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8672B1 - 지면 결합력과 수분 흡수율을 높인 인조잔디 구조체 - Google Patents

지면 결합력과 수분 흡수율을 높인 인조잔디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672B1
KR102288672B1 KR1020200050975A KR20200050975A KR102288672B1 KR 102288672 B1 KR102288672 B1 KR 102288672B1 KR 1020200050975 A KR1020200050975 A KR 1020200050975A KR 20200050975 A KR20200050975 A KR 20200050975A KR 102288672 B1 KR102288672 B1 KR 102288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base layer
layer
ground
artificial tur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웅
구자덕
Original Assignee
한국체육조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체육조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체육조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0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6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7/00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Base fabrics specially adapted for embroidered work; Inserts for producing surface irregularities in embroidered products
    • D05C17/02Tufted products
    • D05C17/026Tuft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tufted pile surfa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7/00Flexible sheet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xtile threads, filaments, yarns or tow, glued on macromolecular material
    • D06N7/0063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 D06N7/0071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characterised by their backing, e.g. pre-coat, back coating, secondary backing, cushion back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20Industrial for civil engineering, e.g. geotextiles
    • D10B2505/202Artificial gr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 결합력과 수분 흡수율을 높인 인조잔디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그물 구조로 이루어진 제1 기재층; 그물 구조로 이루어진 제2 기재층; 제1 섬유 및 제2 섬유로 이루어져 수분을 함유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기재층과 상기 제2 기재층의 사이에 위치한 버퍼층; 및 복수의 파일사로 이루어져 상기 제2 기재층에서 상기 제1 기재층의 위로 노출되어 있는 파일부; 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기재층, 상기 버퍼층 및 상기 제2 기재층은 적층된 상태에서 니들펀칭 공정으로 상기 제1 섬유 및 상기 제2 섬유의 일부는 상기 제1 기재층 또는 상기 제2 기재층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버퍼층은 제2 기재층의 외부로 노출된 섬유들에 의해 지면의 수분을 흡수하여 제1 기재층의 외부로 증발시킨다. 이에 직사광선에 의해 고온으로 상승한 인조잔디 구조체의 표면 온도를 낮출 수 있다. 그리고 제2 기재층의 외부로 노출된 섬유들이 지면에 삽입되면 지면과의 결합력이 증대되며 인조잔디 구조체는 지면으로부터 들뜨지 않는다.

Description

지면 결합력과 수분 흡수율을 높인 인조잔디 구조체{Artificial turf structure with ground enhanced binding force and water absorption}
본 발명은 지면 결합력과 수분 흡수율을 높인 인조잔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인조잔디는 특별하게 사용하는 조경재료의 하나로서, 잔디의 형태를 갖추어 인공적으로 만든 잔디의 대용품이다. 미국에서 처음 제작된 이래 주로 스포츠 구장에 사용되었고 잔디의 생육이 불가능한 옥내 정원이나 일조시간이 극히 제한된 고층건물의 북쪽에 접한 옥외지역과 같은 곳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인조잔디는 항상 푸름을 유지하고 환경조건의 제한을 받지 않아 시공 후 관리가 용이하다. 인조잔디가 시공된 인조잔디 구장은 일반 천연잔디에 비해 초기 시공비가 많이 들지만,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고 유지관리의 편의성, 운동하 기에 적합하도록 표면이 고른 점 등으로 인해 선호도가 높다. 스포츠용 인조잔디에 있어서는 선수의 충격을 흡수하고, 공구름성, 공튀김성, 공이 지면에 바운드된 이후의 공의 속도 변화 등 일련의 적정 경기성으로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인조잔디가 활용되었다.
