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691B1 -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 Google Patents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691B1
KR101764691B1 KR1020160158304A KR20160158304A KR101764691B1 KR 101764691 B1 KR101764691 B1 KR 101764691B1 KR 1020160158304 A KR1020160158304 A KR 1020160158304A KR 20160158304 A KR20160158304 A KR 20160158304A KR 101764691 B1 KR101764691 B1 KR 101764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ad
fixed
shape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훈
김종필
정국노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주) 오리온 필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주) 오리온 필름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8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6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2Foundations, e.g. with drainage or hea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탄성력을 갖는 충격흡수패드, 상기 충격흡수패드 위에 배치된 기포부 및 상기 기포부와 연결된 복수의 잔디파일을 포함한다.
따라서, 충격흡수패드의 영구 압축률을 구현할 수 있는 형태안정층과, 플레이 성능과 안전성을 구현할 수 있는 충격흡수층 및 충격흡수패드의 형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물성보완층에 의해 인조잔디 구조체는 플레이 성능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SHOCK ABSORBING PAD AND ARTIFICIAL TURF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충격흡수패드는 선수들의 플레이(PALY) 성능을 확보하고 경기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의 위험을 해소하기 위하여 인조잔디 원단(기포부+잔디파일) 또는 매트 하부에 시공된다.
충격흡수패드는 기계적인 물성(인장강도, 인장신도, 영구압축률, 치수 안정성, 내오존성능 등)과 안전성능(플레이성능, 충격흡수성, 수직 변형률 등)이 무엇보다 요구된다.
이러한 충격흡수패드에는 발포 플라스틱, 천연 또는 합성 고무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무층은 적정 두께 내지는 기능적인 특성이 부여되고 표면에 배수 펀칭홀 등이 형성되어 있다.
연질 플라스틱은 안전성능 및 플레이성능에서 업계 최고 품질 수준으로서, 국제축구연맹(Fede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FIFA)에서 정하는 안전기준에 부응해야 한다. 하지만, 기계적인 물성 특히 반복적인 하중에 의한 영구 압축 및 회복률에 치명적인 단점과 시공 후 장기 사용 시 충격흡수패드의 폭, 길이, 두께 방향으로의 치수 안정성이 취약한 단점이 있다.
그러나, 천연 또는 고무 소재 계통의 충격흡수패드는 인장 강신도, 영구 압축 및 회복률 등에 있어서는 월등히 우수하지만 가격이 고가이고 표면 등에 기능적인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가공성이 취약하며 특히 인조잔디 용도에서 핵심적으로 요구되는 플레이6 및 안전성능(충격흡수성과 수직 변형률)이 매우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폐 고무 등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인체 유해물질 함유 등에서 자유롭지 못한 문제가 있으며, 안전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무의 발포 가공을 통한 제조에는 발포 플라스틱이 가진 단점을 해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432210호 (2006.11.23.)
본 발명은 기계적인 물성과, 안전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소재와 인체 유해물질 함유에서 자유로운 충격흡수패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는 완충력을 갖는 형태안정층 및 상기 형태안정층 위에 배치된 물성보완층을 포함한다.
상기 충격흡수패드는, 상기 형태안정층과 상기 물성보완층 사이에 배치된 제1 특성조절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패드는, 상기 형태안정층 아래에 배치된 충격흡수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층은 복수의 에어공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패드는 상기 충격흡수층 아래에 배치된 제2 특성조절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에어공간은 상기 에어공간은 상기 제1 특성조절층 및 상기 제2 특성조절층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는 제1 충격흡수층, 상기 제1 충격흡수층 위에 배치된 특성조절층 및 상기 특성조절층 위에 배치된 물성보완층을 포함한다.
상기 충격흡수패드는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제1 충격흡수층 아래에 배치된 형태안정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패드는 상기 형태안정층 아래에 배치된 제2 충격흡수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충격흡수층 및 상기 제2 충격흡수층은 복수의 에어공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패드는 상기 형태안정층 내부에 방사상 형태로 복수 배열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패드는 상기 탄성부재의 외부 둘레를 감싸 부식을 방지하는 코팅층 및 상기 코팅층 표면에 형성되어 형태안정층을 이루는 원단이 걸리는 요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패드는, 상기 물성보완층과 결합되어 기초층에 고정된 패드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드 고정부는, 상기 기초층에 고정되고 일면이 개방되어 있어 있으며 내부에 삽입공간이 형성된 고정 하우징 및 상기 물성보완층에 고정되어 있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고정 하우징 내부로 삽입 고정된 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 부재는, 상기 물성보완층 내부에 고정되어 노출되지 않는 핀 머리, 상기 핀 머리에서 상기 기초층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고정 하우징 내부로 삽입된 핀 몸체 및 상기 핀 몸체의 외부 둘레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된 걸림편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걸림편의 일측은 상기 핀 몸체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핀 몸체와 떨어져 있으며 상기 고정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걸림편의 타측은 상기 고정 하우징의 내부면에 걸릴 수 있다.
