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051B1 - 물품 반송 설비 - Google Patents
물품 반송 설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85051B1 KR102385051B1 KR1020197013190A KR20197013190A KR102385051B1 KR 102385051 B1 KR102385051 B1 KR 102385051B1 KR 1020197013190 A KR1020197013190 A KR 1020197013190A KR 20197013190 A KR20197013190 A KR 20197013190A KR 102385051 B1 KR102385051 B1 KR 1023850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
- rails
- transport
- carriage
- rail widt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 B65G17/067—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the load 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plates or platforms attached to more than one traction element
- B65G17/068—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the load 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plates or platforms attached to more than one traction element specially adapted to follow a curved pa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2—Rails or the like engaging sliding elements or rollers attached to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38—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by dumping, tripping, or releasing load carriers
- B65G47/40—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by dumping, tripping, or releasing load carriers by tilting conveyor buck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4—Devices for flexing or tilting travelling structures; Throw-off carriages
- B65G47/96—Devices for tilting links or platform
- B65G47/962—Devices for tilting links or platform tilt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conveying dir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5/00—Rails; Guard rails; Distance-keeping means for them
- E01B5/16—Distance kee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선부를 포함하는 반송 경로를 따라 물품이 반송되는 물품 반송 설비, 특히, 반송 경로를 따라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물품을 반송하는 복수의 반송 캐리지가 구비된 물품 반송 설비에 관한 것이다. 반송 경로의 곡선부 중 커브 이행 영역(40a)과 S자 커브 영역(40b)의 적어도 한쪽에, 좌우 레일(30L, 30R)끼리의 레일 폭을 변경할 수 있는 레일 폭 조절 기구(50)가 설치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송 경로를 따라 물품이 반송되는 물품 반송 설비에 관한 것이고, 특히 반송 경로를 따라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물품을 반송하는 복수의 반송 캐리지(台車)가 구비된 물품 반송 설비에 관한 것이다.
물품을 반송하기 위한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 물품의 반송 경로가 미리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그 반송 경로를 따라 레일이 설치되고, 그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반송 캐리지가 준비되는 경우가 있다. 이 복수의 반송 캐리지의 각각이 물품을 지지하면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것에 의해, 물품이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된다. 이와 같은 물품 반송 설비는, 예를 들어 공항에 있어서 승객의 짐을 항공기와 터미널 빌딩 사이에서 반송하는 것에 이용된다.
특허문헌 1에는, 줄줄이 연결된 복수의 반송 캐리지가, 루프모양으로 형성된 주행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물품 반송 설비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의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 반송 캐리지는 주행 경로를 따라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한다. 또한, 이 반송 캐리지에는, 캐리지 가로 폭방향(물품의 반송 방향에 대한 좌우 방향)으로 반송 캐리지가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체가 설치되어 있다. 이 규제체는 상하 방향의 축심 둘레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회전체(롤러)이고, 또한 반송 캐리지의 좌우(사이드)에 설치되어 있다. 이하 이 규제체를 사이드 롤러라고 부른다. 이 사이드 롤러가 주행 레일의 내측 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반송 캐리지의 좌우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고, 반송 캐리지가 반송 경로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에서는, 사이드 롤러가 레일에 충돌할 때 소음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물품 반송 설비에서는, 반송 캐리지(92)가 반송 경로 내의 곡선부를 주행할 때, 반송 캐리지(92)의 좌우에 설치된 사이드 롤러(96L, 96R)가 좌우 레일(90L, 90R)의 측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반송 캐리지(92)가 레일(90L, 90R) 사이로부터 밖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여기서, 사이드 롤러(96L, 96R)가 강한 기세로 레일(90L, 90R)에 충돌하면 소음이 발생한다. 이 소음의 크기는 사이드 롤러(96L, 96R)가 레일(90L, 90R)에 충돌할 때의 충격의 세기에 따른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반송 경로의 형상이 직선부로부터 곡선부로 변해가는 영역에 있어서는, 직선부에서는 레일(90L, 90R)로부터 조금 떨어져 있던 사이드 롤러(96L, 96R) 중, 커브의 내측(여기에서는 진행 방향에 대해서 좌측)에 배치된 사이드 롤러(96L)가 내측 레일(90L)에 대해서 접촉하게 된다. 직선부에 있어서의 사이드 롤러(96L)와 레일(90L)의 간격은 얼마 안 되기 때문에, 반송 캐리지(90)가 곡선부에 진입해서 내측의 사이드 롤러(96L)가 내측 레일(90L)에 접촉하는 시점에서는, 사이드 롤러(96L)에 큰 기세는 붙지 않고, 큰 소리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런데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사이드 롤러(96L)가 내측 레일(90L)에 접촉해 있을 때, 외측(여기에서는 진행 방향에 대해서 우측) 사이드 롤러(96R)는, 외측 레일(90R)로부터 크게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크게 떨어지는 원인은, 곡선부에 있어서는 좌우 사이드 롤러(96L, 96R)를 연결하는 선이 반송 경로의 법선에 대해서 기울어지기 때문이다. 