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6752B1 - 분진 억제제 및 이를 이용한 분진 억제 방법 - Google Patents

분진 억제제 및 이를 이용한 분진 억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6752B1
KR102386752B1 KR1020190164619A KR20190164619A KR102386752B1 KR 102386752 B1 KR102386752 B1 KR 102386752B1 KR 1020190164619 A KR1020190164619 A KR 1020190164619A KR 20190164619 A KR20190164619 A KR 20190164619A KR 102386752 B1 KR102386752 B1 KR 102386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er
dust
weight
glycol
co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3874A (ko
Inventor
이원희
이광희
김기항
김성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주)미산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주)미산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164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6752B1/ko
Priority to PCT/KR2020/018056 priority patent/WO2021118258A1/ko
Priority to CN202080085554.XA priority patent/CN114846113A/zh
Priority to JP2022536682A priority patent/JP7422232B2/ja
Priority to EP20899647.0A priority patent/EP4074806A4/en
Publication of KR20210073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7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22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for dust-laying or dust-absorb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5/00Means or methods for preventing, binding, depositing, or removing dust; Preventing explosions or fires
    • E21F5/08Rock dusting of mines; Depositing other protective substances
    • E21F5/12Composition of rock du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진 억제제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10 내지 60중량%,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1 내지 30중량%, 글리콜에테르 10 내지 30중량% 및 용매 20 내지 50중량%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진 억제제 및 이를 이용한 분진 억제 방법{DUST SUPPRESSANTS AND DUST SUPPRESS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진 억제제 및 이를 이용한 분진 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버켓에 의한 석탄 하역작업 시 비산되는 분진을 흡착하고 호퍼와 컨베이어벨트시스템 등 이송과정에서 추가적인 분진의 발생을 억제함과 동시에 냉각작용에 의해 석탄의 자동산화를 소화하는 다목적 석탄 분진 억제제 및 이를 이용한 분진 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공성 물질인 석탄은 일반적으로 하역 및 이송작업 시 분진이 발생한다.
또한 석탄은 하역과 이송 중에 공기 중의 산소를 흡수하여 산소와 휘발분이 반응하여 열이 발생하는 자동산화 현상이 발생한다. 석탄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표면적이 증가하고 산소와의 접촉면이 확대되기 때문에 분진은 자동산화를 촉진한다. 이러한 자동산화 현상으로 인하여 휘발분이 휘발되어 유해가스에 의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석탄을 사용하는 실수요처는 하역과 이송작업을 거쳐 석탄을 저장하는데 버켓에 의한 하역작업 시 비산되는 분진을 기포를 형성시켜 흡착하는 것이 첫번째 중요 요인이며 기포형 비산방지제의 주기능이다.
그러나, 기포형 비산방지제는 물 대비 표면적을 극대화하여 비산되는 분진을 흡착하는 방식으로 비산되는 분진을 저감하지만 버켓작업 이후에 호퍼와 컨베이어벨트시스템으로 저장소까지 이송 시에 침투성 부족으로 인한 추가적인 분진발생을 억제할 수 없고 휘발분의 자동산화 현상에 의한 유해가스 발생도 억제할 수 없다. 그러므로 분진을 흡착한 기포가 액상으로 신속히 환원되어 석탄내부로 신속히 침투하여 추가적인 분진발생을 억제시키고 냉각작용으로 자동산화를 소화하여 유해가스 발생을 억제하도록 침투성을 갖추는 것이 두 번째 중요한 요인이다.
최근 분탄 비율이 높아 가격이 저렴한 석탄의 수입이 증가하고 있고 비산먼지에 대한 환경규제가 강화되고 있어 하역 및 이송작업 시 분진을 근본적으로 억제하는 분진 억제제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므로 버켓에 의한 하역작업 시 비산되는 분진을 흡착하고 액상으로 신속히 환원되어 석탄내부로 침투하여 추가적인 분진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다목적 분진억제제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와 함께 하역 및 이송작업 시에 자동산화로 발생되는 휘발성 유해가스를 억제하여 악취를 저감하는 기술도 석탄 실수요처의 사용 전 석탄 관리 측면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술이다.
