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439B1 - 포원액 형태의 다기능성 유연탄용 자연발화억제제 - Google Patents

포원액 형태의 다기능성 유연탄용 자연발화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439B1
KR102006439B1 KR1020190005826A KR20190005826A KR102006439B1 KR 102006439 B1 KR102006439 B1 KR 102006439B1 KR 1020190005826 A KR1020190005826 A KR 1020190005826A KR 20190005826 A KR20190005826 A KR 20190005826A KR 102006439 B1 KR102006439 B1 KR 102006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ntaneous ignition
bituminous coal
inhibitor
ignition inhibito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재현
전홍철
문성
이광희
백창선
오성기
Original Assignee
(주)미산알앤씨
이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산알앤씨, 이광희 filed Critical (주)미산알앤씨
Priority to KR1020190005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4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439B1/ko
Priority to CN201911241098.9A priority patent/CN111440650B/zh
Priority to JP2019224165A priority patent/JP7197461B2/ja
Priority to PCT/KR2020/000539 priority patent/WO2020149584A1/ko
Priority to RU2020136890A priority patent/RU2768722C1/ru
Priority to US17/051,501 priority patent/US11214747B2/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26After-treatment of the shaped fuels, e.g. briquettes
    • C10L5/32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9/00Treating solid fuels to improve their combustion
    • C10L9/10Treating solid fuels to improve their combustion by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4Removing or cutting-off the supply of inflamm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of highly inflammable material, e.g. light metals, petroleum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5/00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 A62C5/02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of foa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C09K21/06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22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for dust-laying or dust-absorb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0Use of additives to fuels or fires for particular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0Use of additives to fuels or fires for particular purposes
    • C10L10/02Use of additives to fuels or fires for particular purposes for reducing smoke develop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30/00Function and purpose of a components of a fuel or the composition as a whole
    • C10L2230/08Inhibi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30/00Function and purpose of a components of a fuel or the composition as a whole
    • C10L2230/08Inhibitors
    • C10L2230/081Anti-oxid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50/00Structural features of fuel components or fuel compositions, either in solid, liquid or gaseous s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14Injection, e.g. in a reactor or a fuel stream during fuel production
    • C10L2290/141Injection, e.g. in a reactor or a fuel stream during fuel production of additive or catalyst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14Injection, e.g. in a reactor or a fuel stream during fuel production
    • C10L2290/145Injection, e.g. in a reactor or a fuel stream during fuel production of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14Injection, e.g. in a reactor or a fuel stream during fuel production
    • C10L2290/146Injection, e.g. in a reactor or a fuel stream during fuel production of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 Fireproofing Substances (AREA)
  • Emulsifying, Dispersing, Foam-Producing Or Wet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연탄의 자연발화를 억제함과 동시에 비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자연발화로 인한 발전소 가동장애, 유연탄 낭비, 악취발생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저렴한 유연탄 사용으로 경제적이고 안전하며 친환경적으로 유연탄발전소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하고, 유동점을 개선하여 영하 20도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포원액 형태의 다기능성 유연탄용 자연발화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산화방지제, 휘발분활성화억제제, 유화제 화합물을 이용하여 수용성의 포원액 형태(Foam Concentrate)로 자연발화억제제를 조성하고, 수용성의 포원액 형태로 조성된 자연발화억제제를 물 및 공기와 혼합하여 포 형태(Foaming)로 유연탄에 분산 및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원액 형태의 다기능성 유연탄용 자연발화억제제{Multi-Functional Spontaneous ignition inhibiting Foam Concentrate for bituminous coal}
본 발명은 자연발화로 인한 발전소 가동장애, 유연탄 낭비, 악취발생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유연탄용 자연발화억제제에 관한 것으로써, 더 상세하게는 자연발화억제제를 조성한 후 계면활성제를 혼합하는 방식이 아니라 자연발화억제제 조성시 계면활성제를 혼합함으로서 수용성의 포원액 형태로 조성하고, 수용성의 포원액 형태로 조성된 자연발화억제제를 물과 혼합하여 분사시 포 형태로 유연탄에 고르게 분산 및 도포하여 자연발화를 예방하고, 옥내저탄장의 경우 유연탄의 비산방지에도 도움이 되는 포원액 형태의 다기능성 유연탄용 자연발화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탄의 자연발화는 휘발분, 수분, 탄화도, 불순물에 의한 산화와 산소 흡수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석탄이 공기 또는 물속의 산소를 흡수하게 되면 석탄에 함유된 휘발분은 인화점이 낮기 때문에 활성화되면서 열이 발생하여 자연적으로 발화현상이 발생한다. 석탄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표면적이 증가하고 산소와의 접촉면이 확대되어 자연발화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그에 따라 산화속도가 증가하여 자연발화 발생률이 증가한다.
