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488B1 - 경화성 조성물과 그 경화물, 및 광학 부재 - Google Patents

경화성 조성물과 그 경화물, 및 광학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488B1
KR102404488B1 KR1020177018022A KR20177018022A KR102404488B1 KR 102404488 B1 KR102404488 B1 KR 102404488B1 KR 1020177018022 A KR1020177018022 A KR 1020177018022A KR 20177018022 A KR20177018022 A KR 20177018022A KR 102404488 B1 KR102404488 B1 KR 102404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crylate
curable composition
acrylate compound
dispers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8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5318A (ko
Inventor
에나 다케시타
노부오 고바야시
야스코 오다니
나오히로 다케시타
Original Assignee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5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5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4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0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08F220/301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and one oxygen in the alcohol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2/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in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interreacting polymer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reactions, in the absence of non-macromolecular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6Anti-reflective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2037/12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curable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2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of dialcohols, e.g.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or 1,4-butanediol dimethacrylate
    • C08F222/1025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of dialcohols, e.g.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or 1,4-butanediol dimethacrylate of aromatic di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6Esters of polycondensation macromers
    • C08F222/1063Esters of polycondensation macromers of alcohol terminated 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44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Treatments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경화물에 있어서의 광투과율 및 굴절률이 높고, 내상성도 우수한 경화성 조성물과 그 경화물, 및 광학 부재를 제공한다. 산화지르코늄 나노입자(A), 분산제(B), 및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을 함유하고, 상기 분산제(B)의 산가가 100~300mgKOH/g의 범위이며, 또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이 폴리알킬렌옥사이드 구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1)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성 조성물.

Description

경화성 조성물과 그 경화물, 및 광학 부재{CURABLE COMPOSITION, CURED PRODUCT THEREOF, AND OPTICAL MEMBER}
본 발명은, 경화물에 있어서의 광투과율 및 굴절률이 높고, 내상성도 우수한 경화성 조성물과 그 경화물, 및 광학 부재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 등의 백라이트에는,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프리즘 시트나 마이크로렌즈 시트 등의 휘도 향상 시트가 설치되어 있다. 휘도 향상 시트는 굴절률이 높을수록 휘도 향상 효과가 높고, 따라서, 보다 굴절률이 높은 분자 구조를 갖는 수지 재료의 개발이나, 무기 미립자의 첨가에 의한 고굴절률화가 검토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는, 산화지르코늄 미립자와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무기 미립자 배합형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은 굴절률이 높은 것으로 되지만, 한편, 탄성이 낮기 때문에 흠집나기 쉬운 결점을 갖고 있었다.
일본 특개2010-189506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경화물에 있어서의 광투과율 및 굴절률이 높고, 내상성도 우수한 경화성 조성물과 그 경화물, 및 광학 부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무기 미립자, 분산제 및 경화성 수지 성분을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로서 산가가 100~300mgKOH/g의 범위의 것을 사용하고, 또한, 상기 경화성 수지 성분으로서 폴리알킬렌옥사이드 구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함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즉, 본 발명은, 산화지르코늄 나노입자(A), 분산제(B), 및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을 함유하고, 상기 분산제(B)의 산가가 100~300mgKOH/g의 범위이며, 또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이 폴리알킬렌옥사이드 구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1)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하여 얻어지는 경화물, 및 광학 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화물에 있어서의 광투과율 및 굴절률이 높고, 내상성도 우수한 경화성 조성물과 그 경화물, 및 광학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은, 산화지르코늄 나노입자(A), 분산제(B), 및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을 함유하고, 상기 분산제(B)의 산가가 100~300mgKOH/g의 범위이며, 또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이 폴리알킬렌옥사이드 구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1)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무기 미립자와 상기 폴리알킬렌옥사이드 구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1)와 같은 극성이 높은 구조 부위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은, 계내에서 무기 미립자의 응집이 생기기 쉽고, 경화성 조성물의 안정성이 보존 저하하거나, 경화 도막의 투명성이 저하하거나 한다. 그러나, 본원 발명에서는 산가가 100~300mgKOH/g의 범위인 분산제(B)를 사용함에 의해,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경화성 조성물이 얻어지고, 경화물에 있어서 굴절률이 높을 뿐아니라, 광투과성이나 내상성도 우수한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이 함유하는 산화지르코늄 나노입자(A)는, 원료의 산화지르코늄 나노입자(a)를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을 필수로 하는 분산매 중에 분산시켜 얻어지는 것이다. 경화성 조성물 중의 산화지르코늄 나노입자(A)의 평균 입자경은, 굴절률이 크고 광투과성도 우수한 경화물이 되므로, 20~100n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원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산화지르코늄 나노입자(A)의 평균 입자경은 입자경 측정 장치(오츠카덴시가부시키가이샤제「ELSZ-2」)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값이다.
