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576B1 - 액체 수용체 및 액체 분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액체 수용체 및 액체 분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576B1
KR102377576B1 KR1020187033576A KR20187033576A KR102377576B1 KR 102377576 B1 KR102377576 B1 KR 102377576B1 KR 1020187033576 A KR1020187033576 A KR 1020187033576A KR 20187033576 A KR20187033576 A KR 20187033576A KR 102377576 B1 KR102377576 B1 KR 102377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ase
receptor
liquid container
electric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0559A (ko
Inventor
히로유키 가와테
아키히로 도야
요시아키 시미즈
미키노리 사와이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0643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720994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06433A external-priority patent/JP681907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0643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720994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58399A external-priority patent/JP6702077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10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41J2/17523Ink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41J2/17509Whilst mounted 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6Electrical contacts to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6Electrical contacts to the cartridge
    • B41J2/1753Details of contacts on the cartridge, e.g. protection of cont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3Out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41J2002/17516Inner structure comprising a collapsible ink holder, e.g. a flexible bag

Landscapes

  • Ink Jet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액체 수용체의 액체 분사 장치에 대한 장착 자세를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액체 수용체는, 가요성을 갖고,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접속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접속 부재에는, 액체 도입부가 삽입되는 액체 도출구와, 장치측 전기 접속부로부터 적어도 +Z 방향의 힘을 받으면서, 상기 장치측 전기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와, 제 1 위치결정부를 받아들이는 제 1 수입부와, 제 2 위치결정부를 받아들이는 제 2 수입부와, 케이스의 볼록부가 수용되는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와 상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는, 상기 장착 상태의 자세에 있어서 Z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장착 상태의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의 상기 Z 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Y 방향에 있어서의 폭, 및 X 방향에 있어서의 폭보다 작다.

Description

액체 수용체 및 액체 분사 시스템
본 발명은 액체 수용체 및 액체 분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액체 수용체의 일 태양으로서는, 이른바 잉크 팩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3). 잉크 팩은, 액체 분사 장치의 일 태양인 잉크젯 프린터(이하, 간략히 "프린터"라고도 함)에 공급하는 잉크를 가요성을 갖는 수용체에 수용하고 있다. 잉크 팩이 장착되는 프린터에는, 잉크 팩이 배치되는 트레이 등의 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이 있다. 그러한 프린터에서는, 잉크 팩을 케이스에 배치하고, 케이스와 함께 잉크 팩을 프린터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잉크 팩과 프린터 사이의 잉크의 공급 경로나, 전기적인 통신 경로가 확립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9-279876호 공보 국제 공개 제 WO 2013/105504 호 팜플렛 일본 특허 공개 제 2014-240182호 공보
잉크 팩은, 프린터에 대하여, 미리 정해져 있는 적절한 자세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장착 자세가 적절하지 않으면 프린터의 잉크의 공급 경로 및 전기적인 통신 경로의 확립을 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잉크의 공급 경로 및 전기적인 통신 경로의 접속 상태가 불안정하게 되고, 시간의 경과와 함께, 그 접속 상태가 악화되어 버리는 경우도 우려된다. 그 이외에도 프린터와의 접속시에, 프린터측의 구성부에 대한 접촉에 의해 과도한 응력이 발생하여, 손상·열화가 생겨 버릴 가능성도 있다. 잉크 팩의 프린터에 대한 장착 자세를 개선하는 것에 대해서는, 종래부터, 연구를 거듭해오고 있지만,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있다. 이러한 과제는, 잉크 팩, 및 잉크 팩과 프린터를 구비하는 인쇄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으며, 액체 수용체, 및 액체 수용체와 액체 분사 장치를 구비하는 액체 분사 시스템에 있어서 공통되는 과제이다.
본 발명은 상술의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이하의 형태로 하여 실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1]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의하면, 액체 분사 장치에 장착되는 액체 수용체가 제공된다. 중력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Z 방향으로 하고, 상기 Z 방향 중 상기 중력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Z 방향으로 하고, 상기 Z 방향 중 상기 중력 방향과 반대의 방향을 -Z 방향으로 하고, 상기 Z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Y 방향으로 하고, 상기 Y 방향 중 하나의 방향을 +Y 방향으로 하고, 상기 Y 방향 중 다른 방향을 -Y 방향으로 하고, 상기 Z 방향과 상기 Y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X 방향으로 하고, 상기 X 방향 중 하나의 방향을 +X 방향으로 하고, 상기 X 방향 중 다른 방향을 -X 방향이라 정의한다. 상기 액체 분사 장치는 하우징과, 케이스와, 장치측 고정 구조와, 액체 도입부와, 장치측 전기 접속부와, 제 1 위치결정부와, 제 2 위치결정부를 구비하여도 좋다. 상기 하우징은, 케이스 수납부가 내부에 마련되어도 좋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Y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케이스 수납부에 삽입되어도 좋다. 상기 케이스는 볼록부와, 케이스측 고정 구조를 구비해도 좋다. 상기 볼록부는 상기 +Y 방향측의 단부에 있어서 상기 -Z 방향측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케이스측 고정 구조는 상기 볼록부의 내부 공간을 포함하여도 좋다. 상기 케이스측 고정 구조는, 상기 케이스가 상기 케이스 수납부에 장착된 케이스 수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Z 방향측을 향하는 힘을 부여한 상태에서, 상기 장치측 고정 구조에 결합하여, 상기 케이스의 상기 -Y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여도 좋다. 상기 액체 도입부는 상기 케이스 수납부의 상기 +Y 방향측의 단부에 위치하여도 좋다. 상기 장치측 전기 접속부는 상기 케이스 수납부의 상기 +Y 방향측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제 1 위치결정부 및 상기 제 2 위치결정부는 상기 케이스 수납부의 상기 +Y 방향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Y 방향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액체 도입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X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액체 수용체는 상기 액체 분사 장치의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 상기 액체 수용체는 수용부와, 접속 부재를 구비하여도 좋다. 상기 수용부는 가요성을 갖고, 액체를 수용하여도 좋다.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액체 수용체가 상기 액체 분사 장치에 장착된 장착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Y 방향측의 단부에 위치하여도 좋다. 상기 접속 부재에는, 액체 도출구와,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와, 제 1 수입부와, 제 2 수입부와, 오목부가 마련되어도 좋다. 상기 액체 도출구는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Y 방향으로 상기 액체 도입부가 삽입되어도 좋다. 상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는,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장치측 전기 접속부로부터 적어도 상기 +Z 방향의 성분을 갖는 힘을 받으면서, 상기 장치측 전기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촉하여도 좋다. 상기 제 1 수입부는 상기 장착 상태에서 상기 제 1 위치결정부를 받아들여도 좋다. 상기 제 2 수입부는 상기 장착 상태에서 상기 제 2 위치결정부를 받아들여도 좋다. 상기 오목부는 상기 장착 상태에서 상기 -Z 방향으로 움푹해져 있으며, 상기 케이스의 상기 볼록부가 수용되어도 좋다. 상기 오목부와 상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는, 상기 장착 상태의 자세에 있어서 상기 Z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도 좋다. 상기 장착 상태의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의 상기 Z 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상기 Y 방향에 있어서의 폭, 및 상기 X 방향에 있어서의 폭보다 작아도 좋다.
이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의하면,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가 장치측 전기 접속부로부터 받는 +Z 방향의 힘의 적어도 일부가, 케이스의 결합 상태를 형성하기 위해서 장치측 고정 구조가 케이스측 고정 구조에 부여하는 -Z 방향의 힘에 의해 저감된다. 따라서, 액체 수용체에 부여되는 Z 방향의 힘의 성분이 저감되어, 액체 수용체의 배치 자세가 적정한 자세로부터 Z 방향으로 어긋나 버리는 것이 억제되고, 액체 분사 장치에 대한 액체 수용체의 접속 상태가 개선된다. 또한, 액체 수용체의 배치 자세의 악화에 의해 액체 분사 장치와 액체 수용체의 접속 부위에 불필요한 응력이 생겨 버리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상기 접속 부위의 손상·열화가 억제된다. 또한, 이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의하면, 장착 상태의 자세에 있어서, Z 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다른 X 방향 및 Y 방향에 있어서의 폭보다 작기 때문에, 액체 수용체의 케이스 상에서의 배치 자세가 보다 안정화된다. 따라서, 액체 분사 장치에 대한 액체 수용체의 접속 상태가 더욱 개선된다.
[2] 상기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는,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장치측 전기 접속부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고, 상기 접촉면의 법선 벡터는, 상기 액체 수용체가 상기 장착 상태의 자세가 되었을 때에, 상기 -Z 방향의 벡터 성분과 상기 +Y 방향의 벡터 성분을 구비해도 좋다. 이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의하면, 케이스가 +Y 방향으로 이동할 때의 힘을 이용하여,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와 장치측 전기 접속부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형성할 수 있어서,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와 장치측 전기 접속부의 전기적인 접속성을 높일 수 있다.
[3] 상기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장착 상태의 자세가 되었을 때에, 상기 제 1 수입부는, 상기 액체 도출구에 대하여 상기 -X 방향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수입부는 상기 액체 도출구에 대하여 상기 +X 방향측에 위치하여도 좋다. 이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의하면, 액체 분사 장치에 대한 액체 수용체의 장착시에, 한쌍의 위치결정부와 한쌍의 수입부에 의해, 액체 분사 장치의 액체 도입부에 대한 액체 수용체의 액체 도출구의 X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결정 정밀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액체 도입부와 액체 도출구의 접속성이 개선된다.
[4] 상기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 및 상기 오목부는, 상기 장착 상태의 자세가 되었을 때에, 상기 X 방향에 있어서, 상기 액체 도출구와 상기 제 1 수입부 사이에 위치하여도 좋다. 이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의하면, 한쌍의 위치결정부와 한쌍의 수입부에 의해, 액체 도입부에 대한 액체 도출구의 X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결정 정밀도와 함께, 장치측 전기 접속부에 대한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의 위치결정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액체 도출구와 액체 도입부의 접속성과, 장치측 전기 접속부와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의 전기적 접속성이 개선된다. 또한, 액체 도출구와 제 1 수입부 사이에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 및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는 만큼, 제 1 수입부와 제 2 수입부 사이의 X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가 커져, 한쌍의 위치결정부와 한쌍의 수입부에 의한 위치결정 정밀도가 보다 높아진다.
[5] 상기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입부는 상기 제 1 위치결정부가 관통삽입되는 제 1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제 2 수입부는 상기 제 2 위치결정부가 관통삽입되는 제 2 개구부를 갖고, 상기 장착 상태의 자세에 있어서, 상기 제 2 개구부의 상기 X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은 상기 제 1 개구부의 상기 X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보다 커도 좋다. 이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의하면, 제 2 수입부에 제 2 위치결정부가 삽입되어, 위치결정이 개시될 때의 X 방향의 각도에 여유를 갖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액체 분사 장치에 대한 액체 수용체의 접속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여유에 의해, 액체 분사 장치와 액체 수용체의 접속시에, 그들 접촉 부위에 생기는 응력을 완화시킬 수도 있다.
[6]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의하면, 액체 분사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액체 분사 시스템은 액체 분사 장치와, 액체 수용체를 구비하여도 좋다. 중력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Z 방향으로 하고, 상기 Z 방향 중 상기 중력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Z 방향으로 하고, 상기 Z 방향 중 상기 중력 방향과 반대의 방향을 -Z 방향으로 하고, 상기 Z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Y 방향으로 하고, 상기 Y 방향 중 하나의 방향을 +Y 방향으로 하고, 상기 Y 방향 중 다른 방향을 -Y 방향으로 하고, 상기 Z 방향과 상기 Y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X 방향으로 하고, 상기 X 방향 중 하나의 방향을 +X 방향으로 하고, 상기 X 방향 중 다른 방향을 -X 방향이라 정의한다. 상기 액체 분사 장치는 하우징과, 케이스와, 장치측 고정 구조와, 액체 도입부와, 장치측 전기 접속부와, 제 1 위치결정부와, 제 2 위치결정부를 구비하여도 좋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케이스 수납부가 마련되어도 좋다.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Y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케이스 수납부에 삽입되어도 좋다. 상기 케이스는 볼록부와, 케이스측 고정 구조를 구비해도 좋다. 상기 볼록부는 상기 +Y 방향측의 단부에 있어서 상기 -Z 방향측으로 돌출되어도 좋다. 상기 케이스측 고정 구조는 상기 볼록부의 내부 공간을 포함하여도 좋다. 상기 장치측 고정 구조는, 상기 케이스가 상기 케이스 수납부에 장착된 케이스 수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Z 방향측을 향하는 힘을 부여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측 고정 구조에 결합하여, 상기 케이스의 상기 -Y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여도 좋다. 상기 액체 도입부는 상기 케이스 수납부의 상기 +Y 방향측의 단부에 위치하여도 좋다. 상기 장치측 전기 접속부는 상기 케이스 수납부의 상기 +Y 방향측의 단부에 위치하여도 좋다. 상기 제 1 위치결정부 및 상기 제 2 위치결정부는 상기 케이스 수납부의 상기 +Y 방향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Y 방향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액체 도입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X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액체 수용체는 상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 상기 액체 수용체는 수용부와, 접속 부재를 구비하여도 좋다. 상기 수용부는 가요성을 갖고, 액체를 수용하여도 좋다.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액체 수용체가 상기 액체 분사 장치에 장착된 장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Y 방향측의 단부에 위치하여도 좋다. 상기 접속 부재에는, 액체 도출구와,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와, 제 1 수입부와, 제 2 수입부와, 오목부가 마련되어도 좋다. 상기 액체 도출구는,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Y 방향으로 상기 액체 도입부가 삽입되어도 좋다. 상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는,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장치측 전기 접속부로부터 적어도 상기 +Z 방향의 성분을 가지는 힘을 받으면서, 상기 장치측 전기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촉하여도 좋다. 상기 제 1 수입부는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결정부를 받아들여도 좋다. 상기 제 2 수입부는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치결정부를 받아들여도 좋다. 상기 오목부는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Z 방향으로 움푹해져 있으며, 상기 케이스의 상기 볼록부가 수용되어도 좋다. 상기 오목부와 상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는, 상기 장착 상태의 자세에 있어서 상기 Z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도 좋다. 상기 장착 상태의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의 상기 Z 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상기 Y 방향에 있어서의 폭, 및 상기 X 방향에 있어서의 폭보다 작아도 좋다.
이 형태의 액체 분사 시스템에 의하면,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가 장치측 전기 접속부로부터 받는 +Z 방향의 힘의 적어도 일부가, 케이스의 결합 상태를 형성하기 위해서 장치측 고정 구조가 케이스측 고정 구조에 부여하는 -Z 방향의 힘에 의해 저감된다. 따라서, 액체 수용체에 부여되는 Z 방향의 힘의 성분이 저감되어, 액체 수용체의 배치 자세가 적정한 자세로부터 Z 방향으로 어긋나 버리는 것이 억제되고 액체 분사 장치에 대한 액체 수용체의 접속 상태가 개선된다. 또한, 액체 수용체의 배치 자세의 악화에 의해 액체 분사 장치와 액체 수용체의 접속 부위에 불필요한 응력이 생겨 버리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상기 접속 부위의 손상·열화가 억제된다. 또한, 이 형태의 액체 분사 시스템에 의하면, 장착 상태의 자세에 있을 때의 액체 수용체의 Z 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다른 X 방향 및 Y 방향에 있어서의 폭보다 작기 때문에, 액체 수용체의 케이스 상에서의 배치 자세가 보다 안정화된다. 따라서, 액체 분사 장치에 대한 액체 수용체의 접속 상태가 더욱 개선된다.
[7] 상기 형태의 액체 분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는,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장치측 전기 접속부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고, 상기 접촉면의 법선 벡터는, 상기 액체 수용체가 상기 장착 상태의 자세가 되었을 때에, 상기 -Z 방향의 벡터 성분과 상기 +Y 방향의 벡터 성분을 구비해도 좋다. 이 형태의 액체 분사 시스템에 의하면, 케이스가 +Y 방향으로 이동할 때의 힘을 이용하여,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와 장치측 전기 접속부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형성할 수 있어서,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와 장치측 전기 접속부의 전기적인 접속성을 높일 수 있다.
[8] 상기 형태의 액체 분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가 상기 장착 상태의 자세가 되었을 때에, 상기 제 1 수입부는 상기 액체 도출구에 대하여 상기 -X 방향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수입부는 상기 액체 도출구에 대하여 상기 +X 방향측에 위치하여도 좋다. 이 형태의 액체 분사 시스템에 의하면, 액체 분사 장치에 대한 액체 수용체의 장착시에, 한쌍의 위치결정부와 한쌍의 수입부에 의해, 액체 분사 장치의 액체 도입부에 대한 액체 수용체의 액체 도출구의 X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결정 정밀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액체 도입부와 액체 도출구의 접속성이 개선된다.
[9] 상기 형태의 액체 분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 및 상기 오목부는, 상기 액체 수용체가 상기 장착 상태의 자세가 되었을 때에, 상기 X 방향에 있어서, 상기 액체 도출구와 상기 제 1 수입부 사이에 위치하여도 좋다. 이 형태의 액체 분사 시스템에 의하면, 한쌍의 위치결정부와 한쌍의 수입부에 의해, 액체 도입부에 대한 액체 도출구의 X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결정 정밀도와 함께, 장치측 전기 접속부에 대한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의 위치결정 정밀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액체 도입부와의 접속성 및 장치측 전기 접속부 및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의 전기적 접속성이 개선된다. 또한, 액체 도출구와 제 1 수입부 사이에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 및 오목부를 마련하기 때문에, 제 1 수입부와 제 2 수입부 사이의 X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를 크게 취하는 것에 의해, 한쌍의 위치결정부와 한쌍의 수입부에 의한 X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결정 정밀도가 보다 높아진다.
[10] 상기 형태의 액체 분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입부는 상기 제 1 위치결정부가 관통삽입되는 제 1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제 2 수입부는 상기 제 2 위치결정부가 관통삽입되는 제 2 개구부를 갖고,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액체 수용체의 자세에 있어서, 상기 제 2 개구부의 상기 X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은 상기 제 1 개구부의 상기 X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보다 커도 좋다. 이 형태의 액체 분사 시스템에 의하면, 제 2 수입부에 제 2 위치결정부가 삽입될 때의 X 방향의 각도에 여유를 갖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액체 분사 장치에 대한 액체 수용체의 접속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여유에 의해, 액체 분사 장치와 액체 수용체의 접속시에, 그들 접촉 부위에 생기는 응력을 완화시킬 수도 있다.