외측 사이드 롤러(96R)가 외측 레일(90R)로부터 크게 떨어진 반송 캐리지(92)가 곡선부를 통과해서 다시 직선부로 들어갈 때는, 레일(90R)로부터 크게 떨어져 있던 사이드 롤러(96R)가 큰 기세로 레일(90R)을 향해 이동하게 되고, 레일(90R)에 충돌해서 큰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반송 캐리지(92)에 작용하는 장력의 증감에 수반해서, 곡선부 내에 있어서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반송 경로 전체에 걸쳐서 줄줄이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반송 캐리지(92)끼리 사이에 작용하는 장력(전후 반송 캐리지(92)로부터 끌어당겨지는 힘)은, 반송 경로 내의 반송 캐리지(92)의 위치 및 자세에 따라 항상 증감하고 있고(느슨해짐과 긴장을 교대로 반복하고 있고), 곡선부를 통과중인 반송 캐리지(92)에 대해서도 장력이 약해지는(느슨해지는) 순간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외측 사이드 롤러(96R)가 외측 레일(90R)로부터 크게 떨어진 자세로 되어 있는 반송 캐리지(92)에 작용하는 장력이 약해지면, 이 반송 캐리지(92)는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그러면, 외측 레일(90R)로부터 크게 떨어져 있던 외측 사이드 롤러(96R)가 큰 기세로 레일(90R)에 충돌하게 되고, 역시 큰 소음이 발생한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곡선부에 있어서 구부러짐 방향이 변화하는 영역(여기에서는 진행 방향에 대해서 왼쪽 구부러짐으로부터 오른쪽 구부러짐으로 변화하는 영역)에서도, 큰 소음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 이유는, 이 영역에서는 레일에 접촉하는 사이드 롤러의 좌우가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왼쪽 구부러짐의 곡선부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상태와 마찬가지로, 좌측 사이드 롤러(96L)가 좌측 레일(90L)에 접촉한다. 그 반면에, 오른쪽 구부러짐의 곡선부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 사이드 롤러(96R)가 우측 레일(90R)에 접촉한다. 따라서 도 10에 나타내는 영역에 있어서는, 우측 사이드 롤러(96R)가, 도 9에 나타내는 상태와 마찬가지로 우측 레일(90R)로부터 일단 크게 떨어진 후, 큰 기세로 우측 레일(90R)에 충돌해서 도 11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이 때 큰 소음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는, 반송 경로 중의 곡선부에서 사이드 롤러가 레일에 충돌하는 것에 의해서 소음이 발생한다. 반송 경로의 곡률이 완만하게 변화하도록 반송 경로의 형상이 설계되어 있으면, 사이드 롤러(96L, 96R)가 레일(90L, 90R)에 격렬하게 충돌하는 경우가 없어져 소음이 저감되지만, 그와 같은 반송 경로에서는 직선부로부터 곡선부로 바뀌어가는 영역이 길어지거나, 곡선부에 있어서 구부러짐 방향이 변화하는 영역이 길어지거나 한다. 그 때문에,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설비 내에 넓은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되고, 또한 반송 경로의 레이아웃 자유도가 한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반송 경로의 곡선부에 있어서 사이드 롤러가 레일에 충돌하는 것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반송 경로의 레이아웃 자유도가 한정되지 않는 물품 반송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는, 직선부 및 곡선부를 포함하는 반송 경로를 따라 물품이 반송되는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 상기 반송 경로를 따라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물품을 반송하는 복수의 반송 캐리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반송 캐리지의 각각은, 상기 물품을 지지하는 캐리지 본체와, 상기 레일의 상면에 지지되어 굴러가는 좌우 한 쌍의 주행 차륜과, 상기 레일의 측면을 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좌우 방향으로의 상기 캐리지 본체의 이동을 규제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롤러를 갖고 있고, 또한 상기 반송 캐리지의 각각은 자신의 전방측 및 후방측의 다른 반송 캐리지와 자유롭게 선회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반송 캐리지가 상기 반송 경로의 형상을 따라 줄줄이 연결되어 주행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반송 경로 중 상기 직선부로부터 상기 곡선부로 이행하고 상기 반송 캐리지가 상기 곡선부에 진입하는 커브 이행 영역과, 상기 곡선부에 있어서 구부러짐 방향이 변화하는 영역의 적어도 한쪽 영역에, 좌우의 상기 레일끼리의 레일 폭을 변경할 수 있는 레일 폭 조절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반송 캐리지의 사이드 롤러와 레일 사이의 간격이 커지기 쉬운 영역에 있어서 레일 폭이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레일 폭이 작아지는 것에 의해, 그 영역에 있어서의 사이드 롤러와 레일의 간격이 작아질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이드 롤러가 레일과의 사이의 큰 간격 내에서 격렬할 기세를 얻어 레일에 충돌하는 경우가 없어지고, 소음이 저감된다. 특히, 레일 폭이 충분히 작아지는 것에 의해서 사이드 롤러가 레일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으면, 사이드 롤러와 레일이 충돌하는 것에 의한 소음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레일 폭 조절 수단이, 좌측의 상기 레일과 우측의 상기 레일에 각각 고정된 좌우 한 쌍의 위치맞춤 부재끼리의 간격을 변경함으로써, 레일 폭을 변경하는 것이더라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좌우 한 쌍의 레일이 직접 움직여지는 것이 아니라, 레일에 고정된 위치맞춤 부재가 움직여지게 되므로, 반송 캐리지의 주행 차륜이 지지되는 레일 상면의 형상이나, 사이드 롤러를 향하는 레일 측면의 형상이, 레일 폭의 변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 일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좌우 한 쌍의 상기 위치맞춤 부재가, 좌우의 상기 레일을 연결하는 요크가 2분할된 것이더라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일반적인 좌우 한 쌍의 레일이 구비하고 있는 요크를 절단하는 가공을 실시하는 것만으로 위치맞춤 부재가 설치되므로, 위치맞춤 부재를 갖지 않는 레일이 이미 설비 내에 설치되어 있었다고 해도, 그 레일에 나중에 위치맞춤 부재 및 레일 폭 조절 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레일 폭 조절 수단이, 상기 레일과 상기 사이드 롤러 사이의 간격이 상기 직선부에 비해 커지는 위치의 레일 폭을 변경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레일과 사이드 롤러의 간격이 특히 커지는 위치에 있어서 레일 폭이 변경 가능하게 되므로, 소음의 저감이 효율 좋게 행해진다. 또한, 직선부로부터 곡선부로 이행하는 영역이나 구부러짐 방향이 변화하는 영역 전체에 레일 폭 조절 수단이 설치될 필요가 없고, 직선부에 비해 사이드 롤러가 레일로부터 크게 떨어지는 위치에만 레일 폭 조절 수단이 설치되면 좋으므로, 레일 폭 조절 수단의 수가 필요 최소한으로 되고, 물품 반송 설비의 구축 비용이 저감된다.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에 의하면, 레일과 사이드 롤러의 거리가 커지는 경우가 잦은 영역에서 레일 폭이 변경 가능해지기 때문에, 그 영역에 있어서 레일 폭이 작아지게 되는 것에 의해, 반송 경로 전체에 있어서 사이드 롤러가 레일로부터 크게 떨어지는 경우가 없어지고, 결과적으로 사이드 롤러가 레일에 큰 기세로 충돌하는 경우가 없어져, 소음이 저감된다. 