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9456A - 가교발포 폴리올레핀 오픈셀 시트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교발포 폴리올레핀 오픈셀 시트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9456A
KR19990069456A KR1019980003725A KR19980003725A KR19990069456A KR 19990069456 A KR19990069456 A KR 19990069456A KR 1019980003725 A KR1019980003725 A KR 1019980003725A KR 19980003725 A KR19980003725 A KR 19980003725A KR 19990069456 A KR19990069456 A KR 19990069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ing
agent
weight
parts
open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3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린
이장훈
김기성
Original Assignee
이봉주
영보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주, 영보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봉주
Priority to KR1019980003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9456A/ko
Publication of KR19990069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9456A/ko

Links

Landscapes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교발포 폴리올레핀 오픈셀 시트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비할로겐계 난연제를 혼합함으로써 유독가스 생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표면 전자선 조사에 의해 발포가스 방출을 억제하며, 특수 열분해형 발포제 블렌드에 의한 급작발포를 유도해 미세한 셀(cell)구조를 가지는 고탄성, 고배율의 특징을 가지는 가교발포 폴리올레핀 오픈셀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가교발포 폴리올레핀 오픈셀 시트의 조성물은, 폴리에틸렌, EVA 수지, 메탈로센계 폴리에틸렌 중 1종 이상을 이용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와, 특수 열분해형 발포제, 가교제, 발포제 분해를 촉진하는 핵제(nucleating agent)와 발포조제 및 난연제 등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가교발포 폴리올레핀 오픈셀 시트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가공성 및 내후성,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여, 방음재의 본래 목적에 적합한 흡차음재, 냉장고 에어컨 등의 냉기 차단재 및 레져용품, 산업용품, 생활용품 등 다양한 분야에 응응될 수 있는 가교발포 폴리올레핀 오픈셀 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수지 및 특수 열분해형 발포제, 가교제, 난연제 등을 혼합 후 압출성형함으로써 고탄성, 고배율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셀 가교발포체에 관한 것으로써, 표면 전자선 가교에 의해 폼(foam)의 발포 안정성 및 미세 셀(cell) 구조를 가지는 폴리올레핀 오픈셀 시트 가교발포체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개발되어 있는 가교발포 오픈셀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발포제와, 가교제와, 발포조제 및 난연제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친수성기를 포함하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 중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였으며, 발포제로는 아조디카본 아미드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가교제로는 디큐밀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사이드 등으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을 사용하였다. 발포조제로는 카드뮴 화합물(Cadmium compound), 칼슘 화합물(Calcium compound), 아연 화합물(Zinc compound), 마그네슘 화합물(Magnesium compound) 중 단독 혹은 혼합사용하였다. 난연제로는 할로겐계 난연제를 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발포제로써 아조디카본 아미드를 단독 사용할 경우에는 발포후에도 셀 크기(cell size)가 불균일하며 셀 막이 두껍게 된다. 또한, 난연제로 사용되는 할로겐계 난연제의 경우는 유독한 가스가 발생되어 인체에 해를 끼쳤다.