[11] 상기 형태의 액체 분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장치측 고정 구조와 상기 케이스측 고정 구조는, 서로 결합된 결합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케이스가 상기 +Y 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상기 결합 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케이스의 상기 -Y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 액체 분사 시스템에 의하면, 액체 분사 장치에 대한 액체 수용체의 착탈 조작이 간이화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리성이 높아진다.
상술한 본 발명의 각 형태가 갖는 복수의 구성 요소는 전부 필수가 아니며, 상술의 과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기 위해,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달성하기 위해, 적절히,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의 일부에 대하여 그 변경, 삭제, 새로운 다른 구성 요소와의 교체, 한정 내용의 일부 삭제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의 과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기 위해,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달성하기 위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포함되는 기술적 특징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포함되는 기술적 특징의 일부 또는 전부와 조합하여, 본 발명의 독립된 하나의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액체 수용체 및 액체 분사 시스템 이외의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액체 분사 장치나 액체 분사 장치에 있어서의 액체 수용체의 접속 방법 및 접속 구조 등의 형태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대해서는, "시스템"은 복수의 구성 요소가 1개 또는 복수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서로 연계되어 있는 구성 태양을 의미한다. "시스템"에는, 복수의 구성 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멀어진 장소에 배치되며 연계되어 있는 태양 뿐만이 아니라, 단일의 장치 내에서, 복수의 구성 요소가 서로 연계되어 있는 태양도 포함된다.
도 1은 액체 분사 장치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액체 분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제 1 개략도.
도 3은 액체 분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제 2 개략도.
도 4는 액체 공급부를 뽑아내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5는 액체 공급부가 구비하는 접속 수입부를 뽑아내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6은 제 1 케이스에 배치된 상태의 제 1 액체 수용체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7은 제 1 케이스로부터 제 1 액체 수용체를 뽑아낸 상태를 도시하는 제 1 개략 분해 사시도.
도 8은 제 1 케이스로부터 제 1 액체 수용체를 뽑아낸 상태를 도시하는 제 2 개략 분해 사시도.
도 9a는 제 1 케이스의 접속 부재의 근방을 뽑아내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9b는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의 근방을 뽑아내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10a 제 1 케이스의 덮개 부재를 도시하는 제 1 개략 사시도.
도 10b는 제 1 케이스의 덮개 부재를 도시하는 제 2 개략 사시도.
도 11은 제 1 케이스의 전면 벽부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2는 제 1 케이스의 저면 벽부의 하면측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13은 제 2 케이스에 배치된 상태의 제 2 액체 수용체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14는 제 2 케이스로부터 제 2 액체 수용체를 뽑아낸 상태를 도시하는 제 1 개략 분해 사시도.
도 15는 제 2 케이스로부터 제 2 액체 수용체를 뽑아낸 상태를 도시하는 제 2 개략 분해 사시도.
도 16은 제 2 케이스에 배치된 상태의 제 2 액체 수용체를 -Y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개략도.
도 17은 제 2 케이스의 전면 벽부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8은 제 2 케이스의 저면 벽부의 하면측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19는 접속 수입부에 대한 액체 수용체의 장착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0a는 피결합부에 대한 결합부의 결합이 완료될 때까지의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0b는 결합부와 피결합부의 결합 상태를 해제할 때의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1a는 액체 수용체를 포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 1 모식도.
도 21b는 액체 수용체를 포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 2 모식도.
도 22는 제 2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23은 제 3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24는 제 4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25는 제 5 실시형태의 케이스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26은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수용체 및 케이스를 도시하는 제 1 개략도.
도 27은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수용체 및 케이스를 도시하는 제 2 개략도.
도 28은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수용체 및 케이스를 도시하는 제 3 개략도.
도 29는 제 7 실시형태로서의 액체 수용체와 케이스의 제 1 조합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30은 제 7 실시형태로서의 액체 수용체와 케이스의 제 2 조합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31은 제 7 실시형태로서의 액체 수용체와 케이스의 제 3 조합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A. 제 1 실시형태:
본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액체 분사 장치(10)의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도 6 내지 도 20b를 참조하여, 액체 분사 장치(10)에 장착되는 액체 수용체(100)의 구성을 액체 수용체(100)의 장착에 이용되는 케이스(61)의 구성과 함께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액체 수용체(100)가 장착된 상태의 액체 분사 장치(10)를 "액체 분사 시스템(11)"이라 한다.
A1. 액체 분사 장치의 구성:
[액체 분사 장치의 외관 구성]
도 1은 액체 분사 시스템(11)을 구성하는 액체 분사 장치(10)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에는, 서로 직교하는 3개의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X, Y, Z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화살표 X, Y, Z는, 도 1에 대응시켜,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는 다른 각 도면에도, 적절히, 도시되어 있다.
화살표 X, Y, Z가 나타내는 방향은 통상의 사용 상태에 있을 때의 액체 분사 장치(10)의 배치 자세에 대응하고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의 통상의 사용 상태란, 액체 분사 장치(10)가 수평면에 배치되어 사용될 때 상태를 의미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화살표 X, Y, Z가 나타내는 방향을 각각 "X 방향", "Y 방향", "Z 방향"이라 한다. 각 X 방향 중, 하나의 방향을 "+X 방향"이라 하고, 다른 방향을 "-X 방향"이라 한다. Y, Z 방향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하나의 방향을 "+Y 방향" 및 "+Z 방향"이라 하고, 다른 방향을 "-Y 방향" 및 "-Z 방향"이라 한다.
X, Y, Z 방향에 대하여, Z 방향, Y 방향, X 방향의 순서대로 설명한다. Z 방향은 중력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Z 방향은 중력 방향이며, -Z 방향은 중력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이다. Z 방향은 액체 분사 장치(10)의 상하 방향(높이 방향)과 일치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액체 분사 장치(10)에 관하여 "상"또는 "하"라고 할 때는,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화살표 Z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하 방향을 의미하고 있으며, "상"은 -Z 방향을 의미하며, "하"는 +Z 방향을 의미하고 있다.
Y 방향은 액체 분사 장치(10)의 전후 방향(깊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Y 방향은 액체 분사 장치(10)의 전면측으로부터 배면측을 향하는 방향이며, -Y 방향은, 반대로, 액체 분사 장치(10)의 배면측으로부터 정면측을 향하는 방향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액체 분사 장치(10)에 관하여 "전" 혹은 "후"라 할 때는,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화살표 Y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전후 방향을 의미하고 있으며, "전"은 -Y 방향을 의미하며, "후"는 +Y 방향을 의미하고 있다.
X 방향은 액체 분사 장치(10)의 좌우 방향(폭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X 방향은 액체 분사 장치(10)의 전면에 정대했을 때에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하는 방향과 일치하며, -X 방향은, 반대로,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는 방향과 일치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액체 분사 장치(10)에 관하여 "우" 혹은 "좌"라 할 때는,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화살표 X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좌우 방향을 의미하고 있으며, "우"는 -X 방향을 의미하며, "좌"는 +X 방향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액체 분사 장치(10)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성 요소(케이스(61)나 액체 수용체(100) 등)의 설명에 있어서의 X, Y, Z 방향은, 모두 통상의 사용 상태에 있을 때의 액체 분사 장치(10)에 적절히 장착된 장착 상태에서의 자세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분사 장치(10)는 잉크젯 프린터이며, 액체 분사 시스템(11)은 잉크젯 방식의 인쇄 시스템이다. 본 실시형태의 액체 분사 장치(10)에 있어서 분사에 의해 소비되는 액체는 잉크이다. 액체 분사 장치(10)는, 잉크 방울을 토출하여, 처리 대상인 매체에 잉크 도트를 기록하는 것에 의해 화상을 형성한다. 상기의 매체는, 예를 들면 인쇄 용지이다. 본 실시형태의 액체 분사 장치(10)는, 액체 분사 장치(10)의 외장을 구성하는 수지제의 중공 상자체인 하우징(10c)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c)은 대략 직방체 형상을 갖는다. -Y 방향측을 향하며, 사용자가 액체 분사 장치(10)를 조작할 때에 정대되는 것이 상정되는 전면부(12)에는, 조작부(13)와, 매체 배출구(14)와, 매체 받이부(15)와, 매체 수납구(16)와, 매체 수납부(17)와, 커버 부재(18)가 마련되어 있다.
조작부(13)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3i)와, 사용자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복수의 조작 버튼(13b)을 갖는다. 매체 배출구(14)는 액체 분사 장치(10)의 내부로부터 계속 내보내는 매체의 출구이다. 매체 배출구(14)는 X 방향으로 폭이 넓은 슬릿 형상의 개구부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Y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매체 받이부(15)는, 매체 배출구(14)의 하측에 있어서 -Y 방향으로 차양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매체 배출구(14)로부터 배출된 매체를 받아들인다.
매체 수납구(16)는 사용자가 액체 분사 장치(10)에 대하여 매체를 보급하기 위한 개구부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매체 수납구(16)는, 매체 받이부(15)의 하방에 있어서, -Y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X 방향으로 폭이 넓은 대략 장방형의 개구 형상을 갖고 있다. 매체 수납부(17)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처리 대상 매체인 매체의 스톡을 수납하는 트레이 형상의 부재이다. 매체 수납부(17)는, 그 전면이 매체 수납구(16)를 거쳐서 액체 분사 장치(10)의 외부로부터 보이는 상태에서, 매체 수납구(16)에 수납되어 있다. 사용자는, 매체 수납구(16)를 거쳐서 액체 분사 장치(10)로부터 -Y 방향으로 인출된 매체 수납부(17)에 매체를 수납하고, 다시, 매체 수납구(16)로부터 매체 수납부(17)를, 매체 수납구(16)에 장전하는 것에 의해, 액체 분사 장치(10)에 매체를 보급할 수 있다.
커버 부재(18)는 액체 분사 장치(10)의 외장의 일부를 구성하는 수지제의 판 형상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 부재(18)는 X 방향으로 폭이 넓은 대략 장방형 형상을 갖고 있으며, 매체 수납구(16)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커버 부재(18)는, 그 외주연에 클로부(도시는 생략)를 갖고, 하우징(10c)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커버 부재(18)는 액체 분사 장치(10)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복수의 액체 수용체(100)를 피복하여 보호한다.
[액체 분사 장치의 내부 구성]
도 2 내지 도 5를 순서대로 참조하여 액체 분사 장치(10)의 내부 구성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 2는 하우징(10c) 및 커버 부재(18)를 없애고 액체 분사 장치(10)를 +Y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개략도이다. 도 2에는, 액체 분사 장치(10)의 주요한 구성 요소 중, 제어부(20)와, 분사 실행부(30)와, 매체 반송부(35)와, 액체 공급부(40)와, 케이스 수납부(60)를 뽑아내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하우징(10c) 및 커버 부재(18)를 제거하고 액체 분사 장치(10)를 +Z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개략도이다. 도 3에서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제어부(20)와 분사 실행부(30)와 매체 반송부(35)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편의상, 복수의 액체 수용체(100)를 각각, 액체 분사 장치(10)에 대한 장착이 완료되어 있는 장착 위치인 배치 영역(LA)으로부터 케이스(61)와 함께 -Y 방향으로 인출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는 제어부(20)와, 분사 실행부(30)와, 매체 반송부(35)와, 액체 공급부(40)와, 케이스 수납부(60)를 구비하고 있다(도 2). 액체 분사 장치(10)에서는, 액체 공급부(40)의 공급 배관(42)을 거쳐서, 케이스 수납부(60)에 수납되어 있는 액체 수용체(100)로부터 분사 실행부(30)에 액체가 공급된다. 그리고, 매체 반송부(35)가 매체 수납부(17)로부터 계속 내보내어 반송하고 있는 매체(MP)에 분사 실행부(30)가 액체를 토출하는 것에 의해, 매체(MP)에 인쇄 화상이 형성된다. 제어부(20), 분사 실행부(30), 매체 반송부(35), 액체 공급부(40) 및 케이스 수납부(60)에 대하여 순서대로 설명한다.
[제어부]
제어부(20)는 액체 분사 장치(10)에 있어서의 각 구성부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20)는, 적어도, 중앙 처리 장치와, 주 기억 장치를 구비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며, 중앙 처리 장치가 주 기억 장치에 여러 가지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것에 의해 여러 가지의 기능을 발휘한다. 제어부(20)의 기능에 대해서는 순차 설명한다.
[분사 실행부]
분사 실행부(30)는 헤드부(31)와, 복수의 튜브(32)를 구비한다(도 2). 헤드부(31)는, 복수의 튜브(32)를 거쳐서, 액체 공급부(40)로부터 액체의 공급을 받는다. 액체 공급부(40)로부터의 액체의 공급 기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헤드부(31)는 액체 공급부(40)로부터 공급된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실(도시는 생략)을 구비한다. 상기 액체실의 저면에는, 하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노즐(33)이 마련되어 있다. 헤드부(31)는, 제어부(20)의 제어 하에서, 예를 들면 피에조 소자에 의한 잉크로의 압력의 인가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액체실의 액체를 노즐(33)로부터 토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헤드부(31)는 캐리지(34)에 탑재되어 있으며, 제어부(20)의 제어 하에 있어서, X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는, 헤드부(31)의 이동 방향 및 이동 범위를 나타내는 양 화살표(PS)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분사 장치(10)의 주 주사 방향은 X 방향과 일치한다. 분사 실행부(30)는, 헤드부(31)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기구로서 캐리지(34)가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 축과,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그 구동력을 전달하는 풀리를 구비한다. 또한, 그들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헤드부(31)에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튜브(32)는 가요성을 갖고 있다. 복수의 튜브(32)는 Y 방향으로 병렬로 배열되어 있다. 복수의 튜브(32)는, 후술하는 액체 공급부(40)의 공급 배관(42)과의 접속 부위인 이음부(43)로부터 헤드부(31)의 주사 경로를 따라서 +X 방향으로 대략 직선 형상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상방을 향하여 만곡되며 -X 방향으로 되접혀 헤드부(31)에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튜브(32)의 만곡 부위(32r)는 헤드부(31)의 이동에 따라서 X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에 의해, 헤드부(31)의 주 주사가 복수의 튜브(32)에 저해되어 버리는 것이 억제되어, 헤드부(31)의 이동 동작이 원활화되어 있다.
[매체 반송부]
매체 반송부(35)는, 제어부(20)의 제어 하에서, 처리 대상인 매체(MP)를 반송한다(도 2). 매체 반송부(35)는 헤드부(31)의 하방에 있어서 X 방향으로 가설된 반송 롤러(36)를 구비한다. 반송 롤러(36)의 하방에는, 상술한 매체 수납부(17)가 배치되어 있다. 매체 반송부(35)는 매체 수납부(17)로부터 반송 롤러(36)의 외주측면 상에 매체(MP)를 1매씩 계속 내보내는 배출 기구(도시는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매체 반송부(35)는, 구동 모터(도시는 생략)에 의해 반송 롤러(36)를 회전시켜, 그 회전 구동력에 의해, 매체(MP)를 헤드부(31)의 하방에 있어서 -Y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분사 장치(10)의 부 주사 방향은 -Y 방향과 일치한다. 헤드부(31)의 하방 영역을 통과한 매체(MP)는 매체 배출구(14)를 거쳐서 액체 분사 장치(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액체 분사 장치(10)에 있어서의 인쇄 처리의 실행시에는, 제어부(20)는, 매체 반송부(35)에 의해, 매체(MP)를 상술한 부 주사 방향으로 반송한다. 그리고, 반송 롤러(36)의 상방에 있어서, 헤드부(31)를, 반송 롤러(36)를 따라서 주 주사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고, 인쇄 데이터에 근거하여 결정한 타이밍에, 매체(MP)의 인쇄면을 향하여, 헤드부(31)로부터 잉크 방울을 토출시킨다. 이에 의해, 매체(MP) 상에는, 인쇄 데이터에 근거하여 결정된 위치에 잉크 도트가 기록되어, 인쇄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상이 형성된다.
[액체 공급부]
도 4를, 도 2 및 도 3과 함께 참조하여, 액체 공급부(4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액체 공급부(40)를 뽑아내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액체 공급부(40)는, 상술한 복수의 공급 배관(42)과 이음부(43)에 부가하여, 복수의 접속 수입부(50)와, 변동 압력 발생부(45)와, 압력 전달 배관(46)을 구비한다(도 3 및 도 4). 우선, 복수의 접속 수입부(5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며, 다음에 공급 배관(42) 및 이음부(43)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액체의 흡인·송출 기구를 구성하는 변동 압력 발생부(45) 및 압력 전달 배관(46)에 대하여 설명한다.
[접속 수입부]
액체 공급부(40)는, 복수의 접속 수입부(50)를 거쳐서, 케이스 수납부(60)에 수납되는 복수의 액체 수용체(100)의 각각에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의 액체 분사 장치(10)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색 잉크마다 4개의 액체 수용체(100)가 장착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공급부(40)는, 4개의 액체 수용체(100)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4개의 접속 수입부(5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액체 분사 장치(10)에서는, 4개의 액체 수용체(100)에는, 액체를 수용 가능한 용량이 서로 동일한 3개의 제 1 액체 수용체(100a)와, 액체를 수용 가능한 용량이 제 1 액체 수용체(100a)보다 큰 하나의 제 2 액체 수용체(100b)가 포함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복수의 접속 수입부(50)에는, 제 1 액체 수용체(100a)에 대응하는 3개의 제 1 접속 수입부(50a)와, 제 2 액체 수용체(100b)에 대응하는 하나의 제 2 접속 수입부(50b)가 포함되어 있다. 제 1 접속 수입부(50a) 및 제 2 접속 수입부(50b)는,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한, 접속 수입부(50)라 총칭한다. 제 1 액체 수용체(100a) 및 제 2 액체 수용체(100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한, 액체 수용체(100)라 총칭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접속 수입부(50a)와 제 2 접속 수입부(50b)는, 액체 수용체(100)와의 접속을 위한 구성에 관해서는, 구성 상의 실질적인 상이는 거의 없다.
