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3713B1 - 절첩 시트의 제함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절첩 시트의 제함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3713B1
KR102373713B1 KR1020150023896A KR20150023896A KR102373713B1 KR 102373713 B1 KR102373713 B1 KR 102373713B1 KR 1020150023896 A KR1020150023896 A KR 1020150023896A KR 20150023896 A KR20150023896 A KR 20150023896A KR 102373713 B1 KR102373713 B1 KR 102373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folding
flaps
sheet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8590A (ko
Inventor
아키마사 노자와
도시키 츠츠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교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교와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교와
Publication of KR20150098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44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plungers moving through folding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31B50/20Cutting sheets or blanks
    • B31B50/22Notching; Trimming edges of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10/0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10/3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 B31B2110/35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rectangular, e.g. square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미리 통형상으로 마무리한 절첩 시트의 함체를 횡단면 팔각형의 함으로 해서, 사이즈 변경에 대응하고, 제조하는 방법, 장치는 존재하고 있지 않았던 점이며, 미리 통형상으로 마무리한 함이 각 측벽의 상하 플랩(외측 플랩)의 양 측가장자리에 선단을 안쪽을 향하게 한 대략 긴 구두형상의 절결을 형성하고, 그 절결의 안쪽 단을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라인에 모서리 절단으로 되는 모따기부를 구성하기 위한 접이 금을 마련하고 있고, 상기 각 상하 플랩(외측 플랩)의 상면, 하면(저면)에서 서로 대향하는 폭 합계 치수를 전후 벽면의 폭보다 크게 하고 있고, 그 함을 강제적으로 각 측벽 및 전후면이 각각 평행하게 되는 사각통으로 일으켜 넓히고, 저면의 전후 벽면의 내측 플랩을 접어 넣고, 저면의 외측 플랩을 적절한 각도까지 접어 넣고, 다음에, 각 측벽간의 치수를 확장하고, 아울러 외측 플랩의 맞댐을 그 바깥쪽으로부터 가압하고, 그 가압력을 상기 절결 및 접이 금의 존재에 의해서 방출하여 모따기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첩 시트의 제함 방법 및 그 장치{CASE MAKING METHOD OF FOLDED SHEETS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절첩 시트의 제함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주로 골판지제 함(상자)의 횡단면을 모서리 절단의 팔각형으로 하는 절첩 시트의 제함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미리 사각 통형상으로 마무리한 골판지 함을 찌부러뜨린 상태(절첩한 상태)로부터 일으켜 사각 통형상으로 해서 저면측의 전후면의 내측 플랩을 접어 넣고, 다음에 각 측면의 외측 플랩을 접어 넣어, 그 외측 플랩의 맞댐 부분을 테이프로 폐색해서 바닥을 갖는 상태의 함으로 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또, 단면 팔각형으로 하는 제함 방법은 특허문헌 2에 나타나 있으며, 그 특허문헌 2에 있어서의 경우는 편평한 소재를 절곡하고, 틀을 이용해서 함의 형상으로 정비한 후에, 접착제에 의한 접합을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나타난 기술은 통상의 정방체 혹은 입방체의 골판지 함의 제함에 관한 것으로서, 횡단면을 팔각형으로 하는 제함 기술은 특히 기재되어 있지 않다.
특허문헌 2에 있어서의 기술은 소재로 되는 시트재를 준비하기 위한 넓은 공간이 필요하게 되고, 기계 장치도 대형으로 되어 설치 스페이스가 제약되어 버린다. 또, 금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소재로 되는 시트재마다 적응하는 금형이 필요하게 되며, 매우 비용이 들게 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5-14619호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10-22202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종래, 미리 통형상으로 마무리한 절첩 시트의 함체를 횡단면 팔각형의 함으로 해서, 사이즈 변경에 대응하고, 제조하는 방법, 장치는 존재하고 있지 않았던 점이며, 특허문헌 2는 상기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케이스 포머 사용(도입)의 일반 공장 단위에서 고려하면, 현재 4각 함을 사용하고 있는 공장에 있어서, 금형 사용의 케이스 포머(블리스 박스)에서는 설비적, 금액적으로 도입이 곤란하다는 점이다. 