따라서, 폴리올레핀 시트의 흡음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셀 오픈(cell open)률을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가교발포 오픈셀 폼(foam)의 제조방법으로는, 블럭형(block type)인 가압성형(compression molding) 공법과 시트형인 압출성형(extruding molding) 공법이 이용되고 있다. 가압성형공법을 이용하는 블럭형의 경우, 탈포에 의한 셀 오픈(cell open)율은 우수하지만, 다단계 제조공정과 비교적 긴 발포시간, 표면층과 중앙층의 셀 크기 편차 등으로 인해 제품의 용도가 한정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압출성형 공법을 이용하는 시트형인 경우, 블럭형의 단점이 많은 부분 보완되기는 하지만, 비교적 큰 셀 크기로 인한 특정 주파수 영역의 흡음율 저하 및 셀 크기 조절의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셀 막(cell wall)이 충분히 얇아지지 않은 상태에서 탈포하게 되므로, 셀 리브(rib) 약화로 인한 복원력 저하 및 셀 오픈율의 저하 등의 단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가압성형법이나 압출성형법으로 오픈셀 제조시, 반드시 셀을 크게 하여 탈포하거나 무기 충진제를 과량 첨가하여 셀 막을 약화되게 하여 탈포를 유도하였으나, 셀을 크게 하면 셀 막이 두꺼워져 탈포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무기 충진제를 과량 첨가하면 나름대로 압착에 의한 탈포는 어렵지 않았지만 폼(foam)의 물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또한 셀이 클 경우 특정 주파수 영역의 흡음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오픈셀 시트의 셀 오픈율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셀 크기가 균일하면서도 셀 막이 얇아야 하는데, 가압성형공법을 이용할 경우에는, 다단계 제조공정과 비교적 긴 발포시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발포후에도 표면층과 중앙층의 셀 크기 편차가 있었으며, 그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압출성형 공법의 경우에도, 셀 크기가 비교적 큰 편이어서 특정 주파수의 흡음율이 저하되었으며 셀 막이 두꺼운 상태로 탈포가 이루어지므로, 셀 오픈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특수 열분해형 발포제, 핵제(nucleating agent), 가교제 등의 물질을 폴리올레핀 수지에 블렌드하여, 경제적이면서도 단일성 및 탄성이 우수하고, 셀 오픈률이 우수하여 방음재 본래의 목적에 적합한 가교발포 오픈셀 시트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표면 전자선 가교에 의해 발포 안정성 및 흡차음 효과, 촉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면서도 미세 셀(fine cell) 구조를 가지는 100% 오픈셀 가교발포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가교발포 폴리올레핀 오픈셀 시트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은 이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교발포 폴리올레핀 오픈셀 시트의 조성물은, 셀의 오픈률을 개선하기 위해서, 폴리올레핀 수지와, 열분해형 발포제와, 가교제와, 발포조제와, 난연제 및 핵제(nucleating agen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오픈셀 시트의 조성물로 이용되는 폴리올레핀 수지로는, 제품의 강도 및 탄성률을 고려하여,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메탈로센 폴리에틸렌(metallocene PE), 친수성기를 포함하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 중에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단독 혹은 2종 이상을 사용하며, 이 수지 조성물을 100중량부 사용한다.
특별히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수지로는, 용융지수 1.0∼6.0이며, 융점 100∼125℃이며, 밀도 0.9∼1.0g/c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LDPE)와, 옥텐(octene) 함량이 7∼24%인 메탈로센 폴리에틸렌과, 초산비닐 함량이 15∼50 mol%이며, 밀도가 0.9∼1.0g/c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 중 단독 또는 혼합사용한다.
발포제로는, 분해가 용이하고 미세 균일한 기포를 형성하는 발포체를 얻기 위해서, 아조디카본 아미드(Azodicarbonamide), 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 테트라민(N,N-Dinitrosopentamethylene tetramine), 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P,P-Oxybis(benzenesulfonyl hydrazide), 톨루엔 설포닐 하이드라지드(toluenesulfonyl hydrazide)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한다. 2종 이상의 블렌드일 경우에는 급작발포를 유도하므로 더욱 우수한 미세 셀(cell) 구조를 형성하게 되므로, 2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아조디카본 아미드(이하 ADCA로 칭함)와 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이하 OBSH로 칭함)를 혼합사용할 경우, OBSH는 분해잔사가 매우 많아서 이 분해잔사가 기체 성장의 핵제로 작용하고, 셀이 미세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OBSH는 ADCA에 비해 열분해시 상당한 높은 발열량으로 인해, OBSH는 인접해 있는 ADCA 입자에 핫 스폿(Hot spot)으로 작용하여, 이로 인한 급작발포로 인해 셀 막을 얇게 하여 셀 오픈을 용이하게 한다. 아조디카본 아미드를 주성분으로 하고, 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나 톨루엔 설포닐 하이드라지드를 더 포함하는 발포제는, 폴리올레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15∼20중량부 사용한다.