상기 고정 하우징의 내부 바닥에는 상기 핀 몸체를 향해 확장 가이드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내부 바닥에는 상기 확장 가이드의 주변을 따라 입구를 가지는 고정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 부재의 끝에는 복수의 분할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할편이 상기 확장 가이드에 접하면 상기 분할편은 상기 확장 가이드를 따라 펼쳐지면서 상기 입구를 통해 상기 고정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패드 고정부는, 상기 핀 머리에 분리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고정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 하우징의 내부 바닥 및 상기 분할편을 관통하는 복수의 고정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는 상기와 같이 기재된 충격흡수패드, 상기 충격흡수패드 위에 배치된 기포부 및 상기 기포부와 연결된 복수의 잔디파일을 포함한다.
상기 인조잔디 구조체는, 상기 기포부 위에 배치된 규사층 및 상기 규사층 위에 배치된 탄성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논-우븐 패브릭으로 형성되어 영구 압축률을 구현할 수 있는 형태안정층에 의해 충격흡수패드는 기계적인 물성을 높일 수 있고 완충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패드는 형태안정층에 의해 영구 압축률을 구현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인체 유해물질 사용을 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논-우븐 패브릭으로 형성된 형태안정층과 플레이 성능과 안전성을 구현할 수 있는 충격흡수층에 의해 충격흡수패드는 형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인조잔디 구조체를 이용하는 운동자의 플레이 성능이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성보완층 및 형태안정층이 패드 고정부에 의해 기초층 위에 견고히 고정된다. 또한 패드 고정부에 의해 충격흡수패드를 기초층에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인체에 유해성분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무 따위로 형성된 물성보완층, 논-우븐 패브릭으로 형성된 형태안정층 및 폼 형태로 형성된 충격흡수층이 혼합되어 일체화된 충격흡수패드는 충격흡수에 대한 가치가 향상된다. 이와 더불어 가치가 높아진 충격흡수패드는 충격흡수층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 흡수가 용이하며, 기초층에 따라 충격흡수층이 변형되어도 형태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기계적 물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충격흡수패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2의 충격흡수패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3의 충격흡수패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도 4의 충격흡수패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충격흡수패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도 1의 충격흡수패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도 7의 충격흡수패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도 8의 충격흡수패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도 1의 충격흡수패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11은 도 1의 충격흡수패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12는 도 11의 패드 고정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패드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14는 도 13의 패드 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는 본 발명의 인조잔디 구조체에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충격흡수패드가 적용된 인조잔디 구조체 위주로 설명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에 대하여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1)는 충격흡수패드(2), 잔디파일(100), 기포부(200), 규사층(300) 및 탄성층(400)을 포함하며 기계적인 물성과, 안전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소재와 인체 유해물질 함유에서 자유롭도록 한다.
인조잔디 구조체(1)는 지반의 상부에 자갈이나 마사토, 일반 토양, 콘크리트, 아스팔트 등으로 형성된 기초층(G)에 설치될 수 있다.
잔디파일(100)은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는 기포부(200)에 방사상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잔디파일(100)은 나일론(NYLON),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phthalate; PET), 스티렌-부타디엔(styrene-butadiene rubber; SBR)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잔디파일(100)의 재질을 나일론, PE, PP, PET, SBR 등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PE를 사용하는 경우 재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기포부(200)는 잔디파일(100)을 고정 지지한다. 기포부(200)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올레핀 (polyolefine; PO), 폴리에스테르(polyester; PS), 나일론(NYLON)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기포부(200)의 재질을 PE, PO, PS, 나일론 등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PE를 사용하는 경우 재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규사층(300)과 탄성층(400)은 잔디파일(100) 사이에 위치하여 기포부(200) 위에 적층되어 있다. 그러나 규사층(300)과 탄성층(400)은 혼합되어 잔디파일(100)들 사이에 뿌려질 수 있다. 규사층(300)과 탄성층(400)은 운동자의 충격을 흡수하고 공 구름성, 공 튀김성, 바운드된 공의 속도 변화 등 일련의 경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탄성층(400)은 고무칩, 목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기포부(200), 잔디파일(100), 규사층(300) 및 탄성층(400)의 상세 구조는 공지된 인조잔디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 바, 상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고하여 충격흡수패드(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도 2는 도 1의 충격흡수패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충격흡수패드(2)는, 형태안정층(21) 및 물성보완층(22)을 포함하며 인조잔디 구조체(1)의 안전성능, 시공성 및 시공 후 안정성 등이 개선되도록 한다.
형태안정층(21)과 물성보완층(22)은 적층되어 결합되어 있다. 형태안정층(21)과 물성보완층(22)은 열에 의해 물성보완층(22)이 용융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형태안정층(21)과 물성보완층(22) 사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태안정층(21)과 물성보완층(22)이 결합될 수 있다.
