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409B1 - 다중 섬유 집속형 인조잔디 구조체 - Google Patents

다중 섬유 집속형 인조잔디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409B1
KR102427409B1 KR1020210078115A KR20210078115A KR102427409B1 KR 102427409 B1 KR102427409 B1 KR 102427409B1 KR 1020210078115 A KR1020210078115 A KR 1020210078115A KR 20210078115 A KR20210078115 A KR 20210078115A KR 102427409 B1 KR102427409 B1 KR 102427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fiber
layer
yarn
fiber yarn
artificial tur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세준
권영훈
배기태
고영태
조광수
노현석
정은선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8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4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7/00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Base fabrics specially adapted for embroidered work; Inserts for producing surface irregularities in embroidered products
    • D05C17/02Tufted products
    • D05C17/026Tuft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tufted pile surfac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20Industrial for civil engineering, e.g. geotextiles
    • D10B2505/202Artificial gras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섬유 집속형 인조잔디 구조체는, 기포층, 상기 기포층의 하면에 위치하고, 융점이 서로 다른 제1 섬유 및 제2 섬유로 이루어진 보강섬유층 및 복수의 파일사로 이루어져 상기 기포층 및 상기 보강섬유층에 터프팅되고, 일측이 상기 기포층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타측이 상기 보강섬유층의 저면과 융착되어 있는 파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섬유층은, 니들펀칭되어 상기 기포층 상면으로 노출된 제1 보강섬유사와, 상기 보강섬유층 저면으로 노출된 제2 보강섬유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 섬유 집속형 인조잔디 구조체{Multi-fiber lumped artificial turf structure}
본 발명은 다중 섬유 집속형 인조잔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인조잔디는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천연잔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1965년 개발된 이래로 지속적으로 단점들이 개선되면서 이제 각종 스포츠 경기장용뿐만 아니라 레저용, 조경용, 놀이터용, 보행로용 등으로 그 사용이 확대되어 가고 있으며, FIFA에서는 인조잔디구장에서도 국제대회를 유치할 수 있도록 규정을 바꾸면서 인조잔디의 사용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인조잔디는 유지와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자외선과 반복적인 사용에 따른 외부 충격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파일 표면이 변질되거나, 파일이 파손 또는 절단되고, 파일 사이로 충전한 고무 충전재가 심하게 이동하거나 인조잔디의 파일이 옆으로 누워 완충없이 직접 외력을 받는 등 사용 빈도에 따라 3~8 년이 지나면 수명이 다하게 된다.
이렇게 수명이 다한 인조잔디를 교체할 때 대규모의 산업 폐기물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인조잔디가 각종 스포츠 경기장 뿐만 아니라 다양한 곳에서 그 사용 범위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폐기해야 하는 인조잔디의 양도 증가하면서 인조잔디를 재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하지만 전통적인 인조잔디는 PP나 PE등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한 잔디파일을 기포지에 파일을 고정할 때에는 열경화성 수지인 PU나 아크릴라텍스 등의 수지를 사용하여 기포지에 고정시켜 제작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와 열경화성 수지를 분리하여야 재활용 가능하나 수명이 다한 인조잔디에서 이를 분리하는 작업은 많은 비용이 발생하기에 재활용에 장애가 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잔디파일 하부를 직접 기포지에 가열용융 접착하는 방식이 시도되기도 하였으나 이는 파일의 인발강도가 저하되고 파일의 용융되었던 부분의 강도가 저하되어 쉽게 절단되는 단점이 있으며 잔디 카펫 전체의 안정성과 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 잔디 하부에 필름형태의 시트를 가열접착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배수구멍을 뚫어야 하는 단점이 있고 잔디카펫 전체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3126호(2016.07.21.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별도의 백킹층을 구비하지 않고도, 인발강도, 배수성 및 형태 안정성이 향상된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섬유 집속형 인조잔디 구조체는, 기포층, 상기 기포층의 하면에 위치하고, 융점이 서로 다른 제1 섬유 및 제2 섬유로 이루어진 보강섬유층 및 복수의 파일사로 이루어져 상기 기포층 및 상기 보강섬유층에 터프팅되고, 일측이 상기 기포층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타측이 상기 보강섬유층의 저면과 융착되어 있는 파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섬유층은, 니들펀칭되어 상기 기포층 상면으로 노출된 제1 보강섬유사와, 상기 보강섬유층 저면으로 노출된 제2 보강섬유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섬유의 융점은, 120~200 ℃이고, 상기 제2 섬유의 융점은, 200~250 ℃일 수 있다.