발포제의 분해촉진을 유도하기 위한 발포조제로는, 가교제 및 기타 첨가제와의 화학반응에 따른 물성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카드뮴 화합물, 칼슘 화합물, 아연 화합물, 마그네슘 화합물 중 단독 혹은 혼합사용하며, 폴리올레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3∼2.0중량부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0.5∼1.5중량부를 사용한다.
가교제로서는, 디큐밀퍼옥사이드(DCP: Dicumylperoxide), t-부틸퍼옥사이드(Di-t-butylperoxide) 등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며, 이중 디큐밀퍼옥사이드가 적절하다. 가교제의 함량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0.5∼2.0중량부를 사용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6∼1.0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가교제에 의한 가교 밀도는, 발포 안정성 및 셀 오픈성 등을 고려하여 40∼80%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70%가 좋다.
난연제로는, 난연성이 우수한 할로겐계 난연제와, 할로겐계 난연제에 비해 연소시 발열량과 연기의 발생이 적고 유독가스 생성이 없어서 안전한 유기 실리콘 난연제 중에서, 단독 또는 혼합사용한다. 할로겐계 난연제와 유기 실리콘 난연제를 혼합하여 사용하게 되면, 유기 실리콘 난연제의 경우 난연성이 부족한 것과 할로겐계 난연제의 유독가스 생성 등의 문제점을 상호 보완하면서, 우수한 난연성을 갖게 되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난연제는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5∼15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 가교발포체 오픈셀 시트의 조성물에서는, 발포제의 분해촉진을 유도하기 위해서, 핵제(nucleating agent)를 더 사용한다. 핵제로는 탈크(Talc)를 사용하며, 그 함량은 폴리올레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0.5 ∼ 2.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설명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압출성형법을 이용하여 가교발포 오픈셀 세트를 성형한다.
본 발명의 가교발포 폴리올레핀 오픈셀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중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반드시 포함하여 단독 또는 혼합사용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와; 아조디카본 아미드, 디니트로소 펜타메틸렌 테트라민, 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 톨루엔 설포닐 하이드라지드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아조디카본 아미드를 포함한 1종 이상이며, 시트의 급작발포를 유도해 더욱 우수한 미세 셀(cell)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그룹 중 2종 이상의 블렌드를 사용하는 열분해형 발포제와; 디큐밀 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사이드 등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인 가교제와; 할로겐계 난연제와 유기 실리콘 난연제 중 단독 또는 혼합사용하는 난연제와; 카드뮴 화합물, 칼슘 화합물, 아연 화합물, 마그네슘 화합물 중 단독 혹은 혼합사용하는 발포조제와; 탈크인 핵제와를 혼련기(kneader)를 이용하여 배합하여 마스터베치(M/B)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터베치를 압출기를 통과하도록 하여 시트형 성형체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시트형 성형체의 표면을 가교 가공하기 위해 표면 전자선 조사하는 단계와,
상기 시트체를 발포로인 고온의 열풍로를 통과하도록 하여 소정의 연속 발포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셀(cell)을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상기 발포단계 후에 자연냉각을 행하는 단계와,
상기 발포체의 일면을 커터로 슬라이스(slice)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슬라이스 처리된 발포체를 압착롤을 통과하도록 하여 셀을 오픈시켜서 오픈셀(open cell) 가교발포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면 전자선 가교하는 단계는, 시트의 표면을 가교처리하여 매끄러운 표면을 얻고, 가교발포체의 발포과정에서의 발포 안정성을 높이고, 발포체 표면에서의 가스방출을 억제하여 두께 감소를 방지하며, 촉감 및 미세 셀 구조를 형성시키고 흡차음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시트의 표면에 행한다.
