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3582B1 - 충격파 전달특성을 제어하는 구강 삽입용 장치 - Google Patents

충격파 전달특성을 제어하는 구강 삽입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3582B1
KR102373582B1 KR1020200029028A KR20200029028A KR102373582B1 KR 102373582 B1 KR102373582 B1 KR 102373582B1 KR 1020200029028 A KR1020200029028 A KR 1020200029028A KR 20200029028 A KR20200029028 A KR 20200029028A KR 102373582 B1 KR102373582 B1 KR 102373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luid expansion
shock wave
expansion part
expans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3132A (ko
Inventor
나공찬
Original Assignee
나공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공찬 filed Critical 나공찬
Priority to PCT/KR2020/01126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145529A1/ko
Publication of KR20210093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132A/ko
Priority to KR1020210131795A priority patent/KR20210123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4Protection of tissue around surgical sites against effects of non-mechanical surgery, e.g. laser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90Oral protectors for use during treatment, e.g. lip or mouth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4Protection of tissue around surgical sites against effects of non-mechanical surgery, e.g. laser surgery
    • A61B2090/0409Specification of type of protection measures
    • A61B2090/0436Shielding
    • A61B2090/0445Shielding by absorp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4Protection of tissue around surgical sites against effects of non-mechanical surgery, e.g. laser surgery
    • A61B2090/0472Protection of tissue around surgical sites against effects of non-mechanical surgery, e.g. laser surgery against ultrasound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34Skin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환자 안면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유체팽창부, 상기 환자 안면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2유체팽창부, 상기 환자 안면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3유체팽창부, 상기 환자 안면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4유체팽창부, 상기 제1유체팽창부, 상기 제2유체팽장부, 상기 제3유체팽창부, 및 상기 제4유체팽장부를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부, 유체주머니(13)로서, 상기 제1유체팽창부, 상기 제2유체팽창부, 상기 제3유체팽창부, 및 상기 제4유체팽창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유체주머니, 상기 유체주머니에 유체를 주입하기 위해 형성된 유체주입구를 포함하는 구강 풍선을 공개한다.

Description

충격파 전달특성을 제어하는 구강 삽입용 장치{Device for oral insertion to control shock wave propagation}
본 발명은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 표피 내부층에 초음파 자극을 가하여 피부의 탄력을 끌어올리는 초음파 시술요법 등을 시술함에 있어서, 초음파의 진동 등에 의해 피부 및 골조직에 통증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방지 튜브에 관한 것이다.
피부에 탄력을 더하거나 예전에 가지고 있던 피부탄력의 정도로 탄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울세라 등 여러 초음파 시술요법 등이 시술되고 있다.
이러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피부의 탄력성을 복원 또는 증가시키는 시술요법은 탄력성을 복원 또는 증가시키고자 하는 부위의 피부 표피 내부층에 초음파 자극을 가하여 새로운 성질을 가지는 세포의 재생을 유도함으로써, 피부의 탄력을 끌어올리는 것이다.
이러한 시술에 사용되는 초음파는 소나(SONAR)에 이용되는 것과 동일한 초음파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각 시술요법 및 시술자의 시술형태에 따라 사용되는 초음파가 가지는 고유진동수 등으로 인해 일정한 상황에서 환자의 시술되는 부위에 진동이 가해질 수 있다. 이때, 환자가 피부 또는 골조직으로 전달되는 상기 진동 등에 의해 고통을 느낀다는 시술의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해당 초음파를 이용하여 피부의 탄력성을 복원 또는 증가시키는 시술(주로, 안면부의)을 함에 있어서 시술 중 환자의 통증 및 고통을 저감시키기 위한, 위생적이면서 환자 신체에 간단하게 설치가능한 장치 등이 요구된다.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01133이 있다. 이 종래기술에 따르면, 마이크로니들이 피부의 표피층에 삽입되어 진피층에 고의적인 상처를 유발하게 된다. 상기 마이크로노즐을 통해 고주파 출력 및 초음파 진동이 수행되면서, 진피층에는 높은 에너지가 전달되어 부분적(약 9%) 괴사를 통한 피부재생 유도효과가 발생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피부의 괴사를 유도한 후 재생과정에서 탄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시술과정 중에 초음파의 진동 또는 발열을 그대로 수용하는 시술대상자(환자)의 상태에 대한 개선대책에 대해서는 상기 종래기술에 게재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시하는 수단 또는 구체적인 내용을 토대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초음파를 이용하여 피부의 탄력성을 복원 또는 증가시키는 시술(주로, 안면부의)을 함에 있어서 시술 중 환자가 통증 및 고통을 느끼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술대상자(환자)의 구강 내 구비 가능한 충격파 전달방지 튜브를 구비함으로써, 환자의 피부 등으로 전달되는 초음파 진동이 잇몸 또는 광대뼈 등의 골조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구강풍선은, 제1유체팽창부(11); 제2유체팽창부(12); 제3유체팽창부(21); 제4유체팽창부(22); 유체주머니(13)로서, 상기 제1유체팽창부, 상기 제2유체팽창부, 상기 제3유체팽창부, 및 상기 제4유체팽창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유체주머니; 및 상기 유체주머니에 유체를 주입하기 위해 형성된 유체주입구(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강풍선은 상기 제1유체팽창부, 상기 제2유체팽장부, 상기 제3유체팽창부, 및 상기 제4유체팽장부를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부(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체주머니는 상기 제1유체팽창부, 상기 제2유체팽창부, 상기 제3유체팽창부, 상기 제4유체팽창부, 및 상기 브릿지부에 걸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체주입구는 상기 브릿지부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유체팽창부는 환자 안면과 구강 사이의 공간 중 우측 상단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유체팽창부는 환자 안면과 구강 사이의 공간 중 우측 하단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3유체팽창부는 환자 안면과 구강 사이의 공간 중 좌측 상단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4유체팽창부는 환자 안면과 구강 사이의 