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783B1 - 충격흡수패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충격흡수패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783B1
KR102182783B1 KR1020200052228A KR20200052228A KR102182783B1 KR 102182783 B1 KR102182783 B1 KR 102182783B1 KR 1020200052228 A KR1020200052228 A KR 1020200052228A KR 20200052228 A KR20200052228 A KR 20200052228A KR 102182783 B1 KR102182783 B1 KR 102182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layer
layer
weight
parts
polyolefin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2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찬
정국노
Original Assignee
박기찬
정국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찬, 정국노 filed Critical 박기찬
Priority to KR1020200052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7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01C13/083Construction of grass-grown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foa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14Use of organic additives
    • C08J9/0023Use of organic additives containing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6Use of 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1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nitrogen, the blowing agent being a compound containing a nitrogen-to-nitrogen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1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nitrogen, the blowing agent being a compound containing a nitrogen-to-nitrogen bond
    • C08J9/102Azo-compounds
    • C08J9/103Azodicarbon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5/00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C08J2205/04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foam pores
    • C08J2205/05Open cells, i.e. more than 50% of the pores are op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8Copolymers of ethen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합성수지재가 가교 발포 성형되어 기포 구조를 가지며 소정의 밀도와 두께를 통하여 충격흡수기능과 형상유지기능을 제공하는 제1완충층; 제1완충층의 하면에 접합 구성되고 합성수지재가 가교 발포 성형되어 기포 구조를 가지며 소정의 밀도와 두께 및 별도의 탈포 공정을 통하여 복원기능과 충격흡수기능을 제공하는 제2완충층; 제1완충층의 상면에 접합 구성되어 제1완충층을 보호하고 인조잔디층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며 제1완충층의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팽창을 억제하는 표피층; 및 제2완충층의 하면에 접합 구성되어 제2완충층을 보호하고 제2완충층의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팽창을 억제하는 하부지지층을 포함하는 충격흡수패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충격흡수패드 및 그 제조방법{Shock absorbing p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충격흡수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격흡수기능과 복원성이 우수하고 열에 의한 수축 팽창 변화가 최소화되어 인조잔디층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충격흡수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경기장의 운동장이나 놀이터 또는 스포츠센터의 마루바닥에는 축구나 야구 등과 같은 스포츠를 플레이할 때 넘어지거나 슬라이딩 태클 등과 같은 동작시 부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인조잔디층의 하면에 충격흡수패드가 고정 및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충격흡수패드는, 완충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완충패드가 소정의 두께를 가지거나 또는 복수개가 적층한 상태에서 가장 상층부의 완충패드에 인조잔디층이 접합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때, 인조잔디층은 2층 구조를 가지는 섬유패드 상에 각각 서로 상이한 섬유(원사)들로 이루어진 2종의 파일(Pile)들이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충격 완충 및 시각적 효과가 제공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종래의 충격흡수패드는, 상기와 같은 운동장이나 마루바닥 등에 고정 설치시, 이용자가 뛰거나 넘어지더라도 완충패드에 의해 충격이 분산 흡수되어 이용자의 부상 위험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충격흡수패드는, 단순히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패드만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너무 딱딱하여 충격흡수기능이 현저히 저하되거나 또는 너무 소프트하여 복원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야외 또는 실내라고 하더라도 완충패드가 설치되는 설치면과 주변의 온도변화에 따라 완충패드가 수축 및 팽창하게 되고 이에, 완충패드의 상면에 접합된 인조잔디층도 표면이 고르지 않고 울퉁불퉁해지면서 굴곡이나 유격이 발생되어 인조잔디층의 완충용 탄성칩이 뭉쳐지거나 유실되어 제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1) 등록특허 10-2065896
(특허문헌 0002) 공개특허 10-2013-0078104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완충층을 통하여 충격흡수기능과 복원성을 향상시키고 온도 변화에 따른 완충층들의 수축 팽창을 최소화하여 인조잔디층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는 충격흡수패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합성수지재가 가교 발포 성형되어 독립된 기포 구조를 가지며 소정의 밀도와 두께를 통하여 충격흡수기능과 형상유지기능을 제공하는 제1완충층; 제1완충층의 하면에 접합 구성되고 합성수지재가 가교 발포 성형되어 개방된 기포 구조를 가지며 제1완충층 이하의 밀도와 제1완충층 이상의 두께 및 별도의 탈포 공정을 통하여 복원기능과 충격흡수기능을 제공하는 제2완충층; 제1완충층의 상면에 접합 구성되어 제1완충층을 보호하고 인조잔디층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며 제1완충층의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팽창을 억제하는 표피층; 및 제2완충층의 하면에 접합 구성되어 제2완충층을 보호하고 제2완충층의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팽창을 억제하는 하부지지층을 포함하는 충격흡수패드가 제공된다.