원료로서 사용하는 산화지르코늄 나노입자(a)는, 통상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입자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구상, 중공상, 다공질상, 봉상, 판상, 섬유상, 또는 부정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분산 안정성이 우수하고, 광투과율 및 굴절률이 높은 경화물이 얻어지므로, 구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지르코늄 나노입자(a)의 평균 일차 입자경은, 분산 안정성이 우수하고, 광투과율 및 굴절률이 높은 경화물이 얻어지므로 1~50nm의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30nm의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지르코늄 나노입자(a)의 결정 구조도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분산 안정성이 우수하고, 광투과율 및 굴절률이 높은 경화물이 얻어지므로 단사정계(單斜晶系)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각종 실란 커플링제(D) 등을 사용하여 상기 산화지르코늄 나노입자(a)의 미립자 표면에 관능기를 도입해도 된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D)는, 예를 들면 하기의 것을 들 수 있다.
(메타)아크릴로일옥시계의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3-(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틸실란, 3-(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이 예시된다. 아크릴옥시계의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예시된다.
비닐계의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알릴트리클로로실란, 알릴트리에톡시실란, 알릴트리메톡시실란, 디에톡시메틸비닐실란, 트리클로로비닐실란, 비닐트리클로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스(2-메톡시에톡시)실란이 예시된다.
에폭시계의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디에톡시(글리시딜옥시프로필)메틸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이 예시된다. 스티렌계의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p-스티릴트리메톡시실란이 예시된다.
아미노계의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트리에톡시실릴-N-(1,3-디메틸-부틸리덴)프로필아민, 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예시된다.
우레이도계의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3-우레이도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이 예시된다. 클로로프로필계의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예시된다. 메르캅토계의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3-메르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예시된다. 설피드계의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비스(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설파이드가 예시된다. 이소시아네이트계의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이 예시된다. 알루미늄계 커플링제로서는, 아세토알콕시알루미늄디이소프로필레이트가 예시된다.
이들 실란 커플링제(D)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 글리시딜기, 에폭시시클로헥실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이 함유하는 상기 분산제(B)는, 산가가 100~300mgKOH/g 이상의 범위임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무기 미립자의 분산매로서 상기 폴리알킬렌옥사이드 구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1)과 같은 극성이 높은 구조 부위를 갖는 화합물을 사용한 경우여도, 계내에서 무기 미립자의 응집이 생기기 어렵고 안정성이 높은 경화성 조성물이 얻어진다. 또한, 이 결과, 경화물에 있어서 굴절률이 높을 뿐아니라, 광투과성이나 내상성도 우수한 것으로 된다. 그 중에서도, 산가가 120~200mgKOH/g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제(B)는, 예를 들면, 카르복시기, 설폰기, 인산기 등의 산기를 함유하는 폴리머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안정성이 우수한 경화성 조성물로 되고, 광투과율 및 굴절률이 높은 경화물이 얻어지므로 인산에스테르계 분산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락톤 화합물 유래의 구조 부위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그 분자량은, 안정성이 우수한 경화성 조성물로 되고, 광투과율 및 굴절률이 높은 경화물이 얻어지므로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000~3,000의 것이 바람직하고, 1,300~2,000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프(GPC)를 사용하여, 하기의 조건에 의해 측정되는 값이다.