공간 중 좌측 하단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구강풍선은, 상기 제1유체팽창부와 상기 제2유체팽창부 사이에 형성된 제1유체주머니 분리갭; 및 상기 제3유체팽창부와 상기 제4유체팽창부 사이에 형성된 제2유체주머니 분리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유체주머니 분리갭은 상기 제1유체팽창부와 상기 제2유체팽창부를 연결하는 막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2유체주머니 분리갭은 상기 제3유체팽창부와 상기 제4유체팽창부를 연결하는 막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구강풍선은, 일단부가 상기 브릿지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가 상기 제1유체주머니의 바깥쪽 단부 및 상기 제2유체주머니의 바깥쪽 단부에 연결된 제1삽입가이드부(41); 및 일단부가 상기 브릿지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가 상기 제3유체주머니의 바깥쪽 단부 및 상기 제4유체주머니의 바깥쪽 단부에 연결된 제2삽입가이드부(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삽입가이드부 및 상기 제2삽입가이드부에는 유체 또는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진 재료가 충진되어 형성되는 제1보형물질(15)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보형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에 유체를 주입하기 위하 제2유체주입구(16)가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유체팽창부 및 상기 제2유체팽장부 중 적어도 하나, 그리고 상기 제3유체팽창부 및 상기 제4유체팽장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구강 풍선의 중심부를 향해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포켓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상술한 구강 풍선을 환자의 안면과 구강 사이의 공간에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유체팽창부를 상기 환자의 입을 통해 상기 공간 중 우측 상단에 배치하고, 상기 제2유체팽창부는 상기 입을 통해 상기 공간 중 우측 하단에 배치하고, 상기 제3유체팽창부는 상기 입을 통해 상기 공간 중 좌측 상단에 배치하고, 그리고 상기 제4유체팽창부는 상기 입을 통해 상기 공간 중 좌측 하단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유체주입구에 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유체주머니를 팽창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구강 풍선을 환자의 안면과 구강 사이의 공간에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삽입가이드부를 상기 환자의 입을 통해 상기 공간의 우측으로 삽입하고, 상기 제2삽입가이드부를 상기 입을 통해 상기 공간의 좌측으로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유체주입구에 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유체주머니를 팽창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구강 풍선을 환자의 안면과 구강 사이의 공간에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삽입가이드부를 상기 환자의 입을 통해 상기 공간의 우측으로 삽입하고, 상기 제2삽입가이드부를 상기 입을 통해 상기 공간의 좌측으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제2유체주입구에 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제1보형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팽창시키는 단계; 및 상기 유체주입구에 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유체주머니를 팽창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는, 유체가 주입가능하도록 튜브의 일측에 형성되는 주입구, 상기 주입구로부터 연장되어 하나의 포켓을 형성하는 튜브본체, 상기 튜브본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만곡부, 상기 튜브본체 상에 형성되되, 상기 만곡부를 기준으로 상기 주입구 측에 형성되는 제1팽창부 및 상기 튜브본체 상에 형성되되, 상기 만곡부를 기준으로 상기 주입구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2팽창부를 포함하는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구조로써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만곡부는 벨로우즈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팽창부 또는 상기 제2팽창부는 상기 만곡부 측을 향해 폴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팽창부는 상기 만곡부 측을 향해 폴딩되는 첫번째 폴딩부를 제1-1폴딩부로 하며, 상기 제1-1폴딩부를 포함하여 다시 상기 제1팽창부가 상기 만곡부 측을 향해 폴딩되는 두번째 폴딩부를 제1-2폴딩부로 하고, 제1-3폴딩부는 상기 제1-2폴딩부를 포함하여 다시 상기 제1팽창부가 상기 만곡부 측을 향해 폴딩되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딩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팽창부는 상기 만곡부 측을 향해 폴딩되는 첫번째 폴딩부를 제2-1폴딩부로 하며, 상기 제2-1폴딩부를 포함하여 다시 상기 제1팽창부가 상기 만곡부 측을 향해 폴딩되는 두번째 폴딩부를 제2-2폴딩부로 하고, 제2-3폴딩부는 상기 제2-2폴딩부를 포함하여 다시 상기 제1팽창부가 상기 만곡부 측을 향해 폴딩되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딩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주입구는 상기 주입구 내측에 형성된 원웨이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본체는 상기 튜브본체 표면에 마취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또한, 유체가 주입가능하도록 튜브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주입구(100), 상기 주입구(100)로부터 연장되어 하나의 포켓을 형성하는 제1튜브본체(240) 및 상기 주입구(100)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튜브본체(240) 전체를 감싸며 내부공간(251)에 상기 제1튜브본체가 위치하는 제2튜브본체(250)를 포함하되, 상기 제1튜브본체(240)에는 상기 제1튜브본체(240) 내부로 인입된 유체가 상기 제1튜브본체 외부로 배출가능한 가공부(241)가 형성되는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방지 튜브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공부(241)는 소정의 넓이를 갖는 홀 또는 일정 압력 이상의 유체를 상기 제1튜브본체(240)의 외부로 배출하는 압력밸브가 부착된 구성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공부(241)는 상기 제1튜브본체(240)상에 다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주입구(100)는 상기 주입구(100) 내측에 형성된 원웨이 밸브(11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튜브본체(200)는 상기 튜브본체 표면에 마취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상의 특징에 의하여, 본 발명은 시술대상자(환자)의 구강 내 구비 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를 구비함으로써, 환자의 피부 등으로 전달되는 초음파 진동이 치아, 잇몸 또는 광대뼈 등의 골조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사시도 및 상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벨로우즈로 구성된 만곡부를 포함하는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딩부를 가지는 제1팽창부 및 제2팽창부를 포함하는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2개 이상의 폴딩부가 제1 팽창부 및 제2팽창부에 각각 형성되는 형태를 표현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원웨이 밸브가 구비된 주입구를 포함하는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주입구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제1튜브본체 및 제2튜브본체를 