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7493B1 - 전자 부품 및 전자 부품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부품 및 전자 부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7493B1
KR102387493B1 KR1020207017791A KR20207017791A KR102387493B1 KR 102387493 B1 KR102387493 B1 KR 102387493B1 KR 1020207017791 A KR1020207017791 A KR 1020207017791A KR 20207017791 A KR20207017791 A KR 20207017791A KR 102387493 B1 KR102387493 B1 KR 102387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region
electrode layer
main surfac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7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7604A (ko
Inventor
신야 오노데라
코키 이토
히데키 카네코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85862A external-priority patent/JP693290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051594A external-priority patent/JP691532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064822A external-priority patent/JP694298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72120A external-priority patent/JP693306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72127A external-priority patent/JP6933062B2/ja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20217004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063B1/ko
Publication of KR20200077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05Electrodes
    • H01G4/008Selection of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2/00Details of capacitor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1G4/00-H01G11/00
    • H01G2/02Mountings
    • H01G2/06Mounting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a printed-circuit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2/00Details of capacitor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1G4/00-H01G11/00
    • H01G2/02Mountings
    • H01G2/06Mounting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a printed-circuit support
    • H01G2/065Mounting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a printed-circuit support for surface mounting, e.g. chip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05Electrodes
    • H01G4/008Selection of materials
    • H01G4/0085Fri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05Electrodes
    • H01G4/012Form of non-self-support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 H01G4/1209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 H01G4/1218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2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2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 H01G4/2325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Ceramic Capacitors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Abstract

소체는 실장면이 되는 주면과, 주면과 서로 이웃하는 제 1 측면을 갖고 있다. 외부 전극은 주면 위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전극부와, 제 1 측면 위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전극부를 갖고 있다. 제 1 전극부는 소결 금속층과, 소결 금속층 위에 형성된 도전성 수지층과, 도전성 수지층 위에 형성된 도금층을 갖고 있다. 제 2 전극부는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갖고 있다. 제 1 영역은 소결 금속층과, 소결 금속층 위에 형성된 도금층을 갖고 있다. 제 2 영역은 소결 금속층과, 소결 금속층 위에 형성된 도전성 수지층과, 도전성 수지층 위에 형성된 도금층을 갖고 있다. 제 2 영역은 제 1 영역보다도 주면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Description

전자 부품 및 전자 부품 장치{ELECTRONIC COMPONENT AND ELECTRONIC COMPONENT DEVICE}
본 발명은 전자 부품 및 전자 부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체와, 소체에 배치되어 있는 외부 전극을 구비하고 있는 전자 부품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소체는 주면과, 주면과 서로 이웃하는 제 1 측면을 갖고 있다. 외부 전극은 제 1 전극부와, 제 2 전극부를 갖고 있다. 제 1 전극부는 주면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전극부는 제 1 측면 위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제 1 전극부와 접속되어 있다. 주면은 전자 부품이 땜납 실장되는 전자 기기(예를 들면, 회로 기판 또는 전자 부품)와 대향하는 실장면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소 58-17581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소체에서의 크랙의 발생이 억제되어 있는 전자 부품 및 전자 부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의 조사 연구 결과, 이하의 사항이 판명되었다. 전자 부품이 전자 기기(예를 들면, 회로 기판 또는 전자 부품)에 땜납 실장되어 있는 경우, 전자 기기에서 전자 부품에 작용하는 외력이, 소체에 응력으로서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외력은, 땜납 실장시에 형성된 땜납 필렛으로부터 외부 전극을 통하여 소체에 작용한다. 응력은 외부 전극의 끝 가장자리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응력은, 예를 들면, 실장면인 주면 위에 위치하는 제 1 전극부의 끝 가장자리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제 1 전극부의 끝 가장자리가 기점이 되어 소체에 크랙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따른 전자 부품은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소체와, 외부 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소체는 실장면이 되는 주면과, 주면과 서로 이웃하는 제 1 측면을 갖고 있다. 외부 전극은 제 1 전극부와, 제 2 전극부를 갖고 있다. 제 1 전극부는 주면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전극부는 제 1 측면 위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제 1 전극부와 접속되어 있다. 제 1 전극부는 소결 금속층과, 소결 금속층 위에 형성된 도전성 수지층과, 도전성 수지층 위에 형성된 도금층을 갖고 있다. 제 2 전극부는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갖고 있다. 제 1 영역은 소결 금속층과, 소결 금속층 위에 형성된 도금층을 갖고 있다. 제 2 영역은 소결 금속층과, 소결 금속층 위에 형성된 도전성 수지층과, 도전성 수지층 위에 형성된 도금층을 갖고 있다. 제 2 영역은 제 1 영역보다도 주면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제 1 형태에서는, 제 1 전극부가 도전성 수지층을 갖고 있는 동시에, 제 2 전극부의 제 2 영역이 도전성 수지층을 갖고 있다. 따라서, 땜납 필렛을 통하여 전자 부품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외부 전극의 끝 가장자리에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다. 외부 전극의 끝 가장자리가 크랙의 기점이 되기 어렵다. 이 결과, 크랙이 소체에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상기 제 1 형태에서는, 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소체의 길이에 대한, 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제 2 영역의 길이 비율이 0.2 이상이라도 좋다. 이 경우, 외부 전극의 끝 가장자리에 더욱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다. 따라서, 크랙이 소체에 발생하는 것이 더욱 억제된다.
상기 제 1 형태에서는, 소체가 주면과 제 1 측면에 서로 이웃하는 제 2 측면을 추가로 갖고 있어도 좋다. 외부 전극이 제 3 전극부를 추가로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 3 전극부는 제 2 측면 위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제 1 전극부와 접속되어 있다. 제 3 전극부가 제 3 영역과, 제 4 영역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 3 영역은 소결 금속층과, 소결 금속층 위에 형성된 도금층을 갖고 있다. 제 4 영역은 소결 금속층과, 소결 금속층 위에 형성된 도전성 수지층과, 도전성 수지층 위에 형성된 도금층을 갖고 있다. 제 4 영역은 제 3 영역보다도 주면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본 형태에서는 제 3 전극부의 제 4 영역이 도전성 수지층을 갖고 있다. 따라서, 외부 전극이 제 3 전극부를 갖고 있는 경우에도, 외부 전극의 끝 가장자리에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다. 이 결과, 크랙이 소체에 발생하는 것이 확실하게 억제된다.
상기 제 1 형태에서는, 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소체의 길이에 대한, 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제 4 영역의 길이 비율이 0.2 이상이라도 좋다. 이 경우, 외부 전극의 끝 가장자리에 더욱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다. 따라서, 크랙이 소체에 발생하는 것이 더욱 억제된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따른 전자 부품 장치는 상기 제 1 형태에 따른 전자 부품과, 전자 기기를 구비하고 있다. 전자 기기는 패드 전극을 갖고 있다. 패드 전극은 땜납 필렛을 통하여 외부 전극과 연결되어 있다. 땜납 필렛은 제 2 전극부의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형태에서는, 제 1 전극부가 도전성 수지층을 갖고 있는 동시에, 제 2 전극부의 제 2 영역이 도전성 수지층을 갖고 있다. 따라서, 땜납 필렛을 통하여 전자 부품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외부 전극의 끝 가장자리에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다. 외부 전극의 끝 가장자리가 크랙의 기점이 되기 어렵다. 이 결과, 크랙이 소체에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상기 제 2 형태에서는, 땜납 필렛은 제 2 전극부의 제 2 영역뿐만 아니라, 제 1 영역에도 형성되어 있다. 제 2 형태에서는, 땜납 필렛이 제 2 전극부의 제 2 영역에만 형성되어 있는 전자 부품 장치에 비해, 땜납 필렛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이 넓다. 이 결과, 전자 부품의 실장 강도가 확보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의 조사 연구 결과, 또한 이하의 사항이 판명되었다. 소체에 작용하는 응력은 소결 금속층의 끝 가장자리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소결 금속층의 끝 가장자리가 기점이 되어 소체에 크랙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응력은, 예를 들면, 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소결 금속층의 주면 가까이의 단부 영역의 끝 가장자리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제 3 형태에 따른 전자 부품은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소체와, 외부 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소체는 실장면이 되는 주면과, 주면과 서로 이웃하는 측면을 갖고 있다. 외부 전극은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전극부를 갖고 있다. 전극부는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갖고 있다. 제 1 영역은 측면 위에 형성되어 있는 소결 금속층과, 소결 금속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도금층을 갖고 있다. 제 2 영역은 측면 위에 형성되어 있는 소결 금속층과, 소결 금속층 위와 측면 위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도전성 수지층과, 도전성 수지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도금층을 갖고 있다. 제 2 영역은 제 1 영역보다도 주면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제 3 형태에서는 제 1 영역보다도 주면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는 제 2 영역이, 소결 금속층 위와 측면 위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도전성 수지층을 갖고 있다. 제 2 영역이 갖고 있는 소결 금속층의 끝 가장자리가, 도전성 수지층에 의해 덮여진다. 따라서, 땜납 필렛을 통하여 전자 부품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제 2 영역이 갖고 있는 소결 금속층의 끝 가장자리에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다. 소결 금속층의 끝 가장자리가 크랙의 기점이 되기 어렵다. 이 결과, 크랙이 소체에 발생하는 것이 확실하게 억제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4-296936호에 기재된 전자 부품에서는, 제 2 영역이 갖고 있는 소결 금속층의 끝 가장자리가, 도전성 수지층에 의해 덮여 있지 않다. 이 경우, 제 2 영역이 갖고 있는 소결 금속층의 끝 가장자리에 응력이 집중하기 쉽다. 소결 금속층의 끝 가장자리가 크랙의 기점이 될 우려가 있다.
상기 제 3 형태에서는, 제 2 영역은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 1 부분은 도전성 수지층이 소결 금속층 위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부분은 도전성 수지층이 측면 위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부분의 폭은 주면에서 멀어짐에 따라 연속적으로 작아져 있어도 좋다.
도금층에는 도금층의 형성 과정에서 내부 응력이 생긴다. 도금층의 평면시에서의 형상이 각(角)을 갖고 있는 경우, 상기 각에서 내부 응력이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도금층의 상기 각에서는, 도금층 또는 도금층의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도전성 수지층이 벗겨질 우려가 있다.
도전성 수지층과 소체의 접합 강도는 도전성 수지층과 소결 금속층의 접합 강도보다도 작다. 따라서, 도전성 수지층이 측면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영역의 제 2 부분에서는 제 1 부분에 비해, 도전성 수지층이 측면으로부터 벗겨지기 쉽다.
제 2 부분의 폭이, 주면에서 멀어짐에 따라 연속적으로 작아지고 있는 경우, 제 2 부분의 평면시에서의 형상이 각을 갖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도금층에는 내부 응력이 집중하는 개소가 생기기 어렵다. 이 결과, 제 2 부분에서의, 도금층 및 도전성 수지층의 벗겨짐의 발생이 억제된다.
상기 제 3 형태에서는 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 2 부분의 끝 가장자리는 만곡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제 2 부분의 평면시에서의 형상이 각을 갖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제 2 부분이 갖고 있는 도금층에는 내부 응력이 집중하는 개소가 생기기 어렵다. 이 결과, 제 2 부분에서의, 도금층 및 도전성 수지층의 벗겨짐의 발생이 억제된다.
상기 제 3 형태에서는 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 2 영역의 끝 가장자리는 대략 원호상이라도 좋다. 이 경우에도, 제 2 부분의 평면시에서의 형상이 각을 갖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제 2 부분이 갖고 있는 도금층에는 내부 응력이 집중하는 개소가 생기기 어렵다. 이 결과, 제 2 부분에서의, 도금층 및 도전성 수지층의 벗겨짐의 발생이 억제된다.
본 발명자들의 조사 연구 결과, 또한 이하의 사항이 판명되었다. 소체에 작용하는 응력은, 예를 들면, 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소결 금속층의 끝 가장자리, 및 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소결 금속층의 주면 가까이의 단부 영역의 끝 가장자리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제 4 형태에 따른 전자 부품은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소체를 구비하고 있다. 소체는 실장면이 되는 주면과, 서로 대향하고 있는 동시에 주면과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단면과, 한 쌍의 단면과 주면에 서로 이웃하는 측면을 갖고 있다. 전자 부품은, 한 쌍의 단면이 대향하고 있는 방향에서의 소체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외부 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외부 전극은 소결 금속층과, 소결 금속층 위와 소체 위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도전성 수지층을 갖고 있다. 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소결 금속층의 전체가 도전성 수지층으로 덮여 있다. 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소결 금속층의 주면 가까이의 단부 영역이 도전성 수지층으로 덮여 있는 동시에, 도전성 수지층의 끝 가장자리가 소결 금속층의 끝 가장자리와 교차하고 있다.
상기 제 4 형태에서는 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소결 금속층의 전체가 도전성 수지층으로 덮여 있다. 따라서, 소결 금속층의 끝 가장자리에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다. 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소결 금속층의 주면 가까이의 단부 영역이 도전성 수지층으로 덮여 있다. 따라서, 단부 영역의 끝 가장자리에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다. 이들의 결과, 크랙이 소체에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상기 제 4 형태에서는 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도전성 수지층의 끝 가장자리가 소결 금속층의 끝 가장자리와 교차하고 있다. 소결 금속층의 전체가 도전성 수지층으로 덮여 있는 것이 아니고, 소결 금속층은 도전성 수지층에서 노출되어 있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 4 형태에서는, 도전성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전성 수지 페이스트의 양의 증가가 억제된다.
상기 제 4 형태에서는, 외부 전극은 제 1 전극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 1 전극부는 측면 위와, 단면과 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능선부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전극부는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 1 영역에서는 소결 금속층이 도전성 수지층에서 노출되어 있다. 제 2 영역에서는 소결 금속층이 도전성 수지층으로 덮여 있다. 제 2 영역은 제 1 영역보다도 주면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한 쌍의 단면이 대향하고 있는 방향에서의 제 2 영역의 폭은 주면에서 멀어짐에 따라 작아져 있어도 좋다. 본 형태에서는, 도전성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전성 수지 페이스트의 양의 증가가 더욱 억제된다.
상기 제 4 형태에서는 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 2 영역의 끝 가장자리는 대략 원호상이라도 좋다. 상기 제 4 형태에서는 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 2 영역의 끝 가장자리는 대략 직선상이라도 좋다. 상기 제 4 형태에서는 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 2 영역의 끝 가장자리는 교차하는 2변을 갖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 5 형태에 따른 전자 부품은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소체를 구비하고 있다. 소체는 실장면이 되는 제 1 주면과, 서로 대향하고 있는 동시에 제 1 주면과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단면과, 서로 대향하고 있는 동시에 한 쌍의 단면과 제 1 주면에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측면을 갖고 있다. 전자 부품은, 한 쌍의 단면이 대향하고 있는 방향에서의 소체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외부 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외부 전극은, 제 1 주면의 일부와 단면의 일부와 한 쌍의 측면의 각 일부를 연속하여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도전성 수지층을 갖고 있다.
전자 기기에서 전자 부품에 작용하는 외력은, 예를 들면, 소체에서의, 제 1 주면의 일부와 단면의 일부와 한 쌍의 측면의 각 일부로 구성되는 영역에 작용하는 경향이 있다. 외력에 의해, 소체에 크랙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 제 5 형태에서는, 도전성 수지층이 제 1 주면의 일부와 단면의 일부와 한 쌍의 측면의 각 일부를 연속하여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 기기에서 전자 부품에 작용하는 외력이 소체에 작용하기 어렵다. 이 결과, 상기 제 5 형태에서는 크랙이 소체에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소체와 도전성 수지층 사이의 영역은 수분이 침입하는 경로가 될 우려가 있다. 소체와 도전성 수지층 사이의 영역으로부터 수분이 침입하면, 전자 부품의 내구성이 저하된다. 상기 제 5 형태에서는, 도전성 수지층이 단면 전체와 한 쌍의 주면의 각 일부와 한 쌍의 측면의 각 일부를 연속하여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전자 부품에 비해, 수분이 침입하는 경로가 적다. 따라서, 상기 제 5 형태에서는 내습 신뢰성이 향상되어 있다.
상기 제 5 형태는 대응하는 단면에 노출하는 내부 도체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외부 전극은, 내부 도체와 접속되도록 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소결 금속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외부 전극과 내부 도체가 양호하게 콘택트한다. 따라서, 외부 전극과 내부 도체가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제 5 형태에서는, 소결 금속층은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 1 영역은 도전성 수지층으로 덮여 있다. 제 2 영역은 도전성 수지층에서 노출되어 있다. 도전성 수지층은 도전성 재료(예를 들면, 금속 분말)와 수지(예를 들면,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한다. 도전성 수지층의 전기 저항은 소결 금속층의 전기 저항에 비해 크다. 소결 금속층이 제 2 영역을 갖고 있는 경우, 제 2 영역은 도전성 수지층을 통하지 않고, 전자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외부 전극이 도전성 수지층을 갖는 경우에도, 등가 직렬 저항(ESR)의 증대가 억제된다.
상기 제 5 형태에서는, 소결 금속층은 단면과 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제 1 능선부 및 단면과 제 1 주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제 2 능선부에도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전성 수지층과 소체의 접합 강도는 도전성 수지층과 소결 금속층의 접합 강도보다도 작다. 본 형태에서는, 소결 금속층이 제 1 능선부 및 제 2 능선부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전성 수지층이 소체로부터 벗겨지는 경우에도, 도전성 수지층의 벗겨짐이, 제 1 능선부 및 제 2 능선부에 대응하는 위치를 넘어, 단면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진행되기 어렵다.
상기 제 5 형태에서는, 도전성 수지층은 소결 금속층에서의, 제 1 능선부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일부와 제 2 능선부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도전성 수지층의 벗겨짐이, 단면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더욱 진행되기 어렵다.
전자 기기에서 전자 부품에 작용하는 외력에 기인하여 소체에 생기는 응력은 소결 금속층의 끝 가장자리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소결 금속층의 끝 가장자리가 기점이 되어 소체에 크랙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도전성 수지층이, 소결 금속층에서의, 제 1 능선부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일부와 제 2 능선부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경우, 소결 금속층의 끝 가장자리에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다. 따라서, 크랙이 소체에 발생하는 것이 확실하게 억제된다.
상기 제 5 형태에서는 측면 및 제 1 능선부 위에 위치하고 있는 도전성 수지층의 면적이, 제 1 능선부 위에 위치하고 있는 소결 금속층의 면적보다 커도 좋다. 단면 및 제 2 능선부 위에 위치하고 있는 도전성 수지층의 면적은, 단면 및 제 2 능선부 위에 위치하고 있는 소결 금속층의 면적보다 작아도 좋다. 이 경우, ESR의 증대가 더욱 억제된다.
상기 제 5 형태에서는, 소결 금속층에서의, 제 1 능선부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일부는 도전성 수지층에서 노출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측면 및 제 1 능선부 위에 위치하고 있는 도전성 수지층의 면적은, 소결 금속층에서의, 제 1 능선부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상기 일부의 면적보다 커도 좋다. 본 형태에서는 ESR의 증대가 더욱 억제된다.
상기 제 5 형태에서는, 단면 및 제 2 능선부 위에 위치하고 있는 도전성 수지층의 면적은, 단면 및 제 2 능선부 위에 위치하고 있는 소결 금속층의, 도전성 수지층에서 노출되어 있는 영역의 면적보다 작아도 좋다. 이 경우, ESR의 증대가 더욱 억제된다.
상기 제 5 형태에서는, 외부 전극은 도전성 수지층과 소결 금속층의 제 2 영역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도금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외부 전극이 도금층을 가지므로, 전자 부품은 전자 기기로의 땜납 실장이 가능하다. 소결 금속층의 제 2 영역은 도금층을 통하여 전자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ESR의 증대가 더욱 억제된다.
상기 제 5 형태에서는 단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도전성 수지층의 높이는 소체 높이의 절반 이하라도 좋다. 본 형태에서는 단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도전성 수지층의 높이가 소체 높이의 절반보다 큰 전자 부품에 비해, 수분이 침입하는 경로가 적다. 따라서, 내습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다. 본 형태에서는 단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도전성 수지층의 높이가 소체 높이의 절반보다 큰 전자 부품에 비해, ESR의 증대가 억제된다.
상기 제 5 형태에서는, 소체는 실장면이 되는 제 1 주면과 대향하고 있는 제 2 주면을 갖고 있어도 좋다. 제 2 주면은 도전성 수지층에서 노출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ESR의 증대가 억제된다.
상기 제 5 형태에서는, 도전성 수지층은 제 1 주면과 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능선부와 접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 1 주면과 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능선부에 크랙이 생기기 어렵다.
본 발명의 제 6 형태에 따른 전자 부품은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소체를 구비하고 있다. 소체는 실장면이 되는 제 1 주면과, 제 1 주면과 제 1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는 제 2 주면과, 제 2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측면과, 제 3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단면을 갖고 있다. 전자 부품은 복수의 내부 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내부 전극은 소체 내에 배치되고 있고, 제 2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다. 복수의 내부 전극은 대응하는 단면에 노출되어 있는 일단을 갖고 있다. 전자 부품은 제 3 방향에서의 소체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외부 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외부 전극은 대응하는 내부 전극과 접속되어 있다. 외부 전극은, 단면에서의 제 1 주면 가까이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도전성 수지층을 갖고 있다.
전자 기기에서 전자 부품에 작용하는 외력은, 예를 들면, 단면에서의 제 1 주면 가까이의 영역에서 소체에 작용하는 경향이 있다. 외력에 의해, 소체에 크랙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 제 6 형태에서는, 도전성 수지층이 단면에서의 제 1 주면 가까이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 기기에서 전자 부품에 작용하는 외력이 소체에 작용하기 어렵다. 이 결과, 상기 제 6 형태에서는 크랙이 소체에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상기 제 6 형태에서는, 도전성 수지층이 단면에서의 제 1 주면 가까이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단면은 제 3 방향에서 보았을 때, 도전성 수지층으로 덮여 있지 않은 영역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 6 형태에서는, 도전성 수지층이 단면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전자 부품에 비해, 수분이 침입하는 경로가 적다. 이 결과, 상기 제 6 형태에서는 내습 신뢰성이 향상되어 있다.
상기 제 6 형태에서는 제 1 주면이 실장면이고, 복수의 내부 전극이 제 2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 6 형태에서는 내부 전극마다 형성되는 전류 경로가 짧다. 이 결과, 상기 제 6 형태에서는 등가 직렬 인덕턴스(ESL)가 낮다.
상기 제 6 형태에서는, 내부 전극의 일단은 제 3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 1 영역은 도전성 수지층과 겹친다. 제 2 영역은 도전성 수지층과 겹치지 않는다. 본 형태에서는 수분이 침입하는 경로가 적으므로, 내습 신뢰성이 확실하게 향상된다.
상기 제 6 형태에서는, 내부 전극의 일단의 제 1 영역의 제 1 방향에서의 길이는, 내부 전극의 일단의 제 2 영역의 제 1 방향에서의 길이보다 작아도 좋다. 이 경우, 수분이 침입하는 경로가 더욱 적으므로, 내습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다.
상기 제 6 형태에서는, 외부 전극은 내부 전극의 일단의 제 2 영역과 접속되도록 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소결 금속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외부 전극과 내부 전극이 양호하게 콘택트한다. 따라서, 외부 전극과 내부 전극이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전성 수지층의 전기 저항은 상기한 바와 같이, 소결 금속층의 전기 저항에 비해 크다. 외부 전극이 내부 전극과 접속되는 소결 금속층을 갖고 있는 경우, 소결 금속층은 도전성 수지층을 통하지 않고, 전자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외부 전극이 도전성 수지층을 갖는 경우에도, ESR의 증대가 억제된다.
상기 제 6 형태에서는, 복수의 내부 전극은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과, 복수의 제 2 내부 전극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은 한 쌍의 단면 중 한쪽에 노출되어 있다. 복수의 제 2 내부 전극은 한 쌍의 단면 중 다른 쪽에 노출되어 있다. 모든 제 1 내부 전극의 일단, 및 모든 제 2 내부 전극의 일단은 대응하는 소결 금속층과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ESR의 증대가 더욱 억제된다.
상기 제 6 형태에서는, 외부 전극은 도전성 수지층과 소결 금속층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도금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외부 전극이 도금층을 갖는다. 따라서, 본 형태의 전자 부품은 전자 기기로의 땜납 실장이 가능하다. 소결 금속층은 도금층을 통하여 전자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ESR의 증대가 더욱 억제된다.
상기 제 6 형태에서는 제 3 방향에서 보았을 때, 도전성 수지층의 끝 가장자리와 내부 전극의 일단이 교차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수분이 침입하는 경로가 적으므로, 내습 신뢰성이 확실하게 향상된다.
상기 제 6 형태에서는, 도전성 수지층은 제 1 주면에서의 단면 가까이의 일부도 덮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전자 기기에서 전자 부품에 작용하는 외력은, 제 1 주면에서의 단면 가까이의 영역에서 소체에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크랙이 소체에 발생하는 것이 확실하게 억제된다.
상기 제 6 형태에서는, 도전성 수지층은 측면에서의 단면 가까이의 일부도 덮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전자 기기에서 전자 부품에 작용하는 외력은, 측면에서의 단면 가까이의 영역에서 소체에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크랙이 소체에 발생하는 것이 확실하게 억제된다.
상기 제 6 형태에서는, 도전성 수지층의 측면 위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은, 상기 부분과 극성이 다른 내부 전극과 제 2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도전성 수지층의 측면 위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과, 상기 부분이 대향하고 있는 내부 전극 사이에 용량 성분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정전 용량이 증가한다.
상기 제 6 형태에서는, 도전성 수지층은 제 2 주면에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제 1 주면을 실장면으로서 전자 부품이 전자 기기에 실장될 경우, 제 2 주면이 부품 실장기(마운터)의 흡착 노즐로 픽업될 필요가 있다. 본 형태에서는, 외부 전극의 형상이 제 1 주면 위와 제 2 주면 상에서 상이한다. 따라서, 제 1 주면과 제 2 주면의 식별이 용이하다. 이 결과, 본 형태에 따른 전자 부품은 전자 기기에 확실하게 실장된다.