복수의 접속 수입부(50)는 케이스 수납부(60)의 +Y 방향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도 3). 각 접속 수입부(50)는, 액체 분사 장치(10)에 있어서 배면측의 가장 깊숙한 위치의 최하단에서, X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각 접속 수입부(50)는 대응하는 액체 수용체(100)의 -Y 방향측으로부터의 접속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3개의 제 1 접속 수입부(50a)는 우측으로부터 거의 등간격으로 3개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제 2 접속 수입부(50b)는 가장 좌측에 설치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각 접속 수입부(50)의 개략 구성을 설명한다. 도 5는 복수의 접속 수입부(50) 중 제 1 접속 수입부(50a)의 일부를 뽑아내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은,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제 1 접속 수입부(50a)와 제 2 접속 수입부(50b)에 공통이다. 접속 수입부(50)는 액체 도입부(51)와, 장치측 전기 접속부(52)와, 제 1 위치결정부(53a)와, 제 2 위치결정부(53b)와, 장치측 고정 구조(54)와, 끼워맞춤 구조(55)가 일체화된 하나의 부품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액체 도입부(51)는 액체 수용체(100)로부터의 액체가 유입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도입부(51)는 케이스 수납부(60)의 +Y 방향측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액체 도입부(51)는 -Y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 관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Y 방향측의 선단부(51t)에서 개구되어 있다. 액체 도입부(51)는, 그 선단부(51t)가, 액체 수용체(100) 내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액체 수용체(100)에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도입부(51)는, X 방향에 있어서 접속 수입부(50)의 거의 중앙에 있으며, -Y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액체 도입부(51)의 +Y 방향측의 후단부는 접속 수입부(50)의 내부에 마련된 펌프실(도시는 생략)에 연통되어 있다. 액체 도입부(51)에 유입된 액체는 펌프실에 유입된다. 또한, 접속 수입부(50)의 내부에는, 펌프실에 유입된 액체가 다시 액체 도입부(51)로 역류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역지 밸브 구조가 마련되어 있다(도시는 생략).
본 실시형태의 접속 수입부(50)에서는, 액체 도입부(51) 아래에, 액체 받이부(56)가 마련되어 있다. 액체 받이부(56)는 액체 도입부(51)를 따라서 -Y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액체 받이부(56)는 액체 도입부(51)의 하측의 측면 형상을 따르도록 아래로 약간 만곡되어 있으며, 액체 도입부(51)와 액체 수용체(100)의 접속 부위로부터 누설된 액체를 받아들이는 받이 접시로서 기능한다. 액체 받이부(56)는 생략되어도 좋다.
액체 도입부(51) 및 액체 받이부(56)의 +Y 방향측의 후단부에는, 기단 부재(57)가 마련되어 있다. 기단 부재(57)는 액체 도입부(51)가 관통삽입되는 관통 구멍(51p)을 갖는 수지 부재이다. 기단 부재(57)는 Y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기단 부재(57)의 배면측에는 부세 부재인 나사선 스프링이 액체 도입부(51)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기단 부재(57)에 -Y 방향의 탄성력을 부여하고 있다. 이에 의해 기단 부재(57)는, 화살표(SD)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Y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한다. 액체 분사 장치(10)에 액체 수용체(100)가 장착될 때는, 액체 수용체(100) 및 케이스(61)는, 기단 부재(57)에 의해, -Y 방향으로의 힘이 부여된다.
장치측 전기 접속부(52)는 액체 수용체(100)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이다. 장치측 전기 접속부(52)는 케이스 수납부(60)의 +Y 방향측의 단부에 위치한다(도 3). 장치측 전기 접속부(52)는 X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단자부(52t)를 갖고 있다. 각 단자부(52t)는, 장치측 전기 접속부(5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액체 수용체(100)의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후술함)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각 단자부(52t)는, 판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 그 돌출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치측 전기 접속부(52)는, 액체 수용체(100)의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의 배치 각도에 대응하는 경사 각도로 배치되어 있다. 장치측 전기 접속부(52)는, 그 표면의 법선 벡터가, -Y 방향의 벡터 성분과, +Z 방향의 벡터 성분을 갖도록, 경사 하방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장치측 전기 접속부(52)는, 배선(도시는 생략)을 거쳐서, 제어부(20)(도 2)에 접속되어 있다. 배선은, 예를 들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의해 구성된다. 장치측 전기 접속부(52)와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에 의해, 제어부(20)는 액체 수용체(100)와의 사이에서 전기 신호를 교환한다. 이에 의해, 제어부(20)는 액체 수용체(100)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액체에 관한 정보란, 예를 들면 잉크의 색이나, 잉크의 종류, 액체 수용체(100)에 있어서의 액체의 수용량을 나타내는 파라미터 등이다. 또한, 제어부(20)는 액체 수용체(100)의 접속 상태를 전기적으로 검출한다.
제 1 위치결정부(53a) 및 제 2 위치결정부(53b)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위치결정부(53a) 및 제 2 위치결정부(53b)는 -Y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축 형상 부위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액체 도입부(51)와 병렬로 배열되어 있다. 제 1 위치결정부(53a)는 액체 도입부(51)의 -X 방향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 2 위치결정부(53b)는 액체 도입부(51)의 +X 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위치결정부(53a)는 장치측 전기 접속부(52)보다 -X 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위치결정부(53a)와 제 2 위치결정부(53b)는 Y 방향에 있어서의 선단부의 위치가 거의 정렬되어 있다. 또한, 제 1 위치결정부(53a)와 제 2 위치결정부(53b)는 거의 동일한 높이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며, 액체 도입부(51) 및 장치측 전기 접속부(52)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액체 수용체(100)가 장착되었을 때에는, 제 1 위치결정부(53a) 및 제 2 위치결정부(53b)는 함께 액체 수용체(100)에 마련되어 있는 대응하는 수입부(후술함) 내에 삽입된다. 제 1 위치결정부(53a) 및 제 2 위치결정부(53b)는, 액체 수용체(100)의 장착시에, 액체 수용체(100)의 X 방향에 있어서의 배치 위치와,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배치 각도를 규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 1 위치결정부(53a) 및 제 2 위치결정부(53b)는 액체 도입부(51)의 선단부(51t)보다 -Y 방향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한쌍의 위치결정부(53a, 53b)에 의해 액체 수용체(100)의 장착 자세를 규정한 후에, 액체 수용체(100)에 대하여 액체 도입부(51)를 접속할 수 있다. 각 위치결정부(53a, 53b)의 외주측 면에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Y 방향으로 병렬로 연장되는 홈부(53g)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액체 수용체(100)의 수입부에 대한 삽입이 원활화된다.
장치측 고정 구조(54)는, 액체 수용체(100)가 배치되는 케이스(61)에 마련되어 있는 케이스측 고정 구조(후술함)와 협동하여, 케이스(61)의 Y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치측 고정 구조(54)는, 장착되는 액체 수용체(100)의 하측으로 인입하도록, -Y 방향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장치측 고정 구조(54)는 아암형상의 부재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장치측 고정 구조(54)는 액체 도입부(51)보다 -X 방향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장치측 전기 접속부(52)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장치측 고정 구조(54)의 -Y 방향측의 선단부(54t)는 액체 도입부(51)의 선단부(51t)보다 -Y 방향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선단부(54t)는 각 위치결정부(53a, 53b)의 선단부보다 -Y 방향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선단부(54t)에는, 돌기부(54p)가 마련되어 있다. 돌기부(54p)는 선단부(54t)의 중앙에 있어서 -Z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기부(54p)는, 케이스(61)가 케이스 수납부(60)에 장착된 케이스 수납 상태에 있어서, 케이스측 고정 구조에 마련된 피결합부와 결합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돌기부(54p)를 "결합부(54p)"라고도 하는 경우도 있다. 돌기부(54p)가, 케이스측 고정 구조에 마련된 피결합부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케이스(61)의 -Y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장치측 고정 구조(54)는, 양 화살표(EX)에 의해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Y 방향측의 후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횡방향으로의 회동이 허용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장치측 고정 구조(54)는, 접속 수입부(50)의 내부에 배치된 탄성 부재(도시는 생략)에 의해, +X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으며, -X 방향으로 외력을 받았을 때에 -X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동한다. 또한, 장치측 고정 구조(54)는, 양 화살표(EX)에 의해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Y 방향측의 후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높이 방향으로의 회동이 허용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장치측 고정 구조(54)는 접속 수입부(50)의 내부에 배치된 탄성 부재(도시는 생략)에 의해 -Z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으며, +Z 방향으로 외력을 받았을 때에 +Z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동한다. 장치측 고정 구조(54)와 케이스(61)의 케이스측 고정 구조의 결합의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끼워맞춤 구조(55)는 액체 도입부(51)보다 +X 방향측으로 마련되어 있다. 끼워맞춤 구조(55)는 제 2 위치결정부(53b)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Z 방향으로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는 동시에, -Y 방향으로 병렬로 연장되어 있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복수의 돌기부(55c)가 배열된 요철 구조를 갖고 있다. 끼워맞춤 구조(55)의 요철 구조에 있어서의 돌기부(55c)의 배열 패턴은 접속 수입부(50)마다 상이하다. 각 접속 수입부(50)의 대응하는 액체 수용체(100)에는, 그 요철 구조의 배열 패턴에 대응하여, 끼워맞춤 가능한 요철 구조를 갖는 끼워맞춤 구조 수입부(후술함)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대응하고 있지 않은 잘못된 액체 수용체(100)가 접속 수입부(50)에 접속되어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공급 배관 및 이음부]
복수의 공급 배관(42)은 가요성을 갖는 수지제의 튜브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도 4). 각 공급 배관(42)은 각 접속 수입부(50)의 내부에 마련된 상술한 펌프실(도시는 생략)에 각각 1개씩 접속되어 있다. 각 공급 배관(42)은, 접속 수입부(50)로부터 액체 수용체(100)가 수용되는 영역의 상방을 지나 -X 방향측의 단부에 모인 후, -Y 방향으로 병렬로 둘러져 있다(도 3 및 도 4). 그리고, 액체 분사 장치(10)의 전방측의 단부에 있어서 -Z 방향으로 둘러지고, 매체 반송부(35)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이음부(43)에 접속되어 있다(도 2 및 도 4).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공급 배관(42)은, 이음부(43)를 거쳐서, 분사 실행부(30)의 복수의 튜브(32) 중 대응하는 1개에 접속되어 있다.
[액체 공급부에 있어서의 액체의 흡인·송출 기구]
변동 압력 발생부(45)는 액체의 흡인·송출을 위한 압력 변동을 발생시키는 발생원이며, 예를 들면 펌프에 의해 구성된다(도 2 및 도 3). 변동 압력 발생부(45)는 액체 분사 장치(10)의 전면부(12)가 되는 위치에 있어서 케이스 수납부(60)보다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변동 압력 발생부(45)는 제 1 액체 수용체(100a)의 장착 위치 상에 위치한다. 압력 전달 배관(46)은 변동 압력 발생부(45)에 접속되어 있으며, 변동 압력 발생부(45)가 발생시킨 압력 변동을 전달한다. 압력 전달 배관(46)은 각 접속 수입부(50)의 내부에 마련된 압력실(도시는 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각 접속 수입부(50)의 압력실은, 가요막을 사이에 두고, 액체 수용체(100)로부터 액체가 유입되는 상술한 펌프실에 인접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변동 압력 발생부(45)가 압력실의 압력을 저하시켰을 때에는, 가요막이 압력실측으로 휘어, 펌프실의 용적이 증가하고, 액체 수용체(100)의 액체가 액체 도입부(51)를 거쳐서 펌프실로 흡인된다. 한편, 변동 압력 발생부(45)가 압력실의 압력을 상승시켰을 때에는, 가요막이 펌프실측으로 휘어, 펌프실의 용적이 저하하고, 펌프실에 유입되어 있던 액체가 공급 배관(42)으로 압출된다. 이와 같이, 액체 공급부(40)에서는, 변동 압력 발생부(45)가 압력실에 있어서의 압력의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분사 실행부(30)로의 액체의 공급이 실현된다.
[케이스 수납부]
본 실시형태의 액체 분사 장치(10)에서는, 케이스 수납부(60)는 최하단에 마련되어 있다(도 2 및 도 3). 케이스 수납부(60)에는, 복수의 케이스(61)가 수납된다. 상술한 케이스 수납 상태에 있을 때에는, 복수의 케이스(61)는 케이스 수납부(60)에 있어서 X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다. 복수의 케이스(61)에는 각각 복수의 액체 수용체(100)가 배치된다. 1개의 케이스(61)에는, 1개의 액체 수용체(100)가 배치된다. 즉, 케이스 수납부(60)에는, 복수의 액체 수용체(100)가 각각 케이스(61)에 배치된 상태에서 X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수납된다. 도 2에서는, 액체 수용체(100)는 케이스(61)에 가려져 보이지 않기 때문에, 그 배치 위치에 파선으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케이스 수납부(60)에 있어서의 케이스(61) 및 액체 수용체(100)의 장착시의 배치 위치인 배치 영역(LA)을 일점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케이스 수납부(60)에서는, +X 방향측의 단부에는 제 2 액체 수용체(100b)가 수납되고, 그 -X 방향측에 3개의 제 1 액체 수용체(100a)가 수납된다(도 2). 각 액체 수용체(100)의 배치 영역(LA)의 +Y 방향측에는, 대응하는 접속 수입부(50)가 하나씩 설치되어 있다(도 3).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수용체(100)에는 각각 다른 색 잉크가 수용되어 있다. 각 액체 수용체(100)에 수용되는 색 잉크의 조합은 특별히 한정되는 일은 없다. 예를 들면, 3개의 제 1 액체 수용체(100a)에는 각각, 시안, 마젠타, 옐로우가 수용되며, 제 2 액체 수용체(100b)에는, 가장 소비량이 많은 것이 예상되는 블랙이 수용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액체 수용체(100)의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한 색 잉크를 수용하고 있어도 좋다.
복수의 케이스(61)는 액체 수용체(100)의 장착에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61)는 트레이 형상 용기로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61)는, 케이스 수납부(60)에 있어서 Y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액체 분사 장치(10)에 대한 탈착이 가능하다. 또한, 케이스(61) 및 액체 수용체(100)의 액체 분사 장치(10)에 대한 착탈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액체 수용체(100)는 케이스 수납부(60)로부터 인출된 케이스(61)의 -Z 방향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다. 액체 수용체(100)는, 케이스(61)에 배치된 상태에서, 액체 분사 장치(10)에 장착된다. 즉, 액체 수용체(100)는, 케이스(61)에 배치된 상태에서, 액체 분사 장치(10)의 케이스 수납부(60) 장착된다. 또한, 액체 수용체(100)는 케이스(61)에 배치된 상태에서 케이스 수납부(60)로부터 취출된다. 또한, 케이스(61)에는, 제 1 액체 수용체(100a)가 배치되는 제 1 케이스(61a)와, 제 2 액체 수용체(100b)가 배치되는 제 2 케이스(61b)가 포함된다. 제 1 케이스(61a) 및 제 2 케이스(61b)는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한 케이스(61)라 총칭한다. 케이스(61)의 구성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케이스 수납부(60)는 개구 부재(62)를 구비하고 있다(도 2). 개구 부재(62)는 대략 장방형 형상을 갖는 판 형상 부재이며,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4개의 관통 구멍(63)을 구비하고 있다. 개구 부재(62)는, 그 두께 방향이 Y 방향과 일치하며, 그 장측 방향이 X 방향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케이스 수납부(60)의 -Y 방향측의 단부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각 관통 구멍(63)은 케이스(61)가 관통삽입되는 삽입구이다. 각 관통 구멍(63)은 대응하는 케이스(61)를 Y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외주 윤곽 형상에 대응하는 개구 형상을 갖고 있다. 개구 부재(62)에 의해, 액체 분사 장치(10)로의 케이스(61)의 삽입·인출이 가이드된다. 또한, 사용자가 제 1 케이스(61a)와 제 2 케이스(61b)를 잘못된 장소에 삽입해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개구 부재(62)는 생략되어도 좋다.
케이스 수납부(60)의 마루면에는, 복수의 레일 홈(64)이 형성되어 있다(도 3). 각 레일 홈(64)은, 각 액체 수용체(100)의 배치 영역(LA)마다, 케이스 수납부(60)의 Y 방향의 전역에 걸쳐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레일 홈(64)에는, 케이스(61)의 하면에 마련된 레일 리브(후술함)가 끼워맞추어진다. 레일 홈(64)에 의해, 액체 분사 장치(10)의 내부에 있어서의 케이스(61)의 Y 방향의 이동이 가이드되어, X 방향에 있어서 인접한 케이스(61)끼리의 접촉이 억제된다. 또한, 접속 수입부(50)에 대한 액체 수용체(100)의 접속이 간이화된다. 또한, 레일 홈(64) 및 그에 대응하는 레일 리브의 구성은, 오장착의 방지를 위해, 케이스(61)마다 상이하여도 좋다. 또한, 레일 홈(64)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생략되어도 좋다.
케이스 수납부(60)의 마루면에는, 복수의 롤러(65)가 설치되어 있다(도 3). 각 롤러(65)는, 각 액체 수용체(100)의 배치 영역(LA)마다, Y 방향으로 적절히, 분산되어서 배열되어 있다. 케이스 수납부(60)에서는, 각 롤러(65)의 회전에 의해, 케이스(61)를 Y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의 이동 저항이 저감되어, 사용자에 의한 케이스(61)의 이동 조작이 원활화된다. 롤러(65)는 생략되어도 좋다.
[액체 수용체 및 케이스의 구성]
도 6 내지 도 12를 적절히 참조하여, 제 1 액체 수용체(100a) 및 제 1 케이스(61a)의 구성을 설명한다. 그 후,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제 2 액체 수용체(100b) 및 제 2 케이스(61b)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 1 액체 수용체 및 제 1 케이스]
도 6은 제 1 케이스(61a)에 배치된 상태의 제 1 액체 수용체(100a)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7은 제 1 케이스(61a)로부터 제 1 액체 수용체(100a)를 취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제 1 개략 분해 사시도이며, +Y 방향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도 8은 제 1 케이스(61a)로부터 제 1 액체 수용체(100a)를 취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제 2 개략 분해 사시도이며, -Y 방향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또한, 도 7 및 도 8에서는, 제 1 액체 수용체(100a)와 제 1 케이스(61a)의 각각에 대응하는 화살표 X, Y, Z를 별도로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우선, 제 1 액체 수용체(100a)의 개략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며, 제 1 케이스(61a)의 개략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액체 수용체]
제 1 액체 수용체(100a)는 잉크 팩이며, 수용부(110a)와, 접속 부재(120a)를 구비한다(도 7 및 도 8). 제 1 액체 수용체(100a)는, Y 방향을 장측 방향으로 하고, X 방향을 단측 방향으로 하는 대략 장방형 형상의 외주 윤곽 형상을 갖고 있다. 접속 부재(120a)는 제 1 액체 수용체(100a)의 +Y 방향측의 단부 부위를 구성하고 있으며, 수용부(110a)는 접속 부재(120a)의 -Y 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액체 수용체(100a)의 Z 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X 방향에 있어서의 폭 및 Y 방향에 있어서의 폭보다 작다. 이 "폭"은, 각 방향에 있어서 제 1 액체 수용체(100a)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부위끼리의 사이의 상기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를 의미하고 있다. 즉, 제 1 액체 수용체(100a)는 두께가 얇은 평판인 형상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제 1 액체 수용체(100a)에 의하면, 제 1 케이스(61a) 상에 있어서의 배치 자세에 대하여 높은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도 6).