포함하는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다수개의 가공부를 포함하는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충격파 제어 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충격파 제어 장치를 구강 내에 삽입할 때, 환자의 얼굴과 충격파 제어 장치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도 8에 제시한 충격파 제어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 도입 목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충격파 제어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파 제어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완성을 위해 착안한 다양한 아이디어에 따른 결과물들은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충격파 제어 장치의 형상을 도안화한 이미지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발사체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튜브는, 유체가 주입 가능하도록 튜브의 일측에 형성되는 주입구, 상기 주입구로부터 연장되어 하나의 포켓을 형성하는 튜브본체, 상기 튜브본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만곡부, 상기 튜브본체 상에 형성되되, 상기 만곡부를 기준으로 상기 주입구측에 형성되는 제1팽창부 및 상기 튜브본체 상에 형성되되, 상기 만곡부를 기준으로 상기 주입구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2팽창부를 포함하는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구조로써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의 (a)는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사시도이며, 도 1의 (b)는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형상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체가 주입 가능하도록 튜브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주입구(100), 상기 주입구(100)로부터 연장되어 하나의 포켓을 형성하는 튜브본체(200), 상기 튜브본체(2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만곡부(230), 상기 튜브본체(200) 상에 형성되되, 상기 만곡부(230)를 기준으로 상기 주입구(100) 측에 형성되는 제1팽창부(210) 및 상기 튜브본체(200) 상에 형성되되, 상기 만곡부(230)를 기준으로 상기 주입구(100)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2팽창부(220)를 포함하는 구강 내 구비 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구성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주입구(100)를 제외한 튜브본체(200)가 시술대상자 즉, 환자의 구강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주입구를 통해 유체가 주입되어 튜브본체의 팽창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팽창된 튜브본체(200)의 구성을 시술대상 피부조직과 시술대상자의 치아, 잇몸 및 안면골조직 사이에 위치시켜, 각각을 이격시킴으로써 시술대 상자의 안면부에 가해지는 초음파 진동으로부터 치아, 잇몸 및 안면골조직으로의 진동 및 열전달과정을 저감하거나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튜브본체(200)를 포함한 본 발명 구성의 대부분이 시술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인입되어야 하므로, 상기 튜브본체는 얇은 두께를 가지는 비닐소재 또는 고무 소재 등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벨로우즈로 구성된 만곡부를 포함하는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만곡부(230)는 벨로우즈(즉, 주름관)로 구성되어 상기 주입구(100)를 통해 유체가 튜브본체(200) 내부로 인입될 경우, 만곡부(230) 구성이 단순 제1팽창부(210)와 제2팽창부(220)를 연결하는 구성에 그치지 않고, 부분적으로 팽창하며, 본 발명의 구강 내 구비 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 팽창력을 극대화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딩부를 가지는 제1팽창부 및 제2팽창부를 포함하는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2개 이상의 폴딩부가 제1 팽창부 및 제2팽창부에 각각 형성되는 형태를 표현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2개의 폴딩부가 제1 팽창부 및 제2팽창부에 각각 형성되는 형태를 표현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단면도이며, 도 4의 (b)는 3개의 폴딩부가 제1 팽창부 및 제2팽창부에 각각 형성되는 형태를 표현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튜브본체(200)가 포함하는 제1팽창부(210) 및 제2팽창부(220)의 구체적인 설치태양과 동작원리 등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팽창부(210) 및 제2팽창부(220)는 상기 만곡부(230) 측을 향해 폴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딩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1팽창부(210)는 상기 만곡부(230) 측을 향해 폴딩되는 첫 번째 폴딩부를 제1-1폴딩부(211)로 하며, 상기 제1-1폴딩부(211)를 포함하여 다시 상기 제1팽창부(210)가 상기 만곡부 (230)측을 향해 폴딩되는 두 번째 폴딩부를 제1-2폴딩부(212)로 하고, 상기 제1-2폴딩부(212)를 포함하여 다시 상기 제1팽창부(210)가 상기 만곡부(230) 측을 향해 폴딩되는 세 번째 폴딩부를 제1-3폴딩부(213)로 하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딩부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팽창부(220)는 상기 만곡부(230) 측을 향해 폴딩되는 첫 번째 폴딩부를 제2-1폴딩부(221)로 하며, 상기 제2-1폴딩부(221)를 포함하여 다시 상기 제1팽창부(210)가 상기 만곡부 (230)측을 향해 폴딩되는 두 번째 폴딩부를 제2-2폴딩부(222)로 하고, 상기 제2-2폴딩부(222)를 포함하여 다시 상기 제1팽창부(210)가 상기 만곡부(230) 측을 향해 폴딩되는 세 번째 폴딩부를 제2-3폴딩부(223)로 하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딩부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팽창부(210) 및 상기 제2팽창부(220)가 상기 만곡부(230) 측을 향해 폴딩되는 제1-1폴딩부(211) 및 제2-1폴딩부(221)로 이루어진 경우의 실시예는 도 3과 같다.
예컨대, 상기 제1팽창부(210)가 상기 만곡부(230) 측을 향해 폴딩되는 제1-1폴딩부(211), 및 제1-2폴딩부(212)를 포함하고, 상기 제2팽창부(220)가 상기 만곡부 (230) 측을 향해 폴딩되는 제2-1폴딩부(221), 및 제2-2폴딩부(222)를 포함하는 경우의 실시예는 도 4의 (a)와 같다.
예컨대, 상기 제1팽창부(210)가 상기 만곡부(230) 측을 향해 폴딩되는 제1-1폴딩부(211), 제1-2폴딩부(212), 및 제1-3폴딩부(2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팽창부(220)가 상기 만곡부 (230) 측을 향해 폴딩되는 제2-1폴딩부(221), 제2-2폴딩부(222), 및 제2-3폴딩부(223)를 포함하는 경우의 실시예는 도 4의 (b)와 같다.
따라서 주입구(100)를 통해 주입된 유체가 단계별로 팽창 가능한 상호 연결된 복수 개의 폴딩부 구성으로 순차적으로 흐를 수 있다. 이로 인해, 단순히 상기 제1팽창부(210) 및 제2팽창부(220)가 팽창하는 동작으로써 시술대상자의 구강 내 공간을 채우는 것이 아닌, 복수 개의 폴딩부 구성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1팽창부(210)와 제2팽창부(22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구비된 폴딩부의 순차적이며 입체적인 팽창이 가능하도록 설계한 특징이 존재한다.
또한, 제작 후 보관 시에도 복수개의 폴딩부외 만곡부의 구성 등을 통해 컴팩트하게 압축하여 보관이 가능하되, 시술대상자의 구강 내에서는 손쉽게 입체적으로 팽창되며, 초음파 등으로 인한 진동과 발열로 인한 통증 및 고통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원웨이 밸브가 구비된 주입구를 포함하는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주입구 단면도이다.