상기 제 6 형태에서는, 측면과 측면에 가장 가까운 내부 전극과의 제 2 방향에서의 간격은 제 1 주면과 내부 전극과의 제 1 방향에서의 간격보다 크고, 또한, 및 제 2 주면과 내부 전극과의 제 1 방향에서의 간격보다 커도 좋다. 이 경우, 크랙이 소체의 측면에서 발생한 경우에도, 크랙이 내부 전극에 도달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체에서의 크랙의 발생이 억제되어 있는 전자 부품 및 전자 부품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변형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변형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측면도이다.
도 22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가 구비하고 있는 외부 전극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평면도이다.
도 24는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평면도이다.
도 25는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측면도이다.
도 26은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측면도이다.
도 27은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가 구비하고 있는 외부 전극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평면도이다.
도 29는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측면도이다.
도 30은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은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는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은 제 5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평면도이다.
도 34는 본 변형예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평면도이다.
도 35는 본 변형예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측면도이다.
도 36은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부품 장치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7은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측면도이다.
도 38은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측면도이다.
도 39는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측면도이다.
도 40은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측면도이다.
도 41은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평면도이다.
도 42는 제 7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평면도이다.
도 43은 제 7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평면도이다.
도 44는 제 7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측면도이다.
도 45는 제 7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단면도이다.
도 46은 제 7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7은 제 7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8은 제 7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9는 제 7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실장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0은 제 7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실장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1은 제 7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평면도이다.
도 52는 제 7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3은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평면도이다.
도 54는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평면도이다.
도 55는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측면도이다.
도 56은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가 구비하고 있는 외부 전극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7은 제 9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사시도이다.
도 58은 제 9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측면도이다.
도 59는 제 9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0은 제 9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1은 제 9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2는 소체, 제 1 전극층, 및 제 2 전극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3은 소체, 제 1 전극층, 및 제 2 전극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4는 소체, 제 1 전극층, 및 제 2 전극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5는 제 9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실장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6은 제 9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측면도이다.
도 67은 제 9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측면도이다.
도 68은 제 9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측면도이다.
도 69는 제 10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평면도이다.
도 70은 제 10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평면도이다.
도 71은 제 10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측면도이다.
도 72는 제 10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단면도이다.
도 73은 제 10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4는 제 10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5는 제 10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6은 소체, 제 1 전극층, 및 제 2 전극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7은 소체, 제 1 전극층, 및 제 2 전극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8은 소체, 제 1 전극층, 및 제 2 전극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9는 소체, 제 1 전극층, 및 제 2 전극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0은 소체, 제 1 전극층, 및 제 2 전극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설명에서 동일 요소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1)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전자 부품은, 예를 들면, 적층 콘덴서(C1)이다.
적층 콘덴서(C1)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소체(3)와, 한 쌍의 외부 전극(5)을 갖고 있다. 한 쌍의 외부 전극(5)은 소체(3)의 외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외부 전극(5)은 서로 이간되어 있다. 직방체 형상은 각부(角部) 및 능부(稜部)가 모따기되어 있는 직방체의 형상, 및 각부 및 능부가 둥글게 되어 있는 직방체의 형상을 포함한다.
소체(3)는 서로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주면(3a,3b)과, 서로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측면(3c)과, 서로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측면(3e)을 갖고 있다. 한 쌍의 주면(3a,3b) 및 한 쌍의 측면(3c)은 직사각형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한 쌍의 주면(3a,3b)이 대향하고 있는 방향이 제 1 방향(D1)이다. 한 쌍의 측면(3c)이 대향하고 있는 방향이 제 2 방향(D2)이다. 한 쌍의 측면(3e)이 대향하고 있는 방향이 제 3 방향(D3)이다.
제 1 방향(D1)은 각 주면(3a,3b)과 직교하는 방향이고, 제 2 방향(D2)과 직교하고 있다. 제 3 방향(D3)은 각 주면(3a,3b)과 각 측면(3c)에 평행한 방향이고, 제 1 방향(D1)과 제 2 방향(D2)에 직교하고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소체(3)의 제 3 방향(D3)에서의 길이는 소체(3)의 제 1 방향(D1)에서의 길이보다 크고, 또한 소체(3)의 제 2 방향(D2)에서의 길이보다 크다. 제 3 방향(D3)이 소체(3)의 길이 방향이다.
한 쌍의 측면(3c)은 한 쌍의 주면(3a,3b)을 연결하도록 제 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측면(3c)은 제 3 방향(D3)으로도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측면(3e)은 한 쌍의 주면(3a,3b)을 연결하도록 제 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측면(3e)은 제 2 방향(D2)으로도 연장되어 있다. 각 주면(3a,3b)은 한 쌍의 측면(3c) 및 한 쌍의 측면(3e)과 서로 이웃하고 있다.
소체(3)는 제 1 방향(D1)에 복수의 유전체층이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소체(3)는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유전체층을 갖고 있다. 소체(3)에서는,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 방향이 제 1 방향(D1)과 일치한다. 각 유전체층은, 예를 들면, 유전체 재료를 포함하는 세라믹 그린 시트의 소결체로 구성되어 있다. 유전체 재료에는, 예를 들면, BaTiO3계, Ba(Ti,Zr)O3계, 또는 (Ba,Ca)TiO3계의 유전체 세라믹이 사용된다. 실제의 소체(3)에서는, 각 유전체층은 각 유전체층 사이의 경계를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다. 소체(3)에서는,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 방향이 제 2 방향(D2)과 일치하고 있어도 좋다.
적층 콘덴서(C1)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내부 전극(7)과, 복수의 내부 전극(9)을 구비하고 있다. 각 내부 전극(7,9)은 소체(3) 내에 배치되어 있는 내부 도체이다. 각 내부 전극(7,9)은 적층형 전자 부품의 내부 전극으로서 통상 사용되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도전성 재료로서, 비금속(예를 들면, Ni 또는 Cu)이 사용된다. 각 내부 전극(7,9)은 상기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소결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각 내부 전극(7,9)은 Ni로 이루어진다.
내부 전극(7)과 내부 전극(9)은 제 1 방향(D1)에서 다른 위치(층)에 배치되어 있다. 내부 전극(7)과 내부 전극(9)은 제 1 방향(D1)에 간격을 갖고 대향하도록, 소체(3) 내에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내부 전극(7)과 내부 전극(9)은 서로 극성이 다르다.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 방향이 제 2 방향(D2)인 경우, 내부 전극(7)과 내부 전극(9)은 제 2 방향(D2)에서 다른 위치(층)에 배치된다. 각 내부 전극(7,9)은 대응하는 측면(3e)에 노출되어 있는 일단을 갖고 있다.
외부 전극(5)은 소체(3)의 제 3 방향(D3)에서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외부 전극(5)은 소체에서의, 대응하는 측면(3e) 측에 배치되어 있다. 외부 전극(5)은 전극부(5a,5b,5c,5e)를 갖고 있다. 전극부(5a)는 주면(3a)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전극부(5b)는 주면(3b)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전극부(5c)는 한 쌍의 측면(3c)에 배치되어 있다. 전극부(5e)는 대응하는 측면(3e)에 배치되어 있다. 외부 전극(5)은 한 쌍의 주면(3a,3b), 한 쌍의 측면(3c), 및 하나의 측면(3e)의 5개의 면에 형성되어 있다. 서로 이웃하는 전극부(5a,5b,5c,5e)끼리는 소체(3)의 능부에서 접속되어 있고,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극부(5e)는 대응하는 내부 전극(7,9)의 측면(3e)에 노출된 일단을 모두 덮고 있다. 내부 전극(7,9)은 대응하는 전극부(5e)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내부 전극(7,9)은 대응하는 외부 전극(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외부 전극(5)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극층(E1),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제 4 전극층(E4)은 외부 전극(5)의 최외층을 구성하고 있다.
전극부(5a)는 제 1 전극층(E1),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전극부(5a)는 4층 구조이다. 전극부(5a)에서는 제 1 전극층(E1)의 전체가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다. 전극부(5b)는 제 1 전극층(E1),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전극부(5b)는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지 않다. 전극부(5b)는 3층 구조이다.
전극부(5c)는 영역(5c1)과 영역(5c2)을 갖고 있다. 영역(5c2)은 영역(5c1)보다도 주면(3a)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극부(5c)는 2개의 영역(5c1,5c2)만을 갖고 있다. 영역(5c1)은 제 1 전극층(E1),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영역(5c1)은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지 않다. 영역(5c1)은 3층 구조이다. 영역(5c2)은 제 1 전극층(E1),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영역(5c2)은 4층 구조이다.
전극부(5e)는 영역(5e1)과 영역(5e2)을 갖고 있다. 영역(5e2)은 영역(5e1)보다도 주면(3a)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극부(5e)는 2개의 영역(5e1,5e2)만을 갖고 있다. 영역(5e1)은 제 1 전극층(E1),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영역(5e1)은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지 않다. 영역(5e1)은 3층 구조이다. 영역(5e2)은 제 1 전극층(E1),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영역(5e2)은 4층 구조이다.
제 1 전극층(E1)은 소체(3)의 표면에 부여된 도전성 페이스트를 소부(燒付)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제 1 전극층(E1)은 도전성 페이스트에 포함되는 금속 성분(금속 분말)이 소결함으로써 형성된 층이다. 제 1 전극층(E1)은 소체(3)에 형성된 소결 금속층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전극층(E1)은 Cu로 이루어진 소결 금속층이다. 제 1 전극층(E1)은 Ni로 이루어진 소결 금속층이라도 좋다. 제 1 전극층(E1)은 비금속을 포함하고 있다. 도전성 페이스트는 Cu 또는 Ni로 이루어진 분말, 유리 성분, 유기 결합제, 및 유기 용제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 위에 부여된 도전성 수지 페이스트를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의 일부의 영역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전극층(E1)의 상기 일부의 영역은 제 1 전극층(E1)에서의, 전극부(5a), 영역(5c2), 및 영역(5e2)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제 1 전극층(E1)은 제 2 전극층(E2)을 형성하기 위한 하지(下地) 금속층이다.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 위에 형성된 도전성 수지층이다. 도전성 수지 페이스트는 열경화성 수지, 금속 분말,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하고 있다. 금속 분말에는, 예를 들면, Ag 분말 또는 Cu 분말이 사용된다. 열경화성 수지에는, 예를 들면, 페놀 수지, 아크릴 수지, 실리콘 수지, 에폭시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 수지가 사용된다.
제 3 전극층(E3)은 제 2 전극층(E2) 위, 및 제 1 전극층(E1)의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는 영역 위에 도금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전극층(E3)은 Ni 도금에 의해 형성된 Ni 도금층이다. 제 3 전극층(E3)은 Sn 도금층, Cu 도금층, 또는 Au 도금층이라도 좋다. 제 3 전극층(E3)은 Ni, Sn, Cu, 또는 Au를 포함하고 있다.
제 4 전극층(E4)은 제 3 전극층(E3) 위에 도금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4 전극층(E4)은 Sn 도금에 의해 형성된 Sn 도금층이다. 제 4 전극층(E4)은 Cu 도금층 또는 Au 도금층이라도 좋다. 제 4 전극층(E4)은 Sn, Cu, 또는 Au를 포함하고 있다. 제 3 전극층(E3)과 제 4 전극층(E4)은 제 2 전극층(E2)에 형성되는 도금층을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전극층(E2)에 형성되는 도금층은 2층 구조이다.
각 전극부(5a,5b,5c,5e)가 갖고 있는 제 1 전극층(E1)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부(5a,5c,5e)가 갖고 있는 제 2 전극층(E2)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부(5a,5b,5c,5e)가 갖고 있는 제 3 전극층(E3)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부(5a,5b,5c,5e)가 갖고 있는 제 4 전극층(E4)도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소체(3)의 제 1 방향(D1)에서의 길이(L1)에 대한, 영역(5c2)의 제 1 방향(D1)에서의 길이(L2)의 비율(L2/L1)이 0.2 이상이다. 소체(3)의 길이(L1)에 대한, 영역(5e2)의 제 1 방향(D1)에서의 길이(L3)의 비율(L3/L1)이 0.2 이상이다.
적층 콘덴서(C1)는 전자 기기(예를 들면, 회로 기판 또는 전자 부품)에, 땜납 실장된다. 적층 콘덴서(C1)에서는, 주면(3a)이 전자 기기에 대향하는 실장면이 된다.
이상과 같이,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전극부(5a)가 제 2 전극층(E2)(도전성 수지층)을 갖고 있는 동시에, 전극부(5e)의 영역(5e2)이 제 2 전극층(E2)(도전성 수지층)을 갖고 있다. 따라서, 땜납 필렛을 통하여 적층 콘덴서(C1)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외부 전극(5)의 끝 가장자리에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다. 외부 전극(5)의 끝 가장자리가 크랙의 기점이 되기 어렵다. 이 결과, 적층 콘덴서(C1)에서는 크랙이 소체(3)에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전극부(5c)의 영역(5c2)이 제 2 전극층(E2)(도전성 수지층)을 갖고 있다. 따라서, 외부 전극(5)이 전극부(5c)를 갖고 있는 경우에도, 외부 전극(5)의 끝 가장자리에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다. 이 결과, 적층 콘덴서(C1)에서는 크랙이 소체(3)에 발생하는 것이 확실하게 억제된다.
소체(3)의 길이(L1)에 대한, 영역(5e2)의 길이(L3)의 비율(L3/L1)이 0.2 이상이다. 따라서, 외부 전극(5)의 끝 가장자리에 더욱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다. 이 결과, 적층 콘덴서(C1)에서는 크랙이 소체(3)에 발생하는 것이 더욱 억제된다.
소체(3)의 길이(L1)에 대한, 영역(5c2)의 길이(L2)의 비율(L2/L1)이 0.2 이상이다. 따라서, 외부 전극(5)의 끝 가장자리에 더욱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다. 이 결과, 적층 콘덴서(C1)에서는 크랙이 소체(3)에 발생하는 것이 더욱 억제된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제 1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C2)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변형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변형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측면도이다.
적층 콘덴서(C2)는 적층 콘덴서(C1)와 마찬가지로, 소체(3), 한 쌍의 외부 전극(5), 복수의 내부 전극(7)(도시하지 않음), 및 복수의 내부 전극(9)(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적층 콘덴서(C2)에서는 소체(3)의 형상이 적층 콘덴서(C1)와 상이하다.
본 변형예에서는, 소체(3)의 제 2 방향(D2)에서의 길이는 소체(3)의 제 1 방향(D1)에서의 길이보다 크고, 또한 소체(3)의 제 3 방향(D3)에서의 길이보다 크다. 제 2 방향(D2)이 소체(3)의 길이 방향이다. 본 변형예에서도 크랙이 소체(3)에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제 2 실시형태)
도 1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C3)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평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측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전자 부품은, 예를 들면, 적층 관통 콘덴서(C3)이다.
적층 관통 콘덴서(C3)는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체(3), 한 쌍의 외부 전극(13), 및 한 쌍의 외부 전극(15)을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외부 전극(13) 및 한 쌍의 외부 전극(15)은 소체(3)의 외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외부 전극(13) 및 한 쌍의 외부 전극(15)은 각각 이간되어 있다. 한 쌍의 외부 전극(13)은, 예를 들면, 신호용 단자 전극으로서 기능하고, 한 쌍의 외부 전극(15)은, 예를 들면, 접지용 단자 전극으로서 기능한다.
적층 관통 콘덴서(C3)는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내부 전극(17) 및 복수의 내부 전극(19)을 구비하고 있다. 내부 전극(17,19)은 내부 전극(7,9)과 같고, 적층형 전자 부품의 내부 전극으로서 통상 사용되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제 2 실시형태에서도 내부 전극(17,19)은 Ni로 이루어진다.
내부 전극(17)과 내부 전극(19)은 제 1 방향(D1)에서 다른 위치(층)에 배치되어 있다. 내부 전극(17)과 내부 전극(19)은 제 1 방향(D1)에 간격을 갖고 대향하도록, 소체(3) 내에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내부 전극(17)과 내부 전극(19)은 서로 극성이 다르다.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 방향이 제 2 방향(D2)인 경우, 내부 전극(17)과 내부 전극(19)은 제 2 방향(D2)에서 다른 위치(층)에 배치된다. 내부 전극(17)의 양단은 한 쌍의 측면(3e)에 노출되어 있다. 내부 전극(19)의 양단은 한 쌍의 측면(3c)에 노출되어 있다.
외부 전극(13)은 소체(3)의 제 3 방향(D3)에서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외부 전극(13)은 전극부(13a,13b,13c,13e)를 갖고 있다. 전극부(13a)는 주면(3a)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전극부(13b)는 주면(3b)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전극부(13c)는 한 쌍의 측면(3c)에 배치되어 있다. 전극부(13e)는 대응하는 측면(3e)에 배치되어 있다. 외부 전극(13)은 한 쌍의 주면(3a,3b), 한 쌍의 측면(3c), 및 하나의 측면(3e)의 5개의 면에 형성되어 있다. 서로 이웃하는 전극부(13a,13b,13c,13e)끼리는 소체(3)의 능부에서 접속되어 있고,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극부(13e)는 내부 전극(17)의 측면(3e)에 노출된 끝을 모두 덮고 있다. 내부 전극(17)은 각 전극부(13e)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내부 전극(17)은 한 쌍의 외부 전극(1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외부 전극(13)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극층(E1),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제 4 전극층(E4)은 외부 전극(13)의 최외층을 구성하고 있다.
전극부(13a)는 제 1 전극층(E1),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전극부(13a)는 4층 구조이다. 전극부(13a)에서는 제 1 전극층(E1)의 전체가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다. 전극부(13b)는 제 1 전극층(E1),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전극부(13b)는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지 않다. 전극부(13b)는 3층 구조이다.
전극부(13c)는 영역(13c1)과 영역(13c2)을 갖고 있다. 영역(13c2)은 영역(13c1)보다도 주면(3a)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극부(13c)는 2개의 영역(13c1,13c2)만을 갖고 있다. 영역(13c1)은 제 1 전극층(E1),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영역(13c1)은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지 않다. 영역(13c1)은 3층 구조이다. 영역(13c2)은 제 1 전극층(E1),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영역(13c2)은 4층 구조이다.
전극부(13e)는 영역(13e1)과 영역(13e2)을 갖고 있다. 영역(13e2)은 영역(13e1)보다도 주면(3a)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극부(13e)는 2개의 영역(13e1,13e2)만을 갖고 있다. 영역(13e1)은 제 1 전극층(E1),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영역(13e1)은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지 않다. 영역(13e1)은 3층 구조이다. 영역(13e2)은 제 1 전극층(E1),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영역(13e2)은 4층 구조이다.
소체(3)의 길이(L1)에 대한, 영역(13c2)의 제 1 방향(D1)에서의 길이(L4)의 비율(L4/L1)이 0.2 이상이다. 소체(3)의 길이(L1)에 대한, 영역(13e2)의 제 1 방향(D1)에서의 길이(L5)의 비율(L5/L1)이 0.2 이상이다.
각 전극부(13a,13b,13c,13e)가 갖고 있는 제 1 전극층(E1)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부(13a,13c,13e)가 갖고 있는 제 2 전극층(E2)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부(13a,13b,13c,13e)가 갖고 있는 제 3 전극층(E3)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부(13a,13b,13c,13e)가 갖고 있는 제 4 전극층(E4)도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부 전극(15)은 소체(3)의 제 3 방향(D3)에서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외부 전극(15)은 전극부(15a,15b,15c)를 갖고 있다. 전극부(15a)는 주면(3a)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전극부(15b)는 주면(3b)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전극부(15c)는 측면(3c) 위에 배치되어 있다. 외부 전극(15)은 한 쌍의 주면(3a,3b), 및 하나의 측면(3c)의 3개의 면에 형성되어 있다. 서로 이웃하는 전극부(15a,15b,15c)끼리는 소체(3)의 능부에서 접속되어 있고,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극부(15c)는 내부 전극(19)의 측면(3c)에 노출된 끝을 모두 덮고 있다. 내부 전극(19)은 각 전극부(15c)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내부 전극(19)은 한 쌍의 외부 전극(1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외부 전극(15)도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극층(E1),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제 4 전극층(E4)은 외부 전극(15)의 최외층을 구성하고 있다.
전극부(15a)는 제 1 전극층(E1),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전극부(15a)는 4층 구조이다. 전극부(15a)에서는 제 1 전극층(E1)의 전체가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다. 전극부(15b)는 제 1 전극층(E1),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전극부(15b)는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지 않다. 전극부(15b)는 3층 구조이다.
전극부(15c)는 영역(15c1)과 영역(15c2)를 갖고 있다. 영역(15c2)은 영역(15c1)보다도 주면(3a)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극부(15c)는 2개의 영역(15c1,15c2)만을 갖고 있다. 영역(15c1)은 제 1 전극층(E1),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영역(15c1)은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지 않다. 영역(15c1)은 3층 구조이다. 영역(15c2)은 제 1 전극층(E1),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영역(15c2)은 4층 구조이다.
소체(3)의 길이(L1)에 대한, 영역(15c2)의 제 1 방향(D1)에서의 길이(L6)의 비율(L6/L1)이 0.2 이상이다. 각 전극부(15a,15b,15c)가 갖고 있는 제 1 전극층(E1)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부(15a,15c)가 갖고 있는 제 2 전극층(E2)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부(15a,15b,15c)가 갖고 있는 제 3 전극층(E3)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부(15a,15b,15c)가 갖고 있는 제 4 전극층(E4)도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적층 관통 콘덴서(C3)도 전자 기기에 땜납 실장된다. 적층 관통 콘덴서(C3)에서는, 주면(3a)이 전자 기기에 대향하는 실장면이 된다.
이상과 같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전극부(13a,15a)가 제 2 전극층(E2)(도전성 수지층)을 갖고 있는 동시에, 전극부(13c,15c)의 영역(13c2,15c2)이 제 2 전극층(E2)(도전성 수지층)을 갖고 있다. 따라서, 땜납 필렛을 통하여 적층 관통 콘덴서(C3)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외부 전극(13,15)의 끝 가장자리에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다. 외부 전극(13,15)의 끝 가장자리가 크랙의 기점이 되기 어렵다. 이 결과, 적층 관통 콘덴서(C3)에서는 크랙이 소체(3)에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소체(3)의 길이(L1)에 대한, 영역(13e2)의 길이(L5)의 비율(L5/L1)이 0.2 이상이다. 따라서, 외부 전극(13)의 끝 가장자리에 더욱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다. 이 결과, 적층 관통 콘덴서(C3)에서는 크랙이 소체(3)에 발생하는 것이 더욱 억제된다.
소체(3)의 길이(L1)에 대한, 영역(13c2)의 길이(L4)의 비율(L4/L1)이 0.2 이상이다. 따라서, 외부 전극(13)의 끝 가장자리에 더욱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다. 이 결과, 적층 관통 콘덴서(C3)에서는 크랙이 소체(3)에 발생하는 것이 더욱 억제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소체(3)의 길이(L1)에 대한, 영역(15c2)의 길이(L6)의 비율(L6/L1)이 0.2 이상이다. 따라서, 외부 전극(15)의 끝 가장자리에 더욱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다. 이 결과, 적층 관통 콘덴서(C3)에서는 크랙이 소체(3)에 발생하는 것이 더욱 억제된다.
(제 3 실시형태)
도 18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4)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8 및 도 19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평면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측면도이다. 도 22는 외부 전극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전자 부품은, 예를 들면, 적층 콘덴서(C4)이다.
적층 콘덴서(C4)는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체(3)와, 복수의 외부 전극(21)과, 복수의 내부 전극(도시하지 않음)을 갖고 있다. 복수의 외부 전극(21)은 소체(3)의 외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외부 전극(21)은 서로 이간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적층 콘덴서(C4)는 8개의 외부 전극(21)을 갖고 있다. 외부 전극(21)의 수는 8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각 외부 전극(21)은 전극부(21a,2lb,21c)를 갖고 있다. 전극부(21a)는 주면(3a)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전극부(2lb)는 주면(3b)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전극부(21c)는 측면(3c) 위에 배치되어 있다. 외부 전극(21)은 한 쌍의 주면(3a,3b), 및 하나의 측면(3c)의 3개의 면에 형성되어 있다. 서로 이웃하는 전극부(21a,2lb,21c)끼리는 소체(3)의 능부에서 접속되어 있고,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극부(21c)는 대응하는 내부 전극의 측면(3c)에 노출된 끝을 모두 덮고 있다. 전극부(21c)는 대응하는 내부 전극과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외부 전극(21)은 대응하는 내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외부 전극(21)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극층(E1),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제 4 전극층(E4)은 외부 전극(21)의 최외층을 구성하고 있다.
전극부(21a)는 제 1 전극층(E1),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전극부(21a)는 4층 구조이다. 전극부(21a)에서는 제 1 전극층(E1)의 전체가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다. 전극부(2lb)는 제 1 전극층(E1),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전극부(2lb)는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지 않다. 전극부(2lb)는 3층 구조이다.
전극부(21c)는 영역(21c1)과 영역(21c2)를 갖고 있다. 영역(21c2)은 영역(21c1)보다도 주면(3a)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극부(21c)는 2개의 영역(21c1,21c2)만을 갖고 있다. 영역(21c1)은 제 1 전극층(E1),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영역(21c1)은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지 않다. 영역(21c1)은 3층 구조이다. 영역(21c2)은 제 1 전극층(E1),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영역(21c2)은 4층 구조이다.
소체(3)의 길이(L1)에 대한, 영역(21c2)의 제 1 방향(D1)에서의 길이(L7)의 비율(L7/L1)이 0.2 이상이다. 각 전극부(21a,2lb,21c)가 갖고 있는 제 1 전극층(E1)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부(21a,21c)가 갖고 있는 제 2 전극층(E2)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부(21a,2lb,21c)가 갖고 있는 제 3 전극층(E3)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부(21a,2lb,21c)가 갖고 있는 제 4 전극층(E4)도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적층 콘덴서(C4)도 전자 기기에 땜납 실장된다. 적층 콘덴서(C4)에서는, 주면(3a)이 전자 기기에 대향하는 실장면이 된다.
