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094B1 - 인조잔디매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조잔디매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094B1
KR102019094B1 KR1020190063280A KR20190063280A KR102019094B1 KR 102019094 B1 KR102019094 B1 KR 102019094B1 KR 1020190063280 A KR1020190063280 A KR 1020190063280A KR 20190063280 A KR20190063280 A KR 20190063280A KR 102019094 B1 KR102019094 B1 KR 102019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turf
pile
turf mat
present
shock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목씨지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목씨지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목씨지알
Priority to KR1020190063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D04B1/04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0Open-work fabrics
    • D04B21/12Open-work fabric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20Industrial for civil engineering, e.g. geotextiles
    • D10B2505/202Artificial gras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방사기에서 얻어지는 3종의 파일원사를 이용하여 기포지에 터프팅 제직하고, 상기 기포지의 뒷면을 열융착 하도록 구성되는 3중 구조의 인조잔디매트와, 환편 및 경편 방식으로 편평하게 편직하여 상기 인조잔디매트가 얹히는 상판과, 상기 상판과 대응되는 면으로 편평하게 형성되어 바닥에 깔리도록 구성되는 하판과,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수직 형상으로 다수개의 일정한 굵기를 가지는 기둥이 형성되어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지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에어 메쉬를 이용한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은 인조잔디매트를 에어 메쉬로 된 충격흡수패드 위에 얹져 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서, 외부의 충격이 흡수되고, 충격이 제거되면 지지층이 복원되면서 공기층이 다시 형성됨으로서 충격흡수작용은 물론, 수직 직배수가 가능함으로서 우기에도 구장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조잔디매트 시스템{Artificial turf mat system}
본 발명은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3종 구조로 터프팅 제직하여 바닥면에 폴리아미드 시트를 열융착하여 인조잔디매트를 완성하고, 경편 편성방법으로 편직된 에어 메쉬 형태의 충격흡수패드에 얹져 포설하고 모래 및 충진재로 고정하여 인조잔디구장을 시공하는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학교 또는 공공시설의 운동장을 잔디구장 또는 인조잔디구장으로 시공하는 사례가 많다. 이용자의 안전과 조경 효과를 위해 조성되는 천연잔디구장은 잔디 씨를 살포하거나, 잔디를 옮겨 심어서 만들어진다.
동절기가 긴 우리나라의 경우 천연잔디구장은 사용일수가 일 년에 약 40 ~ 50일 밖에 되지 않고, 잔디보호를 위해 사용을 제한하는 경우를 포함하면 운동장의 효율성은 급격히 떨어진다. 또한, 천연잔디는 물주기, 손상으로 인한 보식 등 관리에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따라서 천연잔디구장에 비해 활용도가 높은 인조잔디구장의 시공 면적이 빠른 속도로 확대되는 추세이다. 인조잔디구장 시공에 필요한 인조잔디매트는 인조모의 인발력과 매트의 배수성을 향상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인조잔디매트는 기포지에 파일원사를 이용하여 인조모를 제직하고 파일원사의 매듭이 있는 기포지의 밑면을 SBR 라텍스, 폴리우레탄(PU) 및 폴리염화비닐(PE) 등으로 전면 도포하여 파일원사의 인발력을 높여주는 방법을 사용한다.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종래의 인조잔디매트는 모노 구조 또는 이중(모노 + 크림프)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인조잔디매트를 운동장을 시공할 경우, 파일원사가 한 방향 또는 여러 방향으로 눕는 현상으로 인하여 공의 직진성이 떨어지고, 공을 굴리는 방향에 따라 컨트롤이 달라지고, 쿠션감이 불량할 뿐만 아니라 경기자의 발목부상의 위험이 있어 천연 잔디 구장에 비해 선호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인조잔디매트를 직모 형태의 제1 파일과, 크림프 형태의 제2, 제3 파일로 구성하여, 상기 각각의 원사가 서로 다른 역할을 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쿠션감 및 경기자의 부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충격흡수패드를 개발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06426호(2018.10.10.)