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503B1 - 메틸멘톨 유도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냉감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메틸멘톨 유도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냉감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503B1
KR102404503B1 KR1020177026526A KR20177026526A KR102404503B1 KR 102404503 B1 KR102404503 B1 KR 102404503B1 KR 1020177026526 A KR1020177026526 A KR 1020177026526A KR 20177026526 A KR20177026526 A KR 20177026526A KR 102404503 B1 KR102404503 B1 KR 102404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ubstituent
carbon atoms
ether
care produ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6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1432A (ko
Inventor
히사노리 이토
요지 호리
마사시 오츠카
다카지 마츠모토
도모하루 사토
Original Assignee
다카사고 고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사고 고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사고 고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1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5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57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33/58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un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6Flavouring or bitter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1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 A61K8/49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having condensed rings, e.g. ind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2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six 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8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sulfur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fluo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57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33/60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57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33/63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5/00Carboxylic acid nitriles
    • C07C255/01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55/32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55/33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with cyano groups linked to the six-membered aromatic ring, or to the condensed ring system containing that ring, by saturated carbon cha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5/00Carboxylic acid nitriles
    • C07C255/01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55/32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55/42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the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further bound to other hetero atoms
    • C07C255/44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the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further bound to other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the singly-bound nitrogen atoms being acyl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612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and having a six-membered aromatic ring in the acid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66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 C07C69/67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of saturated acids
    • C07C69/675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of saturated acids of saturated hydrox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66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 C07C69/67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of saturated acids
    • C07C69/675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of saturated acids of saturated hydroxy-carboxylic acids
    • C07C69/68Lact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74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esterified carboxy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ring other than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69/75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esterified carboxy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ring other than a six-membered aromatic ring of acids with a six-membered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one carbocyclic ring
    • C07D209/04Indoles; Hydrogenated indoles
    • C07D209/08Indoles; Hydrogenated indole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36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bound nitrogen atoms
    • C07D213/40Acylated substituent 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62Oxygen or sulfur atoms
    • C07D213/63One oxy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2Nitrogen atoms
    • C07D213/75Amino or imino radicals, acylated by carboxylic or carbonic acids, or by sulfur or nitrogen analogues thereof, e.g. carbam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07/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307/1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07/20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07/2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 C07D307/3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07/32Oxygen atoms
    • C07D307/33Oxygen atoms in position 2, the oxygen atom being in its keto or unsubstituted enol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17/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 C07D317/4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7/4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condensed with one six-membered ring
    • C07D317/48Methylenedioxybenzenes or hydrogenated methylenedioxybenzenes, unsubstituted on the hetero ring
    • C07D317/62Methylenedioxybenzenes or hydrogenated methylenedioxybenzenes, unsubstituted on the hetero ring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atoms of the carbocyclic ring
    • C07D317/66Nitrogen atoms not forming part of a nitro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17/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 C07D317/7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spiro-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19/041,3-Dioxanes; Hydrogenated 1,3-dioxanes
    • C07D319/081,3-Dioxanes; Hydrogenated 1,3-dioxan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3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 C07D33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333/14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 bound hetero atoms other than halogen
    • C07D333/20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 bound hetero atoms other than halogen by 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12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six-membered ring
    • C07C2601/14The ring being satur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Seasoning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람직하지 않은 자극감, 특이취, 쓴 맛 등이 없고, 청량감이나 냉량감의 지속성이 우수한 냉감제 또는 감각 자극제로서 이용할 수 있는 신규의 메틸멘톨 유도체를 함유하는 냉감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1A) 또는 하기 일반식(1B)로 표시되는 메틸멘톨 유도체를 함유하는 냉감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메틸멘톨 유도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냉감제 조성물
본 발명은, 신규의 메틸멘톨 유도체 및 그 메틸멘톨 유도체를 함유하는 냉감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냉감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감각 자극제 조성물 및 이들 감각 자극제 조성물이 배합된 향료 조성물 및 제품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인간의 피부나 구강, 코, 목구멍에 대하여 산뜻한 감각(청량감)이나 차가운 감각(냉량감), 즉 냉감 효과를 부여하는 냉감제는, 치약제, 과자(예컨대 츄잉검, 캔디 등), 담배, 찜질제, 화장료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들 청량감 또는 냉량감을 부여하는 향료 물질로서, l-멘톨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그 냉감 효과는 지속성이 부족하고, 또한, 사용량을 늘리면 냉감 효과가 증강되는 반면, 쓴 맛을 수반하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냉감 효과를 갖는 화합물로서, l-멘톨 이외에도 다수의 화합물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 제안된 l-멘톨 이외의 냉감 효과를 갖는 화합물로는, 예컨대 3-치환-p-멘탄(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N-치환-p-멘탄-3-카르복사미드(예컨대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 참조), l-멘틸글루코시드(예컨대 특허문헌 4 참조), 3-(l-멘톡시)프로판-1,2-디올(예컨대 특허문헌 5 참조), 1-멘틸-3-히드록시부틸레이트(예컨대 특허문헌 6 참조), 1-알콕시-3-(l-멘톡시)프로판-2-올(예컨대 특허문헌 7 참조), 3-히드록시메틸-p-멘탄의 에스테르류(예컨대 특허문헌 8 참조), N-아세틸글리신멘탄메틸에스테르(예컨대 특허문헌 9 참조), l-이소풀레골(예컨대 특허문헌 10 참조), (2S)-3-{(1R,2S,5R)-[5-메틸-2-(1-메틸에틸)시클로헥실]옥시}-1,2-프로판디올(예컨대 특허문헌 11 참조), 2-히드록시메틸멘톨(예컨대 특허문헌 12 참조), 멘톡시알칸-1-올(예컨대 특허문헌 13), (l-멘틸옥시알콕시)알칸올(예컨대 특허문헌 14 참조), N 치환 p-멘탄카르복사미드류(예컨대 특허문헌 15 및 특허문헌 16 참조), Nα-(멘탄카르보닐)아미노산아미드(예컨대 특허문헌 17 참조), 이소풀레골 유도체(예컨대 특허문헌 18) 등을 들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소47-1664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47-16648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제2007-53068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48-3306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58-8833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61-19404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2-29082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5-25518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5-25521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6-6502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7-8220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7-11811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9454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343915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제2007-511546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제2011-53060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15181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13/033501호 영국 특허 출원 공고 제1392907호 명세서 독일 특허 출원 공개 제102012202885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4157384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3111127호 명세서 일본 특허 공개 평11-15810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52-10522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89623호 공보
주지ㆍ관용 기술집(향료) 제I부, 1999년 1월 29일, 특허청 발행 Tetrahedron 1986, Vol. 42, No. 8, p 2203-2209 J. Chem. Soc. Perkin Trans. 2, (1991) : 1541-1543 J. Mol. Cat. A(1996), No. 109, 201-208 J. Am. Chem. Soc.(2004), Vol. 126, No. 41, 13312-13319 J. Vis. Exp.(2011), No. 54, 3149
그러나, 상기 종래 제안되어 있는 냉감제는 그 나름의 냉감 효과를 갖지만, 냉감 효과의 지속성 등의 점에서 아직 충분히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다. 또한, 감각 자극 효과에 관해서도 더욱 개선하는 것이 필요로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람직하지 않은 자극감, 특이취, 쓴 맛 등이 없고, 청량감이나 냉량감의 지속성이 우수한 냉감제 또는 감각 자극제로서 이용할 수 있는 신규의 메틸멘톨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신규의 메틸멘톨 유도체를 함유하는 냉감제 조성물 및 그 냉감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감각 자극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 감각 자극제 조성물이 배합된 향료 조성물 및 그 감각 자극제 조성물 또는 그 향료 조성물이 배합된 제품류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일반식(1A) 또는 일반식(1B)로 표시되는 메틸멘톨 유도체인 5,5-디메틸-2-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 유도체 또는 5,5-디메틸-2-이소프로페닐시클로헥산 유도체가, 냉감 효과가 강하고, 또한 그 지속성이 우수하여, 냉감 물질 나아가 감각 자극 물질로서 유용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그 메틸멘톨 유도체는, 예컨대 l-멘톨이 냉감제로서 이용되는 경우에는, l-멘톨이 갖는 자극취를 완화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나아가 일반식(1A) 또는 일반식(1B)로 표시되는 메틸멘톨 유도체를 함유하는 냉감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감각 자극제 조성물이 배합된 향료 조성물에 있어서는, 향료 조성물의 탑노트, 잔향성이 높아지고, 그 향료 조성물을 부향(賦香)하여 이루어진 제품류에도 높은 향질 개선 효과가 부여되는 것을 발견하여,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1]∼[17]에 관한 것이다.
[1] 하기 일반식(1A) 또는 하기 일반식(1B):
Figure 112017091693910-pct00001
[식 중, 실선과 점선의 이중선은 이중 결합 또는 단일 결합이고, * 표시는 비대칭 탄소 원자이고,
W는, 수소 원자, 또는, 단일 결합 혹은 산소 원자를 통해 X와 고리를 형성하고,
X는, -CHO, -CO-Y 또는 -O-Z를 나타내고,
Y는, 이하의 식(i) 또는 식(ii)에 나타내는 기이고,
(i) NR1R2
(ii) OR3
(식(i) 및 식(ii) 중, R1∼R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1∼10의 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2∼10의 알케닐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3∼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2∼15의 복소환기이다.)
Z는, 이하의 식(iii) 또는 식(vi)에 나타내는 기이다.
(iii) R4
(vi) COR5
(식(iii) 중, R4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1∼10의 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2∼10의 알케닐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3∼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2∼15의 복소환기이다.
식(vi) 중, R5는, 수소 원자,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1∼10의 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2∼10의 알케닐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3∼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2∼15의 복소환기이다.)]
로 표시되는 메틸멘톨 유도체를 함유하는 냉감제 조성물.
[2] 상기 메틸멘톨 유도체가 (2S)-체인 상기 [1]에 기재된 냉감제 조성물.
[3] 상기 메틸멘톨 유도체 이외의 냉감 물질을 적어도 1종 더 함유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냉감제 조성물.
[4] 상기 메틸멘톨 유도체 이외의 냉감 물질이,
멘톨, 멘톤, 캄퍼, 풀레골, 이소풀레골, 시네올, 큐베놀, 아세트산멘틸, 아세트산풀레길, 아세트산이소풀레길, 살리실산멘틸, 살리실산풀레길, 살리실산이소풀레길, 3-(l-멘톡시)프로판-1,2-디올, 2-메틸-3-(l-멘톡시)프로판-1,2-디올, 2-(l-멘톡시)에탄-1-올, 3-(l-멘톡시)프로판-1-올, 4-(l-멘톡시)부탄-1-올, 3-히드록시부탄산멘틸, 글리옥실산멘틸, p-멘탄-3,8-디올, 1-(2-히드록시-4-메틸시클로헥실)에타논, 락트산멘틸, 멘톤글리세린케탈, 멘틸-2-피롤리돈-5-카르복실레이트, 모노멘틸숙시네이트, 모노멘틸숙시네이트의 알칼리 금속염, 모노멘틸숙시네이트의 알칼리 토금속염, 모노멘틸글루타레이트, 모노멘틸글루타레이트의 알칼리 금속염, 모노멘틸글루타레이트의 알칼리 토금속염, N-[[5-메틸-2-(1-메틸에틸)시클로헥실]카르보닐]글리신, p-멘탄-3-카르복실산글리세롤에스테르, 멘톨프로필렌글리콜카보네이트, 멘톨에틸렌글리콜카보네이트, p-멘탄-2,3-디올, 2-이소프로필-N,2,3-트리메틸부탄아미드, N-에틸-p-멘탄-3-카르복사미드, 3-(p-멘탄-3-카르복사미드)아세트산에틸, N-(4-메톡시페닐)-p-멘탄카르복사미드, N-에틸-2,2-디이소프로필부탄아미드, N-시클로프로필-p-멘탄카르복사미드, N-(4-시아노메틸페닐)-p-멘탄카르복사미드, N-(2-피리딘-2-일)-3-p-멘탄카르복사미드, N-(2-히드록시에틸)-2-이소프로필-2,3-디메틸부탄아미드, N-(1,1-디메틸-2-히드록시에틸)-2,2-디에틸부탄아미드, 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2-이소프로필-5-메틸시클로헥실)아미드, N-에틸-2,2-디이소프로필부탄아미드, N-[4-(2-아미노-2-옥소에틸)페닐]-p-멘탄카르복사미드, 2-[(2-p-멘톡시)에톡시]에탄올, 2,6-디에틸-5-이소프로필-2-메틸테트라히드로피란 및 트랜스-4-tert-부틸시클로헥산올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덱스트로스 및 솔비톨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당알콜; 및
일본 박하 오일, 페퍼민트 오일, 스페어민트 오일 및 유칼립투스 오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천연물;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냉감 물질인 상기 [3]에 기재된 냉감제 조성물.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냉감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감각 자극제 조성물.
[6] 온감 물질의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하는 상기 [5]에 기재된 감각 자극제 조성물.
[7] 상기 온감 물질이,
바닐릴메틸에테르, 바닐릴에틸에테르, 바닐릴프로필에테르, 바닐릴이소프로필에테르, 바닐릴부틸에테르, 바닐릴아밀에테르, 바닐릴이소아밀에테르, 바닐릴헥실에테르, 이소바닐릴메틸에테르, 이소바닐릴에틸에테르, 이소바닐릴프로필에테르, 이소바닐릴이소프로필에테르, 이소바닐릴부틸에테르, 이소바닐릴아밀에테르, 이소바닐릴이소아밀에테르, 이소바닐릴헥실에테르, 에틸바닐릴메틸에테르, 에틸바닐릴에틸에테르, 에틸바닐릴프로필에테르, 에틸바닐릴이소프로필에테르, 에틸바닐릴부틸에테르, 에틸바닐릴아밀에테르, 에틸바닐릴이소아밀에테르, 에틸바닐릴헥실에테르, 바닐린프로필렌글리콜아세탈, 이소바닐린프로필렌글리콜아세탈, 에틸바닐린프로필렌글리콜아세탈, 바닐릴부틸에테르아세트산에스테르, 이소바닐릴부틸에테르아세트산에스테르, 에틸바닐릴부틸에테르아세트산에스테르, 4-(l-멘톡시메틸)-2-(3'-메톡시-4'-히드록시페닐)-1,3-디옥솔란, 4-(l-멘톡시메틸)-2-(3'-히드록시-4'-메톡시페닐)-1,3-디옥솔란, 4-(l-멘톡시메틸)-2-(3'-에톡시-4'-히드록시페닐)-1,3-디옥솔란, 캡사이신, 디히드로캡사이신, 노르디히드로캡사이신, 호모디히드로캡사이신, 호모캡사이신, 비스캡산틴, 트리스호모캡산틴, 노르놀캡산틴, 노르캡산틴, 캡사이시놀, 바닐릴카프릴아미드(옥틸산바닐릴아미드), 바닐릴펠라르곤아미드(노닐산바닐릴아미드), 바닐릴카프로아미드(데실산바닐릴아미드), 바닐릴운데칸아미드(운데실산바닐릴아미드), N-트랜스-페룰로일티라민, N-5-(4-히드록시-3-메톡시페닐)-2E,4E-펜타디에노일피페리딘, N-트랜스-페룰로일피페리딘, N-5-(4-히드록시-3-메톡시페닐)-2E-펜테노일피페리딘, N-5-(4-히드록시페닐)-2E,4E-펜타디에노일피페리딘, 피페린, 이소피페린, 샤비신, 이소샤비신, 피페라민, 피페레틴, 피페롤레인 B, 레트로프랙타미드 A, 피페라시드, 구이넨사이드, 피페릴린, 피페라미드 C5:1(2E), 피페라미드 C7:1(6E), 피페라미드 C7:2(2E,6E), 피페라미드 C9:1(8E), 피페라미드 C9:2(2E,8E), 피페라미드 C9:3(2E,4E,8E), 파가라미드, 산쇼올-I, 산쇼올-II, 히드록시산쇼올, 산쇼 아미드, 진게롤, 쇼가올, 진게론, 메틸진게롤, 파라돌, 스피란톨, 캬비신, 폴리고디알(타데오날), 이소폴리고디알, 디히드로폴리고디알 및 타데온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및
고추 오일, 고추 올레오레진, 생강 올레오레진, 잠부 올레오레진(파라크레스 추출물), 산쇼 엑기스, 산쇼 아미드, 흑후추 엑기스, 백후추 엑기스 및 여뀌 엑기스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천연물;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온감 물질인 상기 [6]에 기재된 감각 자극제 조성물.
[8] 상기 [5]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감각 자극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9] 상기 [5]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감각 자극제 조성물을 0.00001∼90 질량%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10] 음료, 식품, 향장품, 토일레트리 제품, 에어케어 제품, 일용ㆍ잡화품, 구강용 조성물, 헤어케어 제품, 스킨케어 제품, 바디케어 제품, 의류용 세제, 의류용 유연 마무리제, 의약품 부외품 및 의약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제품으로서, 상기 [5]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감각 자극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품.
[11] 음료, 식품, 향장품, 토일레트리 제품, 에어케어 제품, 일용ㆍ잡화품, 구강용 조성물, 헤어케어 제품, 스킨케어 제품, 바디케어 제품, 의류용 세제, 의류용 유연 마무리제, 의약품 부외품 및 의약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제품으로서, 상기 [5]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감각 자극제 조성물을 0.00001∼50 질량% 함유하는 제품.
[12] 음료, 식품, 향장품, 토일레트리 제품, 에어케어 제품, 일용ㆍ잡화품, 구강용 조성물, 헤어케어 제품, 스킨케어 제품, 바디케어 제품, 의류용 세제, 의류용 유연 마무리제, 의약품 부외품 및 의약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제품으로서, 상기 [8] 또는 [9]에 기재된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품.
[13] 음료, 식품, 향장품, 토일레트리 제품, 에어케어 제품, 일용ㆍ잡화품, 구강용 조성물, 헤어케어 제품, 스킨케어 제품, 바디케어 제품, 의류용 세제, 의류용 유연 마무리제, 의약품 부외품 및 의약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제품으로서, 상기 [8] 또는 [9]에 기재된 향료 조성물을 0.00001∼50 질량% 함유하는 제품.
[14] 음료, 식품, 향장품, 토일레트리 제품, 에어케어 제품, 일용ㆍ잡화품, 구강용 조성물, 헤어케어 제품, 스킨케어 제품, 바디케어 제품, 의류용 세제, 의류용 유연 마무리제, 의약품 부외품 및 의약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제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5]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감각 자극제 조성물을 배합하는 제품의 제조 방법.
[15] 음료, 식품, 향장품, 토일레트리 제품, 에어케어 제품, 일용ㆍ잡화품, 구강용 조성물, 헤어케어 제품, 스킨케어 제품, 바디케어 제품, 의류용 세제, 의류용 유연 마무리제, 의약품 부외품 및 의약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제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8] 또는 [9]에 기재된 향료 조성물을 배합하는 제품의 제조 방법.
[16] 하기 일반식(1A'):
Figure 112017091693910-pct00002
[식 중, 실선과 점선의 이중선은 이중 결합 또는 단일 결합이고, * 표시는 비대칭 탄소 원자이고,
W는, 수소 원자, 또는, 단일 결합 혹은 산소 원자를 통해 X'와 고리를 형성하고,
X'는, -CHO, -CO-Y' 또는 -O-Z를 나타내고,
Y'는, 이하의 식(i) 또는 식(ii')에 나타내는 기이고,
(i) NR1R2
(ii') OR3'
(식(i) 중,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1∼10의 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2∼10의 알케닐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3∼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2∼15의 복소환기이다.
