6∼12의 아릴렌기이다. m은 동일하거나 또는 동일하지 않으며, 1∼200이다. b1, b2, b3, b4는 반복 단위의 비율이며, 0≤b1<1.0, 0≤b2<1.0, 0≤b3<1.0, 0≤b4<1.0, 0<b1+b2+b3+b4<1.0 범위이다.)
이러한 실리콘 펜던트형 폴리우레탄 수지라면, 더욱 강도가 향상되어, 보다 막 표면의 끈적거림을 억제한 신축성 막으로 된다.
또한 이때, 상기 실리콘 펜던트형 폴리우레탄 수지가 하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9133043873-pat00003
(식 중, R1∼R17, X, m, q, r, a1, a2, b1, b2, b3, b4는 상술한 것과 같다. R18은 탄소수 1∼20의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알킬렌기이며, 에테르기, 에스테르기를 갖고 있어도 좋고, R19는 수소 원자, 메틸기이다. c는 1 분자 중의 단위수이며, 1≤c≤4 범위이다.)
이러한 실리콘 펜던트형 폴리우레탄 수지라면, 가열 및/또는 광 조사에 의해 경화시키는 데 특히 적합하다.
또한, 상기 신축성 막이 JIS K 6251에 규정되는 인장 시험에서 신축률이 20%∼100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신축률이라면, 신축 배선용의 기판막으로서 특히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성 막이 신축성을 갖는 도전성 배선에 접촉하는 막으로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은 이러한 용도에 특히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신축성 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1) 깊이가 0.1 ㎛∼2 mm, 피치가 0.1 ㎛∼5 mm 범위인 요철의 반복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 상에,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실리콘 펜던트형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신축성 막 재료를 도포하는 공정,
(2) 가열 및/또는 광 조사에 의해 상기 신축성 막 재료를 경화시키는 공정 및
(3) 상기 신축성 막 재료의 경화물을 상기 기판으로부터 박리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신축성 막의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112019133043873-pat00004
(식 중, R1, R2, R3은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탄소수 1∼6의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알킬기, 페닐기,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이다. R4는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탄소수 1∼6의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알킬기, 페닐기, 또는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 -(OSiR1R2)s-OSiR1R2R3기이다. R5는 수소 원자, 탄소수 1∼4의 직쇄상, 분기상의 알킬기, R6은 단결합, 메틸렌기, 또는 에틸렌기, R7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X는 탄소수 3∼7의 직쇄상, 분기상의 알킬렌기이며, 에테르기를 함유하여도 좋다. q, r 및 s는 0∼20 범위의 정수이다. a1, a2는 반복 단위의 비율이며, 0≤a1<1.0, 0≤a2<1.0, 0<a1+a2≤1.0 범위이다.)
이러한 신축성 막의 형성 방법이라면, 적어도 표면이, 실리콘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신축성 막 재료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신축성 막이며, 이 신축성 막의 표면에, 깊이가 0.1 ㎛∼2 mm, 피치가 0.1 ㎛∼5 mm 범위인 요철의 반복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신축성 막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정(1)과 공정(2) 사이에, (1') 상기 신축성 막 재료 상에 폴리우레탄막을 압착하는 공정을 갖고 있어도 좋다.
혹은 상기 공정(2)과 공정(3) 사이에,
(2'-1) 상기 신축성 막 재료의 경화물 상에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신축성 막 재료를 도포하는 공정,
(2'-2) 가열 및/또는 광 조사에 의해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신축성 막 재료를 경화시켜 폴리우레탄막을 형성하는 공정
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신축성 막의 형성 방법이라면, 요철의 반복 패턴이 형성된 표면과 그 이외의 부분에서 조성이 다른 적층된 신축성 막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이라면, 폴리우레탄과 같은 정도의 우수한 신축성과 강도를 가지며, 또한 막 표면은 물방울이 굴러갈 정도의 초발수로, 닿았을 때에 표면의 끈적거리는 느낌이 없는 신축성 막으로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이 펜던트된 폴리우레탄을 베이스로 하는 층의 표면에 요철이 존재하면, 초발수 현상이 발현된다. 물방울이 부착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먼지의 부착도 저감할 수 있으며, 표면의 끈적거리는 느낌이 없고, 촉감이 양호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이라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생체 전극과 센서를 접속하는 배선부뿐만 아니라, 생체 전극이나 센서 모두를 실을 수 있는 신축성 막으로서 특히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의 형성 방법이라면, 상술한 것과 같이 신축성 막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신축성 막 상에 형성한 심전계를 생체 전극 측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의 형성 방법의 일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의 형성 방법의 다른 일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의 형성 방법의 또 다른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의 형성 방법의 또 다른 일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을 기판 상에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신축성 막 상에 심전계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배선과 센터 디바이스를 실리콘우레탄의 신축성 막으로 덮은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신축성 막의 양면에 요철의 반복 패턴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신축성 막 상에 심전계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배선과 센터 디바이스를 실리콘우레탄의 신축성 막으로 덮은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상술한 것과 같이, 우수한 신축성과 강도를 가지면서 또한 막 표면의 발수성도 우수함과 더불어, 표면의 끈적거림도 없는 신축성 막 및 그 형성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었다.
폴리우레탄은 충분한 신축성과 강도를 갖지만, 발수성이 낮고, 가수분해에 의해 강도와 신축성이 저하한다고 하는 결점이 있으며, 실리콘은 발수성이 높지만, 강도가 낮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우레탄 결합과 실록산 결합 양쪽을 주쇄에 갖는 실리콘우레탄 폴리머의 경화물에서는, 막 표면의 끈적거리는 느낌이 작고 발수성이 우수하지만, 강도가 낮은 결점이 있으며, 측쇄에 실리콘이 펜던트되어 폴리에테르를 갖는 폴리우레탄을 베이스로 하는 막은, 고강도, 고신축, 고발수이지만, 표면이 끈적거리는 결점이 있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폴리우레탄과 같은 정도의 우수한 신축성과 강도를 가지면서 또한 막 표면의 강도도 충분히 높고, 또한 실리콘과 같은 정도나 그 이상의 우수한 발수성과 표면 경도를 갖는 신축성 막 및 그 형성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었다.
실리콘 고무를 이용하여 연잎과 같은 미세한 요철 표면 형상의 시트를 제작한 경우, 초발수성 표면으로 되지만, 이 시트를 잡아당기면 간단히 끊겨 떨어져 버린다. 실리콘 고무는 인열 강도가 약해, 시트에 인장 응력이 걸리면 요철 부분에서부터 당겨 찢겨져 버리기 때문이다.
폴리우레탄 시트는 고강도이며, 미세한 요철 표면 형상의 시트를 제작하여, 이 시트를 잡아당기더라도 끊겨 떨어지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단, 폴리우레탄은 발수성이 높지 않기 때문에, 요철 표면 상에서 초발수 현상은 발현되지 않는다.