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3557호(2006.04.07.)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조잔디매트는, 3중 구조의 파일원사로서, 직모 형태의 제1 파일과, 크림프 형태의 제2, 제3 파일로 구성되는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은 (a) 방사기에서 3종의 파일원사를 얻는 단계, (b) 기포지에 상기 3종의 파일원사를 터프팅하여 제직하는 단계 및 (c) 기포지의 뒷면을 열융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의 상기 (a) 방사기에서 3종의 파일원사를 얻는 단계는, 용융점이 각각 다른 원사 소재를 이용하여 각각 다른 굵기의 파일원사를 얻도록 구성되는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사기에서 생산되는 3종의 파일원사는, 구부러짐 없고 굵은 직모형의 제1 파일과, 구부러짐이 중간 정도이고 제1 파일 보다 가는 반직모형의 제2 파일과, 구부러짐이 매우 심한 정도인 제3 파일로 구성되는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1 파일은, 열상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가장 적고, 복원력이 우수한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소재를 사용하고, 제2 파일은 복원력이 우수한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소재 또는 반발력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을 사용하고, 제3 파일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또는 나일론(Nylon, Polyamide: PA) 소재로 구성되는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1 파일은, 맥반석이 함유된 파일로 구성되며, 상기 맥반석은 장석반암으로 조성된 400 메쉬 분말형태로 조성물에 첨가되도록 구성되는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1 파일은, 단면 형상이 “C” 형상의 몸체부를 가지며, 상기 몸체부의 내측 중앙 및 양 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볼록한 곡선 돌출부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의 상기 (b) 기포지에 상기 3종의 파일원사를 터프팅하여 제직하는 단계는, 상기 3종의 파일원사를 동시에 제직하도록 구성하며, 터프팅 한 상기 3종 파일원사를 모두 같은 길이로 절단하여 구성되는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의 상기 (c) 열융착하는 단계는, 열융착 프레스를 이용하여 기포지 밑면의 매듭과 폴리아미드 시트를 열융착 하여 인조잔디매트의 인발력과 전면 배수력를 향상시키도록 구성되는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충격흡수패드는 경편 편성방법에 의해 에어 메쉬가 편직되며, 상판과, 하판과, 지지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격흡수패드의 상기 상판은, 상기 환편 및 경편 방식으로 편평한 에어 메쉬가 형성되며, 인조잔디매트가 얹히고, 상기 하판은, 상기 상판과 대응되는 면으로 편평하게 형성되어 바닥에 깔리도록 구성되는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격흡수패드의 상기 지지층은,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수직 형상으로 다수개의 일정한 굵기를 가지는 기둥이 형성되어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의 특징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조잔디매트가 3중 구조의 파일원사로서, 직모 형태의 제1 파일과, 크림프 형태의 제2, 제3 파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의 다른 특징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은 (a) 방사기에서 3종의 파일원사를 얻는 단계, (b) 기포지에 상기 3종의 파일원사를 터프팅하여 제직하는 단계 및 (c) 기포지의 뒷면을 열융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의 상기 (a) 방사기에서 3종의 파일원사를 얻는 단계는, 용융점이 각각 다른 원사 소재를 이용하여 각각 다른 굵기의 파일원사를 얻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방사기에서 생산되는 3종의 파일원사는, 구부러짐 없고 굵은 직모형의 제1 파일과, 구부러짐이 중간 정도이고 제1 파일 보다 가는 반직모형의 제2 파일과, 구부러짐이 매우 심한 정도인 제3 파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1 파일은, 열상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가장 적고, 복원력이 우수한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소재를 사용하고, 제2 파일은 복원력이 우수한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소재 또는 반발력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을 사용하고, 제3 파일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또는 나일론(Nylon, Polyamide: PA) 소재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1 