또한, 제1완충층은, 0.025g/cm^3 내지 0.20g/cm^3의 밀도를 가지고 3mm 내지 6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완충층은, 0.025g/cm^3 내지 0.07g/cm^3의 밀도를 가지고 6mm 내지 10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완충층은, 폴리올레핀 수지와, 발포제와, 가교제와, 발포조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메탈로센 폴리에틸렌(metallocene P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 중 EVA 공중합체를 반드시 포함하여 단독 또는 혼합사용하며, 상기 발포제로는, 아조디카본 아미드(ADCA: Azodicarbonamide), 디니트로소 펜타메틸렌 테트라민(N,NDinitrosopentamethylenetetramine), 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OBSH: P,POxybis(benzenesulfonyl hydrazide), 톨루엔 설포닐 하이드라지드(toluenesulfonyl hydrazide)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아조디카본 아미드를 포함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열분해형 발포제를 사용하고, 상기 가교제로는, 디큐밀 퍼옥사이드(Dicumylperoxide), t-부틸퍼옥사이드(Di-t-butylperoxide)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을 사용하며, 상기 발포조제로는, 카드뮴 화합물, 칼슘 화합물, 아연 화합물, 마그네슘 화합물을 단독 혹은 혼합 사용하고, 상기 열분해형 발포제로는, 아조디카본 아미드에 디니트로소 펜타메틸렌 테트라민이나 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나 톨루엔 설포닐 하이드라지드를 혼합하여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며,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100 중량부, 상기 열분해형 발포제는 15 내지 20 중량부, 상기 가교제는 0.6 내지 2 중량부 및 상기 발포조제는 0.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 중 비닐 아세테이트의 함량이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 중 10 내지 25 중량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피층은, PP 또는 PET 재질을 가지는 필름형 부직포이고, 20g/m^3 내지 150g/m^3의 밀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지지층은, PP 또는 PET 재질을 가지는 필름형 부직포이고, 20g/m^3 내지 150g/m^3의 밀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완충층, 제2완충층, 표피층 및 하부지지층이 제조 및 준비되는 단계와; 제1완충층과 제2완충층이 열 융착을 통해 접합되는 단계와; 상기 접합된 제1완충층과 제2완충층이 최소 5시간 동안 냉각되는 단계와; 제2완충층의 하면에 하부지지층이 접합되는 단계와; 상기 접합된 제1완충층과 제2완충층 및 하부지지층이 냉각되는 단계와; 제1완충층의 상면에 표피층이 접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격흡수패드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제2완충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메탈로센 폴리에틸렌(metallocene P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 중 EVA 공중합체를 반드시 포함하여 단독 또는 혼합사용하며, 상기 발포제로는, 아조디카본 아미드(ADCA: Azodicarbonamide), 디니트로소 펜타메틸렌 테트라민(N,NDinitrosopentamethylenetetramine), 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OBSH: P,POxybis(benzenesulfonyl hydrazide), 톨루엔 설포닐 하이드라지드(toluenesulfonyl hydrazide)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아조디카본 아미드를 포함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열분해형 발포제를 사용하며, 상기 가교제로는, 디큐밀 퍼옥사이드(Dicumylperoxide), t-부틸퍼옥사이드(Di-t-butylperoxide)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을 사용하며, 상기 발포조제로는, 카드뮴 화합물, 칼슘 화합물, 아연 화합물, 마그네슘 화합물을 단독 혹은 혼합 사용하며, 이때, 폴리올레핀 수지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 중 비닐 아세테이트의 함량이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 중 10 내지 25 중량부를 가지는 상태에서 혼련기(kneader)를 이용하여 배합하여 마스터베치(M/B)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터베치를 압출기를 통과하도록 하여 시트형 성형체를 성형한 후, 가교 처리된 시트형 성형체를 발포로인 고온의 열풍로를 통과하도록 하여 소정의 연속 발포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셀(cell)을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발포단계 후에 자연냉각을 실시하고, 상기 발포체의 일면을 커터로 슬라이스(slice) 처리한 후, 상기 슬라이스 처리된 발포체를 압착롤을 통과하도록 하여 셀을 오픈시켜서 오픈셀(open cell)의 가교발포체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가교발포체를 다수개의 침이 고정된 롤러에 관통시키고, 상기 관통된 가교발포체를 압착롤을 통과하도록 하여 셀을 오픈시켜서 오픈셀(open cell)의 가교발포체를 제조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완충층이 적층됨으로써, 향상된 복원성 및 충격흡수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표피층, 제1완충층, 제2완충층 및 하부지지층이 적층된 상태에서 표피층의 상면에 인조잔디층이 접합됨으로써, 제1완충층과 제2완충층을 통해서는 복원성 및 충격흡수기능을 제공하고 표피층과 하부지지층을 통해서는 제1완충층과 제2완충층이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팽창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패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충격흡수패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도 3은 도 1의 충격흡수패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는, 합성수지재가 가교 발포 성형되어 독립된 기포 구조를 가지며 소정의 밀도와 두께를 통하여 충격흡수기능과 형상유지기능을 제공하는 제1완충층(110)과, 제1완충층(110)의 하면에 접합 구성되고 합성수지재가 가교 발포 성형되어 개방된 기포 구조를 가지며 제1완충층(110) 이하의 밀도와 제1완충층(110) 이상의 두께 및 별도의 탈포 공정을 통하여 복원기능과 충격흡수기능을 제공하는 제2완충층(12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충격흡수패드는, 제1완충층(110)의 상면에 접합 구성되어 제1완충층(110)을 보호하고 인조잔디층(150)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며 제1완충층(110)의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팽창을 억제하는 표피층(130) 및 제2완충층(120)의 하면에 접합 구성되어 제2완충층(120)을 보호하고 제2완충층(120)의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팽창을 억제하는 하부지지층(140) 등을 포함한다.
제1완충층(110)은, 합성수지재가 가교 발포 성형되어 기포 구조를 가지며 소정의 밀도와 두께를 통하여 충격흡수기능과 형상유지기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PE수지, 가교제, 발포제 및 발포조제 등이 소정의 중량부를 가지면서 배합된 상태에서 압출 및 발포 공정에 의해 독립된 기포 구조를 가지면서 성형된다.
제1완충층(110)은, 0.025g/cm^3 내지 0.20g/cm^3의 밀도를 가지고 3mm 내지 6mm의 두께를 가진다.