그래서, 실리콘 폴리우레탄을 이용하여 미세한 요철 표면 형상의 시트를 제작함으로써, 우수한 신축성과 강도를 가지면서 또한 막 표면의 발수성도 우수함과 더불어, 표면의 끈적거림도 없는 신축성 막으로 되어, 상기 신축성 막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의 신축 배선을 형성하기 위한 신축성 기판막으로서 특히 적합한 것으로 되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적어도 표면이, 실리콘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신축성 막 재료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신축성 막이며, 상기 신축성 막의 표면에, 깊이가 0.1 ㎛∼2 mm, 피치가 0.1 ㎛∼5 mm 범위인 요철의 반복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신축성 막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신축성 막>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은, 적어도 표면이, 실리콘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신축성 막 재료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신축성 막이며, 상기 신축성 막의 표면에, 깊이가 0.1 ㎛∼2 mm, 피치가 0.1 ㎛∼5 mm 범위인 요철의 반복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요철의 반복 패턴은, 깊이가 0.1∼100 ㎛, 피치가 0.1∼100 ㎛ 범위로 할 수도 있다.
도 1에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신축성 막(6)은, (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막 전체가 실리콘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신축성 막 재료의 경화물(11)을 포함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때, 요철의 반복 패턴이 형성된 표면과 그 이외의 부분에서 조성이 다르더라도 좋고, 동일하여도 좋다. 혹은 (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신축성 막(6)의 표면만이 실리콘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신축성 막 재료의 경화물(11)을 포함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표면 이외의 부분(12)의 조성으로서는 신축성을 갖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혹은 표면 및 이면만이 실리콘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신축성 막 재료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요철의 반복 패턴은 표면뿐만 아니라 이면에도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요철의 반복 패턴이 형성된 표면(표면층)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서는, 후술하는 폴리카보네이트나 폴리에스테르 소프트 세그멘트의 실리콘 펜던트 폴리우레탄 수지를 함유하는 신축성 막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폴리카보네이트나 폴리에스테르실리콘 폴리우레탄층). 이것은 고경도이기 때문에 닿더라도 요철 부분이 변형되는 일이 보다 적고, 초발수성이 유지된다. 특히 요철의 반복 패턴이 형성된 표면 이외의 부분이 고신축, 고강도인 폴리에테르 소프트 세그멘트를 함유하는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신축성 막 재료의 경화물이고, 요철 패턴을 갖는 표면 부분이 폴리카보네이트나 폴리에스테르 소프트 세그멘트를 함유하는 실리콘 펜던트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신축성 막 재료의 경화물이라고 하는 구성이라면, 가장 고신축, 고강도, 고발수성이며 표면이 끈적거리지 않고 막끼리 달라붙지 않는 우수한 신축성 막으로 된다.
<실리콘 폴리우레탄 수지>
실리콘 폴리우레탄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실리콘 펜던트형 폴리우레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9133043873-pat00005
(식 중, R1, R2, R3은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탄소수 1∼6의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알킬기, 페닐기,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이다. R4는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탄소수 1∼6의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알킬기, 페닐기, 또는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 -(OSiR1R2)s-OSiR1R2R3기이다. R5는 수소 원자, 탄소수 1∼4의 직쇄상, 분기상의 알킬기, R6은 단결합, 메틸렌기 또는 에틸렌기, R7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X는 탄소수 3∼7의 직쇄상, 분기상의 알킬렌기이며, 에테르기를 함유하여도 좋다. q, r 및 s는 0∼20 범위의 정수이다. a1, a2는 반복 단위의 비율이며, 0≤a1<1.0, 0≤a2<1.0, 0<a1+a2≤1.0 범위이다.)
실리콘이 펜던트된 폴리우레탄은, 주쇄가 폴리우레탄이기 때문에 고강도, 고신축이다. 최저한의 펜던트 실리콘쇄에 의해 고발수성의 특성으로 되어, 고강도, 고신축, 고발수성의 특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이용하는 실리콘 폴리우레탄 수지로서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실리콘 펜던트형 폴리우레탄 수지가 하기 일반식(2)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폴리카보네이트나 폴리에스테르실리콘 폴리우레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9133043873-pat00006
(식 중, R1∼R7, X, q, r, a1, a2는 상기와 마찬가지다. R8∼R17은 동일하거나 또는 동일하지 않은 탄소수 2∼12의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6∼12의 아릴렌기이다. m은 동일하거나 또는 동일하지 않으며, 1∼200이다. b1, b2, b3, b4는 반복 단위의 비율이며, 0≤b1<1.0, 0≤b2<1.0, 0≤b3<1.0, 0≤b4<1.0, 0<b1+b2+b3+b4<1.0 범위이다.)
또한 이때,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실리콘 폴리우레탄 수지가, (메트)아크릴레이트를 갖는, 하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9133043873-pat00007
(식 중, R1∼R17, X, m, q, r, a1, a2, b1, b2, b3, b4는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다. R18은 탄소수 1∼20의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알킬렌기이며, 에테르기, 에스테르기를 갖고 있어도 좋고, R19는 수소 원자, 메틸기이다. c는 1 분자 중의 단위수이며, 1≤c≤4 범위이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실리콘 폴리우레탄 수지에는 소프트 세그멘트를 도입할 수 있다. 소프트 세그멘트로서 폴리에테르를 이용한 경우는, 실리콘 폴리우레탄 수지는보다 고신축, 고강도, 고발수로 됨과 더불어, 보다 막 표면이 변형되기 쉬워 닿았을 때에 끈적거리기 쉽게 된다. 소프트 세그멘트로서 상기한 것과 같이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용한 경우는, 실리콘 폴리우레탄 수지의 고발수성은 변하지 않고, 폴리에테르의 경우보다도 신축성이 저하하지만, 강도가 향상되고, 고경도이며 막 표면의 변형이 없어져, 보다 끈적거리지 않는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소프트 세그멘트의 경우는, 고발수성이며, 기계적 특성은 폴리에테르와 폴리카보네이트의 중간의 특성이다.
상기 일반식(1) 중의 a1로 표시되는 구조(반복 단위)를 형성하기 위한 디올 화합물로서는, 하기 일반식(a)-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19133043873-pat00008
R1, R2, R3은 상기와 마찬가지지만, 예컨대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n-펜틸기, 시클로펜틸기, n-헥실기, 시클로헥실기, 페닐기,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R4∼R7, X, q, r은 상기와 마찬가지다.
일반식(a)-1'으로 표시되는 단쇄 실리콘이 펜던트된 디올 화합물은, 예컨대 글리세린모노알릴에테르와 SiH기를 갖는 단쇄 실록산 화합물을 백금 촉매 내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기에 예시할 수 있다.
Figure 112019133043873-pat00009
Figure 112019133043873-pat00010
상기 일반식(1) 중의 a2로 표시되는 구조(반복 단위)를 형성하기 위한 디올화합물로서는, 하기 일반식(a)-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19133043873-pat00011
(식 중, R1∼R4, X, q, r은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다.)
