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630B1 - 생분해성 충격흡수패드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충격흡수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630B1
KR102568630B1 KR1020220066174A KR20220066174A KR102568630B1 KR 102568630 B1 KR102568630 B1 KR 102568630B1 KR 1020220066174 A KR1020220066174 A KR 1020220066174A KR 20220066174 A KR20220066174 A KR 20220066174A KR 102568630 B1 KR102568630 B1 KR 102568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hock absorbing
layer
agent
foa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6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구
이태호
장성희
이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포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포테크
Priority to KR1020220066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6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6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5Polyolef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6Damping, energ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6Degradable
    • B32B2307/7163Biodegra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충격흡수패드는 충격흡수성능이 향상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생분해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올레핀계 수지, 가교제, 발포제, 발포조제, 생분해제 및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층; 및 상기 충격흡수층의 상면에 위치하는 제1 섬유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생분해성 충격흡수패드{Biodegradable shock absorbing pad}
본 발명은 생분해성 충격흡수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장, 특히 축구장용의 인조잔디는 천연잔디의 특성과 형태, 용도를 모방하여 천연잔디에 대비하여 유지관리가 쉽고, 유지관리 경비가 저렴하며, 천연잔디구장의 부족난을 해소하고, 경기력의 질적, 양적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어 많은 운동장에 설치되고 있다.
인조잔디의 핵심성능은 충격흡수를 구현하는 것으로써, 이러한 효과를 위하여 인조잔디 설치 시 충격흡수패드를 설치한 후, 그 위에 인조잔디가 시공되고 있다. 충격흡수패드는 인조잔디의 핵심 성능인 충격흡수성 등을 구현하기 위한 필수 구성부품이다.
한편, 현재 세계적으로 미세 플라스틱 발생이 전 세계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나, 충격흡수패드에 생분해 성분을 접목한 제품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통상적인 생분해 소재 (PLA, PBS 등) 사용 시 필연적으로 물성의 저하가 발생하여 인조잔디 구장에 적용 시 통상적인 충격흡수패드 비해 내구연한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공개특허 제10-2022-0033972호는 충격흡수층 및 섬유층을 포함하는 충격흡수패드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패드의 생분해성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적 요소를 비롯한 충격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요소에 대해 침묵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33972호(2022.03.1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생분해성 소재를 적용하더라도 사용상 문제가 없도록 충분한 내마모성과 충격흡수성능을 구비하고, 사용 후 폐기 시 생분해성이 높아 미세 플라스틱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인조잔디 충격흡수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올레핀계 수지 80~95중량%, 가교제 0.5~1.5중량%, 발포제 3~11중량%, 발포조제 0.5~1.5중량%, 생분해제 0.5~5중량% 및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 0.01~1중량%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층; 및 상기 충격흡수층의 상면에 위치하는 제1 섬유층;을 포함하는 인조잔디 충격흡수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충격흡수층은 발포 배율이 5~40배일 수 있다.
상기 생분해제는, 생분해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퓨라논(furanone) 화합물 5~10 중량%,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5~20 중량%, 헥사데킨산(Hxdecanoic acid) 10~20 중량%,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olymer) 20~40 중량% 및 락트산(lactic acid) 15~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는, 아크릴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일 수 있다.
상기 제1 섬유층은 제1 섬유층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60~65중량% 및 폴리에틸렌 35~40중량%로 이루어진 부직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 충격흡수패드는 상기 충격흡수층 하면에, 충격흡수 보완층; 및 상기 충격흡수 보완층 하면에 위치하는 제2 섬유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 보완층은 발포 배율이 5~40배이고, 충격흡수 보완층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올레핀계 수지 45~65중량%,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10~25중량%, 가교제 0.5~1.5중량%, 발포제 15~20중량%, 발포조제 5~10중량%, 생분해제 0.5~5중량% 및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 0.01~1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제는, 생분해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퓨라논(furanone) 화합물 5~10 중량%,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5~20 중량%, 헥사데킨산(Hxdecanoic acid) 10~20 중량%,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olymer) 20~40 중량% 및 락트산(lactic acid) 15~3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는, 아크릴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일 수 있다. 상기 제2 섬유층은 제2 섬유층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60~65중량% 및 폴리에틸렌 35~40중량%로 이루어진 부직포일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패드는 하기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생분해율이 5% 이상이고, 마모율이 2% 이하일 수 있다.
