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1818A - 육아 기구의 좌석 - Google Patents

육아 기구의 좌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1818A
KR20060021818A KR1020057014706A KR20057014706A KR20060021818A KR 20060021818 A KR20060021818 A KR 20060021818A KR 1020057014706 A KR1020057014706 A KR 1020057014706A KR 20057014706 A KR20057014706 A KR 20057014706A KR 20060021818 A KR20060021818 A KR 20060021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eat
baby
body restraint
cro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4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조우 카사이
이치로 오니시
Original Assignee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330792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6002181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21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18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4Safety guards for children, e.g. harness
    • B62B9/245Removable front guards, e.g. with a tra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A47D15/006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in ch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8Children's seats ; Seats or supports for other persons
    • B62B5/082Children's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4Safety guards for children, e.g. har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Buckles (AREA)

Abstract

신체 구속 벨트의 한 구성 요소인 크로치 벨트(20)는, 굽힘 탄성을 갖는 탄성 플레이트(21)와, 이 탄성 플레이트(21)의 선단에 부착된 버클(22)을 포함한다. 탄성 플레이트(21)의 일단은, 좌면(4)의 아래에서 고정점(23)에 고정된다. 크로치 벨트(20)가 허리 벨트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탄성 플레이트(21)의 탄성력에 의해 크로치 벨트(20)는 좌면(4)의 전방 부분을 따라 근접하여 위치한다.
유아 기구, 벨트

Description

육아 기구의 좌석{SEAT FOR CHILDCARE EQUIPMENT}
본 발명은 유모차나 유아용 시트 등의 좌석이 붙은 육아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기의 신체를 구속하는 신체 구속 벨트를 구비한 육아 기구의 좌석에 관한 것이다.
육아 기구의 일예로서, 유모차에 관해 설명한다.
유모차의 신체 구속 벨트는, 통상 크로치(crotch) 벨트와, 이 크로치 벨트에 버클을 통하여 연결되는 한 쌍의 허리 벨트를 포함한다. 아기가 유모차의 좌석에 착좌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크로치 벨트 및 허리 벨트는 느슨해진 상태로 유모차의 좌석의 좌면상에 무조작으로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유모차의 좌석에 아기를 착좌시키려고 한 때는, 우선 크로치 벨트 및 허리 벨트를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로 움직이고 나서 아기를 좌석에 태울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크로치 벨트 및 허리 벨트를 움직이는 작업은, 약간 번잡하다.
또한, 크로치 벨트 및 허리 벨트가 좌면상에 느슨해진 상태로 무조작으로 위치하고 있으면, 유모차의 접어개는 동작을 행할 때, 크로치 벨트 및/또는 허리 벨트가 좌면과 등받이면 사이에 부자연스럽게 끼워져 접어개는 동작에 대해 저항을 줄 우려가 있다.
종래의 유모차 중에는, 크로치 벨트가 미사용시에 스스로 세워진 상태로 되는 것도 제공되지만, 스스로 세워진 크로치 벨트의 존재는 아기를 좌석에 태우려고 할 때에 방해가 된다.
한편, 신체 구속 벨트에 의해 아기의 신체를 구속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신체 구속 벨트 또는 버클이 아기의 복부를 압박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기를 육아 기구의 좌석에 태우려고 할 때에, 신체 구속 벨트를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로 움직이는 번잡한 작업을 불필요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기의 복부를 압박하지 않는 신체 구속 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좌석에 착좌한 아기의 신체를 구속하는 신체 구속 벨트와, 이 신체 구속 벨트를 소정의 구속 위치에 고정 지지하는 고정 수단을 구비한 육아 기구의 좌석을 전제로 하고, 다음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신체 구속 벨트는 고정 수단에 의한 로크가 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자동적으로 좌석의 앞면을 개방하는 위치로 가져오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이라면, 신체 구속 벨트는 비사용 상태에서는 항상 좌석의 앞면을 개방하고 있기 때문에, 아기를 좌석에 태우려고 할 때에 신체 구속 벨트를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로 움직이는 작업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신체 구속 벨트는 탄성력이 있는 부재를 포함하고, 이 탄성력에 의해 상기한 개방 위치로 자동 복귀하도록 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로는, 신체 구속 벨트 자체가 탄성력이 있는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 형태로는 신체 구속 벨트는 벨트 부분에 따르도록 배치된 쿠션재를 포함하고, 이 쿠션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한 개방 위치로 자동 복귀하도록 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 형태로는, 육아 기구의 좌석은 신체 구속 벨트의 외측을 향하는 외표면과, 이 외표면에 대면하는 좌석의 표면을 장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접속하는 장력 부재를 포함하고, 이 장력 부재의 장력에 의해 신체 구속 벨트를 상기한 개방 위치로 자동 복귀시키도록 한다.