파일은, 맥반석이 함유된 파일로 구성되며, 상기 맥반석은 장석반암으로 조성된 400 메쉬 분말형태로 조성물에 첨가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1 파일은, 단면 형상이 “C” 형상의 몸체부를 가지며, 상기 몸체부의 내측 중앙 및 양 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볼록한 곡선 돌출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의 상기 (b) 기포지에 상기 3종의 파일원사를 터프팅하여 제직하는 단계는, 상기 3종의 파일원사를 동시에 제직하도록 구성하며, 터프팅 한 상기 3종 파일원사를 모두 같은 길이로 절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의 상기 (c) 열융착하는 단계는, 열융착 프레스를 이용하여 기포지 밑면의 매듭과 폴리아미드 시트를 열융착 하여 인조잔디매트의 인발력과 전면 배수력를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의 특징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충격흡수패드는 경편 편성방법에 의해 에어 메쉬가 편직되며, 상판과, 하판과, 지지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의 다른 특징은, 충격흡수패드의 상기 상판은, 상기 환편 및 경편 방식으로 편평한 에어 메쉬가 형성되며, 인조잔디매트가 얹히고, 상기 하판은, 상기 상판과 대응되는 면으로 편평하게 형성되어 바닥에 깔리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충격흡수패드의 상기 지지층은,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수직 형상으로 다수개의 일정한 굵기를 가지는 기둥이 형성되어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은, 먼저, 3중 구조의 인조잔디매트와 에어 메쉬를 이용한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를 적용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 파일원사를 제조하여 밀도가 높은 인조잔디매트의 제조가 가능하며, 상기 에어 메쉬의 상판과 하판 사이의 지지층에 형성된 공기층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므로 공의 반발력이 향상되고 경기자의 피로도가 감소되는 구장 건설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3종의 파일원사 중에서 직립성을 요하는 제1 파일은 단면 형상을 “C” 형태로 방사하고, 3종의 파일원사를 동시에 제직하고, 상기 파일원사를 동일한 길이로 절단한 인조잔디매트의 뒷면에 열융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절단공정에서 펴진 제2 및 제3 파일의 크림프가 원상복원 되면서 자연적으로 파일원사가 3중 구조를 형성하여, 직모(제1 파일)의 수직강도를 향상시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종래의 이중 구조 인조잔디매트에 충진재를 포설하지 아니할 경우, 단기간 내에 잔디의 쿠션감이 떨어져서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사례가 있으나, 본 발명은 3단으로 형성된 파일원사의 밀도가 매우 높고, 하부에 충격흡수패가 적용되어 실내외를 막론하고 운동장 시공 시 충진재를 포설하지 않아도 파일원사의 수직강도가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의 3중 구조 인조잔디매트(10) 제조방법의 단계별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인조잔디매트의 제직단계 및 제직단계 후 파일원사가 크림프(Crimp)되는 현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의 제1 파일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의 충격흡수패드의 얼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을 시공한 구장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 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일반적으로 인조잔디구장을 시공할 때, 인조잔디매트 하부에 충격흡수 기능을 하는 매트를 깔아서 배수 및 충격흡수 기능을 담당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인조잔디구장은 배수홀이 형성된 플라스틱 패드 또는 부직포를 사용하여 충격흡수와 배수기능을 하도록 하지만, 충격흡수패드의 배수홀은 집중적으로 내리는 우수를 수평적으로 배수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소재의 특성상 쿠션감이 불량하여 충격흡수 능력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은 인조잔디매트를 에어 메쉬로 된 충격흡수패드 위에 얹져 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서,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공기가 자연스럽게 옆으로 밀리면서 충격이 흡수되고, 충격이 제거되면 지지층이 복원되면서 공기층이 다시 형성됨으로서 충격흡수작용은 물론, 수직 직배수가 가능함으로서 우기에도 구장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의 3중 구조 인조잔디매트(10) 제조방법의 단계별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인조잔디매트의 제직단계 및 제직단계 후 파일원사가 크림프(Crimp)되는 현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림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의 제1 파일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의 충격흡수패드의 얼개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을 시공한 구장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을 이루는 인조잔디매트와 충격흡수패드 및 본 발명의 시스템 시공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 예 1> 본 발명의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에 적용되는 인조잔디매트