[측정방법]
생분해율 : ASMT D 5511 규격으로 90일 기준에 따라 테스트함
마모율 : 충격흡수패드를 지름 10cm의 원형 시편으로 제작한 뒤 Taber 내 마모 테스트기에 500회 가동하여 마모시킨 후, 마모 전 후의 질량 변화율을 측정함
본 발명의 충격흡수패드는 충격흡수성능이 향상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생분해성을 나타낼 수 있고, 이에 따라 인조잔디 폐기에 따른 비용감소와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충격흡수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충격흡수 보완층 및 제2 섬유층을 포함하는 충격흡수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약”은 일반적으로 당해 분야의 당업자가 (예를 들어, 동일한 기능 또는 결과를 갖는) 인용된 값과 동일하다고 생각하는 숫자 값의 범위(예를 들어, 인용된 범위의 ± 5 내지 10%)를 의미한다. 적어도 및 약과 같은 용어가 숫자 값 또는 범위의 목록의 앞에 있을 때, 용어는 목록에 제공된 값 또는 범위의 모두를 변형시킨다. 몇몇 경우에, 용어 약은 가장 가까운 유효 숫자로 반올림되는 숫자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충격흡수층(110); 및 상기 충격흡수층의 상면에 위치하는 제1 섬유층(120);을 포함하는 충격흡수패드(100)로서, 상기 충격흡수층(110)은 올레핀계 수지 80~95중량%, 가교제 0.5~1.5중량%, 발포제 3~11중량%, 발포조제 0.5~1.5중량%, 생분해제 0.5~5중량% 및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 0.01~1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일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수지의 함량은 상기 충격흡수층(110)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80~95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87~90 중량%이다. 상기 올레핀계 수지의 함량이 80 중량% 미만이면 충격흡수층(110)의 경도가 저하되어 내구성이 등이 저하될 수 있고, 95 중량%를 초과하면 충격흡수층(110)에 부드러운 탄성이 저하되고 너무 단단해져, 충격 흡수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교제는 화학 가교를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상기 가교제로는 디큐밀페록사이드(DCP, Decumyl Peroxide)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상기 충격흡수층(110)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1.5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7~1.2 중량%이며, 반응 제어가 용이하고 또 충분한 화학 가교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발포제 및 발포조제는 발포가 용이하게 진행되도록 첨가되는 것으로, 상기 발포제로는 아조디카본아미드(ADA, Azodicarbonamide)가 사용될 수 있고, 발포조제로는 탄산칼슘, 실리카, 탈크 및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포제의 함량은 상기 충격흡수층(110)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11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6~9 중량%이며, 상기 발포조제의 함량은 상기 충격흡수층(110) 전체 중량%를 기준으로 0.5~1.5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7~1.2 중량%이다. 상기 발포제 및 발포조제를 전술한 범위 내에서 사용하여야 발포 반응 제어가 용이하고 원하는 발포율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제는 충격흡수층(110)에 생분해성을 부여하고, 올레핀 수지를 분해하여 미세 플라스틱을 저감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퓨라논 화합물, 글루타르산, 헥사데킨산, 폴리카프로락톤 및 락트산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퓨라논은 3,5-디메틸-펜테닐-디하이드로-2(3H)-퓨라논(3,5-dimethyl-pentenyl-dihydro-2(3H)-furanone)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생분해제는 생분해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퓨라논 화합물 5~10 중량%, 글루타르산 5~20 중량%, 헥사데킨산 10~20 중량%, 폴리카프로락톤 20~40 중량% 및 락트산 15~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우수한 생분해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생분해제로 퓨라논 화합물, 글루타르산, 헥사데킨산, 폴리카프로락톤 및 락트산이 포함된 Bio-Tec Environmental, LLC, 사가 제조한 제품명 "BioSphere"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제의 함량은 상기 충격흡수층(110)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5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8~2중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9~1.2중량%이다. 상기 생분해제의 함량이 0.5중량% 미만이면 생분해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5중량%를 초과하면 함량 대비 생분해성 향상도가 미미하여 제조 원가 대비 성능 향상을 기대하기 힘들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는 충격흡수층(110)의 내마모성과 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상기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의 아크릴 성분은 폴리에틸렌 수지와 결합하여 충격흡수층(1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실리콘 성분은 충격흡수층(110) 표면에 노출되어 내마모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이때 실리콘 성분이 충격흡수층(110) 표면에 노출되고, 생분해제 성분은 충격흡수층(110)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생분해가 발생하는 시간을 지연시켜, 충격흡수패드(100)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패드(100)를 사용함에 따라 충격흡수층(110) 표면이 마모되어 실리콘에 의한 코팅이 사라지면, 생분해제에 의한 생분해가 빠르게 발생하게 된다.