신체 구속 벨트는, 바람직하게는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한 구속 위치에 고정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외측을 향하여 팽출한 만곡 형상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만곡 형상이라면, 아기의 복부를 압박하지 않는다.
신체 구속 벨트는, 예를 들면, 착좌한 아기의 양 대퇴의 사이로부터 인출되는 크로치 벨트를 포함한다. 이 크로치 벨트는 고정 수단에 의한 로크가 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크로치 벨트 인출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좌면에 따라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신체 구속 벨트는 예를 들면, 착좌한 아기의 몸통부를 구속하는 한 쌍의 허리 벨트를 포함한다. 이 경우, 각 허리 벨트는 고정 수단에 의한 로크가 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좌석의 측면에 따라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크로치 벨트는 그 상단 부분부터 양 측방으로 뻗어나와 늘어나는 한 쌍의 측방 장출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크로치 벨트의 상단 부분 및 한 쌍의 측방 장출부는 착좌한 아기의 몸통부를 요철이 없는 면으로 둘러싸 넣는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각 측방 장출부는 착좌한 아기의 몸통부와 좌석 사이의 간극 내에 위치하고 있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신체 구속 벨트는 착좌한 아기의 양 대퇴의 사이로부터 인출되는 크로치 벨트와, 아기의 몸통부를 구속하는 한 쌍의 허리 벨트를 포함한다. 크로치 벨트는 고정 수단에 의한 로크가 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크로치 벨트 인출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좌면을 따라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각 허리 벨트는, 고정 수단에 의한 로크가 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좌석의 측면을 따라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크로치 벨트는, 그 상단 부분으로부터 양 측방으로 뻗어나와 늘어나는 한 쌍의 측방 장출부를 포함하고, 각 허리 벨트는 크로치 벨트의 측방 장출부상을 연장한다. 크로치 벨트와 한 쌍의 허리 벨트를 연결하기 위해, 예를 들면, 크로치 벨트의 상단 부분의 외면에 연결용의 받이구(受具)가 부착되어 있고, 각 허리 벨트의 선단에 상기 받이구에 계합하는 연결용의 삽입구(差入部)가 부착되어 있다.
도 1은 신체 구속 벨트가 개방 위치로 가져오게 되어 있는 상태의 유모차의 좌석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좌석에 아기를 태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신체 구속 벨트를 구속 위치에 고정 지지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유모차의 접어갠 상태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개방 위치에 있는 크로치 벨트의 일예를 도시한 도해도.
도 6은 도 5의 크로치 벨트가 구속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해도.
도 7은 개방 위치에 있는 크로치 벨트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해도.
도 8은 도 7의 크로치 벨트가 구속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해도.
도 9는 개방 위치에 있는 크로치 벨트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해도.
도 10은 도 9의 크로치 벨트가 구속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해도.
도 11은 개방 위치에 있는 신체 구속 벨트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허리 벨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크로치 벨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신체 구속 벨트에 의해 아기의 신체가 구속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은 육아 기구의 일예로서의 유모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유모차(1)는 차체(2)와, 이 차체(2)상에 마련된 좌석(3)을 구비한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좌석(3)은 좌석 해먹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좌석(3)은, 좌면(4)과 등받이면(5)과 한 쌍의 측면(6)을 구비한다. 유모차(1)는 좌석에 착좌한 아기의 신체를 구속하기 위한 신체 구속 벨트와, 이 신체 구속 벨트를 소정의 구속 위치에 고정 지지하는 고정 수단을 구비한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신체 구속 벨트는 착좌한 아기의 양 대퇴의 사이로 부터 인출되는 크로치 벨트(10)와, 착좌한 아기의 몸통부를 구속하는 한 쌍의 허리 벨트(11)를 포함한다. 크로치 벨트(10) 및 한 쌍의 허리 벨트(11)는, 버클 등의 고정 수단을 통하여 연결된다. 도면으로는 명확하게 확인할 수 없지만, 크로치 벨트(10)는 좌면의 아래로부터 인출되는 벨트와, 이 벨트의 선단에 부착되는 버클의 한 요소인 받이구(受具)와, 벨트 및 받이구에 따라 배치되는 크로치 패드를 포함한다. 