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308B1 -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308B1
KR102397308B1 KR1020170069169A KR20170069169A KR102397308B1 KR 102397308 B1 KR102397308 B1 KR 102397308B1 KR 1020170069169 A KR1020170069169 A KR 1020170069169A KR 20170069169 A KR20170069169 A KR 20170069169A KR 102397308 B1 KR102397308 B1 KR 102397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law
link
lever
mai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3019A (ko
Inventor
임용혁
탁문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피에이치에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피에이치에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9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308B1/ko
Priority to US15/820,939 priority patent/US11008786B2/en
Priority to DE102017128857.0A priority patent/DE102017128857B4/de
Priority to CN201711274566.3A priority patent/CN108979366B/zh
Publication of KR20180133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20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46Electric or magnetic means in the striker or on the frame; Operating or controlling the striker plat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34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of 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66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bolt position, i.e. the latching st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90Manual override in case of power fail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44Multiple head
    • Y10T292/1045Operating means
    • Y10T292/1047Clo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75Operating means
    • Y10T292/1082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306Gear
    • Y10T292/308Swinging ca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베이스에 구비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기어의 회전에 의해 에버레버, 폴레버, 복수의 링크 및 신칭부재가 회동되어, 스트라이커가 상기 클로우에 락킹 또는 락킹해제되도록 하는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 {SWITCHGER OF LUGGAGE ROOM FOR VEHICLE}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트렁크의 잠금 및 해제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물건을 싣기 위해 러기지룸(Luggage Room)이 마련되고, 상기 러기지룸에는 트렁크리드 또는 테일게이트가 설치된다. 상기 트렁크리드 또는 테일게이트나 사람이 승하차 하는 도어 및 엔진룸에는 각각의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하는 후드가 있으며 각각의 도어에는 스트라이커와 잠금 및 해제되는 도어래치가 설치된다.
그 중에서도 러기지룸의 개폐를 위해 설치되는 트렁크리드 또는 테일게이트 래치의 경우, 사용자가 충분한 힘을 가하여 닫지 않은 경우 정상적으로 폐쇄가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고, 이러한 경우 일반적으로 운전석에 탑승 후 계기판의 시그널을 보고 파악하게 되며, 다시 트렁크리드 또는 테일게이트로 이동하여 개폐 상태를 확인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파워테일게이트 래치로 구동모터를 통해 테일게이트를 완전 잠금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다만, 기존에는 잠금과 개방을 위해서 각기 별도의 방향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2개의 구동모터가 설치되었으나 이는 부피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차체 내부에 탑재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JP 2008-13932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하나의 구동모터를 이용하면서도 트렁크 래치의 잠금 및 해제 기능을 모두 구현할 뿐만 아니라, 비상 개방기능을 함께 제공하는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는 일측에는 스트라이커가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한 제1삽입홀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타측에 위치되고, 구동모터에 의해 제1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메인기어; 상기 베이스의 제1삽입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으로 상기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제2삽입홀이 만입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홀 및 제2삽입홀에 상기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스트라이커를 락킹하도록 구비된 클로우; 상기 메인기어와 클로우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메인기어와 클로우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에러레버와, 상기 클로우를 락킹 또는 락킹해제하는 폴레버와, 상기 클로우가 상기 스트라이커를 락킹 또는 락킹해제하도록 동작하는 신칭부재; 및 상기 신칭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메인기어의 회전에 의해 동작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링크;를 포함한다.
상기 신칭부재에는 신칭핀이 형성되고, 상기 클로우에는 상기 신칭핀을 가이드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링크의 동작에 따라 상기 신칭핀이 상기 홈부를 따라 가압되어 이동됨으로써, 신칭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에러레버에는 상기 베이스의 좌우방향으로 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링크의 동작 시 상기 신칭핀이 상기 가이드슬릿 내에서 상기 홈부를 따라 가압되어 이동됨으로써, 신칭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링크는 제1링크와 제2링크로 구성되고, 상기 제1링크는 상기 베이스의 상하방향으로 위치되며, 상기 제1링크의 일단은 상기 에러레버를 가압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링크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2링크는 상기 베이스의 좌우방향으로 위치되고, 상기 제2링크의 일단은 상기 제1링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클로우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신칭부재는 상기 제2링크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기어의 회전 시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의 동작에 의해 상기 신칭부재의 신칭핀이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의 일단에는 릴리즈핀이 형성되고, 상기 에러레버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기어의 회전시 상기 릴리즈핀이 상기 에러레버의 걸림부를 가압하여 상기 에러레버와 폴레버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폴레버와 클로우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의 일단에는 걸림수단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기어의 회전 시 상기 걸림수단이 상기 에러레버의 걸림부를 가압하여 상기 에러레버와 폴레버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폴레버와 클로우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클로우에는 상기 클로우의 외주면을 따라 제1걸림턱 및 제2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폴레버가 상기 걸림턱에 단계적으로 걸림으로써, 상기 스트라이커의 단계적 락킹 또는 락킹해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클로우의 2단 락킹 상태를 감지하는 제1스위치, 상기 클로우의 1단 락킹 상태를 감지하는 제2스위치, 상기 메인기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3스위치 및 상기 제1스위치, 제2스위치 및 제3스위치로부터 위치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스위치, 제2스위치 및 제3스위치로부터 전달받은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제2스위치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하여 신칭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제1스위치의 신호가 