물성보완층(22) 상면에는 기포부(200)(도 1 참조)가 결합될 수 있다. 물성보완층(22)은 규사층(300)(도 1 참조)을 이루는 모래, 탄성층(400)(도 1 참조)을 이루는 고무칩 및 각종 이물질 등이 기초층(G)(도 1 참조)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소정의 완충력을 제공한다. 이에 물성보완층(22)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인장강도를 높인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물성보완층(22) 상면에는 빗물, 오수 등을 유도하는 유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물성보완층(22)은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형태안정층(21)의 두께는 물성보완층(22)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형태안정층(21)은 논-우븐 패브릭(non-woven fabric)(부직포)으로 형성되어 있다. 논-우븐 패브릭의 특성에 의해 형태안정층(21)은 기설정된 밀도를 갖는다. 형태안정층(21)은 물성보완층(22)에 의해 뒤틀림이 방지되며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형태안정층(21)은 크림프(crimp) 형 원사(섬유의 오그라짐. 양모(羊毛)나 무명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보온성과 탄력성을 낳는 효과를 지님)로 형성될 수 있다.
논-우븐 패브릭으로 형성된 형태안정층(21)은 방축성(防縮性), 주름 방지성, 내수 내용제성이 뛰어나며, 강도도 상당히 크고 가볍고 통기성이 좋다. 또한 논-우븐 패브릭은 가벼워서 이동이 편리하다. 아울러, 논-우븐 패브릭은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포함하지 있지 않다. 이에 형태안정층(21)은 친환경적인 소재와 인체 유해물질 함유에서 자유롭다.
논-우븐 패브릭을 이용함으로써 충격흡수패드(2)는 형태안정성, 평활도, 영구압축율 보완과 기본적인 인장특성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논-우븐 패브릭의 니들링에 의해 인장강신도 조절이 가능하다. 이에, 플레이 성능과 안전성능을 확인할 수 있으며 물성보완층(22)의 자중에 의해 충격흡수패드(2)의 형태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형태안정층(21)은 극성의 부직포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극성의 부직포로 이루어진 형태안정층(21)에 의해 충격흡수패드(2)는 함수율 유지로 표면 쾌적감, 정전기 방지, 온도 상승 저지 효과가 발생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고하여 충격흡수패드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도 2의 충격흡수패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3)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2)의 특징을 그대로 가지면서 형태안정층(31)과 물성보완층(32) 사이에 제1 특성조절층(33)이 더 배치되어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3)는 형태안정층(31), 제1 특성조절층(33) 및 물성보완층(32)을 포함한다.
제1 특성조절층(33)은 기설정된 두께를 가지며, 그 두께는 형태안정층(31) 및 물성보완층(32)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다. 제1 특성조절층(33)은 열융착 방식으로 형태안정층(31)과 결합되고, 제1 특성조절층(33)과 물성보완층(32)은 기설정된 온도에서 라미네이션(Lamination) 공정으로 결합된다.
제1 특성조절층(33)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특성조절층(33)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이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제1 특성조절층(33)을 1개의 층으로 도시하였지만,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층을 이루는 재질은 달라질 수 있다.
저밀도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제1 특성조절층(33)에 의해 충격흡수패드(3)는 경도, 기계적 강도, 내열성, 인장특성 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2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특성조절층(33)에는 격자 형태의 보강부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재는 횡사와 종사를 포함하며, 횡사와 종사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는 직물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충격흡수패드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충격흡수패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도 4의 충격흡수패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4)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3)의 특징을 그대로 가지면서 형태안정층(41)의 아래에 충격흡수층(44)이 더 배치되어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4)는 충격흡수층(44), 형태안정층(41), 제1 특성조절층(43) 및 물성보완층(42)을 포함한다.
충격흡수층(44)은 기설정된 두께를 가지며 충격흡수층(44)의 융착으로 형태안정층(41)과 결합되어 있다. 충격흡수층(44)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우레탄(urethane), 폴리스티렌(polystyrene), 라텍스(latex) 등이 폼(foam)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충격흡수층(44)은 다공질로 이루어지며 쿠션력을 갖는다.