[수용부]
수용부(110a)는 액체를 수용하는 부재이다(도 7 및 도 8).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용부(110a)는 가요성을 갖는 주머니 형상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수용부(110a)는, Z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Y 방향을 장측 방향으로 하는 대략 장방형 형상을 갖고 있다. 수용부(110a)는 2매의 시트 부재(111, 112)를 중첩하고, 그들 외주 단부(113)를 용착하는 것에 의해 구성된다.
제 1 시트 부재(111)는 -Z 방향측에 배치되며, 수용부(110a)의 상측의 면을 구성한다. 제 2 시트 부재(112)는 +Z 방향측에 배치되며, 수용부(110a)의 하측의 면을 구성한다. 각 시트 부재(111, 112)는 서로 동일한 사이즈의 장방형 형상을 갖고 있다. 각 시트 부재(111, 112)는 완전하게 평탄한 형상을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각 시트 부재(111, 112)는 수용부(110a)에 있어서 중앙을 향하여 서서히 부풀어진 곳이 형성되도록 휜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수용부(110a)의 내부에는, 수용부(110a)의 형상을 보지하기 위한 골격 부재가 수용되어 있어도 좋다.
각 시트 부재(111, 112)는, 가요성과 가스 배리어성, 액불투과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각 시트 부재(111, 112)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나일론, 폴리에틸렌 등의 필름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각 시트 부재(111, 112)는, 상기의 소재로 구성된 필름을 복수 매, 적층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외층을 내충격성이 뛰어난 PET 또는 나일론의 필름에 의해 형성하고, 내층을 내잉크성이 뛰어난 폴리에틸렌의 필름에 의해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그 적층 구조에는, 알루미늄 등을 증착한 층이 추가되어도 좋다.
[접속 부재]
도 9a 및 도 9b를 참조 도면으로서 추가하여, 접속 부재(120a)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9a는 도 7로부터 접속 부재(120a)의 근방을 뽑아내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9b는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140)의 근방을 뽑아내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접속 부재(120a)는 수용부(110a)의 +Y 방향측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다(도 7 내지 도 9a). 접속 부재(120a)는, 대체로, X 방향을 장측 방향으로 하는 대략 직방체 형상을 갖고 있다. 접속 부재(120a)의 X 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수용부(110a)의 X 방향에 있어서의 폭보다 약간 작다. 그 차이는, 예를 들면 수 ㎜ 내지 수십 ㎜ 정도로 하여도 좋다. 접속 부재(120a)의 본체부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 부재를 성형하는 것에 의해 제작된다.
접속 부재(120a)는 제 1 면부(121)와, 제 2 면부(122)와, 제 3 면부(123)와, 제 4 면부(124)와, 제 5 면부(125)와, 제 6 면부(126)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면부"는 평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곡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으며, 오목부나 볼록부, 단차, 홈, 굴곡부, 경사면 등을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2개의 면부가 "교차함"이란, 2개의 면부가 서로 실제로 교차하는 상태와, 한쪽 면부의 연장면이 다른쪽 면부에 교차하는 상태와, 2개의 면부의 연장면끼리가 교차하는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인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접하는 각 면부의 사이에, 만곡면을 구성하는 면취부 등이 개재되어 있어도 좋다.
제 1 면부(121)는 +Y 방향을 향하며, 접속 부재(120a)의 전면부를 구성한다(도 7 및 도 9a). 제 2 면부(122)는 제 1 면부(121)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으며, -Y 방향을 향한다. 제 2 면부(122)는 접속 부재(120a)의 후면부를 구성한다(도 8).
제 3 면부(123)는 제 1 면부(121) 및 제 2 면부(122)에 교차하며, -Z 방향을 향한다(도 7 및 도 9a). 제 3 면부(123)는 접속 부재(120a)의 상면부를 구성한다. 제 4 면부(124)는 제 3 면부(123)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으며, 제 1 면부(121) 및 제 2 면부(122)에 교차하고 있다(도 8). 제 4 면부(124)는 +Z 방향측의 면부이며, +Z 방향을 향하며, 접속 부재(120a)의 저면부를 구성한다.
제 5 면부(125)는, 제 1 면부(121)와 제 2 면부(122)와 제 3 면부(123)와 제 4 면부(124)에 교차하고 있다(도 7 및 도 9a). 제 5 면부(125)는 +X 방향을 향하며, 접속 부재(120a)의 좌측면부를 구성한다. 제 6 면부(126)는 제 5 면부(125)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으며, 제 1 면부(121)와 제 2 면부(122)와 제 3 면부(123)와 제 4 면부(124)에 교차하고 있다(도 8). 제 6 면부(126)는 -X 방향을 향하며, 접속 부재(120a)의 우측면부를 구성한다.
접속 부재(120a)의 제 4 면부(124)에는, 직선 형상의 슬릿(128)이 X 방향의 전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도 8). 상기 슬릿(128)은 접속 부재(120a)의 Z 방향에 있어서의 거의 중앙 부근에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110a)는, +Y 방향측의 외주 단부(113)가 그 슬릿(128)에 삽입되고, 두께 방향으로 끼워진 상태로, 접속 부재(120a)에 고정되어 있다.
접속 부재(120a)에는, 제 1 접속 수입부(50a)에 접속하기 위한 구성 요소로서 액체 도출구(131)와,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140)와, 제 1 수입부(150a)와, 제 2 수입부(150b)와, 끼워맞춤 구조 수입부(155)가 마련되어 있다(도 7 및 도 9a). 접속 부재(120a)에 있어서는, 그들 구성 요소는, 제 1 면부(121)측에 모아져 있다. 이하에서는, 그들 구성 요소에 대하여 순서대로 설명한 후에, 접속 부재(120a)에 마련되어 있는 그 이외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액체 도출구]
액체 도출구(131)는 +Y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는 개구부이다(도 9a). 액체 도출구(131)는 제 1 접속 수입부(50a)의 액체 도입부(51)(도 5)가 -Y 방향으로 삽입된다. 액체 도출구(131)는, 제 1 면부(121)에 있어서, X 방향에 있어서의 거의 중앙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액체 도출구(131)는, 수용부(110a)가 고정되어 있는 것과 거의 동일한 높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액체 도출구(131)는, 접속 부재(120a)의 내부에 마련된 유로(도시는 생략)나, 접속 부재(120a)의 제 4 면부(124)측에 접속되며, 수용부(110a)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유로 부재(도시는 생략)를 거쳐서, 수용부(110a) 내부의 액체 수용 영역에 연통되어 있다. 그러한 액체의 유로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접속 부재(120a)의 내부에는, 액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 액체 도출구(131)에 액체 도입부(51)가 삽입되기 전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액체 도입부(51)가 삽입되었을 때에 개방하는 밸브 구조나 시일 구조가 마련되어 있다(도시는 생략).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면부(121)에 있어서 액체 도출구(131)의 주연부(132)의 전체가 -Y 방향으로 움푹해져 있으며, 액체 도출구(131)는 -Y 방향측으로 깊숙한 위치에서 개구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액체 도출구(131)는 주연부(132)에 의해 형성된 벽부에 주위가 둘러싸인 상태로 되어 있으며, 액체 도출구(131)의 보호성이 높아져 있어서, 예를 들면 사용자가 액체 도출구(131)에 잘못하여 접촉해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제 1 액체 수용체(100a)가 잘못하여 낙하하여 버렸을 때 등에 액체 도출구(131)의 충돌에 의한 손상이나 변형 등의 열화가 억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도출구(131)의 주연부(132)는 +Y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주연 리브(133)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주연 리브(133)는, 액체 도출구(131)에 제 1 접속 수입부(50a)의 액체 도입부(51)가 접속되었을 때에, 액체 도입부(51)의 주위에 마련되어 있는 기단 부재(57)에 접촉하여 가압되어, -Y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다. 또한, 제 1 액체 수용체(100a)가 액체 분사 장치(10)에 장착된 장착 상태에 있어서는, 제 1 액체 수용체(100a)가 배치되어 있는 제 1 케이스(61a)가 제 1 접속 수입부(50a)에 대하여 결합된다(후술함). 그 때문에, 주연 리브(133)가 기단 부재(57)에 의해 -Y 방향으로 부세되어도, 제 1 액체 수용체(100a) 및 제 1 케이스(61a)가 배치 영역(LA)으로부터 -Y 방향으로 이동해 버리는 것은 억제된다.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140)는 장치측 전기 접속부(52)에 접속하기 위한 기판부(141)를 구비하고 있다(도 9a 및 도 9b).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140)는 제 1 접속 수입부(50a)의 장치측 전기 접속부(52)(도 5)에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기판부(141)의 표면(141s)에는, 복수의 단자부(142)가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단자부(142)는 장치측 전기 접속부(52)의 단자부(52t)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기판부(141)의 표면(141s)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액체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나, 장치측 전기 접속부(52)의 접속을 검출하기 위한 회로 등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단자부(142)는 장치측 전기 접속부(52)의 단자부(52t)가 접촉하는 대략 평탄한 접촉면을 갖고 있다. 도 9b에는, 각 단자부(142)에 있어서, 장치측 전기 접속부(52)의 단자부(52t)가 접촉하는 접촉 부위(CP)의 위치를 파선으로 예시하고 있다. 각 단자부(142)의 접촉 부위(CP)는 기판부(141)의 표면(141s)에 있어서 상단 및 하단의 각각에 있으며, X 방향에 평행한 배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단자부(142)나 접촉 부위(CP)의 배열 패턴은 도 9b에 있어서 예시되어 있는 것에 한정되는 일은 없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140)는, 접속 부재(120a)의 -X 방향측의 단부가 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접속 부재(120a)에는,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140)의 기판부(141)를 배치하기 위한 기판 배치부(144)가 -Y 방향 및 +Z 방향으로 움푹한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기판 배치부(144)에는, +Y 방향과 -Z 방향 사이의 경사 상방의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사면(144s)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140)는, 그 경사면(144s) 상에, 경사면(144s)과 거의 평행한 배치 각도로 경사 배치되어 있다. 즉, 기판부(141)의 표면(141s) 및 단자부(52t)의 접촉면의 법선 벡터는 +Y 방향의 벡터 성분과 -Z 방향의 벡터 성분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기판부(141)는, 표면(141s)이 -Z 방향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장치측 전기 접속부(52)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때에는,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140)는, 장치측 전기 접속부(52)로부터 적어도 하방을 향하는 +Z 방향의 힘을 받으면서, 장치측 전기 접속부(52)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 하방을 향하는 힘에 의해,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140)와 장치측 전기 접속부(52) 사이의 접촉 상태가 양호하게 되어,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140)의 전기적인 접속성이 높아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기판부(141)가 경사 배치되며, 그 표면(141s)이 +Y 방향측으로도 향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 1 액체 수용체(100a)를 제 1 케이스(61a)와 함께 +Y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140)를 장치측 전기 접속부(52)에 접속시키는 경우에는, 제 1 케이스(61a)를 +Y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의 힘을 이용하여,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140)와 장치측 전기 접속부(52)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140)와 장치측 전기 접속부(52)의 전기적인 접속성이 높아진다.
또한, 장치측 전기 접속부(52)와의 접속 시에, 장치측 전기 접속부(52)의 단자부(52t)가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140)의 단자부(142)의 접촉면을 문지르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140)의 단자부(142)의 접촉면에 부착된 이물 등이 장치측 전기 접속부(52)의 단자부(52t)에 의해 제거되기 때문에,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140)의 전기적인 접속성이 더욱 높아진다.
부가하여, 제 1 액체 수용체(100a)를 제 1 케이스(61a)와 함께 케이스 수납부(60)로부터 취출할 때에는, 장치측 전기 접속부(52)로부터 받고 있는 -Y 방향의 힘에 의해, 제 1 액체 수용체(100a)의 -Y 방향으로의 이동이 보조된다. 따라서, 제 1 액체 수용체(100a)의 취출이 간이화된다.
기판부(141)는 기판 배치부(144)가 깊숙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기판부(141)는, 그 X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있어서, 기판부(141)의 표면(141s)보다 -Z 방향 및 +Y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2개의 벽부(145)에 의해 사이에 두어져 있다. 이들 벽부(145)는 기판부(141)의 보호부로서 기능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사용자가 기판부(141)에 잘못해서 접촉해 버리는 것이나, 제 1 액체 수용체(100a)가 잘못하여 낙하해 버렸을 때 등에 기판부(141)가 손상되어 버리는 것 등이 억제된다.
[제 1 수입부 및 제 2 수입부]
제 1 액체 수용체(100a)가 액체 분사 장치(10)에 장착될 때는, 제 1 수입부(150a)는 제 1 접속 수입부(50a)의 제 1 위치결정부(53a)(도 5)를 받아들이고, 제 2 수입부(150b)는 제 2 위치결정부(53b)(도 5)를 받아들인다. 이에 의해, 제 1 액체 수용체(100a)의 장착 위치가 적절히 규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수입부(150a) 및 제 2 수입부(150b)는 -Y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부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 제 1 개구부(151a) 및 제 2 개구부(151b)를 갖고 있다. 제 1 수입부(150a) 및 제 2 수입부(150b)의 각각의 개구부(151a, 151b)는 대응하는 위치결정부(53a, 53b)의 +Y 방향측으로부터의 삽입을 받아들인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수입부(150a)의 제 1 개구부(151a)와 제 2 수입부(150b)의 제 2 개구부(151b)에서, 그 개구 형상이 상이하지만, 그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 1 수입부(150a)는 액체 도출구(131)보다 -X 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액체 수용체(100a)에서는, 제 1 수입부(150a)는 제 1 면부(121)의 -X 방향측의 하측의 코너부에 마련되어 있다. 한편, 제 2 수입부(150b)는 액체 도출구(131)보다 +X 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액체 수용체(100a)에서는, 제 2 수입부(150b)는 제 1 면부(121)의 +X 방향측의 하측의 코너부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도출구(131)는 한쌍의 수입부(150a, 150b)에 의해 X 방향으로 사이에 두어져 있다. 이에 의해, 액체 분사 장치(10)에 대한 제 1 액체 수용체(100a)의 장착 시에, 액체 도입부(51)(도 5)에 대한 액체 도출구(131)의 X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결정 정밀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액체 도입부(51)와 액체 도출구(131)의 접속성이 개선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쌍의 수입부(150a, 150b) 사이의 X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가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위치결정 정밀도가 더욱 높아져 있다.
[끼워맞춤 구조 수입부]
끼워맞춤 구조 수입부(155)는 액체 도출구(131)보다 +X 방향측에 마련되어 있다. 끼워맞춤 구조 수입부(155)는, 제 3 면부(123)의 +Y 방향측의 단부에 있어서, +X 방향측의 단부가 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끼워맞춤 구조 수입부(155)는, -Z 방향으로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는 동시에, -Y 방향으로 병렬로 연장되어 있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복수의 돌기부(156)가 배열된 요철 구조를 갖고 있다. 끼워맞춤 구조 수입부(155)에 있어서의 돌기부(156)와 그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부인 골부(157)의 X 방향에 있어서의 배열 패턴은 접속 대상인 끼워맞춤 구조(55)의 요철 구조에 있어서의 배열 패턴과는 요철이 역으로 되어 있다.
제 1 액체 수용체(100a)를 +Y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대응하는 제 1 접속 수입부(50a)에 접속시킬 때에는, 끼워맞춤 구조(55)의 요철 구조와 끼워맞춤 구조 수입부(155)의 요철 구조의 끼워맞춤이 허용된다. 한편, 제 1 액체 수용체(100a)와 제 1 접속 수입부(50a)의 조합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는, 끼워맞춤 구조(55)의 요철 구조가 끼워맞춤 구조 수입부(155)의 요철 구조에 적합하지 않아, 끼워맞출 수 없다. 따라서, 대응하고 있지 않은 잘못된 제 1 액체 수용체(100a)가 제 1 접속 수입부(50a)에 접속되어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접속 부재의 그 이외의 구성]
[오목부]
접속 부재(120a)의 제 4 면부(124)에는, -Z 방향으로 움푹한 오목부(160)가 마련되어 있다(도 7, 도 8 및 도 9a).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16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있으며, 제 1 면부(121)까지 +Y 방향으로 연장되며, +Y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제 1 액체 수용체(100a)가 제 1 케이스(61a)에 배치될 때, 오목부(160)에는, 제 1 액체 수용체(100a)에 형성되어 있는 볼록부(후술함)가 수용된다. 오목부(160)는, Z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140)의 적어도 일부와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끼워맞춤 오목부]
접속 부재(120a)의 제 4 면부(124)에는, 한쌍의 끼워맞춤 오목부(161)가 형성되어 있다(도 9a).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끼워맞춤 오목부(161)는 -Z 방향으로 깊이 베어져 있는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각 끼워맞춤 오목부(161)는, 상술한 오목부(160)와 마찬가지로, 제 1 면부(121)에 있어서 +Y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2개의 끼워맞춤 오목부(161)는 X 방향으로 액체 도출구(131)를 사이에 두도록 배열되어 있다. 2개의 끼워맞춤 오목부(161)는 각각 X 방향에 있어서 액체 도출구(131)의 주연부(132)에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액체 수용체(100a)가 제 1 케이스(61a)에 배치될 때에, 각 끼워맞춤 오목부(161)에는, 대응하는 끼워맞춤 볼록부(후술함)가 삽입되어 끼워맞추어진다. 이에 의해, 제 1 케이스(61a)에 대한 액체 도출구(131)의 X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제 1 케이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한다. 제 1 케이스(61a)는 Y 방향을 장측 방향으로 하는 대략 직방체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제 1 케이스(61a)는 -Z 방향 및 +Y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는 중공의 상자체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1 케이스(61a)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 부재에 의해 제작된다.