한 쌍의 허리 벨트(11)의 선단에는, 버클의 한 요소인 삽입구(差入具)(12)가 부착된다. 삽입구(12)와 받이구가 계합함에 의해, 크로치 벨트(10)와 한 쌍의 허리 벨트(11)가 연결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체 구속 벨트의 구성 요소인 크로치 벨트(10) 및 한 쌍의 허리 벨트(11)는, 버클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한 로크가 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자동적으로 좌석(3)의 앞면을 개방하는 위치로 가져오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크로치 벨트(10)는 크로치 벨트의 인출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좌면(4)에 따라 근접하여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허리 벨트(11)는 좌석(3)의 측면(6)에 따라 근접하여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아기를 좌석에 태우려고 할 때에, 크로치 벨트(10) 및 허리 벨트(11)를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로 움직이는 번잡한 작업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도 2는 아기를 좌석에 태운 상태를 도시하고, 도 3은 크로치 벨트(10)와 한 쌍의 허리 벨트(11)를 연결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통상 유모차의 좌석(3)의 전방에는 앞 가드(13)가 마련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앞 가드(13)의 한쪽 단을 연결점(14)으로부터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유모차(1)의 좌석(3)에 아기를 태우고 있는 상태에서는 앞 가드(13)의 한쪽 단은 연결점(14)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좌석(3)에 착좌한 아기의 복부를 압박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신체 구속 벨트(10, 11)는 버클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구속 위치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외측을 향하여 팽출한 만곡 형상을 갖도록 된다.
도 4는 유모차의 접어갠 상태를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아기가 착좌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크로치 벨트(10) 및 한 쌍의 허리 벨트(11)가 각각 좌석(3)의 좌면(4) 및 측면(6)에 따라 근접하여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모차(1)의 접어개는 동작시, 크로치 벨트(10) 및 허리 벨트(11)가 좌면(4)과 등받이면(5)과의 사이에 부자연스럽게 끼워져 저항으로 되는 일은 없다.
도 5 및 도 6은 신체 구속 벨트의 한 구성 요소인 크로치 벨트(20)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크로치 벨트(20)는 굽힘 탄성을 갖는 탄성 플레이트(21)와, 이 탄성 플레이트(21)의 선단에 부착된 버클(22)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탄성 플레이트(21)를 판 스프링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탄성 플레이트(21)의 일단은, 좌면(4)의 아래에서 고정점(23)에 고정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로치 벨트(20)가 허리 벨트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탄성 플레이트(21)의 탄성력에 의해 크로치 벨트(20)는 좌면(4)의 전방 부분에 따라 근접하여 위치한다.
도 6은 크로치 벨트(20)가 허리 벨트(도시 생략)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탄성 플레이트(21)는 그 굽힘 탄성에 의해 외측을 향 하여 팽출한 만곡 형상을 띄기 때문에, 착좌한 아기의 복부를 압박하지 않는다.
도 7 및 도 8은 크로치 벨트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시한 크로치 벨트(30)는 일단이 좌면(4)의 아래에 고정된 유연성 벨트(31)와, 이 벨트(31)의 선단에 부착된 버클(32)과, 유연성 벨트(31)의 내면에 따르도록 배치된 쿠션재(33)를 포함한다. 쿠션재(33)와 유연성 벨트(31)는, 예를 들면 커버 부재를 사이에 두고 일체가 되도록 된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쿠션재(33)의 기단(基端)은 좌면(4) 또는 좌면(4)의 아래에 고정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로치 벨트(30)가 허리 벨트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쿠션재(33)의 탄성력에 의해 크로치 벨트(30)는 좌면(4)의 전방 부분에 따라 근접하여 위치한다.
도 8은 크로치 벨트(30)가 허리 벨트(도시 생략)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쿠션재(33)의 탄성력에 의해 크로치 벨트(30)가 외측을 향하여 팽출한 만곡 형상을 띄기 때문에, 착좌한 아기의 복부를 압박하지 않는다.
도 9 및 도 10은 크로치 벨트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크로치 벨트(40)는, 일단이 좌면(4)의 아래에 고정된 유연성 벨트(41)와, 이 벨트(41)의 선단에 부착된 버클(42)과, 유연성 벨트(41)의 외면에 따르도록 배치된 외면 봉제 부재(43)와, 유연성 벨트(41)의 내면에 따르도록 배치된 내면 봉제 부재(44)를 포함한다.