식(ii') 중, R3'은,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1∼10의 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2∼10의 알케닐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3∼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2∼15의 복소환기이다.)
Z는, 이하의 식(iii) 또는 식(vi)에 나타내는 기이다.
(iii) R4
(vi) COR5
(식(iii) 중, R4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1∼10의 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2∼10의 알케닐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3∼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2∼15의 복소환기이다.
식(vi) 중, R5는, 수소 원자,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1∼10의 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2∼10의 알케닐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3∼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2∼15의 복소환기이다.)]
로 표시되는 메틸멘톨 유도체.
[17] 상기 메틸멘톨 유도체가 (2S)-체인 상기 [16]에 기재된 메틸멘톨 유도체.
본 발명의 메틸멘톨 유도체는, 바람직하지 않은 자극감, 특이취, 쓴 맛 등이 없고, 각종 제품류에 배합함으로써, 이들 제품류에 지속성이 우수한 청량감이나 냉량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그 메틸멘톨 유도체는, 인체에 대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피부 자극감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는 우수한 특성을 발휘한다. 또한 보존시에도 착색되지 않고, 안정성이 우수한 화합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식(X)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단순히 「화합물(X)」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중량%"와 "질량%"는 동의이다. 또한, 단위 "ppm"으로 기재한 경우에는 "중량 ppm"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수치 범위를 나타내는 「∼」는, 그 전후로 기재된 수치를 하한치 및 상한치로서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관한 냉감제 조성물은, 하기 일반식(1A)로 표시되는 신규의 메틸멘톨 유도체(이하, 「메틸멘톨 유도체(1A)」라고도 함) 또는 하기 일반식(1B)로 표시되는 신규의 메틸멘톨 유도체(이하, 「메틸멘톨 유도체(1B)」라고도 함)인 5,5-디메틸-2-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 유도체 또는 5,5-디메틸-2-이소프로페닐시클로헥산 유도체를 냉감 물질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17091693910-pct00003
[식 중, 실선과 점선의 이중선은 이중 결합 또는 단일 결합이고, * 표시는 비대칭 탄소 원자이고,
W는, 수소 원자, 또는, 단일 결합 혹은 산소 원자를 통해 X와 고리를 형성하고,
X는, -CHO, -CO-Y 또는 -O-Z를 나타내고,
Y는, 이하의 식(i) 또는 식(ii)에 나타내는 기이고,
(i) NR1R2
(ii) OR3
(식(i) 및 식(ii) 중, R1∼R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1∼10의 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2∼10의 알케닐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3∼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2∼15의 복소환기이다.)
Z는, 이하의 식(iii) 또는 식(vi)에 나타내는 기이다.
(iii) R4
(vi) COR5
(식(iii) 중, R4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1∼10의 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2∼10의 알케닐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3∼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2∼15의 복소환기이다.
식(vi) 중, R5는, 수소 원자,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1∼10의 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2∼10의 알케닐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3∼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2∼15의 복소환기이다.)]
일반식(1A)로 표시되는 메틸멘톨 유도체는, 시클로헥산고리 구조를 가지며, 다음 식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위와 2위가 비대칭 탄소를 갖고 있다.
Figure 112017091693910-pct00004
(식 중, 실선과 점선의 이중선, * 표시, W 및 X는 상기와 동의이다.)
구체적으로는, 일반식(1A)로 표시되는 메틸멘톨 유도체로서, 다음 식(1-1)∼식(1-4)에 나타내는 4종의 다이아스테레오머가 존재한다.
Figure 112017091693910-pct00005
(식 중, 실선과 점선의 이중선, W 및 X는 상기와 동의이다.)
일반식(1A)로 표시되는 메틸멘톨 유도체는, 바람직하게는 광학 활성체, 보다 바람직하게는 (2S)-체, 특히 바람직하게는 (1R,2S)-체이다. 또한, 일반식(1B)로 표시되는 메틸멘톨 유도체에 관해서도 (2S)-체가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식(1A)로 표시되는 메틸멘톨 유도체 중, 하기 일반식(1A')로 표시되는 메틸멘톨 유도체(이하, 「메틸멘톨 유도체(1A')」라고도 함)는, 종래 알려지지 않은 신규의 5,5-디메틸-2-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 유도체 화합물, 또는, 5,5-디메틸-2-이소프로페닐시클로헥산 유도체 화합물이다.
Figure 112017091693910-pct00006
[식 중, 실선과 점선의 이중선은 이중 결합 또는 단일 결합이고, * 표시는 비대칭 탄소 원자이고,
W는, 수소 원자, 또는, 단일 결합 혹은 산소 원자를 통해 X'와 고리를 형성하고,
X'는, -CHO, -CO-Y' 또는 -O-Z를 나타내고,
Y'는, 이하의 식(i) 또는 식(ii')에 나타내는 기이고,
(i) NR1R2
(ii') OR3'
(식(i) 중,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1∼10의 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2∼10의 알케닐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3∼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2∼15의 복소환기이다.
식(ii') 중, R3'은,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1∼10의 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2∼10의 알케닐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3∼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2∼15의 복소환기이다.)
Z는, 이하의 식(iii) 또는 식(vi)에 나타내는 기이다.
(iii) R4
(vi) COR5
(식(iii) 중, R4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1∼10의 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2∼10의 알케닐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3∼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2∼15의 복소환기이다.
식(vi) 중, R5는, 수소 원자,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1∼10의 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2∼10의 알케닐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3∼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2∼15의 복소환기이다.)]
일반식(1A')로 표시되는 메틸멘톨 유도체는, 일반식(1A)로 표시되는 메틸멘톨 유도체와 마찬가지로, 시클로헥산고리 구조를 가지며, 1위와 2위가 비대칭 탄소를 갖고 있기 때문에, 4종의 다이아스테레오머가 존재한다.
일반식(1A')로 표시되는 메틸멘톨 유도체는, 바람직하게는 광학 활성체, 보다 바람직하게는 (2S)-체, 특히 바람직하게는 (1R,2S)-체이다.
일반식(1A), 일반식(1A') 또는 일반식(1B)로 표시되는 메틸멘톨 유도체의 작용기에 관해, 이하에 설명한다.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1∼10의 알킬기로는, 예컨대,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노닐기 및 데실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2∼10의 알케닐기로는, 예컨대, 비닐기, 알릴기, 1-프로페닐기, 이소프로페닐기, 1-부테닐기, 2-부테닐기, 3-부티닐기, 2-메틸알릴기, 펜테닐기, 헥세닐기, 헵테닐기, 옥테닐기, 노네닐기 및 데세닐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3∼10의 시클로알킬기로는, 예컨대,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시클로옥틸기, 시클로노닐기, 시클로데실기, 시클로헥실시클로헥실기, 데카히드로나프틸기, 노르보닐기, 아다만틸기 및 이소보닐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6∼20의 아릴기로는, 예컨대, 탄소수 6∼20의 방향족 단환식기, 방향족 다환식기 또는 방향족 축합환식기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페닐기, 나프틸기, 안트릴기, 페난트릴기, 인데닐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2∼15의 복소환기로는, 지방족 복소환기 및 방향족 복소환기를 들 수 있다.
지방족 복소환기로는, 예컨대 탄소수 2∼14이며, 이종 원자를 적어도 1개, 바람직하게는 1∼3개 포함하고 있는 3∼8원환, 바람직하게는 5원 또는 6원의 단환, 다환 또는 축합환식 등의 지방족 복소환기를 들 수 있다. 이종 원자로는, 질소 원자, 산소 원자, 황원자 등의 헤테로 원소를 들 수 있다.
지방족 복소환기의 구체예로는, 예컨대, 옥시라닐기, 아지리디닐기, 2-옥소피로피딜기, 피페리딜기, 피페라지닐기, 모르폴리노기, 테트라히드로푸릴기, 테트라히드로피라닐기, 테트라히드로티에닐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한편, 방향족 복소환기로는, 예컨대 탄소수 2∼15이며, 이종 원소를 적어도 1개, 바람직하게는 1∼3개 포함하고 있는 5∼8원환, 바람직하게는 5원 또는 6원의 단환, 다환 또는 축합환식 등의 방향족 복소환(헤테로아릴)기를 들 수 있다. 이종 원자로는, 질소 원자, 산소 원자, 황원자 등의 헤테로 원소를 들 수 있다.
방향족 복소환기의 구체예로는, 예컨대, 테트라지닐기, 푸릴기, 티에닐기, 피리딜기, 피리니딜기, 피라지닐기, 피라다지닐기, 이미다조일기, 옥사조일기, 티아조일기, 벤조푸릴기, 벤조티에닐기, 퀴놀릴기, 이소퀴놀릴기, 퀴녹사노일기, 프탈라지닐기, 퀴나졸리닐기, 나프틸디닐기, 신놀리닐기, 벤조이미다졸린기, 벤조옥사졸릴기, 벤조티아졸릴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갖고 있어도 좋은 치환기로는, 예컨대,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펜틸기 및 헥실기 등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및 시클로헵틸기 등의 탄소수 5 내지 8의 시클로알킬기; 수산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실기, 이소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이소부톡시기, sec-부톡시기, 메틸렌디옥시기 및 tert-부톡시기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및 요오드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 벤질기, 페닐에틸기 및 나프틸메틸기 등의 탄소수 7 내지 12의 아랄킬기; 카르복시기; 메톡시카르보닐기, 에톡시카르보닐기, 벤질옥시카르보닐기 등의 탄소수 2∼8의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복사미드기; 디메틸아미노기, 디에틸아미노기 및 디부틸아미노기 등의 탄소수 2 내지 8의 디알킬아미노기; 니트릴기; 시아노메틸기, 시아노에틸기, 시아노프로필기 및 시아노부틸기 등의 시아노알킬(그 알킬기의 탄소수 1∼4)기; 옥시라닐기, 아지리디닐기, 2-옥소피로피딜기, 피페리딜기, 피페라지닐기, 모르폴리노기, 테트라히드로푸릴기, 테트라히드로피라닐기 및 테트라히드로티에닐기 등의 지방족 복소환기; 테트라지닐기, 푸릴기, 티에닐기, 피리딜기, 피리디닐기, 피라지닐기, 피라다지닐기, 이미다조일기, 옥사조일기, 티아조일기, 벤조푸릴기, 벤조티에닐기, 퀴놀릴기, 이소퀴놀릴기, 퀴녹사노일기, 프탈라지닐기, 퀴나졸리닐기, 나프틸디닐기, 신놀리닐기, 벤조이미다졸린기, 벤조옥사졸릴기 및 벤조티아졸릴기 등의 방향족 복소환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단일 결합 혹은 산소 원자를 통해 W와 X 또는 X'가 함께 고리를 형성하는 경우, 산소 원자를 갖고 있어도 좋은 5∼6원환을 형성할 수 있다.
산소 원자를 갖고 있어도 좋은 5∼6원환으로는, 예컨대, 푸란 고리, 테트라히드로푸란 고리, 디옥솔란 고리, 디옥산 고리, 트리옥소시클로헥산 고리, γ-부티로락톤 고리, δ-펜타락톤 고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틸멘톨 유도체(1A), 메틸멘톨 유도체(1A'), 메틸멘톨 유도체(1B)는, 예컨대, 이하의 스킴 1∼스킴 9로 표시되는 방법에 의해 합성된다. 그러나, 그 합성 방법은 이하의 스킴 1∼스킴 9의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스킴 1∼스킴 9에서는 메틸멘톨 유도체(1A)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메틸멘톨 유도체(1A') 및 메틸멘톨 유도체(1B)의 합성 방법에 관해서도 동일하다.
본 발명의 메틸멘톨 유도체(1A)의 기본 골격인 하기 식(4)로 표시되는 5,5-디메틸-2-(1-프로펜-2-일)시클로헥산올 및 하기 식(5)로 표시되는 2-이소프로필-5,5-디메틸시클로헥산올은, 예컨대 이하의 스킴 1로 표시되는 방법에 따라서, 시트랄, 게라니알, 네랄, 피페리톤 또는 이소피페리테논으로부터 합성된다.
Figure 112017091693910-pct00007
(식 중, 실선과 점선의 이중선 및 * 표시는 상기와 동의이다.)
공정[A], 공정[B] 및 공정[D]는, 비특허문헌 2(Tetrahedron 1986, Vol. 42, No. 8, p 2230)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즉, 공정[A]는 공액 부가(1,4-부가) 반응에 의해 행할 수 있고, 공정[B]는 분자 내 프린스 반응에 의해 행할 수 있고, 공정[D]는 공액 부가(1,4-부가) 반응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공정[C]는, 통상 사용되는 니켈이나 팔라듐 등의 금속 촉매에 의해 수소 첨가하는 것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공정[E]는, 비특허문헌 4와 동일한 수법, 즉, 수소화 반응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 이하, 화합물(7a)와 화합물(7b)을 아울러, 일반식(7)로 표시되는 케톤 화합물(이하, 「케톤 화합물(7)」라고도 함)로 기재한다.
Figure 112017091693910-pct00008
(식 중, 실선과 점선의 이중선 및 * 표시는 상기와 동의이다.)
또한, 이하, 화합물(4)와 화합물(5)를 아울러, 일반식(8)로 표시되는 알콜 화합물(이하, 「알콜 화합물(8)」라고도 함)로 기재한다.
Figure 112017091693910-pct00009
(식 중, 실선과 점선의 이중선 및 * 표시는 각각 상기와 동의이다.)
본 발명의 일반식(11)로 표시되는 카르복실산 화합물[5,5-디메틸-2-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11a) 및 5,5-디메틸-2-이소프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11b)](이하, 「카르복실산 화합물(11)」라고도 함)은, 예컨대 이하의 스킴 2로 표시되는 방법에 따라서, 알콜 화합물(8) 및 케톤 화합물(7)로부터 합성된다.
한편, 일반식(13)으로 표시되는 알데히드 화합물[5,5-디메틸-2-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카르보알데히드(13a) 및 5,5-디메틸-2-이소프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보알데히드(13b)](이하, 「알데히드 화합물(13)」라고도 함)은, 예컨대 이하의 스킴 2로 표시되는 방법에 따라서, 케톤 화합물(7)로부터 합성된다.
Figure 112017091693910-pct00010
(식 중, * 표시 및 실선과 점선의 이중선은 상기와 동의이며, R7 및 R8은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1∼10의 알킬기, V는 할로겐 원자이다.)
공정[F]의 할로겐화 반응은, 예컨대, 오염화인과 반응시키면 할로겐화물(9)(V=Cl)을 합성할 수 있다. 또한, 비특허문헌 3(J. Chem. Soc. Perkin Trans., (1990) : 1275∼1277)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공정[G] 및 공정[H]는, 특허문헌 19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공정[I], 공정[J] 및 공정[K]는, 특허문헌 20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공정[T] 및 공정[U]는, 비특허문헌 5(J. Am. Chem. Soc. (2004), Vol. 126, No 41, 13312-13319)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반식(1A)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W=H, X=CONR1R2인 일반식(14)로 표시되는 아미드 화합물(이하, 「아미드 화합물(14)라고도 함」)은, 예컨대 이하의 스킴 3으로 표시되는 방법에 따라서, 카르복실산 화합물(11)로부터 합성된다.
Figure 112017091693910-pct00011
(식 중, 실선과 점선의 이중선, * 표시, R1 및 R2는 상기와 동의이다.)
공정[L]은, 특허문헌 18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아미드 화합물(14)은, 예컨대 이하의 스킴 4로 표시되는 방법에 따라서, 카르복실산 화합물(11)로부터 합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Figure 112017091693910-pct00012
(식 중, 실선과 점선의 이중선, * 표시, R1 및 R2는 상기와 동의이다.)
공정[M]은, 특허문헌 2 또는 특허문헌 18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반식(1A)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W=H, X=COOR3인 일반식(15)로 표시되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화합물(이하, 「카르복실산에스테르 화합물(15)」라고도 함)은, 예컨대, 이하의 스킴 5로 표시되는 방법에 따라서, 카르복실산 화합물(11)로부터 합성된다.
Figure 112017091693910-pct00013
(식 중, 실선과 점선의 이중선, * 표시 및 R3은 상기와 동의이다.)
공정[N]은, 특허문헌 21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반식(1A)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W=H, X=OCO(CH2)nCOOH인 일반식(16)으로 표시되는 디카르복실산모노에스테르 화합물(이하, 「디카르복실산모노에스테르 화합물(16)이라고도 함」은, 예컨대, 이하의 스킴 6으로 표시되는 방법에 따라서, 알콜 화합물(8)로부터 합성된다.
Figure 112017091693910-pct00014
(식 중, 실선과 점선의 이중선, * 표시는 상기와 동의이며, n은 0∼6의 자연수이다)
공정[O]는, 특허문헌 22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반식(1A)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W=H, X=OCOR5인 일반식(17)로 표시되는 에스테르 화합물(이하, 「에스테르 화합물(17)」라고도 함)은, 예컨대, 이하의 스킴 7로 표시되는 방법에 따라서, 알콜 화합물(8)로부터 합성된다.
Figure 112017091693910-pct00015
(식 중, 실선과 점선의 이중선, * 표시, R5 및 V는 상기와 동의이다.)
공정[P]는, 특허문헌 6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반식(1A)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W=H, X=OR4인 일반식(18)로 표시되는 에테르 화합물(이하, 「에테르 화합물(18)」라고도 함)은, 예컨대 이하의 스킴 8로 표시되는 방법에 따라서, 알콜 화합물(8)로부터 합성된다.
Figure 112017091693910-pct00016
(식 중, 실선과 점선의 이중선, * 표시 및 R4는 상기와 동의이다.)
공정[Q]는, 특허문헌 13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반식(1A)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W와 X가 함께 -OCH2CHR6(CH2)mO-로 표시되는 고리를 형성한 일반식(19)로 표시되는 케탈 화합물(이하, 「케탈 화합물(19)」라고도 함)은, 예컨대, 이하의 스킴 9로 표시되는 방법에 따라서, 알콜 화합물(8)로부터 합성된다.
Figure 112017091693910-pct00017
(식 중, 실선과 점선의 이중선 및 * 표시는 상기와 동의이며, m은 0∼6의 자연수이고, R6은 수산기 또는 히드록시메틸기이다.)
공정[R]은, 특허문헌 23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공정[S]는, 특허문헌 24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틸멘톨 유도체(1A)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카르복실산 화합물(11), 아미드 화합물(14), 카르복실산에스테르 화합물(15), 디카르복실산모노에스테르 화합물(16), 에스테르 화합물(17), 에테르 화합물(18) 및 케탈 화합물(19)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메틸멘톨 유도체(1A)에 있어서, 카르복실산 화합물(11) 및 알데히드 화합물(13)의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이하의 화합물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화합물 중, * 표시는 비대칭 탄소를 나타낸다.
Figure 112017091693910-pct00018
본 발명의 메틸멘톨 유도체(1A)에 있어서, 아미드 화합물(14)의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이하의 화합물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화합물 중, Me는 메틸기를, Et는 에틸기를, iPr은 이소프로필기를, * 표시는 비대칭 탄소를 나타낸다.
Figure 112017091693910-pct00019
Figure 112017091693910-pct00020
Figure 112017091693910-pct00021
Figure 112017091693910-pct00022
Figure 112017091693910-pct00023
Figure 112017091693910-pct00024
Figure 112017091693910-pct00025
Figure 112017091693910-pct00026
Figure 112017091693910-pct00027
Figure 112017091693910-pct00028
본 발명의 메틸멘톨 유도체(1A)에 있어서, 카르복실산에스테르 화합물(15)의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이하의 화합물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화합물 중, * 표시는 비대칭 탄소를 나타낸다.
