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898B1 - 놀이터용 인조잔디 구조체 - Google Patents

놀이터용 인조잔디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898B1
KR102649898B1 KR1020220190831A KR20220190831A KR102649898B1 KR 102649898 B1 KR102649898 B1 KR 102649898B1 KR 1020220190831 A KR1020220190831 A KR 1020220190831A KR 20220190831 A KR20220190831 A KR 20220190831A KR 102649898 B1 KR102649898 B1 KR 102649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buffer layer
pile yarn
weight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90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현정
배기태
황세준
방혜인
조광수
정은선
한승민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90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8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8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7/00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Base fabrics specially adapted for embroidered work; Inserts for producing surface irregularities in embroidered products
    • D05C17/02Tufted products
    • D05C17/026Tuft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tufted pile surfac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20Industrial for civil engineering, e.g. geotextiles
    • D10B2505/202Artificial gras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대전방지 효과가 있으며, 높은 한계하강높이 값을 가져 놀이터에 적합한 인조잔디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인조잔디 구조체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1 파일사, 제2 파일사 및 금속으로 구성된 복수의 제3 파일사로 이루어진 파일부; 상기 파일부가 터프팅된 기포지; 상기 기포지 하면에 위치한 기공층; 상기 기공층 하면에 위치한 제1 완충층; 및 상기 제1 완충층 하면에 위치한 제2 완충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놀이터용 인조잔디 구조체{Artificial turf structure for playground}
본 개시는 놀이터용 인조잔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어린이 놀이터의 경우, 안전을 위하여 탄성을 높일 수 있는 고무탄성 바닥재를 주로 사용해왔다. 그러나, 고무탄성 바닥재의 경우, 주로 재생원료를 사용함에 따라 유해성 문제와 더불어 여름철 고온의 조건에서 고무 특유의 불쾌한 냄새가 발생되며, 수축팽창에 의해 고무가 갈라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고무탄성 바닥재를 대체할 수 있는 인조잔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나, 어린이 놀이터는 구조물 특성상 정전기가 많이 발생하고, 어린이들의 안전을 위하여, 탄성이 높아 종래의 고무탄성 바닥재 수준의 안정성을 갖출 수 있는 높은 한계하강높이 값을 가짐과 동시에 정전기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놀이터에 특화된 인조잔디 구조체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조잔디 파일부를 구성하는 파일사를 3종으로 구성하고, 인조잔디 구조체를 다층으로 구성함으로써, 정전기 발생을 감소시키고, 탄성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놀이터에 적합한 인조잔디 구조체를 발명하였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전방지 효과가 있으며, 높은 한계하강높이 값을 가져 놀이터에 적합한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1 파일사,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파일사, 및 금속으로 구성된 복수의 제3 파일사로 이루어진 파일부; 상기 파일부가 터프팅된 기포지; 상기 기포지 하면에 위치한 기공층; 상기 기공층 하면에 위치한 제1 완충층; 및 상기 제1 완충층 하면에 위치한 제2 완충층;을 포함하는 놀이터용 인조잔디 구조체이다.
본 개시에서, 상기 제1, 2 파일사 및 제3 파일사의 길이는 15~30mm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제1 파일사는 모노사일 수 있고, 제2 파일사는 크림프사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크림프사는 크림프율이 20~35%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금속은 스테인리스 스틸, 은, 주석 또는 구리인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제3 파일사는 파일부 및 기포지 전체 중량% 대비 0.005~0.02중량%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제1 파일사의 중량은 1m2 당 1,100~2,000g일 수 있고, 제2 파일사의 중량은 1m2 당 300~1,200g일 수 있고, 제3 파일사의 중량은 1m2 당 5~50g일 수 있다.
삭제
본 개시에서, 상기 기공층은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두께는 0.05~1mm일 수 있고, 공기투과도는 5~40cc/cm2/sec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제1 완충층은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두께는 5~35mm일 수 있고, 상기 제2 완충층은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두께는 5~35mm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제1 완충층의 밀도는 100~180㎏/m3일 수 있고, 함습량은 220~280㎏/m3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놀이터용 인조잔디 구조체는 하기 측정방법에 따른 한계하강높이 값이 1,000~2,000mm일 수 있다.
