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7743B1 - 에너지 전달특성을 제어하는 구강 삽입용 장치 - Google Patents

에너지 전달특성을 제어하는 구강 삽입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7743B1
KR102667743B1 KR1020210142866A KR20210142866A KR102667743B1 KR 102667743 B1 KR102667743 B1 KR 102667743B1 KR 1020210142866 A KR1020210142866 A KR 1020210142866A KR 20210142866 A KR20210142866 A KR 20210142866A KR 102667743 B1 KR102667743 B1 KR 102667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room
oral
balloon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5742A (ko
Inventor
나공찬
Original Assignee
나공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공찬 filed Critical 나공찬
Priority to EP22791876.0A priority Critical patent/EP4327770A1/en
Priority to PCT/KR2022/003114 priority patent/WO2022225176A1/ko
Priority to JP2023565449A priority patent/JP2024517684A/ja
Priority to CN202280044962.XA priority patent/CN117915854A/zh
Publication of KR20220145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7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7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4Protection of tissue around surgical sites against effects of non-mechanical surgery, e.g. laser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90Oral protectors for use during treatment, e.g. lip or mouth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61N1/30Apparatu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or cataphoresis
    • A61N1/3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4Protection of tissue around surgical sites against effects of non-mechanical surgery, e.g. laser surgery
    • A61B2090/0409Specification of type of protection measures
    • A61B2090/0436Shie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4Protection of tissue around surgical sites against effects of non-mechanical surgery, e.g. laser surgery
    • A61B2090/0472Protection of tissue around surgical sites against effects of non-mechanical surgery, e.g. laser surgery against ultrasound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34Skin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제11유체팽창부, 제12유체팽창부, 유체주머니로서 상기 제11유체팽창부, 및 상기 제12유체팽창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유체주머니, 및 상기 유체주머니에 유체를 주입하기 위해 형성된 유체주입구를 포함하는, 구강 풍선을 공개한다.

Description

에너지 전달특성을 제어하는 구강 삽입용 장치{Device for oral insertion that controls energy transfer characteristics}
본 발명은 구강 삽입용 장치 즉, 구강 내 삽입 가능한 에너지 전달특성 제어튜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 표피 내부층에 초음파 또는 RF를 이용하여 자극을 가하는 초음파 또는 RF 시술요법 등을 시술함에 있어서, 초음파의 진동 또는 열 축적 등에 의해 원하지 않는 위치의 피부 및 골조직에 통증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 내 구비 가능한 에너지 전달특성 제어튜브에 관한 것이다.
피부에 탄력을 더하거나 예전에 가지고 있던 피부탄력의 정도로 탄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울쎄라 등 여러 초음파 시술요법 등이 시술되고 있다.
이러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피부의 탄력성을 복원 또는 증가시키는 시술요법은 탄력성을 복원 또는 증가시키고자 하는 부위의 피부 표피 내부층에 초음파 자극을 가하여 새로운 성질을 가지는 세포의 재생을 유도함으로써, 피부의 탄력을 끌어올리는 것이다.
이러한 시술에 사용되는 초음파는 소나(SONAR)에 이용되는 것과 동일한 초음파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각 시술요법 및 시술자의 시술형태에 따라 사용되는 초음파가 가지는 고유진동수 등으로 인해 일정한 상황에서 환자의 시술되는 부위에 진동이 가해질 수 있다. 이때, 환자가 피부 또는 골조직으로 전달되는 상기 진동 등에 의해 고통을 느낀다는 시술의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해당 초음파를 이용하여 피부의 탄력성을 복원 또는 증가시키는 시술(주로, 안면부의)을 함에 있어서 시술 중 환자의 통증 및 고통을 저감시키기 위한, 위생적이면서 환자 신체에 간단하게 설치가능한 장치 등이 요구된다.
초음파 외에도 RF (Radiofrequency) 파동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다른 시술과정에서도 열 에너지 전달로 인한 환자의 통증을 방지하는 장치, 즉, 원하는 위치에 열 에너지가 축적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가 요구된다. RF(Radiofrequency) 파동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다른 시술로서 써마지라고 불리는 방법이 있다.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01133이 있다. 이 종래기술에 따르면, 마이크로니들이 피부의 표피층에 삽입되어 진피층에 고의적인 상처를 유발하게 된다. 상기 마이크로노즐을 통해 고주파 출력 및 초음파 진동이 수행되면서, 진피층에는 높은 에너지가 전달되어 부분적(약 9%) 괴사를 통한 피부재생 유도효과가 발생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피부의 괴사를 유도한 후 재생과정에서 탄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시술과정 중에 초음파의 진동 또는 발열을 그대로 수용하는 시술대상자(환자)의 상태에 대한 개선대책에 대해서는 상기 종래기술에 게재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시하는 수단 또는 구체적인 내용을 토대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초음파 또는 RF를 이용하여 피부의 탄력성을 복원 또는 증가시키는 시술(주로, 안면부의)을 함에 있어서 시술 중 환자가 통증 및 고통을 느끼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술대상자(환자)의 구강 내 구비 가능한 에너지 전달특성 제어튜브를 구비함으로써, 환자의 피부 등으로 전달되는 초음파 진동이 잇몸 또는 광대뼈 등의 골조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리고 RF 파동으로 인하여 원하지 않는 분위에 열 에너지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구강풍선은 유체의 주입이 가능한 유체주머니; 및 상기 유체주머니에 유체를 주입하기 위해 형성된 유체주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강풍선은 제11유체팽창부; 제12유체팽장부; 및 상기 제11유체팽창부 및 상기 제12유체팽장부를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체주머니는 제11유체팽창부 및 제12유체팽창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체주머니는, 상기 제11유체팽창부, 상기 제12유체팽창부, 및 상기 브릿지부에 걸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체주입구는 상기 브릿지부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구강풍선은, 유체주머니 분리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체주머니에 유체가 채워졌을 때에 상기 유체주머니의 형태는 상기 유체주머니 분리갭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체주머니 분리갭은 합성수지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구강풍선은, 상기 유체주머니를 형성하는 유체팽창부에 연결되어 있는 삽입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가이드부에는, 상기 구강 풍선을 구강 내로 삽입하기 위한 보형물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형물은 상기 구강 풍선을 구강 내로 삽입할 때에 실질적으로 그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형물은 유체, 합성수지, 및 금속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1유체팽창부와 상기 제12유체팽창부에는 상기 구강 풍선의 중심부를 향해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포켓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상 풍선의 중심부는, 상기 구강 풍선의 무게중심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상술한 구강 풍선을 환자의 안면과 구강 사이의 공간에 설치하는 방법은 상기 유체주머니를 환자의 입 안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배치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유체주입구를 통해 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유체주머니를 팽창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상술한 구강 풍선을 환자의 안면과 구강 사이의 공간에 설치하는 방법은 상기 유체주입구를 통해 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유체주머니를 팽창시키는 단계; 및 상기 팽창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유체주머니를 환자의 입 안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구강 