그래서, 발명자는 8각형 함의 절첩 시트로부터의 제함 방법 및 그 장치를 개발하였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절첩 시트의 제함 방법은 미리 통형상으로 마무리한 함이 각 측벽의 상하 플랩(외측 플랩)의 양 측가장자리에 선단을 안쪽을 향하게 한 대략 긴 구두형상의 절결을 형성하고, 그 절결의 안쪽 단을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라인에 모서리 절단으로 되는 모따기부를 구성하기 위한 접이 금을 마련하고 있고, 상기 각 상하 플랩(외측 플랩)의 상면, 하면(저면)에서 서로 대향하는 폭 합계 치수를 전후 벽면의 폭보다 크게 하고 있고, 그 함을 강제적으로 각 측벽 및 전후면이 각각 평행하게 되는 사각통으로 일으켜 넓히고, 저면의 전후 벽면의 내측 플랩을 접어 넣고, 저면의 외측 플랩을 적절한 각도까지 접어 넣고, 다음에, 각 측벽간의 치수를 확장하고, 아울러 외측 플랩의 맞댐을 그 바깥쪽으로부터 가압하고, 그 가압력을 상기 절결 및 접이 금의 존재에 의해서 방출하여 모따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절첩 시트는 단면 팔각형의 함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절첩 시트의 제함 방법은 상기한 단면 팔각형으로 성형한 후, 그 형상을 유지하는 수단을 부가하고, 그 유지하는 수단을 부가한 채, 함을 이송하고, 저면의 외측 플랩의 맞댐부에 테이프 점착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한 절결의 대략 긴 구두형상을 형성하는 테이퍼 라인의 길이는 모서리 절단으로 되는 모따기부의 폭과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한 각 절결의 상하 방향의 사이는 모서리 절단으로 되는 모따기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절첩 시트의 제함 방법은 상기한 함은 A식의 골판지에 의해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한 강제적으로 각 측벽 및 전후면이 각각 평행하게 되는 사각통으로 일으켜 넓히는 방법은 대향해서 동기로 피봇 이동하는 한쌍의 협지 플레이트를 이용하고, 전후면의 어느 한쪽을 위치 결정 고정시킨 상태에서, 양 측벽을 직각으로 피봇 이동시킴으로써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제함 장치는 통형상으로 마무리된 함체를 유지하고, 단면 사각형의 통체에 강제적으로 일으키는 수단과, 저면의 내측 플랩을 접어 넣는 수단과, 저면의 외측 플랩을 적절한 각도까지 접어 넣는 수단과, 상기 사각형의 통형상으로 일으켜진 함체의 측면을 서로 바깥쪽으로 확개시키는 수단과, 아울러 상기 저면의 외측 플랩의 맞댐을 수평이 될 때까지 가압하는 수단과 함체를 측쪽으로부터 위치 유지하는 수단을 적어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사각형의 통형상으로 일으켜진 함체의 측면을 서로 바깥쪽으로 확개시키는 수단과, 아울러 저면의 외측 플랩을 맞대고 수평이 될 때까지 가압함으로써 함체를 단면 팔각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청구항 8에 기재된 함체를 유지하고, 단면 사각형의 통체에 강제적으로 일으키는 수단은 니들을 구비한 한쌍의 동기 피봇 이동하는 협지 플레이트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한 함체를 측쪽으로부터 위치 유지하는 수단은 진공 척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한 외측 플랩을 접어 넣는 수단 및 가압하는 수단은 에어를 이용한 피스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제함 장치는 상기한 함체를 단면 팔각형으로 개방한 후에, 그 형상을 유지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고, 그 유지하는 수단은 함체의 내면 혹은 외면, 혹은 양 측면으로부터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청구항 13에 기재된 수단에 있어서 에어 실린더를 이용한 피스톤의 선단에 함의 형상에 맞춘 형상의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절첩 시트의 제함 방법 및 장치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원에서는 종래의 횡단면 사각 통형상의 시트와는 전혀 다른 신규의 절첩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며, 일으켜서 강제적으로 사각통으로 하고, 그것을 측면에 가압해서 확개하고, 아울러 저면 외측 플랩의 맞댐을 가압해서, 모서리 절단의 모따기부를 형성함으로써 횡단면 팔각형의 함을 얻는 것이며, 원 함의 사이즈 변경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고, 금형도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장치는 콤팩트한 것으로 되어 설치 스페이스는 작아도 좋으며, 코스트를 종래에 비해 대폭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절첩 시트에 날개의 존재가 없어도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함을 횡단면 팔각형, 그것도 모서리 절단의 팔각형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그 함체의 강도는 크게 되어, 종래 이상의 적재에도 견딜 수 있고, 수납품이 세제, 샴푸, 간장과 같은 리필용의 것이라도 각별한 칸막이판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전체로서의 표면 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표기 부분도 증가하게 되고, 광고 등도 프린트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그대로 점두 진열도 가능한 것으로 된다.
도 1은 원 상자의 절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의 (a)는 일으켜서 사각 통형상으로 한 평면도, (b)는 그것을 양 측면간의 치수를 확개시킨 평면도이다.
