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677B1 - 내구성이 향상된 초고온용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구성이 향상된 초고온용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677B1
KR102399677B1 KR1020200116505A KR20200116505A KR102399677B1 KR 102399677 B1 KR102399677 B1 KR 102399677B1 KR 1020200116505 A KR1020200116505 A KR 1020200116505A KR 20200116505 A KR20200116505 A KR 20200116505A KR 102399677 B1 KR102399677 B1 KR 102399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ubber gasket
silicone
silicone rubber
gaske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4312A (ko
Inventor
변영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영하이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영하이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영하이켐
Priority to KR1020200116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677B1/ko
Publication of KR20220034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4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1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asket Seal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구성이 향상된 초고온용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최적의 배합비로 인해 인장강도 및 연신율을 동시에 향상시켜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내구성이 향상된 초고온용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구성이 향상된 초고온용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ltra-high temperature silicone rubber gasket composition with improved durability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내구성이 향상된 초고온용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최적의 배합비로 인해 인장강도 및 연신율을 동시에 향상시켜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내구성이 향상된 초고온용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를 살고 있는 현대인에게 있어 각종 전자기기의 사용은 필수이며 이에 따라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전자파에 노출되기 마련이다. 최근 다양한 방식의 디스플레이가 상용화되면서 이러한 디스플레이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적인 노이즈의 방해현상(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으로 인한 인체의 유해성 및 기기의 오작동 등이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현재 거의 대부분의 전자기기에 있어 회로 측면에서의 전자파 발생 억제의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제품 및 회로를 보호하는 케이스(case) 측면에서는 케이스 내면에 전기 전도성 물질을 코팅함으로써 전자기기 내외부적으로 전자파로부터의 영향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시도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케이스는 여러 파트로 구성되며 이들 파트들 조립시 리브(rib)와 리브간의 틈새(gap)가 필연적으로 발생함으로써 전자파 유입 및 유출의 경로를 제공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파트의 리브간의 틈새를 메워 실링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핑거 스트립(finger strip) 방식을 채택하여 사용하였으나 과도한 수작업에 의한 작업성 저하 및 비용 증가, 고주파수 대역에서의 전자파 차폐 성능 미달로 인하여 새로운 방식을 모색하게 되었고, 이를 충족시키는 방법으로서 현장 성형 방식(form in place)이 채택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방식은 도전성 페이스트를 현장에서 로봇을 이용하여 디스펜싱한 후 고온(150℃)에서 경화시켜 가스켓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이 방식에 사용되는 도전성 페이스트에 있어 요구되는 성능은 고전도성, 고부착성, 고탄성, 고균일 분산성, 내구성 등이다. 가스켓은 전자기기의 각 케이스의 리브 간의 틈새를 이어주는 것으로 사용되는데, 이 때 전자기기에서 발생되는 열 또한 가스켓을 통해 각 케이스로 퍼져야 열이 쉽게 식게 된다. 그러므로, 고전도성의 경우 전자파 차폐 목적으로 도포하는 만큼 제품의 차폐 물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특성이라 할 수 있으며, 고탄성의 경우 도포된 제품의 기계적 물성에서 매우 중요하다.
한국특허등록 제 10-0585944호에서는 상온 수분 경화형 1액형 실리콘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전자파 차폐용 가스켓이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수분 경화형 실리콘 수지는 열경화형 실리콘 수지보다 연신율 및 인장강도 등 기계적 물성이 부족하여 이를 개선한 가스켓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청되어 왔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가들은 내부식성, 내변형성, 열전도율 및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의 개발이 시급하다 인식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58594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021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최적의 배합비로 인해 높은 실리콘 가교밀도로 인해 인장강도 및 연신율을 동시에 향상시켜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온 및 고압 조건 하에서도 우수한 탄성회복력이 구현 가능한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혼합실리콘; 내열증진제;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은 실록산(Siloxane) 및 실리콘(Silicone)의 1:1 혼합물을 58 내지 75 중량%, 실리콘 디옥사이드(Silicon Dioxide) 15 내지 30 중량% 및 물(Water) 1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실리콘; 실록산(Siloxane) 및 실리콘(Silicone)의 1:1 혼합물 45 내지 50 중량%, 세륨 테트라하이드록사이드(Cerium tetrahydroxide) 45 내지 50 중량% 및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세인(Octamethylcyclotetrasiloxane)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내열증진제; 및 트리메톡시비닐실란(Vinyltrimethoxysilane) 및 1-에티닐사이클로헥사놀(1-Ethynylcyclohexanol)을 1:1 혼합물로 포함하는 가교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혼합실리콘은 40 내지 65 JIS-A(Shore A) 경도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은 디메틸디클로로실란(Dimethyldichlorosilane) 10 내지 30 중량%, 메틸하이드로젠실록산(methylhydrogenpolysiloxane) 35 내지 45 중량% 및 메틸 실세스퀴옥산(methylsilsesquioxane) 5 내지 45 중량%를 포함하는 경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S1) 실록산(Siloxane) 및 실리콘(Silicone)의 1:1 혼합물을 58 내지 75 중량%, 실리콘 디옥사이드(Silicon Dioxide) 15 내지 30 중량% 및 물(Water) 1 내지 15 중량%;을 혼합하여 혼합실리콘을 제조하는 단계; 및
(S2) 상기 혼합실리콘에 내열증진제 및 가교제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하기의 (S3)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3) 디메틸디클로로실란(Dimethyldichlorosilane) 10 내지 30 중량%, 메틸하이드로젠실록산(methylhydrogenpolysiloxane) 35 내지 45 중량% 및 메틸 실세스퀴옥산(methylsilsesquioxane) 5 내지 45 중량%를 포함하는 경화제;를 첨가하는 단계.