이러한 인조잔디는 고객의 요구 및 소재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여러 단계를 거치면서 발전해 왔다. 특히 축구장 용 인조잔디의 경우 1990년 이후 'FIFA 퀄리티 컨셉'이라고 하는 인조잔디에의 품질 인증 시스템인 FIFA 규격 이 도입되면서 규격화된 경기성에 대한 욕구가 높아졌고,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여러 종류의 제품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인조잔디 구조체는 파일사들로 이루어져 천연잔디를 묘사하는 복수의 파일부; 상기 파일부가 터프팅된 기포층; 및 상기 파일부가 상기 기포층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백킹층을 포함한다. 그리고 인조잔디 구조체를 시공 후 파일부의 직립 상태를 유지하고 충격 흡수 등의 목적으로 규사, 고무칩 등의 충진재가 포설된다.
하지만, 파일사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따위로 만들어지면서 직사광선에 의해 인조잔디 구조체의 표면은 고온으로 상승하게 된다. 특히 광조사량이 강한 하절기에는 대기 온도에 더욱더 영향을 받아 지속적인 고온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경기자가 운동 중 슬라이딩 할 경우 화상의 위험이 있다. 이에 인조잔디 구조체의 표면 온도를 낮출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인조잔디 구조체는 제조 공장에서 롤 형태로 공급되어 시공 현장에서 펼쳐 시공한다. 그리고 이웃한 인조잔디 구조체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게 된다. 인조잔디 구조체의 하면이 지면에 고정되지 못하면서 들뜨는 문제가 발생하여 경기자의 경기력이 저하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5797호 (2019.06.27.)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62318호 (2019.03.20.)
본 발명은 인조잔디 구조체의 표면 온도를 낮추고 지면의 결합력을 높여 경기자의 경기력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지면 결합력과 수분 흡수율을 높인 인조잔디 구조체는, 그물 구조로 이루어진 제1 기재층; 그물 구조로 이루어진 제2 기재층; 제1 섬유 및 제2 섬유로 이루어져 수분을 함유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기재층과 상기 제2 기재층의 사이에 위치한 버퍼층; 및 복수의 파일사로 이루어져 상기 제2 기재층에서 상기 제1 기재층의 위로 노출되어 있는 파일부; 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기재층, 상기 버퍼층 및 상기 제2 기재층은 적층된 상태에서 니들펀칭 공정으로 상기 제1 섬유 및 상기 제2 섬유의 일부는 상기 제1 기재층 또는 상기 제2 기재층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섬유 및 상기 제2 섬유의 일부는 니들펀칭 공정으로 상기 제1 기재층과 상기 제2 기재층의 외부로 각각 노출되어 상기 제1 기재층, 상기 버퍼층 및 상기 제2 기재층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섬유 및 상기 제2 섬유의 일부는 상기 제2 기재층의 아래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제1 섬유보다 융점이 낮은 상기 제2 섬유는 상기 제2 기재층의 아래에서 상기 파일사와 융착되어 있으며, 상기 파일사와 융착되지 않은 섬유들은 지면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은 상기 제2 기재층의 외부로 노출되어 지면과 접하는 섬유들에 의해 지면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고, 상기 버퍼층의 수분은 상기 제1 기재층의 외부로 노출된 섬유들을 통해 이웃한 파일부의 사이로 증발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재층의 아래로 노출된 상기 제1 섬유 및 상기 제2 섬유의 길이 값은 상기 제2 기재층에 형성된 상기 파일부의 융착부분 상하 두께 값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파일부는 복수의 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기재층에 형성된 상기 파일부의 융착부분 폭 방향 두께는 2mm 내지 5mm이고, 이웃한 열의 일단과 타단의 간격은 5mm 내지 20mm일 수 있다.