상기 제1 섬유 및 상기 제2 섬유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및 이들의 혼합 수지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보강섬유사 및 상기 제2 보강섬유사의 섬도는, 2~10 데니어(Denier)일 수 있다.
상기 제1 보강섬유사 및 상기 제2 보강섬유사는, 상기 보강섬유층 100 중량% 대비 1 ~ 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제1 보강섬유사의 일부는, 상기 기포층의 상측으로 돌출된 파일부의 일부와 융착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 보강섬유사 및 상기 제2 보강섬유사의 길이는, 1 ~ 5mm일 수 있다.
상기 제2 보강섬유사의 일부는, 상기 보강섬유층과, 상기 보강섬유층 저면에 돌출된 파일부와 융착될 수 있다.
상기 보강섬유층은, 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공은, 상기 보강섬유층의 전체 면적 대비 1 ~ 5%를 차지할 수 있다.
상기 파일사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발강도, 배수성 및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백킹층 형성공정을 실시하지 않음으로써 생산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시공성이 우수하며, 재활용이 용이하고, 경량인 것은 물론, 인조잔디 구조체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중 섬유 집속형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Ⅱ-Ⅱ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의 A 구역을 확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섬유 집속형 인조잔디 구조체(1)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기포층(100), 상기 기포층(100)의 하면에 위치하고, 융점이 서로 다른 제1 섬유 및 제2 섬유로 이루어진 보강섬유층(200) 및 복수의 파일사로 이루어져 상기 기포층(100) 및 상기 보강섬유층(200)에 터프팅되고, 일측이 상기 기포층(10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타측이 상기 보강섬유층(200)의 저면과 융착되어 있는 파일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섬유층(200)은, 니들펀칭되어 상기 기포층(100) 상면으로 노출된 제1 보강섬유사(210)와, 상기 보강섬유층(200) 저면으로 노출된 제2 보강섬유사(220)를 포함함으로써, 인발강도 및 배수성이 우수한 다중 섬유 집속형 인조잔디 구조체(1)를 제공한다.
상기 기포층(100)은 인조잔디 구조체(1)의 기초를 형성하며, 하기에서 설명되는 파일부(30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포층(100)은 날실과 씨실이 교차하여 결합된 그물 구조이며,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1 종 이상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섬유층(200)은, 상기 기포층(100)의 하면에 위치하고, 융점이 서로 다른 제1 섬유 및 제2 섬유로 구성되어 하나의 층으로 이루질 수 있다.
상기 보강섬유층(200)은 30~70 중량%의 제1 섬유 및 30~70 중량%의 제2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섬유층(200)은 형태안정성, 인발강도, 직립안정성 및 충격흡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구성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섬유층(200)을 구성하는 상기 제1 섬유 및 상기 제2 섬유는 융점의 차이로 인하여, 융점이 낮은 상기 제1 섬유의 일부는 용융되어 상기 기포층(100) 또는 파일부(300)와 결합되어 형태안정성, 인발강도 및 직립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융점이 높은 상기 제2 섬유는 인조잔디 구조체(1)의 충격흡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형태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섬유의 섬도는 2~10 denier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섬유의 섬도는 2~10 denier일 수 있다.
