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1080B1 -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1080B1
KR102371080B1 KR1020170115091A KR20170115091A KR102371080B1 KR 102371080 B1 KR102371080 B1 KR 102371080B1 KR 1020170115091 A KR1020170115091 A KR 1020170115091A KR 20170115091 A KR20170115091 A KR 20170115091A KR 102371080 B1 KR102371080 B1 KR 102371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sion
vehicle
fixing
bolt
ca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5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8085A (ko
Inventor
권진영
김대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5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080B1/ko
Publication of KR20190028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3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 B62D33/067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tiltable
    • B62D33/07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tiltable characterised by the device for locking the cab in the tilted or in the driving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4Torsion springs consisting of bars or tubes
    • F16F1/145Torsion springs consisting of bars or tubes with means for modifying the spring characteri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6/00Mode of stressing of basic spring or damper elements or devices incorporating such elements
    • F16F2236/08Tor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캐빈을 틸팅시키는 캐빈 틸팅 장치에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력이 저하되는 경우, 이를 용이하게 보상하여 상기 캐빈 틸팅 장치가 충분한 자력 개방각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는, 차량(1)의 프레임(2)에 대하여 탑승자가 탑승하는 캐빈(3)을 틸팅시키는 캐빈틸팅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캐빈을 틸팅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빈(3)이 틸팅되도록 비틀림 상태로 설치되는 토션바(12)와, 상기 토션바(12)의 단부에 상기 토션바(12)와 일체로 형성되는 조절레버(13)을 포함하는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에 설치되고 상기 조절레버(13)의 일측을 관통하면 상기 조절레버(13)를 구속하고, 상기 조절레버(13)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조절레버(13)를 회전가능한 상태로 하는 고정핀(15)과, 상기 하우징(11)에 상기 차량(1)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전방에서 투입된 공구에 의해 상기 고정핀(15)을 상기 조절레버(13)를 관통시키거나, 상기 조절레버(13)로부터 이격시키는 고정볼트(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Tension adjusting device of cabin tilting apparatus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캐빈을 틸팅시키는 캐빈 틸팅 장치에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력이 저하되는 경우, 이를 용이하게 보상하여 상기 캐빈 틸팅 장치가 충분한 자력 개방각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트럭과 같은 상용차는 통상적으로 엔진, 변속기 등이 탑승자가 탑승하는 캐빈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엔진, 변속기 등의 정비를 위해서는 상기 캐빈을 회전시켜 상기 캐빈의 하부에 탑재된 부분이 개방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빈(3)의 전단이 상기 차량(1)의 프레임의 전단과 힌지연결되고, 상기 캐빈(3)이 고정되는 캐빈브라켓(3a)이 상기 프레임(2)에 힌지연결되는 부위에 상기 캐빈(3)을 틸팅시키는 캐빈 틸탕 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캐빈 틸팅 장치에는 상기 캐빈(3)을 일정 각도(α)까지 틸팅되도록 하는 토션바(112)가 장착된다. 즉, 상기 토션바(112)의 토션력에 의해서 상기 캐빈(3)은 일정한 각도(α)까지 자력으로 개방된다.
그러나, 상기 차량(1)이 노후되거나, 상기 캐빈 틸팅 장치에 문제가 있어 상기 토션바의 토션력이 저하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빈(3)이 정해진 자력 개방 각도(α)까지 개방되지 못하고, 상기 캐빈 틸팅 장치(110)에 의해 개방되는 각도(α')가 줄어드는 문제점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캐빈(3)이 상기 캐빈 틸팅 장치에 의해 충분히 개방되지 못하여, 작업자가 상기 캐빈(3)을 들어올려야 하지만, 소수의 인력으로 상기 캐빈(3)을 들어올리기가 쉽지 않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캐빈 틸팅 장치에는 상기 토션바의 토션력을 조절하기 위한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1)과, 상기 하우징(111)의 내부에 비틀림 상태로 설치되는 토션바(112)와, 상기 토션바(112)의 단부에 설치되는 조절레버(113)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레버(113)의 일측에는 토션력을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원호형태의 슬릿(113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릿(113a)을 관통하여 고정볼트(114)가 체결된다.