상기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서 언급된 모든 사항은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은 최적의 배합비로 인해 높은 실리콘 가교밀도로 인해 인장강도 및 연신율을 동시에 향상시켜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확보함으로써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은 고온 및 고압 조건 하에서도 우수한 탄성회복력이 구현 가능하여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한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
본 발명은 혼합실리콘; 내열증진제;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은 실록산(Siloxane) 및 실리콘(Silicone)의 1:1 혼합물을 58 내지 75 중량%, 실리콘 디옥사이드(Silicon Dioxide) 15 내지 30 중량% 및 물(Water) 1 내지 15 중량%;을 포함하는 혼합실리콘; 실록산(Siloxane) 및 실리콘(Silicone)의 1:1 혼합물 45 내지 50 중량%, 세륨 테트라하이드록사이드(Cerium tetrahydroxide) 45 내지 50 중량% 및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세인(Octamethylcyclotetrasiloxane)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내열증진제; 및 트리메톡시비닐실란(Vinyltrimethoxysilane) 및 1-에티닐사이클로헥사놀(1-Ethynylcyclohexanol)을 1:1 혼합물로 포함하는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실리콘은 40 내지 65 JIS-A(Shore A) 경도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열증진제는 상기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의 열 안정성, 난연성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물질이다. 또한, 상기 내열증진제는 분산성 향상 및 재응집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은 경화제; 및 내부이형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디메틸디클로로실란(Dimethyldichlorosilane) 10 내지 30 중량%; 메틸하이드로젠실록산(methylhydrogenpolysiloxane) 35 내지 45 중량%; 및 메틸 실세스퀴옥산(methylsilsesquioxane) 5 내지 45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이형제는 비중이 0.95 내지 1.10을 갖는 실리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내부이형제”란, 가스켓용 실리콘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성형 시 성형체가 금형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하기 위하여 첨가되어 배합되는 이형제를 의미한다. 상기 내부이형제는 가스켓용 액상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성형 마다 첨가될 필요가 없어 외부이형제와 비교하여 생산성 향상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은 경화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백금촉매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금촉매제는 백금 나노입자의 형태 또는 탄소나노튜브에 담지 된 형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백금촉매제가 백금 나노입자의 형태일 경우 1.8 내지 3.7 nm 입경을 갖는 나노입자일 수 있으며, 상기 백금촉매제가 탄소나노튜브에 담지 된 형태일 경우 표면에 산화기를 가진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에 백금 전구체가 흡착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은 가스켓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리콘 오일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25 ℃에서 브룩필드 점도계로 측정하였을 때 약 2,500 내지 15,000 Cst 범위의 점도를 갖는 실리콘 오일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이 2,500 Cst 미만의 점도를 가질 경우 가스켓 외부로 토출되는 속도가 증가하므로 윤활작용이 이나나기에 필요한 윤활유의 양이 부족한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실리콘 오일이 15,000 Cst 초과하는 점도를 가질 경우 상기 실리콘 오일의 점성으로 인해 토출 속도가 금갑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최적의 가스켓의 밀착력을 위해 25 ℃에서 브룩필드 점도계로 측정하였을 때 약 2,500 내지 15,000 Cst 범위의 점도를 갖는 실리콘 오일일 수 있다.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S1) 실록산(Siloxane) 및 실리콘(Silicone)의 1:1 혼합물을 58 내지 75 중량%, 실리콘 디옥사이드(Silicon Dioxide) 15 내지 30 중량% 및 물(Water) 1 내지 15 중량%;을 혼합하여 혼합실리콘을 제조하는 단계; 및
(S2) 상기 혼합실리콘에 내열증진제 및 가교제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상기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
상기 내열증진제는 실록산(Siloxane) 및 실리콘(Silicone)의 1:1 혼합물 45 내지 50 중량%, 세륨 테트라하이드록사이드(Cerium tetrahydroxide) 45 내지 50 중량% 및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세인(Octamethylcyclotetrasiloxane)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트리메톡시비닐실란(Vinyltrimethoxysilane) 및 1-에티닐사이클로헥사놀(1-Ethynylcyclohexanol)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교제는 상기 트리메톡시비닐실란 및 1-에티닐사이클로헥사놀을 1:1의 부피비로 혼합되어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하기의 (S3)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S3) 디메틸디클로로실란(Dimethyldichlorosilane) 10 내지 30 중량%; 메틸하이드로젠실록산(methylhydrogenpolysiloxane) 35 내지 45 중량%;및 메틸 실세스퀴옥산(methylsilsesquioxane) 5 내지 45 중량%;을 포함하는 경화제;를 첨가하는 단계.