상기 제1 섬유 및 상기 제2 섬유가 서로 혼합되어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기재층과 상기 제2 기재층의 씨실과 날실은 노출되는 상기 제1 섬유 및 상기 제2 섬유를 지지하여 넘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섬유의 강도는 상기 제1 섬유의 강도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 기재층의 외부로 노출된 제2 섬유는 상기 제2 기재층을 기준으로 상기 파일부의 융착부분보다 더 돌출되어 지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파일사와 상기 제1 섬유의 융점은 상기 제2 섬유의 융점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제2 섬유 및 상기 제1 섬유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다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버퍼층은 제3 섬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퍼층은 상기 제1 섬유, 상기 제2 섬유 및 상기 제3 섬유는 서로 혼합되어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버퍼층은 상기 제2 섬유, 상기 제3 섬유 및 상기 제1 섬유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다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섬유층의 제2 섬유, 제3 섬유층의 제3 섬유 및 제1 섬유층의 제1 섬유는 상기 제1 기재층과 상기 제2 기재층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파일부와 접하는 상기 제1 섬유는 상기 파일부와 융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파일사와 융착되지 않은 제1 섬유와 제2 섬유는 함께 지면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인조잔디 구조체는 지면과의 결합력이 증대되며 인조잔디 구조체는 지면으로부터 들뜨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버퍼층은 지면과 접한 섬유에 의해 지면의 수분을 흡수하여 머금을 수 있다. 버퍼층의 수분은 제1 기재층의 외부로 노출된 섬유에 의해 파일부의 사이로 증발될 수 있다. 증발된 수분은 직사광선에 의해 고온으로 상승한 인조잔디 구조체의 표면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에 인조잔디 구조체의 표면 온도를 더욱 낮출 수 있어 경기자의 경기력이 향상되며 화상 등의 상해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포층 및 파일부가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수명이 경과한 인조잔디 구조체 철거 후 기포층과 파일부를 분리하지 않고 분쇄와 용융하여 재생산함으로써 소각으로 발생하는 환경문제를 예방할 수 있고 경제적인 측면에서 많은 이득이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포층의 제1 기재층과 제2 기재층이 그물 구조로 이루어지고 버퍼층이 제1 섬유와 제2 섬유로 이루어져 배수성이 우수한다. 이에 우수 따위가 기포층을 빠르게 통과하여 지면으로 배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지면 결합력과 수분 흡수율을 높인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제1 기재층, 버퍼층 및 제2 기재층을 나타낸 분해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도.
도 4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1을 V-V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B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면 결합력과 수분 흡수율을 높인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면 결합력과 수분 흡수율을 높인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지면 결합력과 수분 흡수율을 높인 인조잔디 구조체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지면 결합력과 수분 흡수율을 높인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1 기재층, 버퍼층 및 제2 기재층을 나타낸 분해도이며,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제1 기재층, 버퍼층 및 제2 기재층이 적층되어 니들펀칭 공정으로 버퍼층의 섬유들이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의 씨실과 날실의 사이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이고, 도 4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1을 V-V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면 결합력과 수분 흡수율을 높인 인조잔디 구조체(1)는 제1 기재층(10), 제2 기재층(20), 버퍼층(30)을 포함하는 기포층과 기포층에 터프팅된 파일부(40)를 포함하며 인조잔디 구조체(1)의 표면 온도를 낮추고 지면의 결합력을 높여 경기자의 경기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제1 기재층(10)과 제2 기재층(20)은 씨실과 날실이 서로 결합되어 그물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제1 기재층(10), 제2 기재층(20) 및 버퍼층(30)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틸렌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인조잔디 구조체(1)가 시공된 상태에서 제1 기재층(10)은 완충 및 파일부의 직립 목적으로 포설되는 규사, 탄성칩 따위가 유실되는 것을 차단한다.
버퍼층(30)은 제1 섬유와 제2 섬유가 혼합되어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져 제2 기재층(20)과 제1 기재층(1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제1 섬유는 섬도가 4 denier이고 길이가 51mm 초과하고 102mm 미만일 수 있다. 제2 섬유는 섬도가 4 denier이고 길이가 51mm 미만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섬유의 강도는 제2 섬유의 강도보다 클 수 있다. 제1 섬유와 제2 섬유의 혼합 비율은 20 내지 30:70 내지 80일 수 있다. 제1 섬유와 제2 섬유의 섬도, 길이 및 혼합 비율은 인조잔디 구조체의 설계, 시공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버퍼층(30)의 두께는 0.1mm 내지 1mm일 수 있다. 버퍼층(30)의 두께가 0.1mm 미만인 경우 버퍼층(30)의 기능이 저하되며 1mm를 초과할 경우 터프팅 공정을 위해 공급되는 버퍼층의 중량과 부피 증가로 이송의 어려움이 있고 터프팅 공정이 용이하지 않다. 버퍼층(30)은 제1 기재층(10)과 제2 기재층(20)에 의해 충격 등의 외부 요건으로부터 보호된다.