일반식(a)-2'으로 표시되는 단쇄 실리콘이 펜던트된 디올 화합물은, 예컨대 디히드록시디알케닐 화합물과 SiH기를 갖는 단쇄 실록산 화합물을 백금 촉매 내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기에 예시할 수 있다.
Figure 112019133043873-pat00012
Figure 112019133043873-pat00013
Figure 112019133043873-pat00014
Figure 112019133043873-pat00015
Figure 112019133043873-pat00016
Figure 112019133043873-pat00017
Figure 112019133043873-pat00018
일반식(2) 중의 반복 단위 b1의 폴리카보네이트의 소프트 세그멘트를 얻기 위해서는, 하기에 예시되는 말단이 디올인 폴리카보네이트 화합물을 원료로 한다.
Figure 112019133043873-pat00019
여기서, 괄호의 반복수는 1∼200이다.
공중합 가능한 폴리에스테르의 소프트 세그멘트 b2를 얻기 위한 말단이 디올인 폴리에스테르 화합물은 하기에 예시할 수 있다.
Figure 112019133043873-pat00020
공중합 가능한 폴리에스테르의 소프트 세그멘트 b3을 얻기 위한 말단이 디올인 폴리에스테르 화합물은 하기에 예시할 수 있다.
Figure 112019133043873-pat00021
공중합 가능한 폴리에스테르의 소프트 세그멘트 b4를 얻기 위한 말단이 디올인 폴리에스테르 화합물은 하기에 예시할 수 있다.
Figure 112019133043873-pat00022
또한, 상술한 실리콘 폴리우레탄 수지에는, b2∼b4 이외의, 그 밖의 폴리에스테르의 소프트 세그멘트 b5를 공중합시킬 수도 있다. 소프트 세그멘트 b5를 얻기 위한 말단이 디올인 폴리에스테르 화합물은 하기에 예시할 수 있다.
Figure 112019133043873-pat00023
상술한 실리콘 폴리우레탄 수지에는, 각각 폴리에테르의 소프트 세그멘트를 얻기 위한 반복 단위 d를 공중합하여도 좋다. 폴리에테르의 소프트 세그멘트를 얻기 위해서는, 하기에 예시되는 말단이 디올인 폴리에테르 화합물을 이용하여 공중합할 수도 있다.
Figure 112019133043873-pat00024
여기서, 괄호의 반복수는 1∼200이다.
본 발명의 신축성 막에 이용되는 일반식(1) 중의 a1, a2에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실리콘 펜던트 폴리우레탄 수지는, 일반식(a)-1', (a)-2'에 표시되는 규소 함유 기를 갖는 디올 화합물을 원료로 하고, 이들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이들에 더하여 말단이 히드록시기인 폴리카보네이트 화합물, 폴리에테르 화합물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화합물을 쇄 길이 연장제로서 첨가하여,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규소 함유 기를 갖는 디올 화합물이나 말단이 히드록시기인 폴리에테르 화합물이나 폴리카보네이트 화합물이나 폴리에스테르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것을 예시할 수 있다.
Figure 112019133043873-pat00025
Figure 112019133043873-pat00026
(식 중, t는 1 이상의 정수이다.)
상기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중, 특히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일반식(a)-1', (a)-2'에 표시되는 규소 함유 기를 갖는 디올 화합물이나 말단이 히드록시기인 폴리에테르 화합물, 폴리카보네이트 화합물, 폴리에스테르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c 단위인 말단에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그 밖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반응시킴에 의해도,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말단에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일반식(a)-1', (a)-2'에 표시되는 규소 함유 기를 갖는 디올 화합물이나 말단이 히드록시기인 폴리에테르 화합물이나 폴리카보네이트 화합물이나 폴리에스테르 화합물과의 반응성이 높기 때문에, 이것을 컨트롤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있다. 또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보관 중에 대기 중의 수분과 반응하여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실활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보관에는 습도를 충분히 막는 등 충분한 주의가 필요하다. 그래서, 이들 일들을 막기 위해서,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치환기로 보호된 블록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이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블록 이소시아네이트기는, 가열에 의해 블록기가 탈보호하여 이소시아네이트기로 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알코올, 페놀, 티오알코올, 이민, 케티민, 아민, 락탐, 피라졸, 옥심, β-디케톤 등으로 치환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들 수 있다.
블록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탈보호 온도를 저온화시키기 위해서 촉매를 첨가할 수도 있다. 이 촉매로서는,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등의 유기 주석, 비스무트염, 2-에틸헥산산아연이나 아세트산아연 등의 카르복실산아연이 알려져 있다.
특히 일본 특허공개 2012-152725호 공보에서는, 카르복실산으로서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아연을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해리 촉매로서 포함함으로써, 탈보호 반응의 저온화가 가능하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을 첨가할 수도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기와 아미노기가 반응하면 요소 결합이 형성된다. 우레탄 결합과 요소 결합 부분은 하드 세그멘트라고 불리며, 이들 수소 결합에 의해 강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우레탄 결합뿐만 아니라, 이것에 요소 결합을 가함으로써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축성 막에 이용되는 실리콘 폴리우레탄 수지로서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것이라면, 본 발명의 신축성 막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폴리우레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상한치로서는 500,000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신축성 막에 있어서의 표면막(표면층)은, 소프트 세그멘트로서 일반식(2) 중의 폴리카보네이트나 폴리에스테르 단위 b1∼b4를 갖는 측쇄 실리콘형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신축성 막 재료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b1∼b4 단위 이외에 그 밖의 폴리에스테르 단위인 b5 단위나 폴리에테르 단위인 d 단위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b1∼b4 단위는 우레탄 중합 시의 준비 조성으로서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은, JIS K 6251에 규정되는 인장 시험에서 신축률이 20%∼1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신축률이라면, 신축 배선용의 기판막으로서 특히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면에 요철을 갖는 신축성 막은, 신축성을 갖는 도전성 배선에 접촉하는 막으로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은 특히 이러한 용도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표면에 요철을 갖는 신축성 막이라면, 폴리우레탄과 같은 정도의 우수한 신축성과 강도, 히스테리시스를 가지며, 또한 막 표면은 실리콘과 같은 정도의 우수한 발수성을 가지고, 끈적거리는 느낌이 없는 신축성 막으로 된다.
<신축성 막의 형성 방법>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신축성 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1) 깊이가 0.1 ㎛∼2 mm, 피치가 0.1 ㎛∼5 mm 범위인 요철의 반복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 상에,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실리콘 펜던트형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신축성 막 재료를 도포하는 공정,
(2) 가열 및/또는 광 조사에 의해 상기 신축성 막 재료를 경화시키는 공정 및
(3) 상기 신축성 막 재료의 경화물을 상기 기판으로부터 박리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신축성 막의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112019133043873-pat00027
(식 중, R1, R2, R3은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탄소수 1∼6의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알킬기, 페닐기,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이다. R4는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탄소수 1∼6의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알킬기, 페닐기, 또는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 -(OSiR1R2)s-OSiR1R2R3기이다. R5는 수소 원자, 탄소수 1∼4의 직쇄상, 분기상의 알킬기, R6은 단결합, 메틸렌기 또는 에틸렌기, R7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X는 탄소수 3∼7의 직쇄상, 분기상의 알킬렌기이며, 에테르기를 함유하여도 좋다. q, r 및 s는 0∼20 범위의 정수이다. a1, a2는 반복 단위의 비율이며, 0≤a1<1.0, 0≤a2<1.0, 0<a1+a2≤1.0 범위이다.)