이상과 같이,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전극부(21a)가 제 2 전극층(E2)(도전성 수지층)을 갖고 있는 동시에, 전극부(21c)의 영역(21c2)이 제 2 전극층(E2)(도전성 수지층)을 갖고 있다. 따라서, 땜납 필렛을 통하여 적층 콘덴서(C4)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외부 전극(21)의 끝 가장자리에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다. 외부 전극(21)의 끝 가장자리가 크랙의 기점이 되기 어렵다. 이 결과, 적층 콘덴서(C4)에서는 크랙이 소체(3)에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소체(3)의 길이(L1)에 대한, 영역(21c2)의 길이(L7)의 비율(L7/L1)이 0.2 이상이다. 따라서, 외부 전극(21)의 끝 가장자리에 더욱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다. 이 결과, 적층 콘덴서(C4)에서는 크랙이 소체(3)에 발생하는 것이 더욱 억제된다.
(제 4 실시형태)
도 23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5)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3 및 도 24는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평면도이다. 도 25 및 도 26은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측면도이다. 도 27은 외부 전극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전자 부품은, 예를 들면, 적층 콘덴서(C5)이다.
적층 콘덴서(C5)는 도 23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체(3)와, 복수의 외부 전극(31)과, 복수의 내부 전극(도시하지 않음)을 갖고 있다. 복수의 외부 전극(31)은 소체(3)의 외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외부 전극(31)은 서로 이간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적층 콘덴서(C5)는 4개의 외부 전극(31)을 갖고 있다.
소체(3)의 제 1 방향(D1)에서의 길이가, 소체(3)의 제 2 방향(D2)에서의 길이보다 작고, 또한 소체(3)의 제 3 방향(D3)에서의 길이보다 작다. 소체(3)의 제 2 방향(D2)에서의 길이와, 소체(3)의 제 3 방향(D3)에서의 길이는 동등하다.
각 외부 전극(31)은 소체(3)의 각 각부에 배치되어 있다. 각 외부 전극(31)은 전극부(31a,3lb,31c,31e)를 갖고 있다. 전극부(31a)는 주면(3a)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전극부(3lb)는 주면(3b)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전극부(31c)는 측면(3c)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전극부(31e)는 측면(3e) 위에 배치되어 있다. 외부 전극(31)은 한 쌍의 주면(3a,3b), 하나의 측면(3c), 및 하나의 측면(3e)의 4개의 면에 형성되어 있다. 서로 이웃하는 전극부(31a,3lb,31c,31e)끼리는 소체(3)의 능부에서 접속되어 있고,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극부(31c,31e)는 대응하는 내부 전극의 측면(3c) 및 측면(3e)에 노출된 끝을 모두 덮고 있다. 전극부(31c,31e)는 대응하는 내부 전극과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외부 전극(31)은 대응하는 내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외부 전극(31)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극층(E1),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제 4 전극층(E4)은 외부 전극(31)의 최외층을 구성하고 있다.
전극부(31a)는 제 1 전극층(E1),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전극부(31a)는 4층 구조이다. 전극부(31a)에서는 제 1 전극층(E1)의 전체가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다. 전극부(3lb)는 제 1 전극층(E1),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전극부(3lb)는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지 않다. 전극부(3lb)는 3층 구조이다.
전극부(31c)는 영역(31c1)과 영역(31c2)를 갖고 있다. 영역(31c2)은 영역(31c1)보다도 주면(3a)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극부(31c)는 2개의 영역(31c1,31c2)만을 갖고 있다. 영역(31c1)은 제 1 전극층(E1),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영역(31c1)은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지 않다. 영역(31c1)은 3층 구조이다. 영역(31c2)은 제 1 전극층(E1),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영역(31c2)은 4층 구조이다.
전극부(31e)는 영역(31e1)과 영역(31e2)을 갖고 있다. 영역(31e2)은 영역(31e1)보다도 주면(3a)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극부(31e)는 2개의 영역(31e1,31e2)만을 갖고 있다. 영역(31e1)은 제 1 전극층(E1),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영역(31e1)은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지 않다. 영역(31e1)은 3층 구조이다. 영역(31e2)은 제 1 전극층(E1),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영역(31e2)은 4층 구조이다.
소체(3)의 길이(L1)에 대한, 영역(31c2)의 제 1 방향(D1)에서의 길이(L8)의 비율(L8/L1)이 0.2 이상이다. 소체(3)의 길이(L1)에 대한, 영역(31e2)의 제 1 방향(D1)에서의 길이(L9)의 비율(L9/L1)이 0.2 이상이다.
각 전극부(31a,3lb,31c,31e)가 갖고 있는 제 1 전극층(E1)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부(31a,31c,31e)가 갖고 있는 제 2 전극층(E2)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부(31a,3lb,31c,31e)가 갖고 있는 제 3 전극층(E3)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부(31a,3lb,31c,31e)가 갖고 있는 제 4 전극층(E4)도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적층 콘덴서(C5)도 전자 기기에 땜납 실장된다. 적층 콘덴서(C5)에서는, 주면(3a)이 전자 기기에 대향하는 실장면이 된다.
이상과 같이,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전극부(31a)가 제 2 전극층(E2)(도전성 수지층)을 갖고 있는 동시에, 전극부(31c,31e)의 영역(31c2,31e2)이 제 2 전극층(E2)(도전성 수지층)을 갖고 있다. 따라서, 땜납 필렛을 통하여 적층 콘덴서(C5)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외부 전극(31)의 끝 가장자리에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다. 외부 전극(31)의 끝 가장자리가 크랙의 기점이 되기 어렵다. 이 결과, 적층 콘덴서(C5)에서는 크랙이 소체(3)에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소체(3)의 길이(L1)에 대한, 영역(31c2)의 길이(L8)의 비율(L8/L1)이 0.2 이상이다. 소체(3)의 길이(L1)에 대한, 영역(31e2)의 길이(L9)의 비율(L9/L1)이 0.2 이상이다. 따라서, 외부 전극(31)의 끝 가장자리에 더욱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다. 이 결과, 적층 콘덴서(C5)에서는 크랙이 소체(3)에 발생하는 것이 더욱 억제된다.
(제 5 실시형태)
도 28 내지 도 32를 참조하여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C6)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8은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평면도이다. 도 29는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측면도이다. 도 30 내지 도 32는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전자 부품은, 예를 들면, 적층 관통 콘덴서(C6)이다.
적층 관통 콘덴서(C6)는 도 28 내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체(3)와, 한 쌍의 외부 전극(13), 한 쌍의 외부 전극(15), 복수의 내부 전극(17), 및 복수의 내부 전극(19)을 갖고 있다. 적층 관통 콘덴서(C6)도 전자 기기에 땜납 실장된다. 적층 관통 콘덴서(C6)에서는 주면(3a)이 전자 기기에 대향하는 실장면이 된다.
외부 전극(13)은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극층(E1),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적층 관통 콘덴서(C6)에서는, 외부 전극(13)은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지 않다. 각 전극부(13a,13c,13e)가 제 1 전극층(E1),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각 전극부(13a,13c,13e)는 3층 구조이다. 제 4 전극층(E4)은 외부 전극(13)의 최외층을 구성하고 있다.
외부 전극(15)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 관통 콘덴서(C3)와 같고, 제 1 전극층(E1),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적층 관통 콘덴서(C6)는 한 쌍의 절연막(I)를 구비하고 있다. 절연막(I)은 전기 절연성을 갖는 재료(예를 들면, 절연성 수지 또는 유리)로 이루어진다.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절연막(I)은 절연성 수지(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다.
절연막(I)은 전극부(13a)의 끝 가장자리(13ae) 및 전극부(13c)의 끝 가장자리(13ce)를 따라, 외부 전극(13)의 일부와 소체(3)의 일부를 덮고 있다. 전극부(13b), 전극부(13e), 및 주면(3b)은 절연막(I)으로 덮여 있지 않다.
절연막(I)은 끝 가장자리(13ae)와 끝 가장자리(13ce)의 일부(제 1 방향(D1)에서의 주면(3a) 가까이의 부분)만을 따라, 끝 가장자리(13ae)와 끝 가장자리(13ce)의 일부만을 연속하여 덮고 있는 동시에 주면(3a)과 측면(3c)을 연속하여 덮고 있다. 절연막(I)은 막 부분(Ia,Ib,Ic,Id)을 갖고 있다. 막 부분(Ia)은 전극부(13a) 위에 위치하고 있다. 막 부분(Ib)은 전극부(13c) 위에 위치하고 있다. 막 부분(Ic)은 주면(3a) 위에 위치하고 있다. 막 부분(Id)은 측면(3c) 위에 위치하고 있다. 각 막 부분(Ia,Ib,Ic,Id)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극부(13a)의 표면은, 끝 가장자리(13ae)를 따라 절연막(I)(막 부분(Ia))으로 덮여 있는 영역과, 절연막(I)에서 노출되어 있는 영역을 갖고 있다. 절연막(I)에서 노출되어 있는 영역은, 막 부분(Ia)으로 덮여 있는 영역보다도 측면(3e)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전극부(13c)의 표면은, 끝 가장자리(13ce)를 따라 절연막(I)(막 부분(Ib))으로 덮여 있는 영역과, 절연막(I)에서 노출되어 있는 영역을 갖고 있다.
주면(3a)은, 끝 가장자리(13ae)를 따라 절연막(I)(막 부분(Ic))으로 덮여 있는 영역과, 절연막(I)에서 노출되어 있는 영역을 갖고 있다. 측면(3c)은, 끝 가장자리(13ce)를 따라 절연막(I)(막 부분(Id))으로 덮여 있는 영역과, 절연막(I)에서 노출되어 있는 영역을 갖고 있다.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소체(3)의 길이(L1)에 대한, 막 부분(Ib)과 막 부분(Id)의 제 1 방향(D1)에서의 각 길이(L11)의 비율(L11/L1)은 0.1 이상 0.4 이하이다. 전극부(13a)의 제 3 방향(D3)에서의 길이(L12)에 대한, 막 부분(Ia)의 제 3 방향(D3)에서의 길이(L13)의 비율(L13/L12)은 0.3 이상이다.
이상과 같이,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절연막(I)이, 끝 가장자리(13ae)와 끝 가장자리(13ce)의 일부만을 연속하여 덮고 있다. 따라서, 땜납 필렛이 끝 가장자리(13ae), 및 끝 가장자리(13ce)의 일부(전극부(13c)에서의 주면(3a)의 근방에 위치하는 부분의 끝 가장자리)에 도달하는 경우는 없다. 이 결과, 땜납 필렛을 통하여 적층 관통 콘덴서(C6)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끝 가장자리(13ae,13ce)에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다. 끝 가장자리(13ae,13ce)가 크랙의 기점이 되기 어렵다.
적층 관통 콘덴서(C6)에서는, 전극부(15a)가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는 동시에, 전극부(15c)의 영역(15c2)이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다. 따라서, 땜납 필렛을 통하여 적층 관통 콘덴서(C6)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외부 전극(15)의 끝 가장자리에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다. 외부 전극(15)의 끝 가장자리가 크랙의 기점이 되기 어렵다.
이들의 결과, 적층 관통 콘덴서(C6)에서는 크랙이 소체(3)에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절연막(I)은 끝 가장자리(13ae)와 끝 가장자리(13ce)의 일부만을 따라, 주면(3a)과 측면(3c)을 연속하여 덮고 있다. 따라서, 끝 가장자리(13ae)와 끝 가장자리(13ce)의 일부가, 절연막(I)에 의해 확실하게 덮여진다. 이 결과, 적층 관통 콘덴서(C6)에서는 끝 가장자리(13ae,13ce)가 더욱 크랙의 기점이 되기 어렵다.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전극부(13b) 전체가 절연막(I)에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전극부(13b)에 땜납 필렛이 형성된다. 이 결과, 적층 관통 콘덴서(C6)의 실장 강도가 확보된다.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소체(3)의 길이(L1)에 대한 길이(L11)의 비율(L11/L1)은 0.1 이상 0.4 이하이다. 이 경우, 크랙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확보하면서, 절연막(I)의 사이즈가 작게 된다. 따라서, 적층 관통 콘덴서(C6)의 저비용을 도모할 수 있다. 비율(L11/L1)이 0.1 미만인 경우에는, 끝 가장자리(13ae,13ce)에 작용하는 응력이 크다. 끝 가장자리(13ae,13ce)가 크랙의 기점이 되어 쉽다.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전극부(13a)의 길이(L12)에 대한, 막 부분(Ia)의 길이(L13)의 비율(L13/L12)은 0.3 이상이다. 이 경우, 끝 가장자리(13ae)에 더욱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다. 따라서, 크랙이 소체(3)에 발생하는 것이 더욱 억제된다. 비율(L13/L12)이 0.3 미만인 경우, 끝 가장자리(13ae)에 작용하는 응력이 크다. 끝 가장자리(13ae)가 크랙의 기점이 되어 쉽다.
다음으로, 도 33 내지 도 35를 참조하여 제 5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C7)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3 및 도 34는 본 변형예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평면도이다. 도 35는 본 변형예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측면도이다.
적층 관통 콘덴서(C7)는 적층 관통 콘덴서(C6)와 마찬가지로, 소체(3), 한 쌍의 외부 전극(13), 한 쌍의 외부 전극(15), 복수의 내부 전극(17)(도시하지 않음), 및 복수의 내부 전극(19)(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적층 관통 콘덴서(C7)에서는, 절연막(I)의 형상이 적층 관통 콘덴서(C6)와 상이하다.
적층 관통 콘덴서(C7)는 도 33 내지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절연막(I)를 구비하고 있다. 절연막(I)은 전극부(13a)의 끝 가장자리(13ae), 전극부(13b)의 끝 가장자리(13be), 및 전극부(13c)의 끝 가장자리(13ce)를 따라, 외부 전극(13)의 일부와 소체(3)의 일부를 덮고 있다. 전극부(13e)는 절연막(I)으로 덮여 있지 않다.
절연막(I)은 끝 가장자리(13ae), 끝 가장자리(13be), 및 끝 가장자리(13ce)의 전체를 따라, 끝 가장자리(13ae), 끝 가장자리(13be), 및 끝 가장자리(13ce)를 연속하여 덮고 있는 동시에 주면(3a)과 주면(3b)과 측면(3c)을 연속하여 덮고 있다. 절연막(I)은 막 부분(Ia,Ib,Ic,Id,Ie,If)를 갖고 있다. 막 부분(Ia)은 전극부(13a) 위에 위치하고 있다. 막 부분(Ib)은 전극부(13c) 위에 위치하고 있다. 막 부분(Ic)은 주면(3a) 위에 위치하고 있다. 막 부분(Id)은 측면(3c) 위에 위치하고 있다. 막 부분(Ie)은 전극부(13b) 위에 위치하고 있다. 막 부분(If)은 주면(3b) 위에 위치하고 있다. 각 막 부분(Ia,Ib,Ic,Id,Ie,If)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극부(13a)의 표면은, 끝 가장자리(13ae)를 따라 절연막(I)(막 부분(Ia))으로 덮여 있는 영역과, 절연막(I)에서 노출되어 있는 영역을 갖고 있다. 전극부(13a)의 표면에서의 절연막(I)에서 노출되어 있는 영역은, 막 부분(Ia)으로 덮여 있는 영역보다도 측면(3e)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전극부(13c)의 표면은, 끝 가장자리(13ce)를 따라 절연막(I)(막 부분(Ib))으로 덮여 있는 영역과, 절연막(I)에서 노출되어 있는 영역을 갖고 있다. 전극부(13c)의 표면에서의 절연막(I)에서 노출되어 있는 영역은, 막 부분(Ib)으로 덮여 있는 영역보다도 측면(3e)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전극부(13b)의 표면은, 끝 가장자리(13be)를 따라 절연막(I)(막 부분Ie)으로 덮여 있는 영역과, 절연막(I)에서 노출되어 있는 영역을 갖고 있다. 전극부(13b)의 표면에서의 절연막(I)에서 노출되어 있는 영역은, 막 부분(Ie)으로 덮여 있는 영역보다도 측면(3e)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주면(3a)은, 끝 가장자리(13ae)를 따라 절연막(I)(막 부분(Ic))으로 덮여 있는 영역과, 절연막(I)에서 노출되어 있는 영역을 갖고 있다. 측면(3c)은, 끝 가장자리(13ce)를 따라 절연막(I)(막 부분(Id))으로 덮여 있는 영역과, 절연막(I)에서 노출되어 있는 영역을 갖고 있다. 주면(3b)은, 끝 가장자리(13be)를 따라 절연막(I)(막 부분(If))으로 덮여 있는 영역과, 절연막(I)에서 노출되어 있는 영역을 갖고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절연막(I)이 끝 가장자리(13ae), 끝 가장자리(13be), 및 끝 가장자리(13ce)의 전체를 연속하여 덮고 있다. 따라서, 크랙이 소체(3)에 발생하는 것이 확실하게 억제된다.
절연막(I)은 끝 가장자리(13ae), 끝 가장자리(13be), 및 끝 가장자리(13ce)의 전체를 따라, 주면(3a), 주면(3b), 및 측면(3c)을 연속하여 덮고 있다. 따라서, 끝 가장자리(13ae), 끝 가장자리(13be), 및 끝 가장자리(13ce)의 전체가 절연막(I)에 의해 확실하게 덮여진다. 이 결과, 끝 가장자리(13ae) 및 끝 가장자리(13ce)가 더욱 크랙의 기점이 되기 어렵다.
(제 6 실시형태)
도 36을 참조하여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부품 장치(ECD1)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6은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부품 장치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부품 장치(ECD1)는 적층 콘덴서(C1)와, 전자 기기(ED)를 구비하고 있다. 전자 기기(ED)는, 예를 들면, 회로 기판 또는 전자 부품이다.
적층 콘덴서(C1)는 전자 기기(ED)에 땜납 실장되어 있다. 전자 기기(ED)는 주면(EDa)과, 2개의 패드 전극(PE1,PE2)을 갖고 있다. 각 패드 전극(PE1,PE2)은 주면(EDa)에 배치되어 있다. 2개의 패드 전극(PE1,PE2)은 서로 이간되어 있다. 적층 콘덴서(C1)는 주면(EDa)과 실장면인 주면(3a)이 대향하도록, 전자 기기(ED)에 배치되어 있다.
적층 콘덴서(C1)가 땜납 실장될 경우, 용융한 땜납이 외부 전극(5)(제 4 전극층(E4))을 젖어 오른다. 젖어 오른 땜납이 고화(固化)함으로써, 외부 전극(5)에 땜납 필렛(SF)이 형성된다. 서로 대응하는 외부 전극(5)과 패드 전극(PE1,PE2)은 땜납 필렛(SF)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땜납 필렛(SF)은 전극부(5e)의 영역(5e1)과 영역(5e2)에 형성되어 있다. 영역(5e2)뿐만 아니라, 제 2 전극층(E2)(도전성 수지층)을 갖고 있지 않은 영역(5e1)이, 땜납 필렛(SF)을 통하여 패드 전극(PE1,PE2)과 연결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땜납 필렛(SF)은 전극부(5c)의 영역(5c1)과 영역(5c2)에도 형성되어 있다.
전자 부품 장치(ECD1)에서는, 땜납 필렛(SF)이 전극부(5e)의 영역(5e2)에만 형성되어 있는 전자 부품 장치에 비해, 땜납 필렛(SF)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이 넓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C1)의 실장 강도가 확보되어 있다.
영역(5e2)은 영역(5e1)보다도, 제 2 방향(D2) 및 제 3 방향(D3)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영역(5e2)과 영역(5e1)의 경계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영역(5e2)과 영역(5e1)의 경계 부근에서, 영역(5e1)의 표면적이 영역(5e2)의 표면적보다도 작다. 따라서, 용융한 땜납이 젖어 오르는 경로가 작다. 이들의 결과, 용융한 땜납이 영역(5e2)으로부터 영역(5e1)으로 젖어 오르기 쉬운 동시에, 영역(5e2)과 영역(5e1)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단차에, 땜납이 괴기 쉽다. 영역(5e2)과 영역(5e1)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단차에는, 땜납 고임이 형성된다.
도 36에 도시된 전자 부품 장치(ECD1)에서는, 땜납 고임이 영역(5e2)과 영역(5e1)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단차에 형성된다. 전자 부품 장치(ECD1)에서는, 영역(5e2)과 영역(5e1)의 경계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전자 부품 장치에 비해, 영역(5e2)과 패드 전극(PE1,PE2)에 형성되는 땜납 필렛의 체적이 작다. 따라서, 땜납 필렛(SF)에서 적층 콘덴서(C1)에 작용하는 힘이 작다. 실장면인 주면(3a)에 위치하는 제 1 전극층(E1)의 끝 가장자리에 집중하는 응력도 작다. 이 결과, 제 1 전극층(E1)의 상기 끝 가장자리가 크랙의 기점이 되기 어렵다. 크랙이 소체(3)에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전자 부품 장치(ECD1)에서는, 영역(5e2)과 영역(5e1)의 경계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전자 부품 장치에 비해, 영역(5e1)에 젖어 오르는 땜납의 양이 많다. 따라서, 전자 부품 장치(ECD1)에서는, 땜납 필렛(SF)이 형성되는 영역이 넓다. 이 결과, 적층 콘덴서(C1)의 실장 강도가 향상된다.
영역(5e2)과 영역(5e1)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단차에는 제 2 전극층(E2)(도전성 수지층)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영역(5e2)과 영역(5e1)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단차에 형성되는 땜납 고임은 크랙의 기점이 되기 어렵다. 이 결과, 외부 전극(5)에는 크랙이 생기기 어렵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5c2)은 영역(5c1)보다도 제 2 방향(D2) 및 제 3 방향(D3)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영역(5c2)과 영역(5c1)의 경계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영역(5c2)과 영역(5c1)의 경계 부근에서, 영역(5c1)의 표면적이 영역(5c2)의 표면적보다도 작다. 따라서, 용융한 땜납이 젖어 오르는 경로가 작다. 이들의 결과, 용융한 땜납이 영역(5c2)으로부터 영역(5c1)으로 젖어 오르기 쉬운 동시에, 영역(5c2)과 영역(5c1)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단차에 땜납이 괴기 쉽다. 영역(5c2)과 영역(5c1)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단차에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땜납 고임이 형성된다.
전자 부품 장치(ECD1)에서는, 땜납 고임이 영역(5c2)과 영역(5c1)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단차에 형성된다. 전자 부품 장치(ECD1)에서는, 영역(5c2)과 영역(5c1)의 경계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전자 부품 장치에 비해, 영역(5c2)과 패드 전극(PE1,PE2)에 형성되는 땜납 필렛의 체적이 작다. 따라서, 땜납 필렛(SF)에서 적층 콘덴서(C1)에 작용하는 힘이 작다. 실장면인 주면(3a)에 위치하는 제 1 전극층(E1)의 끝 가장자리에 집중하는 응력도 작다. 이 결과, 제 1 전극층(E1)의 상기 끝 가장자리가 크랙의 기점이 되기 어렵다. 크랙이 소체(3)에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전자 부품 장치(ECD1)에서는, 영역(5c2)과 영역(5c1)의 경계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전자 부품 장치에 비해, 영역(5c1)에 젖어 오르는 땜납의 양이 많으므로, 땜납 필렛(SF)이 형성되는 영역이 넓다. 이 결과, 적층 콘덴서(C1)의 실장 강도가 더욱 향상된다.
영역(5c2)과 영역(5c1)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단차에는 제 2 전극층(E2)(도전성 수지층)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영역(5c2)과 영역(5c1)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단차에 형성되는 땜납 고임은 크랙의 기점이 되기 어렵다. 따라서, 외부 전극(5)에는 크랙이 더욱 생기기 어렵다.
소체(3)의 길이(L1)에 대한, 영역(5e2)의 길이(L3)의 비율(L3/L1)은 0.8 이하라도 좋다. 비율(L3/L1)이 0.8 이하인 경우, 비율(L3/L1)이 0.8보다 큰 경우에 비해, 영역(5e2)과 영역(5e1)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단차에, 땜납 고임이 확실하게 형성된다.
소체(3)의 길이(L1)에 대한, 영역(5c2)의 길이(L2)의 비율(L2/L1)은 0.8 이하라도 좋다. 비율(L2/L1)이 0.8 이하인 경우, 비율(L2/L1)이 0.8보다 큰 경우에 비해, 영역(5c2)과 영역(5c1)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단차에, 땜납 고임이 확실하게 형성된다.
전자 부품 장치(ECD1)는 적층 콘덴서(C1) 대신에, 적층 콘덴서(C2), 적층 콘덴서(C4), 또는 적층 콘덴서(C5)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전자 부품 장치(ECD1)는 적층 콘덴서(C1) 대신에, 적층 관통 콘덴서(C3), 적층 관통 콘덴서(C6), 또는 적층 관통 콘덴서(C7)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전자 부품 장치(ECD1)가 적층 관통 콘덴서(C3)를 구비할 경우, 땜납 필렛(SF)은 전극부(13e)의 영역(13e1)과 영역(13e2)에 형성된다. 또한, 땜납 필렛(SF)은 전극부(15c)의 영역(15c1)과 영역(15c2)에도 형성된다.
전자 부품 장치(ECD1)가 적층 콘덴서(C4)을 구비할 경우, 땜납 필렛(SF)은 전극부(21c)의 영역(21c1)과 영역(21c2)에 형성된다. 전자 부품 장치(ECD1)가 적층 콘덴서(C5)를 구비할 경우, 땜납 필렛(SF)은 전극부(31c,31e)의 영역(31c1,31e1)과 영역(31c2,31e2)에 형성된다.
전자 부품 장치(ECD1)가 적층 관통 콘덴서(C6) 또는 적층 관통 콘덴서(C7)를 구비할 경우, 땜납 필렛(SF)은 전극부(15c)의 영역(15c1)과 영역(15c2)에 형성된다. 또한, 땜납 필렛(SF)은 전극부(13e)에 형성된다.
적층 콘덴서(C1)에서는 도 37 및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5c2)의 제 3 방향(D3)에서의 폭이, 영역(5c1)에서 멀어짐에 따라 커져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용융한 땜납이 영역(5c2)에서 영역(5c1)을 향하여, 젖어 오르기 쉽다. 따라서, 크랙이 소체(3)에 발생하는 것이 더욱 억제되는 동시에, 실장 강도가 향상된다. 적층 관통 콘덴서(C3)에서는 도 39 및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13c2)의 제 3 방향(D3)에서의 폭이, 영역(13c1)에서 멀어짐에 따라 커져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용융한 땜납이 영역(13c2)에서 영역(13c1)을 향하여, 젖어 오르기 쉽다. 따라서, 크랙이 소체(3)에 발생하는 것이 더욱 억제되는 동시에, 실장 강도가 향상된다.
