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189B1 - 인조잔디 구조물 - Google Patents

인조잔디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7189B1
KR101757189B1 KR1020160069215A KR20160069215A KR101757189B1 KR 101757189 B1 KR101757189 B1 KR 101757189B1 KR 1020160069215 A KR1020160069215 A KR 1020160069215A KR 20160069215 A KR20160069215 A KR 20160069215A KR 101757189 B1 KR101757189 B1 KR 101757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ember
artificial turf
sheet
melting point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9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기석
Original Assignee
엄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935847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75718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엄기석 filed Critical 엄기석
Priority to KR1020160069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71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7/00Woven pile fabric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2Foundations, e.g. with drainage or 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20Industrial for civil engineering, e.g. geotextiles
    • D10B2505/202Artificial gras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공기의 투과율 및 열적변형이 최소화할 수 있는 인조잔디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일면 및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을 구비하는 제1시트부재와 상기 제1시트부재의 타면에 일표면이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제2시트부재, 상기 제1시트부재 및 상기 제2시트부재를 관통하며, 상기 제2시트부재의 타표면을 경유하여 상기 제1시트부재 상부로 돌출되는 구조로 배치되는 인조잔디 파일 및 상기 제2시트부재의 타표면에 인접하는 다공성 제3시트부재;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조잔디 구조물{STRUCTURE OF ARTIFICIAL LAWN}
본 발명은 공기 및 수분의 투과율을 높이고, 열적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인조잔디 구조물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잔디는 오래전부터 정원조경 목적이나 골프장의 페어웨이 용으로 가꾸어왔으며 지금도 상기 목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근년에 와서는 각종 운동경기의 플레이어들의 보호를 위해 야구장, 축구경기장을 비롯한 각종 경기장은 물론 학교운동장까지도 천연잔디를 깔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운동경기장에 자라고 있는 천연잔디는 격렬한 경기로 인하여 잔디의 파임, 절단, 파열에 의하여 심하게 손상을 받게 되어 부분적으로 바닥이 드러나게 됨으로써 경기장 표면이 균일하지 못하여 경기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천연잔디의 결점 때문에 근년에 와서 인장강도를 비롯한 강인한 물성을 갖는 폴리아마이드, 폴리에스터, PP, PVC, PE와 같은 합성수지를 원료로 한 밴드형의 프래트얀(flat yan), 라운드형의 모노필라멘트, 아주 미세한 파이버사로 압출하거나 방사한 인조잔디를 생산하여 이를 직물에 식모하여 기모화시킨 시트를 합성수지 또는 고무의 발포시트 또는 스폰지시트, 고무판의 순서로 적층하여 매트화한 시트를 바닥에 깔아 연결시킨 인조 잔디 경기장으로 대체되어가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인조잔디의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인조잔디는 백킹부(10), 기포지(30), 및 인조잔디 파일(pile)(50)로 구성된다. 백킹부(10)는 라텍스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러버(SBR) 재질로 형성되며, 기포지(30)의 후면에 코팅되어 터프팅(tufting)된 인조잔디 파일(50)이 뽑히지 않도록 한다. 또한, 백킹부(10)는 투수성을 확보하기 위해 소정 간격으로 투수공(12)을 구비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티렌-부타디엔 러버(SBR) 재질로 형성되는 백킹부(10)는 지면에 인조잔디 구조체를 안착하고 시공완료하는 경우, 지면의 온도상승에 따른 열팽창이 심하게 발생하게 되고, 저온시 열수축 역시 심하게 발생하게 되는바, 인조잔디 파일의 탈락하게 되거나 기포지와의 접착력이 떨어져 파손되는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를 초래한다.