외면 봉제 부재(43)는 크로치 벨트(41)의 외측을 향하는 외표면과, 이 외표 면에 대면하는 좌석의 좌면(4)을 장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접속하도록 꿰매어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로치 벨트(40)가 허리 벨트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외면 봉제 부재(43)의 장력에 의해 크로치 벨트(40)는 좌면(4)의 전방 부분에 따라 근접하여 위치한다.
도 10은 크로치 벨트(40)가 허리 벨트(도시 생략)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외면 봉제 부재(43)의 장력에 의해 크로치 벨트(40)가 외측을 향하여 팽출한 만곡 형상을 띄기 때문에, 착좌한 아기의 복부를 압박하지 않는다.
도 5 내지 도 10은 크로치 벨트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것이나, 허리 벨트에 대해서도 같은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신체 구속 벨트를 도시하고 있다. 신체 구속 벨트는 좌면(50)으로부터 인출된 크로치 벨트(60)와, 한 쌍의 허리 벨트(70)를 포함한다. 크로치 벨트(60)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수단에 의한 로크가 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크로치 벨트의 인출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좌면에 따라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각 허리 벨트(70)도, 고정 수단에 의한 로크가 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좌석의 측면에 따라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로치 벨트(60)는 그 상단 부분부터 양 측방으로 뻗어나와 늘어나는 한 쌍의 측방 장출부(61)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크로치 벨트(60)의 상단 부분 및 한 쌍의 측방 장출부(61)는 착좌한 아기의 몸통부를 요철이 없는 면으로 둘러싸는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형상의 크로치 벨 트(60)를 이용함에 의해, 아기의 허리 부분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허리 벨트(70)는 개방 위치로 자동 복귀하는 탄성력을 발휘하는 허리 벨트 패드(71)를 포함한다. 허리 벨트 패드(71)의 외면에는 루프부(72)가 형성되어 있고, 허리 벨트는 이 루프부(72)를 통과한다. 또한, 허리 벨트(70)의 선단에는 연결용의 삽입구(73)가 부착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로치 벨트(60)의 상단 부분의 외면에 루프부(62)와, 이 루프부(62)에 의해 덮인 연결용의 받이구(63)가 마련되어 있다. 신체 구속 벨트의 장착 상태에서는 한 쌍의 허리 벨트(70)의 선단에 있는 삽입구(73)가 받이구(63)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 넣어진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허리 벨트(70)는 크로치 벨트(60)의 측방 장출부(61)상를 연장하고 있다. 각 측방 장출부(61)는 착좌한 아기의 몸통부와 좌석 사이의 간극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착좌한 아기의 허리 부분을 안정시킬 수 있다.
도시한 실시 형태는, 육아 기구로서 유모차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유아용 시트 등의 신체 구속 벨트를 구비한 좌석이 있는 육아 기구에 동등하게 적용된다. 유아용 시트의 경우, 통상 신체 구속 벨트는 5점식 벨트로서, 크로치 벨트와, 어깨 벨트와, 허리 벨트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는 어깨 벨트와 허리 벨트는 연속하여 늘어난다. 이와 같은 유아용 시트의 신체 구속 벨트에 대해 본 발명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기의 신체를 구속하는 신체 구속 벨트를 구비한 육아 기구의 좌석에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좌석에 착좌한 아기의 신체를 구속하는 신체 구속 벨트와, 상기 신체 구속 벨트를 소정의 구속 위치에 고정 지지하는 고정 수단을 구비한 육아 기구의 좌석에 있어서,
    상기 신체 구속 벨트는,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한 로크가 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자동적으로 상기 좌석의 앞면을 개방하는 위치로 가져오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구속 벨트는 탄성력이 있는 부재를 포함하고, 이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개방 위치로 자동 복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구속 벨트 자체가 탄성력이 있는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구속 벨트는, 벨트 부분에 따르도록 배치된 쿠션재를 포함하고, 이 쿠션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개방 위치로 자동 복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구속 벨트의 외측을 향하는 외표면과, 상기 외표면에 대면하는 상기 좌석의 표면을 장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접속하는 장력 부재를 포함하고, 이 장력 부재의 장력에 의해 상기 신체 구속 벨트를 상기 개방 위치로 자동 복귀시키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구속 벨트는,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구속 위치에 고정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외측을 향하여 팽출한 만곡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구속 벨트는, 착좌한 아기의 양 대퇴의 사이로부터 인출되는 크로치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크로치 벨트는,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한 로크가 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크로치 