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406B1 -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 Google Patents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406B1
KR102427406B1 KR1020210072801A KR20210072801A KR102427406B1 KR 102427406 B1 KR102427406 B1 KR 102427406B1 KR 1020210072801 A KR1020210072801 A KR 1020210072801A KR 20210072801 A KR20210072801 A KR 20210072801A KR 102427406 B1 KR102427406 B1 KR 102427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e
shock
artificial turf
absorbing pad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세준
권영훈
배기태
고영태
조광수
노현석
정은선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2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4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13/045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the prefabricated single units consisting of or including bitumen, rubber or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4Puzzle-lik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충격흡수패드, 그리고 상기 충격흡수패드에 배치된 인조잔디 매트를 포함한다.
충격흡수패드는 저수홈이 복수 형성된 보관부, 그리고 상기 보관부에 배치되어 상기 저수홈의 물을 흡수할 수 있는 함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A shock absorption pad and an artificial turf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충격흡수패드에 관한 것이다.
인조잔디 구조체는 재배, 관리 등이 어려운 천연잔디를 대신하여 운동장, 조경용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인조잔디 구조체는 인조잔디 매트, 충진재 및 충격흡수패드를 포함한다. 인조잔디 매트는 기포층, 상기 기포층에 터프팅되어 있고 천연잔디를 묘사하는 파일사, 상기 기포층과 결합되어 상기 파일사의 이탈을 방지하는 백킹층을 포함한다.
충진재는 인조잔디 매트에 포설되어 파일사의 직립성을 유지하며 플레이어의 충격을 흡수한다.
충격흡수패드는 선수들의 플레이(PLAY) 성능을 확보하고 경기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의 위험을 해소하기 위하여 인조잔디 매트의 하부에 시공된다.
충격흡수패드는 발포 플라스틱, 천연 또는 합성 고무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무층은 적정 두께를 가지며 기능적인 특성이 부여되고 있다. 이러한 충격흡수패드는 인장 강신도, 영구 압축 및 회복률 등에 있어서는 월등히 우수하지만 배수 및 수분보유성에 있어서는 취약한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4691호 (2017.07.28.)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30372호 (2017.03.17.)
본 발명은 인조잔디 매트의 하부에 설치된 충격흡수패드가 수분을 보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는 저수홈이 복수 형성된 보관부, 그리고 상기 보관부에 배치되어 상기 저수홈의 물을 흡수할 수 있는 함습부을 포함한다.
상기 저수홈은 상기 함습부와 접한 상기 보관부의 상면 일부분이 내부 방향으로 기설정된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관부는 베이스, 그리고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저수홈을 이루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관부의 두께는 2㎜ 내지 70㎜일 수 있고, 상기 함습부의 두께는 2㎜ 내지 40㎜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함습부는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함습부의 밀도는 120㎏/m3 내지 200㎏/m3일 수 있다.
상기 함습부의 함습량은 200㎏/m3 내지 300 ㎏/m3일 수 있다.
상기 보관부, 그리고 상기 함습부는 발포배율이 10배 내지 50배인 발포체일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패드는 상기 보관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웃한 상기 저수홈 사이의 보관부에는 상하 관통된 배수홀이 복수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는 상기와 같이 기재된 충격흡수패드, 그리고 상기 충격흡수패드에 배치된 인조잔디 매트를 포함한다.
상기 인조잔디 구조체는 상기 인조잔디 매트에 포설되어 파일사를 지지하는 충진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함습부에 흡수된 수분은 매트로 배출되어 인조잔디의 온도를 낮춘다. 이에 따라 경기자의 화상을 예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관부는 물을 보관할 수 있어 작업자가 지속적으로 물을 보충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따라 충격흡수패드의 관리 효율이 상승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포체로 제조된 충격흡수패드는 내부에 기공이 형성되어 있어 가변이 용이하고 이에 따라 충격 흡수성이 우수하며, 빙결 후에도 한계하강높이 성능을 유지하여 경기자의 부상을 예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도.
