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6448B1 - 사전 장전 가능한 코드 고정 기구 - Google Patents

사전 장전 가능한 코드 고정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6448B1
KR100536448B1 KR10-1999-0035355A KR19990035355A KR100536448B1 KR 100536448 B1 KR100536448 B1 KR 100536448B1 KR 19990035355 A KR19990035355 A KR 19990035355A KR 100536448 B1 KR100536448 B1 KR 100536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arm
telescoping member
cord
free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5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7522A (ko
Inventor
앤셔죠셉
Original Assignee
내셔날 몰딩 코오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내셔날 몰딩 코오포레이션 filed Critical 내셔날 몰딩 코오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00017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6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64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0Quick-acting fastenings; 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 F16G11/101Quick-acting fastenings; 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deforming the cable by moving a part of the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9Cord and rope holders
    • Y10T24/3984Alignable aperture and spring pressed mov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코드 고정 기구는 2 이상의 측벽 및 하나의 기벽이 내부 공동을 형성하는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와, 이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 내부에서 활주 가능한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를 구비한다. 내측 및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 모두의 측벽에는 구멍이 뚫려 있다. 내측 및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는 스프링과 같은 편향 수단에 의해 상호 편향되므로, 구멍들은 엇갈리게 되어 구멍들 속으로 꿰어진 코드를 죌 수 있다.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에는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의 내부 공동 안으로 연장된 1 이상의 다리가 부착된다. 다리는 T자형 자유 단부를 갖는다.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 내부에 위치한 1 이상의 가요성 다리 유지 수단은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를 제1 및 제2 고정 위치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고정 위치에서, 내측 및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상의 구멍들은 정렬되므로 이들 구멍 속으로 코드가 공급된다. 제2 고정 위치에서, 구멍들은 엇갈려 코드를 죄게 된다.

Description

사전 장전 가능한 코드 고정 기구{PRELOADABLE CORD LOCK}
본 발명은 운동복, 겉옷, 배낭(backpack) 및 기타 용품에 사용하는 사전 장전 가능한 코드 고정 기구(cord lock)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코드 고정 기구는 제작자에 의해 용이하게 사전 장전된(pre-loaded) 후, 이 고정 기구에 꿰어진 1 이상의 코드를 죄도록 용이하게 작동될 수 있다.
겉옷 및 여행 가방의 가요성 코드 등의 코드를 죄고 유지하는 코드 고정 기구가 공지되어 있다. 통상 이들 코드 고정 기구는 구멍(aperture)이 있는 한 쌍의 텔레스코핑 부재(telescoping member; 슬라이딩에 의해 신축될 수 있는 형태의 부재)로 제조된다. 텔레스코핑 부재 중 하나는 다른 하나에 대해 편향되어 있으므로 이들 부재의 각각의 구멍은 엇갈리게 된다. 코드 고정 기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구멍이 정렬되도록 두 개의 텔레스코핑 부재를 함께 압박하여 코드 고정 기구를 장전해야 한다. 두 부재를 이러한 정렬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코드를 구멍에 꿰어 넣음과 동시에 이들 부재를 계속 압박해야 한다. 일단 코드가 꿰어지면 사용자는 두 개의 부재에 가한 압력을 해제할 수 있다. 두 개의 부재는 그들의 구멍이 엇갈리게 되도록 편심되어 있기 때문에 구멍에 꿰어진 코드를 죄어 코드를 고정 위치에 유지할 것이다.
비록 이러한 설계가 코드의 고정 및 유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지만, 사용자는 코드를 구멍에 꿰어 넣음과 동시에 두 개의 텔레스코핑 부재의 구멍을 정렬시키도록 계속 하향 압력을 가해야만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코드를 죄는데 필요한 편향력이 비교적 강하므로, 구멍을 정렬시키기 위해 비교적 큰 힘을 손가락으로 가해야 한다. 따라서, 구멍을 정렬된 위치에 유지시키면서 구멍에 코드를 꿰는 것은 부담스러울 수 있다. 이것은 많은 수의 유닛에 반복적으로 행할 때는 특히 그러하다.