이때, 상기 공정(1)과 공정(2) 사이에, (1') 상기 신축성 막 재료 상에 폴리우레탄막을 압착하는 공정을 갖고 있어도 좋다.
혹은 상기 공정(2)과 공정(3) 사이에,
(2'-1) 상기 신축성 막 재료의 경화물 상에,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신축성 막 재료를 도포하는 공정,
(2'-2) 가열 및/또는 광 조사에 의해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신축성 막 재료를 경화시켜 폴리우레탄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고 있어도 좋다.
여기서, 본 발명의 표면에 요철의 반복 패턴이 있는 신축성 막의 형성 공정의 일례를 도 3에 도시한다. 도 3의 (a)와 같은 단면 형상의, 반복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7')을 준비한다. 반복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7') 상에, (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상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실리콘 펜던트형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신축성 막 재료(8)를 도포하고, 가열 및/또는 광 조사에 의해 경화시킨다. 이 신축성 막 재료(8)의 경화물을 기판(7')으로부터 박리하여, (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요철의 반복 패턴이 형성된 표면을 갖는 신축성 막(6)을 얻을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의 형성 방법의 다른 일례를 도 4에 도시한다. 도 4의 (a)와 같은 반복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7')을 준비한다. 이어서, (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상기 일반식(1)에 기재한 실리콘 펜던트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신축성 막 재료(8)를 기판(7')에 도포한 다음에, 폴리우레탄막(9)을 얹고, 가열 및/또는 광 조사로 신축성 막 재료(8)를 경화시켜, 경화물(11)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이것을 박리하여 표면에 요철의 반복 패턴이 형성된 신축성 막(6)을 얻을 수 있다.
위에 얹는 폴리우레탄막(9)은 규소를 함유하고 있어도 있지 않아도 좋지만, 규소를 함유한 쪽이 고발수성이라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위에 얹는 폴리우레탄막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막이며, 시판 제품이라도 좋다. 또한, 위에 얹는 폴리우레탄에는 고신축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폴리에테르나 폴리에스테르의 소프트 세그멘트를 함유하고 있는 쪽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의 형성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도 5에 도시한다. 도 5의 (a)와 같은 반복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7')을 준비한다. 이어서, (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상기 일반식(1)에 기재한 실리콘 펜던트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신축성 막 재료(8)를 도포, 경화한 다음에, 또한 (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폴리우레탄 재료(10)(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신축성 막 재료)를 도포, 경화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d)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이것을 박리하여 표면에 요철의 반복 패턴이 형성된 신축성 막(6)을 얻을 수 있다.
위에 도포되는 폴리우레탄 재료(10)에는 규소를 함유하고 있어도 있지 않아도 좋지만, 규소를 함유한 쪽이 고발수성이라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위에 도포되는 폴리우레탄에는 고신축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폴리우레탄 수지에는 폴리에테르나 폴리에스테르의 소프트 세그멘트를 함유하고 있는 쪽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의 형성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도 6에 도시한다. 도면의 (a)에 도시되는 신축성 기판(13) 상에, (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직접 잉크젯 인쇄 등으로 신축성 막 재료(8)를 포함하는 요철 패턴을 분출한 후, 광 조사에 의해 경화시켜, (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신축성 막 재료의 경화물(11)을 포함하는 요철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 방법이라면 판이 필요없기 때문에 스루풋을 올릴 수 있다. 분출된 잉크는 플로우되어 버려, 요철이 평탄화되어 버리기 때문에, 분출 후 곧바로 경화할 필요가 있다. 경화는 순간적으로 경화 가능한 광 조사가 바람직하고, 잉크젯의 노즐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핀 포인트로 경화가 가능한 LED 레이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요철의 반복 패턴이 붙은 판 상에 상기 일반식(1)에 기재한 실리콘 펜던트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신축성 막 재료를 도포, 경화, 박리함으로써 신축성 막을 형성할 수 있다. 요철의 반복 패턴이 붙은 판(요철의 반복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은, 유리, 석영, 금속, 테플론(등록상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제인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반복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은, 특히 석영제라면, 석영 표면으로부터 광을 조사함으로써 신축성 막 재료를 경화할 수 있다. 이 경화 방법은 플래시 나노 임프린트 리소그래피법과 동일하다. 박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박리제를 판에 코트하거나, 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알콕시실란 화합물로 표면 처리한 판을 이용할 수 있다. 박리제는 불소계 계면활성제나 실리콘계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패턴의 깊이는 0.1 ㎛∼2 mm, 패턴의 피치는 0.1 ㎛∼5 mm이며, 도 3의 (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파상의 단면 형상이라도, 삼각형상, 사다리꼴 형상, 오목렌즈 형상, 볼록렌즈 형상, 사각형상이라도 좋지만, 파상이, 실리콘 펜던트 폴리우레탄의 매립성이나 박리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요철이 붙은 패턴의 위쪽에서 관찰한 레이아웃은, 세로, 가로, 경사, 파상, 방사상 혹은 이들이 조합된 선이 배열되어 있는 경우나, 이들이 격자형 등 복수의 교차하는 선으로 되어 조합되어 있는 경우나, 동그라미, 타원, 삼각, 사각, 오각, 육각의 구멍이나 돌기가 배열되어 있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신축성 막 재료를 반복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에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스핀 코트, 바 코트, 롤 코트, 플로우 코트, 딥 코트, 스프레이 코트, 닥터 코트, 스크린 인쇄, 잉크젯 인쇄 등을 들 수 있다.
신축성 기판 상에, 잉크젯 인쇄나 노즐 분출의 3D 인쇄기에 의해 요철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노즐에서 신축 기판으로의 분출 직후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변형 없이 요철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는 판이 필요없기 때문에 생산성이 높다. 광 조사는 UV 램프뿐만 아니라 LED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핀 포인트 UV 조사의 LED 레이저는, 잉크젯 인쇄와 조합함으로써, 필요한 형상을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신축성 막 재료(혼합 용액)의 점도는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저점도로 하는 경우는, 예컨대 유기 용제를 혼합하고, 고점도로 할 때는 예컨대 실리카 등의 충전제를 혼합한다.
