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3687B1 -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마루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마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3687B1
KR102403687B1 KR1020210024622A KR20210024622A KR102403687B1 KR 102403687 B1 KR102403687 B1 KR 102403687B1 KR 1020210024622 A KR1020210024622 A KR 1020210024622A KR 20210024622 A KR20210024622 A KR 20210024622A KR 102403687 B1 KR102403687 B1 KR 102403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polymer material
pad
weight
flo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현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민우티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민우티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민우티앤씨
Priority to KR1020210024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6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10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8Net structure, e.g. spaced apart filaments bonded at the crossing po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14Use of organic additives
    • C08J9/0023Use of organic additives containing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1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nitrogen, the blowing agent being a compound containing a nitrogen-to-nitrogen bond
    • C08J9/102Azo-compounds
    • C08J9/103Azodicarbon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6Ethers; Acetals; Ketals; Ortho-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hlorop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마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목 재질의 플로어링보드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존의 철재 장선을 적용하는 대신 고분자 소재를 이용하여 충격에 따른 소음 발생을 방지하는 한편 시공성이 용이한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마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마루 시스템은 콘크리트 바닥(500)의 상부에 구비되는 폼패드(100); 상기 폼패드(100)의 상부에 소정의 패턴에 따라 이격 배열되는 다수의 방진패드(200); 상기 방진패드(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합판(300); 및 상기 합판(300)의 상부에 다수개가 연속해서 결합되는 플로어링보드(400);를 포함하며, 상기 방진패드(200)는 2종 근린생활시설에 설치되는 경우 배열 간격이 30~50㎝이고, 상기 방진패드(200)와 합판(300) 사이에는 두께가 1.8~3㎜인 폴리에스테르사로 직조되어 탄성력을 갖는 에어메쉬(6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마루 시스템{Floor system using polymer material}
본 발명은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마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목 재질의 플로어링보드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존의 철재 장선을 적용하는 대신 고분자 소재를 이용하여 충격에 따른 소음 발생을 방지하는 한편 시공성이 용이한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마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루는 일반 가정은 물론 학교, 미술관, 전시장, 상업용 매장, 체육관, 실내경기장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체육관이나 교실, 실내경기장 등에서 사용되는 경우, 많은 인원이 사용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바닥상의 완충작용과 체중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보행성이 요구되고,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차음성이 요구된다.
지금까지 사용해온 강당, 실내 체육시설 등의 마루 구조는 장선위에 합판을 1겹 또는 2겹으로 깔고, 그 위에 플로어링보드를 시공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재료비와 인건비 등이 상승되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합판 사이에 습기가 발생하여 원목 재질인 플로어링보드가 부식되는 등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일예가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마루바닥의 상부를 형성하며 상호간에 밀착 배치되는 복수의 원목마루패널; 상기 원목마루패널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원목마루패널이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고, 다수개가 상호간에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배치되는 복수의 목재데크; 상기 목재데크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목재데크가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고 다수개가 압축이 가능한 목재완충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목재완충부에 밀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목재장선부; 상기 목재장선부의 하부에서 상기 목재장선부를 지지하는 금속재장선부; 상기 금속재장선부를 지면에 대하여 완충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선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목마루패널이 팽창하였을 때에 상기 목재장선부가 상기 목재완충부를 압축시키면서 상기 목재데크 및 상기 목재장선부가 이동하여 상기 원목마루패널의 팽창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마루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철재 장선을 이용한 지지 구조로 인하여 충격에 따른 소음이 발생되고, 충격량이나 처짐 등이 다르기 때문에 운동성이 떨어지며, 시공 시 장선을 세우고 높이를 조절하는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 작업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 바닥과 원목 마루 사이의 좁은 공간에서 공기의 흐름없이 정체된 상태가 지속됨에 따라 습기가 배출되지 못하여 원목이 부식되고, 내구성이 저하되어 하자 보수 사례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공 불량에 따른 마루틀 및 장선의 전도 발생으로 마루바닥의 꺼짐 발생을 야기하며, 관류열 차단을 고려하고 있지 않아 여름철 냉방 및 겨울철 난방 효율이 떨어져 에너지 사용량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9559호(2014.11.03.