상기 제1 섬유 및 상기 제2 섬유의 섬도가 2 denier 미만이면, 상기 제1 섬유 및 제2 섬유에 의해 구현되는, 파일부의 인발강도, 직립안정성이 저하되고, 충격흡수율 및 형태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denier를 초과하면 상기 보강섬유층의 니들펀칭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상기한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섬유는 저융점 섬유이며, 융점이 120~200 ℃일 수 있다.
상기 제1 섬유의 융점이 120 ℃ 미만이면, 저온에서 융착되어 인발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 ℃를 초과하면, 가공 작업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제품의 형태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어, 상기한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저융점 섬유인 상기 제1 섬유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용하였으나,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및 이들의 혼합 수지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 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 수지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섬유는 고융점 섬유이며, 융점이 200~250 ℃일 수 있다.
상기 제2 섬유의 융점이 200 ℃ 미만이면, 상기 제1 섬유와의 융점 차이를 통한 기술적 장점을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250 ℃를 초과하면, 최종 제품의 형태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상기한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고융점 섬유인 상기 제2 섬유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사용하였으나,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및 이들의 혼합 수지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 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 수지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섬유층(200)의 두께는 0.05~5 mm일 수 있다. 상기 보강섬유층(200)의 두께가 0.05 mm 미만이면 충격흡수성이 저하되며, 5 mm를 초과하면 터프팅 공정 시 보강섬유층(200)의 부피 증가로 인해 이송의 어려움이 있고, 터프팅 공정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상기 보강섬유층(200)은 니들펀칭되어 상기 기포층(100) 상면으로 노출된 제1 보강섬유사(210)와, 상기 보강섬유층(200) 저면으로 노출된 제2 보강섬유사(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보강섬유사(210)가 기포층(100)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기포층(100) 및 상기 보강섬유층(200)은 접착제 없이도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포층(100) 상면으로 돌출된 상기 제1 보강섬유사(210) 및 상기 보강섬유층(200) 저면으로 돌출된 상기 제2 보강섬유사(220)는 상기 보강섬유층(200)을 구성하는 성분과 동일한 성분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 보강섬유사(210) 및 상기 제2 보강섬유사(220)는 상기 제1 섬유(저융점) 및 상기 제2 섬유(고융점)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보강섬유사(210) 및 상기 제2 보강섬유사(220)의 섬도는, 2~10 데니어(Denier)이고, 상기 제1 보강섬유사(210) 및 상기 제2 보강섬유사(220)의 길이는 1~5mm일 수 있다.
상기 제1 보강섬유사(210) 및 상기 제2 보강섬유사(220)의 섬도가 2 데니어 미만이면, 기포층(100), 보강섬유층(200) 및 파일부(300) 간의 결합력이 낮아져 인발강도 및 형태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데니어를 초과하면 제편 작업성 및 인발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상기한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보강섬유사(210) 및 상기 제2 보강섬유사(220)의 길이는 1~5mm 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보강섬유사(210) 및 상기 제2 보강섬유사(220)의 두께가 1 mm 미만이면, 기포층(100), 보강섬유층(200), 원사 간의 결합력을 저하시켜 인발강도 및 형태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5 mm를 초과하면 가공 작업성 및 생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상기한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보강섬유사(210) 및 상기 제2 보강섬유사(220)는, 상기 보강섬유층(200) 100 중량% 대비 1 ~ 5 중량%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보강섬유사(210) 및 상기 제2 보강섬유사(220)의 중량이 1 중량% 미만이면, 기포층(100), 보강섬유층(200) 및 파일부(300) 간의 결합력이 낮아져 인발강도 및 형태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5 중량%를 초과하면 가공 작업성 및 생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상기한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보강섬유사(210)의 일부는, 상기 기포층(100)의 상측으로 돌출된 파일부(300)의 일부와 융착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보강섬유사(210)의 일부가 열에 의해 파일부(300)의 일부와 융착됨으로써, 파일부(300)의 직립안정성을 향상시키거나 파일부(300)와의 결합력을 통해 인발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보강섬유층(200)의 저면으로 돌출된 상기 제2 보강섬유사(220)의 일부는, 상기 보강섬유층(200)과, 상기 보강섬유층(200) 저면에 돌출된 파일부(300)와 융착된 형태일 수 있다.