상기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는 아크릴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일 수 있으며, 아크릴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아크릴산에스테르 또는 아크릴산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와의 그라프트 중합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며, 이때 비율은 중량비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아크릴산에스테르 또는 아크릴산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가 9:1~1:9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8:2~2:8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로 아크릴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인 닛신 가가꾸 고교사가 제조한 제품명 "샬린 R-2"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의 함량은 상기 충격흡수층(110)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1중량%, 바람직하게는 0.1~0.5중량%이다. 상기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의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충격흡수층(110)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1중량%를 초과하면 압출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충격흡수층(110)은 클로즈드셀 구조로서, 화학 가교에 의한 발포 배율이 5~40배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9~30배, 더 바람직하게는 10~25배일 수 있다. 상기 발포배율이 전술한 하한치 미만이면, 충격흡수층(110)과 제1 섬유층(120)과의 접착 내구성이 저하되고, 충격흡수층(110)의 표면이 단단해지고, 쿠션감 및 충격흡수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발포배율이 전술한 상한치를 초과하면 충격흡수층(110)과 제1 섬유층(120)과의 접착내구성은 향상되나, 불가역적 압축 및 답압에 의한 두께, 길이 및 폭 방향의 치수안정성 및 내구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충격흡수층(110)의 발포배율은 발포제를 첨가하지 않은 제품의 밀도를 기준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층(110)은 충격흡수패드(100)에 충격흡수 보완층(130)이 없는 경우, 5~2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15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충격흡수패드(100)에 충격흡수 보완층(130)이 있는 경우, 0.5~5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3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충격흡수층(110)은 상기 두께 범위에서 우수한 충격흡수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화학가교란 고분자에 가교제(Crosslinking co-agent)를 첨가시켜 가교를 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섬유층(120)은 제1 섬유층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60~65중량% 및 폴리에틸렌 35~40중량%로 이루어진 부직포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충격흡수층(110)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충격흡수 보완층 및 제2 섬유층을 포함하는 충격흡수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패드(100)는 상기 충격흡수층(110) 하면에, 충격흡수 보완층(130); 및 상기 충격흡수 보완층(130) 하면에 위치하는 제2 섬유층(14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충격흡수 보완층(130)을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충격흡수패드(100)의 영구압축률이 충격흡수 보완층을 포함하지 않는 충격흡수패드보다 우수하고, 이에 따라 지속적인 충격흡수성능을 보유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 보완층(130)은 오픈셀 구조로서, 화학 가교에 의한 발포 배율이 5~40배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35배, 더 바람직하게는 15~30배일 수 있다. 상기 발포배율이 전술한 하한치 미만이면, 충격흡수 보완층(130)과 제2 섬유층(140)과의 접착 내구성이 저하되고, 충격흡수 보완층(130)의 표면이 단단해져 쿠션감 및 충격흡수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발포배율이 전술한 상한치를 초과하면 충격흡수 보완층(130)과 제2 섬유층(140)과의 접착내구성은 향상되나, 불가역적 압축 및 답압에 의한 두께, 길이 및 폭 방향의 치수안정성 및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충격흡수 보완층(130)의 발포배율은 발포제를 첨가하지 않은 제품의 밀도를 기준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보완층(130)은 2~15mm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1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두께 범위에서 우수한 충격흡수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 보완층(130)은 충격흡수 보완층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올레핀계 수지 45~65중량%,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10~25중량%, 가교제 0.5~1.5중량%, 발포제 15~20중량%, 발포조제 5~10중량%, 생분해제 0.5~5중량% 및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 0.01~1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수지는 수지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일 수 있으며, 함량은 상기 충격흡수 보완층(130) 전체 중량%를 기준으로 45~65 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6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수지의 함량이 45 중량% 미만이면 충격흡수 보완층(130)의 경도가 저하되어 내구성이 등이 저하될 수 있고, 65 중량%를 초과하면 충격흡수 보완층(130)에 부드러운 탄성이 없고 너무 단단해져, 충격 흡수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는 충격흡수 보완층(130)의 충격흡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충격흡수 보완층(130)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25 