또한, 직선부로부터 곡선부로 바뀌어가는 영역이 짧은 경우나, 곡선부에 있어서 구부러짐 방향이 변화하는 영역이 짧은 경우이더라도, 큰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이들 영역이 길게 될 필요가 없어지고, 반송 경로의 레이아웃 자유도가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 예로서의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의 반송 캐리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반송 캐리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의 반송 경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곡선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상측은 직선부로부터 곡선부로 이행하는 영역, 하측은 곡선부에 있어서 구부러짐 방향이 변화하는 영역.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캐리지 본체 및 레일 폭 조절 수단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반송 캐리지의, 직선부로부터 곡선부로 이행하는 영역에서의 자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반송 캐리지의, 곡선부에 있어서 구부러짐 방향이 변화하는 영역에서의 자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종래의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의 반송 캐리지의, 직선부로부터 곡선부로 이행하는 영역에서의 자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도 8의 확대도이고, 우측의 사이드 롤러가 우측 레일로부터 크게 떨어진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종래의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의 반송 캐리지의, 곡선부에 있어서 구부러짐 방향이 변화하는 영역에서의 자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확대도이고, 좌측 사이드 롤러가 좌측 레일로부터 크게 떨어진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반송 캐리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의 반송 경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곡선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상측은 직선부로부터 곡선부로 이행하는 영역, 하측은 곡선부에 있어서 구부러짐 방향이 변화하는 영역.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캐리지 본체 및 레일 폭 조절 수단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반송 캐리지의, 직선부로부터 곡선부로 이행하는 영역에서의 자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반송 캐리지의, 곡선부에 있어서 구부러짐 방향이 변화하는 영역에서의 자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종래의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의 반송 캐리지의, 직선부로부터 곡선부로 이행하는 영역에서의 자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도 8의 확대도이고, 우측의 사이드 롤러가 우측 레일로부터 크게 떨어진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종래의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의 반송 캐리지의, 곡선부에 있어서 구부러짐 방향이 변화하는 영역에서의 자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확대도이고, 좌측 사이드 롤러가 좌측 레일로부터 크게 떨어진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 예로서의 물품 반송 설비(10)에 있어서, 반송 경로를 따라 물품(12)을 반송하는 반송 캐리지(20)를 나타낸다. 이 물품 반송 설비(10)에 있어서는 복수의 반송 캐리지(20)가 반송 경로를 따라 직렬로 복수 배열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반송 경로를 따르는 방향을 전후 방향, 이와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 또는 폭 방향이라고 부르고, 반송 방향 W(물품(12)이 반송되어 가는 방향)로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해서, 도면 중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좌/우(FORWARD/BACKWARD/LEFT/RIGHT)의 방향을 정한다. 반송 캐리지(20)는 각각 트레이(14)를 구비하고 있고, 도시하지 않은 구동 장치에 의해서 반송 캐리지(20)가 반송 방향 W로 향하여 이동(주행)시켜지는 것에 의해, 반송 대상으로 되는 물품(12)은 트레이(14)에 얹어놓여진 상태로 반송된다.
각 반송 캐리지(20)는, 트레이(14)를 반송 방향 W에 대해서 좌우로 비스듬하게 기울일 수 있다(도 1은 왼쪽으로 비스듬하게 기울인 모습만을 나타낸다). 트레이(14)가 비스듬하게 기울여지는 것에 의해, 트레이(14)의 상면에 얹어놓여져 있는 물품(12)은, 반송 경로의 좌우에 복수 배치된 슈트(18)의 어느 것인가로 배출된다. 이들 복수의 슈트(18)는 각각 복수의 목적지의 어느 것인가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각 반송 캐리지(20)의 동작은, 트레이(14) 상의 물품(12)이 그 물품(12)과 대응하는 목적지로 연결되는 슈트(18)에 대해서 배출되도록 제어된다. 이에 의해, 각 반송 캐리지(20)는 물품(12)을 목적지로 보내줄 수 있다.
도 2는 반송 캐리지(20)를 위쪽으로부터 본 평면도를 나타낸다. 반송 캐리지(20)는 캐리지 본체(22)를 갖고 있고, 이 캐리지 본체(22)는 트레이(14)를 거쳐 도 1에 나타내는 물품(12)을 지지함과 동시에, 반송 경로를 따라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레일(30L, 30R)을 따라 이동한다. 도 2는 캐리지 본체(22)의 형상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 레일(30L, 30R) 및 트레이(14)를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캐리지 본체(22)는 그 길이방향이 반송 방향 W를 따르는 대체로 직사각형(長矩形) 평판모양의 형상으로 되어 있고, 캐리지 본체(22)의 후단(반송 방향 W를 전방으로 한 경우의 후방측 단부)은, 연결기(29)에 의해서, 다른 반송 캐리지(20)의 전방측 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반송 방향 W를 따라 전후로 늘어선(인접한) 반송 캐리지(20)끼리는, 이 연결기(29)를 중심으로 해서 서로 상하 좌우로 자유롭게 선회하도록 연결된다. 이 때문에, 반송 캐리지(20)가 반송 경로 내의 커브부나 승강부(올라가고 내려가는 부분)를 주행하는 경우에도, 그 반송 경로의 형상에 따라 복수의 반송 캐리지(20)가 줄줄이 연결되어 주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캐리지 본체(22)의 상면에는 트레이(14)의 토대로 됨과 동시에 트레이(14)를 좌우로 비스듬히 기울이는 틸팅(傾倒) 장치(도 2에는 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캐리지 본체(22)의 전방측에는, 캐리지 본체(22)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좌우 방향으로 늘어나는 아암(24)이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아암(24)을 포함하는 캐리지 본체(22)의 전체적인 형상은 T자형으로 되어 있다. 이 아암(24)의 좌우 방향 중앙에 설치된 연결부(21)가, 연결기(29)를 거쳐 전방측의 다른 반송 캐리지(20)의 후단과 연결된다. 그리고 이 아암(24)은 그 좌단과 우단에, 좌측 레일(30L)의 상면 및 우측 레일(30R)의 상면에 각각 지지되어 굴러가는 좌우 한 쌍의 주행 차륜(28)을 갖고 있다.