적층 관통 콘덴서(C3)는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외부 전극(15)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전극부(15a)는 주면(3a) 위를 제 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도, 전극부(15a)에 있어서, 제 1 전극층(E1)의 전체가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다.
(제 7 실시형태)
도 42 내지 도 48을 참조하여 제 7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C101)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42 및 도 43은 제 7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평면도이다. 도 44는 제 7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측면도이다. 도 45는 제 7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단면도이다. 도 46, 도 47, 및 도 48은 제 7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 7 실시형태에서는, 전자 부품은, 예를 들면, 적층 관통 콘덴서(C101)이다.
적층 관통 콘덴서(C101)는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체(103)와, 한 쌍의 외부 전극(105) 및 하나의 외부 전극(106)을 갖고 있다. 한 쌍의 외부 전극(105) 및 하나의 외부 전극(106)은 소체(103)의 외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외부 전극(105)은 서로 이간되어 있다. 한 쌍의 외부 전극(105)과 외부 전극(106)은 각각 이간되어 있다. 한 쌍의 외부 전극(105)은, 예를 들면, 신호용 단자 전극으로서 기능한다. 외부 전극(106)은, 예를 들면, 접지용 단자 전극으로서 기능한다.
소체(103)는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소체(103)는 서로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주면(103a,103b)과, 서로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측면(103c)과, 서로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단면(103e)을 갖고 있다. 한 쌍의 주면(103a,103b) 및 한 쌍의 측면(103c)은 직사각형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한 쌍의 주면(103a,103b)이 대향하고 있는 방향이 제 1 방향(D101)이다. 한 쌍의 측면(103c)이 대향하고 있는 방향이 제 2 방향(D102)이다. 한 쌍의 단면(103e)이 대향하고 있는 방향이 제 3 방향(D103)이다. 직방체 형상은 각부 및 능부가 모따기되어 있는 직방체의 형상, 및 각부 및 능부가 둥글게 되어 있는 직방체의 형상을 포함한다.
제 1 방향(D101)은 각 주면(103a,103b)에 직교하는 방향이고, 제 2 방향(D102)과 직교하고 있다. 제 3 방향(D103)은 각 주면(103a,103b)과 각 측면(103c)에 평행한 방향이고, 제 1 방향(D101)과 제 2 방향(D102)에 직교하고 있다. 제 2 방향(D102)은 각 측면(103c)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제 3 방향(D103)은 각 단면(103e)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제 7 실시형태에서는, 소체(103)의 제 3 방향(D103)에서의 길이는 소체(103)의 제 1 방향(D101)에서의 길이보다 크고, 또한 소체(103)의 제 2 방향(D102)에서의 길이보다 크다. 제 3 방향(D103)이 소체(103)의 길이 방향이다.
한 쌍의 측면(103c)은 한 쌍의 주면(103a,103b)을 연결하도록 제 1 방향(D101)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측면(103c)은 제 3 방향(D103)으로도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단면(103e)는 한 쌍의 주면(103a,103b)을 연결하도록 제 1 방향(D101)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단면(103e)는 제 2 방향(D102)으로도 연장되어 있다.
소체(103)는 한 쌍의 능선부(103g)와, 한 쌍의 능선부(103h)와, 4개의 능선부(103i)와, 한 쌍의 능선부(103j)와, 한 쌍의 능선부(103k)를 갖고 있다. 능선부(103g)는 단면(103e)과 주면(103a)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능선부(103h)는 단면(103e)과 주면(103b)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능선부(103i)는 단면(103e)과 측면(103c)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능선부(103j)는 주면(103a)와 측면(103c)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능선부(103k)는 주면(103b)과 측면(103c)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능선부(103g,103h,103i,103j,103k)는 만곡하도록 둥글게 되어 있다. 소체(103)에는, 소위 R 모따기 가공이 시행되고 있다.
단면(103e)과 주면(103a)은 능선부(103g)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서로 이웃하고 있다. 단면(103e)과 주면(103b)은 능선부(103h)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서로 이웃하고 있다. 단면(103e)과 측면(103c)은 능선부(103i)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서로 이웃하고 있다. 주면(103a)와 측면(103c)은 능선부(103j)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서로 이웃하고 있다. 주면(103b)과 측면(103c)은 능선부(103k)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서로 이웃하고 있다.
소체(103)는 제 1 방향(D101)에 복수의 유전체층이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소체(103)는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유전체층을 갖고 있다. 소체(103)에서는,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 방향이 제 1 방향(D101)과 일치한다. 제 1 방향(D101)은 한 쌍의 주면(103a,103b)이 대향하고 있는 방향이다. 각 유전체층은, 예를 들면, 유전체 재료를 포함하는 세라믹 그린 시트의 소결체로 구성되어 있다. 유전체 재료에는, 예를 들면, BaTiO3계, Ba(Ti,Zr)O3계, 또는 (Ba,Ca)TiO3계의 유전체 세라믹이 사용된다. 실제의 소체(103)에서는, 각 유전체층은 각 유전체층 사이의 경계를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다. 소체(103)에서는,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 방향이 제 2 방향(D102)과 일치하고 있어도 좋다.
적층 관통 콘덴서(C101)는 전자 기기(예를 들면, 회로 기판 또는 전자 부품)에, 땜납 실장된다. 적층 관통 콘덴서(C101)에서는, 주면(103a)이 전자 기기와 대향하는 실장면이 된다.
적층 관통 콘덴서(C101)는 도 46, 도 47, 및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내부 전극(107)과 복수의 내부 전극(109)을 구비하고 있다. 각 내부 전극(107,109)은 소체(103) 내에 배치되어 있는 내부 도체이다. 각 내부 전극(107,109)은, 적층형 전자 부품의 내부 전극으로서 통상 사용되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도전성 재료로서, 비금속(예를 들면, Ni 또는 Cu)이 사용된다. 내부 전극(107,109)은, 상기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소결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 7 실시형태에서는, 내부 전극(107,109)은 Ni로 이루어진다.
내부 전극(107)과 내부 전극(109)은 제 1 방향(D101)에서 다른 위치(층)에 배치되어 있다. 내부 전극(107)과 내부 전극(109)은 소체(103) 내에서, 제 1 방향(D101)에 간격을 갖고 대향하도록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내부 전극(107)과 내부 전극(109)은 서로 극성이 다르다.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 방향이 제 2 방향(D102)인 경우, 내부 전극(107)과 내부 전극(109)은 제 2 방향(D102)에서 다른 위치(층)에 배치된다. 내부 전극(107)은 대응하는 단면(103e)에 노출되어 있는 한 쌍의 끝을 갖고 있다. 내부 전극(109)은 대응하는 측면(103c)에 노출되어 있는 한 쌍의 끝을 갖고 있다.
외부 전극(105)은 소체(103)의 제 3 방향(D103)에서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외부 전극(105)은 소체(103)에서의, 대응하는 단면(103e) 측에 배치되어 있다. 외부 전극(105)은 전극부(105a,105b,105c,105e)를 갖고 있다. 전극부(105a)는 주면(103a) 위 및 능선부(103g)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전극부(105b)는 능선부(103h)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전극부(105c)는 각 능선부(103i)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전극부(105e)는 대응하는 단면(103e)에 배치되어 있다. 외부 전극(105)은 능선부(103j) 위에 배치되어 있는 전극부도 갖고 있다.
외부 전극(105)은 주면(103a), 한 쌍의 측면(103c), 및 하나의 단면(103e)의 4개의 면, 및 능선부(103g,103h,103i,103j)에 형성되어 있다. 서로 이웃하는 전극부(105a,105b,105c,105e)끼리는 접속되어 있고,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부 전극(105)은 주면(103b) 위에 의도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다.
단면(103e)에 배치되어 있는 전극부(105e)는 내부 전극(107)의 단면(103e)에 노출된 일단을 모두 덮고 있다. 내부 전극(107)은 전극부(105e)와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내부 전극(107)은 한 쌍의 외부 전극(105)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외부 전극(105)은 도 46, 도 47, 및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극층(E1),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제 4 전극층(E4)은 외부 전극(105)의 최외층을 구성하고 있다. 각 전극부(105a,105c,105e)는 제 1 전극층(E1),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전극부(105b)는 제 1 전극층(E1),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전극부(105a)의 제 1 전극층(E1)은 능선부(103g) 위에 배치되어 있고, 주면(103a) 위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주면(103a)은 제 1 전극층(E1)에 덮여 있지 않고, 제 1 전극층(E1)에서 노출되어 있다. 전극부(105a)의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 위 및 주면(103a)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전극층(E1)의 전체가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다. 전극부(105a)의 제 2 전극층(E2)은 주면(103a)과 접하고 있다. 전극부(105a)는 능선부(103g) 위에서는 4층 구조를 갖고 있고, 주면(103a) 위에서는 3층 구조를 갖고 있다.
전극부(105b)의 제 1 전극층(E1)은 능선부(103h) 위에 배치되어 있고, 주면(103b) 위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주면(103b)은 제 1 전극층(E1)에 덮여 있지 않고, 제 1 전극층(E1)에서 노출되어 있다. 전극부(105b)는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지 않다. 전극부(105b)는 3층 구조이다.
전극부(105c)의 제 1 전극층(E1)은 능선부(103i) 위에 배치되어 있고, 측면(103c) 위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측면(103c)은 제 1 전극층(E1)에 덮여 있지 않고, 제 1 전극층(E1)에서 노출되어 있다. 전극부(105c)의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 위 및 측면(103c)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전극층(E1)의 일부가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다. 전극부(105c)의 제 2 전극층(E2)은 측면(103c)과 접하고 있다.
전극부(105c)는 영역(105c1)과 영역(105c2)을 갖고 있다. 영역(105c2)은 영역(105c1)보다도 주면(103a)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극부(105c)는 2개의 영역(105c1,105c2)만을 갖고 있다. 영역(105c1)은 제 1 전극층(E1),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영역(105c1)은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지 않다. 영역(105c1)은 3층 구조이다. 영역(105c2)은 제 1 전극층(E1),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영역(105c2)은 능선부(103i) 위에서는 4층 구조를 갖고 있고, 측면(103c) 위에서는 3층 구조를 갖고 있다. 영역(105c1)은 제 1 전극층(E1)이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는 영역이다. 영역(105c2)은 제 1 전극층(E1)이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는 영역이다.
전극부(105e)의 제 1 전극층(E1)은 단면(103e) 위에 배치되어 있다. 단면(103e)의 전체가 제 1 전극층(E1)에 덮여 있다. 전극부(105e)의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전극층(E1)의 일부가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다.
전극부(105e)는 영역(105e1)과 영역(105e2)을 갖고 있다. 영역(105e2)은 영역(105e1)보다도 주면(103a)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극부(105e)는 2개의 영역(105e1,105e2)만을 갖고 있다. 영역(105e1)은 제 1 전극층(E1),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영역(105e1)은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지 않다. 영역(105e1)은 3층 구조이다. 영역(105e2)은 제 1 전극층(E1),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영역(105e2)은 4층 구조이다. 영역(105e1)은 제 1 전극층(E1)이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는 영역이다. 영역(105e2)은 제 1 전극층(E1)이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는 영역이다.
외부 전극(106)은 소체(103)의 제 3 방향(D103)에서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외부 전극(106)은 제 3 방향(D103)이고, 한 쌍의 외부 전극(105)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외부 전극(106)은 전극부(106a)와 한 쌍의 전극부(106c)를 갖고 있다. 전극부(106a)는 주면(103a) 위에 배치되어 있다. 각 전극부(106c)는, 측면(103c) 위 및 능선부(103j,103k) 위에 배치되어 있다. 외부 전극(106)은, 주면(103a) 및 한 쌍의 측면(103c)의 3개의 면, 및 능선부(103j,103k)에 형성되어 있다. 서로 이웃하는 전극부(106a,106c)끼리는 접속되어 있고,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부 전극(106)은 주면(103b) 위에 의도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전극부(106a)는 주면(103a) 위를 제 2 방향(D102)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전극부(106c)는, 내부 전극(109)의 측면(103c)에 노출된 일단을 모두 덮고 있다. 내부 전극(109)은 각 전극부(106c)와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내부 전극(109)은 외부 전극(106)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외부 전극(106)도 도 46, 도 47, 및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극층(E1),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제 4 전극층(E4)은 외부 전극(106)의 최외층을 구성하고 있다. 전극부(106a)는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각 전극부(106c)는 제 1 전극층(E1),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전극부(106a)의 제 2 전극층(E2)은 주면(103a)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전극부(106a)는 제 1 전극층(E1)을 갖고 있지 않다. 전극부(106a)의 제 2 전극층(E2)은 주면(103a)과 접하고 있다. 전극부(106a)는 3층 구조를 갖고 있다.
전극부(106c)의 제 1 전극층(E1)은 측면(103c) 위 및 능선부(103j,103k)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전극부(106c)의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 위, 측면(103c) 위, 및 능선부(103j)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전극층(E1)의 일부가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다. 전극부(106c)의 제 2 전극층(E2)은 측면(103c) 및 능선부(103j)와 접하고 있다.
전극부(106c)는 영역(106c1)과 영역(106c2)를 갖고 있다. 영역(106c2)은 영역(106c1)보다도 주면(103a)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극부(106c)는 2개의 영역(106c1,106c2)만을 갖고 있다. 영역(106c1)은 제 1 전극층(E1),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영역(106c1)은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지 않다. 영역(106c1)은 3층 구조이다. 영역(106c2)은 제 1 전극층(E1),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영역(106c1)은 제 1 전극층(E1)이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는 영역이다. 영역(106c2)은 제 1 전극층(E1)이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는 영역이다.
영역(106c2)은 제 1 부분(106c2-1)과, 한 쌍의 제 2 부분(106c2-2)을 갖고 있다. 제 1 부분(106c2-1)에서는 제 2 전극층(E2)이 제 1 전극층(E1) 위에 형성되어 있다. 각 제 2 부분(106c2-2)에서는 제 2 전극층(E2)이 측면(103c) 위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부분(106c2-1)은 4층 구조이다. 각 제 2 부분(106c2-2)은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각 제 2 부분(106c2-2)은 3층 구조이다. 제 1 부분(106c2-1)과 한 쌍의 제 2 부분(106c2-2)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부분(106c2-1)은 제 3 방향(D103)에서, 한 쌍의 제 2 부분(106c2-2)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부분(106c2-2)은 제 2 방향(D102)에서 보아, 제 1 부분(106c2-1)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전극층(E1)은 도전성 페이스트를 소부(燒付)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제 1 전극층(E1)은 도전성 페이스트에 포함되는 금속 성분(금속 분말)이 소결하여 형성된 소결 금속층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전극층(E1)은 Cu로 이루어진 소결 금속층이다. 제 1 전극층(E1)은 Ni로 이루어진 소결 금속층이라도 좋다. 제 1 전극층(E1)은 비금속을 포함하고 있다. 도전성 페이스트는 Cu 또는 Ni로 이루어진 분말, 유리 성분, 유기 결합제, 및 유기 용제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전극층(E2)은 도전성 수지 페이스트를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제 2 전극층(E2)은 도전성 수지층이다. 도전성 수지 페이스트는 수지(예를 들면, 열경화성 수지), 도전성 재료(예를 들면, 금속 분말),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하고 있다. 금속 분말에는, 예를 들면, Ag 분말 또는 Cu 분말이 사용된다. 열경화성 수지에는, 예를 들면, 페놀 수지, 아크릴 수지, 실리콘 수지, 에폭시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 수지가 사용된다.
제 3 전극층(E3)은 도금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전극층(E3)은 Ni 도금에 의해 형성된 Ni 도금층이다. 제 3 전극층(E3)은 Sn 도금층, Cu 도금층, 또는 Au 도금층이라도 좋다. 제 3 전극층(E3)은 Ni, Sn, Cu, 또는 Au를 포함하고 있다.
제 4 전극층(E4)도 도금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4 전극층(E4)은 Sn 도금에 의해 형성된 Sn 도금층이다. 제 4 전극층(E4)은 Cu 도금층 또는 Au 도금층이라도 좋다. 제 4 전극층(E4)은 Sn, Cu, 또는 Au를 포함하고 있다.
다음에, 외부 전극(105)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 1 전극층(E1)은 단면(103e) 및 능선부(103g,103h,103i)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전극층(E1)은 한 쌍의 주면(103a,103b) 및 한 쌍의 측면(103c)에 의도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면, 제조 오차 등에 의해, 제 1 전극층(E1)이 의도하지 않고 주면(103a,103b) 및 측면(103c)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 위, 주면(103a) 위, 및 한 쌍의 측면(103c) 위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 위와 소체(103) 위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의 일부의 영역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전극층(E1)의 상기 일부의 영역은 제 1 전극층(E1)에서의, 전극부(105a), 영역(105c2), 및 영역(105e2)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제 2 전극층(E2)은 능선부(103j)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전극층(E1)은 제 2 전극층(E2)을 형성하기 위한 하지 금속층이다.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 위에 형성된 도전성 수지층이다.
제 3 전극층(E3)은 제 2 전극층(E2) 위와, 제 1 전극층(E1)(제 1 전극층(E1)의,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는 부분) 위에 형성되어 있다. 제 4 전극층(E4)은 제 3 전극층(E3) 위에 형성되어 있다. 제 3 전극층(E3)과 제 4 전극층(E4)은 제 2 전극층(E2)에 형성되는 도금층을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전극층(E2)에 형성되는 도금층은 2층 구조를 갖고 있다.
각 전극부(105a,105b,105c,105e)가 갖고 있는 제 1 전극층(E1)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부(105a,105c,105e)가 갖고 있는 제 2 전극층(E2)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부(105a,105b,105c,105e)가 갖고 있는 제 3 전극층(E3)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부(105a,105b,105c,105e)가 갖고 있는 제 4 전극층(E4)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방향(D101)에서 보았을 때, 제 1 전극층(E1)(전극부(105a)의 제 1 전극층(E1))의 전체가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다. 제 1 방향(D1)에서 보았을 때, 제 1 전극층(E1)(전극부(105a)의 제 1 전극층(E1))은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지 않다.
제 2 방향(D102)에서 보았을 때, 제 1 전극층(E1)의 주면(103a) 가까이의 단부 영역(영역(105c2)이 갖는 제 1 전극층(E1))이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다. 제 2 방향(D102)에서 보았을 때, 제 2 전극층(E2)의 끝 가장자리가 제 1 전극층(E1)의 끝 가장자리와 교차하고 있다. 제 2 방향(D102)에서 보았을 때, 제 1 전극층(E1)의 주면(103b) 가까이의 단부 영역(영역(105c1)이 갖는 제 1 전극층(E1))은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다. 영역(105c2)은 제 1 전극층(E1) 위와 측면(103c) 위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다.
제 3 방향(D103)에서 보았을 때, 제 1 전극층(E1)의 주면(103a) 가까이의 단부 영역(영역(105e2)이 갖는 제 1 전극층(E1))이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다. 제 3 방향(D103)에서 보았을 때, 제 2 전극층(E2)의 끝 가장자리가 제 1 전극층(E1)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3 방향(D103)에서 보았을 때, 제 1 전극층(E1)의 주면(103b) 가까이의 단부 영역(영역(105e1)이 갖는 제 1 전극층(E1))은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다.
제 3 방향(D103)에서의 영역(105c2)의 폭(W1)은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면(103a)(전극부(105a))에서 멀어짐에 따라 연속적으로 작아져 있다. 제 1 방향(D101)에서의 영역(105c2)의 폭은 단면(103e)(전극부(105e))에서 멀어짐에 따라 연속적으로 작아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방향(D102)에서 보았을 때, 영역(105c2)의 끝 가장자리는 대략 원호상이다. 제 2 방향(D102)에서 보았을 때, 영역(105c2)은 대략 부채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외부 전극(106)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 1 전극층(E1)은 측면(103c) 및 능선부(103j,103k)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전극층(E1)은 한 쌍의 주면(103a,103b)에 의도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면, 제조 오차 등에 의해, 제 1 전극층(E1)이 의도하지 않고 주면(103a,103b)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 위와 소체(103) 위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의 일부의 영역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전극층(E1)의 상기 일부의 영역은 제 1 전극층(E1)에서의, 영역(106c2)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제 2 전극층(E2)은 주면(103a)의 일부의 영역, 측면(103c)의 일부의 영역, 및 능선부(103j)의 일부의 영역을 덮도록도 형성되어 있다.
제 3 전극층(E3)은 제 2 전극층(E2) 위와, 제 1 전극층(E1)(제 1 전극층(E1)에서의,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는 부분) 위에 도금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 4 전극층(E4)은 제 3 전극층(E3) 위에 도금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부(106a,106c)가 갖고 있는 제 2 전극층(E2)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부(106a,106c)가 갖고 있는 제 3 전극층(E3)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부(106a,106c)가 갖고 있는 제 4 전극층(E4)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방향(D101)에서 보았을 때, 제 1 전극층(E1)(전극부(106c)의 제 1 전극층(E1))의 전체가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다. 제 1 방향(D101)에서 보았을 때, 제 1 전극층(E1)(전극부(106c)의 제 1 전극층(E1))은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지 않다.
제 2 방향(D102)에서 보았을 때, 제 1 전극층(E1)의 주면(103a) 가까이의 단부 영역(영역(106c2)이 갖는 제 1 전극층(E1))이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다. 제 2 방향(D102)에서 보았을 때, 제 2 전극층(E2)의 끝 가장자리가 제 1 전극층(E1)의 끝 가장자리와 교차하고 있다. 제 2 방향(D102)에서 보았을 때, 제 1 전극층(E1)의 주면(103b) 가까이의 단부 영역(영역(106c1)이 갖는 제 1 전극층(E1))은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다. 영역(106c2)은 제 1 전극층(E1) 위와 측면(103c) 위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다.
제 3 방향(D3)에서의 영역(106c2)의 폭(W3)은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면(103a)(전극부(106a))에서 멀어짐에 따라 연속적으로 작아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방향(D102)에서 보았을 때, 영역(106c2)의 끝 가장자리는 대략 원호상이다. 제 2 방향(D2)에서 보았을 때, 영역(106c2)은 대략 반원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 3 방향(D103)에서의 각 제 2 부분(106c2-2)의 폭(W5)도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면(103a)(전극부(106a))에서 멀어짐에 따라 연속적으로 작아져 있다. 제 2 방향(D102)에서 보았을 때, 각 제 2 부분(106c2-2)의 끝 가장자리는 만곡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방향(D102)에서 보았을 때, 각 제 2 부분(106c2-2)의 끝 가장자리는 대략 원호상이다. 제 2 방향(D102)에서 보았을 때, 각 제 2 부분(106c2-2)은 대략 부채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한쪽의 제 2 부분(106c2-2)의 폭(W5)과, 다른 쪽의 제 2 부분(106c2-2)의 폭(W5)은 동일하여도 좋고, 상이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제 7 실시형태에서는, 영역(106c1)보다도 주면(103a)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는 영역(106c2)이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다. 영역(106c2)의 제 2 전극층(E2)이 제 1 전극층(E1) 위와 측면(103c) 위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영역(106c2)이 갖고 있는 제 1 전극층(E1)의 끝 가장자리가, 제 2 전극층(E2)에 의해 덮여진다. 땜납 필렛을 통하여 적층 관통 콘덴서(C101)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영역(106c2)이 갖고 있는 제 1 전극층(E1)의 끝 가장자리에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다. 제 1 전극층(E1)의 끝 가장자리는 크랙의 기점이 되기 어렵다. 이 결과, 적층 관통 콘덴서(C101)에서는 크랙이 소체(103)에 발생하는 것이 확실하게 억제된다.
적층 관통 콘덴서(C101)에서는, 영역(105c1)보다도 주면(103a)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는 영역(105c2)이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다. 영역(105c2)의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 위와 측면(103c) 위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영역(105c2)이 갖고 있는 제 1 전극층(E1)의 끝 가장자리가, 제 2 전극층(E2)에 의해 덮여진다. 영역(105c2)이 갖고 있는 제 1 전극층(E1)의 끝 가장자리에는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다. 이 결과, 적층 관통 콘덴서(C101)에서는 크랙이 소체(103)에 발생하는 것이 더욱 확실하게 억제된다.
적층 관통 콘덴서(C101)에서는 제 1 방향(D101)에서 보았을 때, 제 1 전극층(E1)(전극부(105a,106a)의 제 1 전극층(E1))의 전체가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다. 따라서, 전극부(105a,106a)의 제 1 전극층(E1)의 끝 가장자리에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다. 이 결과, 적층 관통 콘덴서(C101)에서는 크랙이 소체(103)에 발생하는 것이 더욱 확실하게 억제된다.
적층 관통 콘덴서(C101)에서는, 영역(106c2)은 제 1 부분(106c2-1)과, 제 2 부분(106c2-2)를 갖고 있다. 제 2 부분(106c2-2)의 폭(W5)은 주면(103a)(전극부(106a))에서 멀어짐에 따라 연속적으로 작아져 있다.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에는, 각 전극층(E3,E4)의 형성 과정에서 내부 응력이 생긴다.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의 평면시에서의 형상이 각(角)을 갖고 있는 경우, 상기 각에서 내부 응력이 집중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상기 각에서는, 전극층(E3,E4) 또는 전극층(E3,E4)의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제 2 전극층(E2)이 벗겨질 우려가 있다.
제 2 전극층(E2)과 소체(103)(측면(103c))의 접합 강도는, 제 2 전극층(E2)과 제 1 전극층(E1)의 접합 강도보다도 작다. 따라서, 제 2 전극층(E2)이 측면(103c)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부분(106c2-2)에서는 제 1 부분(106c2-1)에 비해, 제 2 전극층(E2)이 측면(103c)으로부터 벗겨지기 쉽다.
제 2 부분(106c2-2)의 폭(W5)이 주면(103a)에서 멀어짐에 따라 연속적으로 작아지고 있는 경우, 제 2 부분(106c2-2)의 평면시에서의 형상이 각을 갖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에는 내부 응력이 집중하는 개소가 생기기 어렵다. 이 결과, 제 2 부분(106c2-2)에서의,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 및 제 2 전극층(E2)의 벗겨짐의 발생이 억제된다.
적층 관통 콘덴서(C101)에서는, 영역(105c2)의 폭(W1)이 주면(103a)에서 멀어짐에 따라 연속적으로 작아져 있다. 따라서, 영역(105c2)의 평면시에서의 형상도, 각을 갖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영역(105c2)에서의,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 및 제 2 전극층(E2)의 벗겨짐의 발생도 억제된다.