입력되면, 신칭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제1스위치의 신호가 입력된 후, 상기 제3스위치의 신호가 입력되면 신칭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스위치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메인기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스위치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구동모터가 회전되도록 제어하여 초기세팅위치로 원상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스위치는 아자스위치의 역할을 수행하여, 별도로 구비되는 아자스위치를 삭제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에 따르면, 신칭 일체형 파워래치구조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모터와 메인기어를 이용하고, 링크구조를 통한 신칭 일체형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구조 단순화를 통한 부품수를 축소할 수 있어 원가 및 중량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신칭 일체형으로 작동력의 손실이 저감되며, 상기 메인기어가 시계방향(CW) 또는 반시계방향(CCW)로 회전되어 양방향 릴리즈를 구현할 수 있어 제품 품질 향상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폴레버와 클로우만으로도 1단 락킹 및 2단 락킹의 구현이 가능하고, 신칭핀은 신칭을 구현하는데에만 집중하여 사용됨으로써, 동작의 명확성 및 부품의 내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의 폐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개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1단 락킹 및 신칭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2단 락킹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인터럽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9는 에러레버의 제1실시예로 신칭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에러레버의 제2실시예로 신칭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의 폐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개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1단 락킹 및 신칭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2단 락킹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인터럽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8 내지 도 9는 에러레버(610)의 제1실시예로 신칭핀(681)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에러레버(610)의 제2실시예로 신칭핀(681)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는 일측에는 스트라이커(100)가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한 제1삽입홀(210)이 형성된 베이스(200); 상기 베이스(200)의 타측에 위치되고, 구동모터(300)에 의해 제1회전축(4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메인기어(400); 상기 베이스(200)의 제1삽입홀(210)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으로 상기 스트라이커(100)가 삽입되는 제2삽입홀(510)이 만입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홀(210) 및 제2삽입홀(510)에 상기 스트라이커(100)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스트라이커(100)를 락킹하도록 구비된 클로우(500); 상기 메인기어(400)와 클로우(500)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메인기어(400)와 클로우(500)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에러레버(610)와 상기 클로우(500)를 락킹 또는 락킹해제하는 폴레버(620)와 상기 클로우(500)가 상기 스트라이커(100)를 락킹 또는 락킹해제하도록 동작하는 신칭부재(680); 및 상기 신칭부재(680)가 설치되며 상기 메인기어(400)의 회전에 의해 동작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링크;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200)는 플레이트 형상이되, 모서리측이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200)의 내부에 각종 부품들이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물론, 환경이나 설계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베이스(200)의 커버(미도시)에 부품이 안착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200)의 일측에는 상기 스트라이커(100)가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한 제1삽입홀(210)이 형성된다. 상기 제1삽입홀(210)은 도면상 하방에서 상방으로 만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200)의 타측에는 상기 구동모터(300)의 구동에 의해 회전 가능한 상기 메인기어(400)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300)는 모터축(330)과 상기 모터축(330)에 형성된 웜기어(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또는 상기 구동모터(3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보조기어(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300)의 구동 시 상기 모터축(330)이 회전되고, 상기 모터축(3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웜기어(310)가 회전되며, 상기 웜기어(3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메인기어(400)가 상기 제1회전축(410)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또한, 상기 메인기어(400)에는 상기 복수의 링크(650,660)가 설치되는데, 상기 복수의 링크(650,660)는 제1링크(650)와 제2링크(660)로 구성된다. 상기 제1링크(650)는 상기 베이스(200)의 상하방향으로 위치되며, 상기 제1링크(650)의 일단은 상기 에러레버(610)를 가압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링크(66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2링크(660)는 상기 베이스(200)의 좌우방향으로 위치되고, 상기 제2링크(660)의 일단은 상기 제1링크(65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클로우(500)와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링크(650)는 상기 메인기어(400)의 회전축(410)에서 반경방향을 길이방향으로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링크(650)는 일단은 상기 메인기어(400)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기어(400)의 회전 시 회전되고, 타단은 상기 제2링크(660)와 핀결합되어 제1결합부(690)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링크(650)의 일단은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소정의 각도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650) 일단의 단부에는 상기 베이스(200)측으로 연장형성된 릴리즈핀(691)이 구비된다. 상기 릴리즈핀(691)은 상기 에러레버(610)를 가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에러레버(610)에는 걸림부(615)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기어(400)의 회전시 상기 릴리즈핀(691)이 상기 에러레버(610)의 걸림부(615)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에러레버(610)와 폴레버(620)가 상기 제3회전축(640)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폴레버(620)와 클로우(500)의 결합이 해제된다. 각각의 단계에서 동작에 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 릴리즈핀(691)은 핀의 형상이 아닌 걸림턱과 같은 걸림수단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에러레버(610)의 걸림부(615)를 가압할 수 있으면 형상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제2링크(660)의 일단은 상기 제1링크(650)에 핀결합되어 제1결합부(690)를 형성하고, 타단은 상기 클로우(500)의 제2회전축(590)에 회전 가능하도록 핀결합된다. 상기 신칭부재(680)는 상기 제2링크(660)에 형성될 수도 있고, 별물로 형성되어 상기 제2링크(66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신칭부재(680)와 상기 제2링크(660)는 제2결합부(670)를 통해 핀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기어(400)의 회전 시 상기 제1링크(650)가 회전되고, 상기 제1링크(65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2링크(660)가 동작되며, 상기 제2링크(66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신칭부재(680)의 신칭핀(681)이 동작된다. 따라서, 상기 제1링크(650)의 회전 시 상기 제2링크(660)는 상기 제1결합부(690)를 중심으로 동작되고, 상기 제2링크(660)의 회전시 상기 제2링크(660)에 결합된 상기 신칭부재(680)의 신칭핀(681)이 이동되어 신칭이 구현된다.
