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243B1 -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243B1
KR102385243B1 KR1020200074997A KR20200074997A KR102385243B1 KR 102385243 B1 KR102385243 B1 KR 102385243B1 KR 1020200074997 A KR1020200074997 A KR 1020200074997A KR 20200074997 A KR20200074997 A KR 20200074997A KR 102385243 B1 KR102385243 B1 KR 102385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source unit
angle
housing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7111A (ko
Inventor
송진산
Original Assignee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4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243B1/ko
Publication of KR20210157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60Q1/1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teer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Position control; Position de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는, 마스트레일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캐리지 및 전조등을 구비하고, 조향 장치에 따라 주행방향이 제어되는 지게차에 있어서, 제1 방향을 따라 조명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광원부 및 제2 방향을 따라 조명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광원부를 포함하는 전조등; 상기 캐리지의 승강위치를 감지하는 캐리지 위치 감지 수단; 상기 조향 장치의 조작에 따른 조향각도를 감지하는 조향각도 감지 수단; 상기 캐리지 위치 감지 수단의 감지 결과를 통해 상기 제1 광원부의 조명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조향각도 감지 수단의 감지 결과를 통해 상기 제2 광원부의 조명 각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HEADLIGHT CONTROL DEVICE OF FOLKLIFT}
본 발명은,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조등 조사 각도를 제어 가능한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게차의 경우 부하물의 상, 하강 및 스티어링의 좌, 우 조향 동작 시 고정식 전조등은 조사각의 한계로 야간 및 실내 작업시 사각 지대가 발생하게 됨에 따라, 부하물의 상,하차 작업이 불편하고 충돌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조등의 조사 각도를 제어할 수 있는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는, 마스트레일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캐리지 및 작업자 탑승을 위한 캐빈을 구비하고, 조향 장치에 따라 주행방향이 제어되는 지게차의 전조등을 제어하는,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에 있어서 지게차에 있어서, 제1 방향을 따라 조명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광원부 및 제2 방향을 따라 조명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광원부를 포함하는 전조등; 상기 캐리지의 승강위치를 감지하는 캐리지 위치 감지 수단; 상기 조향 장치의 조작에 따른 조향각도를 감지하는 조향각도 감지 수단; 상기 캐리지 위치 감지 수단의 감지 결과를 통해 상기 제1 광원부의 조명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조향각도 감지 수단의 감지 결과를 통해 상기 제2 광원부의 조명 각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마스트레일과 대체로 평행한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마스트 레일에 대체로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캐빈의 전방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는 각각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틸팅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광원부의 조명각도를 조절하는 제1 회전각도 조절수단 및 상기 제2 광원부의 조명각도를 조절하는 제2 회전각도 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리지 위치 감지 수단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계산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회전각도 조절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조향각도 감지 수단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계산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회전각도 조절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차량의 전방의 대체로 좌측에 배치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차량의 전방의 대체로 우측에 배치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2 광원부와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2 광원부는 서로 다른 제어 신호를 통해 조명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는, 캐리지의 승강위치에 따라 조명각도 제어와 조향 각도에 따라 조명각도 제어를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에, 야간에 부하를 들고 운행 시 차량의 좌,우에 사각지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 중 차량의 충돌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이트 센서를 통해 캐리지의 높이를 측정함으로써 이물질, 또는 장애물에 의한 높이 오측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조등의 하우징은 차량에 고정되고, 하우징 내부의 광원부만 틸팅되기 때문에, 외부의 먼지 또는 습기로 인한 구동부 고장을 방지하여, 효율적이 틸팅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가 적용되는 지게차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를 측면쪽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제1 광원부의 조사 각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를 위쪽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제2 광원부의 조사 각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조향 장치의 조향에 따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의 블록도.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마스트레일과 대체로 평행한 방향을 수직 방향, 상하 방향 또는 제1 방향으로 설명할 수 있고, 마스트 레일과 대체로 수직한 방향을 수평 방향, 좌우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가 적용되는 지게차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를 측면 쪽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제1 광원부의 조사 각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를 위쪽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제2 광원부의 조사 각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조향 장치의 조향에 따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지게차는 고중량의 하물을 들어올리거나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체(1)를 구비하며, 차체(1)의 전방에는 마스트 조립체(4)가 설치된다. 마스트 조립체(4)는 마스트 레일(5)과, 마스트 레일(5)을 따라 상, 하로 승강 가능한 캐리지(6)를 갖추고 있으며, 캐리지(6)에는 실제 하물(A)을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크(6a)가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차체(1)의 상부에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캐빈(7)이 형성되어 있으며, 캐빈(7)의 전방 상측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조등(500)이 설치된다. 전조등(500)은 야간작업 시 캐리지(6)의 하물(A)을 조명하여 하물의 하역 및 운반작업을 간편하게 한다.