본 발명의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에 적용되는 인조잔디매트(10)는, 3중 구조(제1, 제2, 제3 파일)의 파일원사(11)로서, 직모 형태의 제1 파일(111)과, 크림프 형태의 제2, 제3 파일(112, 113)로 구성하여 높이가 3중 구조로 형성되어, 제1 파일(111)은 운동화가 가장 먼저 닿는 부분으로 평상시에는 직립 상태이나 운동 시 조그마한 충격에도 사방으로 부드럽게 변화하다가 다시 원상회복되며, 제2 파일(112)은 제1 파일(111) 사이에 조성되어 제1 파일(111)이 원상회복되는데 지지대 역할을 한다. 또한 제1 파일(111)은 사방으로 변화하는 반면에, 제2 파일(112)은 사방과 상하로 변화하여 충격이 가해지면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고 충격이 제거되면 스스로 원상회복을 하면서 제1 파일을 원상회복하는 역할을 한다. 제3 파일(113)은 제1 파일(111)과 제2 파일(112) 사이에 조성되며 크림프가 많아 인조 잔디 하층부의 밀도를 최대한 높여주고, 제1 파일(111)과 제2 파일(112)을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3 파일(113)은 제2 파일(112)과 같이 사방과 상하로 변화하여 충격흡수 및 지지대 역할을 수행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에 적용되는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은 (a) 방사기에서 3종의 파일원사(11)를 얻는 단계(S100), (b) 기포지에 상기 3종의 파일원사(11)를 터프팅하여 제직하는 단계(S200) 및 (c) 기포지의 뒷면을 열융착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에 적용되는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의 상기 (a) 방사기에서 3종의 파일원사를 얻는 단계(S100)는, 용융점이 각각 다른 원사 소재를 이용하여 각각 다른 굵기의 파일원사를 얻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사기(미도시)에서 생산되는 3종의 파일원사는, 구부러짐 없고 굵은 직모형의 제1 파일(111)과, 구부러짐이 중간 정도이고 제1 파일(111) 보다 가는 반직모형의 제2 파일(112)과, 구부러짐이 매우 심한 정도인 제3 파일(113)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인조 잔디 원사는 합성섬유 중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나일론(Nylon, Polyamide: PA) 소재를 사용한다. 상기 소재는 각각 용융점(내열점), 내구성, 마찰강도, 촉감 및 단가가 달라 적절한 곳에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1 파일(111)은, 열상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가장 적고, 복원력이 우수한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소재를 사용하고, 제2 파일(112)은 복원력이 우수한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소재 또는 반발력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을 사용하고, 제3 파일(113)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또는 나일론(Nylon, Polyamide: PA) 소재를 사용하여 소재 상호간의 특성을 조화하였다. 상술한 소재의 파일(제1, 제2, 제3 파일) 선택은 시공여건 및 장소에 따라 조합을 다르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파일(111)은, 맥반석이 함유된 파일로 구성되며, 상기 맥반석은 장석반암으로 조성된 400 메쉬 분말형태로 조성물에 첨가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파일(111)은, 단면 형상이 “C” 형태의 몸체부(111.1)를 가지며, 상기 몸체부의 내측 중앙 및 양 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볼록한 곡선 돌출부(111.2)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파일(111)은, 방사기의 “C” 단면 형상의 노즐에서 방사된 파일은 연사 단계를 거쳐서 소정의 규격을 가지며, 구부러짐 없는 직립성이 확보되도록 구성된다.[도 3 참조]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파일원사의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방사기에서 상기 소재별 원료(비드)를 녹이고 방사하여 원사를 생산한다. 이와 같이 생산된 원사를 냉각기(미도시)에서 냉각시키고, 다시 열을 가해 굵기를 조절(연사)하고(→ 직모 생산), 다시 일정한 공간에 연사된 원사를 넣어 열풍을 가하고 공기압을 가하여(→ 반직모/곡모 생산) 제조된다.