[측정방법]
한계하강높이 : KS F 3888-1 내 한계하강높이 평가 방법으로 측정한다.
본 개시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는 금속으로 구성된 파일사를 포함함으로써, 대전방지 효과가 있으며, 기공층, 제1 완충층 및 제2 완충층을 포함함으로써, 탄성을 향상시켜, 높은 한계하강높이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삭제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놀이터용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 실시예 등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 실시예 등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수치와 관련하여 용어 "약(about)", "대략(approximately)" 또는, 적어도(at least)와 같은 유사한 표현이 사용되는 경우, 해당 수치를 기준으로 ±10%, ±7%, ±5%, ±3%, ±2%, 또는 ±1%의 이론적, 실험적, 통계적, 또는 경험칙상의 오차가 허용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놀이터용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놀이터용 인조잔디 구조체(100)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1 파일사(111),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파일사(112), 및 금속으로 구성된 복수의 제3 파일사(113)로 이루어진 파일부(110); 상기 파일부(110)가 터프팅된 기포지(120); 상기 기포지(120) 하면에 위치한 기공층(130); 상기 기공층(130) 하면에 위치한 제1 완충층(140); 및 상기 제1 완충층(140) 하면에 위치한 제2 완충층(150);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제1 파일사(111) 및 제2 파일사(112)는 폴리올레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1 파일사(111) 및 제2 파일사(112)의 길이는 15~30mm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7~25mm일 수 있다. 상기 제1 파일사(111) 및 제2 파일사(112)의 길이가 전술한 하한치 미만이면, 인조잔디 구조체(100)의 탄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전술한 상한치를 초과하면 금속으로 구성된 제3 파일사(113)를 덮어 대전방지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파일사(111) 및 복수의 제2 파일사(112)의 섬도는 3,000~9,000 데니어일 수 있으며, 제1 파일사(111)는 모노사일 수 있으며, 제2 파일사(112)는 크림프사일 수 있고, 크림프사의 크림프율은 20~35%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2~30%일 수 있다. 상기 크림프사의 크림프율이 전술한 하한치 미만이면, 인조잔디 구조체(100)의 탄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전술한 상한치를 초과하면 제2 파일사(112)가 답압될 수 있어 인조잔디 구조체의 탄성이 오히려 저하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3 파일사(113)는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금속은 스테인리스 스틸, 은, 주석 또는 구리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3 파일사(113)의 길이는 15~30mm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7~25mm일 수 있다. 상기 제3 파일사(113)의 길이가 전술한 하한치 미만이면, 대전방지 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전술한 상한치를 초과하면 제1 파일사(111) 또는 제2 파일사(112)와 엉킬 수 있어, 상기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제3 파일사(113)는 두께가 30~100 마이크론(Micron)일 수 있고, 두께가 전술한 하한치 미만이면, 대전방지 효과가 미미하고, 전술한 상한치를 초과하면 터프팅 작업 시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상기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제3 파일사(113)는 파일부(110) 및 기포지(120) 전체 중량% 대비 0.005~0.02중량%일 수 있으며, 제3 파일사(113)의 중량%가 전술한 하한치 미만이면, 대전방지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전술한 상한치를 초과하면 대전방지 효과의 증가 대비 원가 상승으로 인해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제3 파일사(113)의 표면저항(Surface resistance)은 105 Ω/sq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02~103 Ω/sq 이다. 표면저항이 전술한 하한치 미만이면 마모 품질이 저하될 수 있고, 전술한 상한치를 초과하면 대전방지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1 파일사(111)의 중량은 1m2 당 1,100~2,000g일 수 있고, 제2 파일사(112)의 중량은 1m2 당 300~1,200g일 수 있고, 제3 파일사(113)의 중량은 1m2 당 5~50g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1 파일사(111)의 중량은 1m2 당 1,200~1,600g이고, 제2 파일사(112)의 중량은 1m2 당 350~1050g일 수 있고, 제3 파일사(113)의 중량은 1m2 당 7.5~30g일 수 있다. 제1 파일사(111), 제2 파일사(112) 및 제3 파일사(113)의 중량이 전술한 하한치 미만이면 인조잔디 구조체(100)의 탄성이 저하되고, 대전방지 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전술한 상한치를 초과하면 파일사 간의 간격이 좁아져 오히려 대전방지 효과가 저하되고, 원가 상승으로 인해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삭제
