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528B1 -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528B1
KR102374528B1 KR1020190162473A KR20190162473A KR102374528B1 KR 102374528 B1 KR102374528 B1 KR 102374528B1 KR 1020190162473 A KR1020190162473 A KR 1020190162473A KR 20190162473 A KR20190162473 A KR 20190162473A KR 102374528 B1 KR102374528 B1 KR 102374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pin
coupling
coupling part
stabiliz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5019A (ko
Inventor
김응석
Original Assignee
김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응석 filed Critical 김응석
Priority to PCT/KR2019/01732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060627A1/ko
Priority to US16/707,353 priority patent/US20210085926A1/en
Publication of KR20210035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5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4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having a clip or clamp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8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having a mainly rigid support structure

Abstract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가 개시되며,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는, 상면에 고정 대상 카테터가 안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는 제1핀 및 제2핀을 포함하는 핀부, 상기 베이스부의 우측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좌우 방향을 따라 양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좌측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좌우 방향을 따라 양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안착된 상기 고정 대상 카테터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에 놓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BIDIRECTIONAL FASTENING CATHETER STABILIZER}
본원은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테터는 대상자의 체내로 삽입되어 약물을 주입하거나 체내에 위치한 유체의 배출을 유도하기 위한 장치로, 부위와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카테터는 대상자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유동되어 불편함을 야기하거나 심한 경우 염증을 일으키거나 카테터가 삽입부위에서 이탈될 수 있으므로, 체외에 위치한 카테터를 고정하여야 하는데, 종래에는 체외에 위치한 카테터의 일 부분을 피부에 꿰매거나 반창고 등의 피부 접착 수단을 사용하여 신체에 고정하였다. 그러나, 꿰맨 피부가 괴사하여 고정이 풀리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꿰맨 부위에 흉터가 생기는 경우도 있다. 또한 강한 외부의 힘에 의해 꿰맨 부위가 뜯겨져 나가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반창고의 경우는 고정력이 약하여 빠질 수 있는 확률이 높고 교체 시에 카테터에 부착된 접착제로 인해 관이 빠질 수도 있다.
또한, 종래의 카테터 안정화 장치에서는 카테터의 고정을 위하여 카테터를 배치하고 배치된 카테터의 상측에서 카테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 커버를 덮는 방식이 도입된 바 있으나, 전술한 상측에서 고정 커버를 덮는 방식에 의하면, 카테터를 배치한 후 시술자가 고정 커버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힘 또는 상측의 고정 커버를 고정시키기 위한 힘을 대상자의 신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해야만 카테터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한계가 있으므로, 환자 등의 대상자에게 불필요하게 큰 힘이 가해질 수 밖에 없어 대상자의 신체에 불측의 손상을 야기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카테터 안정화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대상자의 신체를 향해 힘을 가하지 않기 위해 카테터 안정화 장치를 들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카테터가 이탈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22245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카테터의 고정 및 잠금을 제공함으로써 시술자가 좌우 방향으로만 힘을 인가하면 카테터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어, 대상자의 신체 일부에 카테터를 고정할 때 대상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외력이 저감될 수 있고, 카테터 안정화 장치를 들고 고정을 하는 것이 아니라 고정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설치 시 빠짐 위험을 제거한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력이 우수하고 설치 시 환자의 신체 방향으로의 힘을 가하지 않으며, 카테터가 빠지는 위험을 제거하고 대상자의 신체에 알맞게 카테터를 고정할 수 있는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는, 상면에 고정 대상 카테터가 안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는 제1핀 및 제2핀을 포함하는 핀부, 상기 베이스부의 우측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좌우 방향을 따라 양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좌측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좌우 방향을 따라 양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안착된 상기 고정 대상 카테터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에 놓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핀 및 상기 제2핀에는 상기 고정 대상 카테터의 날개형 부재에 형성된 홀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날개형 부재가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의 하측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 사이에서 거동하도록 하여 상기 고정 대상 카테터의 상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에는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제1핀의 상부를 감싸도록 우측 방향으로 함몰된 제1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에는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제2핀의 상부를 감싸도록 좌측 방향으로 함몰된 제2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잠금 제한 상태에서 상기 날개형 부재가 상기 제1핀 및 상기 제2핀의 상측 방향으로 이탈함으로써 상기 고정 대상 카테터가 분리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제1핀이 삽입되는 제1홀 및 상기 제2핀이 삽입되는 제2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핀은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서 상기 제1홀을 통해 일부 상향 돌출되고, 상기 제2핀은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서 상기 제2홀을 통해 일부 상향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부는 상기 제1핀과 상기 제2핀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는 상기 연결 부재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함몰된 결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굴곡진 부분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결합 홈에 삽입된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하측 