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878B1 - 인라인형 구강붕해필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라인형 구강붕해필름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878B1
KR102383878B1 KR1020210116124A KR20210116124A KR102383878B1 KR 102383878 B1 KR102383878 B1 KR 102383878B1 KR 1020210116124 A KR1020210116124 A KR 1020210116124A KR 20210116124 A KR20210116124 A KR 20210116124A KR 102383878 B1 KR102383878 B1 KR 102383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integrating film
product
film
manufacturing
orally disinteg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복화
양성식
권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진프리시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진프리시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진프리시젼
Priority to KR1020210116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8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Oral mucosa, e.g. mucoadhesive forms, sublingual droplets; Buccal patches or films; Buccal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422Investigating thin films, e.g. matrix isolation meth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라인형 구강붕해필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붕해필름을 제조, 포장할 때 슬릿팅을 하지 않고도 구강붕해필름의 낱개 포장을 원활하고 용이하게 하면서 불량 검사를 동시에 수행하여 공정간 리드타임을 줄이고, 제품 포장을 다양한 모양과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어 제품의 외관 디자인 품위를 높여 수요가의 만족도를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제품 불량을 방지하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인라인형 구강붕해필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라인형 구강붕해필름 제조방법{INLINE TYPE ORAL DISINTEGRAT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인라인형 구강붕해필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붕해필름을 제조, 포장할 때 슬릿팅을 하지 않고도 구강붕해필름의 낱개 포장을 원활하고 용이하게 하면서 불량 검사를 동시에 수행하여 공정간 리드타임을 줄이고, 제품 포장을 다양한 모양과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어 제품의 외관 디자인 품위를 높여 수요가의 만족도를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제품 불량을 방지하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인라인형 구강붕해필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강붕해필름은 전분과 같이 인체에 유해하지 않고 물에 잘 녹는 원료에 인체에 유익한 물질을 혼합하여 얇은 필름 형태로 만든 것으로 통상 먹는 필름이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강붕해필름을 입 안에 넣고 침으로 녹이면 인체에 유익한 물질을 체내에 쉽게 투여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구강붕해필름을 피부 등에 부착하여 화장품이나 약품을 투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최근에는 구강붕해필름에 구취제거 및 예방 물질과, 박하 또는 멘톨향과 같은 청정향 및 색소를 첨가한 구강 청정제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런데, 구강붕해필름은 습기에 약하고 얇은 필름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적정 크기로 절단하여 한장 씩 포장지로 밀봉 포장하거나, 일정크기로 절단된 구강붕해필름을 낱장으로 하나씩 파우칭 포장하는 등의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구강붕해필름을 낱장으로 포장하는 경우 종래에는 구강붕해필름 제조 라인과, 포장 라인이 분리 설치되어 있어 생산 효율성이 떨어지고, 설비 배치 및 설비 구비에 따른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도 1은 이를 개선한 [선행기술문헌]의 일부로서, 액상 원료를 공급하는 액상공급부(110)와, 액상원료의 코팅 이송받침판이 되는 코팅컨베이어(130)와, 코팅컨베이어(130)의 상면으로 필름을 포장하는 하부포장지공급부(140)와, 액상공급부(110)에서 공급되는 액상원료를 하부포장지(141)의 상면에 코팅하되 다중간헐코팅으로 낱개로 분리된 필름(101)을 코팅시키기 위한 다중간헐코팅기(120)와, 코팅컨베이어(130)의 일부를 포함하는 후방에 설치되어 다중간헐코팅기(120)에 의해 코팅된 필름(101)을 건조시키는 건조기(150)와, 건조기(150)를 통과한 필름(101)의 상부로 상부포장지(161)를 공급하는 상부포장지공급부(160)와, 각 필름(101)의 둘레 상부포장지(161)와 하부포장지(141)를 열압착 방식으로 접착시켜 낱개 필름을 개별 포장으로 밀봉시키는 히트실링기(170)와, 히트실링기(170)에 의해 낱개 필름마다 밀봉된 제품을 분리시키는 슬릿터(180)와, 슬릿터(180)에 의해 분리된 제품을 낱개 포장으로 절단하는 커터기(190)로 구성하여 필름 제조라인과 포장라인을 인라화시킨 바 있다.