나아가, 인조잔디 파일이 식재된 기포지 하면에 투수공(12)를 열로 뚫는 구조로 구현하기는 하나, 합성수지인 SBR이 기포지 하면을 거의 전체적으로 코팅하는 구조로 구현되게 되는바, 투수율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며, 공기의 투과율도 떨어지게 되어 시공 지면의 지열을 발산하기도 어려워, 대상 건물(옥상) 자체의 열발산율이 극히 떨어지게 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34039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투수성 및 공기 투과율이 우수한 시트부재의 적층구조에 인조잔디 파일을 식재하고, 그 하부에 개구부가 마련되는 메쉬타입의 시트층을 보강하는 인조잔디 구조체를 구현하여, 인조잔디 구조체의 배수 및 투수성,공기 투과율을 높여 설치 장소의 지온의 발산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구조체 자체의 온도 저감 효과를 구현하고, 이를 인조잔디 구조체의 열팽창 또는 수축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정화된 구조의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일면 및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을 구비하는 제1시트부재, 상기 제1시트부재의 타면에 일표면이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제2시트부재, 상기 제1시트부재 및 상기 제2시트부재를 관통하며, 상기 제2시트부재의 타표면을 경유하여 상기 제1시트부재 상부로 돌출되는 구조로 배치되는 인조잔디 파일 및 상기 제2시트부재의 타표면에 인접하는 다공성 제3시트부재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술한 인조잔디 구조물에서 상기 인조잔디 파일을 구성하는 주재료의 녹는점이 상기 제2시트부재 및 제3시트부재 보다 낮은 재질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물의 경우, 상기 제2시트부재의 타표면에 노출되는 인조잔디파일의 일영역이 상기 제2시트부재 또는 상기 제3시트부재의 표면과 결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인조잔디 파일은, 상기 제1시트부재 및 상기 제2시트부재를 관통하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단위 파일이 동일한 위치에 내삽되며, 상기 제2시트부재의 타표면에 노출되는 인조잔디파일의 표면이 상호 결착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시트부재 및 상기 제3시트부재의 녹는점이, 상기 제1시트부재의 녹는점보다 더 높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물은 상기 제1시트 내지 상기 제3 시트의 단위 면적당 개구율이, 상기 제3시트가 가장 높게 구성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시트는 표면에 다수의 개구부가 마련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물은 상호 인접하는 상기 제1시트 내지 상기 제3시트의 열팽창율의 편차가 0.1~10%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물은 상기 제1시트부재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수지, 상기 제2시트부재 또는 상기 제3시트부재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수지를 주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부재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수지 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수지에 국한 하지 않으며, 기존의 SBR, PU 코팅보다 외기 환경에 의한 변형률이 적은 다양한 PE, PP 계열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안정적인 형태의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물은 상기 제3시트부재의 개구부 이외의 표면에 접착물질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인조잔디 구조체 자체의 경우,배수 및 투수성, 공기 투과율이 우수하여 타 인조잔디 구조체에 비해, 지열의 발산 효과가 뛰어남은 물론,구조체 자체의 저온 효과를 구현하여 열적변형도 최소화되어 안정적인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본 발명의 인조잔디 구조체는 배수 및 투수성 및 공기 투과율이 우수한 시트부재의 적층구조에 인조잔디 파일을 식재하고, 그 하부에 개구부가 마련되는 메쉬타입의 시트층을 보강하는 인조잔디 구조체를 구현하여, 인조잔디 구조체의 공기 투과율을 높여 설치 장소의 지온의 발산을 용이하게한다. 이를 인조잔디 구조체의 지온 발산이 용이하며, 변형률이 적은 시트부재 사용으로 인조잔디 구조체의 팽창 또는 수축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조잔디 구조체의 결합구조를, 녹는점에 차별성을 둔 다층 구조로 구현하여 제조공정시 인조잔디 파일을 접합매개체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조잔디 구조체의 단면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물의 단면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2의 확장형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이러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수지를 주재료로 하는 시트부재로 구현되는 제1시트부재의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1에서 상술한 제2시트부재의 구조를 예시한 평면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1 및 도 2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시트부재의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1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물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공정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물의 단면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물의 단면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2의 확장형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물은 일면 및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을 구비하는 제1시트부재(110)와, 상기 제1시트부재의 타면에 일표면이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제2시트부재(120), 상기 제1시트부재(110) 및 상기 제2시트부재(120)를 관통하며, 상기 제2시트부재(120)의 타표면을 경유하여 상기 제1시트부재(110) 상부로 돌출되는 구조로 배치되는 인조잔디 파일(130) 및 