삭제
삭제
본 개시에서, 기포지(120)는 인조잔디 구조체(100)의 형태 안정성을 부여하고 파일부(110)를 견고히 안착시켜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비닐리덴 또는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섬유의 직포 또는 부직포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보다 뛰어난 형태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 폴리올레핀 섬유의 부직포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의 부직포일 수 있으며, 부직포는 스펀본드 방식, 멜트브라운 방식, 니들펀칭 방식 및 스펀레이스 방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기공층(130)은 기포지(120) 하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열 융착 방식으로 기포지(120) 하면에 융착될 수 있다. 상기 기공층(130)은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공층(130)의 형태는 부직포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기공층(130)의 두께는 0.05~1mm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2~0.18mm일 수 있으며, 공기투과도는 5~40cc/cm2/sec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30cc/cm2/sec일 수 있다.
기공층(130)의 두께가 전술한 하한치 미만이거나, 공기투과도가 전술한 상한치를 초과하면 인조잔디 구조체(100)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고, 두께가 전술한 상한치를 초과하거나, 공기투과도가 전술한 하한치 미만이면, 수분 투과율 등이 저하되어 대전방지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1 완충층(140) 및 제2 완충층(150)은 인조잔디 구조체(100)의 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제1 완충층(140)은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완충층(150)은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완충층(140) 및 제 2완충층(150)의 두께는 두께는 5~35mm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8~25mm일 수 있다. 제1 완충층(140) 및 제 2완충층(150)의 두께가 전술한 하한치 미만이면, 인조잔디 구조체(100)의 탄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전술한 상한치를 초과하면 두께 대비 탄성의 향상이 미미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다.
본 개시에서, 제1 완충층(140)은 물을 머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머금은 물을 인조잔디 구조체(100)의 표면으로 배출하여 대전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완충층은 스펀지 형태일 수 있고, 제1 완충층(140)의 밀도는 100~180㎏/m3일 수 있고, 함습량은 220~280㎏/m3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제1 완충층(140)의 밀도는 120~150㎏/m3일 수 있고, 함습량은 230~270㎏/m3일 수 있다. 제1 완충층(140)의 밀도가 전술한 하한치 미만이면, 인조잔디 구조체(100)의 탄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전술한 상한치를 초과하면 함습량이 감소하여 대전방지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제1 완충층(140)의 함습량이 전술한 하한치 미만이면 대전방지 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전술한 상한치를 초과하면 다수의 물이 인조잔디 구조체(100) 표면에 배출되어 위생적이지 못하고,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용어 '함습량'은 한 시간 동안 단위 면적당 함습할 수 있는 물의 양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제2 완충층(150)은 인조잔디 구조체(100)의 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폴리올레핀계 수지 80~94중량%, 가교제 0.5~1.5중량%, 발포제 4~18중량% 및 발포조제 0.5~1.5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85~90중량%, 가교제 0.8~1.2중량%, 발포제 8~13중량% 