측정 장치 ;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HLC-8220
칼럼 ;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가드칼럼HXL-H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G5000HXL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G4000HXL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G3000HXL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G2000HXL
검출기 ; RI(시차굴절계)
데이터 처리 :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SC-8010
측정조건 : 칼럼온도 40℃
용매 테트라히드로퓨란
유속 1.0ml/분
표준 ; 폴리스티렌
시료 ; 수지 고형분 환산으로 0.4중량%의 테트라히드로퓨란 용액을 마이크로 필터로 여과한 것(100μl)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의 조정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B)의 사용량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산화지르코늄 나노입자(a)의 총질량에 대하여, 0.1~30질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0.5~15질량%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산화지르코늄 나노입자(A)의 함유량은, 후술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조제할 때에 취급이 양호함과 함께, 분산 공정 시간의 단축이 가능한 데다, 분산액의 안정성도 우수한 점에서 20~80질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30질량%~60질량%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이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은, 폴리알킬렌옥사이드 구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1)을 필수의 성분으로서 함유한다. 이것에 의해, 경화물에 있어서 광투과율이나 굴절률이 높을 뿐아니라, 내상성도 우수한 경화성 조성물로 된다.
상기 폴리알킬렌옥사이드 구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1)이 갖는 폴리알킬렌옥사이드 구조는, 에틸렌옥사이드 구조, 프로필렌옥사이드 구조, 부틸렌옥사이드 구조 등의 알킬렌옥사이드 구조 단위가 복수 연결한 구조의 것이며, 단일종의 알킬렌옥사이드 구조 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복수종의 알킬렌옥사이드 구조 단위가 랜덤하게 나열한 것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경화물에 있어서의 광투과율, 굴절률 및 내상성의 밸런스이 우수하므로, 일분자 중의 알킬렌옥사이드 구조 단위의 수가 6~40개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16~36개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알킬렌옥사이드 구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1)은, 경화성이 높고, 경화물에 있어서의 내상성이 우수하므로 일분자 중의 (메타)아크릴로일기의 수가 2~6개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폴리알킬렌옥사이드 구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1)은, 예를 들면, 수산기 함유 화합물과 환상 에테르 화합물과의 개환 중합물을,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과 반응시켜 얻어지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산기 함유 화합물은,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3-부탄디올, 3-메틸-1,3-부탄디올, 1,5-펜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6-헥산디올,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린 등의 지방족 폴리올; 히드로퀴논, 2-메틸히드로퀴논, 1,4-벤젠디메탄올, 3,3'-비페닐디올, 4,4'-비페닐디올, 비페닐-3,3'-디메탄올, 비페닐-4,4'-디메탄올, 비스페놀A, 비스페놀B, 비스페놀F, 비스페놀S, 1,4-나프탈렌디올, 1,5-나프탈렌디올, 2,6-나프탈렌디올, 나프탈렌-2,6-디메탄올, 4,4',4"-메틸리딘트리스페놀 등의 방향족 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환상 에테르 화합물은, 예를 들면,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테트라히드로퓨란, 에틸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글리시딜에테르, 부틸글리시딜에테르, 페닐글리시딜에테르,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하기 구조식(1)~(4)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플루오렌 골격 함유 화합물도 상기 폴리알킬렌옥사이드 구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1)로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Figure 112017062605450-pct00001
[일반식(1) 중, X는 수소 원자 또는 수산기이며, R1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가 1~3의 알킬기이며, R2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R3은 직접 결합 또는 메틸렌기이며, m은 2 이상의 정수이다]
Figure 112017062605450-pct00002
[일반식(2) 중, X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수산기이며,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가 1~3의 알킬기이며,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직접 결합 또는 메틸렌기이며,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 이상의 정수이며, 적어도 한쪽은 2 이상의 정수이다]
Figure 112017062605450-pct00003
[일반식(3) 중, 둘의 X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수산기이며, 둘의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가 1~3의 알킬기이며, R2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 이상의 정수이며, 적어도 한쪽은 2 이상의 정수이다]
Figure 112017062605450-pct00004
[일반식(4) 중, 둘의 X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수산기이며, 둘의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가 1~3의 알킬기이며, 둘의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 이상의 정수이며, 적어도 한쪽은 2 이상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옥사이드 구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1)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종을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은,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로서, 상기 폴리알킬렌옥사이드 구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1) 이외의, 그외의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2)을 함유해도 된다. 그외의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2)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 중의 폴리알킬렌옥사이드 구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1)의 배합 비율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원 발명이 나타내는 경화물에 있어서의 내상성이 충분히 발현하므로, 5~80질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15~65질량%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그외의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2)은, 예를 들면,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er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모르폴린(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2-에톡시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4-노닐페녹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2-메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파라쿠밀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헥사히드로프탈레이트, 하기 일반식(5) 또는 (6)으로 표시되는 플루오렌 골격 함유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등의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Figure 112017062605450-pct00005