도 2 내지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조명등 제어장치는, 전조등(500), 캐리지 위치 감지수단(120), 조향각도 감지수단(110), 회전 각도 조절 수단 및 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조등(500)은 캐빈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광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내부에 제1 및 제2 광원부(520)가 배치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전방에는 광원부에서 조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커버 패널(56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내부에는 제1 및 제2 광원부(52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각도 조절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이 캐빈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틸팅 구동을 위한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캐빈의 전방의 대체로 좌측에 배치되는 제1 하우징과 캐빈의 전방의 대체로 우측에 배치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내부에는 각각 제1 및 제2 광원부(52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광원부는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특히 하나의 하우징 내부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광원부(510) 및 제2 광원부(52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광원부(510)는 캐리지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조명 각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1 광원부(510)는 캐리지 위치 감지수단(12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1 회전각도 조절수단(31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틸팅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 광원부(520)는 하우징의 내부에 제1 광원부(510)와 별도로 구비되어, 조향 각도에 대응되도록 좌우 방향을 따라 조명 각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2 광원부(520)는 조향각도 감지수단(11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2 회전각도 조절수단(32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틸팅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각각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틸팅 가능한 제1 및 제2 광원부(520)를 하나의 하우징 내에 구비함으로써, 야간에 하물을 들고 운행 시 차량의 좌,우에 사각지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캐리지 위치 감지수단(120)은 하물의 승강에 따른 캐리지의 높이를 감지하기 위한 높이 센서로서, 본 발명에서는 캐리지의 높이를 감지하여 제1 광원부(510)의 상하 방향 조명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캐리지 위치 감지수단(120)은 하이트 센서(height sensor,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하이트 센서는 마스트 레일의 하단부와 캐리지를 연결하는 와이어의 장력 변화를 통해 캐리지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하이트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이물질, 또는 장애물에 의한 높이 오측정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일반적으로 캐리지의 높이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지의 센서가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캐리지 위치 감지수단(120)에 의해 감지된 캐리지의 승강위치(높이)는 제어부(200)로 전달되고, 이를 통해 제어부(200)에서 제1 회전각도 조절수단(31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계산될 수 있다.
조향각도 감지수단(110)은 작업자에 의한 조향 장치의 조작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조향 각도 센서로서, 본 발명에서는 조향 장치의 조향 각도를 감지하여 제2 광원부(520)의 좌우 방향 조명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향각도 감지수단(110)은 조향 장치에 구비되어 조향 장치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앵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조향 각도를 감지할 수 있는 어떠한 공지의 센싱 수단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조향각도 감지수단(110)에 의해 감지된 조향 각도는 제어부(200)로 전달되고, 이를 통해 제어부(200)에서 제2 회전각도 조절수단(32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각도 조절수단은 제1 광원부(510)의 조명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1 회전각도 조절수단(310)과 제2 광원부(520)의 조명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2 회전각도 조절수단(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각도 조절수단(310)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회전각도 조절수단(310)은 제1 구동 모터로 설명할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 스텝 모터(step motor)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각도 조절수단(310)은 제어부(2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광원부(510)를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틸팅 시킴으로써, 캐리지의 승강 위치에 대응되도록 제1 광원부(510)의 조명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회전각도 조절수단(320)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회전각도 조절수단(320)은 제2 구동 모터로 설명할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 스위블(swivel