적층 관통 콘덴서(C101)에서는 제 2 방향(D102)에서 보았을 때, 제 2 부분(106c2-2)의 끝 가장자리는 만곡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제 2 부분(106c2-2)의 평면시에서의 형상이 각을 갖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제 2 부분(106c2-2)이 갖고 있는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에는 내부 응력이 집중하는 개소가 생기기 어렵다. 이 결과, 제 2 부분(106c2-2)에서의,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 및 제 2 전극층(E2)의 벗겨짐의 발생이 억제된다.
적층 관통 콘덴서(C101)에서는 제 2 방향(D102)에서 보았을 때, 영역(106c2)의 끝 가장자리는 대략 원호상이다. 이 경우에도, 제 2 부분(106c2-2)의 평면시에서의 형상이 각을 갖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제 2 부분(106c2-2)이 갖고 있는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에는 내부 응력이 집중하는 개소가 생기기 어렵다. 이 결과, 제 2 부분(106c2-2)에서의,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 및 제 2 전극층(E2)의 벗겨짐의 발생이 억제된다.
계속해서, 도 49 및 도 50을 참조하여 적층 관통 콘덴서(C101)의 실장 구조를 설명한다. 도 49 및 도 50은 제 7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실장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9 및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부품 장치(ECD2)는 적층 관통 콘덴서(C101)와, 전자 기기(ED)를 구비하고 있다. 전자 기기(ED)는, 예를 들면, 회로 기판 또는 전자 부품이다.
적층 관통 콘덴서(C101)는 전자 기기(ED)에 땜납 실장되어 있다. 전자 기기(ED)는 주면(EDa)과, 복수의 패드 전극(PE101,PE102,PE103)을 갖고 있다. 각 패드 전극(PE101,PE102,PE103)은 주면(EDa)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패드 전극(PE101,PE102,PE103)은 서로 이간되어 있다. 적층 관통 콘덴서(C101)는, 실장면인 주면(103a)와 주면(EDa)이 대향하도록, 전자 기기(ED)에 배치되어 있다.
적층 관통 콘덴서(C101)가 땜납 실장될 경우, 용융한 땜납이 외부 전극(105,106)(제 4 전극층(E4))을 젖어 오른다. 젖어 오른 땜납이 고화(固化)함으로써 외부 전극(105,106)에 땜납 필렛(SF)이 형성된다. 대응하는 외부 전극(105,106)과 패드 전극(PE101,PE102,PE103)은 땜납 필렛(SF)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땜납 필렛(SF)은 전극부(105e,106c)의 영역(105e1,106c1)과 영역(105e2,106c2)에 형성되어 있다. 영역(105e2,106c2)뿐만 아니라,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지 않은 영역(105e1,106c1)이, 땜납 필렛(SF)을 통하여 패드 전극(PE101,PE102,PE103)과 연결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땜납 필렛(SF)은 전극부(105c)의 영역(105c1)과 영역(105c2)에도 형성되어 있다.
전자 부품 장치(ECD2)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크랙이 소체(103)에 발생하는 것이 확실하게 억제되고 있다.
다음으로, 도 51 및 도 52를 참조하여 제 7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C102)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51은 본 변형예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평면도이다. 도 52는 본 변형예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적층 관통 콘덴서(C102)는 적층 관통 콘덴서(C101)와 마찬가지로, 소체(103)와, 한 쌍의 외부 전극(105)과, 복수의 내부 전극(107)(도시하지 않음)과, 복수의 내부 전극(109)(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적층 관통 콘덴서(C102)는 한 쌍의 외부 전극(106)을 구비하고 있다. 적층 관통 콘덴서(C102)는 외부 전극(106)의 수가 적층 관통 콘덴서(C101)와 상이하다.
각 외부 전극(106)은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극층(E1),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제 4 전극층(E4)은 외부 전극(106)의 최외층을 구성하고 있다. 전극부(106a)는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각 전극부(106c)는 제 1 전극층(E1),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한쪽의 외부 전극(106)의 전극부(106a)와, 다른 쪽의 외부 전극(106)의 전극부(106a)는 제 2 방향(D2)에서 이간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도, 각 외부 전극(106)에서는 제 1 방향(D1)에서 보았을 때, 제 1 전극층(E1)(전극부(106c)의 제 1 전극층(E1))의 전체가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다. 제 1 방향(D1)에서 보았을 때, 제 1 전극층(E1)(전극부(106a)의 제 1 전극층(E1))은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지 않다.
(제 8 실시형태)
도 53 내지 도 56을 참조하여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103)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53 및 도 54는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평면도이다. 도 55는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측면도이다. 도 56은 외부 전극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 8 실시형태에서는, 전자 부품은, 예를 들면, 적층 콘덴서(C103)이다.
적층 콘덴서(C103)는 도 53 내지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체(103)와, 복수의 외부 전극(116)과, 복수의 내부 전극(도시하지 않음)을 갖고 있다. 복수의 외부 전극(116)은 소체(103)의 외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외부 전극(116)은 서로 이간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적층 콘덴서(C103)는 4개의 외부 전극(116)을 갖고 있다. 외부 전극(116)의 수는 4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각 외부 전극(116)은 외부 전극(106)과 마찬가지로, 전극부(116a)와, 한 쌍의 전극부(116c)를 갖고 있다. 전극부(116a)는 주면(103a) 위에 배치되어 있다. 각 전극부(116c)는 측면(103c) 위 및 능선부(103j,103k) 위에 배치되어 있다. 외부 전극(116)은 주면(103a) 및 측면(103c)의 2개의 면, 및 능선부(103j,103k)에 형성되어 있다. 서로 이웃하는 전극부(116a)와 전극부(116c)는 접속되어 있고,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외부 전극(116)은 주면(103b) 위에 의도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전극부(116c)는 대응하는 내부 전극의 측면(103c)에 노출된 일단을 모두 덮고 있다. 전극부(116c)는 대응하는 내부 전극과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외부 전극(116)은 대응하는 내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외부 전극(116)도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극층(E1),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제 4 전극층(E4)은 외부 전극(116)의 최외층을 구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외부 전극(116)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 1 전극층(E1)은 측면(103c) 및 능선부(103j,103k)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전극층(E1)은 한 쌍의 주면(103a,103b)에 의도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면, 제조 오차 등에 의해, 제 1 전극층(E1)이 의도하지 않고 주면(103a,103b)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 위와 소체(103) 위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의 일부의 영역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전극층(E1)의 상기 일부의 영역은 제 1 전극층(E1)에서의, 영역(116c2)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제 2 전극층(E2)은 주면(103a)의 일부의 영역, 측면(103c)의 일부의 영역, 및 능선부(103j)의 일부의 영역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3 전극층(E3)은 제 2 전극층(E2) 위와, 제 1 전극층(E1)(제 1 전극층(E1)에서의,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는 부분) 위에 도금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 4 전극층(E4)은 제 3 전극층(E3) 위에 도금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부(116a,116c)가 갖고 있는 제 2 전극층(E2)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부(116a,116c)가 갖고 있는 제 3 전극층(E3)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부(116a,116c)가 갖고 있는 제 4 전극층(E4)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방향(D101)에서 보았을 때, 제 1 전극층(E1)(전극부(116c)의 제 1 전극층(E1))의 전체가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다. 제 1 방향(D101)에서 보았을 때, 제 1 전극층(E1)(전극부(116c)의 제 1 전극층(E1))은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지 않다.
제 2 방향(D102)에서 보았을 때, 제 1 전극층(E1)의 주면(103a) 가까이의 단부 영역(영역(116c2)이 갖는 제 1 전극층(E1))이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다. 제 2 방향(D102)에서 보았을 때, 제 2 전극층(E2)의 끝 가장자리가, 제 1 전극층(E1)의 끝 가장자리와 교차하고 있다. 외부 전극(116)에서는 제 2 방향(D102)에서 보았을 때, 제 1 전극층(E1)의 주면(103b) 가까이의 단부 영역(영역(116c1)이 갖는 제 1 전극층(E1))은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다. 영역(116c2)은 제 1 전극층(E1) 위와 측면(103c) 위와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다.
영역(116c2)은 제 1 부분(116c2-1)과, 한 쌍의 제 2 부분(116c2-2)을 갖고 있다. 제 1 부분(116c2-1)에서는 제 2 전극층(E2)이 제 1 전극층(E1) 위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 2 부분(116c2-2)에서는 제 2 전극층(E2)이 측면(103c) 위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부분(116c2-1)은 4층 구조이다. 각 제 2 부분(116c2-2)은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각 제 2 부분(116c2-2)은 3층 구조이다. 제 1 부분(116c2-1)과 한 쌍의 제 2 부분(116c2-2)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부분(116c2-1)은 제 3 방향(D103)에서, 한 쌍의 제 2 부분(116c2-2)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부분(116c2-2)은 제 2 방향(D102)에서 보아, 제 1 부분(116c2-1)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3 방향(D103)에서의 영역(116c2)의 폭(W13)은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면(103a)(전극부(116a))에서 멀어짐에 따라 연속적으로 작아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방향(D102)에서 보았을 때, 영역(116c2)의 끝 가장자리는 대략 원호상이다. 제 2 방향(D102)에서 보았을 때, 영역(116c2)은 대략 반원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 3 방향(D103)에서의 각 제 2 부분(116c2-2)의 폭(W15)도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면(103a)(전극부(116a))에서 멀어짐에 따라 연속적으로 작아져 있다. 제 2 방향(D102)에서 보았을 때, 각 제 2 부분(116c2-2)의 끝 가장자리는 만곡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방향(D102)에서 보았을 때, 각 제 2 부분(116c2-2)의 끝 가장자리는 대략 원호상이다. 제 2 방향(D102)에서 보았을 때, 각 제 2 부분(116c2-2)은 대략 부채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한쪽의 제 2 부분(106c2-2)의 폭(W15)과, 다른 쪽의 제 2 부분(116c2-2)의 폭(W15)은 동일하여도 좋고, 상이하여도 좋다.
적층 콘덴서(C103)도 전자 기기에 땜납 실장된다. 적층 콘덴서(C103)에서는, 주면(103a)이 전자 기기와 대향하는 실장면이 된다.
이상과 같이, 제 8 실시형태에서는, 영역(116c1)보다도 주면(103a)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는 영역(116c2)이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다.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 위와 측면(103c) 위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영역(116c2)이 갖고 있는 제 1 전극층(E1)의 끝 가장자리가, 제 2 전극층(E2)에 의해 덮여진다. 땜납 필렛을 통하여 적층 콘덴서(C103)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영역(116c2)이 갖고 있는 제 1 전극층(E1)의 끝 가장자리에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다. 제 1 전극층(E1)의 끝 가장자리는 크랙의 기점이 되기 어렵다. 이 결과, 적층 콘덴서(C103)에서는 크랙이 소체(103)에 발생하는 것이 확실하게 억제된다.
적층 콘덴서(C103)에서는 제 1 방향(D101)에서 보았을 때, 제 1 전극층(E1)(전극부(115a,116a)의 제 1 전극층(E1))의 전체가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다. 따라서, 전극부(115a,116a)의 제 1 전극층(E1)의 끝 가장자리에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다. 이 결과, 적층 콘덴서(C103)에서는 크랙이 소체(103)에 발생하는 것이 더욱 확실하게 억제된다.
적층 콘덴서(C103)에서는, 영역(116c2)은 제 1 부분(116c2-1)과, 제 2 부분(116c2-2)을 갖고 있다. 제 2 부분(116c2-2)의 폭(W15)은 주면(103a)(전극부(116a))에서 멀어짐에 따라 연속적으로 작아져 있다. 따라서, 제 2 부분(116c2-2)의 평면시에서의 형상은 각을 갖는 경우는 없다.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에는 내부 응력이 집중하는 개소가 생기기 어렵다. 이 결과, 제 2 부분(116c2-2)에서의,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 및 제 2 전극층(E2)의 벗겨짐의 발생이 억제된다.
적층 콘덴서(C103)에서는 제 2 방향(D102)에서 보았을 때, 제 2 부분(116c2-2)의 끝 가장자리는 만곡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제 2 부분(116c2-2)의 평면시에서의 형상이 각을 갖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제 2 부분(116c2-2)이 갖고 있는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에는 내부 응력이 집중하는 개소가 생기기 어렵다. 이 결과, 제 2 부분(116c2-2)에서의,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 및 제 2 전극층(E2)의 벗겨짐의 발생이 억제된다.
적층 콘덴서(C103)에서는 제 2 방향(D102)에서 보았을 때, 영역(116c2)의 끝 가장자리는 대략 원호상이다. 이 경우에도, 제 2 부분(116c2-2)의 평면시에서의 형상이 각을 갖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제 2 부분(116c2-2)이 갖고 있는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에는 내부 응력이 집중하는 개소가 생기기 어렵다. 이 결과, 제 2 부분(116c2-2)에서의,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 및 제 2 전극층(E2)의 벗겨짐의 발생이 억제된다.
전자 부품 장치(ECD2)는 적층 관통 콘덴서(C101) 대신에, 적층 콘덴서(C103)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도, 크랙이 소체(103)에 발생하는 것이 확실하게 억제되고 있다.
(제 9 실시형태)
도 57 내지 도 64를 참조하여 제 9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201)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57은 제 9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사시도이다. 도 58은 제 9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측면도이다. 도 59, 도 60, 및 도 61은 제 9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2는 소체, 제 1 전극층, 및 제 2 전극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3은 소체, 제 1 전극층, 및 제 2 전극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4는 소체, 제 1 전극층, 및 제 2 전극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 9 실시형태에서는, 전자 부품은, 예를 들면, 적층 콘덴서(C201)이다.
적층 콘덴서(C201)는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소체(203)와, 한 쌍의 외부 전극(205)을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외부 전극(205)은 소체(203)의 외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외부 전극(205)은 서로 이간되어 있다. 직방체 형상은 각부 및 능선부가 모따기되어 있는 직방체의 형상, 및 각부 및 능선부가 둥글게 되어 있는 직방체의 형상을 포함한다.
소체(203)는 서로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주면(203a,203b)과, 서로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측면(3c)과, 서로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단면(203e)을 갖고 있다. 한 쌍의 주면(203a,203b)과, 한 쌍의 측면(3c)은 직사각형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한 쌍의 주면(203a,203b)이 대향하고 있는 방향이 제 1 방향(D201)이다. 한 쌍의 측면(203c)이 대향하고 있는 방향이 제 2 방향(D202)이다. 한 쌍의 단면(203e)이 대향하고 있는 방향이 제 3 방향(D203)이다. 적층 콘덴서(C201)는 전자 기기(예를 들면, 회로 기판 또는 전자 부품)에, 땜납 실장된다.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주면(203a)이 전자 기기에 대향하는 실장면이 된다.
제 1 방향(D201)은 각 주면(203a,203b)에 직교하는 방향이고, 제 2 방향(D202)과 직교하고 있다. 제 3 방향(D203)은 각 주면(203a,203b)과 각 측면(203c)에 평행한 방향이고, 제 1 방향(D201)과 제 2 방향(D202)에 직교하고 있다. 제 2 방향(D202)은 각 측면(203c)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제 3 방향(D203)은 각 단면(203e)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제 9 실시형태에서는, 소체(203)의 제 3 방향(D203)에서의 길이는 소체(203)의 제 1 방향(D201)에서의 길이보다 크고, 또한 소체(203)의 제 2 방향(D202)에서의 길이보다 크다. 제 3 방향(D203)이 소체(203)의 길이 방향이다.
한 쌍의 측면(203c)은 한 쌍의 주면(203a,203b)을 연결하도록 제 1 방향(D201)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측면(203c)은 제 3 방향(D203)으로도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단면(203e)은 한 쌍의 주면(203a,203b)을 연결하도록 제 1 방향(D201)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단면(203e)은 제 2 방향(D202)으로도 연장되어 있다.
소체(203)는 한 쌍의 능선부(203g)와, 한 쌍의 능선부(203h)와, 4개의 능선부(203i)와, 한 쌍의 능선부(203j)와, 한 쌍의 능선부(203k)를 갖고 있다. 능선부(203g)는 단면(203e)과 주면(203a)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능선부(203h)는 단면(203e)과 주면(203b)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능선부(203i)는 단면(203e)과 측면(203c)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능선부(203j)는 주면(203a)과 측면(203c)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능선부(203k)는 주면(203b)과 측면(203c)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능선부(203g,203h,203i,203j,203k)는 만곡하도록 둥글게 되어 있다. 소체(203)에는, 소위 R 모따기 가공이 시행되고 있다.
단면(203e)과 주면(203a)은 능선부(203g)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서로 이웃하고 있다. 단면(203e)과 주면(203b)은 능선부(203h)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서로 이웃하고 있다. 단면(203e)과 측면(203c)은 능선부(203i)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서로 이웃하고 있다. 주면(203a)과 측면(203c)은 능선부(203j)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서로 이웃하고 있다. 주면(203b)과 측면(203c)은 능선부(203k)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서로 이웃하고 있다.
소체(203)는 제 2 방향(D202)에 복수의 유전체층이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소체(203)는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유전체층을 갖고 있다. 소체(203)에서는,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 방향이 제 2 방향(D202)과 일치한다. 각 유전체층은, 예를 들면, 유전체 재료를 포함하는 세라믹 그린 시트의 소결체로 구성되어 있다. 유전체 재료에는, 예를 들면, BaTiO3계, Ba(Ti,Zr)O3계, 또는 (Ba,Ca)TiO3계의 유전체 세라믹이 사용된다. 실제의 소체(203)에서는, 각 유전체층은 각 유전체층 사이의 경계를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다. 소체(203)에서는,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 방향이 제 1 방향(D201)과 일치하고 있어도 좋다.
적층 콘덴서(C201)는 도 59, 도 60, 및 도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내부 전극(207)과 복수의 내부 전극(209)을 구비하고 있다. 각 내부 전극(207,209)은 소체(203) 내에 배치되어 있는 내부 도체이다. 내부 전극(207,209)은, 적층형 전자 부품의 내부 전극으로서 통상 사용되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도전성 재료로서, 비금속(예를 들면, Ni 또는 Cu)이 사용된다. 내부 전극(207,209)은, 상기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소결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 9 실시형태에서는, 내부 전극(207,209)은 Ni로 이루어진다.
내부 전극(207)과 내부 전극(209)은 제 2 방향(D202)에서 다른 위치(층)에 배치되어 있다. 내부 전극(207)과 내부 전극(209)은 소체(203) 내에서, 제 2 방향(D202)에 간격을 갖고 대향하도록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내부 전극(207)과 내부 전극(209)은 서로 극성이 다르다.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 방향이 제 1 방향(D201)인 경우, 내부 전극(207)과 내부 전극(209)은 제 1 방향(D201)에서 다른 위치(층)에 배치된다. 내부 전극(207,209)은 대응하는 단면(203e)에 노출되어 있는 일단을 갖고 있다.
복수의 내부 전극(207)과 복수의 내부 전극(209)은 제 2 방향(D202)에서 교대로 나열해 있다. 각 내부 전극(207,209)은 각 주면(203a,203b)과 대략 직교하고 있는 면내에 위치하고 있다. 내부 전극(207)과 내부 전극(209)은 제 2 방향(D202)에서 서로 대향하고 있다. 내부 전극(207)과 내부 전극(209)이 대향하고 있는 방향(제 2 방향(D202))은 각 주면(203a,203b)에 직교하고 있는 방향(제 1 방향(D201))과 직교하고 있다. 도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Gc)은 간격(Ga)보다 크고, 또한, 간격(Gb)보다 크다. 간격(Gc)은 측면(203c)과, 측면(203c)에 가장 가까운 내부 전극(207,209)과의 제 2 방향(D202)에서의 간격이다. 간격(Ga)은 주면(203a)과 내부 전극(207,209)과의 제 1 방향(D201)에서의 간격이다. 간격(Gb)은 주면(203b)과 내부 전극(207,209)과의 제 1 방향(D201)에서의 간격이다.
외부 전극(205)은 도 58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소체(203)의 제 3 방향(D203)에서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외부 전극(205)은 소체(203)에서의, 대응하는 단면(203e) 측에 배치되어 있다. 외부 전극(205)은 도 59, 도 60, 및 도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부(205a,205b,205c,205e)를 갖고 있다. 전극부(205a)는 주면(203a) 위 및 능선부(203g)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전극부(205b)는 능선부(203h)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전극부(205c)는 각 능선부(203i)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전극부(205e)는 대응하는 단면(203e) 위에 배치되어 있다. 외부 전극(205)은 능선부(203j) 위에 배치되어 있는 전극부도 갖고 있다. 전극부(205c)는 측면(203c) 위에도 배치되어 있다.
외부 전극(205)은 하나의 주면(203a), 하나의 단면(203e), 및 한 쌍의 측면(203c)의 4개의 면, 및 능선부(203g,203h,203i,203j)에 형성되어 있다. 서로 이웃하는 전극부(205a,205b,205c,205e)끼리는 접속되어 있고,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부 전극(205)은 주면(203b) 위에 의도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다. 단면(203e)에 배치되어 있는 전극부(205e)는 대응하는 내부 전극(207,209)의 단면(203e)에 노출된 일단을 모두 덮고 있다. 전극부(205e)는 대응하는 내부 전극(207,209)과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외부 전극(205)은 대응하는 내부 전극(207,209)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외부 전극(205)은 도 59, 도 60, 및 도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극층(E1),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제 4 전극층(E4)은 외부 전극(205)의 최외층을 구성하고 있다. 각 전극부(205a,205c,205e)는 제 1 전극층(E1),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전극부(205b)는 제 1 전극층(E1),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전극부(205a)의 제 1 전극층(E1)은 능선부(203g) 위에 배치되어 있고, 주면(203a) 위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전극부(205a)의 제 1 전극층(E1)은 능선부(203g)의 전체와 접하고 있다. 주면(203a)은 제 1 전극층(E1)에 덮여 있지 않고, 제 1 전극층(E1)에서 노출되어 있다. 전극부(205a)의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 위 및 주면(203a)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전극층(E1)의 전체가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다. 전극부(205a)에서는, 제 2 전극층(E2)은 주면(203a)의 일부(주면(203a)에서의 단면(203e) 가까이의 일부 영역)와 제 1 전극층(E1)의 전체에 접하고 있다. 전극부(205a)는, 능선부(203g) 위에서는 4층 구조를 갖고 있고, 주면(203a) 위에서는 3층 구조를 갖고 있다.
전극부(205a)의 제 2 전극층(E2)은 능선부(203g)의 전체와 주면(203a)의 일부(주면(203a)에서의 단면(203e) 가까이의 일부 영역)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극부(205a)의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을 통하여, 능선부(203g)의 전체를 간접적으로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극부(205a)의 제 2 전극층(E2)은 주면(203a)의 일부를 직접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극부(205a)의 제 2 전극층(E2)은 능선부(203g)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전극층(E1)의 전체를 직접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극부(205b)의 제 1 전극층(E1)은 능선부(203h) 위에 배치되어 있고, 주면(203b) 위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전극부(205b)의 제 1 전극층(E1)은 능선부(203h)의 전체와 접하고 있다. 주면(203b)은 제 1 전극층(E1)에 덮여 있지 않고, 제 1 전극층(E1)에서 노출되어 있다. 전극부(205b)는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지 않다. 주면(203b)은 제 2 전극층(E2)에 덮여 있지 않고,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다. 제 2 전극층(E2)은 주면(203b)에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전극부(205b)는 3층 구조를 갖고 있다.
전극부(205c)의 제 1 전극층(E1)은 능선부(203i) 위에 배치되어 있고, 측면(203c) 위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전극부(205c)의 제 1 전극층(E1)은 능선부(203i)의 전체와 접하고 있다. 측면(203c)은 제 1 전극층(E1)에 덮여 있지 않고, 제 1 전극층(E1)에서 노출되어 있다. 전극부(205c)의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 위 및 측면(203c)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전극층(E1)의 일부가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다. 전극부(205c)에서는, 제 2 전극층(E2)은 측면(203c)의 일부와 제 1 전극층(E1)의 일부에 접하고 있다. 전극부(205c)의 제 2 전극층(E2)은 측면(203c) 위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을 갖는다.
전극부(205c)의 제 2 전극층(E2)은 능선부(203i)의 일부(능선부(203i)에서의 주면(203a) 가까이의 일부 영역)와 측면(203c)의 일부(측면(203c)에서의 주면(203a) 및 단면(203e) 가까이의 각(角) 영역)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극부(205c)의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을 통하여, 능선부(203i)의 일부를 간접적으로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극부(205c)의 제 2 전극층(E2)은 측면(203c)의 일부를 직접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극부(205c)의 제 2 전극층(E2)은 능선부(203i)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전극층(E1)의 일부를 직접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극부(205c)는 영역(205c1)과 영역(205c2)을 갖고 있다. 영역(205c2)은 영역(205c1)보다도 주면(203a)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극부(205c)는 2개의 영역(205c1,205c2)만을 갖고 있다. 영역(205c1)은 제 1 전극층(E1),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영역(205c1)은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지 않다. 영역(205c1)은 3층 구조를 갖고 있다. 영역(205c2)은 제 1 전극층(E1),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영역(205c2)은 능선부(203i) 위에서는 4층 구조를 갖고 있고, 측면(203c) 위에서는 3층 구조를 갖고 있다. 영역(205c1)은 제 1 전극층(E1)이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는 영역이다. 영역(205c2)은 제 1 전극층(E1)이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는 영역이다.
전극부(205e)의 제 1 전극층(E1)은 단면(203e) 위에 배치되어 있다. 단면(203e)의 전체가 제 1 전극층(E1)에 덮여 있다. 전극부(205e)의 제 1 전극층(E1)은 단면(203e)의 전체와 접하고 있다. 전극부(205e)의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전극층(E1)의 일부가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다. 전극부(205e)에서는,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의 일부와 접하고 있다. 전극부(205e)의 제 2 전극층(E2)은, 단면(203e)의 일부(단면(203e)에서의 주면(203a) 가까이의 일부 영역)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극부(205e)의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을 통하여, 단면(203e)의 일부를 간접적으로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극부(205e)의 제 2 전극층(E2)은, 단면(203e)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전극층(E1)의 일부를 직접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극부(205e)에서는, 제 1 전극층(E1)은 대응하는 내부 전극(207,209)의 일단과 접속되도록 단면(203e)에 형성되어 있다.