충격흡수층(44)은 격자 형태(벌집)로 형성되어 복수의 에어공간(441)이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격자 형태의 충격흡수층(44)은 경제성, 치수 안정성, 시공 후 장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충격흡수층(44)을 격자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설치 환경 등에 따라 패널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4)는, 충격흡수층(44)과 형태안정층(41)이 적층 되고, 형태안정층(41) 위에 특성조절층(43)과 물성보완층(42)이 적층되어 있다. 이에, 충격흡수층(44)의 에어공간(441) 상부는 물성보완층(42)에 의해 닫힌(Closed) 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충격흡수층(44)의 하면이 기초층(G)에 접하게 되어 에어공간(441) 하부 또한 닫힌구조를 이룬다. 그러나, 기초층(G)의 상태에 따라 에어공간(441) 하부는 열린(Open)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충격흡수패드(4)는 형태안정층(41)과 충격흡수층(44)의 형성으로 기계적 물성이 향상되며 형태안정층(41)의 밀도에 의해 적정 인장 강신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패드(4)의 크림프형 원사를 통하여 원하는 영구 압축률을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충격흡수층(44)에 의해 플레이 성능과 안전성능 구현이 가능하며, 최상층부의 물성보완층(42)의 자중에 의해 충격흡수패드(1)의 형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충격흡수패드(4)는 기초층(G)의 변화(유실, 기울기)에 따라 충격흡수층(44)이 변형되어도 형태안정층(41)에 의해 형태안정성을 그대로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충격흡수패드(4)는 기초층(G)의 변형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3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는 도 4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제1 특성조절층(43)은 생략될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고하여 충격흡수패드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도 4의 충격흡수패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6)는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4)의 특징을 그대로 가지면서 충격흡수층(64) 아래에 제2 특성조절층(65)이 더 배치되어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6)는 제2 특성조절층(65), 충격흡수층(64), 형태안정층(61), 제1 특성조절층(63) 및 물성보완층(62)을 포함한다.
제2 특성조절층(65)의 구성은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특성조절층(33)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특성조절층(65)과 제1 특성조절층(63)에 의해 충격흡수층(64)의 에어공간(641) 상부와 하부는 닫힌 구조를 갖는다. 이에 에어공간(641)의 공기는 에어공간(641)에 갇히게 되며 완충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에어공간(641)에 갇힌 공기에 의해 충격흡수층(64)은 충격흡수 기능이 강화된다.
아울러, 제1 특성조절층(63) 및 제2 특성조절층(65)에 의해 물성보완층(62)과 형태안정층(61) 특히 에어공간(641)이 있는 충격흡수층(64)과의 상용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인장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1의 충격흡수패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7)는 제1 충격흡수층(74), 특성조절층(73) 및 물성보완층(72)을 포함하며, 기계적인 물성과, 안전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소재와 인체 유해물질 함유에서 자유롭도록 한다.
제1 충격흡수층(74), 특성조절층(73) 및 물성보완층(72)은 적층되어 있으며, 특성조절층(73)과 물성보완층(72)은 라미네이션 공정으로 결합되고, 제1 충격흡수층(74)과 특성조절층(73)은 열융착 방식으로 결합된다. 그러나 제1 충격흡수층(74)과 특성조절층(73) 사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제1 충격흡수층(74)과 특성조절층(73)이 결합될 수 있다.
물성보완층(72) 상면에는 기포부(200)(도 1 참조)가 결합되어 있다. 물성보완층(72)은 규사층(300)(도 1 참조)을 이루는 모래, 탄성층(400)(도 1 참조)을 이루는 고무칩 및 각종 이물질 등이 기초층(G)(도 1 참조)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소정의 완충력을 제공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물성보완층(72) 상면에는 빗물, 오수 등을 유도하는 유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특성조절층(73)은 기설정된 두께를 가지며, 그 두께는 물성보완층(72)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다. 특성조절층(73)은 열융착 방식으로 물성보완층(72)과 제1 충격흡수층(74) 사이에 고정된다.
특성조절층(73)은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특성조절층(33)과 동일하므로 이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저밀도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특성조절층(73)에 의해 충격흡수패드(7)는 경도, 기계적 강도, 내열성 등이 향상될 수 있다.
특성조절층(73)과 결합된 제1 충격흡수층(74)은 기설정된 두께를 가진다. 제1 충격흡수층(74)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층(44)과 동일하므로 이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특성조절층(73)에 의해 제1 충격흡수층(74)의 에어공간(741) 상부측은 폐쇄된 구조를 갖는다. 이에 에어공간(741)의 공기는 에어공간(741)에 갇히어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공간(741)에 갇힌 공기에 의해 제1 충격흡수층(74)은 충격흡수 기능이 강화된다. 그러나 특성조절층(73)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물성보완층(72)이 에어공간(741)을 폐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고하여 충격흡수패드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도 7의 충격흡수패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8)는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7)의 특징을 그대로 가지면서 제1 충격흡수층(84) 아래에 형태안정층(81)이 더 배치되어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8)는 형태안정층(81), 제1 충격흡수층(84), 특성조절층(83) 및 물성보완층(82)을 포함한다.
형태안정층(81)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형태안정층(21)과 동일하므로 이하 중복된 설명에 대해 생략한다.
형태안정층(81)을 포함하는 충격흡수패드(8)는 인장 강신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기설정된 영구 압축률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플레이 성능과 안전성능을 확인할 수 있으며 물성보완층(82)의 자중에 의해 충격흡수패드(8)의 형태 안정성이 확보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충격흡수층(84)의 에어공간(841)은 특성조절층(83)과 형태안정층(81)에 의해 폐쇄된 구조를 갖는다. 이에 에어공간(841)의 공기는 에어공간(841)에 갇히어 완충력을 제공한다. 형태안정층(81)과 에어공간(84)에 갇힌 공기에 의해 충격흡수패드(8)의 충격흡수 기능이 강화된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7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고하여 충격흡수패드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도 8의 충격흡수패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9)는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8)의 특징을 그대로 가지면서 형태안정층(91) 아래에 제2 충격흡수층(95)이 더 배치되어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9)는 제2 충격흡수층(95), 형태안정층(91), 제1 충격흡수층(94), 특성조절층(93) 및 물성보완층(92)을 포함한다.
