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545B1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545B1
KR102384545B1 KR1020170095400A KR20170095400A KR102384545B1 KR 102384545 B1 KR102384545 B1 KR 102384545B1 KR 1020170095400 A KR1020170095400 A KR 1020170095400A KR 20170095400 A KR20170095400 A KR 20170095400A KR 102384545 B1 KR102384545 B1 KR 102384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blocking edge
micro
light
len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2438A (ko
Inventor
김종운
최낙정
김형도
신기해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5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545B1/ko
Publication of KR20190012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 F21V5/0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using micro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불필요한 방향으로 광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된 광이 입사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입사 렌즈를 포함하는 제1 렌즈부,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입사 렌즈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출사 렌즈를 포함하는 제2 렌즈부, 및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출사 렌즈 각각으로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되도록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출사 렌즈 각각의 후방측 초점에 상측단이 위치하여 빔 패턴의 컷 오프 라인을 형성하는 복수의 쉴드를 포함하는 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쉴드 각각은, 상기 컷 오프 라인 중 주행 차선에 대응되는 구간을 형성하는 제1 차단 에지, 및 상기 컷 오프 라인 중 대향 차선에 대응되는 구간을 형성하는 제2 차단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차단 에지 중 적어도 일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쉴드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불필요한 방향으로 광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고,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최근에는 상대적으로 짧은 초점 거리를 가지는 마이크로 렌즈를 사용하여 차량용 램프의 사이즈를 줄이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차량용 램프 중 야간 주행 시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과 같은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하는 헤드 램프는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로우 빔 패턴은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 등과 같은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소정 형상의 컷 오프 라인을 가지게 된다.
이때, 불필요한 방향으로 광이 조사되어 컷 오프 라인의 상측으로 광이 조사되는 경우에는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어 차량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방향으로 광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2522호 (2013.01.08)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빔 패턴의 컷 오프 라인 상측으로 광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된 광이 입사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입사 렌즈를 포함하는 제1 렌즈부,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입사 렌즈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출사 렌즈를 포함하는 제2 렌즈부, 및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출사 렌즈 각각으로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되도록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출사 렌즈 각각의 후방측 초점에 상측단이 위치하여 빔 패턴의 컷 오프 라인을 형성하는 복수의 쉴드를 포함하는 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쉴드 각각은, 상기 컷 오프 라인 중 주행 차선에 대응되는 구간을 형성하는 제1 차단 에지, 및 상기 컷 오프 라인 중 대향 차선에 대응되는 구간을 형성하는 제2 차단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차단 에지 중 적어도 일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쉴드가 형성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쉴드에 의해 광이 충분히 차단되지 않아 빔 패턴의 컷 오프 라인의 상측으로 광이 조사되는 것이 방지되어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쉴드부 및 제2 렌즈부가 도시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쉴드가 도시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쉴드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쉴드가 도시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쉴드가 도시된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쉴드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측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광원부(100), 제1 렌즈부(200), 제2 렌즈부(300) 및 쉴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는 차량이 야간이나 터널 등과 같은 어두운 장소를 주행하는 경우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여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헤드 램프뿐만 아니라,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포그 램프, 포지션 램프, 턴 시그널 램프, 주간 주행 램프, 백업 램프 등과 같이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램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램프(1)가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 등과 같은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소정의 컷 오프 라인을 가지는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둘 이상의 빔 패턴을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다.
광원부(100)는 광원(110) 및 광 안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원(110)은 LED 등과 같은 반도체 발광 소자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원(110)은 반도체 발광 소자뿐만 아니라, 벌브(Bulb)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광원이 사용될 수 있으며, 광원(110)의 종류에 따라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제1 렌즈부(200)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 등과 같은 구성 요소가 추가로 사용될 수도 있다.
광 안내부(120)는 광원(110)으로부터 소정의 광 조사각으로 발생되는 광을 광원(110)의 광축과 평행하도록 광 경로를 조정하여 제1 렌즈부(20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광원(110)의 광축은 광원(110)의 발광면의 중심을 수직하게 지나는 선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광원부(100)의 광축은 광원(110)의 광축으로 이해될 수 있다.
