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997B1 -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 그의 제조 방법 및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보관 방법 - Google Patents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 그의 제조 방법 및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보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997B1
KR102377997B1 KR1020170063220A KR20170063220A KR102377997B1 KR 102377997 B1 KR102377997 B1 KR 102377997B1 KR 1020170063220 A KR1020170063220 A KR 1020170063220A KR 20170063220 A KR20170063220 A KR 20170063220A KR 102377997 B1 KR102377997 B1 KR 102377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us
separator
porous separator
light
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4223A (ko
Inventor
다이자부로 야시키
다카히로 오쿠가와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4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4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 B65D85/67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wound in flat spiral form
    • B65D85/6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wound in flat spiral form on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02Wrapp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without changing their position during the wrapping operation, e.g. in moulds with hinged f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14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 B65B25/146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packaging rolled-up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3/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63/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for folding or winding articles, e.g. gloves or stock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16Wrappers or flexible covers with provision for excluding or admitting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16Wrappers or flexible covers with provision for excluding or admitting light
    • B65D65/20Wrappers or flexible covers with provision for excluding or admitting light with provision for excluding light of a particular wave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30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by excluding light or other outsid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28Wound package of we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layers of only organic material and layer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46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tubular or cylindric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2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operation
    • B65B2220/06Cutting webs along their longitudin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8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for electrical components
    • B65D2585/88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ll Separato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세퍼레이터의 변색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미관이 양호해서, 고품질의 세퍼레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를 제공한다.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12Uㆍ12L)가, 360㎚ 내지 390㎚의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의 평균이 25% 이하인 포장재(21)에 포장되어 있다.

Description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 그의 제조 방법 및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보관 방법{PACKAGE OF POROUS SEPARATOR ROLL,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METHOD FOR STORING POROUS SEPARATOR ROLL}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전지 등의 전지에 사용되는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을 코어에 권회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가 포장재에 의해 포장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온 전지에 사용되는 세퍼레이터의 원단은, 이 원단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슬릿(절단)되어,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복수의 세퍼레이터 장척이 된다. 이 각각의 세퍼레이터 장척은 코어에 권회되어 세퍼레이터 권회체로서 전지의 제조 공정에 공급되고, 전지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잘라져 세퍼레이터로서 사용된다.
특허문헌 1에는, 그렇게 하여 얻어진 세퍼레이터 권회체를 보관하고, 운반하기 위한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실용 신안 등록 제3194816호
그러나, 세퍼레이터 권회체는 보관 중 등에, 자외 영역의 광(이하, UV 광이라고 칭함)에 노출됨으로써, 변색을 일으켜, 품질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의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는,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을 코어에 권회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가, 360㎚ 내지 390㎚의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의 평균이 25% 이하인 포장재로 포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의 변색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의 제조 방법은,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이 코어에 권회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를, 360㎚ 내지 390㎚의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의 평균이 25% 이하인 포장재로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상기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에 구비된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의 변색이나 열화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변색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의 (a)는 세퍼레이터의 원단을 슬릿하는 슬릿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며, (b)는 슬릿 장치에 의해, 세퍼레이터의 원단이 복수의 세퍼레이터 장척으로 슬릿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외주면에 시일(필름재)이 점착되어 있는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을 구비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b)는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가 포장재에 의해 포장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c)는 랙 및 랙 위에 놓인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가 포장재에 의해 포장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각종 포장재 및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의 투과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각종 포장재에 의해 포장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세퍼레이터 장척에서의 다공질층의 UV 광의 조사에 의한 변색의 정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또한 다른 각종 포장재에 의해 포장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적층 세퍼레이터 장척에서의 다공질층의 UV 광의 조사에 의한 변색의 정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의 (a)는 각 샘플에 있어서의, 다공질층의 WI 값과, 포장재의 흡광도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b)는 각 샘플에 있어서의, 다공질층의 WI 값과, 포장재의 투과율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의 (a)는 각 샘플에 있어서의, 다공질층의 YI 값과, 포장재의 흡광도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b)는 각 샘플에 있어서의, 다공질층의 YI 값과, 포장재의 투과율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기본 구성〕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세퍼레이터, 적층 세퍼레이터, 적층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순서대로 설명한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리튬 이온 이차 전지로 대표되는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는, 에너지 밀도가 높고, 그로 인하여 현재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전화, 휴대 정보 단말기 등의 기기, 자동차, 항공기 등의 이동체에 사용하는 전지로서, 또한 전력의 안정 공급에 이바지하는 정치용 전지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튬 이온 이차 전지(1)는, 캐소드(11)와 세퍼레이터(12)와 애노드(13)를 구비한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외부에서, 캐소드(11)와 애노드(13) 사이에, 외부 기기(2)가 접속된다. 그리고,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충전 시에는 방향 A로, 방전 시에는 방향 B로 전자가 이동한다.
(세퍼레이터)
세퍼레이터(12)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정극인 캐소드(11)와 그의 부극인 애노드(13) 사이에, 이들에 협지되도록 배치된다. 세퍼레이터(12)는, 캐소드(11)와 애노드(13) 사이를 분리하면서, 이들 사이에 있어서의 리튬 이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다공질 필름이다. 세퍼레이터(12)는, 그의 재료로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고,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라고도 불린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며, (a)는 통상의 구성을 나타내고, (b)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1)가 승온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고, (c)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1)가 급격하게 승온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12)에는, 다수의 구멍 P가 형성되어 있다. 통상,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리튬 이온(3)은 구멍 P를 통하여 왕래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과충전 또는 외부 기기의 단락에 기인하는 대전류 등에 의해, 리튬 이온 이차 전지(1)는, 승온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12)가 융해 또는 유연화되어, 구멍 P가 폐색된다. 그리고, 세퍼레이터(12)는 수축한다. 이에 의해, 리튬 이온(3)의 이동이 정지하기 때문에, 상술한 승온도 정지한다.