종래 기술의 또 하나의 단점은 누군가가 2개의 텔레스코핑 부재를 함께 죄어 고정 기구를 부주의하게 해제시킴으로써, 코드에 대한 인장력을 해제하여 코드가 풀리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종래 기술의 코드 고정 기구의 편향 수단은 매우 강력하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그와 같이 강한 편향 수단에 대해 코드 고정 기구를 장전하는 것은 매우 부담스러울 수 있어서, 반복적으로 행하는 경우 손목굴 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제작시 사전 장전될 수 있는 코드 고정 기구가 앤셔(Anscher) 명의의 미국 특허 제5,671,505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코드 고정 기구는 스프링에 의해 상호 편향된 2개의 텔레스코핑 부재를 구비한다. 내측 부재는 외측 부재의 견부(肩部)에 스냅식으로 채워져 코드 고정 기구를 장전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측면 아암(arm)을 구비한다. 내측 부재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견부를 압박하는데, 그에 따라 내측 부재의 아암이 해제되고 내측 부재가 외측 부재 밖으로 신장되어 코드가 수납된 구멍들이 엇갈리게 된다.
이러한 장치는 내측 부재를 외측 부재의 표면 하측으로 압박해야만 아암이 견부와 고정되기 때문에 내측 부재를 압박하여 조립한 후에는 부주의하게 재장전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비록 이 장치에는 여러 장점이 있지만, 내측 부재의 작은 만입형 헤드에 의해 장전 중에 곤란이 야기되어 조립자의 손가락에 응력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전 장전되고 용이하게 작동되도록 개선된 코드 고정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작동된 후에는 부주의하게 재장전될 수 없는 코드 고정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가 간단하고 저렴한 코드 고정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여러 가지 목적은 2 이상의 측벽 및 하나의 기벽(bottom wall)이 내부 공동을 형성하는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와, 상기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의 공동 내에서 활주 가능한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를 구비한 코드 고정 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내측 및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는 모두 그들의 측벽에 구멍이 뚫려 있다. 내측 및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는 스프링과 같은 편향 수단에 의해 서로에 대해 편향되므로, 구멍들은 엇갈리게 되고 구멍을 통해 꿰어진 코드를 죌 수 있다.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에는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의 내부 공동으로 연장된 1 이상의 다리가 부착되어 있다. 이 다리는 T자형 자유 단부를 가지며, 수직이 아니고 외측으로 편향되거나 경사져 있다.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 내부에는 1 이상의 다리 유지 수단이 위치하는데, 이 수단은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를 제1 및 제2 고정 위치에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고정 위치에서, 내측 및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의 구멍들은 정렬되어 이들 구멍 속으로 코드가 공급된다. 제2 고정 위치에서, 구멍들은 엇갈리므로 코드를 죄게 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상기 다리 유지 수단은 상부에서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의 측벽에 연결된 1 이상의 하향 연장형 아암을 구비한다. 상부의 전면은 공동의 중앙 쪽으로 경사져 있다. 상부 아래에는 가요성 수직 하부가 위치한다. 경사진 상부와 수직 하부 사이에는 렛지(ledge)가 형성된다. 가요성 수직 하부는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 중앙의 반대편을 향한 노치형 족부(notched foot)를 갖는다.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를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 안으로 압박하면, 다리는 상부의 전면을 따라 렛지 둘레로 활주하여 제1 고정 위치에 고정되는데, 이때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에 압력을 유지하지 않고 상부 및 기부 피이스의 구멍 속에 코드를 꿰어 넣을 수 있다.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를 추가로 하향 압박하면, 다리는 하부를 따라 하향 활주하고 노치형 족부 둘레를 따라 아암의 배면까지 활주하여 제2 고정 위치에 안착하는데, 이때 구멍들은 엇갈리므로 코드는 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다리가 노치형 족부 둘레로 활주할 때, 수직 하부는 다리가 아암의 기부 둘레로 충분히 지나갈 수 있게 허용한다. 이러한 특징은 외측으로 경사지거나 편향된 다리의 특성에 덧붙여서, 다리가 제1 고정 위치로 부주의하게 다시 재장전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이유는 다리가 아암의 전면 근처로 복귀되도록 가요성 하부를 외측으로 굴곡시킬 수 있는 수단이 없기 때문이다.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의 기부면(bottom side)은 아암 아래쪽에 위치한 상향 연장형 견부 요소를 구비한다. 견부 요소는 다리가 하부를 따라 하향 활주하는 때 다리와 아암의 하부 수직부를 외측으로 굴곡시키고 다리를 노치형 족부 둘레를 따라 압박한다.