Figure 112017091693910-pct00029
Figure 112017091693910-pct00030
본 발명의 메틸멘톨 유도체(1A)에 있어서, 디카르복실산모노에스테르 화합물(16)의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이하의 화합물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화합물 중, * 표시는 비대칭 탄소를 나타낸다.
Figure 112017091693910-pct00031
Figure 112017091693910-pct00032
본 발명의 메틸멘톨 유도체(1A)에 있어서, 에스테르 화합물(17)의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이하의 화합물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화합물 중, * 표시는 비대칭 탄소를 나타낸다.
Figure 112017091693910-pct00033
Figure 112017091693910-pct00034
본 발명의 메틸멘톨 유도체(1A)에 있어서, 에테르 화합물(18)의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이하의 화합물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화합물 중, * 표시는 비대칭 탄소를 나타낸다.
Figure 112017091693910-pct00035
Figure 112017091693910-pct00036
본 발명의 메틸멘톨 유도체(1A)에 있어서, 케탈 화합물(19)의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이하의 화합물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화합물 중, * 표시는 비대칭 탄소를 나타낸다.
Figure 112017091693910-pct00037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일반식(1A) 또는 일반식(1B)로 표시되는 메틸멘톨 유도체는, 강하고, 지속성이 있는 냉감 효과를 가지며, 그대로 단독으로 냉감제 또는 감각 자극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틸멘톨 유도체는, 제품의 종류, 사용 목적 등에 따라, 그 적용 범위나 적용 방법을 적절하게 바꿀 필요가 있지만, 통상, 제품의 전체 조성에 대하여 0.00001∼50 질량%, 바람직하게는 0.0001∼20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1∼5 질량%의 농도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메틸멘톨 유도체를 포함하는 냉감제 조성물에서는, 본 발명의 메틸멘톨 유도체 이외의 냉감 물질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본 발명의 메틸멘톨 유도체와 병용함으로써, 냉감 강도를 더욱 높인 냉감제 조성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냉감 강도를 높인, 그 냉감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감각 자극제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메틸멘톨 유도체에 포함되지 않는 냉감 물질로는, 예컨대;
멘톨, 멘톤, 캄퍼, 풀레골, 이소풀레골, 시네올, 큐베놀, 아세트산멘틸, 아세트산풀레길, 아세트산이소풀레길, 살리실산멘틸, 살리실산풀레길, 살리실산이소풀레길, 3-(l-멘톡시)프로판-1,2-디올, 2-메틸-3-(l-멘톡시)프로판-1,2-디올, 2-(l-멘톡시)에탄-1-올, 3-(l-멘톡시)프로판-1-올, 4-(l-멘톡시)부탄-1-올, 3-히드록시부탄산멘틸, 글리옥실산멘틸, p-멘탄-3,8-디올, 1-(2-히드록시-4-메틸시클로헥실)에타논, 락트산멘틸, 멘톤글리세린케탈, 멘틸-2-피롤리돈-5-카르복실레이트, 모노멘틸숙시네이트, 모노멘틸숙시네이트의 알칼리 금속염, 모노멘틸숙시네이트의 알칼리 토금속염, 모노멘틸글루타레이트, 모노멘틸글루타레이트의 알칼리 금속염, 모노멘틸글루타레이트의 알칼리 토금속염, N-[[5-메틸-2-(1-메틸에틸)시클로헥실]카르보닐]글리신, p-멘탄-3-카르복실산글리세롤에스테르, 멘톨프로필렌글리콜카보네이트, 멘톨에틸렌글리콜카보네이트, p-멘탄-2,3-디올, 2-이소프로필-N,2,3-트리메틸부탄아미드, N-에틸-p-멘탄-3-카르복사미드, 3-(p-멘탄-3-카르복사미드)아세트산에틸, N-(4-메톡시페닐)-p-멘탄카르복사미드, N-에틸-2,2-디이소프로필부탄아미드, N-시클로프로필-p-멘탄카르복사미드, N-(4-시아노메틸페닐)-p-멘탄카르복사미드, N-(2-피리딘-2-일)-3-p-멘탄카르복사미드, N-(2-히드록시에틸)-2-이소프로필-2,3-디메틸부탄아미드, N-(1,1-디메틸-2-히드록시에틸)-2,2-디에틸부탄아미드, 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2-이소프로필-5-메틸시클로헥실)아미드, N-에틸-2,2-디이소프로필부탄아미드, N-[4-(2-아미노-2-옥소에틸)페닐]-p-멘탄카르복사미드, 2-[(2-p-멘톡시)에톡시]에탄올, 2,6-디에틸-5-이소프로필-2-메틸테트라히드로피란 및 트랜스-4-tert-부틸시클로헥산올 등의 화합물(α) 및 이들의 라세미체 및 광할 활성체;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덱스트로스 및 솔비톨 등의 당알콜(β);
일본 박하 오일, 페퍼민트 오일, 스페어민트 오일 및 유칼립투스 오일 등의 천연물(γ);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9454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34391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00200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6366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5462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5462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079953호 공보, 미국 특허 제4136163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4150052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4178459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4190643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4193936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4226988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4230688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4032661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4153679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4296255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4459425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5009893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5266592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5698181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5725865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5843466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6231900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6277385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6280762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6306429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6432441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6455080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6627233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7078066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6783783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6884906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7030273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7090832호 명세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4/0175489호 명세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4/0191402호 명세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5/0019445호 명세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5/0222256호 명세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5/0265930호 명세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6/015819호 명세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6/0249167호 명세서, 유럽 특허 출원 공개 제1689256호 명세서, 국제 공개 제2005/082154호, 국제 공개 제2005/099473호, 국제 공개 제2006/058600호, 국제 공개 제2006/092076호, 국제 공개 제2006/125334호에 기재된 화합물(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하게 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화합물(α), 당알콜(β) 및 천연물(γ)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냉감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메틸멘톨 유도체와 이것에 포함되지 않는 냉감 물질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비율로 이용할 수 있지만, 메틸멘톨 유도체와 이것에 포함되지 않는 냉감 물질의 바람직한 사용 비율은, 질량비로 1:99∼90:1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냉감제 조성물은, 향료 조성물이나 음료, 식품, 향장품, 토일레트리 제품, 에어케어 제품, 일용ㆍ잡화품, 구강용 조성물, 헤어케어 제품, 스킨케어 제품, 바디케어 제품, 의류용 세제, 의류용 유연 마무리제, 의약품 부외품 및 의약품 등의 제품류에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메틸멘톨 유도체를 포함하는 냉감제 조성물은, 강하고, 또한 지속성이 있는 냉감 효과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 냉감제 조성물을 함유시킴으로써, 냉감 효과를 갖는 감각 자극제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다. 감각 자극제 조성물을 조제하는 경우에 있어서, 냉감제 조성물의 배합량은, 제품의 종류, 사용 목적 등에 따라, 그 적용 범위나 적용 방법을 적절하게 변경할 필요가 있지만, 통상, 감각 자극제 조성물의 전체 조성에 대하여 0.00001∼50 질량%, 바람직하게는 0.0001∼20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1∼4 질량%의 농도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감각 자극제 조성물은, 감각을 자극하는 효과를 부여하는 조성물이다. 상기 감각을 자극하는 효과로는, 냉감 효과 및/또는 온감 효과를 포함하고,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감각 자극제 조성물은 냉감제 조성물 및/또는 온감제 조성물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냉감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온감 물질을 병용함으로써 감각 자극제 조성물의 자극 효과를 조정할 수 있다. 온감 자극 성분으로는, 예컨대;
바닐릴메틸에테르, 바닐릴에틸에테르, 바닐릴프로필에테르, 바닐릴이소프로필에테르, 바닐릴부틸에테르, 바닐릴아밀에테르, 바닐릴이소아밀에테르, 바닐릴헥실에테르, 이소바닐릴메틸에테르, 이소바닐릴에틸에테르, 이소바닐릴프로필에테르, 이소바닐릴이소프로필에테르, 이소바닐릴부틸에테르, 이소바닐릴아밀에테르, 이소바닐릴이소아밀에테르, 이소바닐릴헥실에테르, 에틸바닐릴메틸에테르, 에틸바닐릴에틸에테르, 에틸바닐릴프로필에테르, 에틸바닐릴이소프로필에테르, 에틸바닐릴부틸에테르, 에틸바닐릴아밀에테르, 에틸바닐릴이소아밀에테르, 에틸바닐릴헥실에테르, 바닐린프로필렌글리콜아세탈, 이소바닐린프로필렌글리콜아세탈, 에틸바닐린프로필렌글리콜아세탈, 바닐릴부틸에테르아세트산에스테르, 이소바닐릴부틸에테르아세트산에스테르, 에틸바닐릴부틸에테르아세트산에스테르, 4-(l-멘톡시메틸)-2-(3'-메톡시-4'-히드록시페닐)-1,3-디옥솔란, 4-(l-멘톡시메틸)-2-(3'-히드록시-4'-메톡시페닐)-1,3-디옥솔란, 4-(l-멘톡시메틸)-2-(3'-에톡시-4'-히드록시페닐)-1,3-디옥솔란, 캡사이신, 디히드로캡사이신, 노르디히드로캡사이신, 호모디히드로캡사이신, 호모캡사이신, 비스캡산틴, 트리스호모캡산틴, 노르놀캡산틴, 노르캡산틴, 캡사이시놀, 바닐릴카프릴아미드(옥틸산바닐릴아미드), 바닐릴펠라르곤아미드(노닐산바닐릴아미드), 바닐릴카프로아미드(데실산바닐릴아미드), 바닐릴운데칸아미드(운데실산바닐릴아미드), N-트랜스-페룰로일티라민, N-5-(4-히드록시-3-메톡시페닐)-2E,4E-펜타디에노일피페리딘, N-트랜스-페룰로일피페리딘, N-5-(4-히드록시-3-메톡시페닐)-2E-펜테노일피페리딘, N-5-(4-히드록시페닐)-2E,4E-펜타디에노일피페리딘, 피페린, 이소피페린, 샤비신, 이소샤비신, 피페라민, 피페레틴, 피페롤레인 B, 레트로프랙타미드 A, 피페라시드, 구이넨사이드, 피페릴린, 피페라미드 C5:1(2E), 피페라미드 C7:1(6E), 피페라미드 C7:2(2E,6E), 피페라미드 C9:1(8E), 피페라미드 C9:2(2E,8E), 피페라미드 C9:3(2E,4E,8E), 파가라미드, 산쇼올-I, 산쇼올-II, 히드록시산쇼올, 산쇼 아미드, 진게롤, 쇼가올, 진게론, 메틸진게롤, 파라돌, 스피란톨, 캬비신, 폴리고디알(타데오날), 이소폴리고디알, 디히드로폴리고디알, 타데온 등의 화합물(ε) 및 이들의 라세미체 및 광학 활성체;
고추 오일, 고추 올레오레진, 생강 올레오레진, 잠부 올레오레진(파라크레스 추출물), 산쇼 엑기스, 산쇼 아미드, 흑후추 엑기스, 백후추 엑기스, 여뀌 엑기스 등의 천연물(ζ);
일본 특허 공개 평8-22556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015953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제2007-510634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제2008-505868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07/013811호, 국제 공개 제2003/106404호, 유럽 특허 출원 공개 제1323356호 명세서, 독일 특허 출원 공개 제10351422호 명세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5/0181022호 명세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8/0038386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η);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하게 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화합물(ε) 및 천연물(ζ)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온감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감 효과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 온감 물질과 냉감 물질의 배합비는, 온감 물질의 배합에 의해 온감 효과가 부여되지 않는 범위이면 되며, 통상, 냉감제 조성물의 총질량에 대하여, 온감 물질은 0.001∼0.95배량, 바람직하게는 0.01∼0.5배량의 배합량이 된다. 본 발명의 메틸멘톨 유도체를 포함하는 냉감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감각 자극제 조성물에 있어서, 냉감제 조성물에 상기 비율로 온감 물질이 첨가되는 것에 의해, 냉감 효과가 한층 더 향상되는 것이 보여, 냉감 효과가 증대된다.
또한, 온감 효과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는, 냉감제 조성물의 배합에 의해 냉감 효과가 부여되지 않는 범위이면 되며, 통상, 온감 물질의 총질량에 대하여, 냉감제 조성물은 0.001∼0.95배량, 바람직하게는 0.01∼0.5배량의 배합량이 된다.
본 발명의 냉감제 조성물 또는 감각 자극제 조성물과 함께 함유할 수 있는 향료 성분으로는, 각종 합성 향료, 천연 정유, 합성 정유, 감귤 오일, 동물성 향료 등을 들 수 있고, 예컨대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광범위한 종류의 향료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것으로는, 예컨대 α-피넨, 리모넨, cis-3-헥세놀, 페닐에틸알콜, 스티랄릴아세테이트, 오이게놀, 로즈옥사이드, 리나롤, 벤즈알데히드, 무스콘, 무스크 T(다카사고 향료 공업 주식회사), 테살론(다카사고 향료 공업 주식회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냉감제 조성물 또는 감각 자극제 조성물과 상기 향료 성분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에서의 냉감제 조성물 또는 감각 자극제 조성의 함유량은, 함께 조합하는 향료나 그 밖의 성분의 종류, 그 향료 조성물의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향장품용의 향료 조성물에서는, 일반적으로 향료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냉감제 조성물 또는 감각 자극제 조성물의 함유량이 0.00001∼50 질량%, 바람직하게는 0.001∼50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20 질량%이다.
또한, 음료용이나 식품용의 향료 조성물에서는, 일반적으로 향료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냉감제 조성물 또는 감각 자극제 조성물의 함유량이 0.0001∼5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1∼30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냉감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냉감제 조성물 함유 향료 조성물, 또는 감각 자극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감각 자극제 조성물 함유 향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향료 조성물에 있어서 통상 사용되고 있는 다른 향료 보류제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그 경우의 다른 향료 보류제로는,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헥실글리콜, 벤질벤조에이트, 트리에틸시트레이트, 디에틸프탈레이트, 하콜린,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중쇄 지방산 디글리세라이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감제 조성물 또는 감각 자극제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감제 조성물 또는 감각 자극제 조성물 단독으로, 또는 냉감제 조성물 또는 감각 자극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냉감제 조성물 함유 향료 조성물 또는 감각 자극제 조성물 함유 향료 조성물로 하여, 각종 제품에 대하여 냉감 또는 감각 자극의 부여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감제 조성물 또는 감각 자극제 조성물 자체 또는 냉감제 조성물 함유 향료 조성물 또는 감각 자극제 조성물 함유 향료 조성물에 의해 냉감 또는 감각 자극이 부여된 제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음료; 식품; 세정제, 부엌용 세제, 표백제 등의 토일레트리 제품; 소취제ㆍ방향제 등의 에어케어 제품; 구강용 조성물; 프래그런스 제품, 기초 화장품, 마무리 화장품, 두발 화장품, 선케어 화장품, 약용 화장품 등의 향장품; 헤어케어 제품; 비누 등의 스킨케어 제품; 신체 세정제 등의 바디케어 제품; 목욕 용제; 의류용 세정제; 의류용 유연 마무리제; 에어졸제; 일용ㆍ잡화품; 의약 부외품 또는 의약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음료로는, 과즙음료류, 과실주류, 유음료류, 탄산음료, 청량음료, 드링크제류와 같은 음료류; 녹차, 우롱차, 홍차, 감잎차, 카밀러차, 얼룩조릿대차, 뽕차, 삼백초차, 푸얼차, 마테차, 루이보스차, 당살초차, 구아바차, 커피, 코코아와 같은 차음료 또는 기호음료류; 일본식 스프, 서양식 스프, 중화 스프와 같은 스프류; 각종 인스턴트 음료 등;
상기 식품으로는, 아이스크림류, 샤베트류, 아이스캔디류와 같은 빙과류; 젤리, 푸딩 등의 디저트류; 케이크, 쿠키, 쵸콜릿, 츄잉검 등의 양과자류; 만두, 양갱, 우이로우 등의 일본식 과자류; 잼류; 캔디류; 빵류; 풍미 조미료; 각종 인스턴트 식품; 각종 스낵 식품류 등;
상기 구강용 조성물로는, 치약, 구강 세정료, 마우스워시, 트로키, 츄잉검류 등;
상기 프래그런스 제품으로는, 향수, 오드퍼퓸, 오드뜨왈렛, 오데코롱 등;
상기 기초 화장품으로는, 세안 크림, 배니싱 크림, 클렌징 크림, 콜드 크림, 마사지 크림, 유액, 화장수, 미용액, 팩, 메이크업 리무버 등;
상기 마무리 화장품으로는, 파운데이션, 가루 파우더, 고형 파우더, 탈컴 파우더, 입술연지, 립크림, 볼연지,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아이섀도우, 눈썹 펜슬, 아이팩, 네일 에나멜, 에나멜 리무버 등;
상기 두발 화장품으로는, 포마드, 브릴리언틴, 셋트 로션, 헤어 스틱, 헤어 솔리드, 헤어 오일, 헤어 트리트먼트, 헤어 크림, 헤어 토닉, 헤어 리퀴드, 헤어 스프레이, 반돌린(bandoline), 양모제, 염모제 등;
상기 선케어 화장품으로는, 선탠 제품, 선스크린 제품 등;
상기 약용 화장품으로는, 제한(制汗)제, 애프터쉐이빙 로션 및 젤, 퍼머넌트웨이브제, 약용 비누, 약용 샴푸, 약용 피부 화장료 등;
상기 헤어케어 제품으로는, 샴푸, 린스, 린스인샴푸, 컨디셔너, 트리트먼트, 헤어팩 등;
상기 비누로는, 화장 비누, 목욕 비누, 향수 비누, 투명 비누, 합성 비누 등;
상기 신체 세정제로서는, 바디 소프, 바디 삼푸, 핸드 소프, 페이스 크림 등;
상기 목욕 용제로는, 입욕제(바스솔트, 바스타블렛, 바스리퀴드 등), 폼바스(버블바스 등), 바스오일(바스퍼퓸, 바스캡슐 등), 밀크바스, 바스젤리, 바스큐브 등;
상기 세제로는, 의류용 중질 세제, 의류용 경질 세제, 액체 세제, 세탁 비누, 컴팩트 세제, 가루 비누 등;
상기 유연 마무리제로는, 소프트너, 퍼니쳐케어 등;
상기 세정제로는, 클렌저, 하우스 클리너, 화장실 세정제, 욕실용 세정제, 유리 클리너, 곰팡이 제거제, 배수관용 세정제 등;
상기 부엌용 세제로는, 부엌용 비누, 부엌용 합성 비누, 식기용 세제 등;
상기 표백제로는, 산화형 표백제(염소계 표백제, 산소계 표백제 등), 환원형 표백제(유황계 표백제 등), 광학적 표백제 등;
상기 에어졸제로는, 스프레이 타입, 파우더 스프레이 등;
상기 소취ㆍ방향제로는, 고형 타입, 겔형 타입, 리퀴드 타입(수성, 유성) 등;
상기 일용ㆍ잡화품으로는, 티슈 페이퍼, 토일렛 페이퍼 등;
의약 부외품으로는, 액체 입욕제, 가글액, 기피제 등, 기피제로는 미스트 스프레이 타입, 수성 액체 타입 등;
의약품으로는, 약용 화장품, 약용 로션 등;
의 여러가지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메틸멘톨 유도체의 제형은, 혼합물 자체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그 밖의 제형으로는, 예컨대,
알콜류,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콜류, 트리에틸시트레이트, 벤질벤조에이트, 디에틸프탈레이트 등의 에스테르류에 용해한 액체형;
아라비아검, 트래거캔스검 등의 천연 검질류;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유화제로 유화한 유화형;
아라비아검 등의 천연 검질류, 젤라틴, 덱스트린 등의 부형제를 이용하여 피막시킨 분말형;
계면 활성제, 예컨대 비이온 계면 활성제, 음이온 계면 활성제, 양이온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이용하여 가용화 혹은 분산화한 가용화형 또는 분산화형;
캡슐화제로 처리하여 얻어지는 마이크로캡슐 등;
그 목적에 따라서 임의의 형상을 선택하여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냉감제 조성물 또는 감각 자극제 조성물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냉감제 조성물 함유 향료 조성물 또는 감각 자극제 조성물 함유 향료 조성물을 상기와 같은 각종 제품의 냉감 또는 감각 자극을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예컨대,
냉감 또는 감각 자극이 부여되는 제품의 종류나 제품의 최종 형태(예컨대 액체형, 고체형, 분말형, 겔형, 미스트형, 에어졸형 등의 제품 형태)에 따라서, 냉감제 조성물 또는 감각 자극제 조성물 또는 이들을 함유하는 냉감제 조성물 함유 향료 조성물 또는 감각 자극제 조성물 함유 향료 조성물을, 그 직접 제품에 첨가 또는 부여해도 좋고;
냉감제 조성물 또는 감각 자극제 조성물 또는 이들을 함유하는 냉감제 조성물 함유 향료 조성물 또는 감각 자극제 조성물 함유 향료 조성물을, 예컨대, 알콜류,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콜류에 용해하여 액체형으로 하여 첨가 또는 부여해도 좋고;
아라비아검, 트래거캔스검 등의 천연 검질류, 계면 활성제(예컨대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비이온 계면 활성제, 음이온 계면 활성제, 양이온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를 이용하여 가용화 또는 유화 분산시킨 가용화형 또는 분산형으로 하여 첨가 또는 부여해도 좋고;
아라비아검 등의 천연 검질류, 젤라틴, 덱스트린 등의 부형제를 이용하여 피막 형성한 분말형으로 첨가 또는 부여해도 좋고;
캡슐화제로 처리하여 마이크로캡슐로 하여 첨가 또는 부여해도 좋다.