이때, 원사의 형상은 방사기에서 원사를 방사할 때 공기 압력의 정도에 따라 반직모, 곡모가 정해지며, 공기 압력이 높을수록 파형(크림프)이 심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3중 구조의 파일원사를 가지는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파일원사의 제원은 아래 [표 1]과 같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파일원사 제원
파일원사 소재 파일길이(mm) 원사 굵기(decitex) 파일형상 비 고
제1 파일 PE 35 ~ 60 8,000 ~ 15,000 C형 직모
제2 파일 PP/PE 20 ~ 40 3,000 ~ 8,000 크림프
제3 파일 PE/NY 10 ~ 25 3,000 ~ 8,000 크림프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파일은 “C” 형상의 직모로 가장 굵고 가장 길게 제직되어 인조잔디매트에서 가장 높게 형성되어 수직강도를 좌우한다. 제2 파일(112)은 크림프사(絲)이지만 구부러진 정도가 제1 파일(111)보다는 크고, 제3 파일(113)보다 덜하여 제직 시에는 동일한 길이로 절단되나, 원상복원(구부러지는 성질) 정도가 제1 파일(111)보다는 크고 제3 파일(113)보다는 작아 인조잔디매트에서 중간정도의 높이를 형성한다. 제3 파일(113)은 크림프 정도가 매우 심하여 제직 후 외력이 없어지면 가장 많이 구부러져 인조잔디매트에서 가장 낮은 높이로 형성된다. 상술한 3종의 원사로 제조되는 완제품은 밀도가 매우 높은 3단 높이의 파일원사 층을 이루는 인조잔디매트(10)를 형성한다. 이러한 파일원사(제1, 제2, 제3 파일)의 절단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35 ~ 60mm 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5 ~ 45mm로 구성한다.
본 발명의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에 적용되는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의 상기 (b) 기포지에 상기 3종의 파일원사를 터프팅하여 제직하는 단계(S200)는, 상기 3종의 파일원사(11)를 동시에 제직하도록 구성하며, 터프팅 한 상기 3종 파일원사를 모두 같은 길이로 절단하여 구성된다.[도 2 참조]
이때, 방사기에서 방사된 제2 파일(11.2) 및 제3 파일(113)은 크림프 상태가 펴진 상태에서 절단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에 적용되는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의 상기 (c) 열융착하는 단계(S300)는, 열융착 프레스(미도시)를 이용하여 기포지 밑면의 매듭과 폴리아미드(PA6) 시트를 열융착 하여 인조잔디매트의 인발력과 전면 배수력를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 2> 본 발명의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에 적용되는 충격흡수패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에 적용되는 충격흡수패드(20)는 경편 편성방법에 의해 에어 메쉬가 편직되며, 상판(21)과, 하판(22)과, 지지층(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충격흡수패드의 상기 상판(21)은, 상기 환편 및 경편 방식으로 편평한 에어 메쉬가 형성되며, 인조잔디매트가 얹히고, 상기 하판(22)은, 상기 상판(21)과 대응되는 면으로 편평하게 형성되어 바닥에 깔리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충격흡수패드의 상기 지지층(23)은,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수직 형상으로 다수개의 일정한 굵기를 가지는 기둥(231)이 형성되어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층(23)은, 5 ~ 15 mm의 높이로서,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편직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충격흡수패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나일론(Nylon)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실시 예 3> 본 발명의 인조잔디매트 시스템 시공
1. 시공 준비
가. 인조잔디매트
- 상기 <실시 예 1>에 의해 제조된 인조잔디매트를 롤 상태로 준비한다.
나. 충격흡수패드
- 상기 <실시 예 2>에 의해 제조된 충격흡수패드를 롤 상태로 준비한다.
다. 모래/ 충진재
- 맥반석 모래를 준비한다.
- 맥반석이 함유된 충진재를 준비한다.
2. 시공
가. 기초면
- 시공할 바닥상태를 평탄하도록 유지한다.
- 기반의 굴곡 유무와 일정 구배 및 배수력을 점검하여 인조 잔디 포설의 적합도를 점검한다.
- 롤로 감겨진 충격흡수패드/인조잔디매트를 준비한다.
나. 인조잔디매트 설치단계
1) 실외 구장
- 쇄석 및 잡석을 포설하여 쇄석층과 잡석층을 형성한다.