석탄의 저탄기간이 길어질수록 석탄의 산소흡수율이 증가하게 되면서 인화점이 낮은 휘발분이 활성화됨에 따라 석탄더미의 내부온도가 상승하여 자연발화 가능성이 증가하게 되므로 저탄 중인 석탄에 함유된 인화점이 낮은 휘발분이 활성화되지 않도록 억제하는 것이 첫 번째 중요 요인이다.
또한, 발전소와 제철소가 구매하는 유연탄은 광산에서 채탄되어 이송되는 것이므로 분말부터 덩어리까지 다양한 형태를 가지므로 자연발화억제제를 석탄에 유효하게 도포하기 위해서는 컨베이어벨트 시스템 내 석탄이 낙하되는 장소에서 포 형태(Foaming)로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분사하여야 고르게 도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자연발화억제제 역시 물 및 공기와 혼합하여 포 형태로 분사될 수 있는 포원액 형태(Fooam Concentrate)로 조성하는 것이 두 번째 중요한 요인이다.
특히 휘발분과 자연발화 현상은 정비례한다. 따라서 휘발분이 많은 유연탄은 자연발화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낮은 등급으로 분류되어 낮은 가격에 거래된다.
유연탄은 휘발분이 10 ~ 20%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대부분 자연발화 가능성이 있으며, 저급탄의 경우 가격이 저렴한 반면 휘발분이 30 ~ 40%로 높아 자연발화 위험성이 더 커진다.
그러므로 휘발분의 활성화를 억제하고 산소의 흡수를 차단하여 자연발화를 억제할 수 있다면 저렴한 유연탄을 수입하여 경제적으로 에너지원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저탄장 내에서 자연발화에 의한 화재는 폭발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를 예방하는 자연발화억제 기술은 석탄화력발전소 운영측면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술이다.
최근 정부의 미세먼지 대책의 일환으로 유연탄 발전소의 저탄장 옥내화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므로 옥내화된 저탄장 내에서의 자연발화로 인한 화재예방은 국가 기간산업의 화재예방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의제가 되고 있다.
자연발화 발생 원인으로 외부조건에서는 산소농도가 높을수록, 온도가 높을수록, 습도가 낮을수록 자연발화 위험성이 크고, 성분조건으로는 휘발분이 많을수록, 분탄이 많을수록 자연발화 위험성이 크다.
자연발화로 인한 사고 사례를 보면, 삼척에서는 2015년 12월 10일에 컨베이어벨트로 석탄을 이송하는 과정 중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발전소의 가동이 중단되었고, 당진에서는 2011년 8월과 2018년 11월 저탄장 내 자연발화가 약 1주일 이상 계속되어 주민들이 악취로 큰 불편을 겪었으며, 포천에서는 2018년 8월 8일에 자연발화로 화력발전소에서 폭발사고가 발생하여 인명피해가 발생하였다.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등록특허 제10-1047515호에는 회분 및 수분 함량이 많은 저등급탄을 고품위화하고 자연발화를 억제하기 위한 저등급 석탄 개질방법 및 저등급 석탄 개질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선행기술의 저등급 석탄 개질방법은 분쇄선별단계, 탈수단계, 휘발분 제거단계, 코팅단계, 증발제거단계 및 성형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분쇄선별단계는 저등급 석탄을 작게 분쇄하는 단계이다. 즉, 저등급 석탄은 고정탄소분과 회분과 수분이 포함되어 있는 바, 저등급 석탄을 분쇄함으로써 고정탄소분을 회분 및 수분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함이다. 분쇄선별단계에서는 저등급 석탄을 분쇄하기 위하여 마모분쇄기가 사용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선행기술은 저등급 석탄 개질방법 및 저등급 석탄 개질장치에 관한 것으로 저등급 석탄을 개질하여 자연발화를 억제하기 위해 분쇄장치, 탈수장치, 분리장치, 건조장치, 코팅장치 등을 포함하는 고비용의 복잡한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되는 선행기술은 석탄을 개질하여 자연발화를 억제하기 위한 공정이 복잡하여 설비비와 유지보수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별도의 설비 설치공간이 함께 준비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또 다른 최근의 자연발화에 대한 대응책으로 산화방지제를 주원료로 비포원액 형태(non foaming concentrate)의 자연발화억제제를 개발하여 계면활성제(비산방지제)와 물과 혼합하여 석탄에 도포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자연발화억제제의 장비부식성과 높은 유동점(0도), 계면활성제와 동시에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성, 사용약제 증가로 인한 설비 관련 비경제성 등의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자연발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기존에 