분진 억제제로서, 폴리비닐알코올과 계면활성제를 활용하여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는 기포형 비산방지제가 알려져 있다.
이 비산방지 방법은 폴리비닐알코올, 계면활성제, 첨가제(헥실렌 글리콜)를 주원료로 물과 혼합하여 기포형태로 분사하여 형성된 막이 석탄의 표면을 경화시켜 분진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기포 발생을 통해 도포면적을 최대화하고 사용량을 줄이도록 할 뿐, 근본적으로 기포의 분진 흡착 기능에 대한 기능이 고려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비산방지제는 이송 작업 중 발생하는 분진에 대한 대응방법이 아닌 야적된 석탄의 표면을 경화시켜 분진 발생을 억제하는 것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진 억제제 및 이를 이용한 분진 억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버켓에 의한 석탄 하역작업 시 비산되는 분진을 흡착하고 호퍼와 컨베이어벨트시스템 등 이송과정에서 추가적인 분진의 발생을 억제함과 동시에 냉각작용에 의해 석탄의 자동산화를 소화하는 다목적 석탄 분진 억제제 및 이를 이용한 분진 억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진 억제제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10 내지 60중량%,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1 내지 30중량%, 글리콜에테르 10 내지 30중량% 및 용매 20 내지 50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진 억제제는 포안정제 0.1 내지 10 중량%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는 나트륨 2-에틸헥실 술페이트, 나트륨 헥실술페이트, 나트륨 옥틸술페이트, 나트륨 디옥틸 술포숙시네이트, 암모늄 2-에틸헥실 술페이트, 암모늄 헥실술페이트, 암모늄 옥틸술페이트 및 암모늄 디옥틸 술포숙시네이트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케닐 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글리콜에테르는 디에틸렌글리콜 디에틸 에테르(diethyleneglycol diethyl ether), 디에틸렌글리콜 디부틸 에테르(diethyleneglycol dibutyl ether), 디프로필렌글리콜 디메틸 에테르(dipropyleneglycol dimethyl ether), 디프로필렌글리콜 디부틸 에테르(dipropyleneglycol dibutyl ether),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tri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에틸 에테르(triethylene glycol diethyl ether),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부틸 에테르(triethyleneglycol dibutyl ether), 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eth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cetate),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acetate),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diethyleneglycol monobutyl ether), 및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glycol)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진 억제 방법은 분진 억제제를 포원액 형태(Foam Concentrate)로 수압에 의해 물과 함께 분사하여 기포 형태(Foaming)로 석탄에 분사한다.
분진 억제제 1 내지 5 중량% 및 상기 물 95 내지 99 중량% 비율로 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량의 분진억제제로 펌프의 동력 없이 수압만으로 기포를 형성하여 비산되는 분진을 흡착할 수 있다.
또한 분진을 흡착한 기포가 액상으로 환원되어 석탄내부로 침투하여 추가적인 분진발생을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분진억제제가 석탄에 신속히 침투하면서 냉각작용으로 휘발분의 자동산화를 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이송작업 시 악취를 저감하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석탄의 비산되는 분진을 억제하고 추가적인 분진의 발생을 억제함과 동시에 자동산화로 인한 악취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분탄 비율이 높아 가격이 저렴한 석탄을 환경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석탄을 구매하여 안전하고 친환경적으로 석탄을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또는 상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개재되지 않는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는 중량%를 의미하며, 1ppm 은 0.0001중량%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성분에 추가 원소를 더 포함하는 것의 의미는 추가 원소의 추가량 만큼 잔부인 원소를 대체하여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진 억제제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10 내지 60중량%,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1 내지 30중량%, 글리콜에테르 10 내지 30중량% 및 용매 20 내지 50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진 억제제는 전술한 성분 구성 및 배합 비율에 의해 소수성 부분의 탄소기들이 석탄표면에 흡착하고, 친수성 부분 및 글리콜기들이 물 분자를 잡아 당겨 석탄 표면의 계면 장력을 줄이게 된다. 이는 석탄과 물의 흡착력을 높여 석탄이 물을 빠르게 함습하게 함으로써 미세석탄 분자의 중량을 높여 추가적인 분진의 발생을 억제한다. 또한 상기 침투성에 의한 추가적인 분진발생 억제는 수분이 증발된 후에도 특유의 뭉침현상(케이킹)으로 잔존하여 일정기간 분진의 발생을 억제한다.