주입구(100)는 상기 주입구(100) 내측에 형성된 원웨이 밸브(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입구(100)로 삽입된 공기 또는 물과 같은 유체로 인해 튜브본체(200)가 팽창되고, 내부가 채워지면, 주입구(100)로 삽입되는 유체의 삽입을 중지한다.
이 과정에서 유체특성상 주입된 유체가 시술대상자의 구강 외측을 향해 튜브본체(200)로부터 배출되려는 성질을 가지므로, 이와 같은 유체의 의도하지 않은 배출을 방지하기 위해, 도 5에서와 같은 원웨이 밸브 구성을 통해 튜브본체(200)에 주입되는 유체는 일방향으로의 주입 후 별도의 처리과정 없이는 유체가 주입된 방향으로 배출되지 않는 동작특성이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제1튜브본체 및 제2튜브본체를 포함하는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다수개의 가공부를 포함하는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 구성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유체가 주입 가능하도록 튜브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주입구(100), 상기 주입구(100)로부터 연장되어 하나의 포켓을 형성하는 제1튜브본체(240) 및 상기 주입구(100)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튜브본체(240) 전체를 감싸며 내부공간(251)에 상기 제1튜브본체가 위치하는 제2튜브본체(250)를 포함하되, 상기 제1튜브본체(240)에는 상기 제1튜브본체(240) 내부로 인입된 유체가 상기 제1튜브본체 외부로 배출가능한 가공부(241)가 형성되는 구강 내 구비 가능한 충격파 전달방지 튜브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튜브본체(240)로 주입된 유체는 일정압력 이상이 될 경우, 자연스럽게 상기 제2튜브본체(250)로 이동하며, 상기 제1튜브본체와 상기 제2튜브 본체를 순차적으로 팽창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각각 상이한 시술대상자의 구강크기에 모두 적용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공부(241)는 소정의 넓이를 갖는 홀 또는 일정 압력 이상의 유체를 상기 제1튜브본체(240)의 외부로 배출하는 압력밸브가 부착된 구성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공부(241)는 상기 제1튜브본체(240)상에 다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과 유사하게 상기 주입구(100)는 상기 주입구(100) 내측에 형성된 원웨이 밸브(11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튜브본체(200)는 상기 튜브본체 표면에 마취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충격파 제어 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충격파 제어 장치를 구강 내에 삽입할 때, 환자의 얼굴과 충격파 제어 장치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충격파 제어 장치(1)가 환자의 이빨 바깥쪽 면과 입술 사이, 그리고 환자의 이빨 바깥쪽 면과 볼(cheek)의 내표면 사이에 삽입된 상태의 이해를 돕기 위한 도면이다.
충격파 제어 장치(1)는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1) 또는 구강 풍선(1)이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충격파 제어 장치(1)는 4개의 유체팽창부(11, 12, 21, 22), 유체주머니(13), 브릿지부(19), 및 유체주입구(14)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합성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유체주머니(13)는 유체팽창부들에 걸쳐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충격파 제어 장치(1)는 얇은 두 장의 합성수지(ex: 비닐)을 두 장 포개어 그 가장자리들을 서로 접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두 장의 합성수지 중 서로에 대하여 부착되지 않은 면들 사이의 공간이 상기 유체주머니(13)를 형성할 수 있다. 도 8에 제시된 점선은 유체주머니(13)의 외곽 경계부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이 이러한 예시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유체팽창부(11)는 환자의 뺨(cheek)/턱 피부조직의 내측 표면과 잇몸 사이의 공간 중 특히 우상측 부분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우상측 부분은 환자의 입장에서 기술한 것이고, 시술자의 입장에서는 좌상측 부분이다.
제2유체팽창부(12)는 환자의 뺨/턱 피부조직의 내측 표면과 잇몸 사이의 공간 중 특히 우하측 부분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제3유체팽창부(21)는 환자의 뺨/턱 피부조직의 내측 표면과 잇몸 사이의 공간 중 특히 좌상측 부분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제4유체팽창부(22)는 환자의 뺨/턱 피부조직의 내측 표면과 잇몸 사이의 공간 중 특히 좌하측 부분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유체주머니(13)는 각각의 유체팽창부(11, 12, 21, 22)에 걸쳐 연결된 형상으로 제공되어 있을 수 있다.
충격파 제어 장치(1)를 구강에 삽입하기 이전의 상태에서는 유체주머니(13)에는 유체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격파 제어 장치(1)를 구강에 삽입한 이후에, 유체주입구(14)를 통해 유체, 예컨대 공기 또는 액체를 유체주머니(13)에 주입할 수 있다. 예컨대 주사기(2)를 유체주입구(14)에 꽃아 유체를 주입할 수 있다. 유체가 유체주입구(14)에 주입되면 유체팽창부(11, 12, 21, 22)는 팽창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팽창된 유체팽창부(11, 12, 21, 22)는,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의료용 장치를 이용한 초음파 시술이 가해지는 얼굴 피부의 영역에 걸쳐 배치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초음파 시술 도중, 유체팽창부(11, 12, 21, 22)에 주입되어 있는 유체에 도달한 초음파는 상기 유체에 그 에너지를 전달하게 되므로, 충격파 제어 장치(1)의 안쪽에 존재하는 환자의 잇몸 및 골조직 등에 도달하는 초음파 에너지는 감소하게 된다.
이 경우, 예컨대 상기 유체는 상기 초음파 에너지에 의해 가열될 수도 있다. 유체는 예컨대 공기 또는 액체일 수 있다.
브릿지부(19)는 유체주입구(14)를 통해 주입된 유체가 최초로 도달하는 부분으로서, 브릿지부(19)에도 유체주머니(13)의 일 부분이 제공되어 있다. 브릿지부(19)는 제1유체팽창부(11), 제2유체팽창부(12), 제3유체팽창부(21), 및 제4유체팽창부(22)를 서로 연결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브릿지부(19)는 유의미한 부피를 가질 수도 있지만, 실질적으로 부피가 거의 없을 수도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브릿지부(19)는 제1유체팽창부(11), 제2유체팽창부(12), 제3유체팽창부(21), 및 제4유체팽창부(22)가 서로 연결되는 지점으로서, 제1유체팽창부(11), 제2유체팽창부(12), 제3유체팽창부(21), 및 제4유체팽창부(22)와 서로 구분하기 위해 제시한 개념적인 구성요소에 불과할 수도 있다.