풍선(200)은, 유체의 주입이 가능한 제2방(220); 상기 제2방의 일부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제1방(210); 제3방으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상기 제2방으로 유체를 제공하는 유체이동통로(240); 및 유체가 채워져 있는 제3방(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방에는 유체가 채워져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제3방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제3방의 유체가 상기 유체이동통로를 통해 상기 제2방으로 공급되어 상기 제2방이 팽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방과 상기 제2방은 분리되어 있고, 상기 제1방과 상기 제3방도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방과 상기 제3방은 상기 유체이동통로와 상기 제2방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방을 구성하는 제1면의 제1지점(251)과 상기 제2방을 구성하는 제2면의 제2지점(252)은 서로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의 접합에 의해 상기 제2방의 팽창 시에 상기 제2방의 입체적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체이동통로의 일 단부는 상기 제2방의 가장자리 중 상기 제1방에 의해 둘러싸여 있지 않은 가장자리의 일 부분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유체이동통로의 타 단부는 상기 제3방의 가장자리의 일 지점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상술한 구강 풍선을 제조하는 방법은, 제1시트와 제2시트를 겹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방 및 상기 제3방에 유체를 넣을 유체주입부를 제외하고 상기 제1방, 상기 제2방, 상기 제3방, 및 상기 유체이동통로가 형성되도록 열접합하는 단계; 상기 제1방과 상기 제3방에 각각 형성된 상기 유체주입부를 통해 유체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방의 유체주입부와 상기 제3방의 유체주입부를 열접합하여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접합하는 단계는, 상기 제2방을 구성하는 상기 제1시트의 제1지점과 상기 제2방을 구성하는 상기 제2시트의 제2지점을 서로 열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시트 및 상기 제2시트는 합성수지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구강 풍선은, 제1유체팽창부(11), 제2유체팽창부(12), 제3유체팽창부(21), 제4유체팽창부(22), 유체주머니(13)로서, 상기 제1유체팽창부, 상기 제2유체팽창부, 상기 제3유체팽창부, 및 상기 제4유체팽창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유체주머니, 및 상기 유체주머니에 유체를 주입하기 위해 형성된 유체주입구(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강 풍선은 상기 제1유체팽창부, 상기 제2유체팽장부, 상기 제3유체팽창부, 및 상기 제4유체팽장부를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부(19)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체주머니는 상기 제1유체팽창부, 상기 제2유체팽창부, 상기 제3유체팽창부, 상기 제4유체팽창부, 및 상기 브릿지부에 걸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체주입구는 상기 브릿지부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유체팽창부는 환자 안면과 구강 사이의 공간 중 우측 상단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유체팽창부는 환자 안면과 구강 사이의 공간 중 우측 하단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3유체팽창부는 환자 안면과 구강 사이의 공간 중 좌측 상단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4유체팽창부는 환자 안면과 구강 사이의 공간 중 좌측 하단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구강 풍선은, 상기 제1유체팽창부와 상기 제2유체팽창부 사이에 형성된 제1유체주머니 분리갭, 및 상기 제3유체팽창부와 상기 제4유체팽창부 사이에 형성된 제2유체주머니 분리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유체주머니 분리갭은 상기 제1유체팽창부와 상기 제2유체팽창부를 연결하는 막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2유체주머니 분리갭은 상기 제3유체팽창부와 상기 제4유체팽창부를 연결하는 막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구강 풍선은, 일단부가 상기 브릿지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가 상기 제1유체팽창부의 바깥쪽 단부 및 상기 제2유체팽창부의 바깥쪽 단부에 연결된 제1삽입가이드부(41), 및 일단부가 상기 브릿지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가 상기 제3유체팽창부의 바깥쪽 단부 및 상기 제4유체팽창부의 바깥쪽 단부에 연결된 제2삽입가이드부(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삽입가이드부 및 상기 제2삽입가이드부에는 유체 또는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진 재료가 충진되어 형성되는 제1보형물질(15)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보형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에 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제2유체주입구(16)가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유체팽창부 및 상기 제2유체팽장부 중 적어도 하나, 그리고 상기 제3유체팽창부 및 상기 제4유체팽장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구강 풍선의 중심부를 향해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포켓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체주입구는 양 단부를 갖는 관 모양으로 되어 있고, 상기 양 단부 중 상기 유체주머니에 연결된 제1단부로부터 상기 유체주머니에 연결되지 않은 제2단부로 갈수록 그 단면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체주입구는 관 모양으로 되어 있고, 상기 유체주입구의 개방단부는 상기 유체주입구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절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체를 통과하는 초음파 에너지 또는 RF 파동 에너지가 상기 유체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초음파 에너지 또는 상기 RF 파동 에너지가 감소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상기 구강 풍선을 환자의 안면과 구강 사이의 공간에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강 풍선 설치 방법은, 상기 제1유체팽창부를 상기 환자의 입을 통해 상기 공간 중 우측 상단에 배치하고, 상기 제2유체팽창부는 상기 입을 통해 상기 공간 중 우측 하단에 배치하고, 상기 제3유체팽창부는 상기 입을 통해 상기 공간 중 좌측 상단에 배치하고, 그리고 상기 제4유체팽창부는 상기 입을 통해 상기 공간 중 좌측 하단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유체주입구에 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유체주머니를 팽창시키는 단계, 및 상기 유체주머니로부터 상기 유체가 바깥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상기 유체주입구의 일부분을 꺾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상기 구강 풍선을 환자의 안면과 구강 사이의 공간에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강 풍선 설치 방법은, 상기 제1삽입가이드부를 상기 환자의 입을 통해 상기 공간의 우측으로 삽입하고, 상기 제2삽입가이드부를 상기 입을 통해 상기 공간의 좌측으로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유체주입구에 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유체주머니를 팽창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상기 구강 풍선을 환자의 안면과 구강 사이의 공간에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강 풍선 설치 방법은, 상기 제1삽입가이드부를 상기 환자의 입을 통해 상기 공간의 우측으로 삽입하고, 상기 제2삽입가이드부를 상기 입을 통해 상기 공간의 좌측으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제2유체주입구에 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제1보형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팽창시키는 단계, 및 상기 유체주입구에 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유체주머니를 팽창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상기 구강 풍선을 환자의 안면과 구강 사이의 공간에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강 풍선 설치 방법은, 상기 유체주입구에 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유체주머니를 팽창시키는 단계, 상기 제1유체팽창부를 상기 환자의 입을 통해 상기 공간 중 우측 상단에 배치하고, 상기 제2유체팽창부는 상기 입을 통해 상기 공간 중 우측 하단에 배치하고, 상기 제3유체팽창부는 상기 입을 통해 상기 공간 중 좌측 상단에 배치하고, 그리고 상기 제4유체팽창부는 상기 입을 통해 상기 공간 중 좌측 하단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유체주머니로부터 상기 유체가 바깥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상기 유체주입구의 일부분을 꺾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구강 풍선은, 제11유체팽창부(111), 제12유체팽창부(112), 유체주머니로서 상기 제11유체팽창부 및 상기 제12유체팽창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유체주머니(113), 및 상기 유체주머니에 유체를 주입하기 위해 형성된 유체주입구(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강 풍선은 상기 제11유체팽창부, 및 상기 