제 1 케이스(61a)는 저면 벽부(200)와, 2개의 측벽부(201, 202)와, 덮개 부재(203)와, 전면 벽부(205)를 구비한다(도 7 및 도 8). 저면 벽부(200)는 제 1 케이스(61a)의 저면부를 구성하는 대략 장방형 형상의 벽부이며,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연장된다"는, 어느 방향으로 끊김 없이 연장되어 있는 구성을 의미한다. 제 1 액체 수용체(100a)는 저면 벽부(200) 상에 배치된다(도 6). 저면 벽부(200)는, 제 1 액체 수용체(100a)가 배치되었을 때에, 적어도 수용부(110a)의 전체가 수납되는 정도의 사이즈를 갖고 있다.
제 1 측벽부(201)는 저면 벽부(200)의 -X 방향측의 장변에 교차하는 동시에 연결되어 있는 대략 장방형 형상의 벽부이며, 제 1 케이스(61a)의 우측의 측벽부를 구성하고 있다(도 8). 제 2 측벽부(202)는 저면 벽부(200)의 +X 방향측의 장변에 교차하는 동시에 연결되어 있는 대략 장방형 형상의 벽부이며, 제 1 케이스(61a)의 좌측의 측벽부를 구성하고 있다(도 7). 제 1 측벽부(201) 및 제 2 측벽부(202)는 서로 병렬로 Y 방향의 거의 전역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제 1 측벽부(201) 및 제 2 측벽부(202)의 높이는 제 1 액체 수용체(100a)의 접속 부재(120a)의 높이와 거의 일치한다(도 6). 제 1 측벽부(201)와 제 2 측벽부(202)는, X 방향으로 제 1 액체 수용체(100a)의 수용부(110a)를 사이에 두고, 수평면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수용부(110a)의 배치 각도를 규정한다.
제 1 측벽부(201)의 +Y 방향측의 단부에는, +X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 볼록부(201t)가 마련되어 있다(도 7). 제 2 측벽부(202)의 +Y 방향측의 단부에도, 마찬가지로, -X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 볼록부(202t)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케이스(61a)에 제 1 액체 수용체(100a)가 배치되었을 때에는, 제 1 측벽부(201)의 결합 볼록부(201t)는 접속 부재(120a)의 제 6 면부(126)의 오목부에 결합되고, 제 2 측벽부(202)의 결합 볼록부(202t)는 접속 부재(120a)의 제 5 면부(125)의 오목부에 결합된다(도 6).
덮개 부재(203)는, -Y 방향측의 단부에 있어서, 제 1 측벽부(201)와 제 2 측벽부(202) 상에 가설되어 있다(도 7). 제 1 케이스(61a)에 제 1 액체 수용체(100a)가 배치되었을 때에는, 덮개 부재(203)는 수용부(110a)의 -Y 방향측의 단부측의 부위를 부분적으로 덮는다(도 6). 덮개 부재(203)는 수용부(110a)의 -Y 방향측의 단부가 -Z 방향으로 부상하여 버리는 것을 억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덮개 부재(203)는 제 1 케이스(61a)의 본체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10a는 덮개 부재(203)의 -Z 방향측의 면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b는 덮개 부재(203)의 +Z 방향측의 면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덮개 부재(203)의 외주 단부에는 복수의 클로부(203t)가 마련되어 있다(도 10a 및 도 10b). 각 클로부(203t)는 +Z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제 1 측벽부(201) 또는 제 2 측벽부(202)에 마련되어 있는 오목부(도시는 생략)에 결합된다. 덮개 부재(203)의 -Z 방향측의 면에는, +Z 방향으로 움푹한 움푹부(204)가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액체 분사 장치(10)의 제 1 케이스(61a)를 케이스 수납부(60)에 출납할 때에는, 이 움푹부(204)에 손가락을 걸 수 있다.
도 11은 전면 벽부(205)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전면 벽부(205)는, -Y 방향측의 단부에 있어서, 저면 벽부(200)와 제 1 측벽부(201)와 제 2 측벽부(202)의 각각에 교차하는 대략 장방형 형상을 갖는 벽부이다. 전면 벽부(205)의 상단부는 덮개 부재(20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 1 액체 수용체(100a)가 배치된 상태의 제 1 케이스(61a)를 Y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는, 제 1 액체 수용체(100a)의 전체는 전면 벽부(205)에 의해 덮어 가려진다.
도 6 내지 도 8,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저면 벽부(200)에 마련되어 있는 그 이외의 구성부를 설명한다. 저면 벽부(200)의 +Y 방향측의 단부에는, -Z 방향으로 병렬로 돌출되어 있는 클로 형상의 한쌍의 끼워맞춤 볼록부(207)가 마련되어 있다(도 7). 각 끼워맞춤 볼록부(207)는, X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있어서, X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어 있다. 제 1 케이스(61a)에 제 1 액체 수용체(100a)가 배치될 때에는, 각 끼워맞춤 볼록부(207)는 상술한 끼워맞춤 오목부(161) 중 대응하는 쪽에 삽입되어 끼워맞추어진다(도 6).
저면 벽부(200)의 +Y 방향측의 단부에는, 또한 -Z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볼록부(210)가 마련되어 있다(도 7). 볼록부(210)는 X 방향에 있어서 중앙부보다 -X 방향측이 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며, 한쌍의 끼워맞춤 볼록부(207)보다 -X 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볼록부(210)는 직사각 형상이다. 볼록부(210)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210)의 내부 공간(211)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 1 케이스(61a)에 제 1 액체 수용체(100a)가 배치될 때에는, 볼록부(210)는 상술한 접속 부재(120a)의 오목부(160)에 수용된다(도 6).
본 실시형태에서는, 볼록부(210)가 오목부(160)에 수용되었을 때에는, 볼록부(210)의 외벽면과 오목부(160)의 내벽면이 면접촉한다. 즉, 볼록부(210)는 오목부(160)에 대하여 끼워맞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볼록부(210) 및 오목부(160)는 제 1 케이스(61a)에 있어서의 접속 부재(120a)의 위치결정부로서 기능한다.
저면 벽부(200)의 -Z 방향측의 면에는, Y 방향에 걸쳐서 연장되는 복수의 직선 형상의 가는 홈부(213)가 X 방향에 걸쳐서 병렬로 배열되어 있다(도 7 및 도 8). 가는 홈부(213)에 의해, 제 1 액체 수용체(100a)의 수용부(110a)를 저면 벽부(200)의 면 위를 Y 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하여 배치할 때의 이동이 가이드된다.
저면 벽부(200)와 제 1 측벽부(201) 사이의 코너부 및 저면 벽부(200)와 제 2 측벽부(202) 사이의 코너부에는 각각, -Z 방향으로 계단 형상으로 높이가 높게 되어 있는 단차부(214)가 마련되어 있다(도 7 및 도 8). 제 1 액체 수용체(100a)가 제 1 케이스(61a)에 배치되었을 때에는, 단차부(214)에 의해 수용부(110a)의 외주 단부(113)가 아래로부터 지지된다. 따라서, 제 1 케이스(61a) 위에 있어서의 수용부(110a)의 배치 자세가 안정화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액체 수용체(100a)는, 접속 부재(120a)에 있어서 제 1 케이스(61a) 위에 있어서의 배치 위치가 고정되어 있을 뿐이다. 수용부(110a)는 덮개 부재(203)에 의해 상방이 덮여 있는 점 이외는, 제 1 케이스(61a)에는 실질적으로는 구속되어 있지 않다. 즉, 수용부(110a)는, 접속 부재(120a)에 연결되어 있는 +Y 방향측의 단부 이외는, 제 1 케이스(61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1 액체 수용체(100a)가 제 1 케이스(61a)에 대하여 불필요하게 구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 1 케이스(61a)에 대한 제 1 액체 수용체(100a)의 착탈이 간이화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저면 벽부(200)의 하면측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2는 +Z 방향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제 1 케이스(61a)의 개략 사시도이다. 저면 벽부(200)의 +Z 방향측의 면에는, +Y 방향측의 단부에, 홈부(215)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홈부(215)는 리브(216)에 의해 둘러싸이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홈부(215)는 케이스측 고정 구조(220)를 구성하고 있다. 홈부(215)의 +Y 방향측의 단부는 상술한 볼록부(210)의 내부 공간(21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볼록부(210)의 내부 공간(211)은 케이스측 고정 구조(220)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케이스측 고정 구조(220)에 포함되어 있다. 볼록부(210)의 내부 공간(211)은 +Y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홈부(215)(케이스측 고정 구조(220))의 입구를 구성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측 고정 구조(220)는, 장치측 고정 구조(54)와 협동하여, 제 1 케이스(61a)의 Y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케이스측 고정 구조(220)에는, 제 1 케이스(61a)가 케이스 수납부(60)의 소정의 배치 영역(LA)(도 3)에 배치된 케이스 수납 상태에 있어서, 장치측 고정 구조(54)(도 5)의 돌기부(54p)(결합부(54p))와 결합하는 피결합부(후술함)가 마련되어 있다. 돌기부(54p)가 피결합부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제 1 케이스(61a)의 -Y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측 고정 구조(220)를 구성하는 홈부(215)는 후술하는 루프 형상의 홈 구조인 하트 캠 홈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측 고정 구조(220)의 구성 및 케이스측 고정 구조(220)의 피결합부와 장치측 고정 구조(54)의 돌기부(54p)(결합부(54p))의 결합의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저면 벽부(200)의 +Z 방향측의 면에는, 또한 복수의 레일 리브(230)와, 복수의 다리부(231)가 마련되어 있다. 레일 리브(230)는 +Z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 벽부로서 구성되어 있으며(도 11), Y 방향으로 거의 일정한 폭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도 12).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일 리브(230)는 케이스 수납부(60)의 마루면에 마련되어 있는 레일 홈(64)에 끼워맞추어지고, 제 1 케이스(61a)의 Y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복수의 다리부(231)는 +Z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각각 동일한 높이를 갖고 있다(도 11). 복수의 다리부(231)에 의해, 제 1 케이스(61a)는 케이스 수납부(60)의 배치 영역(LA)(도 3)에서의 배치 자세가 적절히 보지된다.
[제 2 액체 수용체 및 제 2 케이스]
이하에서는, 우선, 제 2 액체 수용체(100b)의 개략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며, 제 2 케이스(61b)의 개략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 및 참조 도면에 있어서는, 상술한 제 1 액체 수용체(100a) 및 제 1 케이스(61a)의 각종의 구성부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구성부에는, 동일한 부호, 또는 말미의 알파벳만이 상이하며, 숫자가 공통되는 부호를 이용하고 있다. 그와 같은 대응하는 부호가 부여된 구성부는, 제 2 액체 수용체(100b), 또는 제 2 케이스(61b)에 있어서, 제 1 액체 수용체(100a), 또는 제 1 케이스(61a)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구성부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한다. 따라서, 상기의 제 1 액체 수용체(100a) 및 제 1 케이스(61a)에 있어서 설명한 여러 가지의 효과는, 그러한 대응하고 있는 구성에 의해, 제 2 액체 수용체(100b) 및 제 2 케이스(61b)에서도 얻을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한다. 도 13은 제 2 케이스(61b)에 배치된 상태의 제 2 액체 수용체(100b)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 2 케이스(61b)로부터 제 2 액체 수용체(100b)를 취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제 1 개략 분해 사시도이며, +Y 방향측의 선단부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도 15는 제 2 케이스(61b)로부터 제 2 액체 수용체(100b)를 취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제 2 개략 분해 사시도이며, -Y 방향측의 후단 단부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또한, 도 14 및 도 15에서는, 제 2 액체 수용체(100b)와 제 2 케이스(61b)의 각각 대응하는 화살표 X, Y, Z를 별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16은 제 2 케이스(61b)에 배치된 상태의 제 2 액체 수용체(100b)를 -Y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개략도이다. 도 16의 하단에는, 비교를 위해서, 동일한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제 1 케이스(61a)에 배치된 상태의 제 1 액체 수용체(100a)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에는, 제 1 액체 수용체(100a) 및 제 2 액체 수용체(100b)의 각각에 있어서의 X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축(CL)을 일점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7은 제 2 케이스(61b)의 전면 벽부(205)를 +Y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개략도이다. 도 18은 제 2 케이스(61b)의 저면 벽부(200)의 하면측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며, 제 2 케이스(61b)를 +Z 방향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제 2 액체 수용체]
제 2 액체 수용체(100b)는, 이하에 설명하는 점 이외는, 제 1 액체 수용체(100a)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도 14 및 도 15). 제 2 액체 수용체(100b)에서는, 수용할 수 있는 액체의 양이 제 1 액체 수용체(100a)보다 많아지도록, X 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제 1 액체 수용체(100a)보다 크게 되어 있다.
제 2 액체 수용체(100b)는, 제 1 액체 수용체(100a)와 마찬가지로, 수용부(110b)와, 접속 부재(120b)를 구비한다(도 14 및 도 15). 제 2 액체 수용체(100b)의 수용부(110b)는, X 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큰 점 이외는, 제 1 액체 수용체(100a)의 수용부(110a)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제 2 액체 수용체(100b)의 접속 부재(120b)는, 한쌍의 측단 지지부(162)가 추가되어 있는 점 이외는, 제 1 액체 수용체(100a)의 접속 부재(120a)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각 측단 지지부(162)는, 제 1 액체 수용체(100a)의 접속 부재(120a)와 거의 동일한 형상의 본체부의 -Y 방향측의 단부에 있어서,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각 측단 지지부(162)는 수용부(110b)의 +Y 방향측의 코너부를 보지한다.
도 16을 참조한다. 제 2 액체 수용체(100b)의 접속 부재(120b)의 제 2 접속 수입부(50b)에 접속하기 위한 구성 요소의 배치 구성은 제 1 액체 수용체(100a)의 접속 부재(120a)와 거의 동일하다. 제 2 액체 수용체(100b)의 접속 부재(120b)는 제 1 액체 수용체(100a)의 접속 부재(120a)에 대한 변경점이 작기 때문에, 부품을 공통화할 수 있어서, 그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 2 액체 수용체(100b)의 접속 부재(120b)에 대응하는 제 2 접속 수입부(50b)도 제 1 액체 수용체(100a)의 접속 부재(120a)에 대응하는 제 1 접속 수입부(50a)와 거의 동일한 구성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접속 부재(120)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액체 수용체(100a)의 수용부(110a)와 제 2 액체 수용체(100b)의 수용부(110b)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수용부(110a, 110b)를 "수용부(110)"라 총칭한다. 또한, 제 1 액체 수용체(100a)의 접속 부재(120a)와 제 2 액체 수용체(100b)의 접속 부재(120b)를 특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접속 부재(120a, 120b)를 "접속 부재(120)"라 총칭한다.
[제 2 케이스]
제 2 케이스(61b)는, 제 2 액체 수용체(100b)의 X 방향의 폭에 적합하도록 변경되어 있는 점 이외는, 제 1 케이스(61a)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도 14 및 도 15, 도 16 내지 도 18). 제 2 케이스(61b)의 +Y 방향측의 단부에는, X 방향의 양단에 각각 추가 벽부(232)가 마련되어 있다. 추가 벽부(232)는, 제 2 액체 수용체(100b)가 배치되었을 때에, 접속 부재(120b)의 한쌍의 측단 지지부(162) 중 어느 하나와 Y 방향으로 대향한다(도 13).
[액체 수용체의 장착 메커니즘]
도 19를 참조하여, 접속 수입부(50)에 대한 액체 수용체(100)의 장착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도 19의 상단에는, -Y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제 1 케이스(61a)에 배치된 상태의 제 1 액체 수용체(100a)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9의 하단에는, -Z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제 1 접속 수입부(50a)의 일부가 상단의 제 1 액체 수용체(100a)에 대응하도록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제 1 접속 수입부(50a)에 대한 제 1 액체 수용체(100a)의 장착 및 제 2 접속 수입부(50b)에 대한 제 2 액체 수용체(100b)의 장착에 공통된다.
케이스 수납부(60)(도 3)에 있어서, 액체 수용체(100)가 케이스(61)에 배치된 상태에서, 배치 영역(LA)을 향하여 +Y 방향으로 이동되면, 우선, 액체 수용체(100)의 한쌍의 수입부(150a, 150b)에, 접속 수입부(50)의 한쌍의 위치결정부(53a, 53b)가 삽입되어, 액체 수용체(100)의 액체 도출구(131)가 위치결정된다.
그리고, 액체 수용체(100)의 액체 도출구(131)에, 접속 수입부(50)의 액체 도입부(51)가 삽입되고, 액체 수용체(100)의 액체 도출구(131)와 접속 수입부(50)의 액체 도입부(51)가 접속된다. 또한, 액체 도출구(131)와 액체 도입부(51)의 접속이 완전하게 완료되기 전에, 액체 도출구(131)의 주위에 마련되어 있는 주연 리브(133)는 액체 도입부(51)의 주위에 있는 기단 부재(57)에 접촉한다. 액체 도출구(131)와 액체 도입부(51)의 접속이 완료될 때까지 액체 수용체(100) 및 케이스(61)가 +Y 방향으로 압입되면, 기단 부재(57)는 +Y 방향으로 변위된다. 액체 수용체(100)는 기단 부재(57)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부세 부재에 의해 -Y 방향으로 부세된다.
상기의 액체 도출구(131)와 액체 도입부(51)의 접속에 병행하여, 접속 수입부(50)의 장치측 전기 접속부(52)가 액체 수용체(100)의 기판 배치부(144)에 삽입되고,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140)의 기판부(141)에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액체 도출구(131)와 액체 도입부(51)의 접속이 완료되었을 때에는,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140)와 장치측 전기 접속부(52)의 전기적인 접속이 확립된 상태가 된다.
접속 수입부(50)의 장치측 고정 구조(54)는, 한쌍의 수입부(150a, 150b)에 한쌍의 위치결정부(53a, 53b)가 삽입되기 전에, 케이스(61)의 홈부(215)의 입구를 구성하고 있는 볼록부(210)의 내부 공간(211)에 삽입된다. 장치측 고정 구조(54)의 돌기부(54p)는, 액체 도출구(131)와 액체 도입부(51)의 접속이 완료될 때에는, 후술하는 결합 메커니즘에 의해, 케이스(61)의 케이스측 고정 구조(220)(도 12 및 도 18)의 피결합부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케이스(61)의 위치가 케이스(61)에 있어서의 소정의 배치 영역(LA)(도 3)에 고정된 상태가, "케이스(61)가 케이스 수납부(60)에 장착된 케이스 수납 상태"이다.