여기서, 제1완충층(110)이 0.025g/cm^3을 미만하는 밀도를 가지고 3mm에 미만하는 두께를 가지는 경우에는 밀도와 두께가 너무 낮아 완충 효과는 거의 제공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0.20g/cm^3을 초과하는 밀도를 가지고 6mm를 초과하는 두께를 가지는 경우에는 단단한 밀도와 높은 높이를 가지게 되어 오히려 완충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완충층(110)은, 폴리올레핀 수지와, 발포제와, 가교제와, 발포조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완충층(110)에 의하면, 폴리올레핀 수지와, 발포제와, 가교제와, 발포조제를 포함하여 가교 발포 성형됨으로써, 인조잔디층(15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충격흡수기능과 복원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제2완충층(120)은, 제1완충층(110)의 하면에 접합 구성되고 합성수지재가 가교 발포 성형되어 기포 구조를 가지며 소정의 밀도와 두께 및 별도의 탈포 공정을 통하여 복원기능과 충격흡수기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PE수지, 가교제, 발포제 및 발포조제 등이 소정의 중량부를 가지면서 배합된 상태에서 압출 및 발포 공정에 의해 독립된 기포 구조를 가지면서 성형된 후 탈포되어 복원성이 향상된다.
제2완충층(120)은, 0.025g/cm^3 내지 0.07g/cm^3의 밀도를 가지고 6mm 내지 10mm의 두께를 가진다.
여기서, 제1완충층(110)이 0.025g/cm^3을 미만하는 밀도를 가지고 6mm에 미만하는 두께를 가지는 경우에는 밀도와 두께가 너무 낮아 완충 효과는 거의 제공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0.07g/cm^3을 초과하는 밀도를 가지고 10mm를 초과하는 두께를 가지는 경우에는 단단한 밀도와 높은 높이를 가지게 되어 오히려 완충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제2완충층(120)은, 폴리올레핀 수지와, 발포제와, 가교제와, 발포조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메탈로센 폴리에틸렌(metallocene P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 중 EVA 공중합체를 반드시 포함하여 단독 또는 혼합사용하고, 상기 발포제로는, 아조디카본 아미드(ADCA: Azodicarbonamide), 디니트로소 펜타메틸렌 테트라민(N,NDinitrosopentamethylenetetramine), 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OBSH: P,POxybis(benzenesulfonyl hydrazide), 톨루엔 설포닐 하이드라지드(toluenesulfonyl hydrazide)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아조디카본 아미드를 포함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열분해형 발포제를 사용하며, 상기 가교제로는, 디큐밀 퍼옥사이드(Dicumylperoxide), t-부틸퍼옥사이드(Di-t-butylperoxide)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을 사용하고, 상기 발포조제로는, 카드뮴 화합물, 칼슘 화합물, 아연 화합물, 마그네슘 화합물을 단독 혹은 혼합 사용한다.
이때, 상기 열분해형 발포제로는, 완충층의 급작 발포를 유도해서 더욱 우수한 미세 셀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 아조디카본 아미드에 디니트로소 펜타메틸렌 테트라민이나 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나 톨루엔 설포닐 하이드라지드를 혼합하여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100 중량부, 상기 열분해형 발포제는 15 내지 20 중량부, 상기 가교제는 0.6 내지 2 중량부 및 상기 발포조제는 0.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며, 이때, 폴리올레핀 수지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 중 비닐 아세테이트의 함량이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 중 10 내지 25 중량부를 가지며, 이를 통하여, 제2완충층(120)이 복원성이 매우 우수한 폴리우레탄 발포체와 유사한 물성을 가지도록 하여 제1완충층(110)과 열을 이용한 접합시 그을음이나 가스가 발생되거나 두께가 줄어드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완충층(120)의 폴리올레핀 수지 중 비닐 아세테이트의 함량이 10 중량부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제2완충층(120)이 폴리우레탄 발포체와 유사한 물성을 가지지 못하게 되어 복원성이 현저히 저하되며, 2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비닐 아세테이트의 특성상 너무 끈적거림이 많고 서로 달라붙어 제2완충층(120)의 복원성이 오히려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제2완충층(120)은, 가교 발포를 통해 성형된 후 별도의 탈포 공정을 가지게 되는데, 탈포는 복수개의 탐침을 이용하거나 슬라이스, 압착롤 통과 등의 방식으로 진행되어, 복원력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완충층(120)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먼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메탈로센 폴리에틸렌(metallocene P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 중 EVA 공중합체를 반드시 포함하여 단독 또는 혼합사용하며, 상기 발포제로는, 아조디카본 아미드(ADCA: Azodicarbonamide), 디니트로소 펜타메틸렌 테트라민(N,NDinitrosopentamethylenetetramine), 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OBSH: P,POxybis(benzenesulfonyl hydrazide), 톨루엔 설포닐 하이드라지드(toluenesulfonyl hydrazide)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아조디카본 아미드를 포함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열분해형 발포제를 사용하며, 상기 가교제로는, 디큐밀 퍼옥사이드(Dicumylperoxide), t-부틸퍼옥사이드(Di-t-butylperoxide)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을 사용하며, 상기 발포조제로는, 카드뮴 화합물, 칼슘 화합물, 아연 화합물, 마그네슘 화합물을 단독 혹은 혼합 사용하며, 이때, 폴리올레핀 수지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 중 비닐 아세테이트의 함량이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 중 10 내지 25 중량부를 가지는 상태에서 혼련기(kneader)를 이용하여 배합하여 마스터베치(M/B)를 형성한다.
이후, 상기 마스터베치를 압출기를 통과하도록 하여 시트형 성형체를 성형한 후, 가교 처리된 시트형 성형체를 발포로인 고온의 열풍로를 통과하도록 하여 소정의 연속 발포체를 형성한다.
이후, 셀(cell)을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발포단계 후에 자연냉각을 실시하고, 상기 발포체의 일면을 커터로 슬라이스(slice) 처리한 후, 상기 슬라이스 처리된 발포체를 압착롤을 통과하도록 하여 셀을 오픈시켜서 오픈셀(open cell)의 가교발포체를 제조한다.
또는, 상기 가교발포체를 다수개의 침이 고정된 롤러에 관통시키고, 상기 관통된 가교발포체를 압착롤을 통과하도록 하여 셀을 오픈시켜서 오픈셀(open cell)의 가교발포체를 제조한다.