그러나 후술하는 유체주입구(14)가 브릿지부(19)에 형성되는 경우, 브릿지부(19)는 상기 유체주입구(14)의 형성을 위한 최소한의 부피를 가질 수도 있다.
유체주입구(14)는 브릿지부(19)의 일 지점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유체주입구(14)는, 예컨대 주어진 길이를 갖는 가요성 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유체주입구(14)의 종단부에는 유체 삽입을 위한 기구, 예컨대 주사기(2)의 바늘이 장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유체의 주입이 완료된 이후, 유체주입구(14)를 간단히 묶거나 또는 꺾음으로서, 주입된 유체가 다시 바깥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체주입구(14)는 브릿지부(19)가 아닌 다른 부분, 예컨대 제1유체팽창부(11), 제2유체팽창부(12), 제3유체팽창부(21), 및 제4유체팽창부(2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충격파 제어 장치(1)를 구강에 삽입한 이후, 환자가 입술을 다물면 유체주입구(14)만이 입술 바깥으로 노출될 수도 있다.
도 9에서 확인 가능하듯이, 브릿지부(19)는 환자의 입술의 내측면과 앞 이빨의 바깥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시술을 입술이 아닌 뺨/턱 및 그 주위의 얼굴 피부에 시행하고 입술에는 시행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초음파가 도달하지 않는 입술의 내측에 존재하는 유체주머니(13) 부분이 과도하게 팽창되면 환자의 입술부분에 불필요한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브릿지부(19)에 존재하는 유체주머니(13)의 부피는 가능한 작게 설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도 8에 제시한 충격파 제어 장치(1)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 도입 목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8 및 도 10a를 살펴보면, 제1유체팽창부(11)와 제2유체팽창부(12) 사이에는 유체주머니 분리갭(31)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제3유체팽창부(21)와 제4유체팽창부(22) 사이에도 유체주머니 분리갭(31)이 제공되어 있다. 도 8의 예에서는 상기 유체주머니 분리갭(31)이 제1유체팽창부(11)와 제2유체팽창부(12) 사이의 공간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10a의 예에서 상기 유체주머니 분리갭(31)이 제1유체팽창부(11)와 제2유체팽창부(12) 사이에 형성된 얇은 막(membrane)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막 역시 합성수지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이제 이러한 유체주머니 분리갭(31)이 필요한 이유 및 그 도입 목적을 도 10c 및 도 10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c는 도 8과 같이 환자의 우측 뺨/턱의 구강 내측에 삽입되는 유체팽창부가 유체주머니 분리갭(31)에 의해 상하 2개로 분리된 형태 및 환자의 좌측 뺨/턱의 구강 내측에 삽입되는 유체팽창부가 유체주머니 분리갭(32)에 의해 상하 2개로 분리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d는 도 8과 달리 환자의 우측 뺨/턱의 구강 내측에 삽입되는 유체팽창부 및 환자의 좌측 뺨/턱의 구강 내측에 삽입되는 유체팽창부가 각각 상하 2개로 분리되지 않고 1개로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c의 (a)는 유체주머니(13)에 유체가 주입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10c의 (b)는 도 10c의 (a)에서 A-A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d의 (a)는 유체주머니(13)에 유체가 주입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10d의 (b)는 도 10d의 (a)에서 C-C를 자른 단면도이다.
상하 중심라인(71)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에, 도 10d에 나타낸 충격파 제어 장치(1)의 경우에는 유체가 주입된 상태에서 상하 중심라인(71)에서의 유체주머니의 두께(D2)가 과도하게 커지게 되는데, 이때 상하 중심라인(71) 부분이 환자의 시술부위를 과도하게 압박하게 되어 문제가 된다.
이에 비하여, 상하 중심라인(71)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에, 도 10c에 나타낸 충격파 제어 장치(1)의 경우에는 유체가 주입된 상태에서 상하 중심라인(71)에서의 유체주머니의 두께(D1)가 사실상 매우 얇기 때문에, 상하 중심라인(71) 부분이 환자의 시술부위를 과도하게 압박하는 문제가 해결된다. 또한, 유체주머니 분리갭(31)의 도입으로 제1유체팽창부(11), 제2유체팽창부(12), 제3유체팽창부(21), 및 제4유체팽창부(22) 각각의 최대 두께가 자연스럽게 줄어들어 구강 내에 충격파 제어 장치(1)가 삽입되어 유체주머니가 팽창되더라도 환자의 불편함이 줄어든다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도 8 및 도 10a에 제시한 유체주머니 분리갭(31)의 도입으로 인하여 소정의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이제 다시 도 10a를 살펴보면, 유체주머니 분리갭(31)에 의해 제1유체팽창부(11)와 제2유체팽창부(12)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하 폭은 W1으로 제시되어 있다. 상기 상하 폭(W1)에는 유체가 제공되지 않으므로 유체주머니 분리갭(31) 부분의 피부에 초음파 시술을 하는 경우 초음파 에너지가 환자의 잇몸 및 골조직 등에 그대로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하 폭(W1)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도 10a를 살펴보면, 제1유체팽창부(11)와 제2유체팽창부(12)에 형성된 유체주머니(31)의 가장자리를 따라 만곡선(X-Y)이 정의될 수 있다. 만곡선(X-Y)은 충격파 제어 장치(1)의 왼쪽 가장자리에서 중심부를 향해 오목한 형상으로 제공된다. 상기 만곡선(X-Y)은 도 10c 및 도 10d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구성적 특징이다.
도 10b에 제시한 바와 같이 만곡선(X-Y)의 곡률 및 형태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지만, 어떤 형태를 갖던지 상관없이,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상술한 유체주머니 분리갭(31)에 대응하는 구성이 제공되고, 그리고 유체주머니 분리갭(31)에 대응하는 구성에 의해 유체팽창부의 과도한 팽창 폭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도 8에 제시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브릿지부(19)를 중심으로 좌측에는 두 개의 서로 구분되는 제1유체팽창부(11) 및 제2유체팽창부(12)가 제공되어 있지만, 상기 좌측에 추가적인 다른 제3의 유체팽창부가 더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3의 유체팽창부와 제1유체팽창부(11) 또는 제2유체팽창부(12) 사이는 상술한 유체주머니 분리갭(31)에 대응하는 분리갭 구조가 더 제공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브릿지부(19)를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상하 방향으로 서로 구분되는 두 개 또는 세 개 이상의 유체팽창부들이 존재하는 구성은 모두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3유체팽창부(21) 및 제4유체팽창부(22)는 제1유체팽창부(11) 및 제2유체팽창부(12)에 각각 대칭되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제3유체팽창부(21)와 제4유체팽창부(22) 사이의 분리갭(31) 구조는 제1유체팽창부(11) 및 제2유체팽창부(12)를 기준으로 상술한 만곡선(X-Y)을 포함하는 분리갭(31) 구조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8에서 상기 브릿지부(19)의 좌우폭이 0(영)이 아닌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브릿지부(19)는 유체주입구(14)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 또는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실질적인 부피를 갖기 때문에 이를 표현하기 위해 도입된 용어이다.
