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7615B1 - 인조잔디 구조체 - Google Patents

인조잔디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7615B1
KR102417615B1 KR1020210044149A KR20210044149A KR102417615B1 KR 102417615 B1 KR102417615 B1 KR 102417615B1 KR 1020210044149 A KR1020210044149 A KR 1020210044149A KR 20210044149 A KR20210044149 A KR 20210044149A KR 102417615 B1 KR102417615 B1 KR 102417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rtificial turf
turf structure
hollow elastic
elas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세준
권영훈
배기태
고영태
조광수
노현석
정은선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4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6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7/00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Base fabrics specially adapted for embroidered work; Inserts for producing surface irregularities in embroidered products
    • D05C17/02Tufted produc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7/00Flexible sheet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xtile threads, filaments, yarns or tow, glued on macromolecular material
    • D06N7/0063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20Industrial for civil engineering, e.g. geotextiles
    • D10B2505/202Artificial gras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잔디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기포층, 상기 기포층에 간격을 두고 결합된 복수의 파일부, 상기 복수의 파일부 이탈을 방지하는 백킹층 및 이웃한 파일부의 사이에서 상기 기포층과 상기 백킹층의 사이로 각각 삽입되어 있는 복수의 중공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탄성체의 외부 둘레는 상기 기포층 및 상기 백킹층과 접하고 있고, 상기 중공탄성체에 의해 이웃한 상기 파일부 사이의 기포층 부분은 상기 파일부가 결합된 기포층 부분을 기준으로 돌출되어 있다.

Description

인조잔디 구조체{Artificial turf structure}
본 발명은 인조잔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인조잔디는 천연잔디에 비해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 덕에 운동장, 공원, 돔구장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인조잔디는 시공 이후 충진재가 포설된다. 충진재는 규사, 고무칩 등이 주로 사용되며, 파일사의 직립성을 유지시키고, 경기자의 신체가 무리가 가지 않도록 충격을 흡수하여 경기자를 보호한다.
그러나 충진재는 우천 시 유실되기 쉽고, 배수를 저해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보충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충진재가 부족한 생태에서 인조잔디를 사용하면 충격흡수 성능이 저하된 상태이기에 사용자의 부상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90150호 (2020.03.1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충진재 사용을 최소화하고, 충격흡수 성능을 장기간 유지하며, 사용자의 부상을 예방하는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는 기포층, 상기 기포층에 간격을 두고 결합된 복수의 파일부, 상기 복수의 파일부 이탈을 방지하는 백킹층 및 상기 기포층과 상기 백킹층의 사이에서 이웃한 파일부의 사이에 각각 삽입되어 있는 복수의 중공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중공탄성체 외부 둘레는 상기 기포층 및 상기 백킹층과 접하고 있다.
상기 인조잔디 구조체는 이웃한 상기 파일부 사이의 기포층 부분(A)은 상기 중공탄성체에 의해 상기 파일부가 결합된 기포층 부분(B)을 기준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중공탄성체는 실리콘,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천연고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내부가 관통되어 원기둥 형상을 이루는 상기 중공탄성체의 외부 둘레의 지름은 6 내지 40mm이며, 내부 둘레의 지름은 5 내지 20mm이다.
상기 기포층은 직물, 편물, 부직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기포층은 신율이 80% 이상이다.
상기 백킹층은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합성고무, 폴리우레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기포층, 그리고 상기 백킹층 사이에 배치된 기재층을 더 포함한다.
상기 기재층은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인조잔디 구조체는 상기 기포층에 결합되는 충진층을 더 포함한다.
상기 충진층은 세라믹, 합성고무, 천연 소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 제조 방법은 기포층에 파일사를 터프팅하여 복수의 파일부가 간격을 두고 형성된 매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매트의 파일부와 기포층에 백킹층을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포층과 상기 백킹층의 사이에서 이웃한 파일부의 사이에 중공탄성체를 각각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 제조 방법은 기포층과 기재층을 적층시키는 단계, 상기 기포층과 상기 기재층에 파일사를 터프팅하여 매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매트에 백킹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포층 및 상기 기재층 사이에 중공탄성체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조잔디 구조체는 사용자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복수의 중공탄성체를 내포하고 있어 충진재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진재 비용이 절감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복수의 중공탄성체는 형태의 가변이 용이하여 충격 흡수 성능이 우수하다. 이에 따라 인조잔디 구조체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중공탄성체는 파일부의 일부분을 지지하여 파일부의 직립성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확대도.