제2 기재층(20), 버퍼층(30) 및 제1 기재층(10)은 적층된 상태에서 니들펀칭 공정을 통해 서로 결합되어 있다. 니들펀칭 공정은 제1 기재층(10)에서 제2 기재층(20)의 방향으로, 그리고 제2 기재층(20)에서 제1 기재층(10)의 방향으로 진행된다. 이에 니들펀칭 공정에 의해 버퍼층(30)의 제1 섬유와 제2 섬유는 제1 기재층(10)의 외부 노출되어 있다. 또한 버퍼층(30)의 제1 섬유와 제2 섬유는 제2 기재층(2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기포층의 상면과 하면으로 제1 섬유와 제2 섬유가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섬유와 제2 섬유가 제1 기재층(10)과 제2 기재층(20)의 외부로 노출될 때 제1 기재층(10)과 제2 기재층(20)의 씨실(11, 21)과 날실(12, 22)의 사이로 노출된다. 즉, 버퍼층(30)의 제1 섬유와 제2 섬유는 그물코를 통해 노출된다. 이에 씨실(11, 21)과 날실(12, 22)은 노출된 제1 섬유와 제2 섬유를 지지하여 넘어지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섬유와 제2 섬유는 니들펀칭 공정 시 니들이 씨실(11, 21)과 날실(12, 22)의 표면을 관통하면서 씨실(11, 21)과 날실(12, 22)의 표면을 관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한편, 니들펀칭 공정으로 버퍼층(30)의 섬유들(제1 섬유, 제2 섬유)이 제1 기재층(10)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제1 기재층(10)과 버퍼층(30)이 결합된다. 그리고 섬유들이 제2 기재층(20)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제2 기재층(20)과 버퍼층(30)이 결합된다. 이에 제1 기재층(10), 버퍼층(30) 및 제2 기재층(20)은 접착제, 열 따위를 이용하지 않고 서로 결합되어 있다.
아울러, 버퍼층(30)의 제1 섬유의 융점은 200℃ 내지 260℃ 일 수 있고, 제2 섬유의 융점은 100℃ 내지 150℃ 일 수 있다. 이에 버퍼층(30)에 기설정된 온도의 열을 가하면 제2 섬유가 제1 섬유보다 빨리 녹는다.
파일부(40)는 기재층(제1 및 제2 기재층)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파일사들이 기포층(제1 기재층, 버퍼층 및 제2 기재층)에 터프팅되어 형성되어 있다. 파일사들의 터프팅으로 파일부(40)의 일단은 제2 기재층(20)의 하면과 접하고 있으며 타단은 제1 기재층(10)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파일사들의 융점은 제2 섬유와 같거나 제1 섬유의 융점보다는 낮다. 제2 기재층(20)의 외부로 노출된 섬유들 중 제2 섬유는 융착으로 파일부(40)의 일단과 결합되어 있다. 즉, 파일부(40)가 기포층에 터프팅된 상태에서 제2 기재층(20)의 방향으로 열을 가하면 제2 섬유와 파일사가 녹으면서 흐물해진다. 제2 섬유와 파일사에 압력을 가하면 흐물해진 제2 섬유와 파일사는 압착되면서 기설정된 두께와 폭을 갖는 융착부분(41)을 형성하면서 서로 결합된다. 이에 파일부(40)와 버퍼층(30)은 결합된다. 기포층에 파일사들이 터프팅되면서 제1 기재층(10), 버퍼층(30) 및 제2 기재층(20)은 분리되지 않게 더욱 결합된다.