발포로를 통과하는 발포단계 후, 자연냉각을 하여 셀을 충분히 안정화시킨 후 발포체의 한 면을 커터로 슬라이스하여 압착롤에 통과시켜 셀을 오픈시키게 되면, 발포체의 탄성 및 셀 구조의 안정성이 유지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가교발포 폴리올레핀 오픈셀 시트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을 이용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100중량부와, 아조디카본 아미드(ADCA) 15중량부와 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OBSH) 1중량부를 혼합사용하는 발포조제 16중량부와, 가교제인 디큐밀퍼옥사이드(DCP) 1.0중량부와, 핵제(nucleating agent)인 탈크 5.0중량부와, 발포조제인 활성 아연화합물(AZO: Activated Zinc Oxide) 0.5중량부와, 유기실리콘계 및 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하는 난연제 8.0중량부를 혼련기에서 충분히 혼련하여 이 혼합물을 마스터베치(M/B) 형태로 만들었다. 그후, 압출기를 통과시켜 두께가 3.0∼3.2mm인 시트형태의 성형체를 만들고 표면 전자선 가교를 행한 후 205∼220℃의 발포로를 통과시켜서, 소정의 연속 발포체를 얻었다. 그후, 시트를 충분히 냉각시키고, 발포체의 일면을 커터로 슬라이스(slice) 처리한 후, 압착롤에 통과시켜 10∼15mm의 오픈셀 시트 가교발포체를 얻었다. 그 결과 얻은 오픈셀 가교발포체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80중량부와 저밀도 폴리에틸렌 20중량부를 혼합사용하고, 난연제를 첨가하지 않았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동일한 제조과정에 의해 오픈셀 시트 가교발포체를 얻었다.
실시예 3
발포제로는, 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OBSH)를 혼합하지 않고 아조디카본 아미드를 단독으로 사용하였으며, 난연제를 첨가하지 않았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동일한 제조과정에 의해 오픈셀 시트 가교발포체를 얻었다.
실시예 4
폴리올레핀 수지로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를 80중량부와 메탈로센계 폴리에틸렌 20중량부를 사용하고, 난연제를 첨가하지 않았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동일한 제조과정에 의해 오픈셀 시트 가교발포체를 얻었다.
실시예 5
폴리올레핀 수지로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를 80중량부와 메탈로센계 폴리에틸렌 20중량부를 사용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동일한 제조과정에 의해 오픈셀 가교 발포체를 얻었다.
상기 실시예의 조성물의 혼합비와, 각 실시예에 따른 가교발포 오픈셀 시트의 물성 및 오픈률을 이하의 표 1에 표시하였다.
순서조성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EVA 100 80 100 80 80
LDPE · 20 · · ·
메탈로센계 PE · · · 20 20
ADCA 15 15 15 15 15
OBSH 1.0 1.0 · 1.0 1.0
DCP 1.0 1.0 1.0 1.0 1.0
탈크 5.0 5.0 5.0 5.0 5.0
AZO 0.5 0.5 0.5 0.5 0.5
유기 실리콘계 및할로겐계 난연제 8.0 · · · 8.0
발포후밀도(g/cm3) 0.038 0.028 0.030 0.032 0.040
발포 배율 26 36 33 31 25
반발탄성(%) 30 32 32 35 35
셀 오픈성
흡음성
* ◎: 우수, ○: 양호, △: 보통