도 3은 일으켜서 사각 통형상으로 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저면의 외측 플랩의 헐거운 단면을 맞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저면의 외측 플랩을 수평 상태로 한 정면도이다.
도 6은 완성 상태의 저면도이다.
도 7은 원 함을 유지하고, 일으키는 수단으로서의 플레이트의 피봇 이동해서 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저면의 내측 플랩을 접어 넣는 수단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원 상자를 위치 결정 유지하고, 저면의 외측 플랩을 접어 넣는 수단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저면의 외측 플랩을 수평 상태로 밀어 넣은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완성된 함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단면 팔각형으로 한 함체의 형상을 유지하는 수단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외관도이다.
도 18은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으로서 나타내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실현하였다.
<실시예 1>
다음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일예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면 중, '1'은 골판지제의 통형상으로 마무리된 원 함을 나타내고 있고, 도 1에서는 그것의 절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원 함(1)은 전벽면(2)과 대향하는 후벽면(3) 및 좌우의 측벽면(4,5)을 갖고 있으며, 전후벽면(2,3)의 상하 가장자리에는 각각 내측 플랩(6,6,7,7)이 미리 접이 금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고, 양 측벽면(4,5)의 상하 가장자리에는 각각 외측 플랩(8,8,9,9)이 역시 접이 금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각 외측 플랩(8,8,9,9)의 측가장자리에는 선단을 안쪽을 향하게 한 긴 구두 형상의 절결(10,10…)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10,10)의 안쪽단을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라인에는 모서리 절단의 모따기부(11,11)를 구성하기 위한 접이 금(10a, 10a…)이 미리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외측 플랩(8,8)의 헐거운 단을 맞대면서 가압되는 압압력의 방출 부분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각 절결(10,10…)의 상하 방향의 사이는 최종적으로 횡단면 팔각형으로 되기 위한 모서리 절단을 위한 모따기부(11,11…)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절결(10,10)의 긴 구두 형상의 테이퍼 라인(10b,10b…)은 이 모따기부(11,11)의 폭과 동일한 길이로 되어 있으며, 이 테이퍼 라인(10b,10b)이 모따기부(11,11…)의 상하 단가장자리와 합치됨으로써 함체의 폐색을 가능하게 한다. 또, 대향하는 외측 플랩(8,8 및 9,9)의 각 한쌍의 폭 치수의 길이의 합계는 전벽면(2) 및 후벽면(3)의 폭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원함(1)을 한쌍의 90도 피봇 이동하는 플레이트(12,12)에 세트한다. 이 플레이트(12,12)는 지지 바(13)에 간격 조정 가능한 것으로 해서 축 지지되는 것이며, 초기적으로는 개방되어 있는 플레이트(12,12)가 2개 중첩되는 상태에서 지지 바(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닫혀 대기하고 있고, 그 플레이트(12,12)의 아래쪽에 찌부러진 상태(절첩된 상태)의 원 함(1)을 슬로프를 갖는 공급 설비에 배치하고, 이 원함(1)을 아래쪽으로부터 밀어 올림 수단(인젝터)에 의해서 위쪽으로 밀어 올림으로써, 위쪽의 외측 플랩(9,9)의 코루게이트형상의 중심 코어의 홈내에 니들(14,14…)이 밀어 넣어지고, 이 니들(14,14…)의 밀어 넣음에 의해서 원 함(1)은 플레이트(12,12)에 위치 결정 협지 유지되게 되고, 다음에, 이 플레이트(12,12)의 피봇 이동에 의해서 절첩된 원 함(1)은 일으켜지고, 사각통 상태로 된다. 이 때에, 원함(1)에는 복수의 접이 금이 형성되어 있고, 임의의 접이 금을 따라(축으로 해서) 개구시킬 수 있다. 즉, 일부가 고정되기 때문에, 강제적으로 원 함(1)을 사각 통형상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후면(2,3)과 모따기부(11,11)를 연결하는 접이 선을 토대로 해서 플레이트(12,12)를 피봇 이동시킴으로써 원 함(1)을 강제적으로 사각 통형상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플레이트(12,12)의 간격이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원 함(1)의 사이즈가 변경되어도, 원활하게 그 변경에 대응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원 함(1)이 일으켜지고 개방된 상태에서, 이 원 함(1)의 아래쪽에서 저면의 전후 플랩(6,6)의 접이 장치(15,15)가 나온다. 이 접이 장치(15,15)는 각각 기체(16,16)의 상단면에 횡방향을 축지지받고 있고, 상하 방향으로 피봇 이동, 경동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접이 장치(15,15)가 피봇 이동하여, 도 8 중에서 가상선으로서 나타내는 경사 상태로 되었을 때, 원 함(1)을 유지하고 있는 플레이트(12,12)가 하강하고, 내측 플랩(6,6)이 이 접이 장치(15,15)와 맞닿아 내측에 접어 넣어진다. 그 후에, 접이 장치(15,15)는 수평 상태로 복원함으로써 내측 플랩(6,6)은 수평 상태로 된다.