유기 용제로서는, 대기압에서의 비점이 115∼200℃ 범위인 유기 용제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2-옥타논, 2-노나논, 2-헵타논, 3-헵타논, 4-헵타논, 2-헥사논, 3-헥사논, 디이소부틸케톤, 메틸시클로헥사논, 아세토페논, 메틸아세토페논, 아세트산프로필,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이소부틸, 아세트산아밀, 아세트산부테닐, 아세트산이소아밀, 아세트산페닐, 개미산프로필, 개미산부틸, 개미산이소부틸, 개미산아밀, 개미산이소아밀, 발레르산메틸, 펜텐산메틸, 크로톤산메틸, 크로톤산에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태 1>
상기한 것과 같이, 예컨대 요철의 반복 패턴을 갖는 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요철의 반복 패턴이 붙은 판 상에 폴리카보네이트나 폴리에스테르 함유 실리콘 펜던트 폴리우레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면서, 가열이나 광 조사에 의해 경화시키고, 판으로부터 박리함으로써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때, 요철의 반복 패턴이 붙은 판 상에서, 일반식(2) 중의 b1∼b4 단위를 형성하기 위한 폴리카보네이트 화합물이나 폴리에스테르 화합물, a1 단위 또는 a2 단위를 형성하기 위한 실리콘 펜던트 디올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 경우에 따라서는 쇄 길이 연장을 위한 폴리에테르디올 화합물, 폴리에스테르디올 화합물, 아민 화합물, 가교제가 되는 3개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과 촉매를 혼합한 신축성 막 재료를 제막하고, 가열에 의해 경화시켜 요철이 붙은 신축성 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서는, 이소시아네이트기와 히드록시기의 반응에 의해, 우레탄 결합을 형성하면서 고분자량화함으로써, 폴리머 네트워크가 형성된다. 히드록시기나 이소시아네이트기가 3개 이상인 화합물을 첨가하면 가교 반응이 진행되기 때문에, 신축성은 저하하지만, 막 강도는 높아진다. 따라서, 히드록시기나 이소시아네이트기가 2개 혹은 3개인 화합물의 첨가량을 조정함으로써, 경도, 신축성, 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경화 후에 기판으로부터 막을 박리함으로써, 독립된 신축성 막을 얻을 수 있다.
신축성 막 재료(혼합물) 중에 있어서의 히드록시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몰수의 비율로서는, 히드록시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가 같은 몰수 혹은 히드록시기 쪽이 많은, 즉 히드록시기의 몰수를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몰수로 나눈 수치가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기 쪽이 적으면, 잉여의 이소시아네이트기가 물과 반응하여 탄산 가스가 발생하는 일은 없어지기 때문에, 막 내에 발포에 의한 구멍이 생겨 버릴 우려가 없다. 발포 우레탄을 제작할 때에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과잉으로 하지만, 본 발명의 신축성 막에서는 고강도의 특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막 내에 발포에 의한 구멍은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축성 막 재료의 경화물을, 상기한 것과 같이 히드록시기의 몰수가 이소시아네이트기보다 많은 상태에서 형성하면, 폴리머 말단에서는 일반식(a')-1, (a')-2으로 표시되는 디올 화합물의 한쪽에만 우레탄 결합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Figure 112019133043873-pat00028
(식 중, R1∼R7, X, q, r은 상술한 것과 같다.)
또한,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혼합하여 고분자체(프리폴리머)를 형성하고, 그 후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추가 혼합하여 가열 경화하는 프리폴리머법에 의해 막을 형성할 수도 있다. 프리폴리머를 형성하는 경우는,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어느 한쪽을 과잉으로 하여 분자량을 올린다.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혼합하여 한 번에 막을 형성하는 원샷 쪽보다도 미반응의 잔류 이소시아네이트량을 적게 할 수 있어, 미가교 부분을 저감하여 고강도의 막을 형성할 수 있다.
경화시킬 때의 가열 온도는 실온에서부터 200℃ 범위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40∼160℃ 범위이고, 시간은 5초에서부터 60분 범위이다.
<양태 2>
또한, 이소시아네이트기와 히드록시기의 반응에 의해 우레탄 폴리머를 합성하고, 이것에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말단에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형성하고, 이 폴리머를 제막하여 가열 및/또는 광 조사에 의해 경화시킴으로써, 표면에 요철을 갖는 신축성 막을 형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 함유 실리콘 펜던트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경우는, 상기 일반식(2) 중의 b1 단위를 얻기 위한 폴리카보네이트디올 화합물, a1, a2 단위를 얻기 위한 실리콘 펜던트 디올 화합물에, 보호 또는 미보호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또는히드록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혼합하고 중합하여, 폴리머 말단이 (메트)아크릴레이트인 폴리카보네이트 함유 실리콘 펜던트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머를 합성한다.
폴리카보네이트 함유 실리콘 펜던트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머는 라디칼에 의해 가교 반응시킨다. 라디칼 가교하는 방법으로서는 라디칼발생제의 첨가가 바람직하다. 라디칼발생제로서는, 열분해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열라디칼발생제, 광 조사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광라디칼발생제가 있다.
열라디칼발생제로서는 아조계 라디칼발생제, 과산화물계 라디칼발생제를 들 수 있고, 아조계 라디칼발생제로서는,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산)디메틸,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르보니트릴),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르산) 등을 들 수 있다. 과산화물계 라디칼발생제로서는, 벤조일퍼옥사이드, 데카노일퍼옥사이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숙신산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부틸퍼옥시피발로에이트, 1,1,3,3-테트라메틸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광라디칼발생제로서는, 아세토페논, 4,4'-디메톡시벤질, 벤질, 벤조인, 벤조페논, 2-벤조일안식향산,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부틸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4-벤조일안식향산, 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 2-벤조일안식향산메틸, 2-(1,3-벤조디옥솔-5-일)-4,6-비스(트리클로로메틸)-1,3,5-트리아진, 2-벤질-2-(디메틸아미노)-4'-모르폴리노부티로페논, 4,4'-디클로로벤조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4-디에틸티오크산텐-9-온, 디페닐(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 1,4-디벤조일벤젠, 2-에틸안트라퀴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 2-히드록시-4'-(2-히드록시에톡시)-2-메틸프로피오페논, 2-이소니트로소프로피오페논, 2-페닐-2-(p-톨루엔술포닐옥시)아세토페논(BAPO), 캄퍼퀴논을 들 수 있다.
또한, 열 또는 광라디칼발생제의 첨가량은, 신축성 막 재료에 포함되는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50 질량부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메트)아크릴레이트나 티올을 갖는 가교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라디칼 가교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신축성 막 재료에는, 알킬기나 아릴기를 갖는 모노머나, 규소 함유 기나 불소로 치환된 알킬기나 아릴기를 갖는 모노머를 첨가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용액의 점도를 저하시켜, 보다 박막의 신축성 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들 모노머가 중합성 이중 결합을 갖고 있으면, 막의 경화 시에 막 중에 고정화된다.
알킬기나 아릴기를 갖는 모노머는,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베헤닐아크릴레이트, 아다만탄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페녹시디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2∼6 작용의 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2 작용의 아크릴레이트로서는,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아크릴레이트, 이소노난디올디아크릴레이트, 1,10-데칸디올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메타크릴프로필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옥산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아크릴레이트,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디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비스페놀A디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비스페놀A디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프로폭시화비스페놀A디아크릴레이트, 3 작용의 아크릴레이트로서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글리세린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글리세린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스(2-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트리스(2-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4 작용의 아크릴레이트로서는,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아크릴레이트, 5-6 작용의 아크릴레이트로서는, 디펜타에리트리톨폴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디펜타에리트리톨폴리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디펜타에리트리톨폴리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를 메타크릴레이트로 변경한 모노머를 이용할 수도 있다.