본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100)에서는,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140)는, X 방향에 있어서, 액체 도출구(131)와 제 1 수입부(150a)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한쌍의 위치결정부(53a, 53b)와 한쌍의 수입부(150a, 150b)에 의해, 액체 도출구(131)와 함께, 장치측 전기 접속부(52)에 대한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140)의 X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결정 정밀도가 높아져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100)에서는, 케이스측 고정 구조(220)의 입구부인 내부 공간(211)을 수용하고 있는 오목부(160)가 X 방향에 있어서, 액체 도출구(131)와 제 1 수입부(150a)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한쌍의 위치결정부(53a, 53b)와 한쌍의 수입부(150a, 150b)에 의해, 장치측 고정 구조(54)가 홈부(215) 내에 삽입된 후의, 장치측 고정 구조(54)의 Y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이드되어, 케이스측 고정 구조(220)에 대한 장치측 고정 구조(54)의 위치결정 정밀도가 높아져 있다.
부가하여, 본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100)에서는, 상기와 같이 액체 도출구(131)와 제 1 수입부(150a) 사이에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140)와 오목부(160)가 마련되어 있는 만큼, 한쌍의 수입부(150a, 150b)끼리의 사이의 X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가 크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한쌍의 위치결정부(53a, 53b)와 한쌍의 수입부(150a, 150b)에 의한 상술한 위치결정의 정밀도가 보다 높아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100)에 있어서는, 제 1 수입부(150a)의 제 1 개구부(151a)와 제 2 수입부(150b)의 제 2 개구부(151b)에서, 그 개구 형상이 상이하다. 제 2 개구부(151b)의 X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W2)은 제 1 개구부(151a)의 X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W1)보다 크다. 이 구성에 의해, 제 2 수입부(150b)에 제 2 위치결정부(53b)가 삽입될 때의 제 2 위치결정부(53b)의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Y 방향에 대한 각도에 여유를 갖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접속 수입부(50)에 대한 액체 수용체(100)의 접속 조작이 용이화된다. 또한, 그러한 여유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접속 수입부(50)에 대한 액체 수용체(100)의 접속시에, 제 2 수입부(150b)에 제 2 위치결정부(53b)가 삽입될 때에 생기는 응력이 저감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개구부(151a)와 제 2 개구부(151b)의 Z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은 대략 동일하지만, 제 1 개구부(151a)와 제 2 개구부(151b)의 Z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은 상이하여도 좋다.
[케이스측 고정 구조에 대한 장치측 고정 구조의 결합 메커니즘]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여, 케이스(61)의 케이스측 고정 구조(220)에 대한 장치측 고정 구조(54)의 결합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도 20a 및 도 20b에는 각각, -Z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케이스측 고정 구조(220)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0a 및 도 20b에서는, 홈부(215) 내에 있어서의 장치측 고정 구조(54)의 돌기부(54p)의 이동 궤적을 나타내기 위해서, 각각 상이한 타이밍에서의 돌기부(54p)의 위치(P1 내지 P6)가 파선에 의해 나타나 있다.
우선, 도 20a를 참조하여, 케이스측 고정 구조(220)의 구성을 설명한다. 케이스측 고정 구조(220)는, 볼록부(210)의 내부 공간(211)보다 -Y 방향측의 깊숙한 영역 내의 중앙에, +Z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중앙 볼록부(221)를 갖고 있다. Z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중앙 볼록부(221)의 외주 벽면은 대략 삼각 형상의 외주 윤곽선을 구성한다. 중앙 볼록부(221)의 내부는 중공으로 되어 있다.
중앙 볼록부(221)의 외주 벽면은 제 1 벽면(222)과, 제 2 벽면(223)과, 제 3 벽면(224)을 포함한다. 제 1 벽면(222)은 X 방향과 Y 방향의 사이의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벽면(222)의 적어도 일부는 Y 방향에 있어서 내부 공간(211)과 중첩된다. 제 2 벽면(223)은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제 1 벽면(222)에 교차하고 있다. 제 3 벽면(224)은 Y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제 1 벽면(222)과 제 2 벽면(223)에 교차하고 있다. 제 3 벽면(224)은 Y 방향에 있어서 볼록부(210)의 내부 공간(211)과 중첩된다.
중앙 볼록부(221)는 제 1 돌출 벽부(225)와, 제 2 돌출 벽부(226)를 갖는다. 제 1 돌출 벽부(225)는, 제 2 벽면(223)의 -X 방향측의 단부에 있어서, 제 1 벽면(222)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을 따라서, -Y 방향측으로, 제 2 벽면(223)으로부터 약간 연장되어 있다. 제 2 돌출 벽부(226)는 피결합부로서 기능하는 벽부이다. 이하에서는, 제 2 돌출 벽부(226)를 피결합부(226)라 하는 경우도 있다. 제 2 돌출 벽부(226)는, 제 2 벽면(223)의 +X 방향측의 단부에 있어서, 제 3 벽면(224)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을 따라서, -Y 방향측으로 제 2 벽면(223)으로부터 약간 연장되어 있다.
케이스측 고정 구조(220)는, 또한, 제 3 돌출 벽부(227)를 갖는다. 제 3 돌출 벽부(227)는 리브(216)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 3 돌출 벽부(227)는 중앙 볼록부(221)의 제 2 벽면(223)에 Y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으며, 리브(216)로부터 제 2 벽면(223)을 향하여 +Y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 상, 홈부(215)를, 제 1 홈부(215a)와, 제 2 홈부(215b)와, 제 3 홈부(215c)와, 제 4 홈부(215d)로 구분한다. 제 1 홈부(215a)는 내부 공간(211)에 의해 형성된 Y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위이다. 제 2 홈부(215b)는 제 1 벽면(222)에 면하며, X 방향과 Y 방향 사이의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위이다. 제 3 홈부(215c)는 제 2 벽면(223)에 면하는 부위를 포함하며, 3개의 돌출 벽부(225 내지 227)에 의해 X 방향으로 대략 지그재그로 사행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부위이다. 제 4 홈부(215d)는 제 3 벽면(224)에 면하며, 제 1 홈부(215a)를 향하여 +Y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위이다.
제 1 홈부(215a)의 저면인 제 1 저면(228a)은 -Y 방향을 향하여 점차 +Z 방향으로 솟아오르는 경사면을 구성하고 있다. 제 2 홈부(215b)의 제 1 홈부(215a)에 연결되어 있는 부위의 저면인 제 2 저면(228b)은 대략 수평인 수평면을 구성하고 있다. 제 2 홈부(215b)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는 제 3 저면(228c)은 제 2 저면(228b)으로부터 -Z 방향으로 하강하는 경사면을 구성하고 있다. 제 2 홈부(215b)의 -Y 방향측의 단부 부위의 저면 및 제 3 홈부(215c)의 저면을 포함하는 제 4 저면(228d)은 대략 수평인 수평면을 구성하고 있다. 제 4 홈부(215d)의 저면인 제 5 저면(228e)은 +Y 방향측일 수록 제 4 저면(228d)으로부터 +Z 방향으로 솟아오르는 경사면을 구성하고 있다. 제 1 저면(228a)과 제 5 저면(228e) 사이의 저면인 제 6 저면(228f)은 대략 수평인 수평면을 구성하고 있다.
도 20a를 참조하여, 케이스측 고정 구조(220)의 제 2 돌출 벽부(226)(피결합부(226))와, 장치측 고정 구조(54)의 돌기부(54p)(결합부)의 결합이 완료될 때까지의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장치측 고정 구조(54)의 선단부(54t)가 제 1 홈부(215a)에 대하여 -Y 방향으로 삽입된 시점에서는, 선단부(54t)의 +X 방향측의 단부면이 제 1 홈부(215a)의 +X 방향측의 측벽면(229)에 접촉하며, 장치측 고정 구조(54)의 돌기부(54p)는 측벽면(229)으로부터 멀어진 위치에 위치한다(P1). 이 때, 장치측 고정 구조(54)는, 선단부(54t)의 단부면이 측벽면(229)에 의해 -X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 방향으로의 외력이 부여되어 있지 않을 때보다 -X 방향측으로 회동한 상태이다. 장치측 고정 구조(54)의 돌기부(54p)는, 위치(P1)로부터 +Y 방향으로 이동해 가는 과정에 있어서, 경사면인 제 1 저면(228a)에 접촉하며, 제 1 저면(228a)에 의해 +Z 방향으로 가압된다.
액체 수용체(100)가 더욱 +Y 방향으로 압입되면, 장치측 고정 구조(54)의 돌기부(54p)가 제 1 저면(228a)에 +Z 방향으로 가압되고, 장치측 고정 구조(54)의 선단부(54t)는 리브(216)의 +Z 방향측의 단부면보다 +Z 방향측에 위치하며 리브(216)로부터 이격된다. 그리고, 장치측 고정 구조(54)의 돌기부(54p)가 제 1 벽면(222)에 접촉하는 동시에, 수평인 제 2 저면(228b)을 타고 올라간다(위치(P2)).
장치측 고정 구조(54)의 돌기부(54p)는 제 1 벽면(222)에 의해 -X 방향측으로 가압되면서, 제 1 벽면(222)을 따라서 -Y 방향측으로 이동하여, 제 3 저면(228c)을 내려가고, 수평인 제 3 저면(228c)에 도달하며, 제 1 돌출 벽부(225)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도달한다(위치(P3)). 그 후, 장치측 고정 구조(54)의 돌기부(54p)는, 더욱 -Y 방향측으로 이동하여 제 1 돌출 벽부(225)와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면, 장치측 고정 구조(54)에 +X 방향측을 향하여 부여되어 있는 부세력에 의해, +X 방향측으로 순발적으로 이동하고, 제 3 돌출 벽부(227)에 대하여 충돌한다(위치(P4)). 이 충돌에 의해, 클릭음이 생긴다.
그 클릭음을 신호로, 사용자가 액체 수용체(100) 및 케이스(61)의 +Y 방향으로 부여하고 있는 힘을 해제하면, 기단 부재(57)(도 19)에 의한 +Y 방향으로의 부세력에 의해, 액체 수용체(100) 및 케이스(61)는 +Y 방향으로 약간 이동한다. 이에 의해, 장치측 고정 구조(54)의 돌기부(54p)는 제 3 돌출 벽부(227)를 따라서 +Y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3 돌출 벽부(227)에 대한 돌기부(54p)의 접촉 상태가 해제된다. 그러면, 돌기부(54p)는, 장치측 고정 구조(54)에 +X 방향측을 향하여 부여되어 있는 부세력에 의해, +X 방향측으로 순발적으로 이동하고, 제 2 벽면(223) 및 제 2 돌출 벽부(226)에 충돌하고 받아들여진다(위치(P5)).
이와 같이, 위치(P5)에 있어서, 장치측 고정 구조(54)의 돌기부(54p)가 케이스측 고정 구조(220)의 제 2 돌출 벽부(226)에 고정되고, 케이스측 고정 구조(220)의 제 2 돌출 벽부(226)와 장치측 고정 구조(54)의 돌기부(54p)가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제 2 돌출 벽부(226)를, "피결합부(226)" 이외에도, "고정부(226)"라 하는 경우도 있다. 케이스측 고정 구조(220)의 제 2 돌출 벽부(226)와 장치측 고정 구조(54)의 돌기부(54p)의 결합에 의해, 케이스(61)는 -Y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가 되고, 케이스(61)는 케이스 수납부(60)에 장착된 케이스 수납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장치측 고정 구조(54)의 돌기부(54p)가 제 4 저면(228d)에 접촉하고 있다.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장치측 고정 구조(54)는 접속 수입부(50)의 내부에 배치된 탄성 부재(도시는 생략)에 의해 -Z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으며, +Z 방향으로 외력을 받았을 때에 +Z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동한다. 이 +Z 방향으로의 부세력은 돌기부(54p)를 통하여 제 4 저면(228d)(도 20a)에 전달된다. 즉, 케이스(61)가 케이스 수납부(60)에 장착된 케이스 수납 상태에 있어서, 돌기부(54p)는, 케이스(61)에 대하여, -Z 방향으로 힘을 부여한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케이스측 고정 구조(220)의 피결합부(226)와 장치측 고정 구조(54)의 결합부(54p)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인 케이스 수납 상태에 있어서는,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140)는 장치측 전기 접속부(5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140)는 장치측 전기 접속부(52)로부터 적어도 +Z 방향의 힘을 받은 상태에 있다. 본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100)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오목부(160)와,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140)는 Z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는 위치 관계에 있다. 오목부(160)에는, 케이스(61)의 볼록부(210)가 수용된다. 볼록부(210)의 내부 공간(211)은 케이스측 고정 구조(220)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140)가 장치측 전기 접속부(52)로부터 받는 +Z 방향의 힘의 적어도 일부는 케이스(61)가 돌기부(54p)로부터 -Z 방향을 향하는 힘에 의해 없어진다. 따라서, 액체 수용체(100)가 +Y 방향측에 있어서 받는 힘의 Z 방향의 성분이 저감되어, 액체 수용체(100)의 Z 방향에 있어서의 배치 자세가 상정되어 있는 적정한 자세로부터 어긋나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접속 수입부(50)에 대한 액체 수용체(100)의 배치 자세의 악화가 억제되어, 그 접속 상태가 개선된다. 또한, 액체 수용체(100)의 배치 자세의 저하에 따라서, 접속 수입부(50)와 액체 수용체(100)의 접속 부위에 불필요한 응력이 생겨 버리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접속 수입부(50)와 액체 수용체(100)를 접속하기 위한 상술한 각종의 구성부의 손상·열화가 억제된다.
도 20b를 참조하여, 케이스측 고정 구조(220)와 장치측 고정 구조(54)의 결합 상태를 해제할 때의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액체 분사 장치(10)에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측 고정 구조(220)와 장치측 고정 구조(54)는, 상술한 결합 상태일 때에, 케이스(61)가 더욱 +Y 방향으로 압입되면, 그 결합 상태를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케이스(61)를 +Y 방향으로 압입하면, 장치측 고정 구조(54)의 돌기부(54p)는 위치(P5)로부터 +Y 방향으로 이동하여, +X 방향으로 제 2 돌출 벽부(226)를 따르고 있던 상태로부터 벗어난다. 그 때문에, 부세 부재에 의해 +X 방향측을 향하며 장치측 고정 구조(54)에 부여되어 있는 부세력에 의해, 돌기부(54p)는 +X 방향측으로 순발적으로 이동하고, 리브(216)의 +X 방향측의 측벽면(229)에 충돌한다(위치(P6)).
이에 의해, 돌기부(54p)는, 제 4 홈부(215d)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Y 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된 상태가 된다. 즉, 케이스측 고정 구조(220)와 장치측 고정 구조(54)의 결합 상태가 해제된 상태가 된다. 상술한 리브(216)로의 돌기부(54p)의 충돌에 의해 생기는 클릭음에 의해, 사용자는 케이스측 고정 구조(220)와 장치측 고정 구조(54)의 결합 상태가 해제된 것을 알 수 있다. 돌기부(54p)의 +Y 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되면, 기단 부재(57)(도 19)에 의해 +Y 방향으로 부여되는 힘에 의해, 액체 수용체(100) 및 케이스(61)는 자동적으로 -Y 방향으로 이동한다. 기단 부재(57)가 접속 수입부(50)로부터 멀어진 후는, 사용자가 케이스(61)를 인출하는 것에 의해, 액체 수용체(100)를 취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홈부(215)는 돌기부(54p)를 안내하는 루프 형상의 안내 경로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안내 경로의 입구 부분과 출구 부분은 공통이다. 안내 경로는 도중에 마련되어 있는 돌기부(54p)를 고정하는 고정부(226)와, 입구측 안내로와, 출구측 안내로에 의해 구성된다. 입구측 안내로는 전술한 입구 부분으로부터 고정부(226)까지의 경로 부분이다. 출구측 안내로는 고정부(226)로부터 전술한 출구 부분까지의 경로 부분이다.
[액체 수용체의 포장]
도 21a 및 도 21b는 액체 수용체(100)를 포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액체 수용체(100)는, 공장으로부터의 출하시 등, 액체 분사 장치(10)의 케이스(61)에 장착되기 전의 단계에서는, 이하와 같이 포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공정에서는, 액체 수용체(100)의 전체를 가요성을 갖는 필름 부재를 주머니 형상으로 구성한 포장재(300)에 수납하고 기밀하게 밀봉한다(도 21a).
포장재(300)는 양호한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재(300)는 그 기체 투과율이 1.0[cc/(㎡·일·at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며, 0.5[cc/(㎡·일·at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포장재(300)의 기체 투과율은 0.1[cc/(㎡·일·at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기체 투과율은 등압법에 의해 측정되는 값이면 좋다. 등압법이란, 시료로 형성된 격막으로 구획된 2개의 실내 공간에 동일한 압력으로 불활성 가스를 봉입한 후, 시험용의 기체를 한쪽 실내 공간에 주입하고, 상기 시험용의 기체가 시료를 투과하여 다른쪽 실내 공간으로 이동하는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포장재(300)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박이나, 실리카 증착 필름, 알루미늄 증착 필름에 의해 구성된다. 가스 배리어성을 고려한 경우에는, 알루미늄박, 실리카 증착 필름, 알루미늄 증착 필름의 순서가 바람직하다.
포장재(300)에는 그 내부 공간에 연통되는 공기 흡인구(301)가 미리 마련되어 있다. 제 2 공정에서는, 그 공기 흡인구(301)에 흡인 펌프(310)를 접속하여, 포장재(300)의 내부 공간을 감압한다. 이 공정에서는, 포장재(300)가 액체 수용체(100)의 전체에 밀착될 정도로 감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1b).
포장재(300)의 내부 공간이 감압되어 있으면, 액체 수용체(100)의 수용부(110) 내에 존재하는 공기를 수용부(110)의 외부로 유도할 수 있어서, 수용부(110)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수용부(110)가 포장재(300)에 의해 긴밀히 둘러싸인 상태가 되기 때문에, 가요성을 갖는 수용부(110)의 변형이 억제된다. 따라서, 수용부(110) 내의 액체에 수용부(110)의 변형에 수반하는 요동이 생기는 등 수용부(110) 내의 액체의 안정성의 저하가 억제된다. 부가하여, 수용부(110)의 변형이 억제되는 것에 의해, 액체 수용체(100)의 처리성이 높아진다.
