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513B1 - 인조 잔디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조 잔디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513B1
KR101728513B1 KR1020160066539A KR20160066539A KR101728513B1 KR 101728513 B1 KR101728513 B1 KR 101728513B1 KR 1020160066539 A KR1020160066539 A KR 1020160066539A KR 20160066539 A KR20160066539 A KR 20160066539A KR 101728513 B1 KR101728513 B1 KR 101728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turf
porous coating
file
support
turf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원
이흥열
Original Assignee
이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열 filed Critical 이정열
Priority to KR1020160066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5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7/00Woven p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2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stiff, shape retent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20Industrial for civil engineering, e.g. geotextiles
    • D10B2505/202Artificial gras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 잔디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인조 잔디 구조체는 지지부; 파일부; 및 다공성 코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조 잔디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ARTIFICIAL TURF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인조 잔디로 사용되는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조 잔디는 인공적으로 제조된 잔디의 대용품으로서, 1956년 미국에서 처음 제조된 이래 야구, 축구, 골프 등의 스포츠 구장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조 잔디는 기포층; 기포층의 상부에 원사를 식모하여 형성된 파일(Pile); 기포층의 하부면에 형성된 코팅층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지며, 완충 작용을 위해 선택적으로 기포층의 상부 및 파일 사이에 충진재가 충진되기도 한다.
상기 코팅층은 인조 잔디의 형태 안정성 및 파일의 인발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종래에는 스티렌-부타디엔-러버(SBR), 또는 폴리우레탄(PU)을 포함하는 코팅액을 기포층의 하부면에 코팅하는 방법으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스티렌-부타디엔 러버는 온도 변화 및 수분에 취약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코팅층을 가지는 인조 잔디는 비, 눈, 고온, 또는 저온 등의 기후조건에 장기간 노출되는 과정에서 파일의 인발 강도, 기포층과 코팅층 간의 결합력 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코팅액으로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고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인조 잔디의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인조 잔디의 경제성을 개선하기 위해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기포층의 하부면에 열접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즉,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기포층 및 파일과 동종 성분으로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인조 잔디의 재활용성을 높여 경제성을 개선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기포층의 하부면에 균일하게 접착시키는데 한계가 있어, 기포층과 코팅층 간의 접착 불량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11928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조 잔디에서 요구되는 물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재활용성도 높은 인조 잔디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조 잔디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홀 및 상기 제1 홀과 이격된 제2 홀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식모된 복수의 파일 유닛을 포함하는 파일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다공성 코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 유닛은, 상기 제1 홀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 상에 노출되는 제1 외부 파일; 상기 제2 홀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 상에 노출되는 제2 외부 파일; 및 상기 제1 외부 파일과 상기 제2 외부 파일을 연결하며, 상기 지지부 하부에 위치하는 내부 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코팅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부 및 상기 내부 파일의 하부에 형성되는 다공성 코팅층;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내부 파일의 사이에 형성되는 다공성 코팅영역을 포함하는 인조 잔디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지지부에 원사를 식모하여 복수의 제1 홀 및 상기 제1 홀과 이격된 복수의 제2 홀이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에 제1 외부 파일, 제2 외부 파일 및 내부 파일을 포함하는 파일 유닛을 복수로 포함하는 파일부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합성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분말 조성물을 분사하는 단계; 및 c) 상기 분말 조성물을 열처리하고, 냉각롤러로 가압하여 다공성 코팅층 및 다공성 코팅영역을 포함하는 다공성 코팅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조 잔디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인조 잔디 구조체는 합성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분말 조성물로 형성된 다공성 코팅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지지부와 다공성 코팅부 간의 결합력, 파일부의 인발 강도 및 형태 안정성 등이 우수하다. 또한, 다공성 코팅부에 공극이 존재하기 때문에 적절한 함수율이 유지되어 대전방지성이 우수하다. 또, 지지부, 파일부 및 다공성 코팅부가 동종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면서 재활용성이 높다.
