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820B1 - 방향 토출 장치 및 방향 토출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방향 토출 장치 및 방향 토출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820B1
KR102397820B1 KR1020197001420A KR20197001420A KR102397820B1 KR 102397820 B1 KR102397820 B1 KR 102397820B1 KR 1020197001420 A KR1020197001420 A KR 1020197001420A KR 20197001420 A KR20197001420 A KR 20197001420A KR 102397820 B1 KR102397820 B1 KR 102397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peration input
supply
ejection devic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1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2357A (ko
Inventor
사토시 콘야
슈지 후지타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32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3Replaceable cartridges, ref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과제] 하나의 조작 입력부에 대한 조작 입력에 의해, 복수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방향 토출 장치 및 방향 토출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방향 토출 장치는, 향료가 보유된 향료 보유부와, 향료 보유부에 에어를 공급하는 송풍원과, 향료 보유부를 통과한 에어가 토출되는 방향 토출부와, 유저에 의한 송풍원의 조작 입력이 행해지는 조작 입력부와, 하나의 조작 입력부에 대한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에어의 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송풍원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방향 토출 장치 및 방향 토출 장치의 제어 방법
본 개시는, 방향 토출 장치 및 방향 토출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형의 방향기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언제라도 자신이 좋아하는 향기를 간단하게 즐길 수 있도록, 들고 다닐 수 있어, 어디에서든 이용 가능하고, 나아가 유저가 간단하게 향기의 확산을 온 오프할 수 있는 휴대형의 방향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방향기는, 하우징 내에 방향원과, 송풍 팬과, 송풍 팬을 움직이기 위한 전지가 수납되어 있고, 하우징의 일부를 열면 송풍 팬이 움직이고, 송풍 팬으로부터의 공기가 방향원을 통과하게 되고, 하우징 밖으로 확산되는 공기로가 형성되며, 하우징의 일부를 닫으면 방향원으로부터 하우징 밖에 이르는 공기로가 닫혀진다.
일본특허공개 특개2000-233018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방향기에서는, 하우징의 일부의 개폐 등에 의해 송풍원의 온 오프만이 전환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대해, 송풍원의 온 오프를 전환할 뿐만 아니라, 송풍원의 동작 상태를 전환할 수 있으면, 유저의 편리성이 보다 향상된다. 특히, 하나의 조작 입력부에 대한 조작 입력에 의해, 방향기에 복수의 기능을 실현시킬 수 있으면, 조작성이나 편리성이 보다 향상된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본 개시에서는, 하나의 조작 입력부에 대한 조작 입력에 의해, 복수의 기능을 실현시킬 수 있는, 신규이며 개량된 방향 토출 장치 및 방향 토출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향료가 보유된 향료 보유부와, 향료 보유부에 에어를 공급하는 송풍원과, 향료 보유부를 통과한 에어가 토출되는 방향 토출부와, 유저에 의한 송풍원의 조작 입력이 행해지는 조작 입력부와, 하나의 조작 입력부에 대한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에어의 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송풍원 제어부를 구비한, 방향 토출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하나의 조작 입력부에 대한 유저의 조작 입력을 받아들이는 단계와, 조작 입력을 받아들였을 때에 송풍원을 작동시켜, 향료가 보유된 향료 보유부에 에어를 통과시키고, 방향을 토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하나의 조작 입력부에 대한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에어의 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방향 토출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개시에 의하면, 하나의 조작 입력부에 대한 조작 입력에 의해, 방향 토출 장치의 복수의 기능을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효과는 반드시 한정적인 것은 아니며, 상기 효과와 함께, 또는 상기 효과를 대신하여, 본 명세서에 나타낸 어떤 효과 또는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발휘되어도 좋다.
[도 1] 본 개시의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동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동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의 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4] 동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 동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의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 동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의 시스템 구성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 단시간 토출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 장시간 토출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 단시간 토출 모드가 우선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0] 장시간 토출 모드가 도중에 캔슬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1] 동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 동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 제1 변형예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의 시스템 구성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 에어의 공급량의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5] 제2 변형예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의 시스템 구성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 토출 시간의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하는 것으로 한다.
1. 제1 실시형태(토출 시간을 제어하는 예)
1-1. 방향 토출 장치의 전체 구성예
1-2. 제어계의 구성예
1-3. 방향 토출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2 실시형태(단위시간당 토출량을 제어하는 예)
2-1. 제어계의 구성예
2-2. 변형예
<1. 제1 실시형태>
(1-1. 방향 토출 장치의 전체 구성예)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방향 토출 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방향 토출 장치(1)의 축방향 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방향 토출 장치(1) 중, 향료 보유부(향료 카트리지)(20)가 배치된 방향을 전방 측이라 하고, 베이스부(70)가 배치된 방향을 후방 측이라 한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는, 유저가 자유롭게 운반할 수 있는 휴대형의 방향 토출 장치(1)이다. 이러한 방향 토출 장치(1)는, 상(上) 커버(10), 향료 보유부로서의 향료 카트리지(20), 카트리지 케이스(30), 하(下) 커버(40), 프리즘부(50), 회전 조작부(60) 및 베이스부(70)를 구비한다. 이러한 방향 토출 장치(1)는, 향료 카트리지(20)에 설치된 복수의 에어 유로(21)로부터 유저가 선택한 원하는 에어 유로(21)에 에어를 흘리고, 각각의 에어 유로(21)의 내주면에 보유된 향료를 기화시키면서 방출시키는 장치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방향 토출 장치(1)에서는, 향료 카트리지(20)의 에어 유로(21)에, 송풍원으로서의 도시하지 않은 에어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통과시킴으로써, 습윤 상태의 향료가 기화되어, 에어와 함께 에어 유로(21)로부터 유출된다.
이러한 방향 토출 장치(1)는, 예를 들어, 한정된 범위에 향기를 방출하는 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가, 자기의 얼굴 근처에서 1회 또는 복수회 향기를 방출시켜, 기분을 릴렉스시키도록, 방향 토출 장치(1)가 이용되어도 좋다. 이 경우,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는, 향기를 광범위하게 확산시키지 않으므로, 주위의 사람이 향기를 감지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카트리지 케이스(30)는, 축방향 양단 중, 후방 측의 단부가 개구(開口)한 원통형의 외형을 가진다. 카트리지 케이스(30)는, 내부에, 향료 카트리지(20)를 보유 지지한다. 카트리지 케이스(30)는, 전방 측의 단면에,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의 개구부(33)를 가진다. 또한, 카트리지 케이스(30)는, 개구부(33)의 주위에, 향료 카트리지(20)의 에어 유로(21)와 각각 연통하는 구멍(31)을 가진다.
카트리지 케이스(30)의 내주면에는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락킹 돌출부(locking protrusion; 34)가 설치되어 있다(도 3 참조). 이러한 락킹 돌출부(34)는, 향료 카트리지(20)가 카트리지 케이스(30)에 삽입되었을 때에, 향료 카트리지(20)의 외주면에 설치된 락킹 홈(locking groove)(24)에 결합한다(도 3 참조). 이에 의해, 향료 카트리지(20)와 카트리지 케이스(30)가 위치 결정 되고, 에어 유로(21)와 구멍(31)이 연통된다. 락킹 돌출부가 카트리지 케이스(30)에 설치되고, 락킹 홈이 향료 카트리지(20)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카트리지 케이스(30)는, 후방 측의 단부에, 복수의 손톱부(35)를 가진다(도 2 참조). 손톱부(35)는, 카트리지 케이스(30)의 후방 측의 단부의 위치를 부분적으로 축방향으로 비켜 놓음으로써,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향료 카트리지(20)는, 원통 형상을 가진다. 향료 카트리지(20)에는, 송풍원의 일례인 에어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복수의 에어 유로(21)가 설치된다. 에어 유로(21)에서는, 향료가 습윤 상태로 보유된다. 향료는, 에어 유로(21)의 내표면에 부착된 상태로 보유된다. 향료는, 예를 들어, 정유(精油), 또는, 에탄올로 희석된 정유 등이어도 좋다. 에어 유로(21)는 1개여도 되고, 또는 복수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에서는, 5개의 에어 유로(21)를 가지는 향료 카트리지(20)가 이용되고 있다.
