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073B1 - 리턴 루프를 가지는 우유 거품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리턴 루프를 가지는 우유 거품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073B1
KR102391073B1 KR1020187027601A KR20187027601A KR102391073B1 KR 102391073 B1 KR102391073 B1 KR 102391073B1 KR 1020187027601 A KR1020187027601 A KR 1020187027601A KR 20187027601 A KR20187027601 A KR 20187027601A KR 102391073 B1 KR102391073 B1 KR 102391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
channel
froth
temperature control
froth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7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0710A (ko
Inventor
보리스 즈윅크
Original Assignee
우베르모르겐 이노베이션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826661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39107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우베르모르겐 이노베이션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우베르모르겐 이노베이션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120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85Nozzles dispensing heated and foamed milk, i.e. milk is sucked from a milk container, heated and foamed inside the device, and subsequently dispensed from the nozz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89Steam nozzles, e.g. for introducing into a milk container to heat and foam mil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9Details of hydraulic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A47J31/5253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of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유 거품 발생장치(2)에 관한 것으로서, 우유 용기(6)로부터 우유 배출구 헤드(8)로의 우유 흐름 방향(28)으로 우유(10)를 인도하기 위한 우유 채널(4), 상기 우유 채널(4)에서의 우유(10)를 공기(2)를 함유하는 우유 거품(12)으로 전환하기 위한 거품 형성부(16), 상기 거품 형성부(16)로부터 상기 우유 거품(12)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온도 제어 요소(24), 및 상기 우유 흐름 방향(28)에서 볼 때, 상기 온도 제어 요소(24)와 상기 우유 배출구 헤드(8) 사이의 우유 채널(4)로부터 상기 온도 제어 요소(24)의 업스트림에 있는, 우유 채널(4)에서의 한 점으로 갈라지는 리턴 채널(26)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리턴 루프를 가지는 우유 거품 발생장치
본 발명은 우유 거품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유 거품 발생장치는 DE 10 2008 058 934 B4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러한 우유 거품 발생장치는 우유 용기로부터 우유 배출구 헤드(outlet head)로의 우유 흐름 방향에서 우유를 인도하기 위한 우유 채널, 공기를 담고 있는 우유 거품으로 우유 채널에서의 우유를 전환하기 위해 우유 채널에 있는 거품 형성부, 및 거품 형성부로부터 우유 거품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온도 제어 요소를 포함한다.
DE 10 2008 058 934 B4는 온도 제어 요소 다음에 솔레노이드 밸브가 있는 우유 채널에서의 우유 거품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을 교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알려진 우유 거품 발생장치를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우유 거품 발생장치는 우유 용기로부터 우유 배출구 헤드로의 우유 흐름 방향에서 우유를 인도하기 위한 우유 채널, 공기를 담고 있는 우유 거품으로 우유 채널에서의 우유를 전환하기 위해 우유 채널에 있는 거품 형성부, 거품 형성부로부터 우유 거품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온도 제어 요소, 그리고 우유 흐름 방향에서 보았을 때 온도 제어 요소와 우유 배출구 헤드 사이의 우유 채널로부터 온도 제어 요소의 우유 채널 업스트림(upstream)에서의 한 점(point)으로 갈라지는 리턴 채널을 포함한다.
상기 우유 거품 발생장치는 최신식의 우유 흐름의 차단이 온도 제어 요소에서 우유 및/또는 우유 거품이 남아 있게 한다는 생각에 기초한다. 이는 우유를 차단하는 것이 우유 흐름이 화학적으로 변경되고, 예를 들면 타는 것(burning)을 초래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우유 거품 발생장치에서의 탄 찌꺼기와 같은, 결과로서 초래된 침전물은 우유 거품 발생장치가 다시 작동할 때 우유 흐름으로 인해 씻겨 내려가거나 우유 거품 발생장치를 조만간 더럽힌다.