상기 에러레버(610)는 상기 메인기어(400)와 클로우(50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클로우(500)의 측면에 상기 베이스(200)의 상하방향을 길이방향으로하고, 상기 제3회전축(64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에러레버(610)는 일단은 상기 제3회전축(640)에 상기 폴레버(620)와 회동 가능하도록 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기어(400)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에러레버(610)의 타단에는 상기 제1링크(650)의 릴리즈핀(691)에 접촉 또는 해제되어 상기 릴리즈핀(691)에 의해 가압 가능하도록 하는 상기 걸림부(615)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615)는 상기 릴리즈핀(691) 측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기 릴리즈핀(691)이 상기 걸림부(615)의 가압 시 상기 릴리즈핀(691)이 상기 걸림부(615)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에러레버(610)에는 상기 베이스(200)의 좌우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도록 연장부(613)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613)는 상기 메인기어(400)와 클로우(500)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상기 클로우(500)에는 상기 신칭핀(681)을 가이드하기 위한 상기 제2회전축(590)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완만한 반구형상이되, 상기 신칭핀(681)이 걸림 가능하여 이탈되지 않는 형상의 홈부(59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300)의 회전 시 상기 복수의 링크의 동작에 따라 상기 신칭핀(681)이 상기 홈부(591)를 따라 가압되어 이동됨으로써, 신칭이 구현되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에러레버(610)의 연장부(613)에는 상기 연장부(613)의 형상을 따라 가이드슬릿(611)이 상기 베이스(200)의 좌우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링크(650,660)의 동작 시 상기 신칭핀(681)이 상기 가이드슬릿(611) 내에서 상기 홈부(591)를 따라 가압되어 이동됨으로써, 신칭이 구현되게 된다. 특히, 상기 가이드슬릿(611)은 상기 신칭핀(681)의 가이드가 용이한 원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에러레버(610)의 실시예에 대하여는 도 8 내지 10에 도시하였다.
상기 신칭부재(680)는 상기 제2링크(660)와 베이스(200)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신칭부재(680)에는 신칭핀(681)이 상기 베이스(200)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클로우(500)의 홈부(591)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상기한 제일실시예의 에러레버(610)의 경우에는 상기 에러레버(610)의 연장부(630)의 상면이 가이드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신칭핀(681)이 상기 홈부(591)를 따라 이동 시 상기 에러레버(610)의 연장부(630)의 상면에 형성된 굴곡을 따라 가이드되게 된다. 이때에는 상기 제2링크(660)와 신칭부재(680) 사이에 제2탄성부재(730)를 설치하여 신칭핀(681)의 이동을 보조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제이실시예의 에러레버(610)의 경우에는 상기 에러레버(610)의 연장부(630)에 상기 가이드슬릿(611)이 형성되어 상기 신칭핀(681)이 상기 홈부(591)를 따라 이동시 상기 가이드슬릿(611) 내를 이동하여 가이드된다. 이때에는 상기 에러레버(610)와 폴레버(620) 사이에 상기 제2탄성부재(730)가 설치되어 상기 신칭핀(681)의 이동을 보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신칭핀(681)의 이동 시 상기 클로우(500)와 에러레버(610)의 사이에는 회전보조부재(570)가 설치되어 상기 클로우(500)의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폴레버(620)는 상기 베이스(200)에 상기 에러레버(610)와 함께 상기 제3회전축(64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폴레버(620)는 상기 베이스(200)와 에러레버(610) 사이에 위치된다. 특히, 상기 폴레버(620)에는 상기 클로우(500)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클로우(500)의 회전을 저지 또는 허용하도록 걸림돌기(621)가 형성되고, 상기 폴레버(620)에는 상기 베이스(200) 측에 상기 베이스(200)의 반대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회전돌기(623)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에러레버(610)의 회전 시 상기 에러레버(610)가 상기 회전돌기(623)에 걸림으로써, 상기 폴레버(620)와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3회전축(640)에는 상기 에러레버(610)와 폴레버(620)를 상기 클로우(500)측으로 가압하는 제3탄성부재(750)가 설치된다.
상기 클로우(500)에는 상기 클로우(500)의 외주면을 따라 제1걸림턱(530), 제2걸림턱(550)이 형성되어, 상기 폴레버(620)의 걸림돌기(621)가 상기 걸림턱(530,550)에 단계적으로 걸림으로써, 상기 스트라이커(100)의 단계적 락킹 또는 락킹해제가 구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걸림턱(530)에 상기 걸림돌기(621)가 걸린 상태를 1단 락킹(Half Locking) 상태라고 하고, 상기 제2걸림턱(550)에 상기 걸림돌기(621)가 걸린 상태를 2단 락킹(Full Locking) 상태라고 한다. 따라서, 상기 폴레버(620)와 클로우(500)만으로도 1단 락킹과 2단 락킹을 모두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신칭핀(681)은 신칭을 구현하기 위하여 작동된다.
또한, 상기 클로우(500)의 제2회전축(590)에는 상기 클로우(500)를 상기 제1삽입홀(210)측으로 상시 가압하는 상태로 조립되는 제1탄성부재(710)가 설치되어 상기 클로우(500)가 항상 상기 제1삽입홀(210)측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상기 제3회전축(640)에 설치된 상기 제3탄성부재(750)가 상기 폴레버(620)를 상기 제1삽입홀(210)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클로우(500)의 제2회전축(590)에 설치된 상기 제1탄성부재(710)가 상기 클로우(500)를 상기 제1삽입홀(210)측으로 가압한다. 그러므로 상기 폴레버(620)와 클로우(500)가 상기 스트라이커(100)를 락킹한 상태로 유지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제2탄성부재(730) 및 제3탄성부재(750)는 각각 설치되어 상기 폴레버(620)와 에러레버(610) 각각의 회전을 보조할 수도 있고, 환경이나 설계에 따라 하나의 탄성부재만 연결되어 하나의 탄성부재만으로도 구현 가능할 것이다.