제12유체팽장부를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부(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체주머니는 상기 제11유체팽창부, 상기 제12유체팽창부, 및 상기 브릿지부에 걸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체주입구는 상기 브릿지부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1유체팽창부와 상기 제12유체팽창부에는 상기 구강 풍선의 중심부를 향해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포켓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상기 구강 풍선을 환자의 안면과 구강 사이의 공간에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강 풍선 설치 방법은, 상기 제11유체팽창부를 상기 환자의 입을 통해 상기 공간 중 우측에 배치하고, 상기 제12유체팽창부는 상기 입을 통해 상기 공간 중 좌측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유체주입구에 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유체주머니를 팽창시키는 단계, 및 상기 유체주머니로부터 상기 유체가 바깥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상기 유체주입구의 일부분을 꺾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상기 구강 풍선을 환자의 안면과 구강 사이의 공간에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강 풍선 설치 방법은, 상기 유체주입구에 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유체주머니를 팽창시키는 단계, 상기 제11유체팽창부를 상기 환자의 입을 통해 상기 공간 중 우측에 배치하고, 상기 제12유체팽창부는 상기 입을 통해 상기 공간 중 좌측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유체주머니로부터 상기 유체가 바깥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상기 유체주입구의 일부분을 꺾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상의 특징에 의하여, 본 발명은 시술대상자(환자)의 구강 내 구비 가능한 초음파 및 RF 파동의 에너지의 전달특성 제어튜브를 구비함으로써, 환자의 피부 등으로 전달되는 초음파 및 RF 파동의 에너지가 치아, 잇몸 또는 광대뼈 등의 골조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를 구강 내에 삽입할 때, 환자의 얼굴과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서로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및 유체주머니 분리갭의 도입 목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완성을 위해 착안한 다양한 아이디어에 따른 결과물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켓이 형성되어 있는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의 형상을 도안화한 이미지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도 12의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에서 H-H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주입구(14)의 개방단부의 최적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풍선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풍선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강 풍선을 구성하는 제1시트 및 제2시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방에 유체가 채워지지 않은 상태의 구강 풍선의 정면도이고, 도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방에 유체가 채워진 상태의 구강 풍선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방에 유체가 채워진 상태의 구강 풍선의 제1방과 제2방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발사체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를 구강 내에 삽입할 때, 환자의 얼굴과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가 환자의 이빨 바깥쪽 면과 입술 사이, 그리고 환자의 이빨 바깥쪽 면과 볼(cheek)의 내표면 사이에 삽입된 상태의 이해를 돕기 위한 도면이다.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는 충격파 전달특성 제어튜브(1) 또는 구강 풍선(1)이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는 4개의 유체팽창부(11, 12, 21, 22), 유체주머니(13), 브릿지부(19), 및 유체주입구(14)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합성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유체주머니(13)는 유체팽창부들에 걸쳐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는 얇은 두 장의 합성수지(ex: 비닐)을 두 장 포개어 그 가장자리들을 서로 접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두 장의 합성수지 중 서로에 대하여 부착되지 않은 면들 사이의 공간이 상기 유체주머니(13)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 제시된 점선은 유체주머니(13)의 외곽 경계부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이 이러한 예시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유체팽창부(11)는 환자의 뺨(cheek)/턱 피부조직의 내측 표면과 잇몸 사이의 공간 중 특히 우상측 부분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우상측 부분은 환자의 입장에서 기술한 것이고, 시술자의 입장에서는 좌상측 부분이다.
제2유체팽창부(12)는 환자의 뺨/턱 피부조직의 내측 표면과 잇몸 사이의 공간 중 특히 우하측 부분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제3유체팽창부(21)는 환자의 뺨/턱 피부조직의 내측 표면과 잇몸 사이의 공간 중 특히 좌상측 부분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제4유체팽창부(22)는 환자의 뺨/턱 피부조직의 내측 표면과 잇몸 사이의 공간 중 특히 좌하측 부분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유체주머니(13)는 각각의 유체팽창부(11, 12, 21, 22)에 걸쳐 연결된 형상으로 제공되어 있을 수 있다.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를 구강에 삽입하기 이전의 상태에서는 유체주머니(13)에는 유체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를 구강에 삽입한 이후에, 유체주입구(14)를 통해 유체, 예컨대 공기 또는 액체를 유체주머니(13)에 주입할 수 있다. 예컨대 주사기(2)를 유체주입구(14)에 꽃아 유체를 주입할 수 있다. 유체가 유체주입구(14)에 주입되면 유체팽창부(11, 12, 21, 22)는 팽창할 수 있다.
또는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의 유체주입구(14)에 유체를 주입하여 유체주머니(13)를 팽창시킨 후에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를 구강에 삽입할 수 있다. 이때, 도 2와 같이, 제1유체팽창부(11)를 상기 환자의 입을 통해 구강 사이의 공간 중 우측 상단에 배치하고, 제2유체팽창부(12)는 상기 입을 통해 상기 공간 중 우측 하단에 배치하고, 제3유체팽창부(21)는 상기 입을 통해 상기 공간 중 좌측 상단에 배치하고, 그리고 제4유체팽창부(22)는 상기 입을 통해 상기 공간 중 좌측 하단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유체주머니(13)로부터 상기 유체가 바깥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유체주입구(14)의 일부분을 꺾을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팽창된 유체팽창부(11, 12, 21, 22)는,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의료용 장치를 이용한 초음파 시술 또는 RF 파동 시술이 가해지는 얼굴 피부의 영역에 걸쳐 배치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초음파 시술 도중, 유체팽창부(11, 12, 21, 22)에 주입되어 있는 유체에 도달한 초음파는 상기 유체에 그 에너지를 전달하게 되므로,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의 안쪽에 존재하는 환자의 잇몸 및 골조직 등에 도달하는 초음파 에너지는 감소하게 된다.
이 경우, 예컨대 상기 유체는 상기 초음파 에너지에 의해 가열될 수도 있다. 유체는 예컨대 공기 또는 액체일 수 있다.
브릿지부(19)는 유체주입구(14)를 통해 주입된 유체가 최초로 도달하는 부분으로서, 브릿지부(19)에도 유체주머니(13)의 일부분이 제공되어 있다. 브릿지부(19)는 제1유체팽창부(11), 제2유체팽창부(12), 제3유체팽창부(21), 및 제4유체팽창부(22)를 서로 연결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브릿지부(19)는 유의미한 부피를 가질 수도 있지만, 실질적으로 부피가 거의 없을 수도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브릿지부(19)는 제1유체팽창부(11), 제2유체팽창부(12), 제3유체팽창부(21), 및 제4유체팽창부(22)가 서로 연결되는 지점으로서, 제1유체팽창부(11), 제2유체팽창부(12), 제3유체팽창부(21), 및 제4유체팽창부(22)와 서로 구분하기 위해 제시한 개념적인 구성요소에 불과할 수도 있다.
그러나 후술하는 유체주입구(14)가 브릿지부(19)에 형성되는 경우, 브릿지부(19)는 상기 유체주입구(14)의 형성을 위한 최소한의 부피를 가질 수도 있다.
유체주입구(14)는 브릿지부(19)의 일 지점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유체주입구(14)는, 예컨대 주어진 길이를 갖는 가요성 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유체주입구(14)의 종단부에는 유체 삽입을 위한 기구, 예컨대 주사기(2)의 바늘이 장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유체의 주입이 완료된 이후, 유체주입구(14)를 간단히 묶거나 또는 꺾음으로서, 주입된 유체가 다시 바깥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체주입구(14)는 브릿지부(19)가 아닌 다른 부분, 예컨대 제1유체팽창부(11), 제2유체팽창부(12), 제3유체팽창부(21), 및 제4유체팽창부(2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를 구강에 삽입한 이후, 환자가 입술을 다물면 유체주입구(14)만이 입술 바깥으로 노출될 수도 있다.