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2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충격흡수 보완층(130)의 경도가 향상되어 충격 흡수성이 저하될 수 있고, 25 중량%를 초과하면 충격흡수 보완층(130)의 경도가 저하되어 내구성이 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교제는 화학 가교를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상기 가교제로는 디큐밀페록사이드(DCP, Decumyl Peroxide)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상기 충격흡수 보완층 전체 중량%를 기준으로 0.5~1.5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7~1.2 중량%이며, 반응 제어가 용이하고 또 충분한 화학 가교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발포제 및 발포조제는 발포가 용이하게 진행되도록 첨가되는 것으로, 상기 발포제로는 아조디카본아미드(ADA, Azodicarbonamide)가 사용될 수 있고, 발포조제로는 탄산칼슘, 실리카, 탈크 및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포제의 함량은 상기 충격흡수 보완층(130)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5~2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16~19 중량%이며, 상기 발포조제의 함량은 상기 충격흡수 보완층(130) 전체 중량%를 기준으로 5~1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6~9 중량%이다. 상기 발포제 및 발포조제를 전술한 범위 내에서 사용하여야 발포 반응 제어가 용이하고 원하는 발포율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제는 충격흡수 보완층(130)에 생분해성을 부여하고, 올레핀 수지를 분해하여 미세 플라스틱을 저감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퓨라논 화합물, 글루타르산, 헥사데킨산, 폴리카프로락톤 및 락트산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퓨라논은 3,5-디메틸-펜테닐-디하이드로-2(3H)-퓨라논(3,5-dimethyl-pentenyl-dihydro-2(3H)-furanone)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생분해제는 생분해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퓨라논 화합물 5~10 중량%, 글루타르산 5~20 중량%, 헥사데킨산 10~20 중량%, 폴리카프로락톤 20~40 중량% 및 락트산 15~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우수한 생분해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생분해제로 퓨라논 화합물, 글루타르산, 헥사데킨산, 폴리카프로락톤 및 락트산이 포함된 Bio-Tec Environmental, LLC, 사가 제조한 제품명 "BioSphere"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제의 함량은 상기 충격흡수 보완층(130) 전체 중량% 기준으로 0.5~5중량%, 바람직하게는 0.8~2중량%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9~1.2중량%일 수 있다. 상기 생분해제의 함량이 0.5중량% 미만이면 생분해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5중량%를 초과하면 함량 대비 생분해성 향상도가 미미하여 제조 원가 대비 성능 향상을 기대하기 힘들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는 충격흡수 보완층(130)의 내마모성과 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의 아크릴 성분은 폴리에틸렌 수지와 결합하여 충격흡수 보완층(13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실리콘 성분은 충격흡수 보완층(130) 표면에 노출되어 내마모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이때 실리콘 성분이 충격흡수 보완층(130) 표면에 노출되고, 생분해제 성분은 충격흡수 보완층(130)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생분해가 발생하는 시간을 지연시켜, 충격흡수패드(100)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패드(100)를 사용함에 따라 충격흡수 보완층(130) 표면이 마모되어 실리콘에 의한 코팅이 사라지면, 생분해제에 의한 생분해가 빠르게 발생하게 된다.
상기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는 아크릴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일 수 있으며, 아크릴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아크릴산에스테르 또는 아크릴산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와의 그라프트 중합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며, 이때 비율은 중량비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아크릴산에스테르 또는 아크릴산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가 9:1~1:9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8:2~2:8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로 아크릴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인 닛신 가가꾸 고교사가 제조한 제품명 "샬린 R-2"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의 함량은 상기 충격흡수 보완층(130) 전체 중량% 기준으로 0.01~1중량%, 바람직하게는 0.1~0.5중량%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의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충격흡수 보완층(130)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1중량%를 초과하면 압출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섬유층(140)은 제2 섬유층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60~65중량% 및 폴리에틸렌 35~40중량%로 이루어진 부직포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충격흡수 보완층(130)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패드(100)는 하기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생분해율이 5% 이상이고, 마모율이 2%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생분해율이 5% 미만이면, 분해 시간이 너무 길어지고, 이에 많은 비용이 발생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며, 마모율이 2%를 초과하면 내구성이 낮아 충격흡수패드(100)의 내구연한을 충촉하지 못할 수 있다.