차량의 트렁크리드 또는 테일게이트에는 비상핸들(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비상핸들은 상기 에레버(61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차량의 키를 이용하여 트렁크리드 또는 테일게이트를 개방하거나 상기 비상핸들의 작동으로 인한 상기 트렁크리드 또는 테일게이트의 개방시 상기 비상핸들과 연결된 와이어(800)가 당겨져 상기 비상핸들이 회전됨으로써, 상기 비상핸들과 맞닿아있는 에러레버(610)가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비상핸들은 상기 에러레버(610)와 연결된 링크(미도시)와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에러레버(61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비상핸들의 동작으로 인해 상기 에러레버(610)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폴레버(620)가 회전되어, 상기 폴레버(620)와 상기 클로우(500) 간의 접촉이 해제되어 상기 클로우(500)가 회전되어 상기 스트라이커(100)가 상기 클로우(500)로부터 락킹 해제되게 된다.
상기 베이스(200)에는 상기 클로우(500)의 2단 락킹 상태를 감지하는 제1스위치(910), 상기 클로우(500)의 1단 락킹 상태를 감지하는 제2스위치(930), 상기 메인기어(400)의 초기위치를 감지하는 제3스위치(950) 및 상기 제1스위치(910), 제2스위치(930) 및 제3스위치(950)로부터 위치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구동모터(300)를 제어하는 제어부(90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스위치(910)는 상기 폴레버(620)와 인접한 지점에 위치되어 상기 폴레버(620)의 변화된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2스위치(930)는 상기 에러레버(610)의 연장부(613)와 인접된 지점에 위치되어 상기 에러레버(610)의 연장부(613)의 변화된 위치를 감지하며, 상기 제3스위치(950)는 상기 메인기어(400)와 인접된 지점에 위치되어 상기 메인기어(400)의 현재위치 또는 변화된 위치를 감지한다. 상기 제1스위치(910)는 상기 클로우(500)와 인접한 지점에 위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메인기어(400)에는 캠 형상의 위치인식부재(43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스위치(950)는 상기 위치인식부재(430)를 통해 변화된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제1스위치(910), 제2스위치(930) 및 제3스위치(950)로부터 전달은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300)의 구동을 제어하여 신칭을 구현한다. 따라서, 상기 스트라이커(100)의 상기 제1삽입홀(210) 및 제2삽입홀(510)에 삽입 시, 상기 폴레버(620)가 회전되고, 회전된 상기 폴레버(620)의 위치변화가 상기 제2스위치(930)에 감지되어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구동모터(300)를 구동하여 신칭을 시작한다. 그 후, 상기 제어부(900)에 상기 제1스위치(910)의 신호가 입력되거나 또는 상기 제1스위치(910)의 신호가 입력된 후 상기 제3스위치(930)의 신호가 입력되면, 신칭을 종료한다.
그리고 상기 트렁크리드 또는 테일게이트의 개방 시, 상기 클로우(500)로부터 상기 스트라이커(100)의 이탈이 완료되면, 상기 제3스위치(950)에 의해 상기 메인기어(400)의 위치변화 또는 현재위치가 상기 제어부(900)에 입력된다. 또한, 양방향으로 회전되는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900)에서 상기 구동모터(300)가 회전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메인기어(400)의 세팅위치가 원상복귀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900)에서는 트렁크리드 또는 테일게이트의 개방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구동모터(300)를 작동하여 상기 제1링크(650)의 릴리즈핀(691)이 상기 에러레버(610)의 걸림부(615)를 가압하도록 하여 상기 에러레버(610)가 회전되도록함으로써, 상기 폴레버(620)가 회전되고 상기 폴레버(6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클로우(500)가 회전되어 상기 스트라이커(100)의 락킹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제1스위치(910)는 아자스위치(AJAR SWITCH)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어, 차량의 트렁크리드 또는 테일게이트에 별도로 구비되는 아자스위치를 삭제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가 단방향으로 회전될 때와 양방향으로 회전될 때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가 단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할 때를 설명하도록 한다.
첫번째로, 차량의 트렁크리드 또는 테일게이트가 폐쇄된 상태에서 개방완료되는 개방 매커니즘을 도 1(폐쇄 상태)과 도 2(개방 상태)를 통해 설명한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개방 시에는 차량의 트렁크리드 또는 테일게이트가 폐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개방신호를 보내면, 상기 메인기어(400)가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링크(650)의 릴리즈핀(691)이 상기 에러레버(610)의 걸림부(615)를 가압하여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에러레버(610)가 상기 베이스(200)의 외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에러레버(610)에 의해 상기 폴레버(620)의 회전돌기(623)가 가압되어 상기 폴레버(620)가 상기 클로우(500)로부터 멀어지는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클로우(500)가 상기 제2회전축(59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되어 상기 스트라이커(100)가 상기 제1삽입홀(210) 및 제2삽입홀(510)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트렁크리드 또는 테일게이트가 개방된다.
두번째로, 차량의 트렁크리드 또는 테일게이트가 개방된 상태에서 폐쇄되는 신칭 매커니즘을 도 2(개방 상태), 도 3(1단 락킹 및 신칭 상태), 도 4(2단 락킹 상태) 및 도 1(폐쇄 상태)을 통해 설명한다.