이와 같은 파일부(40)는 기포층의 제1 방향(X)을 따라 연속 터프팅되어 연결되어 있으며 제2 방향(Y)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열로 형성되어 있다. 이웃한 파일부(40)의 사이에는 제1 기재층(10)의 외부로 노출된 제1 섬유와 제2 섬유가 위치하고 있다.
한편, 제2 기재층에 형성된 융착부분(41)의 폭 방향 두께(WT)는 2mm 내지 5mm일 수 있다. 그리고 파일부(40)의 이웃한 제1열(40a)의 융착부분(41) 일단(41R)과 제2열(40b)의 융착부분(41) 타단(41L)의 간격(S)은 5mm 내지 20mm일 수 있다. 융착부분(41)의 폭이 2mm 미만인 경우 융착부분(41)이 끊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파일부(40)가 기포층에서 이탈할 수 있다. 그리고 이웃한 열의 간격이 5mm 미만인 경우 터프팅의 니들 설치에 어려움이 있으며 20mm를 초과할 경우 단위면적단 터프팅 밀도가 협소하여 파일부(40)의 직립성이 저하된다.
그리고 제2 기재층(20)의 아래로 노출된 제1 섬유 및 파일사와 결합되지 않은 제2 섬유의 길이(L) 값은 융착부분(41)의 상하 두께(HT) 값 보다 크다.
이와 같은 인조잔디 구조체를 스포츠 구장에 시공하면 제2 기재층(20)은 지면과 마주한다. 이때 융착부분(41)에 의해 제2 기재층(20)은 지면과 간격을 유지하게 되면서 배수로(S)를 형성하게 되어 배수가 용이하다.
그리고 강도가 제2 섬유의 강도보다 큰 제1 섬유의 끝은 제2 기재층(2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섬유의 끝은 제1 기재층(20)을 기준으로 융착부분(41)보다 더 돌출되어 지면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파일사와 융착되지 않은 제2 섬유는 지면과 접하고 일부는 제1 섬유와 함께 지면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인조잔디 구조체는 지면과의 결합력이 증대되며 제2 기재층(20)이 지면과 떨어져 있어서 인조잔디 구조체는 지면으로부터 들뜨지 않는다.
한편, 버퍼층(30)은 지면과 접한 섬유들에 의해 지면의 수분을 흡수하여 머금을 수 있다. 또한 제2 기재층(20)의 외부로 노출된 섬유에 의해 배수로의 수분을 흡수할 수도 있다. 버퍼층(30)의 수분은 제1 기재층(10)의 외부로 노출된 섬유에 의해 파일부(40)의 사이로 증발될 수 있다. 증발된 수분은 직사광선에 의해 고온으로 상승한 인조잔디 구조체의 표면 온도를 낮출 수 있다. 그리고 규사 따위의 충진재가 포설되어 있는 경우 증발된 수분에 의해 규사는 수분을 머금게 되어 인조잔디 구조체의 표면 온도를 더욱 낮출 수 있어 경기자의 경기력이 향상되며 화상 등의 상해를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기포층과 파일부(40)가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수명이 경과한 인조잔디 구조체 철거 후 기포층과 파일부를 분리하지 않고 분쇄와 용융하여 재생산함으로써 소각으로 발생하는 환경문제를 예방할 수 있고 경제적인 측면에서 많은 이득이 얻을 수 있다.