상기 제2시트부재(120)의 타표면에 인접하는 다공성 제3시트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물은, 인조잔디 파일이 식재되는 베이스 기재와 베이스 기재 하면에 다공성 시트부재가 적층되는 구조로 구현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베이스 기재의 전면 커버형 코팅물질층을 형성하지 않고, 베이스 기재 및 다공성 시트부재를 통해 공기의 투과율 및 열발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제조공정시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상기 인조잔디 파일(130)은 다양한 합성수지재질을 이용하여 얇은 잔디 형상의 구조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예로 폴리에틸렌(polyethylene;PE)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폴리에틸렌(PE)는 제조방법에 따라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와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로 구분되는데, HDPE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서 밀도가 높고 강도가 세며, LDPE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서 HDPE에 비하여 밀도가 낮고 강도가 약하지만 HDPE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부드럽고, LLDPE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서 LDPE과 밀도도 같고 부드럽지만 강도는 LDPE와 HDPE의 중간이며 폴리에틸렌은 전반적으로 유연성이 좋고 부품성의 특성인 벌키성(bulkiness)이 좋은 특성이 발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조잔디 파일(130)은 상기 제1시트부재(110)와 제2시트부재(120)을 관통하고, 제2시트부재의 표면을 경유하고, 이후 다시 제1시트부재와 제2시트부재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구조로 식재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 녹는점(℃) 열팽창계수(1/105)
LDPF 107~110 16~18
LLDPE 115~125 14~16
HDPE 131~135 11~13
상기 표 1의 경우 인조잔디 파일을 폴리에틸렌을 주원료하여 구현한 것의 특성을 나타낸 것으로, 주원료는 PE 조성물이고, 이 조성물에 색을 입기 위한 착색제와 자외선에 대한 내구성을 높히기 위한 자외선 차단제를 첨가제로서 투입할 수 있다. 아울러, 착색을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안료를 투입하여 섬유원료를 액화시킨 상태에서 분산을 하거나, 사용하고자 하는 안료를 미리 주원료와 같은 성분의 재료를 혼합 교반하여 펠렛(PELLET) 형태로 제조하여 이를 착색제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일예로 안료는 검정색을 사용하여 광복사율을 높이며, 외관오염을 줄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조잔디 파일(130)이 상기 제2시트부재(120)의 표면을 경유하는 부분(이하, '경유부'라 한다.)은 차후, 하부의 제3시트부재(140)와 융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접착작용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인조잔디 파일(130)은 녹는점이 상술한 제1시트부재 내지 제3시트부재보다 낮은 재질의 합성수지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에 도시된 단면 구조도에서, 상기 '경유부' 부분은 제3시트부재(140)과 접촉하게 되며, 이 경우 일정한 열처리가 수행되면, 경유부가 녹으면서 열융착이 구현되게 된다.
이후, 상기 제2시트부재의 타표면에 노출되는 인조잔디파일의 일영역(경유부)이 상기 제2시트부재 또는 상기 제3시트부재의 표면과 결착하게 되어, 별도의 접착물질 없이도 구성요소 간 합착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인조잔디 파일(130)은 단일한 개체가 아니라,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위 파일(131, 132, 133)들이 하나의 관통공을 통과하고, 경유부(X1, X2)를 형성하며, 이후 다시 같은 위치의 관통공을 통해 나오는 구조로 식재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시트부재(110) 및 상기 제2시트부재(120)를 관통하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단위 파일이 동일한 위치에 내삽되며, 상기 제2시트부재의 타표면에 노출되는 인조잔디파일의 표면(경유부)이 상호 결착되는 구조로 구현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다수의 단위 파일이 합쳐지는 경우, 상기 경유부의 두께가 두터워져, 융착의 효율이 더욱 커지게 되어 시트 간 합착력이 강해지는 장점이 구현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시트부재(110)는, 합성수지조성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테면,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수지를 주재료로 하는 시트부재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제1시트부재(110)는 상기 인조잔디파일(130) 보다 녹는 점이 높은 물질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이러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수지를 주재료로 하는 시트부재로 구현되는 제1시트부재(110)의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상기 제1시트부재(110)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위사와 경사의 직조 구조로 구현되는 시트 구조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위사와 경사는 상술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수지를 주재료로 하는 파이버(fiber) 형상의 구성이 상호 직조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테면, 부직포 형상으로 직조된 시트 부재를 구현할 수 있으며, 위사와 경사가 직조된 형태인바, 상호 교차하는 부분의 틈을 통해 상기 인조잔디 파일이 매우 쉽게 통과하여 식재될 수 있음은 물론, 투수율과 공기 투과율이 매우 높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1시트부재(110)을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수지로 구현하는 경우,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녹는점이 170℃ 인바, 인조잔디 파일을 폴리에틸렌으로 구현하는 경우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바, 본 발명의 합착 작용을 저해하지 않게 된다.