방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돌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 부재는, 상기 결합 홈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부의 돌출 정도가 하부의 돌출 정도보다 크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우측 하단에 우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1지지 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의 좌측 하단에 좌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2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 부재는 상향 돌출된 제1걸림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에는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제1걸림턱 부재에 걸림 체결되는 제1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 부재는 상향 돌출된 제2걸림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에는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제2걸림턱 부재에 걸림 체결되는 제2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전단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수레일 및 상기 베이스부의 후단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수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수레일 및 상기 제2수레일에 대응하는 제1암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수레일 및 상기 제2수레일에 대응하는 제2암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암레일이 상기 제1수레일 및 상기 제2수레일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암레일이 상기 제1수레일 및 상기 제2수레일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의 상부에 좌측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제1제한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의 상부에 우측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제2제한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제한 블록 및 상기 제2제한 블록은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고정 대상 카테터의 상측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제한 블록 및 상기 제2제한 블록은 상기 제1결합부의 상부 및 상기 제2결합부의 상부 각각의 전후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치우친 영역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슬라이드 방식으로 카테터의 고정 및 잠금을 제공함으로써 시술자가 좌우 방향으로만 힘을 인가하면 카테터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어, 대상자의 신체 일부에 카테터를 고정할 때 대상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외력이 저감될 수 있는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고정력이 우수하고 대상자의 신체에 알맞게 카테터를 고정할 수 있는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시술자가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의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를 내측 방향으로 오므리는 단순한 조작에 의하여 고정 대상 카테터가 고정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에 안착되는 고정 대상 카테터의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에 대한 좌우 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를 하측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결합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대상 카테터가 삽입되기 전의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삽입된 고정 대상 카테터를 고정하도록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이동 및 고정된 상태의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일측면도이다.
도 13a는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에 의해 고정 대상 카테터가 고정되지 않는 상태에서의 후퇴/열림 방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3b는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에 의해 고정 대상 카테터가 고정되는 상태에서의 후퇴/열림 방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에 관련된 용어(상면, 상측, 상향, 하측, 하부, 좌우 방향, 전후 방향, 전방, 후방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1 및 도 6에서 보았을 때 전후 방향은 2시에서 8시방향, 좌우방향은 4시에서 10시방향, 상하방향은 12시에서 6시방향일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보았을 때 전후 방향은 12시 방향에서 6시방향, 좌우방향은 3시에서 9시방향, 상하방향은 도면의 법선 방향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향 설정은 본원 장치의 배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서는 도 1 기준 상향이 좌우 방향을 향하도록 본원 장치가 배치될 수 있고, 다른 예로 도 1 기준 상향이 비스듬한 경사 방향을 향하도록 본원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본원은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 따른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10)(이하, '카테터 안정화 장치(10)'라 한다.)는, 베이스부(100), 핀부(200), 제1결합부(300) 및 제2결합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00)의 상면에는 고정 대상 카테터(20)가 안착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대상 카테터(20)는 베이스부(100)의 좌우 방향 기준 중심부에 베이스부(10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안착되는 것일 수 있다. 달리 말해, 고정 대상 카테터(20)의 길이 방향이 본원의 카테터 안정화 장치(10)의 전후 방향과 일치하도록 고정 대상 카테터(20)가 카테터 안정화 장치(10)에 대하여 안착(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100)의 하면 적어도 일부에는 대상자의 신체(예를 들면, 대상자의 피부)에 본 카테터 안정화 장치(10)를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 수단이 마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핀부(200)는 베이스부(100)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는 제1핀(210) 및 제2핀(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300)는, 베이스부(100)의 우측 방향에 배치되고, 베이스부(10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양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베이스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결합부(400)는, 베이스부(100)의 좌측 방향에 배치되고, 베이스부(10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양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베이스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결합부(300) 및 제2결합부(400)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안착된 고정 대상 카테터(20)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에 놓이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에 안착되는 고정 대상 카테터의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안정화 장치(10)에 안착되는 고정 대상 카테터(20)는 고정 대상 카테터(20)의 폭방향(예를 들면, 도 3 기준 12시에서 6시 방향)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날개형 부재(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날개형 