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면탄성을 갖는 고분자 소재인 폼패드와 방진패드를 이용하여 원목 재질인 플로어링보드를 지지함으로써 플로어링보드의 갈라짐이나 뒤틀림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마루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유해성이 없고, 전도 방지가 가능하며, 열관류를 방지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실내 활동을 할 수 있는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마루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소정의 사이즈를 갖는 방진패드를 소정의 패턴에 따라 이격 배열시킴으로써 실내 스포츠 시설 바닥재에 대한 충격흡수성 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마루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 바닥의 상부에 구비되는 폼패드에 의한 단열 기능으로 에너지 저감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마루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마루 시스템은 콘크리트 바닥(500)의 상부에 구비되는 폼패드(100); 상기 폼패드(100)의 상부에 소정의 패턴에 따라 이격 배열되는 다수의 방진패드(200); 상기 방진패드(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합판(300); 및 상기 합판(300)의 상부에 다수개가 연속해서 결합되는 플로어링보드(400);를 포함하며, 상기 방진패드(200)는 2종 근린생활시설에 설치되는 경우 배열 간격이 30~50㎝이고, 상기 방진패드(200)와 합판(300) 사이에는 두께가 1.8~3㎜인 폴리에스테르사로 직조되어 탄성력을 갖는 에어메쉬(6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폼패드(100)는 화학 가교 발포 폴리에틸렌 폼(XPE)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40~60 중량부,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thylene Vinyl Acetate, EVA) 10~15 중량부, 발포제(Azodicarbonamide, ADCA) 5~20 중량부, 가교제(Di-Cumyl Peroxide, DCP)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폼패드(100)는 두께가 5~20㎜이고, 발포 비율이 15~20배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폼패드(100)는 밀도가 45~75㎏/㎥이고, 경도가 30~4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진패드(200)는 네오프렌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진패드(200)는 두께가 10~20㎜이고, 사이즈가 150×1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마루 시스템은 면탄성을 갖는 고분자 소재인 폼패드와 방진패드를 이용하여 원목 재질인 플로어링보드를 지지함으로써 플로어링보드의 갈라짐이나 뒤틀림 변형 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해성이 없고, 전도 방지가 가능하며, 열관류를 방지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실내 활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내 스포츠 시설 바닥재에 대한 충격흡수성 기준을 충족하여 내구성 및 제품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폼패드에 의해 열이 바닥으로 방출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단열성능이 향상되어 에너지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마루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마루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마루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마루 시스템의 충격흡수성 시험을 촬영한 사진.
도 5 내지 도 7은 충격흡수성 시험에 이용되는 방진패드의 배열 구조를 촬영한 사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마루 시스템의 온도변화 시험을 촬영한 사진.
도 9는 온도변화 시험에 따른 결과값을 도시한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마루 시스템은 강당, 체육관, 실내경기장 등의 생활시설에 시공되는 것으로, 폼패드(100), 방진패드(200), 합판(300) 및 플로어링보드(400)를 포함한다.
상기 폼패드(100)는 콘크리트 바닥(5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소음 및 충격 저감 효과는 물론 콘크리트 바닥(500)으로부터 발생되는 습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폼패드(100)는 두께가 5~20㎜이고, 발포 비율이 15~20배의 범위를 갖는다.
특히, 상기 폼패드(100)의 두께가 5㎜ 미만일 경우에는 두께가 얇기 때문에 쿠션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두께가 2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장재용 시트가 장시간 꺾여 있을 경우 발포 셀의 형상이 변형 및 고정되어 제품 표면에 깊은 주름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폼패드(100)의 발포 비율이 15배수 미만일 경우에는 폼패드가 편평한 평활성을 유지하기 어렵고, 20배수를 초과할 경우에는 폼패드의 압축강도가 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폼패드(100)는 밀도가 45~75㎏/㎥이고, 경도가 30~45이다. 특히, 상기 폼패드(100)의 밀도 조절은 발포제를 통해 조절하며, 상기 폼패드(100)의 밀도가 45㎏/㎥ 미만일 경우에는 하중에 대한 저항이 취약하여 강당, 체육관, 실내경기장 등의 생활시설에 시공되는 마루 시스템으로서의 기능이 미흡하고, 밀도가 75㎏/㎥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도가 높고, 탄성이 적어 충격음에 대한 흡수효과가 저하된다.