벨트 인출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좌면에 따라 위치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구속 벨트는, 착좌한 아기의 몸통부를 구속하는 한 쌍의 허리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각 허리 벨트는,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한 로크가 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좌석의 측면에 따라 위치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치 벨트는, 그 상단 부분부터 양 측방으로 뻗어나와 늘어나는 한 쌍의 측방 장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크로치 벨트의 상단 부분 및 한 쌍의 측방 장출부는, 착좌한 아기의 몸통부를 요철이 없는 면으로 둘러싸 넣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방 장출부는, 착좌한 아기의 몸통부와 좌석의 측벽 사이의 간극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11. 제 1항에 있어서,
    신체 구속 벨트는, 착좌한 아기의 양 대퇴의 사이로부터 인출되는 크로치 벨트와, 아기의 몸통부를 구속하는 한 쌍의 허리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크로치 벨트는,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한 로크가 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크로치 벨트 인출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좌면에 따라 위치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각 허리 벨트는,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한 로크가 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좌석의 측면에 따라 위치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크로치 벨트는, 그 상단 부분부터 양 측방으로 뻗어나와 늘어나는 한 쌍의 측방 장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허리 벨트는, 상기 크로치 벨트의 측방 장출부상을 늘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치 벨트의 상단 부분의 외면에 연결용의 받이구(受具)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각 허리 벨트의 선단에 상기 받이구에 계합하는 연결용의 삽입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KR1020057014706A 2003-04-18 2004-04-12 육아 기구의 좌석 KR200600218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13519 2003-04-18
JP2003113519 2003-04-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818A true KR20060021818A (ko) 2006-03-08

Family

ID=33307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4706A KR20060021818A (ko) 2003-04-18 2004-04-12 육아 기구의 좌석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585026B2 (ko)
EP (1) EP1616509B1 (ko)
JP (1) JPWO2004093608A1 (ko)
KR (1) KR20060021818A (ko)
CN (1) CN100522012C (ko)
DE (1) DE602004007501D1 (ko)
RU (1) RU2005135849A (ko)
TW (1) TW200508068A (ko)
WO (1) WO20040936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802B1 (ko) * 2007-05-25 2015-04-13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시트 벨트의 유지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28677C1 (nl) * 2004-08-02 2006-02-06 Maxi Miliaan Bv Kinderstoel.
JP4625064B2 (ja) * 2007-11-05 2011-02-02 明門實業股▲フン▼有限公司 ベビーカー及びそのガードアーム装置
RU2506871C2 (ru) * 2008-11-24 2014-02-20 Холмбергс Чайлдсэйфети Холдинг Аб Пряжка и блок ремня безопасности для детского сиденья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5347724B2 (ja) * 2009-06-01 2013-11-20 タカタ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CN101954897A (zh) * 2009-07-13 2011-01-26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儿童汽车椅及其弹性胯带
US8328289B2 (en) * 2009-08-12 2012-12-11 Bruce M Tharp Belt retaining system for child safety seat
CN102923023B (zh) * 2011-08-10 2016-02-17 常州博万达汽车安全设备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锁扣
AU2013100453A4 (en) * 2012-05-09 2013-05-23 Britax Child Safety, Inc. Flip forward buckle assembly
US9114738B2 (en) 2012-05-09 2015-08-25 Britax Child Safety Inc. Flip forward buckle assembly
NO341970B1 (no) * 2012-09-12 2018-03-05 Torgersen Hans & Soenn Fastholdelsesanordning for et sikkerhetsbelte
JP2014237339A (ja) * 2013-06-06 2014-12-18 武史 杉浦 自動車用シートクッション
US9428143B2 (en) * 2013-07-26 2016-08-30 Recaro Child Safety Llc Seat with upwardly projecting harness straps