- 균일하고 평탄하게 면 고르기를 한다.
- 인조잔디매트 및 충격흡수패드를 설치할 시작 선을 미리 정하여 놓고 일정하게 인력으로 설치한다.
- 롤 형태의 충격흡수패드 펴고 이음새를 조인트 테이프를 이용하여 접착한다.
- 충격흡수패드 위에 인조잔디매트를 펴고 매트 사이를 고정하는 작업을 하고 라인마킹을 실시한다.
- 규사/모래를 포설한다.
- 충진재를 포설한다.
- 운동장 전체의 평탄성과 파일 사이의 규사/모래 및/또는 충진재의 충진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최종적으로 면 고르기를 실시한다.
이와 같이 시공되는 본 발명의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에는 맥반석 모래를 30kg/㎡ 기준으로, 맥반석이 함유된 탄성 충진재를 8 ~ 11kg/㎡ 기준으로 포설하여 완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공된 본 발명의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은 에어 메쉬를 이용한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 위에 인조잔디매트가 펼쳐지고, 규사/모래 및 충진재의 하중에 의해 고정되며, 지지층에 의한 충격흡수 기능이 탁월하며, 위로부터 인조잔디매트(충진재+규사/모래+폴리아미드 시트), 에어 메쉬 형태의 충격흡수패드로 구성되어 전면 배수가 가능한 수직 배수형 인조잔디시스템을 형성한다.
2) 실내 구장
- 포설 위치에 인조잔디매트 및 충격흡수패드 롤을 배열한다.
- 인조잔디매트를 설치할 시작 선을 미리 정하여 놓고 일정하게 인력으로 설치한다.
- 포설 위치에 충격흡수패드 롤을 배열한다.
- 조인트 테이프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충격흡수패드를 접합하여 전체적으로 하나로 연결한다.
- 인조잔디매트와 충격흡수패드 사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 고정하는 작업을 하고 라인마킹을 실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공된 본 발명의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은 규사/모래 및 충진재 없이 시공하는 것이 보편적인 실내 구장에 적용되어 반발력 향상 및 경기 피로도를 감소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은, 3중 구조의 인조잔디매트와 에어 메쉬를 이용한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를 적용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 파일원사를 제조하여 밀도가 높은 인조잔디매트의 제조가 가능하며, 상기 에어 메쉬의 상판과 하판 사이의 지지층에 형성된 공기층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므로 공의 반발력이 향상되고 경기자의 피로도가 감소되는 구장 건설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3종의 파일원사 중에서 직립성을 요하는 제1 파일은 단면 형상을 “C” 형태로 방사하고, 3종의 파일원사를 동시에 제직하고, 상기 파일원사를 동일한 길이로 절단한 인조잔디매트의 뒷면에 열융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절단공정에서 펴진 제2 및 제3 파일의 크림프가 원상복원 되면서 자연적으로 파일원사가 3중 구조를 형성하여, 직모(제1 파일)의 수직강도를 향상시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종래의 이중 구조 인조잔디매트에 충진재를 포설하지 아니할 경우, 단기간 내에 잔디의 쿠션감이 떨어져서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사례가 있으나, 본 발명은 3단으로 형성된 파일원사의 밀도가 매우 높고, 하부에 충격흡수패가 적용되어 실내외를 막론하고 운동장 시공 시 충진재를 포설하지 않아도 파일원사의 수직강도가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1 : 인조잔디매트 시스템
10 : 인조잔디매트
11 : 파일원사
111 : 제1 파일
111.1 : 몸체부
111.2 : 곡선 돌출부
112 : 제2 파일
113 : 제3 파일
12 : 기포지
13 : 열융착 면
131 : 폴리아미드 시트
20 : 충격흡수패드
21 : 상판
22 : 하판
23 : 지지층
231 : 기둥
30 : 맥반석 모래
40 : 탄성 충진재
50 : 기반
51 : 쇄석층
52 : 잡석층

Claims (5)

  1. 인조잔디매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방사기에서 얻어지는 3종의 파일원사(11)를 이용하여 기포지(12)에 터프팅 제직하고, 상기 기포지의 뒷면을 열융착 하여 제조되는 3중 구조의 인조잔디매트(10);
    경편 방식으로 편평하게 편직하여 상기 인조잔디매트가 얹히는 상판(21)과, 상기 상판(21)과 대응되는 면으로 편평하게 형성되어 바닥에 깔리도록 구성되는 하판(22)과,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수직 형상으로 다수개의 일정한 굵기를 가지는 기둥(231)이 형성되어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지지층(23)으로 이루어지는 에어 메쉬를 이용한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20);를 포함하며,