한편, 상기 폼패드(100)는 화학 가교 발포 폴리에틸렌 폼(XPE)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40~60 중량부,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thylene Vinyl Acetate, EVA) 10~15 중량부, 발포제(Azodicarbonamide, ADCA) 5~20 중량부, 가교제(Di-Cumyl Peroxide, DCP) 1~5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고체이며, 산알칼리 용제에 견디나 고온탄화수소 및 할로겐화 탄화수소에는 녹으며, 전기절연성, 내수성, 방습성, 내한성이 양호하고, 포장 용기, 전선피복. 파이프, 섬유, 포장재료 등에 사용된다.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은 화학 가교 발포 폴리에틸렌 폼(XPE)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60 중량부이다.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경도 보강 효과가 미미하고, 6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도가 증가하여 딱딱함을 느낄 우려가 있다.
상기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thylene Vinyl Acetate, EVA)는 중금속이나 발암물질 등이 없고 독성이 없는 친환경 소재이며, 탄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외기온도에 의한 변형이 적기 때문에 신발 밑창, 어린이 매트, 차량용 매트, 주택 차음 및 진동저감 소재, 포장 완충재 등 실생활과 산업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함량은 화학 가교 발포 폴리에틸렌 폼(XPE)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15 중량부이다. 상기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작업성과 발포 시 퍼짐성이 저하되고,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가열치수 안전성이 저하된다.
상기 발포제(Azodicarbonamide, ADCA)는 결정성 가루로 물이나 대부분의 유기 용매에 잘 녹지 않는 성질을 가진다.
상기 발포제의 함량은 화학 가교 발포 폴리에틸렌 폼(XPE) 100 중량부에 대하여 5~20 중량부이다.
상기 발포제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발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고,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도가 낮은 폼이 제작되어 지지력이 현저히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가교제(Di-Cumyl Peroxide, DCP)는 사슬 모양 고분자 사이에서 가교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수지에 경도나 탄력성 등 기계적 강도와 화학적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화학 가교 발포 폴리에틸렌 폼(XPE)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이다.
상기 가교제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가교가 부족하여 발포제 분해 시 수지의 고온점탄성이 유지되지 못하여 폼의 외관이 불량해질 뿐만 아니라 영구압축줄음율 특성이 열악해져 제품의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하며,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가교로 인하여 가교밀도 증가에 따른 상대적 발포압이 증가하여 폼의 셀이 터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진패드(200)는 상기 폼패드(100)의 상부에 소정의 패턴에 따라 이격 배열된다.
상기 방진패드(200)는 내마모성이 우수한 네오프렌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네오프렌고무는 클로르프렌의 상품명으로서 내후성, 내오존성, 내열노화성, 내유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며, 가스투과율이 낮고 점착력이 강력하며, 각종 외적 환경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갖는다.
상기 방진패드(200)는 두께가 10~20㎜이고, 사이즈가 150×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진패드(200)는 2종 근린생활시설에 설치되는 경우 배열 간격이 30~50㎝이다.
일반적으로 근린생활시설은 [건축법]에 의한 용도별 건축물의 종류상 1종 근린생활시설과 2종 근린생활시설로 분류된다.
따라서, 건축물의 종류에 따른 충격흡수성을 고려하여 스포츠 시설 등의 2종 근린생활시설에 설치되는 방진패드의 간격을 30~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진패드(200)의 배열 간격에 대한 범위를 한정한 이유는 후술하게 될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합판(300)은 상기 방진패드(200)의 상부에 구비되어 플로어링보드(400)들을 지지한다.