부재(21)에는 홀(2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고정 대상 카테터(20)는 침습을 위한 니들(미도시)과 연결되는 전면부(23)와 체내에 약액 주입 등을 위한 통로인 튜브 부재(미도시)와 연결되는 연결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핀(210) 및 제2핀(220)에는 고정 대상 카테터(20)의 날개형 부재(21)에 형성된 홀(22)이 삽입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잠금 상태(달리 말해, 제1결합부(300)와 제2결합부(400)가 상호 가까워지도록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에서 날개형 부재(21)가 제1결합부(300)와 제2결합부(400)의 하측 및 베이스부(100)의 상측 사이에서 제1핀(210) 또는 제2핀(220)을 따라 거동하도록 제한하여 고정 대상 카테터(20)의 상향 이동이 제한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결합부(300)에는 잠금 상태에서 제1핀(210)의 상부를 감싸도록 우측 방향으로 함몰된 제1홈(3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결합부(400)에는 잠금 상태에서 제2핀(220)의 상부를 감싸도록 좌측 방향으로 함몰된 제2홈(410)이 형성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결합부(300) 및 제2결합부(40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잠금 제한 상태에서 고정 대상 카테터(20)의 날개형 부재(21)가 제1핀(210) 및 제2핀(220)의 상측 방향으로 이탈함으로써 고정 대상 카테터(20)가 카테터 안정화 장치(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100)에는 제1핀(210)이 삽입되는 제1홀(121) 및 제2핀(220)이 삽입되는 제2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핀(210)은 베이스부(100)의 하측에서 제1홀(121)을 통해 일부 상향 돌출되는 것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핀(220)은 베이스부(100)의 하측에서 제2홀(122)을 통해 일부 상향 돌출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핀부(200)는 제1핀(210)과 제2핀(220)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00)의 하면에는 연결 부재(23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함몰된 결합 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핀부(200)의 연결 부재(230)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굴곡진 부분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부재(230)는 제1핀(210)과 제2핀(220) 사이에 S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결합 홈(123)은 연결 부재(230)의 형상에 대응하여 연결 부재(230)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일부 영역에 굴곡진 부분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230)의 형상 및 연결 부재(230)와 대응되는 결합 홈(123)의 형상이 적어도 일부 영역에 굴곡진 부분을 포함하도록 구비됨으로써 베이스부(100)에 삽입된 핀부(200)의 일부 영역에 불측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해당 외력이 연결 부재(230)의 면"?향?* 따라 작용하게 되므로, 핀부(200)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상황 또는 제1핀(210)과 제2핀(220)의 돌출 정도가 상이해지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핀부(200)가 베이스부(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100)는 결합 홈(123)에 삽입된 연결 부재(230)의 베이스부(100)에 대한 하측 방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돌기 부재(124)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기 부재(124)는 결합 홈(123)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부의 돌출 정도가 하부의 돌출 정도보다 크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달리 말해, 돌기 부재(124)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 영역에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사면은 연결 부재(230)가 베이스부(100)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결합 홈(123)에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용이하게 결합(장착)되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230)는 돌기 부재(124)가 돌출된 영역을 통과하여 돌기 부재(124)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삽입되고 나면, 돌기 부재(124)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지지되므로 핀부(200)가 베이스부(100)로부터 하측으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핀부(200)는 제1핀(210)과 제2핀(220)이 카테터 안정화 장치(10)에 배치된 고정 대상 카테터(20)의 불측의 움직임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변형되지 않도록 적어도 일부가 금속(Metal)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100)는 베이스부(100)의 우측 하단에 우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1지지 부재(10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00)는 베이스부(100)의 좌측 하단에 좌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2지지 부재(10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 부재(101)는 상향 돌출된 제1걸림턱 부재(10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지지 부재(102)는 상향 돌출된 제2걸림턱 부재(1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걸림턱 부재(103)와 잠금 상태에서 걸림 체결되도록 제1결합부(300)에는 제1걸림턱 부재(103)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1걸림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걸림홈(미도시)은 제1걸림턱 부재(103)의 상향 돌출된 형상에 대응되도록 제1결합부(300)의 우측 하단에 상측으로 함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걸림턱 부재(104)와 잠금 상태에서 걸림 체결되도록 제2결합부(400)에는 제2걸림턱 부재(104)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2걸림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걸림홈(미도시)은 제2걸림턱 부재(104)의 상향 돌출된 형상에 대응되도록 제2결합부(400)의 좌측 하단에 상측으로 함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100)의 제1걸림턱 부재(103)와 제1결합부(300)의 제1걸림홈이 잠금 상태에서 걸림 체결됨으로써 제1결합부(300)를 제2결합부(400)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제1결합부(300)가 베이스부(100)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베이스부(100)의 제2걸림턱 부재(104)와 제2결합부(400)의 제2걸림홈이 잠금 상태에서 걸림 체결됨으로써 제2결합부(400)를 제1결합부(300)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제2결합부(400)가 베이스부(100)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에 대한 좌우 방향 단면도이고,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결합부(300)는 제1결합부(300)의 상부에 좌측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제1제한 블록(3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결합부(400)는 제2결합부(400)의 상부에 우측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제2제한 블록(4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제한 블록(340) 및 제2제한 블록(440)은 고정 대상 카테터(20)의 전면부(23)를 눌러 연결부(24)에 불측의 움직임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소정의 인체 삽입부위에 대하여 배치된 고정 대상 카테터(20)가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기능)을 한다.