본 발명의 우유 거품 발생장치는 우유 흐름을 차단하지 않고, 리턴 루프를 사용하여 계속 순환하게 하는 제안을 가지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이를 위해, 리턴 채널은 심지어 우유 거품 발생장치의 전원이 꺼진 후에도, 적어도 잔류물이 형성되지 않도록 온도 제어 요소가 적절한 저장 조건으로 설정되어 있는 한 우유가 계속해서 흐르게끔 설계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우유 거품 발생장치는 리턴 채널을 잠그게끔 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차단(shut-off) 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식으로, 리턴 채널은 정상적인 작동시에, 즉 우유 거품 발생장치가 우유 거품을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될 때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우유 거품 발생장치의 유리한 실시예에서는, 그러한 차단 요소는 우유 거품을 우유 배출구 헤드 또는 리턴 채널 내로 인도하기 위한 스위치 요소이다. 이러한 식으로, 우유 흐름은 목표로 정한 바대로 인도될 수 있다.
특별히 유리한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우유 거품 발생장치가 우유 채널을 리턴 채널 또는 우유 용기로 개방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추가적인 스위치 요소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추가적인 스위치 요소는 또한 제1 스위치 요소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해결책은 특별히 유리한데, 이는 이러한 설계가 우유 거품 발생장치가 전원이 꺼진 후 거품 형성부 및/또는 온도 제어 요소의 위쪽을 마르도록 하지 않는 것을 피하기 위해 필수적인 배압 밸브(back pressure valve)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우유 거품 발생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 요소 및/또는 추가적인 스위치 요소는 조립 공간이 매우 적은 우유 채널로 쉽게 설치될 수 있는 삼방(three-way) 밸브이다.
본 발명의 우유 거품 발생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삼방 밸브는 자석식이고 높은 스위칭 속도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우유 거품 발생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거품 형성부에서의 에어 덕트(air duct)가 우유 채널로 이어져 우유에 거품이 풍부하게 한다. 이러한 에어 덕트는, 예를 들면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에 기초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우유에 거품을 발생시키는데 필요로 하는 공기는 우유 채널 내로 쉽게 인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우유 거품 발생장치의 추가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우유 흐름 방향에서 볼 때, 거품 형성부가 우유 내에서 공기가 소용돌이치게 하기 위해 에어 덕트의 다운스트림(downstream)에서 소용돌이 생성 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소용돌이 생성 요소는, 예를 들면 공기와 혼합된 우유를 쉽게 소용돌이치게 하여 우유 거품을 생성하는 기어 펌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에어 덕트와 소용돌이 생성 요소 사이의 리턴 채널이 우유 채널로 이어질 수 있어서, 소용돌이 생성 요소가 또한 우유 채널과 리턴 채널에서 동시에 우유 흐름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성질, 특징, 및 장점은 그것들이 달성되는 방식과 함께, 도면들과 연계되어 더 상세히 설명되는 실시예들의 후속하는 설명과 관련되어 더 명확해진다.
도 1은 우유 배출구 헤드가 있는 우유 거품 발생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우유 거품 발생장치의 구조도.
도 3은 제1 기능상 조건에서의 도 2의 우유 거품 발생장치의 구조도.
도 4는 제2 기능상 조건에서의 도 2의 우유 거품 발생장치의 구조도.
도면들에서, 동일한 기술적 요소들에는 동일한 참조 기호가 제공되고, 한 번만 설명된다. 도면들은 순수하게 개략적이고, 특히 임의의 기하학적 비율을 반영하지 않는다.
우유 거품 발생장치(2)의 사시도를 보여주는 도 1을 참조한다. 우유 거품 발생장치(2) 내부의 개별 요소들은 오직 구조적 방식으로 표시된다.
우유 거품 발생장치(2)는 하우징(3)을 통해 연장하고, 우유 흡입관(6)으로부터 시작하여 우유 배출구 헤드(8)의 배출구 개구(7)까지 이어지는 우유 채널(4)을 포함한다. 우유 거품 발생장치(2)를 작동시키기 위해, 우유 거품 발생장치(2)의 하우징(3) 상의 제어 노브(knob)(9)가 눌러져서,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은 우유 용기로부터 우유 채널(4) 내로 우유 흡입관(6)을 통해 우유(10)를 빨아들이고, 우유 거품(12)으로 처리되며, 우유 배출구 헤드(8) 상의 배출구 개구(7)에서 분배된다.