상기 유체주입구(14)는 도 8에서는 기다란 관으로 표현하였으나, 실질적으로 상기 관의 길이가 0에 가까운 실시예도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된다. 관의 길이가 0인 경우 상기 유체주입구(14)는 단순히 개구부로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주입구(14)가 도 8에서는 충격파 제어 장치(1)의 중심부에 한 개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유체주머니(13)에 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느 위치에라도 형성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유체주입구(14)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변형 예들은 모두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서, 제1유체팽창부(11), 제2유체팽창부(12), 제3유체팽창부(21), 제4유체팽창부(22)가 한 개의 유체주머니(1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지는 않을 수도 있다. 즉, 예컨대, 제1유체팽창부(11) 및 제2유체팽창부(12)는 한 개의 제1유체주머니(13_1)에 의해 서로 빈공간이 연결되어 있고, 제3유체팽창부(21) 및 제4유체팽창부(22)는 한 개의 제2유체주머니(13_2)에 의해 서로 빈공간이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유체주머니(13_1)와 제2유체주머니(13_2)는 서로 격리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유체주입구(14)는 상기 제1유체주머니(13_1)와 제2유체주머니(13_2)에 각각 별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충격파 제어 장치(1)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에 나타낸 충격파 제어 장치(1)는 기본적으로 도 8에 나타낸 충격파 제어 장치(1)의 구조를 포함하며, 여기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부가된 것이다. 이하 도 11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8과 중복되는 내용의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충격파 제어 장치(1)는 유체를 주입하기 이전에는 기본적으로 매우 흐물흐물한 상태이므로 이를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한 후, 유체팽창부들(11, 12, 21, 22)이 필요한 위치에 자리잡도록 하기 위해서는 매우 큰 노력이 필요하다. 즉, 시술자가 흐물흐물한 상태의 유체팽창부들을 잡고 환자의 입 안을 헤집고 다녀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고 환자에게 매우 큰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도 11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의 (a)는 충격파 제어 장치(1)의 브릿지부(19)에만 유체주입구(14)가 제공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며, 도 11의 (b)는 충격파 제어 장치(1)의 제1삽입가이드부(41) 및 제2삽입가이드부(42)에도 각각 제2유체주입구(16)가 제공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 11의 (a)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충격파 제어 장치(1)는 제1삽입가이드부(41) 및 제2삽입가이드부(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삽입가이드부(41) 및 제2삽입가이드부(42)는 각각 상술한 유체주머니 분리갭(31)의 위치에 추가적으로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제1삽입가이드부(41)의 일단부는 브릿지부(19)에 연결되어 있고, 제1삽입가이드부(41)의 타단부는 제1유체팽창부(11) 및 제2유체팽창부(12)의 우측단부(환자의 입장에서 바라보았을 때에)들에 연결되어 있다.
제1삽입가이드부(41)와 제1유체팽창부(11) 사이에는 제2유체주머니 분리갭(32)이 형성되어 있고, 제1삽입가이드부(41)와 제2유체팽창부(12) 사이에는 제3유체주머니 분리갭(33)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유체주머니 분리갭(32)은 빈공간이거나 또는 제1유체팽창부(11) 및 제1삽입가이드부(41)에 연결된 얇은 막일 수 있다. 제3유체주머니 분리갭(33)은 빈공간이거나 또는 제2유체팽창부(12 및 제1삽입가이드부(41)에 연결된 얇은 막일 수 있다.
상기 제2유체주머니 분리갭(32) 및 상기 제3유체주머니 분리갭(33)은 상기 유체주머니 분리갭(31)이 상기 제1삽입가이드부(41)에 의해 분리된 것을 지칭하는 용어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유체주머니 분리갭(32) 및 상기 제3유체주머니 분리갭(33)을 통칭하여 상기 유체주머니 분리갭(31)이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제1삽입가이드부(41)에는 충격파 제어 장치(1)를 구강 내로 쉽게 삽입하기 위한 제1보형물(1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보형물(15)은 유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체는 제1삽입가이드부(41)를 그 내부로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팽팽하게 부풀어 오르게 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제1삽입가이드부(41)에 가해지는 힘에도 불구하고 제1삽입가이드부(41)가 그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체는 충격파 제어 장치(1)의 생산과정에서 미리 삽입된 것일 수도 있다. 또는 도 11의 (b)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시술과정에서 삽입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보형물(15)은 유체가 아니라, 그 형상유지가 가능하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과 결합된 합성수지일 수도 있다.
제1보형물(15)이 유체인 경우에 있어서, 제1보형물(15)이 차지하는 공간은 유체주머니(13)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분리되어 있다.
제2삽입가이드부(42) 역시 제1삽입가이드부(41)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의 (b)는 도 11의 (a)로부터 변형된 실시예이다.
상기 제1보형물(15)이 유체인 경우, 제1보형물(15)은 충격파 제어 장치(1)의 생산과정에서 삽입되지 않고, 사용과정에서 시술자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제1삽입가이드부(41) 및 제2삽입가이드부(42)에도 각각 제2유체주입구(16)가 제공될 수 있다.
제2유체주입구(16)는 제1보형물(15), 즉 유체가 주입되어야 하는 공간(즉, 제1삽입가이드부(41), 및 제2삽입가이드부(42))과 연결된다. 상기 공간은 상술한 유체주머니(13)와는 분리된 공간이다.
시술자가 충격파 제어 장치(1)를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하기 전에, 우선 제2유체주입구(16)를 통해 유체를 주입할 수 있다.
