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781B1 -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 - Google Patents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781B1
KR102096781B1 KR1020180083931A KR20180083931A KR102096781B1 KR 102096781 B1 KR102096781 B1 KR 102096781B1 KR 1020180083931 A KR1020180083931 A KR 1020180083931A KR 20180083931 A KR20180083931 A KR 20180083931A KR 102096781 B1 KR102096781 B1 KR 102096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body
tube
oral cavity
shock wave
wav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9497A (ko
Inventor
나공찬
Original Assignee
나공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공찬 filed Critical 나공찬
Priority to KR1020180083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781B1/ko
Publication of KR20200009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4Protection of tissue around surgical sites against effects of non-mechanical surgery, e.g. laser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90Oral protectors for use during treatment, e.g. lip or mouth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4Protection of tissue around surgical sites against effects of non-mechanical surgery, e.g. laser surgery
    • A61B2090/0409Specification of type of protection measures
    • A61B2090/0436Shie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4Protection of tissue around surgical sites against effects of non-mechanical surgery, e.g. laser surgery
    • A61B2090/0472Protection of tissue around surgical sites against effects of non-mechanical surgery, e.g. laser surgery against ultrasound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34Skin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 표피 내부층에 초음파 자극을 가하여 피부의 탄력을 끌어올리는 초음파 시술요법 등을 시술함에 있어서, 초음파의 진동 등에 의해 피부 및 골조직에 통증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시술대상자(환자)의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를 구비함으로써, 환자의 피부 등으로 전달되는 초음파 진동을 치아, 잇몸 또는 광대뼈 등의 골조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존재한다.

Description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 {Shock wave transmission prevention tube which can be provided in the oral cavity}
본 발명은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 표피 내부층에 초음파 자극을 가하여 피부의 탄력을 끌어올리는 초음파 시술요법 등을 시술함에 있어서, 초음파의 진동 등에 의해 피부 및 골조직에 통증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에 관한 것이다.
피부에 탄력을 더하거나 예전에 가지고 있던 피부탄력의 정도로 탄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울세라 등 여러 초음파 시술요법 등이 시술되고 있다.
이러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피부의 탄력성을 복원 또는 증가시키는 시술요법은 탄력성을 복원 또는 증가시키고자 하는 부위의 피부 표피 내부층에 초음파 자극을 가하여 새로운 성질을 가지는 세포의 재생을 유도함으로써, 피부의 탄력을 끌어올리는 것이다.
이러한 시술에 사용되는 초음파는 소나(SONAR)에 이용되는 것과 동일한 초음파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각 시술요법 및 시술자의 시술형태에 따라 사용되는 초음파가 가지는 고유진동수 등으로 인해 일정한 상황에서 환자의 시술되는 부위에 진동이 가해질 수 있으며, 환자는 피부 또는 골조직으로 전달되는 진동 등에 의해 고통을 느끼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해당 초음파를 이용하여 피부의 탄력성을 복원 또는 증가시키는 시술(주로, 안면부)을 함에 있어서 시술 중 환자의 통증 및 고통을 저감시키기 위한 위생적이면서 환자 신체에 간단하게 설치가능한 장치 등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01133