시도되어 왔던 방법 또는 제품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자연발화억제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허문헌 : 등록특허 제10-1047515호(등록일자 : 2011.07.0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자연발화억제제를 조성한 후 계면활성제를 혼합하는 방식이 아니라 자연발화억제제 조성시 계면활성제를 혼합함으로서 수용성의 포원액 형태로 조성하고, 수용성의 포원액 형태로 조성된 자연발화억제제를 물과 혼합하여 분사시 포 형태로 유연탄에 고르게 분산 및 도포하여 자연발화를 예방하고, 유연탄의 자연발화를 억제함과 동시에 비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포원액 형태의 다기능성 유연탄용 자연발화억제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연탄의 자연발화를 억제시킴으로써 자연발화로 인한 발전소 가동장애, 유연탄 낭비, 악취발생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포원액 형태의 다기능성 유연탄용 자연발화억제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연탄의 자연발화를 억제함과 동시에 비산을 방지함으로써 저렴한 유연탄 사용으로 경제적이고 안전하며 친환경적으로 유연탄발전소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한 포원액 형태의 다기능성 유연탄용 자연발화억제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유연탄의 자연발화를 억제할 수 있는 포원액 형태의 다기능성 유연탄용 자연발화억제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동점을 개선하여 영하 20도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포원액 형태의 다기능성 유연탄용 자연발화억제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자연발화억제제는 포원액 형태(Foam Concentrate)로 조성되어 물 및 공기와 함께 분사하여 포 형태(Foaming)로 유연탄에 분산 및 도포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포원액 형태로 조성된 자연발화억제제 4중량%에 공기가 혼합된 물 96중량%를 혼합하여 포 형태로 유연탄에 분산 및 도포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자연발화억제제는 산화방지제 7 ~ 13중량%, 휘발분활성화억제제 20 ~ 40중량%, 유화제 화합물 20 ~ 40중량%, 물 20 ~ 40중량%를 혼합하여 자연발화억제제를 조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자연발화억제제의 산화방지제는 유연탄의 산화를 방지하는 페닐린디아민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자연발화억제제의 휘발분활성화억제제는 휘발분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메틸디에탄올아민(MDEA)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자연발화억제제의 유화제 화합물은 부틸디글리콜 25 ~ 40중량%, 글리콜에테르 2 ~ 10중량%,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3 ~ 10중량%, 카스터오일계 유화제 45 ~ 65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 포원액 형태의 다기능성 유연탄용 자연발화억제제에 따르면, 산화방지제와 휘발분활성화억제제와 유화제 화합물을 이용하여 수용성의 포원액 형태로 자연발화억제제를 조성하였기 때문에, 비산방지제 없이 수용성의 포원액 형태로 조성된 자연발화억제제를 물 및 공기와 혼합하여 컨베이어벨트 시스템 내에서 포 형태로 유연탄에 고르게 분산 및 도포함으로써 유연탄의 자연발화를 억제함과 동시에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연발화억제제를 유연탄에 분산 및 도포하여 유연탄의 자연발화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옥내저탄장에서의 자연발화로 인한 발전소 가동장애, 유연탄 낭비, 악취발생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연탄의 자연발화를 억제함과 동시에 비산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저렴한 유연탄 사용으로 경제적이고 안전하며 친환경적으로 유연탄발전소를 운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유연탄의 자연발화를 억제할 수 있는 유연탄용 자연발화억제제를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연발화억제제에 포함된 메틸디에탄올아민(MDEA)에 의해 자연발화억제제의 유동점도 자연스레 개선되어 영하 20도 이하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설비 측면에서 저장탱크에 보온설비를 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화제 