여기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100 중량부, 상기 열분해형 발포제는 15 내지 20 중량부, 상기 가교제는 0.6 내지 2 중량부 및 상기 발포조제는 0.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2완충층(120)에 의하면, 폴리올레핀 수지와, 발포제와, 가교제와, 발포조제를 포함하여 가교 발포 성형시 비닐아세테이트의 중량부 한정을 통하여 폴리우레탄 발포체와 유사한 물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제1완충층(110)의 열융착이 용이하고 충격흡수기능과 복원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표피층(130)은, 제1완충층(110)의 상면에 접합 구성되어 제1완충층(110)을 보호하고 인조잔디층(150)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며 제1완충층(110)의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팽창을 억제하는 수단으로서, PP 또는 PET 재질을 가지는 필름형 부직포 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내열성, 내구성 및 내한성을 제공할 수 있다.
표피층(130)은, 20g/m^3 내지 150g/m^3의 밀도를 가진다.
여기서, 표피층(130)이 20g/m^3을 미만하는 밀도를 가지는 경우에는 밀도가 너무 낮아 내열성, 내구성 및 내한성이 크게 저하되고 접착제를 이용한 인조잔디층(150)과의 접착력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50g/m^3을 초과하는 밀도를 가지는 경우에는 단단한 밀도를 가지게 되어 오히려 접착제를 이용한 인조잔디층(150)과의 접착력이 저하되고 완충 효과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따라서 표피층(130)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제1완충층(110)이 상기와 같이 PE 가교 발포체로 구성됨에 따라 인조잔디층(150)이 접합되도록 하는 접착제와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면이나 주변의 온도가 직접 제1완충층(110)에 전달되는 것이 억제되어 제1완충층(110)의 수축 팽창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하부지지층(140)은, 제2완충층(120)의 하면에 접합 구성되어 제2완충층(120)을 보호하고 제2완충층(120)의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팽창을 억제하는 수단으로서, PP 또는 PET 재질을 가지는 필름형 부직포 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내열성, 내구성 및 내한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하부지지층(140)은, 20g/m^3 내지 150g/m^3의 밀도를 가지를 가진다.
여기서, 하부지지층(140)이 20g/m^3을 미만하는 밀도를 가지는 경우에는 밀도가 너무 낮아 내열성, 내구성 및 내한성이 크게 저하되고 접착제를 이용한 설치면과의 접착력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50g/m^3을 초과하는 밀도를 가지는 경우에는 단단한 밀도를 가지게 되어 오히려 접착제를 이용한 설치면과의 접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따라서 하부지지층(140)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제2완충층(120)이 상기와 같이 PE 가교 발포체로 구성됨에 따라 설치면에 접합되도록 하는 접착제와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면이나 주변의 온도가 직접 제2완충층(120)에 전달되는 것이 억제되어 제2완충층(120)의 수축 팽창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완충층(110), 제2완충층(120), 표피층(130) 및 하부지지층(140)에는 다수개의 배수홀이 천공 형성되어, 실외나 실내의 운동장 등에 설치시 빗물의 배수나 청소용 하수가 배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는, 합성수지재가 가교 발포 성형되어 기포 구조를 가지며 소정의 밀도와 두께를 통하여 충격흡수기능과 형상유지기능을 제공하는 제1완충층(110), 제1완충층(110)의 하면에 접합 구성되고 합성수지재가 가교 발포 성형되어 기포 구조를 가지며 소정의 밀도와 두께 및 별도의 탈포 공정을 통하여 복원기능과 충격흡수기능을 제공하는 제2완충층(120) 및 제1완충층(110)의 상면에 접합 구성되어 제1완충층(110)을 보호하고 인조잔디층(150)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며 제1완충층(110)의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팽창을 억제하는 표피층(130) 이외에, 제1완충층(110)과 제2완충층(120)의 사이 및 제2완충층(120)의 하면에 추가완충층이 접합 구성된다.
상기 추가완충층은, 제1완충층(110)과 제2완충층(120)의 사이 및 제2완충층(120)의 하면에 접합 구성되어 제1완충층(110)과 제2완충층(120)의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팽창을 억제하는 수단으로서, PP 또는 PET 재질을 가지는 부직포 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내열성, 내구성 및 내한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추가완충층은, 400g/m^3 내지 600g/m^3의 밀도를 가지고 2mm 내지 5mm의 두께를 가지며, 적어도 20 내지 50 중량부의 LM(low melting) 소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추가완충층이 400g/m^3을 미만하는 밀도를 가지고 2mm에 미만하는 두께를 가지며 20 중량부를 미만하는 LM 소재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밀도와 두께 및 용융물질의 중량이 너무 낮아 내열성, 내구성 및 내한성이 크게 저하되고 제2완충층(120)과의 열 융착시 접합성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600g/m^3을 초과하는 밀도를 가지고 5mm를 초과하는 두께를 가지며 50 중량부를 초과하는 LM 소재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단단한 밀도와 높은 높이 및 용융물질의 중량이 너무 높아 오히려 열 융착시 접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추가완충층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제2완충층(120)이 상기와 같이 PE 가교 발포체로 구성됨에 따라 설치면에 접합되도록 하는 접착제와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면이나 주변의 온도가 직접 제2완충층(120)에 전달되는 것이 억제되어 제2완충층(120)의 수축 팽창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하부지지층(140)이나 추가완충층은, 직접 도포되거나 필름에 도포된 후 라미네이팅되는 항균층에 의하여 흡방습성과 항곰팡이성이 향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항균층은 기능성 첨가제에 의해 형성되고, 기능성 첨가제는, 산화마그네슘(MgO), 염화마그네슘(Mgcl2), 펄라이트(Perlite), 우드파우더(Wood powder) 및 피버글라스(Fiber glass) 등으로 조성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산화마그네슘 100 중량부에, 산화마그네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각각 염화마그네슘 30 내지 40 중량부, 펄라이트 2 내지 4 중량부, 우드파우더 5 내지 8 중량부 및 피버글라스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산화마그네슘은, 항균층이 흡습성과 방습성, 각종세균의 번식 차단을 통한 항곰팡이성 및 내화성 등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한다.
