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994B1 -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994B1
KR101287994B1 KR1020120088877A KR20120088877A KR101287994B1 KR 101287994 B1 KR101287994 B1 KR 101287994B1 KR 1020120088877 A KR1020120088877 A KR 1020120088877A KR 20120088877 A KR20120088877 A KR 20120088877A KR 101287994 B1 KR101287994 B1 KR 101287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artificial turf
bonding
flow preventing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히기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히기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히기아
Priority to KR1020120088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9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01C13/083Construction of grass-grown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는 지반에 포설되고 중앙영역과 본딩영역으로 구획되는 매트, 상기 매트 상에 잔디 모양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잔디파일 및 상기 매트의 중앙영역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배수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제조방법은 매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매트의 상부에 복수의 잔디파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매트에 배수홀과 흐름방지부를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The artificial turf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조잔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조잔디 설치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인조잔디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인조잔디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인조잔디는 지반 위에 자갈층을 다짐한 후 지반의 상면에 인조잔디를 시공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통상의 인조잔디는 우기에 빗물이 원활하게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등 다수의 문제가 발생하여서 인조잔디에 배수홀을 형성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다만, 인조잔디와 지반 또는 인조잔디와 인조잔디 사이의 접합부 사이에는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접착제가 사용되는데, 배수홀이 형성되는 경우, 배수는 문제가 없지만, 배수홀을 따라서 접착제가 역류하여서 잔디파일이 서로 접착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잔디파일들이 서로 접착되는 경우, 인조잔디는 충격흡수 성능을 상실하여서, 인조잔디로써의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인조잔디는 귄취롤에 감겨서, 여러의 열에 시공되는데, 인조잔디 열사이의 접착 및 인조잔디의 열들 사이로 접착제가 역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조잔디의 배수성능을 개선하고, 접착제가 잔디파일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인조잔디 및 쉽게 제작할 수 있는 인조잔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는 지반에 포설되고 중앙영역과 본딩영역으로 구획되는 매트, 상기 매트 상에 잔디 모양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잔디파일 및 상기 매트의 중앙영역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배수홀을 포함한다.
상기 본딩영역은 상기 매트의 폭 방향 양단부에서 소정의 폭을 가지고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본딩영역은 상기 매트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서 소정의 폭을 가지고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본딩영역의 폭은 30cm 내지 40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딩영역의 하부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인조잔디는, 상기 본딩영역의 하부에 본딩력을 강화하고, 접착제의 흐름을 방지하는 흐름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흐름방지부는 복수의 홈 또는 요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은 물결모양 또는 와플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은 상기 매트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양단부 중 일단부에는 제1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양단부 중 타단부에는 상기 제1 단차와 맞물리는 형상을 가지는 제2 단차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단차는 상기 본딩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매트는, 상기 잔디파일을 고정하는 지조직층 및 상기 지조직층의 하단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제고하는 탄성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제조방법은 매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매트의 상부에 복수의 잔디파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매트에 배수홀과 흐름방지부를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홀 및 흐름빙지부를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배수홀을 생성하는 관통부, 및 상기 흐름방지부를 생성하는 패턴부를 가지는 인두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배수홀이 본딩영역에 형성되지 않으면, 인조잔디의 설치 시에 본딩영역 하부에 도포된 접착제가 배수홀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로 인해서 잔디파일이 역류한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서 잔디파일이 그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인조잔디의 배수성능은 어느 정도 유지하면서, 잔디파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흐름방지부를 형성하여서 매트와 지반 사이에 접착 면적을 증대시켜서,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본딩영역의 하부에 접착제가 머무는 공간을 제공하므로, 접착제가 배수홀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매트에 단차가 형성되어서, 복수의 인조잔디들 간의 접착력 및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예의 인조잔디 제조방법은 손 쉽게 복수의 배수홀과 흐름방지부를 형성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가 지반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의 A-A' 선을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흐름방지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인조잔디가 지반에 설치되는 방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인조잔디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인조잔디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9는 인조잔디 제조에 사용되는 인두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실시예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인조잔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가 지반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의 A-A' 선을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의 인조잔디(100)는 지반(10)에 포설되고 중앙영역(B1)과 본딩영역(B2)으로 구획되는 매트(110), 매트(110) 상에 잔디 모양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잔디파일(130) 및 매트(110)의 중앙영역(B1)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배수홀(120)을 포함한다.