화합물이 충분히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포 형태로 분사시키기 위한 비산방지제를 별도로 보유할 필요가 없으므로 설비비와 유지비 측면에서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본 발명 포원액 형태의 다기능성 유연탄용 자연발화억제제는 포원액 형태(Foam Concentrate)로 조성되어 물 및 공기와 함께 분사하여 포 형태(Foaming)로 유연탄에 분산 및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원액 형태는 물과 혼합하여 포(거품)를 발생시키는 수용성의 기능성 약제(제품)를 말하고, 상기 포 형태는 수용성의 포원액 형태로 조성된 자연발화억제제와 물의 혼합시 발생되는 포(거품)를 말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연탄용 자연발화억제제는 수용성 포원액 형태의 제품이어야만 물과 혼합하여 자연발화억제제 수용액을 만들 수 있고, 이렇게 하여야 포배율만큼의 부피로 확대되어 포 형태로 많은 양의 유연탄에 고르게 분산 및 도포할 수 있다. 이때, 수용성을 강조한 것은 자연발화억제제의 핵심물질이 물과 잘 혼합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즉, 물과 잘 혼합하는 경우에 많은 양의 유연탄에 고르게 분산 및 도포할 수 있고 그래야만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자연발화억제제를 수용성의 포원액 형태로 조성한 것은 자연발화억제제의 핵심물질을 적정한 농도(ppm)로 가급적 모든 유연탄에 고르게 분산 및 도포하기 위한 것으로, 성능이 아무리 우수한 자연발화억제제라 하여도 포원액 형태로 개발되지 못하면 4리터의 자연발화억제제 수용액으로 1000㎏의 유연탄에 고르게 도포할 수 없다. 따라서, 많은 양의 유연탄에 효과적으로 도포하기 위해서는 포 형태의 도포가 불가피하고,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포배율이 10배 정도 되는 포원액 형태로 자연발화억제제를 조성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4리터의 자연발화억제제 수용액을 가지고 포 형태로 분사하면 포의 발생량은 40리터가 되므로, 자연발화억제제를 포 형태로 40리터를 준비하여 유연탄 1000㎏에 분산 및 도포할 수 있다.
상기 포원액 형태로 조성된 자연발화억제제 4중량%에 물 96중량%를 혼합하여 포 형태로 유연탄에 분산 및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중량% 미만이면 자연발화억제제의 자연발화를 억제하는 안전성이 감소하고, 4중량%를 초과하면 자연발화억제제의 품질이 저하된다. 즉, 상기 자연발화억제제 4중량%, 물 96중량%를 혼합하여 컨베이어벨트 시스템 내에서 3개 이상의 포노즐을 사용하여 포 형태로 유연탄에 고르게 분산 및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자연발화억제제는 물과 혼합하여 포가 잘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인데 공기가 함께 혼합이 되면 포는 더욱 잘 발생되고, 이에 의해 자연발화억제제를 유연탄에 고르게 분산 및 도포할 수 있다. 즉, 자연발화억제제에 공기를 인위적으로 혼합시키지 않아도 물이 수압에 의해 공급되기 때문에, 포배율의 범위 내에서 공기가 물과 함께 혼합되므로 포를 발생시켜주는 데는 문제가 없으나, 좀 더 좋은 포를 더 잘 발생시키고 더 잘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컴프레샤 등을 통해 공기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자연발화억제제 수용액과 공기와의 혼합비율은 1:10으로 혼합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컴프레샤 등으로 공기를 혼합시키지 않더라도 포 형태로 분사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공기를 혼합시켜 옥내저탄장에 유입되는 모든 유연탄이 거품샤워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자연발화억제제를 유연탄에 고르게 분산 및 도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포원액 형태로 조성된 자연발화억제제를 물 및 공기와 혼합하여 포 형태로 유연탄에 고르게 분산 및 도포함으로써 유연탄의 분진 비산을 방지함과 동시에 산화방지, 휘발분의 활성화 억제, 분진발생 억제, 온도상승 억제 등에 기여하고, 습도하락을 방지함에 따라 궁극적으로 저탄장 내 유연탄이 연소실로 이동하기 전까지 자연발화를 억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자연발화억제제는 산화방지제 7 ~ 13중량%, 휘발분활성화억제제 20 ~ 40중량%, 유화제 화합물 20 ~ 40중량%, 물 20 ~ 40중량%를 혼합하여 자연발화억제제를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유연탄이 공기 또는 물속의 산소흡수를 억제하여 자연발화를 억제한다. 이때, 상기 산화방지제는 자연발화억제제 전체에 대하여 7 ~ 13중량%를 혼합하는 것이 유효하고, 7중량% 미만이면 자연발화억제제의 산화안전성이 감소하며, 13중량%를 초과하면 자연발화억제제의 품질이 저하된다.
