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263B1 - 피부 약물 투입을 위한 초음파 장치 - Google Patents

피부 약물 투입을 위한 초음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263B1
KR101828263B1 KR1020170157041A KR20170157041A KR101828263B1 KR 101828263 B1 KR101828263 B1 KR 101828263B1 KR 1020170157041 A KR1020170157041 A KR 1020170157041A KR 20170157041 A KR20170157041 A KR 20170157041A KR 101828263 B1 KR101828263 B1 KR 101828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ultrasonic
vibration
dru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7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욱
Original Assignee
김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욱 filed Critical 김정욱
Priority to KR1020170157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2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92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vibrations, e.g. phonophor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34Skin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에 약물을 원활하게 투입하기 위한 초음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화장품 또는 피부 질환을 개선시키는 약물 등을 피부 속에 용이하게 투입하기 위해 초음파진동자에서 발생되는 초음파의 진동 주파수를 이용하되, 상기 초음파의 진동 주파수를 변조 방식으로 발생되도록 하고, 핸드피스에 장착되어 피부에 접촉되는 도자부재의 카트리지에 진동홈을 형성하여 변조 방식으로 발생되는 초음파의 진동 주파수에 의해 화장품 또는 약물 등이 피부에 더욱 효율적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피부 약물 투입을 위한 초음파 장치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초음파의 진동 주파수를 변조 방식으로 발생시키고, 피부와 접촉되는 도자부재의 접촉면에 진동홈을 형성하여 상기 진동홈에 의해 피부 개선을 위한 약물이 흡착과 가압을 반복함으로써, 피부에 약물의 침투가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약물 투입을 위한 초음파 장치{Ultrasonic device for injecting skin drugs}
본 발명은 피부에 약물을 원활하게 투입하기 위한 초음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화장품 또는 피부 질환을 개선시키는 약물 등을 피부 속에 용이하게 투입하기 위해 초음파진동자에서 발생되는 초음파의 진동 주파수를 이용하되, 상기 초음파의 진동 주파수를 변조 방식으로 발생되도록 하고, 핸드피스에 장착되어 피부에 접촉되는 도자부재의 카트리지에 진동홈을 형성하여 변조 방식으로 발생되는 초음파의 진동 주파수에 의해 화장품 또는 약물 등이 피부에 더욱 효율적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피부 약물 투입을 위한 초음파 장치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최근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에 따라 페이스 리프팅(face lifting) 또는 스킨 타이트닝(skin tightening) 시술을 희망하는 환자를 위한 다양한 피부 미용 의료기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피부 미용 의료기기로써, 피부 조직을 절개하는 침습적인 방식의 의료기기들이 있으나, 시술 안정성 문제와 환자의 거부감 등이 부각되면서 점차 피부 조직의 절개가 없이도 시술 가능한 비침습적인 방식의 의료기기들이 주목받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의료기기들 중 일반적인 초음파치료기는 초음파에 의한 진동이나 충격파를 신체조직 내로 침투시켜 피부마사지와 같은 각종 미용시술, 지방조직 제거를 통한 비만 치료 또는 전립선비대증 치료 등을 행하는 것으로, 통상 초음파 발생을 위한 전류(펄스)를 제공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시술자가 파지하는 핸드피스와, 상기 핸드피스의 단부에 연결되고 본체로부터 제공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진동이나 충격파를 발생시켜 접촉부위 내로 전달하는 도자를 포함한다.