하 커버(40)는, 축방향 양단 중, 전방 측의 단부가 개구한 원통형의 외형을 가진다. 하 커버(40)는, 카트리지 케이스(30)의 후방 측을 보유 지지한다. 하 커버(40)는, 후방 측의 단면(端面)에,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의 개구부(43)를 가진다(도 3참조). 또한, 하 커버(40)는, 개구부(43)의 주위에, 향료 카트리지(20)의 에어 유로(21)와 각각 연통하는 구멍(41)을 가진다(도 3 참조).
하 커버(40)의 전방 측의 개구에는 카트리지 케이스(30)의 후단이 삽입된다. 하 커버(40)는, 내주면에, 카트리지 케이스(30)의 손톱부(35)가 배치되는 복수의 수용 오목부(47)를 가진다. 수용 오목부(47)의 수는, 손톱부(35)의 수와 대응하고 있다. 손톱부(35) 및 수용 오목부(47)의 수는, 향료 카트리지(20)의 에어 유로(21)의 수와 일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향료 카트리지(20)를 보유 지지한 카트리지 케이스(30)를 임의의 회전 위상으로 하 커버(40)에 보유 지지시킴으로써, 복수의 에어 유로(21)가 하 커버(40)의 구멍(41)에 연통한다.
카트리지 케이스(30)의 외측에는, 상 커버(10)가 장착된다. 상 커버(10)는, 축방향 양단 중, 후방 측의 단부가 개구한 원통형의 외형을 가진다. 상 커버(10)는, 전방 측의 단면에, 향료 카트리지(20)의 복수의 에어 유로(21) 중 어느 하나와 연통할 수 있는 방향 토출부(12)를 가진다. 향료 카트리지(20)의 어느 에어 유로(21)를 통과하여, 기화한 향료의 성분을 포함한 공기가, 당해 방향 토출부(12)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방향 토출부(12)의 내경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향료 카트리지(20)의 에어 유로(21)를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방향 토출부(12)의 내경이, 적어도 에어 유로(21)의 내경 이상이어도 좋다.
상 커버(10)는, 전방 측의 단면의 내측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고정축(14)을 가진다(도 3 참조). 고정축(14)은, 카트리지 케이스(30)의 개구부(33) 및 향료 카트리지(20)의 축방향 구멍(23) 내에 삽입 통과된다. 상 커버(10)는, 고정축(14)을 회전축으로 하여, 향료 카트리지(20)를 보유 지지하는 카트리지 케이스(3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대 위치에 따라, 방향 토출부(12)에 연통하는 에어 유로(21)가 전환된다. 고정축(14)의 선단에는, 축심을 따라 절단한 반체(半體)로 이루어진 도시되지 않은 결합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부는, 베이스부(70)의 고정축(76)과 감합되고, 또한, 설치 및 떼어내기가 가능한 형상이면 되며, 상기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도 3 참조).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에서는, 상 커버(10), 카트리지 케이스(30), 향료 카트리지(20) 및 하 커버(40)가 일체화된 어셈블리를, 유저가 교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어셈블리는, 일회용 형태의 향료 카트리지(20)를 가지는 것이어도 되고, 향료를 재충전할 수 있는 재이용형의 향료 카트리지(20)를 가지는 것이어도 된다.
회전 조작부(60)는, 상 커버(10), 카트리지 케이스(30), 향료 카트리지(20) 및 하 커버(40)의 보다 더 외주에 배치된다. 회전 조작부(60)는, 외주통부(61)와, 추(錐) 형상부(62), 내주통부(63)를 가진다. 내주통부(63)는, 내주면에 락킹 돌출부(65)를 가진다. 외주통부(61)와 내주통부(63)는, 추 형상부(62)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추 형상부(62)의 큰 직경 측 단부는, 외주통부(61)의 내주면 중 축방향의 중앙부에 접속되고 있다. 또한, 추 형상부(62)의 소경 측 단부는, 내주통부(63)의 전방 측 단부에 접속되고 있다. 추 형상부(62)의 전방 측의 공간에는 프리즘부(50)가 배치되고 있다. 프리즘부(50)는,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축방향 구멍(53)을 가진다. 축방향 구멍(53)에는, 상 커버(10), 카트리지 케이스(30) 및 향료 카트리지(20)가 배치된다.
회전 조작부(60)의 내주통부(63)의 내부에, 상 커버(10), 카트리지 케이스(30), 향료 카트리지(20) 및 하 커버(40)가 삽입된다. 이 때, 하 커버(40)의 외주면에 설치된 복수의 락킹 홈(44) 중 어느 것에, 내주통부(63)의 락킹 돌출부(65)가 배치된다. 이에 의해, 하 커버(40), 및, 하 커버(40)에 보유 지지된 카트리지 케이스(30) 및 향료 카트리지(20)가, 회전 조작부(60)와 일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 커버(10)는, 카트리지 케이스(30), 향료 카트리지(20) 및 하 커버(40)와 상대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회전 조작부(60)와 상 커버(10)도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전 조작부(60), 상 커버(10), 향료 카트리지(20), 카트리지 케이스(30) 및 하 커버(40) 등은, 베이스부(70)에 의해 지지된다. 베이스부(70)는, 전방 측의 면의 중앙부에, 단면 원형의 오목부(74)를 가진다. 이러한 오목부(74)에는, 회전 조작부(60)의 내주통부(63)가 삽입된다. 또한, 베이스부(70)는, 전방 측의 면의 외연부에, 환상(環狀)의 단차부(79)를 가진다. 이러한 단차부(79)에는, 회전 조작부(60)의 외주통부(61)가 배치된다. 즉, 단차부(79)에 외주통부(61)가 배치되고, 오목부(74)에 회전 조작부(60)의 내주통부(63)가 배치되고, 또한, 내주통부(63)의 내측에, 하 커버(40), 향료 카트리지(20) 등이 배치된다.
베이스부(70)는, 오목부(74)의 저면에 세워 설치하고, 전방 측으로 연장하는 고정축(76)을 가진다. 고정축(76)은, 하 커버(40)의 개구부(43) 및 향료 카트리지(20)의 축방향 구멍(23) 내에 삽입 통과된다. 예를 들어, 고정축(76)은 향료 카트리지(20)의 축방향 구멍(23)에 경(輕) 압입되며, 이에 의해, 회전 조작부(60), 상 커버(10), 향료 카트리지(20), 카트리지 케이스(30) 및 하 커버(40) 등이 베이스부(70)에 의해 지지된다.
고정축(76)의 선단에는, 축심을 따라 절단한 반체로 이루어진 도시되지 않은 결합부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축(76)의 결합부는, 향료 카트리지(20)의 축방향 구멍(23) 내에 있어서, 상 커버(10)의 고정축(14)의 선단의 결합부에 대해서, 180° 축회전한 상태로 끼워 맞춰진다. 이에 의해, 상 커버(10)와 베이스부(70)의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 조작부(60), 향료 카트리지(20), 카트리지 케이스(30) 및 하 커버(40)가 베이스부(70)에 대해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된다. 다만, 상 커버(10)의 결합부와 마찬가지로, 결합부는, 상 커버(10)의 고정축(14)과 감합되고, 또한, 설치 및 떼어내기가 가능한 형상이면 되며, 상기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베이스부(70)는, 오목부(74)의 저면에 공기의 공급구(75)를 가진다. 또한, 오목부(74)의 저면에는, 위치 결정용 돌기부(77)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돌기부(77)는, 회전 조작부(60)의 락킹 돌출부(65)가 배치되는 하 커버(40)의 락킹 홈(44)에 락킹된다. 하 커버(40)의 외주면에는, 향료 카트리지(20)의 에어 유로(21)의 위치에 대응하여 복수의 락킹 홈(44)이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돌기부(77)가 어느 락킹 홈(44)에 락킹된 상태에서, 어느 에어 유로(21)가 공기의 공급구(75)에 연통된다. 따라서, 회전 조작부(60)를 회전시킴으로써, 공기의 공급구(75)에 연통하는 에어 유로(21)가 전환된다.