이 내측 플랩(6,6)의 접어 넣음이 종료와 동시에, 좌우 측벽(4,5)에 대해, 동일 높이 위치에 있는 선단에 흡반을 구비한 진공 척(17,17)이 접근하고, 선단의 흡반을 좌우 측벽(4,5)의 외면에 흡착시키고, 원 함(1)의 위치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에, 좌우 측벽(4,5)의 당압력으로 유지되면서, 진공의 사용으로 바깥쪽으로 인장되는 힘도 부가된다.
이 진공 척(17,17)에 의한 유지 상태에서, 저면의 외측 플랩(8,8)을 접는 수단으로서의 에어 실린더(18,18)와 그 에어 실린더(18)내를 슬라이딩하는 압압 피스톤(19,19)이 나오고, 이 압압 피스톤(19,19)에 의해서 외측 플랩(8,8)은 대략 45도의 각도까지 절곡되고, 그 외측 플랩(8,8)의 헐거운 단가장자리가 맞대어져, 산형의 형상으로 된다.
이 상태로부터, 상기한 접이 장치(15,15)는 대기 위치로 되돌아가고, 진공 척(17,17)으로 원함(1)을 유지한 채, 플레이트(12,12)는 상승하고, 원함(1)을 플레이트(12,12)로부터 어긋난 상태로 한다.
이 원함(1)을 진공 척(17,17)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원함(1)의 아래쪽에 대기하고 있던 압압용의 에어 실린더(20)와 그 에어 실린더(20)내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압압 피스톤(21)이 상승하고, 외측 플랩(8,8)의 맞댐 부분을 균등압의 가압력을 갖고 압압한다. 이 때에, 아울러 진공 척(17,17)은 좌우 측벽(4,5)을 흡인하고, 그 좌우 측벽(4,5)간의 치수를 확장한다.
이 외측 플랩(8,8)의 맞댐 부분을 균등압으로 수평 상태로 될 때까지 가압 압압함으로써, 외측 플랩(8,8)에 가해진 힘은 그 외측 플랩(8,8)의 기단에 전달되고, 절결(10,10)이 이 힘을 방출하고, 접이 금(10a,10a)에서의 접기 작용이 이루어지며, 좌우 측벽(4,5)을 각각 바깥쪽으로 확개한다. 이 힘은 외측 플랩(8,8)의 폭 치수의 합계 길이가 전후 측면(2,3)의 폭 치수보다 크기 때문에 충분한 부하로서 작용한다. 이 때, 진공 척(17,17)에 의한 유지는 좌우 측벽(4,5)을 바깥쪽으로 인장하는 힘이 부가되어 있으므로, 이 확개 작용을 보조한다.
상기한 좌우 측벽(4,5)의 확개 작용과, 그것에 수반하는 절결(10,10)의 가압력 배출 작용 및 접이 금(10a,10a)에 의해서, 모따기부(11,11…)는 좌우 측벽(4,5) 및 전후 측벽(2,3)의 경계에서 대략 135도의 내각을 2개씩 형성하게 되고, 이 모따기부(11,11…)는 모서리 절단의 상태로 되어 횡단면 팔각형의 함 A를 얻게 된다. 여기서, 절결(10,10)의 테이퍼 라인(10b,10b)은 모따기부(11,11)의 폭과 마찬가지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함체의 코너를 폐색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단면 팔각형으로 된 함 A를 유지한 진공 척(17,17)은 그대로 평행 이동하여 테이프 점착 기구의 반송로에서 반송하고, 진공 척(17,17)이 함 A로부터 멀어지고, 함 A는 테이프 점착 기구의 반송로를 반송하고, 수평 상태로 된 외측 플랩(8,8)의 맞댐부에 테이프가 점착 장착되어 저면이 폐색된다. 이렇게 해서, 상면이 개구되어, 상품을 수납 가능 상태로 하고, 저면이 확보된 함 A로 된다.
