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720B1 - 인조잔디 구조체 - Google Patents

인조잔디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720B1
KR102374720B1 KR1020210012884A KR20210012884A KR102374720B1 KR 102374720 B1 KR102374720 B1 KR 102374720B1 KR 1020210012884 A KR1020210012884 A KR 1020210012884A KR 20210012884 A KR20210012884 A KR 20210012884A KR 102374720 B1 KR102374720 B1 KR 102374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acking layer
buffer
artificial turf
turf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2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세준
권영훈
배기태
고영태
조광수
노현석
정은선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2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7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잔디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기포층, 상기 기포층과 결합된 파일부, 상기 기포층과 결합되어 상기 파일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백킹층 및 상기 백킹층에서 돌출되어 기설정된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완충층을 포함한다.
기포층 및 백킹층과 더불어 배열된 완충층에 의해 인조잔디 구조체는 단독으로 충격 흡수 성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추가적으로 적용되는 충진재의 충진량을 저감시킴으로서 향후 발생가능한 충진재 품질 이슈를 예방함과 동시에 시공 비용 및 시공성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인조잔디 구조체{Artificial turf structure}
본 발명은 인조잔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조잔디 구조체는 기포층, 원사를 기포층에 입모시켜 형성한 파일층, 기포층에 형성되어 파일을 고정하는 코팅층을 포함한다.
축구장 등 운동 경기장은 플레이 성능 및 사용자 안정성을 위하여 충격 흡수 성능이 구현되어야 한다. 이에 기포층의 위로 규사, 고무칩 등의 충진재를 충진한 충진층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다량의 충진재로 인하여 인조잔디 구조체 시공 가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충진재 유실로 인한 주기적인 보충이 필요하여 유지관리 비용이 상승하였다.
이에 인조잔디 구조체의 충격흡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파일층의 원사 밀도를 상향시켜 충격흡수성능 보완을 하거나 코팅층에 전체적으로 충격흡수패드를 결합하여 충격흡수성능을 보완하였다.
원사 밀도 상향으로 충격흡수성능은 향상되나 인조잔디 구조체의 중량 증가로 이송 및 시공 시 어려움이 발생하였으며 추가적인 원사 공급으로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었다. 또한, 충격흡수패드에 의해 충격흡수성능은 우수하나 우수가 충격흡수패드를 통과하지 못하였다. 이에 인조잔디 구조체 제조 시 인조잔디 구조체에 별도의 배수홀을 형성해야 하는 공정이 추가적으로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4691호 (2017.07.2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82783호 (2020.11.19.)
본 발명은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배수성과 충격흡수 효율을 높인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는 기포층, 상기 기포층과 결합된 파일부, 상기 기포층과 결합되어 상기 파일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백킹층 및 상기 백킹층에서 돌출되어 기설정된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완충층을 포함한다.
상기 완충층은 천연 고무(Natural Rubber; NR),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NBR), (Stryrene Butadien Rubber; SBR), 폴리클로로프렌 고무(Polychloroprene Rubber; CR), 이소부탄-이소프렌(Isobutene-isoprene; IIR),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완충층은 상기 백킹층에서 돌출되어 상기 백킹층의 제1 방향을 따라 연속 형성되어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상기 백킹층의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완충층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라인 형태로 반듯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층은 상기 백킹층에서 돌출되어 상기 백킹층의 제1 방향을 따라 웨이브 형태로 연속 형성되어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상기 백킹층의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완충층의 양진폭 길이(L1)는 10㎜ 내지 15㎜이며 웨이브 주기의 길이(L2)는 10㎜ 내지 20㎜이고, 이웃한 완충층의 간격(S2)은 2㎜ 내지 50㎜일 수 있다.
상기 완충층은 상기 백킹층에서 점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백킹층의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상기 백킹층의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완충층의 돌출 길이는 상기 백킹층의 일면을 기준으로 2㎜ 내지 25㎜일 수 있다.
상기 기포층과 상기 백킹층은 각각 폴리올레핀(polyolefine; PO),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염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chloride; PVDC), 나일론(nylo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ethyleneterepfthalate; PET)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기포층은 50 ~ 200g/㎡ 중량의 단섬유 직포 또는 부직포일 수 있다.
상기 백킹층은 장섬유 직포 또는 부직포일 수 있다.