도 2에서 확인 가능하듯이, 브릿지부(19)는 환자의 입술의 내측면과 앞 이빨의 바깥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시술을 입술이 아닌 뺨/턱 및 그 주위의 얼굴 피부에 시행하고 입술에는 시행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초음파가 도달하지 않는 입술의 내측에 존재하는 유체주머니(13) 부분이 과도하게 팽창되면 환자의 입술부분에 불필요한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브릿지부(19)에 존재하는 유체주머니(13)의 부피는 가능한 작게 설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서로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및 유체주머니 분리갭(31)의 도입 목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1과 달리 환자의 우측 뺨/턱의 구강 내측에 삽입되는 유체팽창부 및 환자의 좌측 뺨/턱의 구강 내측에 삽입되는 유체팽창부가 각각 상하 2개로 분리되지 않고 1개로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의 (a)는 유체주머니(13)에 유체가 주입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3a의 (b)는 도 3a의 (a)에서 C-C를 자른 단면도이다.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는 제11유체팽창부(111), 제12유체팽창부(112), 유체주머니(113), 유체주입구(14), 및 브릿지부(19)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주머니(113)는 제11유체팽창부(111), 제12유체팽창부(112)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유체주입구(14)는 유체주머니(113)에 유체를 주입하기 위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브릿지부(19)는 제11유체팽창부(111), 및 제12유체팽창부(112)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유체주머니(113)는 제11유체팽창부(111), 제12유체팽창부(112), 및 브릿지부(19)에 걸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유체주입구(14)는 브릿지부(19)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도 3의 (a)의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를 환자의 안면과 구강 사이의 공간에 설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제11유체팽창부(111)를 상기 환자의 입을 통해 상기 공간 중 우측에 배치하고, 제12유체팽창부(112)는 상기 입을 통해 상기 공간 중 좌측에 배치할 수 있다. 이후, 유체주입구(14)에 유체를 주입하여 유체주머니(113)를 팽창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유체주머니(113)로부터 상기 유체가 바깥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유체주입구(14)의 일부분을 꺾을 수 있다.
또는 도 3의 (a)의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를 환자의 안면과 구강 사이의 공간에 설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유체주입구(14)에 유체를 주입하여 유체주머니(113)를 팽창시킬 수 있다. 이후, 제11유체팽창부(111)를 상기 환자의 입을 통해 상기 공간 중 우측에 배치하고, 제12유체팽창부(112)는 상기 입을 통해 상기 공간 중 좌측에 배치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유체주머니(113)로부터 상기 유체가 바깥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유체주입구(14)의 일부분을 꺾을 수 있다.
도 3b는 도 1과 같이 환자의 우측 뺨/턱의 구강 내측에 삽입되는 유체팽창부가 유체주머니 분리갭(31)에 의해 상하 2개로 분리된 형태 및 환자의 좌측 뺨/턱의 구강 내측에 삽입되는 유체팽창부가 유체주머니 분리갭(32)에 의해 상하 2개로 분리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b의 (a)는 유체주머니(13)에 유체가 주입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3b의 (b)는 도 3b의 (a)에서 A-A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a의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와 달리, 도 3b의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에는 빈 공간으로 형성된 유체주머니 분리갭(31)의 구성이 존재한다. 도 3a와 같이 유체주머니 분리갭이 없이 유체주머니(13)가 형성되어도 환자의 구강 내 통증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주지만, 도 3b와 같이, 유체주머니 분리갭의 구성이 추가된다면 그 효과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이제 이러한 유체주머니 분리갭(31)이 더 효과적인 이유 및 그 도입 목적을 도 3a 및 도 3b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하 중심라인(L1)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에, 도 3a에 나타낸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의 경우에는 유체가 주입된 상태에서 상하 중심라인(L1)에서의 유체주머니의 두께(D2)가 커지게 되는데, 이때 상하 중심라인(L1) 부분이 환자의 시술부위를 압박하게 되어, 압박을 불편해하는 환자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상하 중심라인(L1)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에, 도 3b에 나타낸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의 경우에는 유체가 주입된 상태에서 상하 중심라인(L1)에서의 유체주머니의 두께(D1)가 사실상 매우 얇기 때문에, 상하 중심라인(L1) 부분이 환자의 시술부위를 압박하는 문제가 해결된다. 또한, 유체주머니 분리갭(31)의 도입으로 제1유체팽창부(11), 제2유체팽창부(12), 제3유체팽창부(21), 및 제4유체팽창부(22) 각각의 최대 두께가 자연스럽게 줄어들어 구강 내에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가 삽입되어 유체주머니가 팽창되더라도 환자의 불편함이 줄어든다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3c를 살펴보면, 제1유체팽창부(11)와 제2유체팽창부(12) 사이에는 유체주머니 분리갭(31)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제3유체팽창부(21)와 제4유체팽창부(22) 사이에도 유체주머니 분리갭(31)이 제공되어 있다. 도 1의 예에서는 상기 유체주머니 분리갭(31)이 제1유체팽창부(11)와 제2유체팽창부(12) 사이의 공간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3c의 예에서 상기 유체주머니 분리갭(31)이 제1유체팽창부(11)와 제2유체팽창부(12) 사이에 형성된 얇은 막(membrane)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막 역시 합성수지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 및 도 3c에 제시한 유체주머니 분리갭(31)의 도입으로 인하여 소정의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다시 도 3c를 살펴보면, 유체주머니 분리갭(31)에 의해 제1유체팽창부(11)와 제2유체팽창부(12)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하 폭은 W1으로 제시되어 있다. 상기 상하 폭(W1)에는 유체가 제공되지 않으므로 유체주머니 분리갭(31) 부분의 피부에 초음파 시술을 하는 경우 초음파 에너지가 환자의 잇몸 및 골조직 등에 그대로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하 폭(W1)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도 3c를 살펴보면, 제1유체팽창부(11)와 제2유체팽창부(12)에 형성된 유체주머니(31)의 가장자리를 따라 만곡선(X-Y)이 정의될 수 있다. 만곡선(X-Y)은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의 왼쪽 가장자리에서 중심부를 향해 오목한 형상으로 제공된다. 상기 만곡선(X-Y)은 도 3a 및 도 3b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개선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구성적 특징이다.
도 3d에 제시한 바와 같이 만곡선(X-Y)의 곡률 및 형태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지만, 어떤 형태를 갖던지 상관없이,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상술한 유체주머니 분리갭(31)에 대응하는 구성이 제공되고, 그리고 유체주머니 분리갭(31)에 대응하는 구성에 의해 유체팽창부의 과도한 팽창 폭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도 1에 제시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브릿지부(19)를 중심으로 좌측에는 두 개의 서로 구분되는 제1유체팽창부(11) 및 제2유체팽창부(12)가 제공되어 있지만, 상기 좌측에 추가적인 다른 제3의 유체팽창부가 더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3의 유체팽창부와 제1유체팽창부(11) 또는 제2유체팽창부(12) 사이는 상술한 유체주머니 분리갭(31)에 대응하는 분리갭 구조가 더 제공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브릿지부(19)를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상하 방향으로 서로 구분되는 두 개 또는 세 개 이상의 유체팽창부들이 존재하는 구성은 모두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3유체팽창부(21) 및 제4유체팽창부(22)는 제1유체팽창부(11) 및 제2유체팽창부(12)에 각각 대칭되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제3유체팽창부(21)와 제4유체팽창부(22) 사이의 분리갭(31) 구조는 제1유체팽창부(11) 및 제2유체팽창부(12)를 기준으로 상술한 만곡선(X-Y)을 포함하는 분리갭(31) 구조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에서 상기 브릿지부(19)의 좌우폭이 0(영)이 아닌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브릿지부(19)는 유체주입구(14)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 또는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실질적인 부피를 갖기 때문에 이를 표현하기 위해 도입된 용어이다.