도 5는 도 1에서 상술한 제2시트부재(120)의 구조를 예시한 평면 개념도이다.
상기 제2시트부재(120)은 도 1 및 도 2에서 상술한 것과 같이, 제1시트부재와 밀착하여 적층되며, 인조잔디 파일(130)이 식재되어 고정될 수 있는 지지층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인조잔디 파일(130)과 하부의 제3시트부재(140)과의 합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최상층의 제1시트부재와는 상이한 재질로 구현하면서도, 제3시트부재(140)과는 주재료가 동일한 물질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는 이러한 제2시트부재(120)의 재질로 폴리에스테르olester) 수지를 주 재료로 사용하여 시트 부재를 구현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시트부재(120)의 공극밀도(공기 투과율)는 상기 제1시트부재보다 높지 않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해, 수분 흡수도를 높이면서도, 접착력을 강화할 수 있는 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로서, 제2시트부재(120)는 직조 형태의 구조물이 아니라, 미세한 홀이 구현되는 면시트 형태의 구조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접촉면적을 넓혀 접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6은 도 1 및 도 2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시트부재(130)의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상기 제3시트부재(130)는, 시트부재를 관통하는 다수의 개구부(142)를 구비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도 6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메쉬타입의 그물구조물이나, 다양한 형상의 개구부를 구비하는 구조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도 4 내지 도 6에서 각 시트부재의 형상은, 상기 제1시트 내지 상기 제3 시트의 단위 면적당 개구율이, 상기 제3시트부재가 가장 높게 구성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3시트부재(140)는 인조잔디 파일(130)의 경유부와 접촉하여 융착되는 구조로 구현되는바, 이는 제2시트부재(120)의 타표면의 개구율이 상기 제3시트부재의 개구율보다 낮도록 하여 융착 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지면과 접촉하는 제3시트부재(140)의 경우 개구율을 높여 열발산효율을 증가시키며 통기성 및 배수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제2시트부재 및 상기 제3시트부재의 녹는점이, 상기 제1시트부재의 녹는점보다 더 높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인조섬유 파일(130)이 융착되어 접촉시키는 2매의 시트부재(제2시트부재 및 제3시트부재)의 재질이 동종의 재질로 구현되는 경우, 융착의 효율은 더욱 높아지게 된다. 즉, 이종 재질로 제2시트부재 및 제3시트부재가 구현되는 경우, 열팽창율 및 열수축율이 달라 접착이후 융착부위가 탈락되게 될 수 있으며, 표면의 계면 특성이 달라 접착율도 떨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시트부재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수지, 상기 제2시트부재 또는 상기 제3시트부재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수지를 주 재료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
구분 제1시트부재 제2시트부재 제3시트부재 인조잔디파일
주재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녹는점 170℃ 250~260℃ 250~260℃ 107~135℃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조잔디 파일을 구성하는 주재료의 녹는점이 상기 제2시트부재 및 제3시트부재 보다 낮게 되어, 일정한 열압착과정에서 인조잔디 파일이 융착되는 경우, 제2시트부재 및 제3시트부재는 녹지 않고 강한 접착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물의 경우 상호 인접하는 상기 제1시트부재 내지 상기 제3시트부재 각각의 열팽창율의 편차가 0.01~10% 이하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호 인접하는 시트부재 사이의 열팽창율의 편차가 위 범위를 벗어나 편차율이 10%를 초과하게 되면, 수축과 팽창으로 인해 융착부위의 크랙과 탈락 현상이 급증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물의 경우, 접착특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3시트부재의 개구부 이외의 표면에 접착물질층을 더 포함하여 접착특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1. 성능시험
비교예의 구조로서, 도 1의 구조와 같이, 기포지와 인조잔디 파일과 SBR 고무로 구현되는 백코팅물질을 코팅하고, 투수공을 구비한 종래의 구조물을 가로*세로(9*9cm)로 구현된 단위 개체를 50개 형성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로, 도 3의 구조와 같이, 인조잔디 파일(폴리에틸렌)을 제1시트부재(폴리프로필렌), 제2시트부재(폴리에스테르), 제3시트부재(폴리에스테르)의 적층구조로 구현하고, 가로*세로(9*9cm)로 구현된 단위 개체를 50개 형성하였다.이 경우, 제3시트부재의 가로*세로(9*9cm) 단위 면적에서의 개구율(개구된 비율:50%)로 구현하였다.