및 발포조제 0.8~1.2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2 완충층(150)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함량이 전술한 하한치 미만이면 제2 완충층(150)의 경도가 저하되어 내구성이 등이 저하될 수 있고, 전술한 상한치를 초과하면 제2 완충층(150)에 부드러운 탄성이 저하되고 너무 단단해져, 탄성 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가교제는 화학 가교를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상기 가교제로는 디큐밀페록사이드(DCP, Decumyl Peroxide)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교제의 함량이 상기 전술한 범위를 벗어나면 반응 제어가 어렵고, 충분한 화학 가교가 발생하지 않아, 상기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서 발포제 및 발포조제는 발포가 용이하게 진행되도록 첨가되는 것으로, 상기 발포제로는 아조디카본아미드(ADA, Azodicarbonamide)가 사용될 수 있고, 발포조제로는 탄산칼슘, 실리카, 탈크 및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발포제 및 발포조제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를 벗어나면 발포 반응 제어가 어렵고, 원하는 발포율을 달성할 수 없어, 상기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화학가교"란 고분자에 가교제(Crosslinking co-agent)를 첨가시켜 가교를 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제2 완충층(150)은 클로즈드셀(closed cell) 구조로서, 150~250℃의 온도에서 화학가교에 의해 10~40배의 발포율로 발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2~30배, 더 바람직하게는 15~25배의 발포율 발포될 수 있다. 상기 발포율이 전술한 하한치 미만이면 제2 완충층(150)과 제1 완충층(140)과의 접착내구성이 저하되고, 제2 완충층(150)의 표면이 단단해져, 쿠션감 및 충격흡수율이 저하될 수 있다. 발포율이 전술한 상한치를 초과하면 제2 완충층(150)과 제1 완충층(140)과의 접착내구성은 향상되나, 불가역적 압축 및 답압에 의한 두께, 길이 및 폭 방향의 치수 안정성 및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 완충층(150)의 발포율은 발포제를 첨가하지 않은 제품의 밀도를 기준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2 완충층(150)의 밀도는 40~70kg/㎥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60kg/㎥일 수 있다. 제2 완충층(150)의 밀도가 전술한 하한치 미만이면, 인조잔디 구조체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전술한 상한치를 초과하면 제2 완충층(150)의 충격흡수율이 저하될 수 있어, 상기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100)는 하기 측정방법에 따른 한계하강높이 값이 1,000~2,000mm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800~2,000mm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900~2,000mm일 수 있다. 한계하강높이 값이 전술한 하한치 미만이면 놀이터용으로 적합하지 않아 전술한 범위가 바람직하다.
한계하강높이 : KS F 3888-1 내 한계하강높이 평가 방법으로 측정함
본 개시에서, 한계 하강 높이는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안전인증 기준 부속서 2 (어린이놀이기구)에 따라 충격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머리상해기준(HIC: Head Injury criterion)이 1,000일 때의 수치이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 파일사 제조예
0.942g/cm3의 밀도와 220,000의 분자량과 20의 분자량 분포(Mw/Mn)를 가지는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와 상용화제(compatibilizer)로 말레산 무수물 1.25 중량부, 안료 6.25 중량부 및 난연제 0.5 중량부를 첨가하여 고분자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혼합물을 가열하여 혼합 용융물을 제조하였으며, 제조한 혼합 용융물을 압출하여 직경 길이 약 20mm인 제1 파일사를 제조하였고, 복수의 제1 파일사의 섬도는 약 7,000 데니어이다.
제2 파일사 제조예
제1 파일사 제조예에서 제조된 제1 파일사에 공기를 가하여 크림프율이 약 25%인 제2 파일사를 제조하였으며, 크림프율은 크림프 전 후의 기링 변화율로 측정하였다.
제3 파일사 제조예
약 50 마이크론의 두께를 가지고, 길이가 약 8mm이고, 표면 저항이 103 Ω/sq인 스테인리스 스틸사를 준비하였다.
실시예 1 내지 5
제1 파일사, 제2 파일사 및 제3 파일사를 폴리프로필렌의 부직포에 터프팅하였다.
두께 약 0.15mm, 공기투과도 약 25cc/cm2/sec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부직포를 준비하였다.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제1 완충층(압축 마블스펀지) 준비하였고, 제1 완충층의 두께는 약 20mm이고, 밀도는 약 150㎏/m3이고, 함습량은 약 250㎏/m3이다.