도 3은 도 1을 III-I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
도 5는 저수홈에 물이 수용된 인조잔디 구조체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인조잔디 구조체에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충격흡수패드가 적용된 인조잔디 구조체 위주로 설명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구조체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도 1을 III-I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1)는 인조잔디 매트(10), 그리고 인조잔디 매트(10)를 지지하는 충격흡수패드(20)를 포함하며 충격흡수패드(20)가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충격흡수패드(20)에 저장된 물은 증발되어 인조잔디 구조체(1)의 표면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인조잔디 매트(10)는 기포층(11), 파일부(13) 및 백킹층(12)을 포함한다. 기포층(11)은 네트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우수가 통과할 수 있다. 파일부(13)는 파일사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기포층(11)의 하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백킹층(12)은 기포층(11)의 하면에 배치되어 파일부(13)의 파일사가 기포층(11)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백킹층(12)은 부직포 또는 코팅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조잔디 매트(10)의 기포층(11), 파일부(13) 및 백킹층(12)의 세부적인 구성은 공지된 구성의 인조잔디 구조체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충격흡수패드(20)는 보관부(22), 그리고 함습부(21)를 포함한다.
보관부(22)는 함습부(21)의 일면에 결합되어 있다. 보관부(22)와 함습부(21)는 라미네이팅 또는 열융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라미네이팅 또는 열융착 방식은 보관부(22)와 함습부(21)의 접지면을 부착시켜 보관부(22)의 수분이 함습부(21)로 이동을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라미네이팅 또는 열융착 방식은 보관부(22)와 함습부(21)의 고정력을 상승시키고 물성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보관부(22)는 베이스(221), 그리고 지지부(222)를 포함한다. 보관부(22)에는 물이 저장될 수 있는 저수홈(223)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221)는 지면과 접하면 기설정된 완충력을 제공한다.
지지부(222)는 베이스(221)에서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있다. 지지부(222)와 베이스(221)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부(222)의 돌출로 보관부(22)에는 저수홈(223)이 형성된다.
베이스(221)와 지지부(222)에는 복수의 기공(224)이 형성되어 있어 외력이 가해졌을 때 눌리면서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베이스(221)는 판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베이스(221)의 두께는 2㎜ 내지 40㎜로 형성될 수 있다. 두께를 2㎜ 미만으로 형성할 경우 충격 흡수 기능이 발휘되지 않을 수 있고 40㎜를 초과하여 형성할 경우 과도한 탄성에 의해 경기 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시공 시 작업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지지부(222)는 기둥의 형태로 베이스(221)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지지부(222)의 돌출 길이(C)가 5㎜ 내지 30㎜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 길이(C)가 5㎜ 미만으로 형성할 경우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저수 공간이 충분하지 못하며, 30㎜를 초과하여 형성할 경우 경기자의 답압에 의해 구부러짐 등의 훼손이 발생할 수 있다.
베이스(221)의 두께가 2㎜ 내지 40㎜로 형성되고, 지지부(22)의 두께가 5 내지 30㎜로 형성되므로 보관부(22)의 두께는 2㎜ 내지 70㎜로 형성될 수 있다.
저수홈(223)은 복수의 지지부(222), 그리고 베이스(221)가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저수홈은 물과 같은 유체를 수용할 수 있으며, 유체가 없을 경우에는 에어쿠션으로 작용하여 보관부(22)의 완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저수홈(223)의 가상 중심(B)에서 지지부(222)까지의 최단 거리(D)는 5㎜ 내지 30㎜로 형성될 수 있다. 최단 거리를 5㎜ 미만으로 형성할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충분치 못하며, 30㎜를 초과하여 형성할 경우 경기자의 답압으로 인해 지지부(222)가 훼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부(222)의 규격은 인조잔디 구조체가 설치되는 장소, 설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함습부(21)는 판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인조잔디 매트(10)와 보관부(2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함습부(21)는 백킹층(12)과 접하고 있으며 함습부(21)의 두께는 2㎜ 내지 40㎜로 형성될 수 있다. 함습부(21)의 두께를 2㎜ 미만으로 형성할 경우 충격 흡수 기능을 발휘할 수 없고 두께를 40㎜를 초과하여 형성할 경우 과도한 충격 흡수 증가로 플레이어의 경기력이 저하될 수 있다.