우유 거품(12)을 만들어내기 위해, 펌프(14)가 거품 형성부(16)에서 우유(10)를 빨아들인다. 펌프(14) 앞에 설치된 거품 형성부(16)의 벤츄리 노즐(18)은 공기가 통해진 우유(22)가 펌프(14)에 들어가서 혼합되도록, 에어 덕트(21)를 통해 우유(10)에 공기(20)가 풍부해지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어떻게 우유 거품(12)이 발생되는지를 보여주는 기본 원리이다. 그럴 경우 부근 온도에서, 우유 거품(12)의 제어 요소(24)가 재처리되고, 예를 들면 가열됨으로써 우유 거품(12)에 담긴 기포의 팽창을 가져오고 우유 거품(12)의 안정화를 가져온다.
우유 거품 발생장치(2)에 대한 추가 세부 설명은 DE 10 2008 058 934 B4를 참조하라. 이 특허 문서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우유 채널(4)에서의 우유 흐름을 중단시키는 목적을 포함한다. 하지만, 이 경우 단점은 우유 흐름이 중단될 때 온도 제어 요소(24)에 우유 거품(12)이 남아 있다는 점이다. 이 경우 온도 제어 요소(24)가 그것의 온도를 갑자기 변경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우유 거품(12)은 손상될 수 있고, 예를 틀면 탈 수 있다. 이는 침전물들이 우유 채널(4)에서 형성되게 할 수 있고, 그럴 경우 우유 거품 발생장치가 다시 켜질 때 우유 채널(4)을 더럽히고/더럽히거나 우유 배출구 헤드(8)로부터 우유 거품(12)과 함께 분배될 것이다.
본 실시예는 리턴 채널(26)을 사용하여 온도 제어 요소(24)를 우회하는 것과, 온도 제어 요소(24)의 업스트림에서, 우유(10)와 우유 거품(12)의 흐름 방향(28)에서 볼 때 우유 거품(12)을 다시 우유 채널(4) 내로 공급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생각은 도 2에 도시된 우유 거품 발생장치(2)의 조직도에 의해 이후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실시예에서, 리턴 채널(26)은 제1 필터 요소(30)와 제2 필터 요소(32) 사이의 우유 배출구 헤드(8)에서 시작한다. 우유 흐름 방향(28)에서 볼 때, 제1 필터 요소(30)는 제2 필터 요소(32)의 업스트림에 배치되고, 예를 들면 필터 카트리지(cartridge)로서 설계된다. 제2 필터 요소(32)는 작은 필터 플레이트(plate)일 수 있다.
자석식 삼방 밸브의 형태를 갖는 제1 스위치 요소(34)는 양 필터 요소(30, 32)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스위치 요소(34)는 제1 필터 요소(30)로부터 우유 거품(12)을 받고, 그것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서 우유 거품(12)을 리턴 채널(26) 또는 제2 필터 요소(32)로 인도한다. 더 자세하게는 스위치 요소(34)의 제1 스위칭 상태를 보여주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우유 거품(12)은 제1 필터 요소(30)로부터 제2 필터 요소(32)로 인도된다.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제2 스위칭 상태에서는, 우유 거품(12)이 필터 요소(30)로부터 리턴 채널(26)로 인도된다.
제1 스위치 요소(34)의 반대쪽에 있는 리턴 채널(26)의 다른 쪽에서는, 자기 삼방 밸브의 형태를 갖는 제2 스위치 요소(36)가 배치되고, 이는 스위칭 상태에 따라서 우유(10)를 우유 흡입관(6)으로부터 펌프(14)로 또는 우유 거품(12)을 리턴 채널(26)로부터 펌프(14)로 인도한다. 도 2에 도시된 제1 스위칭 상태에서는, 제2 스위치 요소(36)가 우유 흡입관(6)으로부터 펌프(14)로 우유(10)를 인도한다.
2개의 스위치 요소(34, 36)의 스위칭 상태는 제어 신호(38)와 리셋 요소(40)를 통해 설정된다. 자기 삼방 밸브의 작동 모드가 기본적으로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서 더 상세히 서술되지 않는다.