또, 상기한 횡단면 팔각형의 함 A의 형상을 정확하게 유지하고, 이송하기 위해서는 그 형상을 유지하는 수단을 보조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유지하는 수단으로서 도 12 내지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장치가 고려된다. 도 12에서는 원함(1)을 횡단면 팔각형으로 성형해서 완성품 A로 한 후에, 그 완성품 A의 내부에, 그 완성품 A의 이송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에어 실린더(22,22)를 넣는다. 이 에어 실린더(22,22)는 피스톤의 선단에 각각 완성품 A의 내벽면, 특히 전후면(2,3)과 그것에 연이어지는 모따기부(11,11)와 피트하는 맞닿음 플레이트(23,23)를 마련하고 있고, 피스톤을 압출함으로써, 이 맞닿음 플레이트(23,23)로 형상을 유지한다.
또한, 완성품 A의 양 측벽(4,5)을 내면으로부터 보형하는 가이드 플레이트(25,25)가 지지축을 통해 베이스(24)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 가이드 플레이트(25,25)와 상기한 맞닿음 플레이트(23,23)의 압압력에 의해서 모따기부(11,11…)가 정교하게 유지되고, 접이 금을 따른 정확한 모따기부(11,11…)로 되며, 전체의 횡단면 팔각형의 형상을 유지하고, 틀 무너짐이나 왜곡이 생겨 버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진공 척(17,17…)은 양 측면(4,5)을 외면으로부터 흡인해서 보형 유지와 완성품 A의 협지를 실행한다.
또한, 이하의 도 13 내지 도 18에 있어서도 특히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진공 척(17,17…)은 사용할 수 있다. 도 13에 있어서는 도 12로서 나타내는 예의 맞닿음 플레이트(23,23)는 단지 평탄한 플레이트(23a, 23a)로 설계 변경한 예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경우에는 에어 실린더(22,22)를 완성품 A의 이송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작용시키는 것으로써, 피스톤의 선단에 마련된 맞닿음 플레이트(23b,23b)는 양 측벽(4,5)의 내면으로부터 모따기부(11,11…)의 내면에 맞닿는 형상으로 되고, 측벽 내면으로부터 완성품 A를 밀어 확대하고, 보형한다. 이 도 13, 도 14에 나타내는 경우도, 압압하는 벽면 이외의 내면에 가이드 플레이트를 넣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한 도 13에 나타내는 예의 개량예로서 도 15로서 나타내는 구성도 고려된다. 이 경우, 완성품 A의 이송 방향에 부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도 에어 실린더를 작용시키고, 전후벽(2,3)의 내면에 부가하여, 양 측벽(4,5)의 내면에도 맞닿음 플레이트(23c,23c)를 압압하고, 완성품 A를 내측으로부터 밀어 확대한다.
다음에, 도 16 내지 도 18은 완성품 A를 외면측으로부터 유지하고, 보형하는 구성이다. 완성품 A의 각 코너 부분을 향해, 전체적으로 X자형상으로 배치된 에어실린더(22a,22a…)의 피스톤의 선단에, 코너와 피트하는 형태의 맞닿음 플레이트(23d,23d)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실시예에서는 이 맞닿음 플레이트(23d,23d…)는 모따기부(11,11)의 외표면으로부터 전후벽(2,3)의 외표면에 걸쳐 맞닿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은 양 측벽(4,5)의 외표면에 걸치는 것이라도, 모따기부(11,11…)을 중심으로 해서 단부가 전후벽(2,3) 및 양 측벽(4,5)의 각각의 외표면에 걸쳐지는 형태의 것이라도 좋다.
이 예에서는 맞닿음 플레이트(23d,23d…)에 의해 완성품 A를 외면으로부터 유지하고, 보형하는 것으로 되지만, 이 맞닿음 플레이트(23d,23d…)의 높이를 완성품 A의 하단보다 아래쪽까지 연장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이미 접어 넣어져 있는 저면의 내측 플랩(6,6)이나 외측 플랩(8,8)이 비어져 나와 버리는 일이 없고, 형상이 무너지는 일이 없으며, 이송 후의 저면 외측 플랩(8,8)의 맞댐으로의 테이프 점착도 정밀도 좋게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8은 에어 실린더(22a,22a)를 완성품 A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위치에서 양 측벽(4,5)의 바깥쪽에서, 그 양 측벽(4,5)의 중심 부분과 대응해서 마련한 예이다. 이 에어 실린더(22a,22a)의 피스톤의 선단에 마련된 맞닿음 플레이트(23e,23e)는 양 측벽(4,5)의 길이 방향과 양단이 모따기부(11,11…)의 외표면과 맞닿는 것으로 되어 있고, 양 측벽(4,5)의 바깥쪽으로부터 완성품 A를 유지, 보형한다. 