또한, 사이크로덱스트린 등의 포접제에 포접하여, 냉감제 조성물 또는 감각 자극제 조성물 또는 이들을 함유하는 냉감제 조성물 함유 향료 조성물 또는 감각 자극제 조성물 함유 향료 조성물을 안정화함과 함께 서방성으로 하여 이용해도 좋다.
냉감 또는 감각 자극을 부여할 때의 제품에 대한 냉감제 조성물 또는 감각 자극제 조성물의 첨가량 또는 부여량은, 제품의 종류나 형태, 제품에 요구되는 냉감 또는 감각 자극 부여 효과나 작용 등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제품의 질량에 대하여, 냉감제 조성물 또는 감각 자극제 조성물의 첨가량 또는 부여량이, 약 1×10-7∼0.1 질량%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6∼0.01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합성예, 실시예 중에서의 생성물의 측정은, 다음 기기 장치류를 이용하여 행해졌다.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 1H-NMR : AM-500(500 MHz) (브루커사 제조)
외부 표준 물질 : 테트라메틸실란
가스 크로마토그래프(GC) : GC-2010AF(시마즈 제작소 제조)
컬럼; DB-WAX(30 m×0.32 nm×0.5 ㎛) (휴렛팩커드 제조), IC-1(30 m×0.25 mm×0.25 ㎛), (휴렛팩커드 제조), Rtx-1(30 m×0.25 mm×0.25 ㎛) (Restek 제조)
키랄 컬럼(광학 순도 측정); Beta DEXTM 225(30 m×0.25 mm×0.25 ㎛), Beta DEXTM 325(30 m×0.25 mm×0.25 ㎛) (수펠코 제조)
고분해능 질량 스펙트럼(HRMS) : JMS-T100GCV(일본전자 제조), LCMS-IT-TOF(시마즈 제작소 제조)
선광도 : JASCO P-1020(일본분광 제조)
융점 : 융점 측정 장치(시리얼넘버 : 2678) (야나기모토 제작소 제조)
[합성예 1] 3-메틸시트로넬랄(3,3,7-트리메틸-6-옥테날) (예시 화합물 3)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38
본 반응은 질소 분위기 하에서 행했다. 적하 깔때기를 가진 2 L의 4구 플라스크를 준비하고, 플라스크에 요오드화구리(100 g, 1.05 eq.) 및 디에틸에테르(200 mL)를 첨가하고, 계내를 0∼5℃까지 교반하면서 냉각시켰다. 적하 깔때기에 메틸리튬ㆍ에테르 용액(1.08 mol/L, 992 mL, 2.05 eq. vs. CuI)을 첨가하고, 천천히 2시간을 요하여 적하했다. 적하 종료 후 온도를 유지하면서 30분 교반하고, 계내를 -60℃ 이하까지 냉각시켰다. 적하 깔때기에 시트랄(76.1 g, 500 mmol) 및 디에틸에테르(50 mL)를 첨가하고, 천천히 20분을 요하여 적하했다. 종료 후에 1시간 온도를 유지하면서 교반하고, 서서히 계내 온도를 0∼5℃까지 승온했다. 1시간 후에 GC로 반응의 종료를 확인하고, 후처리로서,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을 냉각시킨 채로 천천히 적하했다. 혼합 용액을 셀라이트 여과하고, 유층을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으로 3회ㆍ포화 식염수로 1회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켜 감압 농축했다(78.4 g). 본 반응을 합계 3회 행하고, 얻어진 오일을 클라이젠 증류 장치에 의해 단증류하여(0.1 mmHg, 탑정상 60∼65℃, 욕온도 85∼95℃), 목적물(180 g, 수율 72%)을 얻었다.
1H-NMR(500 MHz, CDCl3) : δ(s, 3H), 1.33-1.39(m, 2H), 1.60(s, 3H), 1.68(d, 3H, J=0.85 Hz), 1.94-2.01(m, 2H), 2.27(d, 2H, J=3.2 Hz), 5.06-5.11(m, 1H), 9.85(t, J=3.1 Hz).
[합성예 2] 5-메틸이소풀레골(5,5-디메틸-2-(프로프-1-엔-2-일)시클로헥산올) (예시 화합물 rac-4)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39
콘덴서를 가진 200 mL의 4구 플라스크에 활성 실리카 알루미나(771 mg, 2 질량%), 3-메틸시트로넬랄(3) (25.8 g, 153 mmol), 톨루엔(77 mL)을 첨가했다. 80℃에서 교반하여 반응시키고, 2시간 후에 반응을 종료했다(conv.>99%). 촉매를 여과한 후 클라이젠 증류 장치에 의해 단증류하여(<0.1 Pa, 탑정상 55∼56℃, 욕온도 88℃), 목적물인 무색 오일(24.6 g, 수율 66%)을 얻었다. 시스/트랜스비는 13/87이었다.
HRMS : 질량 168.1514 실측치 168.1535
1H-NMR(500 MHz, CDCl3) : δ0.90-0.95(m, 3H), 0.96(s, 3H), 1.09-1.16(m, 1H), 1.18-1.27(m, 1H), 1.26-1.41(m, 2H), 1.44-1.58(m, 2H), 1.74(br, 3H), 1.75-1.88(m, 2H), 3.62-3.66(m, 1H), 4.85-4.86(m, 1H), 4.83-4.98(m, 1H) (trans/cis mix)
[합성예 3] trans-5-메틸멘톨(trans-2-이소프로필-5,5-디메틸시클로헥산올) (rac-trans-5)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40
합성예 2에서 얻어진 5-메틸이소풀레골(rac-4) (10.0 g, 59.4 mmol) 및 팔라듐탄소 담지(N. E. Chemcat. Wet, STD 5%, 100 mg, 1 질량%) 및 메탄올(20 mL)을 첨가했다. 수소압 하에 1 MPa∼2 MPa, 50℃에서 15시간 반응시켰다. GC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하고, 후처리를 행했다. 촉매를 셀라이트 여과 후에 농축하여, trans-5-메틸멘톨(9.80 g, 수율 97%)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융점 60∼64℃
HRMS : 질량 170.1671 실측치 170.1680
1H-NMR(500 MHz, CDCl3) : δ0.84(d, 3H, J=7.0 Hz), 0.89(s, 3H, >C-CH3), 0.93-0.95(m, 6H), 1.04-1.21(m, 5H), 1.37(dt, 1H, J=9.6, 2.6 Hz), 1.46-1.50(m, 1H), 1.68-1.73(m, 1H), 2.12-2.21(m, 1H,), 3.53-3.62(m, 1H).
[합성예 4] (+)-5-메틸멘톤((+)-2-이소프로필-5,5-디메틸시클로헥사논) (예시 화합물(+)-7)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41
질소 분위기 하에서 적하 깔때기를 2개 가진 1 L의 4구 플라스크를 준비하고, 플라스크 내에 메틸마그네슘브로마이드ㆍ테트라히드로푸란(THF) 용액(0.92 mol/L, 500 mL, 460 mmol, 1.25 eq.)을 첨가하고, 계내를 -10℃까지 교반하면서 냉각시켰다. 적하 깔때기에 요오드화구리(13.4 g, 20 mol%)의 THF 현탁액(25 mL)을 준비하여, 계내에 천천히 첨가했다. 첨가 종료 후 30분 숙성하고, 적하 깔때기에 (-)-피페리톤(53.9 g, 354 mmol)의 THF 용액(50 mL)을 첨가하고, 계내 온도를 -5℃ 이하로 유지하면서, 1시간 반을 요하여 천천히 적하했다. 적하 종료 후 1시간에 (-)-피페리톤의 완전 소비를 확인하고, 후처리를 행했다. 계내 온도 -10℃인 채로 계내에 천천히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200 mL)을 교반하면서 가했다. 첨가 종료 후에 30분 교반하고, 서서히 실온까지 승온했다. 반응 용액을 분액 깔대기로 이송하여 톨루엔을 첨가하고,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으로 3회 세정했다. 유층을 여과 농축 후에 클라이젠 증류를 행하여(욕온도 100℃, 탑정상 56℃, 0.1 Pa), 목적으로 하는 (+)-5-메틸멘톤을 황색을 띠는 오일로서 얻었다(54.2 g, 수율 88%, 85%ee.).
[α] D 20=+25.4(c=0.2, EtOH)
HRMS : 질량 168.1514 실측치 168.1512
1H-NMR(500 MHz, CDCl3) : δ0.88(d, 3H, J=1.5 Hz), 0.90(br, 9H), 1.01(s, 3H), 1.52-1.67(m, 4H), 1.89-2.02(m, 2H), 2.07-2.16(m, 2H).
[합성예 5] 5-메틸멘톤(2-이소프로필-5,5-디메틸시클로헥사논) (예시 화합물 rac-7)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42
합성예 4에서 얻어진 (+)-5-메틸멘톤((+)-7) (10.0 g)을 90℃에서 3시간 가열 교반함으로써, 정량적으로 목적으로 하는 5-메틸멘톤을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HRMS : 질량 168.1514 실측치 168.1521
1H-NMR(500 MHz, CDCl3) : δ0.88(d, 3H, J=1.6 Hz), 0.90(br, 9H), 1.01(s, 3H), 1.52-1.67(m, 4H), 1.89-2.02(m, 2H), 2.07-2.15(m, 2H).
[실시예 1] 5-메틸멘틸아미드(2-이소프로필-5,5-디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시아미드) (예시 화합물 14a-50)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43
본 반응은 질소 분위기 하에서 행했다. 플라스크 내에 칼륨 t-부톡시드(396 mg, 1.2 eq.) 및 THF(5 ml), 적하 깔때기 내에 p-톨루엔술포닐메틸이소시아니드(590 mg, 1.1 eq.) 및 THF(10 ml)을 첨가하고, 0∼5℃에서 냉각 교반하면서 깔때기 내의 용액을 적하했다. 2시간 후, 계내의 온도를 -10℃까지 냉각시키고, 합성예 5에서 얻어진 5-메틸멘톤(rac-7) (500 mg, 2.94 mmol)의 THF 용액(5 ml)을 교반하면서 적하했다. 적하 종료 후 서서히 승온하여, 내부 온도 45℃에서 8시간 반응시켰다. 후처리로서,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에 감압 농축하고, THF를 증류 제거했다. 얻어진 잔사에 톨루엔과 수도물을 첨가하고, 유층을 수도물로 2회, 포화 식염수로 1회 세정했다.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ㆍ감압 농축한 후, 콘덴서를 가진 4구 플라스크에, 얻어진 오일과, 수산화칼륨(500 mg, 3.2 eq.), 수도물 및 t-부탄올(6 ml)을 첨가하고, 9시간 환류 교반했다. 후처리로서, 톨루엔ㆍ수도물로 추출하여 유층을 통상법에 의해 세정ㆍ건조시키고,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아세트산에틸)로 단리 정제하고, 또한 헵탄/아세트산에틸로 재결정을 행하여, 목적으로 하는 5-메틸멘틸아미드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121 mg, 수율 25%).
융점 141∼145℃
HRMS : 질량 198.1852 실측치 198.1841([M+H]+)
1H-NMR(500 MHz, CDCl3) : δ0.83(d, 1H, J=6.9 Hz), 0.87-0.94(m, 9H), 1.12-1.28(m, 2H), 1.40-1.55(m, 5H), 1.80(quid, 1H, J=13.9, 2.5 Hz), 2.23(td, 1H, J=11.9, 3.7 Hz), 5.53-5.56(br, 2H).
[합성예 6] 5-메틸멘틸클로라이드(3-클로로-4-이소프로필-1,1-디메틸시클로헥산)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44
200 mL 플라스크에, 합성예 3에서 얻어진 trans-5-메틸멘톨(rac-trans-5) (11.0 g, 64.6 mmol), 톨루엔(5.5 mL), 염화아연(28.2 g, 3.2 eq.) 및 진한 염산(16.2 m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6시간 반응했다. GC-MS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하고, 후처리를 행했다. 분액 깔대기로 수층을 제거하고, 유층을 수도물로 5회 세정했다.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켜 여과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헵탄)로 단리 정제하여, 5-메틸멘틸클로라이드(10.4 g, 수율 70%)의 이성체 혼합물을 엷은 황색 오일로서 얻었다.
HRMS : 질량 233.1312 실측치 233.1314([M+Cl]-)
1H-NMR(500 MHz, CDCl3) : δ0.81(d, 3H, J=7.0 Hz), 0.90(s, 3H), 0.92(d, 3H, J=7.0 Hz), 0.94(s, 3H), 0.97-1.12(m, 1H), 1.19-1.38(m, 2H), 1.41(dt, 1H, J=9.5, 1.5 Hz), 1.52-1.60(m, 2H), 1.94-2.00(m, 1H), 2.34(quid, 1H, J=7.0, 1.5 Hz), 3.95(td, 1H, J=12.0, 1.6 Hz).
[실시예 2]
5-메틸멘틸카르복실산메틸에스테르(메틸 2-이소프로필-5,5-디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예시 화합물 15a-6)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45
질소 분위기 하에서 콘덴서와 적하 깔때기를 가진 200 mL의 4구 플라스크에, 마그네슘(1.51 g, 1.30 eq.)을 첨가하고, 적하 깔때기에 합성예 6에서 얻어진 5-메틸멘틸클로라이드(9.00 g, 47.7 mmol) 및 THF(40 mL)을 첨가했다. 플라스크 내부 온도를 45℃로 가열하고, 교반하면서 깔때기 내의 용액을 1시간을 요하여 적하했다. 깔때기 내에 탄산디메틸(8.03 mL, 2.00 eq.) 및 THF(5 mL)을 첨가하고, 대략 40분간 적하했다. 종료 후에 계내 온도를 55℃까지 승온하여, 합계 8시간 가열 교반했다. 후처리로서, 계내를 냉각시켜 염화암모늄 수용액으로 반응을 종료하고, 통상법에 의해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헵탄/아세트산에틸=6/1)로 단리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목적물을 얻었다(9.13 g, 43.0 mmol, 수율 90%).
HRMS : 질량 213.1837 실측치 213.1849([M+H]+)
1H-NMR(500 MHz, CDCl3) : δ0.81(d, 3H, J=7.0 Hz), 0.88(s, 3H), 0.90(d, 3H, J=6.9 Hz), 0.92(s, 3H), 1.14-1.35(m, 4H), 1.36-1.68(m, 4H), 2.42-2.50(m, 1H). 3.65(s, 3H).
[합성예 7] 5-메틸멘틸카르복실산(2-이소프로필-5,5-디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예시 화합물 rac-11a)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46
콘덴서를 가진 200 mL 플라스크에 실시예 2에서 얻어진 5-메틸멘틸카르복실산메틸에스테르(15a-6) (8.16 g, 38.4 mmol), 에탄올(10 mL) 및 25 질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23 mL)을 첨가하고, 95℃에서 6시간 가열 교반했다. 용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감압 농축하고, 톨루엔 및 수도물을 첨가하여 분액 깔대기로 이송했다. 유층을 컷트하고, 수층을 묽은 염산으로 액성을 산성으로 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했다. 유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으로 하는 백색 고체를 얻었다(5.07 g, 수율 65.6%).
융점 91∼94℃
HRMS : 질량 198.1620 실측치 198.1619
1H-NMR(500 MHz, CDCl3) : δ0.84(d, 3H, J=7.0 Hz), 0.89(s, 3H), 0.91(d, 3H, J=14.0 Hz), 0.93(s, 3H), 1.15-1.26(m, 2H), 1.38-1.51(m, 4H), 1.61(dt, 2H, J=13.0, 3.0 Hz), 1.70-1.78(m, 1H), 2.42-2.50(n, 1H), 8.0-13.0(br, 1H).
[합성예 8] 5-메틸멘틸카르복실산(2-이소프로필-5,5-디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예시 화합물 rac-11a)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47
실시예 1에서 얻어진 5-메틸멘틸아미드(15a-60)를 25 질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과 에틸렌글리콜을 이용하여 환류 교반하고 동일하게 가수분해함으로써, 동일한 화합물을 얻었다(수율 32%).
[합성예 9] 5-메틸멘틸카르복실산(2-이소프로필-5,5-디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예시 화합물 rac-11a)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48
질소 분위기 하에서 콘덴서와 적하 깔때기를 가진 200 mL 4구 플라스크에 마그네슘(2.68 mg, 1.30 eq.)을 첨가하고, 적하 깔때기에 합성예 6에서 얻어진 5-메틸멘틸클로라이드(16.0 g, 84.8 mmol) 및 THF(80 mL)을 첨가했다. 플라스크 내부 온도를 45℃로 가열하여 교반하면서 깔때기 내의 용액을, 2시간을 요하여 적하했다. 그 후, 계내에 탄산 가스를 불어 넣으면서 합계 9시간 가열 교반했다. 후처리로서, 용매를 회수한 후에 계내를 냉각시키고 톨루엔 및 수도물을 첨가했다. 수층에 묽은 염산을 첨가하여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고, 유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에 감압 농축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백색 결정을 얻었다(5.76 g, 수율 34%).
[합성예 10] 광학 활성(-)-trans-5-메틸이소풀레골((1R,2S)-trans-5,5-디메틸-2-(프로프-1-엔-2-일)시클로헥산올) (예시 화합물(1R,2S)-trans-4)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49
본 반응은 질소 분위기 하에서 행했다. 콘덴서를 가진 200 mL 플라스크에(R)-1,1'-비-2-나프톨((R)-BINOL) (1.22 mg, 1.6 eq. vs. Al), 톨루엔(27 mL)을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트리에틸알루미늄ㆍ톨루엔 용액(2.7 mL, 5 mol%)을 천천히 첨가했다. 1시간 실온에서 교반한 후, 계내를 0∼5℃로 냉각시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3-메틸시트로넬랄(9.00 g, 53.5 mmol)을 천천히 적하했다. 3시간 후에 GC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하고, 후처리로서, 톨루엔/염산으로 켄치한 후, 유층을 수도물ㆍ포화 식염수로 각 1회 세정했다.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과시키고 감압 농축하여, 목적으로 하는 광학 활성(-)-trans-5-메틸이소풀레골을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7.42 g, 수율 83%, 80%ee.).