본 발명이 제시하는 수단 또는 구체적인 내용을 토대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초음파를 이용하여 피부의 탄력성을 복원 또는 증가시키는 시술(주로, 안면부)을 함에 있어서 시술 중 환자가 통증 및 고통을 느끼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술대상자(환자)의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를 구비함으로써, 환자의 피부 등으로 전달되는 초음파 진동을 치아, 잇몸 또는 광대뼈 등의 골조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는, 유체가 주입가능하도록 튜브의 일측에 형성되는 주입구, 상기 주입구로부터 연장되어 하나의 포켓을 형성하는 튜브본체, 상기 튜브본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만곡부, 상기 튜브본체 상에 형성되되, 상기 만곡부를 기준으로 상기 주입구 측에 형성되는 제1팽창부 및 상기 튜브본체 상에 형성되되, 상기 만곡부를 기준으로 상기 주입구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2팽창부를 포함하는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구조로써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만곡부는 벨로우즈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팽창부 또는 상기 제2팽창부는 상기 만곡부 측을 향해 폴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팽창부는 상기 만곡부 측을 향해 폴딩되는 첫번째 폴딩부를 제1-1폴딩부로 하며, 상기 제1-1폴딩부를 포함하여 다시 상기 제1팽창부가 상기 만곡부 측을 향해 폴딩되는 두번째 폴딩부를 제1-2폴딩부로 하고, 제1-3폴딩부는 상기 제1-2폴딩부를 포함하여 다시 상기 제1팽창부가 상기 만곡부 측을 향해 폴딩되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딩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팽창부는 상기 만곡부 측을 향해 폴딩되는 첫번째 폴딩부를 제2-1폴딩부로 하며, 상기 제2-1폴딩부를 포함하여 다시 상기 제1팽창부가 상기 만곡부 측을 향해 폴딩되는 두번째 폴딩부를 제2-2폴딩부로 하고, 제2-3폴딩부는 상기 제2-2폴딩부를 포함하여 다시 상기 제1팽창부가 상기 만곡부 측을 향해 폴딩되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딩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주입구는 상기 주입구 내측에 형성된 원웨이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본체는 상기 튜브본체 표면에 마취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또한, 유체가 주입가능하도록 튜브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주입구(100), 상기 주입구(100)로부터 연장되어 하나의 포켓을 형성하는 제1튜브본체(240) 및 상기 주입구(100)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튜브본체(240) 전체를 감싸며 내부공간(251)에 상기 제1튜브본체가 위치하는 제2튜브본체(250)를 포함하되, 상기 제1튜브본체(240)에는 상기 제1튜브본체(240) 내부로 인입된 유체가 상기 제1튜브본체 외부로 배출가능한 가공부(241)가 형성되는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공부(241)는 소정의 넓이를 갖는 홀 또는 일정 압력 이상의 유체를 상기 제1튜브본체(240)의 외부로 배출하는 압력밸브가 부착된 구성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공부(241)는 상기 제1튜브본체(240)상에 다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주입구(100)는 상기 주입구(100) 내측에 형성된 원웨이 밸브(11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튜브본체(200)는 상기 튜브본체 표면에 마취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상의 특징에 의하여, 본 발명은 시술대상자(환자)의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를 구비함으로써, 환자의 피부 등으로 전달되는 초음파 진동을 치아, 잇몸 또는 광대뼈 등의 골조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존재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초음파를 이용한 피부 시술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사시도 및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벨로우즈로 구성된 만곡부를 포함하는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딩부를 가지는 제1팽창부 및 제2팽창부를 포함하는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2개 이상의 폴딩부가 제1 팽창부 및 제2팽창부에 각각 형성되는 형태를 표현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원웨이 밸브가 구비된 주입구를 포함하는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주입구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제1튜브본체 및 제2튜브본체를 포함하는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다수개의 가공부를 포함하는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발사체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는, 유체가 주입가능하도록 튜브의 일측에 형성되는 주입구, 상기 주입구로부터 연장되어 하나의 포켓을 형성하는 튜브본체, 상기 튜브본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만곡부, 상기 튜브본체 상에 형성되되, 상기 만곡부를 기준으로 상기 주입구 측에 형성되는 제1팽창부 및 상기 튜브본체 상에 형성되되, 상기 만곡부를 기준으로 상기 주입구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2팽창부를 포함하는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구조로써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초음파를 이용한 피부 시술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초음파를 이용한 피부 시술장치구성은 핸드피스(180)의 선단부(182)를 도 1의 (a)와 같이 환부의 표피(S1)에 접촉한 후, 조작부를 통해 구동시작 스위치를 입력하는 기술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의 구동시작스위치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진동용 초음파발생부로 초음파 발생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진동용 초음파발생부는 증폭출력부를 통해 30KHz의 초음파 출력을 핸드피스(180) 노즐부(182)의 진동자수단(182a)로 인가하며, 상기 진동자수단(182a)의 진동으로 이에 연동하여 마이크로니들(182b)도 진동된다.