그런데, 포장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약액 불량(코팅 불량, 이물질 혼입 등), 필름누락 등의 불량을 검사기로 검사한 후 슬릿팅 및 커팅한 다음에 일일이 수작업으로 이를 찾아 선별해 내는 것이 사실상 매우 어렵고, 만약 포장단위의 구강붕해필름 상태로 커팅되면서 섞여 버리면 불량난 것만 골라내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제품 신뢰도를 떨어뜨리게 된다.
때문에, 커팅과 동시에 불량을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나 기구적 특징들이 개시되어야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검사기로 검사하는 과정만 나타나 있을 뿐 불량난 구강붕해필름을 어떻게 분리 배출하여 선별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가 없다.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의 경우 슬릿팅과 커팅을 별도로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공정손실이 크고, 슬릿팅 설비와 커팅 설비를 지근거리에 설치해야 하므로 공간손실도 발생하며, 설비 비용도 크게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경우 코팅 컨베이어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설비 비용 낭비를 초래하는 단점도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013206호(2011.01.28.) 가식성필름 제품 제조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구강붕해필름을 제조, 포장할 때 슬릿팅을 하지 않고도 구강붕해필름의 낱개 포장을 원활하고 용이하게 하면서 불량 검사를 동시에 수행하여 공정간 리드타임을 줄이고, 제품 포장을 다양한 모양과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어 제품의 외관 디자인 품위를 높여 수요가의 만족도를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제품 불량을 방지하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인라인형 구강붕해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강붕해용 약액을 베이스필름에 코팅하고, 약액이 코팅된 베이스필름을 낱장으로 개별 포장하여 구강붕해필름 제품으로 만드는 인라인형 구강붕해필름 제조방법에 있어서; 기재인 베이스를 공급하는 제1단계; 공급된 기재 위에 일정간격을 두고 약액을 코팅하는 제2단계; 코팅된 약액을 건조시키는 제3단계; 건조된 약액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제4단계; 검사 후 밀봉지로 파우칭하는 제5단계; 파우칭된 표면에 불량처리된 약액 부분을 표시하는 제6단계; 제6단계 후 정해진 크기와 형상으로 펀칭하여 제품화하고, 펀칭된 제품을 흡착 이송하는 제7단계; 제7단계 후 흡착된 제품중 불량품만 흡착을 해제하여 양품과 분리선별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형 구강붕해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4단계에서 불량을 검사하는 수단은 비젼카메라이고, 비젼카메라가 촬상한 영상의 양,부는 제어부가 판단하되, 상기 제어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서 딥러닝기법에 의해 정상상태의 약액층 영상과, 불량상태의 약액층 영상을 학습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제7단계에서 펀칭하기 전에 제6단계에서 불량 표시된 부분을 검출하는 과정이 더 수행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제6단계에서 수행되는 불량 표시는 색상으로 마킹하거나 혹은 'v' 형상으로 펀칭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강붕해필름을 제조, 포장할 때 슬릿팅을 하지 않고도 구강붕해필름의 낱개 포장을 원활하고 용이하게 하면서 불량 검사를 동시에 수행하여 공정간 리드타임을 줄이고, 제품 포장을 다양한 모양과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어 제품의 외관 디자인 품위를 높여 수요가의 만족도를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제품 불량을 방지하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구강붕해필름 제조장치를 보인 예시적인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형 구강붕해필름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과정을 보인 계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붕해필름 제조시 베이스에 형성되는 약액층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형 구강붕해필름 제조방법은 기재인 베이스를 공급하는 제1단계; 공급된 기재 위에 일정간격을 두고 약액을 코팅하는 제2단계; 코팅된 약액을 건조시키는 제3단계; 건조된 약액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제4단계; 검사 후 밀봉지로 파우칭하는 제5단계; 파우칭된 표면에 불량처리된 약액 부분을 표시하는 제6단계; 제6단계 후 정해진 크기와 형상으로 펀칭하여 제품화하고, 펀칭된 제품을 흡착 이송하는 제7단계; 제7단계 후 흡착된 제품중 불량품만 흡착을 해제하여 양품과 분리선별하는 제8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단계는 도 2의 예시와 같이, 기재인 베이스필름(BA)이 감겨있던 베이스롤(100)로부터 풀려 나와 제1,2텐션롤(R1,R2)을 거쳐 권취롤(110)에 감기도록 이동하는 단계로서, 일정한 장력을 유지한 채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2텐션롤(R1,R2) 사이에 다수의 다른 텐션롤이 더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제2단계는 베이스가 제1텐션롤(R1)에 의해 장력을 받고 있는 도중에 약액코팅기(200)를 통해 약액이 일정주기, 즉 간헐적으로 베이스 위에 도포되어 약액층을 형성하도록 코팅되는 단계이다.