하지만, 기포층과 파일부(40)는 성형 조건, 시공 장소 환경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기포층의 제1 기재층(10)과 제2 기재층(20)이 그물 구조로 이루어지고 버퍼층(30)이 제1 섬유와 제2 섬유로 이루어져 배수성이 우수한다. 이에 우수 따위가 기포층을 빠르게 통과하여 지면으로 배수될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 버퍼층(30)의 제1 섬유와 제2 섬유 일부가 제1 기재층(10)과 제2 기재층(2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버퍼층(30)의 제1 섬유와 제2 섬유는 제2 기재층(20)의 아래로 노출되어 일부는 파일부(40)와 융착되고 나머지는 지면과 접하여 수분을 흡수하고 인조잔디 구조체(1)의 지면과 결합력을 높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지면 결합력과 수분 흡수율을 높인 인조잔디 구조체(2)는 도면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버퍼층(30)의 제1 섬유와 제2 섬유가 분리되어 버퍼층(30)은 제1 섬유층(31)과 제2 섬유층(32)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섬유층(31)은 제1 기재층(10)과 접하고 있으며, 제2 섬유층(32)은 제2 기재층(20)과 접하고 있다. 제2 기재층(20), 제2 섬유층(32), 제1 섬유층(31) 및 제1 기재층(10)이 적층된 상태에서 상/하면에서 각각 니들펀칭 공정으로 서로 결합된다. 이에 제1 섬유층(31)의 제1 섬유는 제2 섬유층(32)과 제2 기재층(20)을 관통하여 제2 기재층(20)의 외부로 노출되며 또한 제1 섬유는 제1 기재층(10)을 관통하여 제1 기재층(10)의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제2 섬유층(32)의 제2 섬유는 제1 섬유층(31)과 제1 기재층(10)을 관통하여 제1 기재층(10)의 외부로 노출되며 또한 제2 섬유는 제2 기재층(20)을 관통하여 제2 기재층(20)의 외부로 노출된다.
니들펀칭 공정으로 제1 기재층(10)과 제2 기재층(20)의 외부로 노출된 섬유들에 의해 제1 기재층(10), 버퍼층(30) 및 제2 기재층(20)은 접착제, 열 따위를 이용하지 않고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니들펀칭 공정으로 섬유들이 버퍼층(30)에서 서로 엉키면서 제1 섬유층(31)과 제2 섬유층(32)은 더욱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제1 섬유층(31)과 제2 섬유층(32)을 각각 준비하여 적층 한 후 니들펀칭 공정을 통해 결합하여 버퍼층(30)을 형성하므로 별도의 공정에서 제1 섬유와 제2 섬유를 서로 결합하지 않아도 되어 버퍼층(30)을 형성하기 위한 준비가 용이하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지면 결합력과 수분 흡수율을 높인 인조잔디 구조체의 버퍼층은 제1 섬유 및 제2 섬유와 더불어 제3 섬유를 더 포함한다.
제3 섬유는 목화(Cotton), 케이폭(Kapok), 아마(Flax), 황마(Jute), 모시(Ramie), 대마(Hemp), 케나프(Kenaf), 아바카(abaca), 사이살(sisal), 피나(Pina), 헤나킨(Henequen), 코이어(Coir), 스패니쉬모스(Spanish Moss)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식물성 섬유일 수 있다. 또한, 제3 섬유는 옥수수, 타피오카, 사탕수수, 풀, 나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바이오매스 섬유일 수 있다. 또한, 제3 섬유는 고흡습성섬유일 수 있다.
제1 섬유, 제2 섬유 및 제3 섬유는 20:70:10 비율로 혼합되어 하나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섬유 제2 섬유 및 제3 섬유는 상부기포층과 하부기포층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니들펀칭 공정으로 상부기포층과 하부기포층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서로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섬유를 사용하므로 제3 섬유가 제1 섬유 및 제2 섬유와 함께 지면의 수분을 흡수하므로 지면의 수분 흡수율이 향상되며, 더불어 수분 증발 효율이 향상되어 경기자의 경기력이 더욱 향상된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지면 결합력과 수분 흡수율을 높인 인조잔디 구조체(3)는 도면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버퍼층(30)의 제1 섬유, 제2 섬유 및 제3 섬유가 분리되어 제1 섬유층(31), 제3 섬유층(33) 및 제2 섬유층(32)으로 형성되어 버퍼층(30)은 다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2 기재층(20), 제1 섬유층(31), 제3 섬유층(33), 제2 섬유층(32) 및 제1 기재층(10)이 적층된 상태에서 상면과 하면에서 각각 니들펀칭 공정으로 서로 결합된다. 이에 제1 섬유, 제3 섬유 및 제2 섬유는 제1 기재층(10)과 제2 기재층(2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제2 기재층(20)의 외부로 노출된 섬유들에 의해 버퍼층(30)은 지면의 수분을 흡수하며 제1 기재층(10)의 외부로 노출된 섬유들에 의해 수분은 증발된다.