광 안내부(120)는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가능한 한 제1 렌즈부(200)로 입사되도록 하여 광 손실은 줄이는 역할과 더불어 제1 렌즈부(200)로 입사되는 광이 광원(110)의 광축과 평행하도록 광 경로를 조정하여 제1 렌즈부(200)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광이 입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 안내부(120)로서 여러 개의 고리 모양의 렌즈로 구성되는 프레넬 렌즈가 사용되어 두께를 줄이면서도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광 경로를 광원(110)의 광축에 평행하도록 조정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콜리메이터 렌즈 등과 같이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광 경로를 조정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렌즈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렌즈부(200)는 광원부(100)로부터 발생된 광이 입사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입사 렌즈(2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마이크로 입사 렌즈(210)의 입사면이 모여 제1 렌즈부(200)의 입사면을 형성하고, 복수의 마이크로 입사 렌즈(210)의 출사면이 모여 제1 렌즈부(200)의 출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마이크로 입사 렌즈(210)는 광이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광 가이드(220) 중 광원부(100)를 향하는 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제1 광 가이드(220)는 제1 렌즈부(200) 및 제2 렌즈부(300)를 일체로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렌즈부(200) 및 제2 렌즈부(300)가 각각 별도로 위치되는 경우 제1 광 가이드(22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마이크로 입사 렌즈(210) 각각은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반원통 형상의 렌티큘러 렌즈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복수의 마이크로 입사 렌즈(210)는 렌트큘러 렌즈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2 렌즈부(300)는 복수의 마이크로 출사 렌즈(3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마이크로 출사 렌즈(310)의 입사면이 모여 제2 렌즈부(300)의 입사면을 형성하고, 복수의 마이크로 출사 렌즈(310)의 출사면이 모여 제2 렌즈부(300)의 출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마이크로 출사 렌즈(310)는 광이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광 가이드(320) 중 광이 출사되는 면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전술한 제1 렌즈부(200)와 유사한 이유로 제2 광 투과부(320)는 생략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마이크로 입사 렌즈(210) 각각이 렌티큘러 렌즈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므로, 복수의 마이크로 입사 렌즈(21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출사된 광은 복수의 마이크로 출사 렌즈(310) 중 렌티큘러 렌즈의 연장 방향으로 배열되는 여러 개의 마이크로 출사 렌즈로 입사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마이크로 입사 렌즈(210)의 형상에 따라 복수의 마이크로 입사 렌즈(210) 각각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복수의 마이크로 출사 렌즈(310) 각각으로 입사될 수도 있다.
쉴드부(400)는 제1 렌즈부(200) 및 제2 렌즈부(300) 사이에 위치하여 제1 렌즈부(200)로부터 제2 렌즈부(300)로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시킴으로써,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P)의 컷 오프 라인(C)을 형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램프(1)가 헤드 램프로서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므로, 쉴드부(400)는 경사 구간(C1), 제1 구간(C2) 및 제2 구간(C3)을 포함하는 컷 오프 라인(C)을 가지는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구간(C2)은 컷 오프 라인(C) 중 주행 차선에 대응되는 구간이고, 제2 구간(C3)은 컷 오프 라인(C) 중 대향 차선에 대응되는 구간으로서, 제2 구간(C3)은 대향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H-H선 하측에 형성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쉴드부(400)가 경사 구간(C1)을 기준으로 제1 구간(C2) 및 제2 구간(C3)이 단차를 가지도록 제1 구간(C2)이 제2 구간(C3)에 비하여 상측에 위치하는 형상의 컷 오프 라인(C)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컷 오프 라인(C)의 형상은 지역이나 국가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컷 오프 라인(C)은 제1 구간(C2) 및 제2 구간(C3)이 형성되는 높이가 동일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경사 구간(C1)은 생략될 수 있고,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제1 구간(C2) 및 제2 구간(C3)은 H-H선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의 빔 패턴(P)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로부터 차량 전방의 소정 거리에 위치하는 스크린 상에 광이 조사되어 형성되는 빔 패턴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쉴드부(400)는 복수의 마이크로 출사 렌즈(310) 각각으로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복수의 쉴드(4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마이크로 출사 렌즈(310)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합쳐져 전술한 도 6과 같은 빔 패턴(P)을 형성하게 된다.
복수의 쉴드(410) 각각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을 가지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단이 광원부(100)의 광축에 수직하게 위치하게 된다.