또한, 이 경우의 맞닿음 플레이트(23e,23e)도 높이 방향의 아래쪽을 완성품 A의 하단에서 아래까지 연장 설치함으로써, 이미 접어 넣어진 저면의 내측 플랩(6,6), 외측 플랩(8,8)의 비어져 나옴을 방지하고, 양호하게 형상을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제조 방법 및 그 장치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통상의 양면 골판지의 사용을 전제로 하고 있지만, 이 골판지는 편면이라도 양면, 복수의 양면의 것이라도 좋고, 단의 종류에 의한 A 외에, B,C,E의 것이라도 좋다. 또, 골판지 대신에, 두꺼운 종이나 플라스틱제의 것에도 응용할 수 있고, 원함을 입방체의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 두꺼운 종이나 플라스틱을 대상으로 한 경우, 코루게이트형상의 중심 코어가 없으므로, 플레이트의 니들 대신에, 그립 기구나 흡착 기구 혹은 플랩의 바깥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받이 홈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원함(1)으로부터 단면 팔각형의 함 A까지를 유지하는 진공 척도 탄발성을 보유해서 양 측면의 확개를 저해하는 일이 없는 압압 혹은 억제 기구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저면의 외측 플랩을 맞댐 상태로부터 수평 상태로 압압하는 기구도 에어를 이용한 실린더, 피스톤 대신에, 솔레노이드를 응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저면의 외측 플랩을 먼저 접어 넣고, 밀어 확대한 후에, 내측 플랩을 그 외측 플랩의 외표면에 대해 접어 넣고, 접착제로 고정시켜 버리는 것도 가능하다.
1; 원함 2; 전벽면
3; 후벽면 4, 5; 측벽면
6, 7 ; 내측 플랩 8, 9; 외측 플랩
10; 절결 10a; 접이 금
10b; 테이퍼 라인 11; 모따기부
12; 플레이트 13; 지지 바
14; 니들 15; 접이 장치
16; 기체 17; 진공 척
18, 20, 22, 22a; 에어 실린더 19, 21; 압압 피스톤
23, 23a, 23b, 23c, 23d, 23e; 맞닿음 플레이트
24; 베이스 25; 가이드 플레이트
A; 횡단면 팔각형의 함

Claims (14)

  1. 미리 통형상으로 마무리한 함이 각 측벽의 상하 플랩(외측 플랩)의 양 측가장자리에 선단을 안쪽을 향하게 한 긴 구두형상의 절결을 형성하고, 그 절결의 안쪽 단을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라인에 모서리 절단으로 되는 모따기부를 구성하기 위한 접이 금을 마련하고 있는 함을 단면 팔각형의 함으로 성형하는 절첩시트의 제함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상하 플랩(외측 플랩)의 상면, 하면(저면)에서 서로 대향하는 기단으로부터 선단까지의 길이인 폭 합계 치수를 양측 테두리간의 길이인 전후 벽면의 폭보다 크게 하고 있고, 그 함을 강제적으로 각 측벽 및 전후면이 각각 평행하게 되는 사각통으로 일으켜 넓히고, 저면의 전후 벽면의 내측 플랩을 접어 넣고, 저면의 외측 플랩을 선단끼리가 대조해지는 각도까지 접어 넣고, 다음에, 각 측벽간의 치수를 확장하고, 아울러 외측 플랩의 맞댐을 그 바깥쪽으로부터 가압하고, 그 가압력을 상기 절결 및 접이 금의 존재에 의해서 방출하여 모따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시트의 제함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단면 팔각형으로 성형한 후, 그 형상을 유지하는 수단을 부가하고, 그 유지하는 수단을 부가한 채, 함을 이송하고, 저면의 외측 플랩의 맞댐부에 테이프 점착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시트의 제함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절결의 긴 구두형상을 형성하는 테이퍼 라인의 길이는 모서리 절단으로 되는 모따기부의 폭과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시트의 제함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각 절결의 상하 방향의 사이는 모서리 절단으로 되는 모따기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시트의 제함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함은 A식의 골판지에 의해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시트의 제함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강제적으로 각 측벽 및 전후면이 각각 평행하게 되는 사각통으로 일으켜 넓히는 방법은 대향해서 동기로 피봇 이동하는 한쌍의 협지 플레이트를 이용하고, 전후면의 어느 한쪽을 위치 결정 고정시킨 상태에서, 양 측벽을 직각으로 피봇 이동시킴으로써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시트의 제함 방법.