상기 합판(300)은 플로어링보드(400)에서 전해지는 하중과 충격을 어느 한 쪽으로 편중되지 아니하도록 고르게 분산시켜 하부에 위치한 방진패드(200)로 전달한다.
상기 플로어링보드(400)는 원목 재질로 제작되는 것으로, 상기 합판(300)의 상부에 다수개가 연속해서 결합된다.
상기 플로어링보드(400)는 마루 시스템의 최상층을 형성하며, 합판(300)의 상면에 타커핀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방진패드(200)와 합판(300) 사이에는 두께가 1.8~3㎜인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에어메쉬(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종래에는 콘크리트 바닥과 원목 마루 사이의 좁은 공간에서 공기의 흐름없이 정체된 상태가 지속됨에 따라 습기가 배출되지 못하여 원목이 부식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사로 직조되어 탄성력을 갖는 에어메쉬(600)를 방진패드(200)와 합판(300) 사이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메쉬(600)는 체중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통기성이 우수하여 플로어링보드 등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에어메쉬(600)의 두께가 1.8㎜ 미만일 경우에는 공기에 의한 완충성능이 저하되고, 두께가 3㎜를 초과할 경우에는 강도의 부족으로 인한 크랙, 침하 등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0㎜의 두께를 갖는 폼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폼패드의 상부에 사이즈가 150×150㎜인 다수개의 방진패드를 소정의 패턴에 따라 이격 배열하였다. 이후, 상기 방진패드의 상부에 합판을 구비하고, 상기 합판의 상부에 다수개의 플로어링보드를 연속해서 결합하여 마루 시편을 제조하였다. 특히, 방진패드들 간의 배열 간격을 각각 50㎝, 40㎝, 30㎝, 20㎝가 되도록 하여 모두 4개의 마루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10㎜의 두께를 갖는 폼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폼패드의 상부에 사이즈가 300×300㎜인 다수개의 방진패드를 소정의 패턴에 따라 이격 배열하였다. 이후, 상기 방진패드의 상부에 합판을 구비하고, 상기 합판의 상부에 다수개의 플로어링보드를 연속해서 결합하여 마루 시편을 제조하였다. 특히, 방진패드들 간의 배열 간격을 각각 40㎝, 30㎝, 20㎝, 격자 배열이 되도록 하여 모두 4개의 마루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10㎜의 두께를 갖는 폼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폼패드의 상부에 사이즈가 150×150㎜인 다수개의 방진패드를 모두 격자 형태로 배열하였다. 이후, 상기 방진패드의 상부에 합판을 구비하고, 상기 합판의 상부에 다수개의 플로어링보드를 연속해서 결합하여 마루 시편을 제조하였다. 특히, 격자 형태로 배열된 방진패드들 간의 배열 간격을 각각 70㎝, 60㎝, 50㎝, 40㎝가 되도록 하여 모두 4개의 마루 시편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른 마루 시편의 충격흡수성에 대한 표준시험 기준으로 유럽 표준 EN 14904에 따라 다음과 같은 시험을 실시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된 마루 시편의 충격시험은 유럽 표준 EN 14904에 의거하여 실시되었으며, 5A충격시험기(5A Impact Tester)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각 마루 시편의 중앙부를 타격하여 4개의 마루 시편으로부터 결과값을 얻었다.