또한,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제한 블록(340) 및 제2제한 블록(440)은 제1결합부(300)의 상부 및 제2결합부(400)의 상부 각각의 전후 방향 중심으로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치우친 영역에서 각각 돌출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제1제한 블록(340) 및 제2제한 블록(440)은 제1결합부(300)의 상부 및 제2결합부(400)의 상부 각각의 전후 방향 중심으로 기준으로 한 전단에서 각각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제한 블록(340) 및 제2제한 블록(440)이 제1결합부(300)의 상부 및 제2결합부(400)의 상부 각각의 전후 방향 중심으로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치우친 영역에서 각각 돌출됨으로써, 잠금 상태에서 고정 대상 카테터(20)가 본 카테터 안정화 장치(10)에 대하여 배치된 영역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하여 시술자가 배치된 고정 대상 카테터(20)의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술자가 배치된 고정 대상 카테터(20)를 카테터 안정화 장치(10)로부터 분리하려는 경우(달리 말해, 잠금 해제 상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고정 대상 카테터(20)가 배치된 영역의 상측에 노출된 영역이 넓어 고정 대상 카테터(20)의 분리 동작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잠금 상태에서 제1제한 블록(340) 및 제2제한 블록(440)은 제1결합부(300) 및 제2결합부(400) 각각의 상부에서 돌출되므로, 제1제한 블록(340)과 제2제한 블록(440)의 하측 영역에는 고정 대상 카테터(20)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빈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제한 블록(340) 및 제2제한 블록(440)은 카테터 안정화 장치(10)에 안착되는 고정 대상 카테터(20)의 직경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해당 고정 대상 카테터(20)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고정 대상 카테터(20)의 상측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소정 수준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가요성의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제한 블록(340)과 제2제한 블록(440)의 하측에 형성된 빈 영역의 상하 방향 높이보다 큰 직경을 갖는 고정 대상 카테터(20)가 카테터 안정화 장치(10)에 배치되더라도 제1제한 블록(340) 및 제2제한 블록(440)의 일부(예를 들면, 제1제한 블록(340)의 돌출된 단부 및 제2제한 블록(440)의 돌출된 단부)가 상향으로 일부 이동하면서 큰 직경을 갖는 고정 대상 카테터(20)를 수용할 수 있다. 달리 말해, 다양한 직경의 고정 대상 카테터(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1제한 블록(340) 및 제2제한 블록(440)의 하측 영역의 높이는 고정 대상 카테터(20)의 직경에 따라 확장될 수 있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를 하측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부(100)에는 결합 홈(123)에 삽입된 연결 부재(230)를 베이스부(1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부(1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관통된 천공 영역(13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천공 영역(132)은 결합 홈(123)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 홈(123)을 통해 베이스부(100)의 하측으로부터 삽입된 연결 부재(230)를 천공 영역(132)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연결 부재(230)가 베이스부(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부(100)는 베이스부(100)의 전단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수레일(141) 및 베이스부(100)의 후단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수레일(14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제1수레일(141)의 길이 방향 중심부에는 제1수레일(141)에 대하여 결합되어 제1수레일(141)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거동하는 제1암레일(331) 및 제2암레일(431)에 움직임 저항을 제공하여 잠금 상태에서 제1결합부(300)와 제2결합부(400)가 베이스부(100)에 대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달리 말해,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되지 않도록) 기능하는 톱니 형상의 저항 부재(141c)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제1수레일(141)은 상술한 저항 부재(141c)의 길이 방향 양측 소정의 영역에서 베이스부(100)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각각 돌출된 제1후퇴/열림 방지 부재(141a) 및 제2후퇴/열림 방지 부재(141b)를 포함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1암레일(331)에는 잠금 상태에서 제1후퇴/열림 방지 부재(141a)에 걸림 체결되어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후퇴/열림 방지 부재(141a)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는 제1후퇴/열림 방지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암레일(431)에는 잠금 상태에서 제2후퇴/열림 방지 부재(141b)에 걸림 체결되어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2후퇴/열림 방지 부재(141b)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는 제2후퇴/열림 방지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술한 제1수레일(141)에 형성되는 제1후퇴/열림 방지 부재(141a), 제2후퇴/열림 방지 부재(141b) 및 저항 부재(141c)와 제1암레일(331) 및 제2암레일(431)에 형성되는 제1후퇴/열림 방지 홈 및 제2후퇴/열림 방지 홈은 베이스부(100)의 후단에 제1수레일(141)과 대응되게 마련되는 제2수레일(142)에 대하여도 대칭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결합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결합부(300)는 제1수레일(141) 및 제2수레일(142)에 대응하는 제1암레일(331, 33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결합부(400)는 제1수레일(141) 및 제2수레일(142)에 대응하는 제2암레일(431, 4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결합부(300)는 제1암레일(331, 332)이 베이스부(100)의 제1수레일(141) 및 제2수레일(142)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베이스부(100)에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2결합부(400)는 제2암레일(441, 442)이 베이스부(100)의 제1수레일(141) 및 