아암의 외측면은 렛지를 상부에 구비하면 좋은데, 이 렛지는 아암의 외측면을 따라 상향 이동하는 중에 이 다리와 맞물리고,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가 더 이상 상향 이동하지 못하도록 방지한다. 이것은 내측 및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가 해제되어 분실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안전 수단이다.
스프링의 양 측면에는 2개의 다리와 2개의 아암이 배치되면 좋다.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의 기부면 중앙으로부터 견부 요소 사이에서 기둥(post)이 상향 연장되고, 이 기둥은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가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 안으로 압박되는 때에 스프링에 의해 둘러싸인다.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는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의 둘레를 지나 연장하는 상부 캡(top cap)을 구비한다. 이 캡은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가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 안으로 일정 정도 이상 압박되어 상기 부분들에 과도한 스트레스를 가하지 않도록 방지한다. 상기 확대된 캡은 또한 코드 고정 기구가 2개의 고정 위치 사이에서 보다 용이하게 이동하게 해준다.
변형례에서, T자형 자유 단부는 외향 렛지(외측을 향한 렛지)를 가지며, 다리 유지 수단은 상부에서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의 측벽에 연결된 하향 연장형 가요성 아암을 구비한다. 아암은 전면상의 내향 렛지(내측을 향한 렛지)와, 배면상의 외향 렛지를 구비한다.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를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 안으로 하향 압박하면, 다리는 이 다리의 렛지가 아암 전면의 렛지와 연결되어 다리를 제1 고정 위치에 고정시킬 때까지 아암의 전면을 따라 활주하게 된다. 이 지점에서 구멍들은 정렬된다. 다리를 더 압박하면, 다리는 아암을 따라 하향 활주하고, 아암의 자유 단부 둘레를 따라 이동하며 아암 배면의 렛지(ledge)가 T자형 자유 단부와 접속되어 다리를 제2 고정 위치에 고정시킬 때까지 아암의 배면까지 이동하는데, 상기 제2 고정 위치에서 구멍들은 엇갈리고(정렬 해제되고) 코드는 구멍들 사이에서 죄어진다. 다리가 제1 고정 위치로부터 제2 고정 위치로 이동할 때, 아암은 구부러지고 다리가 아암의 자유 단부 둘레로 충분히 지나갈 수 있도록 허용한다.
또한, 다리가 아암의 단부를 따라 그 둘레로 활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의 기부면에는, 코드 고정 기구의 중앙에 위치한 상향 연장형 견부 요소가 있고, 외측으로 경사진 측벽이 있다. 이 측벽은 다리가 아암을 따라 하향 활주할 때 다리를 외측으로 편향시키고, 다리를 가요성 아암 둘레를 따라 아암의 배면까지 압박하는데, 이 배면에서 다리는 제2 고정 위치에 머무르게 된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아암 주위로 복귀 이동하기에 충분하도록 아암이 후방으로 구부러지거나 다리가 내측으로 편향될 수 있는 방법은 없기 때문에, 코드 고정 기구를 부주의하게 제1 고정 위치에 복귀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 하나의 변형례에서, 외측 편향된 다리의 T자형 자유 단부는 외향 후크형 횡단면을 가지며, 다리 유지 수단은 상부에서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의 측벽에 장착된 하향 연장형 아암을 구비한다.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를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 안으로 압박하면, 다리는 다리의 자유 단부가 아암의 자유 단부에 맞물릴 때까지 아암의 전면을 따라 하향 활주하여, 제1 고정 위치에 고정된다.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를 추가로 하향 압박하면, 다리는 다리가 지나가도록 구부러지는 아암의 자유 단부 둘레를 따라 아암의 배면까지 활주하여, 제2 고정 위치에 도달한다. 또,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 기부면의 경사진 견부 요소는 다리가 아암을 따라 하향 이동할 때 다리를 추가로 편향시키고, 다리가 아암의 둘레를 활주하여 그 배면까지 활주하도록 허용한다. 이러한 구성은 다리의 제1 고정 위치로의 부주의한 복귀를 방지한다. 하지만, 구멍들을 일시적으로 재정렬시킬 수 있는데, 이는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를 구멍들이 정렬될 때까지 압박하기만 하면 된다. 압력을 해제하면 코드 고정 기구는 자동적으로 제2 고정 위치로 복귀한다.