상기한 개방 매커니즘에서 상기 테일게이트가 완전히 개방된 도 2의 상태에서 상기 에러레버(610), 폴레버(620)는 상기 클로우(500)의 반대측으로 이동된 상태이며, 상기 폴레버(620)와 클로우(500)는 접촉이 해제된 상태이다. 상기 신칭부재(680)의 신칭핀(681)는 상기 에러레버(610) 연장부(613)의 가이드슬릿(611)의 상기 클로우(500)측에 위치된다. 상기 클로우(500)의 제2삽입홀(510)은 개방된 상태이므로 상기 스트라이커(100)는 이탈된 상태이다(도 2).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테일게이트를 가압하여 폐쇄하면, 상기 테일게이트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차체에 형성된 상기 스트라이커(100)가 상기 베이스(200)의 제1삽입홀(210) 및 상기 클로우(500)의 제2삽입홀(510)에 삽입된 후 상기 클로우(500)를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가압되는 힘에 의해 상기 클로우(500)가 시계방향(CW)으로 회전되어 도 3의 1단 락킹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에러레버(610)는 상기 제2탄성부재(730)에 의해 반시계방향(CCW)으로 모멘트가 작용하여 상기 신칭부재(680)의 신칭핀(681)은 상기 클로우(500)의 1단 락킹 시 상기 에러레버(610)의 가이드슬릿(611)에 위치하여 신칭을 위한 위치로 슬라이딩되어 위치된다(도 3).
상기한 1단 락킹 상태에서는 상기 폴레버(620)의 걸림돌기(621)와 상기 클로우(500)의 제1걸림턱(530)이 걸려 1단 락킹 상태를 구현한다. 상기 제어부(900)는 1단 락킹을 감지하는 상기 제2센서(930)로부터 신칭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모터(300)를 구동하여 신칭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메인기어(400)를 반시계방향(CCW)으로 구동하여 상기 제1링크(650) 및 제2링크(660)가 회전되어 상기 신칭부재(680)의 신칭핀(681)이 상기 에러레버(610) 연장부(613)의 가이드슬릿(611) 내에서 슬라이딩되게 된다. 상기 에러레버(610)는 상기 제2탄성부재(730)에 의해 시계방향(CW)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링크(660)가 제2회전축(590)을 따라 시계방향(CW)으로 회전되어 2단 락킹 상태가 된다(도 4).
도 4는 2단 락킹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의 상태에서 상기 제2스위치(920)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메인기어(400)는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되어 신칭을 구현하게 된다. 즉, 상기 제2링크(660)의 신칭부재(680)가 상기 메인기어(4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클로우(500)가 상기 제2회전축(590)을 기준으로 시계방향(CW)으로 회전되어 상기 폴레버(620)의 걸림돌기(621)와 상기 클로우(500)의 제2걸림턱(550)이 만나 2단 락킹이 구현되는 것이다. 이때, 2단 락킹을 감지하는 상기 제1스위치(910)의 신호가 상기 제어부(900)에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구동모터(300)의 구동을 중지하고, 신칭을 완료하게 된다. 또는, 상기 제1스위치(910)의 신호가 상기 제어부(900)에 전달된 후 상기 제3스위치(930)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구동모터(300)의 구동을 중지하고, 신칭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스위치(930)의 신호는 트렁크리드 또는 테일게이트가 오픈될 경우를 위하여 상기 제1링크(650)가 상기 에러레버(610)를 가압하기 이전에 감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단방향 회전에서는 상기 제1스위치(910)의 신호를 받고 바로 신칭을 종료하거나 상기 제1스위치(910)의 신호가 전달된 후 상기 제3스위치(930)의 신호가 전달되면 신칭을 종료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설계하여 신칭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신칭 완료 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신칭완료 후에는 상기 제어부(900)에서는 상기 제3스위치(950)의 신호를 받아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구동모터(300)를 구동하여 상기 메인기어(400)를 반시계방향(CCW)인 단방향으로만 회전시켜 신칭을 구현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5는 인터럽트 동작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도 2 내지 도 4 및 도 1에서와 같이, 신칭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키로 테일게이트를 열거나, 비상핸들을 통해 수동으로 테일게이트를 개방하는 상황이 발생되면, 상기 에러레버(610)와 연결된 상기 와이어(800)가 의해 당겨져서 개방이 수행되는 단계로 상기 제어부(900)에서는 인터럽트 상황이라고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900)에서 인터럽트 상황이라고 판단하면,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비상핸들에 의해 상기 에러레버(610)가 상기 제3회전축(64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되어 상기 클로우(500)를 지지하고 있던 상기 폴레버(620)가 상기 클로우(500)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스트라이커(100)가 상기 베이스(200)의 제1삽입홀(210) 및 상기 클로우(500)의 제2삽입홀(510)로부터 이탈되어 락킹이 해제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가 양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할 때를 설명하도록 한다.
첫번째로, 차량의 테일게이트가 폐쇄된 상태에서 개방완료되는 개방 매커니즘을 도 7(폐쇄 상태)과 도 6(개방 상태)를 통해 설명한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개방 시에는 차량의 테일게이트가 폐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개방신호를 보내면, 상기 메인기어(400)가 시계방향(CW)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링크(650)의 릴리즈핀(691)이 상기 에러레버(610)의 걸림부(615)를 가압하여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에러레버(610)가 상기 베이스(200)의 외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에러레버(610)에 의해 상기 폴레버(620)의 회전돌기(623)가 가압되어 상기 폴레버(620)가 상기 클로우(500)로부터 멀어지는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클로우(500)가 상기 제2회전축(59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되어 상기 스트라이커(100)가 상기 제1삽입홀(210) 및 제2삽입홀(510)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테일게이트가 개방된다. 상기 테일게이트의 개방완료 후에는 상기 제3스위치(950)와 상기 위치인식부재(430)의 신호에 의해 상기 메인기어(400)가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되어 초기 위치로 원복되게 된다.