전극부(205e)는 영역(205e1)과 영역(205e2)를 갖고 있다. 영역(205e2)은 영역(205e1)보다도 주면(203a)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극부(205e)는 2개의 영역(205e1,205e2)만을 갖고 있다. 영역(205e1)은 제 1 전극층(E1),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영역(205e1)은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지 않다. 영역(205e1)은 3층 구조를 갖고 있다. 영역(205e2)은 제 1 전극층(E1),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영역(205e2)은 4층 구조를 갖고 있다. 영역(205e1)은 제 1 전극층(E1)이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는 영역이다. 영역(205e2)은 제 1 전극층(E1)이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는 영역이다.
제 1 전극층(E1)은 도전성 페이스트를 소체(203)의 표면에 부여하여 소부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제 1 전극층(E1)은 단면(203e) 및 능선부(203g,203h,203i)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전극층(E1)은 도전성 페이스트에 포함되는 금속 성분(금속 분말)이 소결하여 형성된 소결 금속층이다. 제 1 전극층(E1)은 소체(203)에 형성된 소결 금속층이다. 제 1 전극층(E1)은 한 쌍의 주면(203a,203b) 및 한 쌍의 측면(203c)에 의도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면, 제조 오차 등에 의해, 제 1 전극층(E1)이 의도하지 않고 주면(203a,203b) 및 측면(203c)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전극층(E1)은 Cu로 이루어진 소결 금속층이다. 제 1 전극층(E1)은 Ni로 이루어진 소결 금속층이라도 좋다. 제 1 전극층(E1)은 비금속을 포함하고 있다. 도전성 페이스트는 Cu 또는 Ni로 이루어진 분말, 유리 성분, 유기 결합제, 및 유기 용제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 위, 주면(203a) 위, 및 한 쌍의 측면(203c) 위에 부여된 도전성 수지 페이스트를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 위와 소체(203) 위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전극층(E1)의 상기 일부는 제 1 전극층(E1)에서의, 전극부(205a), 영역(205c2), 및 영역(205e2)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제 2 전극층(E2)은 능선부(203j)의 일부(능선부(203j)에서의 단면(203e) 가까이의 일부 영역)를 직접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전극층(E2)은 능선부(203j)의 일부와 접하고 있다. 제 1 전극층(E1)은 제 2 전극층(E2)을 형성하기 위한 하지 금속층이다.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 위에 형성된 도전성 수지층이다.
도전성 수지 페이스트는 수지(예를 들면, 열경화성 수지), 도전성 재료(예를 들면, 금속 분말),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하고 있다. 금속 분말로서는, 예를 들면, Ag 분말 또는 Cu 분말이 사용된다.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페놀 수지, 아크릴 수지, 실리콘 수지, 에폭시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 수지가 사용된다.
제 3 전극층(E3)은 제 2 전극층(E2) 위와, 제 1 전극층(E1)(제 1 전극층(E1)에서의,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는 부분) 위에 도금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전극층(E3)은 제 1 전극층(E1) 위 및 제 2 전극층(E2) 위에 Ni 도금에 의해 형성된 Ni 도금층이다. 제 3 전극층(E3)은 Sn 도금층, Cu 도금층, 또는 Au 도금층이라도 좋다. 제 3 전극층(E3)은 Ni, Sn, Cu, 또는 Au를 포함하고 있다.
제 4 전극층(E4)은 제 3 전극층(E3) 위에 도금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4 전극층(E4)은 제 3 전극층(E3) 위에 Sn 도금에 의해 형성된 Sn 도금층이다. 제 4 전극층(E4)은 Cu 도금층 또는 Au 도금층이라도 좋다. 제 4 전극층(E4)은 Sn, Cu, 또는 Au를 포함하고 있다. 제 3 전극층(E3)과 제 4 전극층(E4)은 제 2 전극층(E2)에 형성되는 도금층을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전극층(E2)에 형성되는 도금층은 2층 구조를 갖고 있다.
각 전극부(205a,205b,205c,205e)가 갖고 있는 제 1 전극층(E1)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부(205a,205c,205e)가 갖고 있는 제 2 전극층(E2)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부(205a,205b,205c,205e)가 갖고 있는 제 3 전극층(E3)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부(205a,205b,205c,205e)가 갖고 있는 제 4 전극층(E4)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전극층(E1)(전극부(205e)의 제 1 전극층(E1))은 대응하는 내부 전극(207,209)과 접속되도록, 단면(203e)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전극층(E1)은 단면(203e)의 전체, 능선부(203g)의 전체, 능선부(203h)의 전체, 및 능선부(203i)의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전극층(E2)(전극부(205a,205c,205e)의 제 2 전극층(E2))은 주면(203a)의 일부, 단면(203e)의 일부, 및 한 쌍의 측면(203c)의 각 일부를 연속하여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전극층(E2)(전극부(205a,205c,205e)의 제 2 전극층(E2))은 능선부(203g)의 전체, 능선부(203i)의 일부, 및 능선부(203j)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전극층(E2)은 주면(203a)의 일부, 단면(203e)의 일부, 한 쌍의 측면(203c)의 각 일부, 능선부(203g)의 전체, 능선부(203i)의 일부, 및 능선부(203j)의 일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갖고 있다. 제 1 전극층(E1)(전극부(205e)의 제 1 전극층(E1))은 대응하는 내부 전극(207,209)과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전극층(E1)(전극부(205a,205b,205c,205e)의 제 1 전극층(E1))은 제 2 전극층(E2)(전극부(205a,205c,205e)의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는 영역과, 제 2 전극층(E2)(전극부(205a,205c,205e)의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지 않은 영역을 갖고 있다.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은 제 1 전극층(E1)의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지 않은 영역과, 제 2 전극층(E2)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방향(D201)에서 보았을 때, 제 1 전극층(E1)(전극부(205a)의 제 1 전극층(E1))의 전체가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다. 제 1 방향(D201)에서 보았을 때, 제 1 전극층(E1)(전극부(205a)의 제 1 전극층(E1))은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지 않다.
도 6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2 방향(D202)에서 보았을 때, 제 1 전극층(E1)의 주면(203a) 가까이의 단부 영역(영역(205c2)이 갖는 제 1 전극층(E1))이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다. 제 2 방향(D202)에서 보았을 때, 제 2 전극층(E2)의 끝 가장자리(E2e)가, 제 1 전극층(E1)의 끝 가장자리(E1e)와 교차하고 있다. 제 2 방향(D202)에서 보았을 때, 제 1 전극층(E1)의 주면(203b) 가까이의 단부 영역(영역(205c1)이 갖는 제 1 전극층(E1))은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다. 제 2 방향(D202)에서 보았을 때, 측면(203c) 및 능선부(203i) 위에 위치하고 있는 제 2 전극층(E2)의 면적은 능선부(203i) 위에 위치하고 있는 제 1 전극층(E1)의 면적보다도 크다. 측면(203c) 위에 위치하고 있는 제 2 전극층(E2)은 제 2 전극층(E2)과 극성이 다른 내부 전극(207,209)과 제 2 방향(D202)에서 대향하고 있다.
도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방향(D203)에서 보았을 때, 제 1 전극층(E1)의 주면(203a) 가까이의 단부 영역(영역(205e2)이 갖는 제 1 전극층(E1))이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다. 제 3 방향(D203)에서 보았을 때, 제 2 전극층(E2)의 끝 가장자리(E2e)가, 제 1 전극층(E1)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3 방향(D203)에서 보았을 때, 제 1 전극층(E1)의 주면(203b) 가까이의 단부 영역(영역(205e1)이 갖는 제 1 전극층(E1))은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다. 제 3 방향(D203)에서 보았을 때, 단면(203e) 및 능선부(203g) 위에 위치하고 있는 제 2 전극층(E2)의 면적은, 단면(203e) 및 능선부(203g) 위에 위치하고 있는 제 1 전극층(E1)의 면적보다도 작다. 제 3 방향(D203)에서 보았을 때, 제 2 전극층(E2)의 높이(H2)는 소체(203)의 높이(H1)의 절반 이하이다.
도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내부 전극(207)의 일단은 제 3 방향(D203)에서 보았을 때, 제 2 전극층(E2)과 겹치는 영역(207a)과, 제 2 전극층(E2)과 겹치지 않는 영역(207b)을 갖고 있다. 각 내부 전극(209)의 일단은 제 3 방향(D203)에서 보았을 때, 제 2 전극층(E2)과 겹치는 영역(209a)과, 제 2 전극층(E2)과 겹치지 않는 영역(209b)을 갖고 있다. 영역(207a,209a)은 영역(207b,209b)보다도, 제 1 방향(D201)에서 주면(203a)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영역(205e2)이 갖는 제 1 전극층(E1)은 대응하는 영역(207a,209a)과 접속되어 있다. 영역(205e1)이 갖는 제 1 전극층(E1)은 대응하는 영역(207b,209b)과 접속되어 있다. 제 3 방향(D203)에서 보았을 때, 제 2 전극층(E2)의 끝 가장자리(E2e)는 각 내부 전극(207,209)의 일단과 교차하고 있다. 영역(207a,209a)의 제 1 방향(D201)에서의 길이(Lia)는 영역(207b,209b)의 제 1 방향(D201)에서의 길이(Lib)보다 작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전극층(E1)은 대응하는 모든 내부 전극(207,209)의 일단과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전극층(E2)은 주면(203a)의 일부만, 단면(203e)의 일부만, 및 한 쌍의 측면(203c)의 각 일부만을 연속하여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전극층(E2)은 능선부(203g)의 전체, 능선부(203i)의 일부만, 및 능선부(203j)의 일부만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전극층(E1)의, 능선부(203i)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일부는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영역(205c1)이 갖는 제 1 전극층(E1)은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다. 제 1 전극층(E1)은 대응하는 영역(207a,209a)과 접속되도록 단면(203e)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전극층(E1)은 대응하는 영역(207b,209b)과도 접속되도록 단면(203e)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전극층(E1)은 대응하는 모든 내부 전극(207,209)의 일단과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3 방향(D203)에서의 영역(205c2)의 폭은 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면(203a)(전극부(205a))에서 멀어짐에 따라 작아져 있다. 제 1 방향(D201)에서의 영역(205c2)의 폭은 단면(203e)(전극부(205e))에서 멀어짐에 따라 작아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방향(D202)에서 보았을 때, 영역(205c2)의 끝 가장자리는 대략 원호상이다. 제 2 방향(D202)에서 보았을 때, 영역(205c2)은 대략 부채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방향(D202)에서 보았을 때의 제 2 전극층(E2)의 폭이, 주면(203a)에서 멀어짐에 따라 작아져 있다. 제 2 방향(D202)에서 보았을 때, 제 1 방향(D201)에서의 제 2 전극층(E2)의 길이는, 단면(203e)에서 제 3 방향(D203)으로 멀어짐에 따라 작아져 있다. 제 2 방향(D202)에서 보았을 때, 제 2 전극층(E2)에서의 측면(203c) 위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의 제 1 방향(D201)에서의 길이는, 소체(203)의 단부에서 제 3 방향(D203)으로 멀어짐에 따라 작아져 있다. 제 2 전극층(E2)의 끝 가장자리(E2e)는 도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호상이다.
적층 콘덴서(C201)가 전자 기기에 땜납 실장되어 있는 경우, 전자 기기에서 적층 콘덴서(C201)에 작용하는 외력이, 땜납 실장시에 형성된 땜납 필렛으로부터 외부 전극(205)을 통하여 소체(203)에 응력으로서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소체(203)에 크랙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외력은 소체(203)에서의, 주면(203a)의 일부와 단면(203e)의 일부와 한 쌍의 측면(203c)의 각 일부로 구성되는 영역에 작용하는 경향이 있다.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제 2 전극층(E2)(전극부(205a,205c,205e)의 제 2 전극층(E2))은 주면(203a)의 일부, 단면(203e)의 일부, 및 한 쌍의 측면(203c)의 각 일부를 연속하여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 기기에서 적층 콘덴서(C201)에 작용하는 외력이 소체(203)에 작용하기 어렵다. 이 결과,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소체(203)에서의 크랙의 발생이 억제된다.
소체(203)와 제 2 전극층(E2) 사이의 영역은 수분이 침입하는 경로가 될 우려가 있다. 소체(203)와 제 2 전극층(E2) 사이의 영역으로부터 수분이 침입하면, 적층 콘덴서(C201)의 내구성이 저하된다.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제 2 전극층(E2)이, 단면(203e) 전체와 한 쌍의 주면(203a,203b)의 각 일부와 한 쌍의 측면(203c)의 각 일부를 연속하여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적층 콘덴서에 비해, 수분이 침입하는 경로가 적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내습 신뢰성이 향상되어 있다.
적층 콘덴서(C201)는 대응하는 단면(203e)에 노출되어 있는 복수의 내부 전극(207,209)을 구비하고 있다. 외부 전극(205)은 대응하는 내부 전극(207,209)과 접속되도록 단면(203e)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전극층(E1)(전극부(205e)의 제 1 전극층(E1))을 갖고 있다. 이 경우, 서로 대응하는 외부 전극(205)(제 1 전극층(E1))과 내부 전극(207,209)이 양호하게 콘택트한다. 따라서, 서로 대응하는 외부 전극(205)과 내부 전극(207,209)이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제 1 전극층(E1)(전극부(205e)의 제 1 전극층(E1))은 제 2 전극층(E2)(전극부(205e)의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는 영역과, 제 2 전극층(E2)(전극부(205e)의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지 않은 영역을 갖고 있다. 제 2 전극층(E2)의 전기 저항은 제 1 전극층(E1)의 전기 저항에 비해 크다. 제 1 전극층(E1)의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지 않은 영역은 제 2 전극층(E2)을 통하지 않고, 전자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외부 전극(205)이 제 2 전극층(E2)을 갖는 경우에도, ESR의 증대가 억제된다.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제 1 전극층(E1)은 능선부(203i) 및 능선부(203g)에도 형성되어 있다. 제 2 전극층(E2)과 소체(203)의 접합 강도는 제 2 전극층(E2)과 제 1 전극층(E1)의 접합 강도보다도 작다.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제 1 전극층(E1)이 능선부(203i) 및 능선부(203g)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전극층(E2)이 소체(203)에서 벗겨지는 경우에도, 제 2 전극층(E2)의 벗겨짐이, 능선부(203i) 및 능선부(203g)에 대응하는 위치를 넘어, 단면(203e)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진행되기 어렵다.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제 2 전극층(E2)(전극부(205a,205c)의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에서의, 능선부(203i)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일부(영역(205c2)의 제 1 전극층(E1))와 능선부(203g)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전극층(E2)의 벗겨짐이, 단면(203e)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더욱 진행되기 어렵다.
전자 기기에서 적층 콘덴서(C201)에 작용하는 외력에 기인하여 소체에 생기는 응력은 제 1 전극층(E1)의 끝 가장자리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제 1 전극층(E1)의 끝 가장자리가 기점이 되어, 소체(203)에 크랙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제 2 전극층(E2)이, 제 1 전극층(E1)에서의, 능선부(203i)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일부(영역(205c2)의 제 1 전극층(E1))와 능선부(203g)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전극층(E1)의 끝 가장자리에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다. 이 결과,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소체(203)에서의 크랙의 발생이 확실하게 억제된다.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제 2 방향(D202)에서 보았을 때, 측면(203c) 및 능선부(203i) 위에 위치하고 있는 제 2 전극층(E2)의 면적은, 능선부(203i) 위에 위치하고 있는 제 1 전극층(E1)의 면적보다도 크다. 제 3 방향(D3)에서 보았을 때, 단면(203e) 및 능선부(203g) 위에 위치하고 있는 제 2 전극층(E2)의 면적은, 단면(203e) 및 능선부(203g) 위에 위치하고 있는 제 1 전극층(E1)의 면적보다도 작다. 이 경우, ESR의 증대가 더욱 억제된다.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제 1 전극층(E1)에서의, 능선부(203i)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일부는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영역(205c1)의 제 1 전극층(E1)이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측면(203c) 및 능선부(203i) 위에 위치하고 있는 제 2 전극층(E2)의 면적은 제 1 전극층(E1)에서의, 능선부(203i)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상기 일부의 면적보다도 크다. 이 경우, ESR의 증대가 더욱 억제된다.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단면(203e) 및 능선부(203g) 위에 위치하고 있는 제 2 전극층(E2)의 면적은 단면(203e) 및 능선부(203g) 위에 위치하고 있는 제 1 전극층(E1)의,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는 영역의 면적보다도 작다. 이 경우, ESR의 증대가 더욱 억제된다.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외부 전극(205)은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은 제 2 전극층(E2)과, 제 1 전극층(E1)에서의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는 영역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부 전극(205)이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가지므로, 적층 콘덴서(C201)는 전자 기기로의 땜납 실장이 가능하다. 제 1 전극층(E1)에서의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는 영역은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통하여 전자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ESR의 증대가 더욱 억제된다.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제 3 방향(D203)에서 보았을 때, 제 2 전극층(E2)의 높이(H2)는 소체(203)의 높이(H1)의 절반 이하이다.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제 3 방향(D203)에서 보았을 때, 제 2 전극층(E2)의 높이(H2)가, 소체(203)의 높이(H1)의 절반보다 큰 구성에 비해, 수분이 침입하는 경로가 적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내습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다.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제 3 방향(D203)에서 보았을 때, 제 2 전극층(E2)의 높이(H2)가, 소체(203)의 높이(H1)의 절반보다 큰 구성에 비해, ESR의 증대가 억제된다.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소체(203)의 주면(203b)은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ESR의 증대가 억제된다.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제 2 전극층(E2)은 능선부(203j)의 일부와 접하고 있다. 따라서, 능선부(203j)의 일부에 크랙이 생기기 어렵다.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을 확실하게 덮으므로,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에 생기는 응력을 완화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적층 콘덴서(C201)는 이하의 작용 효과도 나타낸다.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제 1 방향(D201)에서 보았을 때, 제 1 전극층(E1)(전극부(205a)의 제 1 전극층(E1))의 전체가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다. 따라서, 전극부(205a)의 제 1 전극층(E1)의 끝 가장자리에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다. 제 2 방향(D202)에서 보았을 때, 제 1 전극층(E1)의 주면(203a) 가까이의 단부 영역(영역(205c2)이 갖는 제 1 전극층(E1))이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다. 따라서, 영역(205c2)이 갖는 제 1 전극층(E1)의 끝 가장자리에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다. 이들의 결과,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크랙이 소체(203)에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제 2 방향(D202)에서 보았을 때, 제 2 전극층(E2)의 끝 가장자리(E2e)가 제 1 전극층(E1)의 끝 가장자리(E1e)와 교차하고 있다. 제 1 전극층(E1)의 전체가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는 것이 아니고, 제 1 전극층(E1)은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제 2 전극층(E2)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전성 수지 페이스트의 양의 증가가 억제된다.
제 2 전극층(E2)의 전기 저항은 제 1 전극층(E1)의 전기 저항에 비해 크다. 전극부(205e)의 영역(205e1)에서는 제 1 전극층(E1)이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다. 영역(205e1)이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지 않다. 영역(205e1)에서는 제 2 전극층(E2)을 통하지 않고, 제 1 전극층(E1)과 전자 기기의 전기적인 접속이 실현된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ESR의 증대가 억제되고 있다.
전극부(205c)의 영역(205c2)이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다. 따라서, 외부 전극(205)이 전극부(205c)를 갖고 있는 경우에도, 외부 전극(205)의 끝 가장자리에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다. 외부 전극(205)의 끝 가장자리가 크랙의 기점이 되기 어렵다. 이 결과,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크랙이 소체(203)에 발생하는 것이 확실하게 억제된다.
전극부(205e)의 영역(205e2)이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다. 따라서, 외부 전극(205)이 전극부(205e)를 갖고 있는 경우에도, 외부 전극(205)의 끝 가장자리에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다. 이 결과,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크랙이 소체(203)에 발생하는 것이 확실하게 억제된다.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제 3 방향(D203)에서의 영역(205c2)의 폭은 주면(203a)에서 멀어짐에 따라 작아져 있다. 제 2 방향(D202)에서 보았을 때의 제 2 전극층(E202)의 폭이, 주면(203a)에서 멀어짐에 따라 작아져 있다. 따라서, 크랙이 소체(203)에 발생하는 것이 억제되면서, 제 2 전극층(E2)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전성 수지 페이스트의 양이 더욱 저감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적층 콘덴서(C201)는 이하의 작용 효과도 나타낸다.
적층 콘덴서(C201)가 전자 기기에 땜납 실장되어 있는 경우, 외력은 단면(203e)에서의 주면(203a) 가까이의 영역에서 소체(203)에 작용하는 경향도 있다.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제 2 전극층(E2)(전극부(205e)의 제 2 전극층(E2))은 단면(203e)에서의 주면(203a) 가까이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 기기에서 적층 콘덴서(C201)에 작용하는 외력이 소체(203)에 작용하기 어렵다. 이 결과,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소체(203)에서의 크랙의 발생이 억제된다.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제 2 전극층(E2)(전극부(205e)의 제 2 전극층(E2))은 단면(203e)에서의 주면(203a) 가까이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단면(203e)은 제 3 방향(D203)에서 보았을 때,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지 않은 영역을 갖는다.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제 2 전극층(E2)이, 단면(203e)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적층 콘덴서에 비해, 수분이 침입하는 경로가 적다. 이 결과,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내습 신뢰성이 향상되어 있다.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주면(203a)이 실장면이고, 복수의 내부 전극(207,209)이 제 2 방향(D202)에서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내부 전극(207,209)마다 형성되는 전류 경로가 짧고, ESL이 낮다.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각 내부 전극(207,209)의 일단은 제 3 방향(D203)에서 보았을 때, 영역(207a,209a)과 영역(207b,209b)를 갖고 있다. 이 경우에도, 수분이 침입하는 경로가 적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내습 신뢰성이 확실하게 향상된다.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영역(207a,209a)의 제 1 방향(D1)에서의 길이(Lia)는 영역(207b,209b)의 제 1 방향(D1)에서의 길이(Lib)보다 작다. 이 경우, 수분이 침입하는 경로가 더욱 적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내습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다.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외부 전극(205)은 영역(207b,209b)과 접속되도록 단면(203e)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전극층(E1)을 갖고 있다. 이 경우, 서로 대응하는 외부 전극(205)(제 1 전극층(E1))과 내부 전극(207,209)이 양호하게 콘택트한다. 따라서, 서로 대응하는 외부 전극(205)과 내부 전극(207,209)이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전극층(E2)의 전기 저항은 제 1 전극층(E1)의 전기 저항에 비해 크다. 외부 전극(205)이 내부 전극(207,209)과 접속되는 제 1 전극층(E1)을 갖고 있는 경우, 제 1 전극층(E1)은 제 2 전극층(E2)을 통하지 않고, 전자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외부 전극(205)이 제 2 전극층(E2)을 갖는 경우에도, ESR의 증대가 억제된다.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모든 내부 전극(207)의 영역(207b), 및 모든 내부 전극(209)의 영역(209b)은 대응하는 제 1 전극층(E1)과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ESR의 증대가 더욱 억제된다.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외부 전극(205)은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은 제 2 전극층(E2)과, 제 1 전극층(E1)(제 1 전극층(E1)에서의,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는 영역)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부 전극(205)이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는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C201)는 전자 기기로의 땜납 실장이 가능하다. 제 1 전극층(E1)은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통하여 전자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결과,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ESR의 증대가 더욱 억제된다.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제 3 방향(D203)에서 보았을 때, 제 2 전극층(E2)의 끝 가장자리(E2e)는 각 내부 전극(207,209)의 일단과 교차하고 있다. 이 경우에도, 수분이 침입하는 경로가 적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내습 신뢰성이 확실하게 향상된다.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제 2 전극층(E2)은 주면(203a)에서의 단면(203e) 가까이의 일부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자 기기에서 적층 콘덴서(C201)에 작용하는 외력은 주면(203a)에서의 단면(203e) 가까이의 영역에서 소체(203)에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크랙이 소체(203)에 발생하는 것이 확실하게 억제된다.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제 2 전극층(E2)은 측면(203c)에서의 단면(203e) 가까이의 일부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자 기기에서 적층 콘덴서(C201)에 작용하는 외력은 측면(203c)에서의 단면(203e) 가까이의 영역에서 소체(203)에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크랙이 소체(203)에 발생하는 것이 확실하게 억제된다.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측면(203c) 위에 위치하고 있는 제 2 전극층(E2)은 제 2 전극층(E2)과 극성이 다른 내부 전극(207,209)과 제 2 방향(D202)에서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측면(203c) 위에 위치하고 있는 제 2 전극층(E2)과, 제 2 전극층(E2)과 대향하고 있는 내부 전극(207,209) 사이에 용량 성분이 형성된다. 이 결과,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정전 용량이 증가한다.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제 2 전극층(E2)은 주면(203b)에 형성되어 있지 않다. 주면(203a)을 실장면으로 하여 적층 콘덴서(C201)가 전자 기기에 실장될 경우, 주면(203b)이 마운터의 흡착 노즐로 픽업될 필요가 있다.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외부 전극(205)의 형상이 주면(203a) 위와 주면(203b) 위에서 상이한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주면(203a)과 주면(203b)의 식별이 용이하다. 이 결과, 적층 콘덴서(C201)는 전자 기기에 확실하게 실장된다.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간격(Gc)은 간격(Ga,Gb)보다 크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C201)에서는 크랙이 소체(203)의 측면(203c)에서 발생한 경우에도, 크랙이 내부 전극(207,209)에 도달하기 어렵다.
계속해서, 도 65를 참조하여 적층 콘덴서(C201)의 실장 구조를 설명한다. 도 65는 제 9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실장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부품 장치(ECD3)는 적층 콘덴서(C201)와, 전자 기기(ED)를 구비하고 있다. 전자 기기(ED)는, 예를 들면, 회로 기판 또는 전자 부품이다. 적층 콘덴서(C201)는 전자 기기(ED)에 땜납 실장되어 있다. 전자 기기(ED)는 주면(EDa)과, 2개의 패드 전극(PE1,PE2)을 갖고 있다. 각 패드 전극(PE1,PE2)은 주면(EDa)에 배치되어 있다. 2개의 패드 전극(PE1,PE2)은 서로 이간되어 있다. 적층 콘덴서(C201)는 실장면인 주면(203a)과 주면(EDa)이 대향하도록, 전자 기기(ED)에 배치되어 있다.