[일반식(5) 중, X는 수소 원자 또는 수산기이며, R1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가 1~3의 알킬기이며, R2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R3은 직접 결합 또는 메틸렌기이며, m은 0 또는 1이다]
Figure 112017062605450-pct00006
[일반식(6) 중, 둘의 X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수산기이며, 둘의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가 1~3의 알킬기이며, R2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이다]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F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히드록시피발산에스테르디(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히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A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로피발알데히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메타)아크릴로일메틸]비페닐, 하기 일반식(7) 또는 (8)으로 표시되는 플루오렌 골격 함유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등의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Figure 112017062605450-pct00007
[일반식(7) 중, X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수산기이며,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가 1~3의 알킬기이며,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직접 결합 또는 메틸렌기이며,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이다]
Figure 112017062605450-pct00008
[일반식(8) 중, 둘의 X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수산기이며, 둘의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가 1~3의 알킬기이며, 둘의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이다]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3관능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히드로퀴논, 2-메틸히드로퀴논, 1,4-벤젠디메탄올, 3,3'-비페닐디올, 4,4'-비페닐디올, 비페닐-3,3'-디메탄올, 비페닐-4,4'-디메탄올, 비스페놀A, 비스페놀B, 비스페놀F, 비스페놀S, 1,4-나프탈렌디올, 1,5-나프탈렌디올, 1,6-나프탈렌디올, 2,6-나프탈렌디올, 2,7-나프탈렌디올, 나프탈렌-2,6-디메탄올, 4,4',4"-메틸리딘트리스페놀 등 각종 폴리올을 에피할로히드린과 반응시켜 얻어지는 각종의 에폭시 수지와, (메타)아크릴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부탄-1,4-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m-테트라메틸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1,4-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1,3-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2'-비스(파라페닐이소시아네이트)프로판, 4,4'-디벤질디이소시아네이트, 디알킬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알킬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1,3-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또는 이들의 누레이트 변성체와,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그외의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2)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보다 굴절률이 높은 경화성 조성물이 얻어지므로,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방향환 함유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화 도막의 표면 경도가 높아지므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나,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는 원료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기 당량이 200~600g/당량의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굴절률과 도막의 표면 경도와의 밸런스이 우수하므로, 상기 방향환 함유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나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 중의 상기 방향환 함유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비율은 20~90질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 중의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나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의 비율은 5~50질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은, 상기 (A)~(D)성분 외, 추가로, 중합개시제, 광증감제, 경화촉진제, 유기 용매, 비반응성 수지, 필러, 무기 충전제, 유기 충전제, 커플링제, 점착부여제, 소포제, 레벨링제, 밀착조제, 이형제, 활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가소제, 난연제, 안료, 염료 등의 첨가제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중합개시제 중, 분자내 결합 개열형의 광중합개시제는, 예를 들면, 디에톡시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벤질디메틸케탈, 1-(4-이소프로필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2-모르폴리노(4-티오메틸페닐)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온과 같은 아세토페논계;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와 같은 벤조인류; 2,4,6-트리메틸벤조인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와 같은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벤질, 메틸페닐글리옥시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중합개시제 중, 분자내 수소 인발형의 광중합개시제는, 예를 들면, 벤조페논, o-벤조일벤조산메틸-4-페닐벤조페논, 4,4'-디클로로벤조페논, 히드록시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설파이드, 아크릴화벤조페논, 3,3',4,4'-테트라(t-부틸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과 같은 벤조페논계; 2-이소프로필티오잔톤, 2,4-디메틸티오잔톤, 2,4-디에틸티오잔톤, 2,4-디클로로티오잔톤과 같은 티오잔톤계; 미힐러케톤,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과 같은 아미노벤조페논계; 10-부틸-2-클로로아크리돈, 2-에틸안트라퀴논, 9,10-페난트렌퀴논, 캄퍼퀴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증감제는, 예를 들면, 트리에탄올아민, 메틸디에탄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4-디메틸아미노벤조산메틸, 4-디메틸아미노벤조산에틸, 4-디메틸아미노벤조산이소아밀, 벤조산(2-디메틸아미노)에틸, 4-디메틸아미노벤조산(n-부톡시)에틸, 4-디메틸아미노벤조산2-에틸헥실과 같은 아민류를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예를 들면,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시클로헥산올,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산온,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프로필, 아세트산부틸, 메틸셀로솔브, 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셀로솔브아세테이트, 테트라히드로퓨란, 1,4-디옥산, n-헥산, 시클로펜탄, 톨루엔, 자일렌,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틸렌, 하이드로플루오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상기 산화지르코늄 나노입자(a), 상기 분산제(B), 및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원료를 미디어식 습식 분산기로 분산하는 방법 등에 의해 제조되는 지르코늄 분산액을 사용하여 조정할 수 있다.