또한, 상기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하기의 (S4)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S4) 내부이형제, 백금촉매제 및 실리콘 오일을 추가적으로 첨가하는 단계.
상기 내부이형제는 비중이 0.95 내지 1.10을 갖는 실리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은 경화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백금촉매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금촉매제는 백금 나노입자의 형태 또는 탄소나노튜브에 담지 된 형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백금촉매제가 백금 나노입자의 형태일 경우 1.8 내지 3.7 nm 입경을 갖는 나노입자일 수 있으며, 상기 백금촉매제가 탄소나노튜브에 담지 된 형태일 경우 표면에 산화기를 가진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에 백금 전구체가 흡착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은 가스켓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리콘 오일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25 ℃에서 브룩필드 점도계로 측정하였을 때 약 2,500 내지 15,000 Cst 범위의 점도를 갖는 실리콘 오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 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세 알려 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에서 언급된 시약 및 용매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Sigma-Aldrich Korea로부터 구입한 것이다.
실시예 1.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 제조
하기 [표 1]이 기재된 혼합실리콘 100 중량부, 내열증진제 15 중량부, 가교제 10 중량부, 경화제 10 중량부, 내부이형제 5 중량부, 백금촉매제 5중량부 및 실리콘 오일 5 중량부를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112020096366826-pat00001
비교예 1. 비교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 1
상기 실시예 1과 모든 구성은 동일하되 내열증진제만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 1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비교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 2
상기 실시예 1과 모든 구성은 동일하되 가교제만을 포함하는 않는 비교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 2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인장강도 및 연신율 확인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의 인장강도 및 연신율을 확인하기 위해, ASTM D2000 및 KS M6613의 시험규격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상기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20096366826-pat00002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인장강도가 약 33% 향상되었으며, 연신율이 약 28%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비교예 2와 비교하여 인장강도가 약 34% 향상되었고, 연신율이 약 29% 이상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은 최적의 배합비로 인해 인장강도 및 연신율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실험예 2. 내부식성 확인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의 내부식성을 확인하기 위해, KS C 0222-1969에 따라 85 ℃의 온도와 85%의 습도에서 120시간 동안 방치한 후에 저항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상기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112020096366826-pat00003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비교예 1과 비교하여 현저히 우수한 내부식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은 최적의 배합비로 인해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실험예 3. 탄성회복력 확인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을 아크릴판 기판 위에 길이가 10cm, 폭 0.5mm가 되도록 다섯줄씩 토출압을 조절하여 디스펜싱 하였고, 디스펜싱한 후 25 ℃, 상대습도 65%의 조건에서 24시간 경화를 시켜 가스켓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18 kg의 벽돌을 상하에 위치시켜 제조된 가스켓의 두께가 약 9.0mm 될 때까지 압착한 후, 온도 150에서 시간(4hr/8hr/12hr/24hr/36hr/48hr)별로 오븐에 넣어 가열하였으며, 상기 가열한 가스켓을 상온에 1시간 동안 방치한 후 가스켓이 들러붙어 형태에 변형이 일어났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실시예 1)을 포함하는 가스켓은 48시간의 가열과정을 거친 경우에야 비로소 가스켓의 변형이 발생하였다. 반면, 비교 가스켓용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 1을 포함하는 가스켓은 4시간의 가열과정을 거친 경우 가스켓이 들러붙음으로써 변형이 일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은 최적의 배합비로 인해 우수한 탄성회복력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5)

  1. 실록산(Siloxane) 및 실리콘(Silicone)의 1:1 혼합물을 58 내지 75 중량%, 실리콘 디옥사이드(Silicon Dioxide) 15 내지 30 중량% 및 물(Water) 1 내지 15 중량%;을 포함하는 혼합실리콘;
    실록산(Silozanes) 및 실리콘(Silicones)의 1:1 혼합물 45 내지 50 중량%, 세륨 테트라하이드록사이드(Cerium tetrahydroxide) 45 내지 50 중량% 및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세인(Octamethylcyclotetrasiloxane)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내열증진제;