또한, 아암(24)은, 좌우 한 쌍의 주행 차륜(28)의 각각의 근처에,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롤러(26L, 26R)를 갖고 있다. 이들 사이드 롤러(26L, 26R)는 상하 방향(도 2의 지면을 꿰뚫는 방향)으로 향해진 회전축 둘레로 자유롭게 회전한다. 좌측 사이드 롤러(26L)는, 그 외주면이 좌측 레일(30L)의 측면을 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우측 사이드 롤러(26R)는, 그 외주면이 우측 레일(30R)의 측면을 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다만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일(30L, 30R)이 직선모양으로 연장하는 영역(직선부)에 있어서는, 사이드 롤러(26L, 26R)의 외주면은 레일(30L, 30R)에 접해 있지 않고, 사이드 롤러(26L, 26R)와 레일(30L, 30R) 사이에는 약간 간격이 있다. 반송 캐리지(20)가 좌우 방향으로의 외력을 받는 등으로 인해 반송 경로로부터 벗어나려고 했을 때는, 사이드 롤러(26L, 26R)가 레일(30L, 30R)의 측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반송 캐리지(20)가 그 이상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반송 캐리지(20)는 반송 경로 내에 머물게 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물품 반송 설비(10)에 있어서 반송 캐리지(20)가 주행하는 반송 경로를 나타낸다. 물품 반송 설비(10)에는, 반송 경로를 따라 좌측 레일(30L)과 우측 레일(30R)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좌측 레일(30L)과 우측 레일(30R) 사이가 반송 경로라고도 말할 수 있다. 또한 좌측 레일(30L)과 우측 레일(30R)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반송 경로 내의 복수 개소에 있어서, 좌우 레일(30L, 30R)이 요크(32)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반송 경로는 레일(30L, 30R)이 직선모양으로 연장하는 직선부 외에, 레일(30L, 30R)이 곡선모양으로 구부러져 있는 곡선부도 포함하고 있다. 곡선부는, 그 구부러짐 방향에 따라, 레일(30L, 30R)이 진행 방향 W에 대해서 좌측으로 구부러지는 왼쪽 구부러짐 커브와, 우측으로 구부러지는 오른쪽 구부러짐 커브로 분류할 수 있다. 이하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내는 커브 이행 영역(40a)과, S자 커브 영역(40b)에 주목한다. 커브 이행 영역(40a)은, 직선부와 왼쪽 구부러짐 커브 사이의 영역이고, 이는 직선부로부터 곡선부로 이행하는 영역의 일 예이다. S자 커브 영역(40b)은, 왼쪽 구부러짐 커브와 오른쪽 구부러짐 커브 사이의 영역이고, 이는 구부러짐 방향이 변화하는 영역의 일 예이다.
도 4의 상측은 커브 이행 영역(40a)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브 이행 영역(40a)에는, 좌우 레일(30L, 30R)끼리의 간격(레일 폭)을 변경할 수 있는 레일 폭 조절 수단으로서, 레일 폭 조절 기구(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레일 폭 조절 기구(50)는, 커브 이행 영역(40a) 내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4의 하측에 확대도가 나타내져 있는 S자 커브 영역(40b)에도, 레일 폭 조절 기구(50)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일 폭 조절 기구(50)는, 좌우 레일(30L, 30R)을 연결하는 요크(32)가 좌우로 2분할된 분할 요크(34L, 34R)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우 레일(30L, 30R)은 각각, 반송 경로 전체에 걸쳐서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가 아니라, 복수의 레일 부재가 전후에 접속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일 부재끼리는 접속 볼트(33)에 의해서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후방측 레일 부재의 전단에 설치된 요크(32)의 전방측 면과, 전방측 레일 부재의 후단에 설치된 요크(32)의 후방측 면이 접촉시켜져, 이들 요크(32)끼리가 접속 볼트(33)로 접속되는 것에 의해, 각 레일 부재가 전후에 접속된다.