아울러, 제1 섬유, 제2 섬유 및 제3 섬유가 니들펀칭 공정으로 서로 엉키면서 제1 섬유층(31), 제3 섬유층(33) 및 제2 섬유층(32)은 더욱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는 융착부분에 결합되어 파일부가 기포층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백킹층(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백킹층은 그물 구조 또는 부직포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섬유, 제2 섬유는 백킹층의 그물 구조에 의해 그물코를 통해 백킹층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백킹층은 파일사 및 제2 섬유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같은 융점을 갖는다. 이에 백킹층은 융착부분과 결합되어 있다. 아울러 제2 섬유는 백킹층과 융착되어 결합되어 있다. 이에 백킹층의 결합력은 더욱 향상되어 파일부의 이탈을 예방할 수 있다.
하지만 백킹층은 그물, 부직포 구조로 형성되지 않고 액상의 코팅액이 도포될 수도 있다. 백킹층의 유무 및 구조는 제조 조건 및 시공 현장의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2, 3: 인조잔디 구조체 10: 제1 기재층
11, 21: 씨실 12, 22: 날실
20: 제2 기재층 30: 버퍼층
31: 제1 섬유층 32: 제2 섬유층
33: 제3 섬유층 40: 파일부
41: 융착부분

Claims (15)

  1. 그물 구조로 이루어진 제1 기재층,
    그물 구조로 이루어진 제2 기재층,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제1 섬유, 제2 섬유 및 제3 섬유가 서로 혼합되어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1 기재층과 상기 제2 기재층의 사이에 위치한 버퍼층 및
    복수의 파일사로 이루어져 상기 제2 기재층에서 상기 제1 기재층의 위로 노출되어 있는 파일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재층, 상기 버퍼층 및 상기 제2 기재층은 적층되어 상기 제1 섬유, 제2 섬유 및 상기 제3 섬유의 일부가 상기 제1 기재층과 상기 제2 기재층의 외부로 각각 노출되어 상기 제1 기재층, 상기 버퍼층 및 상기 제2 기재층을 서로 결합하고, 상기 파일사와 상기 제2 섬유의 융점은 상기 제1 섬유의 융점보다 낮으며, 상기 제2 기재층의 아래로 노출된 제2 섬유는 상기 제2 기재층의 아래에서 상기 파일사와 융착되어 있고, 상기 파일사와 융착되지 않은 섬유들은 지면과 접하며, 상기 버퍼층은 상기 제2 기재층의 외부로 노출되어 지면과 접하는 섬유들에 의해 지면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고, 상기 버퍼층의 수분은 상기 제1 기재층의 외부로 노출된 섬유들을 통해 이웃한 파일부의 사이로 증발되는
    지면 결합력과 수분 흡수율을 높인 인조잔디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제2 기재층의 아래로 노출된 상기 제1 섬유 및 상기 제2 섬유의 길이 값은 상기 제2 기재층에 형성된 상기 파일부의 융착부분 상하 두께 값 보다 큰
    지면 결합력과 수분 흡수율을 높인 인조잔디 구조체.
  6. 제5항에서,
    상기 파일부는 복수의 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기재층에 형성된 상기 파일부의 융착부분 폭 방향 두께는 2mm 내지 5mm이고, 이웃한 열의 일단과 타단의 간격은 5mm 내지 20mm인
    지면 결합력과 수분 흡수율을 높인 인조잔디 구조체.
  7. 삭제
  8. 제1항에서,
    상기 제1 기재층과 상기 제2 기재층의 씨실과 날실은 노출되는 상기 제1 섬유 및 상기 제2 섬유를 지지하여 넘어지지 않도록 하는 지면 결합력과 수분 흡수율을 높인 인조잔디 구조체.