제2 충격흡수층(95)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충격흡수층(74)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충격흡수층(95)의 에어공간(951) 상부측은 형태안정층(91)에 의해 폐쇄된 구조를 갖는다. 이에 제2 충격흡수층(95)의 에어공간(951)과 제1 충격흡수층(94)의 에어공간(941) 공기는 갇히며, 갇힌 에어는 완충력을 제공하게 된다. 형태안정층(91)을 사이에 두고 제1 충격흡수층(94)과 제2 충격흡수층(95)이 형성되면서 충격흡수패드(9)는 충격흡수 기능이 강화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 충격흡수층(95)의 아래에는 제2 충격흡수층(95)의 에어공간(951)을 폐쇄하기 위한 특성조절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특성조절층은 제1 충격흡수층(94)과 형태안정층(91)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충격흡수층(95)과 형태안정층(91) 사이에도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논-우븐 패브릭으로 이루어진 형태안정층의 두께는 충격흡수패드의 전체 두께 대비 30% 내지 60%일 수 있고, 폼 형태로 형성된 충격흡수층의 두께는 충격흡수패드의 전체 두께 대비 20% 내지 40 %일 수 있으며, 고무 따위로 형성된 특성조절층의 두께는 충격흡수패드의 전체 두께 대비 10% 내지 20%일 수 있다.
형태안정층, 충격흡수층 및 특성조절층은 충격흡수패드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고하여 충격흡수패드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도 1의 충격흡수패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10)는 형태안정층(101), 물성보완층(102) 및 탄성부재(103)를 포함하며 인조잔디 구조체(1)의 안전성능, 시공성 및 시공 후 안정성 등이 개선되도록 하고 완충력이 배가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물성보완층(102) 및 형태안정층(101)의 구성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물성보완층(22) 및 형태안정층(21)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탄성부재(103)는 코일 스프링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형태안정층(101)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탄성부재(103)의 상면은 물성보완층(102) 하면과 접하고 하면은 기초층(G)과 접할 수 있다. 탄성부재(103)는 형태안정층(101)의 완충력과 플레이 성능을 높인다. 한편, 탄성부재(103)의 탄성력에 의해 형태안정층(101)은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 시간 경과에 따라 형태안정층(101)의 완충력이 손실되더라도 탄성부재(103)의 탄성력에 의해 충격흡수패드(10)는 완충력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탄성부재(103)의 외부 둘레에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층(103a)이 형성되어 있다. 코팅층(103a)의 표면에는 형태안정층(101)의 원단과 결속되는 요철(103b)들이 형성되어 있다. 요철(103b)에 의해 탄성부재(103)와 형태안정층(101)의 결합력을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103)는 도 2 내지 도 6, 도 8 및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여 충격흡수패드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도 1의 충격흡수패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패드 고정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11)는 형태안정층(111), 물성보완층(112) 및 패드 고정부(12)를 포함하며 인조잔디 구조체(1)의 안전성능, 시공성 및 시공 후 안정성 등이 개선되도록 하고 충격흡수패드(11)가 기초층(G)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물성보완층(112) 및 형태안정층(111)의 구성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물성보완층(22) 및 형태안정층(21)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패드 고정부(12)는 고정 하우징(121) 및 핀 부재(123)를 포함하며 물성보완층(112)과 형태안정층(111)을 기초층(G)에 견고히 고정하여 기초층(G)으로부터 들뜨지 않도록 한다.
고정 하우징(121) 내부에는 삽입공간(121b)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하우징(121)의 일면 즉, 상면에는 삽입공간(121b)과 연결된 개방홀(121a)이 형성되어 있다. 개방홀(121a)은 고정 하우징(121)의 상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중앙 일부분에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 하우징(121)은 인조잔디 구조체(1) 설치 시 기초층(G)에 매설될 수 있으며 상면은 기초층(G)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핀 부재(123)는 핀 머리(123a), 핀 몸체(123b) 및 걸림편(123c)을 포함하며, 물성보완층(112) 및 형태안정층(111)을 기초층(G)에 견고히 고정한다.
핀 머리(123a)는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물성보완층(112)과 결합되어 있다. 핀 머리(123a)는 물성보완층(112) 내부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다.
핀 몸체(123b)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핀 머리(123a)와 연결되어 있다. 핀 몸체(123b)와 핀 머리(123a)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핀 몸체(123b)는 형태안정층(111)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인조잔디 구조체(1) 설치 시 핀 몸체(123b)의 노출된 부분은 개방홀(121a)을 통해 삽입공간(121b)으로 삽입될 수 있다.