함습부(21)의 밀도는 120㎏/m3 내지 200㎏/m3로 형성될 수 있다. 밀도를 120㎏/m3미만으로 형성할 경우 충격 흡수 기능이 발휘되지 않을 수 있고 200㎏/m3를 초과하여 형성할 할 경우 충격 흡수율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함습부(21)의 함습량은 200㎏/m3 내지 300㎏/m3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함습량은 한 시간 동안 단위 면적당 함습할 수 있는 물의 양을 말한다. 함습량을 200㎏/m3 미만으로 형성할 경우 온도 저감을 위한 수분이 매트에 공급되지 않을 수 있고, 300㎏/m3를 초과하여 형성할 경우 플레이어의 경기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관부(22) 및 함습부(21)는 발포배율이 10배 내지 50배인 발포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함습부(21)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일 수 있다. 보관부(22)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ow-density polyethylene; 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LLDPE) 등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밀도가 0.910g/cm3 내지 0.940g/cm3일 수 있고,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밀도가 0.93g/cm3 내지 0.97g/cm3일 수 있으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밀도가 동일하나 선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충격흡수패드(1)는 대전방지층(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전방지층은 함습부(21)의 상면에 결합되어 대전방지 성능, 즉 정전기를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대전방지층은 폴리아날린(Polyaniline),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등을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음은 도 5를 더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인조잔디 구조체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인조잔디 구조체(1)가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우수, 살수 등(이하 물이라 함)은 기포층(11), 백킹층(12) 및 함습부(21)를 통과하여 저수홈(223)에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저수홈(223)에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플레이어에 의해 인조잔디 구조체(1)에 답압이 가해지면 충격흡수패드(20)는 압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트(10)와 함습부(21)는 하강하고, 함습부(21)는 저수홈(223)에 수용된 물과 접촉할 수 있다. 이때 보관부(22) 또한 눌릴 수 있다. 답압이 제거되면 눌린 지지부(222)는 복귀하고 함습부(21)는 수분을 흡수한 채 상승하여 복귀한다.
함습부(21)에 흡수된 수분은 백킹층(12) 및 기포층(11)을 통해 인조잔디 매트(10)의 상부로 증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포층(11)과 파일부(13)의 주변에는 물이 공급되고 공급된 물은 대기로 기화되며 매트 상부의 열을 흡수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인조잔디 구조체(1)는 온도 저감 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 경기자의 화상을 예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고하여 인조잔디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2)는 인조잔디 매트(10) 및 충격흡수패드(20a)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매트(10)와 충격흡수패드(20a)는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매트 및 충격흡수패드의 특징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충격흡수패드(20a)에는 코팅층(225)과 배수홀(227)이 형성되어 있다.
코팅층(225)은 보관부(2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코팅층(225)은 저수홈(223)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코팅층(225)은 물이 통과할 수 없는 방수성을 갖는다. 이에 저수홈(223)의 물은 코팅층(225)에 의해 충격흡수패드(20a)를 통과하지 않고 저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이웃한 저수홈(223) 사이의 충격흡수패드(20a) 부분에는 배수홀(227)이 형성되어 있다. 배수홀(227)은 충격흡수패드(20a)를 상하 관통하고 있다. 이에 인조잔디 매트(10)를 통과한 물은 저수홈(223)으로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고 일부는 배수홀(227)을 통해 지면으로 배수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2)는 기설정된 물을 저장하면서 배수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는 인조잔디 매트에 충진재가 기설정된 두께로 포설되어 파일부의 파일사를 지지하며 플레이어에게 충격흡수패드와 함께 완충력을 제공하여 경기력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혼합하여 발포배율이 20배이고, 베이스의 두께는 10㎜이며, 지지부의 돌출 길이(C)는 10㎜이고, 저수홈의 가상 중심에서 지지부까지의 최단 거리(D)는 20㎜인 보관부를 제조하였다.
폴리우레탄을 혼합하여 발포배율이 25배이고, 두께는 20㎜이며, 밀도는 180㎏/m3이고, 함습량은 250㎏/m3인 함습부를 제조하였다.
순서대로 보관부 및 함습부를 위치시키고, 라미네이팅 공정으로 보관부 및 함습부를 결합하여 충격흡수패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 보관부의 발포배율을 10배, 베이스의 두께를 2㎜로 제조하고, 지지부의 돌출 길이(C)를 5㎜, 저수홈의 가상 중심에서 지지부까지의 최단 거리(D)를 5㎜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충격흡수패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 보관부의 발포배율을 50배, 베이스의 두께를 40㎜로 제조하고, 지지부의 돌출 길이(C)를 30㎜, 저수홈의 가상 중심에서 지지부까지의 최단 거리(D)를 25㎜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충격흡수패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에서 함습부의 발포배율을 10배, 두께를 2㎜로 제조하고, 밀도를 120㎏/m3, 함습량을 200㎏/m3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충격흡수패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본 실시예에서 함습부의 발포배율을 50배, 두께를 40㎜로 제조하고, 밀도를 200㎏/m3, 함습량을 300㎏/m3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충격흡수패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에서 베이스의 두께를 1㎜로 제조하고, 지지부의 돌출 길이(C)를 3㎜, 저수홈의 가상 중심에서 지지부까지의 최단 거리(D)를 20㎜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충격흡수패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에서 베이스의 두께를 50㎜로 제조하고, 지지부의 돌출 길이(C)를 40㎜, 저수홈의 가상 중심에서 지지부까지의 최단 거리(D)를 20㎜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충격흡수패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비교예에서 함습부의 두께를 1㎜로 제조하고, 밀도를 50㎏/m3, 함습량을 50㎏/m3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충격흡수패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에서 함습부의 발포배율을 70배, 두께를 50㎜로 제조하고, 밀도를 250㎏/m3, 함습량을 500㎏/m3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충격흡수패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보관부의 베이스의 두께, 지지부의 돌출 길이(C), 저수홈의 가상 중심에서 지지부까지의 최단 거리(D), 함습부의 두께 및 밀도에 따른 충격흡수율, 온도변화율 및 공 구름 거리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내지 5,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충격흡수패드를 이용하여 하기 측정방법에 따라 충격흡수율, 온도변화율 및 빙결 후 한계 하강높이를 측정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1] 내지 [표 3]에 나타내었다. 한계 하강 높이는 충격 완화 효과를 나타내는 자유 하강 높이의 상한선을 의미한다.