상기 휘발분활성화억제제는 유연탄 성분 중 휘발분의 활성화를 억제하여 자연발화를 억제한다. 이때, 상기 휘발분활성화억제제는 자연발화억제제 전체에 대하여 20 ~ 40중량%를 혼합하는 것이 유효하고, 20중량% 미만이면 자연발화억제제의 자연발화를 억제하는 안전성이 감소하며, 40중량%를 초과하면 자연발화억제제의 품질이 저하된다.
상기 유연탄용 자연발화억제제는 주성분인 산화방지제와 휘발분활성화억제제와 유화제 화합물을 이용하여 수용성의 포원액 형태로 조성하고, 수용성의 포원액 형태로 조성된 자연발화억제제를 비산방지제 없이 물 및 공기와 혼합하여 포 형태로 유연탄에 고르게 분산 및 도포하여 자연발화를 예방하고, 또한 유연탄의 비산을 방지한다.
상기 자연발화억제제에 포함된 유화제 화합물은 유화분산력을 높일 뿐 아니라 물의 표면장력을 감소시켜 유연탄에 대하여 포 형태로 분산 및 도포할 수 있도록 하며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유화제 화합물은 자연발화억제제 전체에 대하여 20 ~ 40중량%를 혼합하는 것이 유효하고, 20중량% 미만이면 유화분산력이 감소할 수 있고, 40중량%를 초과하면 포가 과다하게 발생되어 분산 및 도포성이 감소할 수 있고 유동점이 높아져 사용편의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연발화억제제에 포함된 유화제 화합물은 용제와 가용화제가 포함되어 있어, 점도를 낮추고 조성물 구성 성분 간의 결합력을 높이며, 또한 사용 가능 기간을 늘려주고 수분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자연발화억제제의 산화방지제는 유연탄의 산화를 방지하는 페닐린디아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자연발화억제제의 산화방지제로 사용되는 페닐린디아민은 공명에 의하여 안정화되기 때문에, 산화방지에 대한 활성이 매우 높아 특히 자연발화억제제의 산화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페닐린디아민은 자연발화억제제의 산화분해를 지연시키고, 보다 더욱 산화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제인 산화방지제 화합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자연발화억제제의 휘발분활성화억제제는 휘발분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메틸디에탄올아민(MDEA)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자연발화억제제의 휘발분활성화억제제로 사용되는 메틸디에탄올아민은 물과의 수화반응을 통해 염기촉매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메틸디에탄올아민은 열화 및 부식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높은 비점, 낮은 증기압 등의 특성상 인화점이 낮은 휘발분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휘발분활성화억제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메틸디에탄올아민(MDEA)이 주원료로 사용되면서 유동점이 자연스레 개선되어 영하 20도 이하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설비 측면에서 저장탱크에 보온설비를 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자연발화억제제의 유화제 화합물은 부틸디글리콜 25 ~ 40중량%, 글리콜에테르 2 ~ 10중량%,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3 ~ 10중량%, 카스터오일계 유화제 45 ~ 65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틸디글리콜은 우수한 유화성, 낮은 휘발성 및 높은 비점의 특성이 있어 기본적인 유화제로 사용된다. 이때, 상기 부틸디글리콜은 유화제 화합물 전체에 대하여 25 ~ 40중량%를 혼합하는 것이 유효하고, 25중량% 미만이면 유화성이 감소하며, 40중량%를 초과하면 유화제 화합물의 품질이 저하된다.
상기 글리콜에테르는 유화가 어려운 산화방지제의 유화를 위한 용매제로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이때, 상기 글리콜에테르는 유화제 화합물 전체에 대하여 2 ~ 10중량%를 혼합하는 것이 유효하고, 2중량% 미만이면 용매제의 효과가 감소하며, 10중량%를 초과하면 유화제 화합물의 품질이 저하된다.
상기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알카리계 혼합물질의 용해성과 안정성이 우수하여 계면활성제로 사용된다. 이때, 상기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유화제 화합물 전체에 대하여 3 ~ 10중량%를 혼합하는 것이 유효하고, 3중량% 미만이면 용해성과 안정성이 감소하며, 10중량%를 초과하면 유화제 화합물의 품질이 저하된다.