이러한 돌기부(77)는, 베이스부(70)와는 별체로서 형성되며, 스프링 등에 의해 하 커버(40) 측으로 가압되어도 된다. 즉, 향료 카트리지(20)를 회전시키고 있는 동안에는, 스프링이 수축되는 등에 의해 돌기부(77)가 후퇴하며, 어느 락킹 홈(44)이 돌기부(77)의 위치와 일치했을 때에, 돌기부(77)가 락킹 홈(44) 측으로 돌출해도 된다. 이에 의해, 베이스부(70)와 하 커버(40) 등과의 거리를 변경하지 않고, 하 커버(40)나 회전 조작부(60) 등을 회전시킬 수 있다.
베이스부(70)의 내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에어 펌프, 배터리 및 회로 기판 등이 구비되어 있다. 에어 펌프는 송풍원의 일 태양이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구동되어, 공기의 공급구(75)에 공기를 도입한다. 에어 펌프는, 예를 들어, 압전 소자에 대해 교류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다이어프램을 변형시켜, 공기의 흡인 및 압송을 행하는, 다이어프램식의 펌프여도 된다. 다만, 송풍원은 에어 펌프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팬을 회전시키는 형식의 송풍기여도 된다. 배터리는, 방전만을 하고 교환할 수 있는 전지라도 좋고, 충방전할 수 있는 2차 전지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에서는, 배터리로서 2차 전지가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방향 토출 장치(1)의 후방 측 단면에는, 2차 전지의 충전용 USB 단자 등이 설치된다.
회로 기판 상에는, 에어 펌프의 구동 제어를 행하는 제어 회로, 및, 에어 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회로 등이 실장되어 있다. 에어 펌프의 구동 상태의 전환은, 조작 입력부로서의 조작 버튼(71)을 조작함으로써 행해진다. 이러한 조작 버튼(71)을 누름으로써, 도시되지 않은 스위치의 온 오프가 전환된다. 조작 버튼(71) 대신에 터치 센서식의 조작 입력부가 설치되어도 좋다. 제어 회로는, 유저에 의한 조작 버튼(71)의 조작 입력에 의한 스위치의 온 오프에 기초하여 에어 펌프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에어 펌프의 구동 상태를 제어한다. 제어 회로에 의한 구동 제어에 의해 에어 펌프로 전력이 공급되면, 에어 펌프는, 공기의 공급구(75)를 통해 향료 카트리지(20)로 에어를 공급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에서는, 회로 기판 상에,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광원이 실장되어 있다. 이러한 광원은, 방향 토출 장치(1)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된 제어 회로에 의해 제어된다.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베이스부(70)의 외주면에 설치된 구멍(87)을 통해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에어 펌프의 제어 방법 및 광원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방향 토출 장치(1)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배터리(81)와 에어 펌프(85)는, 회로 기판(100)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110)는, 조작 버튼(71)에 의해 온 오프가 전환된다. 이러한 스위치(110)는, 조작 버튼(71)을 누르고 있는 동안에는 온 상태가 되는 한편, 조작 버튼(71)의 누름을 중지했을 때에는 오프 상태가 되는 자기 복귀형의 모멘터리형 스위치이다. 회로 기판(100) 상의 제어 회로는, 조작 버튼(71)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에어 펌프(85)의 구동 회로에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의해, 에어 펌프(85)가 소정의 구동 상태로 구동되고, 향료 카트리지(20)에 대해 에어를 공급한다.
향료 카트리지(20)는, 유저에 의해 회전 조작부(60)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하고, 이에 의해, 에어가 공급될 수 있는 에어 유로(21)가 전환된다. 향료 카트리지(20)에 공급된 에어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 에어 유로(21)의 내면에 보유된 향료를 기화시키면서 당해 에어 유로(21)를 통과하여, 방향 토출부(12)로부터 외부로 토출된다. 이에 의해, 소망한 방향(芳香)이 토출된다.
(1-2. 제어계의 구성예)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의 에어 펌프(85)의 구동 제어를 행하는 제어계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에어 펌프(85)의 제어계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러한 제어계는, 스위치(110), 제어 회로(102), 에어 펌프 구동 회로(104)를 가진다. 스위치(110)는, 조작 버튼(71)에 의해 온 오프가 전환되는 모멘터리형 스위치(110)이다. 이러한 스위치(110)는, 제어 회로(102)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회로(102)는, 스위치(110)의 온 오프에 기초하여 에어 펌프(85)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에어 펌프 구동 회로(104)에 대해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즉,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에 있어서, 제어 회로(102)가, 송풍원 제어부에 상당한다. 에어 펌프 구동 회로(104)는,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에어 펌프(85)에 대해 공급되는 전력의 제어를 행한다. 이에 의해, 에어 펌프(85)는, 소정의 동작 상태로 구동하여, 향료 카트리지(20)에 대해 에어를 공급한다.
이러한 제어 회로(102)는, 소정의 경과 시간을 카운트하기 위한 타이머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회로(102)는, 예를 들어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저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나타낸 제어계의 기본 구성은, 후술하는 제2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의 제어계로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의 제어계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6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에어 펌프 구동 회로(104)는, 전원 회로(111) 및 드라이버 회로(113)를 구비한다. 또한, 드라이버 회로(113)는, 전압을 증폭시키는 도시되지 않은 승압기를 가진다. 승압기는, 예를 들어 DCDC 컨버터여도 된다.
제어 회로(102)는, 스위치(110)의 온 오프 상태에 기초하여 칩 이네이블(chip enable) 신호를 생성하고, 에어 펌프 구동 회로(104)의 전원 회로(111)에 출력한다. 전원 회로(111)는, 칩 이네이블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동안, 드라이버 회로(113)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전압 V0의 전력을 공급한다. 드라이버 회로(113)는,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동안, 전압 V0를 증폭시킴으로써 생성되는 전압 V1의 전압 신호를, 미리 설정된 주파수 f1로, 에어 펌프(85)에 대해서 출력한다. 에어 펌프(85)는, 압전 소자를 이용한 다이어프램형의 펌프이며, 전압 신호의 주파수 f1에 따라서 에어의 토출 동작을 행한다. 이에 의해, 에어 펌프(85)는, 전압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동안, 일정한 유량의 에어를, 향료 카트리지(20)에 대해 공급한다.
여기서, 제1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에서는, 하나의 조작 버튼(71)에 대한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에어 펌프(85)로부터의 에어의 공급 시간이 제어되어, 방향의 토출 시간이 제어된다. 이에 의해, 복수의 토출 기능이 실현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에서는, 제어 회로(102)는, 조작 버튼(71)에 의해 전환된 스위치(110)의 온 오프 상태에 기초하여, 칩 이네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시간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조작 버튼(71)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향료 카트리지(20)에 공급되는 에어의 공급 시간이 제어된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에서는, 하나의 조작 버튼(71)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방향의 토출 모드로서, 단시간 토출 모드와 장시간 토출 모드가 선택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조작 버튼(71)의 누름 상태에 따라 전환되는 방향 토출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단시간 토출 모드의 설명도이며, 도 8은, 장시간 토출 모드의 설명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에는, 각각 조작 버튼(71)의 동작 상태(스위치(110)의 온 오프 상태)와, 에어 펌프(85)에 의한 에어 공급 동작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조작 버튼(71)의 동작 상태에 있어서, 「Low」 상태가, 조작 버튼(71)이 눌려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에어 공급 동작 상태에 있어서, 「High」 상태가 에어를 공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단시간 토출 모드 및 장시간 토출 모드 중 어느 모드에 있어서도, 기본적으로는, 조작 버튼(71)이 눌려져, 스위치(110)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되었을 때에, 에어 펌프(85)에 의한 에어의 공급이 개시되어, 방향의 토출이 개시된다. 한편, 에어 펌프(85)에 의한 에어의 공급이 개시된 후에는, 스위치(110)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는 시기, 스위치(110)의 온 상태의 계속 시간, 또는, 스위치(110)의 오프로부터 온으로의 전환 동작이 반복될 때의 시간 간격 등에 따라, 소정의 시기에 에어의 공급이 정지된다.