또한, 복수의 쉴드(410) 각각은 상측단이 복수의 마이크로 출사 렌즈(310) 각각의 후방측 초점에 위치하여 복수의 마이크로 출사 렌즈(310) 각각으로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전술한 도 6과 같은 빔 패턴(P)의 컷 오프 라인(C)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마이크로 입사 렌즈(210) 각각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렌티큘러 렌즈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므로, 복수의 쉴드(410) 중 복수의 마이크로 입사 렌즈(21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쉴드들은 수평 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이 경우 복수의 마이크로 출사 렌즈(310)로부터 조사되는 광 중 측방으로 조사되는 광은 차단되지 않아 빔 패턴(P)의 스프레드 특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쉴드(410)가 도 7과 같이 제2 광 가이드(320) 중 제1 광 가이드(220)를 마주보는 면에 증착을 통해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쉴드(410)는 제1 렌즈부(200) 및 제2 렌즈부(300)와 별도로 위치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쉴드가 도시된 개략도로서, 도 8은 복수의 쉴드(410) 중 어느 하나의 일 예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쉴드(410)는 상측단에 전술한 도 6의 컷 오프 라인(C)의 각 구간을 형성하기 위한 에지부(4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에지부(411)는 경사 에지(411a), 제1 차단 에지(411b) 및 제2 차단 에지(411c)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 에지(411a)는 컷 오프 라인(C)의 경사 구간(C1)을 형성하고, 제1 차단 에지(411b)는 컷 오프 라인(C)의 제1 구간(C2)을 형성하며, 제2 차단 에지(411c)는 컷 오프 라인(C)의 제2 구간(C3)을 형성하게 된다.
제1 차단 에지(411b)는 경사 에지(411a)의 하측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2 차단 에지(411c)는 경사 에지(411a)의 상측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차단 에지(411c)의 높이는 제1 차단 에지(411b)에 비하여 높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제1 차단 에지(411c)에 비하여 광이 차단되는 영역을 증가시켜 컷 오프 라인(C)의 제2 구간(C3)이 H-H선 하측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제1 차단 에지(411b) 및 제2 차단 에지(411c)의 위치와 제1 구간(C2) 및 제2 구간(C3)의 위치가 반대로 나타나는 것은 마이크로 입사 렌즈(210)로부터 출사된 광은 마이크로 출사 렌즈(310)의 후방측 초점을 지나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여 마이크로 출사 렌즈(310)로 입사되며, 이로 인해 마이크로 입사 렌즈(210)로 입사된 광이 마이크로 출사 렌즈(310)를 통해 출사되는 광은 역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한편, 컷 오프 라인(C)의 제1 구간(C2) 및 제2 구간(C3)의 높이가 동일한 경우에는 제1 차단 에지(411b) 및 제2 차단 에지(411c)의 높이도 동일하며, 이 경우 경사 에지(411a)는 생략될 수 있다.
쉴드(410)는 제2 차단 에지(411c)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 쉴드(412)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 쉴드(412)는 마이크로 출사 렌즈(310)로 입사되는 광 중 제2 차단 에지(411c)에 의해 광이 충분히 차단되지 않아 컷 오프 라인(C)의 제2 구간(C3) 중 적어도 일부가 H-H선 상측에 위치하게 되어 대향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마이크로 출사 렌즈(310)의 후방측 초점은 마이크로 출사 렌즈(310)의 입사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쉴드(410) 상측단의 양단으로 갈수록 마이크로 출사 렌즈(310)의 입사면에 가까워지도록 형성되는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쉴드(410)의 상측단은 광원부(100)의 광축에 수직하게 위치하기 때문에 제2 차단 에지(411c)에서 경사 에지(411a)와 이격 거리가 먼 부분일수록 차단되는 광이 상대적으로 적어지게 된다.