그 결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마루 시편은 방진패드들 간의 배열 간격이 50㎝인 경우 충격흡수성 값이 66.6%를 보였고, 40㎝인 경우 67.2%를 보였으며, 30㎝인 경우 57.8%를 보였고, 20㎝인 경우 49.7%를 보였다. (도 5 참고)
따라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마루 시편은 방진패드들 간의 배열 간격이 20㎝인 경우를 제외한 50㎝, 40㎝, 30㎝의 경우에는 유럽 표준 EN 14904에서 요구하는 실내 스포츠 시설 바닥재에 대한 충격흡수성 기준인 50~70%를 충족함에 따라 충격흡수성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마루 시편은 방진패드들 간의 배열 간격이 40㎝인 경우 충격흡수성 값이 65.6%를 보였고, 30㎝인 경우 52.8%를 보였으며, 20㎝인 경우 42.6%를 보였고, 격자 배열의 경우 19.4%를 보였다. (도 6 참고)
따라서,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마루 시편은 방진패드들 간의 배열 간격이 40㎝인 경우와 30㎝인 경우에는 유럽 표준 EN 14904에서 요구하는 실내 스포츠 시설 바닥재에 대한 충격흡수성 기준인 50~70%를 충족하였으나, 20㎝인 경우와 격자 배열인 경우에는 충격흡수성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비교예 2에서 제조된 마루 시편은 방진패드들 간의 배열 간격이 70㎝인 경우 충격흡수성 값이 43.8%를 보였고, 60㎝인 경우 43.9%를 보였으며, 50㎝인 경우 45.2%를 보였고, 40㎝인 경우 42.5%를 보였다. (도 7 참고)
따라서, 상기 비교예 2에서 제조된 마루 시편은 방진패드들 간의 배열 간격이 각각 70㎝, 60㎝, 50㎝, 40㎝인 경우에 유럽 표준 EN 14904에서 요구하는 실내 스포츠 시설 바닥재에 대한 충격흡수성 기준인 50~70%를 모두 충족하지 못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유럽 표준 EN 14904에서 요구하는 실내 스포츠 시설 바닥재에 대한 충격흡수성 기준인 50~70%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마루 시편의 방진패드들 간의 배열 간격이 30~50㎝ 범위에서만 충격흡수성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마루 시편과 폼패드를 구비하지 않은 마루 시편의 온도변화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마루 시편과 폼패드를 구비하지 않은 마루 시편의 저면 중앙 및 그 주변에 각각 5개의 열전대(thermo couple)를 설치하고, 마루 시편의 상부면에서 일정 높이에 이격 설치된 적외선을 이용하여 열을 가하는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열전대의 평균값을 1분 단위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마루 시편의 평균온도 값은 90분 이후에서 바닥 온도가 폼패드를 구비하지 않은 마루 시편에 비해 4.1℃ 정도 낮으며, 중앙온도 값은 4.9℃ 정도로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9 및 표 1 참고)
시간(분) 실시예 1의
마루 시편
평균온도(℃)
폼패드 비구비
마루 시편
평균온도(℃)
실시예 1의
마루 시편
중앙온도(℃)
폼패드 비구비
마루 시편
중앙온도(℃)
10 16.2 16.9 16.1 17.0
20 16.9 18.1 16.8 18.3
30 17.9 20.0 18.1 20.5
40 19.2 21.9 19.5 22.9
50 20.4 23.7 21.1 25.2
60 21.5 25.3 22.3 27.0
70 22.6 26.5 23.6 28.4
80 23.4 27.5 24.6 29.5
90 24.2 28.3 25.5 30.4
99 24.8 28.9 26.2 31.1
이처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마루 시편은 콘크리트 바닥의 상부에 구비되는 폼패드에 의한 단열 기능으로 에너지 저감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폼패드 200 : 방진패드
300 : 합판 400 : 플로어링보드
500 : 콘크리트 바닥 600 : 에어메쉬

Claims (8)

  1. 콘크리트 바닥(500)의 상부에 구비되는 폼패드(100);
    상기 폼패드(100)의 상부에 소정의 패턴에 따라 이격 배열되는 다수의 방진패드(200);
    상기 방진패드(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합판(300); 및
    상기 합판(300)의 상부에 다수개가 연속해서 결합되는 플로어링보드(400);를 포함하며,
    상기 방진패드(200)는 2종 근린생활시설에 설치되는 경우 배열 간격이 30~50㎝이고,
    상기 방진패드(200)와 합판(300) 사이에는 두께가 1.8~3㎜인 폴리에스테르사로 직조되어 탄성력을 갖는 에어메쉬(600)가 더 구비되며,
    상기 폼패드(100)는 화학 가교 발포 폴리에틸렌 폼(XPE)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40~60 중량부,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thylene Vinyl Acetate, EVA) 10~15 중량부, 발포제(Azodicarbonamide, ADCA) 5~20 중량부, 가교제(Di-Cumyl Peroxide, DCP)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마루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폼패드(100)는 두께가 5~20㎜이고, 발포 비율이 15~20배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마루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폼패드(100)는 밀도가 45~75㎏/㎥이고, 경도가 30~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마루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진패드(200)는 네오프렌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마루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진패드(200)는 두께가 10~20㎜이고, 사이즈가 150×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마루 시스템.