상기 기포층, 상기 파일부 및 상기 백킹층은 서로 연결되어 인발강도가 50N 초과할 수 있다.
상기 완충층은 상기 백킹층에서 돌출되어 상기 백킹층의 제1 방향을 따라 연속 형성되어 있는 제1 완충부재, 그리고 상기 백킹층에서 돌출되어 상기 백킹층의 제1 방향을 따라 연속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완충부재와 떨어져 있는 제2 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완충부재와 상기 제2 완충부재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상기 백킹층의 제2 방향으로 폭 넓이를 가지며, 상기 제2 완충부재의 폭 넓이 숫자는 상기 제1 완충부재의 폭 넓이 숫자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포층, 백킹층 및 기설정된 형상을 갖고 배열되어 있는 완충층에 의해 인조잔디 구조체에는 복수의 충격흡수 층이 형성된다. 이에 별도의 충격흡수패드 설치 없이 인조잔디 구조체 단독으로서의 충격 흡수 성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추가적으로 적용되는 충진재의 충진량을 저감 시킬 수 있다. 충진재 사용 저감으로 향후 발생가능한 충진재 품질 이슈를 예방할 수 있고 동시에 시공 비용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생산 공정 효율화를 통한 생산 비용이 저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저면도.
도 3은 도 2의 완충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도.
도 4는 도 2의 완충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도.
도 5는 도 2의 완충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1)는 기포층(10), 파일부(20), 백킹층(30) 및 완충층(40a)을 포함하며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배수성과 충격흡수 효율을 높인다.
기포층(10)에는 파일사로 이루어진 파일부(20)가 결합되어 있다. 파일부(20)는 기포층(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식모라인(21)을 형성하며 길이 방향과 수직한 기포층(10)의 폭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백킹층(30)은 기포층(10)의 일면에 배치되어 열융착 방식으로 파일부(20)의 식모라인(21)과 결합되어 있다. 백킹층(30)은 기포층(10) 및 식모라인(21)과 열융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백킹층(30)은 파일부(20)가 기포층(10)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고정한다.
기포층(10)과 백킹층(30)은 폴리올레핀(polyolefine; PO),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염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chloride; PVDC), 나일론(nylo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ethyleneterepfthalate; PET)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만들어질 수 있다. 기포층(10)과 백킹층(30)은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열융착 결합이 용이하다. 기포층(10), 파일부(20) 및 백킹층(30)의 결합을 열융착 방식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기포층(10)은 50 ~ 200g/㎡ 중량의 단섬유 직포 또는 부직포일 수 있다. 백킹층(30)은 장섬유 직포 또는 부직포일 수 있다. 기포층(10)과 백킹층(30)은 완충력을 제공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여기서, 기포층(10)의 중량을 50g/㎡ 미만으로 형성하면 중량이 낮아 충격흡수성이 미비해 충격흡수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다. 이와 반대로 기포층(10)의 중량을 200g/㎡ 초과하여 형성하면 중량이 높아 파일사를 식모하는 제직공정의 생산 효율이 저하된다.
한편, 열융착으로 기포층(10), 파일부(20) 및 백킹층(30)이 서로 연결되어 인발강도가 50N 초과할 수 있다. 인발강도가 50N를 초과하므로 장기간 사용 시 파일사가 뽑히지 않아 초기와 동등 유사한 플레이 성능 및 외관 구현이 가능하여 인조잔디 구조체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인발강도가 50N 미만으로 형성되며 파일사가 뽑히는 문제가 발생하여 품질 저하가 발생하여 플레이 성능 및 외관 품위가 저하되어 인조잔디 주조체의 신뢰성이 저하된다.
완충층(40a)은 상기 완충층은 천연 고무(Natural Rubber; NR),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NBR), (Stryrene Butadien Rubber; SBR), 폴리클로로프렌 고무(Polychloroprene Rubber; CR), 이소부탄-이소프렌(Isobutene-isoprene; IIR),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만들어질 수 있다. 완충층(40a)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완충층(40a)은 백킹층(30)에 결합되어 돌출되어 있다. 완충층(40a)은 백킹층(30)에 열융착, 접착제 따위로 결합될 수 있다.