적층 콘덴서(C201)가 땜납 실장될 경우, 용융한 땜납이 외부 전극(205)(제 4 전극층(E4))을 젖어 오른다. 젖어 오른 땜납이 고화함으로써 외부 전극(205)에 땜납 필렛(SF)이 형성된다. 대응하는 외부 전극(205)과 패드 전극(PE1,PE2)은 땜납 필렛(SF)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땜납 필렛(SF)은, 전극부(205e)의 영역(205e1)과 영역(205e2)에 형성되어 있다. 영역(205e2)뿐만 아니라,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지 않은 영역(205e1)이, 땜납 필렛(SF)을 통하여 패드 전극(PE1,PE2)과 연결되어 있다. 제 3 방향(D203)에서 보았을 때, 땜납 필렛(SF)은 전극부(205e)의 영역(205e1)(영역(205e1)이 갖는 제 1 전극층(E1))과 겹치고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땜납 필렛(SF)은 전극부(205c)의 영역(205c1)과 영역(205c2)에도 형성되어 있다. 땜납 필렛(SF)의 제 1 방향(D201)에서의 높이는 제 2 전극층(E2)의 제 1 방향(D1)에서의 높이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땜납 필렛(SF)은 제 1 방향(D201)에서 제 2 전극층(E2)의 끝 가장자리(E2e)보다도 주면(203b) 가까이에 연장되어 있다.
전자 부품 장치(ECD3)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크랙이 소체(203)에 발생하는 것이 억제되고, 또한 내습 신뢰성이 향상되어 있다. 전자 부품 장치(ECD3)에서는 제 3 방향(D203)에서 보았을 때, 땜납 필렛(SF)은 전극부(205e)의 영역(205e1)과 겹치고 있으므로, 외부 전극(205)이 제 2 전극층(E2)을 갖는 경우에도, ESR의 증대가 억제되고 있다. 전자 부품 장치(ECD3)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ESL이 낮다.
다음으로, 도 66 내지 도 68을 참조하여 제 9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C202)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66 내지 도 68은 본 변형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측면도이다.
적층 콘덴서(C202)는 적층 콘덴서(C201)와 마찬가지로, 소체(203), 한 쌍의 외부 전극(205), 복수의 내부 전극(207)(도시하지 않음), 및 복수의 내부 전극(209)(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적층 콘덴서(C202)에서는 영역(205c2)(영역(205c2)이 갖는 제 2 전극층(E2))의 형상이 적층 콘덴서(C201)와 상이하다.
도 66 및 도 67에 도시된 적층 콘덴서(C202)에서는 적층 콘덴서(C201)와 마찬가지로, 제 3 방향(D203)에서의 영역(205c2)의 폭은 전극부(205a)에서 멀어짐에 따라 작아져 있다. 제 2 방향(D202)에서 보았을 때의 제 2 전극층(E2)의 폭이, 전극부(205a)에서 멀어짐에 따라 작아져 있다. 제 2 방향(D202)에서 보았을 때, 제 1 방향(D201)에서의 제 2 전극층(E2)의 길이는 단면(203e)으로부터 제 3 방향(D203)으로 멀어짐에 따라 작아져 있다. 제 2 방향(D202)에서 보았을 때, 제 2 전극층(E2)에서의 측면(203c) 위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의 제 1 방향(D201)에서의 길이는, 소체(203)의 단부로부터 제 3 방향(D203)으로 멀어짐에 따라 작아져 있다.
도 66에 도시된 적층 콘덴서(C202)에서는 제 2 방향(D202)에서 보았을 때, 영역(205c2)의 끝 가장자리(제 2 전극층(E2)의 끝 가장자리(E2e))는 대략 직선상이다. 제 2 방향(D202)에서 보았을 때, 영역(205c2)(영역(205c2)이 갖는 제 2 전극층(E2))은 대략 3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67에 도시된 적층 콘덴서(C202)에서는 제 2 방향(D202)에서 보았을 때, 영역(205c2)의 끝 가장자리(제 2 전극층(E2)의 끝 가장자리(E2e))는 대략 원호상이다.
도 68에 도시된 적층 콘덴서(C202)에서는, 제 3 방향(D203)에서의 영역(205c2)(영역(205c2)이 갖는 제 2 전극층(E2))의 폭은 제 1 방향(D201)에서 대략 같다. 제 2 방향(D202)에서 보았을 때, 영역(205c2)의 끝 가장자리(제 2 전극층(E2)의 끝 가장자리(E2e))는, 제 3 방향(D203)으로 연장되는 변과 제 1 방향(D201)으로 연장되는 변을 갖고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제 2 방향(D202)에서 보았을 때, 영역(205c2)(영역(205c2)이 갖는 제 2 전극층(E2))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 10 실시형태)
도 69 내지 도 76을 참조하여 제 10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C203)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69 및 도 70은 제 10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평면도이다. 도 71은 제 10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측면도이다. 도 72는 제 10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단면도이다. 도 73, 도 74, 및 도 75는 제 10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관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6은 소체, 제 1 전극층, 및 제 2 전극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제 10 실시형태에서는, 전자 부품은, 예를 들면, 적층 관통 콘덴서(C203)이다.
적층 관통 콘덴서(C203)는 도 69 내지 도 7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체(203), 한 쌍의 외부 전극(205), 및 하나의 외부 전극(206)을 갖고 있다. 한 쌍의 외부 전극(205) 및 외부 전극(206)은 소체(203)의 외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외부 전극(205) 및 외부 전극(206)은 각각 이간되어 있다. 한 쌍의 외부 전극(205)은, 예를 들면, 신호용 단자 전극으로서 기능한다. 외부 전극(206)은, 예를 들면, 접지용 단자 전극으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체(203)는 제 1 방향(D201)에 복수의 유전체층이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적층 관통 콘덴서(C203)는 도 73, 도 74, 및 도 7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내부 전극(217)과 복수의 내부 전극(219)을 구비하고 있다. 각 내부 전극(217,219)은 소체(203) 내에 배치되어 있는 내부 도체이다. 내부 전극(217,219)은 내부 전극(207,209)과 마찬가지로, 적층형 전자 부품의 내부 전극으로서 통상 사용되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제 10 실시형태에서도, 내부 전극(217,219)은 Ni로 이루어진다.
내부 전극(217)과 내부 전극(219)은 제 1 방향(D201)에서 다른 위치(층)에 배치되어 있다. 내부 전극(217)과 내부 전극(219)은 소체(203) 내에서, 제 1 방향(D201)에 간격을 갖고 대향하도록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내부 전극(217)과 내부 전극(219)은 서로 극성이 다르다.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 방향이 제 2 방향(D202)인 경우, 내부 전극(217)과 내부 전극(219)은 제 2 방향(D202)에서 다른 위치(층)에 배치된다. 내부 전극(217)의 양단은 한 쌍의 단면(203e)에 노출되어 있다. 내부 전극(219)의 양단은 한 쌍의 측면(203c)에 노출되어 있다.
외부 전극(205)은 적층 콘덴서(C201)의 외부 전극(205)과 마찬가지로, 소체(203)의 제 3 방향(D203)에서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외부 전극(205)은 소체(203)에서의, 대응하는 단면(203e) 측에 배치되어 있다. 외부 전극(205)은 전극부(205a,205b,205c,205e)를 갖고 있다. 전극부(205a)는 주면(203a) 위 및 능선부(203g)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전극부(205b)는 능선부(203h)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전극부(205c)는 각 능선부(203i)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전극부(205e)는 대응하는 단면(203e) 위에 배치되어 있다. 외부 전극(205)은 능선부(203j) 위에 배치되어 있는 전극부도 갖고 있다. 전극부(205c)는 측면(203c) 위에도 배치되어 있다. 전극부(205e)는 내부 전극(217)의 단면(203e)에 노출된 끝을 모두 덮고 있다. 내부 전극(217)은 전극부(205e)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내부 전극(217)은 한 쌍의 외부 전극(20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외부 전극(205)의 제 1 전극층(E1)은 내부 전극(217)과 접속되도록, 단면(203e)에 형성되어 있다. 외부 전극(205)의 제 1 전극층(E1)은 단면(203e)의 전체, 능선부(203g)의 전체, 능선부(203h)의 전체, 및 능선부(203i)의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부 전극(205)의 제 2 전극층(E2)은 주면(203a)의 일부, 단면(203e)의 일부, 및 한 쌍의 측면(203c)의 각 일부를 연속하여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부 전극(205)의 제 2 전극층(E2)은 능선부(203g)의 전체, 능선부(203i)의 일부, 및 능선부(203j)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부 전극(205)의 제 2 전극층(E2)은 주면(203a)의 일부, 단면(203e)의 일부, 한 쌍의 측면(203c)의 각 일부, 능선부(203g)의 전체, 능선부(203i)의 일부, 및 능선부(203j)의 일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갖고 있다. 외부 전극(205)의 제 1 전극층(E1)은 내부 전극(217)과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외부 전극(205)의 제 1 전극층(E1)은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는 영역과,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지 않은 영역을 갖고 있다. 외부 전극(205)의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은 제 1 전극층(E1)의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지 않은 영역과, 제 2 전극층(E2)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부 전극(205)의 제 2 전극층(E2)은 측면(203c) 위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을 갖는다.
적층 관통 콘덴서(C203)에서는 적층 콘덴서(C201)와 마찬가지로, 제 3 방향(D203)에서의 영역(205c2)의 폭은 도 7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면(203a)(전극부(205a))에서 멀어짐에 따라 작아져 있다. 제 1 방향(D201)에서의 영역(205c2)의 폭은 단면(203e)(전극부(205e))에서 멀어짐에 따라 작아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방향(D202)에서 보았을 때, 영역(205c2)의 끝 가장자리는 대략 원호상이다. 제 2 방향(D202)에서 보았을 때, 영역(205c2)은 대략 부채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도 7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방향(D202)에서 보았을 때의 제 2 전극층(E2)의 폭이, 주면(203a)에서 멀어짐에 따라 작아져 있다. 제 2 방향(D202)에서 보았을 때, 제 1 방향(D201)에서의 제 2 전극층(E2)의 길이는, 단면(203e)으로부터 제 3 방향(D203)으로 멀어짐에 따라 작아져 있다. 제 2 방향(D202)에서 보았을 때, 제 2 전극층(E2)에서의 측면(203c) 위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의 제 1 방향(D201)에서의 길이는, 소체(203)의 단부로부터 제 3 방향(D203)으로 멀어짐에 따라 작아져 있다. 제 2 전극층(E2)의 끝 가장자리(E2e)는 대략 원호상이다.
외부 전극(206)은 소체(203)의 제 3 방향(D203)에서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외부 전극(206)은 한 쌍의 외부 전극(205)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외부 전극(206)은 전극부(206a)와, 한 쌍의 전극부(206c)를 갖고 있다. 전극부(206a)는 주면(203a) 위에 배치되어 있다. 각 전극부(206c)는 측면(203c) 위 및 능선부(203j,203k) 위에 배치되어 있다. 외부 전극(206)은 주면(203a) 및 한 쌍의 측면(203c)의 3개의 면, 및 능선부(203j,203k)에 형성되어 있다. 서로 이웃하는 전극부(206a,206c)끼리는 접속되어 있고,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극부(206c)는 내부 전극(219)의 측면(203c)에 노출된 끝을 모두 덮고 있다. 내부 전극(219)은 각 전극부(206c)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내부 전극(219)은 하나의 외부 전극(20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외부 전극(206)도 도 73, 도 74, 및 도 7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극층(E1),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제 4 전극층(E4)은 외부 전극(206)의 최외층을 구성하고 있다. 전극부(206a)는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각 전극부(206c)는 제 1 전극층(E1),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전극부(206a)의 제 2 전극층(E2)은 주면(203a)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전극부(206a)는 제 1 전극층(E1)을 갖고 있지 않다. 전극부(206a)의 제 2 전극층(E2)은 주면(203a)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극부(206a)의 제 2 전극층(E2)은 주면(203a)과 접하고 있다. 전극부(206a)의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은 제 2 전극층(E2)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극부(206a)는 3층 구조를 갖고 있다.
전극부(206c)의 제 1 전극층(E1)은 측면(203c) 위 및 각 능선부(203j,203k)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전극부(206c)의 제 1 전극층(E1)은 측면(203c)의 일부, 능선부(203j)의 일부, 및 능선부(203k)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극부(206c)의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 위, 측면(203c) 위, 및 능선부(203j)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전극부(206c)의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의 일부, 측면(203c)의 일부, 및 능선부(203j)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전극층(E1)의 일부가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다. 전극부(206c)에서는 제 1 전극층(E1)의 일부와 제 2 전극층(E2)의 일부가 접하고 있다. 전극부(206c)의 제 2 전극층(E2)은 측면(203c)의 일부 및 능선부(203j)의 일부와 접하고 있다. 전극부(206c)의 제 2 전극층(E2)은 측면(203c) 위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을 갖는다.
전극부(206c)에서는, 측면(203c) 및 능선부(203j)에서의 제 1 전극층(E1)에 덮여 있는 영역은 제 1 전극층(E1)을 통하여, 제 2 전극층(E2)에 덮여 있다. 전극부(206c)의 제 2 전극층(E2)은 측면(203c)의 일부 및 능선부(203j)의 일부를 간접적으로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극부(206c)의 제 2 전극층(E2)은 측면(203c)의 일부 및 능선부(203j)의 일부를 직접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극부(206c)의 제 2 전극층(E2)은 능선부(203j)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전극층(E1)의 전체를 직접 덮도록도 형성되어 있다.
전극부(206c)는 영역(206c1)과 영역(206c2)을 갖고 있다. 영역(206c2)은 영역(206c1)보다도 주면(203a)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극부(206c)는 2개의 영역(206c1,206c2)만을 갖고 있다. 영역(206c1)은 제 1 전극층(E1),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영역(206c1)은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지 않다. 영역(206c1)은 3층 구조를 갖고 있다. 영역(206c2)은 제 1 전극층(E1), 제 2 전극층(E2),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을 갖고 있다. 영역(206c2)은 4층 구조를 갖고 있다. 영역(206c1)은 제 1 전극층(E1)이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는 영역이다. 영역(206c2)은 제 1 전극층(E1)이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는 영역이다.
외부 전극(206)의 제 3 전극층(E3)은 제 2 전극층(E2) 위와, 제 1 전극층(E1)(제 1 전극층(E1)에서의,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는 부분) 위에 도금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 4 전극층(E4)은 제 3 전극층(E3) 위에 도금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외부 전극(206)의 제 1 전극층(E1)은 외부 전극(205)의 제 1 전극층(E1)과 마찬가지로, 한 쌍의 주면(203a,203b)에 의도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다. 외부 전극(206)에서는, 예를 들면, 제조 오차 등에 의해, 제 1 전극층(E1)이 의도하지 않고 주면(203a,203b)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각 전극부(206a,206c)가 갖고 있는 제 2 전극층(E2)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부(206a,206c)가 갖고 있는 제 3 전극층(E3)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부(206a,206c)가 갖고 있는 제 4 전극층(E4)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외부 전극(206)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7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방향(D202)에서 보았을 때, 제 1 전극층(E1)의 주면(203a) 가까이의 단부 영역(영역(206c2)이 갖는 제 1 전극층(E1))이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다. 제 2 방향(D202)에서 보았을 때, 제 2 전극층(E2)의 끝 가장자리(E2e)가 제 1 전극층(E1)의 끝 가장자리(E1e)와 교차하고 있다. 제 2 방향(D2)에서 보았을 때, 제 1 전극층(E1)의 주면(203b) 가까이의 단부 영역(영역(206c1)이 갖는 제 1 전극층(E1))은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다.
제 3 방향(D203)에서의 영역(206c2)의 폭은 도 7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면(203a)(전극부(206a))에서 멀어짐에 따라 작아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방향(D202)에서 보았을 때, 영역(206c2)의 끝 가장자리는 대략 원호상이다. 제 2 방향(D202)에서 보았을 때, 영역(206c2)은 대략 반원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방향(D202)에서 보았을 때의 제 2 전극층(E2)의 폭이, 주면(203a)에서 멀어짐에 따라 작아져 있다. 제 2 방향(D202)에서 보았을 때, 영역(206c2)의 제 2 전극층(E2)의 끝 가장자리(E2e)는 대략 원호상이다.
적층 관통 콘덴서(C203)도 전자 기기에 땜납 실장된다. 적층 관통 콘덴서(C203)에서는, 주면(203a)이 전자 기기에 대향하는 실장면이 된다. 주면(203b)이 전자 기기에 대향하는 실장면이 되어도 좋다. 적층 관통 콘덴서(C203)에서는, 외부 전극(206)은 전극부(206a)를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적층 관통 콘덴서(C203)에서는 적층 콘덴서(C201)와 마찬가지로, 이하의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소체(203)에서의 크랙의 발생이 억제되어 있는 동시에, 내습 신뢰성이 향상되어 있다. 각 외부 전극(205)과 각 내부 전극(217)이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각 외부 전극(206)과 각 내부 전극(219)이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외부 전극(205)에서는, 제 2 전극층(E2)의 벗겨짐이 단면(203e)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진행되기 어렵다. ESR의 증대가 억제된다.
적층 관통 콘덴서(C203)에서는 이하의 작용 효과도 나타낸다. 외부 전극(205) 뿐만 아니라, 외부 전극(206)에 대해서도, 제 2 방향(D202)에서 보았을 때, 제 1 전극층(E1)의 주면(203a) 측의 단부 영역(영역(206c2)이 갖는 제 1 전극층(E1))이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다. 따라서, 영역(206c2)이 갖는 제 1 전극층(E1)의 끝 가장자리에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다. 이 결과, 적층 관통 콘덴서(C203)에서는 크랙이 소체(203)에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적층 관통 콘덴서(C203)에서는 외부 전극(205)뿐만 아니라, 외부 전극(206)에 대해서도, 제 2 방향(D202)에서 보았을 때, 제 2 전극층(E2)의 끝 가장자리(E2e)가 제 1 전극층(E1)의 끝 가장자리(E1e)와 교차하고 있다. 제 1 전극층(E1)의 전체가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 있는 것이 아니고, 제 1 전극층(E1)은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적층 관통 콘덴서(C203)에서는 제 2 전극층(E2)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전성 수지 페이스트의 양의 증가가 억제된다.
전극부(206c)의 영역(206c1)에서는 제 1 전극층(E1)이 제 2 전극층(E2)에서 노출되어 있다. 영역(206c1)이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지 않다. 영역(206c1)에서는 제 2 전극층(E2)을 통하지 않고, 제 1 전극층(E1)과 전자 기기의 전기적인 접속이 실현된다. 따라서, 적층 관통 콘덴서(C203)에서는 ESR의 증대가 억제되고 있다.
전극부(206c)의 영역(206c2)이 제 2 전극층(E2)을 갖고 있다. 따라서, 외부 전극(206)이 전극부(206c)를 갖고 있는 경우에도, 외부 전극(206)의 끝 가장자리에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다. 외부 전극(206)의 끝 가장자리가 크랙의 기점이 되기 어렵다. 이 결과, 적층 관통 콘덴서(C203)에서는 크랙이 소체(203)에 발생하는 것이 확실하게 억제된다.
적층 관통 콘덴서(C203)에서는, 제 3 방향(D203)에서의 영역(206c2)의 폭은 주면(203a)에서 멀어짐에 따라 작아져 있다. 제 2 방향(D202)에서 보았을 때의 제 2 전극층(E2)의 폭이, 주면(203a)에서 멀어짐에 따라 작아져 있다. 따라서, 크랙이 소체(203)에 발생하는 것이 억제되면서, 제 2 전극층(E2)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전성 수지 페이스트의 양이 더욱 저감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역(205c2)의 끝 가장자리(제 2 전극층(E2)의 끝 가장자리(E2e))는 대략 직선상이라도 좋고, 제 3 방향(D203)으로 연장되는 변과 제 1 방향(D201)으로 연장되는 변을 갖고 있어도 좋다. 영역(206c2)의 끝 가장자리(제 2 전극층(E2)의 끝 가장자리(E2e))는 대략 직선상이라도 좋고, 제 3 방향(D203)으로 연장되는 변과 제 1 방향(D201)으로 연장되는 변을 갖고 있어도 좋다.
제 9 및 제 10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 1 전극층(E1)은 단면(203e)으로부터 능선부(203g)의 전체 또는 일부를 넘도록, 주면(203a) 위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 1 전극층(E1)은 단면(203e)으로부터 능선부(203h)의 전체 또는 일부를 넘도록, 주면(203b) 위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 1 전극층(E1)은 단면(203e)으로부터 능선부(203i)의 전체 또는 일부를 넘도록, 측면(203c) 위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 1 전극층(E1)은, 예를 들면, 도 77 및 도 7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주면(203a,203b) 및 각 측면(203c)에도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77 및 도 78에서는, 제 1 전극층(E1)은 단면(203e)으로부터 능선부(203g)의 전체를 넘도록, 주면(203a) 위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전극층(E1)은 단면(203e)으로부터 능선부(203h)의 전체를 넘도록, 주면(203b) 위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전극층(E1)은 단면(203e)으로부터 능선부(203i)의 전체를 넘도록, 측면(203c) 위에 형성되어 있다. 도 77 및 도 78에 도시된 변형예에서는, 제 1 전극층(E1)에서의 주면(203a)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 전체가, 도 7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진다. 제 1 전극층(E1)에서의 측면(203c)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일부(영역(205c2)이 갖는 제 1 전극층(E1))가, 도 7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전극층(E2)으로 덮여진다. 각 주면(203a,203b) 및 각 측면(203c)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전극층(E1)은 제 3 전극층(E3) 및 제 4 전극층(E4)으로 덮여 있다.
제 1 전극층(E1)에서의 주면(203a)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 영역(205c2)이 갖는 제 1 전극층(E1)은, 제 2 전극층(E2)을 통하여, 도금층(제 3 및 제 4 전극층(E3,E4))으로 간접적으로 덮여 있다. 제 1 전극층(E1)에서의 주면(203b)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 제 1 전극층(E1)에서의 측면(203c)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일부(영역(205c1)이 갖는 제 1 전극층(E1))는, 도금층(제 3 및 제 4 전극층(E3,E4))으로 직접적으로 덮여 있다. 주면(203a) 위에 배치되어 있는 전극부는 4층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주면(203b) 위에 배치되어 있는 전극부는 3층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측면(203c)의 주면(203b) 가까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전극부는 3층 구조를 갖고 있다. 측면(203c)의 주면(203a) 가까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전극부는 4층 구조를 갖고 있다. 단면(203e)의 주면(203b) 가까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전극부는 3층 구조를 갖고 있다. 단면(203e)의 주면(203a) 가까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전극부는 4층 구조를 갖고 있다.
적층 콘덴서(C201,C202)가 구비하는 각 내부 전극(207,209)의 수는, 도 59 및 도 61에 도시되어 있는 각 내부 전극(207,209)의 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층 관통 콘덴서(C203)가 구비한 각 내부 전극(217,219)의 수는, 도 73 및 도 75에 도시되어 있는 각 내부 전극(217,219)의 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층 콘덴서(C201,C202)에서는, 하나의 외부 전극(205)(제 1 전극층(E1))에 접속되어 있는 내부 전극의 수는, 하나라도 좋다. 적층 관통 콘덴서(C203)에서는 한 쌍의 외부 전극(205)(제 1 전극층(E1))에 접속되어 있는 내부 전극의 수는, 하나라도 좋다. 한 쌍의 외부 전극(206)(제 1 전극층(E1))에 접속되어 있는 내부 전극의 수는, 하나라도 좋다.
다음으로, 도 79 및 도 80을 참조하여 제 9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79 및 도 80은 소체, 제 1 전극층, 및 제 2 전극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9 및 도 80에 도시된 변형예에서는 영역(205e2)이 갖는 제 2 전극층(E2)의 형상이 적층 콘덴서(C201)와 상이하다.
도 79에 도시된 적층 콘덴서에서는, 영역(205e2)이 갖는 제 2 전극층(E2)은 복수의 부분(E21,E22)으로 이루어진다. 본 변형예에서는, 영역(205e2)이 갖는 제 2 전극층(E2)은 2개의 부분(E21,E22)으로 이루어진다. 각 부분(E21,E22)은 제 2 방향(D202)에서 이간되어 있다. 부분(E21)과 부분(E22) 사이에는 제 1 전극층(E1)이 노출되어 있다. 복수의 내부 전극(207,209)은 제 3 방향(D203)에서 보았을 때, 제 2 전극층(E2)(부분(E21,E22))과 겹치지 않는 일단을 갖는 내부 전극을 포함하고 있다. 제 2 전극층(E2)(부분(E21,E22))과 겹치지 않는 일단을 갖는 내부 전극의 수는, 하나 이상이라도 좋다. 영역(205e2)이 갖는 제 2 전극층(E2)은 3개 이상의 부분으로 이루어져서 있어도 좋다.
도 80에 도시된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 3 방향(D203)에서 보았을 때, 영역(205e2)이 갖는 제 2 전극층(E2)은 모든 내부 전극(207,209)의 일단과 겹치지 않고 있다. 모든 내부 전극(207,209)이, 제 3 방향(D203)에서 보았을 때, 제 2 전극층(E2)(부분(E21,E22))과 겹치지 않는 일단을 갖는 내부 전극이다.
예를 들면, 제 9 및 제 10 실시형태는 이하의 부기(付記)도 개시하고 있다.
(부기 1)
전자 부품으로서,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동시에, 실장면이 되는 제 1 주면과, 상기 제 1 주면과 제 1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는 제 2 주면과, 제 2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측면과, 제 3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단면을 갖고 있는 소체와,
상기 제 3 방향에서의 상기 소체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외부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 전극은, 상기 측면 위에 위치하고 있는 도전성 수지층을 갖고,
상기 제 2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방향에서의 상기 도전성 수지층의 길이는 대응하는 상기 단부로부터 상기 제 3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작아져 있다.
(부기 2)
부기 1에 기재된 전자 부품으로서,
상기 제 2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도전성 수지층의 끝 가장자리는 대략 원호상이다.