도 3은 도 1의 중공탄성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을 IV-IV 선으로 자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공탄성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를 VI-VI 선으로 자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 제조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 제조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중공탄성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을 IV-IV 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공탄성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를 VI-VI 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는 파일부(130), 기포층(110), 백킹층(120) 및 중공탄성체(140)를 포함한다.
기포층(110)은 직물, 편물, 부직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조될 수 있다. 기포층(110)의 신율은 80% 이상일 수 있다.
파일부(130)는 복수의 파일사(131)로 이루어져 기포층(110)과 결합되어 있다. 파일부(130)는 기포층(110)의 하면에서 상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파일부(130)는 기포층(110)에서 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다. 파일사(131)는 나일론(NYLON),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 테레프랄테이트 (Polyethylene phthalate; PET)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백킹층(120)은 기포층(110)의 하면에 배치되어 파일부(130)와 결합되어 있다. 백킹층(120)에 의해 파일부(130)는 기포층(110)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백킹층(120)의 일부분에는 기포층(110)이 결합될 수 있다.
백킹층(120)은 폴리올레핀(Polyolefin; PO), 폴리에스테르(Polyester; PES), 폴리아미드(Polyamide; PA)가 직물, 부직포 또는 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열융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백킹층(120)은 합성고무(Synthetic rubber) 또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이 기포층(110)에 도포되어 기설정된 두께로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면 도 3 및 4를 더 참고하면, 중공탄성체(140)는 이웃한 파일부(130)의 사이에서 기포층(110)과 백킹층(12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중공탄성체(140)와 접하는 이웃한 파일부(130) 사이에 위치한 기포층의 부분(A)은 백킹층(1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중공탄성체(140)는 원기둥 형태이며, 내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다.
내부가 관통되어 원기둥 형상을 이루는 중공탄성체(140)의 내부 둘레와 외부 둘레 사이의 두께(D)는 0.5 내지 5mm일 수 있다. 두께가 0.5mm 미만일 경우 압축회복성이 부족하여 충격 흡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수 있고, 두께가 5mm을 초과하는 경우 제조원가 상승 및 충격흡수성이 저하될 수 있다.
중공탄성체 내부 둘레 지름(E)은 5 내지 20mm이다. 내부 둘레 지름(E)이 5mm 미만일 경우 충격 흡수 기능이 발휘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내부 둘레 지름(E)이 20mm을 초과하는 경우 이웃한 파일부 사이의 간격이 멀어져 면적 대비 파일부의 수가 감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볼구름 성능이 저하되고 심미적으로 잔디의 외관을 잃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공탄성체(140)는 실리콘(Silicone; Si),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폴리에스테르(Polyester; PES), 나일론(NYLON),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염화비닐(PVC), 천연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편, 중공탄성체(140a)는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기둥은 밑면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다면체이다. 각기둥 형태의 중공탄성체(140a)는 기포층(110), 백킹층(120) 및 중공탄성체(140a)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각기둥의 중공탄성체(140a)에 형성된 중공(142)의 중심에서 내벽까지의 최단 거리(F)는 3 내지 15mm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100a)는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특징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기재층(150)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백킹층은 기재층(150)에서 파일부(130)와 연결되어 있다.
기재층(150)은 기포층(110)과 적층되어 파일부(130)가 결합되어 있다. 파일부(130)에 의해 기재층(150)과 기포층(110)은 결합된다.