걸림편(123c)은 핀 몸체(123b)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걸림편(123c)의 일측은 핀 몸체(123b)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핀 몸체(123b)와 떨어져 있다. 걸림편(123c)의 타측은 핀 머리(123a)를 향하며 걸림편(123c)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진다. 핀 몸체(123b)가 개방홀(121a)을 관통할 때 일부 걸림편(123c)은 개방홀(121a)을 통과하여 삽입공간(121b)에 위치한다. 걸림편(123c)이 개방홀(121a)을 통과할 때 오므려질 수 있도록 걸림편(123c)은 복수 분할되어 있다. 오므려진 상태로 개방홀(121a)을 통과한 걸림편(123c)은 삽입공간(121b)에서 펼쳐진다. 삽입공간(121b)에 위치한 걸림편(123c)의 타측은 삽입공간(121b)의 상면과 마주한다. 이때 걸림편(123c)의 타측 직경이 개방홀(121a)의 직경보다 켜 핀 몸체(123b)는 삽입공간(121b)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이에 형태안정층(111)으로부터 노출된 핀 몸체(123b) 부분이 삽입공간(121b)으로 삽입되어 빠지지 않으므로 핀 부재(123)는 고정 하우징(121)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핀 부재(123)와 고정 하우징(121)의 결합으로 물성보완층(112)과 형태안정층(111)은 기초층(G)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패드 고정부(12)에 의해 물성보완층(112)과 형태안정층(111)이 기초층(G)에 고정되므로 충격흡수패드(11)를 기초층(G)에 고정하기 위해 도포되는 접착제 등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다.
고정 하우징(121)에 결합되는 핀 몸체(123b)에 의해 물성보완층(112)과 형태안정층(111)은 기초층(G) 위에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인조잔디 구조체는 전체적으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패드 고정부(12)의 고정 하우징(121)은 기초층(G)이 콘크리트, 아스팔트 등으로 형성된 경우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핀 부재(123)가 결합되고, 기초층(G)이 마사토, 일반 토양 등으로 형성된 경우 고정 하우징(121)은 생략될 수 있다. 고정 하우징(121)이 생략되면 핀 부재(123)은 기초층(G)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패드 고정부(12)는 도 2 내지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 내지 도 15를 참고하여 패드 고정부(13)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도 11의 패드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패드 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패드 고정부(13)는 도 11 및 도 12의 실시예에 따른 패드 고정부(12)의 특징을 그대로 포함한다. 다만, 고정핀(125)과 확장 가이드(122)를 더 포함하고, 고정 하우징(121)의 내부 바닥 구조가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 하우징(121)의 내부 바닥에는 핀 몸체(123b)를 향해 확장 가이드(122)가 돌출되어 있다. 고정 확장 가이드(122)는 내부 바닥에서 콘 형태로 돌출되어 있다. 고정 하우징(121)의 내부 바닥에는 확장 가이드(122)의 주변을 따라 입구(121c)를 가지는 고정공간(121d)이 형성되어 있다.
핀 부재(123)의 끝에는 복수의 분할편(124)이 형성되어 있다. 분할편(124)들은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핀 부재(123)가 삽입공간(121b)으로 지속적으로 삽입될 때 분할편(124)은 확장 가이드(122)와 접한다. 이때 분할편(124)은 확장 가이드(122)를 따라 펼쳐지면서 입구(121c)를 통해 고정공간(121d)으로 삽입된다.