완충층(40a)의 돌출 길이는 2㎜ 내지 25㎜일 수 있다. 완충층(40a)의 돌출 길이를 2㎜ 미만으로 형성하면 충력흡수성 상승율이 개선되지 않아 완충층(40a)의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다. 이에 경제성이 저하된다. 완충층(40a)의 돌출 길이를 25㎜ 초과하여 형성하면 두께의 증가로 충격흡수성 상승율은 우수하나 제조한 인조잔디 구조체를 운송하기 위해 롤업 작업이 어렵고, 롤업 직경이 증가하여 운송에 어려움이 있다.
완충층(40a)은 식모라인(21)과 동일한 백킹층(30)의 길이 방향인 제1 방향(Y)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완충층(40a)은 라인 형태로 반듯하게 형성되어 있다. 완충층(40a)은 제1 방향(Y)과 수직한 백킹층(30)의 폭 방향인 제2 방향(X)을 배열되어 있다. 이웃한 완충층(40a)의 간격은 파일부(20)의 이웃한 식모 라인인과 같을 수 있다. 이웃한 완충층(40a)의 사이 공간이 배수공간(41)이 형성된다. 인조잔디 구조체에 별도의 배수홀 타공 공정이 발생할지 않는다. 또한 배수공간이 완충층(40a)을 따라 연속 형성되므로 배수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웃한 완충층(40a)의 가장자리의 간격(S1)은 2㎜ 내지 50㎜일 수 있다. 이웃한 완충층(40a)의 가장자리 간격(S1)을 2㎜ 미만으로 형성하면 충격흡수성 상승율은 좋으나 간격(S1)이 촘촘하여 별도 배수홀을 형성하는 공정이 발생한다. 또한 간격(S1)을 2㎜ 미만으로 형성하면 완충층(40a)을 형성하기 위해 도포되는 재질의 양이 증가하여 경제성이 저하된다. 완충층(40a)의 간격(S1)을 2㎜ 미만으로 형성하면 이웃한 완충층이 서로 간섭되어 완충층(40a)을 소정의 두께로 형성하기 어렵다. 이와 반대로 이웃한 완충층(40a)의 간격(S1)을 50㎜ 초과하여 형성하면 폭이 넓어지면서 충격흡수성 상승율이 저하된다. 또한 이웃한 완충층(40a)의 간격(S1)을 50㎜ 초과하여 형성하면 인조잔디 구조체 시공 시 요철 형상이 상층부에 구현되어 심미감 및 플레이 성능에 영향을 미쳐 경기력이 저하된다.
라인 형태로 반듯한 완충층(40a)에 의해 배수공간(41)이 반듯하게 형성되어 인조잔디 구조체(1)를 통과한 우수가 배수공간(41)을 따라 신속하게 배수로로 유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2)는 도 1 및 도 2의 특징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다만 완충층이 다른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층(40b)은 백킹층(30)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있다. 완충층(40b)의 돌출된 길이는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층(40a)의 돌출 길이와 같다. 완충층(40b)은 백킹층(30)의 제1 방향(Y)을 따라 웨이브 형태로 연속 형성되어 제1 방향(Y)과 수직한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완충층(40b)은 웨이브 형태로 형성되어 중심(C)으로부터 최대 웨이브 거리인 진폭(L)을 가지며 양진폭의 길이(L1)는 10㎜ 내지 15㎜ 일 수 있다. 완충층(40b)에서 웨이브가 반복되는 주기의 길이(L2)는 10㎜ 내지 20㎜일 수 있다. 그리고 웨이브 주기는 정점(Hp)과 저점(Lp)을 갖는다. 이웃한 완충층(40b)의 정점(Hp)과 저점(Lp)은 가상의 평행선(PL)을 갖을 수 있다. 평행선(PL)은 제1 방향(Y)을 따라 형성되어 제2 방향(X)으로 간격을 두고 마주하고 있다. 가상의 평행선(PL)의 간격(S2)은 2㎜ 내지 50㎜일 수 있다.