도 3은 스위치 요소(34, 36) 모두가 제1 스위칭 상태에 있는 기능 상황에 있는 우유 거품 발생장치(2)를 보여준다. 우유 흐름으로부터 분리된 우유 거품 발생장치(2)의 섹션들, 즉 리턴 채널(26)이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우유 거품 발생장치(2)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식으로 스위치 요소(34, 36)의 제1 스위칭 상태에서 작용하고, 거품형성 섹션(16)을 통해 우유(10)를 인도한 다음, 우유 배출구 헤드(8)에서 배출구 개구(7)를 통해 우유 거품(12)을 분배한다.
우유 배출구 헤드(8)로부터의 우유 거품(12)의 흐름이 멈추자마자, 스위치 요소(34, 36)는 모두,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어 신호(38)를 사용하여 제2 스위칭 상태로 설정된다. 도 4는 또한 도 3과 비슷한 점선으로서 우유 흐름으로부터 분리된 우유 거품 발생장치의 섹션들을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우유 거품(12)은 이제 우유 채널(4)과 리턴 채널(26)을 포함하는 회로에서 흐른다. 이러한 회로(4)에서, 우유 거품(12)은 온도 제어 요소(24)를 반복적으로 지나간다. 이러한 식으로 우유 거품(12)이 온도 제어 요소(24)에 남고, 만약 예를 들면 온도 제어 요소(24)가 여전히 뜨겁다면 타는 것이 회피될 수 있다.
2개의 스위치 요소(34, 36)의 배치는 도 4에 도시된 기능 상황에서 회로(4, 26)가 실제로 닫히고, 우유 흡입관(6)의 쪽이나 우유 배출구 헤드(8)의 쪽에서 어떠한 우유 거품(12)도 회로를 떠날 수 없다는 것을 보장한다.
온도 제어 요소(24)가 그것의 저장 온도에 아직 도달하지 않는 한, 우유 거품(12)이 온도 제어 요소(24)에 남아 있는 것만이 회피되어져야 한다면, 온도 제어 요소(24)만이 회로(4, 26)와 연결(bridge)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충분하다. 온도 제어 요소(24)는 열역학적 구동(drive) 요소로서 회로(4, 26)에 관해 작용하고, 오직 주위 온도에 대한 그것의 온도 차이에 의해서 우유 거품을 이동시킨다. 온도 제어 요소(24)가 그것의 저장 온도에 도달하고, 온도 제어 요소(24)에 남아 있는 우유 거품(12)이 더 이상 온도 제어 요소(24)에 의해 손상될 수 없게 되자마자, 열역학적 구동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게 된다. 회로(4, 26)는 스스로 멈춘다. 그러므로 DE 10 2008 058 934 B4에서처럼 우유 흐름을 반드시 차단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펌프(14)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회로(4, 26) 내로 바람직하게 통합되어야 한다. 공기(10)는 우유 거품(12)에 용해되지 않고, 따라서 만약 우유 거품(12)이 특정시간 동안에 회로(4, 26)에 남아 있다면, 회로(4, 26)에서 그것으로부터 분리된다. 만약 우유 거품 발생장치(2)가 도 3에 따른 제1 기능 상황으로 다시 옮겨진다면, 우유 배출구 헤드(8)가 이제는 우유(10)만을 제공하게 되고, 우유 거품(12)은 제공하지 않는다.
이는 펌프(14)를 회로(4, 26) 내로 통합함으로써 회피될 수 있다. 만약 더 긴 비작동 시간(downtime) 후, 우유(10)가 회로(4, 226)에서 공기(20)로부터 분리된다면, 우유 거품 발생장치(2)가 도 3에 따른 기능 상황으로 다시 바뀔 때까지 우유 거품 발생장치(2)가 도 4에 따른 기능 상황에서 적어도 1 회(round) 동안 작동될 때 우유 거품(12)이 재차 만들어질 수 있다.
그 결과는 도 2에 도시된 우유 거품 발생장치(2)가 적어도 그것이 전기적으로 완전히 꺼지기 전에, 도 4에 따른 기능 상황으로 도 3에 따라 재차 바뀌어야 한다는 점이다. 만약 우유 거품 발생장치(2)가 재차 켜진다면, 먼저 우유 거품(12)을 제공하기 위해 도 3의 작동 상태로 다시 바뀌기 전에 잠시 동안은 도 4에 따른 기능 상황에서 작동되어야 한다.