특히, 지르코늄 분산액의 조정이 용이하므로, 상기 산화지르코늄 나노입자(a), 상기 분산제(B),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 외에, 유기 용매(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산화지르코늄 나노입자(a) 및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 이외의 성분을 분산매(X)로 하여 상기 산화지르코늄 나노입자(a)를 분산시켜 지르코늄 분산액을 제조한 후, 이것에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을 더하는 방법(방법1)이나, 상기 산화지르코늄 나노입자(a) 이외의 모든 성분을 분산매(X)로 하여 상기 산화지르코늄 나노입자(a)를 분산시켜, 경화성 조성물을 직접 얻는 방법(방법2)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법1 및 방법2 중 어느 방법에 있어서도, 분산시의 점도가 적정한 범위로 되고, 분쇄기 중에서 원료 조성물로부터 미디어를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므로, 분산매(X)의 25℃에 있어서의 점도가 200mPas 이하로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점도의 값은 B형 점도계 등 통상 공지의 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값이다.
상기 제조 방법에서 사용하는 미디어식 습식 분산기는, 통상 공지의 것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비드밀(아시자와파인테크가부시키가이샤제 스타밀 LMZ-015, 고토부키고교(주)제 울트라 아펫크스밀 UAM-015 등)을 들 수 있다.
분산기로 사용되는 미디어는, 통상 공지의 비드이면 특히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지르코니아, 알루미나, 실리카, 유리, 탄화규소, 질화규소를 들 수 있다. 미디어의 평균 입경은 50~500㎛가 바람직하고, 100~200㎛의 미디어가 보다 바람직하다. 입자경이 50㎛ 이상이면, 원료분에 대한 충격력이 적정하며, 분산에 과도한 시간을 요하지 않는다. 한편, 미디어의 입자경이 500㎛ 이하이면, 원료분에 대한 충격력이 적정하므로, 분산된 입자의 표면 에너지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어, 재응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원료분의 분쇄 초기에, 충격력이 큰 대입경의 미디어를 사용하고, 분산된 입자의 입경이 작아지고 나서, 재응집이 일어나기 어려운 소입경의 미디어를 사용하는 2단계의 방법에 의해, 분산 공정 시간을 짧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미디어는, 얻어지는 분산액의 광투과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관점에서, 충분히 연마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디어식 습식 분산기를 사용하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 분산기에 각 원료를 투입할 때의 순번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적어도 상기 분산제(B)를 마지막에 공급함에 의해, 소량의 분산제(B)의 사용으로 분산 안정성이 우수한 경화성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분산제(B) 이외의 원료를 먼저 투입하고, 혼합 혹은 프리(pre)분산 등의 작업을 행한 후, 마지막에 분산제(B)를 투입하고, 본분산 공정을 행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분산 종료 후는, 용도에 따라 각종 첨가제를 더하거나, 휘발 성분을 증류 제거하는 등 하여,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은, 열 또는 활성 에너지선으로 경화시킬 수 있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은,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이 경화를 일으키는 활성 에너지선이면 특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자외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의 발생원으로서는, 형광 케미컬 램프, 블랙 라이트, 저압, 고압, 초고압수은 램프, 메탈할라이드 램프, 태양광선 등이 있다. 자외선의 조사 강도는, 시종 일정한 강도에서 행해도 되고, 경화 도중에 강도를 변화시킴에 의해, 경화후의 물성을 미조정할 수도 있다.