제2수레일(142)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베이스부(100)에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이렇듯, 본원의 카테터 안정화 장치(10)는 베이스부(100)와 제1결합부(300) 및 베이스부(100)와 제2결합부(400)가 상술한 암레일과 수레일이 결합되는 형태로 레일 결합하여 좌우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게 마련함으로써, 시술자가 고정 대상 카테터(20)를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결합부(300)와 제2결합부(400)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달리 말해, 오므리는 조작), 시술자가 안착된 고정 대상 카테터(2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결합부(300)와 제2결합부(400)가 서로 멀어지도록 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달리 말해, 벌리는 조작) 되기 때문에, 시술자가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의 제공을 위해 본 카테터 안정화 장치(10)에 대하여 가해야 하는 힘의 방향이 좌우 방향으로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의 카테터 안정화 장치(10)에 의할 때 종래의 카테터 안정화 장치에서와 같이 시술자가 대상자의 신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할 필요가 없어 환자 등의 대상자에게 불필요하게 큰 힘이 가해질 수 밖에 없어 대상자의 신체에 불측의 손상을 야기하게 되는 단점이 극복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제1결합부(300)는 제1핀(210)이 삽입되는 제1홈(310)의 입구가 제1핀(2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제1홈(310)에 대한 입구부에서 전후 방향 내측으로 각각 돌출된 제1핀 지지부재(311, 3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제2결합부(400)는 제2핀(220)이 삽입되는 제2홈(410)의 입구가 제2핀(2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제2홈(410)에 대한 입구부에서 전후 방향 내측으로 각각 제2핀 지지부재(411, 4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핀 지지부재(311, 312) 및 제2핀 지지부재(411, 412)는 제1핀(210) 또는 제2핀(220)이 제1홈(310) 또는 제2홈(410)의 입구부에 도달한 후 제1결합부(300) 및 제2결합부(400)가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더 슬라이드 이동하는 경우 제1핀(210) 또는 제2핀(220)의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일부가 전후 방향 외측으로 벌어짐 가능한 강도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제1핀(210) 및 제2핀(220)이 제1홈(310)과 제2홈(410)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핀(210) 및 제2핀(2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입구부를 제1핀(210) 및 제2핀(22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제1핀 지지부재(311, 312) 및 제2핀 지지부재(411, 412)가 일부 구부러질 수 있도록(달리 말해, 전후 방향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제1핀 지지부재(311, 312) 및 제2핀 지지부재(411, 412)의 재질 또는 강도를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핀 지지부재(311, 312) 및 제2핀 지지부재(411, 412)는 잠금 상태에서 제1홈(310) 및 제2홈(410)에 제1핀(210) 및 제2핀(220)이 각각 삽입되고 나면, 제1결합부(300) 또는 제2결합부(400)를 베이스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벌어지도록 하는 소정 수준 이상의 외력을 가하지 않는 이상, 제1핀(210)과 제2핀(220)이 제1홈(310) 및 제2홈(4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핀 지지부재(311, 312)와 제2핀 지지부재(411, 412)는 제1핀(210) 및 제2핀(220)이 제1홈(310) 및 제2홈(410) 각각에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원의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10)가 안착된 고정 대상 카테터(20)에 대한 고정을 제공하는 잠금 상태는 상술한 제1핀 지지부재(311, 312)와 제2핀 지지부재(411, 412)에 의해 제1핀(210) 및 제2핀(220)이 제1홈(310) 및 제2홈(4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제1측면", 후퇴/열림 방지 부재(141a, 141b), 후퇴/열림 방지 홈 및 저항 부재(141c)에 의해 암레일과 수레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제2측면" 및 제1걸림턱 부재(103)와 제2걸림턱 부재(104)가 잠금 상태에서 제1결합부(300)의 제1걸림홈(미도시)과 제2결합부(400)의 제2걸림홈(미도시)에 각각 걸림 체결되는 "제3측면"을 통해 시술자(사용자)가 소정의 외력을 가하지 않는 이상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지금까지 상술한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10)에 대한 설명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하기에서 서술하는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30)에 대한 설명을 통해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하기의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3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참고로,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에 관련된 용어(상측, 상면, 길이 방향, 폭방향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0 및 도 11에서 보았을 때 상측 방향은 12시 방향, 하측 방향은 6시 방향, 길이 방향 일방향은 10시 방향, 길이 방향 타방향은 4시 방향, 폭방향은 2시에서 8시 방향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향 설정은 본원 장치의 배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서는 도 10 및 도 11기준 상향이 수평 방향(길이 방향)을 향하도록 본원 장치가 배치될 수 있고, 다른 예로 도 10및 도 11기준 상향이 비스듬한 경사 방향을 향하도록 본원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은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대상 카테터가 삽입되기 전의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30)는, 제1 결합부(31), 제2 결합부(32) 및 몸체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33)의 상면에는 고정 대상 카테터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33)에는 고정 대상 카테터가 배치되는 영역의 길이 방향 외측에 돌기 부재(33a)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고정 대상 카테터가 배치되는 영역으로부터 길이 방향 일방향으로 치우친 부분에는 제1 돌기 부재가 구비되고, 고정 대상 카테터가 배치되는 영역으로부터 길이 방향 타방향으로 치우친 부분에는 제2 돌기 부재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즉, 돌기 부재(33a)는 몸체부(3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두 개 구비될 수 있다.