만약, 상기 토션바(112)의 토션력이 약해진 경우, 상기 고정볼트(114)를 해제하여, 상기 조절레버(113)가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고, 볼트브라켓(118)에 체결된 토션력조절볼트(117)를 이용하여 상기 조절레버(113)를 회전시킨 후, 상기 고정너트(119)를 체결하여 상기 토션바(112)의 토션력을 보상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는,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고정볼트(114)와, 상기 조절레버(113)를 회전시키기 위한 토션력조절볼트(117)가 서로 다른 방향에서 조작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고정볼트(114)는 차량의 측면에서 공구를 삽입하여 조작해야 하고, 상기 토션력조절볼트(117)는 상기 전방에서 공구를 삽입하여 조작해야 해야 했다. 또한, 이러한 작업을 차량의 하부로 작업자가 들어가 누운 상태에서 하거나, 상기 차량을 리프트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수행해야 했다. 그러나, 작업자가 차량의 하부에 위치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공구를 투입하여 조정작업을 해야하므로, 작업성이 불리하였다. 그리고, 차량의 하부에 설치된 각종 부품과 배선들에 의해서도 작업성이 불편할 수 밖에 없었다.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는 '트럭의 캡 틸팅력 조절기구'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KR 10-2007-0039214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차량의 전방에서 고정을 해제하고, 토션력을 조절하는 공구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는, 차량의 프레임에 대하여 탑승자가 탑승하는 캐빈을 틸팅시키는 캐빈틸팅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캐빈을 틸팅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빈이 틸팅되도록 비틀림 상태로 설치되는 토션바와, 상기 토션바의 단부에 상기 토션바와 일체로 형성되는 조절레버을 포함하는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조절레버의 일측을 관통하면 상기 조절레버를 구속하고, 상기 조절레버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조절레버를 회전가능한 상태로 하는 고정핀과, 상기 하우징에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전방에서 투입된 공구에 의해 상기 고정핀을 상기 조절레버를 관통시키거나, 상기 조절레버로부터 이격시키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레버의 일단에는 상기 조절레버의 회전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고정핀의 단부가 삽입되는 고정공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이 상기 고정공에 삽입되면, 상기 조절레버는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공은, 상기 조절레버의 회전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는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과 상기 고정볼트가 설치되는 고정브라켓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브라켓의 내부에 상기 고정핀은 상기 토션바와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고정핀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핀은 랙-피니언 방식으로 서로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볼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볼트의 둘레를 따라 치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의 외측면에는 상기 고정핀의 길이방향을 따라 랙기어 형태의 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레버의 타단은 상기 토션바의 토션력조절을 위해 상기 프레임에 체결정도가 조정되는 토션력조절볼트의 선단과 접촉하고, 상기 조절레버의 구속이 해제되면, 상기 토션력조절볼트가 조작하여 상기 토션력조절볼트가 상기 프레임에 체결정도를 조정하여 상기 조절레버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토션바의 토션력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션력조절볼트는, 상기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된 볼트브라켓에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션력조절볼트는 상기 프레임측에 설치된 볼트브라켓을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션력조절볼트에는 상기 토션력조절볼트가 상기 볼트브라켓에서 정해진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토션력조절볼트의 외측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너트의 외경은 상기 토션력조절볼트의 헤드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의 범퍼에는 상기 고정볼트와 상기 토션력조절볼트를 조작하는 공구가 출납하는 공구투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볼트의 축선과 상기 토션력조절볼트의 축선은 상기 공구투입공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에 따르면, 고정을 해제하는 작업이나 토션바의 토션력을 조정하는 작업이 모두 차량의 전방에서 공구를 투입하여 이루어지므로, 작업성이 개선된다. 특히, 차량의 범퍼를 통하여 공구를 삽입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차량의 하부에서 작업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된다.