여기서, 양진폭의 길이(L1)와 웨이브 주기의 길이(L2)를 10㎜ 미만으로 형성하고 평행선의 간격(S2)을 2㎜ 미만으로 형성하면 충격흡수성 상승율은 좋으나 간격이 촘촘하여 별도 배수홀을 형성하는 공정이 발생하고, 완충층(40b)을 형성하기 위해 도포되는 재질의 양이 증가하여 경제성이 저하되며, 이웃한 완충층이 서로 간섭되어 완충층(40b)을 소정의 두께로 형성하기 어렵다. 이와 반대로 양진폭의 길이(L1)를 15㎜를 초과하여 형성하고, 웨이브 주기의 길이(L2)를 20㎜ 초과하여 형성하며, 평행선(PL)의 간격(S2)을 50㎜ 초과하여 형성하면 이웃한 완충층(40b)의 사이에 공간 발생이 증가하여 충격흡수성 상승율이 저하되며 시공 시 완충층(40b)이 인조잔디 구조체에서 요철 형태로 노출되어 심미감과 플레이 성능이 저하된다.
웨이브 형태의 완충층(40b)에 의해 배수공간 또한 웨이브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인조잔디 구조체(2)를 통과한 우수가 웨이브의 배수공간을 유동하므로 우수의 유속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3)는 도 1 및 도 2의 특징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다만 완충층이 다른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층(40c)은 백킹층(30)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있다. 완충층(40c)의 돌출된 길이는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층(40a)의 돌출 길이와 같다. 완충층(40c)은 원기둥 형태로 돌출되어 있다. 완충층(40c)은 백킹층(30)에서 돌출될수록 단면적이 협소해질 수 있다. 그러나 완충층(40c)은 백킹층(30)에서 돌출될수록 단면적이 증가하여 접촉면적이 극대화될 수 있다.
완충층(40c)은 백킹층(30)의 제1 방향(Y) 및 제1 방향(Y)과 수직한 백킹층(30)의 제2 방향(X)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이때 이웃한 완충층(40c)은 서로 엇갈리게 위치한다. 제1 방향(Y)과 제2 방향(X)으로 배열되어 서로 이웃한 완충층(40c)의 외부 둘레의 간격(S3)은 2㎜ 내지 50㎜일 수 있다. 이웃한 완충층(40c)의 가장자리 간격(S3)을 2㎜ 미만으로 형성하면 충격흡수성 상승율은 좋으나 간격(S3)이 촘촘하여 별도 배수홀을 형성하는 공정이 발생한다. 이와 반대로 이웃한 완충층(40c)의 간격(S3)을 50㎜ 초과하여 형성하면 폭이 넓어지면서 충격흡수성 상승율이 저하되며, 인조잔디 구조체 시공 시 요철 형상이 상층부에 구현되어 심미감 및 플레이 성능에 영향을 미쳐 경기력이 저하된다.
점 형태의 완충층(40c)의 배열로 배수공간이 사방으로 형성되어 인조잔디 구조체(3)를 통과한 우수는 배수공간에서 사방으로 유동하여 배수되므로 배수성이 우수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포층(10), 백킹층(30) 및 기설정된 형상을 갖고 배열되어 있는 완충층(40a)에 의해 인조잔디 구조체에는 복수의 충격흡수 층이 형성된다. 이에 별도의 충격흡수패드 설치 없이 인조잔디 구조체 단독으로서의 충격 흡수 성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추가적으로 적용되는 충진재의 충진량을 저감 시킬 수 있다. 충진재 사용 저감으로 향후 발생가능한 충진재 품질 이슈를 예방할 수 있고 동시에 시공 비용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생산 공정 효율화를 통한 생산 비용이 저감된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3)는 도 1 및 도 2의 특징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다만 완충층이 다른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층(40d)은 제1 완충부재(42a), 그리고 제2 완충부재(42b)를 포함한다.
제1 완충부재(42a)는 백킹층(30)에서 돌출되어 제1 방향(Y)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제1 완충부재(42a)는 제2 방향(X)을 따라 기설정된 넓이(w1)를 갖는다.
제2 완충부재(42b)는 백킹층(30)에서 돌출되어 제1 방향(Y)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제2 완충부재(42b)는 제2 방향(X)을 따라 기설정된 넓이(w2)를 갖는다. 제2 완충부재(42b)는 제1 완충부재(42a)로부터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져 있다. 제1 완충부재(42a)와 제2 완충부재(42b)가 이격된 거리(S4) 숫자는 제1 완충부재(42a)의 넓이(w1) 숫자보다 크다.