제2 완충층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88중량%, 디큐밀페록사이드(가교제) 1중량%, 아조디카본아미드(발포제) 10중량% 및 탄산칼슘(발포조제) 1중량%를 압출기에 투입한 후, 약 110℃에서 용융 혼합하고 압출하여 발포율이 약 20배인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압출된 시트를 약 200℃의 열로 발포시키고, 가공하여 제2 완충층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제2 완충층의 밀도는 약 55kg/m3, 두께는 약 20mm이다. 상기 발포율은 발포 전 미발포 제품의 밀도 대비 발포 후 제품의 밀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후, 파일부가 터프팅된 인조잔디 기포지와 기공층을 라미네이팅 공정으로 약 175℃에서 열 융착시키고, 제1 완충층 및 제2 완충층을 라미네이팅 공정으로 약 185℃에서 열 융착시킨 후, 기공층 및 제1완충층은 폴리우레탄 계열의 접착제(PU 2액형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시켜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서 제3 파일사의 중량%는 파일부 및 기포지 전체 중량에 대한 중량%이다.
구분 제1파일사중량(g/m2) 제2파일사중량(g/m2) 제3파일사중량(g/m2) 제3파일사중량(%)
실시예 1 1,400 700 15 0.007
실시예 2 1,400 350 15 0.008
실시예 3 1,400 1050 15 0.006
실시예 4 1,400 700 7.5 0.004
실시예 5 1,400 700 30 0.014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제3 파일사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2 파일사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기공층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제1 완충층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제2 완충층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인조잔디 구조체의 대전방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마찰대전압을 하기 측정방법으로 측정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측정방법]
마찰대전압 : 마찰대전압 측정기를 사용하여 인조잔디 표면을 면사포로 마찰을 시킨 후 표면에 접촉시켜 측정되는 마찰대전압 값을 측정한다.
구분 마찰대전압(V)
실시예 1 5~9
실시예 2 5~9
실시예 3 5~9
실시예 4 10~15
실시예 5 2~3
비교예 1 30~40
비교예 2 10~12
비교예 3 12~15
비교예 4 20~30
비교예 5 12~15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제3 파일사는 포함하는 경우(실시예 1)는 제3 파일사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비교예 1)보다 낮은 마찰대전압 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4는 실시예 1보다 높은 마찰대전압 값을 나타내고, 실시예 5는 실시예 1과 유사한 마찰대전압 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2 파일사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비교예 2), 기공층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비교예 3), 제1 완충층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비교예 4) 및 제2 완충층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비교예 5)는 이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실시예 1)보다 높은 마찰대전압 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인조잔디 구조체의 탄성력 및 한계하강높이 값을 하기 측정방법으로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측정방법]
탄성력 : KS F 3888-1 내 충격흡수성 평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한계하강높이 : KS F 3888-1 내 한계하강높이 평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구분 탄성력 한계하강높이
실시예 1 80 1,900
실시예 2 75 1,700
실시예 3 86 1,950
실시예 4 79 1,850
실시예 5 80 1,900
비교예 1 82 1,920
비교예 2 65 1,400
비교예 3 75 1,500
비교예 4 54 900
비교예 5 51 950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2는 실시예 1보다 낮은 탄성력 및 한계한강높이 값을 나타내고, 실시예 3은 실시예 1과 유사한 탄성력 및 한계한강높이 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2 파일사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비교예 2), 기공층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비교예 3), 제1 완충층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비교예 4) 및 제2 완충층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비교예 5)는 이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실시예 1)보다 매우 낮은 탄성력 및 한계한강높이 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놀이터용 인조잔디 구조체 : 100
파일부 : 110 제1 파일사 : 111
제2 파일사 : 112 제3 파일사 : 113
기포지 : 120 기공층 : 130
제1 완충층 : 140 제2 완충층 : 150

Claims (12)

  1.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1 파일사,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파일사 및 금속으로 구성된 복수의 제3 파일사로 이루어진 파일부;
    상기 파일부가 터프팅된 기포지;
    상기 기포지 하면에 위치하고,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고, 두께는 0.05~1mm이고, 공기투과도는 5~40cc/cm2/sec인, 기공층;
    상기 기공층 하면에 위치하고,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고, 두께는 5~35mm이고, 밀도는 100~180㎏/m3이고, 함습량은 220~280㎏/m3 인, 제1 완충층; 및
    상기 제1 완충층 하면에 위치하고,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고, 두께는 5~35mm인, 제2 완충층;
    을 포함하는 놀이터용 인조잔디 구조체로서,
    상기 제1 파일사, 제2 파일사 및 제3 파일사의 길이는 15~30mm이고,
    상기 제1 파일사는 모노사이고, 제2 파일사는 크림프율이 20~35%인 크림프사이고,
    상기 금속은 스테인리스 스틸, 은, 주석 또는 구리이고,
    상기 제3 파일사의 중량%는 파일부 및 기포지 전체 중량% 대비 0.001~0.02중량%이고,
    상기 제1 파일사의 중량은 1m2 당 1,100~2,000g이고, 제2 파일사의 중량은 1m2 당 300~1200g이고, 제3 파일사의 중량은 1m2 당 5~50g이고,
    하기 측정방법에 따른 한계하강높이 값이 1,000~2,000mm인 것인, 놀이터용 인조잔디 구조체.