기재층(150)은 기포층(110)과 백킹층(120)의 사이에 있다. 기재층(150)은 폴리올레핀(Polyolefin; PO), 폴리에스테르(Polyester; PES), 폴리아미드(Polyamide; PA)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일 수 있다. 기재층(150)에 의해 인조잔디 구조체(100a)는 치수안정성을 발휘한다. 이에 계절의 온도에 따라 인조잔디 구조체(100a)는 수축 또는 팽창하지 않는다. 그리고 중공탄성체(140)는 기포층(110)과 기재층(15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이어서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100b)는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특징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충진층(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진층(160)은 기포층(110)의 위에서 이웃한 파일부(130)의 사이에 있다. 충진층(160)은 중공탄성체(140)와 함께 인조잔디 구조체의 완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충진층(160)은 충진재로 이루어지며, 충진재는 규사, 세라믹(Ceramic; Cer), 합성고무(Synthetic rubber), 천연 소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천연 소재는 황토, 목분, 코르크일 수 있다.
인조잔디 구조체(100b)에는 복수의 중공탄성체(140)가 있어, 경기자의 답압이 인조잔디 구조체(100b)에 작용될 경우 중공탄성체(140)의 단면은 중공이 없는 타원형으로 가변되며 경기자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진층(160)의 높이는 중공탄성체(140)가 없는 인조잔디 구조체의 충진층 대비 중공의 지름(E)만큼 낮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충진재가 절감되는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또한, 충진층(160)은 중공탄성체(140)보다 높게 형성되어 인조잔디 구조체를 평평하게 하고, 파일부(130)의 직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100c)는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특징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충진층(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충진층(160)은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충진층의 특징을 그대로 포함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는 충격흡수패드(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격흡수패드는 백킹층(120)의 아래에 위치하여 충진층(160), 그리고 중공탄성체(140)와 함께 인조잔디 구조체의 완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충격흡수패드의 두께는 5 내지 20mm일 수 있다. 두께가 5mm 미만일 경우 완충 효과가 발휘되지 않을 수 있고, 20mm를 초과하면 경기자에 답압에 의해 인조잔디 구조체에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백킹층과 접하고 있는 충격흡수패드의 부분에는 중공탄성체(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수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은 도 10을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인조잔디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 제조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100)의 제조 방법은 매트를 형성하는 단계(S20), 매트에 백킹층을 결합하는 단계(S30) 및 중공탄성체를 삽입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하나의 파일사를 바늘과 같은 터프팅 기구에 연결하여, 공급되는 기포층(110)에 바늘을 여러 차례에 걸쳐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관통시켜 결합하고 절단하면 복수의 파일부(130)를 기포층(110)에 형성한다(S20).
작업자는 파일부(130)가 기포층(11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백킹층(120)을 파일부(130)와 결합한다. 백킹층(120)은 열융착 또는 코팅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백킹층(120)은 기재층(150)의 일부분과도 결합될 수 있다(S30).
작업자는 이후 이웃한 파일부(130) 사이에서 백킹층(120)과 기포층(110)의 사이로 중공탄성체(140)를 삽입한다. 이때 기포층(110)의 신율이 80% 미만일 경우 중공탄성체(14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중공탄성체(140)의 형태는 원기둥 또는 각기둥일 수 있다.
중공탄성체(140)의 삽입으로 기포층(110)은 백킹층(12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에 이웃한 파일부(130)의 사이에 위치한 기포층(110) 부분(A)의 길이 값은 이웃한 파일부가 서로 마주하는 부분의 간격(C) 값보다 크게 된다(S40).
다음으로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인조잔디 구조체 제조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 제조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의 제조 방법은 기포층과 기재층을 적층시키는 단계(S10)를 더 포함한다.
작업자는 기재층(150)에 기포층(110)을 적층한다(S10).
기재층(150)과 기포층(110)에 파일사를 여러 차례 관통시키고 절단하여 복수의 파일부(130)가 형성된 매트를 형성한다(S20).
이후 작업자는 파일부(130)가 기포층(110) 및 기재층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백킹층(120)을 파일부(130)와 결합한다. 백킹층(120)은 기재층(150)에서 파일부(130)와 연결한다(S30).