고정핀(125)은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다. 고정핀(125)의 길이는 핀 몸체(123b)와 분할편(124)의 길이를 합한 길이보다 짧다. 고정핀(125)의 일측은 핀 머리(123a)에 분리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고정핀(125)의 타측은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다. 핀 부재(123)가 개방홀(121a)로 삽입될 때 고정핀(125)의 뾰족한 타측은 핀 부재(123)를 가압하는 압력에 의해 고정 하우징(121)의 상면을 관통하여 삽입공간(121b)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핀 몸체(123b) 및 분할편(124)의 길이를 합한 길이와 고정핀(125)의 길이 차이로 분할편(124)이 고정공간(121d)으로 삽입된 될 때 고정핀(125)의 타측은 삽입공간(121b)의 바닥을 관통한다. 그리고 고정공간(121d)으로 삽입된 분할편(124)을 관통할 수 있다. 삽입공간(121b)의 바닥을 관통한 고정핀(125)은 핀 부재(123)를 고정 하우징(121) 내부에 고정하게 된다. 이에 핀 부재(123)는 고정핀(125)과 걸림편(123c)에 의해 고정 하우징(121)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이에 물성보완층(112)과 결합된 핀 부재(123)가 기초층(G)에 매설된 고정 하우징(121)과 결합되므로 물성보완층(112)과 형태안정층(111)은 기초층(G) 위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견고히 고정된 충격흡수패드(11)에 의해 인조잔디 구조체는 기초층 위에 견고히 설치될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1 및 도 12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충격흡수패드의 영구 압축률을 구현할 수 있는 형태안정층과, 플레이 성능과 안전성을 구현할 수 있는 충격흡수층 및 충격흡수패드의 형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물성보완층에 의해 인조잔디 구조체는 플레이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충격흡수패드는 기계적인 물성을 높일 수 있고, 안전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인체 유해물질 사용을 배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G: 기초층 1: 인조잔디 구조체
100: 잔디파일 200: 기포부
300: 규사층 400: 탄성층
2, 3, 4, 6, 7, 8, 9, 10, 11: 충격흡수패드
21, 31, 41, 61, 81, 91, 101, 111: 형태안정층
22, 32, 42, 62, 72, 82, 92, 102, 112: 물성보완층
33, 43, 63, 65, 73, 83, 93, 특성조절층
44, 64, 74, 84, 94, 95 충격흡수층
441, 641, 741, 841, 951, 에어공간
103: 탄성부재 103a: 코팅층
103b: 요철 12, 13: 패드 고정부
121: 고정 하우징 121a: 개방홀
121b: 삽입공간 121c: 입구
121d: 고정공간 122: 확장 가이드
123: 핀 부재 123a: 핀 머리
123b: 핀 몸체 123c: 걸림편
124: 분할편 125: 고정핀

Claims (19)

  1. 완충력을 갖는 형태안정층,
    상기 형태안정층 위에 배치된 물성보완층 및
    상기 물성보완층과 결합되어 기초층에 고정된 패드 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 고정부는,
    상기 기초층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 하우징 및
    상기 물성보완층에 고정되어 있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고정 하우징 내부로 삽입 고정된 핀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하우징의 내부 바닥에는 상기 핀 부재를 향해 확장 가이드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내부 바닥에는 상기 확장 가이드의 주변을 따라 입구를 가지는 고정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확장 가이드와 마주하는 상기 핀 부재의 끝에는 복수의 분할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확장 가이드에 접하는 상기 분할편은 상기 확장 가이드를 따라 펼쳐지면서 상기 입구를 통해 상기 고정공간으로 삽입 고정되며, 상기 물성보완층과 상기 형태안정층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패드.
  2. 제1항에서,
    상기 형태안정층과 상기 물성보완층 사이에 배치된 제1 특성조절층을 더 포함하는 충격흡수패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형태안정층 아래에 배치된 충격흡수층을 더 포함하는 충격흡수패드.
  4. 제3항에서,
    상기 충격흡수층은 복수의 에어공간을 가지는 충격흡수패드.
  5. 제4항에서,
    상기 충격흡수층 아래에 배치된 제2 특성조절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공간은 상기 에어공간은 상기 제1 특성조절층 및 상기 제2 특성조절층에 의해 폐쇄되는 충격흡수패드.
  6. 제1 충격흡수층,
    상기 제1 충격흡수층 위에 배치된 특성조절층,
    상기 특성조절층 위에 배치된 물성보완층 및
    상기 물성보완층과 결합되어 기초층에 고정된 패드 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 고정부는,
    상기 기초층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 하우징 및
    상기 물성보완층에 고정되어 있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고정 하우징 내부로 삽입 고정된 핀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하우징의 내부 바닥에는 상기 핀 부재를 향해 확장 가이드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내부 바닥에는 상기 확장 가이드의 주변을 따라 입구를 가지는 고정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확장 가이드와 마주하는 상기 핀 부재의 끝에는 복수의 분할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확장 가이드에 접하는 상기 분할편은 상기 확장 가이드를 따라 펼쳐지면서 상기 입구를 통해 상기 고정공간으로 삽입 고정되는
    충격흡수패드.
  7. 제6항에서,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제1 충격흡수층 아래에 배치된 형태안정층을 더 포함하는 충격흡수패드.
  8. 제7항에서,
    상기 형태안정층 아래에 배치된 제2 충격흡수층을 더 포함하는 충격흡수패드.
  9. 제8항에서,
    상기 제1 충격흡수층 및 상기 제2 충격흡수층은 복수의 에어공간을 가지는 충격흡수패드.
  10. 제1항에서,
    상기 형태안정층 내부에 방사상 형태로 복수 배열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충격흡수패드
  11. 제10항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외부 둘레를 감싸 부식을 방지하는 코팅층 및
    상기 코팅층 표면에 형성되어 형태안정층을 이루는 원단이 걸리는 요철
    을 더 포함하는 충격흡수패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항 또는 제6항에서,
    상기 핀 부재는,
    상기 물성보완층 내부에 고정되어 노출되지 않는 핀 머리,
    상기 핀 머리에서 상기 기초층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고정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분할편이 형성된 핀 몸체 및
    상기 핀 몸체의 외부둘레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된 걸림편
    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편의 일측은 상기 핀 몸체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핀 몸체와 떨어져 있으며 상기 고정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걸림편의 타측은 상기 고정 하우징의 내부면에 걸리는
    충격흡수패드.