상기 마이크로니들(182b)이 진동되면 상기 제어부는 노즐구동부로 이송수단(183)의 구동 명령을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노즐구동부는 이송수단을 구동시켜 선단부(181) 내측에 있던 노즐부(182)를 도 1의 (b)와 같이 외부로 튀어나오도록 하여 마이크로니들(182b)이 환부의 표피층(S1)에 삽입되도록 하여준다.
이때, 환자는 상기 마이크로니들(182b)이 진동되며 삽입되는 과정을 통해 상당한 통증을 느끼게 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니들(182b)은 도 1의 (c)와 같이 표피층(S1)에 삽입되어 진피층(S2)에 고의적인 상처(T)를 유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마이크로니들(182b)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용 초음파발생부로의 출력을 중지시켜 마이크로니들(182b)의 진동은 중단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고주파발생부로는 고주파발생신호를, 온열용 초음파발생부로는 초음파발생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고주파발생부는 고주파출력부를 통해 1MHz의 고주파 출력을 핸드피스(180)의 마이크로노즐(182b)로 인가하여, 상기 마이크로노즐(182b)을 통해 순간적인 고주파가 발생되고, 동시에 상기 온열용 초음파발생부는 증폭출력부를 통해 1MHz의 초음파 출력을 핸드피스(180) 노즐부(182)의 진동자수단(182a)로 인가하며, 상기 진동자수단(182a)의 진동으로 이에 연동하여 마이크로니들(182b)은 진동된다.
상기 마이크로노즐(182b)을 통해 도 1의 (d)와 같은 고주파 출력 및 초음파 진동이 수행되면서, 진피층(S2)에는 높은 에너지가 전달되어 부분적(약 9%) 괴사를 통한 피부재생 유도효과가 발생한다.
상기 고주파 및 초음파 출력이 일정시간(예: 50msec) 지속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주파발생부 및 온열용 초음파발생부로의 출력을 일정시간(예: 50msec) 차단하여 마이크로니들(182b)를 통한 고주파 및 초음파 출력을 차단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조작부를 통해 설정된 고주파 및 초음파 구동에 따른 운전설정시간이 경과되었거나 또는 출력중지 명령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운전설정시간이 경과되었거나 또는 출력중지 명령의 입력이 없는 경우, 전술한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판단단계에서 고주파 및 초음파 구동에 따른 운전설정시간이 경과되었거나 또는 출력중지 명령이 입력되었다면 상기 고주파 및 초음파 구동을 중지하는 방식을 가진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피부의 괴사를 유도한 후 재생과정에서 탄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시술과정 중에 초음파의 진동 또는 발열을 그대로 수용하는 시술대상자(환자)의 상태에 대한 개선대책에 대해서는 게재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형상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체가 주입가능하도록 튜브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주입구(100), 상기 주입구(100)로부터 연장되어 하나의 포켓을 형성하는 튜브본체(200), 상기 튜브본체(2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만곡부(230), 상기 튜브본체(200) 상에 형성되되, 상기 만곡부(230)를 기준으로 상기 주입구(100) 측에 형성되는 제1팽창부(210) 및 상기 튜브본체(200) 상에 형성되되, 상기 만곡부(230)를 기준으로 상기 주입구(100)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2팽창부(220)를 포함하는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구성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주입구(100)를 제외한 튜브본체(200)가 시술대상자 즉, 환자의 구강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주입구를 통해 유체가 주입되어 튜브본체의 팽창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팽창된 