(1) 투수율시험
비교예의 50개체의 단위 개체와 실험예의 50개체의 단위 개체에 물 1리터를 상부에서 하부로 투과시키는 시간을 측정하여 평균을 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회차 비교예 실시예 성능비교분석
1회평균 4분6초(246초) 33 초 7.45배차이
2회평균 4분 10초(250초) 31 초 8.33배 차이
3회평균 4분 20초(260초) 30 초 8.66배 차이
평균 4분 12초(252초) 31.3 초 8.05배 차이
50개 단위 개체를 세트로 하여 총 3회에 걸쳐서 걸리는 투과시간을 평균한 결과,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가 평균 8배 이상의 투수율(배수성능)을 구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저온효과시험
상부가 개구되고, 다른 면은 밀폐된 직육면체형의 밀폐 용기의 하부에 염화칼슘(CaCl2)을 도포하고, 50개의 단위 개체의 수분흡수량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분(평균값) 비교예 실험예 성능비교분석
밀폐용기중량 13.70g 13.67g
접시+CaCl2중량 60.10g 60.14g
CaCl2순중량 46.40g 46.64g
24시간후순중량 46.62g 47.98g
수분(공기) 흡수량 0.22g 1.34g 6.09배차이남
수분흡수의 특성을 가지는 염화칼슘의 중량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험예 군에서 비교예보다 평균 6.09배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되며, 이는 밀폐용기 외부의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는 성능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본 실험예 군에서 평균 6배 이상의 공기 투과성능을 발휘한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공기 투과성능의 6배 이상인 경우, 온도저하 효과도 이에 비례하여 약 6배 이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에서와 같이, 종래의 인조잔디 구조체의 구조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물은 투수성, 공기투과율이 월등이 향상된 효과를 보이며, 이에 따른 열발산효율이 향상되며, 자체적으로 저온 효과를 구현하여 열팽창 및 수축을 낮출 수 있어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도 1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물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공정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물은 제1시트부재(110)와 제2시트부재(120)를 준비하여 상호 합지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자동화 공정이 도입되는 경우, 각 시트부재는 일예로 도 4의 구조를 가지는 제1시트부재(폴리프로필렌)를 롤에 감겨 있는 상태에서 이송하며, 제2시트부재(폴리에스테르;면구조 형태)를 상기 제1시트부재와 인접하여 롤에 감겨 있는 상태에서 합지 스테이지로 이송을 한다.
이후 합지스테이지를 거치며, 인조잔디 원사(폴리에틸렌)를 식재하여, 도 1 및 도 2에서 상술한 구조로 경유부를 가지는 구조로 구현한다. 이후, 경유부가 노출되는 면 상에 제3시트부재(폴리에스테르)를 제공하여 상호 합지하며, 이후 실린더형 롤러를 거치며 130~150℃ 정도의 열을 가하여 가열 압착하게 되면, 상기 인조잔디 파일의 경유부 부분이 폴리에틸렌인바, 일부분 녹게 되며 제2시트부재 및 제3시트부재와 상호 융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냉각 건조 공정을 거쳐 융착부를 견고하게 형성한다. 이상의 공정에서, 제2시트부재와 제3시트부재 자체에 접착성 물질을 포함시킬 수도 있으며, 나아가 제3시트부재 표면에 접착물질을 도포한 상태로 합착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8은 도 2 및 도 3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는 다른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의 실시예의 구조가 도 3에서 상술한 실시예의 구조와 다른 점은, 최상층의 제1시트부재가 제거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일면 및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을 구비하는 제2시트부재(120)와, 상기 제2시트부재를 관통하며, 상기 제2시트부재의 타면을 경유하여 상기 제2시트부재 일면 상부로 돌출되는 구조로 배치되는 인조잔디 파일(130) 및 상기 제2시트부재의 타표면에 인접하는 다공성 제3시트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도 8의 실시예에서의 제2시트부재(120) 및 제3시트부재(140)의 재료, 열팽창율, 배치 구조 등의 사항은 전술한 실시예의 특성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인조잔디 