더불어, 본 발명은 분말 조성물을 이용하여 인조 잔디 구조체의 다공성 코팅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인조 잔디 구조체의 제조공정이 간단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조 잔디 구조체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인조 잔디 구조체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험예 1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인조 잔디 구조체의 배면에 위치하는 코팅부의 조성 및 형성방법을 개선하여 종래와 차별화된 모폴로지를 가지는 코팅부를 구현함으로써 인조 잔디 구조체의 물성 및 제조효율을 개선한 것으로, 이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인조 잔디 구조체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조 잔디 구조체는 지지부(10), 파일부(20) 및 다공성 코팅부(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인조 잔디 구조체에 포함되는 지지부(10)는 인조 잔디 구조체에 형태 안정성을 부여하고 파일부(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 홀(11) 및 제2 홀(1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홀(11)과 상기 제2 홀(12)은 파일부(2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지지부(10)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들은 지지부(10)에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0)로는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직포 또는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으며, 형태 안정성 등을 고려할 때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부직포에 포함되는 합성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인조 잔디 구조체에 포함되는 파일부(20)는 잔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지부(10)에 식모된 복수의 파일 유닛(21)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파일부(20)는 지지부(10)에 복수로 결합된 파일 유닛(21)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하나의 파일 유닛(21)은 제1 외부 파일(21a), 제2 외부 파일(21b) 및 내부 파일(21c)을 포함한다.
상기 파일 유닛(21)에 포함되는 제1 외부 파일(21a)은 지지부(10)의 제1 홀(11)을 관통하여 지지부(10) 상에 노출되는 파일이고, 상기 파일 유닛(21)에 포함되는 제2 외부 파일(21b)은 지지부(10)의 제2 홀(12)를 관통하여 지지부(10) 상에 노출되는 파일이다. 또한 상기 파일 유닛(21)에 포함되는 내부 파일(21c)은 제1 외부 파일(21a)과 제2 외부 파일(21b)를 연결하며, 지지부(10)의 하부에 위치하는 파일이다.
이러한 파일부(20)는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원사로 형성되는데, 상기 원사에 포함되는 합성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인조 잔디 구조체에 포함되는 다공성 코팅부(30)는 인조 잔디 구조체의 형태 안정성 강화, 파일부(20)의 인발 강도 강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지부(10)의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다공성 코팅부(30)는 공극이 존재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인조 잔디 구조체의 대전방지성을 높일 수 있다.
즉, 인조 잔디 구조체는 인공적인 구조체이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수분을 포함하고 있기 어려우며, 적절한 수분이 유지되지 않으면 매우 건조해져 정전기의 발생율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인조 잔디 구조체의 정전기 발생율을 낮추기 위해 주기적으로 수분의 공급 및 관리가 요구되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번거로움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인조 잔디 구조체는 다공성 코팅부(30)에 공극이 존재함에 따라 상기 공극에 수분이 함유될 수 있어, 사용자의 관리가 줄어들더라도 적절한 수분 환경이 유지되어 인조 잔디 구조체의 대전방지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코팅부(30)의 공극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형태 안정성, 인발 강도 등을 고려할 때, 5 내지 3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극율은 다공성 코팅부(30)의 전체 부피에서, 비어있는 공간이 차지하는 부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다공성 코팅부(30)는 후술되는 분말 조성물로 형성되는데, 이로 인해 다공성 코팅층(31) 및 다공성 코팅영역(32)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다공성 코팅부(30)에 포함되는 다공성 코팅층(31)은 지지부(10)의 하부 및 내부 파일(21c)의 하부에 형성된다. 즉, 다공성 코팅층(31)은 지지부(10)의 하부면과 내부 파일(21c)의 하부면으로 이루어진 면에 형성된다.