단시간 토출 모드에 의한 방향의 토출 동작은, 조작 버튼(71)을 소망한 시간 계속 누름으로써 행해진다.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단시간 토출 모드에서는, 조작 버튼(71)이 눌려져 스위치(110)가 온으로 되었을 때에 에어의 공급이 개시된다. 그리고, 스위치(110)가 온으로 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 T가, 미리 설정된 제1 임계값 T1을 넘지 않는 한, 스위치(110)가 오프로 되었을 때에 에어의 공급이 정지된다. 한편, 이러한 단시간 토출 모드에서는, 스위치(110)가 온으로 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 T가 제1 임계값 T1를 넘었을 때에는, 그 시점에서 에어의 공급이 정지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방향 토출 장치(1)를 가방에 넣어 다니고 있는 동안에, 유저의 의도에 무관하게 조작 버튼(71)이 계속 눌려지는 경우에도, 방향의 토출은 도중에 정지된다. 이에 의해, 배터리(81)의 잔존 용량의 저하가 억제되고, 또한, 향료 카트리지(20)를 오래 지속시킬 수 있다. 단시간 토출 모드에서의 최대 연속 토출 시간인 제1 임계값 T1은, 적절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임계값 T1은, 5 내지 10초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장시간 토출 모드에 의한 방향의 토출 동작은, 조작 버튼(71)을 더블 클릭함으로써 행해진다. 도 8에 나타냈듯이, 장시간 토출 모드에서는, 조작 버튼(71)이 눌려지는 제1 조작 입력에 의해 스위치(110)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되었을 때에 에어의 공급이 개시된다. 또한, 일단, 제1 조작 입력이 해제되어 스위치(110)가 오프 상태로 되돌아가고, 그 다음에, 제2 조작 입력에 의해 스위치(110)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되면, 다시, 에어의 공급이 개시된다. 이 때, 제1 조작 입력이 개시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시간 간격) T가 제2 임계값 T2를 경과하기 전에 제2 조작 입력이 개시되었을 경우에는, 제2 조작 입력에 의해 에어의 공급이 개시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 T가 제3 임계값 T3를 넘었을 때에, 에어의 공급이 정지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유저가, 미리 장시간 방향을 토출시키고 싶은 경우에, 더블 클릭 동작을 행함으로써, 이후, 조작 버튼(71)의 누름을 해제한 상태에서, 방향을 계속 토출시킬 수 있다. 장시간 토출 모드에서의 방향의 토출을 개시시키기 위한 제2 임계값 T2는, 적절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임계값 T2는, 0.5 내지 1초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장시간 토출 모드에서의 방향의 토출 시간인 제3 임계값 T3에 대해서도, 적절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제3 임계값 T3는, 10 내지 30초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에서는, 장시간 토출 모드보다 단시간 토출 모드가 우선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냈듯이, 제1 조작 입력이 개시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 T가 제2 임계값 T2를 경과하기 전에 제2 조작 입력이 개시되었을 경우여도, 제2 조작 입력에 의해 스위치(110)가 온이 되고 나서, 스위치(110)가 온 상태로 유지되는 경과 시간(시간 간격) T가, 상술한 제1 임계값 T1을 넘었을 때에는, 그 시점에서 에어의 공급이 정지된다.
그러므로, 유저가, 단시간 토출 모드의 조작을 행할 때에, 일단 조작 버튼(71)을 누른 후, 오조작에 의해 조작 버튼(71)을 놓쳐 버리고, 나아가, 다시 조작 버튼(71)을 계속 누른 것 같은 경우에는, 단시간 토출 모드에서의 에어의 공급 동작이 행해진다. 이에 의해, 유저가, 단시간 토출 모드에서의 방향의 토출을 바라고 있는 경우에, 장시간 토출 모드에서의 방향의 토출이 행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에서는, 장시간 토출 모드에서의 방향의 토출 동작이 개시되었을 경우여도, 당해 토출 동작을 도중에 해제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냈듯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조작 버튼(71)의 더블 클릭 동작에 의해 장시간 토출 모드에서의 방향의 토출 동작이 개시되었을 경우라도, 재차 제3 조작 입력이 단시간 행해짐으로써, 에어의 공급이 정지된다. 즉, 제2 조작 입력에 의해 에어의 공급이 개시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 T가 제3 임계값 T3을 넘을 때까지, 제3 조작 입력에 의해 스위치(110)의 온 오프가 행해졌을 때에는, 당해 스위치(110)가 오프로 되었을 때에, 에어의 공급은 신속하게 정지된다.
따라서, 유저가, 자기의 의사에 의해, 장시간 토출 모드에서의 방향의 토출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어, 배터리(81)의 잔존 용량의 저하가 방지되고, 또한, 향료 카트리지(20)를 오래 지속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에서는, 배터리(81)의 잔존 용량이 저하되어 있는 경우, 제어 회로(102)는, 조작 버튼(71)이 눌려져 스위치(110)가 온으로 전환되었을 때에, 유저에 대해서 배터리(81)의 잔존 용량의 저하를 인식시키는 제어를 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102)는, 조작 버튼(71)이 눌려져 스위치(110)가 온으로 전환되었을 때에, 광원을 소정 시간 동안 점등시켜도 좋다. 이에 의해, 유저에게, 배터리(81)의 잔존 용량의 저하를 인식시켜, 배터리(81)의 충전을 재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102)는, 배터리(81)의 출력 전압이 정격 전압의 10% 미만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조작 버튼(71)을 누를 때에 광원을 점등시켜도 좋다. 그 때의 광원의 점등 시간은, 적절한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의 점등 시간은, 1 내지 5초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 회로(102)는, 배터리(81)의 잔존 용량에 따라서, 광원의 점등 회수나 점등 간격, 점등 시간 등을 다르게 해도 좋다.
이 밖에, 제어 회로(102)는, 방향 토출 장치(1)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광원을 점등시켜도 된다. 그 때에, 제어 회로(102)는, 방향 토출 장치(1)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점등시키는 광원의 색을 바꾸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102)는, 배터리(81) 충전 시에, 충전이 완료될 때까지의 사이, 즉, 배터리(81)의 잔존 용량이 정격 전압을 넘을 때까지의 사이, 광원을 점등시켜도 된다. 그 때에, 배터리(81)의 잔존 용량의 저하를 알릴 때의 광원의 점등색과 다른 색으로 광원을 점등시켜도 된다. 또한, 제어 회로(102)가 광원의 제어를 행하는 경우, 당해 제어 회로(102)가, 표시 제어부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에 있어서, 도 7 내지 도 10에 예시한 방향의 토출 모드는, 하나의 조작 버튼(71)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이로 인해, 조작 버튼의 수가 최소한으로 되어, 회로의 구성이 간략화된다. 따라서, 방향 토출 장치(1)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또한, 제조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는, 하나의 조작 버튼(71)의 조작 입력으로 방향의 토출 모드를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에 의한 조작성이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1-3. 방향 토출 장치의 제어 방법)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의 제어 회로에 의해 행해지는 제어 방법의 흐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2는, 방향 토출 장치(1)의 제어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술한대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의 제어계에서는, FPGA 등의 제어 회로(102)에 의해 에어 펌프(85)로부터의 에어의 공급 상태가 제어되는 것이며, 도 11 내지 도 12에 나타낸 흐름도는, 방향 토출 장치(1)의 토출 상태의 천이를 이해하기 쉽게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다만, CPU 등의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에어의 공급 상태가 제어되는 경우에는, 도 11 내지 도 12에 나타낸 처리 플로우를 실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미리 작성하고, 마이크로 컴퓨터에 실행시켜도 된다.
우선, 조작 버튼(71)이 눌려져 스위치(110)가 온으로 전환되면(S10/Yes), 제어 회로(102)는 에어 펌프 구동 회로(104)에 칩 이네이블 신호를 출력하고, 에어 펌프(85)로부터 에어의 공급을 개시한다(S12). 또한, 제어 회로(102)는, 에어의 공급을 개시시켰을 때에, 타이머(1)의 카운트를 개시시킨다(S14). 또한, 스위치(110)가 온으로 전환될 때까지는, 제어 회로(102)는 대기 상태가 된다(S10/No).