여기에서, 상기 약액의 코팅은 도 3의 예시와 같이, 베이스필름(BA)의 폭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예를 들어, 16개의 약액층(MDL)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16개의 약액층(MDL)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약액층(MDL)의 코팅 불량이 생길 수 있는데, 이는 제4단계를 통해 비젼카메라를 활용하여 비젼 검사방식으로 검사하여 정상과 불량을 판독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3단계는 약액층(MDL)을 건조시키기 위한 것으로, 약액층(MDL)이 형성된 상태로 베이스필름(BA)이 건조기(300)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면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4단계는 약액층(MDL)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로서, 비젼카메라(400)를 이용하여 이물 혼입여부, 코팅불량, 건조불량 등을 검사하게 된다.
이 경우, 비젼카메라(400)가 촬상한 영상은 제어부(미도시)에서 비교 판독하게 되는데, 제어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서 딥러닝기법으로 정상상태의 약액층(MDL) 영상과, 다양한 불량상태일 때의 약액층(MDL) 영상을 학습하여 아주 빠른시간내에 양,부를 판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5단계는 검사가 완료된 약액층(MDL)을 밀봉하여 보호할 수 있도록 밀봉지공급부(500)를 통해 밀봉지(510)를 공급하면서 히트실링하는 방식으로 베이스필름(BA)의 상부를 덮어 밀봉된 파우치를 만드는 단계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6단계는 파우칭된 밀봉지(510)의 상면, 즉 파우치의 상면에 불량 위치를 마킹하는 단계로서, 예컨대 비젼카메라(400)로 검사한 결과 불량인 약액층(MDL)에 해당하는 위치에 마커(600)가 마킹하는 단계이다.
이는 불량인 약액층(MDL)을 갖는 구강붕해필름은 정품과 분리선별하여 상품으로 판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마킹하는 방식은 색상을 표시하여 이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거나 혹은 'V' 형상으로 펀칭하여 해당 부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마킹 위치는 이미 비젼카메라(400)로 검사할 때 확인된 상태로 제어부에 인식되어 있기 때문에 마킹 위치는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앞서 설명한 16개를 기준으로 설명하자면, 한 열에 16개씩 비젼카메라(400)를 통과할 때 마다 번호를 카운팅하고, 정해진 기준선으로부터 몇 번째인지를 카운팅하면 16개 중에서 불량된 약액층이 어디에 있는지 x,y값으로 확인되므로 이를 기반으로 제어부가 해당 열이 마킹부에 도착했을 때 원하는 좌표점에 마커(600)가 마킹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마킹이 필요한 이유는 처리라인이 길기 때문에 처리효율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는 후술되는 마킹검출기(DT)를 더 두는 이유이기도 하다.
한편, 상기 제7단계는 마킹이 완료된 파우치를 제품 형상으로 펀칭하고, 펀칭된 제품을 흡착이송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펀치(700)가 사용된다.
이때, 펀치(700)는 약액층의 갯수에 대응되게 개별적으로 따낼 수 있도록 형성되며, 그 형상과 모양은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므로 모서리가 라운드처리된 형상의 약액필름 제품, 삼각, 사각, 하트 등 다양한 형상의 제품으로 따낼 수 있다.
때문에 제품 디자인을 경쟁사와 차별화시킬 수 있어 수요가의 구매력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즉, 슬릿터와 컷팅으로 구분되는 기능을 펀칭만으로 대응하고 외관디자인을 직선형만이 아닌 R 커팅, I 마크 형태 등으로 동시 커팅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것은 기존 방식인 슬리팅과 커팅 구조에서는 직사각형상의 구강붕해필름 낱개 밖에 만들 수 없어 디자인성이 많이 떨어졌던 것에 반하여 펀치(700)의 형상만 바꾸면 제품 디자인을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어 구매력을 높이고, 외관 품질도 향상시키는 장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특히, 공정속도, 즉 파우치가 이동하는 리드타임에 따라 펀치(700)가 승하강되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동작 제어는 전혀 문제되지 않는다.