[측정방법]
생분해율 : ASMT D 5511 규격으로 90일 기준에 따라 테스트함
마모율 : 충격흡수패드를 지름 10cm의 원형 시편으로 제작한 뒤 Taber 내 마모 테스트기에 500회 가동하여 마모시킨 후, 마모 전 후의 질량 변화율을 측정함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패드(100)는 다음과 같은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60~65중량% 및 폴리에틸렌 35~40중량%로 이루어진 부직포인 제1 및 제2 섬유층(120, 140)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충격흡수층(110) 및 충격흡수 보완층(130)을 구성하는 원료를 90~130℃에서 용융혼합하고, 이를 시트 형상으로 압출시킨다. 압출된 시트에 160~230℃의 열을 가하여 발포시켜 충격흡수층(110) 및 충격흡수 보완층(130)을 제조한다.
이후, 상기 제1 섬유층(120), 충격흡수층(110), 충격흡수보완층(130) 및 제2 섬유층(140)을 위치시킨 후, 130~170℃에서 열 융착시켜 충격흡수패드(100)를 제조한다.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패드(100)는 타공 등을 통해 기공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생분해제로 퓨라논(furanone) 화합물 5~10 중량%,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5~20 중량%, 헥사데킨산(Hxdecanoic acid) 10~20 중량%,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olymer) 20~40 중량% 및 락트산(lactic acid) 15~30 중량%를 포함하는, Bio-Tec Environmental, LLC, 사가 제조한 제품명 "BioSphere"를 사용하였으며,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로 닛신 가가꾸 고교사가 제조한 제품명 "샬린 R-2"를 사용하였다.
섬유층 제조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60중량% 및 폴리에틸렌 40중량%로 이루어진 부직포를 제조하여, 제1 섬유층 및 제2 섬유층을 제조하였고, 각 두께는 약 0.01mm이다.
충격흡수층 제조예 1 내지 6 및 비교제조예 1 내지 3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디큐밀페록사이드(가교제), 아조디카본아미드(발포제), 탄산칼슘(발포조제), 생분해제 및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를 하기 표 1의 중량%로 압출기에 투입한 후, 110℃에서 용융 혼합하고 압출하여 발포배율이 20배인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압출된 시트를 200℃의 열로 발포시켜 충격흡수층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충격흡수층의 두께는 약 10mm이고, 밀도는 약 0.1g/cm3이다. 상기 발포 배율은 미발포 제품의 밀도 대비 발포 제품의 밀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분 LDPE
(중량%)
가교제
(중량%)
발포제
(중량%)
발포조제
(중량%)
생분해제
(중량%)
아크릴실리콘공중합체
(중량%)
제조예1 88.9 1 8 1 1 0.1
제조예2 88.5 1 8 1 1 0.5
제조예3 87.9 1 8 1 2 0.1
제조예4 87.5 1 8 1 2 0.5
제조예5 89.49 1 8 1 0.5 0.01
제조예6 84 1 8 1 5 1
비교제조예1 89.9 1 8 1 0 0.1
비교제조예2 89 1 8 1 1 0
비교제조예3 90 1 8 1 0 0
충격흡수층 제조예 7 내지 12 및 비교제조예 4 내지 6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디큐밀페록사이드(가교제), 아조디카본아미드(발포제), 탄산칼슘(발포조제), 생분해제 및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를 하기 표 2의 중량%로 압출기에 투입한 후, 110℃에서 용융 혼합하고 압출하여 발포배율이 20배인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압출된 시트를 200℃의 열로 발포시켜 충격흡수층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충격흡수층의 두께는 약 2mm 이고, 밀도는 약 0.1g/cm3이다. 상기 발포 배율은 미발포 제품의 밀도 대비 발포 제품의 밀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분 LDPE
(중량%)
가교제
(중량%)
발포제
(중량%)
발포조제
(중량%)
생분해제
(중량%)
아크릴실리콘공중합체
(중량%)
제조예7 88.9 1 8 1 1 0.1
제조예8 88.5 1 8 1 1 0.5
제조예9 87.9 1 8 1 2 0.1
제조예10 87.5 1 8 1 2 0.5
제조예11 89.49 1 8 1 0.5 0.01
제조예12 84 1 8 1 5 1
비교제조예4 89.9 1 8 1 0 0.1
비교제조예5 89 1 8 1 1 0
비교제조예6 90 1 8 1 0 0