상기 다공성 코팅부(30)에 포함되는 다공성 코팅영역(32)은 지지부(10)와 내부 파일(21c)의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다공성 코팅영역(32)은 복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지지부(10)와 내부 파일(21c)의 사이에 다공성 코팅영역(32)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인조 잔디 구조체의 형태 안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다공성 코팅부(30)는 다공성 코팅층(31)과 다공성 코팅영역(32)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다공성 코팅브리지(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공성 코팅브리지(33)를 더 포함할 경우, 다공성 코팅층(31)과 다공성 코팅영역(32)이 연결됨에 따라 다공성 코팅부(30)가 지지부(10)와 내부파일(21c)에 결합되는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다공성 코팅부(30)는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분말 조성물로 형성되는데, 상기 분말 조성물에 포함되는 합성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인조 잔디 구조체는 친환경적이면서 재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지지부(10), 파일부(20) 및 다공성 코팅부(30)가 동종 성분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2. 인조 잔디 구조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인조 잔디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이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지지부(10)와 파일부(20)의 형성
지지부(10)에 원사를 식모하여 복수의 제1 홀(11) 및 상기 제1 홀(11)과 이격된 복수의 제2 홀(12)이 형성된 지지부(10) 및 상기 지지부(10) 상에 제1 외부 파일(21a), 제2 외부 파일(21b) 및 내부 파일(21c)을 포함하는 파일 유닛(21)을 복수로 포함하는 파일부(20)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원사를 식모하기 전의 지지부(10)에는 복수의 제1 홀(11) 및 제2 홀(12)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가, 파일부(20)를 형성하기 위해 원사를 지지부(10)에 통과시키면 원사가 통과한 자리에 각각 제1 홀(11) 및 제2 홀(12)이 형성되고, 이와 함께 파일부(20)도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0)에 원사를 식모하여 파일부(20)를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터프닝, 모켓, 라셀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파일부(20)가 형성된 지지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정라인을 따라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분말 조성물(200)을 분사하는 단계로 넘어가기 전에 파일부(20)가 형성된 지지부(10)의 하부를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거칠 수 있다. 즉, 상부에 파일부(20)가 형성된 지지부(10)의 하부를 제1 히터(100) 등으로 열처리한 후 분말 조성물(200)을 분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지지부(10)의 하부를 열처리할 경우, 지지부(10)의 하부에 분말 조성물의 결합이 보다 잘 이루어져 지지부(10)와 다공성 코팅부(30) 간의 결합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10)의 하부를 열처리하는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열처리 온도는 100 ℃ 전후이고 열처리하는 시간은 20 내지 60 초인 것이 바람직하다.
b) 분말 조성물(200)의 분사
상기 지지부(10)의 하부에 합성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분말 조성물(200)을 분사한다. 상기 분말 조성물(200)에 포함된 합성수지 입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인조 잔디 구조체의 물성 및 재활용성 등을 고려할 때, 폴리프로필렌 입자, 폴리에틸렌 입자 및 나일론 입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합성수지 입자의 크기(직경)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다공성 코팅부(30)의 형성 및 분사효율을 고려할 때, 200 내지 7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 내지 50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분말 조성물(200)을 분사하는 방법은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분말 조성물(200)을 분사하는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다공성 코팅부(30)의 형성이 잘 이루어지도록 분말 조성물의 단위면적(㎡)당 도포량이 50 내지 300 g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내지 180 g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c) 다공성 코팅부(30)의 형성
상기 분말 조성물(200)을 제2 히터(300)로 열처리하고, 냉각롤러(400)로 가압하여 다공성 코팅층(31) 및 다공성 코팅영역(32)을 포함하는 다공성 코팅부(30)를 형성한다. 상기 분말 조성물(200)을 열처리하는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열처리하는 온도는 100 내지 180 ℃(구체적으로, 130 내지 180 ℃)이고, 열처리하는 시간은 1 내지 4 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분말 조성물(200)로 다공성 코팅부(30)를 형성함에 따라 본 발명은 수지 필름으로 코팅부를 형성함에 따라 코팅부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인조 잔디 구조체의 재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지지부와 동일 성분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하부에 열접착시켜 코팅부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은 형태가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지지부의 하부에 접착 시 실제적으로 지지부와 접착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주로 파일부와 접착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지지부와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사이에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이 존재함에 따라 코팅부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지지부(10)의 하부에 분말 조성물(200)을 고르게 분사하여 지지부(10)의 하부에 밀착결합된 다공성 코팅부(30)를 형성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인조 잔디 구조체는 지지부(10)와 다공성 코팅부(30) 간의 결합력이 우수하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인조 잔디 구조체의 제조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라인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제조공정이 간단하여 인조 잔디 구조체의 제조효율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인조 잔디 구조체 제조
지지부로,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부직포를 준비하였다. 준비된 부직포에 폴리에틸렌 재질의 원사를 식모하여 복수의 파일 유닛으로 이루어진 파일부를 지지부 상에 형성하였다. 상기 파일부가 형성된 지지부의 하부를 100 내지 120 ℃의 온도로 60 내지 90 초 동안 열처리하였다. 다음, 열처리된 지지부의 하부에, 직경 300 내지 500 ㎛ 사이의 폴리에틸렌 입자를 포함하는 분말 조성물을 분사하였다. 그 다음, 분말 조성물을 140 내지 160 ℃의 온도로 90 내지 150 초 동안 열처리한 후 냉각롤러로 가압하여 다공성 코팅부가 형성된 인조 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이때, 다공성 코팅부의 공극율은 20 %였고, 제조공정은 도 2와 같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졌다.