그리고, 펀치(700)로 펀칭할 때 하부를 받쳐줄 수 있도록 베이스필름(BA) 하부에는 지지다이(710)가 마련되고, 지지다이(710)는 다이왕복수단(720)에 의해 펀칭 후 라인속도와 동기속도로 펀칭된 제품과 펀칭되고 남은 잔여필름을 동시에 이동시킨다.
이 경우, 상기 지지다이(710)는 합성수지로 제조되며, 다이왕복수단(720)은 로봇시스템은 물론 무한궤도 형태의 벨트시스템 등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펀치(700)와 간격을 두고 흡착기(800)가 설치된다.
상기 흡착기(800)는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 있으나 진공흡착식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8단계는 이 흡착기(800)가 펀칭된 상태에서 지지다이(710) 상에 지지된 채 이송되어온 제품을 흡착상승하여 이송하고, 특정지점에서 마커(600)가 마킹한 불량품 혹은 마킹검출기(DT)가 검출한 불량품만 흡착을 해제하여 낙하 선별하고, 나머지 정품만 별도 수납하는 단계이다.
이것은 불량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고, 펀치(700)와 동일한 갯수로 설계된 흡착기(800)의 각 흡착부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흡착기능을 조절하기만 하면 되므로 아주 쉽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펀칭 후 따지고 남은 부분인 잔여필름은 아직까지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기 때문에 제2텐션롤(R2)에 의해 텐션이 걸린 상태로 권취롤(110)로 이동되어 권취된 후 폐기 등 후속 처리된다. 이 경우, 하부에 보조지를 더 두어 보조지가 당겨지게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형 구강붕해필름 제조방법은 기존 방식이 갖는 한계와 양품, 불량품 검사 및 처리과정이 효율화되었기 때문에 포장 불량을 미연에 막을 수 있고, 공정손실을 줄이며, 파우치의 외관 디자인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어 외적 미감을 증진시키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100: 베이스롤
200: 약액코팅기
300: 건조기
400: 비젼카메라
500: 밀봉지
600: 마킹부
700: 펀치
800: 흡착기

Claims (3)

  1. 구강붕해용 약액을 베이스필름에 코팅하고, 약액이 코팅된 베이스필름을 낱장으로 개별 포장하여 구강붕해필름 제품으로 만드는 인라인형 구강붕해필름을 제조할 때 기재인 베이스를 공급하는 제1단계; 공급된 기재 위에 일정간격을 두고 약액을 코팅하는 제2단계; 코팅된 약액을 건조시키는 제3단계; 건조된 약액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제4단계; 검사 후 밀봉지로 파우칭하는 제5단계; 파우칭된 표면에 불량처리된 약액 부분을 표시하는 제6단계; 제6단계 후 정해진 크기와 형상으로 펀칭하여 제품화하고, 펀칭된 제품을 흡착 이송하는 제7단계; 제7단계 후 흡착된 제품중 불량품만 흡착을 해제하여 양품과 분리선별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는 인라인형 구강붕해필름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불량을 검사하는 수단은 비젼카메라이고, 비젼카메라가 촬상한 영상의 양,부는 제어부가 판단하되, 상기 제어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서 딥러닝기법에 의해 정상상태의 약액층 영상과, 불량상태의 약액층 영상을 학습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제7단계에서 펀칭하기 전에 제6단계에서 불량 표시된 부분을 검출하는 과정이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형 구강붕해필름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에서 수행되는 불량 표시는 색상으로 마킹하거나 혹은 'v' 형상으로 펀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형 구강붕해필름 제조방법.