튜브본체(200)의 구성을 시술대상 피부조직과 시술대상자의 치아, 잇몸 및 안면골조직 사이에 위치시켜, 각각을 이격시킴으로써 시술대상자의 안면부에 가해지는 초음파 진동으로부터 치아, 잇몸 및 안면골조직으로의 진동 및 열전달과정을 저감하거나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튜브본체(200)를 포함한 본 발명 구성의 대부분이 시술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인입되어야 하므로, 상기 튜브본체는 얇은 두께를 가지는 비닐 소재 또는 고무 소재 등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벨로우즈로 구성된 만곡부를 포함하는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만곡부(230)는 벨로우즈로 구성되어 상기 주입구(100)를 통해 유체가 튜브본체(200) 내부로 인입될 경우, 만곡부(230) 구성이 단순 제1팽창부(210)와 제2팽창부(220)를 연결하는 구성에 그치지 않고, 부분적으로 팽창하며, 본 발명의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 팽창력을 극대화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딩부를 가지는 제1팽창부 및 제2팽창부를 포함하는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2개 이상의 폴딩부가 제1 팽창부 및 제2팽창부에 각각 형성되는 형태를 표현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튜브본체(200)가 포함하는 제1팽창부(210) 및 제2팽창부(220)의 구체적인 설치태양과 동작원리 등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팽창부(210) 및 제2팽창부(220)는 상기 만곡부(230) 측을 향해 폴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딩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1팽창부(210)는 상기 만곡부(230) 측을 향해 폴딩되는 첫번째 폴딩부를 제1-1폴딩부(211)로 하며, 상기 제1-1폴딩부(211)를 포함하여 다시 상기 제1팽창부(210)가 상기 만곡부 (230)측을 향해 폴딩되는 두번째 폴딩부를 제1-2폴딩부(212)로 하고, 제1-3폴딩부(213)는 상기 제1-2폴딩부(212)를 포함하여 다시 상기 제1팽창부(210)가 상기 만곡부(230) 측을 향해 폴딩되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팽창부(220)는 상기 만곡부(230) 측을 향해 폴딩되는 첫번째 폴딩부를 제2-1폴딩부(221)로 하며, 상기 제2-1폴딩부(221)를 포함하여 다시 상기 제1팽창부(210)가 상기 만곡부 (230)측을 향해 폴딩되는 두번째 폴딩부를 제2-2폴딩부(222)로 하고, 제2-3폴딩부(223)는 상기 제2-2폴딩부(222)를 포함하여 다시 상기 제1팽창부(210)가 상기 만곡부(230) 측을 향해 폴딩되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딩부가 형성되는 구성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주입구(100)를 통해 주입된 유체를 통해 단계별로 팽창 가능한 복수개의 폴딩부 구성을 연결하여, 단순히 상기 제1팽창부(210) 및 제2팽창부(220)가 팽창하는 동작으로써 시술대상자의 구강 내 공간을 채우는 것이 아닌 복수개의 폴딩부 구성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1팽창부(210)와 제2팽창부(22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구비된 폴딩부의 순차적이며 입체적인 팽창이 가능하도록 설계한 특징이 존재한다.
또한, 제작 후 보관 시에도 복수개의 폴딩부외 만곡부의 구성 등을 통해 컴팩트하게 압축하여 보관이 가능하되, 시술대상자의 구강내에서는 손쉽게 입체적으로 팽장되며, 초음파 등으로 인한 진동과 발열로 인한 통증 및 고통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원웨이 밸브가 구비된 주입구를 포함하는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주입구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주입구(100)로 삽입된 공기 또는 물과 같은 유체로 인해 튜브본체(200)가 팽창되고, 내부가 채워지면, 주입구(100)로 삽입되는 유체의 삽입을 중지한다.