조작 버튼(71)이 눌려져 스위치(110)가 온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동안(S16/No), 타이머(1)가 미리 설정된 제1 임계값 T1을 넘을 때까지의 기간은, 에어 펌프(85)에 의한 에어의 공급이 계속된다(S20/No). 한편, 스위치(110)가 온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동안(S16/No), 타이머(1)가 제1 임계값 T1을 넘었을 경우에는(S20/Yes), 제어 회로(102)는, 스위치(110)가 온 상태인 채, 칩 이네이블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고, 에어 펌프(85)로부터의 에어의 공급을 종료시킨다(S22)(단시간 토출 모드). 이러한 경우에는, 모든 타이머가 리셋되고(S24), 제어 회로(102)는 다시 스텝 S10의 대기 상태로 돌아온다.
한편, 에어 펌프(85)에 의한 에어의 공급이 계속되는 동안, 타이머(1)가 제1 임계값 T1을 넘기 전에(S20/No), 조작 버튼(71)이 해제되고 스위치(110)가 오프로 전환되면(S16/Yes), 제어 회로(102)는, 칩 이네이블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여, 에어 펌프(85)로부터의 에어의 공급을 종료시킨다(S18). 이러한 경우에는, 타이머(1)의 카운트는 계속되어, 다시 조작 버튼(71)이 눌려져 스위치(110)가 온으로 전환되는 일 없이(S26/No), 타이머(1)가 미리 설정된 제2 임계값 T2를 넘었을 때에(S28/Yes), 모든 타이머가 리셋되고(S44), 제어 회로(102)는 다시 스텝 S10의 대기 상태로 돌아온다(단시간 토출 모드).
한편, 타이머(1)가 제2 임계값 T2를 넘기 전에(S28/No), 조작 버튼(71)이 다시 눌려지고 스위치(110)가 온으로 전환되면(S26/Yes), 제어 회로(102)는 에어 펌프 구동 회로(104)에 칩 이네이블 신호를 출력하여, 에어 펌프(85)로부터 에어의 공급을 개시시킨다(S30). 또한, 제어 회로(102)는, 에어의 공급을 개시시켰을 때에, 타이머(2)의 카운트를 개시시킨다(S32).
조작 버튼(71)이 눌려져 스위치(110)가 온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동안(S34/No), 타이머(2)가 제1 임계값 T1을 넘을 때까지의 기간은, 에어 펌프(85)에 의한 에어의 공급이 계속된다(S36/No). 한편, 스위치(110)가 온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동안(S34/Yes), 타이머(2)가 제1 임계값 T1을 넘었을 경우에는(S36/Yes), 제어 회로(102)는, 스위치(110)가 온 상태인 채, 칩 이네이블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여, 에어 펌프(85)로부터의 에어의 공급을 종료시킨다(S42)(단시간 토출 모드 우선). 그 후, 모든 타이머가 리셋되고(S44), 제어 회로(102)는 다시 스텝 S10의 대기 상태로 돌아온다.
한편, 에어 펌프(85)에 의한 에어의 공급이 계속되는 동안, 타이머(2)가 제1 임계값 T1을 넘기 전에(S36/No), 조작 버튼(71)이 해제되어 스위치(110)가 오프로 전환되면(S34/Yes), 제어 회로(102)는, 이하와 같이 하여 에어 펌프(85)로부터의 에어의 공급을 종료시킨다. 즉, 스위치(110)가 오프로 전환된 후, 타이머(2)가 제3 임계값 T3을 넘을 때까지의 사이(S38/No), 스위치(110)가 오프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경우에는, 에어 펌프(85)로부터의 에어의 공급은 계속된다(S40/No). 도중, 스위치(110)가 온으로 전환되는 일 없이(S40/No), 타이머(2)가 제3 임계값 T3을 넘었을 경우(S38/Yes), 제어 회로(102)는, 칩 이네이블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여, 에어 펌프(85)로부터의 에어의 공급을 종료시킨다(장시간 토출 모드). 그 후, 모든 타이머가 리셋되고(S44), 제어 회로(102)는 다시 스텝 S10의 대기 상태로 돌아온다.
한편, 에어 펌프(85)에 의한 에어의 공급이 계속되는 동안, 타이머(2)가 제3 임계값 T3을 넘기 전에(S38/No), 다시 조작 버튼(71)이 눌려져 스위치(110)가 온으로 전환되면(S40/Yes), 제어 회로(102)는, 신속하게 칩 이네이블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고, 에어 펌프(85)로부터의 에어의 공급을 종료시킨다(장시간 토출 모드 도중 캔슬). 그 후, 모든 타이머가 리셋되고(S44), 제어 회로(102)는 다시 스텝 S10의 대기 상태로 돌아온다.
이상과 같이, 제어 회로(102)는, 조작 버튼(71)의 조작 입력에 의한 스위치(110)의 온 오프의 전환의 타이밍에 기초하여, 에어 펌프(85)로부터의 에어의 공급 시간을 제어한다. 따라서, 배터리(81)의 잔존 용량의 저하가 억제되는 한편, 향료 카트리지(20)를 오래 지속시킬 수 있다. 또한, 유저는, 하나의 조작 버튼(71)을 조작함으로써, 소망한 시간에 방향을 토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휴대형의 방향 토출 장치(1)의 조작성이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개시의 제2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 및 방향 토출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의 전체 구성 및 제어계의 기본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 및 제어계와 마찬가지로 할 수 있다. 이하, 주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의 제어계의 구체적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와 공통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와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2-1. 제어계의 구성예)
도 13은,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의 제어계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제어 회로(122)는, 스위치(110)의 온 오프 상태에 기초하여, 칩 이네이블 신호와 아울러 전압 설정 신호를 생성하고, 에어 펌프 구동 회로(124)의 전원 회로(131)에 출력한다. 전원 회로(131)는, 칩 이네이블 신호 및 전압 설정 신호가 입력되면, 드라이버 회로(133)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시간, 전압 설정 신호에 따른 전압 V01의 전력을 공급한다. 드라이버 회로(133)는,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동안, 전압 V01을 증폭시킴으로써 생성되는 전압 V11의 전압 신호를, 미리 설정된 주파수 f1로, 에어 펌프(85)에 대해 출력한다. 에어 펌프(85)는, 전압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동안, 전압 V11에 따른 유량의 에어를, 향료 카트리지(20)에 대해 공급한다.
여기서, 제2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에서는, 하나의 조작 버튼(71)에 대한 조작 입력의 연속 회수에 기초하여, 단위시간당 에어 펌프(85)로부터의 에어의 공급량이 제어되어, 방향의 토출량이 제어된다. 이에 의해, 복수의 토출 기능이 실현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에서는, 제어 회로(122)는, 조작 버튼(71)의 조작 입력에 의해 스위치(110)가 온으로 전환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 칩 이네이블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 회로(122)는, 조작 버튼(71)의 조작 입력에 의해 전환되는 스위치(110)의 온 오프 상태에 기초하여, 에어 펌프(85)를 구동하는 전력의 전압 V11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조작 버튼(71)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향료 카트리지(20)에 공급되는 에어의 유량이 제어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에서는, 방향이 토출되는 시간은 변함없으나, 전체 토출량은 전환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4는, 조작 버튼(71)의 누름 상태에 따라 에어 펌프(85)를 구동하는 전압 V11이 전환되는 제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4에는, 조작 버튼(71)의 동작 상태(스위치(110)의 온 오프 상태)와, 에어 펌프(85)에 공급되는 전압 V11과, 에어 펌프(85)에 의한 에어 공급 동작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조작 버튼(71)의 동작 상태에 있어서, 「Low」 상태가, 조작 버튼(71)이 눌려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에어 공급 동작의 상태에 있어서, 「High」 상태가 에어를 공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에서는, 조작 버튼(71)을 누르는 회수에 따라, 에어 펌프(85)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 V11이 단계적으로 증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 버튼(71)에 대한 제1 조작 입력이 행해지고, 스위치(110)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되면, 에어 펌프(85)에 의한 에어의 공급이 개시되어, 방향 토출이 개시된다. 제어 회로(122)는, 제1 조작 입력에 의해 스위치(110)가 온으로 전환되었을 때에 타이머를 개시시키고, 타이머가 미리 설정된 제4 임계값 T4를 넘을 때까지의 사이, 전원 회로(131)에 대해서 칩 이네이블 신호를 출력한다. 제4 임계값 T4는, 적절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임계값 T4는, 5 내지 20초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 회로(122)는, 조작 버튼(71)에 대한 제1 조작 입력이 행해지면, 에어 펌프(85)에의 공급 전력의 전압 V11이 전압 Va가 될 수 있는 전압 설정 신호를 전원 회로(131)에 출력한다. 나아가, 제어 회로(122)는, 타이머가 제4 임계값 T4를 넘을 때까지의 사이에, 조작 버튼(71)에 대한 제2 조작 입력 및 제3 조작 입력이 행해질 때마다, 에어 펌프(85)에의 공급 전력의 전압 V11이, 전압 Vb, 전압 Vc로 단계적으로 증대할 수 있는 전압 설정 신호를 전원 회로(131)에 출력한다. 이에 의해, 에어 펌프(85)에 의한 단위시간당 향료 카트리지(20)에 공급되는 에어의 공급량이 전환된다.