그러나, 리튬 이온 이차 전지(1)가 급격하게 승온하는 경우, 세퍼레이터(12)는, 급격하게 수축한다. 이 경우,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12)는, 파괴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리튬 이온(3)이 파괴된 세퍼레이터(12)로부터 누출되기 때문에, 리튬 이온(3)의 이동은 정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승온은 계속된다.
(내열 세퍼레이터)
도 3은, 도 1에 도시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며, (a)는 통상의 구성을 나타내고, (b)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1)가 급격하게 승온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12)는, 다공질 필름(5)(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과, 내열층(4)을 구비하는 내열 세퍼레이터일 수도 있다. 내열층(4)은 다공질 필름(5)의 캐소드(11)측의 편면에 적층되어 있다. 또한, 내열층(4)은, 다공질 필름(5)의 애노드(13)측의 편면에 적층될 수도 있고, 다공질 필름(5)의 양면에 적층될 수도 있다. 그리고, 내열층(4)에도, 구멍 P와 마찬가지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통상 리튬 이온(3)은, 구멍 P와 내열층(4)의 구멍을 통하여 이동한다. 내열층(4)은, 그의 재료로서 예를 들어 방향족 고분자인 전방향족 폴리아미드(아라미드 수지)를 포함한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튬 이온 이차 전지(1)가 급격하게 승온하여 다공질 필름(5)이 융해 또는 유연화되어도, 내열층(4)이 다공질 필름(5)을 보조하고 있기 때문에, 다공질 필름(5)의 형상은 유지된다. 따라서, 다공질 필름(5)이 융해 또는 유연화되어, 구멍 P가 폐색되는 데 그친다. 이에 의해, 리튬 이온(3)의 이동이 정지하기 때문에, 상술한 과방전 또는 과충전도 정지한다. 이와 같이, 세퍼레이터(12)의 파괴가 억제된다.
(적층 세퍼레이터)
상술한 도 3에 도시되는 내열층(4)을 구비한 내열 세퍼레이터는 적층 세퍼레이터로 분류되고, 이밖에 적층 세퍼레이터로서는, 내열층(4) 대신에 접착층이나 보호층 등의 다공질층을 구비한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내열층(4)이나 접착층이나 보호층 등의 다공질층을 구성하는 상기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불화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등의 불소 함유 수지; 방향족 폴리아미드; 전방향족 폴리아미드(아라미드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그의 수소화물, 메타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러버 및 폴리아세트산비닐 등의 고무류;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테르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 등의 융점 또는 유리 전이 온도가 180℃ 이상의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셀룰로오스에테르, 알긴산나트륨,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폴리메타크릴산 등의 수용성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π 결합 또는 할로겐 원자를 갖는 수지는, UV 광에 노출됨으로써 변색을 발생시키기 쉽기 때문에, 이들 수지를 포함하는 다공질층을 구비하는 적층 세퍼레이터는,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현저하게 발휘하는 경향이 있다. π 결합 또는 할로겐 원자를 갖는 수지로서는, 불소 함유 수지 등의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는 고분자나,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방향족 고분자를 들 수 있다. 상기 불소 함유 수지로서는,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불화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 고분자로서는, 전방향족 폴리아미드(아라미드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테르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도 있다. 또한, 상기 π 결합을 갖는 수지로서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그의 수소화물; 스티렌-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에스테르-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그의 수소화물,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및 그의 수소화물 등의 공액 디엔계 중합체; 시아노에틸풀루란,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코올,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 등의 시아노기를 갖는 고분자; 등도 들 수 있다.
상기 다공질층은 필러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필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유기물을 포함하는 필러일 수도 있고, 무기물을 포함하는 필러일 수도 있다.
유기물을 포함하는 필러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스티렌, 비닐케톤,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메틸 등의 단량체의 단독 중합체 혹은 2종류 이상의 공중합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사불화에틸렌-육불화프로필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폴리불화비닐리덴 등의 불소 함유 수지; 멜라민 수지; 요소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등을 포함하는 필러를 들 수 있다.
무기물을 포함하는 필러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탄산칼슘, 탈크, 클레이, 카올린, 실리카, 하이드로탈사이트, 규조토, 탄산마그네슘, 탄산바륨, 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 황산바륨, 수산화알루미늄, 베마이트,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산화티타늄, 질화티타늄, 알루미나(산화알루미늄), 질화알루미늄, 마이카, 제올라이트, 유리 등의 무기물을 포함하는 필러를 들 수 있다. 필러는, 1종류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필러 중 무기물을 포함하는 필러가 적합하며, 실리카,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산화티타늄, 알루미나, 마이카, 제올라이트, 수산화알루미늄, 베마이트 등의 무기 산화물을 포함하는 필러가 더 바람직하고, 실리카, 산화마그네슘, 산화티타늄, 수산화알루미늄, 베마이트 및 알루미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필러가 더욱 바람직하다.
(적층 세퍼레이터인 내열 세퍼레이터의 제조 공정)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내열 세퍼레이터의 제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공질 필름(5)이 그 의 재료로서 주로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다공질 필름(5)이 다른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제조 공정에 의해, 세퍼레이터(12)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가소성 수지에 구멍 형성제를 첨가하여 필름 성형한 후, 해당 구멍 형성제를 적당한 용매로 제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공질 필름(5)이,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수지로 형성되어 이루어질 경우에는, 이하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 방법은, (1)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과, 탄산칼슘 또는 유동 파라핀 등의 구멍 형성제를 혼련하여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얻는 혼련 공정, (2)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필름을 성형하는 압연 공정, (3) 공정 (2)에서 얻어진 필름 중에서 구멍 형성제를 제거하는 제거 공정 및 (4) 공정 (3)에서 얻어진 필름을 연신하여 다공질 필름(5)을 얻는 연신 공정을 포함한다.