그리고 제2 완충부재(42b)의 넓이(w2) 숫자는 제1 완충부재(42a)의 넓이(w1) 숫자보다 크다. 이에 따라 제2 완충부재(42b)의 단면적은 제1 완충부재(42a)의 단면적보다 넓다.
제1 완충부재(42a)와 제2 완충부재(42b)는 교번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2 완충부재(42b)의 넓이(w2)에 의해 완충력 효율을 향상된다. 제1 완충부재(42a)와 제2 완충부재(42b)가 이격되어 그 사이에 배수공간(41)이 형성된다. 배수공간(41)에 의해 백킹층(30)을 통과한 우수의 배수 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백킹층(30)과 제2 완충부재(42b)의 사이에 백킹층(30)을 통과한 우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는 완충층(40a, 40b, 40c, 41d)이 결합된 지지시트(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 지지시트의 면적은 백킹층(30)의 면적과 같다. 완충층(40a, 40b, 40c, 41d)은 지지시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백킹층(30)과 결합된다. 지지시트에 결합된 완충층(40a, 40b, 40c, 41d)를 백킹층(30)에 결합하므로 완충층(40a, 40b, 40c, 41d)과 백킹층(30)의 결합에 따른 공정 효율이 향상된다.
그리고 지지시트는 백킹층(30)을 통과한 우수가 지면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직포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시트는 생분해 성분을 포함하며 인조잔디 구조체 시공후 생분해 될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하기 표 1의 완충층 형태에 따라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으며, KS F 3881 인조잔디 KS 품질 규격에 따라 배수성 및 충격흡수율을 측정하였다.
Figure 112021011908725-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경우 배수성이 좋지 못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조잔디 시공시 배수홀을 타공해야하는 추가공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완충층의 간격이 55mm인 비교예 3의 경우 우수한 배수성을 나타냈으나, 인조잔디의 시공 시 요철이 형성되어 볼구름 성능이 저하되는 경기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나타냈다. 이에 반해,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 충격흡수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배수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2, 3: 인조잔디 구조체 10: 기포층
20: 파일부 21: 식모라인
30: 백킹층 40a, 40b, 40c, 41d: 완충층
41: 배수공간 42a: 제1 완충부재
42b: 제2 완충부재

Claims (13)

  1. 50 ~ 200g/㎡ 중량의 단섬유 직포 또는 부직포인 기포층,
    상기 기포층과 결합된 파일부,
    상기 기포층과 결합되어 상기 파일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백킹층 및
    상기 백킹층과 결합되어 돌출되어 있고 기설정된 형상으로 배열되어 완충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완충층
    을 포함하고,
    이웃한 상기 복수의 완충층 사이에 배수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기포층과 상기 백킹층은 각각 폴리올레핀(polyolefine; PO),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염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chloride; PVDC), 나일론(nylo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ethyleneterepfthalate; PET)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인
    인조잔디 구조체.
  2. 제1항에서,
    상기 완충층은 천연 고무(Natural Rubber; NR),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NBR), (Stryrene Butadien Rubber; SBR), 폴리클로로프렌 고무(Polychloroprene Rubber; CR), 이소부탄-이소프렌(Isobutene-isoprene; IIR),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인
    인조잔디 구조체.
  3. 제1항에서,
    상기 완충층은 상기 백킹층에서 돌출되어 상기 백킹층의 제1 방향을 따라 연속 형성되어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상기 백킹층의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인조잔디 구조체.
  4. 제3항에서,
    상기 완충층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라인 형태로 반듯하게 형성된 인조잔디 구조체.
  5. 제1항에서,
    상기 완충층은 상기 백킹층에서 돌출되어 상기 백킹층의 제1 방향을 따라 웨이브 형태로 연속 형성되어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상기 백킹층의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인조잔디 구조체.
  6. 제5항에서,
    상기 완충층의 양진폭(L1) 길이는 10㎜ 내지 15㎜이며 웨이브 주기의 길이(L2)는 10㎜ 내지 20㎜이고, 이웃한 완충층의 간격(S2)은 2㎜ 내지 50㎜인
    인조잔디 구조체.
  7. 제1항에서,
    상기 완충층은 상기 백킹층에서 점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백킹층의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상기 백킹층의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인조잔디 구조체.