이 경우, 도 9의 (a)와 같이 컷 오프 라인(C)의 제2 구간(C3)의 가장자리 부분이 H-H선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불필요한 영역(A)에 광이 조사되어 대향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차단 에지(411c)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쉴드(412)를 형성함으로써 도 9의 (b)와 같이 컷 오프 라인(C)의 제2 구간(C3)이 H-H선 상측에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돌출 쉴드(412)는 경사 에지(411a)에 가까운 일측(412a)에 비하여 타측(412b)이 돌출 높이가 높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차단 에지(411c)에서 경사 에지(411a)와 거리가 먼 부분일수록 차단되지 않는 광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돌출 쉴드(412)가 일측(412a)으로부터 타측(412b)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돌출 쉴드(412)의 높이는 도 10과 같이 일측(412a)으로부터 타측(412b)을 향하여 소정의 곡률을 가지며 증가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돌출 쉴드(412)의 일측(412a)은 경사 에지(411a)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하고, 타측(412b)은 쉴드(410)의 상측단의 일단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돌출 쉴드(412)의 양측이 형성되는 위치는 마이크로 출사 렌즈(310)의 곡률이나 굴절각 등과 같은 렌즈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컷 오프 라인(C) 중 대향 차선에 대응되는 제2 구간(C3) 중 적어도 일부가 H-H선 상측에 형성되어 대향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구성 요소를 추가적으로 사용하지 않고도 불필요한 영역(A)에 광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구성이 간소화되고 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빔 패턴(P)의 컷 오프 라인(C) 중 대향 차선에 대응되는 제2 구간(C3)의 가장자리 부분이 H-H선 상측에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불필요한 영역(A)에 광이 조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컷 오프 라인(C) 중 대향 차선에 대응되는 제2 구간(C3) 중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낮아지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컷 오프 라인(C) 중 대향 차선에 대응되는 구간 중 적어도 일부가 H-H선 상측에 위치하여 대향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컷 오프 라인(C) 중 주행 차선에 대응되는 구간에도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한 게 돌출 쉴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쉴드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쉴드(410)는 상측단에 경사 에지(411a), 제1 차단 에지(411b) 및 제2 차단 에지(411c)를 포함하는 에지부(41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쉴드(410)는 제1 차단 에지(411b) 및 제2 차단 에지(411c) 각각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 쉴드(413, 414)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1의 돌출 쉴드(413, 414)는 전술한 도 8의 돌출 쉴드(412)와 유사하게 제1 차단 에지(411b) 및 제2 차단 에지(411c)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면 마이크로 렌즈(310)의 후방측 초점은 쉴드(410)의 상측단의 중심으로부터 양단으로 갈수록 마이크로 출사 렌즈(310)의 입사면에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광이 충분히 차단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단 에지(411b) 및 제2 차단 에지(411c)가 각각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경우 도 12의 (a)와 같이 빔 패턴(P)의 컷 오프 라인(C)의 양측 부분(A1, A2)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선행 차량 및 대향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2의 (b)와 같이 제1 차단 에지(411b) 및 제2 차단 에지(411c)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 쉴드(413, 414)에 의해 컷 오프 라인(C)의 양측 부분이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돌출 쉴드(413, 414)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경사 에지(411a)에 가까운 일측(413a, 414a)에 비하여 타측(413b, 414b)의 돌출 높이가 높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제1 차단 에지(411b) 및 제2 차단 에지(411c)에서 경사 에지(411a)와 거리가 먼 부분일수록 차단되지 않는 광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쉴드(410)의 상측단의 가장 자리 부분에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쉴드(412, 413, 414)를 형성함으로써 컷 오프 라인(C)의 양측 중 적어도 하나가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선행 차량 및 대향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광원부
110: 광원
120: 광 안내부
200: 제1 렌즈부
210: 마이크로 입사 렌즈
220: 제1 광 투과부
300: 제2 렌즈부
310: 마이크로 출사 렌즈
400: 쉴드부
410: 쉴드
411: 에지부
411a: 경사 에지
411b: 제1 차단 에지
411c: 제2 차단 에지
412, 413, 414: 돌출 쉴드

Claims (7)

  1.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된 광이 입사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입사 렌즈를 포함하는 제1 렌즈부;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입사 렌즈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출사 렌즈를 포함하는 제2 렌즈부; 및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출사 렌즈 각각으로 입사되는 광의 일부가 차단되도록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출사 렌즈 각각의 후방측 초점에 상측단이 위치하여 빔 패턴의 컷 오프 라인을 형성하는 복수의 쉴드를 포함하는 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쉴드 각각의 상측단은,
    상기 컷 오프 라인 중 주행 차선에 대응되는 구간을 형성하는 제1 차단 에지; 및
    상기 제1 차단 에지와 수평 방향으로 위치되고, 상기 컷 오프 라인 중 대향 차선에 대응되는 구간을 형성하는 제2 차단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쉴드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1 쉴드와 제2 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쉴드의 제2 차단 에지와 상기 제2 쉴드의 제1 차단 에지는, 수평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쉴드의 제2 차단 에지 중 적어도 일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쉴드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 쉴드는,
    상기 제1 쉴드의 제1 차단 에지와 가까운 일측에 비하여 타측의 돌출 높이가 높아지도록 타측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 쉴드는,
    상기 일측이 수평 방향으로 상기 제1 쉴드의 제2 차단 에지의 양단 중 상기 제1 쉴드의 제1 차단 에지와 가까운 일단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타측이 상기 제1 쉴드의 제2 차단 에지의 타단 및 상기 제1 쉴드의 제2 차단 에지의 타단과 연결되는 상기 제2 쉴드의 제1 차단 에지의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돌출 쉴드의 타측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쉴드의 제2 차단 에지와 상기 제2 쉴드의 제1 차단 에지가 구분되는 차량용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단 에지의 높이는,
    상기 제1 차단 에지의 높이보다 높은 차량용 램프.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쉴드는,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타측을 향하여 소정의 곡률을 가지며 돌출 높이가 증가하는 차량용 램프.