제거 공정에 의해, 필름 중에 다수의 미세 구멍이 형성된다. 연신 공정에 의해 연신된 필름의 미세 구멍은, 상술한 구멍 P가 된다. 이에 의해, 소정의 두께와 투기도를 갖는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인 다공질 필름(5)이 형성된다.
또한, 혼련 공정에 있어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100중량부와, 중량 평균 분자량 1만 이하의 저분자량 폴리올레핀 5 내지 200중량부와, 무기 충전제 100 내지 400중량부를 혼련할 수도 있다.
그 후, 도공 공정에 있어서, 다공질 필름(5)의 표면에 내열층(4)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다공질 필름(5)에, 아라미드/NMP(N-메틸-피롤리돈) 용액(도공액)을 도포하여, 아라미드 내열층인 내열층(4)을 형성한다. 내열층(4)은, 다공질 필름(5)의 편면에만 형성될 수도, 양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내열층(4)으로서, 알루미나/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필러를 포함하는 혼합액을 도공할 수도 있다.
도공액을 다공질 필름(5)에 도공하는 방법은, 균일하게 웨트 코팅할 수 있는 방법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종래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필러리 코팅법, 스핀 코팅법, 슬릿 다이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딥 코팅법, 롤 코팅법, 스크린 인쇄법, 플렉소 인쇄법, 바 코터법, 그라비아 코터법, 다이 코터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내열층(4)의 두께는 도공 웨트막의 두께, 도공액 중의 고형분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공할 때에 다공질 필름(5)을 고정 혹은 반송하는 지지체로서는, 수지제의 필름, 금속제의 벨트, 드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다공질 필름(5)에 내열층(4)이 적층된 세퍼레이터(12)(내열 세퍼레이터)를 제조할 수 있다. 제조된 세퍼레이터는 원통 형상의 코어에 권취된다. 또한, 이상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대상은 내열 세퍼레이터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제조 방법은 도공 공정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조되는 대상은 내열층을 갖지 않는 세퍼레이터이다.
〔실시 형태 1〕
내열 세퍼레이터 또는 내열층을 갖지 않는 세퍼레이터(이하 「세퍼레이터」)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1) 등의 응용 제품에 적합한 폭(이하 「제품 폭」)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생산성을 올리기 위하여, 세퍼레이터는 그의 폭이 제품 폭 이상이 되도록 제조된다. 이것을 세퍼레이터의 원단이라고 한다. 이 세퍼레이터의 원단을 일단 제조한 후에, 슬릿 장치에서는, 세퍼레이터의 원단의 길이 방향과 두께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방향의 길이를 의미하는 「세퍼레이터의 폭」을 제품 폭으로 절단(슬릿)하여, 슬릿된 세퍼레이터 장척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세퍼레이터 장척이란, 길이 방향으로 긴 세퍼레이터를 의미한다. 길이 방향으로 길다는 것은, 예를 들어 길이 방향으로 5m 이상의 길이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세퍼레이터 장척은, 바람직하게는 5m 이상 10000m 이하의 길이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슬릿되기 전의 폭이 넓은 세퍼레이터를 「세퍼레이터의 원단」이라고 칭하고, 세퍼레이터의 폭이 제품 폭으로 슬릿된 것을 특히 「세퍼레이터 장척」이라고 칭한다. 또한, 슬릿이란, 세퍼레이터의 원단을 길이 방향(제조에 있어서의 필름의 흐름 방향, MD:Machine direction)을 따라 절단하는 것을 의미하고, 커트란, 세퍼레이터 장척을 횡단 방향(TD:transverse direction)을 따라 절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횡단 방향(TD)이란, 세퍼레이터 장척의 길이 방향(MD)과 두께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
도 4의 (a)는 절단 장치(7)를 구비한 슬릿 장치(6)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며, 도 4의 (b)는 슬릿 장치(6)에 의해, 다공질 세퍼레이터의 원단(12O)이 복수의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12aㆍ12b)으로 슬릿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질 필름(5)(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의 편면에 내열층(4)으로서 전방향족 폴리아미드(아라미드 수지층)를 적층한 다공질 세퍼레이터의 원단(12O)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공질 세퍼레이터의 원단(12O)은, 내열층(4)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다공질 필름(5)일 수도 있고, 다공질 필름(5)의 양면에 내열층(4)을 구비한 것일 수도 있다. 게다가, 내열층(4) 대신에 접착층이나 보호층 등의 다공질층을 구비하고 있을 수도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 장치(6)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원기둥 형상의, 권출 롤러(63)와, 복수의 롤러(64ㆍ65ㆍ68Uㆍ68Lㆍ69Uㆍ69L), 제1 터치 롤러(81U), 제2 터치 롤러(81L), 제1 아암(82U), 제2 아암(82L), 제1 권회 보조 롤러(83U), 제2 권회 보조 롤러(83L), 제1 권취 롤러(70U), 제2 권취 롤러(70L), 절단 장치(7)를 구비한다.
슬릿 장치(6)에서는, 다공질 세퍼레이터의 원단(12O)을 감은 원통 형상의 코어 c가, 권출 롤러(63)에 끼워져 있다. 다공질 세퍼레이터의 원단(12O)은 코어 c로부터 경로 U 또는 L로 권출된다. 다공질 세퍼레이터의 원단(12O)의 A면을 상면으로 하여 반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경로 L로 권출하고, 다공질 세퍼레이터의 원단(12O)의 B면을 상면으로 하여 반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경로 U로 권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다공질 세퍼레이터의 원단(12O)의 A면을 상면으로 하여 반송하므로, 경로 L로 권출된다. 또한, 롤 형상으로 권취된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12O)을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12P)라고 칭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A면은 다공질 필름(5)에 있어서의 내열층(4)과 접하는 면과 대향하는 표면이며, 상기 B면은 내열층(4)에 있어서의 다공질 필름(5)과 접하는 면과 대향하는 표면이다.