즉, 파일부(300), 보강섬유층(200), 및 제2 보강섬유사(220)의 일부가 열에 의해 모두 융해되어 집속되는 형태이며, 이는 도 2 및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보강섬유층(200)을 구성하는 저융점 섬유인 상기 제1 섬유는 열에 의해 그물 구조의 기포층(100)과 융착됨으로써, 기공(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섬유층(200)은 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공은, 상기 보강섬유층(200)의 전체 면적 대비 1~5%를 차지할 수 있으며, 통기성 및 투수성을 향상시켜 사용자의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기공이 전체 면적 대비 1 % 미만이면 통성성 및 투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5 %를 초과하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상기한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파일부(300)는, 복수의 파일사로 이루어져 상기 기포층(100) 및 상기 보강섬유층(200)을 관통하여 터프팅된다.
또한, 상기 파일사의 일측은 상기 기포층(10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타측이 상기 보강섬유층(200)과 융착되어 있다.
상기 파일사의 융점은 보강섬유층(200)을 구성하는 저융점인 제1 섬유의 융점보다는 높고, 고융점 섬유인 제2 섬유보다는 낮다.
따라서, 열에 의해 파일사와 보강섬유층(200)이 융착될 때 파일사 및 보강섬유층(200)의 저융점 제1 섬유는 서로 융해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보강섬유층(200) 저면으로 돌출된 제2 보강섬유사(220)의 일부도 융해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포층(100)의 상측으로 돌출된 파일사의 길이는 20~65 mm일 수 있으며, 인조잔디 구조체(1)의 설치 장소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파일사는 단독 모노필라멘트사 또는 클림프사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모노필라멘트사를 이용하여 파일부(300)를 구성하였으나, 상기 모노필라멘트사 및 클림프사를 함께 터프팅하여 파일부(300)를 구성할 수 있어, 이를 제하하지 않는다. 이 경우, 상기 클림프사는 모노필라멘트사의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여 모노필라멘트사의 직립안정성이 향상시킬 수 있고, 충격흡수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파일사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실시예 1
먼저,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 기포지의 저면에 융점이 120 ℃인 폴리에틸렌 섬유 및 융점이 220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로 구성된 부직포(보강섬유층)를 적층시킨 후 상하로 니들펀칭하여 제1 보강섬유사 및 제2 보강섬유사가 형성된 중간체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중간체에 융점이 130 ℃인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된 파일사를 터프팅하였다.
마지막으로, 부직포의 저면에 140 ℃의 열을 가하여 파일사 및 제2 보강섬유사의 일부를 부직포 상에 융착시켜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이때, 니들펀칭시 제1 보강섬유사 및 제2 보강섬유사의 섬도는 5 데니어이고, 제1 보강섬유사의 길이는 2 mm이였고, 상기 제1 보강섬유사 및 제2 보강섬유사는 보강섬유층 100 중량 대비 2.5 중량%이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니들펀칭시 제1 보강섬유사 및 제2 보강섬유사의 섬도를 변경하여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이때, 제1 보강섬유사 및 제2 보강섬유사의 섬도는 2 데니어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니들펀칭시 제1 보강섬유사 및 제2 보강섬유사의 섬도를 변경하여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이때, 제1 보강섬유사 및 제2 보강섬유사의 섬도는 10 데니어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상기 제1 보강섬유사 및 상기 제2 보강섬유사의 함량을 2.5 중량% 대신 1 중량%로 변경하여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상기 제1 보강섬유사 및 상기 제2 보강섬유사의 함량을 2.5 중량% 대신 5 중량%로 변경하여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2 mm의 제1 보강섬유사 대신에 1 mm가 되도록 하여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2 mm의 제1 보강섬유사 대신에 5 mm가 되도록 하여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니들펀칭시 제1 보강섬유사 및 제2 보강섬유사의 섬도를 