motor)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전각도 조절수단(320)은 제어부(2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광원부(520)를 하우징의 내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틸팅 시킴으로써, 조향 각도에 대응되도록 제2 광원부(520)의 조명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200)는 제1 및 제2 회전각도 조절 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제1 및 제2 광원부(520)의 조명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 회전각도 조절수단(31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1 각도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제2 회전각도 조절수단(32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2 각도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각도 연산부는 캐리지 위치 감지수단(120)의 감지 결과가 입력되면, 입력된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제1 회전각도 조절수단(31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각도 연산부는 캐리지의 높이에 따라 기 설정된 각도값을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각도 연산부는 캐리지의 최저 높이와 최고 높이 사이에서 제1 광원부(510)의 조명각도가 비례적으로 제어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현재의 캐리지의 승강높이에 대응되는 위치를 조사할 수 있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어떠한 방법도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제2 각도 연산부는 조향각도 감지수단(110)의 감지 결과가 입력되면, 입력된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제2 회전각도 조절수단(32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각도 연산부는 조향 장치의 회전각도와 대응되는 각도로 제2 광원부(520)의 조명각도가 제어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전조등(500)이 캐빈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으로 구비되는 경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광원부(520)와 제2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광원부(520)는 서로 다른 제어 신호를 통해 조명각도가 제어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작업자가 좌측으로 조향 장치를 끝까지 조작한 경우, 좌측에 배치되는 제1 하우징 내부의 제2 광원부(520)는 조향 장치의 조향 각도에 대응되도록 좌측 방향으로 끝까지 틸팅되고, 우측에 배치되는 제2 하우징 내부의 제2 광원부(520)는 조향 장치의 조향 각도보다 일정 비율로 적은 각도로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제어부(200)는 모터 제어부(250)(200)를 통해, 상술한 제1 각도 연산부 및 제2 각도 연산부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각각 제1 및 제2 회전각도 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전조등(500) 제어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캐리지의 승강 높이가 예컨대 최저 높이처럼 전조등(500)의 설치 높이보다 낮게 위치하는 경우에는 도 3의 (c)와 같이 제1 광원부(510)의 조명각도가 하방을 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 후 캐리지의 승강 높이가 전조등(500)의 설치 높이를 지나 점차 높아져서 최고 높이와 같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1 광원부(510)의 조명각도가 도 3의 (b) 상태를 지나 도 3의 (a)와 같이 상방을 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작업자가 조향장치를 왼쪽 방향을 향하도록 조작한 경우, 제2 광원부(520)의 조명각도 역시 도 4의 (a)와 같이 조향 각도에 대응되도록 왼쪽을 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 후 작업자가 직진 방향(예컨대 도 4의 (b))을 지나 오른쪽 방향을 향하도록 조작한 경우, 제2 광원부(520)의 조명각도 역시 도 4의 (c)와 같이 조향 각도에 대응되도록 오른쪽을 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렇게 본원 발명에서는 하물(A)이 캐리지에 적재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조향 장치를 조작하는 경우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광원부(520)가 조향 각도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명각도가 조절됨으로써 지게차의 좌측 또는 우측 전방에 생길 수 있는 시야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지게차의 좌측 또는 우측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용이하게 인지하여, 작업과정에서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는, 캐리지의 승강위치에 따라 조명각도 제어와 조향 각도에 따라 조명각도 제어를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에, 야간에 부하를 들고 운행 시 차량의 좌,우에 사각지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 중 차량의 충돌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이트 센서를 통해 캐리지의 높이를 측정함으로써 이물질, 또는 장애물에 의한 높이 오측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조등(500)의 하우징은 차량에 고정되고, 하우징 내부의 광원부만 틸팅되기 때문에, 외부의 먼지 또는 습기로 인한 구동부 고장을 방지하여, 효율적이 틸팅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조향 각도 감지 수단
120: 캐리지 위치 감지 수단
200: 제어부
210: 연산부
211: 제1 각도 연산부
212: 제2 각도 연산부
250: 모터 제어부
310: 제1 회전각도 조절수단
320: 제2 회전각도 조절수단
500: 전조등
510: 제1 광원부
520: 제2 광원부
550: 하우징
560:커버패널

Claims (6)

  1. 마스트레일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캐리지 및 작업자 탑승을 위한 캐빈을 구비하고, 조향 장치에 따라 주행방향이 제어되는 지게차의 전조등을 제어하는,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에 있어서,