복수의 잔디파일(130)은 매트(110) 상에 잔디 모양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잔디파일(130)은 일정한 피치를 가지고 복수개가 배치된다. 복수의 잔디파일(130)은 운동자가 넘어졌을 경우 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완충력을 제공하고, 운동용 볼의 적당한 리바운를 위해 탄성력도 제공한다.
복수의 잔디파일(130)의 길이는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그 길이를 달리 하지만 일반적으로 5 ~ 70㎜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잔디파일(130)이 길어지거나 매트(110)가 두꺼워지면 볼구름성(Ball Roll)과 볼리바운드성(Ball rebound)이 낮아지고 충격흡수성이 높아지며, 반대로 복수의 잔디파일(130)이 짧아지거나 매트(110)가 얇아지면 볼구름성, 볼리바운드성이 높아지고 충격흡수성이 낮아지므로 복수의 잔디파일(130)의 길이와 매트(110)의 두께를 조절하여 인조잔디(100)의 볼구름성, 충격흡수성, 볼리바운드성을 조절할 수 있다.
매트(110)는 인조잔디(100)의 몸체를 구성하는 부분으로써, 매트(110)는 지반(10) 상에 배치되어 충격을 흡수하고, 복수의 잔디파일(130)이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한다.
매트(110)는 설치의 편의성을 위해 장방형의 형상을 가진다. 또한,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폭 보다 길이가 매운 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매트(110)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다양한 형상의 매트(110)가 서로 맞물려 지반(10) 상에 포설될 수 있다.
매트(110)는 잔디의 느낌을 주기 위해 녹색계열의 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트(110)는 인조잔디(100) 상에서 운동하는 운동자를 외부의 충격에서 보호하고, 운동용 볼(Ball)의 적당한 바운드를 위해서 완충성과 충격흡수성이 뛰어난 재질로 형성된다. 매트(110)의 재질은 합성수지재질, 예를 들면, 라텍스(latex), EPP(expanded poly propylene), SBR(styrene-butadiene rubber), PVC(polyvinyl chloride), PU(polyurethane),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 을 사용될 수 있다.
매트(110)는 중앙영역(B1)과 본딩영역(B2)으로 구획된다. 여기서, 중앙영역(B1)은 매트(1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영역이고, 본딩영역(B2)은 지반(10)과 접착되는 영역이다. 중앙영역(B1)은 본딩영역(B2)을 제외한 영역이다. 본딩영역(B2)의 하부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서, 지반(10)과 매트(110)를 결합시킨다.
본딩영역(B2)은 매트(110)의 테두리부(둘레)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딩영역(B2)은 매트(110)의 폭 방향 양단부에서 소정의 폭을 가지고 구획되거나 매트(110)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서 소정의 폭을 가지고 구획될 수 있다. 다만, 롤 형태로 말린 매트(110)를 지반(10)에 설치하는 경우, 본딩영역(B2)은 매트(110)의 폭 방향 양단부에서 소정의 폭을 가지고 구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딩영역(B2)은 접착제가 도포되어 지반(10)과 접착되는 부위로써, 매트(110)를 지반(10)에 접착시킬 수 있는 접착력을 확보하면서, 매트(110)의 배수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을 정도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딩영역(B2)은 매트(110)의 면적대비 5% 내지 20%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매트(110)가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본딩영역(B2)은 매트(110)의 폭 대비 5% 내지 20% 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즉, 본딩영역(B2)은 매트(110)의 폭 방향 양단부에서 일정한 거리를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30cm 내지 50cm의 폭을 가질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cm 내지 40c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배수홀(120)은 매트(110)의 중앙영역(B1)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균일한 배수를 위해서, 복수의 배수홀(120)은 인접한 배수홀(120)과 일정한 거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복수의 배수홀(120)은 동일한 피치를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배수홀(120)은 복수의 잔디파일(1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매트(110)의 중앙영역(B1) 중 복수의 잔디파일(130)과 수직적으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배수홀(120)은 크기 및 개수는 제한이 없고, 인조잔디(100)가 설치되는 곳의 강우량, 매트(110) 자체의 투수 정도를 고려하여 소정의 크기와 개수를 가질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복수의 배수홀(120)은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는 매트(110)의 중앙영역(B1)에만 형성되고, 본딩영역(B2)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복수의 배수홀(120)이 본딩영역(B2)에 형성되지 않으면, 인조잔디(100)의 설치 시에 본딩영역(B2) 하부에 도포된 접착제가 복수의 배수홀(120)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로 인해서 복수의 잔디파일(130)이 역류한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서 복수의 잔디파일(130)이 그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인조잔디(100)의 배수성능은 어느 정도 유지하면서, 복수의 잔디파일(1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를 도시한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흐름방지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의 인조잔디(100)는 제1실시예의 인조잔디와 비교하면, 매트(110)의 본딩영역(B2)의 하부에 흐름방지부(115)를 더 포함한다. 제1실시예에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이미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설명은 생략한다.