또한, 전술의 제 2 공정의 흡인 펌프(310)에 의한 감압 공정을 실행하는 대신에, 제 1 공정에 있어서, 액체 수용체(100)를 긴밀히 체결되도록, 액체 수용체(100)를 포장재(300)로 둘러싸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방법이어도, 포장재(300)에 의해 수용부(110)의 변형을 간이하게 억제할 수 있어서, 액체의 보호성이나 액체 수용체(100)의 처리성이 개선된다.
[제 1 실시형태의 요약]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100)에 의하면, 액체 분사 장치(10)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140)가 장치측 전기 접속부(52)로부터 받는 Z 방향의 힘의 적어도 일부가, 케이스(61)가 장치측 고정 구조(54)의 돌기부(54p), 즉, 결합부(54p)로부터 받는 힘에 의해 저감된다. 따라서, 액체 수용체(100)의 배치 자세가 적정한 자세로부터 Z 방향으로 어긋나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액체 수용체(100)의 Z 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액체 수용체(100)의 X 방향에 있어서의 폭 및 Y 방향에 있어서의 폭보다 작기 때문에, 케이스(61) 상에 있어서의 액체 수용체(100)의 배치 자세가 안정화된다. 따라서, 액체 분사 장치(10)에 대한 액체 수용체(100)의 접속 상태가 개선된다. 그 외에, 상기 실시형태 중에서 설명한 여러 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 효과는 액체 수용체(100)가 액체 분사 장치(10)에 장착되어 있는 액체 분사 시스템(11)에서도 마찬가지로 얻을 수 있다.
B. 제 2 실시형태:
도 22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수용체(100B)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제 2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100B)는, 이하에 설명하는 점 이외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1 액체 수용체(100a)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100B)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1 액체 수용체(100a)와 마찬가지로, 제 1 케이스(61a)에 배치된 상태에서, 액체 분사 장치(10)의 케이스 수납부(60)에 수납되고, 제 1 접속 수입부(50a)에 접속된다.
제 2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100B)는, 액체 도출구(131)를 둘러싸고 있는 주연 리브(133)의 주변에, 복수의 보호 벽부(135)가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보호 벽부(135)는, 액체 도출구(131)의 상방과 횡방향으로, 주연부(132)를 따라서 배열되어 있다. 복수의 보호 벽부(135)는 액체 수용체(100)에 있어서 +Y 방향으로 가장 돌출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100B)에서는, 복수의 보호 벽부(135)에 의해, 액체 도출구(131)의 보호성이 높아져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100B)에서는, 주연 리브(133)나 -Y 방향으로 움푹한 주연부(132)는 생략되어도 좋다. 또한, 액체 도출구(131)는, 복수의 보호 벽부(135)보다 +Y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는 범위에서, +Y 방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복수의 보호 벽부(135)는 각각 +Y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상이하여도 좋다. 복수의 보호 벽부(135)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 2 액체 수용체(100b)에 적용되어도 좋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100B)나, 제 2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100B)가 액체 분사 장치(10)에 장착된 액체 분사 시스템(11)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여러 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C. 제 3 실시형태:
도 23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수용체(100C)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제 3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100C)는, 이하에 설명하는 점 이외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1 액체 수용체(100a)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제 3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100C)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1 액체 수용체(100a)와 마찬가지로, 제 1 케이스(61a)에 배치된 상태에서, 액체 분사 장치(10)의 케이스 수납부(60)에 수납되고, 제 1 접속 수입부(50a)에 접속된다.
제 3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100C)는 액체 도출구(131)의 상방의 영역에만 +Y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보호 벽부(136)가 마련되어 있다. 보호 벽부(136)는 액체 수용체(100)에 있어서의 +Y 방향으로 가장 돌출되어 있다. 보호 벽부(136)의 X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는 Y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슬릿(136s)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136s)은 생략되어도 좋다. 제 3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100C)라도, 보호 벽부(136)에 의해, 액체 도출구(131)의 보호성이 높아져 있다.
제 3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100C)에 있어서는, 주연 리브(133)나 -Y 방향으로 움푹한 주연부(132)는 생략되어도 좋다. 또한, 액체 도출구(131)는, 보호 벽부(136)보다 +Y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는 범위에서, +Y 방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보호 벽부(136)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 2 액체 수용체(100b)에 적용되어도 좋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100C)나, 제 3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100C)가 액체 분사 장치(10)에 장착된 액체 분사 시스템(11)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여러 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D. 제 4 실시형태:
도 24는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수용체(100D)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제 4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100D)는, 이하에 설명하는 점 이외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1 액체 수용체(100a)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제 4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100D)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1 액체 수용체(100a)와 마찬가지로, 제 1 케이스(61a)에 배치된 상태에서, 액체 분사 장치(10)의 케이스 수납부(60)에 수납되고, 제 1 접속 수입부(50a)에 접속된다.
제 4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100D)에서는, 주연 리브(133)가 생략되고, 주연부(132)의 주위가 전체적으로 +Y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에 의해, 액체 도출구(131)를 둘러싸는 주연 볼록부(137)가 형성되어 있다. 주연 볼록부(137)는 액체 수용체(100)에 있어서 +Y 방향으로 가장 돌출되어 있다. 제 4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100D)에 의하면, 주연 볼록부(137)에 의해, 액체 도출구(131)의 보호성이 높아져 있다. 주연 볼록부(137)에는 도중에 절결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주연 볼록부(137)의 +Y 방향측의 단부면에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주연 리브(133)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제 4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100D)에 있어서는, 액체 도출구(131)는, 주연 볼록부(137)보다 +Y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은 범위에서, +Y 방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주연 볼록부(137)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 2 액체 수용체(100b)에 적용되어도 좋다. 제 4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100D)나, 제 4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100D)가 액체 분사 장치(10)에 장착된 액체 분사 시스템(11)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여러 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E. 제 5 실시형태:
도 25는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케이스(61E)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5에는, 제 5 실시형태의 케이스(61E)에,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 1 액체 수용체(100a)가 배치되고, 개폐 덮개부(235)가 개방된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제 5 실시형태의 케이스(61E)는, 개폐 덮개부(235)가 추가되어 있는 점 이외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 1 케이스(61a)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개폐 덮개부(235)는, -Y 방향측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힌지부(236)를 지점으로 하여, 액체 수용체(100)의 상방에서 회동한다. 개폐 덮개부(235)가 폐쇄되었을 때에는, 케이스(61E)에 배치된 제 1 액체 수용체(100a)의 수용부(110a)의 전체는 개폐 덮개부(235)와 덮개 부재(203)에 의해 상방이 거의 덮인다. 이에 의해, 제 1 액체 수용체(100a)의 보호성이 높아져 있다.
개폐 덮개부(235)의 외주 단부에는, 제 1 측벽부(201) 및 제 2 측벽부(202)에 결합 가능한 클로부(237)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덮개 부재(203)를 생략하고, 개폐 덮개부(235)에 의해서만, 수용부(110a)의 상방이 덮이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개폐 덮개부(235)의 힌지부(236)나 클로부(237)는 생략되어도 좋다. 개폐 덮개부(235)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 2 케이스(61b)에 적용되어도 좋다. 또한, 제 5 실시형태의 케이스(61E)에 의하면, 상술한 이외에도,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여러 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F. 제 6 실시형태:
도 26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수용체(100F) 및 케이스(61F)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6은 케이스(61F)에 배치된 상태의 액체 수용체(100F)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7은 케이스(61F)로부터 액체 수용체(100F)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은 케이스(61F)에 배치된 상태의 액체 수용체(100F)를 -Y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개략도이다.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수용체(100F) 및 케이스(61F)는 각각, 이하에 설명하는 점 이외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수용체(100) 및 케이스(61)의 구성과 거의 동일하다.
제 6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100F)가 장착되는 액체 분사 장치는, 단색 인쇄를 실행하는 잉크젯 프린터인 점 이외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액체 분사 장치(10)와 거의 동일하다. 제 6 실시형태의 액체 분사 장치에서는, 케이스 수납부(60)의 X 방향의 거의 전체가 1개의 액체 수용체(100F)에 의해 차지된다. 접속 수입부(50)는, 케이스 수납부(60)의 +Y 방향측의 영역에 있어서, X 방향의 거의 중앙 부근에 1개 설치되어 있다.
제 6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100F)의 수용부(110F)는 제 1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100)보다 X 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연장되어 있으며, Y 방향에 있어서의 폭보다 크게 되어 있다. 액체 수용체(100F)의 접속 부재(120F)는, 수용부(110F)의 X 방향에 있어서의 폭에 맞추어, X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가 각각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접속 부재(120F)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의 접속 수입부(50)에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접속 부재(120F)에서는, 접속 수입부(50)로의 접속을 위한 구성부인 액체 도출구(131),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140), 제 1 수입부(150a), 제 2 수입부(150b), 끼워맞춤 구조 수입부(155)의 배치 레이아웃이 제 1 실시형태의 접속 부재(120)와 거의 동일하다.
제 6 실시형태의 케이스(61F)는 액체 수용체(100F)에 적합하도록 저면 벽부(200)의 X 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확대되고, 제 1 측벽부(201) 및 제 2 측벽부(202)의 사이의 거리 및 덮개 부재(203)의 X 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확대되어 있다. 또한, 제 6 실시형태의 케이스(61F)의 저면 벽부(200)의 상면에 있어서의 +Y 방향측의 단부에는, -Z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한쌍의 끼워맞춤 벽부(238)가 마련되어 있다. 한쌍의 끼워맞춤 벽부(238)는 볼록부(210) 및 한쌍의 끼워맞춤 볼록부(207)를 X 방향으로 사이에 두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각 끼워맞춤 벽부(238)는 그 벽면이 Y 방향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각 끼워맞춤 벽부(238)는, 케이스(61F)에 액체 수용체(100F)가 배치되었을 때에, 접속 부재(120)의 제 4 면부(124)에 마련되어 있는 끼워맞춤 홈(도시는 생략)에 삽입되고 끼워맞추어진다. 이에 의해, 케이스(61F)에 있어서의 액체 수용체(100F)의 배치 자세의 안정성이 높아진다.
제 6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100F)에 의하면, 잉크의 수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액체 수용체(100F)의 배치 자세의 안정성이 높아진다. 그 이외에, 제 6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100F)나, 제 6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100F)가 액체 분사 장치에 장착된 액체 분사 시스템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여러 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제 6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100F)가 장착되는 액체 분사 장치는, 복수의 액체 수용체(100F)를 Z 방향으로 적층하여 병렬로 장착하는 구성을 갖고 있어도 좋다.
G. 제 7 실시형태:
도 29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제 7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7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수용체(100)와 케이스(61)의 여러 가지의 조합의 예를 설명한다. 도 29의 예에서는, 제 1 액체 수용체(100a)가 제 2 케이스(61b) 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액체 수용체(100a)의 접속 부재(120a)는 제 2 케이스(61b)의 추가 벽부(232)에 X 방향으로 사이에 두어진 상태에서 지지된다. 이 조합에 의해, 제 1 액체 수용체(100a)를, 케이스 수납부(60)에 있어서의 제 2 케이스(61b)가 배치되는 배치 영역(LA)(도 3)에 배치하여도 좋다.
도 30의 예에서는, 제 1 액체 수용체(100a)가 제 6 실시형태의 케이스(61F) 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액체 수용체(100a)의 접속 부재(120a)는 케이스(61F)의 한쌍의 끼워맞춤 벽부(238)에 X 방향으로 사이에 두어진 상태에서 지지된다. 이 조합에 의해, 제 1 액체 수용체(100a)를, 제 6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액체 분사 장치에 안정적으로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1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6 실시형태의 케이스(61F)에는, 제 2 액체 수용체(100b)가 배치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G. 각 실시형태의 변형예:
상기의 각 실시형태의 구성의 변형 태양을 변형예로 하여 설명한다.
G1. 변형예 1: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 수납부(60)에 있어서의 액체 수용체(100) 및 케이스(61)의 이동 방향인 Y 방향은, 액체 분사 장치(10)의 전후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케이스 수납부(60)에 있어서의 액체 수용체(100) 및 케이스(61)의 이동 방향인 Y 방향은 액체 분사 장치(10)의 전후 방향과 일치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케이스 수납부(60)에 있어서의 액체 수용체(100) 및 케이스(61)의 이동 방향인 Y 방향은, 예를 들면 액체 분사 장치(10)의 횡방향이어도 좋다. 즉, 액체 수용체(100) 및 케이스(61)의 장착구가 액체 분사 장치(10)의 우측 또는 좌측의 측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 수납부(60)는 액체 분사 장치(10)에 있어서 최하단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케이스 수납부(60)는 다른 높이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케이스 수납부(60)는 Z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G2. 변형예 2: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액체 분사 장치(10)는 4개의 액체 수용체(100)를 장착하고 있으며, 제 6 실시형태의 액체 분사 장치는 1개의 액체 수용체(100F)를 장착하고 있다. 액체 분사 장치에 장착되는 액체 수용체(100)의 개수는 상기의 각 실시형태의 개수에 한정되는 일은 없다. 예를 들면, 액체 분사 장치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1 액체 수용체(100a) 또는 제 2 액체 수용체(100b)를 1개만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액체 분사 장치는 제 6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100F)를 2개 이상 수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분사 장치(10)에는, 2종류의 액체 수용체(100a, 100b)가 장착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액체 분사 장치(10)에는, 구성이 상이한 3종류 이상의 액체 수용체가 장착되어도 좋다.
G3. 변형예 3: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케이스측 고정 구조(220)는, 하트 캠 홈 구조를 갖고 있다. 이에 반하여, 케이스측 고정 구조(220)는 하트 캠 홈 구조를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케이스측 고정 구조(220)는, 예를 들면 결합 상태에 있어서, 장치측 고정 구조(54)의 돌기부(54p)가 -Y 방향으로 결합하는 단차부를 갖기만 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장치측 고정 구조(54)는, 사용자의 조작 등에 의해, X 방향으로 이동시켜 결합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G4. 변형예 4: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수입부(150a)와 제 2 수입부(150b)는 각각, 대응하는 위치결정부(53a, 53b)가 삽입되는 구멍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제 1 수입부(150a)와 제 2 수입부(150b)는 구멍부로서 구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으며, 예를 들면 Z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각 위치결정부(53a, 53b)의 선단이 접촉하는 접촉부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G5. 변형예 5: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140)는 기판부(141)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140)는 기판부(141)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140)는, 예를 들면 장치측 전기 접속부(52)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전극부만을 갖는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140)의 기판부(141)는 경사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140)의 기판부(141)는 경사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기판부(141)는, 적어도 장치측 전기 접속부(52)로부터 +Z 방향측을 향하는 힘을 받는 상태에서 장치측 전기 접속부(52)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각도로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기판부(141)는, 예를 들면 -Z 방향을 향하도록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G6. 변형예 6:
액체 수용체(100)의 구성은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액체 수용체(100)의 수용부(110)는 대략 원반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접속 수입부(50)에 있어서, 액체 도출구(131)는 X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지 않아도 좋고,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140)가 X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액체 도출구(131)는 X 방향에 있어서 한쌍의 수입부(150a, 150b)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한쌍의 수입부(150a, 150b)는 동일한 높이 위치에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거의 동일한 개구 형상이나 개구 사이즈를 갖고 있어도 좋다.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140)는 -Y 방향측으로 깊숙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Y 방향측으로 돌출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G7. 변형예 7:
액체 수용체(100)가 배치되는 케이스(61)의 구성은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일은 없다. 케이스(61)는 트레이 형상의 구성을 갖고 있지 않아도 좋으며, 예를 들면 복수의 기둥 형상의 부재를 조합한 프레임 형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G8. 변형예 8:
액체 수용체(100)가 접속되는 접속 수입부(50)는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에 한정되는 일은 없다. 접속 수입부(50)는 단일의 부품으로서 구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액체 도입부(51)나, 장치측 전기 접속부(52), 한쌍의 위치결정부(53a, 53b)가 각각 상이한 부재로서 독립되어 분리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갖고 있어도 좋다.
G9. 변형예 9:
상기 각 실시형태의 액체 분사 장치(10)는 프린터이며, 액체 분사 시스템(11)은 잉크젯 방식의 인쇄 시스템이다. 이에 반하여, 액체 분사 장치(10)는 프린터가 아니어도 좋고, 액체 분사 시스템(11)은 인쇄 시스템이 아니어도 좋다. 액체 분사 장치(10)는, 예를 들면 액체 세제를 분사하는 세정 장치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액체 분사 시스템은 세정 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형태나 실시예,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명의 개요란에 기재한 각 형태 중의 기술적 특징에 대응하는 실시형태, 실시예, 변형예 중의 기술적 특징은 상술의 과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기 위해, 혹은, 상술의 효과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달성하기 위해, 적절히, 교체나, 조합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 내에서, 생략되어도 좋음으로 설명되어 있는 것에 한정하지 않으며, 그 기술적 특징이 본 명세서 내에 필수적인 것으로서 설명되어 있지 않으면, 적절히,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원은 그 모든 개시가 참조에 의해 포함되는, 2016년 5월 2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일본 특허 출원 제 2016-106433 호, 일본 특허 출원 제 2016-106434 호, 일본 특허 출원 제 2016-106435 호), 및 2016년 8월 12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일본 특허 출원 제 2016-158399 호)에 근거하는 우선권을 주장한다.