[ 비교예 1]
다공성 코팅부 대신에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조 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분말 조성물이 아닌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을 지지부의 하부에 적층하고 열처리하는 과정을 거쳐 인조 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분말 조성물 대신에 스티렌-부타디엔 러버를 포함하는 코팅액을 지지부의 하부에 도포 및 경화시키는 과정을 거쳐 인조 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이미지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인조 잔디 구조체의 하부표면 및 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 및 도 4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조 잔디 구조체의 다공성 코팅부에 공극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4는 인조 잔디 구조체에서 다공성 코팅부의 단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확인한 것으로, 도 4를 통해서도 다공성 코팅부에 공극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실험예 2]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의 인조 잔디 구조체의 물성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인발 강도: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에서 제조한 인조 잔디 구조체에서 세로 및 가로의 길이가 각각 100 ㎜인 시험편을 취하였다. 시험편을 인발 강도 시험기의 홀더에 부착하고, 인발 척(Chuck)으로 5개소의 파일를 잡아당겨 파일이 뽑힐 때의 최대 하중(N)을 측정하고 5개소의 파일에 대한 최대 하중 평균값을 계산하여 이를 침수 전 인발 강도로 사용하였다. 이때 인발 속도는 305±10 ㎜/분이었다. 침수 전 인발 강도가 100 N 이상인 경우를 "합격", 인발 강도가 100 N 미만인 경우를 "불합격"으로 판정하여 인발 강도를 평가하였다.
2. 인장 강도: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에서 제조한 인조 잔디 구조체에서 세로 350 ㎜ 및 가로의 길이가 35 ㎜인 종방향 횡방향 시험편을 취하였다. 시험편을 인장 강도 시험기의 홀더에 부착하고, 인장 척(Chuck)으로 시험편을 잡아당겨 시험편이 찢어질 때의 최대 하중(N)을 측정하고 5개의 시험편에 대한 최대 하중 평균값을 계산하여 이를 인장 강도로 사용하였다. 이때 인장 속도는 100±10 ㎜/분이었다. 인장 강도가 400 N 이상인 경우를 "합격", 인장 강도가 400 N 미만인 경우를 "불합격"으로 판정하여 인장 강도를 평가하였다.
3. 대전방지성: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에서 제조한 인조 잔디 구조체에서 세로 및 가로의 길이가 각각 100 ㎜인 시험편을 취하였다. 시험편을 80 ℃의 온도 및 0 %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24 시간 동안 건조 후, 25 ℃의 온도 및 50 %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10 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이후 ABS 수지로 이루어진 판을 섬유에 10 회 문지른 후 방치된 시험편과 접촉시켜 시험편에 존재하는 파일 유닛의 움직임을 관찰하였다. 파일 유닛의 움직임이 거의 없는 경우를 "양호", 파일 유닛의 움직임이 크게 나타나는 경우를 "불량", 양호와 불량 사이의 경우를 "감소"로 판정하여 대전방지성을 평가하였다.
인발 강도 인장 강도 대전방지성
실시예 1 합격 합격 양호
비교예 1 합격 불합격 불량
비교예 2 불합격 합격 불량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조 잔디 구조체는 분말 조성물로 형성된 다공성 코팅부를 포함함에 따라 인발 강도, 인장 강도,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0: 지지부
11: 제1 홀
12: 제2 홀
20: 파일부
21: 파일 유닛
21a: 제1 외부 파일
21b: 제2 외부 파일
21c: 내부 파일
30: 다공성 코팅부
31: 다공성 코팅층
32: 다공성 코팅영역
33: 다공성 코팅브리지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a) 지지부에 원사를 식모하여 복수의 제1 홀 및 상기 제1 홀과 이격된 복수의 제2 홀이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에 제1 외부 파일, 제2 외부 파일 및 내부 파일을 포함하는 파일 유닛을 복수로 포함하는 파일부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지지부의 하부 전체에 입자의 크기가 300 내지 500 ㎛인 폴리에틸렌 입자를 포함하는 분말 조성물을 분사하는 단계; 및
    c) 상기 분말 조성물을 140 내지 160 ℃ 온도에서 90 내지 150초간 열처리하고, 냉각롤러로 가압하여 다공성 코팅층 및 다공성 코팅영역을 포함하는 다공성 코팅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코팅부의 공극율이 5 내지 30 %이고, 상기 지지부, 상기 파일부 및 상기 다공성 코팅부는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것인 인조 잔디 구조체의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분말 조성물의 단위면적(㎡) 당 도포량이 50 내지 300 g인 인조 잔디 구조체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분말 조성물을 분사하기 전에 상기 파일부가 형성된 지지부의 하부를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조 잔디 구조체의 제조방법.