충격흡수 보완층 제조예 1 내지 6 및 비교제조예 1 내지 3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디큐밀페록사이드(가교제), 아조디카본아미드(발포제), 탄산칼슘(발포조제), 생분해제 및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를 하기 표 3의 중량%로 압출기에 투입한 후, 110℃에서 용융 혼합하고 압출하여 발포배율이 30배인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압출된 시트를 200℃의 열로 발포시켜 충격흡수 보완층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충격흡수 보완층의 두께는 약 8mm 이고, 밀도는 약 0.033g/cm3이다. 상기 발포 배율은 미발포 제품의 밀도 대비 발포 제품의 밀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분 LDPE
(중량%)
EVA
(중량%)
가교제
(중량%)
발포제
(중량%)
발포조제
(중량%)
생분해제
(중량%)
아크릴실리콘공중합체
(중량%)
제조예1 54.9 18 1 18 7 1 0.1
제조예2 54.5 18 1 18 7 1 0.5
제조예3 53.9 18 1 18 7 2 0.1
제조예4 53.5 18 1 18 7 2 0.5
제조예5 55.49 18 1 18 7 0.5 0.01
제조예6 50 18 1 18 7 5 1
비교제조예1 55.9 18 1 18 7 0 0.1
비교제조예2 55 18 1 18 7 1 0
비교제조예3 56 18 1 18 7 0 0
충격흡수패드 제조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 4에 따른 구성을 각각 위치시키고, 라미네이팅 공정으로, 150℃의 열을 10분 동안 가하여 각 층을 열 융착시켜, 충격흡수패드를 제조하였다.
구분 제1섬유층 충격흡수층 충격흡수 보완층 제2섬유층
실시예1 O 제조예1 - -
실시예2 O 제조예2 - -
실시예3 O 제조예3 - -
실시예4 O 제조예4 - -
실시예5 O 제조예5 - -
실시예6 O 제조예6 - -
실시예7 O 제조예7 제조예1 O
실시예8 O 제조예8 제조예2 O
실시예9 O 제조예9 제조예3 O
실시예10 O 제조예10 제조예4 O
실시예11 O 제조예11 제조예5 O
실시예12 O 제조예12 제조예6 O
비교예1 O 비교제조예1 - -
비교예2 O 비교제조예2 - -
비교예3 O 비교제조예3 - -
비교예4 O 비교제조예4 비교제조예1 O
비교예5 O 비교제조예5 비교제조예2 O
비교예6 O 비교제조예6 비교제조예3 O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및 6에서 제조된 충격흡수패드의 마모율 및 생분해율을 하기 측정방법을 통해 측정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측정방법]
생분해율 : ASMT D 5511 규격으로 90일 기준에 따라 테스트함
마모율 : 충격흡수패드를 지름 10cm의 원형 시편으로 제작한 뒤 Taber 내 마모 테스트기에 500회 가동하여 마모시킨 후, 마모 전 후의 질량 변화율을 측정함
구분 생분해율(%) 마모율(%)
실시예1 8.3 1.3
실시예2 8.0 1.2
실시예3 8.5 1.3
실시예4 8.4 1.2
실시예5 2.5 4.5
실시예6 8.7 1.1
실시예7 6.5 1.2
실시예8 6.4 1.1
실시예9 6.7 1.2
실시예10 6.6 1.1
실시예11 2.1 4.3
실시예12 7.1 1
비교예1 - 1.1
비교예2 8.0 4.9
비교예3 - 5.0
비교예4 - 1.2
비교예5 6.5 4.8
비교예6 - 4.8
먼저, 제1섬유층 및 충격흡수층으로 구성된 충격흡수패드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생분해제 함량이 1중량% 또는 2 중량%인 경우(실시예 1 내지 4)의 생분해율은 8.5~8.0%로 유사하며, 5중량%인 경우(실시예 6)과 비교할 때,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생분해제 함량이 0.5중량%인 경우(실시예 5)는 생분해율이 2.5%로 1중량%인 경우(실시예 1) 대비 크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를 0.1~0.5중량% 포함하는 경우(실시예 1 내지 4)의 마모율은 1.2~1.3%로, 1중량% 포함한 경우(실시예 6)와 비교할 때,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의 함량이 0.01중량%인 경우(실시예 5)는 마모율이 4.5%로 0.1중량%인 경우(실시예 1) 대비 크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생분해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비교예 1 내지 3)은 생분해가 되지 않거나, 마모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섬유층, 충격흡수층, 충격흡수보완층 및 제2섬유층으로 구성된 충격흡수패드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생분해제 함량이 1중량% 또는 2 중량%인 경우(실시예 7 내지 10)의 생분해율은 6.4.5~6.7%로 유사하며, 5중량%인 경우(실시예 12)과 비교할 때,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생분해제 함량이 0.5중량%인 경우(실시예 11)는 생분해율이 2.1%로 1중량%인 경우(실시예 7) 대비 크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를 0.1~0.5중량% 포함하는 경우(실시예 7 내지 