염화마그네슘은, 항균층이 내수성과 내화성 및 기계적 강도 등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며, 산화마그네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0 내지 40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30 중량부에 미만하는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 특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4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 특성이 너무 강하게 작용되어 현장에서의 설치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수치한정에 따른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펄라이트는, 항균층이 내수성과 방습성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며, 산화마그네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 내지 4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2 중량부에 미만하는 경우에는 내수성과 방습성의 기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4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능성 첨가제의 도포나 분사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수치한정에 따른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우드파우더는, 항균층이 목재의 향과 심미감을 가지도록 하며, 산화마그네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8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5 중량부에 미만하는 경우에는 향과 심미감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8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능성 첨가제의 교반시 교반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수치한정에 따른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피버글라스는, 항균층이 단열 기능을 가지도록 하며, 산화마그네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10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5 중량부에 미만하는 경우에는 단열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높은 점도에 의해 교반성과 분사에 따른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수치한정에 따른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완충층(110), 제2완충층(120), 표피층(130) 및 하부지지층(140)이 제조 및 준비된다.
이후, 제1완충층(110)과 제2완충층(120)이 열 융착을 통해 접합된다.
여기서, 상기 열 융착을 이용한 접합 공정은, 제1완충층(110)과 제2완충층(120)이 각각 언와인더에 거치된 상태에서 공급롤을 통과시 대면 부분이 직접 소정 온도를 가지는 열에 의해 소정 시간 동안 가열되어 용융된 상태에서 대면 경화되면서 접합된다.
이때, 제2완충층(120)의 밀도가 제1완충층(110)의 밀도 보다 낮으므로 동일한 장력을 가지면서 공급롤에 공급되는 경우 제2완충층(120)이 안쪽으로 컬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제2완충층(120)의 장력이 제1완충층(110)의 장력 보다는 낮은 상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와 같이 접합된 제1완충층(110)과 제2완충층(120)이 최소 5시간 동안 냉각된다.
여기서, 제1완충층(110)과 제2완충층(120)은 직접 열에 의해 용융된 상태를 가지기 때문에, 단순히 냉각롤러 등을 통한 순간 냉각 공정으로는 가열 공정에 의해 팽창된 제1완충층(110)과 제2완충층(120)이 팽창 이전 상태로 회복되지 못하므로, 최소 5시간 동안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제2완충층(120)의 하면에 하부지지층(140)이 접합된다.
여기서, 제1완충층(110)과 제2완충층(120)은 충분히 냉각된 상태를 가지므로, 하부지지층(140)을 공급하는 공급롤러에만 열을 가하여 하부지지층(140)의 접합 부분이 용융되도록 한 후, 제1완충층(110) 및 제2완충층(120)과 함께 압착되는 간접 열을 이용하여 접합이 이루어져 제1완충층(110)과 제2완충층(120)이 열에 의해 팽창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와 같이 접합된 제1완충층(110)과 제2완충층(120) 및 하부지지층(140)이 냉각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접합된 제1완충층(110)과 제2완충층(120) 및 하부지지층(140)은 간접 열을 이용한 압착에 의해 접합이 이루어졌으므로, 냉각롤러 등을 통한 순간 냉각 공정이어도 무방하다.
이후, 제1완충층(110)의 상면에 표피층(130)이 접합된다.
여기서, 표피층(130)의 접합은 제2완충층(120)의 하면에 하부지지층(140)이 접합되는 공정과 동일하게 진행된다.
한편, 표피층(130)이 제1완충층(110)에 접합되는 단계가 하부지지층(140)이 제2완충층(120)에 접합되는 단계 보다 후행되는데, 제1완충층(110)이 제2완충층(120)에 비하여 열에 의한 수축 팽창이 가장 크게 발생되므로, 상기 공정들 진행시 제1완충층(110)에 열이 최소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때, 표피층(130)과 접합되는 제1완충층(110), 제2완충층(120) 및 하부지지층(140)의 접합체는 인취롤러 등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늘어나지 않도록 장력이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사용 용도에 따라 배수홀 천공 작업이 선택적으로 진행된다.
이후, 표피층(130)에 인조잔디층(150)이 공지의 방식으로 열 융착 또는 본딩 접합된다.
한편, 제1완충층(110)과 제2완충층(120)의 사이 및 제2완충층(120)의 하면에 추가완충층이 접합 구성되는 경우에는, 제2완충층(12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하부지지층(140)이 열 융착되는 공정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진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림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의 작용 및 효과를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충격흡수패드의 제조 방법에 의해 충격흡수패드가 제조된다.
여기서, 제1완충층(110)은 0.025g/cm^3의 밀도와 3mm의 두께를 가진다.
또한, 제1완충층(110)은 폴리올레핀 수지와, 발포제와, 가교제와, 발포조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제2완충층(120)은 0.025g/cm^3의 밀도와 8mm의 두께를 가진다.