(부기 3)
부기 1에 기재된 전자 부품으로서,
상기 제 2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도전성 수지층의 끝 가장자리는 대략 직선상이다.
(부기 4)
부기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부품으로서,
상기 도전성 수지층은, 상기 제 1 주면 위 및 상기 단면 위에도 위치하고 있다.
(부기 5)
부기 4에 기재된 전자 부품으로서,
상기 도전성 수지층은, 상기 제 1 주면의 일부, 상기 단면의 일부, 상기 측면의 일부, 상기 제 1 주면과 상기 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능선부의 일부, 및 상기 제 1 주면과 상기 단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능선부의 전체를 덮도록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기 6)
부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부품으로서,
대응하는 상기 단면에 노출하는 내부 도체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외부 전극은, 상기 내부 도체와 접속되도록 상기 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소결 금속층을 추가로 갖고 있다.
(부기 7)
부기 6에 기재된 전자 부품으로서,
상기 소결 금속층은, 상기 도전성 수지층으로 덮여 있는 제 1 영역과, 상기 도전성 수지층에서 노출되어 있는 제 2 영역을 갖고 있다.
(부기 8)
부기 7에 기재된 전자 부품으로서,
상기 외부 전극은, 상기 도전성 수지층과 상기 소결 금속층의 상기 제 2 영역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도금층을 추가로 갖고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상기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전자 부품으로서, 적층 콘덴서(C1,C2,C4,C5,C103,C201) 및 적층 관통 콘덴서(C3,C6,C7,C101,C203)가 예시되어 있지만, 적용 가능한 전자 부품은 적층 콘덴서 및 적층 관통 콘덴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용 가능한 전자 부품은, 예를 들면, 적층 인덕터, 적층 배리스터, 적층 압전 액츄에이터, 적층 서미스트, 또는 적층 복합 부품 등의 적층 전자 부품, 또는 적층 전자 부품 이외의 전자 부품이다.
본 발명은 적층 콘덴서 또는 적층 관통 콘덴서에 이용할 수 있다.
3…소체, 3a,3b…주면, 3c,3e…측면, 5,13,15,21,31…외부 전극, 5a,5b,5c,5e,13a,13b,13c,13e,15a,15b,15c,21a,2lb,21c,31a,3lb,31c,31e…전극부, 5c1,5c2,5e1,5e2,13c1,13c2,13e1,13e2,15c1,15c2,21c1,21c2,31c1,31c2,31e1,31e2…전극부의 영역, C1,C2,C4,C5…적층 콘덴서, C3,C6,C7…적층 관통 콘덴서, E1…제 1 전극층, E2…제 2 전극층, E3…제 3 전극층, E4…제 4 전극층, ECD1…전자 부품 장치, ED…전자 기기, PE1,PE2…패드 전극, SF…땜납 필렛.

Claims (76)

  1. 전자 부품으로서,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동시에, 실장면이 되는 주면과, 상기 주면과 서로 이웃하는 단면과, 상기 주면과 상기 단면에 서로 이웃하는 측면을 갖고 있는 소체와,
    상기 주면 위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전극부와, 상기 단면 및 상기 측면 중 어느 한 면 위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 1 전극부와 접속되어 있는 제 2 전극부를 갖고 있는 외부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전극부는 소결 금속층과, 상기 소결 금속층 위에 형성된 도전성 수지층과, 상기 도전성 수지층 위에 형성된 도금층을 갖고,
    상기 제 2 전극부는,
    소결 금속층과, 상기 소결 금속층 위에 형성된 도금층을 갖고 있는 제 1 영역과,
    소결 금속층과, 상기 소결 금속층 위에 형성된 도전성 수지층과, 상기 도전성 수지층 위에 형성된 도금층을 갖고 있는 제 2 영역을 갖고,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보다도 상기 주면 가까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전극부에서는, 상기 도전성 수지층이 상기 주면과 접하는, 전자 부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상기 소체의 길이에 대한, 상기 주면에 직교하는 상기 방향에서의 상기 제 2 영역의 길이 비율이 0.2 이상인, 전자 부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극은, 상기 단면 또는 상기 측면 중 다른 한 면 위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 1 전극부와 접속되어 있는 제 3 전극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제 3 전극부는,
    소결 금속층과, 상기 소결 금속층 위에 형성된 도금층을 갖고 있는 제 3 영역과,
    소결 금속층과, 상기 소결 금속층 위에 형성된 도전성 수지층과, 상기 도전성 수지층 위에 형성된 도금층을 갖고 있는 제 4 영역을 갖고,
    상기 제 4 영역은, 상기 제 3 영역보다도 상기 주면 가까이에 위치하는, 전자 부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상기 소체의 길이에 대한, 상기 주면에 직교하는 상기 방향에서의 상기 제 4 영역의 길이 비율이 0.2 이상인, 전자 부품.
  5. 전자 부품 장치로서,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부품과,
    땜납 필렛을 통하여 상기 외부 전극과 연결되어 있는 패드 전극을 갖고 있는 전자 기기를 구비하고,
    상기 땜납 필렛은, 상기 제 2 전극부의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에 형성되는, 전자 부품 장치.
  6. 전자 부품으로서,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동시에, 실장면이 되는 주면과, 상기 주면과 서로 이웃하는 측면을 갖고 있는 소체와,
    상기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전극부를 갖는 외부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전극부는,
    상기 측면 위에 형성되어 있는 소결 금속층과, 상기 소결 금속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도금층을 갖고 있는 제 1 영역과,
    상기 측면 위에 형성되어 있는 소결 금속층과, 상기 소결 금속층 위와 상기 측면 위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도전성 수지층과, 상기 도전성 수지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도금층을 갖고 있는 제 2 영역을 갖고,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보다도 상기 주면 가까이에 위치하는, 전자 부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도전성 수지층이 상기 소결 금속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부분과,
    상기 도전성 수지층이 상기 측면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부분을 갖고,
    상기 제 2 부분의 폭은 상기 주면에서 멀어짐에 따라 연속적으로 작아지는, 전자 부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2 부분의 끝 가장자리는 만곡되는, 전자 부품.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2 영역의 끝 가장자리는 대략 원호상인, 전자 부품.
  10. 전자 부품으로서,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동시에, 실장면이 되는 주면과, 서로 대향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주면과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단면과, 상기 한 쌍의 단면과 상기 주면에 서로 이웃하는 측면을 갖고 있는 소체와,
    상기 한 쌍의 단면이 대향하고 있는 방향에서의 상기 소체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외부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 전극은 소결 금속층과, 상기 소결 금속층 위와 상기 소체 위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도전성 수지층을 갖고,
    상기 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소결 금속층의 전체가 상기 도전성 수지층으로 덮이고,
    상기 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소결 금속층의 상기 주면 가까이의 단부 영역이 상기 도전성 수지층으로 덮여 있는 동시에, 상기 도전성 수지층의 끝 가장자리가 상기 소결 금속층의 끝 가장자리와 교차하는, 전자 부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극은 상기 측면 위와, 상기 단면과 상기 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능선부 위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전극부를 갖고,
    상기 제 1 전극부는,
    상기 소결 금속층이 상기 도전성 수지층으로 덮여 있지 않은 제 1 영역과,
    상기 소결 금속층이 상기 도전성 수지층으로 덮여 있는 제 2 영역을 갖고,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보다도 상기 주면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한 쌍의 단면이 대향하고 있는 상기 방향에서의 상기 제 2 영역의 폭은, 상기 주면에서 멀어짐에 따라 작아지는, 전자 부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에 직교하는 상기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2 영역의 끝 가장자리는 대략 원호상인, 전자 부품.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에 직교하는 상기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2 영역의 끝 가장자리는 대략 직선상인, 전자 부품.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에 직교하는 상기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2 영역의 끝 가장자리는 교차하는 2변을 갖는, 전자 부품.
  15. 전자 부품으로서,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동시에, 실장면이 되는 제 1 주면과, 서로 대향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제 1 주면과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단면과, 서로 대향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단면과 상기 제 1 주면에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측면을 갖고 있는 소체와,
    상기 한 쌍의 단면이 대향하고 있는 방향에서의 상기 소체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외부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 전극은, 상기 제 1 주면의 일부와 상기 단면의 일부와 상기 한 쌍의 측면의 각 일부를 연속하여 덮는 동시에 상기 제 1 주면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도전성 수지층을 갖는, 전자 부품.
  16. 제 15 항에 있어서,
    대응하는 상기 단면에 노출하는 내부 도체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외부 전극은, 상기 내부 도체와 접속되도록 상기 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소결 금속층을 추가로 갖는, 전자 부품.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 금속층은,
    상기 도전성 수지층으로 덮여 있는 제 1 영역과,
    상기 도전성 수지층에서 노출되어 있는 제 2 영역을 갖는, 전자 부품.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 금속층은, 상기 단면과 상기 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제 1 능선부 및 상기 단면과 상기 제 1 주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제 2 능선부에도 형성되는, 전자 부품.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수지층은 상기 소결 금속층에서의, 상기 제 1 능선부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일부와 상기 제 2 능선부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는, 전자 부품.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및 상기 제 1 능선부 위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도전성 수지층의 면적은, 상기 제 1 능선부 위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소결 금속층의 면적보다도 크고,
    상기 단면 및 상기 제 2 능선부 위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도전성 수지층의 면적은, 상기 단면 및 상기 제 2 능선부 위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소결 금속층의 면적보다도 작은, 전자 부품.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 금속층에서의, 상기 제 1 능선부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일부는 상기 도전성 수지층에서 노출되는, 전자 부품.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및 상기 제 1 능선부 위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도전성 수지층의 면적은, 상기 소결 금속층에서의, 상기 제 1 능선부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상기 일부의 면적보다도 큰, 전자 부품.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 및 상기 제 2 능선부 위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도전성 수지층의 면적은, 상기 단면 및 상기 제 2 능선부 위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소결 금속층의, 상기 도전성 수지층에서 노출되어 있는 영역의 면적보다도 작은, 전자 부품.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극은, 상기 도전성 수지층과 상기 소결 금속층의 상기 제 2 영역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도금층을 추가로 갖는, 전자 부품.
  25. 제 15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도전성 수지층의 높이는 상기 소체 높이의 절반 이하인, 전자 부품.
  26. 제 15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체는 상기 실장면이 되는 상기 제 1 주면과 대향하고 있는 제 2 주면을 추가로 갖고,
    상기 제 2 주면은 상기 도전성 수지층에서 노출되는, 전자 부품.
  27. 제 15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수지층은, 상기 제 1 주면과 상기 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능선부와 접하는, 전자 부품.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전자 부품으로서,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동시에, 실장면이 되는 주면과, 상기 주면과 서로 이웃하는 단면과, 상기 주면과 상기 단면에 서로 이웃하는 측면을 갖고 있는 소체와,
    상기 주면 위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전극부와, 상기 단면 및 상기 측면 중 어느 한 면 위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 1 전극부와 접속되어 있는 제 2 전극부를 갖고 있는 외부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전극부는 소결 금속층과, 상기 소결 금속층 위에 형성된 도전성 수지층과, 상기 도전성 수지층 위에 형성된 도금층을 갖고,
    상기 제 2 전극부는,
    소결 금속층과, 상기 소결 금속층 위에 형성된 도금층을 갖고 있는 제 1 영역과,
    소결 금속층과, 상기 소결 금속층 위에 형성된 도전성 수지층과, 상기 도전성 수지층 위에 형성된 도금층을 갖고 있는 제 2 영역을 갖고,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보다도 상기 주면 가까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전극부에서는, 상기 소결 금속층의 전체가 상기 도전성 수지층으로 덮혀져 있는, 전자 부품.
  41. 삭제
  4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극은, 상기 단면 및 상기 측면 중 다른 한 면 위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 1 전극부와 접속되어 있는 제 3 전극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제 3 전극부는,
    소결 금속층과, 상기 소결 금속층 위에 형성된 도금층을 갖고 있는 제 3 영역과,
    소결 금속층과, 상기 소결 금속층 위에 형성된 도전성 수지층과, 상기 도전성 수지층 위에 형성된 도금층을 갖고 있는 제 4 영역을 갖고,
    상기 제 4 영역은, 상기 제 3 영역보다도 상기 주면 가까이에 위치하는, 전자 부품.
  4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 금속층은, 상기 단면과 상기 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제 1 능선부 및 상기 단면과 상기 제 1 주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제 2 능선부에도 형성되는, 전자 부품.
  4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 금속층에서의, 상기 제 1 능선부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일부는 상기 도전성 수지층에서 노출되는, 전자 부품.
  45.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체는 상기 실장면이 되는 상기 제 1 주면과 대향하고 있는 제 2 주면을 추가로 갖고,
    상기 제 2 주면은 상기 도전성 수지층에서 노출되는, 전자 부품.
  4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수지층은, 상기 제 1 주면과 상기 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능선부와 접하는, 전자 부품.
  4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수지층은, 상기 제 1 주면과 상기 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능선부와 접하는, 전자 부품.
  48.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수지층은, 상기 제 1 주면과 상기 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능선부와 접하는, 전자 부품.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상기 소체의 길이에 대한, 상기 주면에 직교하는 상기 방향에서의 상기 제 2 영역의 길이 비율이 0.2 이상인, 전자 부품.
  69.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극은, 상기 단면 및 상기 측면 중 다른 한 면 위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 1 전극부와 접속되어 있는 제 3 전극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제 3 전극부는,
    소결 금속층과, 상기 소결 금속층 위에 형성된 도금층을 갖고 있는 제 3 영역과,
    소결 금속층과, 상기 소결 금속층 위에 형성된 도전성 수지층과, 상기 도전성 수지층 위에 형성된 도금층을 갖고 있는 제 4 영역을 갖고,
    상기 제 4 영역은, 상기 제 3 영역보다도 상기 주면 가까이에 위치하는, 전자 부품.
  70. 제 69 항에 있어서,
    상기 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상기 소체의 길이에 대한, 상기 주면에 직교하는 상기 방향에서의 상기 제 4 영역의 길이 비율이 0.2 이상인, 전자 부품.
  71. 전자 부품 장치로서,
    제 40 항, 제 68 항, 제 69 항, 및 제 7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부품과,
    땜납 필렛을 통하여 상기 외부 전극과 연결되어 있는 패드 전극을 갖고 있는 전자 기기를 구비하고,
    상기 땜납 필렛은, 상기 제 2 전극부의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에 형성되는, 전자 부품 장치.
  72. 제 6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극은, 상기 단면 및 상기 측면 중 다른 한 면 위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 1 전극부와 접속되어 있는 제 3 전극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제 3 전극부는,
    소결 금속층과, 상기 소결 금속층 위에 형성된 도금층을 갖고 있는 제 3 영역과,
    소결 금속층과, 상기 소결 금속층 위에 형성된 도전성 수지층과, 상기 도전성 수지층 위에 형성된 도금층을 갖고 있는 제 4 영역을 갖고,
    상기 제 4 영역은, 상기 제 3 영역보다도 상기 주면 가까이에 위치하는, 전자 부품.
  7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소결 금속층과 상기 도전성 수지층과 상기 도금층을 갖고 있는 제 1 부분과,
    상기 도전성 수지층과 상기 도금층을 갖고 있는 동시에, 상기 소결 금속층을 가지고 있지 않은 제 2 부분을 갖고,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부분의 양측에 위치하는, 전자 부품.
  74. 제 7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2 부분의 폭은 상기 주면에서 멀어짐에 따라 연속적으로 작아지는, 전자 부품.
  75. 제 7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2 부분의 끝 가장자리는 만곡되는, 전자 부품.
  76. 제 73 항 내지 제 7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2 영역의 끝 가장자리는 대략 원호상인, 전자 부품.
KR1020207017791A 2016-09-23 2017-09-20 전자 부품 및 전자 부품 장치 KR102387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04609A KR102486063B1 (ko) 2016-09-23 2017-09-20 전자 부품 및 전자 부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85862 2016-09-23
JP2016185862A JP6932906B2 (ja) 2016-09-23 2016-09-23 電子部品及び電子部品装置
JP2017051594A JP6915324B2 (ja) 2017-03-16 2017-03-16 電子部品
JPJP-P-2017-051594 2017-03-16
JPJP-P-2017-064822 2017-03-29
JP2017064822A JP6942989B2 (ja) 2017-03-29 2017-03-29 電子部品
JPJP-P-2017-172120 2017-09-07
JPJP-P-2017-172127 2017-09-07
JP2017172120A JP6933061B2 (ja) 2017-09-07 2017-09-07 電子部品及び電子部品装置
JP2017172127A JP6933062B2 (ja) 2017-09-07 2017-09-07 電子部品及び電子部品装置
KR1020197011504A KR102297593B1 (ko) 2016-09-23 2017-09-20 전자 부품 및 전자 부품 장치
PCT/JP2017/033943 WO2018056319A1 (ja) 2016-09-23 2017-09-20 電子部品及び電子部品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1504A Division KR102297593B1 (ko) 2016-09-23 2017-09-20 전자 부품 및 전자 부품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4609A Division KR102486063B1 (ko) 2016-09-23 2017-09-20 전자 부품 및 전자 부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604A KR20200077604A (ko) 2020-06-30
KR102387493B1 true KR102387493B1 (ko) 2022-04-18

Family

ID=61691012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4609A KR102486063B1 (ko) 2016-09-23 2017-09-20 전자 부품 및 전자 부품 장치
KR1020197011504A KR102297593B1 (ko) 2016-09-23 2017-09-20 전자 부품 및 전자 부품 장치
KR1020207017791A KR102387493B1 (ko) 2016-09-23 2017-09-20 전자 부품 및 전자 부품 장치
KR1020227029236A KR102599720B1 (ko) 2016-09-23 2017-09-20 전자 부품 및 전자 부품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4609A KR102486063B1 (ko) 2016-09-23 2017-09-20 전자 부품 및 전자 부품 장치
KR1020197011504A KR102297593B1 (ko) 2016-09-23 2017-09-20 전자 부품 및 전자 부품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9236A KR102599720B1 (ko) 2016-09-23 2017-09-20 전자 부품 및 전자 부품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11264172B2 (ko)
KR (4) KR102486063B1 (ko)
CN (6) CN114899007B (ko)
DE (1) DE112017004775T5 (ko)
WO (1) WO20180563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6319A1 (ja) * 2016-09-23 2018-03-29 Tdk株式会社 電子部品及び電子部品装置
JP6841267B2 (ja) * 2018-06-04 2021-03-1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実装構造
CN114566387A (zh) 2018-12-26 2022-05-31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电解电容器及其制造方法
JP2020194804A (ja) * 2019-05-24 2020-12-0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型コイル部品
JP7099434B2 (ja) * 2019-11-29 2022-07-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
WO2021219254A1 (de) * 2020-04-27 2021-11-04 Tdk Electronics Ag Elektronisches bauteil mit kontaktflächen
JP2021190587A (ja) 2020-06-01 2021-12-13 太陽誘電株式会社 電子部品、回路基板およ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7483506B2 (ja) * 2020-06-01 2024-05-15 太陽誘電株式会社 電子部品、回路基板およ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KR20220072539A (ko) * 2020-11-25 2022-06-02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JP2022104205A (ja) * 2020-12-28 2022-07-08 Tdk株式会社 電子部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1956A (ja) * 2007-01-23 2008-08-07 Tdk Corp セラミック電子部品
JP2016004659A (ja) * 2014-06-16 2016-01-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導電性樹脂ペーストおよびセラミック電子部品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5817A (ja) 1982-04-08 1983-10-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チツプ形積層セラミツクコンデンサ
JP3267067B2 (ja) 1994-10-06 2002-03-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セラミック電子部品
JP3307133B2 (ja) * 1995-01-27 2002-07-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セラミック電子部品
JP3376970B2 (ja) 1999-09-08 2003-02-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セラミック電子部品
JP2002198229A (ja) * 2000-12-25 2002-07-12 Fdk Corp チップ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259991A (ja) * 2003-02-26 2004-09-16 Kyocera Corp 積層セラミック部品
JP2004296936A (ja) 2003-03-27 2004-10-21 Kyocera Corp セラミック電子部品
US7133275B2 (en) * 2004-02-06 2006-11-07 Avx Corporation Integrated capacitor assembly
JP2005243944A (ja) * 2004-02-26 2005-09-08 Kyocera Corp セラミック電子部品
JP4747604B2 (ja) * 2005-02-18 2011-08-17 Tdk株式会社 セラミック電子部品
JP3904024B1 (ja) * 2005-09-30 2007-04-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電子部品
JP4433204B2 (ja) 2006-03-10 2010-03-17 Tdk株式会社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4998467B2 (ja) 2006-06-28 2012-08-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セラミック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47076B2 (ja) 2009-03-25 2012-06-06 Tdk株式会社 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5532027B2 (ja) * 2010-09-28 2014-06-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792268B1 (ko) * 2012-03-13 2017-11-01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
JP5989124B2 (ja) 2012-09-07 2016-09-07 三菱電機株式会社 パワー半導体装置
JP2015008270A (ja) * 2013-05-27 2015-01-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セラミック電子部品
KR101434108B1 (ko) * 2013-07-22 2014-08-25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과 제조 방법
KR101452127B1 (ko) 2013-08-12 2014-10-16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 그 제조 방법 및 그 실장 기판
KR102004776B1 (ko) 2013-12-05 2019-07-29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 및 그 실장 기판
KR101630029B1 (ko) 2014-03-07 2016-06-13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 및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의 실장 기판
KR20150115184A (ko) * 2014-04-03 2015-10-14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의 실장 기판
KR101659153B1 (ko) 2014-07-07 2016-09-22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및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의 실장 기판
KR20160053682A (ko) 2014-11-05 2016-05-13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및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의 실장 기판
JP6867745B2 (ja) * 2015-02-13 2021-05-12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及び積層コンデンサの実装構造
JP2016149484A (ja) 2015-02-13 2016-08-18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WO2016208633A1 (ja) 2015-06-26 2016-12-29 京セラ株式会社 積層型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実装構造体
US9847173B2 (en) * 2015-06-26 2017-12-19 Murata Manufacturing Co., Ltd. Mounting substrate
JP6517619B2 (ja) 2015-07-28 2019-05-22 京セラ株式会社 積層型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実装構造体
JP6690176B2 (ja) * 2015-10-06 2020-04-28 Tdk株式会社 電子部品
JP6512139B2 (ja) * 2016-03-04 2019-05-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の実装構造及びその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6933453B2 (ja) 2016-08-22 2021-09-08 Koa株式会社 チップ部品、チップ部品の実装構造、チップ抵抗器の製造方法
JP2018041761A (ja) 2016-09-05 2018-03-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チップ状電子部品
WO2018056319A1 (ja) 2016-09-23 2018-03-29 Tdk株式会社 電子部品及び電子部品装置
JP2018073900A (ja) 2016-10-26 2018-05-1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2018088451A (ja) 2016-11-28 2018-06-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2018101724A (ja) * 2016-12-21 2018-06-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6822155B2 (ja) * 2017-01-12 2021-01-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実装構造体
JP6972592B2 (ja) * 2017-03-16 2021-11-24 Tdk株式会社 電子部品及び電子部品装置
JP6946876B2 (ja) 2017-09-08 2021-10-13 Tdk株式会社 電子部品及び電子部品装置
JP7003541B2 (ja) * 2017-09-28 2022-01-20 Tdk株式会社 電子部品及び電子部品装置
JP6943142B2 (ja) 2017-10-30 2021-09-29 Tdk株式会社 電子部品及び電子部品装置
JP2019083254A (ja) * 2017-10-30 2019-05-30 Tdk株式会社 電子部品
JP6933090B2 (ja) 2017-10-30 2021-09-08 Tdk株式会社 電子部品
JP6806035B2 (ja) * 2017-10-31 2021-01-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6926995B2 (ja) 2017-11-29 2021-08-25 Tdk株式会社 電子部品
KR102427928B1 (ko) 2017-12-15 2022-08-02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의 실장 기판
JP7040063B2 (ja) 2018-01-31 2022-03-23 Tdk株式会社 電子部品
JP7040062B2 (ja) 2018-01-31 2022-03-23 Tdk株式会社 電子部品
JP7302217B2 (ja) 2019-03-25 2023-07-04 Tdk株式会社 電子部品
JP7302218B2 (ja) 2019-03-25 2023-07-04 Tdk株式会社 電子部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1956A (ja) * 2007-01-23 2008-08-07 Tdk Corp セラミック電子部品
JP2016004659A (ja) * 2014-06-16 2016-01-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導電性樹脂ペーストおよびセラミック電子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63996B2 (en) 2023-09-19
US11594378B2 (en) 2023-02-28
US20210125783A1 (en) 2021-04-29
CN114899007B (zh) 2023-09-01
US20230377802A1 (en) 2023-11-23
CN112837934A (zh) 2021-05-25
CN114899007A (zh) 2022-08-12
KR20200077604A (ko) 2020-06-30
CN109791839B (zh) 2021-08-24
CN112820542A (zh) 2021-05-18
US20220084753A1 (en) 2022-03-17
US11264172B2 (en) 2022-03-01
KR20210021125A (ko) 2021-02-24
KR20190055187A (ko) 2019-05-22
KR20220121920A (ko) 2022-09-01
CN112863873B (zh) 2022-07-26
DE112017004775T5 (de) 2019-06-19
KR102297593B1 (ko) 2021-09-06
CN112820542B (zh) 2023-03-24
CN109791839A (zh) 2019-05-21
WO2018056319A1 (ja) 2018-03-29
KR102599720B1 (ko) 2023-11-09
CN112863873A (zh) 2021-05-28
US20220375689A1 (en) 2022-11-24
CN112863874A (zh) 2021-05-28
CN112863874B (zh) 2023-02-03
KR102486063B1 (ko) 202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7493B1 (ko) 전자 부품 및 전자 부품 장치
CN110098050B (zh) 电子部件
CN109585168B (zh) 电子部件
CN110098049B (zh) 电子部件
CN108630435B (zh) 电子部件
CN110098046B (zh) 电子部件
CN109727768B (zh) 电子部件
JP2019083253A (ja) 電子部品及び電子部品装置
JP6932906B2 (ja) 電子部品及び電子部品装置
JP6933062B2 (ja) 電子部品及び電子部品装置
JP6915324B2 (ja) 電子部品
JP6958168B2 (ja) 電子部品及び電子部品装置
JP6933061B2 (ja) 電子部品及び電子部品装置
JP2018170322A (ja) 電子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