US20150367759A1 (en) * 2014-01-10 2015-12-24 David Grey Advanced Comfort Buckling System
CN104325962A (zh) * 2014-10-28 2015-02-04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汽车座的安全带结构
JP6770794B2 (ja) * 2015-09-04 2020-10-21 ニューウェルブランズ・ジャパン合同会社 育児器具の座席構造
JP7217662B2 (ja) * 2019-01-28 2023-02-03 ニューウェルブランズ・ジャパン合同会社 座席付き育児器具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9577A (en) * 1971-05-06 1974-03-26 Alfa Romeo Spa Safety belt having three fastening points for the seat of a motor car
US4192530A (en) * 1977-08-29 1980-03-11 Allied Chemical Corporation Passive seat belt system
JPS54165426U (ko) * 1978-05-12 1979-11-20
JPS55120355U (ko) * 1979-02-19 1980-08-26
JPS55120355A (en) 1979-03-07 1980-09-16 Hitachi Ltd Device for brush holder
DE3007645A1 (de) * 1980-02-29 1981-10-01 Autoflug Gmbh, 2084 Rellingen Sicherheitssitz fuer kraftfahrzeuge
US4738489A (en) * 1985-02-04 1988-04-19 Gerber Products Company Child's car seat restraint system
DE3816834A1 (de) * 1988-05-18 1989-11-23 Keiper Recaro Gmbh Co Fahrzeugsitz mit einem sicherheitsgurtsystem
US5061012A (en) * 1990-09-04 1991-10-29 Gerry Baby Products Company Child car seat with automatic harness adjustment
JPH0644746Y2 (ja) * 1992-02-03 1994-11-16 コンビ株式会社 車載用の幼児用補助座席
JP3345463B2 (ja) 1993-06-16 2002-11-18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自動車用子供安全シート
US5709408A (en) * 1996-06-12 1998-01-20 Carraway, Jr.; Bruce H. Motorized safety belts for vehicles
JPH11189128A (ja) 1997-10-20 1999-07-13 Aprica Kassai Inc 自動車用年少者安全座席に用いられる安全ベルト
JP4357618B2 (ja) 1999-01-29 2009-11-04 コンビ株式会社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付きショッピングワゴン
JP2000296734A (ja) 1999-02-08 2000-10-24 Aprica Kassai Inc 自動車用年少者安全座席、プロテクタ、育児器具のプロテクタ、育児器具および新生児用ベッド
JP2000301972A (ja) 1999-04-21 2000-10-31 Riiman Kk チャイルドシートの安全ベルト
JP2001328471A (ja) 2000-05-19 2001-11-27 Aprica Kassai Inc 年少者座席
US6543847B2 (en) * 2000-09-22 2003-04-08 Cosco Management, Inc. Juvenile seat assembly having harness strap retainer apparatus
JP2002337696A (ja) 2001-05-17 2002-11-27 Kawajun Co Ltd 幼児用シートのためのシートベルトおよび幼児用シート
US20050179289A1 (en) * 2004-02-18 2005-08-18 Fuller Mark E. Child safety sea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802B1 (ko) * 2007-05-25 2015-04-13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시트 벨트의 유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74192A (zh) 2006-05-17
EP1616509A1 (en) 2006-01-18
JPWO2004093608A1 (ja) 2006-07-13
WO2004093608A1 (ja) 2004-11-04
RU2005135849A (ru) 2006-03-20
DE602004007501D1 (de) 2007-08-23
EP1616509B1 (en) 2007-07-11
EP1616509A4 (en) 2006-03-15
TW200508068A (en) 2005-03-01
CN100522012C (zh) 2009-08-05
US7585026B2 (en) 2009-09-08
US20060097563A1 (en) 200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21818A (ko) 육아 기구의 좌석
EP2421413B1 (en) A baby carrier
US5246152A (en) Baby carrier with head support
KR950701199A (ko) 아동용 통합 좌석 모듈
US20070029356A1 (en) Baby band
US6095614A (en) Child carrier harness
US20070011816A1 (en) Cushion for baby carriage
KR101225929B1 (ko) 차량용 유아안전시트
CN112046353B (zh) 儿童载具、儿童支撑装置及其相关系统
US6082826A (en) Patient support system
EP0704183A2 (en) Baby carrier
US5890769A (en) Child restraining harness
EP1440853B1 (en) Seat belt guiding auxiliary device
KR200453681Y1 (ko) 휠체어용 안전 벨트
US5957537A (en) Restraining device for children
KR20200123120A (ko) 유아 캐리어
JP4473595B2 (ja) 子守帯
JP2005120552A (ja) 子守帯
KR20160046224A (ko) 유아용 캐리어
JP2016120842A (ja) ベルト固定装置、ベビーシート及びベビーカー
KR0123567Y1 (ko) 유아를 앞쪽으로 지지하는 유아운반용구 및 앞쪽 또는 뒷쪽으로 지지하는 유아운반용구
US20220212710A1 (en) Shoulder belt assembly and baby carrier
CN215322435U (zh) 立体式儿童安全束缚系统
CN218489510U (zh) 一种连接于车辆本体的安全带护垫
CN218172060U (zh) 一种一体式易拆卸安全带护垫及儿童安全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