10: 액체 분사 장치 10c: 하우징
11: 액체 분사 시스템 12: 전면부
13: 조작부 13b: 조작 버튼
13i: 표시부 14: 매체 배출구
15: 매체 받이부 16: 매체 수납구
17: 매체 수납부 18: 커버 부재
20: 제어부 30: 분사 실행부
31: 헤드부 32: 튜브
32r: 만곡 부위 33: 노즐
34: 캐리지 35: 매체 반송부
36: 반송 롤러 40: 액체 공급부
42: 공급 배관 43: 이음부
45: 변동 압력 발생부 46: 압력 전달 배관
50: 접속 수입부 50a: 제 1 접속 수입부
50b: 제 2 접속 수입부 51: 액체 도입부
51p: 관통 구멍 51t: 선단부
52: 장치측 전기 접속부 52t: 단자부
53a: 제 1 위치결정부 53b: 제 2 위치결정부
53g: 홈부 54: 장치측 고정 구조
54p: 돌기부(결합부) 54t: 선단부
55: 끼워맞춤 구조 55c: 돌기부
56: 액체 받이부 57: 기단 부재
60: 케이스 수납부 61, 61a, 61b, 61E, 61F: 케이스
62: 개구 부재 63: 관통 구멍
64: 레일 홈 65: 롤러
100, 100a, 100b, 100c, 100B, 100C, 100D, 100F: 액체 수용체
110, 110a, 110b, 110F: 수용부 111: 제 1 시트 부재
112: 제 2 시트 부재 113: 외주 단부
120, 120a, 120b, 120F: 접속 부재 121: 제 1 면부
122: 제 2 면부 123: 제 3 면부
125: 제 5 면부 126: 제 6 면부
128: 슬릿 131: 액체 도출구
132: 주연부 133: 주연 리브
135: 보호 벽부 136: 보호 벽부
136s: 슬릿 137: 주연 볼록부
140: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 141: 기판부
141s: 표면 142: 단자부
144: 기판 배치부 144s: 경사면
145: 벽부 150a: 제 1 수입부
150b: 제 2 수입부 151a: 제 1 개구부
151b: 제 2 개구부 155: 끼워맞춤 구조 수입부
156: 돌기부 157: 골부
160: 오목부 161: 끼워맞춤 오목부
162: 측단 지지부 200: 저면 벽부
201: 제 1 측벽부 201t: 결합 볼록부
202: 제 2 측벽부 202t: 결합 볼록부
203: 덮개 부재 203t: 클로부
204: 움푹부 205: 전면 벽부
207: 끼워맞춤 볼록부 210: 볼록부
211: 내부 공간 213: 가는 홈부
214: 단차부 215: 홈부
215a: 제 1 홈부 215b: 제 2 홈부
215c: 제 3 홈부 215d: 제 4 홈부
216: 리브 220: 케이스측 고정 구조
221: 중앙 볼록부 222: 제 1 벽면
223: 제 2 벽면 224: 제 3 벽면
225: 제 1 돌출 벽부
226: 제 2 돌출 벽부(피결합부, 고정부)
227: 제 3 돌출 벽부 228a: 제 1 저면
228b: 제 2 저면 228c: 제 3 저면
228d: 제 4 저면 228e: 제 5 저면
228f: 제 6 저면 229: 측벽면
230: 레일 리브 231: 다리부
232: 추가 벽부 235: 개폐 덮개부
236: 힌지부 237: 클로부
238: 끼워맞춤 벽부 300: 포장재
301: 공기 흡인구 310: 흡인 펌프
CL: 중심축 CP: 접촉 부위
LA: 배치 영역 MP: 매체
P1 내지 P6: 위치

Claims (11)

  1. 중력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Z 방향으로 하고, 상기 Z 방향 중 상기 중력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Z 방향으로 하고, 상기 Z 방향 중 상기 중력 방향과 반대의 방향을 -Z 방향으로 하고, 상기 Z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Y 방향으로 하고, 상기 Y 방향 중 하나의 방향을 +Y 방향으로 하고, 상기 Y 방향 중 다른 방향을 -Y 방향으로 하고, 상기 Z 방향과 상기 Y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X 방향으로 하고, 상기 X 방향 중 하나의 방향을 +X 방향으로 하고, 상기 X 방향 중 다른 방향을 -X 방향으로 할 때,
    케이스 수납부가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Y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케이스 수납부에 삽입되는 케이스로서, 상기 +Y 방향측의 단부에서 상기 -Z 방향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중공의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의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케이스측 고정 구조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가 상기 케이스 수납부에 장착된 케이스 수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Z 방향측을 향하는 힘을 부여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측 고정 구조에 결합하여, 상기 케이스의 상기 -Y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장치측 고정 구조와,
    상기 케이스 수납부의 상기 +Y 방향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액체 도입부와,
    상기 케이스 수납부의 상기 +Y 방향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장치측 전기 접속부와,
    상기 케이스 수납부의 상기 +Y 방향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Y 방향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액체 도입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X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제 1 위치결정부 및 제 2 위치결정부를
    구비하는 액체 분사 장치의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가요성을 갖고,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액체 수용체가 상기 액체 분사 장치에 장착된 장착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Y 방향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접속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부재에는,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Y 방향으로 상기 액체 도입부가 삽입되는 액체 도출구와,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장치측 전기 접속부로부터 적어도 상기 +Z 방향의 성분을 갖는 힘을 받으면서, 상기 장치측 전기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와,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결정부를 받아들이는 제 1 수입부와,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치결정부를 받아들이는 제 2 수입부와,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Z 방향으로 움푹해져 있으며, 상기 케이스의 상기 볼록부가 수용되는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와 상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는 상기 장착 상태의 자세에 있어서 상기 Z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 상태의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의 상기 Z 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상기 Y 방향에 있어서의 폭, 및 상기 X 방향에 있어서의 폭보다 작은
    액체 수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는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장치측 전기 접속부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고,
    상기 접촉면의 법선 벡터는, 상기 액체 수용체가 상기 장착 상태의 자세가 되었을 때에, 상기 -Z 방향의 벡터 성분과 상기 +Y 방향의 벡터 성분을 갖는
    액체 수용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상태의 자세가 되었을 때에, 상기 제 1 수입부는 상기 액체 도출구에 대하여 상기 -X 방향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수입부는 상기 액체 도출구에 대하여 상기 +X 방향측에 위치하는
    액체 수용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상태의 자세가 되었을 때에, 상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 및 상기 오목부는, 상기 X 방향에 있어서, 상기 액체 도출구와 상기 제 1 수입부 사이에 위치하는
    액체 수용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입부는 상기 제 1 위치결정부가 관통삽입되는 제 1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제 2 수입부는 상기 제 2 위치결정부가 관통삽입되는 제 2 개구부를 갖고,
    상기 장착 상태의 자세에 있어서, 상기 제 2 개구부의 상기 X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은 상기 제 1 개구부의 상기 X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보다 큰
    액체 수용체.
  6. 액체 분사 장치와, 액체 수용체를 구비하는 액체 분사 시스템에 있어서,
    중력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Z 방향으로 하고, 상기 Z 방향 중 상기 중력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Z 방향으로 하고, 상기 Z 방향 중 상기 중력 방향과 반대의 방향을 -Z 방향으로 하고, 상기 Z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Y 방향으로 하고, 상기 Y 방향 중 하나의 방향을 +Y 방향으로 하고, 상기 Y 방향 중 다른 방향을 -Y 방향으로 하고, 상기 Z 방향과 상기 Y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X 방향으로 하고, 상기 X 방향 중 하나의 방향을 +X 방향으로 하고, 상기 X 방향 중 다른 방향을 -X 방향으로 할 때,
    상기 액체 분사 장치는,
    케이스 수납부가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Y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케이스 수납부에 삽입되는 케이스로서, 상기 +Y 방향측의 단부에 있어서 상기 -Z 방향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중공의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의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케이스측 고정 구조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가 상기 케이스 수납부에 장착된 케이스 수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Z 방향측을 향하는 힘을 부여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측 고정 구조에 결합하여, 상기 케이스의 상기 -Y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장치측 고정 구조와,
    상기 케이스 수납부의 상기 +Y 방향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액체 도입부와,
    상기 케이스 수납부의 상기 +Y 방향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장치측 전기 접속부와,
    상기 케이스 수납부의 상기 +Y 방향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Y 방향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액체 도입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X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제 1 위치결정부 및 제 2 위치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액체 수용체는 상기 액체 분사 장치의 상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액체 수용체는,
    가요성을 갖고,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액체 수용체가 상기 액체 분사 장치에 장착된 장착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Y 방향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접속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부재에는,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Y 방향으로 상기 액체 도입부가 삽입되는 액체 도출구와,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장치측 전기 접속부로부터 적어도 상기 +Z 방향의 성분을 갖는 힘을 받으면서, 상기 장치측 전기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와,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결정부를 받아들이는 제 1 수입부와,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치결정부를 받아들이는 제 2 수입부와,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Z 방향으로 움푹해져 있으며, 상기 케이스의 상기 볼록부가 수용되는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와 상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는, 상기 장착 상태의 자세에 있어서, 상기 Z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 상태의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의 상기 Z 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상기 Y 방향에 있어서의 폭, 및 상기 X 방향에 있어서의 폭보다 작은
    액체 분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는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장치측 전기 접속부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고,
    상기 접촉면의 법선 벡터는, 상기 액체 수용체가 상기 장착 상태의 자세가 되었을 때에, 상기 -Z 방향의 벡터 성분과 상기 +Y 방향의 벡터 성분을 갖는
    액체 분사 시스템.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가 상기 장착 상태의 자세가 되었을 때에, 상기 제 1 수입부는 상기 액체 도출구에 대하여 상기 -X 방향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수입부는 상기 액체 도출구에 대하여 상기 +X 방향측에 위치하는
    액체 분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상태의 자세가 되었을 때에, 상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 및 상기 오목부는, 상기 X 방향에 있어서, 상기 액체 도출구와 상기 제 1 수입부 사이에 위치하는
    액체 분사 시스템.
  10.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입부는 상기 제 1 위치결정부가 관통삽입되는 제 1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제 2 수입부는 상기 제 2 위치결정부가 관통삽입되는 제 2 개구부를 갖고,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액체 수용체의 자세에 있어서, 상기 제 2 개구부의 상기 X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은 상기 제 1 개구부의 상기 X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보다 큰
    액체 분사 시스템.
  11.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측 고정 구조와 상기 케이스측 고정 구조는, 서로 결합된 결합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케이스가 상기 +Y 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상기 결합 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케이스의 상기 -Y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액체 분사 시스템.
KR1020187033576A 2016-05-27 2017-05-18 액체 수용체 및 액체 분사 시스템 KR1023775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06434 2016-05-27
JP2016106435A JP2017209947A (ja) 2016-05-27 2016-05-27 液体噴射装置
JPJP-P-2016-106433 2016-05-27
JP2016106433A JP6819077B2 (ja) 2016-05-27 2016-05-27 液体噴射装置
JP2016106434A JP2017209946A (ja) 2016-05-27 2016-05-27 液体噴射装置
JPJP-P-2016-106435 2016-05-27
JPJP-P-2016-158399 2016-08-12
JP2016158399A JP6702077B2 (ja) 2016-08-12 2016-08-12 液体収容体および液体噴射システム
PCT/JP2017/018634 WO2017204072A1 (ja) 2016-05-27 2017-05-18 液体収容体および液体噴射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559A KR20190010559A (ko) 2019-01-30
KR102377576B1 true KR102377576B1 (ko) 2022-03-22

Family

ID=60412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576A KR102377576B1 (ko) 2016-05-27 2017-05-18 액체 수용체 및 액체 분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3) US11148426B2 (ko)
EP (2) EP3912821A1 (ko)
KR (1) KR102377576B1 (ko)
CN (2) CN112406317B (ko)
AU (1) AU2017270304A1 (ko)
BR (1) BR112018073874A2 (ko)
CA (1) CA3024829A1 (ko)
MX (1) MX2018014319A (ko)
RU (1) RU2731075C2 (ko)
TW (1) TWI757295B (ko)
WO (1) WO20172040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06317B (zh) 2016-05-27 2022-07-05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液体容纳体和液体喷射系统
JP7388002B2 (ja) 2019-05-29 2023-11-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容器、装着体、及び、液体噴射装置
US11524501B2 (en) 2020-02-28 2022-12-13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storage unit
JP7532239B2 (ja) 2020-02-28 2024-08-13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容ユニッ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9876A (ja) 2008-05-23 2009-12-03 Seiko I Infotech Inc インク袋アダプタ、アダプタ付きインク袋、及び印刷装置
JP2010208038A (ja) 2009-03-06 2010-09-24 Seiko Epson Corp 液体噴射装置及び液体収容容器
JP2015074103A (ja) 2013-10-07 2015-04-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の再生方法、および液体収容容器
WO2015199703A1 (en) 2014-06-26 2015-12-30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aine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381436T1 (de) 2000-10-17 2008-01-15 Seiko Epson Corp Tintensack und damit versehenes aufzeichnungsgerät
JP3546870B2 (ja) 2000-10-17 2004-07-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収容袋及びそれを装着する記録装置
JP4432025B2 (ja) 2003-08-08 2010-03-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容器
JP4631253B2 (ja) 2002-06-17 2011-02-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
US7438401B2 (en) 2002-06-17 2008-10-21 Seiko Epson Corporation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cartridge
US7237880B2 (en) 2002-10-23 2007-07-03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ontaining bag and liquid ejector
AR049674A1 (es) * 2003-08-08 2006-08-30 Seiko Epson Corp Recipiente contenedor de liquido a suministrar a un aparato de consumo de dicho liquido
US7806523B2 (en) 2003-08-08 2010-10-05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ejecting apparatus and liquid container holder thereof
US20050052511A1 (en) 2003-08-08 2005-03-10 Takeo Seino Liquid ejecting apparatus and liquid container holder thereof
JP4403560B2 (ja) 2003-08-29 2010-01-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US8141998B2 (en) 2006-11-06 2012-03-27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ontainer
PL2080620T3 (pl) 2006-11-06 2011-10-31 Seiko Epson Corp Zbiornik cieczy, uchwyt zbiorników oraz urządzenie zużywające ciecz
JP4946751B2 (ja) 2006-11-06 2012-06-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容器ホルダ、液体消費装置及び液体収容容器
US8192003B2 (en) * 2007-12-28 2012-06-05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ontainer and liquid consuming apparatus
JP2013179307A (ja) 2008-05-13 2013-09-09 Ricoh Co Ltd 面発光レーザ素子、面発光レーザアレイ、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900446B2 (ja) 2009-10-22 2012-03-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容器
ES2398711T3 (es) 2010-06-17 2013-03-2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Cartucho de tinta
TWI590335B (zh) 2010-08-18 2017-07-01 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膜形成設備及膜形成方法
JP2012051315A (ja) * 2010-09-03 2012-03-15 Seiko Epson Corp ホルダー、ホルダーに着脱可能な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噴射装置
KR20120095790A (ko) 2011-02-21 2012-08-2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광전 변환 장치
ES2663949T3 (es) 2012-01-13 2018-04-17 Seiko Epson Corporation Cartucho y sistema de suministro de material de impresión
US8931887B2 (en) 2012-01-13 2015-01-13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onsumption apparatus, liquid supply member, and liquid supply system
US9440755B2 (en) * 2012-01-13 2016-09-13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ontainer and liquid consumption apparatus
US9132649B2 (en) 2012-04-27 2015-09-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movable guide element
JP5887295B2 (ja) * 2013-03-28 2016-03-1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インクコンテナ及びインクジェット式画像形成装置
JP6476551B2 (ja) 2013-05-15 2019-03-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印刷材供給システム
JP6277641B2 (ja) 2013-09-17 2018-02-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
JP2015058542A (ja) 2013-09-17 2015-03-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
JP6311251B2 (ja) 2013-09-20 2018-04-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
JP6217276B2 (ja) * 2013-09-20 2017-10-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
JP2015101008A (ja) 2013-11-26 2015-06-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
JP6454970B2 (ja) 2014-03-14 2019-01-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装置
JP2015214040A (ja) 2014-05-08 2015-12-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包装トレイ、包装体
JP2016043595A (ja) 2014-08-25 2016-04-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保持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
JP2016074124A (ja) * 2014-10-06 2016-05-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液体供給装置
JP6531424B2 (ja) 2015-02-25 2019-06-1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電源制御用半導体装置
JP5980391B1 (ja) 2015-08-28 2016-08-31 ローランドディー.ジー.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JP6819077B2 (ja) 2016-05-27 2021-01-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JP6702077B2 (ja) 2016-08-12 2020-05-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および液体噴射システム
CN112406317B (zh) * 2016-05-27 2022-07-05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液体容纳体和液体喷射系统
JP2018161759A (ja) * 2017-03-24 2018-10-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液体噴射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9876A (ja) 2008-05-23 2009-12-03 Seiko I Infotech Inc インク袋アダプタ、アダプタ付きインク袋、及び印刷装置
JP2010208038A (ja) 2009-03-06 2010-09-24 Seiko Epson Corp 液体噴射装置及び液体収容容器
JP2015074103A (ja) 2013-10-07 2015-04-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の再生方法、および液体収容容器
WO2015199703A1 (en) 2014-06-26 2015-12-30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ain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31075C2 (ru) 2020-08-28
US11679595B2 (en) 2023-06-20
US20230271422A1 (en) 2023-08-31
KR20190010559A (ko) 2019-01-30
EP3466694A1 (en) 2019-04-10
RU2018140992A (ru) 2020-06-29
EP3466694B1 (en) 2021-06-16
CN112406317B (zh) 2022-07-05
TWI757295B (zh) 2022-03-11
MX2018014319A (es) 2019-03-14
CN109153267A (zh) 2019-01-04
US11148426B2 (en) 2021-10-19
US12064972B2 (en) 2024-08-20
RU2018140992A3 (ko) 2020-06-29
EP3912821A1 (en) 2021-11-24
US20210197574A1 (en) 2021-07-01
CN109153267B (zh) 2020-12-04
WO2017204072A1 (ja) 2017-11-30
CN112406317A (zh) 2021-02-26
CA3024829A1 (en) 2017-11-30
EP3466694A4 (en) 2020-03-04
US20220016895A1 (en) 2022-01-20
AU2017270304A1 (en) 2018-12-06
BR112018073874A2 (pt) 2019-02-26
TW201742756A (zh) 2017-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2251B2 (ja) 液体収容体
US10500866B2 (en) Liquid container
KR102377576B1 (ko) 액체 수용체 및 액체 분사 시스템
CN108621583B (zh) 容器和液体喷射系统
JP6702077B2 (ja) 液体収容体および液体噴射システム
JP6922915B2 (ja) 液体収容体
JP6930165B2 (ja) カートリッジおよび液体供給ユニット
CN112009108B (zh) 液体容器、安装体以及液体喷射装置
JP7207481B2 (ja) 装着体および液体噴射システム
JP7287586B2 (ja) 装着体および液体噴射システム
JP6950783B2 (ja) 装着体および液体噴射システム
JP6614391B2 (ja) 装着体
JP2023099749A (ja) 液体収容体および液体噴射システム
JP2020078907A (ja) 液体収容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