그 다음 시술자가 충격파 제어 장치(1)를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하기 위하여 제1삽입가이드부(41)를 환자의 우측 구강부에 밀어 넣고, 제2삽입가이드부(42)를 환자의 좌측 구강부에 밀어 넣을 수 있다. 이때, 흐물흐물한 상태의 유체팽창부들(11, 12)은 제1삽입가이드부(41)에 딸려 들어가고, 흐물흐물한 상태의 유체팽창부들(21, 22)은 제2삽입가이드부(42)에 딸려 들어가 수 있다.
그 다음, 시술자는 유체주입구(14)를 통해 유체주머니(13)에 유체를 주입함으로써 유체팽창부들(11, 12, 21, 22)을 팽창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파 제어 장치(1)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에 나타낸 충격파 제어 장치(1)는 기본적으로 도 8에 나타낸 충격파 제어 장치(1)의 구조를 포함하며, 여기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부가된 것이다. 이하 도 11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8과 중복되는 내용의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2의 (a)는 유체팽창부들에 포켓들이 형성되어 있는 충격파 제어 장치(1)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격파 제어 장치(1)는 유체팽창부들(11, 12, 21, 22)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유체팽창부(11, 12, 21, 22)에는 포켓(71, 72, 73, 74)들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포켓은 마치 바지 주머니와 같은 형상으로서, 충격파 제어 장치(1)의 중심부를 향해 포켓의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도 12의 (b)는 상기 포켓(71, 72, 73, 74)에 끼울 수 있는 주걱부(81, 82, 83, 84)들을 갖는 집게(8)를 나타낸 것이다.
집게(8)는 좌측 주걱부(91), 우측 주걱부(93) 및 핸들(92)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주걱부(91)는 제1좌측 주걱부(81) 및 제2좌측 주걱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우측 주걱부(93)는 제1우측 주걱부(83) 및 제2우측 주걱부(84)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주걱부(81, 82, 83, 84)는 각 포켓(71, 72, 73, 74)에 끼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제1좌측 주걱부(81)는 제1포켓(71)에 끼울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제2좌측 주걱부(82)는 제2포켓(72)에 끼울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제1우측 주걱부(83)는 제3포켓(73)에 끼울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제2우측 주걱부(84)는 제4포켓(74)에 끼울 수 있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집게(8)는 삽입기구(8)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도 12의 (c)는 도 12의 (b)에 도시한 집게(8)의 사시도이다.
핸들(92)의 좌우 길이(VD)(즉, 좌측 주걱부(91)의 시작지점이면서 동시에 핸들(92)의 끝지점인 제1지점과 우측 주걱부(93)의 시작지점이면서 동시에 핸들(92)의 끝지점인 제2지점 사이의 길이)는 시술자의 손으로 잡는 힘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하, 시술자가 충격파 제어 장치(1)를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하고 충격파 제어 장치(1)의 사용을 위한 준비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시술자가 충격파 제어 장치(1)를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하기 전에, 주걱부(81, 82, 83, 84)를 각 포켓(71, 72, 73, 74)에 끼울 수 있다.
그 다음, 시술자가 충격파 제어 장치(1)가 결합된 집게(8)의 상기 좌우 길이(VD)가 감소하도록 힘을 주어 충격파 제어 장치(1)를 환자의 구강에 삽입할 수 있다. 그 다음, 시술자가 충격파 제어 장치(1)가 결합된 집게(8)에 주었던 힘을 풀어 상기 좌우 길이(VD)가 스스로 증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충격파 제어 장치(1)가 환자의 구강에 펼쳐졌다고 판단되면, 시술자는 집게(8)의 상기 좌우 길이(VD)를 다시 감소시키도록 힘을 주어 집게(8)의 모양을 변형하면서 집게(8)를 구강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그 다음, 시술자는 유체주입구(14)를 통해 유체주머니(13)에 유체를 주입함으로써 유체팽창부들(11, 12, 21, 22)을 팽창시킬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완성을 위해 착안한 다양한 아이디어에 따른 결과물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충격파 제어 장치에 포켓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앞뒤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의 (a)는 포켓(70)이 형성되어 있는 충격파 제어 장치(1)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3의 (b)는 포켓포켓(70)이 형성되어 있는 충격파 제어 장치(1)의 배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3의 (c)는 포켓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충격파 제어 장치(1)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3의 (d)는 포켓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충격파 제어 장치(1)의 배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충격파 제어 장치에 포켓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각각에 있어서, 충격파 제어 장치가 부풀려지기 전의 모습 및 부풀려진 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의 (a)는 포켓(70)이 형성되어 있는 충격파 제어 장치(1)가 부풀려지기 전을 나타낸 것이며, 도 14의 (b)는 포켓(70)이 형성되어 있는 충격파 제어 장치(1)가 부풀려진 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4의 (c)는 포켓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충격파 제어 장치(1)가 부풀려지기 전을 나타낸 것이며, 도 14의 (d)는 포켓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충격파 제어 장치(1)가 부풀려진 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의 (a)는 집게(8')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5의 (b)는 집게(8')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5의 (c)는 집게(8')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에서는 집게(8)의 주걱부가 4개인 실시예로 설명하였지만, 이와 달리 도 15은 집게(8')의 주걱부가 2개인 경우도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충격파 제어 장치에 집게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 도 14, 및 도 16에서의 충격파 제어 장치(1)에는 좌측의 유체팽창부와 우측의 유체팽창부에 각각 복수 개의 유체주머니 분리갭(31)들이 제공되어 있다.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한 서로 다른 형태의 충격파 제어 장치들인 각 결과물들은 각각의 기능에 따른 장단점을 가질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충격파 제어 장치(1)의 형상을 도안화한 이미지들이다.