이하에서는 각 성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분진 억제제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10 내지 60중량% 포함한다.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와 함께 침투성을 향상시킨다. 음이온계 계면활성제가 너무 적게 포함되면, 분진 억제제의 침투성 및 기포성을 적절히 확보할 수 없다. 음이온계 계면활성제가 너무 많이 포함되면, 분진 억제제의 분진 흡착성이 저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20 내지 4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는 나트륨 2-에틸헥실 술페이트, 나트륨 헥실술페이트, 나트륨 옥틸술페이트, 나트륨 디옥틸 술포숙시네이트, 암모늄 2-에틸헥실 술페이트, 암모늄 헥실술페이트, 암모늄 옥틸술페이트 및 암모늄 디옥틸 술포숙시네이트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나트륨 디옥틸 술포숙시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분진 억제제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1 내지 30중량% 포함한다.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와 함께 침투성을 향상시킨다. 비이온계 계면활성제가 너무 적게 포함되면, 분진 억제제의 침투성을 적절히 확보할 수 없다. 비이온계 계면활성제가 너무 많이 포함되면, 분진 억제제의 분진 흡착성이 저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5 내지 1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케닐 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분진 억제제는 글리콜에테르를 10 내지 30중량% 포함한다. 글리콜에테르는 점도를 낮추고 조성물 구성 성분 간의 결합력을 높이며, 또한 사용 가능 기간을 늘려주고 수분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글리콜에테르가 너무 적게 포함되면, 전술한 역할을 적절히 수행할 수 없다. 글리콜에테르가 너무 많이 포함되면, 기포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글리콜에테르를 15 내지 2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글리콜에테르는 디에틸렌글리콜 디에틸 에테르(diethyleneglycol diethyl ether), 디에틸렌글리콜 디부틸 에테르(diethyleneglycol dibutyl ether), 디프로필렌글리콜 디메틸 에테르(dipropyleneglycol dimethyl ether), 디프로필렌글리콜 디부틸 에테르(dipropyleneglycol dibutyl ether),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tri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에틸 에테르(triethylene glycol diethyl ether),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부틸 에테르(triethyleneglycol dibutyl ether), 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eth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cetate),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acetate),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diethyleneglycol monobutyl ether), 및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glycol)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diethyleneglycol monobutyl ether)를 포함할 수 있다.
글리콜에테르 외에 글리콜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디글리콜 중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 그 합량으로 1 내지 10 중량%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진 억제제는 용매를 20 내지 50중량% 포함한다. 용매를 포함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수용성과 분산성이 우수한 형태로 분진 억제제를 조성할 수 있다.
전술한 성분 외에 분진 억제제는 포안정제를 0.1 내지 1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포안정제의 예로는 글리세린(Glycerin), 글리세릴 글루코사이드(Glyceryl Glucoside), 폴리옥시에틸렌 메틸 글루세스(Polyoxyethylene Methyl Gluceth), 베타인(Betaine)계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알킬 알코올(Alkyl Alcohol) 중 1종 이상이 될 수 있다. 포안정제를 추가함으로써, 기포를 더욱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진 억제 방법은 분진 억제제를 포원액 형태(Foam Concentrate)로 수압에 의해 물과 함께 분사하여 기포 형태(Foaming)로 석탄에 분사한다.