  9. 제1항에서,
    상기 제1 섬유의 강도는 상기 제2 섬유의 강도보다 큰 지면 결합력과 수분 흡수율을 높인 인조잔디 구조체.
  10. 제1항에서,
    상기 제2 기재층의 외부로 노출된 제1 섬유 및 제2 섬유는 상기 제2 기재층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기재층과 결합된 상기 파일부의 융착부분보다 더 돌출되어 지면에 삽입되는 지면 결합력과 수분 흡수율을 높인 인조잔디 구조체.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00050975A 2020-04-27 2020-04-27 지면 결합력과 수분 흡수율을 높인 인조잔디 구조체 KR102288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975A KR102288672B1 (ko) 2020-04-27 2020-04-27 지면 결합력과 수분 흡수율을 높인 인조잔디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975A KR102288672B1 (ko) 2020-04-27 2020-04-27 지면 결합력과 수분 흡수율을 높인 인조잔디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8672B1 true KR102288672B1 (ko) 2021-08-17

Family

ID=77466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975A KR102288672B1 (ko) 2020-04-27 2020-04-27 지면 결합력과 수분 흡수율을 높인 인조잔디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6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785B1 (ko) * 2022-11-02 2023-09-20 주식회사 폴리그라스코리아 충격흡수패드층이 일체로 구성되어 자기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인조잔디매트의 제조방법 및 그 인조잔디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4018A (ja) * 2003-04-25 2004-11-18 Diatex Co Ltd ポリオレフィン製タフティングマ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40401B1 (ko) * 2016-01-12 2017-05-26 (주)대원그린 인조잔디 매트 제조방법 및 그 인조잔디 매트
KR101962318B1 (ko) 2017-05-12 2019-03-2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KR101995797B1 (ko) 2017-11-21 2019-07-0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4018A (ja) * 2003-04-25 2004-11-18 Diatex Co Ltd ポリオレフィン製タフティングマ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40401B1 (ko) * 2016-01-12 2017-05-26 (주)대원그린 인조잔디 매트 제조방법 및 그 인조잔디 매트
KR101962318B1 (ko) 2017-05-12 2019-03-2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KR101995797B1 (ko) 2017-11-21 2019-07-0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785B1 (ko) * 2022-11-02 2023-09-20 주식회사 폴리그라스코리아 충격흡수패드층이 일체로 구성되어 자기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인조잔디매트의 제조방법 및 그 인조잔디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0917B1 (ko) 인조잔디 구조체
US6877932B2 (en) Drainage system and method for artificial grass using spacing grid
KR101757189B1 (ko) 인조잔디 구조물
US20040086664A1 (en) Sports playing surfaces for realistic game play
KR102424160B1 (ko) 배수성이 우수한 충격흡수패드
US8465813B2 (en) Artificial lawn for artificial grass sports field
KR102288672B1 (ko) 지면 결합력과 수분 흡수율을 높인 인조잔디 구조체
KR100834039B1 (ko)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
KR102019094B1 (ko) 인조잔디매트 시스템
JP3206608U (ja) 人工芝構造
KR100779925B1 (ko) 친환경 방초 매트
CN1311133C (zh) 一种可拼装的运动草坪
JP2011125260A (ja) 壁面緑化パネル
KR102302119B1 (ko) 완충력과 파일사 직립성을 향상시킨 인조잔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841424B1 (ko)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US8844194B1 (en) Vegetative roofing systems
KR102427409B1 (ko) 다중 섬유 집속형 인조잔디 구조체
KR102382124B1 (ko) 경기자 안전적 인조잔디 구조체
JP4931410B2 (ja) 緑化用マット構造体
KR20150057854A (ko) 인조잔디 기층용 다기능 패드
KR101859667B1 (ko) 섬유 충진재를 이용한 인조잔디 구조체
JP5578604B2 (ja) 壁面緑化パネル
JP6472316B2 (ja) 土壌流出防止シート
KR102375538B1 (ko) 지반 보강층을 구비한 인조잔디 구조체
KR20210054261A (ko)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무충진 인조 잔디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