  6. 삭제
  7. 삭제
KR1020170095400A 2017-07-27 2017-07-27 차량용 램프 KR102384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400A KR102384545B1 (ko) 2017-07-27 2017-07-27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400A KR102384545B1 (ko) 2017-07-27 2017-07-27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438A KR20190012438A (ko) 2019-02-11
KR102384545B1 true KR102384545B1 (ko) 2022-04-11

Family

ID=65369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400A KR102384545B1 (ko) 2017-07-27 2017-07-27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5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900B1 (ko) * 2020-06-29 2022-01-11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8613A (ja) * 2001-10-30 2003-06-27 Valeo Vision 自動車用の楕円タイプの照明装置
JP2008177024A (ja) 2007-01-18 2008-07-31 Ichikoh Ind Ltd 車両用前照灯
JP2010282844A (ja) 2009-06-04 2010-12-16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
JP2012043797A (ja) 2010-08-20 2012-03-01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明暗境界線の光度勾配が目的に合わせて減衰されるプロジェクターヘッドライト
JP2016534503A (ja) * 2013-10-25 2016-11-04 ツェットカーヴェー グループ ゲーエムベーハー 自動車ヘッドライト
DE102016112617B3 (de) 2016-07-08 2017-10-26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Kraftfahrzeugscheinwerfer mit geringer Bautief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6221A (ja) * 1997-02-24 1998-09-08 Ichikoh Ind Ltd 鉄道車両用前部標識灯におけるシェード
KR101271886B1 (ko) 2011-06-29 2013-06-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헤드램프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8613A (ja) * 2001-10-30 2003-06-27 Valeo Vision 自動車用の楕円タイプの照明装置
JP2008177024A (ja) 2007-01-18 2008-07-31 Ichikoh Ind Ltd 車両用前照灯
JP2010282844A (ja) 2009-06-04 2010-12-16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
JP2012043797A (ja) 2010-08-20 2012-03-01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明暗境界線の光度勾配が目的に合わせて減衰されるプロジェクターヘッドライト
JP2016534503A (ja) * 2013-10-25 2016-11-04 ツェットカーヴェー グループ ゲーエムベーハー 自動車ヘッドライト
DE102016112617B3 (de) 2016-07-08 2017-10-26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Kraftfahrzeugscheinwerfer mit geringer Bautief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438A (ko)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7541B1 (ko) 차량용 램프
KR102036749B1 (ko) 차량용 램프
CN112781004B (zh) 车辆用灯具
KR102537449B1 (ko) 차량용 램프
US10894506B2 (en) Vehicle lamp
KR20200141248A (ko) 차량용 램프
KR102260945B1 (ko) 차량용 램프
KR102348900B1 (ko) 차량용 램프
KR102384541B1 (ko) 차량용 램프
KR102118137B1 (ko) 차량용 램프
KR102421071B1 (ko) 차량용 램프
KR20220011393A (ko) 차량용 램프
KR102384545B1 (ko) 차량용 램프
KR102463275B1 (ko) 차량용 램프
KR102463273B1 (ko) 차량용 램프
KR102348905B1 (ko) 차량용 램프
KR20220089401A (ko) 차량용 램프
KR20190078820A (ko) 차량용 램프
KR20210064667A (ko) 차량용 램프
KR20220032243A (ko) 차량용 램프
KR20230036354A (ko) 램프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램프
KR20160035395A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