    [측정방법]
    한계 하강 높이: KS F 3888-1 내 한계하강높이 평가 방법으로 측정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20190831A 2022-12-30 2022-12-30 놀이터용 인조잔디 구조체 KR102649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90831A KR102649898B1 (ko) 2022-12-30 2022-12-30 놀이터용 인조잔디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90831A KR102649898B1 (ko) 2022-12-30 2022-12-30 놀이터용 인조잔디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898B1 true KR102649898B1 (ko) 2024-03-20

Family

ID=90483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90831A KR102649898B1 (ko) 2022-12-30 2022-12-30 놀이터용 인조잔디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8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8575A (ko) * 2020-01-31 2021-08-11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고상의 금속 도전사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및 미세먼지 제거용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82124B1 (ko) * 2020-10-20 2022-04-08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경기자 안전적 인조잔디 구조체
KR102427406B1 (ko) * 2021-06-04 2022-08-01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8575A (ko) * 2020-01-31 2021-08-11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고상의 금속 도전사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및 미세먼지 제거용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82124B1 (ko) * 2020-10-20 2022-04-08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경기자 안전적 인조잔디 구조체
KR102427406B1 (ko) * 2021-06-04 2022-08-01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70802B2 (en) Fibrous network structure having excellent compression durability
TWI650459B (zh) 消音性與輕量性優異之彈性網狀構造體
KR101961514B1 (ko) 정숙성과 경도가 우수한 탄성 망상 구조체
CA2609889C (en) Carpet structure with improved plastomeric foam backing
KR102424160B1 (ko) 배수성이 우수한 충격흡수패드
US9970140B2 (en) Network structure having excellent compression durability
EP3064628B1 (en) Fibrous network structure having excellent compression durability
JPH07504000A (ja) 弾性フォーム裏打ちカーペット及び製造方法
EP1043150A9 (en) Underlayment for surface covering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2649898B1 (ko) 놀이터용 인조잔디 구조체
KR20200024416A (ko) 층간 소음 저감용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그의 발포체
JP2006326274A (ja) クッション材
KR102224123B1 (ko) 반발 탄성이 우수한 신발용 재생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JP5356268B2 (ja) クッション性のあるタイルカーペット
NL2025222B1 (en) A polymeric foam material for shock pads in artificial grass systems.
JP2002317548A (ja) 衝撃吸収床材
KR20170001319A (ko) 형태안정성이 향상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4192790A1 (ja) 軽量性と硬さに優れた弾性網状構造体
KR102339748B1 (ko) 대전방지용 충격흡수패드
KR102568630B1 (ko) 생분해성 충격흡수패드
KR102555520B1 (ko) 충격흡수 및 내구성이 향상된 다중 발포 충격흡수패드
JP2000325218A (ja) 防音床用マット
KR102263446B1 (ko) 수분함유율을 향상시킨 인조잔디매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71069B1 (ko) 에어로젤을 이용한 인조 잔디 시스템
KR20240063216A (ko) 치수 안정성이 강화된 충격흡수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