도 14에 나타낸 예에서는, 에어 펌프(85)로의 공급 전력의 전압 V11이 3단계로 가변으로 되어 있으나, 전압 V11이 2단계로 가변으로 되어 있어도 좋고, 4단계 이상으로 가변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어 회로(102)는, 조작 버튼(71)에 대한 조작 입력의 연속 회수가 증가할 때마다, 에어 펌프(85)로의 공급 전력의 전압 V11을 증대시키고 있지만, 조작 버튼(71)에 대한 조작 입력의 연속 회수가 증가할 때마다, 에어 펌프(85)로의 공급 전력의 전압 V11을 저하시켜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는, 하나의 조작 버튼(71)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에어 펌프(85)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 V11이 변경되어, 단위시간당의 에어의 공급량이 가변으로 되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유저마다 향기를 느끼는 방식에 차이가 있거나, 또는, 같은 유저여도 사용 시의 기분 등에 따라 향기의 느낌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도, 소망한 유량으로 방향을 토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에서는, 하나의 조작 버튼(71)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단위시간당의 방향의 토출량이 제어되기 때문에, 조작 버튼의 수가 최소한으로 되어, 회로 구성이 간략화된다. 따라서, 방향 토출 장치(1)를 소형화할 수 있는 한편, 제조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는, 하나의 조작 버튼(71)의 조작 입력으로 단위시간당의 방향의 토출량을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에 의한 조작성이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에 있어서도, 배터리(81)의 잔존 용량이 저하되어 있는 경우에, 조작 버튼(71)이 눌려져 스위치(110)가 온으로 전환되었을 때에, 광원이 소정 시간 점등되어도 좋다.
(2-2. 변형예)
상술한 제2 실시형태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는, 에어 펌프(85)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 V11을 변화시킴으로써, 단위시간당의 방향의 토출량을 가변으로 하고 있지만, 단위시간당의 방향의 토출량을 가변으로 하는 수법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변형예에서는, 에어 펌프(85)에 공급하는 전압 신호의 주파수를 변화시킴으로써, 단위시간당의 방향의 토출량이 가변으로 된다.
도 15는, 변형예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의 제어계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제어 회로(142)는, 스위치(110)의 온 오프 상태에 기초하여, 칩 이네이블 신호를 생성하여, 에어 펌프 구동 회로(144)의 전원 회로(151)에 출력함과 함께, 주파수 설정 신호를 생성하여, 에어 펌프 구동 회로(144)의 드라이버 회로(153)에 출력한다. 전원 회로(151)는, 칩 이네이블 신호가 입력되면, 드라이버 회로(153)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시간, 미리 설정된 전압 V0의 전력을 공급한다.
드라이버 회로(153)는,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동안, 전압 V0를 증폭시킴으로써 생성되는 전압 V1의 전압 신호를, 입력되는 주파수 설정 신호에 따라 설정되는 주파수 f2로, 에어 펌프(85)에 대해 출력한다. 에어 펌프(85)는, 전압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동안, 전압 V11에 따른 유량의 에어를, 향료 카트리지(20)에 대해서 공급한다. 전압 신호의 주파수 f2는, 예를 들어, 드라이버 회로(153)에 구비된 스위칭 소자의 온 오프의 주기를 변화시킴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작 버튼(71)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향료 카트리지(20)에 공급되는 에어의 유량이 제어된다. 따라서, 변형예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에서는, 방향이 토출되는 시간은 변함없지만, 전체의 토출량이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6은, 조작 버튼(71)의 조작 입력의 연속 회수에 따라 에어 펌프(85)에 공급되는 전압 신호의 주파수 f2가 전환되는 제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6에는, 조작 버튼(71)의 동작 상태(스위치(110)의 온 오프 상태)와, 에어 펌프(85)에 공급되는 전압 신호의 주파수 f2와, 에어 펌프(85)에 의한 에어 공급 동작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조작 버튼(71)의 동작 상태에 있어서, 「Low」의 상태가, 조작 버튼(71)이 눌려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에어 공급 동작의 상태에 있어서, 「High」의 상태가 에어를 공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변형예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에서는, 조작 버튼(71)을 누르는 회수에 따라, 에어 펌프(85)에 공급되는 전압 신호의 주파수 f2가 단계적으로 증대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 버튼(71)에 대한 제1 조작 입력이 행해지고, 스위치(110)가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되면, 에어 펌프(85)에 의한 에어의 공급이 개시되어, 방향의 토출이 개시된다. 제어 회로(142)는, 제1 조작 입력에 의해 스위치(110)가 온으로 전환되었을 때에 타이머를 개시시키고, 타이머가 미리 설정된 제4 임계값 T4를 넘기 전까지의 사이, 전원 회로(151)에 대해서 칩 이네이블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 회로(122)는, 조작 버튼(71)에 대한 제1 조작 입력이 행해지면, 에어 펌프(85)에 공급되는 전압 신호의 주파수 f2가 주파수 fa가 될 수 있는 주파수 설정 신호를 드라이버 회로(153)에 출력한다. 나아가, 제어 회로(142)는, 타이머가 제4 임계값 T4를 넘기 전까지의 사이에, 조작 버튼(71)에 대한 제2 조작 입력 및 제3 조작 입력이 행해질 때마다, 에어 펌프(85)에 공급되는 전압 신호의 주파수 f2가, 주파수 fb, 주파수 fc로 단계적으로 증대할 수 있는 주파수 설정 신호를 드라이버 회로(153)에 출력한다. 이에 의해, 에어 펌프(85)에 의한 단위시간당 향료 카트리지(20)에 공급되는 에어의 공급량이 전환된다.
도 16에 나타난 예에서는, 에어 펌프(85)에 공급되는 전압 신호의 주파수 f2가 3단계로 가변으로 되어 있지만, 전압 신호의 주파수 f2가 2단계로 가변으로 되어 있어도 되고, 4단계 이상으로 가변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16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어 회로(102)는, 조작 버튼(71)에 대한 조작 입력의 연속 회수가 증가할 때마다, 전압 신호의 주파수 f2를 증대시키고 있지만, 조작 버튼(71)에 대한 조작 입력의 연속 회수가 증가할 때마다, 전압 신호의 주파수 f2를 감소시켜도 된다.