KR1020210116124A 2021-09-01 2021-09-01 인라인형 구강붕해필름 제조방법 KR102383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124A KR102383878B1 (ko) 2021-09-01 2021-09-01 인라인형 구강붕해필름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124A KR102383878B1 (ko) 2021-09-01 2021-09-01 인라인형 구강붕해필름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3878B1 true KR102383878B1 (ko) 2022-04-08

Family

ID=81183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124A KR102383878B1 (ko) 2021-09-01 2021-09-01 인라인형 구강붕해필름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8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856B1 (ko) * 2023-10-23 2024-04-01 박진용 건강 기능용 필름의 절단 장치
KR102652861B1 (ko) * 2023-10-23 2024-04-02 박진용 건강 기능용 필름의 양 및 불량 선별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206B1 (ko) 2010-06-07 2011-02-10 (주)씨엘팜 가식성 필름 제품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214140B1 (ko) * 2011-12-12 2012-12-20 광동제약 주식회사 가식성 필름 제품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547219B1 (ko) * 2014-12-31 2015-08-25 (주)씨엘팜 다열 다제 구강용해 필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US20170355094A1 (en) * 2014-11-25 2017-12-14 Biodelivery Sciences International, Inc. Patch devices, methods and apparatus for forming, and testing pharmaceutical agent delivery patch devices
KR102230893B1 (ko) * 2020-06-19 2021-03-23 (주)씨엘팜 비접촉식 질량측정기를 이용하여 제조 정밀도를 높인 odf 제조 시스템 및 방법
JP2021078677A (ja) * 2019-11-18 2021-05-27 Ckd株式会社 Ptp包装機及びptpシート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206B1 (ko) 2010-06-07 2011-02-10 (주)씨엘팜 가식성 필름 제품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214140B1 (ko) * 2011-12-12 2012-12-20 광동제약 주식회사 가식성 필름 제품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US20170355094A1 (en) * 2014-11-25 2017-12-14 Biodelivery Sciences International, Inc. Patch devices, methods and apparatus for forming, and testing pharmaceutical agent delivery patch devices
KR101547219B1 (ko) * 2014-12-31 2015-08-25 (주)씨엘팜 다열 다제 구강용해 필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21078677A (ja) * 2019-11-18 2021-05-27 Ckd株式会社 Ptp包装機及びptpシート製造方法
KR102230893B1 (ko) * 2020-06-19 2021-03-23 (주)씨엘팜 비접촉식 질량측정기를 이용하여 제조 정밀도를 높인 odf 제조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856B1 (ko) * 2023-10-23 2024-04-01 박진용 건강 기능용 필름의 절단 장치
KR102652861B1 (ko) * 2023-10-23 2024-04-02 박진용 건강 기능용 필름의 양 및 불량 선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3878B1 (ko) 인라인형 구강붕해필름 제조방법
KR101013206B1 (ko) 가식성 필름 제품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547219B1 (ko) 다열 다제 구강용해 필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US800762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mittent application of stretchable web to target web
US7395927B2 (en) Pocket tape with alternating adhesive and non-adhesive zones and overlying carrier tape
JPH1072022A (ja) 密封無菌パツケージの作製プロセスにおけるフオイルストツクの供給装置
JP2018087745A (ja) 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KR101838977B1 (ko) 픽업 장치 및 브리스터 포장기
KR101851223B1 (ko) 판상형 odf 제조설비 및 그 제조방법
RU2757557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дефектов ленто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на 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х линиях
CA2607222C (en) Machine and method for applying pressure sensitive sample chips to a card
CN106142817B (zh) 一种自动化覆膜设备
KR20120128365A (ko) 슬리터
KR101214140B1 (ko) 가식성 필름 제품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204871809U (zh) 自动检测包装机
EP1449770B1 (en) Machine for producing strip packages
CN108882995A (zh) 用于制造吸收性物品的包装体的方法和设备
JPH02205534A (ja) 包装方法及び装置
JPH0761413A (ja) 連包送りコンベア及び該コンベアを用いた小袋切断投入装置
JPH01176776A (ja) 定形シートの不良品排除方法
JP4614411B2 (ja) 葉書製造システム
JP2715837B2 (ja) 画像フィルム自動切断包装装置
JP2004115113A (ja) 充填包装方法および充填包装装置
JP2003136479A (ja) パンチ孔・ノッチ穿設装置
JPH0244707B2 (ja) Daiyafuramuseizoniokerukifufuryobuinokenchihoh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