두번째로, 차량의 테일게이트가 개방된 상태에서 폐쇄되는 신칭 매커니즘을 도 6(개방 상태), 도 3(1단 락킹 및 신칭 상태), 도 4(2단 락킹 상태) 및 도 7(폐쇄 상태)을 통해 설명한다.
상기한 개방 매커니즘에서 상기 테일게이트가 완전히 개방된 도 6의 상태에서 상기 에러레버(610), 폴레버(620)는 상기 클로우(500)의 반대측으로 이동된 상태이며, 상기 폴레버(620)와 클로우(500)는 접촉이 해제된 상태이다. 상기 신칭부재(680)의 신칭핀(681)는 상기 에러레버(610) 연장부(613)의 가이드슬릿(611)의 상기 클로우(500)측에 위치된다. 상기 클로우(500)의 제2삽입홀(510)은 개방된 상태이므로 상기 스트라이커(100)는 이탈된 상태이다(도 2).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테일게이트를 가압하여 폐쇄하면, 상기 테일게이트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차체에 형성된 상기 스트라이커(100)가 상기 베이스(200)의 제1삽입홀(210) 및 상기 클로우(500)의 제2삽입홀(510)에 삽입된 후 상기 클로우(500)를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가압되는 힘에 의해 상기 클로우(500)가 시계방향(CW)으로 회전되어 도 3의 1단 락킹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에러레버(610)는 상기 제2탄성부재(730)에 의해 반시계방향(CCW)으로 모멘트가 작용하여 상기 신칭부재(680)의 신칭핀(681)은 상기 클로우(500)의 1단 락킹 시 상기 에러레버(610)의 가이드슬릿(611)에 위치하여 신칭을 위한 위치로 슬라이딩되어 위치된다(도 3).
상기한 1단 락킹 상태에서는 상기 폴레버(620)의 걸림돌기(621)와 상기 클로우(500)의 제1걸림턱(530)이 걸려 1단 락킹 상태를 구현한다. 상기 제어부(900)는 1단 락킹을 감지하는 상기 제2센서(930)로부터 신칭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모터(300)를 구동하여 신칭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메인기어(400)를 반시계방향(CCW)으로 구동하여 상기 제1링크(650) 및 제2링크(660)가 회전되어 상기 신칭부재(680)의 신칭핀(681)이 상기 에러레버(610) 연장부(613)의 가이드슬릿(611) 내에서 슬라이딩되게 된다. 상기 에러레버(610)는 상기 제2탄성부재(730)에 의해 시계방향(CW)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링크(660)가 제2회전축(590)을 따라 시계방향(CW)으로 회전되어 2단 락킹 상태가 된다(도 4).
도 4는 2단 락킹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의 상태에서 상기 제2스위치(920)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메인기어(400)는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되어 신칭을 구현하게 된다. 즉, 상기 제2링크(660)의 신칭부재(680)가 상기 메인기어(4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회전축(590)은 시계방향(CW)으로 회전되어 상기 폴레버(620)의 걸림돌기(621)와 상기 클로우(500)의 제2걸림턱(550)이 만나 2단 락킹이 구현되는 것이다. 이때, 2단 락킹을 감지하는 상기 제1스위치(910)의 신호가 상기 제어부(900)에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구동모터(300)의 구동을 중지하고, 신칭을 완료하게 된다.
도 7은 신칭 완료 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신칭완료 후에는 상기 메인기어(400)를 초기 위치로 원복시키는 신호를 감지하는 상기 제3센서(950)의 신호를 받아 위치를 인지하여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구동모터(300)를 구동하여 상기 메인기어(400)를 신칭 시 회전하는 반대방향인 시계방향(CW)으로 회전시켜 초기위치로 원복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5는 인터럽트 동작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도 6, 도 3, 도 4 및 도 7에서와 같이, 신칭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키로 테일게이트를 열거나, 비상핸들을 통해 수동으로 테일게이트를 개방하는 상황이 발생되면, 상기 에러레버(610)와 연결된 상기 와이어(800)가 의해 당겨져서 개방이 수행되는 단계로 상기 제어부(900)에서는 인터럽트 상황이라고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900)에서 인터럽트 상황이라고 판단하면,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비상핸들에 의해 상기 에러레버(610)가 상기 제3회전축(64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되어 상기 클로우(500)를 지지하고 있던 상기 폴레버(620)가 상기 클로우(500)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스트라이커(100)가 상기 베이스(200)의 제1삽입홀(210) 및 상기 클로우(500)의 제2삽입홀(510)로부터 이탈되어 락킹이 해제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일실시예 및 제이실시예의 각 동작에서 상기 제2스위치(930)는 상기 에러레버(610) 가이드슬릿(611)의 원호형상의 외측부분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900)에게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는, 신칭 일체형 파워래치구조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모터(300)와 메인기어(400)를 이용하고, 링크구조를 통한 신칭 일체형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구조 단순화를 통한 부품수를 축소할 수 있어 원가 및 중량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신칭 일체형으로 작동력의 손실이 저감되며, 상기 메인기어(400)가 시계방향(CW) 또는 반시계방향(CCW)로 회전되어 양방향 릴리즈를 구현할 수 있어 제품 품질 향상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폴레버(620)와 클로우(500)만으로도 1단 락킹 및 2단 락킹의 구현이 가능하고, 신칭핀(681)은 신칭을 구현하는데에만 집중하여 사용됨으로써, 동작의 명확성 및 부품의 내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스트라이커 200 : 베이스
210 : 제1삽입홀 300 : 구동모터
310 : 웜기어 330 : 모터축
400 : 메인기어 410 : 제1회전축
430 : 위치인식부재 450 : 보조기어
500 : 클로우 510 : 제2삽입홀
530 : 제1걸림턱 550 : 제2걸림턱
570 : 회전보조부재 590 : 제2회전축
591 : 홈부 610 : 에러레버
611 : 가이드슬릿 613 : 연장부
615 : 걸림부 620 : 폴레버
621 : 걸림돌기 623 : 회전돌기
640 : 제3회전축 650 : 제1링크
660 : 제2링크 670 : 제2결합부
680 : 신칭부재 681 : 신칭핀
690 : 제1결합부 691 : 릴리즈핀
710 : 제1탄성부재 730 : 제2탄성부재
750 : 제3탄성부재 800 : 와이어
900 : 제어부 910 : 제1스위치
930 : 제2스위치 950 : 제3스위치

Claims (15)

  1. 일측에는 스트라이커가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한 제1삽입홀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타측에 위치되고, 구동모터에 의해 제1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메인기어;
    상기 베이스의 제1삽입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으로 상기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제2삽입홀이 만입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홀 및 제2삽입홀에 상기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스트라이커를 락킹하도록 구비된 클로우;