파일(130)과의 관계에서, 인조잔디 파일을 구성하는 주재료의 녹는점이 상기 제2시트부재 및 제3시트부재 보다 낮으며, 상기 제2시트부재의 타표면에 노출되는 인조잔디파일의 일영역이 상기 제2시트부재 또는 상기 제3시트부재의 표면과 결착하는 구조상의 특수성 역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2시트부재와 제3시트부재의 경우, 제3시트부재는 표면에 다수의 개구부가 마련되며, 제3 시트부재의 단위 면적당 개구율이, 상기 제2시트부재 보다 높게 구성되는 형상상의 특수성 및 효과 역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시트부재 또는 상기 제3시트부재가 동일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예로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수지를 주 재료로 구성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도 8의 실시예에서는,최 상층의 제1시트부재가 제거되는바, 전체적인 공정수가 줄어들게 되어 재료비가 절감되는 원가 절감의 측면을 구현할 수 있으며, 공기의 투과율이나 투수율 역시 종래의 인조잔디 구조체에 비해 탁월한 성능을 구현하게 됨은 물론이다.아울러, 전체적인 층의 두께 및 공기의 투과율, 투수율 등이 좋은바, 열발산효율을 좋으며, 이에 따라 하부의 지열을 외부로 발산하는 효과는 물론, 열을 수용하여 저장하지 않고 신속히 발산할 수 있게 되는바, 구조체 자체의 저온효과를 구현하여 열팽창이나 수축에 따른 구조 변형이 적어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물은, 투수성 및 공기 투과율이 우수한 시트부재의 적층구조에 인조잔디 파일을 식재하고, 그 하부에 개구부가 마련되는 메쉬타입의 시트층을 보강하는 인조잔디 구조체를 구현하여, 인조잔디 구조체의 배수 및 투수성, 공기 투과율을 높여 설치 장소의 지온의 발산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구조체 자체의 온도 저감 효과를 구현하고, 이를 통해 인조잔디 구조체의 열팽창 또는 수축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제1시트부재
120: 제2시트부재
130: 인조잔디 파일
131, 132, 133: 단위 파일(인조잔디)
140: 제3시트부재
141: 제3시트부재 표면
142: 개구부

Claims (15)

  1. 일면 및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을 구비하는 제1시트부재;
    상기 제1시트부재의 타면에 일표면이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제2시트부재;
    상기 제1시트부재 및 상기 제2시트부재를 관통하며, 상기 제2시트부재의 타표면을 경유하여 상기 제1시트부재 상부로 돌출되는 구조로 배치되는 인조잔디 파일; 및
    상기 제2시트부재의 타표면에 인접하는 다공성 제3시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인조잔디파일은 폴리에틸렌을 주재료하며,
    상기 제1시트부재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수지를 주재료로 하는 파이버 형성의 구성이 상호 직조되는 구조로 구현되며,
    상기 제2시트부재 또는 상기 제3시트부재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수지를 주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인조잔디 파일을 구성하는 주재료의 녹는점이 상기 제1시트부재 내지 제3시트부재 보다 낮게 형성되며,
    상기 제3시트부재는 메쉬타입의 시트층으로, 단위면적당 개구율이 제1시트부재 및 제2시트부재 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2시트부재 및 상기 제3시트부재의 녹는점이, 상기 제1시트부재의 녹는점보다 더 높으며,
    상호 인접하는 상기 제1시트부재 내지 상기 제3시트부재의 열팽창율의 편차가 0.1~10% 이하인,
    인조잔디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부재는,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고, 자외선 차단제 및 착색 안료를 더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시트부재의 타표면에 노출되는 인조잔디파일의 일영역이 상기 제2시트부재 및 상기 제3시트부재의 표면과 결착하는,
    인조잔디 구조물.
  4. 삭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인조잔디 파일은,
    상기 제1시트부재 및 상기 제2시트부재를 관통하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단위 파일이 동일한 위치에 내삽되며,
    상기 제2시트부재의 타표면에 노출되는 인조잔디파일의 표면이 상호 결착되는 구조의, 인조잔디 구조물.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3시트부재의 개구부 이외의 표면에 접착물질층을 더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물.