자외선 외, 활성 에너지선으로서, 예를 들면 가시광선, 전자선류의 활성 에너지선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은, 200~400nm에 고유의 분광 감도를 갖고 있고, 광중합개시제 부재하에, 통상 사용되는 에너지선이 갖는 에너지, 예를 들면, 20mW/㎠의 에너지 수치를 들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경화물은, 광학용 부재로서, 예를 들면, 플라스틱 렌즈, 휘도 향상 필름(프리즘 시트), 필름형 액정 소자, 터치 패널, 플라스틱 광학 부품 등의 반사방지막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가지고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조예나 실시예에서 사용한 각 성분 및 분산기의 상세는 이하와 같다.
Figure 112017062605450-pct00009
Figure 112017062605450-pct00010
제조예1 지르코늄 분산액(1)의 제조
산화지르코늄 나노입자(a1) 50g, 실란 커플링제(D1) 7.5g, 메틸에틸케톤 183.0g을 혼합하고, 분산 교반기로 30분간 교반하여, 조분산(粗分散)을 행했다. 얻어진 혼합액을, 미디어식 습식 분산기로 입자경 100㎛의 지르코니아 비드를 사용하여 분산 처리했다. 도중의 입자경을 확인하면서, 체류 시간 100분의 분산 처리를 행한 후, 분산제(B1) 5g을 첨가 혼합하고, 추가로 20분간의 분산 처리에 의해 지르코늄 분산액(1)을 얻었다.
제조예2 지르코늄 분산액(2)의 제조
제조예1의 산화지르코늄 나노입자(a1)를 산화지르코늄 나노입자(a2)로 변경한 이외는 제조예1과 동일한 조건에서 지르코늄 분산액(2)을 얻었다.
제조예3 지르코늄 분산액(3)의 제조
제조예1의 실란 커플링제(D1) 7.5g을 15g으로, 분산제(B1) 5g을 10g으로 변경한 이외는, 제조예1과 동일한 조건에서 지르코늄 분산액(3)을 얻었다.
제조예4 지르코늄 분산액(4)의 제조
제조예3의 산화지르코늄 나노입자(a1)를 산화지르코늄 나노입자(a2)로 변경한 이외는 제조예1과 동일한 조건에서 지르코늄 분산액(4)을 얻었다.
제조예5 지르코늄 분산액(5)의 제조
실란 커플링제(D1)를 사용하지 않는 이외는 제조예1과 동일한 조건에서 지르코늄 분산액(5)을 얻었다.
비교제조예1 지르코늄 분산액(1')의 제조
제조예1의 분산제(B1)를 분산제(B'1)로 변경한 이외는 제조예1과 동일한 조건에서 지르코늄 분산액(1')을 얻었다.
비교제조예2 지르코늄 분산액(2')의 제조
제조예1의 분산제(B1)를 분산제(B'2)로 변경한 이외는 제조예1과 동일한 조건에서 지르코늄 분산액(2')을 얻었다.
비교제조예3 지르코늄 분산액(3')의 제조
제조예1의 분산제(B1)를 분산제(B'3)로 변경한 이외는 제조예1과 동일한 조건에서 지르코늄 분산액(3')을 얻었다.
실시예1
◆경화성 조성물(1)의 조제
제조예1에서 얻어진 지르코늄 분산액(1)에, 표 1에 나타내는 비율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첨가하고, 이베이퍼레이터로 휘발 성분을 감압 제거했다. 추가로 중합개시제를 첨가하여, 경화성 조성물(1)을 조제했다.
◆산화지르코늄 나노입자의 입자경 측정
앞서 얻은 경화성 조성물(1) 중의 산화지르코늄 나노입자의 평균 입자경을, 입자경 측정 장치(오츠카덴시가부시키가이샤제「ELSZ-2」)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경화물(1)의 작성
앞서 얻은 경화성 조성물(1)를 유리 기판에 어플리케이터로 도장하고, 공기 중, 120W/cm 고압 수은 램프로 1000mJ/㎠로 광경화하여 두께 약 100㎛의 경화물(1)을 얻었다.