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대상 카테터는 제1 돌기 부재 및 제2 돌기 부재 사이 영역에 몸체부(33)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돌기 부재(33a)는 몸체부(33)의 상면에서 상측을 향하여 돌출된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몸체부(33)의 길이 방향 일단에는 제1 결합부(31)가 몸체부(33)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달리 말해, 제1 결합부(31)가 몸체부(33)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범위 내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1 걸림턱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몸체부(33)의 길이 방향 타단에는 제2 결합부(32)가 몸체부(33)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달리 말해, 제2 결합부(32)가 몸체부(33)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범위 내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2 걸림턱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결합부(31)는 몸체부(33)의 길이 방향 일방향에 배치되고, 몸체부(3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결합부(31)가 몸체부(3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는 것은 몸체부(33)의 길이 방향 기준 중심부를 향하도록 길이 방향 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반대로 몸체부(33)의 길이 방향 기준 중심부로부터 멀어지도록 길이 방향 일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는 양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2 결합부(32)는 몸체부(33)의 길이 방향 타방향에 배치되고, 몸체부(3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결합부(32)가 몸체부(3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는 것은 몸체부(33)의 길이 방향 기준 중심부를 향하도록 길이 방향 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반대로 몸체부(33)의 길이 방향 기준 중심부로부터 멀어지도록 길이 방향 타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는 양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즉, 제1 결합부(31)와 제2 결합부(32) 사이의 간격은 제1 결합부(31) 및 제2 결합부(32)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의해 변동될 수 있다.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결합부(31) 및 제2 결합부(32)는 고정 대상 카테터가 고정되도록(고정 대상 카테터의 움직임은 제한하도록) 몸체부(33)의 길이 방향 중심부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제1 결합부(31) 및 제2 결합부(32)의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고정 대상 카테터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반대로, 제1 결합부(31) 및 제2 결합부(32)의 간격이 넓어짐에 따라 고정 대상 카테터에 대한 고정이 해제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30)의 몸체부(33)와 제1 결합부(31)의 체결 구조의 확대도(A)를 참조하면, 몸체부(33)는 몸체부(33)의 폭방향 일단에 형성된 암레일 형태의 레일 구조를 포함하고, 제1 결합부(31)는 전술한 몸체부(33)의 암레일 형태의 레일 구조에 대응되는 수레일 형태의 레일 구조를 포함하고, 제1 결합부(31)의 수레일 형태의 레일 구조가 몸체부(33)의 암레일 형태의 레일 구조를 따라 몸체부(3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암레일/수레일 형태의 결합 구조 및 그에 따른 양방향 이동은 몸체부(33)와 제2 결합부(32)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이해될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하면, 도 6을 통해 전술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카테터 안정화 장치(10)의 베이스부(100)는 전단부 및 후단부에 수레일 형태의 제1수레일 및 제2수레일을 포함하고, 이에 대응하도록 제1결합부(300) 및 제2결합부(400)가 암레일 형태의 제1암레일(331, 332) 및 제2암레일(431, 432)를 포함하는 것과 달리,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카테터 안정화 장치(30)의 몸체부(33)는 암레일 형태의 레일 구조를 포함하고, 제1 결합부(31) 및 제2 결합부(32)는 암레일 형태의 레일 구조에 대응되는 수레일 형태의 레일 구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31)에는 몸체부(33)의 길이 방향 일단이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장공의 상하 방향 높이는 몸체부(33)의 제1 걸림턱 부재를 제외한 영역의 상하 방향 높이 보다 크게 구비되되, 상술한 제1 걸림턱 부재의 상하 방향 높이 보다는 작게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결합부(32)에는 몸체부(33)의 길이 방향 타단이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장공의 상하 방향 높이는 몸체부(33)의 제2 걸림턱 부재를 제외한 영역의 상하 방향 높이 보다 크게 구비되되, 상술한 제2 걸림턱 부재의 상하 방향 높이 보다는 작게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31)에는 몸체부(33)의 제1 돌기 부재에 삽입되는 제1 삽입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31)가 몸체부(33)의 길이 방향 기준 중심을 향하여 이동하면, 제1 삽입 홀에 제1 돌기 부재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고, 제1 삽입 홀 및 제1 돌기 부재의 체결에 따라 제1 결합부(31)의 길이 방향 양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제1 삽입 홀이 제1 돌기 부재에 삽입되면 제1 결합부(31)가 몸체부(33)에 대해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부(32)에는 몸체부(33)의 제2 돌기 부재에 삽입되는 제2 삽입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32)가 몸체부(33)의 길이 방향 기준 중심을 향하여 이동하면, 제2 삽입 홀에 제2 돌기 부재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고, 제2 삽입 홀 및 제2 돌기 부재의 체결에 따라 제2 결합부(32)의 길이 방향 양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제2 삽입 홀이 제2 돌기 부재에 삽입되면 제2 결합부(32)가 몸체부(33)에 대해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삽입 홀 및 제2 삽입 홀은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제1 결합부(31) 및 제2 결합부(32)가 단계적으로 이동하도록 제1 삽입 홀 및 제2 삽입 홀 각각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은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삽입된 