이와 같이 권출된 다공질 세퍼레이터의 원단(12O)은 롤러(64) 및 롤러(65)를 통하여 절단 장치(7)에 반송되어,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장치(7)에 의해 복수의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12aㆍ12b)으로 슬릿된다.
절단 장치(7)에 의해 슬릿된 복수의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12aㆍ12b)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12aㆍ12b)의 일부 (12a)의 각각은, 롤러(68U), 롤러(69U) 및 제1 권회 보조 롤러(83U)를 경유하여, 제1 권취 롤러(70U)에 끼워진 원통 형상의 각 코어 u(보빈)에 권취된다. 또한, 복수의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12aㆍ12b)의 다른 일부(12b)의 각각은, 롤러(68L), 롤러(69L) 및 제2 권회 보조 롤러(83L)를 경유하여, 제2 권취 롤러(70L)에 끼워진 원통 형상의 각 코어 l(보빈)에 권취된다. 또한, 롤 형상으로 권취된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12aㆍ12b)을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12Uㆍ12L)라고 칭한다.
또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12Uㆍ12L)에 있어서는,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12aㆍ12b)의 A면이 외측을 향하고, B면이 내측을 향하도록,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12aㆍ12b)이 권취된다.
이상과 같이, 다공질 필름(5)과, 내열층(4)으로서의 아라미드층이 적층된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12aㆍ12b)으로서의 아라미드 세퍼레이터 장척을 얻을 수 있고, 롤 형상으로 권취된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12aㆍ12b)으로서의 아라미드 세퍼레이터 장척을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12Uㆍ12L)라고 칭한다.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
도 5의 (a)는, 외주면에 시일(20)(필름재)이 점착되어 있는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12aㆍ12b) 또는 다공질 세퍼레이터의 원단(12O)이 롤 형상으로 권취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12Uㆍ12Lㆍ12P)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5의 (b)는,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12Uㆍ12Lㆍ12P)가 포장재(21)에 의해 포장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12Uㆍ12Lㆍ12P)의 포장체(22)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5의 (c)는, 랙(23) 및 랙(23) 위에 놓인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12Uㆍ12Lㆍ12P)가 포장재(21)에 의해 포장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24)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랙(23)은, 하나 이상의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12Uㆍ12Lㆍ12P)를 보유 지지하여 운반하기 위한 랙이며,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측에는, 복수의 차륜이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도 5의 (b) 및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12Uㆍ12Lㆍ12P)를 포장재(21)에 의해 포장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22ㆍ24)로서 보관하는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보관 방법에도 관한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에 있어서는,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전체가 완전히 포장재에 의해 포장될 필요는 없다. 즉,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품질 저하에 영향을 주지 않는 부위는 포장재에 의해 포장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공질 세퍼레이터 원단(12O)이 권취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12P)의 경우, 그의 권회 축방향의 단부는 통상 슬릿에 의해 폐기되기 때문에, 폐기되는 단부는 포장재에 의해 포장되지 않을 수도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에 있어서는, 적어도, 품질을 저하시키고 싶지 않은 부분이 포장재에 의해 포장되어 있으면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포장재는, 1매의 시트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고, 2매 이상의 시트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2매 이상의 시트를 겹쳐서 포장재로서 사용할 때에는, 겹쳤을 때의 360㎚ 내지 390㎚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의 평균이 25% 이하이면 된다.
(각종 포장재(포장 상자)의 투과율)
도 6은, 각종 포장재 및 다공질 필름(5)(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의 각 파장에서의 투과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각종 포장재 및 다공질 필름(5)의 투과율은, 자외 가시 분광 광도계 UV-2450(시마즈 세이사쿠쇼제)을 사용하고, 차광재를 사용하여 4㎜φ만큼 광이 조사되도록 조정하고, 포장재 및 다공질 필름의 두께 방향의 수지량이 가장 적은 부분이 측정 중심이 되도록 하여, 3개소 측정한 결과를 평균했다.
또한, 도 6에 있어서의 각종 포장재는 이하의 메이커의 이하의 제품 번호의 것을 사용했다. 투명 플라스틱 골판지용 시트(UV 흡수제 함유)는 아사히 가라스(주)의 SGTCC-40을, 투명 완충재는 카와카미 산업(주)의 d37을, 녹색 완충재는 카와카미 산업(주)의 v-d37LG를, 갈색 완충재는 카와카미 산업(주)의 O-d37을, 반투명 플라스틱 골판지용 시트는 산에이 시트리(주)의 HP50100(내츄럴)을 각각 사용했다.
(각종 포장재에 관한 다공질층의 UV 광의 조사에 의한 변색의 정도)
도 7은, 다공질 필름(5)과, 다공질층(내열층(4))으로서의 아라미드층이 적층된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12aㆍ12b)으로서의 적층 세퍼레이터 장척이, 각종 포장재에 의해 포장된 경우에 있어서, 다공질층의 UV 광의 조사에 의한 변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준 샘플(기준 1), 샘플 1, 샘플 2 및 샘플 3에서의 다공질층의 UV 광의 조사에 의한 변색의 정도는, ΔWI, ΔYI, WI 및 YI 값을 이용하여 평가를 행했다.
ΔWI는 식 (1)로 정의되는 값으로, ΔWI=WI1-WI0 식 (1)이며, 여기서 WI는 American Standards Test Methods의 E313에 규정되어 있는 화이트 인덱스이다.