변경하여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이때, 제1 보강섬유사 및 제2 보강섬유사의 섬도는 1 데니어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니들펀칭시 제1 보강섬유사 및 제2 보강섬유사의 섬도를 변경하여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이때, 제1 보강섬유사 및 제2 보강섬유사의 섬도는 15 데니어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상기 제1 보강섬유사 및 상기 제2 보강섬유사의 함량이 1 중량% 대신 0.1 중량%로 설정하여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상기 제1 보강섬유사 및 상기 제2 보강섬유사의 함량이 1 중량% 대신 10 중량%로 설정하여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제1 보강섬유사의 길이를 0.5 mm로 설정하여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제1 보강섬유사의 길이를 7 mm로 설정하여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제1 보강섬유사 및 제2 보강섬유사 대신에 제1 보강섬유사만 형성시켜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 내지 7, 비교예 1 내지 7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의 인발강도 및 형태 안정성을 평가하여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방법]
형태안정성(치수 변화율): 상온(23℃)에 24시간동안 시편을 안정화 시킨 후, 가로 및 세로의 치수를 측정하고, 80℃의 열풍 오븐에 24시간 방치 후, 상온(23℃)에서 1시간 동안 안정화 시킨 후의 가로 및 세로의 치수를 측정하여, 열풍 처리 전 후의 시편의 치수 변화율을 산출함.
인발강도: KS F3888-1 규격에 준하여 측정함.
구분 인발강도(N) 형태안정성
치수 변화율
실시예 1 92 -0.5
실시예 2 86 -0.5
실시예 3 88 -0.5
실시예 4 84 -1.0
실시예 5 85 -0.5
실시예 6 84 -1.0
실시예 7 86 -0.5
비교예 1 82 -1.5
비교예 2 82 -1.5
비교예 3 84 -2.5
비교예 4 82 -1.5
비교예 5 86 -2.5
비교예 6 85 -2.5
비교예 7 86 -2.5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비교예 1 내지 7에 비해 실시예 1 내지 7이 인발강도 및 형태안정성이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실시예 1의 인발강도 및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한편, 실시예 1과 비교예 7(제1 보강섬유사만 형성)를 비교하여 보면, 제2 보강섬유사가 형성됨으로써, 인조잔디 구조체의 인발강도 및 형태 안정성 개선되었는데 이는 보강섬유층 저면에 위치한 제2 보강섬유의 일부가 열에 의해 용융되어 파일사 및 보강섬유층과 결합함으로써, 인조잔디 구조체의 인발강도 및 형태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 인조잔디 구조체
100: 기포층
200: 보강섬유층
210: 제1 보강섬유사
220: 제2 보강섬유사
300: 파일부

Claims (10)

  1. 기포층,
    상기 기포층의 하면에 위치하고, 융점이 서로 다른 제1 섬유 및 제2 섬유로 이루어진 보강섬유층 및
    복수의 파일사로 이루어져 상기 기포층 및 상기 보강섬유층에 터프팅되고,
    일측이 상기 기포층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타측이 상기 보강섬유층의 저면과 융착되어 있는 파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섬유층은,
    니들펀칭되어 상기 기포층 상면으로 노출된 제1 보강섬유사와, 상기 보강섬유층 저면으로 노출된 제2 보강섬유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섬유는 융점이 120~200 ℃이며,
    상기 제2 섬유는 융점이 200~250 ℃이고,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및 이들의 혼합 수지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보강섬유사 및 제2 보강섬유사는, 길이가 1 ~ 5 mm이며,
    상기 보강섬유층 100 중량% 대비 1 ~ 5 중량%이며,
    상기 제1 보강섬유사의 일부는,
    상기 기포층의 상측으로 돌출된 파일부의 일부와 융착되어 있는 형태이고,
    상기 제2 보강섬유사의 일부는,
    상기 보강섬유층과, 상기 보강섬유층 저면에 돌출된 파일부와 융착된 형태이며,
    상기 보강섬유층은, 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공은, 상기 보강섬유층의 전체 면적 대비 1 ~ 5%를 차지하며,
    상기 파일사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섬유 집속형 인조잔디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섬유사 및 상기 제2 보강섬유사의 섬도는,