  8. 제1항에서,
    상기 완충층의 돌출 길이는 상기 백킹층의 일면을 기준으로 2㎜ 내지 25㎜인 인조잔디 구조체.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서,
    상기 백킹층은 장섬유 직포 또는 부직포인 인조잔디 구조체.
  12. 제1항에서,
    상기 기포층, 상기 파일부 및 상기 백킹층은 서로 연결되어 인발강도가 50N 초과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13. 제1항에서,
    상기 완충층은
    상기 백킹층에서 돌출되어 상기 백킹층의 제1 방향을 따라 연속 형성되어 있는 제1 완충부재, 그리고
    상기 백킹층에서 돌출되어 상기 백킹층의 제1 방향을 따라 연속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완충부재와 떨어져 있는 제2 완충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완충부재와 상기 제2 완충부재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상기 백킹층의 제2 방향으로 폭 넓이를 가지며, 상기 제2 완충부재의 폭 넓이 숫자는 상기 제1 완충부재의 폭 넓이 숫자보다 큰
    인조잔디 구조체.
KR1020210012884A 2021-01-29 2021-01-29 인조잔디 구조체 KR102374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884A KR102374720B1 (ko) 2021-01-29 2021-01-29 인조잔디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884A KR102374720B1 (ko) 2021-01-29 2021-01-29 인조잔디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4720B1 true KR102374720B1 (ko) 2022-03-14

Family

ID=80823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884A KR102374720B1 (ko) 2021-01-29 2021-01-29 인조잔디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7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3746B1 (ko) * 2022-03-22 2022-05-30 주식회사 민우티앤씨 인조잔디용 충격흡수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인조잔디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7508A (ja) * 1994-03-08 1995-09-26 Sekisui Chem Co Ltd 砂入り人工芝生製グラウンド
KR101147009B1 (ko) * 2010-06-10 2012-05-1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발 강도가 향상된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64691B1 (ko) 2016-11-25 2017-08-10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KR101995797B1 (ko) * 2017-11-21 2019-07-0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KR102000917B1 (ko) * 2018-01-11 2019-07-1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KR102182783B1 (ko) 2020-04-29 2020-11-25 박기찬 충격흡수패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7508A (ja) * 1994-03-08 1995-09-26 Sekisui Chem Co Ltd 砂入り人工芝生製グラウンド
KR101147009B1 (ko) * 2010-06-10 2012-05-1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발 강도가 향상된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64691B1 (ko) 2016-11-25 2017-08-10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KR101995797B1 (ko) * 2017-11-21 2019-07-0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KR102000917B1 (ko) * 2018-01-11 2019-07-1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KR102182783B1 (ko) 2020-04-29 2020-11-25 박기찬 충격흡수패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3746B1 (ko) * 2022-03-22 2022-05-30 주식회사 민우티앤씨 인조잔디용 충격흡수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인조잔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53766B1 (en) Artificial grass turf system
KR101962318B1 (ko) 인조잔디 구조체
KR102374720B1 (ko) 인조잔디 구조체
TW200932980A (en) Ultra-resilient pad
KR102019094B1 (ko) 인조잔디매트 시스템
JP2013096102A (ja) 人工芝生の敷設構造及び人工芝生のリニューアル方法
KR100913423B1 (ko) 띠형 섬유보강재
CN107498961A (zh) 一种防水耐摩复合面料
JP4679271B2 (ja) 強化のり面形成用材料及び強化のり面形成方法
JP5416613B2 (ja) 人工芝連結体
KR102382126B1 (ko)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44892B1 (ko) 초레질리언스 패드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6037470A (ja) 集排水板
KR101287994B1 (ko)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
JPH05118196A (ja) トンネル被覆導水用排水材
KR102417615B1 (ko) 인조잔디 구조체
EP4261348A1 (en) Shock-absorbing layer as well as method for its manufacturing
US20140250555A1 (en) Ballistic material with structural stays
KR102580785B1 (ko) 충격흡수패드층이 일체로 구성되어 자기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인조잔디매트의 제조방법 및 그 인조잔디매트
JP2000065140A (ja) 免震材
KR102375538B1 (ko) 지반 보강층을 구비한 인조잔디 구조체
JP6017268B2 (ja) 補強材
JPH0738226U (ja) 土木用排水材
CN107313323A (zh) 人造草坪用弹性地垫及其制备方法
CN100406082C (zh) 高尔夫球击球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