  16. 삭제
  17. 제1항 또는 제6항에서,
    상기 패드 고정부는,
    상기 핀 머리에 분리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고정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 하우징의 내부 바닥 및 상기 분할편을 관통하는 복수의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충격흡수패드.
  18. 제1항 또는 제6항에 정의되어 있는 충격흡수패드,
    상기 충격흡수패드 위에 배치된 기포부 및
    상기 기포부와 연결된 복수의 잔디파일
    을 포함하며,
    상기 충격흡수패드는 상기 잔디파일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잔디 구조체.
  19. 제18항에서,
    상기 기포부 위에 배치된 규사층 및
    상기 규사층 위에 배치된 탄성층
    을 더 포함하는 잔디 구조체.
KR1020160158304A 2016-11-25 2016-11-25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KR101764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304A KR101764691B1 (ko) 2016-11-25 2016-11-25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304A KR101764691B1 (ko) 2016-11-25 2016-11-25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1661A Division KR101841424B1 (ko) 2017-06-08 2017-06-08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4691B1 true KR101764691B1 (ko) 2017-08-10

Family

ID=59652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304A KR101764691B1 (ko) 2016-11-25 2016-11-25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469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247B1 (ko) * 2020-07-09 2020-12-24 (주) 금룡 내구성이 증대된 잔디식재용 완충배수구조체
KR102374720B1 (ko) 2021-01-29 2022-03-14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KR20220033972A (ko) * 2020-09-10 2022-03-1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배수성이 우수한 충격흡수패드
KR102427406B1 (ko) 2021-06-04 2022-08-01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353Y1 (ko) * 2005-06-20 2005-09-21 손창섭 매트 결합구
KR200435457Y1 (ko) * 2006-09-19 2007-01-24 홍승배 고경사 도로용 미끄럼 방지 고무매트
KR101398802B1 (ko) * 2014-02-11 2014-05-27 필드마스터 주식회사 열차단 기능의 인조잔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잔디 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353Y1 (ko) * 2005-06-20 2005-09-21 손창섭 매트 결합구
KR200435457Y1 (ko) * 2006-09-19 2007-01-24 홍승배 고경사 도로용 미끄럼 방지 고무매트
KR101398802B1 (ko) * 2014-02-11 2014-05-27 필드마스터 주식회사 열차단 기능의 인조잔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잔디 구조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247B1 (ko) * 2020-07-09 2020-12-24 (주) 금룡 내구성이 증대된 잔디식재용 완충배수구조체
KR20220033972A (ko) * 2020-09-10 2022-03-1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배수성이 우수한 충격흡수패드
KR102424160B1 (ko) * 2020-09-10 2022-07-22 주식회사 필드글로벌 배수성이 우수한 충격흡수패드
KR102374720B1 (ko) 2021-01-29 2022-03-14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KR102427406B1 (ko) 2021-06-04 2022-08-01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4691B1 (ko)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KR101841424B1 (ko)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CA1226313A (en) Synthetic turf carpet game playing surface
US9528280B2 (en) Surface underlayment system with interlocking resilient anti-slip shock tiles
US8413262B2 (en) Sound dissipating material
EP2076627B1 (en) An artificial lawn, in particular for an artificial grass sports field
KR101481144B1 (ko) 인조 잔디 섬유 및 적어도 이러한 인조 잔디 섬유를 포함하는 인조 잔디
KR20120004054U (ko) 인조잔디용 패드
KR101079835B1 (ko) 충격흡수용 벽체
KR101178830B1 (ko) 어린이 놀이터용 충격 흡수 매트
KR960001376A (ko) 바닥충격음 완충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5416921B2 (ja) 弾性舗装体の形成方法
KR102065889B1 (ko) 인조잔디용 또는 놀이터용 충격흡수패드
KR200451272Y1 (ko) 이동 설치가 가능한 인조잔디를 포함하는 구조체
CN105517638A (zh) 气垫
US20190263090A1 (en) Building Products and Associated Methods for Providing Contoured and Elevated Features for Artificial Surfaces
KR20150057854A (ko) 인조잔디 기층용 다기능 패드
KR101699206B1 (ko) 환경오염소재가 무충진된 친환경 인조 잔디 조립체
KR102586939B1 (ko) 완충용 포장재
AU2014201104B2 (en) An artificial grass fibre as well as an artificial lawn at least comprising such an artificial grass fibre
KR20130109535A (ko) 원활한 디봇 형성이 가능한 골프 연습용 매트
JPH11350710A (ja) 床構造
KR102580785B1 (ko) 충격흡수패드층이 일체로 구성되어 자기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인조잔디매트의 제조방법 및 그 인조잔디매트
AU2014201150B2 (en) An artificial lawn, in particular for an artificial grass sports field
WO2020074876A1 (en) Artificial su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