상기 유체주입구(14)는 도 1에서는 기다란 관으로 표현하였으나, 실질적으로 상기 관의 길이가 0에 가까운 실시예도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된다. 관의 길이가 0인 경우 상기 유체주입구(14)는 단순히 개구부로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주입구(14)가 도 1에서는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의 중심부에 한 개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유체주머니(13)에 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느 위치에라도 형성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유체주입구(14)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변형 예들은 모두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서, 제1유체팽창부(11), 제2유체팽창부(12), 제3유체팽창부(21), 제4유체팽창부(22)가 한 개의 유체주머니(1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지는 않을 수도 있다. 즉, 예컨대, 제1유체팽창부(11) 및 제2유체팽창부(12)는 한 개의 제1유체주머니(13_1)에 의해 서로 빈공간이 연결되어 있고, 제3유체팽창부(21) 및 제4유체팽창부(22)는 한 개의 제2유체주머니(13_2)에 의해 서로 빈공간이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유체주머니(13_1)와 제2유체주머니(13_2)는 서로 격리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유체주입구(14)는 상기 제1유체주머니(13_1)와 제2유체주머니(13_2)에 각각 별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나타낸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는 기본적으로 도 1에 나타낸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의 구조를 포함하며, 여기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부가된 것이다. 이하 도 4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과 중복되는 내용의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는 유체를 주입하기 이전에는 기본적으로 매우 흐물흐물한 상태이므로 이를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한 후, 유체팽창부들(11, 12, 21, 22)이 필요한 위치에 자리잡도록 하기 위해서는 매우 큰 노력이 필요하다. 즉, 시술자가 흐물흐물한 상태의 유체팽창부들을 잡고 환자의 입 안을 헤집고 다녀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고 환자에게 매우 큰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도 4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a)는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의 브릿지부(19)에만 유체주입구(14)가 제공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며, 도 4의 (b)는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의 제1삽입가이드부(41) 및 제2삽입가이드부(42)에도 각각 제2유체주입구(16)가 제공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 4의 (a)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는 제1삽입가이드부(41) 및 제2삽입가이드부(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삽입가이드부(41) 및 제2삽입가이드부(42)는 각각 상술한 유체주머니 분리갭(31)의 위치에 추가적으로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제1삽입가이드부(41)의 일단부는 브릿지부(19)에 연결되어 있고, 제1삽입가이드부(41)의 타단부는 제1유체팽창부(11) 및 제2유체팽창부(12)의 우측단부(환자의 입장에서 바라보았을 때에)들에 연결되어 있다.
제1삽입가이드부(41)와 제1유체팽창부(11) 사이에는 제2유체주머니 분리갭(32)이 형성되어 있고, 제1삽입가이드부(41)와 제2유체팽창부(12) 사이에는 제3유체주머니 분리갭(33)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유체주머니 분리갭(32)은 빈공간이거나 또는 제1유체팽창부(11) 및 제1삽입가이드부(41)에 연결된 얇은 막일 수 있다. 제3유체주머니 분리갭(33)은 빈공간이거나 또는 제2유체팽창부(12 및 제1삽입가이드부(41)에 연결된 얇은 막일 수 있다.
상기 제2유체주머니 분리갭(32) 및 상기 제3유체주머니 분리갭(33)은 상기 유체주머니 분리갭(31)이 상기 제1삽입가이드부(41)에 의해 분리된 것을 지칭하는 용어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유체주머니 분리갭(32) 및 상기 제3유체주머니 분리갭(33)을 통칭하여 상기 유체주머니 분리갭(31)이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제1삽입가이드부(41)에는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를 구강 내로 쉽게 삽입하기 위한 제1보형물(1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보형물(15)은 유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체는 제1삽입가이드부(41)를 그 내부로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팽팽하게 부풀어 오르게 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제1삽입가이드부(41)에 가해지는 힘에도 불구하고 제1삽입가이드부(41)가 그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체는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의 생산과정에서 미리 삽입된 것일 수도 있다. 또는 도 4의 (b)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시술과정에서 삽입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보형물(15)은 유체가 아니라, 그 형상유지가 가능하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과 결합된 합성수지일 수도 있다.
제1보형물(15)이 유체인 경우에 있어서, 제1보형물(15)이 차지하는 공간은 유체주머니(13)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분리되어 있다.
제2삽입가이드부(42) 역시 제1삽입가이드부(41)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의 (b)는 도 4의 (a)로부터 변형된 실시예이다.
상기 제1보형물(15)이 유체인 경우, 제1보형물(15)은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의 생산과정에서 삽입되지 않고, 사용과정에서 시술자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제1삽입가이드부(41) 및 제2삽입가이드부(42)에도 각각 제2유체주입구(16)가 제공될 수 있다.
제2유체주입구(16)는 제1보형물(15), 즉 유체가 주입되어야 하는 공간(즉, 제1삽입가이드부(41), 및 제2삽입가이드부(42))과 연결된다. 상기 공간은 상술한 유체주머니(13)와는 분리된 공간이다.
시술자가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를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하기 전에, 우선 제2유체주입구(16)를 통해 유체를 주입할 수 있다.
그 다음 시술자가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를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하기 위하여 제1삽입가이드부(41)를 환자의 우측 구강부에 밀어 넣고, 제2삽입가이드부(42)를 환자의 좌측 구강부에 밀어 넣을 수 있다. 이때, 흐물흐물한 상태의 유체팽창부들(11, 12)은 제1삽입가이드부(41)에 딸려 들어가고, 흐물흐물한 상태의 유체팽창부들(21, 22)은 제2삽입가이드부(42)에 딸려 들어가 수 있다.
그 다음, 시술자는 유체주입구(14)를 통해 유체주머니(13)에 유체를 주입함으로써 유체팽창부들(11, 12, 21, 22)을 팽창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나타낸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는 기본적으로 도 1에 나타낸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의 구조를 포함하며, 여기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부가된 것이다. 이하 도 4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과 중복되는 내용의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5의 (a)는 유체팽창부들에 포켓들이 형성되어 있는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는 유체팽창부들(11, 12, 21, 22)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유체팽창부(11, 12, 21, 22)에는 포켓(71, 72, 73, 74)들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포켓은 마치 바지 주머니와 같은 형상으로서,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의 중심부를 향해 포켓의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의 (b)는 상기 포켓(71, 72, 73, 74)에 끼울 수 있는 주걱부(81, 82, 83, 84)들을 갖는 집게(8)를 나타낸 것이다.
집게(8)는 좌측 주걱부(91), 우측 주걱부(93) 및 핸들(92)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주걱부(91)는 제1좌측 주걱부(81) 및 제2좌측 주걱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우측 주걱부(93)는 제1우측 주걱부(83) 및 제2우측 주걱부(84)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주걱부(81, 82, 83, 84)는 각 포켓(71, 72, 73, 74)에 끼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제1좌측 주걱부(81)는 제1포켓(71)에 끼울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제2좌측 주걱부(82)는 제2포켓(72)에 끼울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제1우측 주걱부(83)는 제3포켓(73)에 끼울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제2우측 주걱부(84)는 제4포켓(74)에 끼울 수 있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집게(8)는 삽입기구(8)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도 5의 (c)는 도 5의 (b)에 도시한 집게(8)의 사시도이다.
핸들(92)의 좌우 길이(VD)(즉, 좌측 주걱부(91)의 시작지점이면서 동시에 핸들(92)의 끝지점인 제1지점과 우측 주걱부(93)의 시작지점이면서 동시에 핸들(92)의 끝지점인 제2지점 사이의 길이)는 시술자의 손으로 잡는 힘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하, 시술자가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를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하고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의 사용을 위한 준비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시술자가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를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하기 전에, 주걱부(81, 82, 83, 84)를 각 포켓(71, 72, 73, 74)에 끼울 수 있다.