    상기 메인기어와 클로우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메인기어와 클로우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에러레버와, 상기 클로우를 락킹 또는 락킹해제하는 폴레버와, 상기 클로우가 상기 스트라이커를 락킹 또는 락킹해제하도록 동작하는 신칭부재; 및
    상기 신칭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메인기어의 회전에 의해 동작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신칭부재에는 신칭핀이 형성되고, 상기 클로우에는 상기 신칭핀을 가이드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링크의 동작에 따라 상기 신칭핀이 상기 홈부를 따라 가압되어 이동됨으로써, 신칭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러레버에는 상기 베이스의 좌우방향으로 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링크의 동작 시 상기 신칭핀이 상기 가이드슬릿 내에서 상기 홈부를 따라 가압되어 이동됨으로써, 신칭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링크는 제1링크와 제2링크로 구성되고, 상기 제1링크는 상기 베이스의 상하방향으로 위치되며, 상기 제1링크의 일단은 상기 에러레버를 가압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링크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2링크는 상기 베이스의 좌우방향으로 위치되고, 상기 제2링크의 일단은 상기 제1링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클로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신칭부재는 상기 제2링크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기어의 회전 시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의 동작에 의해 상기 신칭부재의 신칭핀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의 일단에는 릴리즈핀이 형성되고, 상기 에러레버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기어의 회전시 상기 릴리즈핀이 상기 에러레버의 걸림부를 가압하여 상기 에러레버와 폴레버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폴레버와 클로우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의 일단에는 걸림수단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기어의 회전 시 상기 걸림수단이 상기 에러레버의 걸림부를 가압하여 상기 에러레버와 폴레버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폴레버와 클로우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로우에는 상기 클로우의 외주면을 따라 제1걸림턱 및 제2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폴레버가 상기 제1걸림턱 및 제2걸림턱에 단계적으로 걸림으로써, 상기 스트라이커의 단계적 락킹 또는 락킹해제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클로우의 2단 락킹 상태를 감지하는 제1스위치, 상기 클로우의 1단 락킹 상태를 감지하는 제2스위치, 상기 메인기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3스위치 및 상기 제1스위치, 제2스위치 및 제3스위치로부터 위치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스위치, 제2스위치 및 제3스위치로부터 전달받은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제2스위치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하여 신칭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제1스위치의 신호가 입력되면, 신칭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제1스위치의 신호가 입력된 후, 상기 제3스위치의 신호가 입력되면 신칭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스위치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메인기어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스위치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구동모터가 회전되도록 제어하여 초기세팅위치로 원상복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는 아자스위치의 역할을 수행하여, 별도로 구비되는 아자스위치를 삭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
KR1020170069169A 2017-06-02 2017-06-02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 KR102397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169A KR102397308B1 (ko) 2017-06-02 2017-06-02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
US15/820,939 US11008786B2 (en) 2017-06-02 2017-11-22 Trunk lid latch assembly for vehicle
DE102017128857.0A DE102017128857B4 (de) 2017-06-02 2017-12-05 Heckklappenverschluss-Baugruppe für ein Fahrzeug
CN201711274566.3A CN108979366B (zh) 2017-06-02 2017-12-06 车辆的行李箱盖锁栓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169A KR102397308B1 (ko) 2017-06-02 2017-06-02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019A KR20180133019A (ko) 2018-12-13
KR102397308B1 true KR102397308B1 (ko) 2022-05-13

Family

ID=64278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169A KR102397308B1 (ko) 2017-06-02 2017-06-02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08786B2 (ko)
KR (1) KR102397308B1 (ko)
CN (1) CN108979366B (ko)
DE (1) DE102017128857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18299A1 (de) * 2015-09-29 2017-03-30 Magna Closures S.P.A. Ein-Motor-Verriegelungsanordnung mit Kraft-Anzug und Kraft-Entriegelung mit einer weichen Öffnungsfunktion
US11072949B2 (en) * 2016-09-23 2021-07-27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Powered latch mechanism with manual release
DE202016106308U1 (de) * 2016-11-10 2018-02-14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
KR102706237B1 (ko) * 2016-12-19 2024-09-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
KR102681700B1 (ko) * 2018-10-31 2024-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워 랫치 장치
CZ308266B6 (cs) * 2019-01-22 2020-04-01 Brano A.S. Ovládací mechanismus západky zámku