또한, 제2완충층(120)은, 폴리올레핀 수지와, 발포제와, 가교제와, 발포조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메탈로센 폴리에틸렌(metallocene P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 중 EVA 공중합체를 반드시 포함하여 단독 또는 혼합사용하며, 상기 발포제로는, 아조디카본 아미드(ADCA: Azodicarbonamide), 디니트로소 펜타메틸렌 테트라민(N,NDinitrosopentamethylenetetramine), 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OBSH: P,POxybis(benzenesulfonyl hydrazide), 톨루엔 설포닐 하이드라지드(toluenesulfonyl hydrazide)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아조디카본 아미드를 포함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열분해형 발포제를 사용하며, 상기 가교제로는, 디큐밀 퍼옥사이드(Dicumylperoxide), t-부틸퍼옥사이드(Di-t-butylperoxide)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을 사용하며, 상기 발포조제로는, 카드뮴 화합물, 칼슘 화합물, 아연 화합물, 마그네슘 화합물을 단독 혹은 혼합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열분해형 발포제로는, 완충층의 급작 발포를 유도해서 더욱 우수한 미세 셀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 아조디카본 아미드에 디니트로소 펜타메틸렌 테트라민이나 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나 톨루엔 설포닐 하이드라지드를 혼합하여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100 중량부, 상기 열분해형 발포제는 15 중량부, 상기 가교제는 0.6 중량부 및 상기 발포조제는 0.5 중량부를 포함하되, 이때, 폴리올레핀 수지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 중 비닐 아세테이트의 함량이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 중 18 중량부를 가지며, 슬라이스 또는 탐침 후 압착롤을 통과하는 탈포 과정을 거친다.
한편, 표피층(130)은, 20g/m^3의 밀도를 가진다.
또한, 하부지지층(140)은, 20g/m^3의 밀도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충격흡수패드의 제조 방법에 의해 충격흡수패드가 제조된다.
여기서, 제1완충층(110)은 0.09g/cm^3의 밀도와 4mm의 두께를 가진다.
또한, 제1완충층(110)은 폴리올레핀 수지와, 발포제와, 가교제와, 발포조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제2완충층(120)은 0.04g/cm^3의 밀도와 9mm의 두께를 가진다.
또한, 제2완충층(120)은, 폴리올레핀 수지와, 발포제와, 가교제와, 발포조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메탈로센 폴리에틸렌(metallocene P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 중 EVA 공중합체를 반드시 포함하여 단독 또는 혼합사용하며, 상기 발포제로는, 아조디카본 아미드(ADCA: Azodicarbonamide), 디니트로소 펜타메틸렌 테트라민(N,NDinitrosopentamethylenetetramine), 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OBSH: P,POxybis(benzenesulfonyl hydrazide), 톨루엔 설포닐 하이드라지드(toluenesulfonyl hydrazide)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아조디카본 아미드를 포함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열분해형 발포제를 사용하며, 상기 가교제로는, 디큐밀 퍼옥사이드(Dicumylperoxide), t-부틸퍼옥사이드(Di-t-butylperoxide)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을 사용하며, 상기 발포조제로는, 카드뮴 화합물, 칼슘 화합물, 아연 화합물, 마그네슘 화합물을 단독 혹은 혼합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열분해형 발포제로는, 완충층의 급작 발포를 유도해서 더욱 우수한 미세 셀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 아조디카본 아미드에 디니트로소 펜타메틸렌 테트라민이나 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나 톨루엔 설포닐 하이드라지드를 혼합하여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100 중량부, 상기 열분해형 발포제는 15 중량부, 상기 가교제는 0.6 중량부 및 상기 발포조제는 0.5 중량부를 포함하되, 이때, 폴리올레핀 수지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 중 비닐 아세테이트의 함량이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 중 18 중량부를 가지며, 슬라이스 또는 탐침 후 압착롤을 통과하는 탈포 과정을 거친다.
한편, 표피층(130)은, 100g/m^3의 밀도를 가진다.
또한, 하부지지층(140)은, 100g/m^3의 밀도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충격흡수패드의 제조 방법에 의해 충격흡수패드가 제조된다.
여기서, 제1완충층(110)은 0.20g/cm^3의 밀도와 5mm의 두께를 가진다.
또한, 제1완충층(110)은 폴리올레핀 수지와, 발포제와, 가교제와, 발포조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제2완충층(120)은 0.07g/cm^3의 밀도와 10mm의 두께를 가진다.
또한, 제2완충층(120)은, 폴리올레핀 수지와, 발포제와, 가교제와, 발포조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메탈로센 폴리에틸렌(metallocene P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 중 EVA 공중합체를 반드시 포함하여 단독 또는 혼합사용하며, 상기 발포제로는, 아조디카본 아미드(ADCA: Azodicarbonamide), 디니트로소 펜타메틸렌 테트라민(N,NDinitrosopentamethylenetetramine), 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OBSH: P,POxybis(benzenesulfonyl hydrazide), 톨루엔 설포닐 하이드라지드(toluenesulfonyl hydrazide)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아조디카본 아미드를 포함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열분해형 발포제를 사용하며, 상기 가교제로는, 디큐밀 퍼옥사이드(Dicumylperoxide), t-부틸퍼옥사이드(Di-t-butylperoxide)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을 사용하며, 상기 발포조제로는, 카드뮴 화합물, 칼슘 화합물, 아연 화합물, 마그네슘 화합물을 단독 혹은 혼합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열분해형 발포제로는, 완충층의 급작 발포를 유도해서 더욱 우수한 미세 셀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 아조디카본 아미드에 디니트로소 펜타메틸렌 테트라민이나 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나 톨루엔 설포닐 하이드라지드를 혼합하여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100 중량부, 상기 열분해형 발포제는 15 중량부, 상기 가교제는 0.6 중량부 및 상기 발포조제는 0.5 중량부를 포함하되, 이때, 폴리올레핀 수지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 중 비닐 아세테이트의 함량이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 중 20 중량부를 가지며, 슬라이스 또는 탐침 후 압착롤을 통과하는 탈포 과정을 거친다.
한편, 표피층(130)은, 150g/m^3의 밀도를 가진다.
또한, 하부지지층(140)은, 150g/m^3의 밀도를 가진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충격흡수패드의 참고예 또는 평가예로서, A사에서 판매중인 종래의 충격흡수패드이다.