상기 실시예를 비교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오픈셀 시트 가교발포체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로써,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발포제로써 아조디카본 아미드를 단독 사용하고, 가교제와, 발포조제 및 난연제를 사용하는 경우와, 본 발명의 오픈셀 시트 가교발포체의 조성물로써, 폴리올레핀 수지와, 발포제로써 아조디카본 아미드(ADCA)에 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OBSH)나 톨루엔 설포닐 하이드라지드를 혼합사용하고, 가교제와, 발포조제와 난연제 및 핵제를 더 포함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즉, 종래에는 발포제로써 ADCA만을 사용하였고, 발포제의 분해를 촉진하기 위해 발포조제를 사용하였지만, 종래의 경우 발포조제를 사용하더라도 발포제는 200℃ 부근에서 열분해하여 질소가스를 방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발포제로써 ADCA를 단독 사용하거나, 바람직하게는 ADCA에 OBSH를 혼합사용하고, 발포제의 분해를 촉진하기 위한 핵제로써 탈크(Talc)를 사용하고, 발포조제를 혼합하여 사용하게 되면, 160℃ 부근에서 열분해될 뿐만 아니라 발열반응을 하게 된다. 즉, 발포제로써 ADCA에 OBSH를 혼합사용하게 되면, OBSH는 분해잔사가 매우 많아서 이 분해잔사가 기체성장의 핵제로 작용하여, 셀이 미세하게 되며, 또한 OBSH는 ADCA에 비해 열분해시 상당한 높은 발열량으로 인해, OBSH는 인접해 있는 ADCA 입자에 핫 스폿(Hot spot)으로 작용하여, 이로 인한 급작발포로 인해 셀 막을 얇게 하여 셀 오픈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OBSH를 ADCA에 혼합한 발포제를 사용하고, 탈크를 핵제로써 더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발포제의 분해가 촉진되어, 발포시에 셀 크기가 균일하면서도 셀 막이 얇아진다. 따라서, 발포체의 냉각 후 압착롤을 통과시킬 때 셀이 잘 파괴되어 탈포가 용이하게 되므로 셀의 오픈률이 향상된다.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가교발포 폴리올레핀 오픈셀 시트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발포제로써 OBSH를 ADCA에 혼합한 발포제를 사용하게 되면, 셀이 미세하게 되며, 열분해시 상당히 높은 발열량으로 인해 OBSH는 인접해 있는 ADCA 입자에 핫 스폿으로 작용하므로, 급작발포로 인해 셀 오픈이 용이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핵제로써 탈크를 더 첨가함으로써, 발포제의 분해가 촉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발포제로써 ADCA에 OBSH나 톨루엔 설포닐 하이드라지드 중 하나를 혼합사용하고, 탈크를 핵제로써 사용하게 되면, 이들 발포제와 핵제와 발포조제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포시에 급작발포로 인해 셀 오픈률이 향상되며, 미세한 셀(cell) 구조를 가지는 고탄성, 고배율의 특징을 가지는 오픈셀 시트 가교발포체를 형성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핵제로써 탈크를 첨가하여 셀 크기를 작게 하고, OBSH를 더 첨가하여 급작발포로 인해 셀 막을 얇게 하여 셀 오픈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할로겐계 난연제를 혼합함으로써 유독가스 생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표면 전자선 조사에 의해 시트의 표면이 가교처리되어서 매끄러운 표면을 얻을 수 있고, 가교발포체의 발포과정에서의 발포 안정성이 높아지고, 발포체 표면에서의 가스방출이 억제되어 두께 감소가 저하되며, 촉감 및 미세 셀 구조를 형성시켜 흡차음 효과를 향상시키게 된다.
발포로를 통과하는 발포단계 후, 자연냉각에 의해 셀을 충분히 안정화시킨 후 발포체의 한 면을 커터로 슬라이스하여 압착롤에 통과시켜 셀을 오픈시키게 되면, 발포체의 탄성 및 셀 구조의 안정성이 유지된다.