또한, 상기 토션바의 토션력이 조절된 상태에서는 고정핀이 고정공에 삽입되므로, 의도와 무관하게 고정이 해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캐빈 틸팅 장치에 의해 차량의 캐빈이 틸팅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토션바의 토션력이 약해진 캐빈 틸팅 장치에 의해 차량의 캐빈이 틸팅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캐빈 틸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에서 토션바의 토션력을 조절한 후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a 내지 도 6b는 차량의 범퍼에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공구투입공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에서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핀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에서 토션바의 토션력을 조절하기 위해 고정볼트로 고정핀을 해제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에서 토션바의 토션력을 조절한 후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는,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빈(3)이 틸팅되도록 비틀림 상태로 설치되는 토션바(12)와, 상기 토션바(12)의 단부에 상기 토션바(12)와 일체로 형성되는 조절레버(13)을 포함하는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10)에 구비되어, 상기 캐빈 틸팅 장치(10)가 상기 캐빈(3)을 틸팅시키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 조절레버(13)는 일단이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11)에 설치되는 구속수단에 의해 상기 조절레버(13)의 회전이 구속 또는 해제되고, 상기 조절레버의 타단은 상기 조절레버(13)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에 의해 상기 조절레버(13)가 회전되면서 상기 토션바(12)도 함께 회전된다.
상기 조절레버(13)의 회전을 구속하는 수단은 상기 하우징(11)과 상기 조절레버(13)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볼트(14)와 고정핀(15)이 될 수 있다.
고정볼트(14)와 고정핀은 서로 연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고정볼트(14)를 조작하면, 상기 고정핀(15)이 작동하면서 상기 조절레버(13)의 회전을 구속하거나 해제한다.
즉, 상기 고정볼트(14)와 상기 고정핀(15)은 서로 직교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볼트(14)는 상기 차량(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고정핀(15)은 상기 차량(1)의 폭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상기 고정볼트(14)는 상기 차량(1)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고정볼트(14)의 헤드가 상기 차량(1)의 전방을 향하고 있어서, 상기 작업자가 용이하게 상기 고정볼트(14)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볼트(14)와 상기 고정핀(15)을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1)의 외측에는 고정브라켓(11a)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브라켓(11a)은 상기 하우징(11)의 외측면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브라켓(11a)은 직사각형의 프레임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14)와 상기 고정핀(15)이 그 내부에 서로 직교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볼트(14)와 상기 고정핀(15)은 직교되게 설치되면서, 상기 고정볼트(14)의 회전운동을 상기 고정핀(15)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볼트(14)와 고정핀(15)은 랙-피니언 형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볼트(14)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볼트(14)의 둘레를 따라 치(齒)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15)의 외측면에는 상기 고정핀(15)의 길이방향을 따라 랙기어 형태의 치(齒)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레버(13)의 일단은 상기 조절레버(13)의 회전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13a)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3a)에는 상기 조절레버(13)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핀(15)이 삽입되는 고정공(13b)이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공(13b)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고정핀(15)이 삽입되면, 상기 조절레버(13)는 회전이 구속되어 상기 토션바(12)의 토션력이 조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고정공(13b)들로부터 상기 고정핀(15)이 이격되면 상기 토션바(12)의 토션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절레버(13)의 타단은 상기 조절레버(1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조절레버(13)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과 접촉한다. 상기 조절레버(13)의 회전수단은 토션력조절볼트(17)가 될 수 있다.
토션력조절볼트(17)는 상기 프레임(2)측에 고정되어, 상기 조절레버(13)를 회전시킨다. 상기 토션력조절볼트(17)는 상기 프레임(2)측에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토션력조절볼트(17)는 상기 차량의 전방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토션력조절볼트(17)의 헤드는 상기 차량(1)의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토션력조절볼트(17)는 상기 프레임(2)측, 즉 볼트브라켓(18)에 체결된다. 상기 볼트브라켓(18)은 상기 프레임(2)에 체결된 프레임 브라켓(2a)의 측면에 체결된다.