[α] D 25=-6.6(c=0.6, CHCl3)
HRMS : 질량 168.1519 실측치 168.1514
1H-NMR(500 MHz, CDCl3) : δ0.94(s, 3H, CH3), 0.96(s, 3H, CH3), 1.14(t, 1H, J=11.7 Hz), 1.22(td, 1H, J=13.0, 4.6 Hz), 1.26-1.41(m, 2H), 1.45-1.57(m, 2H), 1.74(dd, 3H, J=1.5,0.9 Hz), 1.75-1.87(m, 2H), 3.61-3.66(m, 1H), 4.85-4.86(m, 1H), 4.89-4.91(m, 1H).
[합성예 11] 광학 활성 trans-5-메틸이소풀레골((1S,2R)-trans-5,5-디메틸-2-(프로프-1-엔-2-일)시클로헥산올) ((1S,2R)-trans-4)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50
합성예 5의 수법을 이용하여, 배위자로서 (S)-BINOL을 이용하고, 3-메틸시트로넬랄(5.00 g, 29.7 mmol)로부터 (+)-trans-5-메틸이소풀레골을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3.90 g, 수율 78%, 78%ee.)
[α] D 25=+5.8(c=0.3, CHCl3).
1H-NMR(500 MHz, CDCl3) : δ0.93(s, 3H, CH3), 0.96(s, 3H, CH3), 1.14(t, 1H, J=11.7 Hz), 1.22(td, 1H, J=13.2, 4.7 Hz), 1.25-1.42(m, 2H), 1.45-1.59(m, 2H), 1.74(br, 3H), 1.76-1.88(m, 2H), 3.64(td, 1H, J=10.7, 4.4 Hz), 4.85-4.87(m, 1H), 4.89-4.92(m, 1H).
[합성예 12] 광학 활성(-)-trans-5-메틸멘톨((1R,2S)-trans-2-이소프로필-5,5-디메틸시클로헥산올) (예시 화합물(1R,2S)-trans-5)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51
100 mL 오토클레이브에, 합성예 10에서 얻어진 (-)-trans-5-메틸이소풀레골((1R,2S)-trans-4) (9.00 g, 54.0 mmol) 및 팔라듐탄소 담지(N. E. Chemcat. Wet, STD 5%, 90 mg, 1 질량%) 및 메탄올(9 mL)을 첨가했다. 수소압을 1 MPa까지 차지하고, 50℃에서 26시간 반응시켰다. GC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하고, 촉매를 셀라이트 여과 후에 농축하고 메탄올/헵탄으로 재결정하여, (-)-trans-5-메틸멘톨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7.80 g, 수율 86%, 80%ee.).
융점 79∼82℃
[α] D 20=-36.7(c=0.1, CHCl3)
HRMS : 질량 170.1671 실측치 170.1671
1H-NMR(500 MHz, CDCl3) : δ0.84(d, 3H, J=7.0 Hz), 0.89(s, 3H), 0.93-0.95(m, 6H), 1.04-1.21(m, 5H), 1.37(dt, 1H, J=9.6, 2.6 Hz), 1.46-1.50(m, 1H), 1.68-1.73(m, 1H), 2.12-2.21(m, 1H,), 3.57(sep, 1H, J=4.7 Hz)
[합성예 13] 광학 활성(+)-trans-5-메틸멘톨((1S,2R)-trans-2-이소프로필-5,5-디메틸시클로헥산올) (예시 화합물(1S,2R)-trans-5)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52
합성예 12의 수법으로, 합성예 11에서 얻어진 (+)-trans-5-메틸이소풀레골((1S,2R)-trans-4) (1.00 g, 5.94 mmol)로부터 (+)-5-메틸멘톨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0.91 g, 수율 90%, 78%ee.).
융점 78∼81℃
[α] D 20=+37.0(c=0.1, CHCl3)
1H-NMR(500 MHz, CDCl3) : δ0.84(d, 3H, J=7.0 Hz), 0.89(s, 3H), 0.93-0.96(m, 6H), 1.04-1.20(m, 5H), 1.37(dt, 1H, J=9.6, 2.5 Hz), 1.46-1.51(m, 1H), 1.70(dq, 1H, J=12.3, 2.5 Hz), 2.12-2.23(m, 1H), 3.58(sep, 1H, J=4.7 Hz).
[합성예 14] (+)-(1R,2S)-5-메틸멘틸클로라이드((+)-(1R,2S)-3-클로로-4-이소프로필-1,1-디메틸시클로헥산)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53
적하 깔때기 및 콘덴서를 가진 100 mL 플라스크에, 합성예 12에서 얻어진 (-)-5-메틸멘톨((1R,2S)-trans-5) (9.09 g, 53.4 mmol), 톨루엔(4.5 mL), 염화아연(23.28 g, 3.2 eq.) 및 진한 염산(13.3 mL, 3.0 eq.)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8시간 반응했다. GC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하고, 후처리를 행했다. 분액 깔대기로 수층을 제거하고, 유층을 수도물로 3회 세정, 또한 1 질량% NaOH 수용액, 포화 식염수로 세정했다.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켜 여과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헵탄)로 단리 정제했다. 얻어진 광학 활성-5-메틸멘틸클로라이드는 무색의 오일이 되었다(4.89 g, 수율 57.2%, 80%ee.).
[α] D 20=+27.5(c=0.3, EtOH)
HRMS : 질량 233.1312 실측치 233.1301([M+Cl]-)
1H-NMR(500 MHz, CDCl3) : δ0.80(d, 3H, J=7.0 Hz), 0.90(s, 3H), 0.92(d, 3H, J=7.0 Hz), 0.94(s, 3H), 0.97-1.12(m, 1H), 1.19-1.38(m, 2H), 1.41(dt, 1H, J=9.5, 1.5 Hz), 1.52-1.60(m, 2H), 1.94-1.99(m, 1H), 2.29-2.40(m, 1H), 3.95(td, 1H, J=12.0, 1.6 Hz).
[합성예 15] (-)-5-메틸멘틸카르본((-)-2-이소프로필-5,5-디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예시 화합물(1R,2S)-11a)산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54
질소 분위기 하에서 콘덴서와 적하 깔때기를 가진 200 mL 4구 플라스크에, 마그네슘(718 mg, 1.30 eq.)을 첨가하고, 적하 깔때기에 합성예 14에서 얻어진 (-)-5-메틸멘틸클로라이드(4.29 g, 22.7 mmol) 및 THF(22 mL)을 첨가했다. 플라스크 내부 온도를 45℃로 가열하여 교반하면서 깔때기 내의 용액을, 2시간을 요하여 적하했다. 계내에 탄산 가스를 불어 넣으면서 합계 9시간 가열 교반했다. 후처리로서, 용매를 회수한 후에 계내를 냉각시키고 톨루엔 및 수도물을 첨가했다. 수층에 묽은 염산을 첨가하여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고, 유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에 감압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아세트산에틸)로 정제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백색 고체를 얻었다(1.17 g, 수율 26%, 80%ee.).
융점 73∼76℃
[α] D 20=-30.0(c=0.1, EtOH)
HRMS : 질량 198.1620 실측치 198.1608
1H-NMR(500 MHz, CDCl3) : δ0.84(d, 3H, J=7.0 Hz), 0.89(s, 3H), 0.91(d, 3H, J=13.8 Hz), 0.93(s, 3H), 1.15-1.26(m, 2H), 1.38-1.51(m, 4H), 1.61(dt, 2H, J=13.0, 3.0 Hz), 1.70-1.78(m, 1H), 2.42-2.50(n, 1H), 7.5-13.0(br, 1H).
[합성예 16] (-)-cis-5-메틸멘톨((-)-cis-2-이소프로필-5,5-디메틸시클로헥산올) (예시 화합물(1R,2R)-5)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55
200 mL의 4구 플라스크에 합성예 4에서 얻어진 (+)-5-메틸멘톤((+)-7) (19.7 g, 117 mmol) 및 메탄올(80 mL)을 첨가하고, 10℃ 이하로 교반하면서 냉각시켰다. 히드로붕소화나트륨(5.32 g, 1.2 eq.)을 천천히 첨가하고, 그대로 1시간 숙성했다. 반응의 완결을 확인하고, 후처리로서 천천히 1N 염산을 첨가했다. 톨루엔 및 헵탄으로 추출하고, 유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켜 여과 농축했다. 클라이젠 증류(욕온도 100℃, 탑정상 58∼67℃, 0.1∼0.2 Pa)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으로 하는 무색 오일을 얻었다(19.7 g, 수율 99%).
[α] D 20=-9.6(c=0.2, EtOH)
HRMS : 질량 170.1664 실측치 170.1671
1H-NMR(500 MHz, CDCl3) : δ0.83-0.90(m, 4H), 0.95(t, 6H, J=6.2 Hz), 1.06-1.08(m, 4H), 1.13-1.21(m, 1H), 1.33(dd, 1H, J=14.5, 3.3 Hz), 1.40-1.60(m, 4H), 1.64(tt, 1H, J=14.4, 2.9 Hz), 4.11(qui, 1H, J=3.2 Hz).
[합성예 17] cis-5-메틸멘톨(cis-2-이소프로필-5,5-디메틸시클로헥산올) (예시 화합물 rac-cis-5)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56
합성예 16의 수법을 이용하여, 합성예 5에서 얻어진 5-메틸멘톤(rac-7) (30.0 g, 17.8 mmol)으로부터 cis-5-메틸멘톨을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28.5 g, 수율 94%).
HRMS : 질량 170.1656 실측치 170.1671
1H-NMR(500 MHz, CDCl3) : δ0.83-0.90(m, 4H), 0.95(t, 6H, J=6.2 Hz), 1.06-1.08(m, 4H), 1.13-1.21(m, 1H), 1.33(dd, 1H, J=14.5, 3.3 Hz), 1.40-1.66(m, 5H), 4.11(br, 1H).
[합성예 18] 5-메틸멘틸카르보알데히드(2-이소프로필-5,5-디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알데히드) (예시 화합물 rac-13a)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57
본 반응은 질소 분위기 하에서 행했다. 콘덴서를 가진 10 L 4구 플라스크에, (메톡시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클로라이드(1344 g, 3.92 mol, 1.1 eq.), 톨루엔(3000 mL) 및 합성예 4에서 얻어진 (+)-5-메틸멘톤((+)-7) (600 g, 3.57 mol, 1.1 eq.)을 첨가했다. 계내 온도 20℃까지 승온한 후, 칼륨 t-부톡시드(440 g, 3.92 mol, 1.1 eq.)를 계내 온도 30℃ 이하로 유지하면서, 1시간 반을 요하여 천천히 첨가했다. 1시간 후에 GC로 (+)-5-메틸멘톤의 소실 및 메틸에놀에테르(20)의 생성을 확인하고, 35% 염산수(743 g, 7.13 mol, 2.0 eq.)를 첨가했다. 1시간 반을 요하여 70℃까지 승온시킨 후, 계내 온도 70℃에서 1시간 숙성시키고, GC로 메틸에놀에테르의 완전 소비를 확인했다. 후처리로서 수도물을 첨가하여 유층을 세정하고, 또한 5% 중조수로 1회 세정했다. 그 후, 수도물 및 헵탄을 첨가하고, 계내 온도 5℃ 이하에서 1시간 숙성시켰다. 용액을 흡인 여과하여 여과액을 분액 깔대기로 옮기고, 수층을 제거했다. 유층을 감압 농축한 후 클라이젠 증류하여(욕온도 120∼135℃, 탑정상 58∼94℃, 2.2∼4.7 mmHg), 목적으로 하는 5-메틸멘틸카르보알데히드(13a) (593 g, 수율 93%)를 황색을 띠는 오일로서 얻었다.
메틸에놀에테르(20a)
GCMS : 질량 196.18 실측치 196.2
1H-NMR(400 MHz, CDCl3) : δ0.76-0.82(m, 3H), 0.85-0.93(m, 9H), 1.09-1.21(m, 1H), 1.36-1.46(m, 2H), 1.47-1.70(m, 3H), 1.71-1.87(m, 1H), 2.14-2.33(m, 1H), 3.49-3.51(m, 3H), 5.71-5.82(m, 1H).
5-메틸멘틸카르보알데히드(13a)
GCMS : 질량 182.17 실측치 182.2
1H-NMR(400 MHz, CDCl3) : δ0.81(d, 3H, J=7.2 Hz), 0.87-0.96(m, 9H), 1.16-1.29(m, 3H), 1.31-1.37(m, 1H), 1.41-1.56(m, 3H), 1.62-1.72(m, 1H), 2.26-2.42(m, 1H), 9.46(d, 1H, J=3.6 Hz).
[합성예 19] 5-메틸멘틸카르복실산(2-이소프로필-5,5-디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예시 화합물 rac-11a)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58
콘덴서와 적하 깔때기를 가진 5 L 4구 플라스크에, 67% 질산(223 g, 2.37 mol, 1.5 eq.)을 첨가하고, 계내 온도가 46℃가 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승온했다. 적하 깔때기에 합성예 18에서 얻어진 5-메틸멘틸카르보알데히드(13a) (28.8 g, 0.158 mol, 0.1 eq.)를 준비하고, 계내 온도 46∼54℃로 유지하면서, 30분간을 요하여 적하했다. 계속해서 합성예 18에서 얻어진 5-메틸멘틸카르보알데히드(rac-13a) (259 g, 1.42 mol, 0.9 eq.)의 헵탄 용액(288 mL)을 적하 깔때기에 준비하고, 계내 온도 46∼54℃로 유지하면서, 4시간을 요하여 적하했다. 적하 종료 후, 내부 온도 50℃에서 2시간 숙성시키고, 후처리를 행했다. 수도물 및 톨루엔을 첨가하여 세정하고, 분액 깔대기로 옮겨 수층을 제거했다. 유층에 아황산나트륨(18.9 g, 0.150 mol, 0.095 eq.) 수용액을 첨가하여 40℃∼50℃에서 20분간 교반한 후, 30% 황산수(26.6 g, 0.079 mol, 0.05 eq.)를 첨가하여 세정하고, 분액 깔대기로 옮겨 수층을 제거했다. 유층에 수도물 및 2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278 g, 1.74 mol, 1.1 eq.)을 첨가하고, 분액 깔대기로 옮겨 유층을 제거했다. 또한 수층을 톨루엔으로 1회 세정하고, 톨루엔 및 30% 황산수(350 g, 0.181 mol, 0.66 eq.)를 첨가하여 세정하고, 분액 깔대기로 옮겨 수층을 제거했다. 유층을 또한 수도물로 2회 세정하고, 유층을 감압 농축한 후에 건조시켜, 목적으로 하는 5-메틸멘틸카르복실산(rac-11a) (270 g, 수율 89%)을 황색을 띠는 결정으로서 얻었다.
[실시예 3] 예시 화합물 rac-14a-38(N-(4-(시아노메틸)페닐)-2-이소프로필-5,5-디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시아미드)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59
질소 분위기 하에서 100 mL 4구 플라스크에 합성예 7, 8, 9 또는 19에서 얻어진 5-메틸멘틸카르복실산(rac-11a) (500 mg, 2.52 mmol), 염화티오닐(0.27 mL, 1.50 eq.) 및 디메틸푸란(DMF) 수적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했다. 계내의 용액을 증류 제거하고, 톨루엔(2 mL)을 첨가했다. 계내를 10℃ 이하로 냉각시키고, 4-아미노벤질시아니드(1.00 g, 3.00 eq.)를 천천히 가했다. 2시간 반 후에 반응 용액을 분액 깔대기로 옮기고, 수도물과 클로로포름을 첨가하여 세정했다. 유층을 묽은 염산으로 2회 세정하고, 또한 포화 식염수로 1회 세정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헵탄/클로로포름으로 재결정을 행하여, 백색 결정(407 mg, 수율 52%)을 얻었다.
융점 121∼122℃
HRMS : 질량 313.2274 실측치 313.2271([M+H]+)
1H-NMR(500 MHz, CDCl3) : δ0.86(d, 3H, J=7.0 Hz), 0.88-1.00(m, 9H), 1.20-1.31(m, 3H), 1.39-1.65(m, 4H), 1.71-1.81(m, 1H), 2.30(td, 1H, J=11.8, 3.8 Hz), 3.70(s, 2H), 7.26(d, 2H, J=8.2 Hz), 7.32(br, 1H), 7.56(d, 1H, J=8.2 Hz).
[실시예 4] 예시 화합물 rac-14a-38(N-(4-(시아노메틸)페닐)-2-이소프로필-5,5-디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시아미드)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60
특허문헌 16에 기재된 합성법을 이용하여, 실시예 1에서 얻어진 5-메틸멘틸아미드(14a-50)과 요오드화구리, 인산 및 4-요오드벤질시아니드를 이용해도 동일한 화합물이 얻어졌다(수율 43%).
[실시예 5] 예시 화합물 rac-14a-2(N-에틸-2-이소프로필-5,5-디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시아미드)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61
질소 분위기 하에서 100 mL 4구 플라스크에 합성예 7, 8, 9 또는 19에서 얻어진 5-메틸멘틸카르복실산(rac-11a) (500 mg, 2.52 mmol), 염화티오닐(0.27 mL, 1.50 eq.) 및 DMF 수적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했다. 계내의 용액을 증류 제거하고, 톨루엔(2 mL)을 첨가했다. 계내를 10℃ 이하로 냉각시키고, 에틸아민 THF 용액(6.3 mL, 2 mol/L, 5.0 eq.)을 천천히 가했다. 2시간 반 후에 반응 용액을 분액 깔대기로 옮기고, 수도물과 클로로포름을 첨가하여 세정했다. 유층을 묽은 염산으로 2회 세정하고, 또한 포화 식염수로 1회 세정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헵탄/클로로포름으로 재결정을 행하여, 백색 결정(281 mg, 수율 49%)을 얻었다.
융점 101∼105℃
HRMS : 질량 226.2165 실측치 226.2162([M+H]+)
1H-NMR(500 MHz, CDCl3) : δ0.80(d, 3H, J=6.9 Hz), 0.89-0.93(m, 6H), 1.13(t, 3H, J=10.1 Hz), 1.15-1.27(m, 3H), 1.37-1.53(m, 4H), 1.71(quid, 1H, J=7.0, 2.5 Hz), 2.08(td, 1H, J=11.0, 4.8 Hz), 3.23-3.35(m, 2H), 5.37(br, 1H).
[실시예 6] 예시 화합물 rac-14a-22(메틸 2-(2-이소프로필-5,5-디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시아미드)아세테이트)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62
질소 분위기 하에서 100 mL 4구 플라스크에 합성예 7, 8, 9 또는 19에서 얻어진 5-메틸멘틸카르복실산(rac-11a) (500 mg, 2.52 mmol), 염화티오닐(0.27 mL, 1.50 eq.) 및 DMF 수적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했다. 계내의 용액을 증류 제거하고, 톨루엔(2 mL)을 첨가했다. 계내를 10℃ 이하로 냉각시키고, 글리신메틸에스테르염산염(633 mg, 2.00 eq.) 및 트리에틸아민(2 mL)을 천천히 가했다. 2시간 반 후에 반응 용액을 분액 깔대기로 옮기고, 수도물과 클로로포름을 첨가하여 세정했다. 유층을 묽은 염산으로 2회 세정하고, 또한 포화 식염수로 1회 세정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헵탄/클로로포름으로써 재결정을 행하여, 백색 결정(422 mg, 수율 62%)을 얻었다.