도 17과 같이 충격파 제어 장치의 유체팽창부의 형상 및 유체주입구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충격파 제어 장치
11, 12, 21, 22: 유체팽창부
13: 유체주머니
14: 유체주입구
15: 제1보형물질
16: 제2유체주입구
19: 브릿지부
41: 제1삽입가이드부
42: 제2삽입가이드부

Claims (13)

  1. 제1유체팽창부(11);
    제2유체팽창부(12);
    제3유체팽창부(21);
    제4유체팽창부(22);
    유체주머니(13)로서, 상기 제1유체팽창부, 상기 제2유체팽창부, 상기 제3유체팽창부, 및 상기 제4유체팽창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유체주머니;
    상기 유체주머니에 유체를 주입하기 위해 형성된 유체주입구(14);
    상기 제1유체팽창부와 상기 제2유체팽창부 사이에 형성된 제1유체주머니 분리갭; 및
    상기 제3유체팽창부와 상기 제4유체팽창부 사이에 형성된 제2유체주머니 분리갭;
    을 포함하는,
    구강 풍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체팽창부, 상기 제2유체팽창부, 상기 제3유체팽창부, 및 상기 제4유체팽창부를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부(19);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체주머니는 상기 제1유체팽창부, 상기 제2유체팽창부, 상기 제3유체팽창부, 상기 제4유체팽창부, 및 상기 브릿지부에 걸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강 풍선.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체팽창부(11) 및 상기 제2유체팽창부(12)는 서로 빈공간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3유체팽창부(21) 및 상기 제4유체팽창부(22)는 서로 빈공간이 연결되어 있는,
    구강 풍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체주머니 분리갭은 상기 제1유체팽창부와 상기 제2유체팽창부를 연결하는 막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2유체주머니 분리갭은 상기 제3유체팽창부와 상기 제4유체팽창부를 연결하는 막으로 되어 있는,
    구강 풍선.
  7. 제2항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브릿지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가 상기 제1유체팽창부의 바깥쪽 단부 및 상기 제2유체팽창부의 바깥쪽 단부에 연결된 제1삽입가이드부(41); 및
    일단부가 상기 브릿지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가 상기 제3유체팽창부의 바깥쪽 단부 및 상기 제4유체팽창부의 바깥쪽 단부에 연결된 제2삽입가이드부(42)
    를 더 포함하는,
    구강 풍선.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체팽창부 및 상기 제2유체팽창부 중 적어도 하나, 그리고 상기 제3유체팽창부 및 상기 제4유체팽창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구강 풍선의 중심부를 향해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포켓이 형성되어 있는, 구강 풍선.
  11. 제1항의 구강 풍선을 환자의 안면과 구강 사이의 공간에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유체팽창부를 상기 환자의 입을 통해 상기 공간 중 우측 상단에 배치하고, 상기 제2유체팽창부는 상기 입을 통해 상기 공간 중 우측 하단에 배치하고, 상기 제3유체팽창부는 상기 입을 통해 상기 공간 중 좌측 상단에 배치하고, 그리고 상기 제4유체팽창부는 상기 입을 통해 상기 공간 중 좌측 하단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유체주입구에 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유체주머니를 팽창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구강 풍선 설치 방법.
  12. 삭제
  13. 삭제
KR1020200029028A 2020-01-17 2020-03-09 충격파 전달특성을 제어하는 구강 삽입용 장치 KR102373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1265 WO2021145529A1 (ko) 2020-01-17 2020-08-24 충격파 전달특성을 제어하는 구강 삽입용 장치
KR1020210131795A KR20210123280A (ko) 2020-01-17 2021-10-05 충격파 전달특성을 제어하는 구강 삽입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775 2020-01-17
KR20200006775 2020-01-1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795A Division KR20210123280A (ko) 2020-01-17 2021-10-05 충격파 전달특성을 제어하는 구강 삽입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132A KR20210093132A (ko) 2021-07-27
KR102373582B1 true KR102373582B1 (ko) 2022-03-11

Family

ID=7712548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028A KR102373582B1 (ko) 2020-01-17 2020-03-09 충격파 전달특성을 제어하는 구강 삽입용 장치
KR1020200124180A KR20210093145A (ko) 2020-01-17 2020-09-24 충격파 전달특성을 제어하는 구강 삽입용 장치
KR1020210131795A KR20210123280A (ko) 2020-01-17 2021-10-05 충격파 전달특성을 제어하는 구강 삽입용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180A KR20210093145A (ko) 2020-01-17 2020-09-24 충격파 전달특성을 제어하는 구강 삽입용 장치
KR1020210131795A KR20210123280A (ko) 2020-01-17 2021-10-05 충격파 전달특성을 제어하는 구강 삽입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3735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5176A1 (ko) * 2021-04-22 2022-10-27 나공찬 에너지 전달특성을 제어하는 구강 삽입용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10542A (ja) * 2014-06-30 2016-01-21 ホシデン株式会社 歯茎加温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10542A (ja) * 2014-06-30 2016-01-21 ホシデン株式会社 歯茎加温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145A (ko) 2021-07-27
KR20210093132A (ko) 2021-07-27
KR20210123280A (ko) 202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3697A (en) Pressure applying fluid transfer method
RU2362511C2 (ru) Желудочный бандаж
US4773908A (en) Filling tube and seal construction for inflatable implant
US3824992A (en) Pressure garment
US20070093893A1 (en) Breast implant injector
JPH0569541B2 (ko)
KR20190085909A (ko) 밀봉된 원위 단부 보형물 삽입 백
WO2017106548A1 (en) Inverse bellow insertion device
JPS6194649A (ja) 骨髄内管プラグ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よつて製造された骨プラグ
JP2014530678A (ja) 便失禁を治療するための膣内デバイスおよび方法
JPS62501542A (ja) 外科用装置
KR20080082612A (ko) 골반저 지지를 위한 조절가능한 질 부목
US20170354488A1 (en) Dual End Bellow Prosthesis Insertion Device
US5713855A (en) Pressure applying fluid transfer medical method
KR20060049234A (ko) 조절가능한 밴드를 조립하는 방법
KR102373582B1 (ko) 충격파 전달특성을 제어하는 구강 삽입용 장치
US20050021080A1 (en) Inflatable apparatus for accessing a body cavity and methods of making
CN102046113A (zh) 囊式组织破坏装置
JPS6033959Y2 (ja) 鼻用栓塞
CA1284753C (en) Lozenge-shaped low profile injection reservoir
KR102096781B1 (ko)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
KR102667743B1 (ko) 에너지 전달특성을 제어하는 구강 삽입용 장치
EP4327770A1 (en) Device for oral insertion for controlling energy transfer characteristics
CN209864985U (zh) 一种具有3d定向扩张囊的微型导引器
CN117915854A (zh) 控制能量传递特性的口腔插入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