    상기 3종의 파일원사(11)는, 구부러짐 없는 직모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 파일(111)과, 구부러짐이 중간 정도인 반직모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2 파일(112)과, 구부러짐이 매우 심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3 파일(113)로 구성되며,
    상기 제1 파일(111)은, 단면 형상이 "C" 형상의 몸체부(111.1)를 가지며, 상기 몸체부의 내측 중앙 및 양 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볼록한 곡선 돌출부(111.2)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파일(111)은, 폴리에틸렌(PE) 소재를, 제2 파일(112)은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소재를, 제3 파일(113)은 폴리에틸렌(PE) 또는 나일론(Nylon)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하며,
    상기 제1 파일(111)에는 400메쉬 분말 형태의 맥반석이 첨가되며,
    상기 충격흡수패드(20)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나일론(Nylon)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층(23)은, 5 ~ 15 mm의 높이로서,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편직되며,
    상기 상판(21)에 얹혀지는 인조잔디매트는, 실외구장에서는 맥반석 모래를 30kg/㎡ 기준으로, 맥반석이 함유된 탄성 충진재를 8 ~ 11kg/㎡ 기준으로 포설되며, 실내구장에서는 상기 인조잔디매트와 충격흡수패드(20) 사이를 접착제로 접착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매트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63280A 2019-05-29 2019-05-29 인조잔디매트 시스템 KR102019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280A KR102019094B1 (ko) 2019-05-29 2019-05-29 인조잔디매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280A KR102019094B1 (ko) 2019-05-29 2019-05-29 인조잔디매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9094B1 true KR102019094B1 (ko) 2019-09-06

Family

ID=67949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280A KR102019094B1 (ko) 2019-05-29 2019-05-29 인조잔디매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0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611B1 (ko) * 2020-04-27 2020-09-24 주식회사 주목씨지알 다양한 단면 형상의 파일원사를 이용한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되는 인조잔디매트
KR102159610B1 (ko) * 2020-04-27 2020-09-24 주식회사 주목씨지알 굵기 및 단면 형상이 다양한 파일원사를 이용한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되는 인조잔디매트
KR102306157B1 (ko) * 2021-06-25 2021-09-28 주식회사 주목씨지알 골프연습용 매트, 그 골프연습용 매트에 적용되는 충격 흡수판 생산시스템 및 그 생산시스템을 이용한 충격흡수판 제조방법
KR102580785B1 (ko) 2022-11-02 2023-09-20 주식회사 폴리그라스코리아 충격흡수패드층이 일체로 구성되어 자기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인조잔디매트의 제조방법 및 그 인조잔디매트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4007A (ja) * 1997-05-20 1998-12-02 Morita Sangyo Kk 敷 物
KR200413557Y1 (ko) 2005-12-14 2006-04-07 백점숙 축구장용 3중구조 및 4중구조 인조잔디
US20060159917A1 (en) * 2003-07-14 2006-07-20 Marc Verleyen Artificial turf
KR20160062982A (ko) * 2014-11-26 2016-06-0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3d 스페이서 섬유구조체가 포함된 탄성바닥재
KR101842999B1 (ko) * 2017-06-23 2018-03-29 고규석 친환경 및 온도저감용 인조잔디 구조체
KR101906426B1 (ko) 2017-10-30 2018-10-10 주식회사 앙투카에스엘 개량형 다층 레이어 인조잔디를 이용한 인조잔디구조