    디메틸디클로로실란(Dimethyldichlorosilane) 10 내지 30 중량%; 메틸하이드로젠실록산(methylhydrogenpolysiloxane) 35 내지 45 중량%;및 메틸 실세스퀴옥산(methylsilsesquioxane)의 혼합물 5 내지 45 중량%;을 포함하는 경화제; 및
    트리메톡시비닐실란(Vinyltrimethoxysilane) 및 1-에티닐사이클로헥사놀(1-Ethynylcyclohexanol)을 포함하는 가교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실리콘은 40 내지 65 JIS-A(Shore A) 경도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
  3. 삭제
  4. (S1) 실록산(Siloxane) 및 실리콘(Silicone)의 1:1 혼합물을 58 내지 75 중량%, 실리콘 디옥사이드(Silicon Dioxide) 15 내지 30 중량% 및 물(Water) 1 내지 15 중량%;을 혼합하여 혼합실리콘을 제조하는 단계;
    (S2) 상기 혼합실리콘에 내열증진제 및 가교제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및
    (S3) 디메틸디클로로실란(Dimethyldichlorosilane) 10 내지 30 중량%; 메틸하이드로젠실록산(methylhydrogenpolysiloxane) 35 내지 45 중량%;및 메틸 실세스퀴옥산(methylsilsesquioxane)의 혼합물 5 내지 45 중량%;을 포함하는 경화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삭제
KR1020200116505A 2020-09-11 2020-09-11 내구성이 향상된 초고온용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99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505A KR102399677B1 (ko) 2020-09-11 2020-09-11 내구성이 향상된 초고온용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505A KR102399677B1 (ko) 2020-09-11 2020-09-11 내구성이 향상된 초고온용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312A KR20220034312A (ko) 2022-03-18
KR102399677B1 true KR102399677B1 (ko) 2022-05-19

Family

ID=80936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505A KR102399677B1 (ko) 2020-09-11 2020-09-11 내구성이 향상된 초고온용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67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766B1 (ko) * 2008-06-12 2008-12-08 최기면 방화용 실리콘 조성물 및 이러한 방화용 실리콘 조성물을포함하는 가스켓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944B1 (ko) 2003-05-20 2006-06-01 제일모직주식회사 전도성 실리콘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자파차폐용 가스켓
KR101640218B1 (ko) 2014-06-26 2016-07-18 파낙스 이텍(주) 전도성 실리콘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자파 차폐용 가스켓
WO2017143508A1 (en) * 2016-02-23 2017-08-31 Dow Corning Corporation Curable high hardness silicone composition and composite articles made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766B1 (ko) * 2008-06-12 2008-12-08 최기면 방화용 실리콘 조성물 및 이러한 방화용 실리콘 조성물을포함하는 가스켓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312A (ko) 2022-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5914B2 (ja) 付加硬化型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及び粘着ゴムシート
JP7089042B2 (ja) 自己接着性シリコーンエラストマー
JP2019504919A (ja) 低温硬化シリコーンエラストマー
JP6429897B2 (ja) 硬化性シリコーン組成物
WO2017070921A1 (zh) 一种双组份加成型防沉降导电硅胶及其制备方法
JP5158371B2 (ja) 付加硬化型自己接着性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
JPWO2009044763A1 (ja) 表示素子用シール剤
JPH03146557A (ja) 導電性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
KR20220031869A (ko) 광경화성 플루오로폴리에터계 고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고무계 접착제
CN111394052B (zh) 一种脱醇缩合型双组分室温硫化硅橡胶及其制备方法
CN111417687B (zh) 硅橡胶组合物和使用其获得的复合材料
CN108299830B (zh) 硅橡胶基柔性石墨烯发热膜及其制备方法、发热器件和应用
JP6772448B2 (ja) 導電性樹脂組成物、配線、配線基板および電子装置
JP2014210851A (ja) 付加硬化型自己接着性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及び成形品
KR102399677B1 (ko) 내구성이 향상된 초고온용 실리콘 고무 가스켓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0509088A (ja) 立体成型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用途
JP6468115B2 (ja) 付加硬化性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及び硬化物
JP7102763B2 (ja) エラストマーおよび成形体
CN111171579A (zh) 一种耐磨耐温自润滑硅橡胶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5266788B2 (ja) 油面接着性室温硬化型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WO2018198830A1 (ja) 付加硬化型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
CN116406323B (zh) 硅氢加成固化抑制剂及它的用途
CN114958007A (zh) 一种液体硅橡胶及其制备方法
JPS6335654A (ja) 電子部品保護用シリコ−ンゲル組成物
KR100695564B1 (ko) 실리콘 페이스트 조성물 및 전자파 차폐 가스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