WI0(처리 전 WI)은 다공질층에 255W/㎡의 UV 광을 조사하기 전(255W/㎡의 UV 광의 조사를 개시하기 전)에 분광 측색계로 측정한 다공질층의 표면의 WI이며, WI1(처리 후 WI)은 다공질층에 255W/㎡의 UV 광을 75시간 조사한 후에 분광 측색계로 측정한 다공질층의 표면의 WI이다.
ΔYI는 식 (2)로 정의되는 값으로, ΔYI=YI1-YI0 식 (2)이며, YI는 옐로우 인덱스이다.
YI0(처리 전 YI)은 다공질층에 255W/㎡의 UV 광을 조사하기 전(255W/㎡의 UV 광의 조사를 개시하기 전)에 분광 측색계로 측정한 다공질층의 표면의 YI이며, YI1(처리 후 YI)은 다공질층에 255W/㎡의 UV 광을 75시간 조사한 후에 분광 측색계로 측정한 다공질층의 표면의 YI이다.
도 7 중의 WI는 식 (3)으로 정의되는 값으로, WI=(ΔWI_기준 1-ΔWI_샘플) 식 (3)이며, 그 값이 음으로 클수록, 기준 샘플(기준 1)보다 ΔWI가 작은, 즉 UV 광의 조사에 의해 발생하는 화이트 인덱스의 변화가 기준 샘플(기준 1)보다 작은 것을 의미한다.
도 7 중의 YI는 식 (4)로 정의되는 값으로, YI=(ΔYI_기준 1-ΔYI_샘플) 식 (4)이며, 그 값이 클수록, 기준 샘플(기준 1)보다 ΔYI가 작은, 즉 UV 광의 조사에 의해 발생하는 옐로우 인덱스의 변화가 기준 샘플(기준 1)보다 작은 것을 의미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샘플(기준 1)의 측정 결과는, 적층 세퍼레이터의 다공질층 위에 포장재를 두지 않고 UV 광을 조사하여, 적층 세퍼레이터의 다공질층에 대해서만 측정을 행한 결과이며, 샘플 1의 측정 결과는, 적층 세퍼레이터의 다공질층 위에 투명 완충재 1매를 둔 상태에서 투명 완충재측에서 UV 광을 조사하여 적층 세퍼레이터의 다공질층에 대하여 측정을 행한 결과이며, 샘플 2의 측정 결과는, 적층 세퍼레이터의 다공질층 위에 투명 완충재 2매를 둔 상태에서 투명 완충재측에서 UV 광을 조사하여 적층 세퍼레이터의 다공질층에 대하여 측정을 행한 결과이며, 샘플 3의 측정 결과는, 적층 세퍼레이터의 다공질층 위에 갈색 완충재 1매를 둔 상태에서 갈색 완충재측에서 UV 광을 조사하여 적층 세퍼레이터의 다공질층에 대하여 측정을 행한 결과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완충재 1매, 투명 완충재 2매, 갈색 완충재 1매의 파장 360㎚ 내지 390㎚에 있어서의 투과율(%)의 평균은, 각각 59.47%, 35.23% 및 0.73%였다. 또한, 투명 완충재 1매, 투명 완충재 2매 및 갈색 완충재 1매의 파장 360㎚ 내지 390㎚에 있어서의 흡광도의 평균은, 각각 0.23, 0.45 및 2.14였다.
분광 측색계로서는, WI 및 YI를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적분구 분광 측색계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적분구 분광 측색계는, 샘플에 크세논 램프의 광을 조사하여, 샘플로부터의 반사광을 조사 부위의 주위를 덮고 있는 적분구에 의해 수광부에 모으고, 광학적인 분광 측정을 실시하는 장치이며, 다양한 광학적 파라미터의 측정이 가능하다. 단, 분광 측색계는, 적분구 분광 측색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WI 및 YI를 측정할 수 있는 분광 측색계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세퍼레이터의 WI는 분광 측색계(CM-2002, 미놀타사제)를 사용하고, SCI(Specular Component Include(정반사 광을 포함함))로 측정했다. 이 때, 흑색지(호쿠에츠 기슈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색 상질지, 흑색, 가장 두꺼운 종이(最厚口), 46판 T항목)를 세퍼레이터의 받침으로서 사용하여 WI를 측정했다.
또한, 상기 「다공질층의 표면」이란, 다공질층에 있어서 분광 측색계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광한 부분을 의미한다. 분광 측색계에 의한 상기 다공질층의 표면의 WI 및 YI의 측정은 사용하는 분광 측색계의 설명서를 따라서 행하면 되고, 측정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다공질층에 의한 반사광을 분광 측색계의 수광부에 모으기 쉽게 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다공질층을 흑색지 위에 적재하여 다공질층으로의 광의 조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55W/㎡의 UV 광의 조사는, 연속적인 UV 광 조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장치를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JIS B 7753에 규정되는 내광성 시험기 또는 내후성 시험기(예를 들어, 스가 시켕키 가부시키가이샤제, 선샤인 웨더미터 S8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UV 광의 조사는, 선샤인 카본 아크(울트라 롱 라이프 카본 4쌍) 광원으로 방전 전압 50V, 방전 전류 60A로 설정하고, 블랙 패널 온도 60℃, 상대 습도 50%의 조건 하, 시험편에 대하여, 75시간 조사함으로써 행한다.