다른 변형례에서, 다리의 T자형 자유 단부에는 1 이상의 외향 후크가 배치되며, 다리 유지 수단은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의 측벽에 연결된 하향 연장형 가요성 아암을 구비한다. 아암은 후크의 형태에 상응하여 하단부에 절삭된 홈을 구비한다.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를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 안으로 하향 압박하면, 다리는 후크가 홈과 맞물려 코드 고정 기구가 제1 고정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아암의 전면을 따라 활주하게 된다.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를 추가로 하향 압박하면, 다리가 홈을 지나 하단부 둘레를 따라 아암의 배면까지 활주하게 되어, 제2 고정 위치가 성립된다. 아암은 다리가 아암의 기부 둘레를 따라 배면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구부러진다.
또,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 기부면의 경사진 견부 요소의 편향력과 다리의 고유한 외측 경사에 의해, 다리는 홈을 지나 아암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활주할 수 있다.
T자형 자유 단부의 각각의 측면에 하나씩 위치한 2개의 후크가 있으면 좋다.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구성은 다리가 제1 고정 위치로 부주의하게 복귀하지 않도록 방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을 고려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하지만, 도면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여러 도면에서, 유사한 도면 부호는 동일 요소를 지시한다.
이제 첨부된 도면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는데, 특히 도 1-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코드 고정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코드 고정 기구(10)는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11)와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12)를 구비한다.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11)는 부재(11) 전체를 관통 연장하는 구멍(14)과 확장된 캡(13)을 갖는다.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12)는 상기 구멍에 상응하는 구멍(15)을 가지므로, 구멍(14, 15)들이 정렬되면 이들 구멍 속으로 코드가 꿰어질 수 있다.
텔레스코핑 부재(11, 12)는 감긴 스프링(16)에 의해 서로에 대해 편향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16)은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11)에 부착되어 두 부재가 한데 압박되는 때에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 기부의 기둥 위로 활주된다. 스프링(16)은 코드 고정 기구(10)가 안착 상태인 때 구멍(14, 15)들을 정렬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한다. 이러한 엇갈림은 코드를 2개의 구멍 사이에서 죄어지게 허용한다.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11)는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12) 안으로 하향 및 외향 연장하고 T자형 자유 단부(19)가 있는 2개의 다리(18)를 구비한다. 다리(18)는 탄성이 있으며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12)의 중앙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12)는 2개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아암(20)을 구비하며, 이들 아암(20)은 다리(18)에 상응하여 다리를 2개의 고정 위치, 즉 장전된 위치나 안착 위치에 고정시킨다. 아암(20)에는 내측으로 경사지고 렛지(21)가 말단을 이루는 상부가 있다. 렛지(21) 아래에는 작살 형태의 족부(22; harpoon-shaped foot)가 말단을 이루는 가요성 수직 기부가 있다. 족부(22)는 외측을 향한 렛지를 형성한다.
코드 고정 기구(10)의 사용에 있어서,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 안으로 삽입되고 하향 압박되어, 다리(18)가 도 5와 6에 도시된 제1 고정 위치에 고정될 때까지, 다리(18)를 렛지(21)의 경사진 상부를 따라 하향 활주시키고 내향 편향시킨다. 제1 고정 위치에서, 다리(18)의 T자형 자유 단부(19)는 아암(20)의 렛지(21) 아래에 고정되며, 구멍(14, 15)들의 정렬을 유지시켜 코드가 구멍(14, 15)들 속으로 코드가 꿰어질 수 있게 한다. 코드 고정 기구(10)는 도 7과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의 하향 압박에 의해 다리(18)가 아암(19)의 가요성 하부 수직부를 따라 하향 이동하고 족부(22) 둘레를 지나 제2 고정 위치에 도달하게 될 때까지 이 고정 위치에 머무른다.
제1 고정 위치로부터 제2 고정 위치로의 전환을 보조하기 위해,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12)의 기부면은 상측으로 돌출하고 견부가 외측으로 경사진 견부 요소(17)를 구비한다. 견부 요소(17)는 다리(18)를 압박하고 아암(19)을 구부러지게 하여 다리(18)를 하향 및 외측으로 안내함으로써, 다리(18)를 족부(22) 둘레를 따라 제2 고정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아암(19)의 가요성 하부 수직부는 다리(18)의 이러한 동작에 따라 굴곡되고 구부러져서 다리(18)를 족부(22) 둘레로 지나가게 허용한다.