◆평가1 경화물의 굴절률의 측정
앞서 얻은 경화물(1)에 대해, 압베 굴절률계에 의해 굴절률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평가2 경화물의 투명성의 측정
앞서 얻은 경화물(1)에 대해, 헤이즈미터로 투명성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평가3 경화물의 내상성의 평가
앞서 얻은 경화물(1)에 대해, JIS K 5400에 의거하여, 하중 300g, 경도 H의 연필을 사용하여 도막에 흠집을 냈다. 흠집이 회복하기까지의 시간으로 이하와 같이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5 1초 이내
4 1초 초과 10초 이내
3 10초 초과 1분 이내
2 1분 초과 5분 이내
1 5분 초과
0 치유성 없음(다음날도 흠집이 남아있음)
실시예2~6 및 비교예1~3
실시예1와 동일한 요령으로 경화성 조성물 및 경화물을 작성하고, 각종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1 또는 표2에 나타냈다.
Figure 112017062605450-pct00011
Figure 112017062605450-pct00012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은, 광투과성 및 굴절률이 높고, 내상성도 우수한 경화물을 얻을 수 있고, 당해 경화물은 광학용 부재로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7)

  1. 산화지르코늄 나노입자(A), 분산제(B), 및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을 함유하고, 상기 분산제(B)의 산가가 100~300mgKOH/g의 범위이며, 또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이 1분자 중에 알킬렌옥사이드 구조 단위를 6∼40개의 범위로 갖는 폴리알킬렌옥사이드 구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1)을 함유하는 것이며,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 중의 상기 폴리알킬렌옥사이드 구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1)의 비율이, 5∼80질량%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B)가,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000~3,000의 폴리머인 경화성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옥사이드 구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1)이, (메타)아크릴로일기의 수가 2~6개의 범위인 것인 경화성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산화지르코늄 나노입자(a), 상기 분산제(B), 및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C)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원료를 사용하고, 미디어식 습식 분산기를 사용하여 제조되고, 각 원료 성분을 미디어식 습식 분산기에 공급할 때에, 적어도 상기 분산제(B)를 마지막에 공급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지르코늄 분산액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경화성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하여 얻어지는 경화물.
  7.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하여 얻어지는 광학 부재.
KR1020177018022A 2015-02-25 2016-02-09 경화성 조성물과 그 경화물, 및 광학 부재 KR1024044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35263 2015-02-25
JP2015035263 2015-02-25
PCT/JP2016/053770 WO2016136454A1 (ja) 2015-02-25 2016-02-09 硬化性組成物とその硬化物、及び光学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318A KR20170125318A (ko) 2017-11-14
KR102404488B1 true KR102404488B1 (ko) 2022-06-07

Family

ID=56789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8022A KR102404488B1 (ko) 2015-02-25 2016-02-09 경화성 조성물과 그 경화물, 및 광학 부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58572B2 (ko)
JP (1) JP6094720B2 (ko)
KR (1) KR102404488B1 (ko)
CN (1) CN107406530B (ko)
TW (1) TWI784923B (ko)
WO (1) WO20161364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98309B2 (ja) * 2016-11-30 2022-07-11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
JP6962504B2 (ja) * 2019-06-11 2021-11-05 Dic株式会社 無機微粒子分散体、硬化性組成物及び光学部材
KR102432565B1 (ko) * 2020-09-24 2022-08-19 주식회사 케이씨텍 표면개질된 금속산화물 나노입자 분산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56605B1 (ko) * 2020-10-22 2022-10-21 주식회사 케이씨텍 디스플레이용 금속 산화물 분산액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디스플레이용 광학 부재
CN114231163A (zh) * 2021-12-22 2022-03-25 武汉工程大学 一种聚氨酯类有机无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479547A (zh) * 2022-03-21 2022-05-13 山东国瓷功能材料股份有限公司 纳米氧化锆单体型分散液及其制备方法和光学膜
CN114605762B (zh) * 2022-04-21 2024-01-26 山东国瓷功能材料股份有限公司 纳米氧化锆分散液、制备方法及应用