말단에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이용하여 신축성 막을 형성하는 경우, 열경화와 광경화를 조합하여 경화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베이스가 되는 신축성 막은 열경화로 형성해 두고, 그 위의 요철 패턴이 붙은 신축성 막은 광경화로 형성할 수도 있다. 광경화의 장점은, 가열이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는 것과, 단시간에 경화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단점은, 광이 닿지 않는 부분의 경화를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열경화와 광경화를 조합함으로써 각각의 장점을 살린 경화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말단에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가열에 의해 경화시키는 경우, 가열 경화는, 예컨대 핫플레이트나 오븐 중 혹은 원적외선의 조사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가열 조건은, 30∼150℃, 10초∼60분간이 바람직하고, 50∼120℃, 30초∼20분간이 보다 바람직하다. 베이크 환경은 대기 중이라도 불활성 가스 중이라도 진공 중이라도 상관없다.
말단에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광 조사에 의해 경화시키는 경우, 광 조사에 의한 경화는 파장 200∼500 nm의 광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으로서는, 예컨대 할로겐 램프, 크세논 램프, 엑시머 레이저, 메탈 할라이드 램프, LED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빔의 조사라도 좋다. 조사량은 1 mJ/㎠∼100 J/㎠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표면에 요철의 반복 패턴을 갖는 신축성 막은, 단독의 자립막으로서 이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섬유 상이나 멤브레인막 상에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의 사용예>
여기서, 도 2, 7∼12에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의 사용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신축성 막(6) 상에 형성한 심전계(1)를 생체 전극 측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심전계(1)는, 3개의 생체 전극(2)이 전기 신호를 통전하는 배선(3)에 의해 연결되어, 센터 디바이스(4)에 접속되어 있고, 생체 전극(2)의 주위에 점착부(5)를 갖춘 것이며, 심전계(1)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요철 패턴 부분(6-1)을 갖는 신축성 막(6)을 기판(7) 상에 놓은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8은 신축성 막(6) 상에 심전계(1)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9는 심전계(1)의 신축하는 배선(3)과 센터 디바이스(4)를 신축성 막(6)으로 덮은 상태의 단면도이다.
배선(3)의 재료로서는, 일반적으로 금, 은, 백금, 티탄,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이나 카본 등의 도전성 재료가 이용된다. 또한, 신축성을 내기 위해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과 같이 주름상자형의 배선으로 할 수도 있고, 신축성 필름 상에 상술한 도전성 재료의 가루나 와이어화한 도전성 재료를 접착하거나, 상술한 도전성 재료를 함유하는 도전 잉크를 인쇄하거나, 도전성 재료와 섬유가 복합된 도전성 천을 이용하거나 하여 배선(3)을 형성하여도 좋다.
심전계(1)는 피부에 붙일 필요가 있기 때문에, 도 8, 9에서는, 생체 전극(2)이 피부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 생체 전극(2)의 주위에 점착부(5)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생체 전극(2)이 점착성을 갖는 것인 경우는, 주변의 점착부(5)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이 심전계(1)를,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표면에 요철을 갖는 신축성 막인 신축성 막(6) 상에 제작한다. 신축성 막(6)은, 표면의 끈적거림이 적기 때문에, 이 위에 스크린 인쇄 등으로 인쇄를 행한 경우, 판 분리가 양호하다. 판 분리가 불량인 경우, 판이 떨어질 때에 잉크 분리가 일어나, 신축막 상에 잉크가 전사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나아가서는, 신축하는 배선(3)을 신축성 막(6)으로 덮을 수도 있다. 이때의 신축성 막(6)은 표면이 요철 형상일 필요는 없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도 7에서 형성한 신축성 막을 반전시켜, 또 한쪽의 면에도 요철막을 형성하여, 양측(표면 및 이면)에 요철 패턴 형상을 갖는 신축막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신축성 막을 이용한 심전계의 단면도는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된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표면에 요철의 반복 패턴을 갖는 신축성 막의 형성 방법이라면, 폴리우레탄과 같은 정도 또는 그 이상의 우수한 신축성과 강도를 가지며, 또한 막 표면은 높은 발수성과 낮은 태크성을 갖는 신축성 막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GPC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내는 신축성 막 재료 1∼18에, 말단에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로서 배합한 실리콘 펜던트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1∼13 및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1∼3을 이하에 나타낸다.
Figure 112019133043873-pat00029
Figure 112019133043873-pat00030
Figure 112019133043873-pat00031
Figure 112019133043873-pat00032
Figure 112019133043873-pat00033
신축성 막 재료 1∼18에 첨가제로서 배합한 광라디칼발생제 1을 이하에 나타낸다.
광라디칼발생제 1: 디페닐(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
신축성 막 재료 1∼18에 배합한 알킬기나 아릴기를 갖는 모노머를 이하에 나타낸다.
알킬기나 아릴기를 갖는 모노머: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실시예, 비교예]
표 1에 기재한 조성으로, 말단에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실리콘 우레탄 화합물 등과 광라디칼발생제를 혼합하여, 신축성 막 재료 1∼18(신축성 막 형성용 조성물)을 조제했다.
Figure 112019133043873-pat00034
(신축성 막의 제작)
표면에, 각도 70도이며 깊이 5 마이크론, 한 변이 10 마이크론, 피치 20 마이크론인 격자형의 구멍이 붙은, 6 인치의 합성 석영 기판을 준비했다. 이 합성 석영의 패턴은, 포토리소그래피와 드라이 에칭에 의해 제작했다. 이 기판을, 핫플레이트 상 150℃에서 60초간 베이크한 후에, 트리메톡시(1H,1H,2H,2H-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실란의 1% 톨루엔 용액을 스핀코트법으로 도포하고, 핫플레이트 상 100℃에서 60초간 베이크하고, 용제를 증발시켜, 석영 기판을 플루오로알킬화했다.
실시예 1과 비교예 3에서는, 요철 패턴 막 재료로서 표 2에 나타내는 신축성 막 재료를 슬릿 코터로 도포하고, 질소 분위기 하 1,000 W의 크세논 램프로 500 mJ/㎠의 광을 조사하여 경화시키고, 합성 석영 기판으로부터 박리하여 표면에 요철 패턴을 갖는 신축성 막을 제작했다.
실시예 2∼8, 10∼15에서는, 테플론(등록상표) 필름 상에, 평탄막 재료로서 표 2에 나타내는 신축성 막 재료를 슬릿 코터로 도포하고, 질소 분위기 하 1,000 W의 크세논 램프로 500 mJ/㎠의 광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평탄한 신축성 막을 제작했다. 플루오로알킬화한 석영 기판 상에 요철 패턴 막 재료로서 표 2에 나타내는 신축성 막 재료를 바코트법으로 도포하고, 그 위에 제작한 평탄한 신축성 막을 밀착시키고, 질소 분위기 하 1,000 W의 크세논 램프로 500 mJ/㎠의 광을 조사하여 표면 요철 신축성 막 부분을 경화시키고, 합성 석영 기판으로부터 박리하여 표면에 요철 패턴을 갖는 신축성 막을 형성했다.