  7. 삭제
  8. 삭제
KR1020210024622A 2021-02-24 2021-02-24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마루 시스템 KR102403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622A KR102403687B1 (ko) 2021-02-24 2021-02-24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마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622A KR102403687B1 (ko) 2021-02-24 2021-02-24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마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3687B1 true KR102403687B1 (ko) 2022-05-31

Family

ID=81787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622A KR102403687B1 (ko) 2021-02-24 2021-02-24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마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368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456A (ko) * 1998-02-09 1999-09-06 이봉주 가교발포 폴리올레핀 오픈셀 시트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63295B1 (ko) * 2008-06-13 2008-10-15 이왕호 탄성 목재 마루구조
KR20090078228A (ko) * 2008-01-14 2009-07-17 심일건설(주)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KR101248032B1 (ko) * 2012-08-27 2013-03-27 이금재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단용 건식 온돌바닥 및 그 시공방법
KR101459559B1 (ko) 2014-06-16 2014-11-12 주식회사 마루다움 스토퍼일체형 장선지지부를 적용한 면탄성 시스템 마루
KR20200076321A (ko) * 2018-12-19 2020-06-29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방진구조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456A (ko) * 1998-02-09 1999-09-06 이봉주 가교발포 폴리올레핀 오픈셀 시트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78228A (ko) * 2008-01-14 2009-07-17 심일건설(주)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KR100863295B1 (ko) * 2008-06-13 2008-10-15 이왕호 탄성 목재 마루구조
KR101248032B1 (ko) * 2012-08-27 2013-03-27 이금재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단용 건식 온돌바닥 및 그 시공방법
KR101459559B1 (ko) 2014-06-16 2014-11-12 주식회사 마루다움 스토퍼일체형 장선지지부를 적용한 면탄성 시스템 마루
KR20200076321A (ko) * 2018-12-19 2020-06-29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방진구조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6238B1 (ko)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KR200357517Y1 (ko) 고강성 샌드위치 상판을 적용한 주택용 이중바닥 시스템
WO2008120909A1 (en) An impact sound insulation material of floors and floor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403687B1 (ko)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마루 시스템
KR100783117B1 (ko) 바닥 충격음 저감을 위한 층간 차음재
KR102598614B1 (ko) 탄성 마루 바닥 시스템
KR200433755Y1 (ko) 바닥 충격음 저감을 위한 층간 차음재
JP4413344B2 (ja) 防音床構造
JP3914033B2 (ja) 建築物の防振断熱床構造
JP2005509771A (ja) 音響伝播を減衰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00046842A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0643036B1 (ko)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
KR101070306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JP6434760B2 (ja) 防音断熱床構造
JPH0546420B2 (ko)
KR200429297Y1 (ko)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
KR100743246B1 (ko)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
KR102338176B1 (ko) 바닥부 중량충격음 저감을 위한 마감천장구조
KR200378945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저감재
KR100927358B1 (ko) 중량충격음 및 경량충격음 저감 특성이 우수한 바닥 마감 구조
KR100993981B1 (ko)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용 발포 폴리스틸렌층 및 이를구비한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KR100543103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방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468676B1 (ko) 층간진동소음 저감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189681Y1 (ko) 체육시설용 마루 구조
CN210127602U (zh) 绝热隔音阻燃发泡建筑保温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