충격 흡수율: KS F 3888-1 시험 규격에 따라 평가하였다.
온도 변화율: 광 조사기(IR 전구, 185W)로부터 300㎜ 아래에 수분을 포함하는 충격흡수패드를 30분간 위치시키고, 표면 온도를 측정하였다.
빙결 후 한계 하강 높이: 수분을 포함하는 충격흡수패드를 -20℃에서 24시간 노출시킨 후 상온에서 KS F 3888-1 시험 규격에 따라 평가하였다.
Figure 112021064916520-pat00001
Figure 112021064916520-pat00002
Figure 112021064916520-pat00003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베이스의 두께가 2㎜ 내지 40㎜이며, 지지부의 돌출 길이(C)가 5㎜ 내지 30㎜이고, 함습부의 두께가 2㎜ 내지 40㎜인 경우 충격흡수율이 75% 내지 95%로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베이스의 두께가 2㎜인 경우(비교예 1) 충격흡수율이 55%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베이스의 두께가 50㎜인 경우(비교예 2) 충격흡수율은 102%였으나, 과도한 탄성에 의하여 공의 반발력이 높아 경기력을 저해하였다.
함습부의 두께가 1㎜인 경우(비교예 3) 충격흡수율은 51%로 충격 흡수 성능이 우수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함습부의 두께가 50㎜인 경우 충격흡수율은 100%였으나 과도한 탄성에 의하여 공의 반발력이 높아 경기력을 저해하였다.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함습부의 함습량이 200㎏/m3 내지 300㎏/m3인 충격흡수패드의 온도 변화율은 -35% 내지 -30%로 온도 저감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함습부의 함습량이 50㎏/m3인 경우(비교예 3) 온도 변화율은 -10%였고, 함습량이 500㎏/m3인 경우 온도 변화율은 -25%이나 매트가 미끄러워 경기력을 저해하였다.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함습량이 200㎏/m3 내지 300㎏/m3인 경우 빙결 후 한계 하강 높이는 1,000㎜ 내지 1,300㎜로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함습량이 50㎏/m3인 경우 빙결 후 한계 하강 높이는 700㎜였으며, 함습량이 500㎏/m3인 경우 빙결 후 한계 하강 높이는 550㎜로 충격 완화의 효과가 저하되었다.
따라서 한정된 범위에 해당하는 충격흡수패드가 온도 저감 및 충격 흡수의 효과를 발휘하기에 적합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인조잔디 구조체 10: 인조잔디 매트
11: 기포층 12: 백킹층
13: 파일부 20, 20a: 충격흡수패드
21: 함습부 211: 발포체
22: 보관부 221: 베이스
222: 지지부 223: 저수홈
225: 코팅층 227: 배수홀
B: 가상의 중심 C: 돌출 길이
D: 가상 중심에서 지지부까지의 최단 거리

Claims (10)

  1. 저수홈이 복수 형성된 보관부,
    상기 보관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코팅층 및
    상기 보관부에 배치되어 상기 저수홈의 물을 흡수할 수 있는 함습부
    를 포함하며,
    이웃한 상기 저수홈 사이의 상기 보관부에는 상하 관통된 배수홀이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관부는
    두께가 2㎜ 내지 40㎜인 베이스, 그리고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저수홈을 이루며 기둥 형태로 상기 베이스에서 5㎜ 내지 30㎜ 길이(C)로 돌출되어 상기 함습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함습부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이며,
    상기 보관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ow-density polyethylene; 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LLDPE)으로 이루어진 선택된 1종인
    충격흡수패드.