이와 같이, 변형예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는, 하나의 조작 버튼(71)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에어 펌프(85)에 공급되는 전압 신호의 주파수 f2가 변경되어, 단위시간당의 에어의 공급량이 가변으로 되고 있다. 따라서, 변형예와 관련된 방향 토출 장치(1)에 의해서도, 예를 들어, 유저마다 향기를 느끼는 방식에 차이가 있거나, 또는, 같은 유저여도 사용 시의 기분 등에 의해 향기의 느낌에 차이가 있는 경우여도, 소망한 유량으로 방향을 토출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사람이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 있어, 각종의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음은 분명하고, 이 경우에도, 당연히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조작 버튼(71)의 조작 입력에 의한 스위치(110)의 온 오프에 기초한 에어의 공급 상태의 제어 방법은,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조작 버튼(71)의 조작 입력의 연속 회수에 의해, 방향을 토출시키는 시간을 가변으로 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조작 버튼(71)이 1회 눌려졌을 경우에는 방향이 5초간 토출되고, 2회 눌려졌을 경우에는 방향이 10초간 토출되며, 3회 눌려졌을 경우에는 방향이 20초간 토출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에어 펌프(85)로부터의 에어의 공급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서 하나의 조작 버튼(71)을 갖는 방향 토출 장치(1)를 설명했지만, 방향 토출 장치(1)가, 에어의 공급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 버튼(71) 이외의 버튼 또는 스위치를 갖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어, 광원을 점등시켜 배터리(81)의 잔존 용량을 유저에게 알리는 것과 같은 상태 표시를 시키기 위한 버튼이, 조작 버튼(71)과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설명적 또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즉, 본 개시와 관련된 기술은, 상기 효과와 함께, 또는 상기 효과에 대신하여, 본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분명한 다른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와 같은 구성도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1) 향료가 보유된 향료 보유부와,
상기 향료 보유부에 에어를 공급하는 송풍원과,
상기 향료 보유부를 통과한 상기 에어가 토출되는 방향 토출부와,
유저에 의한 상기 송풍원의 조작 입력이 행해지는 조작 입력부와,
하나의 상기 조작 입력부에 대한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의 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송풍원 제어부
를 구비한, 방향 토출 장치.
(2) 상기 조작 입력부는, 모멘터리형의 스위치의 온 오프를 전환하는, 상기 (1)에 기재된 방향 토출 장치.
(3) 상기 송풍원 제어부는, 상기 에어의 공급 시간을 제어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방향 토출 장치.
(4) 상기 송풍원 제어부는, 상기 조작 입력이 행해지는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의 공급 시간을 다르게 하는, 상기 (3)에 기재된 방향 토출 장치.
(5) 상기 송풍원 제어부는, 상기 조작 입력이 개시되었을 때에 상기 에어의 공급을 개시시키고, 상기 조작 입력의 개시로부터의 경과 시간이 제1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조작 입력이 해제되었을 때에 상기 에어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상기 (3) 또는 (4)에 기재된 방향 토출 장치.
(6) 상기 송풍원 제어부는, 상기 조작 입력의 개시로부터의 경과 시간이 상기 제1 임계값을 넘었을 때에 상기 에어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상기 (5)에 기재된 방향 토출 장치.
(7) 상기 송풍원 제어부는, 제1 상기 조작 입력의 개시로부터 제2 상기 조작 입력의 개시까지의 경과 시간이 제2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조작 입력의 개시로부터의 경과 시간이 제3 임계값을 넘었을 때에 상기 에어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상기 (3)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향 토출 장치.
(8) 상기 송풍원 제어부는, 상기 제2 조작 입력의 개시로부터의 경과 시간이 상기 제3 임계값을 넘을 때까지 제3 상기 조작 입력이 행해졌을 때에 상기 에어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상기 (7)에 기재된 방향 토출 장치.
(9) 상기 송풍원 제어부는, 단위시간당의 상기 에어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방향 토출 장치.
(10) 상기 송풍원 제어부는, 상기 조작 입력의 연속 회수에 기초하여 상기 단위시간당의 상기 에어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상기 (9)에 기재된 방향 토출 장치.
(11) 상기 송풍원 제어부는, 상기 조작 입력의 연속 회수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원에 공급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단위시간당의 상기 에어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상기 (10)에 기재된 방향 토출 장치.
(12) 상기 송풍원 제어부는, 상기 조작 입력의 연속 회수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원에 공급하는 전압 신호의 주파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단위시간당의 상기 에어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상기 (10)에 기재된 방향 토출 장치.
(13) 상기 송풍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하나의 상기 조작 입력부에 대한 조작 입력이 행해졌을 때에, 상기 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유저에게 알리는 제어를 행하는 표시 제어부
를 구비한,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향 토출 장치.
(14)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잔존 용량에 기초하여 광원을 점등시키는, 상기 (13)에 기재된 방향 토출 장치.
(15)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방향 토출 장치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점등시키는 광원의 색을 변경하는, 상기 (14)에 기재된 방향 토출 장치.
(16) 상기 방향 토출 장치가, 휴대형의 장치인, 상기 (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향 토출 장치.
(17) 하나의 조작 입력부에 대한 유저의 조작 입력을 받아들이는 단계와,
상기 조작 입력을 받아들였을 때에 송풍원을 작동시키고, 향료가 보유된 향료 보유부에 에어를 통과시켜, 방향을 토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조작 입력부에 대한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의 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방향 토출 장치의 제어 방법.
1: 방향 토출 장치
20: 향료 보유부(향료 카트리지)
21: 에어 유로
71: 조작 버튼
81: 배터리
85: 에어 펌프
100: 회로 기판
102: 제어 회로
104: 에어 펌프 구동 회로
110: 스위치
111: 전원 회로
113: 드라이버 회로

Claims (17)

  1. 방향 토출 장치로서,
    향료가 보유된 향료 보유부와,
    상기 향료 보유부에 에어를 공급하는 송풍원과,
    상기 향료 보유부를 통과한 상기 에어가 토출되는 방향 토출부와,
    유저에 의한 상기 송풍원의 조작 입력이 행해지는 조작 입력부와,
    하나의 상기 조작 입력부에 대한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의 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송풍원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원 제어부는,
    상기 에어의 공급 시간을 제어하고,
    상기 조작 입력이 개시되었을 때에 상기 에어의 공급을 개시시키고, 상기 조작 입력의 개시로부터의 경과 시간이 제1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조작 입력이 해제되었을 때에 상기 에어의 공급을 정지시키며,
    상기 조작 입력의 개시로부터 상기 조작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의 경과 시간이 상기 제1 임계값을 넘었을 때에 상기 에어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방향 토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입력부는, 모멘터리형의 스위치의 온 오프를 전환하는,
    방향 토출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원 제어부는, 상기 조작 입력이 행해지는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의 공급 시간을 다르게 하는,
    방향 토출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원 제어부는, 제1 상기 조작 입력의 개시로부터 제2 상기 조작 입력의 개시까지의 경과 시간이 제2 임계값 이하인 경우, 제2 상기 조작 입력의 개시로부터의 경과 시간이 제3 임계값을 넘었을 때에 상기 에어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방향 토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원 제어부는, 제2 상기 조작 입력의 개시로부터의 경과 시간이 상기 제3 임계값을 넘을 때까지 제3 상기 조작 입력이 행해졌을 때에 상기 에어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방향 토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원 제어부는, 단위시간당의 상기 에어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방향 토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원 제어부는, 상기 조작 입력의 연속 회수에 기초하여 상기 단위시간당의 상기 에어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방향 토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원 제어부는, 상기 조작 입력의 연속 회수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원에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단위시간당의 상기 에어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방향 토출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원 제어부는, 상기 조작 입력의 연속 회수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원에 공급하는 전압 신호의 주파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단위시간당의 상기 에어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방향 토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하나의 상기 조작 입력부에 대한 조작 입력이 행해졌을 때에, 상기 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유저에게 알리는 제어를 행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한,
    방향 토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잔존 용량에 기초하여 광원을 점등시키는,
    방향 토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방향 토출 장치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점등시키는 광원의 색을 변경하는,
    방향 토출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토출 장치가, 휴대형의 장치인,
    방향 토출 장치.