상기 카스터오일계 유화제는 분산성과 포생성력이 우수하여 글리콜에테르와 함께 산화방지제의 완벽한 용해를 위한 가용화제와 계면활성제로 사용된다. 이때, 상기 카스터오일계 유화제는 유화제 화합물 전체에 대하여 45 ~ 65중량%를 혼합하는 것이 유효하고, 45중량% 미만이면 분산성과 포생성력이 감소하며, 65중량%를 초과하면 유화제 화합물의 품질이 저하된다.
<자연발화억제성 평가>
본 발명에 따라 조성된 자연발화억제제 수용액의 자연발화억제성 평가를 위해 실제 사용중인 유연탄 1kg을 용기에 넣고, 자연발화억제제 수용액(4ml)을 분사한 후, 100℃까지 가열하여 휘발분이 활성화되어 발생되는 유해성 가스를 포집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상대적 비교 실험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조성된 자연발화억제제 수용액(4ml)을 분사하지 않은 상태로 유연탄 1kg을 동일한 용기에 넣고, 100℃까지 가열하여 휘발분이 활성화되어 발생되는 유해성 가스를 포집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결과 본 발명의 자연발화억제제 수용액을 분사한 유연탄은 자연발화억제제 수용액을 분사하지 않은 유연탄에 비하여 유해성 가스의 발생량이 적게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자연발화억제제가 100℃ 이하의 온도에서 휘발분의 활성화를 억제하고 산화를 방지하여 우수한 자연발화억제 특성이 구현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산화방지제와 휘발분활성화억제제와 유화제 화합물을 이용하여 수용성의 포원액 형태로 자연발화억제제를 조성하였기 때문에, 비산방지제 없이 수용성의 포원액 형태로 조성된 자연발화억제제를 물 및 공기와 혼합하여 컨베이어벨트 시스템 내에서 포 형태로 유연탄에 고르게 분산 및 도포함으로써 유연탄의 자연발화를 억제함과 동시에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자연발화억제제 수용액을 유연탄에 분산 및 도포하여 유연탄의 자연발화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자연발화로 인한 발전소 가동장애, 유연탄 낭비, 악취발생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유연탄의 자연발화를 억제함과 동시에 비산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저렴한 유연탄 사용으로 경제적이고 안전하며 친환경적으로 유연탄발전소를 운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유연탄의 자연발화를 억제할 수 있는 유연탄용 자연발화억제제를 조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은 자연발화억제제에 포함된 메틸디에탄올아민(MDEA)에 의해 자연발화억제제의 유동점도 자연스레 개선되어 영하 20도 이하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설비 측면에서 저장탱크에 보온설비를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이러한 본 발명은 유화제 화합물이 충분히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포 형태로 분사시키기 위한 비산방지제를 별도로 보유할 필요가 없으므로 설비비와 유지비 측면에서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Claims (6)

  1. 포원액 형태(Foam Concentrate)로 조성되어 물 및 공기와 함께 분사하여 포 형태(Foaming)로 유연탄에 분산 및 도포하는 자연발화억제제로서,
    상기 자연발화억제제는 산화방지제 7 ~ 13중량%, 휘발분활성화억제제 20 ~ 40중량%, 유화제 화합물 20 ~ 40중량%, 물 20 ~ 40중량%를 혼합하여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원액 형태의 다기능성 유연탄용 자연발화억제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원액 형태(Foam Concentrate)로 조성된 자연발화억제제 4중량%에 공기가 혼합된 물 96중량%를 혼합하여 포 형태로 유연탄에 분산 및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원액 형태의 다기능성 유연탄용 자연발화억제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발화억제제의 산화방지제는 페닐린디아민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원액 형태의 다기능성 유연탄용 자연발화억제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발화억제제의 휘발분활성화억제제는 메틸디에탄올아민(MDEA)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원액 형태의 다기능성 유연탄용 자연발화억제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발화억제제의 유화제 화합물은 부틸디글리콜 25 ~ 40중량%, 글리콜에테르 2 ~ 10중량%,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3 ~ 10중량%, 카스터오일계 유화제 45 ~ 65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원액 형태의 다기능성 유연탄용 자연발화억제제.