특히, 접촉부위 내로 진동이나 충격파를 제공하는 초음파치료기의 핸드피스용 도자는,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991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내부에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자를 포함하고 하부에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접촉자를 구비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또 다른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86584호는 공진효과에 의해 상대적으로 강한 진동이나 충격파를 제공하고, 역원뿔대 형상의 접촉자가 적용됨에 따라 체내의 특정부분에 충격파를 집중시킬 수 있도록 한 초음파치료기의 핸드피스용 도자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초음파지료기는 1개의 진동자만을 구비함에 따라 초음파 진동이나 충격파가 매우 약하거나, 강한 진동이나 충격파를 제공하여도 피부와 접촉되는 접촉자의 접촉면에 의해 피부를 개선시키기 위한 약물이 진동과 충격파에 의해 접촉자의 접촉면을 벗어나 초음파 진동이나 충격파에 의한 치료는 효율적이나, 약물이 피부에 효과적으로 침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75878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0991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86584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초음파치료기는 초음파 진동이나 충격파가 매우 약하거나, 상기 초음파 진동이나 충격파를 너무 강하게 하는 경우 피부 개선을 위한 약물이 피부에 효과적으로 침투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초음파의 진동 주파수를 변조 방식으로 발생시키되, 피부와 접촉되는 접촉자 즉, 본 발명에서는 카트리지에 진동홈을 형성하여 상기 진동홈에 의해 피부 개선을 위한 약물이 상기 카트리지를 벗어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진동홈에 의해 약물이 흡착과 가압을 반복함으로써, 피부에 약물이 효율적으로 침투할 수 있는 피부 약물 투입을 위한 초음파 장치를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상부에 터치조작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하부가 안착되어 보관되고, 초음파가 발생되는 핸드피스 및 얼굴 부위 또는 약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핸드피스에서 발생되는 초음파의 진동 주파수를 변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약물 투입을 위한 초음파 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핸드피스에서 발생되는 초음파의 진동 주파수를 변조 방식으로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핸드피스는 상기 본체에 하부가 안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도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자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하부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의 하부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카트리지와 상기 제1고정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초음파진동자 및 상기 초음파진동자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제1고정부의 하부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피부와 접촉되는 접촉면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면 중앙에 진동홈이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로드는 상기 헤드부의 진동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공기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진동홈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접촉면은 상기 진동홈의 외측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딤플과 상기 진동홈을 중심으로 외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복수 개의 포집유로 및 상기 진동홈을 중심으로 외측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포집유로와 이웃하는 포집유로의 사이에 형성되고,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복수 개의 방출유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약물 투입을 위한 초음파 장치는 초음파의 진동 주파수를 변조 방식으로 발생시키고, 피부와 접촉되는 도자부재의 접촉면에 진동홈을 형성하여 상기 진동홈에 의해 피부 개선을 위한 약물이 흡착과 가압을 반복함으로써, 피부에 약물의 침투가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초음파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핸드피스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핸드피스를 나타낸 분해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도자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도자부재를 나타낸 분해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도자부재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카트리지의 헤드부를 나타낸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카트리지의 헤드부를 나타낸 저면도.
본 발명은 피부에 약물을 원활하게 투입하기 위한 초음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화장품 또는 피부 질환을 개선시키는 약물 등(이하, '약물'이라 통칭한다.)