10)의 마모율은 1.1~1.2%로, 1중량% 포함한 경우(실시예 12)와 비교할 때,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의 함량이 0.01중량%인 경우(실시예 11)는 마모율이 4.3%로 0.1중량%인 경우(실시예 1) 대비 크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생분해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비교예 4 내지 6)은 생분해가 되지 않거나, 마모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보완층과 제2섬유층을 더 포함하는 경우(실시예 7)는, 포함하지 않는 경우(실시예 1)보다 생분해율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6% 이상으로 우수한 생분해율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및 6에서 제조된 충격흡수패드의 충격흡수율 및 영구압축률을 하기 측정방법을 통해 측정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측정방법]
충격 흡수율 : KS F 3888-1 시험 규격에 따라 평가하였다.
영구압축률 : KS F 3888-1 시험 규격에 따라 평가하였다.
구분 충격흡수율(%) 영구압축률(%)
실시예1 37 41
실시예2 38 42
실시예3 38 42
실시예4 37 41
실시예5 38 42
실시예6 38 43
실시예7 41 15
실시예8 42 15
실시예9 38 15
실시예10 37 15
실시예11 37 15
실시예12 41 15
비교예1 38 42
비교예2 37 42
비교예3 38 43
비교예4 42 15
비교예5 37 15
비교예6 43 15
표 6을 참조하면, 충격흡수보완층과 제2섬유층을 더 포함하는 경우(실시예 7 내지 12)의 충격흡수성능과 영구압축률이, 포함하지 않는 경우(실시예 1 내지 6)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부터 충격흡수보완층과 제2섬유층을 포함하는 경우, 지속적인 충격흡수성능을 보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충격흡수패드는 특정 함량의 생분해제를 포함함으로써, 내구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향상된 생분해성을 가질 수 있으며, 특정 함량의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표면이 코팅되어 향상된 내마모성을 갖고, 생분해가 발생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지연되어 관련 적용분야에서 요구하는 내구연한 요건을 충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충격흡수패드는 충격흡수 보완층을 더 포함함으로써, 충격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충격흡수패드
110: 충격흡수층
120: 제1 섬유층
130: 충격흡수 보완층
140: 제2 섬유층

Claims (10)

  1. 제1 섬유층;
    올레핀계 수지 87~90중량%, 가교제 0.7~1.2중량%, 발포제 6~9중량%, 발포조제 0.7~1.2중량%, 생분해제 0.8~2중량% 및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 0.1~0.5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섬유층 하면에 위치하는 충격흡수층;
    상기 충격흡수층 하면에 위치하고, 발포 배율이 5~40배이고, 충격흡수 보완층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올레핀계 수지 45~65중량%,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10~25중량%, 가교제 0.5~1.5중량%, 발포제 15~20중량%, 발포조제 5~10중량%, 생분해제 0.5~5중량% 및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 0.01~1중량%를 포함하는 충격흡수 보완층; 및
    상기 충격흡수 보완층 하면에 위치하는 제2 섬유층;
    을 포함하는 충격흡수패드로서,
    상기 충격흡수층 및 충격흡수 보완층의 생분해제는, 생분해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퓨라논(furanone) 화합물 5~10 중량%,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5~20 중량%, 헥사데킨산(Hxdecanoic acid) 10~20 중량%,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olymer) 20~40 중량% 및 락트산(lactic acid) 15~3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흡수층 및 충격흡수 보완층의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는, 아크릴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고,
    하기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생분해율이 5% 이상이고, 마모율이 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패드.