고정 대상 카테터를 고정하도록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이동 및 고정된 상태의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결합부(31) 및 제2 결합부(32)가 몸체부(33)의 길이 방향 중심부를 향하여 이동하여 제1 결합부(31) 및 제2 결합부(32) 사이의 간격이 좁아짐으로써, 제1 삽입 홀이 제1 돌기 부재에 삽입되고, 제2 삽입 홀이 제2 돌기 부재에 삽입되어 제1 결합부(31) 및 제2 결합부(32)의 몸체부(33)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이 제한되고, 고정 대상 카테터에 대한 고정(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는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일측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2의 (a)는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30)의 몸체부(33)를 측면에서 바라본 일측면도이고, 도 12의 (b)는 고정 대상 카테터가 삽입되기 전의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30)를 측면에서 바라본 일측면도이고, 도 12의 (c) 는 고정 대상 카테터를 고정하는 상태의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30)를 측면에서 바라본 일측면도이다.
도 13a는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에 의해 고정 대상 카테터가 고정되지 않는 상태에서의 후퇴/열림 방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3b는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에 의해 고정 대상 카테터가 고정되는 상태에서의 후퇴/열림 방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13a 및 도 13b는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를 상측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몸체부(33)는 암레일 형태의 레일 구조 내측에 몸체부(33)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후퇴/열림 방지 부재(33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31)의 수레일 형태의 레일 구조에는 후퇴/열림 방지 부재(33b)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고정 대상 카테터가 고정되는 상태에서 후퇴/열림 방지 부재(33b)에 걸림 체결되는 제1후퇴/열림 방지 홈(31a)이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결합부(32)의 수레일 형태의 레일 구조에는 후퇴/열림 방지 부재(33b)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고정 대상 카테터가 고정되는 상태에서 후퇴/열림 방지 부재(33b)에 걸림 체결되는 제2후퇴/열림 방지 홈(32a)이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해,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30)에 의해 고정 대상 카테터(20)가 고정되는 상태(잠금 상태)에서는 후퇴/열림 방지 부재(33b)가 제1후퇴/열림 방지 홈(31a) 및 제2후퇴/열림 방지 홈(32a)에 걸림 체결됨으로써 소정 수준 이상의 외력을 가하지 않는 이상 제1 결합부(31) 및 제2 결합부(32)가 몸체부(33)에 대하여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
20: 고정 대상 카테터
21: 날개형 부재
100: 베이스부
101: 제1지지 부재
103: 제1걸림턱 부재
102: 제2지지 부재
104: 제2걸림턱 부재
121: 제1홀
122: 제2홀
123: 결합 홈
124: 돌기 부재
141: 제1수레일
142: 제2수레일
200: 핀부
210: 제1핀
220: 제2핀
230: 연결 부재
300: 제1결합부
310: 제1홈
331, 332: 제1암레일
340: 제1제한 블록
400: 제2결합부
410: 제2홈
431, 432: 제2암레일
440: 제2제한 블록

Claims (13)

  1.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면에 고정 대상 카테터가 안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는 제1핀 및 제2핀을 포함하는 핀부;
    상기 베이스부의 우측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좌우 방향을 따라 양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좌측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좌우 방향을 따라 양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안착된 상기 고정 대상 카테터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에 놓이도록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우측 하단에 우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1지지 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의 좌측 하단에 좌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2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 부재는 상향 돌출된 제1걸림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에는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제1걸림턱 부재에 걸림 체결되는 제1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 부재는 상향 돌출된 제2걸림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에는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제2걸림턱 부재에 걸림 체결되는 제2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인, 카테터 안정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핀 및 상기 제2핀에는 상기 고정 대상 카테터의 날개형 부재에 형성된 홀이 삽입되고,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날개형 부재가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의 하측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 사이에서 거동하도록 하여 상기 고정 대상 카테터의 상향 이동이 제한되는 것인, 카테터 안정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에는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제1핀의 상부를 감싸도록 우측 방향으로 함몰된 제1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에는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제2핀의 상부를 감싸도록 좌측 방향으로 함몰된 제2홈이 형성되는 것인, 카테터 안정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잠금 제한 상태에서 상기 날개형 부재가 상기 제1핀 및 상기 제2핀의 상측 방향으로 이탈함으로써 상기 고정 대상 카테터가 분리되는 것인, 카테터 안정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제1핀이 삽입되는 제1홀 및 상기 제2핀이 삽입되는 제2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핀은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서 상기 제1홀을 통해 일부 상향 돌출되고, 상기 제2핀은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서 