KR1020190005826A 2019-01-16 2019-01-16 포원액 형태의 다기능성 유연탄용 자연발화억제제 KR102006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826A KR102006439B1 (ko) 2019-01-16 2019-01-16 포원액 형태의 다기능성 유연탄용 자연발화억제제
CN201911241098.9A CN111440650B (zh) 2019-01-16 2019-12-06 泡沫液形态的多功能烟煤用自发燃烧抑制剂
JP2019224165A JP7197461B2 (ja) 2019-01-16 2019-12-12 泡原液形態の多機能性有煙炭用自然発火抑制剤
PCT/KR2020/000539 WO2020149584A1 (ko) 2019-01-16 2020-01-10 포원액 형태의 다기능성 유연탄용 자연발화억제제
RU2020136890A RU2768722C1 (ru) 2019-01-16 2020-01-10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е средство типа пенообразующего концентрата для подавления самовозгорания битуминозного угля
US17/051,501 US11214747B2 (en) 2019-01-16 2020-01-10 Multi-functional foam concentrate-type agent for inhibiting spontaneous ignition of soft co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826A KR102006439B1 (ko) 2019-01-16 2019-01-16 포원액 형태의 다기능성 유연탄용 자연발화억제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439B1 true KR102006439B1 (ko) 2019-08-01

Family

ID=67615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826A KR102006439B1 (ko) 2019-01-16 2019-01-16 포원액 형태의 다기능성 유연탄용 자연발화억제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14747B2 (ko)
JP (1) JP7197461B2 (ko)
KR (1) KR102006439B1 (ko)
CN (1) CN111440650B (ko)
RU (1) RU2768722C1 (ko)
WO (1) WO202014958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9584A1 (ko) * 2019-01-16 2020-07-23 주식회사 미산알앤씨 포원액 형태의 다기능성 유연탄용 자연발화억제제
KR20210073874A (ko) * 2019-12-11 2021-06-21 주식회사 포스코 분진 억제제 및 이를 이용한 분진 억제 방법
KR102672977B1 (ko) * 2021-07-09 2024-06-07 (주)미산이앤씨 집진설비의 미세 분진으로 인한 화재 폭발 방지제 및 이의 마찰 억제력을 이용한 신개념 집진설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1261A (en) * 1984-05-07 1985-11-05 Dearborn Chemical Co. Dust suppression with elastomer-containing foam
KR101047515B1 (ko) 2009-08-07 2011-07-0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저등급 석탄 개질방법 및 저등급 석탄 개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0671A (en) * 1992-09-11 1994-07-19 Pullen Erroll M Fluid, formulation and method for coal dust control
AU779148B2 (en) 1999-12-02 2005-01-06 Lion Specialty Chemicals Co., Ltd. Inhibitor for inhibiting carbonaceous powder from heating up/spontaneously igniting and method of inhibiting carbonaceous powder from heating up/spontaneously igniting
US6726849B2 (en) * 2002-02-01 2004-04-27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Method of dusting coal mine surfaces
US20050161234A1 (en) * 2004-01-27 2005-07-28 Umit Turunc Method for suppression and prevention of coal fires
JP2008535539A (ja) * 2005-03-01 2008-09-04 ソルベルグ スカンディナビア アクスイェ セルスカプ 消火泡濃縮物
CN101476479B (zh) * 2009-01-20 2011-01-05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防治矿井煤自燃的泡沫型阻化剂及其使用方法
AU2011355649C1 (en) * 2011-01-18 2015-08-13 Dsi Underground Systems, Inc. Rock dust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2719223A (zh) * 2012-06-04 2012-10-10 李东日 煤粒飞散抑制剂混合物、制备方法及使用方法
EP3004288B1 (en) * 2013-05-28 2020-02-05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Non-halogen flame retardant polymers
CN103924247B (zh) * 2014-04-12 2016-06-08 冯智勇 一种高效的燃煤锅炉缓蚀剂
RU2573493C1 (ru) * 2015-02-02 2016-01-20 Дарья Анатольевна Трубицына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возникновения эндогенных пожаров