이 과정에서 유체특성상 주입된 유체가 시술대상자의 구강 외측을 향해 튜브본체(200)로부터 배출되려는 성질을 가지므로, 이와 같은 유체의 의도하지 않은 배출을 방지하기 위해, 도 6에서와 같은 원웨이 밸브 구성을 통해 튜브본체(200)에 주입되는 유체는 일방향으로의 주입 후 별도의 처리과정없이는 유체가 주입된 방향으로 배출되지 않는 동작특성이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제1튜브본체 및 제2튜브본체를 포함하는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다수개의 가공부를 포함하는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 구성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유체가 주입가능하도록 튜브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주입구(100), 상기 주입구(100)로부터 연장되어 하나의 포켓을 형성하는 제1튜브본체(240) 및 상기 주입구(100)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튜브본체(240) 전체를 감싸며 내부공간(251)에 상기 제1튜브본체가 위치하는 제2튜브본체(250)를 포함하되, 상기 제1튜브본체(240)에는 상기 제1튜브본체(240) 내부로 인입된 유체가 상기 제1튜브본체 외부로 배출가능한 가공부(241)가 형성되는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튜브본체(240)로 주입된 유체는 일정압력 이상이 될 경우, 자연스럽게 상기 제2튜브본체(250)로 이동하며, 상기 제1튜브본체와 상기 제2튜브본체를 순차적으로 팽창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각각 상이한 시술대상자의 구강크기에 모두 적용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공부(241)는 소정의 넓이를 갖는 홀 또는 일정 압력 이상의 유체를 상기 제1튜브본체(240)의 외부로 배출하는 압력밸브가 부착된 구성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공부(241)는 상기 제1튜브본체(240)상에 다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과 유사하게 상기 주입구(100)는 상기 주입구(100) 내측에 형성된 원웨이 밸브(11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튜브본체(200)는 상기 튜브본체 표면에 마취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주입구
110 : 원웨이 밸브
200 : 튜브본체
210 : 제1팽창부
211 : 제1-1폴딩부
212 : 제1-2폴딩부
213 : 제1-3폴딩부
220 : 제2팽창부
221 : 제2-1폴딩부
222 : 제2-2폴딩부
223 : 제2-3폴딩부
230 : 만곡부
240 : 제1튜브본체
241 : 가공부
250 : 제2튜브본체

Claims (14)

  1. 유체가 주입가능하도록 튜브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주입구(100);
    상기 주입구(100)로부터 연장되어 하나의 포켓을 형성하는 튜브본체(200);
    상기 튜브본체(2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만곡부(230);
    상기 튜브본체(200) 상에 형성되되, 상기 만곡부(230)를 기준으로 상기 주입구(100) 측에 형성되는 제1팽창부(210); 및
    상기 튜브본체(200) 상에 형성되되, 상기 만곡부(230)를 기준으로 상기 주입구(100)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2팽창부(220);
    를 포함하는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230)는,
    벨로우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팽창부(210)는,
    상기 만곡부(230) 측을 향해 폴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팽창부(220)는,
    상기 만곡부(230) 측을 향해 폴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딩부;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팽창부(210)는,
    상기 만곡부(230) 측을 향해 폴딩되는 첫번째 폴딩부를 제1-1폴딩부(211)로 하며, 상기 제1-1폴딩부(211)를 포함하여 다시 상기 제1팽창부(210)가 상기 만곡부 (230)측을 향해 폴딩되는 두번째 폴딩부를 제1-2폴딩부(212)로 하고, 제1-3폴딩부(213)는 상기 제1-2폴딩부(212)를 포함하여 다시 상기 제1팽창부(210)가 상기 만곡부(230) 측을 향해 폴딩되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팽창부(220)는,
    상기 만곡부(230) 측을 향해 폴딩되는 첫번째 폴딩부를 제2-1폴딩부(221)로 하며, 상기 제2-1폴딩부(221)를 포함하여 다시 상기 제1팽창부(210)가 상기 만곡부 (230)측을 향해 폴딩되는 두번째 폴딩부를 제2-2폴딩부(222)로 하고, 제2-3폴딩부(223)는 상기 제2-2폴딩부(222)를 포함하여 다시 상기 제1팽창부(210)가 상기 만곡부(230) 측을 향해 폴딩되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100)는,
    상기 주입구(100) 내측에 형성된 원웨이 밸브(1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본체(200)는,
    상기 튜브본체 표면에 마취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
  9. 유체가 주입가능하도록 튜브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주입구(100);
    상기 주입구(100)로부터 연장되어 하나의 포켓을 형성하는 제1튜브본체(240); 및
    상기 주입구(100)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튜브본체(240) 전체를 감싸며 내부공간(251)에 상기 제1튜브본체가 위치하는 제2튜브본체(250);