을 피부 속에 용이하게 침투시키기 위해 초음파진동자(222)에서 발생되는 초음파의 진동 주파수를 변조 방식으로 발생되도록 제어하고, 핸드피스(200)에 장착되어 피부에 접촉되는 도자부재(220)의 카트리지(400)에 진동홈(432)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진동홈(432)에 의해 상기 약물이 반복적으로 흡착과 가압되도록 하여 피부에 약물이 효율적으로 침투하도록 하는 피부 약물 투입을 위한 초음파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상부에 터치조작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110)를 구비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하부가 안착되어 보관되고, 초음파가 발생되는 핸드피스(200); 및 얼굴 부위 또는 약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핸드피스(20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의 진동 주파수를 변위시키는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핸드피스(20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의 진동 주파수를 변조 방식으로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핸드피스(200)는 상기 본체(100)에 하부가 안착되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도자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자부재(220);는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 하부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221);와 상기 제1고정부(221)의 하부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카트리지(400);와 상기 제1고정부(221)의 상부에 결합되는 초음파진동자(222); 및 상기 초음파진동자(222)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2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카트리지(400)는 상기 제1고정부(221)의 하부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410);와 상기 결합부(410)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로드(420);와 상기 로드(42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피부와 접촉되는 접촉면(431)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면(431) 중앙에 진동홈(432)이 형성되는 헤드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로드(420)는 상기 헤드부(430)의 진동홈(432)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공기홈(42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진동홈(432)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접촉면(431)은 상기 진동홈(432)의 외측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딤플(431a);과 상기 진동홈(432)을 중심으로 외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복수 개의 포집유로(431b); 및 상기 진동홈(432)을 중심으로 외측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포집유로(431b)와 이웃하는 포집유로(431b)의 사이에 형성되고,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복수 개의 방출유로(431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본체(100)는
상부에 터치조작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110)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이용하여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핸드피스(200)의 사용방법과 얼굴 부위 또는 약물의 종류에 따라 초음파의 진동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표시함과 동시에 터치방식으로 입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본체(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피부 개선을 위한 예시 및 치료방법 등을 제시하여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핸드피스(200)에 설치되는 도자부재(2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어부(300)에 작동명령을 전달할 수 있는 즉, 입력장치에 해당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부(110) 및 핸드피스(200)와 연결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본체(100)는 평상시 핸드피스(200)를 안착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상부에 형성되는 보관홈(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보관홈은 상기 핸드피스(200)의 하부가 안착되며, 안착된 핸드피스(200)의 하부로 돌출된 도자부재(220)의 카트리지(400)를 살균할 수 있는 자외선 살균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핸드피스(2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보관홈에 하부가 안착되어 보관되고, 사용자가 피부에 약물을 침투시키기 위해 사용할 때에는 초음파가 발생되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부(110)에 의해 작동이 입력되면,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되어 초음파가 발생되고, 하부에 구비되는 도자부재(220)에 상기 초음파의 진동 주파수가 발생되어 피부에 접촉되는 도자부재(220)의 접촉면(431)이 진동됨으로써, 피부 표면의 약물이 피부의 내부로 침투된다.
이때, 본 발명은 얼굴 부위 또는 약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핸드피스(20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의 진동 주파수를 변위시키는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300)는 얼굴 부위 또는 약물의 종류에 따라 핸드피스(20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를 각기 다르게 발생시킴으로써, 피부 조직의 상황 및 상태 그리고 치료의 목적에 따른 약물을 더욱더 효과적으로 피부 내부로 침투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어부(300)는 상기 핸드피스(20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의 진동 주파수를 변조 방식으로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초음파의 진동 주파수를 변조 방식으로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초음파에 의한 진동 및 충격파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빠르게 진동하도록 하여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카트리지(400)의 진동홈(432)에 약물이 효율적으로 흡착 및 가압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핸드피스(200)는 본체(100)에 하부가 안착되느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도자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자부재(220)를 작동시키는 버튼(미표시)이 구비되고, 본체(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제어부(300)의 제어명령이 전달되는 전선(미도시)이 연결되는 