융점 101∼104℃
HRMS : 질량 292.1883 실측치 292.1886([M+Na]+)
1H-NMR(500 MHz, CDCl3) : δ0.82(d, 3H, J=6.9 Hz), 0.87-0.97(m, 9H), 1.08-1.33(m, 2H), 1.36-2.02(m, 6H), 2.26(td, 1H, J=11.7, 4.3 Hz), 3.76(s, 3H), 4.05(d, 2H, J=5.3 Hz), 6.16(br, 1H).
[실시예 7] 예시 화합물 rac-14a-33(2-이소프로필-N-(4-메톡시페닐)-5,5-디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시아미드)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63
질소 분위기 하에서 100 mL 4구 플라스크에 합성예 7, 8, 9 또는 19에서 얻어진 5-메틸멘틸카르복실산(rac-11a) (400 mg, 2.52 mmol), 염화티오닐(0.22 mL, 1.50 eq.) 및 DMF 수적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했다. 계내의 용액을 증류 제거하고, 톨루엔(5 mL)을 첨가했다. 계내를 10℃ 이하로 냉각시키고, p-아니시딘(497 mg, 2.00 eq.) 및 트리에틸아민(1.6 mL)을 천천히 가했다. 2시간 반 후에 반응 용액을 분액 깔대기로 옮기고, 수도물과 클로로포름을 첨가하여 세정했다. 유층을 묽은 염산으로 2회 세정하고, 또한 포화 식염수로 1회 세정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헵탄/클로로포름으로 재결정을 행하여, 백색 결정(445 mg, 수율 73%)을 얻었다.
융점 115∼118℃
HRMS : 질량 303.2238 실측치 303.2198
1H-NMR(500 MHz, CDCl3) : δ0.85(d, 3H, J=7.0 Hz), 0.91-0.95(m, 9H), 1.16-1.30(m, 2H), 1.35-1.62(m, 5H), 1.76-1.83(m, 1H), 2.24(td, 1H, J=11.5, 4.5 Hz), 6.85(d, 2H, J=9.0 Hz), 7.02(br, 1H), 7.43(d, 2H, J=8.5 Hz).
[실시예 8] 예시 화합물 rac-14a-23(에틸2-(2-이소프로필-5,5-디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시아미드)아세테이트)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64
질소 분위기 하에서 100 mL 4구 플라스크에 합성예 7, 8, 9 또는 19에서 얻어진 5-메틸멘틸카르복실산(rac-11a) (400 mg, 2.52 mmol), 염화티오닐(0.22 mL, 1.50 eq.) 및 DMF 수적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했다. 계내의 용액을 증류 제거하고, 톨루엔(5 mL)을 첨가했다. 계내를 10℃ 이하로 냉각시키고, 글리신에틸에스테르염산염(563 mg, 2.00 eq.) 및 트리에틸아민(1.6 mL)을 천천히 가했다. 2시간 반 후에 반응 용액을 분액 깔대기로 옮기고, 수도물과 클로로포름을 첨가하여 세정했다. 유층을 묽은 염산으로 2회 세정하고, 또한 포화 식염수로 1회 세정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헵탄/클로로포름으로 재결정을 행하여, 백색 결정(409 mg, 수율 62%)을 얻었다.
융점 104∼107℃
HRMS : 질량 283.2161 실측치 283.2147
1H-NMR(500 MHz, CDCl3) : δ0.82(d, 3H, J=6.6 Hz), 0.88-0.92(m, 9H), 1.15-1.27(m, 2H), 1.29(t, 3H, J=7.0 Hz), 1.41-1.54(m, 5H), 1.73(quid, 1H, J=7.0, 2.5 Hz), 2.23(td, 1H, J=11.5, 4.0 Hz), 4.03(d, 2H, J=6.6 Hz), 4.22(q, 2H, J=7.0 Hz), 5.91(br, 1H).
[실시예 9] 예시 화합물 rac-14a-40(2-이소프로필-N-(4-메톡시-2-메틸페닐)-5,5-디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시아미드)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65
질소 분위기 하에서 100 mL 4구 플라스크에 합성예 7, 8, 9 또는 19에서 얻어진 5-메틸멘틸카르복실산(rac-11a) (600 mg, 3.03 mmol), 염화티오닐(0.33 mL, 1.50 eq.) 및 촉매량의 DMF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했다. 계내의 용액을 감압 증류 제거하고, 톨루엔(2 mL)을 첨가했다. 계내를 빙욕으로 10℃ 이하로 냉각시키고, 2-메틸-4-메톡시아닐린(1.25 g, 3.0 eq.)을 천천히 가했다. 2시간 반 후에 GC-MS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하고, 후처리를 행했다. 반응 용액을 분액 깔대기로 옮기고, 수도물과 클로로포름을 첨가하여 세정했다. 유층을 묽은 염산으로 2회 세정하고, 또한 포화 식염수로 1회 세정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헵탄/아세트산에틸=4/1)로 단리 정제를 행하여, 비정질형 고체를 얻었다(770 mg, 수율 80%).
HRMS : 질량 317.2355 실측치 317.2370
1H-NMR(500 MHz, CDCl3) : δ0.88(d, 3H, J=6.9 Hz), 0.92-0.98(m, 9H), 1.20-1.31(m, 3H), 1.43-1.64(m, 4H), 1.82-1.91(m, 1H), 2.22(s, 3H), 2.31(td, 1H, J=11.6, 1.2 Hz), 3.77(s, 3H), 6.71-6.76(m, 2H), 6.82(br, 1H), 7.47-7.52(m, 1H).
[실시예 10] 예시 화합물 rac-14a-46(메틸 4-(2-이소프로필-5,5-디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시아미드)-3-메틸벤조에이트)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66
질소 분위기 하에서 100 mL 4구 플라스크에 합성예 7, 8, 9 또는 19에서 얻어진 5-메틸멘틸카르복실산(rac-11a) (600 mg, 3.03 mmol), 염화티오닐(0.33 mL, 1.50 eq.) 및 촉매량의 DMF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했다. 계내의 용액을 감압 증류 제거하고, 톨루엔(2 mL)을 첨가했다. 계내를 빙욕으로 10℃ 이하로 냉각시키고, 3-메틸-4-아미노벤조산메틸에스테르(1.50 g, 3.0 eq.)를 천천히 가했다. 2시간 반 후에 GC-MS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하고, 후처리를 행했다. 반응 용액을 분액 깔대기로 옮기고, 수도물과 클로로포름을 첨가하여 세정했다. 유층을 묽은 염산으로 2회 세정하고, 또한 포화 식염수로 1회 세정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헵탄/아세트산에틸=4/1)로 단리 정제를 행하여, 비정질형 고체를 얻었다(306 mg, 수율 29%).
HRMS : 질량 345.2304 실측치 345.2298
1H-NMR(500 MHz, CDCl3) : δ0.85-0.98(m, 12H), 1.20-1.33(m, 3H), 1.45-1.65(m, 4H), 1.82(quid, 1H, J=6.6, 2.1 Hz), 2.29-2.40(m, 4H), 7.05(br, 1H), 7.86-7.90(m, 2H), 8.14(d, 1H, J=8.2 Hz).
[실시예 11] 예시 화합물 rac-14a-41(N-(3-히드록시-4-메톡시페닐)-2-이소프로필-5,5-디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시아미드)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67
질소 분위기 하에서 100 mL 4구 플라스크에 합성예 7, 8, 9 또는 19에서 얻어진 5-메틸멘틸카르복실산(rac-11a) (300 mg, 1.51 mmol), 염화티오닐(0.17 mL, 1.50 eq.) 촉매량의 DMF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했다. 계내의 용액을 감압 증류 제거하고, 톨루엔(2 mL)을 첨가했다. 계내를 빙욕으로 10℃ 이하로 냉각시키고, 2-아미노-5-메톡시페놀(632 mg, 3.0 eq.)을 천천히 가했다. 2시간 반 후에 GC-MS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하고, 후처리를 행했다. 반응 용액을 분액 깔대기로 옮기고, 수도물과 클로로포름을 첨가하여 세정했다. 유층을 묽은 염산으로 2회 세정하고, 또한 포화 식염수로 1회 세정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헵탄/아세트산에틸=5/1)로 단리 정제를 행하여, 비정질형 고체를 얻었다(446 mg, 수율 92%). 본 고체를 헵탄/클로로포름으로 재결정하여, 백색 결정을 얻었다.
융점 93∼98℃
HRMS : 질량 320.2220 실측치 320.2227([M+H]+)
1H-NMR(500 MHz, CDCl3) : δ0.85(d, 3H, J=7.0 Hz), 0.90-1.00(m, 9H), 1.19-1.30(m, 3H), 1.41-1.60(m, 4H), 1.79-1.84(m, 1H), 2.23(quid, 1H, J=14.0, 3.1 Hz), 3.87(s, 3H), 6.79(d, 2H, J=8.6 Hz), 6.93(br, 1H), 7.04-7.11(m, 2H).
[실시예 12] 예시 화합물 rac-14a-16(2-이소프로필-5,5-디메틸-N-(2-(피리딘-2-일)에틸)시클로헥산카르복시아미드)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68
질소 분위기 하에서 100 mL 4구 플라스크에 합성예 7, 8, 9 또는 19에서 얻어진 5-메틸멘틸카르복실산(rac-11a) (400 mg, 2.02 mmol), 염화티오닐(0.35 mL, 1.50 eq.) 촉매량의 DMF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했다. 계내의 용액을 감압 증류 제거하고, 톨루엔(2 mL)을 첨가했다. 계내를 빙욕으로 10℃ 이하로 냉각시키고, 2-(2-아미노에틸)-피리딘(739 mg, 3.0 eq.)을 천천히 가했다. 2시간 반 후에 GC-MS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하고, 후처리를 행했다. 반응 용액을 분액 깔대기로 옮기고, 수도물과 클로로포름을 첨가하여 세정했다. 또한 포화 식염수로 2회 세정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헵탄/아세트산에틸=5/1∼0/1)로 단리 정제를 행하여, 비정질형 고체를 얻었다(342 mg, 수율 52%). 본 고체를 헵탄/클로로포름으로 재결정하여, 백색 결정을 얻었다.
융점 104∼107℃
HRMS : 질량 303.2431 실측치 303.2421([M+H]+)
1H-NMR(500 MHz, CDCl3) : δ0.68(d, 3H, J=6.9 Hz), 0.83(d, 3H, J=7.0 Hz), 0.85(s, 3H), 0.89(s, 3H), 1.05-1.27(m, 3H), 1.35-1.48(m, 4H), 1.55-1.62(m, 1H), 2.0-2.10(m, 1H), 2.99(t, 2H, J=6.4 Hz), 3.58-3.74(m, 2H), 6.30(br, 1H), 7.13-7.18(m, 2H), 7.61(td, 1H, J=7.6, 1.8 Hz), 8.52-8.55(m, 2H).
[실시예 13] 예시 화합물 rac-14a-47(N-(4-(히드록시메틸)페닐)-2-이소프로필-5,5-디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시아미드)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69
질소 분위기 하에서 100 mL 4구 플라스크에 합성예 7, 8, 9 또는 19에서 얻어진 5-메틸멘틸카르복실산(rac-11a) (300 mg, 1.51 mmol), 염화티오닐(0.17 mL, 1.50 eq.) 촉매량의 DMF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했다. 계내의 용액을 감압 증류 제거하고, 톨루엔(2 mL)을 첨가했다. 계내를 빙욕으로 10℃ 이하로 냉각시키고, 2-아미노벤질알코올(559 mg, 3.0 eq.)을 천천히 가했다. 2시간 반 후에 GC-MS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하고, 후처리를 행했다. 반응 용액을 여과하면서 분액 깔대기로 옮기고, 수도물과 클로로포름을 첨가하여 세정했다. 유층을 묽은 염산으로 2회 세정하고, 또한 포화 식염수로 1회 세정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클로로포름/아세트산에틸로 재결정을 행하여, 황색 결정을 얻었다(330 mg, 수율 72%).
융점 165-172℃
HRMS : 질량 326.2091 실측치 326.2083([M+Na]+)
1H-NMR(500 MHz, DMSO-D6) : δ0.83(d, 3H, J=6.9 Hz), 0.85(d, 3H, J=6.9 Hz), 0.91(d, 6H, J=7.3 Hz), 1.10-1.22(m, 2H), 1.32-1.51(h, 5H), 1.62(quid, 1H, J=6.8, 2.4 Hz), 2.43-2.52(m, 1H), 4.42(s, 2H), 5.06(br, 1H), 7.21(d, 2H, J=8.4 Hz), 7.52-7.60(m, 2H), 9.82(s, 1H).
[실시예 14] 예시 화합물 rac-17a-2((S)-(trans-2-이소프로필-5,5-디메틸시클로헥실)2-히드록시프로파노에이트)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70
특허문헌 25의 합성법에 따라서 합성했다. 질소 분위기 하에서 dean-stark 콘덴서를 가진 50 mL 슈렝크에 합성예 3에서 얻어진 라세미-trans-5-메틸멘톨(rac-trans-5) (1.50 g, 8.81 mmol), (S)-락트산(1.35 g, 15.0 mmol, 1.7 eq.), 헵탄(25 mL)을 첨가하고, 교반을 시작했다. 계내에 촉매량의 진한 황산을 첨가하고, 계내를 100℃까지 승온하여, 물을 계내로부터 제거하면서 환류 교반했다. 4시간 후에 GC-MS로 반응의 진행을 확인하고, 후처리를 행했다. 계내 온도를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1 질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1회, 포화 식염수로 1회 세정했다. 유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ㆍ농축 후에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헵탄/아세트산에틸=7/1)로 단리 정제를 행하여, 목적으로 하는 무색 오일을 얻었다(766 mg, 수율 36%).
[α] D 20=-5.13(c=0.5, EtOH)
HRMS : 질량 265.1774 실측치 265.1768([M+Na]+)
1H-NMR(500 MHz, CDCl3) : δ0.80(dd, 3H, J=7.0, 3.7 Hz), 0.90(dd, 3H, J=7.0, 3.7 Hz), 0.93-0.97(m, 6H), 1.14-1.30(m, 3H), 1.35-1.43(m, 4H), 1.58(br, 2H), 1.68-1.76(m, 1H), 1.79-1.88(m, 1H), 2.84(d, 1H, 5.4 Hz), 4.18-4.25(m, 1H), 4.90-4.98(m, 1H).
[실시예 15] 예시 화합물(1R,2S)-17a-2((S)-((1R,2S)-2-이소프로필-5,5-디메틸시클로헥실)2-히드록시프로파노에이트)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71
실시예 14의 수법을 이용하여, 합성예 12에서 얻어진 (-)-trans-5-메틸멘톨(750 mg, 4.40 mmol)로부터 (-)-체를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367 mg, 수율 34%).
[α] D 20=-62.3(c=0.2, EtOH)
HRMS : 질량 243.1970 실측치 243.1960(FI)
11H-NMR(500 MHz, CDCl3) : δ0.81(d, 3H, J=6.9 Hz), 0.90(d, 3H, J=7.0 Hz), 0.93-0.97(m, 6H), 1.14-1.30(m, 3H), 1.35-1.43(m, 4H), 1.58(br, 2H), 1.71(dq, 1H, J=12.2, 2.4 Hz), 1.79-1.88(m, 1H), 2.89(br, 1H), 4.18-4.25(br, 1H), 4.95(td, 1H, J=11.0, 4.6 Hz).
[실시예 16] 예시 화합물(1S,2R)-17a-2((S)-((1S,2R)-2-이소프로필-5,5-디메틸시클로헥실)2-히드록시프로파노에이트)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72
실시예 14의 수법을 이용하여, 합성예 13에서 얻어진 (+)-trans-5-메틸멘톨(750 mg, 4.40 mmol)로부터 (+)-체를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367 mg, 수율 34%).
[α] D 20=+41.1(c=0.4, EtOH)
HRMS : 질량 265.1774 실측치 265.1777(ESI, [M+Na]+)
1H-NMR(500 MHz, CDCl3) : δ0.79(d, 3H, J=6.9 Hz), 0.91(d, 3H, J=7.0 Hz), 0.93-0.97(m, 6H), 1.14-1.30(m, 3H), 1.35-1.43(m, 4H), 1.58(br, 2H), 1.75(dq, 1H, J=12.2, 2.4 Hz), 1.79-1.88(m, 1H), 2.84(d, 1H, 5.4 Hz), 4.18-4.25(m, 1H), 4.93(td, 1H, J=11.0, 4.6 Hz).
[실시예 17] 예시 화합물 rac-14a-43(메틸 2-(2-이소프로필-5,5-디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시아미드)벤조에이트)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73
본 반응은 질소 분위기 하에서 행했다. 100 mL 리액터에 합성예 7, 8, 9 또는 19에서 얻어진 5-메틸멘틸카르복실산(rac-11a) (400 mg, 2.02 mmol), 염화티오닐(0.22 mL, 1.50 eq.) 및 DMF 몇 방울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했다. 계내의 용액을 증류 제거하고, 톨루엔을 2 mL 첨가했다. 계내를 빙욕으로 10℃ 이하로 냉각시키고, 2-아미노벤조산메틸(610 mg, 2.0 eq.)을 천천히 가했다. 2시간 반 후에 GC-MS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하고, 후처리를 행했다. 반응 용액을 여과하면서 분액 깔대기로 옮기고, 수도물과 클로로포름을 첨가하여 세정했다. 유층을 묽은 염산으로 2회 세정하고, 또한 포화 식염수로 1회 세정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단리 정제하여, 목적으로 하는 비정질형의 오일을 얻었다(510 mg, 수율 76%).
HRMS : 질량 332.2220 실측치 332.2240([M+H]+)
1H-NMR(500 MHz, CDCl3) : δ0.87(d, 3H, J=6.9 Hz,), 0.92(d, 1H, J=6.9 Hz). 0.95(s, 6H), 1.21-1.32(m, 3H), 1.44-1.67(m, 4H), 1.78(quid, 1H, J=7.0, 2.7 Hz), 2.38-2.45(m, 1H), 3.94(s, 3H), 7.04-7.05(m, 1H), 7.51-7.56(m, 1H), 8.03(dd, 1H, J=8.0, 1.4 Hz), 8.77(dd, 1H, J=8.5, 1.0 Hz), 11, 1(br, 1H).
[실시예 18] 예시 화합물 rac-19a-1(6-이소프로필-9,9-디메틸-1,4-디옥사스피로[4.5]데칸-2-일)메탄올)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74
본 반응은 질소 분위기 하에서 행했다. Dean-stark 콘덴서를 가진 반응 플라스크에, 합성예 5에서 얻어진 5-메틸멘톤(rac-7) (3.00 g, 17.8 mmol), 글리세롤(9.85 g, 7.80 mL, 6.0 eq.), 톨루엔(20 mL) 및 진한 황산 몇 방울을 첨가하고, 환류 교반했다. 콘덴서에는 계내로부터 석출된 물이 관측되었다. 15시간 후, 계내를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반응 용액을 농축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헵탄/아세트산에틸)로 정제하여, 목적으로 하는 오렌지색을 띠는 오일(1.96 g, 수율 45%)을 얻었다.