Claims (5)

  1. 폴리올레핀 수지와, 발포제와, 가교제와, 발포조제와, 난연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교발포 오픈셀 시트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메탈로센 폴리에틸렌(metallocene P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 중 EVA 공중합체를 반드시 포함하여 단독 또는 혼합사용하며,
    상기 발포제로는, 아조디카본 아미드(ADCA: Azodicarbonamide), 디니트로소 펜타메틸렌 테트라민(N,N-Dinitrosopentamethylene tetramine), 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OBSH: P,P-Oxybis(benzenesulfonyl hydrazide), 톨루엔 설포닐 하이드라지드(toluenesulfonyl hydrazide)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아조디카본 아미드를 포함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열분해형 발포제를 사용하며,
    상기 가교제로는, 디큐밀 퍼옥사이드(Dicumylperoxide), t-부틸퍼옥사이드(Di-t-butylperoxide) 등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을 사용하며, 상기 가교제에 의한 가교밀도는 60∼70%이며,
    상기 발포조제로는, 카드뮴 화합물, 칼슘 화합물, 아연 화합물, 마그네슘 화합물 중 단독 혹은 혼합사용하며,
    상기 난연제로는, 난연성이 우수한 할로겐계 난연제와, 할로겐계 난연제에 비해 연소시 발열량과 연기의 발생이 적고 유독가스 생성이 없는 유기실리콘 난연제를 혼합사용하며,
    탈크(Talc)인 핵제(nucleating agent)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발포 폴리올레핀 오픈셀 시트의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를 100중량부, 상기 열분해형 발포제를 15 ∼ 20중량부, 상기 가교제를 0.6 ∼ 2중량부, 상기 난연제를 5 ∼ 15중량부, 상기 발포조제를 0.5 ∼ 1.5 중량부, 상기 핵제를 0.5 ∼ 2.0 중량부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발포 폴리올레핀 오픈셀 시트의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분해형 발포제로는, 시트의 급작발포를 유도해서 더욱 우수한 미세 셀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 아조디카본 아미드에 디니트로소 펜타메틸렌 테트라민이나 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나 톨루엔 설포닐 하이드라지드를 혼합하여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발포 폴리올레핀 오픈셀 시트의 조성물.
  4. 가교발포 폴리올레핀 오픈셀 시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저밀도 폴리에틸렌,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중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반드시 포함하여 단독 또는 혼합사용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와; 아조디카본 아미드, 디니트로소 펜타메틸렌 테트라민, 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 톨루엔 설포닐 하이드라지드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아조디카본 아미드를 포함한 1종 이상이며, 상기 그룹 중 2종 이상의 블렌드를 사용할 경우 급작 발포를 유도해 더욱 우수한 미세 셀(cell) 구조를 형성하게 되는 열분해형 발포제와; 디큐밀 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사이드 등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인 가교제와; 할로겐계 난연제와 유기 실리콘 난연제 중 단독 또는 혼합사용하는 난연제와; 카드뮴 화합물, 칼슘 화합물, 아연 화합물, 마그네슘 화합물 중 단독 혹은 혼합사용하는 발포조제와; 탈크인 핵제와;를 혼련기(kneader)를 이용하여 배합하여 마스터베치(M/B)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터베치를 압출기를 통과하도록 하여 시트형 성형체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시트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고, 발포과정에서의 발포 안정성을 높이고, 발포체 표면에서의 가스방출을 억제하고 흡차음 효과를 높이고, 촉감 및 미세 셀 구조를 형성시키기 위해서, 상기 성형체의 표면에 표면 전자선 조사하는 단계와,
    상기 가교처리된 시트체를 발포로인 고온의 열풍로를 통과하도록 하여 소정의 연속 발포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셀(cell)을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상기 발포단계 후에 자연냉각을 행하는 단계와,
    상기 발포체의 일면을 커터로 슬라이스(slice)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슬라이스 처리된 발포체를 압착롤을 통과하도록 하여 셀을 오픈시켜서 오픈셀(open cell)의 가교발포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발포 폴리올레핀 오픈셀 시트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를 100중량부, 상기 열분해형 발포제를 15 ∼ 20중량부, 상기 가교제를 0.6 ∼ 2중량부, 상기 난연제를 5 ∼ 15중량부, 상기 발포조제를 0.5 ∼ 1.5 중량부, 상기 핵제를 0.5 ∼ 2.0 중량부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발포 폴리올레핀 오픈셀 시트의 제조방법.