2개의 필터 요소(30, 32)는 선택적(optional)인 것이다.

Claims (9)

  1. 우유 거품 발생장치(2)로서,
    우유 용기(6)로부터 우유 배출구 헤드(8)로의 우유 흐름 방향(28)으로 우유(10)를 인도하기 위한 우유 채널(4),
    상기 우유 채널(4)에서의 우유(10)를 공기(2)를 함유하는 우유 거품(12)으로 전환하기 위한 거품 형성부(16),
    상기 거품 형성부(16)로부터 상기 우유 거품(12)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온도 제어 요소(24), 및
    상기 우유 흐름 방향(28)에서 볼 때, 상기 온도 제어 요소(24)와 상기 우유 배출구 헤드(8) 사이의 우유 채널(4)로부터 상기 온도 제어 요소(24)의 업스트림(upstream)에 있는, 우유 채널(4)에서의 한 점으로 갈라져서 상기 거품형성부(16)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리턴 채널(26)을 포함하는, 우유 거품 발생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채널(26)을 닫도록 설계되는 차단 요소(shut-off element)(34)를 포함하는, 우유 거품 발생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요소(34)는 상기 우유 거품(12)을 상기 우유 배출구 헤드(8) 또는 상기 리턴 채널(26)로 인도하기 위한 스위치 요소(34)인, 우유 거품 발생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우유 채널(4)을 상기 리턴 채널(26) 쪽으로 또는 상기 우유 용기(6)로 개방하도록 설계되는 추가 스위치 요소(36)를 포함하는, 우유 거품 발생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요소(34)는 삼방(three-way) 밸브인, 우유 거품 발생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삼방 밸브는 자석식(magnetic)인, 우유 거품 발생장치.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우유(10)에 공기(20)가 풍부해지게 하는 에어 덕트(21)는 상기 거품 형성부(16)에서의 우유 채널(4) 내로 이어지는, 우유 거품 발생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우유 흐름 방향(28)에서 볼 때 상기 거품 형성부(16)는 상기 우유(10)에서 공기(20)를 소용돌이치게 하기 위해 상기 에어 덕트(21)의 다운스트림(downstream)에서 소용돌이 생성 요소(14)를 포함하는, 우유 거품 발생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덕트(21)와 상기 소용돌이 생성 요소(14) 사이의 리턴 채널(26)은 상기 우유 채널(4) 내로 이어지는, 우유 거품 발생장치.
KR1020187027601A 2016-03-10 2017-03-09 리턴 루프를 가지는 우유 거품 발생장치 KR1023910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04404.0A DE102016104404B3 (de) 2016-03-10 2016-03-10 Milchaufschäumer mit Rückkopplungskreislauf
DE102016104404.0 2016-03-10
PCT/EP2017/055572 WO2017153533A1 (de) 2016-03-10 2017-03-09 Milchaufschäumer mit rückkopplungskreislau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710A KR20180120710A (ko) 2018-11-06
KR102391073B1 true KR102391073B1 (ko) 2022-04-28

Family

ID=58266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7601A KR102391073B1 (ko) 2016-03-10 2017-03-09 리턴 루프를 가지는 우유 거품 발생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166586B2 (ko)
EP (1) EP3426108B1 (ko)
JP (1) JP6920749B2 (ko)
KR (1) KR102391073B1 (ko)
CN (1) CN109068883B (ko)
AU (1) AU2017229451B2 (ko)
DE (1) DE102016104404B3 (ko)
ES (1) ES2808088T3 (ko)
WO (1) WO20171535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00320B (zh) * 2019-01-14 2021-11-09 上海纽咖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改变压力的咖啡机冲泡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99001A1 (en) * 2011-11-01 2014-10-09 Eversys Holding Sa System for preparing milk and/or milk foam in drinks machines, and a heater unit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94060A (en) * 1960-07-06 1963-06-18 Snc Pernod & Ricard Apparatus for storing fermentable liquids
CH418103A (de) * 1965-01-08 1966-07-31 Sulzer Ag Mit einem Ausgleichstank versehene Anlage zum aseptischen Abfüllen einer keimfreien Flüssigkeit
DE4228770A1 (de) 1992-08-28 1994-03-03 Bosch Siemens Hausgeraete Vorrichtung zum Bereiten und Ausgeben von Erfrischungsgetränken
JPH0692395A (ja) * 1992-09-02 1994-04-05 Takuma Co Ltd 液体供給装置
US5780087A (en) 1996-09-23 1998-07-14 Brady; Frank A. Apparatus and method for frothing liquids
US8196905B2 (en) 2006-10-25 2012-06-12 Pi-Design Ag Electric milk frother
ES2335445T3 (es) * 2007-07-24 2010-03-26 Gruppo Cimbali S.P.A. Aparato para el lavado de circuitos implicados en la preparacion de bebidas a base de leche.