HRMS : 질량 242.1892 실측치 242.1881
1H-NMR(500 MHz, CDCl3) : δ0.86-1.01(m, 12H), 1.18-1.88(m, 8 H), 2.01-2.19(m, 1H), 36.52-3.81(m, 3H), 3.96-4.30(m, 2H) (diastereomers mixture)
[실시예 19] 예시 화합물 14a-38 i((-)-trans-N-(4-(시아노메틸)페닐)-2-이소프로필-5,5-디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시아미드)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75
본 반응은 질소 분위기 하에서 행했다. 100 mL 리액터에 합성예 15에서 얻어진 (-)-5-메틸멘틸카르복실산(1R,2S)-11a) (450 mg, 2.27 mmol), 염화티오닐(0.25 mL, 1.50 eq.) 및 DMF 몇 방울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했다. 계내의 용액을 증류 제거하고, 톨루엔을 2 mL 첨가했다. 계내를 빙욕으로 10℃ 이하로 냉각시키고, 4-아미노벤즈시아니드(900 mg, 3.0 eq.)를 천천히 가했다. 2시간 반 후에 GC-MS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하고, 후처리를 행했다. 반응 용액을 분액 깔대기로 옮기고, 수도물과 클로로포름을 첨가하여 세정했다. 유층을 묽은 염산으로 2회 세정하고, 또한 포화 식염수로 1회 세정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단리 정제를 행하여, 비정질형 고체를 얻었다(545 mg, 수율 77%, 80%ee.).
[α] D 20=-20.6(c=0.5, EtOH)
HRMS : 질량 317.2202 실측치 317.2211(FI)
1H-NMR(500 MHz, CDCl3) : δ0.86(d, 3H, J=7.0 Hz), 0.88-1.00(m, 9H), 1.20-1.31(m, 3H), 1.39-1.65(m, 4H), 1.71-1.81(m, 1H), 2.30(td, 1H, J=11.8, 3.8 Hz), 3.70(s, 2H), 7.26(d, 2H, J=8.0 Hz), 7.32(br, 1H), 7.56(d, 1H, J=8.0 Hz).
[실시예 20] 예시 화합물 rac-14a-42(N-(2-히드록시-4-메톡시페닐)-2-이소프로필-5,5-디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시아미드)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76
본 반응은 질소 분위기 하에서 행했다. 100 mL 리액터에 합성예 7, 8, 9 또는 19에서 얻어진 5-메틸멘틸카르복실산(rac-11a) (350 mg, 1.77 mmol), 염화티오닐(0.19 mL, 1.50 eq.) 및 DMF 몇 방울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했다. 콜드 계내의 용액을 증류 제거하고, 톨루엔을 2 mL 첨가했다. 계내를 빙욕으로 10℃ 이하로 냉각시키고, 2-아미노-5-메톡시페놀(491 mg, 2.0 eq.)을 천천히 가했다. 실온에서 2시간 반 후에 내부 온도 60℃에서 1시간 교반하고, GC-MS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했다. 후처리로서 반응 용액을 분액 깔대기로 옮기고, 수도물과 클로로포름을 첨가하여 세정했다. 유층을 묽은 염산으로 2회 세정하고, 또한 포화 식염수로 1회 세정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계내에 또한 실리카겔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에 용액을 여과ㆍ농축하여 백색 고체를 얻었다(401 mg, 1.255 mmol, 수율 71%). 소량의 본 화합물을 헵탄/클로로포름으로 재결정하여, 백색 결정을 얻었다.
융점 153∼155℃
HRMS : 질량 320.2220 실측치 320.2226([M+H]+)
1H-NMR(500 MHz, CDCl3) : δ0.87(d, 3H, J=6.9 Hz), 0.92-0.98(m, 9H), 1.19-1.31(m, 3H), 1.45-1.65(m, 7 H), 1.75-1.83(m, 1H), 2.41(td, 1H, J=12.0, 3.5 Hz), 6.61(d, 1H, J=2.9 Hz), 6.70(dd, 1H, J=8.9, 3.0 Hz), 6.94(d, 1H, J=8.9 Hz), 8.08(s, 1H).
[실시예 21] 예시 화합물 rac-14a-44(메틸3-(2-이소프로필-5,5-디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시아미드)벤조에이트)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77
본 반응은 질소 분위기 하에서 행했다. 100 mL 리액터에 합성예 7, 8, 9 또는 19에서 얻어진 5-메틸멘틸카르복실산(rac-11a) (400 mg, 4.03 mmol), 염화티오닐(0.35 mL, 1.50 eq.) 및 DMF 몇 방울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했다. 계내의 용액을 증류 제거하고, 톨루엔을 2 mL 첨가했다. 계내를 빙욕으로 10℃ 이하로 냉각시키고, 메틸-m-아미노벤조에이트(610 mg, 2.0 eq.)를 천천히 가했다. 실온에서 2시간, 내부 온도 50℃에서 1시간 교반하고, GC-MS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했다. 후처리로서 반응 용액을 분액 깔대기로 옮기고, 수도물과 클로로포름을 첨가하여 세정했다. 유층을 묽은 염산으로 2회 세정하고, 또한 포화 식염수로 1회 세정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단리 정제를 행하여, 비정질형 고체를 얻었다(529 mg, 1.60 mmol, 수율 79%).
HRMS : 질량 332.2220 실측치 332.2237([M+H]+)
1H-NMR(500 MHz, CDCl3) : δ0.83-0.97(m, 12H), 1.20-1.35(m, 3H), 1.39-1.67(m, 4H), 1.76-1.84(m, 1H), 2.30(td, 1H, J=11.8, 4.1 Hz), 7.30(br, 1H), 7.39(d, 1H, J=7.9 Hz), 7.75-7.80(m, 1H), 7.87-8.05(h, 2H).
[실시예 22] 예시 화합물 rac-14a-45(메틸 4-(2-이소프로필-5,5-디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시아미드)벤조에이트)의 합성
Figure 112017091693910-pct00078
본 반응은 질소 분위기 하에서 행했다. 100 mL 리액터에 합성예 7, 8, 9 또는 19에서 얻어진 5-메틸멘틸카르복실산(rac-11a) (400 mg, 4.03 mmol), 염화티오닐(0.35 mL, 1.50 eq.) 및 DMF 몇 방울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했다. 계내의 용액을 증류 제거하고, 톨루엔을 2 mL 첨가했다. 계내를 빙욕으로 10℃ 이하로 냉각시키고, 메틸-p-아미노벤조에이트(610 mg, 2.0 eq.)를 천천히 가했다. 실온에서 2시간, 내부 온도 50℃에서 1시간 교반하고, GC-MS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했다. 후처리로서, 반응 용액을 분액 깔대기로 옮기고, 수도물과 클로로포름을 첨가하여 세정했다. 유층을 묽은 염산으로 2회 세정하고, 또한 포화 식염수로 1회 세정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단리 정제를 행하여, 비정질형 고체를 얻었다(491 mg, 1.48 mmol, 수율 73%).
HRMS : 질량 332.2220 실측치 332.2232([M+H]+)
1H-NMR(500 MHz, CDCl3) : δ0.83-0.97(m, 12H), 1.20-1.35(m, 3H), 1.44-1.64(m, 4H), 1.73-1.83(m, 1H), 2.30(td, 1H, J=11.9, 3.7 Hz), 7.30(br, 1H), 7.62(d, 1H, J=8.7 Hz), 7.99(dt, 1H, J=9.1, 1.9 Hz).
[실시예 23] 예시 화합물 rac-14a-38의 관능 평가
Figure 112017091693910-pct00079
관능 평가는 종래 알려져 있는 화합물 중 냉감이 강하고, 구조가 유사한 비교 화합물 1(Evercool 180)과 비교하여 행했다. 예시 화합물 rac-14a-38, 비교 화합물 1은 모두, 2 ppm 수용액으로서 평가를 행했다.
[관능 소견]
ㆍ예시 화합물 rac-14a-38을 입에 머금고 1분∼수분 경과한 후 냉감이 발현되었다. 냉감은 30분 이상 지속되었다.
ㆍ냉감 특징이 비교 화합물 1(Evercool 180)보다 자연스러운 느낌이었다. Evercool 180은 멘톨적인 특징을 갖는 데 비해, rac-14a-38은 냉감만을 느꼈다.
ㆍ냉감 특징이 비교 화합물 1(Evercool 180)보다 rac-14a-38쪽이 날카로왔다.
[실시예 24] 예시 화합물 rac-14a-23의 관능 평가
Figure 112017091693910-pct00080
관능 평가는 종래 알려져 있고, 구조가 유사한 비교 화합물 2와 비교하여 행했다. 예시 화합물 rac-14a-23, 비교 화합물 2는 모두, 30 ppm 수용액으로서 평가를 행했다.
[관능 소견]
rac-14a-23은 날카로운 냉감 자극은 비교 화합물 2보다 강했다. 냉감 발현은 비교 화합물 2보다 느리고, 냉감 강도의 피크는 비교 화합물 2와 동등했다. rac-14a-23의 날카로운 냉감은 지속성이 풍부하여, 시종 냉감을 향상시키는 것 같은 인상이었다. 지속성은 비교 화합물 2보다 우수했다.
[실시예 25] 예시 화합물 rac-14a-33의 관능 평가
Figure 112022018593217-pct00100
관능 평가는 종래 알려져 있고, 구조가 유사한 비교 화합물 3과 비교하여 행했다. 예시 화합물 rac-14a-33, 비교 화합물 3은 모두, 30 ppm 수용액으로서 평가를 행했다.
[관능 소견]
rac-14a-33의 톱의 감칠맛은 비교 화합물 3과 동등하고, 냉감 발현의 시작은 느렸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냉감 강도가 올라갔다. 감칠맛이 지속되기 때문에, 타액 분비가 계속되는 점이 흥미로운 특징이었다(타액은 목구멍 안쪽으로부터 분비되는 느낌이었다).
[실시예 26] 예시 화합물 rac-14a-40의 관능 평가
Figure 112017091693910-pct00082
관능 평가는 종래 알려져 있고, 구조가 유사한 비교 화합물 3과 비교하여 행했다. 예시 화합물 rac-14a-40, 비교 화합물 3은 모두, 30 ppm 수용액으로서 평가를 행했다.
[관능 소견]
rac-14a-40의 톱의 감칠맛ㆍ짠맛은 비교 화합물 3보다 강하고 날카로왔다. 감칠맛과 저린 느낌이 동시에 발현되기 때문에, 살리베이션 효과가 있는 것 같은 인상이었다.
[실시예 27] 예시 화합물 rac-14a-46의 관능 평가
Figure 112017091693910-pct00083
관능 평가는 종래 알려져 있는 비교 화합물 3과 비교하여 행했다. 예시 화합물 rac-14a-46, 비교 화합물 3은 모두, 30 ppm 수용액으로서 평가를 행했다.
[관능 소견]
rac-14a-46은 에스테르 특유의 클리어하고 가벼운 터치이지만, 나오는 것이 느리고, 냉감 강도의 지속성이 있었다.
[실시예 28] 예시 화합물 rac-14a-41의 관능 평가
Figure 112017091693910-pct00084
관능 평가는 종래 알려져 있는 비교 화합물 3과 비교하여 행했다. 예시 화합물 rac-14a-41, 비교 화합물 3은 모두, 30 ppm 수용액으로서 평가를 행했다.
[관능 소견]
rac-14a-41은 비교 화합물 3보다 약간 빠른 냉감의 시작이 보였다. 처음에 화학적인 쓴 맛이 약간 느껴지지만, 잠시 후에 소실되기 때문에 문제없는 정도였다. 냉감 강도는 비교 화합물 3의 1.2∼1.3배 정도 강한 강도였다. 냉감에 작열감보다 클리어감이 수반되어, 바람직한 냉감이 보였다. 목구멍 안쪽에 냉감이 상당히 남아, 지속성도 있는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29] 예시 화합물 rac-14a-47의 관능 평가
Figure 112017091693910-pct00085
관능 평가는 종래 알려져 있는 비교 화합물 3과 비교하여 행했다. 예시 화합물 rac-14a-47, 비교 화합물 3은 모두 30 ppm 수용액으로서 평가를 행했다.
[관능 소견]
rac-14a-47은 빠른 냉감의 시작이 특징적이었다. 비교 화합물 3과 마찬가지로 감칠맛을 수반하지만, 비교 화합물 3보다 강한 감칠맛이 느껴졌다. 냉감 강도는 비교 화합물 3의 1.5∼2배 정도로 매우 강하고, 냉감에 작열감(얼얼한 느낌)이 있었다. 목구멍 안쪽에 냉감이 상당히 남아, 지속성도 있는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30] 샴푸에 부향한 평가
Figure 112017091693910-pct00086
L-멘톨 및 종래 알려져 있는 비교 화합물 4 또는 예시 화합물 rac-14a-38을 각각 부향한 샴푸(A)∼(C)를 조제하여, 관능 평가를 행했다. 이하에 샴푸(A)∼(C)의 배합을 나타낸다.
(A) 바디샴푸 BASE 900 g+L-멘톨 30 g+디프로필렌글리콜(DPG) 70 g
(B) 바디샴푸 BASE 900 g+L-멘톨 30 g+비교 화합물 4 10% in DPG 70 g
(C) 바디샴푸 BASE 900 g+L-멘톨 30 g+예시 화합물 rac-14a-38 1% in DPG 70 g
또, 바디샴푸 BASE의 처방전은 이하와 같다.
Figure 112017091693910-pct00087
[평가 코멘트]
샴푸(B) 및 샴푸(C)의 처방은 샴푸(A)보다 냉감 효과가 있고, 샴푸(C)는 샴푸(B)의 1/10의 냉감제의 배합량이면서도, 샴푸(B)와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냉감 효과를 가졌다.
[실시예 31] 맥주 풍미 음료에 부향한 평가
Figure 112017091693910-pct00088
L-멘톨 및, 예시 화합물 rac-14a-38 또는 종래 알려져 있는 비교 화합물 4를 각각 부향한 맥주 풍미 음료(D)∼(F)를 조제하여, 관능 평가를 행했다. 이하에 맥주 풍미 음료(D)∼(F)의 배합을 나타낸다.
(D) 논알콜 맥주 테이스트 음료 1000 g+L-멘톨 1 mg(1 ppm)
(E) 논알콜 맥주 테이스트 음료 1000 g+L-멘톨 1 mg(1 ppm)+비교 화합물 4 1 mg(1 ppm) 첨가
(F) 논알콜 맥주 테이스트 음료 1000 g+L-멘톨 1 mg(1 ppm)+예시 화합물 rac-14a-38 0.1 mg(0.1 ppm) 첨가
또, 맥주 플레이버의 처방전은 이하와 같다.
Figure 112017091693910-pct00089
상기 처방의 맥주 플레이버를 이용한 맥주 풍미 음료의 처방전은 이하와 같다.
Figure 112017091693910-pct00090
[평가 코멘트]
맥주 풍미 음료(E) 및 맥주 풍미 음료(F)는 맥주 풍미 음료(D)보다 냉감 효과가 있고, 맥주 풍미 음료(F)는 맥주 풍미 음료(E)의 1/10의 냉감제의 배합량이면서도 맥주 풍미 음료(E)와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냉감 효과를 가졌다. 또한 맥주 풍미 음료(F)는 맥주 풍미 음료(E)와 비교하여 질이 좋은, 상쾌한 냉감을 가졌다.
[실시예 32] 치약 부향 평가
Figure 112017091693910-pct00091
L-멘톨 및, 예시 화합물 rac-14a-38 또는 종래 알려져 있는 비교 화합물 4를 각각 부향한 치약(G)∼(I)를 조제하여, 관능 평가를 행했다. 이하에 치약(G)∼(I)의 배합을 나타낸다.
(G) 치약 기제 990 g+치약 플레이버 BASE 4 g+L-멘톨 4 g+에틸알콜(EtOH) 2 g
(H) 치약 기제 990 g+치약 플레이버 BASE 4 g+L-멘톨 4 g+비교 화합물 4 10% in EtOH 2 g
(I) 치약 기제 990 g+치약 플레이버 BASE 4 g+L-멘톨 4 g+예시 화합물 rac-14a-38 1% in EtOH 2 g
또, 치약 플레이버 BASE의 처방전은 이하와 같다.
Figure 112017091693910-pct00092
또한, 치약 기제의 처방은 이하와 같다.
Figure 112017091693910-pct00093
[평가 코멘트]
치약(H) 및 치약(I)는 치약(G)보다 냉감 효과가 있고, 치약(I)는 치약(H)의 1/10의 냉감제의 배합량이면서도 치약(H) 이상의 냉감 효과를 가졌다. 또한 치약(I)는 30분 이상의 냉감 효과가 느껴졌다. 또한 동시에 치약 플레이버의 민트감이 강하게 퍼지는 효과도 느껴졌다.
[실시예 33] 냉감 강도 평가
각 화합물의 냉감 강도를 표 6∼표 8에 나타낸다. 냉감 강도 측정은 비특허문헌 6을 참고로 행했다. 냉감을 느끼는 농도 EC50치를 냉감 강도의 지표로 하여, 이하에 나타낸다.
Figure 112022018593217-pct00101
Figure 112017091693910-pct00095
Figure 112022018593217-pct00102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한 실시양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분명하다. 본 출원은 2015년 3월 25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2015-062301)에 기초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Claims (17)

  1. 하기 일반식(1A):
    Figure 112022018593217-pct00103

    [식 중, 실선과 점선의 이중선은 이중 결합 또는 단일 결합이고, * 표시는 비대칭 탄소 원자이고,
    W는, 수소 원자, 또는, 단일 결합 혹은 산소 원자를 통해 X와 고리를 형성하고,
    X는, -CHO, -CO-Y 또는 -O-Z를 나타내고,
    Y는, 이하의 식(i) 또는 식(ii)에 나타내는 기이고,
    (i) NR1R2
    (ii) OR3
    (식(i) 중,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1∼10의 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2∼10의 알케닐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3∼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2∼15의 복소환기이다.
    식(ii) 중, R3은,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1∼10의 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2∼10의 알케닐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3∼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2∼15의 복소환기이다.)
    Z는, 이하의 식(iii) 또는 식(vi)에 나타내는 기이고,
    (iii) R4
    (vi) COR5
    (식(iii) 중, R4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1∼10의 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2∼10의 알케닐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3∼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2∼15의 복소환기이다.
    식(vi) 중, R5는, 수소 원자,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1∼10의 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2∼10의 알케닐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3∼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2∼15의 복소환기이다.)
    R1∼R5가 갖고 있어도 좋은 상기 치환기는, 탄소수 1~6의 알킬기; 탄소수 5~8의 시클로알킬기; 수산기; 탄소수 1~4의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탄소수 7~12의 아랄킬기; 카르복시기; 탄소수 2~8의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복사미드기; 탄소수 2~8의 디알킬아미노기; 니트릴기; 시아노알킬(그 알킬기의 탄소수가 1~4)기; 지방족 복소환기; 방향족 복소환기 및 히드록시메틸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이다.]