포원액 형태는 물과 혼합하여 포(거품)를 발생시키는 수용성의 기능성 약제(제품)를 말하고, 상기 포 형태는 수용성의 포원액 형태로 조성된 분진 억제제와 물의 혼합시 발생되는 포(거품)를 말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억제제는 수용성 포원액 형태의 제품이어야만 물과 혼합하여 분진 억제제 수용액을 만들 수 있고, 이렇게 하여야 포배율만큼의 부피로 확대되어 포 형태로 많은 양의 석탄에 고르게 분산 및 도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분진 억제제를 수용성의 포원액 형태로 조성한 것은 분진 억제제의 핵심물질을 적정한 농도(ppm)로 가급적 모든 유연탄에 고르게 분산 및 도포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억제제는 물과 혼합하여 포가 잘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인데 공기가 함께 혼합이 되면 포는 더욱 잘 발생되고, 이에 의해 분진 억제제를 석탄에 고르게 분산 및 도포할 수 있다.
즉, 분진 억제제에 공기를 인위적으로 혼합시키지 않아도 물이 수압에 의해 공급되기 때문에, 포배율의 범위 내에서 공기가 물과 함께 혼합되므로 포를 발생시켜주는 데는 문제가 없다. 좀 더 좋은 포를 더 잘 발생시키고 더 잘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컴프레샤 등을 통해 공기를 혼합할 수 있다.
분진 억제제 1 내지 5 중량% 및 물 95 내지 99 중량% 비율로 분사할 수 있다. 분진 억제제가 너무 적은 경우, 비산되는 분진의 흡착성이 감소하여,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분진 억제제가 너무 많은 경우,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분진 억제제 1 내지 3 중량% 및 물 97 내지 99 중량% 비율로 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분진억제제를 분사한 석탄은 습기가 없는 건조사태가 되더라도 특유의 뭉침현상(케이킹)이 발생하여 비산되는 분진이 최소화되는 특징을 나타낸다. 이러한 특징은 기존의 기포형 비산방지제에서는 볼 수 없는 본 발명의 특별한 계면활성제 화합물 조성에 의한 현상으로 실수요처가 살수작업 없이도 사용 전 석탄을 장기 보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 표 1의 성분 및 비율로 혼합하여 분진 억제제를 제조하였다. 용기에 각 1중량%으로 수용액을 250ml씩 따른 후에 100mesh 분말 형태의 석탄 2.5g을 용기에 넣고, 석탄이 수용액에 침강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또한 건조 후 분진억제성 평가를 위해 접시형태 용기에 석탄을 각각 50g 놓은 상태에서 분진 억제제 1중량%로 수용액을 각 10ml씩 분사하고 건조시킨 후 상태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나트륨 디옥틸 술포숙시네이트)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글리콜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포안정제
(글리세릴 글루코사이드)
용매
(물)
침강 시간 뭉침 현상
실시예 1 40 중량% 10 중량% 15 중량% 5중량% 30중량% 10초 O
실시예 2 35 중량% 5 중량% 20중량% 3중량% 37중량% 11초 O
실시예 3 25 중량% 15 중량% 15 중량% 5중량% 40중량% 14초 O
비교예 1 50 중량% - 20중량% 5중량% 35중량% 42초 O
비교예 2 - 50중량% 20중량% 5중량% 35중량% 50초 O
비교예 3 에프 500(Hazard Control Technologies, INC) 60초 X
표 1에 나타나듯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과 같이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글리콜에테르를 적절히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은 침강 시간이 짧고, 뭉침현상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진 억제제 수용액을 분사한 석탄은 분진의 발생이 억제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분진 억제제가 장기간 분진발생을 억제하는 특성이 구현됨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 및 비교예 2는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첨가되지 않거나,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첨가되지 않아, 침투성이 실시예 1 내지 3에 비해 열위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용되는 에프 500은 침투성 면에서 실시예 1 내지 3에 비해 열위할 뿐더러, 뭉침현상도 발생하지 않아, 장기간 분진발생을 억제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확인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7)

  1.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10 내지 60중량%,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1 내지 30중량%, 글리콜에테르 10 내지 30중량%, 글리세릴 글루코사이드 0.1 내지 10 중량% 및 용매 20 내지 50중량%를 포함하는 분진 억제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는 나트륨 2-에틸헥실 술페이트, 나트륨 헥실술페이트, 나트륨 옥틸술페이트, 나트륨 디옥틸 술포숙시네이트, 암모늄 2-에틸헥실 술페이트, 암모늄 헥실술페이트, 암모늄 옥틸술페이트 및 암모늄 디옥틸 술포숙시네이트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분진 억제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케닐 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분진 억제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에테르는 디에틸렌글리콜 디에틸 에테르(diethyleneglycol diethyl ether), 디에틸렌글리콜 디부틸 에테르(diethyleneglycol dibutyl ether), 디프로필렌글리콜 디메틸 에테르(dipropyleneglycol dimethyl ether), 디프로필렌글리콜 디부틸 에테르(dipropyleneglycol dibutyl ether),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tri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에틸 에테르(triethylene glycol diethyl ether),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부틸 에테르(triethyleneglycol dibutyl ether), 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eth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cetate),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acetate),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diethyleneglycol monobutyl ether), 및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glycol)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분진 억제제.