마지막으로 기포층(110)과 기재층(150)의 사이, 그리고 이웃한 파일부(130) 사이에 중공탄성체(140)를 삽입하여 인조잔디 구조체(100a)를 형성한다(S40).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의 충격흡수 효과에 대해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 1
신율이 100%인 기포층에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파일사를 결합하여 복수의 파일부를 형성하고, 백킹층을 파일부와 결합하였다. 이웃한 파일부의 사이에서 기포층과 백킹층의 사이로 내부 둘레와 외부 둘레 사이 두께가 2mm이고, 내부 둘레 지름이 8mm인 원기둥 형태의 중공탄성체를 삽입하였다. 그리고 기포층 위에 규사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3 중량부의 TPE계 합성고무를 포함하는 충진층을 형성하여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내부 둘레와 외부 둘레 사이 두께가 5mm이고, 내부 둘레 지름이 20mm인 원기둥 형태의 중공탄성체를 삽입하여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내부 둘레와 외부 둘레 사이 두께가 0.5mm이고, 내부 둘레 지름이 5mm인 원기둥 형태의 중공탄성체를 삽입하여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내부 둘레와 외부 둘레 사이 두께가 0.4mm이고, 내부 둘레 지름이 4mm인 원기둥 형태의 중공탄성체를 삽입하여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내부 둘레와 외부 둘레 사이 두께가 7mm이고, 내부 둘레 지름이 21mm인 원기둥 형태의 중공탄성체를 삽입하여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내부 둘레와 외부 둘레 사이 두께가 10mm이고, 내부 둘레 지름이 25mm인 원기둥 형태의 중공탄성체를 삽입하여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중공탄성체가 없는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내지 3의 인조잔디 구조체의 Lisport 마모 30,000회 전후의 충격흡수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의 표 1에 기재하였다.
측정방법
인조잔디 구조체의 Lisport 마모 전후의 충격흡수성은 KS F 3888-1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충격흡수성(%)
Lisport 마모 전 Lisport 마모 후
실시예 1 55 53
실시예 2 58 54
실시예 3 52 50
비교예 1 48 38
비교예 2 56 48
비교예 3 45 35
비교예 4 36 30
충격흡수율은 수치가 높을수록 충격흡수율이 우수하고, KS 규격에 따른 합격 기준은 50%이며, Lisport 마모 30,000회는 인조잔디 구조체의 실사용에 따른 답압을 구현한 시험이다.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3은 Lisport 마모 전후에 상관 없이 KS 규격 합격 기준 이상의 충격흡수성을 나타내고 있다. 비교예 2의 경우 Lisport 마모 전 충격흡수성이 56%이지만, 충진층 외부로 노출된 파일부의 높이가 낮아 인조잔디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비교예 3의 경우 또한 충진층 외부로 노출된 파일부의 높이가 낮아 인조잔디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을뿐더러, 중공탄성체의 외부 두께가 한정된 범위보다 두꺼워 가변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는 중공탄성체를 포함하지 않는 인조잔디 구조체, 그리고 한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중공탄성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에 비해 월등한 충격흡수 성능을 나타낸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인조잔디 구조체 100a: 인조잔디 구조체
100b: 인조잔디 구조체 100c: 인조잔디 구조체
110: 기포층 120: 백킹층
130: 파일부 131: 파일사
140: 중공탄성체 140a: 중공탄성체
141: 외부 둘레 142: 중공
150: 기재층 160: 충진층
A: 이웃한 파일부 사이의 기포층 부분
B: 파일부가 결합된 기포층 부분 C: 이웃한 파일부의 간격
D: 내부 둘레와 외부 둘레 사이의 두께 E: 내부 둘레 지름
F: 중공의 중심에서 내부 둘레까지의 최단 거리

Claims (13)

  1. 기포층,
    상기 기포층의 하면에서 상면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기포층의 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복수의 파일부,
    상기 기포층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파일부와 결합되어 있는 백킹층 및
    상기 기포층과 상기 백킹층의 사이에서 이웃한 파일부들의 사이로 각각 삽입되어 있으며 외부 둘레가 상기 기포층 및 상기 백킹층과 접하고 있는 복수의 중공탄성체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중공탄성체는 각각 원기둥 또는 각기둥으로 형성되어 있고 경기자의 답압에 의해 가변 되면서 상기 경기자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인조잔디 구조체.