    로 표시되는 메틸멘톨 유도체를 함유하는 냉감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멘톨 유도체가 (2S)-체인 냉감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멘톨 유도체 이외의 냉감 물질을 적어도 1종 더 함유하는 냉감제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멘톨 유도체 이외의 냉감 물질이
    멘톨, 멘톤, 캄퍼, 풀레골, 이소풀레골, 시네올, 큐베놀, 아세트산멘틸, 아세트산풀레길, 아세트산이소풀레길, 살리실산멘틸, 살리실산풀레길, 살리실산이소풀레길, 3-(l-멘톡시)프로판-1,2-디올, 2-메틸-3-(l-멘톡시)프로판-1,2-디올, 2-(l-멘톡시)에탄-1-올, 3-(l-멘톡시)프로판-1-올, 4-(l-멘톡시)부탄-1-올, 3-히드록시부탄산멘틸, 글리옥실산멘틸, p-멘탄-3,8-디올, 1-(2-히드록시-4-메틸시클로헥실)에타논, 락트산멘틸, 멘톤글리세린케탈, 멘틸-2-피롤리돈-5-카르복실레이트, 모노멘틸숙시네이트, 모노멘틸숙시네이트의 알칼리 금속염, 모노멘틸숙시네이트의 알칼리 토금속염, 모노멘틸글루타레이트, 모노멘틸글루타레이트의 알칼리 금속염, 모노멘틸글루타레이트의 알칼리 토금속염, N-[[5-메틸-2-(1-메틸에틸)시클로헥실]카르보닐]글리신, p-멘탄-3-카르복실산글리세롤에스테르, 멘톨프로필렌글리콜카보네이트, 멘톨에틸렌글리콜카보네이트, p-멘탄-2,3-디올, 2-이소프로필-N,2,3-트리메틸부탄아미드, N-에틸-p-멘탄-3-카르복사미드, 3-(p-멘탄-3-카르복사미드)아세트산에틸, N-(4-메톡시페닐)-p-멘탄카르복사미드, N-에틸-2,2-디이소프로필부탄아미드, N-시클로프로필-p-멘탄카르복사미드, N-(4-시아노메틸페닐)-p-멘탄카르복사미드, N-(2-피리딘-2-일)-3-p-멘탄카르복사미드, N-(2-히드록시에틸)-2-이소프로필-2,3-디메틸부탄아미드, N-(1,1-디메틸-2-히드록시에틸)-2,2-디에틸부탄아미드, 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2-이소프로필-5-메틸시클로헥실)아미드, N-에틸-2,2-디이소프로필부탄아미드, N-[4-(2-아미노-2-옥소에틸)페닐]-p-멘탄카르복사미드, 2-[(2-p-멘톡시)에톡시]에탄올, 2,6-디에틸-5-이소프로필-2-메틸테트라히드로피란 및 트랜스-4-tert-부틸시클로헥산올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덱스트로스 및 솔비톨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당알콜; 및
    일본 박하 오일, 페퍼민트 오일, 스페어민트 오일 및 유칼립투스 오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천연물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냉감 물질인 냉감제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냉감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감각 자극제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온감 물질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하는 감각 자극제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온감 물질이
    바닐릴메틸에테르, 바닐릴에틸에테르, 바닐릴프로필에테르, 바닐릴이소프로필에테르, 바닐릴부틸에테르, 바닐릴아밀에테르, 바닐릴이소아밀에테르, 바닐릴헥실에테르, 이소바닐릴메틸에테르, 이소바닐릴에틸에테르, 이소바닐릴프로필에테르, 이소바닐릴이소프로필에테르, 이소바닐릴부틸에테르, 이소바닐릴아밀에테르, 이소바닐릴이소아밀에테르, 이소바닐릴헥실에테르, 에틸바닐릴메틸에테르, 에틸바닐릴에틸에테르, 에틸바닐릴프로필에테르, 에틸바닐릴이소프로필에테르, 에틸바닐릴부틸에테르, 에틸바닐릴아밀에테르, 에틸바닐릴이소아밀에테르, 에틸바닐릴헥실에테르, 바닐린프로필렌글리콜아세탈, 이소바닐린프로필렌글리콜아세탈, 에틸바닐린프로필렌글리콜아세탈, 바닐릴부틸에테르아세트산에스테르, 이소바닐릴부틸에테르아세트산에스테르, 에틸바닐릴부틸에테르아세트산에스테르, 4-(l-멘톡시메틸)-2-(3'-메톡시-4'-히드록시페닐)-1,3-디옥솔란, 4-(l-멘톡시메틸)-2-(3'-히드록시-4'-메톡시페닐)-1,3-디옥솔란, 4-(l-멘톡시메틸)-2-(3'-에톡시-4'-히드록시페닐)-1,3-디옥솔란, 캡사이신, 디히드로캡사이신, 노르디히드로캡사이신, 호모디히드로캡사이신, 호모캡사이신, 비스캡산틴, 트리스호모캡산틴, 노르놀캡산틴, 노르캡산틴, 캡사이시놀, 바닐릴카프릴아미드(옥틸산바닐릴아미드), 바닐릴펠라르곤아미드(노닐산바닐릴아미드), 바닐릴카프로아미드(데실산바닐릴아미드), 바닐릴운데칸아미드(운데실산바닐릴아미드), N-트랜스-페룰로일티라민, N-5-(4-히드록시-3-메톡시페닐)-2E,4E-펜타디에노일피페리딘, N-트랜스-페룰로일피페리딘, N-5-(4-히드록시-3-메톡시페닐)-2E-펜테노일피페리딘, N-5-(4-히드록시페닐)-2E,4E-펜타디에노일피페리딘, 피페린, 이소피페린, 샤비신, 이소샤비신, 피페라민, 피페레틴, 피페롤레인 B, 레트로프랙타미드 A, 피페라시드, 구이넨사이드, 피페릴린, 피페라미드 C5:1(2E), 피페라미드 C7:1(6E), 피페라미드 C7:2(2E,6E), 피페라미드 C9:1(8E), 피페라미드 C9:2(2E,8E), 피페라미드 C9:3(2E,4E,8E), 파가라미드, 산쇼올-I, 산쇼올-II, 히드록시산쇼올, 산쇼 아미드, 진게롤, 쇼가올, 진게론, 메틸진게롤, 파라돌, 스피란톨, 캬비신, 폴리고디알(타데오날), 이소폴리고디알, 디히드로폴리고디알 및 타데온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및
    고추 오일, 고추 올레오레진, 생강 올레오레진, 잠부 올레오레진(파라크레스 추출물), 산쇼 엑기스, 산쇼 아미드, 흑후추 엑기스, 백후추 엑기스 및 여뀌 엑기스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천연물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온감 물질인 감각 자극제 조성물.
  8. 제5항에 기재된 감각 자극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9. 제5항에 기재된 감각 자극제 조성물을 0.00001∼90 질량%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10. 음료, 식품, 향장품, 토일레트리 제품, 에어케어 제품, 일용ㆍ잡화품, 구강용 조성물, 헤어케어 제품, 스킨케어 제품, 바디케어 제품, 의류용 세제, 의류용 유연 마무리제, 의약품 부외품 및 의약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제품으로서, 제5항에 기재된 감각 자극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품.
  11. 음료, 식품, 향장품, 토일레트리 제품, 에어케어 제품, 일용ㆍ잡화품, 구강용 조성물, 헤어케어 제품, 스킨케어 제품, 바디케어 제품, 의류용 세제, 의류용 유연 마무리제, 의약품 부외품 및 의약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제품으로서, 제5항에 기재된 감각 자극제 조성물을 0.00001∼50 질량% 함유하는 제품.
  12. 음료, 식품, 향장품, 토일레트리 제품, 에어케어 제품, 일용ㆍ잡화품, 구강용 조성물, 헤어케어 제품, 스킨케어 제품, 바디케어 제품, 의류용 세제, 의류용 유연 마무리제, 의약품 부외품 및 의약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제품으로서, 제8항에 기재된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품.
  13. 음료, 식품, 향장품, 토일레트리 제품, 에어케어 제품, 일용ㆍ잡화품, 구강용 조성물, 헤어케어 제품, 스킨케어 제품, 바디케어 제품, 의류용 세제, 의류용 유연 마무리제, 의약품 부외품 및 의약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제품으로서, 제8항에 기재된 향료 조성물을 0.00001∼50 질량% 함유하는 제품.
  14. 음료, 식품, 향장품, 토일레트리 제품, 에어케어 제품, 일용ㆍ잡화품, 구강용 조성물, 헤어케어 제품, 스킨케어 제품, 바디케어 제품, 의류용 세제, 의류용 유연 마무리제, 의약품 부외품 및 의약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제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5항에 기재된 감각 자극제 조성물을 배합하는 제품의 제조 방법.
  15. 음료, 식품, 향장품, 토일레트리 제품, 에어케어 제품, 일용ㆍ잡화품, 구강용 조성물, 헤어케어 제품, 스킨케어 제품, 바디케어 제품, 의류용 세제, 의류용 유연 마무리제, 의약품 부외품 및 의약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제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8항에 기재된 향료 조성물을 배합하는 제품의 제조 방법.
  16. 하기 일반식(1A'):
    Figure 112022018593217-pct00098

    [식 중, 실선과 점선의 이중선은 이중 결합 또는 단일 결합이고, * 표시는 비대칭 탄소 원자이고,
    W는, 수소 원자, 또는, 단일 결합 혹은 산소 원자를 통해 X'와 고리를 형성하고,
    X'는, -CHO, -CO-Y' 또는 -O-Z를 나타내고,
    Y'는, 이하의 식(i) 또는 식(ii')에 나타내는 기이고,
    (i) NR1R2
    (ii') OR3'
    (식(i) 중,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1∼10의 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2∼10의 알케닐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3∼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2∼15의 복소환기이다.
    식(ii') 중, R3'은,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1∼10의 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2∼10의 알케닐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3∼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2∼15의 복소환기이다.)
    Z는, 이하의 식(iii) 또는 식(vi)에 나타내는 기이고,
    (iii) R4
    (vi) COR5
    (식(iii) 중, R4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1∼10의 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2∼10의 알케닐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3∼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2∼15의 복소환기이다.
    식(vi) 중, R5는, 수소 원자,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1∼10의 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탄소수 2∼10의 알케닐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3∼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2∼15의 복소환기이다.)
    R1, R2, R3', R4 및 R5가 갖고 있어도 좋은 상기 치환기는, 탄소수 1~6의 알킬기; 탄소수 5~8의 시클로알킬기; 수산기; 탄소수 1~4의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탄소수 7~12의 아랄킬기; 카르복시기; 탄소수 2~8의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복사미드기; 탄소수 2~8의 디알킬아미노기; 니트릴기; 시아노알킬(그 알킬기의 탄소수가 1~4)기; 지방족 복소환기; 방향족 복소환기 및 히드록시메틸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이다.]
    로 표시되는 메틸멘톨 유도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멘톨 유도체가 (2S)-체인 메틸멘톨 유도체.
KR1020177026526A 2015-03-25 2016-03-24 메틸멘톨 유도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냉감제 조성물 KR1024045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62301 2015-03-25
JPJP-P-2015-062301 2015-03-25
PCT/JP2016/059500 WO2016153011A1 (ja) 2015-03-25 2016-03-24 メチルメントール誘導体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冷感剤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432A KR20170131432A (ko) 2017-11-29
KR102404503B1 true KR102404503B1 (ko) 2022-06-08

Family

ID=56979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6526A KR102404503B1 (ko) 2015-03-25 2016-03-24 메틸멘톨 유도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냉감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494330B2 (ko)
EP (1) EP3275962B1 (ko)
JP (1) JP6751077B2 (ko)
KR (1) KR102404503B1 (ko)
CN (1) CN107532063B (ko)
BR (1) BR112017020467B1 (ko)
ES (1) ES2752575T3 (ko)
MX (1) MX2017012014A (ko)
SG (1) SG11201707288WA (ko)
WO (1) WO20161530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44187B2 (ja) * 2015-10-21 2021-03-17 大正製薬株式会社 経口液体組成物
KR102493173B1 (ko) * 2017-01-10 2023-01-27 다카사고 고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메틸멘톨 유도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냉감제 조성물
JP6959038B2 (ja) * 2017-06-02 2021-11-02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容器入り非アルコール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9039385A1 (ja) * 2017-08-21 2019-02-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マイクロカプセル、組成物及び化粧用シート
CA3078909A1 (en) * 2017-10-16 2019-04-25 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 Cool-sensation imparter composition containing 2,2,6-trimethylcyclohexanecarboxylic acid derivative
WO2019181529A1 (ja) * 2018-03-23 2019-09-26 味の素株式会社 香気を有するトウガラシ属植物
CN108410596B (zh) * 2018-05-08 2020-04-07 福州秘庄日化有限公司 多功能洗衣液及其制备工艺
CN112312884A (zh) * 2018-06-22 2021-02-02 宝洁公司 洁齿剂组合物
WO2020150683A1 (en) * 2019-01-17 2020-07-23 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 (Usa) Use of cooling materials for the reduction or inhibition of saltiness in orally administered, imbibed or ingested consumer products
CN109881479A (zh) * 2019-03-07 2019-06-14 青岛雪达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抗菌发热功能的纺织面料及其制备方法
CA3138194A1 (en) 2019-04-30 2020-11-05 Bayer Healthcare Llc Topical analgesic gel compositions
KR102211941B1 (ko) * 2019-09-23 2021-02-03 코스맥스 주식회사 에리스리톨과 디실록산을 포함하는 냉감제용 화장료 조성물
JP7340469B2 (ja) * 2020-01-29 2023-09-07 サッポロビール株式会社 ビールテイスト飲料
AR128218A1 (es) 2022-01-07 2024-04-10 V Mane Fils Compuestos y composiciones refrescantes
WO2022207944A2 (en) 2022-07-11 2022-10-06 Symrise Ag Novel mixtures and uses of (2e)-3-(1,3-benzodioxol-5-yl)-n-phenyl-n-(tetrahydro-3-furanyl)-2-propenamid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6092A (ja) 2008-04-15 2011-05-26 フイルメニツヒ ソシエテ アノニム 温感組成物
JP4786544B2 (ja) 2003-11-21 2011-10-05 ジボダン エス エー N置換p−メンタンカルボキサミド類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1127A (en) 1961-06-27 1963-11-19 Brown & Williamson Tobacco Smoking tobacco produc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S4716647Y1 (ko) 1968-09-27 1972-06-12
JPS4716648Y1 (ko) 1969-03-06 1972-06-12
JPS4833069A (ko) 1971-08-27 1973-05-07
US4038270A (en) 1971-08-27 1977-07-26 Toyo Hakka Kobyo Kabushiki Kaisha Menthol glycoside,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method for releasing menthol therefrom
US3988482A (en) 1971-08-27 1976-10-26 Toyo Hakka Kogyo Kabushiki Kaisha Menthol glycoside,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method for releasing menthol therefrom
US4157384A (en) 1972-01-28 1979-06-05 Wilkinson Sword Limited Compositions having a physiological cooling effect
GB1392907A (en) 1973-03-20 1975-05-07 Wilkinson Sword Ltd Preparation of p-menthane carboxylic acid
DE2608226A1 (de) 1976-02-28 1977-09-08 Haarmann & Reimer Gmbh Mittel mit physiologischer kuehlwirkung
JPS5888334A (ja) 1981-11-20 1983-05-26 Takasago Corp 3−l−メントキシプロパン−1、2−ジオ−ル
JPS61194049A (ja) 1985-02-22 1986-08-28 Takasago Corp l−メンチル3−ヒドロキシブチレ−ト,その製造法およびこれを有効成分とする冷感剤
JPH02290827A (ja) 1989-05-01 1990-11-30 Kao Corp 1―アルコキシ―3―l―メントキシプロパン―2―オール並びにこれを含有する冷感剤及び冷感性組成物
DE4110973A1 (de) * 1991-04-05 1992-10-08 Haarmann & Reimer Gmbh Mittel mit physiologischem kuehleffekt und fuer diese mittel geeignete wirksame verbindungen
JPH05255186A (ja) 1992-03-09 1993-10-05 Hisamitsu Pharmaceut Co Inc 3−置換−p−メンタン誘導体並びにこれを含有する 冷感剤
JP3245748B2 (ja) 1992-03-09 2002-01-15 久光製薬株式会社 p−メンタン誘導体並びにこれを含有する冷感剤
JPH07506868A (ja) * 1992-05-18 1995-07-27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冷却剤組成物
JPH0665023A (ja) 1992-08-12 1994-03-08 Hisamitsu Pharmaceut Co Inc (−)イソプレゴールからなる冷感剤及び冷感性組成 物
JP2978043B2 (ja) 1993-09-16 1999-11-15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2s)−3−{(1r,2s,5r)−[ 5−メチル−2−(1−メチルエチル)シクロヘキシル ]オキシ}−1,2−プロパンジオール,その製造方法および用途
JPH07118119A (ja) * 1993-10-19 1995-05-09 Kanebo Ltd 化粧料及び口腔剤
JPH11158107A (ja) 1997-12-03 1999-06-15 Ryoji Noyori カルボニル化合物の製造法
US6780443B1 (en) 2000-02-04 2004-08-24 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 Sensate composition imparting initial sensation upon contact
JP2001294546A (ja) 2000-02-28 2001-10-23 Takasago Internatl Corp (1’R,2’S,5’R)3−l−メントキシアルカン−1−オール冷感剤
US20080300314A1 (en) 2003-11-21 2008-12-04 Givaudan Sa Cooling Compounds
US7189760B2 (en) 2004-04-02 2007-03-13 Millennium Specialty Chemicals Physiological cooling compositions containing highly purified ethyl ester of N-[[5-methyl-2-(1-methylethyl) cyclohexyl] carbonyl]glycine
JP4563079B2 (ja) * 2004-05-31 2010-10-13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メントール誘導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冷感剤組成物
KR101392907B1 (ko) 2005-11-07 2014-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소프트웨어 관리 방법
EP1913976A1 (de) 2006-10-18 2008-04-23 Symrise GmbH & Co. KG N-alpha-(Menthancarbonyl)aminosäureamide und deren Verwendung als physiologische Kühlwirkstoffe
EP2033688B1 (de) * 2007-08-20 2012-10-17 Symrise AG Oxalsäurederivate und deren Verwendung als physiologische Kühlwirkstoffe
JP5384641B2 (ja) 2008-08-15 2014-01-08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消費者製品における感覚剤として有用なシクロヘキサン誘導体の合成
BR112014004523A2 (pt) 2011-09-01 2017-03-28 Takasago Int Corp (U S A ) composto e composição aromatizante
EP2620137B1 (de) 2012-01-30 2017-11-15 Symrise AG Zubereitungen
DE102012202885A1 (de) 2012-02-24 2012-05-10 Symrise Ag Herstellung von Menthancarbonaldehyd, Menthancarbonsäure und Folgeprodukten
US20140161846A1 (en) * 2012-12-11 2014-06-12 The Dial Corporation Sunscreen with cooling ag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6544B2 (ja) 2003-11-21 2011-10-05 ジボダン エス エー N置換p−メンタンカルボキサミド類
JP2011516092A (ja) 2008-04-15 2011-05-26 フイルメニツヒ ソシエテ アノニム 温感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75962A1 (en) 2018-01-31
CN107532063A (zh) 2018-01-02
ES2752575T3 (es) 2020-04-06
KR20170131432A (ko) 2017-11-29
US20180057447A1 (en) 2018-03-01
EP3275962B1 (en) 2019-10-02
BR112017020467B1 (pt) 2022-02-08
CN107532063B (zh) 2020-03-10
JP6751077B2 (ja) 2020-09-02
MX2017012014A (es) 2018-01-30
SG11201707288WA (en) 2017-10-30
EP3275962A4 (en) 2018-11-07
WO2016153011A1 (ja) 2016-09-29
BR112017020467A2 (pt) 2018-07-03
JPWO2016153011A1 (ja) 2018-01-18
US10494330B2 (en)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4503B1 (ko) 메틸멘톨 유도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냉감제 조성물
AU2018208180B2 (en) Methylmenthol derivative and cool-sensation imparter composition containing same
US8476472B2 (en) (3R)-L-menthyl 3-hydroxybutyrate,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sensat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EP1761238B1 (en) Menthol derivative and cooling agent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JP5546788B2 (ja) (3S)−3−ヒドロキシブタン酸−l−メンチルの製造方法および冷感剤組成物
JP4996834B2 (ja) バニリンアセタール類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感覚刺激剤組成物
EP2763554B1 (en) Novel substituted cyclohexane compounds
JP7157072B2 (ja) 2,2,6-トリメチルシクロヘキサンカルボン酸誘導体を含有する冷感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