  2. 제1항에서,
    상기 저수홈은 상기 함습부와 접한 상기 보관부의 상면 일부분이 내부 방향으로 기설정된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된 충격흡수패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보관부의 두께는 2㎜ 내지 70㎜이고, 상기 함습부의 두께는 2㎜ 내지 40㎜인 충격 흡수 패드.
  5. 제1항에서,
    상기 함습부의 밀도는 120㎏/m3 내지 200㎏/m3인 충격흡수패드.
  6. 제1항에서,
    상기 함습부의 함습량은 200㎏/m3 내지 300㎏/m3인 충격흡수패드.
  7. 제1항에서,
    상기 보관부, 그리고 상기 함습부는 발포배율이 10배 내지 50배인 발포체인 충격흡수패드.
  8. 삭제
  9.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정의되어 있는 충격흡수패드, 그리고
    상기 충격흡수패드에 배치된 인조잔디 매트
    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10. 제9항에서,
    상기 인조잔디 매트에 포설되어 파일사를 지지하는 충진재를 더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KR1020210072801A 2021-06-04 2021-06-04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KR102427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801A KR102427406B1 (ko) 2021-06-04 2021-06-04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801A KR102427406B1 (ko) 2021-06-04 2021-06-04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7406B1 true KR102427406B1 (ko) 2022-08-01

Family

ID=82844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801A KR102427406B1 (ko) 2021-06-04 2021-06-04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4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9898B1 (ko) * 2022-12-30 2024-03-20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놀이터용 인조잔디 구조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261U (ko) * 2009-07-02 2011-01-10 대유산업개발(주) 인조잔디 시공용 탄성매트
KR20170030372A (ko) 2015-09-09 2017-03-1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KR101764691B1 (ko) 2016-11-25 2017-08-10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KR101791257B1 (ko) * 2017-03-07 2017-11-21 (주)에스빌드 수평배수형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
KR101816745B1 (ko) * 2017-03-23 2018-01-10 박보정 잔디 식재용 완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2019056211A (ja) * 2017-09-20 2019-04-11 株式会社ウエノシステック 人工芝構造体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261U (ko) * 2009-07-02 2011-01-10 대유산업개발(주) 인조잔디 시공용 탄성매트
KR20170030372A (ko) 2015-09-09 2017-03-1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KR101764691B1 (ko) 2016-11-25 2017-08-10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KR101791257B1 (ko) * 2017-03-07 2017-11-21 (주)에스빌드 수평배수형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
KR101816745B1 (ko) * 2017-03-23 2018-01-10 박보정 잔디 식재용 완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2019056211A (ja) * 2017-09-20 2019-04-11 株式会社ウエノシステック 人工芝構造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9898B1 (ko) * 2022-12-30 2024-03-20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놀이터용 인조잔디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7406B1 (ko)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US3900656A (en) Synthetic structure for covering a surface
US20140311075A1 (en) Recoiling energy absorbing system with lateral stabilizer
KR102000917B1 (ko) 인조잔디 구조체
US20100086747A1 (en) Flexible Energy Absorbing Material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PE20000534A1 (es) Elementos absorbentes para absorber fluidos corporales
US20070116521A1 (en) Surface structure for athletic fields
CN108348027A (zh) 冲击保护和减震装置
ES2720756T3 (es) Estera para formar un césped artificial y proceso para producir tal estera
US20040143997A1 (en) Method & apparatus for a shoe having an odor & moisture absorbent pad
KR102019094B1 (ko) 인조잔디매트 시스템
JP3784064B2 (ja) 生育基板
CN105559251B (zh) 减震元件、具有该种减震元件的鞋底
KR20170030372A (ko) 인조잔디 구조체
KR101764691B1 (ko)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KR101816745B1 (ko) 잔디 식재용 완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841424B1 (ko)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KR102294457B1 (ko) 난연성 충격흡수패드
US20150013182A1 (en) Footwear shock attenuation system
US20080250670A1 (en) Shoe Sole
KR102382126B1 (ko)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060040073A1 (en) Artificial turf system and method
KR102288672B1 (ko) 지면 결합력과 수분 흡수율을 높인 인조잔디 구조체
KR102382124B1 (ko) 경기자 안전적 인조잔디 구조체
KR102375538B1 (ko) 지반 보강층을 구비한 인조잔디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