도 8은, 다공질 필름(5)과, 다공질층(내열층(4))으로서의 아라미드층이 적층된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12aㆍ12b)으로서의 적층 세퍼레이터 장척이, 또한 다른 각종 포장재에 의해 포장된 경우에 있어서, 다공질층의 UV 광의 조사에 의한 변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준 샘플(기준 2) 및 샘플 4 내지 8에 있어서의 다공질층의 UV 광의 조사에 의한 변색의 정도는 ΔWI, ΔYI, WI 및 YI 값을 이용하여 평가를 행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샘플(기준 2)의 측정 결과는, 상술한 기준 샘플(기준 1)과는 다른 제조 로트의 적층 세퍼레이터의 다공질층 위에 포장재를 두지 않고 UV 광을 조사하여, 적층 세퍼레이터의 다공질층에 대해서만 측정을 행한 결과이다.
샘플 4의 측정 결과는, 적층 세퍼레이터의 다공질층 위에 반투명 플라스틱 골판지용 시트 2매를 둔 상태에서, 반투명 플라스틱 골판지용 시트측으로부터 UV 광을 조사하여 적층 세퍼레이터의 다공질층에 대하여 측정을 행한 결과이며, 샘플 5의 측정 결과는, 적층 세퍼레이터의 다공질층 위에 투명 플라스틱 골판지용 시트 1매(두께 4㎜, UV 흡수제 함유)를 둔 상태에서, 투명 플라스틱 골판지용 시트측으로부터 UV 광을 조사하여 적층 세퍼레이터의 다공질층에 대하여 측정을 행한 결과이며, 샘플 6의 측정 결과는, 적층 세퍼레이터의 다공질층 위에 투명 플라스틱 골판지용 시트 2매(두께 4㎜×2, UV 흡수제 함유)를 둔 상태에서, 투명 플라스틱 골판지용 시트측으로부터 UV 광을 조사하여 적층 세퍼레이터의 다공질층에 대하여 측정을 행한 결과이며, 샘플 7의 측정 결과는, 적층 세퍼레이터의 다공질층 위에 녹색 완충재 1매를 둔 상태에서, 녹색 완충재측에서 UV 광을 조사하여 적층 세퍼레이터의 다공질층에 대하여 측정을 행한 결과이며, 샘플 8의 측정 결과는, 적층 세퍼레이터의 다공질층 위에 녹색 완충재 2매를 둔 상태에서, 녹색 완충재측으로부터 UV 광을 조사하여 적층 세퍼레이터의 다공질층에 대하여 측정을 행한 결과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반투명 플라스틱 골판지용 시트 2매, 투명 플라스틱 골판지용 시트 1매, 투명 플라스틱 골판지용 시트 2매, 녹색 완충재 1매 및 녹색 완충재 2매의 파장 360㎚ 내지 390㎚에 있어서의 투과율(%)의 평균은, 각각 0.04%, 5.64%, 1.17%, 25.78% 및 8.99%였다. 또한, 반투명 플라스틱 골판지용 시트 2매, 투명 플라스틱 골판지용 시트 1매, 투명 플라스틱 골판지용 시트 2매, 녹색 완충재 1매 및 녹색 완충재 2매의 파장 360㎚ 내지 390㎚에 있어서의 흡광도의 평균은, 각각 3.45, 1.25, 1.93, 0.59 및 1.05였다.
또한, 적층 세퍼레이터의 다공질층의 일부가 변색되면, 특히 광학계 검사기ㆍ제어 장치의 사용에 있어서 특정 파장의 투과 광량 또는 반사 광량이 변화하기 때문에, 단위 면적당 중량 측정이나 필름 위치 측정에 있어서 오검지할 우려가 있다.
도 9의 (a)는 각 샘플에 있어서의 다공질층의 WI 값과, 포장재의 흡광도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9의 (b)는 각 샘플에 있어서의 다공질층의 WI 값과, 포장재의 투과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WI 값은 그 값이 음으로 클수록, 기준 샘플(기준 1 또는 2)보다 ΔWI가 작은, 즉 UV 광의 조사에 의해 발생하는 화이트 인덱스의 변화가 기준 샘플(기준 1 또는 2)보다 작은 것을 의미한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재의 360㎚ 내지 390㎚의 파장의 광에 대한 흡광도의 평균이 0.3 이상인 경우에 있어서, 다공질층의 WI 값이, 비교적 음으로 크다는 점에서, 포장재로서는, 360㎚ 내지 390㎚의 파장의 광에 대한 흡광도의 평균이 0.3 이상인 포장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광도의 평균이 0.8 부근에서, 다공질층의 WI 값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점에서, 포장재로서는, 360㎚ 내지 390㎚의 파장의 광에 대한 흡광도의 평균이 0.8 이상인 포장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재의 360㎚ 내지 390㎚의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의 평균이 50% 이하인 경우에 있어서, 다공질층의 WI 값이 비교적 음으로 크다는 점에서, 포장재로서는, 360㎚ 내지 390㎚의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의 평균이 50% 이하인 포장재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을 코어에 권회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가, 360㎚ 내지 390㎚의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의 평균이 50% 이하인 포장재로 포장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여도 된다. 또한, 상기 투과율의 평균이 25% 부근에서, 다공질층의 WI 값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점에서, 포장재로서는, 360㎚ 내지 390㎚의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의 평균이 25% 이하인 포장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의 (a)는 각 샘플에 있어서의 다공질층의 YI 값과 포장재의 흡광도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0의 (b)는 각 샘플에 있어서의 다공질층의 YI 값과 포장재의 투과율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YI 값은 그 값이 클수록, 기준 샘플(기준 1 또는 2)보다 ΔYI가 작은, 즉 UV 광의 조사에 의해 발생하는 옐로우 인덱스의 변화가 기준 샘플(기준 1 또는 2)보다 작은 것을 의미한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재의 360㎚ 내지 390㎚의 파장의 광에 대한 흡광도의 평균이 0.3 이상인 경우에 있어서, 다공질층의 YI 값이 비교적 크다는 점에서, 포장재로서는, 360㎚ 내지 390㎚의 파장의 광에 대한 흡광도의 평균이 0.3 이상인 포장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광도의 평균이 0.8 부근에서, 다공질층의 YI 값이 현저하게 커진다는 점에서, 포장재로서는, 360㎚ 내지 390㎚의 파장의 광에 대한 흡광도의 평균이 0.8 이상인 포장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재의 360㎚ 내지 390㎚의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의 평균이 50% 이하인 경우에 있어서, 다공질층의 YI 값이 비교적 크다는 점에서, 포장재로서는, 360㎚ 내지 390㎚의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의 평균이 50% 이하인 포장재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을 코어에 권회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가, 360㎚ 내지 390㎚의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의 평균이 50% 이하인 포장재로 포장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투과율의 평균이 25% 부근에서, 다공질층의 YI 값이 현저하게 커진다는 점에서, 포장재로서는, 360㎚ 내지 390㎚의 파장의 광에 대한, 실질적으로 포장재의 노출 면적의 대부분의 투과율의 평균이 25% 이하인 포장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포장재를 사용함으로써, 도 5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12Uㆍ12Lㆍ12P)에 있어서의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12aㆍ12b) 또는 다공질 세퍼레이터 원단(12O)의 외주면에 점착되어 있는 시일(20)(필름재)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12aㆍ12b) 또는 다공질 세퍼레이터 원단(12O)의 내주 부분에까지 이르는 변색 자국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12Uㆍ12L)에 있어서는,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12aㆍ12b)의 A면(다공질 필름(5)(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에 있어서의 내열층(4)과 접하는 면과 대향하는 표면)이 외측을 향하고, B면(다공질층(내열층(4))에 있어서의 다공질 필름(5)과 접하는 면과 대향하는 표면)이 내측을 향하도록,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12aㆍ12b)이 권취되어 있다(도 4의 (b) 참조).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질 필름(5)(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은, UV 광을 약화시켜 통과시키기 위하여, 다공질층에, 다공질 필름(5)보다도 UV 광에 의한 변색이 큰 재질의 수지(예를 들어,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는 고분자나 방향족 고분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12aㆍ12b)의 A면이 외측을 향하고, B면이 내측을 향하도록,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12aㆍ12b)이 권취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12Uㆍ12L)를 사용함으로써, 다공질층(내열층(4))의 변색을 더 억제할 수 있다.