이러한 제2 고정 위치에서, 다리(18)는 더 이상 내측으로 편향되지 않으며 외측으로 경사진 위치에 안착된다. 또한, 다리(18)의 경사진 구성에 의해, 다리(18)는 족부(22) 둘레를 지나 제1 고정 위치로 복귀하도록 충분히 내측으로 편향될 수 없다. 또한, 아암(19)의 가요성 하부가 굴곡되지 않으므로, 다리(18)는 제1 고정 위치에 주위에 복귀할 수 없다. 제2 고정 위치에서, 구멍(14, 15)들은 더 이상 정렬되지 않으며, 이들에 꿰어진 코드를 죌 수 있다. 구멍(14, 15)들이 정렬될 때까지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11)를 하향 압박함으로써 여전히 코드를 조정할 수 있다. 압력을 해제하면, 코드 고정 기구(10)는 즉시 제2 고정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코드 고정 기구(10)의 제2 실시예가 도 9와 10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다리(25)의 T자형 자유 단부(26)는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12)의 가요성 아암(30)의 내측 연장형 렛지(31)와 짝을 이루는 외측 연장형 렛지를 구비한다. 도 9와 10에 도시된 것은 제1 고정 위치이다.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12)를 더 압박하면, 다리(25)는 견부 요소(17)의 도움과 족부(32)의 구부러짐에 의해, 아암(30) 아래를 따라 아암(30) 외부 측면까지 활주하여, 제2 고정 위치에 도달한다.
아암(30)의 외부 측면에는 상향 렛지(33)가 있어서 다리(25)를 렛지(33)보다 높이 상향 이동하지 못하도록 방지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다리(25)가 렛지(33)를 지나 상향 이동하지 않고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11)가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12)로부터 해제되지 않을 것이 확실하다. 또한, 다리가 제1 고정 위치 주위로 복귀되도록 다리(25)를 압박하여 구부릴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지 않는다. 렛지(33)는 다리(25)의 기부가 렛지(33)와 접촉하는 때에 구멍(25, 26)들이 정렬되도록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코드 고정 기구(10)가 정렬된 위치에 고착될 위험 없이, 코드를 재정렬시킬 수 있다.
코드 고정 기구(10)의 다른 변형례가 도 11-15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다리(40)는 외측을 향한 후크형 횡단면을 갖는 T자형 자유 단부(41)를 구비한다. 도 12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50)은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11)가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12) 안으로 압박되는 때에 자유 단부(41)의 후크형 횡단면 내부에 고정되도록 형상화된 자유 단부(51)를 구비한다. 이 위치에서, 코드 고정 기구(10)는 구멍(14, 15)들이 정렬된 제1 고정 위치에 있다.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11)를 추가로 하향 압박하면, 다리(40)는 도 14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50)의 자유 단부(51) 둘레로 하향 활주하고 아암(50)의 반대 측면까지 도달하여, 제2 고정 위치에 안착한다. 아암(50)은 다리(40)의 이러한 동작에 따라 구부러지고 다리(40)가 자유 단부(51) 둘레로 지나가도록 충분한 공간을 허용한다. 다리(40)는 일단 제2 고정 위치가 달성된 후에는 제1 고정 위치로 부주의하게 복귀할 수 없도록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견부 요소(17)는 다리(40)를 아암(50)의 외부 측면 주위까지 이동시키고 아암(50)을 이 동작에 따라 굴곡시키는 것을 보조한다.