이후, 상기와 같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충격흡수패드를 70℃의 온도에서 24시간 가열한 후 제1완충층(110)과 제2완충층(120)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수축 팽창 등의 치수 변화를 측정하였고 이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0044404664-pat00001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표피층(130) 또는 표피층(130)과 하부지지층(140)에 의해 제1완충층(110) 또는 제1완충층(110)과 제2완충층(120)의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팽창이 억제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인조잔디층(150)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충격흡수기능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충격흡수패드를 KSF3888-1(실외 체육시설-인조잔디) 5.2.1 규격에 따라 제1완충층(110)과 제2완충층(120)의 영구 압축률 시험을 통한 복원성 비교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0044404664-pat00002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완충층(110)과 제2완충층(120)의 기존의 제품에 비해 복원성 또는 충격흡수기능이 기존의 제품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밀도가 높은 제1완충층(110)에 의해서 구조적인 내구성을 제공하고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제2완충층(120)에 의해서 제1완충층(110)에 전달된 충격이 흡수 및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9)

  1. 합성수지재가 가교 발포 성형되어 독립된 기포 구조를 가지며 소정의 밀도와 두께를 통하여 충격흡수기능과 형상유지기능을 제공하는 제1완충층(110); 제1완충층(110)의 하면에 접합 구성되고 합성수지재가 가교 발포 성형되어 개방된 기포 구조를 가지며 제1완충층(110) 이하의 밀도와 제1완충층(110) 이상의 두께 및 탈포 공정을 통하여 복원기능과 충격흡수기능을 제공하는 제2완충층(120); 제1완충층(110)의 상면에 접합 구성되어 제1완충층(110)을 보호하고 인조잔디층(150)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며 제1완충층(110)의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팽창을 억제하는 표피층(130); 및 제2완충층(120)의 하면에 접합 구성되어 제2완충층(120)을 보호하고 제2완충층(120)의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팽창을 억제하는 하부지지층(140)을 포함하고,
    제1완충층(110)은,
    0.025g/cm^3 내지 0.20g/cm^3의 밀도를 가지고 3mm 내지 6mm의 두께를 가지고,
    폴리올레핀 수지와, 발포제와, 가교제와, 발포조제를 포함하며,
    제2완충층(120)은,
    0.025g/cm^3 내지 0.07g/cm^3의 밀도를 가지고 6mm 내지 10mm의 두께를 가지고,
    폴리올레핀 수지와, 발포제와, 가교제와, 발포조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메탈로센 폴리에틸렌(metallocene P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 중 EVA 공중합체를 반드시 포함하여 단독 또는 혼합사용하며,
    상기 발포제로는,
    아조디카본 아미드(ADCA: Azodicarbonamide), 디니트로소 펜타메틸렌 테트라민(N,NDinitrosopentamethylenetetramine), 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OBSH: P,POxybis(benzenesulfonyl hydrazide), 톨루엔 설포닐 하이드라지드(toluenesulfonyl hydrazide)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아조디카본 아미드를 포함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열분해형 발포제를 사용하고,
    상기 가교제로는, 디큐밀 퍼옥사이드(Dicumylperoxide), t-부틸퍼옥사이드(Di-t-butylperoxide)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을 사용하며,
    상기 발포조제로는, 카드뮴 화합물, 칼슘 화합물, 아연 화합물, 마그네슘 화합물을 단독 혹은 혼합 사용하고,
    상기 열분해형 발포제로는,
    아조디카본 아미드에 디니트로소 펜타메틸렌 테트라민이나 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나 톨루엔 설포닐 하이드라지드를 혼합하여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며,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100 중량부, 상기 열분해형 발포제는 15 내지 20 중량부, 상기 가교제는 0.6 내지 2 중량부 및 상기 발포조제는 0.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 중 비닐 아세테이트의 함량이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 중 10 내지 25 중량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패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표피층(130)은,
    PP 또는 PET 재질을 가지는 필름형 부직포이고,
    20g/m^3 내지 150g/m^3의 밀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패드.
  7. 제1항에 있어서, 하부지지층(140)은,
    PP 또는 PE 재질을 가지는 필름형 부직포이고,
    20g/m^3 내지 150g/m^3의 밀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패드.
  8. 제1완충층(110), 제2완충층(120), 표피층(130) 및 하부지지층(140)이 제조 및 준비되는 단계와; 제1완충층(110)과 제2완충층(120)이 열 융착을 통해 접합되는 단계와; 상기 접합된 제1완충층(110)과 제2완충층(120)이 최소 5시간 동안 냉각되는 단계와; 제2완충층(120)의 하면에 하부지지층(140)이 접합되는 단계와; 상기 접합된 제1완충층(110)과 제2완충층(120) 및 하부지지층(140)이 냉각되는 단계와; 제1완충층(110)의 상면에 표피층(130)이 접합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완충층(120)은,
    폴리올레핀 수지와, 발포제와, 가교제와, 발포조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메탈로센 폴리에틸렌(metallocene P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 중 EVA 공중합체를 반드시 포함하여 단독 또는 혼합사용하며, 상기 발포제로는, 아조디카본 아미드(ADCA: Azodicarbonamide), 디니트로소 펜타메틸렌 테트라민(N,NDinitrosopentamethylenetetramine), 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OBSH: P,POxybis(benzenesulfonyl hydrazide), 톨루엔 설포닐 하이드라지드(toluenesulfonyl hydrazide)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아조디카본 아미드를 포함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열분해형 발포제를 사용하며, 상기 가교제로는, 디큐밀 퍼옥사이드(Dicumylperoxide), t-부틸퍼옥사이드(Di-t-butylperoxide)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을 사용하며, 상기 발포조제로는, 카드뮴 화합물, 칼슘 화합물, 아연 화합물, 마그네슘 화합물을 단독 혹은 혼합 사용하며, 이때, 폴리올레핀 수지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 중 비닐 아세테이트의 함량이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 중 10 내지 25 중량부를 가지는 상태에서 혼련기(kneader)를 이용하여 배합하여 마스터베치(M/B)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터베치를 압출기를 통과하도록 하여 시트형 성형체를 성형한 후, 가교 처리된 시트형 성형체를 발포로인 고온의 열풍로를 통과하도록 하여 소정의 연속 발포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셀(cell)을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발포단계 후에 자연냉각을 실시하고, 상기 발포체의 일면을 커터로 슬라이스(slice) 처리한 후, 상기 슬라이스 처리된 발포체를 압착롤을 통과하도록 하여 셀을 오픈시켜서 오픈셀(open cell)의 가교발포체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가교발포체를 다수개의 침이 고정된 롤러에 관통시키고, 상기 관통된 가교발포체를 압착롤을 통과하도록 하여 셀을 오픈시켜서 오픈셀(open cell)의 가교발포체를 제조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패드 제조방법.