  11. 일면 및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을 구비하는 제2시트부재;
    상기 제2시트부재를 관통하며, 상기 제2시트부재의 타면을 경유하여 상기 제2시트부재 일면 상부로 돌출되는 구조로 배치되는 인조잔디 파일; 및
    상기 제2시트부재의 타표면에 인접하는 다공성 제3시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인조잔디파일은 폴리에틸렌을 주재료하며,
    상기 제2시트부재 또는 상기 제3시트부재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수지를 주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인조잔디 파일을 구성하는 주재료의 녹는점이 상기 제2시트부재 내지 제3시트부재 보다 낮게 형성되며,
    상기 제3시트부재는 메쉬타입의 시트층으로, 단위면적당 개구율이 상기 제2시트부재 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제2시트부재 및 상기 제3시트부재의 녹는점이, 상기 인조잔디파일보다 높으며,
    상호 인접하는 상기 제1시트부재 내지 상기 제3시트부재의 열팽창율의 편차가 0.1~10% 이하인,
    인조잔디 구조물.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인조잔디 파일을 구성하는 주재료의 녹는점이 상기 제2시트부재 및 제3시트부재 보다 낮으며,
    상기 제2시트부재의 타표면에 노출되는 인조잔디파일의 일영역이 상기 제2시트부재 또는 상기 제3시트부재의 표면과 결착하는,
    인조잔디 구조물.
  13. 삭제
  14. 삭제
  15. 제1시트부재와 제2시트부재를 상하로 적층하여 배치하는 1 단계;
    상기 제1시트부재와 상기 제2시트부재를 관통하는 구조로 인조잔디 파일을 식재하며,상기 인조잔디 파일의 녹는점이 상기 제2시트부재 및 상기 제3시트부재보다 낮은 재질로 구성되며,상기 제1시트부재와 상기 제2시트부재를 관통하며,상기 제2시트부재의 하부면을 경유하는 경유부를 구현하고,상기 제1시트부재의 상부로 인조잔디 원사가 돌출되도록 인조잔디 파일을 식재하는 2단계;
    상기 제2시트부재의 하부에 제3시트부재를 배치하고,열융착을 통해 상기 인조잔디 파일의 경유부를 녹임으로써,상기 제2시트부재와 상기 제3시트부재를 결착하는 3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조잔디파일은 폴리에틸렌을 주재료하며,
    상기 제1시트부재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수지를 주재료로 하는 파이버 형성의 구성이 상호 직조되는 구조로 구현되며,
    상기 제2시트부재 또는 상기 제3시트부재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수지를 주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인조잔디 파일을 구성하는 주재료의 녹는점이 상기 제1시트부재 내지 제3시트부재 보다 낮게 형성되며,
    상기 제3시트부재는 메쉬타입의 시트층으로, 개구율이 제1시트부재 및 제2시트부재 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2시트부재 및 상기 제3시트부재의 녹는점이, 상기 제1시트부재의 녹는점보다 더 높으며,
    상호 인접하는 상기 제1시트부재 내지 상기 제3시트부재의 열팽창율의 편차가 0.1~10% 이하인
    인조잔디 구조물의 제조방법.
KR1020160069215A 2016-06-03 2016-06-03 인조잔디 구조물 KR101757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215A KR101757189B1 (ko) 2016-06-03 2016-06-03 인조잔디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215A KR101757189B1 (ko) 2016-06-03 2016-06-03 인조잔디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7189B1 true KR101757189B1 (ko) 2017-07-14

Family

ID=59358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9215A KR101757189B1 (ko) 2016-06-03 2016-06-03 인조잔디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718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419B1 (ko) * 2018-12-01 2019-04-05 주식회사 주목씨지알 열융착 방식을 이용하여 인발력을 향상시킨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
KR101967185B1 (ko) * 2018-12-07 2019-04-09 주식회사 주목씨지알 일관(一貫)공정으로 인조잔디매트를 제조하는 방법
KR20190058253A (ko) * 2017-11-21 2019-05-29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WO2019103275A1 (en) * 2017-11-21 2019-05-31 Kolonglotech. Inc Artificial turf
KR102000917B1 (ko) * 2018-01-11 2019-07-1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KR101967181B1 (ko) * 2018-12-07 2019-08-13 주식회사 주목씨지알 하이브리드 잔디 조성용 지지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잔디 조성방법
KR102096246B1 (ko) * 2019-06-26 2020-04-06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개구부가 있는 기재를 활용한 식모 방식의 인조잔디 구조체
KR102357998B1 (ko) * 2021-07-09 2022-02-08 주식회사 지에스티지 천연잔디와 유사하도록 구성되는 인조잔디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17615B1 (ko) * 2021-04-05 2022-07-05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KR102419294B1 (ko) * 2021-09-13 2022-07-12 주식회사 지에스티지 내구성과 치수정밀도가 향상된 천연잔디와 유사하도록 구성되는 인조잔디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5972A (ja) * 2003-06-27 2005-01-20 Diatex Co Ltd 耐久性人工芝用基布及び人工芝生