흐름방지부(115)는 본딩영역(B2)의 하부에 형성되어서, 도포된 접착제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매트(110)와 지반(10) 사이의 본딩력(접착력)을 강화시킨다.
흐름방지부(115)는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매트(110)의 둘레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흐름방지부(115)는 매트(110)의 폭 방향 양단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흐름방지부(115)는 매트(110)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나, 매트(110)와 지반(10) 사이에 접착제가 머물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흐름방지부(115)는 예를 들면, 복수의 홈 또는 요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흐름방지부(115)는 복수의 홈이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와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흐름방지부(115)는 매트(110)와 지반(10) 사이에 접착 면적을 증대시켜서,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딩영역(B2)의 하부에 접착제가 머무는 공간을 제공하므로, 접착제가 배수홀(120)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흐름방지부(115)는 복수의 홈은 물결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흐름방지부(115)는 복수의 홈은 매트(110)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흐름방지부(115)의 형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매트(110)의 표면적을 향상시키는 어떠한 형상으로도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3실시예의 인조잔디(100)는 제1실시예의 인조잔디와 비교하면, 매트(110)의 양단부에 제1 및 제2 단차(111)(112)를 더 포함하고, 매트(110)는 지조직층(113)과 탄성층(114)으로 구성된다.
제1 단차(111)는 매트(110)의 양단부 중 일단부에 형성되고, 제2 단차(112)는 매트(110)의 양단부 중 타단부에 제1 단차(111)와 맞물리는 형상을 가지고 형성된다. 즉, 매트(110)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경우, 폭 방향의 양단부에 제1 단차 (111) 및 제2 단차(112)가 형성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단차(111) 및 제2 단차(112)는 본딩영역(B2)에 형성될 수 있다.
인조잔디(100)가 설치될 때, 복수의 열을 가지고 인조잔디(100))가 배치되는 데, 이때에, 제1 단차(111)는 다른 열의 제2 단차(112)와 맞물려서 결합된다.
제1 단차(111)와 제2 단차(112)는 서로 맞물리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에는 제1 단차(111)는 상부가 오픈된 계단형상이고, 제2 단차(112)는 하부가 오픈된 계단형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단차(111) 및 제2 단차(112)는 다단으로 형성되거나,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단차(111)와 제2 단차(112)는 서로 맞물려서 매트(110)의 높이를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는 인조잔디(100)의 평평함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매트(110)에 제1 단차(111) 및 제2 단차(112)가 형성되면, 인조잔디(100)의 설치 시에 복수의 인조잔디(100)들 사이로 접착제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인조잔디(100) 간의 접착력 및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매트(110)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잔디파일(130)을 고정하는 지조직층(113)과, 지조직층(113)의 하단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제고하는 탄성층(114)을 포함할 수 있다.
지조직층(113)은 복수의 잔디파일(130)이 심어져서 복수의 잔디파일(130)이 고정되는 곳으로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평직물을 사용할 수 있다.
탄성층(114)은 라텍스(latex), EPP(expanded poly propylene), SBR(styrene-butadiene rubber), PVC(polyvinyl chloride), PU(polyurethane) 등 을 사용될 수 있으며, 탄성층(114)의 높이는 10 내지 25㎜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인조잔디가 지반에 설치되는 방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인조잔디(100)가 설치되는 방법은, 먼저 지반(10)에 평탄화 작업을 실시하고, 지반(10) 위에 자갈층(미도시)을 다짐한다.