그 다음, 시술자가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가 결합된 집게(8)의 상기 좌우 길이(VD)가 감소하도록 힘을 주어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를 환자의 구강에 삽입할 수 있다. 그 다음, 시술자가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가 결합된 집게(8)에 주었던 힘을 풀어 상기 좌우 길이(VD)가 스스로 증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가 환자의 구강에 펼쳐졌다고 판단되면, 시술자는 집게(8)의 상기 좌우 길이(VD)를 다시 감소시키도록 힘을 주어 집게(8)의 모양을 변형하면서 집게(8)를 구강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그 다음, 시술자는 유체주입구(14)를 통해 유체주머니(13)에 유체를 주입함으로써 유체팽창부들(11, 12, 21, 22)을 팽창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완성을 위해 착안한 다양한 아이디어에 따른 결과물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에 포켓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앞뒤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a)는 포켓(70)이 형성되어 있는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의 (b)는 포켓포켓(70)이 형성되어 있는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의 배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의 (c)는 포켓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의 (d)는 포켓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의 배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에 포켓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각각에 있어서,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가 부풀려지기 전의 모습 및 부풀려진 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a)는 포켓(70)이 형성되어 있는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가 부풀려지기 전을 나타낸 것이며, 도 7의 (b)는 포켓(70)이 형성되어 있는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가 부풀려진 후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의 (c)는 포켓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가 부풀려지기 전을 나타낸 것이며, 도 7의 (d)는 포켓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가 부풀려진 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a)는 집게(8')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의 (b)는 집게(8')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의 (c)는 집게(8')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서는 집게(8)의 주걱부가 4개인 실시예로 설명하였지만, 이와 달리 도 8은 집게(8')의 주걱부가 2개인 경우도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에 집게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 도 7, 및 도 9에서의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에는 좌측의 유체팽창부와 우측의 유체팽창부에 각각 복수 개의 유체주머니 분리갭(31)들이 제공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한 서로 다른 형태의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들인 각 결과물들은 각각의 기능에 따른 장단점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켓(70)이 형성되어 있는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를 나타낸 것이다.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의 제11유체팽창부(111)와 제12유체팽창부(112)에는 상기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의 중심부를 향해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포켓(7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의 형상을 도안화한 이미지들이다.
도 11과 같이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의 유체팽창부의 형상 및 유체주입구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체주입구(14)를 통해 주입된 유체는 브릿지부(19)에 도달한다. 브릿지부(19)에도 유체주머니(13)의 일부분이 제공되어 있어 브릿지부(19)를 통과한 유체는 유체팽창부(11, 12, 21, 22)로 이동한다.
도 13은 도 12의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1)에서 H-H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주입구(14)를 나타낸 것이며, 도 13의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주입구(14)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의 (a)와 도 13의 (b)는 유체주입구(14)을 통해 유체가 주입된 이후, 유체가 다시 유체주입구(14) 밖으로 새어나오지 못하도록 꺾을 때, 꺾기 쉽도록 형성된 유체주입구(14)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2 및 도 13을 함께 참조하여 유체주입구(14)의 단면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유체주입구(14)는 양 단부를 갖는 관 모양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도 13의 (a)와 같이, 유체주입구(14)의 상기 양 단부 중 브릿지부(19)의 유체주머니(13)에 연결된 제1단부(141)로부터 유체주머니에 연결되지 않은 제2단부(142)로 갈수록 그 단면이 넓어질 수 있다. 이때, 브릿지부(19)의 유체주머니(13)에 연결된 제1단부(141)는 그 단면이 좁기 때문에, 유체가 유체주입구(14)를 통해 주입된 이후 제1단부(141) 방향의 유체주입구(14)가 잘 꺾일 수 있다.
또는 도 13의 (b)와 같이, 유체주입구(14)는 제1주입부(143) 및 제2주입부(144)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주입부(143)의 일단부는 브릿지부(19)의 유체주머니(13)에 연결되어 있고, 타 단부는 제2주입부(144)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2주입부(144)의 타 단부로 유체가 먼저 주입될 수 있다.
제1주입부(143)의 지름(R1)은 제2주입부(144)의 지름(R2)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주입부(143)와 제2주입부(144)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주입부(143)는 꺾어지기 쉬운 상태가 되므로, 유체가 유체주입구(14)를 통해 주입된 이후 제1주입부(143)의 일부분을 꺾음으로써 유체가 유체주입구(14)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주입구(14)의 개방단부의 최적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의 (a)는 유체주입구(14)의 개방단부(142)가 브릿지부(19)와 평행하도록 절단된 것이고, 도 14의 (b)는 유체주입구(14)의 개방단부(142)가 유체주입구(14)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절단된 것을 나타낸다.
도 14의 (a)보다는 도 14의 (b)와 같이, 유체주입구(14)의 개방단부(142)가 비스듬하게 절단되었을 때, 예컨대 주사기와 같은 유체주입도구를 상기 개방단부(142)에 삽입하기 쉽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때, 도 12 내지 도 14에서 유체주입구(14)의 길이는 설명의 편의상 짧게 도시하였지만, 유체 주입 후 유체주입구(14)를 꺾었을 때, 유체주입구(14) 자체의 무게로 인해 유체주입구(14)의 통로가 자동으로 막힐 수 있도록 유체주입구(14)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풍선의 정면도이다.
구강 풍선(200)은 제1방(210), 제2방(220), 제3방(230), 및 유체이동통로(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방'은 '룸', 또는 '공간'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방, 제2방, 및 제3방은 각각 제1룸, 제2룸, 및 제3룸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방, 제2방, 및 제3방은 각각 제1공간, 제2공간, 및 제3공간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1방(210), 및 제2방(220)은 사람의 입술( 및 볼)의 내벽과 이빨 사이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제1방(210), 및 제2방(220)은 하나의 세트로서 사람의 양 볼에 각 한 세트가 배치되도록 되어있을 수 있다. 예컨대, 제1방(211), 및 제2방(221)을 포함하는 한 세트는 사람의 좌측 볼의 내벽과 좌측 이빨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방(212), 및 제2방(222)을 포함하는 다른 한 세트는 사람의 우측 볼의 내벽과 우측 이빨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방(220)은 본 명세서에서 유체주머니로 지칭될 수도 있다. 그리고 예컨대, 좌측의 제2방(221)은 제11유체팽창부로 지칭될 수 있고, 우측의 제2방(222)은 제12유체팽창부로 지칭될 수 있다. 즉, 제2방(220)은 상기 제11유체팽창부, 및 상기 제12유체팽창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방(210)은 제2방(220)의 일부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1방(210)과 제2방(220)은 완전히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1방(210)에는 유체가 채워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유체는 본 명세서에서 보형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보형물은 구강 풍선(200)을 구강 내로 삽입할 때에 실질적으로 그 형상이 유지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형물은 유체, 합성수지, 및 금속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방(210)에 채워진 유체는 제1방(210)이 제2방(220)과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제2방(220)으로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제2방(220)에는 유체가 채워져 있지 않을 수 있다.
구강 풍선(200)은 제1방(210)에 유체가 미리 채워진 상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이는 구강 풍선(200)을 구강 내에 쉽게 삽입하는 데에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제1방(210)은 본 명세서에서 '삽입가이드부'로 지칭될 수 있다.