KR200419114Y1 (ko) * 2006-04-07 2006-06-15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축구장용 인조잔디
JP5637590B2 (ja) * 2010-07-22 2014-12-1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人工芝および同人工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5972A (ja) * 2003-06-27 2005-01-20 Diatex Co Ltd 耐久性人工芝用基布及び人工芝生
KR200419114Y1 (ko) * 2006-04-07 2006-06-15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축구장용 인조잔디
JP5637590B2 (ja) * 2010-07-22 2014-12-1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人工芝および同人工芝の製造方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253A (ko) * 2017-11-21 2019-05-29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WO2019103275A1 (en) * 2017-11-21 2019-05-31 Kolonglotech. Inc Artificial turf
KR101995797B1 (ko) * 2017-11-21 2019-07-0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CN111630227A (zh) * 2017-11-21 2020-09-04 可隆科技特有限公司 人造草坪
KR102000917B1 (ko) * 2018-01-11 2019-07-1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KR101966419B1 (ko) * 2018-12-01 2019-04-05 주식회사 주목씨지알 열융착 방식을 이용하여 인발력을 향상시킨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
KR101967185B1 (ko) * 2018-12-07 2019-04-09 주식회사 주목씨지알 일관(一貫)공정으로 인조잔디매트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67181B1 (ko) * 2018-12-07 2019-08-13 주식회사 주목씨지알 하이브리드 잔디 조성용 지지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잔디 조성방법
KR102096246B1 (ko) * 2019-06-26 2020-04-06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개구부가 있는 기재를 활용한 식모 방식의 인조잔디 구조체
KR102417615B1 (ko) * 2021-04-05 2022-07-05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KR102357998B1 (ko) * 2021-07-09 2022-02-08 주식회사 지에스티지 천연잔디와 유사하도록 구성되는 인조잔디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19294B1 (ko) * 2021-09-13 2022-07-12 주식회사 지에스티지 내구성과 치수정밀도가 향상된 천연잔디와 유사하도록 구성되는 인조잔디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189B1 (ko) 인조잔디 구조물
US6723413B2 (en) Tufted surface covering and method
US3332828A (en) Monofilament ribbon pile product
KR102096298B1 (ko) 다층 섬유 충전층을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US20200332478A1 (en) Artificial turf
ES2386301T3 (es) Césped sintético y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correspondiente
JP3372472B2 (ja) 人工芝とその製造方法
EP0260872A2 (en) Tufted carpeting having stitches thermally bonded to backing
CN101338543A (zh) 如人造草皮的铺地材料的衬底、人造草皮及其制造方法
US20230145157A1 (en) Artificial turf
KR20140088524A (ko) 온실 스크린
JP2016169562A (ja) 防草シート及びその使用方法
JP5637590B2 (ja) 人工芝および同人工芝の製造方法
JP2004143637A (ja) 熱可塑性樹脂製タフティングマ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IL25517A (en) Natural grass-like synthetic textile material
KR102077798B1 (ko) 형태안정성이 향상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6508B1 (ko) 항균성을 갖는 인조잔디 구조체
KR101728513B1 (ko) 인조 잔디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10007A (ko) 인조잔디 육상트랙의 시공방법
JP2004181075A (ja) ポリエステル製タフティングマ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73489B1 (ko) 열차단성을 구비하는 인조잔디 구조체와 그 제조방법
KR102580785B1 (ko) 충격흡수패드층이 일체로 구성되어 자기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인조잔디매트의 제조방법 및 그 인조잔디매트
US11624159B1 (en) Non-perforated artificial turf with porous backing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NL2007720C2 (nl) Kunstgrasveld.
JP2851241B2 (ja) 人工芝生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5000042;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80403

Effective date: 20180827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