KR1020160066539A 2016-05-30 2016-05-30 인조 잔디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28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539A KR101728513B1 (ko) 2016-05-30 2016-05-30 인조 잔디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539A KR101728513B1 (ko) 2016-05-30 2016-05-30 인조 잔디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8513B1 true KR101728513B1 (ko) 2017-04-20

Family

ID=58705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539A KR101728513B1 (ko) 2016-05-30 2016-05-30 인조 잔디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5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580A (ko) * 2017-05-12 2018-11-21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KR102001392B1 (ko) * 2019-02-08 2019-07-23 주식회사 효성월드그린 코팅층을 구비하는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7764B2 (ja) * 1991-04-17 1998-12-16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人工芝生
JP2002088709A (ja) * 2000-09-18 2002-03-27 Sumitomo Rubber Ind Ltd 人工芝
JP3452243B2 (ja) * 1999-04-02 2003-09-2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人工芝生
JP5637590B2 (ja) * 2010-07-22 2014-12-1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人工芝および同人工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7764B2 (ja) * 1991-04-17 1998-12-16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人工芝生
JP3452243B2 (ja) * 1999-04-02 2003-09-2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人工芝生
JP2002088709A (ja) * 2000-09-18 2002-03-27 Sumitomo Rubber Ind Ltd 人工芝
JP5637590B2 (ja) * 2010-07-22 2014-12-1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人工芝および同人工芝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580A (ko) * 2017-05-12 2018-11-21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KR101962318B1 (ko) * 2017-05-12 2019-03-2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KR102001392B1 (ko) * 2019-02-08 2019-07-23 주식회사 효성월드그린 코팅층을 구비하는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4581B2 (ja) 人工芝
US20070270064A1 (en) Carpet primary backing having enhanced tufting and tuft securing characteristics
US20060013989A1 (en) Synthetic turf and method for applying adhesive
JP2006510464A (ja) 改善されたタフト保持力を有するカーペット
JP2006510464A6 (ja) 改善されたタフト保持力を有するカーペット
US20040079468A1 (en) Process for producing carpet
ES2366769T3 (es)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de un revestimiento textil y revestimiento textil.
US20100260966A1 (en) Dimensionally-Stabilized Cushioned Carpet Tile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RU2670860C9 (ru) Материал основания для винилового напольного покрытия
KR101728513B1 (ko) 인조 잔디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11542714B2 (en) Vertically lapped fibrous flooring
EP1130149B1 (en) Tufted carpet made using a base cloth
JP2005529696A (ja) カーペットタイルの構造及び方法
KR101106679B1 (ko) 폴리우레탄 나노섬유 웹 및 이를 포함하는 투습방수원단
KR102228541B1 (ko) 인발강력이 향상된 카펫 기포지용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01392B1 (ko) 코팅층을 구비하는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
CA2920543A1 (en) Vinyl floor covering
US11608591B2 (en) Stabilization of fabric surfaces
KR101267940B1 (ko) 기능성 물질이 코팅된 인조잔디 및 이의 코팅장치
GB2135631A (en) Sports playing surface
KR20210148553A (ko) 경량화 매트 구조체
BE1022341B1 (n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produceren van watervast tapijt met een hoge waterabsorptie
KR20100027225A (ko) 다공성 및 조절된 가소화 표면을 가지는 산업용 직물
US11624159B1 (en) Non-perforated artificial turf with porous backing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KR20210008744A (ko) 탄성제공층을 포함하는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