도 5는, 반송 캐리지(20), 레일(30L, 30R), 및 레일 폭 조절 기구(50)를 전방측으로부터 본 정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전방측으로부터 본 도면이기 때문에, 도 5에 있어서는 「L」의 부호가 붙여진 구성요소가 도면 중 우측에 위치하고, 「R」의 부호가 붙여진 구성요소가 도면 중 좌측에 위치해 있다. 좌우 레일(30L, 30R)은 각각, 단면이 대체로 E자 모양으로 되도록 접어구부려진 판모양의 부재로 만들어져 있다. 다시 말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레일(30L, 30R)을 구성하는 판모양의 부재는, 그 하단이 도면 중 좌우 방향 내측으로 접어구부려져 있고, 또한 상하단 사이의 개소도 좌우 방향 내측으로 접어구부려져 중간단이 형성되어 있다. 이 중간단의 상면이, 주행 차륜(28)을 지지하는 주행면(38)으로 된다. 그리고 중간단의 측면이, 사이드 롤러(26L, 26R)의 외주면을 향하는 레일 측면(36)으로 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레일(30L, 30R)은 요크(32)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내는 레일 폭 조절 기구(50)가 설치된 위치에 있어서는, 요크(32)가 좌우로 분할되어, 좌측 분할 요크(34L) 및 우측 분할 요크(34R)로 되어 있다. 이들 좌우 분할 요크(34L, 34R)는, 각각 좌우 레일(30L, 30R)에 대해서 도면 중 좌우 방향 외측으로부터 끼워맞춰져 있다. 또한, 좌우 분할 요크(34L, 34R)는 도시하지 않은 볼트 등에 의해 각각 좌우 레일(30L, 30R)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들 좌우 분할 요크(34L, 34R)끼리의 간격이 변경되면, 레일(30L, 30R)끼리의 간격(레일 폭)도 변경된다. 다시 말해, 좌우 분할 요크(34L, 34R)가, 좌우 레일(30L, 30R)에 각각 고정된 좌우 한 쌍의 위치맞춤 부재로서 기능한다.
좌우 분할 요크(34L, 34R)끼리의 간격을 변경하기 쉽게 하기 위해, 도 5에 나타내는 레일 폭 조절 기구(50)에는, 좌우 블록(52L, 52R) 및 양나사 볼트(54)가 구비되어 있다. 블록(52L, 52R)은 사각형모양(矩形狀)의 부재이고, 좌측 블록(52L)은 용접이나 볼트 등에 의해서 좌측 분할 요크(34L)에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우측 블록(52R)은 우측 분할 요크(34R)에 고정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블록(52L, 52R)은 각각 좌우 분할 요크(34L, 34R)의 전방측 면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 블록(52L, 52R) 사이에는 양나사 볼트(54)가 배치되어 있다. 이 양나사 볼트(54)는 장척(長尺)의 막대모양 부재이고, 그 양단이 좌우 블록(52L, 52R)의 각각에 비틀어 박혀진다. 도 5에서는 블록(52L, 52R)의 일부가 가상적으로 파단되어 블록(52L, 52R)의 내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5가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양나사 볼트(54)는 그 양단에, 서로 감기 방향이 다른 나사골이 형성되어 있다(도 5에서는 도면 중 우측이 오른쪽 나사, 좌측이 왼쪽 나사). 이 때문에, 작업자가 양나사 볼트(54)를 축 둘레로 회전시키면, 양나사 볼트(54)의 양단이 각각 비틀어 박혀 있는 좌우의 블록(52L, 52R)끼리의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아지거나 한다. 그러면, 좌우의 블록(52L, 52R)이 고정되어 있는 좌우 분할 요크(34L, 34R)끼리의 간격이 변경되게 되고, 이에 수반해서 좌우 레일(30L, 30R)의 레일 폭도 변경된다. 이와 같이, 도 5에 나타내는 레일 폭 조절 기구(50)는, 양나사 볼트(54)의 회전에 의해서 레일(30L, 30R)의 레일 폭을 변경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일 폭 조절 기구(50)는 커브 이행 영역(40a)이나 S자 커브 영역(40b)에 설치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이들 영역에 있어서 좌우 사이드 롤러(26L, 26R)의 어느 쪽인가가 레일(30L, 30R)로부터 크게 떨어지게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레일 폭 조절 기구(5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레일 폭 조절 기구(50)에 의해서 레일(30L, 30R)끼리의 간격이 변경되어, 레일 폭이 좁아진 경우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사이드 롤러(26L, 26R)의 어느 쪽도, 레일(30L, 30R)로부터 떨어져 있지 않은 상태로 된다.
도 6은, 도 4 상측의 커브 이행 영역(40a)에서의 레일 폭이 레일 폭 조절 기구(50)에 의해서 좁게 변경된 경우에, 복수의 반송 캐리지(20)가 커브 이행 영역(40a) 내에서 어떠한 자세로 되는지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좌우 레일(30L, 30R)끼리의 레일 폭이 좁아진 것에 의해, 도 8, 도 9에 나타내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이 영역 내의 복수의 반송 캐리지(20)는 어느 것이나, 좌우 사이드 롤러(26L, 26R)가 좌우 레일(30L, 30R)로부터 떨어져 있지 않은 자세로 되어 있다. 특히, 커브의 외측(여기에서는 우측) 사이드 롤러(26R)가, 외측 레일(30R)로부터 떨어져 있지 않다.
도 8, 도 9에 나타내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은, 외측 사이드 롤러(96R)가 외측 레일(90R)로부터 일단 크게 떨어진 후, 레일(90R)에 다시 접촉할 때까지의 동안에 사이드 롤러(96R)가 레일(90R)로부터의 큰 간격 내에서 큰 기세를 얻어 레일(90R)에 충돌하는 것이 원인이다. 이에 반해, 도 6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측 사이드 롤러(26R)가, 외측 레일(30R)로부터 크게 떨어지는 경우가 없으므로, 사이드 롤러(26R)가 레일(30R)에 대해서 큰 기세로 충돌하는 일도 없고, 직선부로부터 곡선부로 이행하는 영역에서의 소음 발생이 방지된다.