제2방(220)의 가장자리 중 상기 제1방(210)이 둘러싸지 않는 부분에는 제3방(230)으로부터 유체를 공급받기 위한 유체이동통로(24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유체이동통로(240)를 설명하기 이전에 먼저 제3방(2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방(210)과 제3방(230)은 완전히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3방(230)에는 제1방(210)과 마찬가지로 유체가 채워져 있을 수 있다. 즉, 구강 풍선(200)의 제조 시에 제3방(230)은 유체가 채워진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제2방(220)과 제3방(2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유체이동통로(24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방(210)과 제3방(230)은 유체이동통로(240), 및 제2방(220)을 통해서만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유체이동통로(240)는 좌측의 제2방(221) 측에 연결되는 제1유체이동통로(241), 우측의 제2방(222) 측에 연결되는 제2유체이동통로(242), 및 제3방(230) 측에 연결되는 제3유체이동통로(24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유체이동통로(241), 및 제2유체이동통로(242)는 통칭하여 '브릿지부'로 지칭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유체이동통로(241), 제2유체이동통로(242), 및 제3유체이동통로(243)는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이 'Y'자 모양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브릿지부는 좌측의 제2방(221)인 제11유체팽창부와 우측의 제2방(222)인 제12유체팽창부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유체이동통로(240)의 제1유체이동통로(241), 제2유체이동통로(242), 및 제3유체이동통로(243)는 실질적으로 제2방(220)과 제3방(230)을 연결하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1유체이동통로(241), 제2유체이동통로(242), 및 제3유체이동통로(243) 즉, 각 통로의 내부 너비(A)는 제2방(220), 및 제3방(230)의 입구 측 통로의 너비(B)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제3방(230)에 압력을 가하면 유체가 유체이동통로(240)를 통해 제2방(220)으로 이동하여 제2방(220)이 팽창하게 되는데, 이때 제2방(220)으로 이동한 유체가 다시 제3방(230)으로 쉽게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일 수 있다.
이때, 제3방(230)을 기준으로 제3방(230)의 입구 측 통로의 너비(B)가 유체이동통로(240) 전체의 너비일 수 있으며, 상기 입구 측 통로에서 상기 내부 통로로 갈수록 그 너비는 점점 작아질 수 있다(즉, B>A).
이때, 제3유체이동통로(243)는 실질적으로 제2방들(220)에 유체를 주입하기 위해 상기 브릿지부(241, 242)에 연결되는 공통 통로로서 본 명세서에서 '유체주입구'라고 지칭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체주입구는 상기 브릿지부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제2방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제2방(220)을 구성하는 제1면(예컨대, 정면)의 제1지점(251)과 제2면(예컨대, 배면)의 제2지점(252)은 서로 접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제1지점(251), 및 제2지점(252)의 접합에 의해 제2방(220)에 유체 주입시 제2방(220)의 입체적 형상이 결정(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상술한 도 3a 및 도 3b를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서로 접합된 영역(250)은 한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로 접합된 영역(250)은 본 명세서에서 '유체주머니 분리갭'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상기 영역(250)은 구강 풍선(200)을 형성하는 면들을 접합한 것이므로 구강 풍선(200)과 같은 재질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영역(250)은 합성수지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2영역(220)에는 구강 풍선의 중심부(즉, 유체이동통로)를 향해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포켓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포켓이 형성된 모습은 도 5의 (a)와 유사할 수 있다.
이하, 구강 풍선(200)의 유체주입부에 대해 설명한다.
구강 풍선(200)은 구강 풍선(200)에 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유체주입부(310, 3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방(211, 212)에 유체를 주입하기 위해 제1방(211, 212)의 일 가장자리의 일 지점에 유체주입부(311, 31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방(230)에 유체를 주입하기 위해 제3방(230)의 일 가장자리의 일 지점에 유체주입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유체주입부(311, 312, 330)는 제조시 유체가 주입된 이후에 열접합에 의해 닫힐 수 있다.
도 15에 제시한 것과 같이, 제1방(210)은 한 쌍이 존재할 수 있으면, 이 중 좌측에 있는 제1방을 좌측 제1방이라고 지칭하고, 우측에 있는 제1방을 우측 제1방이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또한, 제2방(220)은 두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면, 이 중 좌측에 있는 제2방을 좌측 제2방이라고 지칭하고, 우측에 있는 제2방을 우측 제2방이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유체이동통로(240)는 3개의 통로가 한 점에서 만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즉 제1통로의 일단부, 제2통로의 일단부, 및 제3통로의 일단부가 한 점에서 만나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통로의 타단부는 좌측 제2방에 연결되고, 상기 제2통로의 타단부는 우측 제2방에 연결되고, 상기 제3통로의 타단부는 제3방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방(210)은 제2방(220)의 바깥쪽 가장자리를 영문의 'C'자형 또는 한글의 'ㄷ'자 형으로 둘러싸고 있을 수 있다. 제2방(220)의 바깥쪽 가장자리 중 제1방(210)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은 부분은 유체이동통로(240)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좌측 제2방의 바깥쪽 가장자리 중 상기 좌측 제1방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은 부분은 상기 제1통로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측 제2방의 바깥쪽 가장자리 중 상기 우측 제1방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은 부분은 상기 제2통로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풍선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강 풍선을 구성하는 제1시트 및 제2시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15 내지 도 1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S10)에서, 제1시트(410)와 제2시트(420)를 겹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제1시트(410)와 제2시트(420)는 합성수지일 수 있다. 예컨대, 제2시트(420) 위에 제1시트(410)가 겹쳐져 배치될 수 있다.
단계(S20)에서, 제1방(210) 및 상기 제3방(230)에 유체를 넣을 유체주입부(310)를 제외하고 제1방(210), 제2방(220), 제3방(230), 및 유체이동통로(240)가 형성되도록 열접합할 수 있다. 이때, 열접합되는 부분은 도 17에서 제1시트(410)와 제2시트(420)의 굵은 실선과 색칠된 부분일 수 있다. 이때, 단계(S20)에서, 제2방(220)을 구성하는 제1시트(410)의 제1지점(251)과 제2방(220)을 구성하는 제2시트(420)의 제2지점(252)도 서로 열접합될 수 있다. 이때, 도 17과 같이 유체이동통로(240) 중 제1유체이동통로(241), 제2유체이동통로(242), 및 제3유체이동통로(243)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 부분(색칠된 부분)은 넓게 열접합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도 15의 유체이동통로(240) 중 제1유체이동통로(241), 제2유체이동통로(242), 및 제3유체이동통로(243)를 형성하는 두 줄의 점선라인 부분 내부만 열접합될 수도 있다.
단계(S30)에서, 제1방(210)과 제3방(230)에 각각 형성된 유체주입부(311, 312, 330)를 통해 유체를 주입할 수 있다. 이때, 도 17과 같이 유체주입부(311, 312, 330)는 얇은 실선으로 되어 있다. 즉, 유체주입부(310, 330)는 유체 주입 전까지는 열접합이 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단계(S40)에서, 제1방(210)의 유체주입부(310)와 제3방(230)의 유체주입부(330)를 열접합하여 차단할 수 있다. 이때, 구강 풍선의 열접합이 완료된 상태는 도 18a와 같을 수 있다.
도 1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방에 유체가 채워지지 않은 상태의 구강 풍선의 정면도이고, 도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방에 유체가 채워진 상태의 구강 풍선의 정면도이다.
이하, 도 15 내지 도 18b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a는 도 16에서 상술한 단계에 따라 제조된 직후의 구강 풍선의 모습일 수 있다. 따라서, 제1방(210)의 유체주입부(310)와 제3방(230)의 유체주입부(330)는 열접합을 통해 차단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도 18a의 제3방(230)에 압력을 가하면 제3방(230)의 유체가 유체이동통로(240)를 통해 제2방(220)으로 공급되어 제2방(220)이 팽창될 수 있다. 그 결과 팽창된 제2방(220)은 도 18b와 같은 모습일 수 있다. 이때, 제3방(230)의 유체의 일부가 이동했으므로 제3방(230)의 팽창도는 줄어들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방에 유체가 채워진 상태의 구강 풍선의 제1방과 제2방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제2방(220)은 팽창된 상태로, 제2방(220)에는 접합영역이 예컨대 4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합영역이 형성됨으로써 도 3a 및 도 3b에서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9에서와 달리 제2방(220)의 접합영역은 한 개, 또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강 풍선을 환자의 안면과 구강 사이의 공간에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제1방(210) 및 제2방(220)(즉, 유체주머니)의 세트를 환자의 입 안에 배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방 및 제2방의 한 세트를 환자의 입 안의 좌측에 배치하고 다른 한 세트를 입 안의 우측에 배치할 수 있다.