WO2024004861A1 (ja) * 2022-06-30 2024-01-04 Dic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2197A (ja) * 2013-02-05 2014-08-25 Dnp Fine Chemicals Co Ltd 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9558A (ja) * 1998-01-28 1999-08-03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重合性顔料分散剤、感光性着色組成物及び遮光層用組成物
JP4163653B2 (ja) * 2004-02-27 2008-10-08 株式会社日本触媒 光学部品用硬化性組成物
JP2007231103A (ja) * 2006-02-28 2007-09-13 Fujifilm Corp 紫外線硬化型再剥離性圧着組成物及び再剥離性接着加工紙
JP4891004B2 (ja) * 2006-08-31 2012-03-07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感光性組成物及び金属配線パターン
JP5160275B2 (ja) * 2008-03-18 2013-03-13 株式会社きもと 金属酸化物ナノ粒子の製造方法、および金属酸化物ナノ粒子、ならびに金属酸化物ナノ粒子含有組成物
JP5447916B2 (ja) 2009-02-17 2014-03-19 Dic株式会社 無機酸化物微粒子含有樹脂組成物および該組成物から得られる硬化物
WO2010116841A1 (ja) * 2009-03-30 2010-10-14 昭和電工株式会社 硬化性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SG181620A1 (en) * 2009-12-11 2012-07-30 Fujifilm Corp Black curable composition, light-shielding color filter, light-shielding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afer level lens, and solid-state imaging device
JP5753721B2 (ja) * 2011-04-11 2015-07-22 共栄社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用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CN102759859B (zh) * 2011-04-27 2017-10-24 富士胶片株式会社 树脂组成物、硬化物的制造方法、树脂图案制造方法、硬化物及光学部件
JP5692804B2 (ja) * 2011-05-17 2015-04-01 日本化薬株式会社 光学レンズシート用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5968291B2 (ja) * 2013-09-30 2016-08-10 太陽インキ製造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用白色硬化型組成物、これを用いた硬化塗膜及びプリント配線板
CN104004452B (zh) * 2014-06-13 2017-07-28 张家港康得新光电材料有限公司 涂料组合物与高折射硬化层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2197A (ja) * 2013-02-05 2014-08-25 Dnp Fine Chemicals Co Ltd 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6136454A1 (ja) 2017-04-27
KR20170125318A (ko) 2017-11-14
CN107406530B (zh) 2019-08-20
US20170349780A1 (en) 2017-12-07
JP6094720B2 (ja) 2017-03-15
WO2016136454A1 (ja) 2016-09-01
TWI784923B (zh) 2022-12-01
US10358572B2 (en) 2019-07-23
TW201638174A (zh) 2016-11-01
CN107406530A (zh) 201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4488B1 (ko) 경화성 조성물과 그 경화물, 및 광학 부재
KR102353577B1 (ko) 무기 미립자 분산액의 제조 방법, 당해 분산액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및 그 경화물
KR101066635B1 (ko) 광학 시트
CN102472842B (zh) 光学层积体、偏振片和图像显示装置
TWI488910B (zh) 光硬化性樹脂組成物、使用其的光學膜的製造方法及含有其的光學膜
JP2009185272A (ja) 光学組成物、該組成物を用いて製造された集光シート及び集光シートの製造方法
CN109722198B (zh) 增亮膜用胶水
JP2024023707A (ja) 光拡散層形成用塗料、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用フィルム、及び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
CN110114419A (zh) 柔性纳米颗粒光学涂料组合物
KR20090049517A (ko) 반사방지 코팅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하여 제조된 반사방지필름
JP7024706B2 (ja) 硬化性組成物及び光学部材
JP6066394B2 (ja) 光学レンズシート用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KR101534376B1 (ko) 광학 시트
KR101771258B1 (ko) 접착제,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19111697A1 (ja) 無機微粒子分散体、硬化性組成物及び光学部材
KR101269388B1 (ko) 광학 시트
JP5195366B2 (ja) 曇価の可視光線入射角依存性を有する被膜を形成するための塗布剤
JP7401035B1 (ja) プリズムシート及びプリズムシート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
WO2024004861A1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
KR20240010696A (ko)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경화 도막 및 적층체
KR100654749B1 (ko) 아크릴 공중합 수지 및 이를 이용한 광확산 필름
KR101535335B1 (ko) 광학 시트
KR20240051830A (ko)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경화물, 및 적층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