    제1 방향을 따라 조명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광원부 및 제2 방향을 따라 조명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광원부를 포함하는 전조등;
    상기 캐리지의 승강위치를 감지하는 캐리지 위치 감지 수단;
    상기 조향 장치의 조작에 따른 조향각도를 감지하는 조향각도 감지 수단;
    상기 캐리지 위치 감지 수단의 감지 결과를 통해 상기 제1 광원부의 조명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조향각도 감지 수단의 감지 결과를 통해 상기 제2 광원부의 조명 각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조등은,
    상기 캐빈의 전방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가 함께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가 동시에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각각 틸팅 가능하게 배치되는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마스트레일과 평행한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마스트 레일에 수직한 방향인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광원부의 조명각도를 조절하는 제1 회전각도 조절수단 및 상기 제2 광원부의 조명각도를 조절하는 제2 회전각도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리지 위치 감지 수단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계산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회전각도 조절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조향각도 감지 수단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계산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회전각도 조절수단을 제어하는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캐빈의 전방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캐빈의 전방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2 광원부와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2 광원부는 서로 다른 제어 신호를 통해 조명 각도가 조절되는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KR1020200074997A 2020-06-19 2020-06-19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KR102385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997A KR102385243B1 (ko) 2020-06-19 2020-06-19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997A KR102385243B1 (ko) 2020-06-19 2020-06-19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111A KR20210157111A (ko) 2021-12-28
KR102385243B1 true KR102385243B1 (ko) 2022-04-11

Family

ID=79178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997A KR102385243B1 (ko) 2020-06-19 2020-06-19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24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07898A1 (en) 2001-10-31 2003-06-12 Smith James E. Automatic directional control system for vehicle headlight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9850B2 (ja) * 1996-07-19 2007-05-3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用照明回路装置
KR20070068519A (ko) * 2005-12-27 2007-07-0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KR20090112165A (ko) * 2008-04-23 2009-10-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사각도 자동조절장치
KR20100010266A (ko) * 2008-07-22 2010-0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상용 차량의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07898A1 (en) 2001-10-31 2003-06-12 Smith James E. Automatic directional control system for vehicle headligh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111A (ko) 202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61916B (zh) 一种前移式叉车的自动调平装置和方法
JP6898055B1 (ja) 車両接近報知装置および該装置を備えたピッキングトラック
JP2010143506A (ja) 車両用ランプのオートレベリングシステム
KR102385243B1 (ko)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JP2021194988A (ja) 車両接近報知装置および該装置を備えたピッキングトラック
KR102018765B1 (ko) 지게차 포크 위치 검출 장치
JP6874662B2 (ja) 産業車両
JP2570824B2 (ja) 無人車の手動運転切換装置
JP7208808B2 (ja) 高所作業車
CN110177755B (zh) 叉车的照射光控制装置
JP7017293B2 (ja) 車両接近報知装置および該装置を備えたフォークリフト
CN113597588B (zh) 物体检测系统、输送台车以及物体检测装置
KR101982793B1 (ko) 지게차의 캐리지 램프 작동 조절장치
JP2023116203A (ja)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JP6699454B2 (ja) バンニング・デバンニング装置
KR20070068519A (ko) 지게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KR20220008136A (ko) 덤프트럭의 안전장치
JP5390331B2 (ja) 車両用ヘッドランプのオートレベリング装置
KR101391471B1 (ko) 지게차의 마스트 경사각 감지장치
JP2003081595A (ja) 無人フォークリフト
JP2019116745A (ja) 機械式駐車設備の搬器制御システムとそれを備えた機械式駐車設備
KR101619364B1 (ko) 크레인의 이중트리거 및 이를 이용한 크레인의 수평 조절 방법
KR102428818B1 (ko) 산업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7471926B2 (ja) 高所作業車
JP3596740B2 (ja) スタッカクレーンにおける移動体の速度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