코드 고정 기구(1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16-19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다리(60)는 T자형 자유 단부(62)의 어느 한쪽에 2개의 후크(61)를 구비한다. 아암(70)은 후크(61)의 형태에 상응하는 절단부(71; cutout)를 자유 단부에 구비하므로,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를 하향 압박하면, 도 16과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61)가 절단부(71)에 맞물리고 코드 고정 기구(10)가 제1 고정 위치에 고정된다.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10)를 더 압박하면, 후크(61)가 절단부(71)로부터 아암(70)의 자유 단부 둘레를 따라 반대 측면까지 활주하여 도 18과 19에 도시된 제2 고정 위치에 안착되는데, 이때 구멍(14, 15)들은 엇갈린 상태이다. 아암(70)은 이 동작에 따라 구부러지고, 다리(60)가 아암(70)의 자유 단부 둘레로 충분히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다리(60)는 외측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이들은 일단 제2 고정 위치가 성립되었으면 제1 고정 위치로 부주의하게 복귀할 수 없다. 또한, 다리(60)가 암(70) 둘레로 충분히 복귀할 수 있도록 아암(70)이 다시 구부러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만이 도시 및 기재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명백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코드 고정 기구는 용이하게 작동하고, 일단 장전된 후에는 부주의하게 재장전되지 않으며, 간단하고도 저렴하게 제조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드 고정 기구의 부분 횡단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드 고정 기구의 정면 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코드 고정 기구의 부분 횡단면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코드 고정 기구의 평면도이며,
도 5는 제1 고정 위치에 있는 도 1의 코드 고정 기구의 부분 횡단면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정면 횡단면도이며,
도 7은 제2 고정 위치에 있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부분 횡단면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정면 횡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례의 부분 횡단면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정면 횡단면도이며,
도 11은 분해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변형례의 부분 횡단면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제1 고정 위치에 있는 도 11의 실시예의 부분 횡단면의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의 정면 횡단면도이고,
도 14는 제2 고정 위치에 있는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부분 횡단면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의 정면 횡단면도이고,
도 16은 제1 고정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부분 횡단면의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의 정면 횡단면도이고,
도 18은 제2 고정 위치에 있는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의 부분 횡단면의 사시도이며,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의 정면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코드 고정 기구
11 :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
12 :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
13 : 캡
14 :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의) 구멍
15 :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의) 구멍
16 : 스프링
17 : 견부 요소
18 : 다리
19, 20 : 아암
21 : 렛지
22 : 족부

Claims (16)

  1. 코드 고정 기구로서,
    2 이상의 측벽 및 하나의 기벽(bottom wall)이 내부 공동을 형성하고 상기 2개의 측벽에 구멍이 뚫려 있는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telescoping member; 슬라이딩에 의해 신축될 수 있는 형태의 부재)와,
    구멍이 뚫려 있으며 상기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의 공동 내부에서 활주 가능한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와,
    상기 구멍들이 엇갈리도록 상기 내측 및 외측 부재를 편향시켜 구멍들 속에 꿰어진 코드를 죄는 편향 수단(means for biasing)과,
    코드 고정 기구의 중앙으로부터 편향되게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에 부착되어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의 내부 공동으로 연장하며 T자형 자유 단부가 있는 1 이상의 다리와,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 내부에 위치하고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를 제1 및 제2 고정 위치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1 이상의 다리 유지 수단
    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고정 위치에서는 내측 및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의 구멍들이 정렬되어 이들 구멍 속으로 코드가 공급되고, 제2 고정 위치에서는 구멍들이 엇갈려 코드를 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고정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유지 수단은 1 이상의 하향 연장형 아암(arm)을 구비하는데, 상기 아암은 상부에서 상기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의 측벽에 연결되고, 상기 공동의 중앙 쪽으로 경사진 전면, 배면(背面) 및 가요성 수직 하부를 구비하며, 상기 경사진 상부 및 수직 하부 사이에는 렛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 하부는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 중앙의 반대편을 향한 노치형 족부(notched foot)를 구비하며,
    상기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를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 안으로 압박하면 상기 다리는 상부의 전면을 따라 상기 렛지 둘레로 활주하여 상기 제1 고정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고정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를 더 압박하면 상기 다리는 상기 가요성 하부를 따라 하향 활주하고 가요성 하부를 외측으로 굴곡시키며 상기 노치형 족부 둘레를 따라 상기 아암의 배면까지 활주하여 상기 제2 고정 위치에 안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고정 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의 기부면은 상기 아암 아래쪽에 위치한 상향 연장형 견부(肩部) 요소를 구비하며, 상기 견부 요소는 상기 다리가 하부를 따라 하향 활주할 때 다리와 아암의 하부 수직부를 굴곡시키고 다리를 상기 노치형 족부 둘레를 따라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고정 기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의 배면은 상기 상부에 렛지를 구비하며, 상기 렛지는 상기 다리와 맞물리고 상기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의 추가의 상향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고정 기구.