    를 포함하되,
    상기 제1튜브본체(240)에는 상기 제1튜브본체(240) 내부로 인입된 유체가 상기 제1튜브본체 외부로 배출가능한 가공부(241)가 형성되는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241)는,
    소정의 넓이를 갖는 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241)는,
    일정 압력 이상의 유체를 상기 제1튜브본체(240)의 외부로 배출하는 압력밸브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241)는,
    상기 제1튜브본체(240)상에 다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100)는,
    상기 주입구(100) 내측에 형성된 원웨이 밸브(1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
  14. 제9항에 있어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본체(200)는,
    상기 튜브본체 표면에 마취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
KR1020180083931A 2018-07-19 2018-07-19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 KR102096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931A KR102096781B1 (ko) 2018-07-19 2018-07-19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931A KR102096781B1 (ko) 2018-07-19 2018-07-19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497A KR20200009497A (ko) 2020-01-30
KR102096781B1 true KR102096781B1 (ko) 2020-04-03

Family

ID=69321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931A KR102096781B1 (ko) 2018-07-19 2018-07-19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7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517684A (ja) * 2021-04-22 2024-04-23 ラ、コン-チャン エネルギー伝達特性を制御する口腔挿入用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154B1 (ko) 2012-06-21 2012-12-27 강영주 의료용 마우스피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133B1 (ko) 2012-11-28 2014-06-17 (주)아마오리엔트 초음파 및 고주파를 이용한 피부치료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154B1 (ko) 2012-06-21 2012-12-27 강영주 의료용 마우스피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497A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50774A1 (en) Apparatuses and systems for generating high-frequency shockwaves, and methods of use
US6436061B1 (en) Ultrasound treatment of varicose veins
EP0623315B1 (en) Apparatus for dilatation of a stenotic vessel
EP1304966B1 (en) System for enhanced chemical debridement
AU768759B2 (en) Method and kit for cavitation-induced tissue healing with low intensity ultrasound
JP5054093B2 (ja) 組織治癒用途における音波モードの制御
US20060184070A1 (en) External ultrasonic therapy
WO2007103413A3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apeutic treatment using a combination of ultrasound and vibrational stimulation
KR101022201B1 (ko) 경피약물전달 촉진을 위한 초음파 장치
WO2005117797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ef of headache
KR102096781B1 (ko) 구강 내 구비가능한 충격파 전달 방지 튜브
CN110623703A (zh) 一种用于心血管碎石的超声波球囊及球囊导管系统
CN107753267B (zh) 冲击波治疗手柄及其控制方法、冲击波治疗系统
US7985190B2 (en) Non-invasive skin contouring device to delaminate skin layers using tissue resonance
WO1997022325A1 (en) Sonic method and apparatus for cosmetic applications
KR102373582B1 (ko) 충격파 전달특성을 제어하는 구강 삽입용 장치
US20130085431A1 (en) Compression bladder having pre-strained bladder material
KR101739898B1 (ko) 비만 및 흉터 겸용 치료용 이산화탄소 가스 주입 장치
KR101828263B1 (ko) 피부 약물 투입을 위한 초음파 장치
KR102040725B1 (ko) 음향 캐비테이션 발생 장치
KR102667743B1 (ko) 에너지 전달특성을 제어하는 구강 삽입용 장치
US20150342625A1 (en) Medical instrument
CN117915854A (zh) 控制能量传递特性的口腔插入用装置
US20210244642A1 (en) Cellulite eradication methods
KR20220145742A (ko) 에너지 전달특성을 제어하는 구강 삽입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