  8. 제 1항에 따른 제함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통형상으로 마무리된 함체를 유지하고, 단면 사각형의 통체로 강제적으로 일으키는 수단과, 저면의 내측 플랩을 접어 넣는 수단과, 저면의 외측 플랩을 적절한 각도까지 접어 넣는 수단과, 상기 사각형의 통형상으로 일으켜진 함체의 측면을 서로 바깥쪽으로 확개시키는 수단과, 아울러 상기 저면의 외측 플랩의 맞댐을 수평이 될 때까지 가압하는 수단과 함체를 측쪽으로부터 위치 유지하는 수단을 적어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시트의 제함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사각형의 통형상으로 일으켜진 함체의 측면을 서로 바깥쪽으로 확개시키는 수단과, 아울러 저면의 외측 플랩을 맞대고 수평이 될 때까지 가압함으로써 함체를 단면 팔각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시트의 제함 장치.
  10. 제 8 항에 기재된 함체를 유지하고, 단면 사각형의 통체로 강제적으로 일으키는 수단은 니들을 구비한 한쌍의 동기 피봇 이동하는 협지 플레이트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시트의 제함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한 함체를 측쪽으로부터 위치 유지하는 수단은 진공 척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시트의 제함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한 외측 플랩을 접어 넣는 수단 및 가압하는 수단은 에어를 이용한 피스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시트의 제함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한 함체를 단면 팔각형으로 개방한 후에, 그 형상을 유지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고, 그 유지하는 수단은 함체의 내면 혹은 외면, 혹은 양 측면으로부터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시트의 제함 장치.
  14. 제 13 항에 기재된 수단에 있어서 에어 실린더를 이용한 피스톤의 선단에 함의 형상에 맞춘 형상의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시트의 제함 장치.

KR1020150023896A 2014-02-20 2015-02-17 절첩 시트의 제함 방법 및 그 장치 KR1023737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30160A JP6430126B2 (ja) 2014-02-20 2014-02-20 折り畳みシートの製函方法及びその装置
JPJP-P-2014-030160 2014-0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590A KR20150098590A (ko) 2015-08-28
KR102373713B1 true KR102373713B1 (ko) 2022-03-11

Family

ID=53905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896A KR102373713B1 (ko) 2014-02-20 2015-02-17 절첩 시트의 제함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430126B2 (ko)
KR (1) KR102373713B1 (ko)
CN (1) CN1048591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74202B2 (ja) * 2015-07-10 2020-04-01 株式会社共和 製函機及び製函方法
CN105253374B (zh) * 2015-11-10 2017-06-06 江苏远翔物联科技有限公司 撑箱机
CN105460253B (zh) * 2015-12-26 2019-02-19 博众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封箱机构
CN105459444B (zh) * 2015-12-29 2017-09-08 杭州中亚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纸板成形装置
JP6836863B2 (ja) * 2016-08-22 2021-03-03 株式会社共和 製函機
JP2018089853A (ja) * 2016-12-02 2018-06-14 株式会社インターパック 八角形段ボールケースの自動製函方法及びその装置
CN106800110A (zh) * 2017-03-29 2017-06-06 泉州灿科自动化机械有限公司 六棱柱盒封盒机
JP7060964B2 (ja) * 2018-01-23 2022-04-2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ワーク保持装置
CN109514916A (zh) * 2018-12-19 2019-03-26 重庆仨睿包装印务有限公司 一种纸箱自动折叠装置及粘箱机
JP7172826B2 (ja) * 2019-04-17 2022-11-16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製函装置および製函方法
CN110901154A (zh) * 2019-11-27 2020-03-24 肖志坚 一种包装盒加工用折边装置
CN111976205B (zh) * 2020-07-20 2022-06-28 广东旺盈环保包装实业有限公司 一种纸板的高效弯折装置及其加工方法
CN112092457A (zh) * 2020-09-18 2020-12-18 嘉兴酷趣贸易有限公司 一种能够快速翻折纸袋底部的翻折机
CN114474840B (zh) * 2022-02-14 2024-03-19 广州麦诚道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化纸盒成型设备及其异型纸盒制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4302B1 (ko) 1990-07-24 1999-06-15 미셀 비브에 시트 재료로 만든 케이스와 그러한 케이스 제조용 블랭크 및 기계
JP2004299227A (ja) 2003-03-31 2004-10-28 Nitto Denko Hoso System Kk 製函機
KR100881129B1 (ko) * 2007-06-14 2009-02-02 주식회사 제팩 제함기
JP2014004813A (ja) * 2012-06-27 2014-01-16 Rengo Co Ltd ケース組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0411U (ko) * 1987-07-27 1989-02-01