이후, 본딩영역(B2)에 대응되는 위치에 본딩력을 향상시키는 본딩천(20)을 배치한다. 본딩천(20)은 인조잔디 매트와의 접착을 강화하며, 인조잔디 매트가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본딩천(20)은 본딩영역(B2) 뿐만 아니라, 중앙영역(B1)에 걸쳐 배치될 수도 있다. 본딩천(20)으로 조인트 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이후, 본딩영역(B2)에 대응되는 위치에 접착제(30)를 도포한다.
이후, 인조잔디(100)의 본딩영역(B2)이 상기 접착제(30)가 도포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킨 후, 접착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인조잔디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인조잔디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9는 인조잔디 제조에 사용되는 인두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인조잔디의 제조방법은 매트(110)를 형성하는 단계(S110), 매트(110)의 상부에 복수의 잔디파일(130)을 형성하는 단계(S120) 및 매트(110)에 배수홀(120)과 흐름방지부(115)를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
실시예의 인조잔디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술한 합성수지 재질로 인조잔디(100)의 몸체가 되는 매트(110)를 형성한다(S110).
매트(110)이 상부에 사용용도에 알맞게 복수의 잔디파일(130)을 형성한다(S120).
매트(110)에 배수홀(120)과 흐름방지부(115)를 동시에 형성한다.(S130)
여기서, 배수홀(120)과 흐름방지부(115) 형성 단계는 인두(20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인두(200)는 배수홀(120)을 생성하는 관통부(230)와 흐름방지부(115)를 생성하는 패턴부(240)을 포함한다. 인두(200)는 열로써, 매트(110)에 구멍을 뚫거나, 일정한 형상을 새기는 장치이다.
즉, 인두(200)는 장방형의 플레이트(210)의 중앙영역(B1)에 대응하는 부위에 복수의 배수홀(120)을 형성하는 관통부(230)가 배치되고, 플레이트(210)의 본딩영역(B2)에 대응하는 부위에 흐름방지부(115)를 형성하는 패턴부(240)가 배치된다.
관통부(230)는 복수의 배수홀(120)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송곳 형상을 가진다.
패턴부(240)는 흐름방지부(115)의 모양에 대응되도록 요철부 및 다양한 모양을 가지는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손 쉽게 복수의 배수홀(120)과 흐름방지부(115)를 형성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작업시간이 대폭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인조잔디 110 : 매트
120 : 배수홀 130 : 잔디파일

Claims (14)

  1. 지반에 포설되고, 중앙영역과 하부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본딩영역으로 구획되는 매트;
    상기 매트 상에 잔디 모양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잔디파일;
    상기 본딩영역의 하부에 형성되며, 본딩력을 강화하고 상기 접착제의 흐름을 방지하는 흐름방지부; 및
    상기 매트의 중앙영역만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배수홀을 포함하고,
    상기 흐름방지부는, 상기 본딩영역의 하부면과 지반 사이에 상기 접착제가 머무르는 소정의 공간을 가지도록, 상기 본딩영역의 하부면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홈 또는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흐름방지부는 상기 복수의 배수홀과 동시에 형성되며,
    상기 본딩영역은 상기 매트의 폭 방향 양단부 및 상기 매트의 길이 방향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양단부에서 소정의 폭을 가지고 구획되는 인조잔디.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영역은 상기 매트의 폭 방향 양단부에서 소정의 폭을 가지고 구획되고, 상기 매트의 폭 방향 양단부에서 소정의 폭을 가지고 구획되는 상기 본딩영역의 폭은 30cm 내지 40cm인 인조잔디.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물결모양 또는 와플모양으로 형성되는 인조잔디.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매트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인조잔디.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단부 중 일단부에는 제1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양단부 중 타단부에는 상기 제1 단차와 맞물리는 형상을 가지는 제2 단차가 형성되는 인조잔디.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차는 상기 본딩영역에 형성되는 인조잔디.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는,
    상기 잔디파일을 고정하는 지조직층 및
    상기 지조직층의 하단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제고하는 탄성층을 포함하는 인조잔디.