상기 토션력조절볼트(17)는 상기 볼트브라켓(18)에서 공구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토션력조절볼트(17)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조절레버(13)는 회전시켜 상기 토션바(12)의 토션력을 조정한다.
고정너트(19)는 상기 토션력조절볼트(17)에 체결되어, 상기 토션력조절볼트(17)를 볼트브라켓(18)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너트(19)는 그 외경이 상기 토션력조절볼트(17)의 헤드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고정너트(19)의 조작시 상기 토션력조절볼트(17)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고정너트(19)의 외경이 상기 토션력조절볼트(17)의 외경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고정너트(19)의 조작시 상기 토션력조절볼트(17)가 간섭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고정너트(19)의 외경이 크게 형성되면, 상기 고정너트(19)의 조작시 상기 고정너트(19)만 조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볼트(14), 상기 토션력조절볼트(17) 및 상기 고정너트(19)를 조작하기 위해, 상기 차량(1)의 범퍼(4)에는 공구투입공(4a)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볼트(14), 상기 토션력조절볼트(17) 및 상기 고정너트(19)는 모두 차량(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모두 차량(1)의 전방에서 조작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볼트(14), 상기 토션력조절볼트(17) 및 상기 고정너트(19)를 조작하기 위해 상기 범퍼(4)에 공구투입공(4a)을 형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차량(1)의 하부로 들어가거나, 상기 차량(1)을 리프트로 들어올릴 필요가 없이, 간단히 상기 공구투입공(4a)을 통하여 공구를 투입하여 상기 고정볼트, 상기 토션력조절볼트(17) 및 상기 고정너트(19)를 조작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고정볼트(14)의 축선과 상기 토션력조절볼트(17)의 축선은 상기 공구투입공(4a)을 통과한다. 다만, 상기 고정볼트(14)는 상기 토션력조절볼트(17) 및 상기 고정너트(19)와 설치된 각도가 다소 상이하므로, 상고 공구투입공(4a)은 상기 고정볼트, 상기 토션력조절볼트(17) 및 상기 고정너트(19)에 모두 공구를 투입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구투입공(4a)은 평소에는 캡으로 폐쇄되고, 필요시에만 개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에는 토션바의 토션력 조절 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고정볼트(14)에 의해 상기 고정핀(15)은 상기 고정공(13b)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상기 조절레버(13)는 회전이 구속된 상태이다.
또한, 상기 토션력조절볼트(17)도 상기 조절레버(13)의 타단을 지자하고 있어 상기 조절레버(13)는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캐빈 틸팅 장치(10)가 상기 캐빈(3)을 틸팅시키는 각도가 저하되면, 상기 캐빈 틸팅 장치(10) 내의 토션바(12)의 토션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상기 토션바(12)의 토션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볼트(14)를 조작하여 상기 고정핀(15)을 상기 고정공(13b)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볼트(14)를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시킨다. 상기 공구투입공(4a)을 이용하여 공구를 삽입하고, 상기 공구로 상기 고정볼트(14)를 상기 고정핀(15)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고정볼트(14)가 회전되면, 상기 고정핀(15)은 상기 고정공(13b)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핀(15)은 상기 고정공(13b)과 분리된다(도 10의 A참조).