  6.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진 억제제를 포원액 형태(Foam Concentrate)로 수압에 의해 물과 함께 분사하여 기포 형태(Foaming)로 석탄에 분사하는 분진 억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 억제제 1 내지 5 중량% 및 상기 물 95 내지 99 중량% 비율로 분사하는 분진 억제 방법.
KR1020190164619A 2019-12-11 2019-12-11 분진 억제제 및 이를 이용한 분진 억제 방법 KR102386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619A KR102386752B1 (ko) 2019-12-11 2019-12-11 분진 억제제 및 이를 이용한 분진 억제 방법
PCT/KR2020/018056 WO2021118258A1 (ko) 2019-12-11 2020-12-10 분진 억제제 및 이를 이용한 분진 억제 방법
CN202080085554.XA CN114846113A (zh) 2019-12-11 2020-12-10 粉尘抑制剂及使用该粉尘抑制剂的粉尘抑制方法
JP2022536682A JP7422232B2 (ja) 2019-12-11 2020-12-10 粉塵抑制剤およびこれを用いた粉塵抑制方法
EP20899647.0A EP4074806A4 (en) 2019-12-11 2020-12-10 DUST SUPPRESSING AGENT AND DUST SUPPRESSING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619A KR102386752B1 (ko) 2019-12-11 2019-12-11 분진 억제제 및 이를 이용한 분진 억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874A KR20210073874A (ko) 2021-06-21
KR102386752B1 true KR102386752B1 (ko) 2022-04-13

Family

ID=76330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619A KR102386752B1 (ko) 2019-12-11 2019-12-11 분진 억제제 및 이를 이용한 분진 억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074806A4 (ko)
JP (1) JP7422232B2 (ko)
KR (1) KR102386752B1 (ko)
CN (1) CN114846113A (ko)
WO (1) WO20211182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89153B (zh) * 2021-09-15 2023-09-19 刘吴差 一种粉尘抑制剂及其制备与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439B1 (ko) * 2019-01-16 2019-08-01 (주)미산알앤씨 포원액 형태의 다기능성 유연탄용 자연발화억제제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8579A (en) * 1980-12-12 1982-06-18 Lion Corp Dust preventing composition
JPS5871995A (ja) * 1981-10-22 1983-04-28 Neos Co Ltd 石炭粉末飛散防止剤
US4551261A (en) * 1984-05-07 1985-11-05 Dearborn Chemical Co. Dust suppression with elastomer-containing foam
JP2546296B2 (ja) * 1987-10-31 1996-10-23 日本油脂株式会社 石油コークスの粉塵防止方法
JPH01188580A (ja) * 1988-01-21 1989-07-27 Mogami Naokichi 吹き付けアスベスト解体用浸透流動性防塵剤
KR940008226B1 (ko) * 1991-08-23 1994-09-08 주식회사 금성사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US5409626A (en) * 1993-05-28 1995-04-25 Benetech Incorporated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short term residual dust suppression
JP2000096040A (ja) 1998-09-25 2000-04-04 Lion Corp 石炭の貯蔵安定化剤
JP2000096039A (ja) 1998-09-25 2000-04-04 Electric Power Dev Co Ltd 石炭の貯蔵安定化方法
US6790245B2 (en) 2002-10-07 2004-09-14 Benetech, Inc. Control of dust
US20050085407A1 (en) * 2003-10-17 2005-04-21 Colgate-Palmolive Company Dust control composition
JP5125126B2 (ja) * 2007-01-31 2013-01-23 住友化学株式会社 疎水性農薬活性化合物を含有する農薬液剤
KR101128554B1 (ko) * 2009-08-18 2012-03-23 오은하 건축 분야에서 사용 가능한 석면 비산방지제 조성물