KR101977176B1 (ko) * 2018-12-31 2019-05-10 주식회사 주목씨지알 3중 구조의 파일원사를 가지는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4007A (ja) * 1997-05-20 1998-12-02 Morita Sangyo Kk 敷 物
US20060159917A1 (en) * 2003-07-14 2006-07-20 Marc Verleyen Artificial turf
KR200413557Y1 (ko) 2005-12-14 2006-04-07 백점숙 축구장용 3중구조 및 4중구조 인조잔디
KR20160062982A (ko) * 2014-11-26 2016-06-0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3d 스페이서 섬유구조체가 포함된 탄성바닥재
KR101842999B1 (ko) * 2017-06-23 2018-03-29 고규석 친환경 및 온도저감용 인조잔디 구조체
KR101906426B1 (ko) 2017-10-30 2018-10-10 주식회사 앙투카에스엘 개량형 다층 레이어 인조잔디를 이용한 인조잔디구조
KR101977176B1 (ko) * 2018-12-31 2019-05-10 주식회사 주목씨지알 3중 구조의 파일원사를 가지는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611B1 (ko) * 2020-04-27 2020-09-24 주식회사 주목씨지알 다양한 단면 형상의 파일원사를 이용한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되는 인조잔디매트
KR102159610B1 (ko) * 2020-04-27 2020-09-24 주식회사 주목씨지알 굵기 및 단면 형상이 다양한 파일원사를 이용한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되는 인조잔디매트
KR102306157B1 (ko) * 2021-06-25 2021-09-28 주식회사 주목씨지알 골프연습용 매트, 그 골프연습용 매트에 적용되는 충격 흡수판 생산시스템 및 그 생산시스템을 이용한 충격흡수판 제조방법
KR102580785B1 (ko) 2022-11-02 2023-09-20 주식회사 폴리그라스코리아 충격흡수패드층이 일체로 구성되어 자기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인조잔디매트의 제조방법 및 그 인조잔디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9094B1 (ko) 인조잔디매트 시스템
KR101977176B1 (ko) 3중 구조의 파일원사를 가지는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
KR101988259B1 (ko) 침수 후 인발력 및 직배수력이 뛰어난 4중 구조의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
JP4903726B2 (ja) 人工芝生システム
US4497853A (en) Synthetic turf carpet game playing surface
DE19704334B4 (de) Textiles Dämpfungsmaterial und daraus hergestellte Golfabschlagmatte
US7955194B2 (en) Golf mat
KR102059423B1 (ko) 지속적인 충격흡수 기능을 가지며 향후 재활용이 가능한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
KR20090036553A (ko) 개선된 인조 풀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230145157A1 (en) Artificial turf
KR102302119B1 (ko) 완충력과 파일사 직립성을 향상시킨 인조잔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268606B1 (ko) Pe계 유니소재로 제작된 복합잔디매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68007B1 (ko) 4중 구조의 인조잔디매트 제직장치
KR102159610B1 (ko) 굵기 및 단면 형상이 다양한 파일원사를 이용한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되는 인조잔디매트
KR20210094210A (ko) Pe계 유니소재로 제작된 복합잔디매트
JP6619585B2 (ja) カーペット
KR102159611B1 (ko) 다양한 단면 형상의 파일원사를 이용한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되는 인조잔디매트
KR102634824B1 (ko) 에어 탄성층이 포함된 인조잔디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에어 탄성층이 포함된 인조잔디 구조체
KR101287994B1 (ko)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
KR102580785B1 (ko) 충격흡수패드층이 일체로 구성되어 자기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인조잔디매트의 제조방법 및 그 인조잔디매트
KR102304524B1 (ko) 인조잔디 및 이의 제조방법
CN211395239U (zh) 一种带有柔性减震垫的人造草坪
KR102417615B1 (ko) 인조잔디 구조체
KR20210054261A (ko)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무충진 인조 잔디 조립체
KR101966419B1 (ko) 열융착 방식을 이용하여 인발력을 향상시킨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