〔정리〕
본 발명의 형태 1에 관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는,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을 코어에 권회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가, 360㎚ 내지 390㎚의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의 평균이 25% 이하인 포장재로 포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의 변색이나 열화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2에 관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는, 상기 형태 1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는, 360㎚ 내지 390㎚의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의 평균이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의 변색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3에 관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는, 상기 형태 1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는, 360㎚ 내지 390㎚의 파장의 광에 대한 흡광도의 평균이 0.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의 변색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4에 관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는, 상기 형태 1 내지 3 중 어느 것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에 있어서의 상기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의 외주면에는, 필름재가 점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의 외주면에 점착되어 있는 필름재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상기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의 내주 부분에까지 이르는 변색 자국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5에 관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는, 상기 형태 1 내지 4 중 어느 것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와, 다공질층이 적층된 적층 세퍼레이터 장척이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적층 세퍼레이터 장척을 구비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6에 관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는, 상기 형태 5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층은,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또는 방향족 고분자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또는 방향족 고분자를 포함하는 다공질층을 갖는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을 구비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7에 관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보관 방법은, 상기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를 상기 형태 1 내지 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로서 보관하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상기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에 구비된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의 변색이나 열화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8에 관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의 제조 방법은,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이 코어에 권회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를, 360㎚ 내지 390㎚의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의 평균이 25% 이하인 포장재로 포장하는 제조 방법이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상기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에 구비된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의 변색이나 열화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를 제조할 수 있다.
〔부기 사항〕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다른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조합함으로써, 새로운 기술적 특징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전지 등의 전지에 사용되는 세퍼레이터 권회체 등에 이용할 수 있다.
1: 리튬 이온 이차 전지
4: 내열층(다공질층)
5: 다공질 필름
6: 슬릿 장치
7: 절단 장치
12: 다공질 세퍼레이터
12a: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
12b: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
12U: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
12L: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
12O: 다공질 세퍼레이터의 원단
12P: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
20: 시일(필름재)
21: 포장재
22: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
23: 랙
24: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
l: 코어
u: 코어
c: 코어
MD: 세퍼레이터 장척 또는 세퍼레이터의 원단의 길이 방향
TD: 세퍼레이터 장척 또는 세퍼레이터의 원단의 횡단 방향
A면: 다공질 필름의 내열층과 접하는 면과 대향하는 표면
B면: 내열층의 다공질 필름과 접하는 면과 대향하는 표면

Claims (8)

  1.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을 코어에 권회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가, 360㎚ 내지 390㎚의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의 평균이 25% 이하인 포장재로 포장된 것이고, 상기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은,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와, 다공질층이 적층된 적층 세퍼레이터 장척이고, 상기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은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를 분리하고,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에 있어서의 리튬 이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는, 360㎚ 내지 390㎚의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의 평균이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는, 360㎚ 내지 390㎚의 파장의 광에 대한 흡광도의 평균이 0.8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에 있어서의 상기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의 외주면에는, 필름재가 점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층은 π 결합 또는 할로겐 원자를 갖는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로서 상기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를 보관하는,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보관 방법.