    [측정방법]
    생분해율: ASMT D 5511 규격으로 90일 기준에 따라 테스트함
    마모율: 충격흡수패드를 지름 10cm의 원형 시편으로 제작한 뒤 Taber 내 마모 테스트기에 500회 가동하여 마모시킨 후, 마모 전 후의 질량 변화율을 측정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층은 발포 배율이 5~4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패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섬유층은 제1 섬유층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60~65중량% 및 폴리에틸렌 35~40중량%로 이루어진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패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섬유층은, 제2 섬유층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60~65중량% 및 폴리에틸렌 35~40중량%로 이루어진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패드.
  10. 삭제
KR1020220066174A 2022-05-30 2022-05-30 생분해성 충격흡수패드 KR102568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174A KR102568630B1 (ko) 2022-05-30 2022-05-30 생분해성 충격흡수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174A KR102568630B1 (ko) 2022-05-30 2022-05-30 생분해성 충격흡수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8630B1 true KR102568630B1 (ko) 2023-08-22

Family

ID=87799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6174A KR102568630B1 (ko) 2022-05-30 2022-05-30 생분해성 충격흡수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6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9952A (ja) * 2004-12-24 2006-08-03 Advanced Plastics Compounds Co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及びその成形体
KR20120127118A (ko) * 2011-05-13 2012-11-21 (주)엘지하우시스 발포층을 갖는 생분해성 시트
KR20180123578A (ko) * 2016-04-04 2018-11-16 로디아 폴리아미다 이 에스페시아리다데스 에스.에이. 생분해성 폴리아미드 섬유, 그러한 섬유를 수득하기 위한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폴리아미드 물품
KR20220033972A (ko) 2020-09-10 2022-03-1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배수성이 우수한 충격흡수패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9952A (ja) * 2004-12-24 2006-08-03 Advanced Plastics Compounds Co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及びその成形体
KR20120127118A (ko) * 2011-05-13 2012-11-21 (주)엘지하우시스 발포층을 갖는 생분해성 시트
KR20180123578A (ko) * 2016-04-04 2018-11-16 로디아 폴리아미다 이 에스페시아리다데스 에스.에이. 생분해성 폴리아미드 섬유, 그러한 섬유를 수득하기 위한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폴리아미드 물품
KR20220033972A (ko) 2020-09-10 2022-03-1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배수성이 우수한 충격흡수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5959B2 (en) Interior material for vehicle
US20130266759A1 (en) Flooring material including a pla surface layer having wood patterns
KR20160075531A (ko) 정숙성과 경량성이 우수한 탄성 망상 구조체
KR100632820B1 (ko)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
KR102568630B1 (ko) 생분해성 충격흡수패드
KR20200024416A (ko) 층간 소음 저감용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그의 발포체
EP1448816B1 (fr) Fibres thermoplastiques thermosoudables a base de polypropylene, procede de fabrication de telles fibres et non-tisse obtenu par thermoliage de telles fibres
JP2011116949A (ja) ポリ乳酸系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より得られる発泡体
KR102629564B1 (ko) 생분해성 발포 조성물
KR20150005542A (ko) 폴리아미드/evoh 및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폴리머 제제, 그것의 용도 및 제품
KR102436617B1 (ko) 친환경 발포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49943B1 (ko) 바이오매스 유래 중합체를 포함하는 발포 조성물
US6809125B1 (en) Foam comprising polyolefin blend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2555520B1 (ko) 충격흡수 및 내구성이 향상된 다중 발포 충격흡수패드
KR102042249B1 (ko) 준불연 성능을 갖는 발포성 수지 입자 및 그 제조방법
JP4148318B2 (ja) 広帯域型吸音材および耐水吸音材
KR20240063216A (ko) 치수 안정성이 강화된 충격흡수패드
KR100559577B1 (ko) 저비중 차음재 조성물
KR101875605B1 (ko) 플로어 양면 매트
KR102649898B1 (ko) 놀이터용 인조잔디 구조체
WO2014192790A1 (ja) 軽量性と硬さに優れた弾性網状構造体
KR102655659B1 (ko) 재활용 보강층을 포함하는 충격흡수패드
JP2004027149A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KR102436619B1 (ko) 친환경 발포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5154519A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