본 실시형태의 레일 폭 조절 기구(50)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곡선부에 있어서 구부러짐 방향이 변화하는 영역에 있어서도 소음 발생이 방지된다. 도 7은, 도 4 하측의 S자 커브 영역(40b)에서의 레일 폭이 레일 폭 조절 기구(50)에 의해서 좁게 변경된 경우에, 복수의 반송 캐리지(20)가 S자 커브 영역(40b) 내에서 어떠한 자세로 되는지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좌우 레일(30L, 30R)끼리의 레일 폭이 좁아진 것에 의해,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이 영역 내의 복수의 반송 캐리지(20)는 어느 것이나, 좌우 사이드 롤러(26L, 26R)가 좌우 레일(30L, 30R)로부터 떨어져 있지 않은 자세로 되어 있다. 즉, 왼쪽 구부러짐 커브에 있어서 우측 사이드 롤러(26R)가 우측 레일(30R)로부터 떨어져 있지 않고, 오른쪽 구부러짐 커브에 있어서 좌측 사이드 롤러(26L)가 좌측 레일(30L)로부터 떨어져 있지 않다. 따라서 도 7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우 사이드 롤러(26L, 26R)가 좌우 레일(30L, 30R)로부터 크게 떨어지는 경우가 없으므로, 사이드 롤러(26L, 26R)가 레일(30L, 30R)에 대해서 큰 기세로 충돌하는 일도 없고, 곡선부에 있어서 구부러짐 방향이 변화하는 영역에서의 소음 발생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물품 반송 설비(10)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브 이행 영역(40a)(직선부로부터 곡선부로 이행하는 영역)이나 S자 커브 영역(40b)(곡선부에 있어서 구부러짐 방향이 변화하는 영역)에 레일 폭 조절 기구(5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라면 사이드 롤러(26L, 26R)가 레일(30L, 30R)로부터 크게 떨어지는 경우가 있는 이들 영역에 있어서, 레일 폭이 좁혀지는 것에 의해, 도 6,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롤러(26L, 26R)가 레일(30L, 30R)로부터 크게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 때문에, 사이드 롤러(26L, 26R)가 큰 기세로 레일(30L, 30R)에 충돌하는 것도 방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물품 반송 설비(10)에서는, 반송 경로의 곡선부에 있어서 소음이 발생할 가능성이 저감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커브 이행 영역(40a) 및 S자 커브 영역(40b)은 매우 짧은 영역이기 때문에, 반송 경로의 곡률이 이 영역 내에서 크게 변화하지만, 레일 폭 조절 기구(5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 롤러(26L, 26R)가 레일(30L, 30R)에 충돌하는 것에 의한 소음은 방지된다. 그 때문에, 설비의 설계자가 반송 경로를 설계할 때, 커브 이행 영역(40a)이나 S자 커브 영역(40b)을 짧은 영역으로 하는 레이아웃이 채용 가능해지고, 반송 경로의 레이아웃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크(32)가 2분할된 분할 요크(34L, 34R)끼리의 간격이 변경되는 것에 의해 레일 폭이 조절되도록 되어 있지만, 레일 폭 조절 기구(5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요크(32)와는 다른 위치에서 레일(30L, 30R)에 금속 플레이트 등의 위치맞춤 부재가 고정되어 있고, 그 위치맞춤 부재끼리의 간격이 변경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임의의 위치에 레일 폭 조절 기구(50)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레일(30L, 30R)에 직접 양나사 볼트(54)가 비틀어 박혀지는 등으로 인해, 레일(30L, 30R) 자체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브 이행 영역(40a) 및 S자 커브 영역(40b) 중 요크(32)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 레일 폭 조절 기구(50)가 설치되어 있지만, 임의의 위치에 레일 폭 조절 기구(50)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반송 경로 전체에 걸쳐서 레일 폭이 일정하다고 가정된 경우에 사이드 롤러(26L, 26R)가 레일(30L, 30R)로부터 크게 떨어지게 되는 위치에서의 레일 폭을 변경할 수 있을 것 같은 위치에 레일 폭 조절 기구(5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설비의 설계자가, 레일 폭이 직선부라도 곡선부라도 일정하다고 가정한 다음에 반송 캐리지(20)의 주행 궤적에 대해서 시뮬레이션을 행하고, 그 시뮬레이션에 의해서 예측되는 사이드 롤러(26L, 26R)의 궤적을 조사하면, 반송 경로 중 어느 위치에 있어서 사이드 롤러(26L, 26R)가 레일(30L, 30R)로부터 크게 떨어지는지를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드 롤러(26L, 26R)가 레일(30L, 30R)로부터 크게 떨어지는 위치, 즉 레일(30L, 30R)과 사이드 롤러(26L, 26R)의 간격이 직선부에 비해 커지는 위치에 있어서 레일 폭이 좁아지는 것이 가능하면, 사이드 롤러(26L, 26R)가 레일(30L, 30R)로부터 크게 떨어지는 경우가 없어지므로, 결과적으로 소음의 방지가 가능해진다. 여기서, 레일(30L, 30R)에 대해서 사이드 롤러(26L, 26R)가 어느 정도의 간격만큼 떨어지는지도 시뮬레이션에 의해 예측할 수 있는 경우는, 레일 폭 조절 기구(50)에 의해서, 예측되는 간격 분만큼 레일 폭을 좁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미 복잡한 형상의 레일(30L, 30R)이 설치되어 있는 설비에 있어서 시뮬레이션이 어려운 경우에는, 실제로 설계자가 반송 캐리지(20)를 레일(30L, 30R)을 따라 주행시켜 보고, 어느 위치에서 소음이 발생하는지를 조사한 다음에, 그 위치에서의 레일 폭을 변경할 수 있도록 레일 폭 조절 기구(50)를 설치하면 좋다. 