  6. 제2항에 있어서, 2개의 다리와 2개의 아암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고정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수단은 상기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에 연결된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고정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의 기부면의 중앙으로부터 상향 연장하는 기둥(post)을 더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가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 안으로 압박되는 때에 상기 기둥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고정 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는 상기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의 내측 둘레부(circumference)를 지나 연장하는 상부 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고정 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자형 자유 단부는 외향 렛지를 형성하며, 상기 다리 유지 수단은 상부에서 상기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의 측벽에 연결된 하향 연장형 가요성 아암을 구비하며, 상기 아암은 자유 단부, 전면 및 배면과 함께, 상기 전면상의 내향 렛지 및 상기 배면상의 외향 렛지를 가지며,
    상기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를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 안으로 하향 압박하면 상기 다리는 이 다리의 렛지가 아암 전면의 렛지와 연결될 때까지 아암을 따라 활주하여 상기 제1 고정 위치에 고정되며, 다리를 더 압박하면, 다리는 아암을 따라 하향 활주하고 아암을 외측으로 굴곡시키며, 아암 배면의 렛지가 T자형 자유 단부와 연결될 때까지 아암의 자유 단부 둘레를 따라 아암의 배면까지 활주하여 상기 제2 고정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고정 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의 기부면은 상기 아암 아래쪽에 위치한 상향 연장형 견부 요소를 가지며, 상기 견부 요소는 상기 다리가 아암을 따라 하향 활주할 때 다리와 아암을 굴곡시키고 아암의 자유 단부 둘레를 따라 다리를 압박하는 상향 경사형 측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고정 기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의 T자형 자유 단부는 후크형 횡단면을 가지며, 상기 다리 유지 수단은 상부에서 상기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의 측벽에 장착된 하향 연장형 가요성 아암을 구비하며, 상기 아암은 자유 단부, 전면 및 배면을 가지며,
    상기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를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 안으로 압박하면 상기 다리는 다리의 상기 자유 단부가 아암의 상기 자유 단부에 맞물려 다리를 제1 고정 위치에 고정시킬 때까지 아암의 상기 전면을 따라 하향 활주하며,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를 추가로 하향 압박하면 다리는 아암의 자유 단부 둘레로 활주하고 아암을 상향 굴곡시키며 아암의 배면까지 활주하여 제2 고정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고정 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의 기부면은 상기 아암 아래쪽에 위치한 상향 연장형 견부 요소를 가지며, 상기 견부 요소는 상기 다리가 아암의 전면을 따라 하향 활주할 때 다리와 아암을 굴곡시키고 다리를 아암의 자유 단부 둘레를 따라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고정 기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의 T자형 자유 단부에는 1 이상의 외향 후크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다리 유지 수단은 상기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의 측벽에 연결된 하향 연장형 가요성 아암을 구비하며, 상기 아암에는 전면, 배면, 하부 단부 및 이 하부 단부에 절삭 가공된 홈이 있으며, 상기 홈은 상기 후크의 형태에 상응하며,
    상기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를 상기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 안으로 압박하면 다리는 후크가 홈과 맞물려 상기 제1 고정 위치가 성립할 때까지 아암의 전면을 따라 활주하며, 내측 텔레스코핑 부재를 추가로 하향 압박하면 다리는 홈을 지나 활주하고 아암의 하부 단부를 굴곡시키며 하부 단부 둘레를 따라 아암의 배면까지 활주하여 제2 고정 위치가 성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고정 기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텔레스코핑 부재의 기부면은 상기 아암 아래쪽에 위치한 상향 연장형 견부 요소를 가지며, 상기 견부 요소는 상기 다리가 상기 하부를 따라 하향 활주할 때 다리와 아암을 굴곡시키고 다리를 상기 하부 단부 둘레를 따라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고정 기구.
  16. 제14항에 있어서, 2개의 후크가 있으며, 상기 후크는 각각 상기 다리의 T자형 자유 단부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고정 기구.
KR10-1999-0035355A 1998-08-26 1999-08-25 사전 장전 가능한 코드 고정 기구 KR100536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140,917 1998-08-26
US9/140,917 1998-08-26
US09/140,917 US6018851A (en) 1998-08-26 1998-08-26 Pre-loadable cord 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522A KR20000017522A (ko) 2000-03-25
KR100536448B1 true KR100536448B1 (ko) 2005-12-16

Family

ID=22493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5355A KR100536448B1 (ko) 1998-08-26 1999-08-25 사전 장전 가능한 코드 고정 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18851A (ko)
JP (1) JP3160671B2 (ko)
KR (1) KR100536448B1 (ko)
DE (1) DE19940016B4 (ko)
GB (1) GB2340877B (ko)
IT (1) IT13132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08830C1 (nl) * 1997-06-26 1998-12-29 Innoessentials Int Bv Kleminrichting.