상기 제2홀을 통해 일부 상향 돌출되는 것인, 카테터 안정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는 상기 제1핀과 상기 제2핀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는 상기 연결 부재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함몰된 결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안정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굴곡진 부분을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것인, 카테터 안정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결합 홈에 삽입된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하측 방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돌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카테터 안정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부재는,
    상기 결합 홈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부의 돌출 정도가 하부의 돌출 정도보다 크도록 구비되는 것인, 카테터 안정화 장치.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전단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수레일 및 상기 베이스부의 후단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수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수레일 및 상기 제2수레일에 대응하는 제1암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수레일 및 상기 제2수레일에 대응하는 제2암레일을 포함하되,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암레일이 상기 제1수레일 및 상기 제2수레일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암레일이 상기 제1수레일 및 상기 제2수레일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것인, 카테터 안정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의 상부에 좌측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제1제한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의 상부에 우측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제2제한 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제1제한 블록 및 상기 제2제한 블록은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고정 대상 카테터의 상측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인, 카테터 안정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한 블록 및 상기 제2제한 블록은 상기 제1결합부의 상부 및 상기 제2결합부의 상부 각각의 전후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치우친 영역에서 돌출되는 것인, 카테터 안정화 장치.
KR1020190162473A 2019-09-23 2019-12-09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 KR102374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17324 WO2021060627A1 (ko) 2019-09-23 2019-12-09 카테터 안정화 장치
US16/707,353 US20210085926A1 (en) 2019-09-23 2019-12-09 Catheter stabiliz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046 2019-09-23
KR20190117046 2019-09-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019A KR20210035019A (ko) 2021-03-31
KR102374528B1 true KR102374528B1 (ko) 2022-03-15

Family

ID=75237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473A KR102374528B1 (ko) 2019-09-23 2019-12-09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5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68904A1 (en) * 2000-02-24 2002-06-06 Bierman Steven F. Universal catheter anchoring system
US20070167915A1 (en) 1997-05-29 2007-07-19 Venetec International, Inc. Medical line anchoring system
JP2008212434A (ja) 2007-03-06 2008-09-18 Unitika Ltd カテーテル固定具
US20150088075A1 (en) * 2013-09-26 2015-03-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atheter-Positioning Slide Cover Clamp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67915A1 (en) 1997-05-29 2007-07-19 Venetec International, Inc. Medical line anchoring system
US20020068904A1 (en) * 2000-02-24 2002-06-06 Bierman Steven F. Universal catheter anchoring system
JP2008212434A (ja) 2007-03-06 2008-09-18 Unitika Ltd カテーテル固定具
US20150088075A1 (en) * 2013-09-26 2015-03-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atheter-Positioning Slide Cover Clamp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019A (ko) 202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6196B2 (en) Bed rail with fold controller
CN103889512B (zh) 蹦床
JP4833261B2 (ja) 自動車用制御盤装置
JP6181286B2 (ja) クランプ装置
US9073469B2 (en) Vehicle seat
US9022415B2 (en) Cover for airbag device, and airbag device
TWI629926B (zh) 用於連接總成的托架裝置
JP6082433B2 (ja) クランプ装置
CN102596329B (zh) 安全索移动装置
US9107782B2 (en) Adjustable bed mattress retainer system
KR102374528B1 (ko) 양방향 체결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
CN106458133B (zh) 气囊模块
KR20000022707A (ko) 미리 장전 가능한 코드 고정 기구
CN108337852A (zh) 滑轨机构及其托架装置
CN102396897A (zh) 用于滑轨总成的锁掣及释放装置
KR100536448B1 (ko) 사전 장전 가능한 코드 고정 기구
KR20060021818A (ko) 육아 기구의 좌석
JP2019048561A (ja) アンカ装置
US20200216015A1 (en) Anchor position adjustment device
JP4642890B2 (ja) バックルの保持構造
KR102456519B1 (ko) 후크형 카테터 안정화 장치 및 후크형 관 고정 장치
TWI713635B (zh) 針刺裝置
CN108569216A (zh) 座席用隔离器具
JP2002227454A (ja) テント
JP5051780B2 (ja) ベッドの差込式サイドレ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