상부하우징(미표시)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되, 내측에 도자부재(220)가 결합되고, 하부가 본체(100)의 보관홈에 안착되는 하부하우징(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자부재(220)는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 하부 즉, 하부하우징의 내측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221)와 상기 제1고정부(221)의 하부에 분리가능하도록 즉, 착탈가능하도도록 결합되는 카트리지(400)와 상기 제1고정부(221)의 상부에 결합되는 초음파진동자(222) 및 상기 초음파진동자(222)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2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초음파진동자(222)는 핸드피스(200)의 하우징(210) 즉, 상부하우징에 연결된 전선과 연결되어 초음파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초음파의 진동 주파수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1고정부(221)와 제2고정부(223)는 상기 초음파진동자(222)를 상하부에서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되, 상기 초음파진동자(222)에서 발생되는 초음파의 진동을 전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초음파진동자(222)의 구성은 전원을 공급받아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종래의 어떠한 초음파진동자를 사용하도 무방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400)는 상기 초음파진동자(222)에서 발생되는 초음파의 진동을 제1고정부(221)로부터 전달받고, 하부에 피부와 접촉되는 접촉면(431)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초음파의 진동에 의해 피부와 상기 접촉면(431) 사이의 약물을 진동시켜 피부에 침투되도록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카트리지(400)는 제1고정부(221)의 하부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시술 후 상기 카트리지(400)를 분리시켜 세척 및 살균, 소독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카트리지(400)와 제1고정부(221)는 나사결합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카트리지(400)의 상기 제1고정부(221), 초음파진동자(222), 제2고정부(22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체결너트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와 연관하여, 구체적으로 상기 카트리지(400)는 상기 제1고정부(221)의 하부에 분리가능하도록 즉, 착탈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되는 결합부(410)와 상기 결합부(410)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로드(420)와 상기 로드(42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피부와 접촉되는 접촉면(431)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면(431) 중앙에 진동홈(432)이 형성되는 헤드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410)는 제1고정부(221)와 나사결합되어 초음파진동자(222)의 초음파 진동을 전달받아 로드(420) 및 헤드부(430)에 상기 초음파 진동을 전달하고, 초음파 진동에 의해 상기 제1고정부(221)와의 결합이 느슨해지지 않도록 핸드피스(200)의 하우징(210)의 내측 하부면에 하부면이 면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결합부(410)는 제1고정부(221)와 나사결합된 후 하부면이 핸드피스(200)의 하우징(210) 즉, 하부하우징의 내측 하부면과 면접됨으로써, 상하방향의 초음파 진동에 의해 나사결합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고정부(221)는 핸드피스(200)의 하우징(210) 즉, 하부하우징과 고정결합됨으로써, 도자부재(220)를 상기 핸드피스(220)의 하부에 고정결합시키는데, 이때, 상기 제1고정부(221)는 외주연에 형성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제1결합홀(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제1고정부(221)의 결합홀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2결합홀(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1결합홀과 제2결합홀을 이용하여 볼트 등을 이용하여 제1고정부(221)와 하우징(210) 즉, 하부하우징이 고정결합되면, 카트리지(400)의 결합부(410)의 하부면이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측 하부면과 면접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진동이 발생되어도 제1고정부(221)와 결합부(410) 즉, 카트리지(400)의 결합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로드(420)는 상기 결합부(4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초음파의 진동이 효율적으로 전달되고,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헤드부(430)가 핸드피스(200)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헤드부(430)의 접촉면(431)을 사용자가 거울 등을 이용하여 쉽게 확인하며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상기 헤드부(430)는 상기 로드(4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초음파의 진동이 효율적으로 절달되도록 하고, 하부에 피부와 접촉되는 접촉면(431)이 형성됨으로써, 전달된 초음파의 진동에 의해 상기 접촉면(431)과 피부 사이의 약물을 진동시켜 피부에 상기 약물이 효과적으로 침투되도록 한다.
부가하여, 상기 헤드부(430)는 접촉면(431)의 중앙에 진동홈(432)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진동홈(432)의 내측에 피부의 표면에 도포되어 있는 약물이 초음파 진동발생시 흡착과 가압이 반복되도록 함으로써, 더욱더 피부 내부에 약물이 용이하게 침투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즉, 상기 진동홈(432)은 피부의 표면에 도포되어 있는 약물이 상부방향의 진동 발생시에는 내측으로 흡착되고, 하부방향의 진동 발생시에는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피부의 내부로 약물이 용이하게 침투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진동홈(432)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짐으로써, 흡착과 가압되는 약물의 양을 증가시켜 약물이 가압되는 가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약물이 피부의 내부에 투입되는 효과를 증대시킨다.