EP2133010A1 (en) * 2008-06-13 2009-12-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for whisking milk and method for cleaning such a device
EP2156771A1 (en) * 2008-08-19 2010-02-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and method for frothing a liquid
DE102008058934C5 (de) * 2008-11-25 2017-11-09 Volker Barth Vorrichtung zum Schäumen von Milch
EP2353473A1 (en) * 2010-02-03 2011-08-10 Nestec S.A. Beverage dispenser with hygienic cleaning cycle
EP2478804A1 (en) * 2011-01-21 2012-07-25 Nestec S.A. Milk frothing with pressurized gas
DE202011000505U1 (de) * 2011-03-08 2011-10-14 Brita Gmbh Abgabevorrichtung zum Abgeben von gekühltem, aufbereitetem Wasser
US9364021B2 (en) * 2011-09-09 2016-06-14 Tairob Ltd. Method for preparing micro-foam whipped milk for cappuccino or a method for whipping other liquids containing proteins, using an apparatus
DK2934251T3 (da) * 2012-12-21 2021-06-07 Nestle Sa Indretning til fremstilling af mælkesku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99001A1 (en) * 2011-11-01 2014-10-09 Eversys Holding Sa System for preparing milk and/or milk foam in drinks machines, and a heater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07653A (ja) 2019-03-22
EP3426108B1 (de) 2020-04-29
KR20180120710A (ko) 2018-11-06
JP6920749B2 (ja) 2021-08-18
CN109068883A (zh) 2018-12-21
CN109068883B (zh) 2020-11-20
AU2017229451B2 (en) 2022-02-17
ES2808088T3 (es) 2021-02-25
AU2017229451A1 (en) 2018-08-23
US11166586B2 (en) 2021-11-09
WO2017153533A1 (de) 2017-09-14
US20200069107A1 (en) 2020-03-05
EP3426108A1 (de) 2019-01-16
DE102016104404B3 (de) 201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4516679A (ja) ミルクの泡立て装置、この装置を有する飲料調製機、及びミルクの泡立て方法
KR102391073B1 (ko) 리턴 루프를 가지는 우유 거품 발생장치
CN102379632A (zh) 热饮料机中的用于使牛奶起泡的装置
JP2017125313A (ja) 衛生洗浄装置
JP5395554B2 (ja) 水栓装置
US20230363576A1 (en) Device for heating and frothing milk
JP6715611B2 (ja) 局部洗浄装置
JP3577647B2 (ja) ガス湯沸器の水栓
JPH11325591A (ja) 液体供給装置
JP3726654B2 (ja) 液体燃料供給装置
JP3608377B2 (ja) 局部洗浄装置
JP3087425B2 (ja) 気泡発生ノズル装置
JP3092309B2 (ja) 気泡発生ノズル装置
JP2589015Y2 (ja) ホットコンクリートミキサーにおける蒸気噴射装置
JPH06205814A (ja) 気泡水流発生装置
JP2005127591A (ja) 追焚き機能付き給湯装置
JP3087411B2 (ja) 気泡発生ノズル
JPH05212082A (ja) 気泡発生ノズル
JPH05161685A (ja) 気泡発生ノズル装置
JPH01252853A (ja) 風呂釜装置
JPH0767930A (ja) 気泡発生装置
JPH0783501A (ja) 風呂装置
JPH11158978A (ja) 衛生洗浄装置
JP2000144851A (ja) 局部洗浄装置
JPH05118655A (ja) バイパスミキシング式給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