USD430484S (en) * 1999-04-13 2000-09-05 Nifco Inc. String fixing device
TW428439U (en) * 2000-03-15 2001-04-01 Taiwan Ind Fastener Corp Press buckle
US6658704B2 (en) * 2002-01-03 2003-12-09 Illinois Tool Works Inc. Locking device
CA2418792C (en) 2002-02-13 2010-01-12 Clyde Donald Hillier Rope or cable securing device
US7617574B2 (en) * 2004-12-16 2009-11-17 Illinois Tool Works Inc. Telescoping fastener
JP5687850B2 (ja) * 2010-06-02 2015-03-25 株式会社ニフコ コードロック
JP2012070819A (ja) * 2010-09-28 2012-04-12 Nifco Inc 紐留め具
EP2628451B1 (en) 2012-02-16 2018-01-31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Suture retention device
US8813524B2 (en) * 2012-11-28 2014-08-26 Renee S Thompson Adjustable stitch holder
US9566057B2 (en) * 2012-12-12 2017-02-14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Suture retention mechanism
US10070694B2 (en) * 2016-04-06 2018-09-11 Kevin E. Schreiner Shoelace securing device
USD954547S1 (en) * 2019-12-17 2022-06-14 Xiao Zhang Cord fastener
CN112253596B (zh) * 2020-09-14 2022-08-16 衡阳新能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基于机械的自锁式多分支高拉力连接结构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9449Y2 (ko) * 1985-12-28 1989-11-27
US5197166A (en) * 1992-05-06 1993-03-30 Illinois Tool Works Inc. Cord closure
US5361461A (en) * 1993-09-16 1994-11-08 National Molding Corp. Preloadable cord lock
JP3250168B2 (ja) * 1994-08-12 2002-01-28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紐固定具
JP3254095B2 (ja) * 1995-02-28 2002-02-04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紐固定具
JP3383894B2 (ja) * 1995-07-11 2003-03-10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紐締め具
US5621952A (en) * 1995-09-25 1997-04-22 Illinois Tool Works Inc. Cord closure
US5671505A (en) * 1996-05-15 1997-09-30 National Molding Corp. Preloadable cord lock requiring less force to preload and to actu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940016A1 (de) 2000-03-02
JP2000088064A (ja) 2000-03-28
ITMI991699A1 (it) 2001-01-30
GB2340877A (en) 2000-03-01
DE19940016B4 (de) 2012-07-19
GB9917431D0 (en) 1999-09-22
ITMI991699A0 (it) 1999-07-30
JP3160671B2 (ja) 2001-04-25
IT1313276B1 (it) 2002-07-17
KR20000017522A (ko) 2000-03-25
GB2340877B (en) 2001-05-02
US6018851A (en) 200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6448B1 (ko) 사전 장전 가능한 코드 고정 기구
KR100536447B1 (ko) 미리 장전 가능한 코드 고정 기구
KR960001085Y1 (ko) 끈 고정구
US6931695B2 (en) Buckle with push button release
KR101230729B1 (ko) 사이드 릴리스 버클
KR20060088029A (ko) 이중 잠금 버클
KR100286868B1 (ko) 버클
WO1999053792A1 (fr) Boucle et bande equipee de cette boucle
KR19990083626A (ko) 버클
KR101136632B1 (ko) 탄성밴드를 가진 버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물품
KR20040033251A (ko) 끈 고정구
KR101804611B1 (ko) 코드록
ITTO990835A1 (it) Fibbia.
JP3250168B2 (ja) 紐固定具
KR100196002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자동 잠금 슬라이더
JP3982955B2 (ja) 合成樹脂製バックル
CN115990849A (zh) 固定装置
US5758392A (en) Snap hook
EP1053693A2 (en) Fastening device with tape
JP3316839B2 (ja) ヘッドレストステー支持部構造
US4443917A (en) Plastic snap-hook
KR0166450B1 (ko) 끈고정구
KR200337520Y1 (ko) 넥타이 매듭부재
JP7127717B2 (ja) クリップ
KR880001629B1 (ko) 버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