이와 같이, 상기 고정핀(15)이 상기 고정공(13b)으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조절레버(13)는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하지만, 상기 고정핀(15)과 상기 고정공(13b)이 분리되었다고 하더라도, 상기 토션력조절볼트(17)가 상기 조절레버(13)를 지지하고 있어서, 상기 조절레버(13)는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조절레버(13)를 회전시켜 상기 토션바(12)의 토션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공구투입공(4a)으로 다른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고정너트(19)를 분리시킨다. 상기 고정너트(19)의 외경은 상기 토션력조절볼트(17)의 외경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고정너트(19)를 해제시킬 수 있다. 만약, 상기 고정너트(19)의 외경은 상기 토션력조절볼트(17)의 외경보다 크지 않다면, 공구가 상기 토션력조절볼트(17)의 헤드에 걸려 공구로 상기 고정너트(19)를 해제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너트(19)가 해제되면, 다시 상기 공구투입공(4a)으로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토션력조절볼트(17)를 회전시킨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로 상기 토션력조절볼트(17)를 회전시키면, 상기 토션력조절볼트(17)는 전진하면서, 상기 토션력조절볼트(17)의 전단이 상기 조절레버(13)의 타단을 밀어 상기 조절레버(13)를 회전시킨다. 상기 조절레버(13)가 회전하면, 상기 조절레버(13)와 고정된 상기 토션바(12)도 회전하면서 토션력이 조절되어, 상기 캐빈(3)의 틸팅시 상기 토션바(12)가 상기 캐빈(3)을 충분히 틸팅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토션바(12)의 토션력이 조정된 이후에는 조정된 상태를 고정시켜야 한다. 우선, 상기 공구투입공(4a)을 통하여 상기 고정너트(19)를 체결시켜, 상기 토션력조절볼트(17)을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너트(19)의 외경이 상기 토션력조절볼트(17)의 외경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토션력조절볼트(17)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상기 고정너트(19)만 회전시켜 상기 고정너트(19)를 상기 볼트브라켓(18)에 고정시켜 상기 토션력조절볼트(17)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구투입공(4a)으로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고정볼트(14)를 체결시켜, 상기 고정핀(15)이 다시 상기 고정핀(15)이 상기 고정공(13b)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조절레버(13)의 회전을 구속한다. 상기 조절레버(13)가 회전된 상태에서,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볼트(14)를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핀(15)는 슬라이딩하여 고정공(13b)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고정핀(15)이 삽입되는 고정공(13b)은 고정전의 고정공(13b)으로부터 상기 조절레버(13)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위치한 고정공(13b)에서 상기 고정핀(15)에 체결된다. 즉, 조정전의 고정공(13b)이 H1으로 지시된 고정공(13b)이었다면 조정후의 고정공(13b)은 H2가 된다. 이는 상기 조절레버(13)가 회전함에 따라 고정된 고정핀(15)은 상대적으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기 토션바(12)의 토션력이 조정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레버(13)의 회전이 구속되고, 다시 상기 캐빈 틸팅 장치(10)는 토션바(12)의 토션력이 조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기 캐빈(3)은 자력 개방 각도(α)를 유지하게 된다.
1 : 차량 2 : 프레임
2a : 프레임 브라켓 3 : 캐빈
3a : 캐빈 브라켓 4 : 범퍼
4a : 공구투입공 10 : 캐빈 틸팅 장치
11 : 하우징 11a : 고정브라켓
12 :토션바 13 : 조절레버
13a : 고정부 13b : 고정공
14 : 고정볼트 15 : 고정핀
17 : 토션력조절볼트 18 : 볼트브라켓
19 : 고정너트 110 : 캐빈 틸팅 장치
111 : 하우징 112 : 토션바
113 : 조절레버 113a : 슬릿
114 : 고정볼트 117 : 토션력조절볼트
118 : 브라켓

Claims (14)

  1. 차량의 프레임에 대하여 탑승자가 탑승하는 캐빈을 틸팅시키는 캐빈틸팅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캐빈을 틸팅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빈이 틸팅되도록 비틀림 상태로 설치되는 토션바와, 상기 토션바의 단부에 상기 토션바와 일체로 형성되는 조절레버을 포함하는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조절레버의 일측을 관통하면 상기 조절레버를 구속하고, 상기 조절레버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조절레버를 회전가능한 상태로 하는 고정핀과,
    상기 하우징에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고정핀과 랙-피니언 방식으로 치합되며, 상기 차량의 전방에서 투입된 공구에 의해 상기 고정핀을 상기 조절레버에 관통시키거나, 상기 조절레버로부터 이격시키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레버의 일단에는 상기 조절레버의 회전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고정핀의 단부가 삽입되는 고정공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이 상기 고정공에 삽입되면, 상기 조절레버는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공은,