KR102196246B1 (ko) * 2019-08-16 2020-12-29 평화정공(주) 인터럽팅 기능을 갖는 차량용 래치장치
WO2021049684A1 (ko) * 2019-09-11 2021-03-18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레치장치
CN110685516B (zh) * 2019-11-06 2024-08-20 广东精益专用汽车有限公司 一种增大力臂的厢式车用门杆锁
KR20220016330A (ko) * 2020-07-30 2022-0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CN112227851A (zh) * 2020-11-16 2021-01-15 上海恩井汽车科技有限公司 锁装置及汽车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73260A (ja) * 2013-03-06 2014-09-22 Mitsui Kinzoku Act Corp ドアラッ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80342A1 (fr) * 1980-04-14 1981-10-16 Renault Mecanisme de serrure electrique pour la portee de coffre d'un vehicule automobile
DE19530728A1 (de) 1995-08-18 1997-02-20 Kiekert Ag Kraftfahrzeugverschluß
US6422615B1 (en) * 1998-07-20 2002-07-23 Mannesmann Vdo Ag Closure device with shutting aid
DE10065569B4 (de) * 1999-12-28 2007-12-20 Ohi Seisakusho Co., Ltd., Yokohama Vorrichtung zum Öffnen und Schließen von Kraftfahrzeugschlössern
JP4358416B2 (ja) 2000-08-24 2009-11-04 アスモ株式会社 扉体の施解錠装置
JP4583634B2 (ja) * 2001-02-26 2010-11-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ドア開閉装置
US6637783B2 (en) * 2001-05-14 2003-10-28 Ohi Seisakusho Co., Ltd.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vehicle lock apparatus
JP3964644B2 (ja) * 2001-10-10 2007-08-22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車両用開閉体の駆動制御装置
JP4566037B2 (ja) * 2005-03-14 2010-10-20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ドアラッチ装置
JP4755544B2 (ja) 2006-07-03 2011-08-24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WO2008039935A2 (en) * 2006-09-27 2008-04-03 Strattec Power Access Llc Uni-directional cinching latch assembly and method of operating a cinching latch assembly
JP2009161959A (ja) * 2007-12-28 2009-07-23 Yazaki Corp 車両用ドア開閉システム
JP5682004B2 (ja) * 2010-05-11 2015-03-11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ラッチ装置
DE102012102724A1 (de) * 2012-03-29 2013-10-0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JP6017857B2 (ja) * 2012-06-25 2016-11-02 アイシン機工株式会社 車両用リッドロック装置
CN105378200B (zh) * 2013-07-17 2018-05-15 麦格纳覆盖件有限公司 应用于动力系拉和闩锁机构的双马达装置
CN104153658B (zh) * 2014-07-30 2017-02-08 上海恩坦华汽车门系统有限公司 一种带自动回位功能的锁机构
KR101673685B1 (ko) * 2014-10-28 2016-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101664676B1 (ko) * 2015-03-27 2016-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KR101836620B1 (ko) * 2016-04-21 2018-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씬칭래치 조립체
WO2018030556A2 (ko) * 2016-08-09 2018-02-15 평화정공 주식회사 트렁크용 래치장치
KR101836696B1 (ko) * 2016-09-12 2018-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래치장치
US11072949B2 (en) * 2016-09-23 2021-07-27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Powered latch mechanism with manual release
KR102681036B1 (ko) * 2016-12-19 2024-07-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73260A (ja) * 2013-03-06 2014-09-22 Mitsui Kinzoku Act Corp ドアラ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7128857A1 (de) 2018-12-06
DE102017128857B4 (de) 2022-05-19
CN108979366A (zh) 2018-12-11
KR20180133019A (ko) 2018-12-13
US20180347239A1 (en) 2018-12-06
CN108979366B (zh) 2021-12-24
US11008786B2 (en) 202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7308B1 (ko) 차량용 러기지룸의 개폐장치
KR102681036B1 (ko)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
CN110029890B (zh) 带动力释放和双阶段系拉功能的闩锁组件
KR102706237B1 (ko)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
US20240110411A1 (en) Latch assembly with power release and dual stage cinch function
CN107916847B (zh) 包括具有棘轮保持功能的系拉机构的电力闭合闩锁组件
KR101918367B1 (ko)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KR101795252B1 (ko)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US11441336B2 (en) Motor-driven door latch for vehicle
KR101916048B1 (ko) 자동차 아웃사이드 핸들용 도어 래치 장치
KR20120069586A (ko) 자동차의 해치 장치 작동 방법
JP2002106249A (ja) ドアの自動開閉装置
KR20180072013A (ko)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
KR101308494B1 (ko)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KR102416598B1 (ko)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KR20220016330A (ko)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JP3820246B2 (ja) 車両用ドアの開閉制御装置
KR100546553B1 (ko) 조작 장치에 의해 외력 작동식으로 개방되는 차량 루프의 제어 방법
KR20200141639A (ko) 테일 게이트와 트렁크에 적용되는 래치
JP2591711Y2 (ja) トランクロック装置
KR102398875B1 (ko)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KR100372459B1 (ko) 차량의 도어잠금장치
KR20240119278A (ko) 자동차 잠금장치, 특히 자동차 도어 잠금장치
JPH10212852A (ja) 扉体の施解錠装置
KR20240121270A (ko) 자동차 잠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