  2. 제1항에서,
    이웃한 상기 파일부 사이의 기포층 부분(A)은 상기 중공탄성체에 의해 상기 파일부가 결합된 기포층 부분(B)을 기준으로 돌출되어 있는 인조잔디 구조체.
  3. 제1항에서,
    상기 중공탄성체는 실리콘,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천연고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인조잔디 구조체.
  4. 제3항에서,
    내부가 관통된 원기둥 형상의 상기 중공탄성체의 외부 둘레의 지름은 6 내지 40mm이며, 내부 둘레의 지름은 5 내지 20mm인 인조잔디 구조체.
  5. 제1항에서,
    상기 기포층은 직물, 편물, 부직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인조잔디 구조체.
  6. 제1항에서,
    상기 기포층은 신율이 80% 이상인 인조잔디 구조체.
  7. 제1항에서,
    상기 백킹층은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합성고무, 폴리우레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인조잔디 구조체.
  8. 제1항에서,
    상기 기포층, 그리고 상기 백킹층 사이에 배치된 기재층을 더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9. 제8항에서,
    상기 기재층은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인 인조잔디 구조체.
  10. 제1항 또는 제9항에서,
    상기 기포층에 결합되는 충진층을 더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11. 제10항에서,
    상기 충진층은 세라믹, 합성고무, 천연 소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인 인조잔디 구조체.
  12. 삭제
  13. 삭제
KR1020210044149A 2021-04-05 2021-04-05 인조잔디 구조체 KR102417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149A KR102417615B1 (ko) 2021-04-05 2021-04-05 인조잔디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149A KR102417615B1 (ko) 2021-04-05 2021-04-05 인조잔디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7615B1 true KR102417615B1 (ko) 2022-07-05

Family

ID=82402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149A KR102417615B1 (ko) 2021-04-05 2021-04-05 인조잔디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61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5498A (ko) * 2010-04-15 2011-10-21 조시형 물이 흐르는 관을 가지는 인조 잔디 구조물
KR101757189B1 (ko) * 2016-06-03 2017-07-14 엄기석 인조잔디 구조물
KR20190058253A (ko) * 2017-11-21 2019-05-29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KR102000917B1 (ko) * 2018-01-11 2019-07-1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KR102090150B1 (ko) 2019-09-18 2020-04-24 비아이랜드주식회사 친환경 인조잔디 시공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5498A (ko) * 2010-04-15 2011-10-21 조시형 물이 흐르는 관을 가지는 인조 잔디 구조물
KR101757189B1 (ko) * 2016-06-03 2017-07-14 엄기석 인조잔디 구조물
KR20190058253A (ko) * 2017-11-21 2019-05-29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KR102000917B1 (ko) * 2018-01-11 2019-07-1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KR102090150B1 (ko) 2019-09-18 2020-04-24 비아이랜드주식회사 친환경 인조잔디 시공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6970B2 (en) Pad comprising an extruded mesh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JP4344386B2 (ja) 履物用の柔軟性を有する流体充填ブラダ
JP4342553B2 (ja) クッション成分を加えた履物底の構造
CN105029827B (zh) 系绳式流体填充室
JP5667878B2 (ja) 超弾力性クッション
US10590571B2 (en) Ultra-resilient pad
KR102019094B1 (ko) 인조잔디매트 시스템
US7943213B2 (en) Artificial surface
KR102417615B1 (ko) 인조잔디 구조체
KR102382126B1 (ko)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CN206633520U (zh) 织物结构以及加厚织物结构
KR102374720B1 (ko) 인조잔디 구조체
EP4261348A1 (en) Shock-absorbing layer as well as method for its manufacturing
KR102339748B1 (ko) 대전방지용 충격흡수패드
US20220338641A1 (en) Mattresses, cushions, and body-support pads or mats with deformable walls having fiber strands embedded therein
KR101780226B1 (ko) 바닥재 모듈
TH116611A (th) แผ่นยืดหยุ่นคืนสภาพยิ่งยว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