또한, 사이드 롤러(26L, 26R)가 레일(30L, 30R)로부터 크게 떨어지는 위치와 완전히 동일한 위치에 레일 폭 조절 기구(50)가 설치될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어떤 지점에서의 레일 폭이 변경되면, 그 전후의 지점에서의 레일 폭도 그에 수반하여 변경되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사이드 롤러(26L, 26R)가 레일(30L, 30R)로부터 크게 떨어지는 위치와 완전히 동일한 위치에 레일 폭 조절 기구(50)를 설치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는, 간접적으로 그 위치에서의 레일 폭이 변경 가능해지도록, 그 위치로부터 조금 떨어진 위치에 레일 폭 조절 기구(50)가 설치되면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레일 폭을 변경하기 위한 레일 폭 조절 수단으로서, 작업자가 양나사 볼트(54)를 회전시키는 레일 폭 조절 기구(50)가 이용되고 있지만, 레일 폭 조절 수단은, 이와 같이 수작업으로 레일 폭을 변경하는 레일 폭 조절 기구(5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양나사 볼트(54)를 모터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전동으로 조작 가능한 레일 폭 조절 장치가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물품 반송 설비(10)에서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리지 본체(22)가 트레이(14)를 거쳐 물품(12)을 지지하면서 주행하도록 되어 있지만, 물품(12)이 캐리지 본체(22) 위에 직접 지지되어 반송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반송 캐리지(20)에 트레이(14)가 구비되어 있고, 이 트레이(14)가 비스듬하게 기울여지는 것에 의해서 물품(12)이 슈트(18)에 배출되도록 되어 있지만, 물품(12)을 슈트(18)에 배출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반송 캐리지(20)의 상면에, 반송 방향 W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물품(12)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벨트 컨베이어나 롤러 컨베이어가, 트레이(14) 대신에 설치되어 있어, 반송 캐리지(20)가 목적으로 하는 슈트(18)에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그 상면의 벨트 컨베이어나 롤러 컨베이어가 구동되는 것에 의해, 물품(12)이 슈트(18)에 배출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10: 물품 반송 설비
20: 반송 캐리지
26L: 사이드 롤러
26R: 사이드 롤러
30L: 레일
30R: 레일
32: 요크
34L: 분할 요크
34R: 분할 요크
50: 레일 폭 조절 수단
20: 반송 캐리지
26L: 사이드 롤러
26R: 사이드 롤러
30L: 레일
30R: 레일
32: 요크
34L: 분할 요크
34R: 분할 요크
50: 레일 폭 조절 수단
Claims (4)
- 직선부 및 곡선부를 포함하는 반송 경로를 따라 물품이 반송되는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
상기 반송 경로를 따라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물품을 반송하는 복수의 반송 캐리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반송 캐리지의 각각은, 상기 물품을 지지하는 캐리지 본체와, 상기 레일의 상면에 지지되어 굴러가는 좌우 한 쌍의 주행 차륜과, 상기 레일의 측면을 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좌우 방향으로의 상기 캐리지 본체의 이동을 규제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롤러를 갖고 있고, 또한 상기 반송 캐리지의 각각은 자신의 전방측 및 후방측의 다른 반송 캐리지와 자유롭게 선회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반송 캐리지가 상기 반송 경로의 형상을 따라 줄줄이 연결되어 주행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반송 경로 중 상기 직선부로부터 상기 곡선부로 이행하고 상기 반송 캐리지가 상기 곡선부에 진입하는 커브 이행 영역과, 상기 곡선부에 있어서 구부러짐 방향이 변화하는 영역의 적어도 한쪽 영역에, 좌우의 상기 레일끼리의 레일 폭을 변경할 수 있는 레일 폭 조절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설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폭 조절 수단이, 좌측의 상기 레일과 우측의 상기 레일에 각각 고정된 좌우 한 쌍의 위치맞춤 부재끼리의 간격을 변경함으로써, 레일 폭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설비. - 제 2 항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상기 위치맞춤 부재가, 좌우의 상기 레일을 연결하는 요크가 2분할된 것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설비.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폭 조절 수단이, 상기 레일과 상기 사이드 롤러 사이의 간격이 상기 직선부에 비해 커지는 위치의 레일 폭을 변경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6-221090 | 2016-11-14 | ||
JP2016221090A JP6848373B2 (ja) | 2016-11-14 | 2016-11-14 | 物品搬送設備 |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7392A KR20190077392A (ko) | 2019-07-03 |
KR102385051B1 true KR102385051B1 (ko) | 2022-04-12 |
KR102385051B9 KR102385051B9 (ko) | 2022-04-22 |
Family
ID=62110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13190A KR102385051B1 (ko) | 2016-11-14 | 2017-09-07 | 물품 반송 설비 |
Country Status (12)
Country | Link |
---|---|
US (1) | US10669104B2 (ko) |
EP (1) | EP3539909A4 (ko) |
JP (1) | JP6848373B2 (ko) |
KR (1) | KR102385051B1 (ko) |
CN (1) | CN109923050B (ko) |
AU (1) | AU2017358776B2 (ko) |
CA (1) | CA3040819A1 (ko) |
MY (1) | MY195603A (ko) |
RU (1) | RU2738032C1 (ko) |
SG (1) | SG11201903652TA (ko) |
TW (1) | TWI717549B (ko) |
WO (1) | WO201808801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040487B2 (ja) * | 2019-03-20 | 2022-03-23 | 株式会社ダイフク | 物品搬送設備 |
CN110250255B (zh) * | 2019-07-23 | 2024-02-27 | 湖州弘鑫生态农业科技有限公司 | 一种立体智能化分鱼机 |
IT201900017438A1 (it) * | 2019-09-27 | 2021-03-27 | Ocm S P A | Sistema di trasporto |
CN115744110A (zh) * | 2022-11-26 | 2023-03-07 | 浙江名创光电科技有限公司 | 一种自适应输送机构及具有该输送机构的分拣机 |
WO2024185756A1 (ja) * | 2023-03-06 | 2024-09-12 | Thk株式会社 | スペーサ及びプログラム |
WO2024185755A1 (ja) * | 2023-03-06 | 2024-09-12 | Thk株式会社 | ガイドレール、スペーサ及びプログラム |
CN117184849B (zh) * | 2023-11-01 | 2024-01-02 | 澳亚新兰(江苏)火锅食品有限公司 | 一种牛肉加工高效中转车架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222911A (ja) | 2009-03-25 | 2010-10-07 | Ihi Corp | 側方案内式案内軌条調節装置 |