WO2016191019A2 (en) * 2015-05-25 2016-12-01 General Electric Company Coal dust treatment methods and compositions
KR101941475B1 (ko) * 2015-09-22 2019-01-25 한국전력공사 자연발화 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 저탄장 자연발화 방지방법
DE102016213282A1 (de) * 2016-07-20 2018-01-25 Clariant Plastics & Coatings Ltd Flammschutzmittelmischungen,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CN107035398B (zh) * 2017-06-16 2019-02-12 中国矿业大学 一种防治低阶煤自燃的物理-化学复合阻化剂及其制备和使用方法
KR20190002338A (ko) * 2017-06-29 2019-01-08 주식회사 이엠코 저탄장 화재예방방법, 저탄용 조성물, 및 저탄장 화재예방제
KR102006439B1 (ko) * 2019-01-16 2019-08-01 (주)미산알앤씨 포원액 형태의 다기능성 유연탄용 자연발화억제제
CN110452713A (zh) * 2019-08-07 2019-11-15 牟涛 一种煤矿用复合泡沫胶体防灭火材料的制备方法
CN111022104A (zh) * 2020-01-15 2020-04-17 京润矿安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煤矿防灭火用泡沫界面缓释阻化剂
CN111420337A (zh) * 2020-04-01 2020-07-17 阜新工大华联科技有限公司 原位生成复合凝胶的煤炭防灭火材料及其制备和应用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1261A (en) * 1984-05-07 1985-11-05 Dearborn Chemical Co. Dust suppression with elastomer-containing foam
KR101047515B1 (ko) 2009-08-07 2011-07-0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저등급 석탄 개질방법 및 저등급 석탄 개질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9584A1 (ko) * 2019-01-16 2020-07-23 주식회사 미산알앤씨 포원액 형태의 다기능성 유연탄용 자연발화억제제
KR20210073874A (ko) * 2019-12-11 2021-06-21 주식회사 포스코 분진 억제제 및 이를 이용한 분진 억제 방법
KR102386752B1 (ko) * 2019-12-11 2022-04-13 주식회사 포스코 분진 억제제 및 이를 이용한 분진 억제 방법
KR102672977B1 (ko) * 2021-07-09 2024-06-07 (주)미산이앤씨 집진설비의 미세 분진으로 인한 화재 폭발 방지제 및 이의 마찰 억제력을 이용한 신개념 집진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9584A1 (ko) 2020-07-23
CN111440650B (zh) 2021-07-20
JP2020111724A (ja) 2020-07-27
CN111440650A (zh) 2020-07-24
RU2768722C1 (ru) 2022-03-24
US20210214631A1 (en) 2021-07-15
US11214747B2 (en) 2022-01-04
JP7197461B2 (ja)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 et al. Overview of commonly used materials for coal spontaneous combustion prevention
Jiang et al. Inhibition evaluation of ABC powder in aluminum dust explosion
KR102006439B1 (ko) 포원액 형태의 다기능성 유연탄용 자연발화억제제
ES2397160T3 (es) Producto para control de polvo y control de la congelación
US20120292551A1 (en) Aqueous composition and method for fire control
US8003001B1 (en) Easily removable breakable gel for firefighting, explosion suppression and method of use
JP2007063420A (ja) コークス製造用原料炭の嵩密度向上剤と嵩密度向上方法、並びにコークス製造方法
US9458718B2 (en) Aerated rock dust
CN115364420B (zh) 一种热气溶胶灭火剂及其制备方法
CN110960824A (zh) 一种烃类易燃液体流淌火灭火剂
US20160107015A1 (en) Fire extinguishing composition and gel-state fire extinguishing material containing the same
KR101067325B1 (ko) 먼지억제제
CN106964098A (zh) 一种复配协同型a、b、e类水系灭火剂的制备方法
CN101810918A (zh) 固溶胶型气溶胶灭火剂及其制备方法
US3548949A (en) Method for extinguishing fire
AU2005200312A1 (en) Method for suppression and prevention of coal fires
JP2018515675A (ja) 炭塵処理法及び組成物
JPH0315957B2 (ko)
JP4226173B2 (ja) 炭素質粉体の昇温・自然発火抑制剤
CA1205631A (en) Polyisobutylene-containing liquid hydrocarbon fuel mixture and its use in gas turbine aircraft
CN102814019A (zh) 一种干粉灭火剂生产工艺
KR102664166B1 (ko) 리튬이온배터리 화재 진압용 강화액 소화약제
CN106267669B (zh) 无氟及无磷水性灭火剂
JP5014866B2 (ja) 有害物質の処理方法
JP5155088B2 (ja) フロン或いはフロン類似物質を含有する合成樹脂発泡体の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