  17. 방향 토출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하나의 조작 입력부에 대한 유저의 조작 입력을 받아들이는 단계와,
    상기 조작 입력을 받아들였을 때에 송풍원을 작동시켜, 향료가 보유된 향료 보유부에 에어를 통과시키고, 방향을 토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조작 입력부에 대한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의 공급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조작 입력이 개시되었을 때에 상기 에어의 공급을 개시시키고, 상기 조작 입력의 개시로부터의 경과 시간이 제1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조작 입력이 해제되었을 때에 상기 에어의 공급을 정지시키며,
    상기 조작 입력의 개시로부터 상기 조작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의 경과 시간이 상기 제1 임계값을 넘었을 때에 상기 에어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방향 토출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97001420A 2016-07-21 2017-05-02 방향 토출 장치 및 방향 토출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3978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43634 2016-07-21
JP2016143634 2016-07-21
PCT/JP2017/017225 WO2018016153A1 (ja) 2016-07-21 2017-05-02 芳香吐出装置及び芳香吐出装置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357A KR20190032357A (ko) 2019-03-27
KR102397820B1 true KR102397820B1 (ko) 2022-05-12

Family

ID=60992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1420A KR102397820B1 (ko) 2016-07-21 2017-05-02 방향 토출 장치 및 방향 토출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1110193B2 (ko)
EP (1) EP3488873B1 (ko)
JP (2) JP6973390B2 (ko)
KR (1) KR102397820B1 (ko)
CN (1) CN109475652A (ko)
WO (1) WO20180161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88873B1 (en) * 2016-07-21 2024-02-28 Sony Group Corporation Fragrance dispen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fragrance dispensing device
CN109529087B (zh) * 2018-12-27 2024-03-29 广州玖的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使用粉末状香料的气味生成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6660A (ja) 2000-12-20 2002-07-02 Tokai Rika Co Ltd 車両用芳香装置
JP2003153997A (ja) 1998-12-15 2003-05-27 Snd:Kk 芳香器
JP2005229700A (ja) * 2004-02-12 2005-08-25 Denso Corp スイッチ制御装置および空気改質機
US20070280653A1 (en) 2004-03-26 2007-12-06 Viera Pedro Q Device For The Evaporation Of Volatile Substances, In Particular Of Aromatics And/Or Insecticides
JP2013066522A (ja) 2011-09-21 2013-04-18 Mikuni Corp 携帯用拡散器
JP2015198825A (ja) 2014-04-09 2015-11-12 株式会社I・D・F 芳香器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1023A (en) * 1971-03-26 1973-01-16 D Smith Device for controlling the evaporation of volatile substances particularly for use in air conditioning systems
US4250165A (en) * 1978-11-20 1981-02-10 The Clorox Company Method of stabilizing fragrance oils
JPH02220665A (ja) 1989-02-22 1990-09-03 Nissan Motor Co Ltd 芳香供給装置
JPH04371160A (ja) 1991-06-21 1992-12-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消臭器
CN2201114Y (zh) * 1994-07-12 1995-06-21 卜冠华 香料气体产生装置
US5567361A (en) * 1995-07-14 1996-10-22 Harper; Edward C. Fragrance enhancer apparatus
CN1166789A (zh) * 1995-10-31 1997-12-03 株式会社日本能源 香料散发器
US5924597A (en) 1997-09-19 1999-07-20 Lynn; David M. Building fragrance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JP3401465B2 (ja) 1998-12-15 2003-04-28 株式会社エスエヌディ 芳香器
JP2002065832A (ja) * 2000-09-01 2002-03-05 Akira Takagi 芳香器
US20020148911A1 (en) * 2001-02-06 2002-10-17 Beck Arnold W. Portable fragrant air delivery/diffuser system for spas/hot tubs and other self powered air producing devices
JP2002262476A (ja) * 2001-03-02 2002-09-13 Toyo System Co Ltd 携帯機器用の補助バッテリー
JP3981264B2 (ja) 2001-12-07 2007-09-26 アース製薬株式会社 薬剤揮散装置及び薬剤揮散装置キット
JP2003260122A (ja) 2002-03-12 2003-09-16 Sony Corp 香り発生装置および方法
JP2003299720A (ja) 2002-04-12 2003-10-21 Fumakilla Ltd 薬剤揮散装置
JP2005185366A (ja) 2003-12-24 2005-07-14 Canon Semiconductor Equipment Inc 香料等拡散装置
JP2005224504A (ja) 2004-02-16 2005-08-25 Canon Semiconductor Equipment Inc 香料等噴射装置
WO2006023561A2 (en) * 2004-08-18 2006-03-02 Consumer Innovation Partners, Lp Methods and devices for aromatherapy
US20080299014A1 (en) * 2007-05-28 2008-12-04 Yong Chul Kim Aroma diffuser for vehicles
CN201084110Y (zh) * 2007-07-26 2008-07-09 李水琴 香味计算机输入设备
JP5163285B2 (ja) 2008-05-23 2013-03-13 Necライティング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照明器具
JP4972033B2 (ja) 2008-05-29 2012-07-11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エンジン回転数設定構造
JP2010130471A (ja) 2008-11-28 2010-06-10 Funai Electric Advanced Applie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Inc 香り発生装置付き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8273144B2 (en) * 2009-10-12 2012-09-25 Lowe's Companies, Inc. Air treatment device and housing for an air treatment device
JP2011240042A (ja) 2010-05-20 2011-12-01 Maruman Products:Kk 非燃焼式線香器
US8566972B2 (en) * 2010-08-16 2013-10-29 Custom Molded Products, Inc. Liquid aroma injector
WO2013003157A1 (en) * 2011-06-28 2013-01-03 Yale University Cell-free tissued engineered vascular grafts
WO2013011435A1 (en) * 2011-07-18 2013-01-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n air treatment device
US8807390B2 (en) 2012-10-23 2014-08-19 S.C. Johnson & Son, Inc. Indication sequence for energy efficient volatile material dispensers
US20160000956A1 (en) * 2014-07-01 2016-01-07 W. McJames, LLC Controlled intermittent fragrance delivery devices and cartomizer cartridge for use therein
AU2016279192B2 (en) * 2015-06-10 2020-12-24 Inhalió, Inc. Fragrance cartridge and chamber dispersion system
JP6729846B2 (ja) * 2015-06-29 2020-07-29 学校法人慶應義塾 香り提示方法、香り提示装置、嗅覚改善装置
US10632222B2 (en) * 2015-09-22 2020-04-28 Inhalio, Inc. Digital aroma dispersion system and devices
EP3488873B1 (en) * 2016-07-21 2024-02-28 Sony Group Corporation Fragrance dispen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fragrance dispensing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3997A (ja) 1998-12-15 2003-05-27 Snd:Kk 芳香器
JP2002186660A (ja) 2000-12-20 2002-07-02 Tokai Rika Co Ltd 車両用芳香装置
JP2005229700A (ja) * 2004-02-12 2005-08-25 Denso Corp スイッチ制御装置および空気改質機
US20070280653A1 (en) 2004-03-26 2007-12-06 Viera Pedro Q Device For The Evaporation Of Volatile Substances, In Particular Of Aromatics And/Or Insecticides
JP2013066522A (ja) 2011-09-21 2013-04-18 Mikuni Corp 携帯用拡散器
JP2015198825A (ja) 2014-04-09 2015-11-12 株式会社I・D・F 芳香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10011A (ja) 2022-01-14
US20190282720A1 (en) 2019-09-19
JPWO2018016153A1 (ja) 2019-05-09
US11633515B2 (en) 2023-04-25
EP3488873A1 (en) 2019-05-29
US20230211033A1 (en) 2023-07-06
CN109475652A (zh) 2019-03-15
EP3488873A4 (en) 2019-08-07
JP7322938B2 (ja) 2023-08-08
KR20190032357A (ko) 2019-03-27
WO2018016153A1 (ja) 2018-01-25
JP6973390B2 (ja) 2021-11-24
US11110193B2 (en) 2021-09-07
EP3488873B1 (en) 2024-02-28
US20210353816A1 (en)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11033A1 (en) Aroma diffus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roma diffusing device
KR101908058B1 (ko) 전자담배
CN107734983B (zh) 电子烟
JP2021523797A (ja) 口腔洗浄器
GB2542642A (en) Power supply device for electronic atomizer
JP2020507311A (ja) 蒸気供給システム
JP4415022B2 (ja) 静電噴霧装置
US20070235555A1 (en) Electronic aerosol device
JP6353635B2 (ja) 分注装置
US20230149587A1 (en) Scent retaining structur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cent retaining structure, and scent providing device
CN105182806B (zh) 一种电器开关及控制电器的方法
US11122948B2 (en) Vacuum
EP3305157A1 (en) Vacuum
EP3945215A1 (en) Control unit for a pump
KR100765493B1 (ko) 정전 스프레이 장치
JP4743775B2 (ja) ジェットバスの制御装置
JP2022177516A (ja) ディスペンサ
JP3733581B2 (ja) アイロン
JP2005211266A (ja) 香発散電気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