JP2014198620A (ja) | 2013-03-29 | 2014-10-23 | 株式会社ダイフク | 物品搬送設備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79964A (en) * | 1904-03-07 | 1905-01-10 | Jarvis W Porter | Railroad-track. |
US1003330A (en) * | 1911-06-30 | 1911-09-12 | Stephen Bzsan | Tie-rod for the rails of a track. |
US3706371A (en) | 1970-12-16 | 1972-12-19 | Itaru Hirota | A friction reduced conveying apparatus of helical chain conveyor type |
JPH0483003A (ja) * | 1990-07-25 | 1992-03-17 | Murata Mach Ltd | 走行レール |
JPH05311601A (ja) * | 1992-05-13 | 1993-11-22 | Fujita Corp | レール敷設用金物 |
US5823316A (en) * | 1995-10-04 | 1998-10-20 | Motorola, Inc. | Method for automatic conveyor width adjustment |
JP2001193003A (ja) * | 2000-01-12 | 2001-07-17 | Kubota Corp | まくらぎ |
US6378695B1 (en) * | 2000-09-15 | 2002-04-30 | Rhett L. Rinne | Conveyor apparatus with adjustable guide rails |
CN2712610Y (zh) * | 2004-04-22 | 2005-07-27 | 全冠(福建)机械工业有限公司 | 输送路径的调整装置 |
JP5070257B2 (ja) * | 2009-07-31 | 2012-11-07 | 株式会社石野製作所 | 飲食物搬送装置 |
KR101407414B1 (ko) * | 2011-12-20 | 2014-06-19 |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 마스크 공급시스템 |
WO2015193907A1 (en) * | 2014-06-19 | 2015-12-23 | Lakhotia Aswini | A flexible element for a conveyor system |
US10532895B1 (en) * | 2018-08-20 | 2020-01-14 | Intelligrated Headquarters, Llc | Cart coupling assembly |
-
2016
- 2016-11-14 JP JP2016221090A patent/JP6848373B2/ja active Active
-
2017
- 2017-08-28 TW TW106129144A patent/TWI717549B/zh active
- 2017-09-07 EP EP17869157.2A patent/EP3539909A4/en active Pending
- 2017-09-07 WO PCT/JP2017/032353 patent/WO2018088012A1/ja unknown
- 2017-09-07 AU AU2017358776A patent/AU2017358776B2/en active Active
- 2017-09-07 SG SG11201903652TA patent/SG11201903652TA/en unknown
- 2017-09-07 CA CA3040819A patent/CA3040819A1/en active Pending
- 2017-09-07 US US16/346,169 patent/US10669104B2/en active Active
- 2017-09-07 CN CN201780066171.6A patent/CN109923050B/zh active Active
- 2017-09-07 RU RU2019117777A patent/RU2738032C1/ru active
- 2017-09-07 KR KR1020197013190A patent/KR10238505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9-07 MY MYPI2019002564A patent/MY195603A/en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222911A (ja) | 2009-03-25 | 2010-10-07 | Ihi Corp | 側方案内式案内軌条調節装置 |
JP2014198620A (ja) | 2013-03-29 | 2014-10-23 | 株式会社ダイフク | 物品搬送設備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717549B (zh) | 2021-02-01 |
RU2738032C1 (ru) | 2020-12-07 |
AU2017358776B2 (en) | 2023-06-22 |
SG11201903652TA (en) | 2019-05-30 |
KR102385051B9 (ko) | 2022-04-22 |
US10669104B2 (en) | 2020-06-02 |
NZ753462A (en) | 2021-06-25 |
MY195603A (en) | 2023-02-02 |
WO2018088012A1 (ja) | 2018-05-17 |
EP3539909A1 (en) | 2019-09-18 |
JP6848373B2 (ja) | 2021-03-24 |
CA3040819A1 (en) | 2018-05-17 |
TW201819268A (zh) | 2018-06-01 |
JP2018079989A (ja) | 2018-05-24 |
US20190263597A1 (en) | 2019-08-29 |
KR20190077392A (ko) | 2019-07-03 |
AU2017358776A1 (en) | 2019-05-02 |
CN109923050A (zh) | 2019-06-21 |
CN109923050B (zh) | 2023-06-20 |
EP3539909A4 (en) | 2019-1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85051B1 (ko) | 물품 반송 설비 | |
JP5310784B2 (ja) | 有軌道台車システム | |
JP6743750B2 (ja) | 物品搬送設備 | |
KR102332340B1 (ko) | 물품 반송 설비 | |
CN111591695B (zh) | 吊顶输送车 | |
JP5024631B2 (ja) | 仕分け設備 | |
KR101407417B1 (ko) | 반송 시스템 | |
JPH05286554A (ja) | 搬送装置 | |
JP2002087251A (ja) | 搬送設備 | |
KR20210105806A (ko) | 반송 장치 | |
JP2001199514A (ja) | トレー式物品搬送装置 | |
JP5542997B1 (ja) | 搬送装置 | |
JP4039328B2 (ja) | 摩擦駆動搬送装置 | |
KR20220054296A (ko) | 분기 설비 | |
JP2003212113A (ja) | 無人搬送車システム | |
NZ753462B2 (en) | Goods transport facility | |
JP3622953B2 (ja) | トレー式物品搬送装置のリンクフレーム連結機構 | |
JP2002321810A (ja) | キャリッジ走行型搬送装置、及び、その継ぎ目レール | |
JP7178922B2 (ja) | 据付の手間を低減する乗客コンベア | |
JP2002326712A (ja) | 三次元の搬送軌道を走行可能なトレー式搬送装置 | |
JP6206702B2 (ja) | 搬送装置 | |
JPH074436U (ja) | 仕分装置 | |
JPH10338329A (ja) | コンベ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