  9. 삭제
KR1020200052228A 2020-04-29 2020-04-29 충격흡수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182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228A KR102182783B1 (ko) 2020-04-29 2020-04-29 충격흡수패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228A KR102182783B1 (ko) 2020-04-29 2020-04-29 충격흡수패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2783B1 true KR102182783B1 (ko) 2020-11-25

Family

ID=73645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228A KR102182783B1 (ko) 2020-04-29 2020-04-29 충격흡수패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78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4720B1 (ko) 2021-01-29 2022-03-14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KR102555520B1 (ko) 2022-11-30 2023-07-13 지앤지텍(주) 충격흡수 및 내구성이 향상된 다중 발포 충격흡수패드
KR102560334B1 (ko) * 2023-05-25 2023-07-28 주식회사 씨앤티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이완 현상이 적고 배수성과 충격 흡수성이 우수한 충격흡수패드 조성물 및 제조방법, 그리고 그 방법으로 제조되는 충격흡수패드
KR102563614B1 (ko) * 2023-05-25 2023-08-07 주식회사 씨앤티 에어포켓이 형성되어 충격 흡수성이 우수한 충격흡수패드 조성물 및 제조방법, 그리고 그 방법으로 제조되는 충격흡수패드
KR102661052B1 (ko) * 2023-11-13 2024-04-29 주식회사 씨앤티 복원력이 우수한 발포 패드 조성물 및 제조방법, 그리고 그 방법으로 제조되는 발포 패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456A (ko) * 1998-02-09 1999-09-06 이봉주 가교발포 폴리올레핀 오픈셀 시트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78104A (ko) 2011-12-30 2013-07-10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740401B1 (ko) * 2016-01-12 2017-05-26 (주)대원그린 인조잔디 매트 제조방법 및 그 인조잔디 매트
KR101841424B1 (ko) * 2017-06-08 2018-03-2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KR102065896B1 (ko) 2019-10-22 2020-01-13 이성림 친환경 인조잔디용 또는 놀이터용 천연 충격흡수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456A (ko) * 1998-02-09 1999-09-06 이봉주 가교발포 폴리올레핀 오픈셀 시트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78104A (ko) 2011-12-30 2013-07-10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740401B1 (ko) * 2016-01-12 2017-05-26 (주)대원그린 인조잔디 매트 제조방법 및 그 인조잔디 매트
KR101841424B1 (ko) * 2017-06-08 2018-03-2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KR102065896B1 (ko) 2019-10-22 2020-01-13 이성림 친환경 인조잔디용 또는 놀이터용 천연 충격흡수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4720B1 (ko) 2021-01-29 2022-03-14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KR102555520B1 (ko) 2022-11-30 2023-07-13 지앤지텍(주) 충격흡수 및 내구성이 향상된 다중 발포 충격흡수패드
KR102560334B1 (ko) * 2023-05-25 2023-07-28 주식회사 씨앤티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이완 현상이 적고 배수성과 충격 흡수성이 우수한 충격흡수패드 조성물 및 제조방법, 그리고 그 방법으로 제조되는 충격흡수패드
KR102563614B1 (ko) * 2023-05-25 2023-08-07 주식회사 씨앤티 에어포켓이 형성되어 충격 흡수성이 우수한 충격흡수패드 조성물 및 제조방법, 그리고 그 방법으로 제조되는 충격흡수패드
KR102661052B1 (ko) * 2023-11-13 2024-04-29 주식회사 씨앤티 복원력이 우수한 발포 패드 조성물 및 제조방법, 그리고 그 방법으로 제조되는 발포 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2783B1 (ko) 충격흡수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231436B1 (ko) 인조잔디매트
US20140182063A1 (en) Enhanced Thermally-Conductive Cushioning Foams by Addition of Graphite
JPH07504000A (ja) 弾性フォーム裏打ちカーペット及び製造方法
CN102171281A (zh) 交联的聚合物组合物
GB2177892A (en) Guards for games players
KR102294457B1 (ko) 난연성 충격흡수패드
US20240026201A1 (en) Cooling support cushion and related methods
JP5766373B1 (ja) 難燃性立体格子形状クッション
CN103978758A (zh) 一种发泡复合垫基材
KR102139975B1 (ko) 층간 소음 저감용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그의 발포체
TW202328312A (zh) 熱塑性聚胺酯泡沫體及包含其的抗衝擊複合層
US11779076B2 (en) Cushion and shoe
CN108099327A (zh) 一种硬泡聚氨酯复合交联聚乙烯垫及其生产方法
JP2001012067A (ja) 防音性温水暖房床
JP6916009B2 (ja) 複合吸音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吸音性の向上方法
JP3206995U (ja) 合成樹脂発泡薄片
JP7220612B2 (ja) 畳用芯材
JP4295556B2 (ja) 発泡シートおよび積層体
KR19990069456A (ko) 가교발포 폴리올레핀 오픈셀 시트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209599991U (zh) 一种使用寿命长且阻燃性强的人造革
KR102339748B1 (ko) 대전방지용 충격흡수패드
US11007402B2 (en) Exercise mat
KR102717034B1 (ko) 스펀지 형태의 완충층을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KR102649898B1 (ko) 놀이터용 인조잔디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