이때, 상기 로드(420)는 상기 헤드부(430)의 진동홈(432)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공기홈(42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공기홈(422)은 상기 진동홈(432)의 공간을 상부방향으로 더욱 확장시켜 약물의 흡착 및 가압이 더욱더 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상기 접촉면(431)은 상기 진동홈(432)의 외측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딤플(431a)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딤플(431a) 또한 상기 접촉면(431)과 같은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더욱더 많은 양의 약물이 접촉면(431) 전체를 통해 피부의 내부에 침투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상기 접촉면(431)은 종래에 문제되었던 진동에 의해 약물이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진동홈(432)을 중심으로 외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복수 개의 포집유로(431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포집유로(431b)에 의해 진동 발생시 상기 접촉면(431) 주위의 약물이 상기 진동홈(432)으로 포집되는 효과를 실현케 함으로써, 약물이 상기 접촉면(431)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면(431)은 상기 포집유로(431b)에 의해 포집되는 약물을 다시 접촉면(431)의 외측으로 배출시켜 적절한 양의 약물이 진동홈(432)에 포집되어 흡착 및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진동홈(432)의 내측에 너무 많은 양의 약물이 포집되면 가압되는 약물이 갑자기 접촉면(431)의 외측으로 강하게 배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너무 적은 양의 약물이 포집되면 가압되는 약물의 양이 너무 적어 약물이 피부 내부에 적절히 침투되지 않기 때문이며, 이를 위해 상기 접촉면(431)은 상기 포집유로(431b)와 대응되는 갯수로 형성되는 방출유로(431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접촉면(431)은 상기 진동홈(432)을 중심으로 외측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포집유로(431b)와 이웃하는 포집유로(431b)의 사이에 상기 포집유로(431b)의 갯수와 동일한 갯수로 형성되고,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복수 개의 방출유로(431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방출유로(431c)를 따라 일정량의 약물이 상기 접촉면(431)의 외측으로 배출됨으로써, 적절한 양의 약물이 상기 진동홈(432)의 내측에 포집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적절한 양은 자연스럽게 상기 진동홈(432)에 포집되는 약물의 양을 뜻하고, 상기 진동홈(432)의 크기 및 피부의 표면에 도포된 약물의 양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한정하지 않도록 한다.
덧붙여 설명하면, 상기 포집유로(431b)와 상기 방출유로(431c)는 각각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거나, 좁아짐으로써, 진동에 의해 넓은 곳에서 좁은 곳으로 약물의 이동이 점차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포집유로(431b)와 상기 방출유로(431c)는 상기 진동홈(432)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은 자명할 것이며, 포집유로(431)와 방출유로(431c)를 통해 포집되는 약물의 양과 방출되는 약물의 양은 이론상으로는 같은 갯수로 형성되어 동일하나, 진동 및 사용자의 가압되는 방향에 의해 달라지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포집유로(431b)와 상기 방출유로(431c)에 의해 포집되는 약물의 양과 방출되는 약물의 양은 거의 유사한데, 이는 진동홈(432) 내측에 포집된 약물의 양이 많으면 가압되는 가압력이 증대되어 더 포집된 양만큼 배출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포집유로(431b)와 상기 방출유로(431c)의 수직 단면의 형상은 반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다각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성형의 용이성과 약물의 이동성을 고려하여 반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본체 110 : 디스플레이부
200 : 핸드피스 210 : 하우징
220 : 도자부재 221 : 제1고정부
222 : 초음파진동자 223 : 제2고정부
300 : 제어부 400 : 카트리지
410 : 결합부 420 : 로드
422 : 공기홈 430 : 헤드부
431 : 접촉면 431a : 딤플
432 : 진동홈

Claims (7)

  1. 상부에 터치조작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110)를 구비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하부가 안착되어 보관되고, 초음파가 발생되는 핸드피스(200); 및
    얼굴 부위 또는 약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핸드피스(20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의 진동 주파수를 변위시키는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핸드피스(200)는
    상기 본체(100)에 하부가 안착되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도자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도자부재(220);는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 하부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221);와
    상기 제1고정부(221)의 하부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카트리지(400);와
    상기 제1고정부(221)의 상부에 결합되는 초음파진동자(222); 및
    상기 초음파진동자(222)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22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카트리지(400)는
    상기 제1고정부(221)의 하부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410);와
    상기 결합부(410)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로드(420);와
    상기 로드(42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피부와 접촉되는 접촉면(431)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면(431) 중앙에 진동홈(432)이 형성되는 헤드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약물 투입을 위한 초음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핸드피스(20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의 진동 주파수를 변조 방식으로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약물 투입을 위한 초음파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420)는
    상기 헤드부(430)의 진동홈(432)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공기홈(42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약물 투입을 위한 초음파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홈(432)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약물 투입을 위한 초음파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431)은
    상기 진동홈(432)의 외측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딤플(431a);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약물 투입을 위한 초음파 장치.