KR1019980003725A 1998-02-09 1998-02-09 가교발포 폴리올레핀 오픈셀 시트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694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3725A KR19990069456A (ko) 1998-02-09 1998-02-09 가교발포 폴리올레핀 오픈셀 시트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3725A KR19990069456A (ko) 1998-02-09 1998-02-09 가교발포 폴리올레핀 오픈셀 시트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456A true KR19990069456A (ko) 1999-09-06

Family

ID=65893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3725A KR19990069456A (ko) 1998-02-09 1998-02-09 가교발포 폴리올레핀 오픈셀 시트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945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6212A (ko) * 1999-12-17 2001-07-04 김종목 불연성 가교 폴리올레핀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545030B1 (ko) * 2002-09-13 2006-01-24 헨켈코리아 주식회사 차체의 프레임 방음용 발포체 조성물
KR100806565B1 (ko) * 2006-07-28 2008-02-2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가교된 오픈셀 구조의 박막 발포체 제조방법
KR20150124670A (ko) * 2014-04-29 2015-11-06 주식회사 청하 디플렉터 워터필름 수지 조성물
KR102182783B1 (ko) * 2020-04-29 2020-11-25 박기찬 충격흡수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403687B1 (ko) * 2021-02-24 2022-05-31 주식회사 민우티앤씨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마루 시스템
KR102598614B1 (ko) * 2022-05-25 2023-11-06 주식회사 민우티앤씨 탄성 마루 바닥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6212A (ko) * 1999-12-17 2001-07-04 김종목 불연성 가교 폴리올레핀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545030B1 (ko) * 2002-09-13 2006-01-24 헨켈코리아 주식회사 차체의 프레임 방음용 발포체 조성물
KR100806565B1 (ko) * 2006-07-28 2008-02-2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가교된 오픈셀 구조의 박막 발포체 제조방법
KR20150124670A (ko) * 2014-04-29 2015-11-06 주식회사 청하 디플렉터 워터필름 수지 조성물
KR102182783B1 (ko) * 2020-04-29 2020-11-25 박기찬 충격흡수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403687B1 (ko) * 2021-02-24 2022-05-31 주식회사 민우티앤씨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마루 시스템
KR102598614B1 (ko) * 2022-05-25 2023-11-06 주식회사 민우티앤씨 탄성 마루 바닥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49630A1 (en) Composition for polyolefin resin foam and foam thereof, and method for producing foam
KR100798204B1 (ko) 폴리올레핀 수지 발포체용 조성물, 폴리올레핀 수지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4036601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20101179A1 (en) Soft Polyolefin Foams With High Heat Resistance
US4680317A (en) Molding composition for crosslinked foam material from polyolefins and ethylene-propylene elastomer,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the foam material
EP0470701A2 (en) Cross-linkable, foamabl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WO1986000628A1 (en) Foams of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and a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JP2004330464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シートの製造方法、発泡シートおよびその成形体
EP1870434B1 (en) Blends of ethylenic polymers with improved modulus and melt strength and articles fabricated from these blends
KR19990069456A (ko) 가교발포 폴리올레핀 오픈셀 시트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755109B2 (ja) 連続シート状難燃性ポリプロピレン系架橋発泡体
JP2673310B2 (ja) 連続気泡を有するポリエチレン系樹脂発泡体の製造法
JP4027730B2 (ja) 発泡能力を有す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047623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架橋発泡体用組成物
JP4313637B2 (ja) 架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
JP2002128932A (ja) ゴム系難燃発泡体
JPH03139535A (ja) ポリオレフィン架橋発泡体用組成物
JPH0257576B2 (ko)
JPH0480237A (ja) 架橋発泡体用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JP3267424B2 (ja) 難燃性ポリエチレン系樹脂発泡体
JP3454739B2 (ja) 架橋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70623A (ja) 難燃性樹脂発泡体用組成物、難燃性樹脂発泡体及び難燃性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JPH07286059A (ja) ポリエチレン系電子線架橋発泡体
JP4505865B2 (ja) 無架橋発泡成形用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よりなる発泡体
JPH04248847A (ja) 発泡性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