JPH0825237B2 (ja) * 1991-10-07 1996-03-13 株式会社フジキカイ 製函機における折畳みシートの開函装置
JPH08216299A (ja) * 1995-02-15 1996-08-27 Okabe Lock:Kk 製函機
US5533666A (en) * 1995-06-12 1996-07-09 Willamette Industries Inc. Octagonal box structure
JP2000109049A (ja) * 1998-10-12 2000-04-18 Taisho Pharmaceut Co Ltd 両面段ボール及び段ボール箱
ITBO20020521A1 (it) * 2002-08-05 2004-02-06 Gd Spa Metodo e macchina per l'impacchettamento di un prodotto
AU2003284024A1 (en) * 2003-10-07 2005-05-26 James Moshier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multi-sided containers
JP2005014619A (ja) * 2004-10-18 2005-01-20 Sekisui Chem Co Ltd 製函機
US7380703B2 (en) * 2006-03-10 2008-06-03 Tree Island Industries Ltd. Carton for storing and carrying objects
US7857743B2 (en) * 2006-03-29 2010-12-28 Smurfit-Stone Container Enterprises, Inc. Blank,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tainer
CN200970901Y (zh) * 2006-05-23 2007-11-07 广州市万世德包装机械有限公司 纸箱成型机
CN100515751C (zh) * 2006-07-19 2009-07-22 广州市万世德包装机械有限公司 一种直线传动式纸箱成型机
CN201161461Y (zh) * 2008-01-18 2008-12-10 杭州永创机械有限公司 用于包装箱成型的联动机构
CN101450539B (zh) * 2008-12-30 2010-07-21 广州市万世德包装机械有限公司 高速纸箱成型机
CN201342812Y (zh) * 2009-01-06 2009-11-11 广州市万世德包装机械有限公司 一种纸箱成型机
JP5541589B2 (ja) * 2009-03-23 2014-07-09 レンゴー株式会社 ケースの組立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10240981A (ja) * 2009-04-06 2010-10-28 Masao Inoue カートン形成装置及びカートン形成方法
CN201702977U (zh) * 2010-05-14 2011-01-12 雅达机械(泉州)有限公司 一种蚊香包装盒的折盒装置
US8800854B2 (en) * 2011-06-24 2014-08-12 Rock-Tenn Shared Services, Llc Reinforcing support assemblies for a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CN202608129U (zh) * 2012-03-22 2012-12-19 杭州彼特环保包装有限公司 包装机械的袋底张开装置
JP2014005072A (ja) * 2012-06-27 2014-01-16 Rengo Co Ltd 商品の包装方法
CN203305572U (zh) * 2013-05-13 2013-11-27 杭州永创智能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纸箱成型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4302B1 (ko) 1990-07-24 1999-06-15 미셀 비브에 시트 재료로 만든 케이스와 그러한 케이스 제조용 블랭크 및 기계
JP2004299227A (ja) 2003-03-31 2004-10-28 Nitto Denko Hoso System Kk 製函機
KR100881129B1 (ko) * 2007-06-14 2009-02-02 주식회사 제팩 제함기
JP2014004813A (ja) * 2012-06-27 2014-01-16 Rengo Co Ltd ケース組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30126B2 (ja) 2018-11-28
JP2015155311A (ja) 2015-08-27
CN104859184A (zh) 2015-08-26
CN104859184B (zh) 2019-08-27
KR20150098590A (ko) 2015-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3713B1 (ko) 절첩 시트의 제함 방법 및 그 장치
US10093446B2 (en) Blanks and methods for forming containers having stacking platforms
US11433634B2 (en) Container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JP6456380B2 (ja) プレカットブランク及び該プレカットブランクから製造されたパッケージ
JP6836863B2 (ja) 製函機
US11667411B2 (en) Flap folding unit, flap folding apparatus, flap folding method and systems and methods using the same
US9789993B2 (en) Folded-cap containers and method for making same
EP2017183A1 (en) Packaging buffer material
US9546020B2 (en) Composite pallet
JP5377952B2 (ja) 包装箱
JP6786305B2 (ja) 製函機
US11938698B2 (en) Container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JP2018030250A (ja) 製函機
JP2018089853A (ja) 八角形段ボールケースの自動製函方法及びその装置
JP7366231B2 (ja) 緩衝材、組立装置及び製造方法
JP7172826B2 (ja) 製函装置および製函方法
KR100297961B1 (ko) 이중벽 종이상자 제조기계용 절곡장치의 측면날개 홀더
JP2019142579A (ja) 製函用型、製函装置および製函方法
JP2000313406A (ja) 包装箱の製函装置および包装箱の製函方法
KR102597474B1 (ko) 박스 봉함 장치
CN216660657U (zh) 一种新型纸箱
WO2022185951A1 (ja) 緩衝材
KR101423943B1 (ko) 골판지를 이용한 모서리 보호구 제조방법
CN210365113U (zh) 一种长方体产品的纸板定位缓冲结构
CN207972901U (zh) 一种一片式折叠包装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