  13. 매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매트의 상부에 복수의 잔디파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매트의 하부 중 접착제가 도포되는 본딩영역에 흐름방지부를 형성하고,상기 본딩영역의 나머지 부분인 중앙영역에만 복수의 배수홀을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흐름방지부와 상기 배수홀을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흐름방지부는, 상기 본딩영역의 하부면과 지반 사이에 상기 접착제가 머무르는 소정의 공간을 가지도록, 상기 본딩영역의 하부면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홈 또는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딩영역은 상기 매트의 폭 방향 양단부 및 상기 매트의 길이 방향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양단부에서 소정의 폭을 가지고 구획되는 인조잔디의 제조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방지부 및 상기 배수홀을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배수홀을 생성하는 관통부, 및 상기 흐름방지부를 생성하는 패턴부를 가지는 인두에 의해 형성되는 인조잔디의 제조방법.
KR1020120088877A 2012-08-14 2012-08-14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 KR101287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877A KR101287994B1 (ko) 2012-08-14 2012-08-14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877A KR101287994B1 (ko) 2012-08-14 2012-08-14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052A Division KR20140022343A (ko) 2013-05-31 2013-05-31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7994B1 true KR101287994B1 (ko) 2013-07-23

Family

ID=48997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877A KR101287994B1 (ko) 2012-08-14 2012-08-14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79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212B1 (ko) 2020-05-12 2020-09-09 (주)에스씨알 친환경 폴리우레아 백코팅층을 이용하여 인발력을 향상시킨 인조잔디매트
KR20230018173A (ko) * 2021-07-29 2023-02-07 메버텍주식회사 천연 및 인조 잔디를 포함하는 모듈형 하이브리드 잔디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0699A (ko) * 2004-03-09 2005-09-14 필드터프승목(주) 인조잔디 운동장용 배수블록
KR101107662B1 (ko) * 2011-10-31 2012-01-20 (주) 베스트필드코리아 인조잔디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0699A (ko) * 2004-03-09 2005-09-14 필드터프승목(주) 인조잔디 운동장용 배수블록
KR101107662B1 (ko) * 2011-10-31 2012-01-20 (주) 베스트필드코리아 인조잔디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212B1 (ko) 2020-05-12 2020-09-09 (주)에스씨알 친환경 폴리우레아 백코팅층을 이용하여 인발력을 향상시킨 인조잔디매트
KR20230018173A (ko) * 2021-07-29 2023-02-07 메버텍주식회사 천연 및 인조 잔디를 포함하는 모듈형 하이브리드 잔디 및 그 제조 방법
KR102561325B1 (ko) * 2021-07-29 2023-07-28 메버텍주식회사 천연 및 인조 잔디를 포함하는 모듈형 하이브리드 잔디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15755B1 (en) Surface underlayment system with interlocking resilient anti-slip shock tiles
EP1853766B1 (en) Artificial grass turf system
US7166340B1 (en) Artificial turf system
JP5909311B2 (ja) 人工芝生の敷設構造及び人工芝生のリニューアル方法
US9194086B1 (en) System and method for absorbing shocks impacts while providing water drainage
KR101791257B1 (ko) 수평배수형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
KR102019094B1 (ko) 인조잔디매트 시스템
US8226491B2 (en) Shock absorbing athletic field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US20100041488A1 (en) Playing Surfa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Playing Surface
US20140193593A1 (en) Artificial turf
KR101287994B1 (ko)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
WO2019058723A1 (ja) 人工芝構造体
GB2429171A (en) Artificial turf
JP5416613B2 (ja) 人工芝連結体
KR20110068249A (ko) 인조잔디 설치용 조립식 모듈
US20230145157A1 (en) Artificial turf
KR102065768B1 (ko) 배수기능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인조잔디 구조체
KR20140022343A (ko)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
CN217758173U (zh) 预制型跑道的卷材以及预制型跑道
KR101554597B1 (ko) 인조잔디용 탄성패드
KR102382126B1 (ko)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30034724A (ko) 핀 고정형 탄성매트
KR20110112524A (ko) 인조 잔디 구조물 및 인조 잔디 시공 방법
KR200469908Y1 (ko) 잔디 보호용 매트
JP5520165B2 (ja) 人工芝生敷設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