KR1020170157041A 2017-11-23 2017-11-23 피부 약물 투입을 위한 초음파 장치 KR101828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041A KR101828263B1 (ko) 2017-11-23 2017-11-23 피부 약물 투입을 위한 초음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041A KR101828263B1 (ko) 2017-11-23 2017-11-23 피부 약물 투입을 위한 초음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263B1 true KR101828263B1 (ko) 2018-02-13

Family

ID=61231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7041A KR101828263B1 (ko) 2017-11-23 2017-11-23 피부 약물 투입을 위한 초음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82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460B1 (ko) 2019-10-08 2020-04-24 김정욱 피부에 고르게 약물을 투입하기 위한 초음파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219Y1 (ko) 2001-06-08 2001-10-22 최동환 초음파 피부 마사지기
JP2013116395A (ja) 2013-03-19 2013-06-13 Hitachi Maxell Ltd 美容装置
KR101286584B1 (ko) * 2012-04-18 2013-07-22 김상식 초음파치료기의 핸드피스용 도자
KR101602820B1 (ko) * 2015-11-25 2016-03-11 (주)클래시스 초음파 치료용 카트리지, 초음파 발생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219Y1 (ko) 2001-06-08 2001-10-22 최동환 초음파 피부 마사지기
KR101286584B1 (ko) * 2012-04-18 2013-07-22 김상식 초음파치료기의 핸드피스용 도자
JP2013116395A (ja) 2013-03-19 2013-06-13 Hitachi Maxell Ltd 美容装置
KR101602820B1 (ko) * 2015-11-25 2016-03-11 (주)클래시스 초음파 치료용 카트리지, 초음파 발생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460B1 (ko) 2019-10-08 2020-04-24 김정욱 피부에 고르게 약물을 투입하기 위한 초음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61917C (en) Ultrasonic wound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JP6503302B2 (ja) 高速パルス電気液圧衝撃波発生器
JP6133295B2 (ja) 皮膚穿刺中の痛みを軽減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そのための壊れ易いチップ
US8376970B2 (en) Ultrasound apparatus and methods for mitigation of neurological damage
JP2011509759A (ja) 超音波注射器
US20080275343A1 (en) Percussion assisted angiogenesis
ES2831160T3 (es) Aparato quirúrgico ultrasónico
JP2008093345A (ja) 振動機器
KR101828263B1 (ko) 피부 약물 투입을 위한 초음파 장치
US20090171251A1 (en) Ultrasound treatment of adipose tissue with vacuum feature
KR102595419B1 (ko) 알에프전극의 극성 스위칭수단과 진공캡을 구비한 핸드피스
EP3320951B1 (en) Apparatus for therapeutic and/or cosmetic treatments
KR101747949B1 (ko) 마사지용 피부 미용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68993B1 (ko) 다중 주파수 초음파를 이용한 치료기
JP2002143310A (ja) 力学的麻酔兼患部分離装置
KR100936407B1 (ko) 피에조 디바이스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
KR101454862B1 (ko)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
KR102130771B1 (ko) 다기능 복합 에스테틱 기기
KR102104460B1 (ko) 피부에 고르게 약물을 투입하기 위한 초음파 장치
JP2001046500A (ja) 医療用注射装置
JP2021126290A (ja) 口腔内マッサージ器
KR101673075B1 (ko) 진동, 초음파 및 레이저를 이용한 다중 자극 치료 장치
KR20210050638A (ko) 다기능 피부 미용 기기
US20090171250A1 (en) Ultrasound treatment of adipose tissue with fluid injection
KR102085434B1 (ko) 피부용 초음파 인젝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