  7.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이 코어에 권회된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를, 360㎚ 내지 390㎚의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의 평균이 25% 이하인 포장재로 포장하는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은,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와, 다공질층이 적층된 적층 세퍼레이터 장척이고, 상기 다공질 세퍼레이터 장척은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를 분리하고,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에 있어서의 리튬 이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8. 삭제
KR1020170063220A 2016-05-26 2017-05-23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 그의 제조 방법 및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보관 방법 KR1023779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05234 2016-05-26
JPJP-P-2016-105234 2016-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223A KR20170134223A (ko) 2017-12-06
KR102377997B1 true KR102377997B1 (ko) 2022-03-24

Family

ID=60420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220A KR102377997B1 (ko) 2016-05-26 2017-05-23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 그의 제조 방법 및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보관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70341854A1 (ko)
JP (1) JP6912272B2 (ko)
KR (1) KR102377997B1 (ko)
CN (1) CN10744468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1330A1 (ja) * 2017-03-31 2018-10-04 東レ株式会社 微多孔膜の捲回体
KR102260429B1 (ko) * 2018-08-23 2021-06-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금속을 음극으로 사용하는 전고체 전지
CN111776832A (zh) * 2020-07-16 2020-10-16 湖北亿纬动力有限公司 一种极片收卷方式及薄膜分切收卷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58268A1 (en) * 2012-06-13 2015-06-11 Asahi Kasei E-Materials Corporation Function transfer product, functional layer transfer method, packed product, and function transfer film roll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0025A (en) * 1991-08-09 1992-11-03 Uarco Incorporated Battery shipping container
JPH0741058A (ja) * 1993-07-22 1995-0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鉛蓄電池の包装体
US5976686A (en) * 1997-10-24 1999-11-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iffuse reflective articles
DE69814096T2 (de) * 1998-11-10 2004-03-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incinnati Folie mit Eigenschaften hinsichtlich UV-Barriere
US6813094B2 (en) * 2002-03-11 2004-11-02 Eastman Kodak Company Surface formed complex polymer lenses diffuse reflector
US6898012B2 (en) * 2002-05-16 2005-05-24 Eastman Kodak Company Light reflector with variable diffuse light reflection
JP4141435B2 (ja) * 2004-12-02 2008-08-27 大王製紙株式会社 Bctmp配合シート包装体
CN201031024Y (zh) * 2007-02-14 2008-03-05 台湾励远实业有限公司 一种抗紫外线积层包装膜
JP2008307893A (ja) * 2007-05-14 2008-12-25 Sumitomo Chemical Co Ltd 積層多孔質フィルム
JP2010018350A (ja) * 2008-06-11 2010-01-28 Asahi Kasei E-Materials Corp フィルム梱包用補助部材
KR20110043587A (ko) * 2008-07-01 2011-04-27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감광성 조성물이 충전된 용기를 포장하기 위한 포장체
JP5189048B2 (ja) * 2009-08-07 2013-04-24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捲回体
JP2012182084A (ja) * 2011-03-02 2012-09-20 Toyota Motor Corp 非水電解質二次電池
WO2012147665A1 (ja) * 2011-04-28 2012-11-01 株式会社クラレ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重合体フィルムの包装体
KR101830557B1 (ko) * 2013-09-30 2018-02-20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차광된 롤 형상 필름, 차광된 롤 형상 필름의 제조 방법, 열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롤 형상 필름, 열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롤 형상 필름의 제조 방법, 하드 코트 필름, 하드 코트 필름의 제조 방법,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JP6458338B2 (ja) * 2013-11-01 2019-01-30 凸版印刷株式会社 二次電池用外装材、二次電池、及び二次電池用外装材の製造方法
CN103754503A (zh) * 2013-12-23 2014-04-30 佛山龙塑工业塑胶有限公司 带外包装的pvc卷膜及其包装方法
JP3194816U (ja) 2014-09-29 2014-12-11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ロールラック
CN106920911B (zh) * 2014-10-10 2019-04-30 住友化学株式会社 电池用分离器缠绕体的制造方法及制造装置
US20160107009A1 (en) * 2014-10-15 2016-04-21 GelTech Solutions, Inc. Fire suppression packaging and method of manufacture
JP6197965B2 (ja) * 2014-11-27 2017-09-20 住友化学株式会社 多孔質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20190027727A1 (en) * 2016-04-15 2019-01-24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Long porous separator sheet, roll of the sam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lithium-ion battery
CN107529343B (zh) * 2016-04-15 2019-12-10 住友化学株式会社 多孔质间隔件条带及其制造方法、卷绕体及锂离子电池
JP6665246B2 (ja) * 2017-09-05 2020-03-13 住友化学株式会社 二次電池用電極アセンブリおよび二次電池用電極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58268A1 (en) * 2012-06-13 2015-06-11 Asahi Kasei E-Materials Corporation Function transfer product, functional layer transfer method, packed product, and function transfer film ro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12272B2 (ja) 2021-08-04
US20170341854A1 (en) 2017-11-30
CN107444687A (zh) 2017-12-08
JP2017216228A (ja) 2017-12-07
KR20170134223A (ko) 201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84587A1 (en) Laminated multilayer membranes, separators, batteries, and methods
KR102377997B1 (ko)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포장체, 그의 제조 방법 및 다공질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보관 방법
US20160268570A1 (en) Laminated porous film,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separator,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CN108025539B (zh) 叠层多孔膜、非水电解质二次电池用隔板、非水电解质二次电池、以及叠层多孔膜的制造方法
JP5207569B2 (ja) リチウム電池用セパレータ
KR20150020548A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다공성 필름
KR102344272B1 (ko) 적층 세퍼레이터 권회체
JP6645512B2 (ja) 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875116B2 (ja) フィルム製造方法およびフィルム巻出方法
TW201843865A (zh) 微多孔膜之捲繞體
CN108604657B (zh) 隔膜的卷曲量测定方法、分切装置及卷曲量测定装置
KR101891453B1 (ko)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
WO2017179214A1 (ja) 多孔質セパレータ長尺、その製造方法、捲回体及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
JP2023548502A (ja) 単位セル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