실시예 9에서는, 플루오로알킬화한 석영 기판 상에 요철 패턴 막 재료로서 표 2의 신축성 막 재료를 바코트법으로 도포하고, 질소 분위기 하 1,000 W의 크세논 램프로 500 mJ/㎠의 광을 조사하여 표면 요철 신축성 막 부분을 경화시키고, 그 위에 평탄막 재료로서 표 2에 나타내는 신축성 막 재료를 슬릿 코터로 도포하고, 질소 분위기 하 1,000 W의 크세논 램프로 500 mJ/㎠의 광을 조사하고, 요철 석영 기판으로부터 박리하여 표면에 요철 패턴을 갖는 신축성 막을 제작했다.
비교예 1, 2에서는, 테플론(등록상표) 필름 상에 평탄막 재료로서 표 2에 나타내는 신축성 막 재료를 슬릿 코터로 도포하고, 질소 분위기 하 1,000 W의 크세논 램프로 500 mJ/㎠의 광을 조사하여 신축성 막을 경화시켰다.
(막 두께·접촉각·신축률·강도·표면 태크감(tackiness)의 측정)
경화 후의 표면에 요철의 반복 패턴을 갖는 신축성 막(실시예 1∼15), 비교예의 신축성 막(비교예 1∼3)에 있어서의 막 두께 및 표면의 물의 접촉각을 측정하고, 손가락으로 닿았을 때의 태크감을 구했다. 또한, 신축성 막 표면의 물의 접촉각을 측정한 후에, 신축성 막을 기판으로부터 벗겨내어, JIS K 6251에 준한 방법으로 신축률과 강도를 측정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9133043873-pat00035
표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신축성 막에서는, 발수성, 강도, 신축성이 높으면서 또한 표면의 태크성이 낮은 신축성 막을 얻을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 2와 같이 표면 요철 패턴이 없는 막에서는, 발수성이 부족하고 표면의 태크성이 있어, 막끼리 달라붙어 버리는 특성이며, 비교예 3에서는 표면에 요철의 반복 패턴이 있더라도 실리콘을 함유하고 있지 않은 폴리우레탄의 막이기 때문에 발수성이 낮고, 표면의 태크감이 있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이라면, 우수한 신축성과 강도를 가지며, 또한 막 표면의 발수성과 저태크성이 우수하고, 신축 반복에 있어서의 히스테리시스도 양호하기 때문에,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에 이용되는 신축성 배선이 인쇄 가능한 막으로서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음이 분명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는 예시이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심전계, 2: 생체 전극, 3: 배선, 4: 센터 디바이스, 5: 점착부, 6: 신축성 막, 6-1: 요철 패턴 부분, 7: 기판, 7': 기판, 8: 신축성 막 재료, 9: 폴리우레탄막, 10: 폴리우레탄 재료, 11: 실리콘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신축성 막 재료의 경화물, 12: 표면 이외의 부분, 13: 신축성 기판.

Claims (16)

  1. 적어도 표면이, 실리콘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신축성 막 재료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신축성 막으로서,
    상기 신축성 막의 표면에, 깊이가 0.1 ㎛∼2 mm, 피치가 0.1 ㎛∼5 mm 범위인 요철의 반복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또한,
    상기 실리콘 폴리우레탄 수지가 하기 일반식(2)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실리콘 펜던트형 폴리우레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막.
    Figure 112021124242406-pat00057

    (식 중, R1, R2, R3은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탄소수 1∼6의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알킬기, 페닐기,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이다. R4는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탄소수 1∼6의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알킬기, 페닐기, 또는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 -(OSiR1R2)s-OSiR1R2R3기이다. R5는 수소 원자, 탄소수 1∼4의 직쇄상, 분기상의 알킬기, R6은 단결합, 메틸렌기 또는 에틸렌기, R7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X는 탄소수 3∼7의 직쇄상, 분기상의 알킬렌기이며, 에테르기를 함유하여도 좋다. q, r 및 s는 0∼20 범위의 정수이다. a1, a2는 반복 단위의 비율이며, 0≤a1<1.0, 0≤a2<1.0, 0<a1+a2≤1.0 범위이다. R8∼R17은 동일하거나 또는 동일하지 않은 탄소수 2∼12의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6∼12의 아릴렌기이다. m은 동일하거나 또는 동일하지 않으며, 1∼200이다. b1, b2, b3, b4는 반복 단위의 비율이며, 0≤b1<1.0, 0≤b2<1.0, 0≤b3<1.0, 0≤b4<1.0, 0<b1+b2+b3+b4<1.0 범위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폴리우레탄 수지가 폴리카보네이트 구조 또는 폴리에스테르 구조 또는 둘 다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막.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펜던트형 폴리우레탄 수지가 하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막.
    Figure 112021124242406-pat00042

    (식 중, R1∼R17, X, m, q, r, a1, a2, b1, b2, b3, b4는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다. R18은 탄소수 1∼20의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알킬렌기이며, 에테르기, 에스테르기를 갖고 있어도 좋고, R19는 수소 원자, 메틸기이다. c는 1 분자 중의 단위수이며, 1≤c≤4 범위이다.)
  10. 삭제
  11. 제1항, 제2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막은, JIS K 6251에 규정되는 인장 시험에서 신축률이 20%∼100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막.
  12. 제1항, 제2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막이, 신축성을 갖는 도전성 배선에 접촉하는 막으로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막.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막이, 신축성을 갖는 도전성 배선에 접촉하는 막으로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막.
  14. 신축성 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1) 깊이가 0.1 ㎛∼2 mm, 피치가 0.1 ㎛∼5 mm 범위인 요철의 반복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 상에, 하기 일반식(2)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실리콘 펜던트형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신축성 막 재료를 도포하는 공정,
    (2) 가열 또는 광 조사 또는 둘 다에 의해 상기 신축성 막 재료를 경화시키는 공정, 및
    (3) 상기 신축성 막 재료의 경화물을 상기 기판으로부터 박리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막의 형성 방법.