배치한 이후에, 제3방(230)에 압력을 가하여 유체이동통로(240)(즉, 유체주입구 및 브릿지부)를 통해 유체를 주입하여 제2방(220)을 팽창시킬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3방(230)에 압력을 가하여 유체이동통로(240)(즉, 유체주입구 및 브릿지부)를 통해 유체를 주입하여 제2방(220)을 팽창시킬 수 있다.
이후, 제1방(210) 및 제2방(220)의 세트를 환자의 입 안에 배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방 및 제2방의 한 세트를 환자의 입 안의 좌측에 배치하고 다른 한 세트를 입 안의 우측에 배치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에너지 전달 제어장치
11, 12, 21, 22, 111, 112: 유체팽창부
13, 113: 유체주머니
14: 유체주입구
15: 제1보형물질
16: 제2유체주입구
19: 브릿지부
41: 제1삽입가이드부
42: 제2삽입가이드부

Claims (20)

  1. 유체의 주입이 가능한 유체주머니;
    상기 유체주머니에 유체를 주입하기 위해 형성된 유체주입구; 및
    상기 유체주머니를 형성하는 유체팽창부에 연결되어 있는 삽입가이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가이드부에는, 구강 풍선을 구강 내로 삽입하기 위한 보형물이 형성되어 있는,
    구강 풍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형물은 상기 구강 풍선을 구강 내로 삽입할 때에 실질적으로 그 형상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풍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형물은 유체, 합성수지, 및 금속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구강 풍선.
  10. 유체의 주입이 가능한 유체주머니;
    상기 유체주머니에 유체를 주입하기 위해 형성된 유체주입구;
    제11유체팽창부;
    제12유체팽장부; 및
    상기 제11유체팽창부 및 상기 제12유체팽장부를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주머니는 제11유체팽창부 및 제12유체팽창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1유체팽창부와 상기 제12유체팽창부에는 구강 풍선의 중심부를 향해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포켓이 형성되어 있는,
    구강 풍선.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유체의 주입이 가능한 제2방(220);
    상기 제2방의 일부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제1방(210);
    유체가 채워져 있는 제3방(230); 및
    상기 제3방으로부터 상기 유체를 공급받아 상기 제2방으로 상기 유체를 제공하는 유체이동통로(240);
    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방에는 유체가 밀봉되어 있으며,
    상기 제3방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3방에 포함된 상기 유체가 상기 유체이동통로를 통해 상기 제2방으로 공급되어 상기 제2방이 팽창되는,
    구강 풍선.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과 상기 제2방은 서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제1방과 상기 제3방은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방과 상기 제3방 사이에 상기 유체이동통로와 상기 제2방이 배치되어 있는,
    구강 풍선.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을 구성하는 제1면의 제1지점(251)과 상기 제2방을 구성하는 제2면의 제2지점(252)은 서로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방의 팽창 시에 형성되는 상기 제2방의 입체적 형상은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의 접합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풍선.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이동통로의 일 단부는 상기 제2방의 가장자리 중 상기 제1방에 의해 둘러싸여 있지 않은 가장자리의 일 부분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유체이동통로의 타 단부는 상기 제3방의 가장자리의 일 지점에 연결되어 있는,
    구강 풍선.
  18. 제14항의 구강 풍선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1시트(410)와 제2시트(420)를 겹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방 및 상기 제3방에 유체를 넣을 유체주입부를 제외하고 상기 제1방, 상기 제2방, 상기 제3방, 및 상기 유체이동통로가 형성되도록 열접합하는 단계;
    상기 제1방과 상기 제3방에 각각 형성된 상기 유체주입부를 통해 유체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방의 유체주입부와 상기 제3방의 유체주입부를 열접합하여 차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구강 풍선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열접합하는 단계는, 상기 제2방을 구성하는 상기 제1시트의 제1지점과 상기 제2방을 구성하는 상기 제2시트의 제2지점을 서로 열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 풍선 제조방법.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 및 상기 제2시트는 합성수지로 되어 있는, 구강 풍선 제조방법.
KR1020210142866A 2021-04-22 2021-10-25 에너지 전달특성을 제어하는 구강 삽입용 장치 KR102667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2791876.0A EP4327770A1 (en) 2021-04-22 2022-03-04 Device for oral insertion for controlling energy transfer characteristics
PCT/KR2022/003114 WO2022225176A1 (ko) 2021-04-22 2022-03-04 에너지 전달특성을 제어하는 구강 삽입용 장치
JP2023565449A JP2024517684A (ja) 2021-04-22 2022-03-04 エネルギー伝達特性を制御する口腔挿入用装置
CN202280044962.XA CN117915854A (zh) 2021-04-22 2022-03-04 控制能量传递特性的口腔插入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52574 2021-04-22
KR1020210052574 2021-04-22
KR1020210066256 2021-05-24
KR20210066256 2021-05-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742A KR20220145742A (ko) 2022-10-31
KR102667743B1 true KR102667743B1 (ko) 2024-05-21

Family

ID=83802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866A KR102667743B1 (ko) 2021-04-22 2021-10-25 에너지 전달특성을 제어하는 구강 삽입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7743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781B1 (ko) * 2018-07-19 2020-04-03 나공찬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742A (ko) 202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3697A (en) Pressure applying fluid transfer method
JP4399544B2 (ja) 改良されたバルーン配置をもつ胃のバルーンカテーテル
JP5736417B2 (ja) 胃空間充填装置、送達システムおよび関連する方法
US7828813B2 (en) Gastric band
US3824992A (en) Pressure garment
US9474593B2 (en) Inverse bellow prosthesis insertion device
CN102202718B (zh) 在组织内形成囊的器械和方法
KR20190085909A (ko) 밀봉된 원위 단부 보형물 삽입 백
EP0181720A2 (en) Tissue expander
JPH09507151A (ja) 前立腺の薬剤配送用カテーテル
JP7018281B2 (ja) 止血器具
US116601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shaping heart
WO2020111184A1 (ja) 止血器具
US20050021080A1 (en) Inflatable apparatus for accessing a body cavity and methods of making
KR102667743B1 (ko) 에너지 전달특성을 제어하는 구강 삽입용 장치
KR102373582B1 (ko) 충격파 전달특성을 제어하는 구강 삽입용 장치
KR20190018448A (ko) 비대칭 이중 근위 단부 삽입 벨로우
US20030158571A1 (en) Aortic flow divider for cerebral and coronary embolic protection
EP4327770A1 (en) Device for oral insertion for controlling energy transfer characteristics
KR102096781B1 (ko)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
CN117915854A (zh) 控制能量传递特性的口腔插入用装置
JP2022092588A (ja) フィルム引張要素
KR102672266B1 (ko) 음경발기 보조장치용 실린더 및 실린더 제조방법
CN209713171U (zh) 基于3d打印的一次性大块肝切除术后填充物
CN111328273B (zh) 闭塞套囊以及包括这种套囊的植入式闭塞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