    2~10 데니어(Deni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섬유 집속형 인조잔디 구조체.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78115A 2021-06-16 2021-06-16 다중 섬유 집속형 인조잔디 구조체 KR102427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115A KR102427409B1 (ko) 2021-06-16 2021-06-16 다중 섬유 집속형 인조잔디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115A KR102427409B1 (ko) 2021-06-16 2021-06-16 다중 섬유 집속형 인조잔디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7409B1 true KR102427409B1 (ko) 2022-07-29

Family

ID=82606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115A KR102427409B1 (ko) 2021-06-16 2021-06-16 다중 섬유 집속형 인조잔디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4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659B1 (ko) * 2022-12-29 2024-04-08 코니필드(주) 재활용 보강층을 포함하는 충격흡수패드
KR102717027B1 (ko) * 2023-08-31 2024-10-15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물성 보강층을 포함하는 충격흡수패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126B1 (ko) 2016-01-20 2016-07-27 문진호 친환경 인조잔디 매트용 코팅제
KR20190058253A (ko) * 2017-11-21 2019-05-29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KR102244590B1 (ko) * 2020-04-29 2021-04-26 넥스포텍 주식회사 파일사와 기포층의 결합력을 향상시킨 인조잔디 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126B1 (ko) 2016-01-20 2016-07-27 문진호 친환경 인조잔디 매트용 코팅제
KR20190058253A (ko) * 2017-11-21 2019-05-29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KR102244590B1 (ko) * 2020-04-29 2021-04-26 넥스포텍 주식회사 파일사와 기포층의 결합력을 향상시킨 인조잔디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659B1 (ko) * 2022-12-29 2024-04-08 코니필드(주) 재활용 보강층을 포함하는 충격흡수패드
KR102717027B1 (ko) * 2023-08-31 2024-10-15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물성 보강층을 포함하는 충격흡수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797B1 (ko) 인조잔디
KR102424160B1 (ko) 배수성이 우수한 충격흡수패드
US7294383B2 (en) Moldable construction incorporation non-olefin bonding interface
KR101962318B1 (ko) 인조잔디 구조체
CN104995351B (zh) 阻尼层及其制造方法和使用方法以及一种纺织物
KR102427409B1 (ko) 다중 섬유 집속형 인조잔디 구조체
KR101977176B1 (ko) 3중 구조의 파일원사를 가지는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
KR20130078103A (ko) 인조잔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834039B1 (ko)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
US20230145157A1 (en) Artificial turf
KR102244590B1 (ko) 파일사와 기포층의 결합력을 향상시킨 인조잔디 구조체
KR101976119B1 (ko) 터프팅성이 우수한 카페트 기포지용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2039074B1 (ko) 형태안정성이 향상된 카펫 기포지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8672B1 (ko) 지면 결합력과 수분 흡수율을 높인 인조잔디 구조체
KR100536737B1 (ko) 격자 형상의 플라스틱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374717B1 (ko) 고상의 금속 도전사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및 미세먼지 제거용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2742806Y (zh) 新型复合材料的安全鞋头
KR20010096241A (ko) 텍스타일 지오그리드
CN107313323B (zh) 人造草坪用弹性地垫及其制备方法
KR101859667B1 (ko) 섬유 충진재를 이용한 인조잔디 구조체
JPH0226965Y2 (ko)
KR101650685B1 (ko) 인조잔디매트의 원사 제편용 지지체
KR102717026B1 (ko) 탄성 회복력이 우수한 완충층을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KR102417615B1 (ko) 인조잔디 구조체
KR102717032B1 (ko) 폐인조잔디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충격흡수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