    Figure 112021124242406-pat00058

    (식 중, R1, R2, R3은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탄소수 1∼6의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알킬기, 페닐기,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이다. R4는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탄소수 1∼6의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알킬기, 페닐기, 또는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 -(OSiR1R2)s-OSiR1R2R3기이다. R5는 수소 원자, 탄소수 1∼4의 직쇄상, 분기상의 알킬기, R6은 단결합, 메틸렌기 또는 에틸렌기, R7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X는 탄소수 3∼7의 직쇄상, 분기상의 알킬렌기이며, 에테르기를 함유하여도 좋다. q, r 및 s는 0∼20 범위의 정수이다. a1, a2는 반복 단위의 비율이며, 0≤a1<1.0, 0≤a2<1.0, 0<a1+a2≤1.0 범위이다. R8∼R17은 동일하거나 또는 동일하지 않은 탄소수 2∼12의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6∼12의 아릴렌기이다. m은 동일하거나 또는 동일하지 않으며, 1∼200이다. b1, b2, b3, b4는 반복 단위의 비율이며, 0≤b1<1.0, 0≤b2<1.0, 0≤b3<1.0, 0≤b4<1.0, 0<b1+b2+b3+b4<1.0 범위이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1)과 공정(2) 사이에, (1') 상기 신축성 막 재료 상에 폴리우레탄막을 압착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막의 형성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2)과 공정(3) 사이에,
    (2'-1) 상기 신축성 막 재료의 경화물 상에,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신축성 막 재료를 도포하는 공정,
    (2'-2) 가열 또는 광 조사 또는 둘 다에 의해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신축성 막 재료를 경화시켜 폴리우레탄막을 형성하는 공정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막의 형성 방법.
KR1020190173234A 2018-12-26 2019-12-23 신축성 막 및 그 형성 방법 KR1024052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43433 2018-12-26
JPJP-P-2018-243433 2018-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176A KR20200080176A (ko) 2020-07-06
KR102405201B1 true KR102405201B1 (ko) 2022-06-02

Family

ID=68965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234A KR102405201B1 (ko) 2018-12-26 2019-12-23 신축성 막 및 그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30307B2 (ko)
EP (1) EP3674337B1 (ko)
JP (1) JP7304260B2 (ko)
KR (1) KR102405201B1 (ko)
CN (1) CN111378271B (ko)
TW (1) TWI7305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34103A (ja) 2021-03-02 2022-09-1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シリコーンポリウレタン、伸縮性膜、及びその形成方法
JPWO2022230820A1 (ko) * 2021-04-28 2022-11-03
CN117242153A (zh) * 2021-04-28 2023-12-15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湿气固化型粘接剂组合物及固化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8329A (ja) 1999-07-05 2001-01-23 Honda Motor Co Ltd 二輪車シート用ポリオレフィン系表皮材
US20180201746A1 (en) 2015-07-14 2018-07-19 Fujifilm Manufacturing Europe B.V. Ion Exchange Membranes
JP2018123304A (ja) * 2017-01-30 2018-08-0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伸縮性膜及びその形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0876A (ja) * 2001-12-27 2003-07-08 Fuji Photo Film Co Ltd パターン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微細パターン形成方法
JP3923861B2 (ja) 2002-07-03 2007-06-06 フクダ電子株式会社 生体電極
US7491892B2 (en) 2003-03-28 2009-02-17 Princeton University Stretchable and elastic interconnects
JP5372167B2 (ja) * 2008-12-16 2013-12-1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疎水性弁
KR101372505B1 (ko) 2010-01-18 2014-03-1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스트레칭 및 벤딩이 가능한 배선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2152725A (ja) 2011-01-28 2012-08-16 Tosoh Corp ブロックイソシアネート解離触媒及びその用途
US20140220306A1 (en) * 2011-09-08 2014-08-07 Mitsubishi Rayon Co., Ltd. Transparent film having micro-convexoconcave structure on surface thereof,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base film used in production of transparent film
JP5596081B2 (ja) 2012-06-11 2014-09-24 セーレン株式会社 伸縮性コーティング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100299A (ko) 2013-02-06 2014-08-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회로 및 그 제조방법
JP6432134B2 (ja) * 2014-02-21 2018-12-05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硬化性組成物、微細凹凸構造体、加飾シート、および加飾樹脂成形体、並びに加飾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EP2982501B1 (en) 2013-04-05 2019-06-19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Microrelief structural body, decorative sheet, decorative resin molded body, method for producing microrelief structural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decorative resin molded body
JP6343903B2 (ja) 2013-10-17 2018-06-20 東洋紡株式会社 導電性ペースト及びこれを用いた印刷回路
CN107735477B (zh) 2015-06-18 2020-09-11 思美定株式会社 导电性粘接剂、导电性结构体以及电子部件
JP2017070927A (ja) * 2015-10-09 2017-04-13 凸版印刷株式会社 ダイリップエッジガイド
JP6606013B2 (ja) 2016-05-19 2019-11-1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伸縮性膜及びその形成方法、配線被覆基板の製造方法、並びに伸縮性配線膜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478441A (zh) 2016-06-16 2019-03-15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导电性组合物
JP6871837B2 (ja) * 2016-11-17 2021-05-1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伸縮性膜及びその形成方法、並びに伸縮性配線膜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073445B (zh) 2016-12-14 2023-11-17 国立研究开发法人科学技术振兴机构 伸缩性导电体、伸缩性导电体形成用糊剂以及伸缩性导电体的制造方法
JP6882236B2 (ja) * 2017-10-10 2021-06-0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珪素含有化合物、ウレタン樹脂、伸縮性膜、及びその形成方法
JP7045766B2 (ja) * 2017-10-13 2022-04-01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ウレタン樹脂、伸縮性膜及びその形成方法
JP6512389B1 (ja) 2017-11-07 2019-05-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伸縮性回路基板および物品
JP7045767B2 (ja) * 2018-01-31 2022-04-01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伸縮性膜及びその形成方法
JP7132133B2 (ja) * 2018-02-08 2022-09-0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伸縮性膜材料組成物、伸縮性膜、及びその形成方法
JP7256729B2 (ja) * 2018-12-26 2023-04-1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伸縮性配線膜の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8329A (ja) 1999-07-05 2001-01-23 Honda Motor Co Ltd 二輪車シート用ポリオレフィン系表皮材
US20180201746A1 (en) 2015-07-14 2018-07-19 Fujifilm Manufacturing Europe B.V. Ion Exchange Membranes
JP2018123304A (ja) * 2017-01-30 2018-08-0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伸縮性膜及びその形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07935A1 (en) 2020-07-02
CN111378271A (zh) 2020-07-07
TWI730556B (zh) 2021-06-11
KR20200080176A (ko) 2020-07-06
US11530307B2 (en) 2022-12-20
JP7304260B2 (ja) 2023-07-06
CN111378271B (zh) 2021-11-26
EP3674337B1 (en) 2021-06-16
JP2020105485A (ja) 2020-07-09
EP3674337A1 (en) 2020-07-01
TW202031740A (zh)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0220B1 (ko) 신축성 배선막 및 그 형성 방법
KR102405201B1 (ko) 신축성 막 및 그 형성 방법
KR102160355B1 (ko) 신축성 막 및 그 형성 방법
KR102126148B1 (ko) 신축성 막 재료 조성물, 신축성 막 및 그 형성 방법
KR102290942B1 (ko) 신축성 막 및 신축성 막의 형성 방법
KR102302104B1 (ko) 복합 신축성 막 및 그의 형성 방법
KR102333619B1 (ko) 신축성 막 및 그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