    상기 조절레버의 회전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는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과 상기 고정볼트가 설치되는 고정브라켓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의 내부에 상기 고정핀은 상기 토션바와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고정핀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볼트의 둘레를 따라 치(齒)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의 외측면에는 상기 고정핀의 길이방향을 따라 랙기어 형태의 치(齒)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레버의 타단은 상기 토션바의 토션력조절을 위해 상기 프레임에 체결정도가 조정되는 토션력조절볼트의 선단과 접촉하고,
    상기 조절레버의 구속이 해제되면, 상기 토션력조절볼트가 조작하여 상기 토션력조절볼트가 상기 프레임에 체결정도를 조정하여 상기 조절레버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토션바의 토션력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력조절볼트는, 상기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된 볼트브라켓에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력조절볼트는 상기 프레임측에 설치된 볼트브라켓을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력조절볼트에는 상기 토션력조절볼트가 상기 볼트브라켓에서 정해진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토션력조절볼트의 외측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너트의 외경은 상기 토션력조절볼트의 헤드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범퍼에는 상기 고정볼트와 상기 토션력조절볼트를 조작하는 공구가 출납하는 공구투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의 축선과 상기 토션력조절볼트의 축선은 상기 공구투입공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

KR1020170115091A 2017-09-08 2017-09-08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 KR102371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091A KR102371080B1 (ko) 2017-09-08 2017-09-08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091A KR102371080B1 (ko) 2017-09-08 2017-09-08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085A KR20190028085A (ko) 2019-03-18
KR102371080B1 true KR102371080B1 (ko) 2022-03-07

Family

ID=65948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091A KR102371080B1 (ko) 2017-09-08 2017-09-08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108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1966A (ja) 2010-07-05 2012-01-19 Nissan Motor Light Truck Co Ltd キャブチル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706Y1 (ko) * 1990-12-03 1994-06-07 만도기계 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로크 액튜에이터
KR0136576Y1 (ko) * 1995-09-29 1999-05-15 이희종 휠 얼 라인먼트 센서의 고정장치
KR100747268B1 (ko) 2005-10-07 2007-08-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캡 틸팅력 조절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1966A (ja) 2010-07-05 2012-01-19 Nissan Motor Light Truck Co Ltd キャブチル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085A (ko) 201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10017182B4 (de) Fahrradträger eines Fahrzeuges
JP5050793B2 (ja) 車両用サンバイザ装置
DE102004025394B4 (de) Semipassives Sperrsystem für eine Fahrzeugkomponente
US20070085387A1 (en) Head restraint movement mechanism
EP0976616B1 (de) Anordnung eines Bildschirms in einem Fahrzeug
WO2009084499A1 (ja) 車両用スライドデッキ装置
DE102019100547A1 (de) Verriegelungsmechanismus für ein fahrzeug
DE102020132357A1 (de) Sitzbaugruppe
KR102371080B1 (ko) 차량의 캐빈 틸팅 장치의 토션바 토션력 조절 장치
DE102005056837B4 (de) Ein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fahrerseitigen Airbagmoduls in einem Fahrzeug
KR20060033266A (ko) 중장비용 사이드도어의 개방각 제어장치
DE19938881C1 (de) Kraftfahrzeugsitz mit vorklappbarer Rückenlehne
KR102425507B1 (ko) 차량용 변속레버의 도난방지 장치
DE202018105111U1 (de) Boxlink einer vertikalen Schiene
KR101896492B1 (ko) 선박용 배전반
DE102004038859B4 (de) Elektrischer Verbindungskasten und Verfahren zum Installieren eines elektrischen Verbindungskastens
JP4628092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102350611B1 (ko) 자동차 시트의 하이트링크 록킹 장치
KR101599633B1 (ko) 자동차용 후드힌지
CN111683837A (zh) 扶手
KR102598456B1 (ko) 작업차량용 도어 개폐 장치
DE102012218043B4 (de) Fahrzeugtürmechanismus
JP2009262695A (ja) チャイルドシートの装着構造
KR102634400B1 (ko)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
JP2008001139A (ja) 乗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