DE102011003268A1 (de) * 2011-01-27 2012-08-02 Wacker Chemie Ag Staubreduzierungsmittel für Trockenmischungen von Baustoffformulierungen
KR101520050B1 (ko) * 2014-09-24 2015-05-13 유한회사 강남이앤씨 버블 샤워를 이용한 건물의 철거 공법
CN104497985B (zh) * 2015-01-15 2016-04-13 山东科技大学 一种湿式捕尘用泡沫发生剂
JP2016199621A (ja) 2015-04-07 2016-12-01 株式会社片山化学工業研究所 粉塵の飛散防止剤および粉塵の飛散防止方法
WO2017079494A1 (en) * 2015-11-06 2017-05-11 Ecolab Usa Inc. Methods of and systems for controlling dust
CN106350014A (zh) * 2016-08-29 2017-01-25 辽宁点石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生态降尘剂及其制备方法
RU2638162C1 (ru) * 2017-03-06 2017-12-12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от имени которой выступает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корпорация по атомной энергии "Росатом"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ылеподавления и локализации продуктов горения после тушения пожара с радиационным факторо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439B1 (ko) * 2019-01-16 2019-08-01 (주)미산알앤씨 포원액 형태의 다기능성 유연탄용 자연발화억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18258A1 (ko) 2021-06-17
JP2023507318A (ja) 2023-02-22
EP4074806A1 (en) 2022-10-19
JP7422232B2 (ja) 2024-01-25
KR20210073874A (ko) 2021-06-21
EP4074806A4 (en) 2023-05-31
CN114846113A (zh) 202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1938B2 (en) Firefighting foam compositions containing deep eutectic solvents
EP2735343A1 (en) Fire extinguishing agent and fire extinguishing method using same
US5882541A (en) Biodegradable foam compositions for extinguishing fires
KR102386752B1 (ko) 분진 억제제 및 이를 이용한 분진 억제 방법
KR20210082445A (ko) 소화 조성물
JP6441341B2 (ja) 帯水層浄化用コロイド剤
KR20130100028A (ko) 소방용 발포 농축물
TW200714700A (en) Method of dust suppression disposal
KR101654579B1 (ko) 소화성능이 우수한 강화액 소화약제 및 그 제조방법
JP2012254101A (ja) 水添加型消火剤組成物及び水性泡消火剤
US6296781B1 (en) Fire retardant and fire extinguishing material
EP3922320A1 (en) Wetting agent composition for extinguishing fires
KR102318240B1 (ko) 유독가스 억제 성능을 갖는 소화기용 액상형 소화 조성물
EP2378524A1 (en) Decontamination/detoxification composition
EP1013311B1 (fr) Compositions extinctrices
CN107022431B (zh) 工业清洗剂及其制备方法
CN109530972A (zh) 一种低固低碳水基助焊剂及其制备方法
MXPA96004320A (en) Extinguishing method and compositions of fire, favorable for the oz
EP0752900A1 (en) Ozone friendly fire extinguishing methods and compositions
JP7197461B2 (ja) 泡原液形態の多機能性有煙炭用自然発火抑制剤
WO2018124968A1 (en) Water-based fire extinguisher formulation
KR102560877B1 (ko) 석탄의 자연발화 방지제
JP6896296B2 (ja) 亜硫酸塩水溶液の安定化剤および消臭剤
JP2007020965A (ja) 消火用組成物及び消火方法
US20240091577A1 (en) Fire fighting agent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